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99367B1 -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noise removal system - Google Patents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noise remova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367B1
KR102599367B1 KR1020210165640A KR20210165640A KR102599367B1 KR 102599367 B1 KR102599367 B1 KR 102599367B1 KR 1020210165640 A KR1020210165640 A KR 1020210165640A KR 20210165640 A KR20210165640 A KR 20210165640A KR 102599367 B1 KR102599367 B1 KR 102599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removal
noise
module
signal
tp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78151A (en
Inventor
엄연옥
류경묵
김창영
Original Assignee
엄연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연옥 filed Critical 엄연옥
Priority to KR1020210165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367B1/en
Publication of KR20230078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1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36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53Electrical filters; Controlling thereof
    • H03H7/0161Bandpas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 장치 및 시스템은 많은 전기전자 장치가 차량에 도입되면서 나타나는 신호오류 및 왜곡 등에 의한 부작용을 해결하고, 차량의 조립특성과 노후화의한 전기전자 장치의 배선에서 발생하거나 유입되는 각종 제어신호 노이즈들을 제거한다.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시스템은 자동차 및 선박의 운행 중 TPS(Throttle position sensor) 및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자제어 신호를 안정시켜 연료를 완전 연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시스템은 ECU(Engine Control Unit)와 TPS 사이 그리고 배터리에 위치하며 각종 전기배선에서 발생 또는 유입되는 전기적 노이즈를 제거하고 축전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노이즈 제거를 위해 MCU(Micro Controller Unit)를 이용한 알고리즘을 통해 디지털로 전기 노이즈를 제거한다.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olves side effects caused by signal errors and distortions that appear as many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are introduced into vehicles, and eliminates the problems caused by the assembly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and the wiring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due to aging. Removes various control signal noises generated or introduced. The noise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removes electrical noise generated from TPS (throttle position sensor) and batteries during operation of cars and ships and stabilizes electronic control signals to ensure complete combustion of fuel. In addition, the noise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located between the ECU (Engine Control Unit) and the TPS and in the battery, and removes and stores electrical noise generated or introduced from various electrical wiring. Additionally, in the embodiment, electrical noise is digitally removed through an algorithm using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to remove noise.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장치 및 시스템{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NOISE REMOVAL SYSTEM}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and system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NOISE REMOVAL SYSTEM}

본 개시는 노이즈 제거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자동차 및 선박의 운행 중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자제어 신호를 안정시켜 스토틀 밸브와 인젝터 기능을 최적화함으로써 연료절감 효과를 창출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is disclosure relates to a noise removal device and system, and specifically,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at eliminates electrical noise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automobiles and ships, stabilizes electronic control signals, and optimizes the functions of the throttle valve and injector, thereby creating a fuel saving effect. It relates to a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and noise removal system.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material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s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by inclusion in this section.

온실효과로 인한 기후변화 또는 지구온난화는 현재 가장 중요한 국제 환경문제이다. 기후변화의 영향(빙하 감소, 사막화, 해수면 상승 등)은 이미 국제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반도에도 기상 이변, 해수면 상승, 생태계 변화 등을 야기하고 있다.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온실가스 배출이다. 온실가스 배출은 인간의 생산 및 소비 활동(특히 에너지 사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Climate change or global warming caused by the greenhouse effect is currently the most important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roblem.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glacier decline, desertification, sea level rise, etc.) are not only clearly visible internationally, but are also causing extreme weather events, sea level rise, and ecosystem change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most important cause of climate change is greenhouse gas emissions.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closely linked to human production and consumption activities (especially energy use).

한국의 온실가스배출량은 교토의정서에서 온실가스 감축 기준 연도로 설정한 1990년 2억 9220만 톤(이산화탄소 환산 기준)에서 2018년 7억 2760만 톤으로 149% 증가하였다. 이 기간 동안 온실가스배출량 증가율은 연평균 3.3%를 기록하였다. 한국은 2017년 기준으로 세계 11위이자 OECD 회원국 중 5위의 온실가스 배출 국가이다. 다만, 최근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는 점은 의미 있는 변화이다. 온실가스배출원은 에너지, 산업공정, 농업, 폐기물 등으로 구분되는데, 전 세계적으로 주된 배출원은 에너지 부문이다. 에너지 부문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총 온실가스의 87%에 달한다. 한국의 경우에도 1990년에서 2018년 사이 에너지 부문 온실가스배출량이 163% 증가하였다.Korea's greenhouse gas emissions increased by 149% from 292.2 million tons (based on carbon dioxide conversion) in 1990, which was set as the base year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in the Kyoto Protocol, to 727.6 million tons in 2018. During this period, the growth rat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veraged 3.3% per year. As of 2017, Korea is the 11th largest greenhouse gas emitter in the world and the 5th largest greenhouse gas emitter among OECD member countries. However, the recent slowing of the growth rate is a meaningful change. Greenhouse gas emission sources are divided into energy, industrial processes, agriculture, and waste, and the main source of emissions worldwide is the energy sector. Greenhouse gases emitted from the energy sector account for 87% of total greenhouse gases. In Korea,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energy sector increased by 163% between 1990 and 2018.

GDP 대비 온실가스배출량은 1990년 10억 원당 643.4톤에서 2018년 10억 원당 401.6톤으로 약 38% 감소하였다. 이는 같은 기간 동안 온실가스배출량의 증가 속도보다 경제규모의 확장 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빨랐기 때문이다. 한국의 GDP 대비 온실가스배출량은 중국, 인도 등의 개발도상국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프랑스, 영국, 독일, 일본 등의 선진국들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1인당 온실가스배출량은 1990년 6.8톤에서 2017년 13.8톤으로 2배가량 증가하였다. 한국의 1인당 온실가스배출량은 석탄사용과 자원개발이 많은 호주나 미국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제조업이 발달한 일본, 독일보다는 높은 수준이다.Greenhouse gas emissions compared to GDP decreased by about 38% from 643.4 tons per billion won in 1990 to 401.6 tons per billion won in 2018. This is because the rate of expansion of economic scale was relatively faster than the rate of increase in greenhouse gas emissions during the same period. Korea's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ive to GDP are lower than those of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India, but are still higher than those of advanced countries such as France, the UK, Germany, and Japan. Per capita greenhouse gas emissions approximately doubled from 6.8 tons in 1990 to 13.8 tons in 2017. Korea's per capita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lower than those of Australia or the United States, which use a lot of coal and develop resources, but are higher than those of Japan and Germany, which have developed manufacturing industries.

