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5142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142B1
KR102625142B1 KR1020180110469A KR20180110469A KR102625142B1 KR 102625142 B1 KR102625142 B1 KR 102625142B1 KR 1020180110469 A KR1020180110469 A KR 1020180110469A KR 20180110469 A KR20180110469 A KR 20180110469A KR 102625142 B1 KR102625142 B1 KR 102625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cp
packet
value
received
sequence nu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1448A (ko
Inventor
백상규
강현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0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142B1/ko
Priority to EP19860848.1A priority patent/EP3837813B1/en
Priority to PCT/KR2019/011916 priority patent/WO2020055209A1/en
Priority to CN201980060300.XA priority patent/CN112703707B/zh
Priority to US16/571,821 priority patent/US20200092944A1/en
Publication of KR2020003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448A/ko
Priority to US18/297,395 priority patent/US1223222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1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42Formats specially adapted for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2Details of sliding window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은 PDCP 계층에서 상기 패킷의 QoS(Quality of Service) 요구사항 값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패킷의 QoS 요구사항 값과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패킷 중복 전송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3GPP에서 정한 5G 통신 시스템은 New Radio (NR) 시스템이라고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었고, NR 시스템에 적용되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5G 통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것과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러한 서비스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은 PDCP 계층에서 상기 패킷의 QoS(Quality of Service) 요구사항 값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패킷의 QoS 요구사항 값과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패킷 중복 전송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패킷 중복 전송 수행 여부에 따른 무선 베어러 구조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Control) 계층에서 패킷 중복을 판단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는 송신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는 송신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는 송신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중복 전송이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 되는 수신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중복 전송이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 되는 수신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었을 때의 수신기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었을 때의 수신기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었을 때의 수신기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패킷 중복 전송의 수행 여부에 따른 송수신기 의 동작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의한 패킷 중복 전송의 수행 여부에 따른 무선 베어러 구조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PDCP 계층에서 패킷 중복을 판단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에서 송수신기의 이동성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PDCP 계층에서 패킷을 수신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PDCP 계층에서 수신을 시작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PDCP 계층에서 수신을 시작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PDCP 계층에서 수신을 시작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PDCP 장치에서 패킷을 전송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PDCP 장치에서 패킷을 전송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PDCP 장치에서 패킷을 전송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PDCP 장치의 패킷 수신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PDCP 장치의 패킷 수신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 혹은 이를 기반으로 변형한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술된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e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g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단말이라는 용어는 핸드폰, NB-IoT 기기들, 센서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선 통신 기기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패킷 중복 전송 수행 여부에 따른 무선 베어러 구조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무선 베어러(1a-10)는 하나의 PDCP 장치(1a-20)와 하나의 RLC 