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91645B1 -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645B1
KR102591645B1 KR1020160122211A KR20160122211A KR102591645B1 KR 102591645 B1 KR102591645 B1 KR 102591645B1 KR 1020160122211 A KR1020160122211 A KR 1020160122211A KR 20160122211 A KR20160122211 A KR 20160122211A KR 102591645 B1 KR102591645 B1 KR 102591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onnector assembly
plug housing
housing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43444A (en
Inventor
임근택
조철환
정대균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43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4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64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단자부의 체결이 정확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더블락 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대물과 결합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후방에서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에서 내부로 삽입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캐비티 하우징, 상기 캐비티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캐비티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어서 이중 락킹되는 더블락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double lock member that ensures accurate and reliable fastening of a terminal portion is disclosed. The connector assembly includes a plug housing coupled to a counterpart, a plurality of terminals inserted from the rear of the plug housing, and inserted into the plug housing from the front, and end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plug housin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vity housing, a sealing member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vity housing, and a double lock member that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cavity housing and is coupled to the plug housing for double locking.

Figure R1020160122211
Figure R1020160122211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Connector assembly {CONNECTOR ASSEMBLY}

이하의 설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the connector assembly.

커넥터는 전기적인 접속을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전기 부품의 일종이다. 예를 들어, 커넥터는 차량 도어용 케이블을 연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차량의 엔진 성능이 향상됨과 더불어 여러 가지 편의장치가 탑재되는 등 고급화 및 다기능화 추세에 따라, 차량 내에는 많은 전장품 및 제어기들이 탑재되고 있고, 각종 전장품에 대한 전원선 및 제어신호선, 그리고 제어기들 간의 통신선 등을 포함하는 와이어링 하네스를 비롯하여 케이블 등이 소정의 배열로 설치되고 있다. 특히, 각종 전장품을 비롯하여 제어기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와이어링 하네스 또는 케이블 등의 일 단부에는 다수의 입력 및 출력 단자를 갖는 다극 커넥터가 장착되고 있다. 다극 커넥터는 전장품의 정격용량 및 사용전선의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다.A connector is a type of electrical component that selectively connects or disconnects electrical connections. For example, a connector can be used to connect cables for car doors. As the vehicle's engine performance improves and various convenience devices are installed, along with the trend of becoming more advanced and multi-functional, many electrical components and controllers are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he power lines and control signal lines for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s well as the Cables, including wiring harnesses containing communication lines, etc., ar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In particular, a multipole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input and output terminals is installed at one end of a wiring harness or cable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nd controllers. Multipole connectors are manufactured in different shapes depending on the rated capacity of the electrical equipment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wires used.

이에, 인-라인에서 각종 와이어링 하네스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다극 커넥터를 조립함에 따라, 작업 공수가 증가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Accordingly, assembling a large number of multipole connectors to connect various wiring harnesses, etc. in-line is caus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ing hours.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85051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터미널(15)들을 포함하는 캡 하우징(10)과, 캡 하우징(10)에 체결되는 상대 커넥터(30)와, 터미널(15)의 정위치 여부를 확실히 하기 위하여 터미널(15)을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기 위한 리테이너(락킹부, 14) 등을 포함하는 다극 커넥터가 제안되었다. 리테이너는 플러그에 측면 삽입되며, 보통 두 번의 걸림에 의해 고정 되도록 한다.In consideration of this,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85051, a cap housing 10 including a plurality of terminals 15 and a mating connector 30 fastened to the cap housing 10 In order to ensure that the terminal 15 is in the correct position, a multipole connector including a retainer (locking portion, 14) to stably fix the terminal 15 has been proposed. The retainer is inserted laterally into the plug and is usually secured by two locks.

고객의 요구 사항 중 터미널을 유지하는 힘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리테이너 2차 잠금(Locking)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현재는 리테이너 2차 잠금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아도, 이를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서 다양한 형태의 품질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전의 커넥터 어셈블리 구조에서는 리테이너의 모서리 부분의 라운드 형상과, 유동 공간으로 인해 밀려 들어가 리테이너의 2차 잠금이 제대로 검출되지 않고 미체결된 상태로 삽입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터미널이 미삽입 상태인 채로 완제품 내에 들어 있을 불량 가능성이 생기게 된다.In order to satisfy the customer's requirements for maintaining the terminal, secondary locking of the retainer must be performed properly. However, currently, even if the secondary locking of the retainer is not performed properly, there is no function to detect this, causing various types of quality problems. In the previous connector assembly structure, the round shape of the edge of the retainer and the flow space caused the retainer to be pushed in, causing a problem in which the secondary locking of the retainer was not properly detected and the retainer was inserted in an unfastened state.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erminal may be included in the finished product without being inserted.