온실가스 발생 중 운송수단이 차지하는 비중은 14%이다. 자동차의 성능을 최적화하여 차량에서 발생하는 매연과 미세먼지를 원천적으로 감소시키는 배기가스 선처리 기술은 가솔린, 디젤, LPG, CNG 등 모든 내연기관에 적용된다. 하지만, 종래에 배기가스 선처리 시스템은 아날로그 회로의 특성상 전기 노이즈를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 시스템은 다이오드, 저항 및 커패시터 등을 사용해서 전기 노이즈를 줄이고 전기 노이즈 발생 주기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뿐이다.Transportation accounts for 14% of greenhouse gas emissions. Exhaust gas pre-treatment technology, which optimizes vehicle performance and fundamentally reduces smoke and fine dust generated from vehicles, is applied to all internal combustion engines such as gasoline, diesel, LPG, and CNG. However, conventional exhaust gas pretreatment system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completely remove electrical noise due to the nature of analog circuits.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system only serves to reduce electrical noise and increase the period of electrical noise generation by using diodes, resistors, and capacitors.

1.등록특허공보 제10-2126739호 (2020.06.19)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126739 (2020.06.19) 2.등록특허공보 제10-1063212호 (2011.09.01)2.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063212 (2011.09.01)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은 많은 전기전자 장치가 차량에 도입되면서 나타나는 신호오류 및 왜곡 등에 의한 부작용을 해결하고, 차량의 조립특성과 노후화에 의한 전기전자 장치의 배선에서 발생하거나 유입되는 각종 제어신호 노이즈들을 제거한다. 특히, 자동차 및 선박의 운행 중 TPS(Throttle Position Sensor) 및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자제어 신호를 안정시켜 연료를 완전 연소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and noise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olve the side effects caused by signal errors and distortions that appear as many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are introduced into vehicles, and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noise removal system due to assembly characteristics and aging of the vehicle. Removes various control signal noises generated or introduced from wiring. In particular, it eliminates electrical noise generated from TPS (Throttle Position Sensor) and batteries during the operation of cars and ships and stabilizes electronic control signals to ensure complete combustion of fuel.

또한,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은 ECU(Engine Control Unit)와 TPS 사이 및 배터리와 연결되어 위치하며 각종 전기배선에서 발생 또는 유입되는 전기적 노이즈를 제거하고 배터리를 축전한다. In additio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and noise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re located between the ECU (Engine Control Unit) and the TPS and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remove electrical noise generated or introduced from various electrical wiring and remove the battery. Congratulations.

또한, 실시예에서는 노이즈 제거를 위해 MCU(Micro Controller Unit)를 이용한 알고리즘을 통해 디지털로 전기 노이즈를 제거한다. Additionally, in the embodiment, electrical noise is digitally removed through an algorithm using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to remove noise.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장치는 ECU의 신호가 인가되는 TPS 파트; 및 배터리 신호가 인가되는 파트; 를 포함하고, TPS 파트는 입력 신호 중 정상신호 범위를 벗어난 주파수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고주파 및 저주파 노이즈 제거 모듈; 역전류를 방지하는 역전류 방지 모듈; 및 ECU와 TPS사이에서 발생되는 디지털 노이즈 및 배터리와 발전기 사이에서 발생되는 디지털 노이즈를 제거하는 디지털 노이즈 제거 모듈(MCU); 을 포함하고, 배터리 신호가 인가되는 파트; 는 입력 신호 중 정상신호 범위를 벗어난 주파수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고주파 및 저주파 노이즈 제거 모듈; 아날로그 노이즈를 제거하는 아날로그 노이즈 제거 모듈; 디지털 아날로그 신호를 전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전환 모듈; 및 디지털 노이즈 제거 모듈을 보호하는 보호 모듈; 을 포함한다. A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TPS part to which a signal from the ECU is applied; and a part to which a battery signal is applied; The TPS part includes a high-frequency and low-frequency noise removal module that removes noise of frequencies outside the normal signal range among input signals; Reverse current prevention module to prevent reverse current; and a digital noise removal module (MCU) that removes digital noise generated between the ECU and TPS and between the battery and generator; Includes a part to which a battery signal is applied; is a high-frequency and low-frequency noise removal module that removes noise of frequencies outside the normal signal range among input signals; Analog noise removal module to remove analog noise; A digital-to-analog conversion module that converts digital-to-analog signals; and a protection module that protects the digital noise cancellation module; Includes.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 시스템은 ECU(Engine Control Unit), TPS(Throttle Position Sensor) 및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모듈; 배터리에서 발생한 과전류를 감지하고, 감지한 과전류를 제한하는 과전류 제한 모듈; 노이즈 제거 모듈로부터 전압이 입력되면, 입력된 전압을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시켜 출력하는 정전압 모듈; 노이즈 제거모듈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하는 아날로그 신호 전환 모듈; 을 포함한다.A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noise removal module that removes electrical noise generated from an ECU (Engine Control Unit), TPS (Throttle Position Sensor), and a battery; An overcurrent limiting module that detects overcurrent generated from the battery and limits the detected overcurrent; When a voltage is input from the noise removal module, a constant voltage module maintains the input voltage at a constant voltage and outputs it; An analog signal conversion module that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put from the noise removal module into an analog signal; Includes.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노이즈 제거 시스템은 차량전체의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와 보유전기를 관장하는 배터리, 그리고 기계 및 전기전자 장치를 제어 조정하는 ECU를 통한 전기배선의 차량 전자장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를 통해, 차량 및 배터리 본연의 성능을 향상 및 회복시킨다. 또한, 엔진출력을 증가시키고, 차량의 성능과 가장 밀접한 부위인 스로틀 바디를 통제하는 TPS의 안정화를 통해 연비향상, 출력향상은 물론 매연과 미세먼지 발생을 저감한다.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and noise remov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 a generator that produces electricity for the entire vehicle, a battery that manages stored electricity, and a vehicle with electrical wiring through an ECU that controls and adjusts mechanical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By removing electronic device control signal noise, the original performance of the vehicle and battery is improved and restored. In addition, it increases engine output and stabilizes the TPS, which controls the throttle body, which is the part most closely related to vehicle performance, thereby improving fuel efficiency and power, as well as reducing smoke and fine dust generation.

또한, 스로틀 밸브와 인젝터 기능을 최적화하여, 연료절감 효과를 창출하고 매연 및 미세먼지 발생을 감소시킨다. In addition, the throttle valve and injector functions are optimized to create fuel savings and reduce smoke and fine dust generation.

또한, 배터리 성능향상과 함께 차량의 전반적인 전기 전자적 제어 전압을 안정화하고, TPS와 ECU 사이의 안정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it improves battery performance and stabilizes the overall electrical and electronic control voltage of the vehicle, enabling stable signals to be exchanged between the TPS and ECU.

