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05289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289B1
KR102605289B1 KR1020160113898A KR20160113898A KR102605289B1 KR 102605289 B1 KR102605289 B1 KR 102605289B1 KR 1020160113898 A KR1020160113898 A KR 1020160113898A KR 20160113898 A KR20160113898 A KR 20160113898A KR 102605289 B1 KR102605289 B1 KR 102605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nel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6944A (ko
Inventor
김호영
강기태
김도현
노창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289B1/ko
Priority to CN201780049860.6A priority patent/CN109564742B/zh
Priority to PCT/KR2017/009419 priority patent/WO2018044033A1/en
Priority to EP17846958.1A priority patent/EP3507789B1/en
Priority to US15/690,928 priority patent/US10201103B2/en
Publication of KR20180026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944A/ko
Priority to US16/256,876 priority patent/US10582628B2/en
Priority to US16/748,123 priority patent/US1090501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28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6Supporting web roll both-end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8Rollers for roller convey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5Movable supporting means
    • B65H2301/41358Movable supporting means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i.e. pivoting 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3Performing winding process
    • B65H2301/41432Performing winding process special features of winding process
    • B65H2301/414324Performing winding process special features of winding process involving interleaf web/sheet, e.g. l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61Display device manufacture, e.g. liquid crystal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롤러, 디스플레이 패널과, 적어도 일부가 서로 이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을 가지는 모듈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바와, 일측은 상기 상부 바의 양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바를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롤러에 감겨있는 제 1 상태와, 상기 롤러에서 풀어져 서로 접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있으며,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권취(winding and unwinding)하는 패널 롤러와, 상기 패널 롤러와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패널 롤러와 반대방향으로 권취하는 보조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 롤러의 보호 시트가 디스플레이 패널과 모듈 커버가 접하는 것을 막아 크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보조 롤러의 보호 시트가 디스플레이 패널과 모듈 커버가 접하는 것을 막아 크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롤러, 디스플레이 패널과, 적어도 일부가 서로 이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을 가지는 모듈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바와, 일측은 상기 상부 바의 양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바를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롤러에 감겨있는 제 1 상태와, 상기 롤러에서 풀어져 서로 접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있으며,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권취(winding and unwinding)하는 패널 롤러와, 상기 패널 롤러와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패널 롤러와 반대방향으로 권취하는 보조 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 롤러가 풀리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접하는 보호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시트는 일 단이 상기 보조 롤러에 연결되며, 타 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롤러는 일 단에 고정된 고정캡, 타단에 위치하며 회전가능한 회전캡, 및 양 단이 상기 고정캡과 상기 회전캡에 연결된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고정캡과 연결된 일 단은 고정되고, 상기 회전캡과 연결된 타 단만이 회전하며 감길 수 있다.
상기 보조 롤러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위치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롤러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보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더 인접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롤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롤러에 결합되는 가이드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보조롤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일 단이 상기 보조 롤러와 연결된 가이드암과, 일 단이 상기 가이드 암의 타 단에 연결된 인장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롤러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암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롤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가이드 암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인장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암이 회전함에 따라,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롤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인장스프링은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암의 중심부에 상기 가이드 암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핀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암은 상기 핀 볼트를 기준으로 연장방향이 변화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암은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핀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인장스프링의 타 단에 연결된 서포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포터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보조 롤러의 보호 시트가 디스플레이 패널과 모듈 커버가 접하는 것을 막아 크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에),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인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부(20)와 하우징(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모서리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패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크기와 같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0)보다 클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는 가벼우면서 높은 강도를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커버(15)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즉, 하우징(30)은 모듈 커버(15)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우징(30)은 적어도 하나의 PCB를 차폐할 수 있다. 즉, 모듈 커버(15) 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PCB를 덮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의 PCB의 상세한 결합 구조와 결합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하우징(30)은 적어도 하나의 PCB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가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이너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을 덮는 아우터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하우징(30)은 하나의 전도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우징(30)이 디스플레이부(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30)은 내부에 위치한 여러가지 구동장비나 구동회로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30)의 제 1, 3 방향으로의 폭은 디스플레이부(20)를 내부에 보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20)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하우징(30)의 제 2 방향으로의 폭은 사용자의 시야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20)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20)의 활성영역에는 하우징(30)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더 얇은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에 몰입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20)의 활성영역이 하우징(30) 내부에 위치한 제 1 상태와 하우징(30) 외부에 노출된 제 2 상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20)의 활성영역이 하우징(3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가 하우징(30)에 차폐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20)의 활성영역이 하우징(30)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는 제 2 상태일 때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3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30) 내에 위치한 롤러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상세하게, 롤러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가 감겨있는 제 1 상태에서 롤러가 풀어져 디스플레이부(20)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 2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부(20)는 롤러가 풀어져 있다 감기면 제 2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자세한 롤러와 디스플레이부(20)의 구조 및 작동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할 때만 디스플레이부(20)를 하우징(30)외부로 노출시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일 단에 패널 롤러(143)가 연결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제 1 상태에 또는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권취(winding and unwinding)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전면의 적어도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20)가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소스 PCB(120)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20)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과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신호 배선들이 위치할 수 있다. 소스 PCB(120)는 소스 COF(Chip On Film, 123)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연결될 수 있다. 소스 PCB(120)의 일 측과 연결된 소스 COF(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활성 영역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연결될 수 있다.
