[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71860B1 - 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860B1
KR102571860B1 KR1020230032529A KR20230032529A KR102571860B1 KR 102571860 B1 KR102571860 B1 KR 102571860B1 KR 1020230032529 A KR1020230032529 A KR 1020230032529A KR 20230032529 A KR20230032529 A KR 20230032529A KR 102571860 B1 KR102571860 B1 KR 102571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ublic address
plc
emergency
small a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진
이재석
정재길
Original Assignee
이노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2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8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86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 H04H20/84Wired systems combined with power distribu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88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04H20/89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using three or more audio channels, e.g. triphonic or quadraphon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관방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을 통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이 차단된 상황에서도 방송할 수 있고, 전관방송의 음성 출력부인 PLC 모듈이 설치되는 소영역 단위로 해당 영역을 이상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소영역 단위로 전관방송의 출력을 제어하는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blic address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blic address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perform two-way communication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so that broadcasting can be performed even when power is cut off, and the sound of public address broadcasting A public address system and method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for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abnormality in a corresponding area in units of small areas where a PLC module as an output unit is installed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public address in units of the small areas.

Description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 및 방법{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관방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을 통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이 차단된 상황에서도 방송할 수 있고, 전관방송의 음성 출력부인 PLC 모듈이 설치되는 소영역 단위로 해당 영역에서의 이상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소영역 단위로 전관방송의 출력을 제어하는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blic address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blic address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perform two-way communication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so that broadcasting can be performed even when power is cut off, and the sound of public address broadcasting A public address system and method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for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abnormalities in a corresponding area in units of small areas where a PLC module as an output unit is installed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public address in units of the small areas.

전관방송 시스템이란 학교, 관공서, 대형빌딩, 항만, 공항 등의 구내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구내 안내방송은 물론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 발생 시 비상 방송용으로 사용되며, 건물 안팎으로 설치된 다수의 스피커를 관리 및 제어하는 방송 시스템이다.A public address broadcasting system is a system that enables in-house broadcasting in schools, government offices, large buildings, ports, and airports. It is a broadcasting system that manages and controls speakers.

일반적인 전관방송 시스템은 마이크로폰, CD/MP3 플레이어, 카세트 데크, 스테레오 튜너 등과 같은 장치들을 포함하여 음원을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원의 가공, 조절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음원을 증폭하는 하나 이상의 앰프(AMP)를 포함하는 증폭부 및 소영역에 설치된 스피커를 포함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원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A typical public address system includes devices such as a microphone, a CD/MP3 player, a cassette deck, a stereo tuner, and the lik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sound sourc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processing and adjustment of the sound sourc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amplifying the sound source. It includes an amplification unit including one or more amplifiers (AMP) and an output unit that outputs a sound source through a speaker including a speaker installed in a small area.

통상적으로, 증폭부의 앰프는 건물의 층 등과 같이 대영역별로 구성되고, 스피커는 건물의 룸(Room)(예를 들면, 아파트의 경우 집, 일반 빌딩의 경우 사무실) 등과 같은 소영역별로 설치된다. 대영역별로 설치되는 앰프는 다수의 스피커와 연결되므로,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을 선택적으로 선택한 앰프를 통해 대영역 단위로 방송을 출력한다.Typically, amplifiers of the amplification unit are configured for each large area, such as a floor of a building, and speakers are installed for each small area, such as a room in a building (for example, a house in the case of an apartment, an office in the case of a general building). Since amplifiers installed for each large area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peakers, the controller outputs broadcasting in units of large areas through the amplifier selectively selecting a sound source input from the input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전관방송 시스템은 대영역 단위로 방송 출력을 제어할 수 있을 뿐 스피커가 설치되는 소영역 단위로 방송 출력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ublic address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control broadcasting output in units of large areas but cannot control broadcasting output in units of small areas where speakers are installed.

해외의 경우, 소영역 단위로 방송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출력부와 제어부간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IP 스피커를 포함하는 IP 전관방송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Overseas, an IP public address system including an IP speaker is applied to perform Internet Protocol (IP) communication between an output unit and a control unit in order to control broadcasting output in small area units.

그러나 IP 전관방송 시스템은 일반적인 전력을 사용하는 IP 라우터 등을 사용하므로, 전력이 끊기는 경우 일정 시간 이상 대피 방송을 할 수 없어, 전력 끊김 시에도 일정 시간 대피 방송을 하여야 하는 국내 소방법에 위반되어 국내에는 적용할 수 없다.However, since the IP public address broadcasting system uses IP routers that use general power, evacuation broadcasts cannot be mad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power is cut off. Not applicable.

이러한 문제점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30087(2014.11.07.공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은 전력이 끊기는 경우에도 PLC 통신을 통해 스피커로 음원을 전달하여 출력할 수 있고, 방송을 할 스피커를 선택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Due to this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30087 (published on November 7, 2014) [public address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is a sound source through a speaker through PLC communication even when power is cut off. Disclosed is a technology capable of transmitting and outputting and selecting a speaker for broadcasting.

선행기술은 PLC 통신을 통해 음원을 전송해야 하므로 많은 양의 데이터가 PLC 통신을 통해 송신된다. 그러나 PLC 특성상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속도가 느리고, 잡음이 발생하여 음원의 품질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since a sound source must be transmitted through PLC communication, a large amount of data is transmitted through PLC communication.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PLC, when a large amount of data is transmitted, the speed is slow and noise is generated, resulting in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the sound sourc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30087호(2014.11.07.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30087 (published on November 7, 201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을 통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이 차단된 상황에서도 방송할 수 있으면서도 전관방송의 음성 출력부인 PLC 모듈이 설치되는 소영역 단위로 해당 영역에서의 이상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소영역 단위로 전관방송의 출력을 제어하는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wo-way communication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so that broadcasting can be performed even in a power-off situation, and in a small area unit where a PLC module, which is an audio output unit for public address broadcasting, is install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blic address system and method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that monitors the occurrence of abnormalities in a corresponding area and controls the output of public address in units of the small are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은: 음원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음원 생성부; 스피커를 포함하고 소영역에 설치되어, 오디오 라인을 통해 상기 음원을 수신받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되, PLC 통신에 따라 전력선 통신망과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소영역 제어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음원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다수의 PLC 모듈; 상기 소영역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대영역 단위로 설치되어 입력되는 음원을 증폭한 후 상기 오디오 라인을 통해 상기 대영역 단위의 소영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PLC 모듈로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증폭부; 상기 하나 이상의 증폭부와 연결되어 상기 음원 생성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을 입력되는 대영역 제어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증폭부로 출력하는 스위칭부; 및 전관방송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전관방송이벤트에 대응하는 방송영역인 대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대영역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로 출력하고 상기 전관방송이벤트에 대응하는 방송영역인 소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소영역 제어신호를 PLC 통신을 통해 상기 소영역에 대응하는 PLC 모듈로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generat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ound source; It includes a speaker and is installed in a small area to receive the sound source through an audio line and output it through the speaker, and to turn it on or off according to a small area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a data line connected to a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PLC communication. a plurality of PLC modules that output or block the sound source through the speaker; one or more amplifying units installed in units of a large area including one or more small areas to amplify an input sound source and then output the amplified sound to one or more PLC modules installed in the small areas of the large area unit through the audio line; a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one or more amplifiers and outputting the sound source input from the sound source generator to one or more amplifiers according to an input large-range control signal; and when a public address event occurs, the switching unit controls the switching unit to output the large area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to select a large area corresponding to the public address event and a small area corresponding to the public address ev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rol module for outputting a small are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to a PLC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mall area through PLC communication.