장치(1a-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각 RLC 장치는 논리 채널에 대응될 수 있으며, 도 1의 실시예에서 RLC1(1a-30)은 논리채널1(LCH1, Logical Channel 1)(1a-40)에 대응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무선 베어러(1a-10)에 도착하는 패킷은, PDCP 장치(1a-20)에서 패킷 복제를 하지 않고 PDCP 헤더가 추가된 후 RLC 장치(1a-3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패킷은 RLC 장치(1a-30)에서 RLC 헤더가 추가된 후 논리채널1(1a-4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수신 RLC 장치에서는 각 MAC 서브헤더에 포함된 논리채널 ID (LCID, Logical Channel Identifier)로 각 패킷의 RLC 장치를 식별하여 해당 RLC 장치(1a-30)로 패킷이 전달될 수 있다. RLC 헤더가 제거된 후, 패킷은 PDCP 장치(1a-20)로 전달되어 PDCP 헤더가 제거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의 설정이나 단말 스스로의 판단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패킷 중복 전송이 활성화 될 수 있다. 이때 무선 베어러(1a-50)는 하나의 PDCP 장치(1a-60)에 두 개 이상의 RLC 장치(1a-70, 1a-8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RLC 장치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의 RLC 장치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 이상의 RLC 장치에 대해서도 확장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 때 각 RLC 장치는 논리채널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RLC1(1a-70)은 논리채널1(1a-90)에, RLC2(1a-80)는 논리채널2(1a-100)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단말이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무선 베어러(1a-50)에 도착하는 패킷에 대해 PDCP 장치(1a-60)에서 패킷 복제가 수행되고 PDCP 헤더가 추가될 수 있다. 그 후, 패킷은 각각의 RLC 장치(1a-70, 1a-80)로 전달될 수 있다. 각 RLC 장치(1a-70, 1a-80)에서는 패킷에 RLC 헤더를 추가하고, 각각의 논리채널(1a-90, 1a-100)을 통해 전송을 할 수 있다. 한편, 수신 RLC 장치에서는 각 MAC 서브헤더에 포함된 논리채널 ID로 각 패킷의 RLC 장치를 식별하여 해당 RLC 장치(1a-70, 1a-80)로 패킷이 전달될 수 있다. 패킷의 RLC 헤더가 제거된 후, 패킷은 PDCP 장치(1a-60)로 전달되어 PDCP 헤더가 제거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패킷이 각각의 RLC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기 때문에, PDCP 장치는 복제 검출(Duplication Detection) 기능을 수행하여 동일한 패킷을 여러 번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 RLC 장치에서 패킷이 전달되는 시점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PDCP 장치는 재정렬(Reordering) 기능을 수행하여 송신 PDCP 장치에서 전송한 패킷이 순서에 맞게 수신 PDCP 장치에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복제 검출 또는 재정렬 기능을 위해서는 수신기의 PDCP 장치에서 패킷의 순서를 판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PDCP 계층의 순서번호(SN, Sequence Number)가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Control) 계층에서 패킷 중복을 판단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기의 PDCP 계층에 도착한 패킷은 그 패킷이 처리해야 하는 QoS(Quality of Service) 요구사항을 가질 수 있다. 상술된 QoS 요구사항은 안정성 레벨(Reliability Level), 패킷 오류율(Packet Error Rate), 지연시간(Delay) 등의 성능 지표가 될 수도 있고, QoS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대표 값이 될 수도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V2X(Vehicular to Everything) 통신에서 사용하는 PPPR(Prose per Packet Reliability)에 의해 패킷 중복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도시된다. V2X 통신에서는 PPPR 값이 전송되어질 패킷의 QoS 요구사항을 대표할 수 있다.
단계 1b-10에서, 송신기의 PDCP 계층에 패킷이 도착하면 PDCP 계층에서는 해당 패킷의 PPPR 값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b-20에서, 패킷의 PPPR 값과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 임계치가 비교될 수 있다.
패킷의 PPPR 값이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 임계치 이상이거나 혹은 초과하는 경우, 단계 1b-20에서, 송신기의 PDCP 계층은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송신기의 PDCP 계층은 패킷을 복제한 후 2개 이상의 RLC 계층으로 전달하여 전송하는 수 있다.
만약 패킷의 PPPR 값이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 임계치 미만이거나 혹은 이하일 경우, 단계 1b-40에서, 송신기의 PDCP 계층은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송신기의 PDCP 계층은 패킷을 복제하지 않고 하나의 RLC 장치로만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는 송신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패킷 복제 전송이 활성화 된 경우에는 수신기의 복제 검출 또는 재정렬 기능이 필요할 수 있다. 수신기의 PDCP 장치에서 패킷의 순서를 판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PDCP 계층의 순서번호(SN, Sequence Number)가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거나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 PDCP 장치에서는 복제 검출 기능과 재정렬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PDCP 계층의 순서 번호는 반드시 할당될 필요가 없다. 