정리하면, 기존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품의 제작 공차 등에 의하여, 리테이너가 제대로 체결되지 않은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그 결과 터미널들이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고, 이탈되거나, 잘못 결합되는 문제들이 발생하였다.In summary, existing connector assemblies were frequently assembled without the retainers properly fastened due to product manufacturing tolerances, etc. As a result, the terminals were not properly fixed, separated, or incorrectly combined. occurred.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단자의 미삽입 상태를 검지할 수 있고, 단자를 완전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object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that can detect a non-inserted state of a terminal and enable full insertion of a terminal.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대물과 결합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후방에서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에서 내부로 삽입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캐비티 하우징, 상기 캐비티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캐비티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어서 이중 락킹되는 더블락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assembly includes a plug housing coupled to a counterpart, a plurality of terminals inserted from the rear of the plug housing, and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plug housing, , a cavity housing into which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plug housing, a sealing member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vity housing, and a double double locking member slidably inserted into the cavity housing and coupled to the plug housing. It may include a lock member.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더블락 부재는, 상기 캐비티 하우징의 후방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접촉되어 상기 단자를 고정시키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를 상기 단자에서 대해서 접촉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탄성편은 일정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는 상기 탄성편과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실링 부재보다 후방에서 상기 단자를 고정시키게 된다.According to one side, the double lock member includes a base that contacts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cavity housing to fix the terminals, and an elastic piece that pushes the base in the direction of contact with the terminals. may include. The base and the elastic piece may be formed to have a certain angle. For example, the base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elastic piece. The base fixes the terminal behind the sealing member.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더블락 부재는, 상기 더블락 부재가 상기 캐비티 하우징에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서 1차 락킹 및 2차 락킹의 이중 락킹될 수 있다. 상기 탄성편은, 상기 탄성편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락킹부와, 상기 제1 락킹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블락 부재가 상기 캐비티 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제1 락킹부가 상기 캐비티 하우징에 1차 락킹되고, 상기 1차 락킹 상태에서 상기 제1 락킹부의 단부를 상기 캐비티 하우징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제2 락킹부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이너 프레임에 2차 락킹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락킹부는 상기 캐비티 하우징에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락킹부는 상기 이너 프레임과 접촉되는 면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편은 상기 제2 락킹부가 상기 탄성편과 별도로 탄성 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락킹부의 주변에 슬릿 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단자와 접촉되는 단자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 접촉부는, 상기 2차 락킹 상태가 되면 상기 단자를 일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단자의 정위치 결합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double lock member may be double locked by primary locking and secondary locking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uble lock member is coupled to the cavity housing. The elastic piece includes a first lock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elastic piece and a second lock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locking portion and the base, and when the double lock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avity housing, the When the first locking part is primarily locked to the cavity housing, and the end of the first locking part is pushed into the cavity housing in the primary locking state, the second locking part can be secondary locked to the inner frame of the plug housing. there is. Here, the first locking part may be formed to protrud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avity housing. Additionally, the second 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frame. The elastic piece may have a slit or opening formed arou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so that the second locking portion can be elastically driven separately from the elastic piece. The base is formed with a terminal contact part that contacts the terminal, and when the terminal contact part is in the secondary locking state, the terminal can be pressed in one direction to detect whether the terminal is properly coupled.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탄성편과 상기 베이스를 탄성 연결하는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탄성편이 가압되는 제1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가 이동 및 가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적어도 1회 이상의 굴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탄성편에 비해 좁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it may further include a hinge elastically connecting the elastic piece and the base. The hinge may be formed to move and press the bas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piece is pressed. The hing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ase. The hinge may have at least one curved surface. The hinge may be formed to have a narrower width than the base and the elastic piece.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시키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단부가 상기 제1 락킹부를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2차 락킹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탄성편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an interface is further provided that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plug housing, and when the interface is coupled to the plug housing, the end of the interface can be secondary locked by pushing the first locking part. The base and the elastic piece may be integrally formed or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고정시키는 커넥터 위치보장 부재(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이하, 'CPA 부재'라 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 CPA 부재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CPA 부재는 단부에 상기 CPA 부재 걸림턱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훅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CPA 부재 걸림턱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를 가로지르는 바 형상을 갖고, 상기 CPA 부재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CPA 부재 걸림턱에 대해서 동시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CPA 부재 걸림턱에 걸림 결합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가 상기 걸림훅을 밀어 올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it further includes an interfac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plug housing, and further includes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PA member') that secures the interface to the plug housing. can do. A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side the plug housing, and a hook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CPA member to be engaged with the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The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has a bar shape that crosses the inside of the plug housing, and the CPA member and the interface can be simultaneously engaged with the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When the interface is engaged with the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the locking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interface may be engaged by pushing up the locking hook.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아래의 효과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실시 예들에 따르면, 슬라이드 방식의 더블락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단자 미삽입 상태를 검지할 수 있고, 또한 단자의 완전한 삽입을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by using a slide type double lock structure, it is possible to detect a terminal not inserted state and also induce complete insertion of the terminal.

또한, 슬라이드 방식의 더블락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더블락이 미체결된 경우 상대물과의 조립과정에서 상대 커넥터에 의해 더블락이 완전히 체결될 수 있고, 또한 미삽입된 단자를 완전히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slide-type double lock structure, when the double lock is not fastened, the double lock can be completely fastened by the counterpart connector during the assembly process with the counterpart, and the uninserted terminal can be induced to be completely insert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 선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Ⅰ-Ⅰ 선에 따른 플러그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블락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블락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7a는 더블락 부재의 1차 락킹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b는 2차 락킹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PA 부재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of Figure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taken along line I-I in FIG.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ug housing taken along line I-I in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1.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uble lock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a and 7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ouble lock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diagram showing the primary locking state of the double lock member, and Figure 7b is a diagram showing the secondary locking state. This is a drawing that shows.
Figures 8a to 8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assembly of a CPA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이하, 도 1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nector assembly 1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C.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Ⅰ-Ⅰ 선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Ⅰ-Ⅰ 선에 따른 플러그 하우징(11)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Ⅱ-Ⅱ 선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블락 부재(12)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10 of FIG. 1, and FIG. 3 is a connector assembly taken along line Ⅰ-Ⅰ of FIG. 1. (10) is a cross-sectional view,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ug housing 11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10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uble lock member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0)는 플러그 하우징(11), 더블락 부재(12), 캐비티 하우징(13), 실링 부재(14), 커넥터 위치보장 부재(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이하, 'CPA 부재'라 함)(15) 및 복수의 단자(16)로 이루어진다.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10)는 플러그 하우징(11)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상대물인 인터페이스(1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connector assembly 10 includes a plug housing 11, a double lock member 12, a cavity housing 13, a sealing member 14, and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PA'). It consists of a member (15)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16). Additionally, the connector assembly 10 may include an interface 17 that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plug housing 11 .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링 부재(14), 캐비티 하우징(13) 및 더블락 부재(12)가 순서대로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11) 전방에서 내부로 삽입되고, 플러그 하우징(11)의 외측 후방에서 CPA 부재(15)가 삽입되고, 복수의 단자(16)가 삽입 결합되며, 플러그 하우징(11)의 외측 전방에서 인터페이스(17)가 삽입 결합되는 순서로 조립 공정이 수행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connector assembly 10 is installed from the front of the plug housing 11 in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14, the cavity housing 13, and the double lock member 12 are coupled in that order. is inserted, the CPA member 15 is inserted from the outer rear of the plug housing 11, the plurality of terminals 16 are inserted and coupled, and the interface 17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outer front of the plug housing 11. The assembly process is performed in sequenc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러그 하우징(11)에서 단자(16)가 결합되는 부분을 '후면' 또는 '후방'이라 하고, 반대쪽인 인터페이스(17)가 결합되는 부분을 '전면' 또는 '전방'이라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art of the plug housing 11 where the terminal 16 is coupled is referred to as 'rear' or 'rear', and the part where the interface 17 on the other side is coupled is referred to as 'front' or 'front'. 'It is said.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플러그 하우징(11)은 대략 통 형상을 갖고, 후방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16)가 결합되고, 전방에는 인터페이스(17)가 결합된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plug housing 11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t least one terminal 16 is coupled to the rear and an interface 17 is coupled to the front.