상기 PLC 모듈은, 상기 스피커; 상기 오디오 라인과 상기 스피커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오디오 라인과 상기 스피커를 연결 또는 차단하되, 스위치 온 신호의 입력 시 상기 오디오 라인과 상기 스피커를 연결하는 릴레이; 및 상기 제어모듈과 상기 데이터 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PLC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PLC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소영역 제어신호의 입력 시 상기 릴레이로 상기 스위치 온 신호를 출력하는 PLC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C module may include: the speaker; a relay configured between the audio line and the speaker to connect or disconnect the audio line and the speaker, and to connect the audio line and the speaker when a switch-on signal is input; and a PLC modem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through the data line to perform PLC communication and to output the switch-on signal to the relay when a small area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through the PLC communication. to be characterized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전력선 통신망에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을 통해 상기 PLC 모듈과 PLC 통신을 수행하는 PLC 모뎀을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대영역별 위치정보, 대영역별 할당된 증폭부에 대한 증폭부 식별정보, 소영역별 위치정보 및 소영역별 설치된 PLC 모듈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장치 설치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전관방송이벤트의 발생 시 발생한 전관방송이벤트에 대응하는 대영역 및 소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출력장치 설치 DB를 참조하여 상기 결정된 대영역에 할당된 증폭부로 상기 음원 생성부에서 생성된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대영역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로 출력하고, 상기 PLC 모뎀을 통해 방송영역인 상기 소영역에 설치된 상기 PLC 모듈로 소영역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modul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PLC modem for performing PLC communication with the PLC module through a data lin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a storage unit including an output device installation DB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large region, amplifying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n amplification unit assigned to each large region,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small region, and PLC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stalled for each small region; and when a public address event occurs, determines a large area and a small area corresponding to the public address event, and outputs the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sound source generation unit to the amplification unit allocated to the determined large area with reference to 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DB.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large area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and transmitting a small area control signal to the PLC module installed in the small area, which is a broadcasting area, through the PLC modem.

상기 제어부는, 전관방송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전관방송이벤트의 발생 시 발생한 상기 전관방송이벤트에 대응하는 대영역 및 소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출력 장치 설치 DB를 참조하여 상기 대영역에 대응하는 증폭부 및 PLC 모듈을 결정하는 전관방송이벤트 정보 획득부; 상기 전관방송이벤트 정보 획득부에서 결정된 증폭부를 선택하기 위한 대영역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로 출력하는 음원 출력 제어부; 및 상기 PLC 모뎀을 통해 상기 소영역에 설치된 상기 PLC 모듈로 소영역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출력 종단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onitors whether a public address event has occurred, determines a large area and a small area corresponding to the public address event that has occurred when the public address event occurs, and responds to the large area by referring to 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DB. a public address ev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determines an amplifying unit and a PLC module; a sound source output control unit outputting a large are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n amplification unit determined by the public address event information obtaining unit to the switching unit; and an output end control unit transmitting a small area control signal to the PLC module installed in the small area through the PLC modem.

상기 PLC 모듈은, 상기 소영역에서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긴급상황 발생 시 PLC 모듈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긴급상황의 발생을 통지하는 센서정보를 PLC 모뎀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PLC 모듈 중 긴급상황이 발생한 PLC 모듈로부터 상기 센서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센서정보 수집부; 상기 출력 장치 설치 DB를 참조하여 상기 센서정보에 포함된 PLC 모듈 식별정보를 가지는 PLC 모듈이 설치된 대영역 및 소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대영역 및 소영역에서 상기 긴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는 긴급상황 판단부; 및 상기 긴급상황 판단부를 통해 긴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긴급상황 발생을 전관방송이벤트 중 긴급상황 전관방송 이벤트로써 간주하고 음원 생성부를 통해 사이렌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소영역의 긴급상황과 관련된 대영역 및 소영역의 PLC 모듈의 스피커를 통해 긴급상황 통지 경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대영역에 대응하는 대영역 제어신호를 스위칭부로 출력하고, 상기 소영역에 대응하는 PLC 모듈로 소영역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긴급상황 전관방송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C module monitors whether an emergency occurs in the small area, and when an emergency occurs, sensing that transmits sensor information including PLC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to the control module through a PLC modem.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sensor information from a PLC module in which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mong the PLC modules; Emergency to identify the large area and small area in which the PLC module having the PLC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nsor information is installed with reference to 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DB, and to recognize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in the identified large area and small area. Situation Judgmen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through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is regarded as an emergency public address event among public address events, and a siren audio signal is generated through a sound generator to be related to the emergency in the small area. A large are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arge area is output to the switching unit so that an emergency notification alarm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s of the large area and small area PLC modules, and the small are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LC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mall are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mergency public address control unit to do.

상기 센싱부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열 감지센서, 연기 감지센서 및 불꽃 감지센서, 일산화탄소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ing unit is for detecting a fir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eat sensor, a smoke sensor, a flame sensor, and a carbon monoxide sens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방법은: 제어모듈이 전관방송이벤트의 발생 시 전관방송이벤트에 대응하는 방송영역인 대영역 및 소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대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대영역 제어신호를 스위칭부로 출력하고 방송영역인 소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소영역 제어신호를 PLC 통신을 통해 상기 소영역에 대응하는 PLC 모듈로 출력하는 전관방송 제어 과정; 음원 생성부가 방송할 음원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음원 생성 과정;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입력되는 대영역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증폭부로 상기 음원 생성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스위칭 과정; 상기 소영역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대영역 단위로 설치되는 상기 증폭부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을 증폭하여 상기 대영역 단위의 소영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PLC 모듈로 출력하는 음원 증폭 과정; 및 스피커를 포함하고 소영역에 설치되는 PLC 모듈이 오디오 라인을 통해 상기 음원을 수신받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되, PLC 통신에 따라 데이터 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소영역 제어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음원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종단인 소영역에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종단 음원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ublic address broadcasting method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module determines a large area and a small area corresponding to a public address event when a public address event occurs, and a public address control process of outputting a large are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the determined large area to a switching unit and outputting a small are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 small area, which is a broadcasting area, to a PLC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mall area through PLC communication; a sound source generation process in which a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generates and outputs a sound source to be broadcast; a switching process in which the switching unit outputs the sound source input from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to an amplifica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large-are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a sound source amplification process in which the amplifying unit installed in units of large areas including one or more small areas amplifies the sound source input from the switching unit and outputs the amplified sound to one or more PLC modules installed in the small areas of the large area unit; And a PLC module including a speaker and installed in a small area receives the sound source through an audio line and outputs it through the speaker, and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mall area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a data line according to PLC communic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erminal sound source outputting process of outputting or blocking a sound source to a small area as an end through the speaker.