하지만 PDCP 헤더의 형식이 고정되어 있고, 헤더 내 순서 번호에 해당하는 필드가 존재하기 때문에, 패킷 중복이 비활성화 되거나 설정되지 않는 경우 해당 패킷의 순서번호는 0으로 설정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송신기에서 계속해서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다가(1c-10, 1c-20, 1c-30) 순서번호 20002에 해당하는 패킷(1c-40)을 전송한 후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후의 패킷부터는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송신기는 순서번호를 0으로 설정(1c-50, 1c-60, 1c-70)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는 송신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패킷 복제 전송이 활성화 된 경우, 수신기의 복제 검출 또는 재정렬 기능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수신기의 PDCP 장치에서 패킷의 순서를 판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PDCP 계층의 순서번호(SN, Sequence Number)가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거나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 PDCP 장치의 복제 검출 기능과 재정렬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PDCP 계층의 순서 번호는 반드시 할당될 필요가 없다. 하지만 PDCP 헤더의 형식이 고정되어 있고, 헤더 내 순서 번호에 해당하는 필드가 존재하기 때문에, 패킷 중복이 비활성화 되거나 설정되지 않는 경우 해당 패킷의 순서번호는 0으로 설정되어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는 시점과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시점의 사이에, 송신기는 수신기에게 패킷 중복을 더 이상 수행하지 않음을 알리는 메시지(1d-100)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기는 상술된 메시지를 수신하면, 패킷 중복 전송에 대응되는 수신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송신기에서 계속해서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다가(1d-10, 1d-20, 1d-30) 순서번호 20002에 해당하는 패킷(1d-40)을 보낸 후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송신기는 비활성 지시 메시지(1d-100)을 보낸 후, 이후의 패킷부터는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순서번호를 0으로 설정(1d-50, 1d-60, 1d-70)하여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만약 패킷 중복이 비활성화 되는 경우에도 순서번호를 계속 0이 아닌 값으로 설정하는 경우, 상술된 비활성 지시 메시지(1d-100)를 통해서 수신기는 패킷 중복 전송을 위한 수신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기는 패킷 중복 전송 비활성화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는 송신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패킷 복제 전송이 활성화 된 경우 수신기의 복제 검출 또는 재정렬 기능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수신기의 PDCP 장치에서 패킷의 순서를 판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PDCP 계층의 순서번호(SN, Sequence Number)가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거나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 PDCP 장치의 복제 검출 기능과 재정렬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PDCP 계층의 순서 번호는 반드시 할당될 필요가 없다.
하지만 PDCP 헤더의 형식이 고정되어 있고, 헤더 내 순서 번호에 해당하는 필드가 존재하기 때문에, 패킷 중복이 비활성화 되거나 설정되지 않는 경우, 해당 패킷의 순서번호는 연속적으로 할당하되 수신기에서 이 정보를 복제 검출 또는 재정렬을 위해 사용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각 패킷이 전송될 때 해당 순서 번호의 패킷이 복제되어 중복 전송 되고 있는지 알려주는 1비트 지시자(1e-110, 1e-120, 1e-130, 1e-140, 1e-150, 1e-160, 1e-170)가 PDCP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된 지시자를 패킷 중복 지시자라고 호칭한다. 수신기는 상술된 1비트 지시자를 해석하여 패킷 중복의 비활성화를 인식할 수 있고, 패킷 중복 전송을 위한 수신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패킷 중복 전송 비활성화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송신기에서 계속해서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다가(1e-10, 1e-20, 1e-30) 순서번호 20002에 해당하는 패킷(1e-40)을 보낸 후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송신기는 이후의 패킷부터는(1e-50, 1e-60, 1e-70)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지시자(1e-150, 1e-160, 1e-170)를 포함하여 전송을 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중복 전송이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 되는 수신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실시예는 도 3 또는 도 4의 송신기 동작에 대응하는 수신기의 동작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 1f-10에서, 수신기의 PDCP 장치는 패킷을 수신한다. 이때, 수신기의 PDCP 장치는 PDCP 헤더에 있는 정보를 읽을 수 있다.
단계 1f-20에서, 패킷의 순서번호가 0인 패킷이 수신되었는지 판별될 수 있다.
패킷의 순서번호가 0인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단계 1f-30에서, 수신기는 해당 패킷 또는 해당 패킷이 전송되는 무선 베어러에 대해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후에 단말의 수신 PDCP 장치는 패킷 중복이 비활성화 되거나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 대한 수신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는 PDCP 장치의 복제 검출 기능 또는 재정렬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패킷 중복의 비활성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는 재정렬 타이머를 시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만약 수신한 패킷의 순서 번호가 0이 아니라면, 단계 1f-40에서, 수신기는 패킷 중복 전송이 여전히 활성화되어 수행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중복 전송이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 되는 수신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의 실시예는 도 5의 송신기 동작에 대응하는 수신기의 동작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 1g-10에서, 수신기의 PDCP 장치는 패킷을 수신한다. 이때, 수신기의 PDCP 장치는 PDCP 헤더에 있는 정보를 읽을 수 있다.
