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945B1 -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 - Google Patents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3945B1 KR102583945B1 KR1020210125307A KR20210125307A KR102583945B1 KR 102583945 B1 KR102583945 B1 KR 102583945B1 KR 1020210125307 A KR1020210125307 A KR 1020210125307A KR 20210125307 A KR20210125307 A KR 20210125307A KR 102583945 B1 KR102583945 B1 KR 1025839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driving
- service robot
- robot
- sla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4—Tracking a line or surface by means of senso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7/894—3D imaging with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ime-of-flight at a 2D array of receiver pixels, e.g. time-of-flight cameras or flash lid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25J9/1666—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3—Indoor data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6—Combinations of lidar systems with systems other than lidar, radar or sonar, e.g. with direction find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93—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7/931—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20—Control system inputs
- G05D1/24—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 G05D1/242—Means based on the reflection of waves generated by the vehicl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20—Control system inputs
- G05D1/24—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 G05D1/246—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using environment maps, e.g. simultaneous localisation and mapping [SLAM]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60—Intended control result
- G05D1/656—Interaction with payloads or external entities
- G05D1/667—Delivering or retrieving payload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101/00—Details of software or hardware architectures used for the control of position
- G05D2101/20—Details of software or hardware architectures used for the control of position using external object recognition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105/00—Specific applications of the controlled vehicles
- G05D2105/20—Specific applications of the controlled vehicles for transportation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105/00—Specific applications of the controlled vehicles
- G05D2105/80—Specific applications of the controlled vehicles for information gathering, e.g. for academic research
- G05D2105/87—Specific applications of the controlled vehicles for information gathering, e.g. for academic research for exploration, e.g. mapping of an area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107/00—Specific environments of the controlled vehicles
- G05D2107/40—Indoor domestic environment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107/00—Specific environments of the controlled vehicles
- G05D2107/60—Open buildings, e.g. offices, hospitals, shopping areas or universiti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109/00—Types of controlled vehicles
- G05D2109/10—Land vehicl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111/00—Details of signals used for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 G05D2111/10—Optical signals
- G05D2111/17—Coherent light, e.g. lase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또한, 다양한 목적으로, 다양한 장소 내부에서 자율 주행하는 서비스 로봇 수단이, 투명 물체를 인식, 정의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2)에 있어서,
정해진 실내 공간을 특정 경로 및 특정 신호에 따라 이동, 주행하여, 서비스하는 자율주행서비스로봇(1); 및 상기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의 지도 작성 시, 정해진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하는 투명 물체를 인식, 정의하고,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의 이동, 주행에 있어 인식, 정의된 투명 물체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투명 물체로 인한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의 이동, 주행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물체정의루프작성부(300);로 구성되되,