종단 음원 출력 과정은, 상기 PLC 모듈이 제어모듈로부터 전력선 통신망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소영역 제어신호가 입력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스위칭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PLC 모듈이 제어모듈로부터 소영역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증폭부와 연결된 데이터라인을 스피커와 연결하여 상기 증폭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원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sound source output process includes a switching monitoring step in which the PLC module monitors whether a small area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through the data line of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ound source output step in which the PLC module connects a data line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unit to a speaker when a small region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and outputs a sound source input from the amplification unit through the speaker.

상기 전관방송 제어 과정은,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부가 전관방송이벤트 정보 획득부를 통해 전관방송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전관방송이벤트의 발생 시 발생한 상기 전관방송이벤트에 대응하는 대영역 및 소영역을 결정하고, 출력 장치 설치 DB를 참조하여 상기 대영역에 대응하는 증폭부 및 PLC 모듈을 결정하는 방송영역 결정 단계; 상기 제어부가 음원 출력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관방송이벤트 정보 획득부에서 결정된 증폭부를 선택하기 위한 대영역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로 출력하는 음원 출력 제어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출력 종단 제어부를 통해 상기 소영역에 설치된 상기 PLC 모듈로 PLC 통신에 의한 데이터 라인을 통해 소영역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출력 종단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ublic address control process, the controller of the control module monitors whether a public address event has occurred through the public address ev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nd when a public address event occurs, determines a large area and a small area corresponding to the public address event. a broadcast are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n amplification unit and a PLC module corresponding to the large area by referring to an output device installation DB; a sound source output control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outputs, through the sound source output control unit, a large-are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n amplifying unit determined by the public address ev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o the switching unit; and an output termination control step in which the controller transmits a small region control signal through a data line through PLC communication to the PLC module installed in the small region through an output termination controller.

상기 방법은: 상기 PLC 모듈이 센싱부를 통해 상기 소영역에서 긴급상황이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긴급상황 발생 시 PLC 모듈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긴급상황의 발생을 통지하는 센서정보를 PLC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긴급상황 감지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센서정보 수집부를 통해 상기 PLC 모듈 중 긴급상황이 발생한 PLC 모듈로부터 상기 센서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센서정보 수집 단계; 상기 제어부가 긴급상황 판단부를 통해 상기 출력 장치 설치 DB를 참조하여 상기 센서정보에 포함된 PLC 모듈 식별정보를 가지는 PLC 모듈이 설치된 대영역 및 소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대영역 및 소영역에서 상기 긴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는 긴급상황 판단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긴급상황 판단부를 통해 긴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긴급상황 전관방송 제어부를 통해 상기 긴급상황 발생을 전관방송이벤트 중 긴급상황 전관방송 이벤트로써 간주하고 음원 생성부를 통해 사이렌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소영역의 긴급상황과 관련된 대영역 및 소영역의 PLC 모듈의 스피커를 통해 긴급상황 통지 경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대영역에 대응하는 대영역 제어신호를 스위칭부로 출력하고, 상기 소영역에 대응하는 PLC 모듈로 소영역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긴급상황 전관방송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the PLC module monitors whether an emergency occurs in the small area through a sensing unit, and when an emergency occurs, controls sensor information including PLC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through PLC communication.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f further including an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process for transmitting to a module,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and outputs the sensor information from a PLC module in which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mong the PLC modules through a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e controller identifies a large area and a small area in which a PLC module having PLC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nsor information is installed by referring to 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DB through an emergency decision unit, and the identified large area and small area An emergency determination step of recognizing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and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through the emergency decision unit, the emergency public address control unit regards the emergency as an emergency public address event among public address events and transmits a siren audio signal through the sound generator. and outputs a large are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arge area to the switching unit so that an emergency notification alarm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of the PLC module of the large area and small area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small area, and responds to the small are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mergency situation public address control step of transmitting a small area control signal to the PLC module.

상기 긴급상황 판단부는, 열 감지센서, 연기 감지센서 및 불꽃 감지센서, 일산화탄소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싱부를 통해 화재 발생에 따른 긴급상황이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may monitor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due to a fire through a sens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heat detection sensor, a smoke detection sensor, a flame detection sensor, and a carbon monoxide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은 전관방송의 음원을 일반적인 전관방송 시스템의 정전압 음원 전송 케이블로 구성되는 오디오 라인을 통해 종단의 소영역에 구성되는 출력부인 PLC 모듈로 전송하되, PLC 통신을 통해 종단의 음원 출력을 온 또는 오프하므로 음원의 전송 속도를 지연시키지 않고 음원을 잡음 없이 방송하면서도 소영역 단위로 방송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public address sound source to a PLC module, which is an output unit configured in a small area of an end, through an audio line composed of a constant voltage sound source transmission cable of a general public address system, but turns on or turns on the end sound source output through PLC communication. Since it is turned off, there is an effect of controlling the broadcasting output in small area units while broadcasting the sound source without noise without delaying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sound source.

또한, 본 발명은 PLC 모듈에 구성되는 이상 감지 센서를 통해 PLC 모듈이 설치되는 소영역의 이상 감지에 따른 적은 데이터양의 이상 감지 정보를 PLC 통신을 통해 제어수단으로 전송하고, 이상 감지 정보의 수신에 따른 방송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이상 감지 수신기(예: 화재 수신기 등)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전관방송 및 화재 감지 시스템 구축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omaly detection information of a small amount of data according to anomaly detection in a small area where the PLC module is installed through an anomaly detection sensor configured in the PLC module to a control means through PLC communication, and receives the anomaly detection informa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erform broadcas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separate anomaly detection receiver (eg, fire receiver, etc.) does not need to be separately configur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lowering the construction cost of public address and fire detection syste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의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module of a 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ublic address broadcasting method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의 전관방송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 public address method of the system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은 음원 생성부(10), 스위칭부(20), 증폭부(30), 출력부(40) 및 제어모듈(70)을 포함한다.A public address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generator 10, a switching unit 20, an amplifier 30, an output unit 40, and a control module 70.

음원 생성부(10)는 음원을 생성하는 장치로, 마이크로폰과 연결되는 마이크 리시버, CD/MP3 플레이어, 라디오(스테레오) 튜너, 사이렌 생성부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렌 생성부는 사이렌을 생성하여 음원으로서 출력한다.The sound source generator 10 is a device that generates a sound sourc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microphone receiver connected to a microphone, a CD/MP3 player, a radio (stereo) tuner, and a siren generator. The siren generator generates a siren and outputs it as a sound source.

상기 음원 생성부(10)는 포함된 장치들 각각을 관리자가 조작하여 음원을 생성할 수도 있고, 제어모듈(70)의 제어를 받아 음원을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ound source generation unit 10 may generate a sound source by operating each of the included devices by a manager, or may generate a sound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70 .