또한, 실시예는 차량의 심장 역할을 하는 배터리의 안정된 충전 기능과 전원공급을 담당하는 배선과 차체에서 발생 또는 유입되는 전기 노이즈를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식으로 제거하여 차량에 유입되는 전압을 안정시켜 차량 성능유지에 기여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stabilizes the voltage flowing into the vehicle by eliminating electrical noise generated or introduced from the wiring and vehicle body in charge of the stable charging function and power supply of the battery, which serves as the heart of the vehicle, in analog and digital ways, thereby stabilizing the vehicle performance. Contributes to maintenanc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 장치의 설치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시스템이 구성되는 차량 시스템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모듈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모듈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한 노이즈 제거 전후 파형을 나타낸 도면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vice for removing control signal nois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a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portion of a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system block comprising a noise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data processing configuration of a noise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data processing block of a noise remova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data processing flow of the noise remova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waveforms before and after noise removal by a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and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provid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control signal nois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장치는 차량전체의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alternator)와 보유전기를 관장하는 배터리, 그리고 기계 및 전기전자 장치를 제어 및 조정하는 ECU를 통한 전기배선의 차량 전자장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를 통해, 차량 및 배터리 본연의 성능향상 및 회복을 도모하고, 엔진출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차량의 성능과 가장 밀접한 부위인 스로틀 바디를 통제하는 TPS의 안정화를 통해 연비향상, 출력향상은 물론 매연과 미세먼지 발생을 저감하는 장치이다.The nois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generator (alternator) that produces electricity for the entire vehicle, a battery that manages the stored electricity, and noise from vehicle electronic device control signals in electrical wiring through an ECU that controls and adjusts mechanical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Through removal, the original performance of the vehicle and battery is improved and recovered, and engine output is improved. In addition, it is a device that improves fuel efficiency and output as well as reduces the generation of exhaust smoke and fine dust by stabilizing the TPS, which controls the throttle body, which is the part most closely related to the vehicle's performance.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장치는 ECU의 신호가 인가되는 TPS 파트(a) 및 배터리 신호가 인가되는 파트(b)를 포함하고, TPS 파트는 고주파 및 저주파 노이즈 제거모듈(70), 역전류 방지모듈(80), 디지털 아날로그 전환모듈(90), 디지털 노이즈 제거모듈(30)을 포함하고, 배터리 신호가 인가되는 파트(b)는 저주파 노이즈 제거모듈(60), 아날로그 노이즈 제거모듈(110) 및 보호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nois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TPS part (a) to which a signal from the ECU is applied and a part (b) to which a battery signal is applied, and the TPS part includes a high-frequency and low-frequency noise removal module (70). ), a reverse current prevention module (80), a digital-to-analog conversion module (90), and a digital noise removal module (30), and the part (b) to which the battery signal is applied is a low-frequency noise removal module (60) and an analog noise removal modul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dule 110 and a protection module 130.

TPS(10)과 배터리(40)은 ECU(20)의 신호가 인가받고, 저주파 노이즈 제거 모듈(60)은 입력 신호 중 저주파 노이즈를 제거한다. 고주파 노이즈 제거모듈(70)은 입력 신호 중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한다. The TPS 10 and the battery 40 receive signals from the ECU 20, and the low-frequency noise removal module 60 removes low-frequency noise from the input signal. The high-frequency noise removal module 70 removes high-frequency noise from the input signal.

역전류 방지모듈(80)은 역전류 발생을 방지하고, 디지털 노이즈 제거 모듈(MCU)은 ECU(20)와 TPS(10)사이에서 발생되는 디지털 노이즈 및 배터리(40)와 발전기사이에서 발생되는 디지털 노이즈를 제거한다. 아날로그 노이즈 제거 모듈(110)은 아날로그 노이즈를 제거하고, 디지털 아날로그 전환 모듈(90)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전환한다. 보호모듈(130)은 디지털 노이즈 제거 모듈(MCU)을 보호하는 보호한다.The reverse current prevention module (80) prevents reverse current, and the digital noise removal module (MCU) prevents digital noise generated between the ECU (20) and TPS (10) and digital noise generated between the battery (40) and the generator. Remove noise. The analog noise removal module 110 removes analog noise, and the digital-to-analog conversion module 90 converts the analog signal to digital. The protection module 130 protects the digital noise removal module (MCU).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장치의 설치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a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portion of the nois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장치는 차량 전기전자신호 중 가장 중요한 ECU의 신호가 인가되는 TPS 파트(a)와 배터리 파트(b)를 포함하는 복합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장치이다. 고주파 및 저주파 노이즈 제거모듈(70)은 TPS 파트의 경우, 병렬 연결된 C1 및 C2로 구성되고, 배터리 파트의 경우, 병렬 연결된 C7 및 C8 로 구성되어 배터리로부터 입력되는 노이즈를 제거한다.Referring to FIG. 2, the nois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complex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including a TPS part (a) and a battery part (b) to which the most important ECU signal among vehicle electrical and electronic signals is applied. The high-frequency and low-frequency noise removal module 70 consists of C1 and C2 connected in parallel for the TPS part, and C7 and C8 connected in parallel for the battery part to remove noise input from the battery.

역전류 방지 모듈(80) 은 C3, D2, D3로 형성된 폐회로, C3와 병렬 연결된 R2, C3와 직렬 연결된 R1과 D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아날로그 노이즈 제거 모듈(110) 은 TPS 파트의 경우, 직렬 연결된 R3, R4로 구성되고, 배터리 파트의 경우 직렬 연결된 R10, R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아날로그 전환모듈(90) 은 TPS 파트는 TR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배터리 파트는 TR2로 구성될 수 있다. 보호 모듈(130)은 TPS 파트의 경우 R6으로 구성되고 배터리 파트의 경우 R12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everse current prevention module 80 is composed of a closed circuit formed by C3, D2, and D3, R2 connected in parallel with C3, and R1 and D1 connected in series with C3, and the analog noise removal module 110 is a serial circuit in the case of the TPS part. It consists of connected R3 and R4, and in the case of the battery part, it may consist of R10 and R11 connected in series. The digital-to-analog conversion module 90 may include a TPS part including TR1 and a battery part including TR2. The protection module 130 may be composed of R6 for the TPS part and R12 for the battery part.

TPS 파트의 고주파 및 저주파 노이즈 제거모듈(70)(C1, C2)은 ECU에서 인가되는 파워라인, 제어신호라인에 TPS(10)의 파워라인(100), 제어신호라인(200)에 연결되는 모듈이며 병렬로 추가 가능하다. 배터리 파트의 고주파 및 저주파 노이즈 제거 모듈은 C7, C8 소자로 구성되고 용량변경 및 추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gh-frequency and low-frequency noise removal module 70 (C1, C2) of the TPS part is a modul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100 and control signal line 200 of the TPS 10 to the power line and control signal line applied from the ECU. and can be added in parallel. The high-frequency and low-frequency noise removal module of the battery part consists of C7 and C8 elements and may include capacity changes and additional elements.