플러그 하우징(11)은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111)과, 캐비티 하우징(13)이 결합되는 이너 프레임(112)의 이중 구조를 갖고, 플러그 하우징(11)의 후방에는 복수의 단자(16)가 결합되는 단자 수용부(115)와 CPA 부재(15)가 결합되는 CPA 부재 수용부(116)가 형성된다. 여기서, 플러그 하우징(11)은 메인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이 대략 사각 통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러그 하우징(11)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plug housing 11 has a dual structure of a main frame 111 forming the exterior and an inner frame 112 to which the cavity housing 13 is coupled,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16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lug housing 11. A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115 to which a is coupled and a CPA member accommodating portion 116 to which the CPA member 15 is coupled are formed. Here, the plug housing 11 is shown as having a substantially square cylindrical shape with the main frame 111 and the inner frame 11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of the plug housing 11 can be substantially varied. can be changed.

이너 프레임(11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더블락 부재(12)가 결합된 캐비티 하우징(13)이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너 프레임(112)은 일 측에 캐비티 하우징(13)의 외주면에 결합된 실링 부재(14)의 위치를 한정하는 실링 부재 스톱퍼(114)가 형성된다.The inner frame 112 is formed so that the cavity housing 13 to which the double lock member 12 is coupled can be insert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inner frame 112 is formed on one side with a sealing member stopper 114 that defines the 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 14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vity housing 13.

단자 수용부(115)는 복수의 단자(16)를 하나씩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 수용부(115)는 이너 프레임(112)과 단자 수용부(115) 사이를 구획하도록 형성되어서, 단자(16)가 단자 수용부(115)의 구획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자 수용부(115)는 복수의 단자(16)를 동시에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terminal receiving portion 115 may be formed to individually accommodate a plurality of terminals 16 one by one. In additio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15 is formed to partition between the inner frame 112 and the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15, so that the terminal 16 can be formed to penetrate the partition wall of the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15.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terminal receiving portion 115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terminals 16 at the same time.

단자(16)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예를 들어, 플러그 하우징(11) 내부에서 복수의 단자(16)가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단자(16)의 후방에는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된다.At least one terminal 16 is provided, and for example, a plurality of terminals 16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in the plug housing 11. And a cabl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terminal 16.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CPA 부재(15)는 플러그 하우징(11)의 후방에 CPA 부재(15)의 베이스(151)가 결합되고, 베이스(15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훅(152)이 형성된다. 그리고 플러그 하우징(11) 내부에는 CPA 부재(15)가 결합되는 CPA 부재 가이드(117)와 CPA 부재 걸림턱(118)이 형성된다. CPA 부재 가이드(117)는 CPA 부재(15)와 평행하도록 플러그 하우징(11)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CPA 부재 걸림턱(118)은 CPA 부재 가이드(117)의 단부에서 플러그 하우징(11)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즉, CPA 부재 걸림턱(118)은 CPA 부재(15) 및 인터페이스(17)가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는 소정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CPA 부재(15)는 플러그 하우징(11) 내부에서 걸림훅(152)이 CPA 부재 걸림턱(118)과 락킹된다. CPA 부재(15)는 플러그 하우징(11)을 관통하도록 후방에서 CPA 부재 수용부(116) 내부에 삽입 결합된다. 그러나 CPA 부재(15)의 형상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CPA member 15 is coupled to the base 151 of the CPA member 15 at the rear of the plug housing 11, and extends forward from the base 151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height. A locking hook 152 is formed. And inside the plug housing 11, a CPA member guide 117 and a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118 to which the CPA member 15 is coupled are formed. The CPA member guide 117 is formed to be lo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side the plug housing 11 so as to be parallel to the CPA member 15, and the CPA member stopping protrusion 118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CPA member guide 117 to the plug housing 11. ) is formed to cross the interior. That is, the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118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bar shap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PA member 15 and the interface 17 are coupled. In addition, the CPA member 15 has a locking hook 152 locked with the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118 inside the plug housing 11. The CPA member 15 is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CPA member receiving portion 116 from the rear so as to penetrate the plug housing 11. However, the shape of the CPA member 15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and can be substantially changed in various ways.

인터페이스(17)는 플러그 하우징(11)에 결합되는 대략 통 형상의 인터페이스 바디(171)와, 인터페이스 바디(171)의 단부에 CPA 부재 걸림턱(118)과 결합되는 걸림부(172)가 형성된다. 즉,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A 부재 걸림턱(118)의 상부에서 CPA 부재(15)가 걸림 결합되고, 하부에서 인터페이스(17)가 걸림 결합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17)는 플러그 하우징(11) 내부에서 복수의 단자(16)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단자 접속부(173, 도 5 참조)가 형성된다.The interface 17 include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interface body 171 coupled to the plug housing 11, and a locking portion 172 coupled to the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118 at the end of the interface body 171. .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PA member 15 is engaged at the upper part of the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118, and the interface 17 is engaged at the lower part. And the interface 17 is formed with a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73 (see FIG. 5) that is electrically coupl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16 inside the plug housing 11.

여기서, 인터페이스(17)는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단자(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대물 중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자(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플러그 하우징(11)과 맞물리는 상대물이라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interface 17 is an example of a counterpar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16 of the connector assembly 1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16 and includes a plug housing ( If it is a counterpart that meshes with 11), it can take on various forms.