패널 롤러(143)의 외주에 안착부(379)가 위치할 수 있다. 즉, 패널 롤러(143) 외주의 적어도 일부가 단차져 있음을 의미한다. 패널 롤러9143)가 권취되면서 소스 PCB(120)가 패널 롤러(143)의 접하는 부분에 안착부(379)가 위치할 수 있다. 안착부(379)는 패널 롤러(143) 외주의 적어도 일부가 함몰되어 있는 형상일 수 있다.
패널 롤러(143)가 감길 때 소스 PCB(120)는 안착부(379) 내에 안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패널 롤러(143)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롤러(143)가 감겨도 소스 PCB(120)에 손상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패널 롤러(143) 내부에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실장될 수 있다. 패널 롤러(143) 내부에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를 실장하여 소스 PCB(120)와 연결되는 FFC 케이블(117)이 꼬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상부 패널 롤러(331)와 하부 패널 롤러(3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패널 롤러(331)와 하부 패널 롤러(337)은 상호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패널 롤러(331)와 하부 패널 롤러(337)의 사이에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실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는 상부 패널 롤러(331)와 하부 패널 롤러(337)를 결합하면서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도 같이 결합할 수 있다. FFC 케이블(117)은 상부 패널 롤러(331)에 위치한 홀을 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 및 소스 PCB(12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패널 롤러(143)와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FFC 케이블(117)이 꼬이지 않고 결합될 수 있으며, 패널 롤러(143) 내부에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실장되기 때문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승강하는 하우징(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 측에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패널 롤러(143)에 실장되어 있고, 타 측에는 메인 보드(109)와 파워 서플라이(107)가 위치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메인 보드(109) 및 파워 서플라이(107)와 연결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메인 보드(109) 및 파워 서플라이(107)와 배선 전극(11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배선 전극(113)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파워 서플라이(107)를 연결해주는 제 1 배선 전극(307)과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메인 보드(109)를 연결해주는 제 2 배선전극(309)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배선 전극(307)은 복수개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배선 전극(307)은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제 1 배선 전극(307)은 패널 롤러(143) 회전축 중심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파워 서플라이(107)를 연결할 수 있다.
제 2 배선 전극(309)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소스 PCB(120)가 연결되는 FFC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배선 전극(309)은 패널 롤러(143) 회전축 중심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메인 보드(109)를 연결할 수 잇다.
제 1 배선 전극(307)과 제 2 배선 전극(309)은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배선 전극(307)과 제 2 배선 전극(309)이 통하는 개구부 역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패널 롤러(143)에 실장되며 파워 서플라이(107)와 메인 보드(109)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으로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0) 내부의 공간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30) 내부에 패널 롤러(143), 모터 어셈블리(137) 및 지지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하우징(30)의 디스플레이부(20)가 승강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를 동시에 권취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두껍기 때문에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할 때 패널 롤러(143)의 직경이 매우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롤러(143)는 하우징(30)의 각 면과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될 수 있다.
지지부(73)는 디스플레이부(20)가 승강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73)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 지지부(73)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듈 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 바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지지부(73)의 상세한 구동 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모듈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는 상부만 상부 바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부분이 쉽게 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73)는 모듈커버(15)의 후면에서 모듈커버(15)가 휘지 않도록 받쳐줄 수 있다. 지지부(73)는 제 1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계속 이동하므로 모듈커버(15)에 결합되지는 않지만 모듈커버(15)를 받쳐줄 수 있다.
지지부(73)가 연결되는 부분에 모터 어셈블리(137)가 위치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7)는 지지부(73)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7)는 전기신호를 받아 물리적 힘으로 전환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7)는 지지부(73)에 회전 에너지를 전달하여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7)의 자세한 구조 및 구동 원리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롤러로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를 동시에 권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우징(30)의 두께가 줄어들어 화면을 더 잘 감상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듈 커버(15)는 복수의 에이프런(apron)을 포함할 수 있다. 에이프런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각각의 에이프런은 서로 이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복수의 에이프런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롤러에 의해 감기거나 풀릴 때 쉽게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보호해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는 접착층(7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접착층(70)은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접착층(70)에 의해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함께 권취될 수 있다. 접착층(70)은 각각의 에이프런 상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접착층(70)은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가 롤러에 의해 감기거나 풀릴 때 쉽게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접착층(70)은 제 2 방향의 폭이 얇을수록 외력에 대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변형이 적을 수 있다. 상세하게, 접착층(70)은 제 2 방향의 폭이 얇을수록 유연성이 좋아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외력의 전달이 적게될 수 있다.
또한, 에이프런은 제 2 방향의 폭이 클수록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크랙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세하게, 에이프런은 제 2 방향의 폭이 클수록 강성이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크랙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70)의 제 2 방향의 폭이 에이프런의 제 2 방향의 폭의 30% 이하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외력이 적게 전달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이 덜 울퉁불퉁해질 수 있다.