역전류방지 모듈(R1, R2, C3, D1, D2, D3)은 TPS(10)의 파워라인(100), 제어신호라인(200) 및 그라운드 라인에 연결되어 동작하며 신호 값에 따라 용량변경 및 추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verse current prevention module (R1, R2, C3, D1, D2, D3) operates by being connected to the power line 100, control signal line 200, and ground line of the TPS 10 and changes capacity and changes depending on the signal value. Additional elements may be included.

아날로그 노이즈 제거 모듈(110) 은 R3, R4, R10, R11으로 구성되고 디지털 노이즈 제거 모듈은 MCU(30)으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는 ECU(20)와 TPS(10)사이에서 발생되는 디지털 노이즈는 물론 배터리(40)와 발전기(도면 미 도시)사이에서 발생되는 디지털 노이즈도 MCU(30)을 통해 제어되므로 차량의 동력 전체에 대한 정전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 analog noise removal module 110 consists of R3, R4, R10, and R11, and the digital noise removal module consists of the MCU 30. In the embodiment, the digital noise generated between the ECU 20 and the TPS 10 as well as the digital noise generated between the battery 40 and the generator (not shown) are controlled through the MCU 30, so that the entire power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The constant voltag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MCU(30) 및 보호 모듈(R6, R12)은 ECU(20)와 배터리(40)의 디지털 노이즈 제거 포함하고, 보호 모듈의 소자는 추가할 수 있다.The MCU 30 and protection modules (R6, R12) include digital noise removal of the ECU 20 and the battery 40, and elements of the protection module can be added.

MCU(30)의 내부 알고리즘은, PC처럼 별도의 연산처리 프로그램이 아닌, 동작의 반복적인 제어방식에 용이하므로 노이즈 설정값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입력 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제외되는 값을 노이즈로 설정하여 제거한다. MCU(30)에는 노이즈 설정값 및 저장방식, 데이터 추출 구조가 저장된다. The internal algorithm of the MCU (30) is not a separate calculation processing program like a PC, but is convenient for repetitive operation control methods, so the noise setting value is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input value is compared with the value stored in the database to exclude the value. Set to noise to remove it. The MCU 30 stores noise settings, storage method, and data extraction structure.

이하, 실시예에 따른 MCU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ata processing process of the MCU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실시예에 따른 MCU는 데이터 값을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사전 추출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 값을 입력 값과 비교하여 노이즈 판단을 수행한다. 이후, 노이즈 판단 결과에 따라 데이터 값을 취사 선택하여 엑추에이터로 전달한다. 실시예에서는 4,096 x 10 x 2 BYTE (5V값 기준)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고, DB(4096,10)인 2차원 배열에 저장된다. 실시예에서 MCU 데이터 베이스 견본값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MCU according to the embodiment pre-extracts and stores data values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and compares the stored data values with the input values to determine noise. Afterwards, data valu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noise determination result and transmitted to the actuator. In the embodiment, a database of 4,096 In the embodiment, the MCU database sample value can be expressed as follows.

DB(4096,10)={{..}, //0~559는 사용 구간이 아님DB(4096,10)={{..}, //0~559 is not a usage range

// 0 1 2 3 4 5 6 7 8 9 // 0 1 2 3 4 5 6 7 8 9

{1130, 1132, 1134, 1136, 1138, 1140, 1142, 1144, 1146, 1148}, //560,..{1130, 1132, 1134, 1136, 1138, 1140, 1142, 1144, 1146, 1148}, //560,..

{1131, 1133, 1135, 1137, 1139, 1141, 1143, 1145, 1147, 1149}, //561,.{1131, 1133, 1135, 1137, 1139, 1141, 1143, 1145, 1147, 1149}, //561,.

{..},..}//이하 생략{..},..}//Omitted below

{4095, 4095, 4095, 4095, 4095, 4095, 4095, 4095, 4095, 4095}://4095.{4095, 4095, 4095, 4095, 4095, 4095, 4095, 4095, 4095, 4095}://4095.

또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값 산정 기준은 TR1 콜렉터의 전압을 노이즈 발생 전 값까지 감소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embodiment, the data value calculation standard may be set to a value that can reduce the voltage of the TR1 collector to the value before noise generation.

실시예에서 MCU는 ECU 신호값으로 0 내지 5V 전압이 인가되면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Analog Digital Converter,12bit)에서는 0 내지 4095의 값으로 변환하여 입력한다. 실시예에서는 R6와 MCU의 전압을 주기적으로(회당 10μs기준) 확인하여 변화량이 기준을 벗어날 경우, 노이즈로 판단한다. 예컨대, 종전인가 된 값과 현재인가 된 값의 차이가 5mV이상 발생하는 경우 노이즈로 판단한다.In the embodiment, when a voltage of 0 to 5V is applied as an ECU signal value, the MCU converts it to a value of 0 to 4095 in an analog digital converter (Analog Digital Converter, 12bit) and inputs it. In the embodiment, the voltage of R6 and the MCU is checked periodically (at 10 μs per time), and if the amount of change deviates from the standard, it is judged as noise. For exampl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ly applied value and the currently applied value occurs by more than 5 mV, it is judged as noise.

실시예에서는 노이즈 발생시 TR1을 구동하여 시그널 전압을 종전인가 된 값과 같게 조절한다. TR1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값 기준은 종전인가 된 값보다 고정값과 가변값을 더한 값 (+ 0.7V + α) 만큼 큰 값으로 설정한다. 실시예에서 가변값(α)은 변화량이 클 때 더 큰 값으로 하여, TR1의 컬렉터에서 이미터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증폭하고 강제로 시그널의 전압값을 종전값의 수준까지 감소하게 한다.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주소는 TPS(종전인가 된 값, 변화량 -5)로 한다.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값은, TR1의 베이스에 인가하고자 하는 전압 값에 저항 비율인 (R8+R9)/R8을 곱한 값이다. In the embodiment, when noise occurs, TR1 is driven to adjust the signal voltage to be the same as the previously applied value. The reference voltage value applied to the base of TR1 is set to a value larger than the previously applied value by the sum of the fixed value and the variable value (+ 0.7V + α). In the embodiment, the variable value (α) is set to a larger value when the amount of change is large, amplifying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from the collector of TR1 to the emitter and forcing the voltage value of the signal to decrease to the previous value. In the embodiment, the address of the database is TPS (previously approved value, change amount -5). The value stored in the database is the voltage value to be applied to the base of TR1 multiplied by the resistance ratio (R8+R9)/R8.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 시스템이 구성되는 차량 시스템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system block comprising a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시스템(200)은 ECU(10)와 TPS(20) 사이에 배터리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고, 노이즈 제거 시스템(200)을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은 ECU(10), TPS(20), 스로틀 밸브(30), 인젝터(40), 엔진 연소실(50),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60), 배터리(70), 발전기(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noise removal system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 battery between the ECU 10 and the TPS 20, and the vehicle system including the noise removal system 200 is connected to the ECU. (10), TPS (20), throttle valve (30), injector (40), engine combustion chamber (50), fine dust reduction system (60), battery (70), and generator (80). .