한편, 플러그 하우징(11)의 측면을 타고 외부의 수분이 플러그 하우징(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11) 내부에서 수분이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하도록 실링 부재(14)가 구비된다. 실링 부재(14)는 플러그 하우징(11)을 타고 유입되는 수분이 내부의 단자(16) 등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너 프레임(112)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실링 부재(14)는 표면에 홈 및/또는 돌기가 형성되며 링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실링 부재(14)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실링 부재(14)는 캐비티 하우징(13)의 플랜지(132)와 이너 프레임(112)의 실링 부재 스톱퍼(114) 사이에 결합되고, 인터페이스(17)의 내측면과 이너 프레임(112)의 외측면 사이에서 압착된다.Meanwhile, external moisture may flow into the plug housing 11 along the side of the plug housing 11. A sealing member 14 is provided to block the path through which moisture flows inside the plug housing 11. The sealing member 14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frame 112 to prevent moisture flowing through the plug housing 11 from flowing into the internal terminal 16, etc. For example, the sealing member 14 has grooves and/or protrusions formed on its surface and has a ring shape. However, the sealing member 14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and may be substantially changed in various ways. The sealing member 14 is coupled between the flange 132 of the cavity housing 13 and the sealing member stopper 114 of the inner frame 112,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face 17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12. squeezed in between.

도 5를 참조하면, 플러그 하우징(11) 내부에서 수분이 유입되는 경로 상에 실링 부재(14)가 구비되며, 더블락 부재(12)는 플러그 하우징(11)의 전후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더블락 부재(12)와 단자(16)가 락킹되는 부분도 실링 부재(14)에 의해서 수분 유입이 차단된다. 참고적으로, 도 5에서 플러그 하우징(11)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은 굵은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플러그 하우징(11) 또는 인터페이스(17)를 타고 외부에서 수분이 플러그 하우징(11)의 내측으로 유입되더라도, 실링 부재(14)에 의해서 그 유동이 차단되므로, 이너 프레임(112)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고, 그로 인해 단자(16)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sealing member 14 is provided on the path through which moisture flows inside the plug housing 11, and the double lock member 12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plug housing 11, so the double lock The part where the member 12 and the terminal 16 are locked is also blocked from moisture inflow by the sealing member 14. For reference, in Figure 5, moisture flowing into the plug housing 11 is indicated by a bold arrow. Even if moisture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plug housing 11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plug housing 11 or the interface 17, the flow is blocked by the sealing member 14, so moisture flows into the inner frame 112. This can prevent it from affecting the terminal 16, etc.

캐비티 하우징(13)은 절연 재질로 형성되고, 이너 프레임(112)에 결합되는 통 형상의 메인 바디(131)와, 더블락 부재(12)가 슬라이드 결합 가능한 더블락 부재 결합부(135)와, 이너 프레임 내부에서 단자(16)의 일부가 수용되는 단자 결합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avity housing 13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includes a cylindrical main body 131 coupled to the inner frame 112, a double lock member coupling portion 135 to which the double lock member 12 can be slidably coupl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erminal coupling portion 134 in which a portion of the terminal 16 is accommodated inside the inner frame.

단자 결합부(134)는 단자(16)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어, 단자 결합부(134)는 복수의 단자(16)를 하나씩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134 is formed to fit and secure the terminal 16. For example,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134 may be formed to individually accommodate a plurality of terminals 16 one by one.

캐비티 하우징(13)은 이너 프레임(112)에 결합될 때 캐비티 하우징(13)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결합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전단부 둘레를 따라 플랜지(1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캐비티 하우징(13)은 이너 프레임(112)의 내측으로 메인 바디(131)가 삽입되고, 플랜지(132)가 이너 프레임(112)의 전단부에 끼워지게 된다.When the cavity housing 13 is coupled to the inner frame 112, a flange 132 is formed along the front end portion to fix the position of the cavity housing 13 and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coupling. And the main body 131 of the cavity housing 13 is inserted into the inner frame 112, and the flange 132 is inser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inner frame 112.

여기서, 플랜지(132)의 단부는 실링 부재(14)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캐비티 하우징(13)의 메인 바디(131) 외주면에 실링 부재(14)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캐비티 하우징(13)을 이너 프레임(112)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메인 바디(131)와 실링 부재(14) 사이에 이너 프레임(112)이 삽입되도록 조립하게 된다. 즉, 실링 부재(14)가 결합된 캐비티 하우징(13)을 이너 프레임(112)에 삽입하면, 실링 부재(14)는 이너 프레임(112)의 외주면에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플랜지(132)의 단부와 이너 프레임(112)의 실링 부재 스톱퍼(114) 사이에 실링 부재(14)가 위치하게 되고, 인터페이스(17)가 결합되면 인터페이스(17)와 이너 프레임(112)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해당 부분을 실링하게 된다.Here, the end of the flange 132 serves as a stopper that limits the movement of the sealing member 14. Referring to Figures 2 and 5, the cavity housing 13 is coupled to the inner frame 112 with the sealing member 14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131 of the cavity housing 13. It is assembled so that the inner frame 112 is inserted between (131) and the sealing member 14. That is, when the cavity housing 13 to which the sealing member 14 is coupled is inserted into the inner frame 112, the sealing member 14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frame 112. And the sealing member 14 is located between the end of the flange 132 and the sealing member stopper 114 of the inner frame 112, and when the interface 17 is coupled, the sealing member 14 is positioned between the interface 17 and the inner frame 112. As it is compressed, the part is sealed.

캐비티 하우징(13)과 이너 프레임(112)의 결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플랜지(132)의 내측면에 이너 프레임(112)에 걸림 결합되는 플랜지 체결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프레임(112)에는 플랜지 체결부(133)에 대응되는 체결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 체결부(133)는 소정 형상의 훅 또는 돌기일 수 있고, 체결부(113)는 플랜지 체결부(133)와 일대일 대응되어 체결되는 홀이나 개구 또는 홈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랜지 체결부(133)의 위치와 형상, 개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너 프레임(112)에 훅 또는 돌기가 형성되고 플랜지(132)에는 이에 대응되는 홀이나 개구, 홈 등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이너 프레임(112)과 플랜지(132)에는 다양한 체결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coupling between the cavity housing 13 and the inner frame 112, a flange fastening portion 133 that is engaged with the inner frame 112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132. And a fastening part 113 corresponding to the flange fastening part 133 may be formed in the inner frame 112. For example, the flange fastening part 133 may be a hook or protrusion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fastening part 113 may have a shape such as a hole, opening, or groove that is fastened in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flange fastening part 133. there i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osition, shape, and number of the flange fastening portions 133 may be substantially chang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it is possible for a hook or protrusion to be formed on the inner frame 112 and a corresponding hole, opening, groove, etc. formed on the flange 132. In addition, the inner frame 112 and the flange 132 can be formed in various fastening forms. can be applied.