또한, 접착층(70)의 제 2 방향의 폭이 에이프런의 제 2 방향의 폭의 15% 이상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강성이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크랙이 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70)은 제 3 방향의 폭이 두꺼울수록 외력에 대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변형이 적을 수 있다. 상세하게, 접착층(70)은 제 3 방향의 폭이 두꺼울수록 유연성이 좋아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외력의 전달이 적게될 수 있다.
또한, 에이프런은 제 3 방향의 폭이 얇을수록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크랙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세하게, 에이프런은 제 3 방향의 폭이 얇을수록 강성이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크랙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70)의 제 3 방향의 폭이 에이프런의 제 3 방향의 폭의 3% 이상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외력이 적게 전달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이 덜 울퉁불퉁해질 수 있다.
또한, 접착층(70)의 제 3 방향의 폭이 에이프런의 제 3 방향의 폭의 6% 이하일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강성이 향상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크랙이 적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듈 커버(15)가 복수개의 에이프런을 포함하며, 접착층(70)이 각각의 에이프런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에 감길 때, 모듈 커버(15)가 하나로 구성될 때보다 더 쉽게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상부 바(75)에 체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상부 바(75)와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15)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15)는 상부 바(75)의 승강에 따라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이탈되지 않고 같이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15)는 상부 바(75)와 모듈 커버(15)를 체결하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스크류(115)는 상부 바(75)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체결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15)는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함께 체결할 수도 있다.
모듈 커버(15)는 상부 바(75)와 결합되기 위하여 상부 모듈 커버(15t)의 형상이 다른 부분과 다를 수 있다. 상부 모듈 커버(15t)는 최상부에 위치한 에이프런일 수 있다. 상세하게, 최상부에 위치한 에이프런의 형상이 다른 에이프런의 형상과 다를 수 있다. 상부 모듈 커버(15t)는 적어도 일부가 제 3 방향으로의 두께가 다를 수 있다. 상부 모듈 커버(15t)의 두께가 다른 부분은 상부 바(75)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부 모듈 커버(15t)의 두께가 다른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15)를 통하여 상부 바(75)와 체결될 수 있다. 상부 모듈 커버(15t)가 상부 바(75)로 삽입되기 때문에 모듈 커버(15)는 상부 바(75)에 더 강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바(75),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탑 케이스(167)가 덮을 수 있다. 탑 케이스(167)는 상부 바(75),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양 측과 상부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15)는 상부 바(75),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과 함께 탑 케이스(167)를 체결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탑 케이스(167)는 상부 바(75),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홈에 끼워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부 바(75)와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이탈되지 않고 쉽게 승강할 수 있다.
또한, 탑 케이스(167)가 상부 바(75), 모듈 커버(15)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외관으로 보기에 더 깔끔하다고 느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부 바(75)의 양 측을 지지부(73)가 받쳐주는 형상일 수 있다. 상부 바(75)는 지지부(73)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지지부(73)는 상부 링크(73a)와 하부 링크(7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링크(73a)와 하부 링크(73b)는 힌지(15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링크(73a)의 일 단은 상부 바(75)와 체결되고 타 단은 힌지(152)에 체결되며, 하부 링크(73b)의 일 단은 모터 어셈블리와 체결되고 타 단은 힌지(152)에 체결될 수 있다.
지지부(73)가 하우징 내부로 승강하는 입구에 가이드 바(234)가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바(234)는 제 1,2 가이드 바(234a, 23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2 가이드 바(234a, 234b)는 지지부(73)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이드 바(234a)는 지지부(73)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 2 가이드 바(234b)는 지지부(7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73) 전방 하단부에 패널 롤러(143)가 위치할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하우징 바닥면의 대응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221)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221)은 패널 롤러(14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221)은 각각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221)은 스크류를 통해 하우징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부에 여러가지 구동을 위한 구조들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승강하여도 고장의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30) 내에 패널 롤러(143)뿐만 아니라 에이프런 롤러(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73) 전방에 패널 롤러(143)가 위치하며 후방에 에이프런 롤러(141)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지지부(73)를 기준으로 패널 롤러(143)와 에이프런 롤러(141)는 반대측에서 마주볼 수 있다.
패널 롤러(143)는 디스플레이 패널(10)를 권취하며, 에이프런 롤러(141)는 모듈 커버(15)를 권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는 다른 롤러에 권취되기 때문에 접착층에 의해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비교하여 더 두껍기 때문에 하우징(30) 내부의 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의 권취에 방해되지 않도록 모터 어셈블리(137)는 지지부(7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모터 어셈블리(137)는 지지부(73)의 후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하우징(30) 내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가 분리되어 권취되기 때문에 패널 롤러(143) 및 에이프런 롤러(141)의 권취력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의 부착력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롤러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가 권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롤러에 더 작은 무게가 권취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가 쳐지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 롤러(143)와 에이프런 롤러(141)가 같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롤러(143)와 에이프런 롤러(141)는 지지부(7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패널 롤러(143)와 에이프런 롤러(141)는 지지부(73)의 전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에이프런 롤러(141)는 패널 롤러(14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두껍기 때문에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할 때 에이프런 롤러(141)의 직경이 매우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이프런 롤러(141)는 패널 롤러(143)와 접하지 않기 위하여 제 1 간격(PGD) 이상 떨어질 수 있다. 제 1 간격(PGD)는 에이프런 롤러(141)가 제 1상태에 있을 때 패널 롤러(143)와 접하지 않을 수 있는 거리 이상일 수 있다.