ECU(10)는 엔진 제어 유닛(Engine Control Unit)으로 자동차 전자제어기로서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를 포함한다. ECU(10)은 모터와 유압장치, 점화장치, 표시장치 등 차량 제어 장치를 작동시키고, ECU(10)는 입력장치와 저장장치, 정보처리장치와 출력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주행 중에 쌓이는 데이터 등은 주로 휘발성 메모리(RAM)에 저장하고 데이터 처리를 위한 운영체제 등은 비휘발성 메모리(ROM)에 저장한다. 알고리즘에 따른 연산처리를 위해 고성능 정보처리장치가 적용되고 오작동 등의 상황을 가정해 백업 장치가 추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ECU(10)는 전자신호를 받아 현재 자동차의 특이점을 파악하여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엔진과 변속기 등의 모든 기기 제어를 한다. 또한, 가속페달의 눌림의 정도에 따라, 공기의 흐름, 온도 센서 등을 복합적으로 계산하여 계산 결과에 따라 혼합비를 조율하여 최적의 속도와 연비를 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동차의 배기가스는 점화시점이 맞지 않아 불규칙 연소로 인해 많은 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혼합비와 RPM 등을 통해 엔진을 더욱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ECU(10)는 노이즈 제거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흡기와 배기밸브의 제어 시점을 산출한다. 흡기와 배기밸브 제어 시점은 주행 상황에 따라 상이하므로, 엔진회전 상황에 맞게 흡기와 배기 밸브 제어를 수행하여 공기 흡입량을 정확하게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료 분사량 조절, 밸브 타이밍 조절, 혼합비 등을 컨트롤 한다. The ECU 10 is an engine control unit and is an automobile electronic controller that includes a computer's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he ECU 10 operates vehicle control devices such as motors, hydraulic devices, ignition devices, and display devices, and the ECU 10 may be composed of an input device, a storage device,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an output device. In an embodiment, data accumulated during driving is mainly stored in volatile memory (RAM), and the operating system for data processing is stored in non-volatile memory (ROM). A high-performan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s applied for calcul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algorithm, and a backup device can be added to assume situations such as malfunction. The ECU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receives electronic signals and performs a role of identifying the current vehicle's unique features to check if there is a problem, and through this, controls all devices such as the engine and transmission.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pressing of the accelerator pedal, air flow, temperature sensor, etc. are complexly calculated to adjust the mixture ratio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s to achieve optimal speed and fuel efficiency. In addition, a large amount of exhaust gas from a car can be generated due to irregular combustion due to incorrect ignition timing, so the engine can be used more stably by adjusting the mixture ratio and RPM. Additionally, in the embodiment, the ECU 10 calculates the control timing of the intake and exhaust valves based on the signal input from the noise removal system. Since the intake and exhaust valve control timing varies depending on the driving situation, the intake and exhaust valve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engine rotation situation to accurately control the air intake amount. In addition, it controls fuel injection amount, valve timing, and mixture ratio.

TPS(20)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Throttle position sensor)로 스스로 밸브의 위치, 즉 개방 각도를 측정하여 개방 각도에 따라서 연료량을 조절한다. TPS(20)는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연료량에 직접 개입하여 신호를 제공하고, TPS 신호는 지속적으로 측정되며 대기온도, 엔진의 RPM과 공기 질량 흐름과 같은 다른 데이터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결합되어 연료 양 및 엔진 점화 타이밍 결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데이터는 엔진에 분사되는 연료의 양과 점화 타이밍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TPS와 연계되어 있는 다른 센서들과 정상 작동을 하면, 최상의 연비를 유지하면서 원활한 주행과 효율적인 가속을 가능하게 한다. 만일 TPS 가 정상 작동하지 않으면, 엔진제어에 필요한 정확한 연료의 양과 점화 타이밍을 측정하지 못해 부드러운 주행 및 적절한 가속도 발생을 수행할 수 없다. The TPS (20) uses a throttle position sensor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valve, that is, the opening angle, and adjusts the fuel amount according to the opening angle. The TPS 20 directly intervenes and provides a signal about the amount of fuel required by the engine. The TPS signal is continuously measured and continuously combined with other data such as ambient temperature, engine RPM and air mass flow to determine the amount of fuel required. and generate engine ignition timing decision data. The generated data is us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fuel injected into the engine and the ignition timing. When operating normally with other sensors linked to the TPS, smooth driving and efficient acceleration are possible while maintaining the best fuel efficiency. If the TPS does not operate properly, it cannot measure the exact amount of fuel and ignition timing required for engine control, making it impossible to drive smoothly and generate appropriate acceleration.

스로틀 밸브(30)는 엔진이 가속페달 조작을 전달하는 장치로서, 스로틀 밸브(30)가 열리고 닫히면서 흡기 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가속페달을 밟으면 열리고 밟지 않으면 닫히는 방식이다. 실시예에서는 스로틀 밸브가 열려 흡입하는 공기가 많아지면 ECU가 이를 파악하고 흡기량에 맞춰 엔진에 연료를 분사시킨다. 반대로 스로틀 밸브가 닫히면 흡입 공기량이 감소하고 그만큼 연료도 조금만 분사한다. The throttle valve 30 is a device through which the engine transmits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and controls the amount of air taken in as the throttle valve 30 opens and closes. It opens when you step on the accelerator pedal and closes when you don't. In the embodiment, when the throttle valve opens and the intake of air increases, the ECU detects this and injects fuel into the engine according to the intake amount. Conversely, when the throttle valve is closed, the amount of intake air decreases and less fuel is injected.

인젝터(40)는 연료 분사 노즐로서, 연료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연료가 공기와 잘 섞이도록 하는 차량 부품으로서, 액체 연료를 분무화 하여 엔진 실린더의 가장 가까이에서 연료를 최종 공급한다.The injector 40 is a fuel injection nozzle, which is a vehicle part that not only supplies fuel but also allows the fuel to mix well with air. It atomizes liquid fuel and finally supplies the fuel closest to the engine cylinder.

엔진 연소실(50)은 가솔린기관이나 디젤기관 등 내연기관에서 연료와 공기가 섞인 혼합기가 연소하는 공간이다. 연소실은 실린더 헤드와 피스톤 헤드 사이의 공간으로 이러한 연소실의 모양은 흡기와 배기의 흐름, 연소 속도 등에 영향을 끼쳐 엔진 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한다.The engine combustion chamber 50 is a space where a mixture of fuel and air combusts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ch as a gasoline engine or diesel engine. The combustion chamber is the space between the cylinder head and the piston head, and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affects the intake and exhaust flows, combustion speed, etc., acting as an important part in determining engine efficiency.