여기서, 체결부(113)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링 부재(14)는 수분 유입 경로 상에서 체결부(113)보다 앞에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Here,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through the fastening part 113, the sealing member 14 may be coupled to be positioned ahead of the fastening part 113 on the moisture inflow path.

더블락 부재(12)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캐비티 하우징(13)에 삽입 결합된다. 더블락 부재(12)는 캐비티 하우징(13)의 전방에서 삽입되며, 대략 바 형상을 갖고 단자(16)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double lock member 12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avity housing 13 in a slide manner. The double lock member 12 is inserted from the front of the cavity housing 13, has a substantially bar shape, and is arrang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16.

도 6을 참조하면, 더블락 부재(12)는 캐비티 하우징(13)의 후방에 결합되는 베이스(121)와, 베이스(121)에서 소정 길이 연장된 탄성편(124)과, 베이스(121)와 탄성편(124) 사이에 형성되어서 탄성편(124)과 베이스(121)를 탄성 연결하는 힌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블락 부재(12)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더블락 부재(12)는 그 자체로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베이스(121)와 힌지(123) 및 탄성편(124)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6, the lock member 12 includes a base 121 coupled to the rear of the cavity housing 13, an elastic piece 124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base 121, and a base 121. It is formed between the elastic pieces 124 and includes a hinge 123 that elastically connects the elastic pieces 124 and the base 12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hape of the double lock member 12 may be substantially chang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he double lock member 12 itself is formed to have elasticity, and the base 121, the hinge 123, and the elastic piece 124 may be formed integrally or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베이스(121)는 캐비티 하우징(13)의 후방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캐비티 하우징(13)의 외측에서 단자(16)의 일 측에 접촉되는 단자 접촉부(122)가 형성된다. 즉, 베이스(121)는 단자(16)에 대해서 수직으로 접촉되어 단자(16)를 고정시킨다. 단자 접촉부(122)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블락 부재(12)가 2차 락킹 상태가 되면 단자(16)의 정위치 결합 여부를 검출하고, 단자(16)를 일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2개의 단자(16)가 구비되므로, 베이스(121)에는 2개의 단자 접촉부(122)가 형성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자(16)의 수와 배치 형태에 따라 베이스(121)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단자(16)와 더블락 부재(12)의 접촉위치 역시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base 12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ar of the cavity housing 13, and a terminal contact portion 122 that contacts one side of the terminal 16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avity housing 13. That is, the base 121 contacts the terminal 16 perpendicularly and fixes the terminal 16. As shown in FIG. 8, the terminal contact unit 122 detects whether the terminal 16 is in the correct position when the double lock member 12 is in the secondary locking state, and presses the terminal 16 in one direction. I do it. In this embodiment, since two terminals 16 are provided, two terminal contact portions 122 are formed on the base 12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terminals 16. The shape of the base 121 may be substantially changed in various ways. Additionally, the contact position between the terminal 16 and the double lock member 12 may also be substantially changed in various ways.

힌지(123)는 베이스(121)에 대해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123)는 탄성을 갖도록 베이스(121) 및 탄성편(124)에 비해 얇은 너비를 갖는다. 또한, 힌지(123)는 적어도 1회 이상의 굴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hinge 123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121. In addition, the hinge 123 has a thinner width than the base 121 and the elastic piece 124 so as to have elasticity. Additionally, the hinge 123 may have at least one curved surface.

탄성편(124)은 베이스(121)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며, 탄성을 갖도록 소정의 너비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탄성편(124)은 베이스(121)를 단자(16)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형성되며, 베이스(121)에 대해서 소정 각도, 예를 들어, 90도 각도로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편(124)의 단부에는 제1 락킹부(125)가 형성되고, 탄성편(124)의 중간에는 제2 락킹부(126)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블락 부재(12)가 캐비티 하우징(13)에 삽입되면 제1 락킹부(125)가 캐비티 하우징(13)의 단부에 체결된 상태를 "1차 락킹"이라 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블락 부재(12)를 캐비티 하우징(13) 내부로 더 밀어 넣어서 제2 락킹부(126)가 플러그 하우징(11)의 이너 프레임(112)에 락킹되는 상태를 "2차 락킹"이라 한다.The elastic piece 124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base 121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width to have elasticity. In addition, the elastic piece 124 is formed to push the base 121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16, an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a 90 degree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121. And a first locking part 125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lastic piece 124, and a second locking part 126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elastic piece 124. Here, as shown in FIG. 7, when the double lock member 12 is inserted into the cavity housing 13,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locking part 125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cavity housing 13 is referred to as “primary locking.” As shown in FIG. 8, the double lock member 12 is further pushed into the cavity housing 13 so that the second locking part 126 is locked to the inner frame 112 of the plug housing 11. The state is called “secondary locking.”

제1 락킹부(125)는 탄성편(124)에서 외측, 즉, 캐비티 하우징(13)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1 락킹부(125)는 탄성편(124)의 단부 전체가 일정한 높이 및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락킹부(125)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locking portion 125 has a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elastic piece 124 toward the outside, that is,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cavity housing 13. Additionally, the first locking portion 125 may be formed so that the entire end of the elastic piece 124 protrudes to a certain height and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hape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125 may be substantially changed in various ways.

제2 락킹부(126)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훅 또는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락킹부(126)가 탄성편(124)과 별도로 탄성 구동이 가능하도록 제2 락킹부(126)의 주변에 슬릿(127)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127)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구나 홀 또는 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locking portion 126 protrudes outward and may have a hook or protrusion shape. Additionally, a slit 127 may be formed around the second locking part 126 so that the second locking part 126 can be elastically driven separately from the elastic piece 124. The slit 127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and may have the form of an opening, hole, or groove.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더블락 부재(12)는 캐비티 하우징(13)의 후방에서 더블락 부재(12)가 단자(16)에 대해서 수직으로 접촉되어 단자(16)를 고정시킨다. 더블락 부재(12)는 실링 부재(14)보다 후방에서 단자(16)를 고정시키므로 플러그 하우징(11)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이 단자(16)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double lock member 12 is in vertical contact with the terminal 16 at the rear of the cavity housing 13 to fix the terminal 16. Since the double lock member 12 fixes the terminal 16 at the rear of the sealing member 14, it can prevent moisture from outside the plug housing 11 from flowing into the terminal 16.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더블락 부재(12)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블락 부재(1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7a는 더블락 부재(12)의 1차 락킹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b는 2차 락킹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the operation of the double lock member 1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gures 7a and 7b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ouble lock member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diagram showing the primary locking state of the double lock member 12, and Figure 7b is a diagram showing the secondary locking state.