에이프런 롤러(141)가 펼쳐지는 라인 상에 가이드 롤러(145)가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45)는 모듈 커버(15)가 제 1상태 및 제 2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때 패널 롤러(143)에 접하지 안도록 모듈 커버(15)의 위치를 가이드해줄 수 있다. 가이드 롤러(145)는 패널 롤러(143)의 하부에 위치하여 모듈 커버(15)가 패널 롤러(143)에 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 롤러(143)과 에이프런 롤러(141)가 같은 측 상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롤러(143)와 에이프런 롤러(141)가 다른 측에 위치할 때보다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이드 롤러 대신에 가압 롤러(147)가 위치할 수 있다. 가압 롤러(147)는 모듈 커버(15)가 지지부(73)에 접하도록 눌러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가 휘어지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압 롤러(147)는 모듈 커버(15)가 지지부(73)에 접하도록 지지부(73)와 제 3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가압 롤러(147)는 모듈 커버(15)와 패널 롤러(143)가 접하지 않을 수 있도록 모듈 커버(15)를 가이드해주는 기능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압 롤러(147)가 모듈 커버(15)를 지지부(73)에 접하도록 눌러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평평한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더 몰입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이드 롤러(145)와 가압 롤러(147)이 모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는 패널 롤러(143)에 접하지 않을 뿐 아니라 지지부(73)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작동이 덜해지고 사용자들은 평평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듈 커버의 양 측에 위치한 제 3 모듈 커버(15c)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부착될 수 있다.
제 3 모듈 커버(15c)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 상에 위치한 마그넷(64)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마그넷(64)은 에이프런과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마그넷(64)은 각각의 에이프런 상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마그넷(64)은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가 롤러에 의하여 감기거나 풀릴 때 쉽게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마그넷(64)에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마그넷(64)에 접하는 면이 Fe-Ni 인바(Invar)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마그넷(64)과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모듈 커버(15)의 양 측에만 위치한 마그넷(64)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가 부착되기 때문에, 마그넷(64)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마그넷(64)이 제 3 모듈 커버(15c)의 홈(recess, 117)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홈(117)은 제 3 모듈 커버(15c)의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마주보는 면에 위치할 수 있다. 홈(117)은 각각의 에이프런에 위치할 수 있다. 마그넷(64)은 홈(117)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에이프런의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접하는 면이 평평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어 외관상 더 깔끔해질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상부 바(75)가 상승할 수 있다. 상부 바(75)는 양 단에 위치한 지지부(73)가 밀어줌에 따라,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도 17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상태일 때 상부 링크(73a)와 하부 링크(73b) 사이의 각도(HRA)가 아주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바(75)가 상승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 커버가 패널 롤러에 감겨있을 수 있다.
도 1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터 어셈블리(137)가 회전하면서, 상부 링크(73a)와 하부 링크(73b) 사이의 각도(HRA)가 커질 수 있다. 상부 링크(73a)와 하부 링크(73b) 사이의 각도(HRA)가 커지면서 상부 바(75)가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롤러에 감겨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 커버가 점차 풀릴 수 있다.