투명물체정의루프작성부(300)에 의해 작성되는 투명 물체의 인식, 정의는,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에 형성된 주변환경정보획득센싱수단(140)으로부터 획득되는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가공되어, 투명 물체에 대한 정보가 인식,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이 특정 실내 공간 정보에 대한 지도 작성 시, 투명 물체 정보를 인식, 정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불투명한 물체와, 투명한 물체의 정보 및 위치, 관계를 정립, 투명 물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주행 오류를 미연에 방지하여,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의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인 최적의 경로 정보의 생성은 물론, 장애물의 인식, 회피에 대한 능력이 극대화되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인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의 구성요소 중, 자율주행서비스로봇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의 구성요소 중, 자율주행서비스로봇에 대한 제 1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의 구성요소 중, 자율주행서비스로봇에 대한 제 2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의 구성요소 중, 로봇몸체시스템에 대한 개념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a)는, H/W 배열 및 S/W stack에 대한 개념도이고, (b)는, guidance, navigation, control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의 구성요소 중, 자율주행서비스로봇의 작동 순서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의 구성요소 중, 로봇제어수단에 대한 블록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의 구성요소 중, 로봇몸체시스템과 로봇기능탈착모듈의 결합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의 구성요소 중, 자율주행서비스로봇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서빙로봇도킹스테이션시스템(S)이 적용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의 구성요소 중, 투명물체정의루프작성부에 대한 블록도 및 순서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의 구성요소 중, 투명물체정의루프작성부의 전체적인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인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의 구성요소 중, 투명물체정의루프작성부의 투명물체인식SLAM작성정보준비모듈에 대한 순서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인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의 구성요소 중, 투명물체정의루프작성부의 투명물체인식SLAM작성확정모듈에 대한 순서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인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의 구성요소 중, 투명물체정의루프작성부의 투명물체인식SLAM작성완료모듈에 대한 순서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인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1: 자율주행서비스로봇
100: 로봇몸체시스템 110: 동력원수단
120: 추가기능모듈장착수단 121: 모듈장착인터페이스부
130: 로봇제어수단 131: 서빙모드활성화부
132: 모듈해독부 132a: 모듈장착확인요소
132b: 모듈로딩요소 132c: 추가기능활성화요소
132d: 추가기능모드동기화결정요소 133: 동력원제어부
134: 주행공간작성부 134a: SLAM실행모듈
134b: 작성지도보정모듈 134c: 작성지도2D변환모듈
134d: 최종주행공간지도작성모듈 135: 경로설정부
135a: 주행경로실행모듈 135b: 주행경로타당성검증모듈
135c: 지역전역복귀설정모듈 135d: 주행차이보정모듈
136: 로봇주행제어부 136a: 액추에이터노드제어모듈
136b: 오픈보드모듈 136c: 제어플랫폼포팅모듈
136d: 연동확인모듈 140: 주변환경정보획득센싱수단
200: 로봇기능탈착모듈 210: 모듈장착분리요소
220: 고유기능발현요소 221: 방범기능모듈객체
222: 광고기능모듈객체 223: 운반기능모듈객체
224: 청소기능모듈객체 225: 방역소독기능모듈객체
226: 공기청정기능모듈객체 230: 고유기능코딩요소
300: 투명물체정의루프작성부
310: 투명물체인식SLAM작성정보준비모듈 311: SLAM매개변수로딩요소
312: SLAM매개변수확인요소
313: SLAM매개변수정보시간동기화확인요소
314: 자율주행서비스로봇트랜프폼적용요소
315: 자율주행서비스로봇주행환경정보게시요소
316: 자율주행서비스로봇주행환경정보구독요소
320: 투명물체인식SLAM작성확정모듈 321: 주행거리정보산출요소
322: 루프결합노이즈제거SLAM최적화요소
323: 숄레스키분해법활용문제해결요소 324: SLAM투명물체인식확정요소
324a: 3차원공간SLAM투명물체인식확정필터
324b: 투명불투명물체포인트클라우드분별확정필터
325: 포인트클라우드복셀필터적용요소 326: SLAM최적화정보적용요소
327: 공간SLAM크기설정요소 328: 실내공간SLAM생성요소
329: SLAM비율크기정보생성요소
330: 투명물체인식SLAM작성완료모듈 331: SLAM작성추가정보확인요소
332: 자율주행서비스로봇SLAM작업종료요소
S1: 투명물체인식SLAM작성정보준비단계
S2: 투명물체인식SLAM작성확정단계
S3: 투명물체인식SLAM작성완료단계
S100: 독립식모듈도킹단계
S200: 독립식모듈도킹여부확인단계
S300: 독립식모듈기능모드로딩단계
S400: 서빙로봇복합적기능수행확인단계
S500: 서빙로봇복합적기능활성화단계
S600: 관리자호출단계
H: 서빙로봇하우징 P: 감성스피치제공출력수단
SD1: 제 1특정기준치 SD2: 제 2특정기준치
Claims (4)
- 정해진 실내 공간을 특정 경로 및 특정 신호에 따라 이동, 주행하여, 서비스하는 자율주행서비스로봇(1),
상기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의 지도 작성 시, 정해진 실내 공간 내에 위치하는 투명 물체를 인식, 정의하고,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의 이동, 주행에 있어 인식, 정의된 투명 물체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투명 물체로 인한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의 이동, 주행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물체정의루프작성부(300)로 구성되되,