단계 1g-20에서, 수신기는 패킷의 패킷 중복 지시자(1e-110, 1e-120, 1e-130, 1e-140, 1e-150, 1e-160, 1e-170)가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수신한 패킷의 패킷 중복 지시자가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낸다면, 단계 1g-30에서, 수신 PDCP 장치는 해당 패킷 또는 해당 패킷이 전송되는 무선 베어러에 대해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에 단말의 수신 PDCP 장치는 패킷 중복이 비활성화 되거나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 대한 수신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는 PDCP 장치의 복제 검출 기능 또는 재정렬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패킷 중복의 비활성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는 재정렬 타이머를 시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만약 수신한 패킷의 패킷 중복 지시자가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다면, 단계 1g-40에서, 수신 PDCP 장치는 해당 패킷은 송신 PDCP 장치에서 복제 후 중복 전송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최소한 해당 패킷의 송신 시점까지는 패킷 중복이 활성화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었을 때의 수신기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계 1h-10에서, 수신기의 PDCP 장치는 패킷을 수신한다.
단계 1h-20에서, 수신기의 PDCP 장치는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기의 PDCP 장치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 등을 사용하여,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송신 PDCP 장치에서 패킷 중복 전송의 비활성화를 결정하여 패킷 중복 전송을 더 이상 수행하지 않더라도, 수신 PDCP 장치는 일정 시간 동안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한 패킷을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시간 동안 패킷 중복 전송에 따른 수신기 동작이 유지되어야 할 수 있다.
만약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판단하게 되면, 단계 1h-30에서, 수신기는 사전에 설정된 제 1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수신기는 해당 시간 동안, 패킷 중복 전송이 활성화 되었을 때 전송한 패킷들을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타이머는 수신 PDCP 장치에서 패킷 재정렬을 위한 재정렬 타이머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타이머는 재정렬 타이머가 아닌 별도의 타이머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타이머의 시간 길이는 사전에 설정된 값이 사용될 수도 있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단계 1h-40에서, 제 1 타이머가 시작된 후에는, 수신 PDCP 장치는 패킷 중복이 수행되지 않은 패킷들을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지 않고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 시간 동안에는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된 패킷들만 재정렬 동작 이후에 상위 계층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는 더 이상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된 패킷이 도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부터는, 단계 1h-50에서, 수신 PDCP 장치는 패킷 중복이 수행되지 않은 패킷을 처리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었을 때의 수신기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에서는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같이 패킷 중복 전송 시 PDCP 계층의 순서번호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순서 번호 0을 사용하는 방식이 도시되었다. 그러나 도 9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된 패킷을 수신하다가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는 일반적인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수신기의 PDCP 장치는 순서번호 19999의 패킷 중복 전송이 설정된 패킷(1i-10)을 수신한다. 패킷에 대해 재정렬이 완료되었다면 수신기는 곧바로 해당 패킷을 처리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1i-110) 할 수 있다. 이후에 수신기의 PDCP 장치는 순서번호 20001의 패킷 중복 전송이 설정된 패킷(1i-20) 을 수신한다. 이 패킷의 수신 시점에서 순서번호 20000의 패킷이 수신되지 않았으므로, 패킷은 재정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처리되지 않고 수신기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이후에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되지 않은 순서번호 0의 패킷(1i-30)이 수신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시점에서, 수신기인 단말은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수신기는 일정 시간 동안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된 패킷을 수신하기 위해 제 1 타이머(1i-100)를 시작할 수 있다. 이후에, 순서번호 20002의 패킷(1i-40)과 순서번호 20000의 패킷(1i-50)이 수신되었다고 가정한다. 순서번호 20000의 패킷(1i-50)을 수신한 시점에, 순서번호 20002까지의 패킷이 재정렬이 완료되었으므로, 순서번호 20000의 패킷부터 순서번호 20002의 패킷까지는 수신기의 PDCP 장치에서 처리되어 상위 계층으로 전달될 수 있다(1i-120, 1i-130, 1i-140). 그 후 순서번호 0의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되지 않은 패킷(1i-60)이 전달되어도, 제 1 타이머가 동작중에 있기 때문에 상술된 패킷은 처리되지 않고 저장만 될 수 있다. 