스위칭부(20)는 음원 생성부(10) 및 다수의 증폭부(30)들 사이에 연결되고, 제어모듈(70)로부터 대영역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대영역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음원 생성부(10)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을 하나 이상의 증폭부(30)로 출력한다. 상기 스위칭부(20)로부터 입력되는 음원 또한 하나 이상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20)는 음원 생성부(10)로부터 두 개의 음원을 입력받아 하나의 증폭부(30)로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이렌과 동시에 안내 음성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switching unit 20 is connected between the sound generator 10 and the plurality of amplifiers 30, receives a large-are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odule 70, and responds to the large-area control signal to the sound source generator. The sound source input from (10) is output to one or more amplifiers (30). One or more sound sources input from the switching unit 20 may also be provided. In addition, the switching unit 2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wo sound sources from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10 and output them to one amplifying unit 30 .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guide voice simultaneously with a siren.

증폭부(30)는 건물 등과 같은 전관방송 영역 중 건물의 층, 옥외 등과 같이 대영역별로 할당되고, 앰프(AMP)를 포함하고 할당된 대영역에 설치되는 대영역 출력부(60)와 오디오 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스위칭부(20)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을 증폭하여 연결된 상기 대영역 출력부(60)의 PLC 모듈(60)들로 출력한다. 상기 전관방송 영역은 아파트, 공장형 아파트 등의 대형빌딩, 공원, 학교, 항만, 공항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amplification unit 30 is allocated for each large area such as a floor of a building, outdoors, etc. among public address areas such as a building, and includes an amplifier (AMP) and a large area output unit 60 installed in the allocated large area and an audio line The sound source input from the switching unit 20 is amplified and output to the connected PLC modules 60 of the large area output unit 60. The public address area may be a larg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a factory-type apartment, a park, a school, a port, an airport, and the like.

출력부(40)는 상기 증폭부(30)와 오디오 라인을 통해 직접 연결되는 다수의 PLC 모듈(60)을 포함하며, 둘 이상의 대영역을 구비하는 경우 대영역별로 할당된 증폭부(30)와 연결되어 복수의 PLC 모듈(60)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대영역 출력부(50)를 포함한다.The output unit 40 includes a plurality of PLC modules 60 directly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unit 30 through an audio line. It includes two or more large area output units 50 that are connected and include a plurality of PLC modules 60 .

상기 대영역 출력부(50)에 포함되는 PLC 모듈(60)의 수는 해당 대영역의 크기 및 대영역 내 구성되는 룸(Room) 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The number of PLC modules 60 included in the large area output unit 50 may be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large area and the number of rooms configured in the large area.

동일 대영역 내의 PLC 모듈(60)들은 하나의 증폭부(30)와 오디오 라인으로 연결되어, 연결된 상기 증폭부(30)로부터 음원을 입력받아 스피커를 통해 해당 대영역 내 구성되는 다수의 소영역 중 각각이 설치된 소영역에 출력한다.The PLC modules 60 in the same large area are connected to one amplification unit 30 through an audio line, and receive a sound source from the connected amplification unit 30 through a speaker among a plurality of small areas configured in the corresponding large area. It is output to each small area where it is installed.

PLC 모듈(60)은 스피커(61), 릴레이(62) 및 PLC 모뎀(63)을 포함하고, 실시 예에 따라 센싱부(64)를 더 포함한다.The PLC module 60 includes a speaker 61, a relay 62, and a PLC modem 63, and further includes a sensing unit 64 according to an embodiment.

스피커(61)는 상기 증폭부(30)에서 출력되어 릴레이(62)를 통해 입력되는 음원을 해당 소영역에 출력한다.The speaker 61 outputs the sound source output from the amplifier 30 and input through the relay 62 to the corresponding small area.

상기 릴레이(62)는 PLC 모뎀(63)으로부터 스위치 온 신호의 입력에 의한 제어를 받아 온 또는 오프되어 증폭부(30)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을 스피커(61)로 출력하거나 차단한다.The relay 62 is turned on or off under the control of a switch-on signal input from the PLC modem 63 to output or block the sound source input from the amplifier 30 to the speaker 61.

PLC 모뎀(63)은 전력선 통신망(1)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제어모듈(70)과 연결되어 PLC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전력선 통신망(1)은 전관방송 영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통신망으로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PLC modem 63 is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70 through the data line of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1 to perform PLC communication.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1 is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supplies power to the public address area, and preferably includes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상기 PLC 모뎀(63)은 PLC 모듈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전력선 통신망(1)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제어모듈(70)로부터 소영역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소영역 제어신호에 대한 스위치 온 신호를 릴레이(62)로 출력한다.The PLC modem 63 has PLC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s a small are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odule 70 through the data line of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1, and generates a switch-on signal for the small area control signal. output to the relay 62.

센싱부(64)는 PLC 모듈(60)의 PLC 모듈 식별정보 또는 센싱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PLC 모듈(60)이 설치된 소영역의 긴급상황을 감지하고, 긴급상황의 감지 시 PLC 모듈 식별정보 및 센서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와 센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센서정보를 생성하여 PLC 모뎀(63)을 통해 PLC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제어모듈(70)로 전송한다. 상기 센서정보에 포함되는 PLC 모듈 식별정보는 PLC 모뎀(63)에 의해 상기 센서정보에 포함되거나, PLC 통신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전송 포맷에 따라 센서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ensing unit 64 has PLC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sen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LC module 60, detects an emergency situation in a small area in which the PLC module 60 is installed, and detects an emergency situation, PLC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nsor information including any one of the sens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nsor data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70 according to the PLC communication protocol through the PLC modem 63. The PLC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nsor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sensor information by the PLC modem 63 or may be transmitted along with the sensor information according to a data transmission format according to a PLC communication protoco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의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module of a 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모듈(70)은 저장부(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고,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 및 입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2 , the control module 70 includes a storage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50, and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130 and an input unit 140 according to embodiments. There will be.

저장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및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본 발명에 따라 출력 장치 설치 DB(111) 및 긴급상황 방송 DB(112)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storage unit 110 includes a program area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rol module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mporary area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the control program, and a control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program. It includes a data area for semi-permanently storing necessary data and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ontrol program. In the data area, an output device installation DB 111 and an emergency broadcasting DB 112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출력 장치 설치 DB(111)는 전관방송 영역의 대영역별 위치정보 및 소영역별 위치정보, 대영역별로 할당된 증폭부(30)에 대한 증폭부 식별정보, 소영역별로 설치된 PLC 모듈(60)에 대한 PLC 모듈 식별정보 및 센서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한다.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DB 111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large area and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small area of the public address area, amplifying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amplifying unit 30 allocated for each large area, and PLC module 60 installed for each small area. Stores any one or more of PLC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ns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긴급상황 방송 DB(112)는 긴급상황별로 방송할 긴급상황 안내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emergency broadcasting DB 112 stores emergency guide voice data to be broadcast for each emergency.

통신부(120)는 일반적인 인터넷망(미도시)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 단말기(미도시) 등과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에 따른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IP 통신부(121) 및 전력선 통신망(1)을 통해 PLC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PLC 모듈(60)들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PLC 통신부(또는 "PLC 모뎀"이라 함)(122)를 포함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includes an IP communication unit 121 and a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not shown)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Internet Protocol (IP) with a remote manager terminal (not shown) through a general Internet network (not shown). 1) includes a PLC communication unit (or referred to as "PLC modem") 122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LC modules 60 according to the PLC communication protocol.