도 17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상태일 때 상부 링크(73a)와 하부 링크(73b)가 일직선으로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즉, 상부 링크(73a)와 하부 링크(73b) 사이의 각도(HRA)가 180도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부 바(75)가 가장 높이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 커버가 패널 롤러에서 풀릴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듈 커버(15)의 양 단이 전면 방향으로 밴딩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의 양단이 전면 방향으로 밴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모듈 커버(15)의 밴딩되지 않은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모듈 커버(15) 양 단의 전면방향으로 밴딩된 길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접착층(70)의 두께의 합보다 클 수 있다. 즉, 모듈 커버(15)의 밴딩된 부분은 디스플레이 패널(10)보다 전면방향으로 일정 거리(AD1)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면에서 봤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체가 모듈 커버(15)와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듈 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 사이의 접착력이 매우 강해 서로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양 단이 모듈 커버(15)와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층(70)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 사이 전체에 붙어있는 경우보다 비용이 적게 들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가 접착층(70)을 통해 부착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가 마그넷을 통해 부착될 수도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에이프런의 상부면에 비드(136)가 형성될 수 있다. 비드(136)는 에이프런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비드(136)는 에이프런 상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비드(136)는 다른 비드(136)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비드(136)는 에이프런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드(136)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에이프런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스 PCB(120)가 모듈 커버(1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소스 PCB(120)는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모듈 커버(15)의 이동과 함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PCB(120)와 패널 롤러(143)에 실장된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와 연결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모듈 커버(15)와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FFC 케이블(231)이 위치하는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도면의 경우, FFC 케이블(231)이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모듈 커버(15)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FFC 케이블(231)은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모듈 커버(15)의 양 단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에이프런은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전면 중심부가 후면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425)는 FFC 케이블(231)이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함몰부(425)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 사이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함몰부(425)는 에이프런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비드(136)는 함몰부(425)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한 에이프런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함몰부(425)가 위치한 부분은 에이프런의 제 3 방향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비드(136)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함몰부(425)가 위치한 부분에도 비드(136)가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에이프런은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부에 관통부(437)가 위치할 수 있다. 관통부(437)는 에이프런의 중심부를 제 2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즉, 관통부(437)는 에이프런 내에 위치한 홀일 수 있다. 관통부(437)는 FFC 케이블(231)이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관통부(437)는 에이프런 내에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함몰부(425)에 FFC 케이블(231)이 위치하는 것보다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드(136)는 관통부(437)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한 에이프런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관통부(437)가 위치한 부분은 에이프런의 제 3 방향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비드(136)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관통부(437)가 위치한 부분에도 비드(136)가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탑 케이스(167)가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뿐만 아니라 소스 PCB(120)와 상부 바(75)를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PCB(1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는 외관이 깔끔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상부 바(75)는 일 면이 모듈 커버(15) 후면과 결합되며, 타 면이 소스 PCB(1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바(75)는 모듈 커버(15)에 고정되어 소스 PCB(120)를 지지해줄 수 있다.
소스 PCB(120)의 일 단에 FFC 케이블(231)이 연결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은 모듈 커버(15)의 후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521)을 통해 함몰부(42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FFC 케이블(231)이 함몰부(425)를 통해 연결되는 것만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FFC 케이블(231)은 관통부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FFC 케이블(231)의 모듈 커버(15) 후면으로 노출된 부분은 탑 케이스(167)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바라봤을 때, 탑 케이스(167),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15)만 노출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FFC 케이블(231)이 패널 롤러(143)에 실장된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연결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이 패널 롤러(143)를 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연결되기 위하여 패널 롤러(143) 상에 관통홀(615)이 위치할 수 있다. 관통홀(615)은 패널 롤러(143)의 일 측에 위치하며 패널 롤러(143)의 외주부분을 관통할 수 있다. FFC 케이블(231)은 관통홀(615)을 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의 일 측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FFC 케이블(231)이 패널 롤러(143)의 외주 상에 위치하여도 관통홀(615)로 인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FFC 케이블(231)이 패널 롤러(143)와 함께 회전하여 꼬이지 않을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부 바(75)의 양 단에 지지부(73)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73)의 상부 링크(73a)에 위치한 결합홀(77)이 상부 바(75)의 연결부(275) 상에 결합되는 링크 브라켓(277)과 결합할 수 있다. 링크 브라켓(277)은 탑 케이스(167)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링크 브라켓(277)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통해 상부 링크(73a)를 연결부(275)에 결합시킬 수 있다.
지지부(73)는 모듈 커버(15)의 후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감상할 때 문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부 바(75)에 모듈 커버(15), 소스 PCB(120)와 지지부(73)가 모두 결합하기 때문에 공간이 매우 절약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 롤러(143)뿐만 아니라 보조 롤러(5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롤러(556)는 일 단에 보호시트(472)가 연결될 수 있다. 보호시트(472)는 일 단이 보조 롤러(556)에 연결되며, 타 단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 롤러(556)는 보호시트(472)가 감겨있는 상태 또는 풀려있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보호시트(472)를 권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시트(472)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롤러(556)는 패널 롤러(143)가 권취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보조 롤러(556)는 패널 롤러(143)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패널 롤러(143)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풀 때, 보조 롤러(556)는 보호시트(472)를 감을 수 있다. 또한, 패널 롤러(143)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감을 때, 보조 롤러(556)는 보호시트(472)를 풀 수 있다.