투명물체정의루프작성부(300)에 의해 작성되는 투명 물체의 인식, 정의는,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에 형성된 주변환경정보획득센싱수단(140)으로부터 획득되는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가공되어, 투명 물체에 대한 정보가 인식, 정의되도록 하는,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2)에 있어서,
투명물체정의루프작성부(300)는,
주변환경정보획득센싱수단(140)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2D-Lidar와, RGB-D 센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의 조합으로,
지도 작성 시, 투명 물체를 인식, 정의할 수 있도록 하되,
지도 작성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투명물체인식SLAM작성정보준비모듈(310);
불투명 물체로부터 획득되는 포인트클라우드 정보를 바탕으로, 공간 분석, 맵핑하여, 불투명 물체와 투명 물체를 인식, 정의하는 투명물체인식SLAM작성확정모듈(320);
공간 분석, 맵핑을 위한 새로운 정보의 유무(有無)를 확인, 점검하는 투명물체인식SLAM작성완료모듈(330);로 구성되어,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에 의한 지도 작성 시, 투명 물체와, 불투명 물체가 구분, 정의되고, 이가 적용된 특정 실내 공간에 대한 완벽한 지도가 작성되도록 하고,
투명물체인식SLAM작성정보준비모듈(310)은,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으로부터 획득된 특정 실내 공간에 대한 정보 중, 지도 작성 시 필요한 변수(parameter)를 가져오는 SLAM매개변수로딩요소(311);
상기 SLAM매개변수로딩요소(311)로부터 로딩, 입력된 3차원 공간의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와, 라이다(lidar) 스캔 정보, 주행거리 정보의 타당성(정상적인 데이터)을 확인, 점검하는 SLAM매개변수확인요소(312);
상기 SLAM매개변수확인요소(312)에 의해 확인, 점검되는 정보들의 time sync가 이루어지는지 확인하는 SLAM매개변수정보시간동기화확인요소(313);
상기 SLAM매개변수정보시간동기화확인요소(313)로부터 time sync가 일치된 경우, 라이다(lidar) 스캔 정보, 3차원 공간의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에, 자율주행서비스로봇(1) 자신의 현재 위치, 방향 및 위치 이동을 적용하는 자율주행서비스로봇트랜스폼적용요소(314);
상기 자율주행서비스로봇트랜스폼적용요소(314)로부터 적용된 3차원 공간의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와, 라이다(lidar) 스캔 정보,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의 현재 위치가 적용된 주행거리 정보를 게시(publish)하는 자율주행서비스로봇주행환경정보게시요소(315);
상기 자율주행서비스로봇주행환경정보게시요소(315)에 게시(publish)되는 3차원 공간의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와, 라이다(lidar) 스캔 정보,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의 현재 위치가 적용된 주행거리 정보를 구독(subscribe)하는 자율주행서비스로봇주행환경정보구독요소(316);로 구성되어,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으로부터 획득되는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실내 공간에 대한 지도 작성을 준비하고,
투명물체인식SLAM작성확정모듈(320)은,
현재와 이전의 주행거리 정보의 상대 위치를 계산하는 주행거리정보산출요소(321);
투명물체인식SLAM작성정보준비모듈(310)로부터 준비된 정보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의 자기 위치와 방향 정보의 최적화 및 루프 결합(loop closure) 작업을 진행, 등록하는 루프결합노이즈제거SLAM최적화요소(322);
숄레스키 분해법(cholesky factorization)을 활용하여, 일차원의 선형적 문제점(linear problem)을 해결, 문제를 최소화하는 숄레스키분해법활용문제해결요소(323);
3차원 공간의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와, 라이다(lidar) 스캔 정보에 의해 생성되는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를 특정 조건으로 필터링하여, 지도가 작성되도록 하는 SLAM투명물체인식확정요소(324);
상기 SLAM투명물체인식확정요소(324)에 의해 확정된 3차원 공간 및 라이다(lidar)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에 복셀(voxel) 필터를 적용하는 포인트클라우드복셀필터적용요소(325);
3차원 공간 및 라이다(lidar)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가, 최적화된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의 현재 위치, 방향 및 위치 이동에 적용되도록 하는 SLAM최적화정보적용요소(326);
3차원 공간 및 라이다(lidar)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의 x, y, z 좌표에서 최소, 최대 값을 산출하여 지도 크기를 설정하는 공간SLAM크기설정요소(327);
3차원 공간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로 기록된 지도, 라이다(lidar)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로 기록된 지도, 3차원 공간 및 라이다(lidar)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가 융합된 특정 실내 공간의 지도를 생성하는 실내공간SLAM생성요소(328);
상기 실내공간SLAM생성요소(328)로부터 생성된 지도에 비율 및 크기 정보가 담긴 파일을 생성하는 SLAM비율크기정보생성요소(329);로 구성되어,
투명 물체 및 불투명 물체 정보가 적용된 특정 실내 공간에 대한 지도가 작성되도록 하고,
투명물체인식SLAM작성완료모듈(330)은,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의 주행과 관련하여, 추가로 획득되는 정보의 유무(有無)를 확인하는 SLAM작성추가정보확인요소(331);
상기 SLAM작성추가정보확인요소(331)에 의해 확인되는 자율주행서비스로봇(1)의 주행과 관련된 추가 정보가 없을 시에, SLAM 작업을 종료하는 자율주행서비스로봇SLAM작업종료요소(332);로 구성되어,
투명 물체 및 불투명 물체 정보가 적용된 특정 실내 공간에 대한 지도 작성이 완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25307A KR102583945B1 (ko) | 2021-09-17 | 2021-09-17 |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 |
| PCT/KR2022/012690 WO2023043079A1 (ko) | 2021-09-17 | 2022-08-25 |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 |