도 7a를 참고하면, 캐비티 하우징(13)에 더블락 부재(12)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11)에 캐비티 하우징(13)을 삽입 결합시키면, 더블락 부재(12)는 제1 락킹부(125)가 캐비티 하우징(13)에서 전방을 향해 소정 길이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제1 락킹부(125)는 캐비티 하우징(13)에 걸림 결합된 상태일 수도 있지만, 제1 락킹부(125)가 캐비티 하우징(13)과 접촉 및 결합되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다. 다만, 캐비티 하우징(13) 내부에 더블락 부재(12)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일종의 락킹 상태이므로, 1차 락킹 상태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1차 락킹 상태에서 돌출된 인터페이스(17)가 삽입되면서 더블락 부재(12)를 가압하면 제1 락킹부(125)가 가압되면서, 더블락 부재(12)가 캐비티 하우징(13)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힌지(123)가 탄성 변형되고, 베이스(121)는 수직 방향 또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7A, when the cavity housing 13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plug housing 11 while the double lock member 12 is coupled to the cavity housing 13, the double lock member 12 is connected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125) protrudes forward from the cavity housing 13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is case, the first locking part 125 may be engaged with the cavity housing 13, but the first locking part 125 may not be in contact with or coupled to the cavity housing 13. However, since the double lock member 12 is inserted inside the cavity housing 13, it is in a kind of locking state, so it can be said to be a primary locking state. In this primary locking state, when the protruding interface 17 is inserted and pressurizes the double lock member 12, the first locking portion 125 is pressed, and the double lock member 12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cavity housing 13. slides, the hinge 123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base 121 moves vertically or upward.

그리고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7)를 계속 가압하면, 더블락 부재(12)는 제2 락킹부(126)가 체결부(113)에 걸릴 때까지 이동하여, 2차 락킹됨으로써, 제1 락킹부(125)와 제2 락킹부(126)가 모두 캐비티 하우징(13)에 걸린 상태인 더블락이 체결된다. 여기서, 더블락 부재(12)의 단부를 밀어 넣게 되면, 베이스(121)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단자 접촉부(122)가 단자(16)에 접촉되면서 단자(16)를 제2 방향으로 계속 밀게 되고, 단자(16)를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더블락 부재(12)를 밀어 넣을 때, 단자(16)가 정상적으로 조립되지 않았을 때는 단자(16)와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반발력이 정상 조립 시보다 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블락 부재(12)의 조립 시 발생하는 반발력의 변화를 통해 단자(16)의 정상 조립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단자(16)가 정상적으로 조립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더블락 부재(12)에 힘을 가해서 계속 밀어 넣게 되면 단자 접촉부(122)가 단자(16)를 계속 밀어서 단자(16)를 정위치로 밀어 넣게 된다.And as shown in FIG. 7B, when the interface 17 is continuously pressed, the double lock member 12 moves until the second locking part 126 is caught in the fastening part 113, thereby being secondary locked, The double lock in which both the first locking part 125 and the second locking part 126 are locked to the cavity housing 13 is fastened. Here, when the end of the double lock member 12 is pushed in, the terminal contact portion 122 contacts the terminal 16 as the base 121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terminal 16 continues in the second direction. It is pushed and the terminal 16 is fixed. Here, when pushing the double lock member 12, if the terminal 16 is not assembled properly, the repulsion force generated when contacting the terminal 16 is greater than when normally assembled, so the user must use the double lock member 12. Whether or not the terminal 16 is assembled properly can be detected through changes in the repulsive force that occurs during assembly. Also, if the terminal 16 is not assembled properly, if the user applies force to the double lock member 12 and continues to push it in, the terminal contact part 122 will continue to push the terminal 16 to return the terminal 16 to the correct position. It gets pushed in.

실시 예에 의하면, 슬라이드 방식으로 더블락 부재(12)를 가압하는 것으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더블락을 체결 및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더블락 부재(12)의 수평 방향 운동이 수직 방향 운동으로 변환되는 구조를 가지며, 수평 방향의 운동이 수직 방향으로 변환 시 추가적인 부속의 필요 없이 더블락 부재(12)의 자체 탄성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더블락 부재(12)가 이너 프레임(112)과 캐비티 하우징(13)에 1차 락킹 및 2차 락킹됨에 따라, 더블락 부재(12)와 플러그 하우징(11)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더블락 부재(12)가 체결된 후 케이블이나 외부에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단자(16)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17) 및/또는 더블락 부재(12)에 의해서 단자(16)의 정상 조립 여부를 검출할 뿐만 아니라, 미삽입 단자(16)를 완전히 삽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자(16)의 비정상 조립으로 인한 불량을 방지하고,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도 불량품을 양품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더블락 부재(12)는 단자 접촉부(122)가 실링 부재(14)보다 후방에 위치하는데, 플러그 하우징(11)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이 실링 부재(14)에 의해서 차단되며, 단자(16)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더블락 부재(12)는, 플러그 하우징(11)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형태를 가지므로, 실링 부재(14)보다 후방에서 단자(16)를 고정시켜야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에서 실링 부재(14)에 의한 방수를 보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by pressing the double lock member 12 in a slide manner, the double lock can be fastened and released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In addition,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double lock member 12 is converted into vertical movement, and when the horizontal movement is converted into vertical direction, the self-elasticity of the double lock member 12 is used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attachments. do. In addition, as the double lock member 12 is primary and secondary locked to the inner frame 112 and the cavity housing 13,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double lock member 12 and the plug housing 11 can be improved. . In addition, after the double lock member 12 is fastened, the terminal 16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a cable or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the fixed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ddition, not only can the interface 17 and/or the double lock member 12 detect whether the terminal 16 is assembled properly, but also the non-inserted terminal 16 can be completely inserted, so that the terminal 16 is abnormal. Defects due to assembly can be prevented, and defective products can be modified into good products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es.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act portion 122 of the double lock member 12 is located rearward of the sealing member 14, and moisture flowing in from the outside of the plug housing 11 is blocked by the sealing member 14, and the terminal ( 16) I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direction. That is, since the double lock member 1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shape that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plug housing 11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connector assembly must secure the terminal 16 at the rear of the sealing member 14. In (10), waterproofing can be ensured by the sealing member (14).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CPA 부재(15)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15)의 조립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Hereinafter, the CPA member 1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8C. For reference, FIGS. 8A to 8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onnector position guarantee member 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A 부재(15)가 플러그 하우징(11)의 후방에서 CPA 부재 수용부(116)에 슬라이드 되어 삽입되고, CPA 부재(15)의 걸림훅(152)이 CPA 부재 걸림턱(118)에 접촉될 때까지 삽입된다. 그리고 플러그 하우징(11)의 전방에서는 인터페이스(17)가 삽입되고, 인터페이스(17)의 걸림부(172)가 CPA 부재 걸림턱(118)에 접촉될 때까지 삽입된다. 즉, 도 8a의 상태에서는 CPA 부재(15)와 인터페이스(17)는 모두 CPA 부재 걸림턱(118)에 걸림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다.First, as shown in FIG. 8A, the CPA member 15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CPA member receiving portion 116 from the rear of the plug housing 11, and the hook 152 of the CPA member 15 is attached to the CPA member 15. It is inserted until it contacts the member locking protrusion 118. Then, the interface 17 is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plug housing 11, and the locking portion 172 of the interface 17 is inserted until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118. That is, in the state of FIG. 8A, neither the CPA member 15 nor the interface 17 is engaged with the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118.