도 2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 롤러(143)가 권취함에 따라, 모듈 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서로 접하며 크랙이 형성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달리, 도 2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감기며 보조 롤러(556)의 보호시트(472)가 동시에 펼쳐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시트(472)가 모듈 커버(15)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 상에 크랙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보호시트(472)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보호하기 때문에 깨끗한 화면을 감상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보조 롤러(556)는 고정캡(521), 회전캡(523), 샤프트(547), 코일스프링(573), 롤러커버(58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캡(521)은 보조 롤러(556)의 일 단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캡(521)은 보조 롤러(556)의 중심축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캡(521)은 코일스프링(573)의 일 단이 결합될 수 있다. 고정캡(521)은 롤러커버(582)가 회전하여도 같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고정컵(521)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캡(523)은 보조 롤러(556)의 타 단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캡(523)은 보조 롤러(556)의 중심축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캡(523)은 코일스프링(573)의 타 단이 결합될 수 있다. 회전캡(523)은 롤러커버(582)가 회전할 때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롤러커버(582)가 회전할 때, 일 측의 고정캡(521)은 회전하지 않고, 회전캡(523)만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코일스프링(573)이 감길 수 있다. 즉, 코일 스프링(573)은 고정캡(521)과 연결된 일 단은 고정되고, 회전캡(523)과 연결된 타 단은 회전하며 감길 수 있다. 코일스프링(573)은 감기면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롤러(556)는 보호시트(472)가 풀릴수록 다시 감기려는 힘이 강해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이 펼쳐질 때, 보조 롤러(556)의 보호시트(472)는 자동적으로 감길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보조 롤러(556)는 보호시트(472)가 감길수록 다시 풀리려는 힘이 강해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이 감길 때, 보조 롤러(556)의 보호시트(472)는 자동적으로 풀릴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샤프트(547)는 보조 롤러(556)의 중심축일 수 있다. 샤프트(547)는 고정캡(521)에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547)는 코일스프링(573)이 끼워질 수 있다. 샤프트(547)는 코일스프링(573)이 감길 때 위치가 이동하지 않도록 도울 수 있다.
롤러커버(582)는 보조 롤러(556)의 외주를 구성할 수 있다. 롤러커버(582)는 고정캡(521), 회전캡(523), 샤프트(547) 및 코일스프링(573)을 차폐할 수 있다. 롤러커버(582)는 보호시트(472)의 일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보호시트(472)는 롤러커버(582)에 감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조 롤러(556) 내에 코일스프링(573)이 에너지를 저장하기 때문에 보호시트(472)가 쉽게 풀렸다가 쉽게 감길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감겨있다가 풀릴때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직경이 패널 롤러(143)의 직경에 더해지기 때문에 전체 직경(R1)이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하우징 외부로 승강하는 부분에 일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풀려있다가 감길 때는 패널 롤러(143)의 직경만이 전체 직경(R2)을 구성하기 때문에 전체 직경(R2)이 감겨있을 때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하우징 외부로 승강하는 부분에 일정 각도(A1) 기울어져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일 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승강이 불안해질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조 롤러(556)에 가이드 어셈블리(731)가 결합될 수 있다.
보조 롤러(556)는 가이드 어셈블리(731)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권취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밀어줄 수 있다. 가이드 어셈블리(73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직경 변화에 따라 위치를 이동하여 보조 롤러(556)와 접하는 부분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보조 롤러(556)는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위치가 변할 수 있다. 보조 롤러(556)는 하우징(30)에 형성된 레일(583) 상에서 이동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밀어줄 수 있다.
가이드 어셈블리(731)는 가이드 암(752), 핀볼트(761), 인장스프링(764), 서포터(77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암(752)은 일 단이 보조 롤러(556)와 연결되며 타 단이 인장스프링(764)과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암(752)은 핀볼트(761)를 기준으로 연장방향이 변할 수 있다. 즉, 가이드 암(752)은 핀볼트(761)를 기준으로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이드 암(752)은 보조 롤러(556)가 레일(583) 상에서 이동할 때 핀볼트(761)를 기준으로 각도가 변형될 수 있다. 즉, 하우징(30)에 고정된 고정된 핀볼트(761)를 중심으로 가이드 암(752)이 회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인장스프링(764)은 일 단이 가이드 암(762)과 연결되며, 타 단이 서포터(772)에 연결될 수 있다. 서포터(772)가 하우징(3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암(762)이 회전할 때 인장스프링(764)이 인장 또는 압축될 수 있다. 인장스프링(764)에 의해 가이드 암(762)이 시계방향인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힘을 받을 수 있다. 즉, 보조 롤러(556)가 디스플레이 패널(10)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보조 롤러(556)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계속 밀어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보조 롤러(556)는 보호시트(472)를 감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롤러(556)의 직경이 증가하며 중심이 레일(583) 상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가이드 암(762)은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가이드 암(762)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장스프링(764)은 점차 늘어나 보조 롤러(556)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밀어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수록 보조롤러(556)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더 강하게 밀어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변화할때는 상술한 것과 반대로 작동할 수 있다. 즉, 보조 롤러(556)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과 가까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어셈블리(731)에 의하여 보조 롤러(556)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꾸준히 밀어주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도면들은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 내부로부터 롤-업 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 내부로부터 롤-다운 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롤러;
    디스플레이 패널과, 적어도 일부가 서로 이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을 가지는 모듈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바와, 일측은 상기 상부 바의 양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바를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롤러에 감겨있는 제 1 상태와, 상기 롤러에서 풀어져 서로 접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있으며,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권취(winding and unwinding)하는 패널 롤러와,
    상기 패널 롤러와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패널 롤러와 반대방향으로 권취하는 보조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롤러에 결합되는 가이드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 롤러가 풀리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접하는 보호시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트는,
    일 단이 상기 보조 롤러에 연결되며,
    타 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단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롤러;
    디스플레이 패널과, 적어도 일부가 서로 이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을 가지는 모듈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바와, 일측은 상기 상부 바의 양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바를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롤러에 감겨있는 제 1 상태와, 상기 롤러에서 풀어져 서로 접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있으며,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권취(winding and unwinding)하는 패널 롤러와,
    상기 패널 롤러와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패널 롤러와 반대방향으로 권취하는 보조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롤러는,
    일 단에 고정된 고정캡;
    타단에 위치하며 회전가능한 회전캡; 및
    양 단이 상기 고정캡과 상기 회전캡에 연결된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고정캡과 연결된 일 단은 고정되고, 상기 회전캡과 연결된 타 단만이 회전하며 감기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롤러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위치가 변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롤러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보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더 인접한 디스플레이 장치.