배터리(60)는 전기를 모아둘 수 있는 장치로 엔진 시동 시 셀 모터에 전기를 공급한다. 또한, 램프, 네비게이션, 에어컨 등 차량에 구비된 전자 기기에 전기를 공급한다. 발전기(70)는 배터리(60)에 전기를 공급한다. The battery 60 is a device that can store electricity and supplies electricity to the cell motor when the engine starts. In addition, electricity is supplied to electronic devices installed in the vehicle, such as lamps, navigation, and air conditioners. The generator 70 supplies electricity to the battery 60.

노이즈 제거 시스템(200)은 자동차 및 선박의 운행 중 TPS(Throttle position sensor) 및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자제어 신호를 안정시켜 연료를 완전 연소할 수 있도록 한다.The noise removal system 200 removes electrical noise generated from TPS (Throttle Position Sensor) and batteries during operation of automobiles and ships and stabilizes electronic control signals to ensure complete combustion of fuel.

또한,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시스템(200)은 ECU(Engine Control Unit)와 TPS 사이 그리고 배터리에 연결되어 위치하며 각종 전기배선에서 발생 또는 유입되는 전기적 노이즈를 제거하고 배터리를 축전한다. 실시예에서는 노이즈 제거를 위해 MCU(Micro Controller Unit)를 이용한 알고리즘을 통해 디지털로 전기 노이즈를 제거한다.In addition, the noise removal system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located between the ECU (Engine Control Unit) and the TPS and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removes electrical noise generated or introduced from various electrical wiring and stores battery power. In the embodiment, electrical noise is digitally removed through an algorithm using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to remove noise.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data processing configuration of a noise remov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시스템(200)은 노이즈 제거 모듈(210), 아날로그 신호 전환 모듈(220), 과전류 제한 모듈(230) 및 정전압 모듈(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noise removal system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noise removal module 210, an analog signal conversion module 220, an overcurrent limiting module 230, and a constant voltage module 240. there is. The term 'module'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depending on the context in which the term is used. For example, software may be machine language, firmware, embedded code, and application software. As another example, hardware may be a circuit, processor, computer, integrated circuit, integrated circuit core, sensor,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passive device, or a combination thereof.

노이즈 제거 모듈(210)은 ECU(Engine Control Unit), TPS 및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실시예에서 노이즈 제거 모듈(210)은 발생한 노이즈가 다른 기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발생하는 노이즈를 억제하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방법과 에미션(Emission) 방법으로 노이즈를 제거한다. 에미션 방법은 다른 기기에서 발생된 노이즈로부터 영향을 받은 경우, 그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EMS(Electro Magnetic Susceptibility) 대책 또는 이뮤니티(Immunity) 대책이다. 실시예에서는 노이즈 제거 모듈에 필터, 엠프(AMP) 및 컴퍼레이터를 구성하여 EMI와 EMS 대책을 동시에 실현하도록 한다. 컴퍼레이터와 오퍼레이션 엠프(OP Amp)는 자동차 등에서 아날로그 전자 회로를 설계할 때, 반드시 사용되는 중요 전자 부품이다. OP Amp는 신호를 증폭해 MCU가 처리할 수 있는 전압 레벨로 변환한다. 컴퍼레이터는 신호의 임계치를 판정해 디지털 신호(High/Low)를 출력한다. 자동차의 기간 시스템인 ECU에서의 채용 예로서는 위치 정보, 온도, 기압, 유량 등의 다양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해 다수의 센서 후단에 배치돼, 컴퍼레이터의 경우 센서 신호의 임계치를 판정한다. MCU는 그 정보를 바탕으로 전체를 제어하고, 최적의 구동을 촉진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모터 제어 유닛 등에서 사용되는 OP Amp, 저항과 조합한 전류 검출 회로를 통해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전류 검출 저항을 통해 변환된 전압치를 OP Amp에서 증폭하고, 컴퍼레이터에서 임계치를 판정함으로써 모터를 제어하는 회로다. 실시예에서는 컴퍼레이터의 노이즈 내량이 높으면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센서 신호를 정확하게 판정해 MCU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동작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자부품의 고집적화가 진행되는 ECU와 인버터는 노이즈 내량이 높은 전자부품을 구성한다. The noise removal module 210 removes electrical noise generated from the ECU (Engine Control Unit), TPS, and battery. In an embodiment, the noise removal module 210 removes noise using an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I) method and an emission method that suppresses generated noise so that the generated noise does not affect other devices. The emission method is an EMS (Electro Magnetic Susceptibility) measure or immunity measure that minimizes the impact when affected by noise generated from other devices. In the embodiment, a filter, amplifier, and comparator are configured in the noise removal module to simultaneously realize EMI and EMS countermeasures. Comparators and operating amplifiers (OP Amp) are important electronic components that are always used when designing analog electronic circuits in automobiles, etc. The OP Amp amplifies the signal and converts it to a voltage level that the MCU can process. The comparator determines the threshold value of the signal and outputs a digital signal (High/Low). As an example of application in the ECU, which is the basic system of an automobile, it is placed at the rear of a number of sensors to detect various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temperature, atmospheric pressure, and flow rate, and in the case of a comparator, the threshold value of the sensor signal is determined. The MCU controls the entire system based on that information and promotes optimal operation. Additionally, in the embodiment, noise can be removed through a current detection circuit combined with an op amp and resistor used in a motor control unit, etc. This is a circuit that controls the motor by amplifying the voltage value converted through the current detection resistor in the OP Amp and determining the threshold value in the comparator. In the embodiment, if the noise tolerance of the comparator is high, the sensor signal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and output to the MCU by removing noise, so the system can operate normally. Therefore, ECUs and inverters, where high integr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is progressing, constitute electronic components with high noise tolerance.

과전류 제한 모듈(220)은 배터리에서 발생한 과전류를 감지하고, 감지한 과전류를 제한한다.The overcurrent limiting module 220 detects overcurrent generated in the battery and limits the detected overcurrent.

정전압 모듈(230)은 노이즈 제거 모듈(210)로부터 전압이 입력되면, 입력된 전압을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시켜 출력한다. 아날로그 신호 전환 모듈(240)은 노이즈 제거모듈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한다.When a voltage is input from the noise removal module 210, the constant voltage module 230 maintains the input voltage at a constant voltage and outputs it. The analog signal conversion module 240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put from the noise removal module into an analog signal.