다음으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7)를 전방에서 밀어 넣으면, 걸림부(172)가 CPA 부재 걸림턱(118)에 걸림 결합되면서 걸림부(172)가 하부에서 CPA 부재(15)의 걸림훅(152)을 밀어 올리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8B, when the interface 17 is pushed in from the front, the locking portion 172 is engaged with the CPA member locking jaw 118 and the locking portion 172 is attached to the CPA member 15 at the bottom. ) is pushed up.

다음으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A 부재(15)를 후방에서 밀어 넣으면, 걸림훅(152)이 CPA 부재 걸림턱(118)에 걸림 결합된다. 따라서, CPA 부재 걸림턱(118)에 대해서 전방 및 상부에서 CPA 부재(15)가 걸림 결합되고, 후방 및 하부에서 인터페이스(17)가 걸림 결합된다.Next, as shown in FIG. 8C, when the CPA member 15 is pushed in from the rear, the locking hook 152 is engaged with the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118. Accordingly, the CPA member 15 is engaged with the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118 at the front and top, and the interface 17 is engaged with the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118 at the rear and bottom.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re used. Alternatively, appropriate results may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10: 커넥터 어셈블리
11: 플러그 하우징
111: 메인 프레임
112: 이너 프레임
113: 체결부
114: 실링 부재 스톱퍼
115: 단자 수용부
116: CPA 부재 수용부
117: CPA 부재 가이드
118: CPA 부재 걸림턱
12: 더블락 부재
121: 베이스
122: 단자 접촉부
123: 힌지
124: 탄성편
125: 제1 락킹부
126: 제2 락킹부
127: 슬릿
13: 캐비티 하우징
131: 메인 바디
132: 플랜지
133: 플랜지 체결부
134: 단자 결합부
135: 더블락 부재 결합부
14: 실링 부재
15: 커넥터 위치보장 부재(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CPA member)
151: 베이스
152: 걸림훅
16: 단자
17: 인터페이스
171: 인터페이스 바디
172: 걸림부
173: 단자 접속부
10: Connector assembly
11: Plug housing
111: main frame
112: Inner frame
113: fastening part
114: Sealing member stopper
115: terminal receiving portion
116: CPA member receiving portion
117: CPA Absence Guide
118: CPA member locking jaw
12: Double lock member
121: base
122: terminal contact part
123: hinge
124: Elastic piece
125: First locking unit
126: Second locking unit
127: slit
13: Cavity housing
131: main body
132: Flange
133: Flange fastening part
134: terminal coupling part
135: Double lock member coupling part
14: No sealing member
15: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CPA member)
151: bass
152: Hook
16: terminal
17: Interface
171: Interface body
172: Hook
173: terminal connection part

Claims (22)