이후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해당 패킷들은 수신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1i-150, 1i-160)될 수 있다.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에는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수신되는 순서번호 0의 패킷(1i-70)에 대해서는 수신하는 즉시 처리되어 상위 계층에 전달(1i-170)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었을 때의 수신기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같이 패킷 중복 전송 시 PDCP 계층의 순서번호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순서 번호 0을 사용하는 방식이 도시되었다. 그러나 도 10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된 패킷을 수신하다가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된 일반적인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수신기의 PDCP 장치는 순서번호 19999의 패킷 중복 전송이 설정된 패킷(1j-10)을 수신한다. 이 패킷에 대해 재정렬이 완료되었다면 수신기는 곧바로 해당 패킷을 처리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1j-110)할 수 있다. 이후, 수신기는 순서번호 20001의 패킷 중복 전송이 설정된 패킷(1j-20)을 수신한다. 이 패킷의 수신 시점에서 순서번호 20000의 패킷이 수신되지 않았으므로, 패킷은 재정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처리되지 않고 수신기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이후에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되지 않은 순서번호 0의 패킷(1j-30)이 수신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시점에서, 수신기인 단말은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수신기는 일정 시간 동안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된 패킷을 수신하기 위해 제 1 타이머(1j-100)를 시작할 수 있다. 이후에, 순서번호 20002의 패킷(1j-40)과 순서번호 20000의 패킷(1j-50)이 수신되었다고 가정한다. 순서번호 20000의 패킷을 수신한 시점에 순서번호 20002까지의 패킷이 재정렬이 완료되었으므로, 순서번호 20000의 패킷부터 순서번호 20002의 패킷까지는 수신기의 PDCP 장치에서 처리되어 상위 계층으로 전달(1j-120, 1j-130, 1j-140)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순서번호 20002의 패킷(1j-40)의 PDCP 헤더에, 순서번호 20002 패킷이 패킷 중복 전송을 사용한 마지막 패킷임을 나타내는 엔드 마커(End Marker) (1j-45)가 삽입되었다고 가정한다. 해당 엔드마커를 수신하게 되면, 수신 PDCP 장치는 해당 패킷이 패킷 중복 전송을 사용한 마지막 패킷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해당 패킷까지의 재정렬 절차가 완료되면 더 이상 패킷 중복 전송을 위한 수신기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수신 PDCP 장치는 순서번호 20002의 패킷까지 처리한 후에는 제 1 타이머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이 때 저장되어 있는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되지 않은 패킷(1j-30)은 처리되어 상위 계층으로 전달(1j-150)될 수 있다. 제 1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종료된 이후에는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수신되는 순서번호 0의 패킷(1j-60)은 수신되는 즉시 처리되어 상위 계층에 전달(1j-160)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패킷 중복 전송의 수행 여부에 따른 송수신기 의 동작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송신기의 PDCP 계층에 도착한 패킷은 그 패킷이 처리해야 하는 QoS(Quality of Service) 요구사항을 가질 수 있다. 상술된 QoS 요구사항은 안정성 레벨(Reliability Level), 패킷 오류율(Packet Error Rate), 지연시간(Delay) 등의 성능 지표가 될 수도 있고, QoS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대표 값이 될 수도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V2X(Vehicular to Everything) 통신에서 사용하는 PPPR(Prose per Packet Reliability)에 의해 패킷 중복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V2X 통신에서는, PPPR 값이 전송되어질 패킷의 QoS 요구사항을 대표할 수 있다.
송신기의 PDCP 계층에 패킷이 도착하면 PDCP 계층에서는 해당 패킷의 PPPR 값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k-10에서, 송신기는 판단된 PPPR 값에 따라 패킷 중복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패킷의 PPPR 값이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 임계치 미만 혹은 이하일 경우, 송신기의 PDCP 계층은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패킷을 복제하지 않고 하나의 RLC 장치로만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단계 1k-20에서, 송신기는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다가 비활성화된 무선 베어러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 때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다가 비활성화 된 무선 베어러가 아니라면 해당 무선 베어러는 시작 시점부터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 때에는 PDCP 순서번호(SN, Sequence Number)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단계 1k-30에서, PDCP 순서번호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신기의 PDCP 장치에서는 재정렬, 복제 검출 기능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계 1k-40에서, 수신기는 재정렬 및 복제 검출 기능을 사용하지 ?邦? 수 있다.