실시예에서 노이즈 제거 모듈(210)은 정류되어 안정화된 ECU신호를 출력하여 TPS에 입력하고, TPS 입력신호를 통한 펄스신호를 솔레노이드 제어부에 송출하여 스로틀 밸브 개도각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노이즈 제거 모듈(210)은 스로틀 밸브 개도각 개폐제어로 연료와 공기를 엔진 연소실로 공급하여 엔진연료와 공기를 완전 연소시킨다.In the embodiment, the noise removal module 210 outputs a rectified and stabilized ECU signal and inputs it to the TPS, and sends a pulse signal through the TPS input signal to the solenoid control unit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rottle valve opening angle. In addition, the noise removal module 210 supplies fuel and air to the engine combustion chamber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rottle valve opening angle to completely burn the engine fuel and air.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모듈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data processing block of a noise remova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모듈(210)은 신호 생성부(211), 아날로그 노이즈 제거부(212), MCU(213) 및 디지털 노이즈 제거부(2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noise removal module 2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ignal generation unit 211, an analog noise removal unit 212, an MCU 213, and a digital noise removal unit 214. there is.

신호 생성부(211)는 축전을 위한 고성능 대용량의 커패시터,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는 트랜지스터, 역전류방지를 위한 다이오드, 전압조정을 위한 콘덴서 및 디지털 MCU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아날로그 노이즈 제거부(212)는 아날로그 노이즈를 제거한다. 실시예에서는 액티브 노이즈 캔슬레이션(Active Noise Cancelation) 기술을 통해 노이즈를 상쇄시켜 아날로그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The signal generator 211 generates a high-performance and large-capacity capacitor for power storage, a transistor for controlling the flow of current, a diode for preventing reverse current, a condenser for voltage adjustment, and a digital MCU input signal. The analog noise removal unit 212 removes analog noise. In an embodiment, analog noise can be removed by canceling out noise through Active Noise Cancellation technology.

MCU(213)는 차량이 수집한 데이터를 연산하고 차량 제어명령을 생성한다.The MCU 213 calculates data collected by the vehicle and generates vehicle control commands.

디지털 노이즈 제거부(214)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예컨대, 디지털 노이즈 제거부에 구성된 컴퍼레이터는 노이즈 대책을 실시하는 경우, 전원 라인, 그라운드 라인을 모두 저항, 용량, 인덕턴스 성분을 지닌 소자로 인식한다. 실시예에서는 노이즈 내량을 개선하기 위해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는 EMI 필터 회로를 내장하고,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바이폴라 프로세스를 통해 디지털 노이즈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The digital noise removal unit 214 removes noise from the input digital signal. For example, when implementing noise countermeasures, the comparator configured in the digital noise removal unit recognizes both the power line and the ground line as elements with resistance, capacitance, and inductance components. In an embodiment, an EMI filter circuit capable of blocking noise in a wide frequency band is built in to improve noise tolerance, and digital noise removal can be performed through a bipolar process using a bipolar transistor.

이하에서는 노이즈 제거 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방법의 작용(기능)은 노이즈 제거 시스템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 3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Below, noise removal methods will be explained in turn. Since the operation (function) of the noise remova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essentially the same as the function of the noise removal system,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FIGS. 1 to 3 will be omitted.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모듈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data processing flow of the noise remova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S100 단계에서는 노이즈 제거 모듈에서 ECU(Engine Control Unit), TPS 및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S200 단계에서는 과전류 제한 모듈에서 배터리에서 발생한 과전류를 감지하고, 감지한 과전류를 제한한다. S300단계에서는 정전압 모듈에서 노이즈 제거 모듈로부터 전압이 입력되면, 입력된 전압을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시켜 출력한다. S400 단계에서는 아날로그 신호 전환 모듈에서 노이즈 제거모듈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한다. Referring to FIG. 7, in step S100, the noise removal module removes electrical noise generated from the ECU (Engine Control Unit), TPS, and battery. In step S200, the overcurrent limiting module detects overcurrent generated from the battery and limits the detected overcurrent. In step S300, when a voltage is input from the noise removal module in the constant voltage module, the input voltage is maintained at a constant voltage and output. In step S400, the analog signal conversion module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put from the noise removal module into an analog signal.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한 노이즈 제거 전후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노이즈 제거 장치 및 시스템은 스토틀 밸브와 인젝터 기능을 최적화하여, 연료절감 효과를 창출하고 매연 및 미세먼지 발생을 감소시킨다. 또한, 배터리 성능향상과 함께 차량의 전반적인 전기 전자적 제어 전압을 안정화하고, TPS와 ECU 사이의 안정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는 차량의 심장 역할을 하는 배터리의 안정된 충전 기능과 전원공급을 담당하는 배선과 차체에서 발생 또는 유입되는 전기 노이즈를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식으로 제거하여 차량에 유입되는 전압을 안정시켜 차량 성능유지에 기여한다.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waveforms before and after noise removal by a noise removal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ure 8, the noise removal device and system optimizes the functions of the throttle valve and injector, creating a fuel saving effect and reducing the generation of smoke and fine dust. In addition, it improves battery performance and stabilizes the overall electrical and electronic control voltage of the vehicle, enabling stable signals to be exchanged between the TPS and ECU. In addition, the embodiment stabilizes the voltage flowing into the vehicle by eliminating electrical noise generated or introduced from the wiring and vehicle body in charge of the stable charging function and power supply of the battery, which serves as the heart of the vehicle, in analog and digital ways, thereby stabilizing the vehicle performance. Contributes to maintenance.