디스플레이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텍스트, 그래픽, 정지영상, 동영상 등으로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in the form of text, graphics, still images, moving images, and the like.

입력부(140)는 키보드, 마우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에 일체로 구성되는 터치패드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자가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put unit 140 includes any one or more of a keyboard, a mouse, and a touch pad integrally form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0, so that a manager can input various information.

제어부(150)는 전관방송이벤트 정보 획득부(151), 음원 출력 제어부(152) 및 출력 종단 제어부(153)를 포함하고, 실시 예에 따라 센서정보 수집부(154), 긴급상황 판단부(155) 및 긴급상황 전관방송 제어부(156)를 더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50 includes a public address ev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51, a sound source output control unit 152, and an output termination control unit 153,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4 and an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155 ) and an emergency public address control unit 156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rol module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관방송이벤트 정보 획득부(151)는 전관방송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전관방송이벤트의 발생 시 발생한 상기 전관방송이벤트에 대응하는 대영역 및 소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출력 장치 설치 DB(111)를 참조하여 상기 대영역에 대응하는 증폭부(30) 및 PLC 모듈(60)을 결정한다.The public address ev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51 monitors whether a public address event has occurred, determines a large area and a small area corresponding to the public address event that has occurred, and output device installation DB 111 ) to determine the amplifier 30 and the PLC module 60 corresponding to the large area.

상기 전관방송이벤트는 디스플레이부(130) 및 입력부(140)를 통한 관리자 인터페이스 수단에 의한 전관방송 요청 명령의 입력 시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관방송 요청 명령은 긴급상황 안내 전관방송 요청, 일반 안내 전관방송 요청, 일부 전관방송 요청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명령일 수 있을 것이다. 명령 종류에 따라 대영역 및 소영역이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The public address event may occur when a public address request command is input by a manager interface means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and the input unit 140. The public address request command may be various types of commands, such as an emergency public address public address request, a general information public address request, and a partial public address request. Depending on the command type, a large area and a small area may be predefined.

또한, 상기 전관방송이벤트 정보 획득부(151)는 전관방송이벤트의 발생 후 방송할 대영역 및 소영역을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방송할 대영역 및 소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ublic address ev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51 may determine the large area and small area to be broadcasted by receiving an input from a manager of a large area and a small area to be broadcasted after a public address event occurs.

음원 출력 제어부(152)는 상기 전관방송이벤트 획득부(151)에서 결정된 대영역으로 출력할 수 있는 증폭부(30)를 선택하기 위한 대영역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20)로 출력한다.The sound source output control unit 152 outputs, to the switching unit 20, a large are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the amplifying unit 30 capable of outputting to the large area determined by the public address event acquisition unit 151.

출력 종단 제어부(153)는 상기 PLC 모뎀(122)을 통해 결정된 하나 이상의 각 소영역에 설치된 상기 PLC 모듈(60)로 소영역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소영역 제어신호는 제어모듈(70)에서 출력되어 데이터 라인을 통해 전력선 통신망(1)으로 입력하고, 데이터 라인을 통해 해당 소영역에 설치된 PLC 모듈(60)로 입력한다.The output termination control unit 153 transmits a small area control signal to the PLC module 60 installed in one or more small areas determined through the PLC modem 122 . The small area control signal is output from the control module 70 and inputted to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1 through the data line and inputted to the PLC module 60 installed in the small area through the data line.

센서정보 수집부(154)는 상기 PLC 모듈(60) 중 긴급상황이 발생한 PLC 모듈(60)의 센싱부(64)로부터 PLC 통신을 통해 상기 센서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4 receives and outputs the sensor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unit 64 of the PLC module 60 in which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mong the PLC modules 60 through PLC communication.

긴급상황 판단부(155)는 상기 센서정보 수집부(154)로부터 센서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출력 장치 설치 DB(111)를 참조하여 상기 센서정보에 포함된 PLC 모듈 식별정보를 가지는 PLC 모듈(60)이 설치된 대영역 및 소영역을 식별한다.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155 receives sensor information from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4, and refers to 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DB 111 to refer to the PLC module 60 having PLC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nsor information. ) is installed to identify large and small areas.

긴급상황 판단부(155)는 대영역 및 소영역이 식별되면, 식별된 대영역 및 소영역에서 상기 긴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고, 긴급상황 통지 신호를 긴급상황 전관방송 제어부(156)로 출력한다.When the large area and the small area are identified,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155 recognizes that the emergency has occurred in the identified large area and the small area, and outputs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o the emergency public address control unit 156. .

긴급상황 전관방송 제어부(156)는 상기 긴급상황 판단부(155)로부터 긴급상황 통지 신호가 입력되어 긴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긴급상황 발생을 전관방송이벤트 중 긴급상황 전관방송 이벤트로써 간주하고 음원 생성부(10)의 사이렌 생성부를 통해 사이렌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소영역의 긴급상황과 관련된 대영역 및 소영역의 PLC 모듈(60)의 스피커(61)를 통해 긴급상황 통지 경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대영역에 대응하는 증폭부(30)를 선택하기 위한 대영역 제어신호를 스위칭부(20)로 출력하고, 상기 소영역에 대응하는 PLC 모듈(60)로 소영역 제어신호를 전송한다.When the emergency public address control unit 156 confirms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as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155, the emergency public address control unit 156 regards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as an emergency public address event among public address events, and A siren audio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siren generator of the sound generator 10 so that an emergency notification alarm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61 of the PLC module 60 of the large area and small area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small area. A large are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the amplifier 30 corresponding to the large area is output to the switching unit 20, and the small are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LC module 60 corresponding to the small area.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ublic address broadcasting method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모듈(70)의 제어부(150)는 전관방송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11).Referring to FIG. 3 , the controller 150 of the control module 70 monitors whether a public address event occurs (S111).

전관방송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50)는 발생한 전관방송이벤트가 PLC 통신을 통해 PLC 모듈(60)로부터 수신된 센서정보에 의해 발생하는 긴급상황 전관방송이벤트인지를 판단한다(S113).When a public address event occurs,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generated public address event is an emergency public address event generated by senso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C module 60 through PLC communication (S113).

긴급상황 전관방송이벤트가 아니면 제어부(150)는 전관방송이벤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대영역 및 하나 이상의 소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영역에 대응하는 증폭부(30) 및 소영역에 대응하는 PLC 모듈(60)을 결정한다(S115).If it is not an emergency public address event,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one or more large areas and one or more small areas corresponding to the public address event, and the amplifying unit 30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large areas and PLC modules corresponding to the small areas. (60) is determined (S115).

결정된 대영역에 대응하는 증폭부(30) 및 소영역에 대응하는 PLC 모듈(60)이 결정되면 제어부(150)는 상기 결정된 증폭부(30)로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대영역 제어신호를 스위칭부(20)로 출력하여, 결정된 대영역에 대응하는 대영역 출력부(50)와 연결되는 오디오 라인과 연결되는 증폭부(30)로 음원이 출력되도록 한다(S117).When the amplification unit 30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large area and the PLC module 60 corresponding to the small area are determined,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a large are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 sound source to the determined amplifying unit 30 to the switching unit. (20) so that the sound source is output to the amplifier 30 connected to the audio line connected to the large area output unit 50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large area (S117).