그렇지 않고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다가 비활성화 된 무선 베어러라면, 수신기 동작이 변경되지 않는다면 PDCP 순서 번호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1k-50에서, PDCP 순서번호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기의 PDCP 장치에서는, 단계 1k-60에서, 재정렬 및 복제 기능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단말은 송수신부(1l-10), 프로세서(1l-20) 및 메모리(1l-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1l-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l-10)는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l-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l-20)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l-30)는 상술된 송수신부 (1l-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프로세서(1l-20)를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된 메모리(1l-30)는 상술된 프로세서(1l-2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l-3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l-30)는 복수 개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m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1m-10), 프로세서(1m-20) 및 메모리(1m-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1m-20)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1m-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m-10)는 예를 들어, 단말에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 (1m-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m-20)는 상술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m-30)는 상술된 송수신부(1m-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프로세서(1m-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의한 패킷 중복 전송의 수행 여부에 따른 무선 베어러 구조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무선 베어러(2a-10)는 하나의 PDCP 장치(2a-20)와 하나의 RLC 장치(2a-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각 RLC 장치는 논리 채널에 대응될 수 있으며, RLC1(2a-30)은 논리채널1(LCH1, Logical Channel 1)(2a-40)에 대응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무선 베어러(2a-10)에 도착하는 패킷은, PDCP 장치(2a-20)에서 패킷 복제를 하지 않고 PDCP 헤더가 추가된 후 RLC 장치(2a-3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패킷은 RLC 장치에서 RLC 헤더가 추가된 후 논리채널(2a-4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수신 RLC 장치에서는 각 MAC 서브헤더에 포함된 논리채널 ID (LCID, Logical Channel Identifier)로 각 패킷의 RLC 장치를 식별하여 해당 RLC 장치(2a-30)로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RLC 헤더가 제거된 후, 패킷은 PDCP 장치(2a-20)로 전달되어 PDCP 헤더가 제거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의 설정이나 단말 스스로의 판단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패킷 중복 전송이 활성화 될 수 있다. 이때 무선 베어러(2a-50)는 하나의 PDCP 장치(2a-60)에 두 개 이상의 RLC 장치(2a-70, 2a-8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4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RLC 장치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의 RLC 장치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 이상의 RLC 장치에 대해서도 확장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 때 각 RLC 장치는 논리채널에 대응될 수 있으며, RLC1(2a-70)는 논리채널1(2a-90)에, RLC2(2a-80)는 논리채널2(2a-100)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단말이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무선 베어러(2a-50)에 도착하는 패킷에 대해 PDCP 장치(2a-60)에서 패킷 복제가 수행되고, PDCP 헤더가 추가된 후 각각의 RLC 장치(2a-70, 2a-80)로 전달될 수 있다. 각 RLC 장치에서는 패킷에 RLC 헤더를 추가한 후 각각의 논리채널(2a-90, 2a-10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수신 RLC 장치에서는 각 MAC 서브헤더에 포함된 논리채널 ID로 각 패킷의 RLC 장치를 식별하여 해당 RLC 장치(2a-70, 2a-80)로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패킷은 RLC 헤더가 제거된 후 PDCP 장치(2a-60)로 전달되며, PDCP 헤더가 제거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패킷이 각각의 RLC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기 때문에, PDCP 장치에서는 복제 검출(Duplication Detection) 기능을 수행하여 동일한 패킷을 여러 번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 RLC 장치에서 패킷이 전달되는 시점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PDCP 장치에서는 재정렬(Reordering) 기능을 수행하여 송신 PDCP 장치에서 전송한 패킷이 순서에 맞게 수신 PDCP 장치에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복제 검출 또는 재정렬 기능을 위해서는 수신기의 PDCP 장치에서 패킷의 순서를 판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PDCP 계층의 순서번호(SN, Sequence Number)가 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PDCP 계층에서 패킷 중복을 판단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기의 PDCP 계층에 도착한 패킷은 그 패킷이 처리해야 하는 QoS(Quality of Service) 요구사항을 가질 수 있다. 상술된 QoS 요구사항은 안정성 레벨(Reliability Level), 패킷 오류율(Packet Error Rate), 지연시간(Delay) 등의 성능 지표가 될 수도 있고, QoS 요구사항을 나타내는 대표 값이 될 수도 있다. 도 15의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V2X(Vehicular to Everything) 통신에서 사용하는 PPPR(Prose per Packet Reliability)에 의해 패킷 중복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도시되었다. V2X 통신에서는 PPPR 값이 전송되어질 패킷의 QoS 요구사항을 대표할 수 있다.
단계 2b-10에서, 송신기의 PDCP 계층에 패킷이 도착하면 PDCP 계층에서는 해당 패킷의 PPPR 값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2b-20에서, 패킷의 PPPR 값과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 임계치가 비교될 수 있다.