  9.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롤러;
    디스플레이 패널과, 적어도 일부가 서로 이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에이프런을 가지는 모듈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바와, 일측은 상기 상부 바의 양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바를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롤러에 감겨있는 제 1 상태와, 상기 롤러에서 풀어져 서로 접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있으며,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권취(winding and unwinding)하는 패널 롤러와,
    상기 패널 롤러와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패널 롤러와 반대방향으로 권취하는 보조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롤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보조롤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는,
    일 단이 상기 보조 롤러와 연결된 가이드암과,
    일 단이 상기 가이드 암의 타 단에 연결된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롤러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암이 회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롤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가이드 암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암이 회전함에 따라, 길이가 변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롤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인장스프링은 길이가 늘어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암의 중심부에 상기 가이드 암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핀볼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암은,
    상기 핀 볼트를 기준으로 연장방향이 변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암은,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핀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스프링의 타 단에 연결된 서포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포터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13898A 2016-09-05 2016-09-05 디스플레이 장치 Active KR102605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98A KR102605289B1 (ko) 2016-09-05 2016-09-05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7/009419 WO2018044033A1 (en) 2016-09-05 2017-08-29 Display device
EP17846958.1A EP3507789B1 (en) 2016-09-05 2017-08-29 Display device
CN201780049860.6A CN109564742B (zh) 2016-09-05 2017-08-29 显示装置
US15/690,928 US10201103B2 (en) 2016-09-05 2017-08-30 Display device
US16/256,876 US10582628B2 (en) 2016-09-05 2019-01-24 Display device
US16/748,123 US10905019B2 (en) 2016-09-05 2020-01-21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98A KR102605289B1 (ko) 2016-09-05 2016-09-05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944A KR20180026944A (ko) 2018-03-14
KR102605289B1 true KR102605289B1 (ko) 2023-11-24

Family

ID=6128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898A Active KR102605289B1 (ko) 2016-09-05 2016-09-05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0201103B2 (ko)
EP (1) EP3507789B1 (ko)
KR (1) KR102605289B1 (ko)
CN (1) CN109564742B (ko)
WO (1) WO20180440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7279B1 (en) * 2015-11-27 2023-05-1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D883244S1 (en) * 2017-09-29 2020-05-05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KR102418967B1 (ko) * 2017-10-26 2022-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122064B1 (ko) * 2018-05-10 2020-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66787B1 (ko) * 2018-06-28 2019-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304315B2 (en) 2018-06-28 2022-04-1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1945985B1 (ko) * 2018-06-28 2019-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75188B1 (ko) * 2018-06-28 2019-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27272B1 (ko) * 2018-07-31 2024-0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KR102578915B1 (ko) 2018-08-17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D911993S1 (en) * 2018-09-06 2021-03-02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KR102573780B1 (ko) * 2018-09-28 2023-08-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28935B1 (ko) * 2018-10-30 2024-0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3255B1 (ko) * 2018-11-15 2023-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326069A (zh) * 2018-12-17 2020-06-23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移动终端
KR102709191B1 (ko) * 2018-12-31 2024-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666752B1 (ko) * 2019-01-29 202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9584727B (zh) * 2019-01-29 2021-12-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
CN109669340B (zh) * 2019-02-12 2023-09-26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智能手表
CN113362720B (zh) * 2019-04-12 2022-10-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US11403972B2 (en) * 2019-05-17 2022-08-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759544B1 (ko) * 2019-05-20 2025-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767807B1 (ko) * 2019-06-11 2025-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857686B1 (ko) * 2019-07-25 2025-09-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1020595A1 (ko) * 2019-07-26 2021-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756017B1 (ko) * 2019-08-06 2025-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1025198A1 (ko) * 2019-08-06 2021-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
KR20210029428A (ko) * 2019-09-06 2021-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751907B (zh) 2019-10-21 2022-03-08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卷曲式显示装置
WO2021080049A1 (ko) * 2019-10-25 202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717547B1 (ko) 2019-11-07 2024-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92955B1 (ko) * 2019-11-21 2022-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E102019131505B4 (de) * 2019-11-21 2021-08-12 Audi Ag Anordnung für ein Bauelement