| US18/685,427 US20240353853A1 (en) | 2021-09-17 | 2022-08-25 | Transparent object recognition autonomous driving service robot mea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25307A KR102583945B1 (ko) | 2021-09-17 | 2021-09-17 |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41547A KR20230041547A (ko) | 2023-03-24 |
| KR102583945B1 true KR102583945B1 (ko) | 2023-10-05 |
Family
ID=8560314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125307A Active KR102583945B1 (ko) | 2021-09-17 | 2021-09-17 |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 |
Country Status (3)
| Country | Link |
|---|---|
| US (1) | US20240353853A1 (ko) |
| KR (1) | KR102583945B1 (ko) |
| WO (1) | WO202304307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50040788A (ko) * | 2023-09-15 | 2025-03-25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로봇의 공간 분석 시스템 및 방법 |
| KR102710722B1 (ko) * | 2024-06-14 | 2024-09-30 | 주식회사 쉐어플랫 |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안내서비스 자율주행 무인로봇 |
Family Cites Familie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06991B1 (ko) * | 2007-11-07 | 2009-07-10 | 전자부품연구원 | 로봇의 비시인성 장애물 탐지방법 |
| KR102461938B1 (ko) * | 2017-04-04 | 2022-10-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주행 지면의 장애물을 식별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
| CN107092264A (zh) * | 2017-06-21 | 2017-08-25 | 北京理工大学 | 面向银行厅堂环境的服务机器人自主导航与自动充电方法 |
| KR20200036678A (ko) * | 2018-09-20 | 2020-04-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청소 로봇 및 그의 태스크 수행 방법 |
| CN119927939A (zh) * | 2018-09-20 | 2025-05-06 | 三星电子株式会社 | 清洁机器人及其控制方法 |
| US11413764B2 (en) | 2019-06-07 | 2022-08-16 | Lg Electronics Inc. | Serving robot and method for receiving customer using the same |
| US11370123B2 (en) | 2019-06-17 | 2022-06-28 | Lg Electronics Inc. |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CN111207753A (zh) * | 2020-02-13 | 2020-05-29 | 苏州大学 | 一种多玻璃隔断环境下的同时定位与建图的方法 |
-
2021
- 2021-09-17 KR KR1020210125307A patent/KR102583945B1/ko active Active
-
2022
- 2022-08-25 US US18/685,427 patent/US20240353853A1/en active Pending
- 2022-08-25 WO PCT/KR2022/012690 patent/WO2023043079A1/ko not_active Ceased
Non-Patent Citations (1)
| Title |
|---|
| 박정수 외 1명, "레이저 거리 측정기 기반 투명 장애물 인식 방법",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24, No.2, pp.111~116(2014.04.)*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23043079A1 (ko) | 2023-03-23 |
| KR20230041547A (ko) | 2023-03-24 |
| US20240353853A1 (en) | 2024-10-2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311400B2 (en) | Intelligent service robo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 |
| JP7422434B2 (ja) | 多機能型自律走行サービングロボット | |
| US12283096B2 (en) | System for spot cleaning by a mobile robot | |
| US9796093B2 (en) | Customer service robo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 |
| WO2018106719A1 (en) | Intelligent service robo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 |
| US10378906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 drone navigation | |
| US9895802B1 (en) | Projection of interactive map data | |
| US10546169B2 (en) |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system | |
| JP4630146B2 (ja) | 位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位置管理プログラム | |
| KR102583945B1 (ko) | 투명 물체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 | |
| KR20140040094A (ko) | 이동형 원격현전 로봇과의 인터페이싱 | |
| Chen et al. | Non-contact service robot development in fast-food restaurants | |
| KR102821756B1 (ko) | 자동문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 | |
| KR102810336B1 (ko) | 자동문 인식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수단 | |
| Wei et al. | An approach to navigation for the humanoid robot nao in domestic environments | |
| KR20180109125A (ko) | 대형 매장 내에서 로봇 이동 시, 인명사고 없는 안전한 동선 확보 방법 | |
| KR102735911B1 (ko) | 장애물의 감지 위치에 따라 회피 경로를 생성하여 이동하는 이동 로봇, 그 방법 및 프로그램 | |
| Kümpel et al. | Semantic Digital Twins for Omni-Channel Localisation | |
| Cheong+ et al. | Development of a Robotics Waiter System for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