또한, 제어부(150)는 전력선 통신망(1)을 통한 PLC 통신을 통해 결정된 하나 이상의 소영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PLC 모듈(60)로 소영역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PLC 모듈(60)을 턴-온(Turn on)한(S119) 후, 음원 생성부(10)를 통해 생성되는 음원을 상기 스위칭부(20) 및 증폭부(30)를 통해 PLC 모듈(60)까지 형성되는 오디오 라인을 통해 PLC 모듈(60)로 전송하여, PLC 모듈(60)의 스피커(61)를 통해 음원을 출력한다(S127). 상기 음원 생성부(10)에서 생성되는 음원은 관리자에 의해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하는 음성일 수도 있고, CD/MP3 플레이어, 카세트 데크 등으로부터 재생되는 음원일 수도 있으며, 라디오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음원일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a small area control signal to one or more PLC modules 60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small areas determined through PLC communication through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1 to turn the PLC module 60 on. -After turning on (S119), the sound source generated through the sound source generator 10 is transmitted through an audio line formed to the PLC module 60 through the switching unit 20 and the amplification unit 30. Transmitted to the PLC module 60, the sound source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61 of the PLC module 60 (S127). The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sound source generator 10 may be a voice input by a manager through a microphone, a sound source reproduced from a CD/MP3 player, a cassette deck, etc., or a sound source received through a radio tuner. There will be.

반면, 발생한 전관방송이벤트가 긴급상황 전관방송이벤트이면, 제어부(150)는 긴급상황 전관방송이벤트에 대해 미리 결정된 대영역 및 소영역에 대한 정보를 로드하여 전관방송을 할 대영역 및 소영역을 결정한다(S121). 상기 대영역 및 소영역은 긴급상황의 종류, 발생 위치 및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긴급상황이 화재인 경우 화재가 발생한 대영역의 위치가 건물의 2층이면, 제어모듈(70)의 제어부(150)는 우선하여 전관방송을 할 대영역 위치를 효율성에 따라 2층, 3층 및 1층으로 결정하고 소영역 위치를 2층, 3층 및 1층 전체로 결정할 수 있으며, 1, 2, 3층 전체에 대한 전관방송을 일정 시간(예: 5분) 방송한 후, 4층, 5층, 6층에 대해 순차적으로 전관방송을 하도록 전관방송을 할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generated public address event is an emergency public address event, the controller 150 loads information on the large area and small area predetermined for the emergency public address event to determine the large area and small area for public address broadcasting. Do (S121). The large area and the small area may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emergency, location and time of occurrence. For example,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is a fire, if the location of the large area where the fire occurred is the second floor of a building, the control unit 150 of the control module 70 prioritizes the location of the large area to be used for public address broadcasting on the second floor according to efficiency. , the 3rd floor and the 1st floor, and the location of the small area can be determined as the 2nd, 3rd and 1st floors, and public broadcasting for the entire 1st, 2nd, and 3rd floors is broadcas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5 minutes), and then ,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location for public address broadcasting so that public broadcasting is sequentially performed on the 4th, 5th, and 6th floors.

대영역 및 소영역이 결정되면 상술한 S117, S119와 동일하게 긴급상황 발생 대영역에 대응하는 증폭부(30)로 오디오 라인이 연결되도록 스위칭부(20)로 대영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S123), PLC 통신을 통해 해당 PLC 모듈(60)로 소영역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PLC 모듈(60)을 구동한다(S125).When the large area and the small area are determined, a large area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switching unit 20 so that the audio line is connected to the amplifier 30 corresponding to the large area where an emergency occurs (S123 ), and transmits a small area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PLC module 60 through PLC communication to drive the PLC module 60 (S125).

연결 후, 제어부(150)는 긴급상황 방송 DB(112)에서 해당 긴급상황에 대응하는 긴급상황 통지 안내 음성 데이터를 로드하여 음원 생성부(10)를 통해 해당하는 음원을 생성하여 상기 오디오 라인을 통해 구동된 PLC 모듈(50)을 통해 출력한다(S127). 상기 음원은 관리자가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하는 음성일 수도 있고, 원격지의 관리자 단말부를 통해 입력하는 음성일 수도 있으며, 긴급상황 방송 DB(112)에 저장되어 있는 긴급상황 통지 안내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환한 아날로그 오디오일 수도 있을 것이다.After connection, the control unit 150 loads the emergency notification guide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from the emergency broadcasting DB 112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sound source through the sound source generator 10 through the audio line. It is output through the driven PLC module 50 (S127). The sound source may be a voice input by a manager through a microphone or a voice input through an administrator terminal at a remote location, and the emergency notification guide voice data stored in the emergency broadcasting DB 112 is converted into analog. It could be analog audio.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On the other h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ical preferred embodiments, but can be improved, changed, replaced, or add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have the , you can easily understand. If the implementation by such improvement, change, substitution or addi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below, the technical idea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전력선 통신망 10: 음원 생성부
20: 스위칭부 30: 증폭부
40: 출력부 50: 대영역 출력부
60: PLC 모듈 61: 스피커
62: 릴레이 63 PLC 모뎀
64: 센싱부 70: 제어모듈
110: 저장부 111: 출력장치 설치 DB
112: 긴급상황 방송 DB 120: 통신부
121: IP 통신부 122: PLC 통신부(PLC 모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입력부
150: 제어부 151: 전관방송이벤트 정보 획득부
152: 음원 출력 제어부 153: 출력 종단 제어부
154: 센서정보 수집부 155: 긴급상황 판단부
156: 긴급상황 전관방송 제어부
1: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10: sound generator
20: switching unit 30: amplification unit
40: output unit 50: large area output unit
60: PLC module 61: speaker
62: relay 63 PLC modem
64: sensing unit 70: control module
110: storage unit 111: output device installation DB
112: emergency broadcast DB 120: communication department
121: IP communication unit 122: PLC communication unit (PLC modem)
130: display unit 140: input unit
150: control unit 151: public address ev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52: sound source output control unit 153: output termination control unit
154: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55: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156: emergency public address control unit

Claims (11)