패킷의 PPPR 값이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 임계치 이상이거나 혹은 초과하는 경우, 단계 2b-20에서, 송신기의 PDCP 계층은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송신기의 PDCP 계층은 패킷을 복제한 후 2개 이상의 RLC 계층으로 전달하여 전송하는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패킷의 PPPR 값이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 임계치 미만이거나 혹은 이하일 경우, 단계 2b-40에서, 송신기의 PDCP 계층은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송신기의 PDCP 계층은 패킷을 복제하지 않고 하나의 RLC 장치로만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에서 송수신기의 이동성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 통신에서는 송신기와 수신기 모두 이동성을 가질 수 있고, 송신기 또는 수신기의 이동으로 인해 송수신이 가능할 수도 있고 불가능할 수도 있다.
도 16의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송신기(2c-10)는 제자리에 있지만 수신기(2c-20)는 이동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시작시점에서, 수신기(2c-20)는 송신기에서 전송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없는 영역(2c-30)에 있다. 수신기(2c-20)가 계속 이동함에 따라 수신기(2c-20)는 송신기(2c-10)로부터 전송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영역(2c-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영역에서 수신기(2c-20)는 송신기(2c-10)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하게 되나, 이 때 송신기(2c-10)가 보낸 첫 패킷부터 수신하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송신기(2c-10)는 보다 이전 시점부터 패킷을 보내고 있었을 수 있지만, 수신기(2c-20)는 수신 불가능 영역(2c-30, 2c-50)에 있을 때에는 송신기(2c-10)가 전송한 패킷의 수신이 불가하고 수신 가능 영역(2c-40)에 진입한 순간부터 패킷의 수신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수신기(2c-20)가 계속 이동함에 따라, 수신기(2c-20)가 송신기(2c-10)의 수신 가능 영역(2c-40)에서 수신 불가능 영역(2c-50)으로 이동하는 동작이 도시된다. 이렇게 수신기(2c-20)가 송신기(2c-10)로부터 패킷을 받지 못하다가 받게 되는 현상은 송신기(2c-10)나 수신기(2c-20)의 이동성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지만, 수신기(2c-20)가 필요에 의해 패킷 수신을 하지 않다가 시작하게 되는 동작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PDCP 계층에서 패킷을 수신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기가 수신 가능 영역에 진입하거나 수신을 시작하는 경우(2d-10) 수신기는 송신기가 보내는 첫번째 패킷부터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순서번호 39999의 패킷(2d-20)부터 수신하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이 경우 수신기는 순서번호 39999의 패킷(2d-20)부터 처리하여야 한다.
도 17의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순서번호 40000의 패킷(2d-30), 순서번호 40001의 패킷(2d-40), 순서번호 40002의 패킷(2d-50)을 수신하였다고 가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순서번호가 할당된 패킷(2d-20, 2d-30, 2d-40, 2d-50)은 패킷 중복이 활성화 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순서번호가 할당된 패킷(2d-20, 2d-30, 2d-40, 2d-50)은 암호화를 하였거나 재정렬 동작이 필요할 때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순서번호 39999의 패킷(2d-20) 이후 수신기가 순서대로 패킷을 수신하는 동작이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패킷 중복 전송, 분할 베어러(Split Bearer) 등의 이유로 수신기가 반드시 순서대로 패킷을 수신한다고 보장할 수 없으며, 본 개시는 이러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PDCP 계층에서 수신을 시작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기가 수신 가능 영역에 진입하거나 수신을 시작하는 경우 수신기는 송신기가 보내는 첫번째 패킷부터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8의 실시예에서는, 수신기의 PDCP 장치가 처음 수신하는 패킷이 순서번호 40000의 패킷(2e-10)인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이 때 수신기의 PDCP 장치는 송신기에서 순서번호 40000의 패킷 이전에 전송한 패킷을 기다리기 위해서 제 1 타이머(2e-50)를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 수신한 순서번호 40000의 패킷(2e-10), 순서번호 39999의 패킷(2e-20), 순서번호 40001의 패킷(2e-30)은 처리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지 않고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타이머는 재정렬 타이머이거나 별도로 정의된 타이머가 될 수도 있다. 제 1 타이머의 길이는 단말이 임의로 정한 값이거나, 기지국이 사전에 설정한 값일 수 있다.