KR102325968B1 (ko) 2019-11-21 2021-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0930888B (zh) * 2019-12-26 2021-06-2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WO2021132997A1 (en) 2019-12-27 2021-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EP4083978B1 (en) * 2019-12-27 2025-09-0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EP4004898A4 (en) * 2019-12-30 2022-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WO2021137828A2 (en) * 2019-12-30 2021-07-08 Infinia Muhendislik Ltd. Sti. Roll-up flexible display
KR102667980B1 (ko) * 2019-12-30 2024-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849407B1 (ko) * 2019-12-31 2025-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137336A1 (ko) * 2020-01-03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40789B1 (ko) * 2020-01-10 2021-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US12259748B2 (en) * 2020-02-27 2025-03-2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835205B1 (ko) * 2020-04-13 2025-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1752515B (zh) 2020-06-09 2021-07-0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方式
CN212659253U (zh) * 2020-06-22 2021-03-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KR20220032831A (ko) * 2020-09-08 2022-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95031A (ko) * 2020-12-29 202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017068A (ko) * 2021-07-27 2023-0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JP1750506S (ja) * 2021-08-04 2023-08-08 天井設置型大型テレビジョンスクリーン
JP1721548S (ja) * 2021-08-04 2022-08-03 ローラブル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
KR20230043303A (ko) * 2021-09-23 2023-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250131858A1 (en) * 2021-11-22 2025-04-24 Sharp Display Technology Corporation Winding-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light emission information of winding-type display device
KR20230102975A (ko) * 2021-12-30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502A1 (ko) * 2014-12-10 2016-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0478A1 (de) * 1991-10-24 1993-04-29 Windmoeller & Hoelscher Vorrichtung zum aufwickeln von materialbahnen auf wickelwellen
JP4655368B2 (ja) * 2000-12-12 2011-03-23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端末
CN100363960C (zh) * 2002-11-21 2008-01-2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器
AU2003272033A1 (en) * 2002-11-21 2004-06-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exible display
JP3816457B2 (ja) * 2003-03-18 2006-08-30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US7639237B2 (en) * 2006-03-03 2009-12-29 Perkins Michael T Roll-out touch screen support system (ROTS3)
TWI283377B (en) * 2006-04-18 2007-07-01 Ind Tech Res Inst Flexible display
KR101472154B1 (ko) * 2007-04-25 2014-12-12 크리에이터 테크놀로지 비.브이. 에지 보호기를 갖는 가요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09067010A2 (en) * 2007-11-21 2009-05-28 Polymer Vision Limited An electronic device with a flexible display
CN101685581B (zh) * 2008-09-28 2012-05-09 联想(北京)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笔记本电脑及电子设备
WO2010054380A2 (en) * 2008-11-10 2010-05-14 Displaire Corporation Large screen portable led display
CN201435185Y (zh) * 2009-06-11 2010-03-31 张群 卷轴式led显示屏
KR101227644B1 (ko) * 2010-08-10 2013-01-30 유상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2057662A (ja) * 2010-09-06 2012-03-22 Sony Corp 電子機器
EP2546721B1 (en) * 2011-07-11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CN102446469A (zh) * 2011-11-30 2012-05-09 黄武昌 多功能轴筒式遥控液晶显示记录系统
US20130285921A1 (en) * 2012-04-25 2013-10-31 Motorola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Rollable Illumination Device
US8971031B2 (en) * 2012-08-07 2015-03-03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KR101517179B1 (ko) * 2012-11-22 2015-05-04 임유섭 사용자의 펼침조작력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를 갖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CN104378936A (zh) * 2013-08-16 2015-02-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4424844B (zh) * 2013-08-26 2017-04-19 联想(北京)有限公司 柔性显示设备和电子产品
US9940892B2 (en) * 2014-05-20 2018-04-10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255011B1 (ko) * 2014-05-28 2021-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TWI543129B (zh) * 2014-07-22 2016-07-21 Lg顯示器股份有限公司 捲軸式顯示裝置
KR102365299B1 (ko) * 2014-08-01 2022-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077806B (zh) * 2014-10-24 2019-11-05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可卷绕显示装置
KR101570869B1 (ko) * 2014-12-31 2015-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5924B1 (ko) * 2015-07-31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8804B1 (ko) * 2015-12-10 2022-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205264275U (zh) * 2015-12-28 2016-05-25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206488206U (zh) 2017-01-23 2017-09-12 杭州华普永明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led照明灯具
KR102578915B1 (ko) * 2018-08-17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502A1 (ko) * 2014-12-10 2016-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7789A1 (en) 2019-07-10
US10201103B2 (en) 2019-02-05
EP3507789B1 (en) 2024-08-21
US20190174644A1 (en) 2019-06-06
CN109564742B (zh) 2021-06-08
CN109564742A (zh) 2019-04-02
EP3507789A4 (en) 2020-08-05
US20200163238A1 (en) 2020-05-21
US20180070466A1 (en) 2018-03-08
WO2018044033A1 (en) 2018-03-08
US10905019B2 (en) 2021-01-26
KR20180026944A (ko) 2018-03-14
US10582628B2 (en)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52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13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083098B2 (en) Display device
EP3796074B1 (en) Display device
US10390443B2 (en) Display device
US11127323B2 (en) Display device
KR1024890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362689B2 (en) Method of providing a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4402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131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3131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9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