음원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음원 생성부;
스피커를 포함하고 소영역에 설치되어, 오디오 라인을 통해 상기 음원을 수신받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되, PLC 통신에 따라 전력선 통신망과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소영역 제어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음원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다수의 PLC 모듈;
상기 소영역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대영역 단위로 설치되어 입력되는 음원을 증폭한 후 상기 오디오 라인을 통해 상기 대영역 단위의 소영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PLC 모듈로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증폭부;
상기 하나 이상의 증폭부와 연결되어 상기 음원 생성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을 입력되는 대영역 제어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증폭부로 출력하는 스위칭부; 및
전관방송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전관방송이벤트에 대응하는 방송영역인 대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대영역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로 출력하고 상기 전관방송이벤트에 대응하는 방송영역인 소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소영역 제어신호를 PLC 통신을 통해 상기 소영역에 대응하는 PLC 모듈로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PLC 모듈은,
상기 스피커;
상기 오디오 라인과 상기 스피커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오디오 라인과 상기 스피커를 연결 또는 차단하되, 스위치 온 신호의 입력 시 상기 오디오 라인과 상기 스피커를 연결하는 릴레이; 및
상기 제어모듈과 상기 데이터 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PLC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PLC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소영역 제어신호의 입력 시 상기 릴레이로 상기 스위치 온 신호를 출력하는 PLC 모뎀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전력선 통신망에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을 통해 상기 PLC 모듈과 PLC 통신을 수행하는 PLC 모뎀을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대영역별 위치정보, 대영역별 할당된 증폭부에 대한 증폭부 식별정보, 소영역별 위치정보 및 소영역별 설치된 PLC 모듈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장치 설치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전관방송이벤트의 발생 시 발생한 전관방송이벤트에 대응하는 대영역 및 소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출력장치 설치 DB를 참조하여 상기 결정된 대영역에 할당된 증폭부로 상기 음원 생성부에서 생성된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대영역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로 출력하고, 상기 PLC 모뎀을 통해 방송영역인 상기 소영역에 설치된 상기 PLC 모듈로 소영역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
a sound generating unit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ound source;
It includes a speaker and is installed in a small area to receive the sound source through an audio line and output it through the speaker, and to turn it on or off according to a small area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a data line connected to a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PLC communication. a plurality of PLC modules that output or block the sound source through the speaker;
one or more amplifying units installed in units of a large area including one or more small areas to amplify an input sound source and then output the amplified sound to one or more PLC modules installed in the small areas of the large area unit through the audio line;
a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one or more amplifiers and outputting the sound source input from the sound source generator to one or more amplifiers according to an input large-range control signal; and
When a public address event occurs, the switching unit controls the switching unit to output the large are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 large area corresponding to the public address event to the switching unit, and to select a small area corresponding to the public address event. A control module outputting a small area control signal for selection to a PLC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mall area through PLC communication;
The PLC module,
the speaker;
a relay configured between the audio line and the speaker to connect or disconnect the audio line and the speaker, and to connect the audio line and the speaker when a switch-on signal is input; and
A PLC modem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through the data line to perform PLC communication and to output the switch-on signal to the relay when a small area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through the PLC communication,
The control module,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PLC modem performing PLC communication with the PLC module through a data lin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a storage unit including an output device installation DB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large region, amplifying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n amplification unit assigned to each large region,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small region, and PLC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stalled for each small region; and
Determining a large area and a small area corresponding to the public address event that occurred when a public address event occurs, and outputting the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sound source generation unit to an amplification unit allocated to the determined large area by referring to 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DB.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large area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small area control signal to the PLC module installed in the small area, which is a broadcasting area, through the PLC modem. broadcas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관방송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전관방송이벤트의 발생 시 발생한 상기 전관방송이벤트에 대응하는 대영역 및 소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출력 장치 설치 DB를 참조하여 상기 대영역에 대응하는 증폭부 및 PLC 모듈을 결정하는 전관방송이벤트 정보 획득부;
상기 전관방송이벤트 정보 획득부에서 결정된 증폭부를 선택하기 위한 대영역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로 출력하는 음원 출력 제어부; 및
상기 PLC 모뎀을 통해 상기 소영역에 설치된 상기 PLC 모듈로 소영역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출력 종단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monitoring whether a public address event has occurred, determining a large area and a small area corresponding to the public address event that has occurred when the public address event occurs, and an amplifier corresponding to the large area by referring to 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DB; and a public address ev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determines a PLC module;
a sound source output control unit outputting a large are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n amplification unit determined by the public address event information obtaining unit to the switching unit; and
and an output termination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small area control signal to the PLC module installed in the small area through the PLC mod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LC 모듈은,
상기 소영역에서 긴급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긴급상황 발생 시 PLC 모듈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긴급상황의 발생을 통지하는 센서정보를 PLC 모뎀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PLC 모듈 중 긴급상황이 발생한 PLC 모듈로부터 상기 센서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센서정보 수집부;
상기 출력 장치 설치 DB를 참조하여 상기 센서정보에 포함된 PLC 모듈 식별정보를 가지는 PLC 모듈이 설치된 대영역 및 소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대영역 및 소영역에서 상기 긴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는 긴급상황 판단부; 및
상기 긴급상황 판단부를 통해 긴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긴급상황 발생을 전관방송이벤트 중 긴급상황 전관방송 이벤트로써 간주하고 음원 생성부를 통해 사이렌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소영역의 긴급상황과 관련된 대영역 및 소영역의 PLC 모듈의 스피커를 통해 긴급상황 통지 경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대영역에 대응하는 대영역 제어신호를 스위칭부로 출력하고, 상기 소영역에 대응하는 PLC 모듈로 소영역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긴급상황 전관방송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PLC module,
A sensing unit that monitors whether an emergency occurs in the small area and, when an emergency occurs, transmits sensor information including PLC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to the control module through a PLC modem,
The control unit,
a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sensor information from a PLC module in which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mong the PLC modules;
Emergency to identify the large area and small area in which the PLC module having the PLC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nsor information is installed with reference to 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DB, and to recognize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in the identified large area and small area. Situation Judgment Departmen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through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is regarded as an emergency public address event among public address events, and a siren audio signal is generated through a sound generator to generate a response related to the emergency in the small area. Outputting a large are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arge area to a switching unit so that an emergency notification alarm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of the PLC module of the area and small area, and transmitting the small area control signal to the PLC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mall area A 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further comprising an emergency public address control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열 감지센서, 연기 감지센서 및 불꽃 감지센서, 일산화탄소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sensing unit,
A 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for detecting a fir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heat detection sensor, a smoke detection sensor, a flame detection sensor, and a carbon monoxide detection sensor.
제어모듈이 전관방송이벤트의 발생 시 전관방송이벤트에 대응하는 방송영역인 대영역 및 소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대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대영역 제어신호를 스위칭부로 출력하고 방송영역인 소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소영역 제어신호를 PLC 통신을 통해 상기 소영역에 대응하는 PLC 모듈로 출력하는 전관방송 제어 과정;
음원 생성부가 방송할 음원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음원 생성 과정;
상기 스위칭부가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입력되는 대영역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증폭부로 상기 음원 생성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스위칭 과정;
상기 소영역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대영역 단위로 설치되는 상기 증폭부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을 증폭하여 상기 대영역 단위의 소영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PLC 모듈로 출력하는 음원 증폭 과정; 및
스피커를 포함하고 소영역에 설치되는 PLC 모듈이 오디오 라인을 통해 상기 음원을 수신받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되, PLC 통신에 따라 데이터 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소영역 제어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음원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종단인 소영역에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종단 음원 출력 과정을 포함하고,
종단 음원 출력 과정은,
상기 PLC 모듈이 제어모듈로부터 전력선 통신망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소영역 제어신호가 입력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스위칭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PLC 모듈이 제어모듈로부터 소영역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증폭부와 연결된 데이터라인을 스피커와 연결하여 상기 증폭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원 출력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관방송 제어 과정은,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부가 전관방송이벤트 정보 획득부를 통해 전관방송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전관방송이벤트의 발생 시 발생한 상기 전관방송이벤트에 대응하는 대영역 및 소영역을 결정하고, 출력 장치 설치 DB를 참조하여 상기 대영역에 대응하는 증폭부 및 PLC 모듈을 결정하는 방송영역 결정 단계;
상기 제어부가 음원 출력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관방송이벤트 정보 획득부에서 결정된 증폭부를 선택하기 위한 대영역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로 출력하는 음원 출력 제어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출력 종단 제어부를 통해 상기 소영역에 설치된 상기 PLC 모듈로 PLC 통신에 의한 데이터 라인을 통해 소영역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출력 종단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방법.
When a public address event occurs, the control module determines a large area and a small area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public address event, outputs a large are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the determined large area to the switching unit, and selects a small area that is a broadcasting area. a public address control process of outputting a small area control signal for selection to a PLC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mall area through PLC communication;
a sound source generation process in which a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generates and outputs a sound source to be broadcast;
a switching process in which the switching unit outputs the sound source input from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to an amplifica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large-are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a sound source amplification process in which the amplifying unit installed in units of large areas including one or more small areas amplifies the sound source input from the switching unit and outputs the amplified sound to one or more PLC modules installed in the small areas of the large area unit; and
A PLC module including a speaker and installed in a small area receives the sound source through an audio line and outputs the sound source through the speaker, and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 small area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a data line according to PLC communication to generate the sound source. Including a terminal sound source output process of outputting or blocking through the speaker to a small area that is the terminal,
The terminal sound source output process,
a switching monitoring step in which the PLC module monitors whether a small area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through the data line of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LC module includes a sound source output step of outputting a sound source input from the amplification unit through the speaker by connecting a data line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unit to a speaker when a small region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The public address control process,
The controller of the control module monitors whether a public address event occurs through a public address event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determines a large area and a small area corresponding to the public address event that has occurred when a public address event occurs, and output device installation DB. a broadcast are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n amplification unit and a PLC module corresponding to the large area with reference to;
a sound source output control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outputs, through the sound source output control unit, a large are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n amplifying unit determined by the public address event information obtaining unit to the switching unit; and
and an output end control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small area control signal through a data line through PLC communication to the PLC module installed in the small area through an output end control unit.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LC 모듈이 센싱부를 통해 상기 소영역에서 긴급상황이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긴급상황 발생 시 PLC 모듈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긴급상황의 발생을 통지하는 센서정보를 PLC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긴급상황 감지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센서정보 수집부를 통해 상기 PLC 모듈 중 긴급상황이 발생한 PLC 모듈로부터 상기 센서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센서정보 수집 단계;
상기 제어부가 긴급상황 판단부를 통해 상기 출력 장치 설치 DB를 참조하여 상기 센서정보에 포함된 PLC 모듈 식별정보를 가지는 PLC 모듈이 설치된 대영역 및 소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대영역 및 소영역에서 상기 긴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는 긴급상황 판단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긴급상황 판단부를 통해 긴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긴급상황 전관방송 제어부를 통해 상기 긴급상황 발생을 전관방송이벤트 중 긴급상황 전관방송 이벤트로써 간주하고 음원 생성부를 통해 사이렌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소영역의 긴급상황과 관련된 대영역 및 소영역의 PLC 모듈의 스피커를 통해 긴급상황 통지 경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대영역에 대응하는 대영역 제어신호를 스위칭부로 출력하고, 상기 소영역에 대응하는 PLC 모듈로 소영역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긴급상황 전관방송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PLC module monitors whether an emergency occurs in the small area through a sensing unit, and when an emergency occurs, sensor information including PLC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through PLC communication. Including further emergency detection process,
a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receives and outputs the sensor information from a PLC module in which an emergency occurs among the PLC modules through a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e controller identifies a large area and a small area in which a PLC module having PLC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nsor information is installed by referring to the output device installation DB through an emergency decision unit, and the identified large area and small area An emergency determination step of recognizing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and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through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the emergency public address control unit regards the emergency as an emergency public address event among public address events and generates a siren audio signal through the sound generator. outputs a large are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arge area to the switching unit so that an emergency notification alarm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of the PLC module of the large area and small area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small area, and A public address broadcasting method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ep of controlling public address broadcast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of transmitting a small area control signal to a PLC modu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판단부는,
열 감지센서, 연기 감지센서 및 불꽃 감지센서, 일산화탄소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싱부를 통해 화재 발생에 따른 긴급상황이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관방송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emergency judgment department,
A method of public address broadcasting using two-way power lin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monitoring whether an emergency occurs due to a fire through a sens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heat detection sensor, a smoke detection sensor, a flame detection sensor, and a carbon monoxide detection sensor.
KR1020230032529A 2023-03-13 2023-03-13 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Active KR1025718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529A KR102571860B1 (en) 2023-03-13 2023-03-13 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529A KR102571860B1 (en) 2023-03-13 2023-03-13 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860B1 true KR102571860B1 (en) 2023-08-29