실시예에 따른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은 차량전체의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와 보유전기를 관장하는 배터리, 그리고 기계 및 전기전자 장치를 제어 조정하는 ECU를 통한 전기배선의 차량 전자장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를 통해, 차량 및 배터리 본연의 성능을 향상 및 회복시킨다. 또한, 엔진출력을 증가시키고, 차량의 성능과 가장 밀접한 부위인 스로틀 바디를 통제하는 TPS의 안정화를 통해 연비향상, 출력향상은 물론 매연과 미세먼지 발생을 저감한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control signal nois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generator that produces electricity for the entire vehicle, a battery that manages stored electricity, and a vehicle electronic device of electrical wiring through an ECU that controls and adjusts mechanical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By removing control signal noise, the original performance of the vehicle and battery is improved and restored. In addition, it increases engine output and stabilizes the TPS, which controls the throttle body, which is the part most closely related to vehicle performance, thereby improving fuel efficiency and power, as well as reducing smoke and fine dust generation.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disclosed content is merely an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claims, so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disclosed content is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specific scope. I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Claims (10)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 장치에 있어서,
ECU의 신호가 인가되는 TPS 파트; 및
배터리 신호가 인가되는 파트; 를 포함하고,
상기 TPS 파트는
입력 신호 중 정상신호 범위를 벗어난 주파수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고주파 및 저주파 노이즈 제거 모듈;
역전류를 방지하는 역전류 방지 모듈; 및
ECU와 TPS사이에서 발생되는 디지털 노이즈 및 배터리와 발전기사이에서 발생되는 디지털 노이즈를 제거하는 디지털 노이즈 제거 모듈(MCU); 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신호가 인가되는 파트; 는
입력 신호 중 정상신호 범위를 벗어난 주파수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고주파 및 저주파 노이즈 제거 모듈;
아날로그 노이즈를 제거하는 아날로그 노이즈 제거 모듈;
디지털 아날로그 신호를 전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전환 모듈; 및
상기 디지털 노이즈 제거 모듈을 보호하는 보호 모듈; 을 포함하는 노이즈 제거 장치.
In the device for removing control signal nois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PS part where ECU signals are applied; and
A part to which a battery signal is applied; Including,
The TPS part is
High-frequency and low-frequency noise removal module that removes noise of frequencies outside the normal signal range among input signals;
Reverse current prevention module to prevent reverse current; and
A digital noise removal module (MCU) that removes digital noise generated between the ECU and TPS and between the battery and generator; Including,
A part to which the battery signal is applied; Is
High-frequency and low-frequency noise removal module that removes noise of frequencies outside the normal signal range among input signals;
Analog noise removal module to remove analog noise;
A digital-to-analog conversion module that converts digital-to-analog signals; and
a protection module that protects the digital noise removal module; A noise removal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노이즈 제거 모듈; 은
설정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후 비교하여 제외되는 값을 노이즈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제거 장치.
The digital noise removal modul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silver
A noise removal device that stores set values in a database, compares them, and removes excluded values as noise.
내연기관의 제어신호 노이즈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ECU(Engine Control Unit), TPS(Throttle Position Sensor) 및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모듈;
배터리에서 발생한 과전류를 감지하고, 감지한 과전류를 제한하는 과전류 제한 모듈;
상기 노이즈 제거 모듈로부터 전압이 입력되면, 입력된 전압을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시켜 출력하는 정전압 모듈; 및
상기 노이즈 제거모듈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전환하는 아날로그 신호 전환 모듈; 을 포함하는 노이즈 제거 시스템.
In the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Noise removal module that removes electrical noise generated from the Engine Control Unit (ECU), Throttle Position Sensor (TPS), and battery;
An overcurrent limiting module that detects overcurrent generated from the battery and limits the detected overcurrent;
When a voltage is input from the noise removal module, a constant voltage module maintains the input voltage at a constant voltage and outputs it; and
an analog signal conversion module that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put from the noise removal module into an analog signal; A noise removal system compri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제거 모듈; 은
축전을 위한 커패시터,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는 트랜지스터, 역전류방지를 위한 다이오드, 전압조정을 위한 콘덴서 및 디지털 MCU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제거 시스템.
The noise removal module of claim 6; silver
A capacitor for power storage, a transistor to control the flow of current, a diode to prevent reverse current, a condenser for voltage adjustment, and a signal generator to generate a digital MCU input signal; A noise removal system compri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제거 시스템은
차량 ECU와 TPS 사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제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noise removal system
A noise removal system configured between the vehicle ECU and TP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제거 모듈은
정류되어 안정화된 ECU신호를 출력하여 TPS에 입력하고, TPS 입력신호를 통한 펄스신호를 솔레노이드 제어부에 송출하여 스로틀 밸브 개도각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제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noise removal module
A noise removal system that outputs a rectified and stabilized ECU signal and inputs it to the TPS, and sends a pulse signal through the TPS input signal to the solenoid control unit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rottle valve opening ang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제거 모듈은
스로틀 밸브 개도각 개폐제어를 통해 연료와 공기를 엔진 연소실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제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noise removal module
A noise removal system that supplies fuel and air to the engine combustion chamber through control of the throttle valve opening angle.

KR1020210165640A 2021-11-26 2021-11-26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noise removal system Active KR1025993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640A KR102599367B1 (en) 2021-11-26 2021-11-26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noise remova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640A KR102599367B1 (en) 2021-11-26 2021-11-26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noise remova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151A KR20230078151A (en) 2023-06-02
KR102599367B1 true KR102599367B1 (en) 2023-11-08

Family

ID=8675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640A Active KR102599367B1 (en) 2021-11-26 2021-11-26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noise remova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36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3466A1 (en) 2002-05-17 2003-11-20 Rayl Allen B. Engine control system with throttle preload during cylinder deactivation
KR100755182B1 (en) 2007-03-19 2007-09-03 김유장 Automobile noise reduction, vibration damping and performance improvement device using coil
KR100813414B1 (en) 2007-09-06 2008-03-12 김유장 Smoke reduction device by pretreatment method
JP2016037902A (en) 2014-08-07 2016-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Electric actua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094U (en) * 1996-11-26 1998-08-05 배순훈 Input Stabilization Circuit of Throttle Position Sensor
KR101046911B1 (en) * 2009-02-27 2011-07-06 김이혜숙 Power distribution circuit with noise and electromagnetic wave protection
KR101063212B1 (en) 2009-11-09 2011-09-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Vehicle Noise Reduction Connector
KR102126739B1 (en) 2014-02-06 2020-06-25 주식회사 만도 Automotive electrical noise removal device
KR102155940B1 (en) * 2018-10-15 2020-09-14 김유장 Automobile performance improvement device using frequency contr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3466A1 (en) 2002-05-17 2003-11-20 Rayl Allen B. Engine control system with throttle preload during cylinder deactivation
KR100755182B1 (en) 2007-03-19 2007-09-03 김유장 Automobile noise reduction, vibration damping and performance improvement device using coil
KR100813414B1 (en) 2007-09-06 2008-03-12 김유장 Smoke reduction device by pretreatment method
JP2016037902A (en) 2014-08-07 2016-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Electric actua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151A (en)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9391B2 (en) Method for restricting excessive temperature rise of filter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256577C (en) Control equipment for automobiles
US10208696B2 (en) Multivariable engine torque and emission closed-loop contro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258106B2 (en)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PL365348A1 (en) Th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2176839A1 (en) Auxiliary water-supply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1424224A (en) Electric-controlled natural gas engine oper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120575B2 (en) Exhaust purification device
US20160153329A1 (en) Particulate filter regeneration method of diesel hybrid vehicle
WO20061047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pression-ignition engine
KR20140135110A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of a spontaneous ignition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JP2005291020A (en)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percharger
KR102599367B1 (en) Control signal noise remova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noise removal system
CN114439633A (en)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of vehicle engine and storage medium
CN100404830C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300245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delivery of fuel to an engine
EP1531253A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dependent on engine noise
JP3663668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fuel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SE0301198L (en) Ways to control the supercharging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vehicles with a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electronic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percharging
EP1769142A1 (en) Exhaust gas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5299553A (en) Automatic adapting device
US10815850B2 (en) Method for catalyst purge control based on engine temperature and vehicle using the same
SE0203674L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motor vehicles
KR102417343B1 (en) Exhaust gas post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354690Y (en) Natural gas supply system of electronically controlled natural gas engine and its engine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