상대물과 결합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후방에서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에서 내부로 삽입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캐비티 하우징;
상기 캐비티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캐비티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어서 이중 락킹되는 더블락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더블락 부재는,
상기 캐비티 하우징의 후방에 구비되되 상기 실링 부재보다 후방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접촉되어 상기 단자를 고정시키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를 상기 단자에서 대해서 접촉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편;
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plug housing coupled to the counterpart;
a plurality of terminals inserted from the rear of the plug housing;
a cavity housing that is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plug housing and into which end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inserted and fixed within the plug housing;
A sealing member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vity housing; and
a double lock member that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cavity housing and is coupled to the plug housing for double locking;
Including,
The double lock member,
a bas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vity housing and contacti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sealing member to secure the terminals; and
an elastic piece that pushes the base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탄성편은 일정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base and the elastic piece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탄성편과 수직으로 형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base is a connector assembly formed perpendicular to the elastic pie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락 부재는,
상기 더블락 부재가 상기 캐비티 하우징에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서 1차 락킹 및 2차 락킹의 이중 락킹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ouble lock member,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dual locking of primary locking and secondary locking is perform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uble lock member is coupled to the cavity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탄성편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락킹부와, 상기 제1 락킹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블락 부재가 상기 캐비티 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제1 락킹부가 상기 캐비티 하우징에 1차 락킹되고,
상기 1차 락킹 상태에서 상기 제1 락킹부의 단부를 상기 캐비티 하우징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제2 락킹부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이너 프레임에 2차 락킹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elastic piece is,
It includes a first locking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elastic piece, and a second locking part formed between the first locking part and the base,
When the double lock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avity housing, the first locking part is primarily locked to the cavity housing,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second locking part is secondary locked to the inner frame of the plug housing when the end of the first locking part is pushed into the cavity housing in the primary locking st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부는 상기 캐비티 하우징에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5,
The first locking portion is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first lock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cavity housing to enable engaging engagement with the cavity hou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락킹부는 상기 이너 프레임과 접촉되는 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5,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second locking portion protrudes toward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fr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제2 락킹부가 상기 탄성편과 별도로 탄성 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락킹부의 주변에 슬릿 또는 개구가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In clause 7,
The elastic piece is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 slit or an opening is formed arou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so that the second locking portion can be elastically driven separately from the elastic pie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단자와 접촉되는 단자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 접촉부는, 상기 2차 락킹 상태가 되면 상기 단자를 일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단자의 정위치 결합 여부를 검출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5,
The base is formed with a terminal contact portion that contacts the terminal,
The terminal contact unit, when in the secondary locking state, presses the terminal in one direction to detect whether the terminal is properly coupled.
상대물과 결합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후방에서 삽입되는 복수의 단자;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에서 내부로 삽입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캐비티 하우징;
상기 캐비티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캐비티 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어서 이중 락킹되는 더블락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더블락 부재는,
상기 캐비티 하우징의 후방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접촉되어 상기 단자를 고정시키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상기 단자에서 대해서 접촉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과 상기 베이스를 탄성 연결하는 힌지;
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plug housing coupled to the counterpart;
a plurality of terminals inserted from the rear of the plug housing;
a cavity housing that is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plug housing and into which end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inserted and fixed within the plug housing;
A sealing member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vity housing; and
a double lock member that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cavity housing and is coupled to the plug housing for double locking;
Including,
The double lock member,
a base that contacts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cavity housing and fixes the terminals;
an elastic piece that pushes the base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and
A hinge elastically connecting the elastic piece and the base;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탄성편이 가압되는 제1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가 이동 및 가압되도록 형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10,
The hinge is formed to move and press the bas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piece is press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10,
A connector assembly wherein the hinge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as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적어도 1회 이상의 굴곡면이 형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10,
The hinge is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t least one curved surfa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탄성편에 비해 좁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10,
The hinge is a connector assembly formed to have a narrow width compared to the base and the elastic pie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시키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단부가 상기 제1 락킹부를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2차 락킹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5,
Further comprising an interfac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plug housing,
When the interface is coupled to the plug housing, the end of the interface is secondary locked by pushing the first locking part.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탄성편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동일 재질로 형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or 10,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base and the elastic piece are integrally formed or made of the same material.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고정시키는 커넥터 위치보장 부재(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이하, 'CPA 부재'라 함)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or 10,
Further comprising an interfac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plug housing,
A connector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PA member') that secures the interface to the plug housing.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 CPA 부재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CPA 부재는 단부에 상기 CPA 부재 걸림턱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훅이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17,
A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is provided inside the plug housing,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 locking hook is formed at an end of the CPA member and is engaged with the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CPA 부재 걸림턱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를 가로지르는 바 형상을 갖고,
상기 CPA 부재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CPA 부재 걸림턱에 대해서 동시에 걸림 결합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18,
The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has a bar shape crossing the inside of the plug housing,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CPA member and the interface are simultaneously engaged with the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CPA 부재 걸림턱에 걸림 결합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가 상기 걸림훅을 밀어 올리면서 결합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19,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when the interface is engaged with the CPA member locking protrusion, a lock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interface is engaged by pushing up the locking hook.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22211A 2015-10-13 2016-09-23 Connector assembly Active KR10259164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849 2015-10-13
KR20150142849 2015-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444A KR20170043444A (en) 2017-04-21
KR102591645B1 true KR102591645B1 (en) 2023-10-20

Family

ID=5870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211A Active KR102591645B1 (en) 2015-10-13 2016-09-23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6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402B1 (en) * 2020-05-25 2021-10-15 주식회사 경신 Connector
KR102817543B1 (en) * 2020-10-30 202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Joint connector
JP7490542B2 (en) * 2020-12-08 2024-05-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Assembly
JP7709721B2 (en) 2021-04-21 2025-07-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Connectors and Connector Units
KR102597957B1 (en) * 2022-10-26 2023-11-03 이기석 connector having sliding lock safety combining structure
KR102588073B1 (en) * 2022-10-26 2023-10-12 이기석 connector having analog current source terminal separation structure of attaching and separating
CN116129783B (en) * 2022-11-18 2025-08-12 深圳市美矽微半导体股份有限公司 LED display driving chi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3025A (en) * 2000-01-19 2001-07-27 Calsonic Kansei Corp Half-fitted terminal detecting connector
KR100939700B1 (en) 2005-06-07 2010-02-01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Connector assembly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4781Y2 (en) * 1992-12-02 1998-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connector
KR100731253B1 (en) * 2005-03-30 2007-06-21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Female connector assembly
KR20080104453A (en) * 2007-05-28 2008-12-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3025A (en) * 2000-01-19 2001-07-27 Calsonic Kansei Corp Half-fitted terminal detecting connector
KR100939700B1 (en) 2005-06-07 2010-02-01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Connector assembly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444A (en) 201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1645B1 (en) Connector assembly
US8657621B2 (en) Connector apparatus
US9124016B2 (en) Connector with covering wall
KR101998077B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CPA
US10971851B2 (en) Miniaturized connector with a terminal holding member
US9985380B2 (en) Connector and position assurance member received therein
CN107851930B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CN107069299B (en) Connector
US10714860B2 (en) Joint connector
US20130330956A1 (en) Joint Connector
US6129574A (en) Connector having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neous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KR101105537B1 (en) Split connector
EP1801925A1 (en) A connector
US11031718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a locking lance with a restricting portion to restrict outward deformation of the locking lance
KR102454220B1 (en) Connector assembly
KR100790339B1 (en) Female connectors used in electric vehicles and male connectors connected to the female connectors
KR20110135352A (en) Connector with mating detection means
KR101850445B1 (en) Waterproof connector
US10938140B2 (en) Connector
KR102402303B1 (en) A connector
CN113228425B (en) Connector with a plurality of connectors
KR20130022229A (en) Connector assembly
KR200467964Y1 (en) Connector assembly
KR20090008889U (en) Connector hanving cover for protecting of terminal
KR101714402B1 (en) Low insertion force socket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9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