Family

ID=8780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529A Active KR102571860B1 (en) 2023-03-13 2023-03-13 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86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371B1 (en) * 2011-11-07 2012-06-07 주식회사 윈미디텍 Public address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disabled person and thereof speaker
KR20140130087A (en) 2014-10-13 2014-11-07 한국전기연구원 Public address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371B1 (en) * 2011-11-07 2012-06-07 주식회사 윈미디텍 Public address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disabled person and thereof speaker
KR20140130087A (en) 2014-10-13 2014-11-07 한국전기연구원 Public address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018B1 (en) Diversification Broadcasting System Using Digital Matrix Amplifier and Its Control Method
KR101293244B1 (en) Public address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KR102307739B1 (en) Public address system enable to control speaker system using smartphone
KR101700424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signals to a speaker
WO2009101404A2 (en) Signal and devices for wired networks
KR101007319B1 (en) Broadcasting device for fire zone notification
KR102088194B1 (en)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REMOTE SITE DISASTER NOTIFICATION THROUGH AUDIO STREAMING BASED ON IoT
KR102245197B1 (en) Audio mixer device for Public Address broadcasting which having broadcast switching function by emergency contact input
KR102571860B1 (en) 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760818B1 (en)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supporting wireless conversion capable of dealing with every failure condition
KR102389693B1 (en) Noise protection system usting a white silencer
JP2021009529A (en) Broadcasting facility
KR102251782B1 (en) Apparatus for smart processor with transmitting emergency broadcasting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974524B1 (en) Speaker device and system
KR101017681B1 (en) Digital network broadcasting system
KR100883906B1 (en) School broadcas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1866278B1 (en) Multi-channel audio system
KR102438314B1 (en) Fire detection system using speaker lines installed in buildings
KR101087290B1 (en) Integrated wireless control system using network
KR20130060781A (en) Multiplexing broadcasting system using full matrix between power amplifiers and speakers
KR101490079B1 (en) HD class Digital broadcasting control system for multi-media
KR102048280B1 (en) Short circuit protection for speaker lines using capacitors
KR101758265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signals by analyzing the envelope of audio signal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ressing the abnormal signals by using the same
JP3553802B2 (en) Fire alarm system for apartment houses
KR101816690B1 (en) Method for providing remote diagnosis to at least one broadcasting system and server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