이후에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수신기의 PDCP 장치는 저장된 패킷들을 재정렬 한 후 상위계층에 전달(2e-110, 2e-120, 2e-130)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패킷들을 기반으로 수신 PDCP 장치의 변수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의 PDCP 장치는 Last_Submitted_PDCP_RX_SN를 이 때 상위 계층으로 전달했던 가장 최근 PDCP 순서번호인 40001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Next_PDCP_RX_SN을 다음에 순서대로 도착할 것으로 예상하는 40002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방법의 변수 업데이트 방식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후에 순서번호 40002의 패킷(2e-40)이 도착할 경우 수신기의 PDCP 장치는 패킷을 수신 PDCP 동작에 따라 처리한 후 상위 계층으로 전달(2e-140)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의 PDCP 장치는 첫 번째 도착하는 패킷인 순서번호 40000의 패킷이 도착하는 시점에 제 1 타이머를 시작하면서, Next_PDCP_RX_SN을 첫번째 도착하는 패킷의 순서번호에 1을 더한 값인 40001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의 PDCP 장치는 재정렬을 위한 Reordering_PDCP_RX_COUNT를 Next_PDCP_RX_SN과 HFN 값을 사용하여 계산한 값인 COUNT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Last_Submitted_PDCP_RX_SN 값은 첫번째 도착하는 패킷의 순서번호인 40000보다 일정 수만큼 앞선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ast_Submitted_PDCP_RX_SN 값은 첫 번째 도착하는 패킷의 순서번호인 40000에서 10000을 뺀 30000으로 설정 될 수도 있다. 이 때 제 1 타이머 만료 후 변수 업데이트 동작은 수신 PDCP의 재정렬 동작에 의해 진행될 수 있으며, 도 18의 결과와 일치한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PDCP 계층에서 수신을 시작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기가 수신 가능 영역에 진입하거나 수신을 시작하는 경우, 수신기는 송신기가 보내는 첫번째 패킷부터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9의 실시예에서는, 수신기의 PDCP 장치가 처음 수신하는 패킷이 순서번호 40000의 패킷(2f-10)인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이 때 순서번호 40000의 패킷(2f-10)이 수신을 시작할 때 정상적으로 수신한 패킷인지, 혹은 기존 수신 시에 유효기간이 지난(Outdated) 패킷인지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 PDCP 수신 윈도우를 벗어난 패킷이 도착했을 때, 수신기의 PDCP 장치는 사전에 지정된 시간(2f-100)만큼 해당 무선 베어러에 패킷이 수신되지 않는 상태가 지속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사전에 지정된 시간은 단말이 임의로 정한 시간이거나 시스템의 디폴트(Default) 설정 시간이거나 기지국에서 설정해 준 값일 수 있다.
만약 패킷을 수신했을 때 이전 일정 시간 동안 패킷 수신이 없는 경우, 수신기의 PDCP 장치는 송신기에서 순서번호 40000의 패킷 이전에 전송한 패킷을 기다리기 위해서 제 1 타이머(2f-50)를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작 수신한 순서번호 40000의 패킷(2f-10), 순서번호 39999의 패킷(2f-20), 순서번호 40001의 패킷(2f-30)은 처리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지 않고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 1 타이머는 재정렬 타이머이거나 별도로 정의된 타이머가 될 수도 있다. 제 1 타이머의 길이는 단말이 임의로 정한 값이거나, 기지국이 사전에 설정한 값일 수 있다.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수신기의 PDCP 장치는 저장된 패킷들을 재정렬 한 후 상위계층에 전달(2f-110, 2f-120, 2f-130)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패킷들을 기반으로 수신 PDCP 장치의 변수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의 PDCP 장치는 Last_Submitted_PDCP_RX_SN를 이 때 상위 계층으로 전달했던 가장 최근 PDCP 순서번호인 40001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수신기의 PDCP 장치는 Next_PDCP_RX_SN을 다음에 순서대로 도착할 것으로 예상하는 40002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만약 제 1 타이머로 재정렬 타이머를 사용한다면 처음 도착하는 패킷, 다시 말해 순서번호 40000의 패킷(2f-10)의 도착 시점에, Reordering_PDCP_RX_COUNT를 순서 번호 40001과 HFN을 사용한 COUNT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방법의 변수 업데이트 방식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후에 순서번호 40002의 패킷(2f-40)이 도착할 경우 수신기의 PDCP 장치는 이 패킷을 수신 PDCP 동작에 따라 처리한 후 상위 계층으로 전달(2f-140)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의 PDCP 장치는 첫 번째 도착하는 패킷인 순서번호 40000의 패킷이 도착하는 시점에 제 1 타이머를 시작하면서, Next_PDCP_RX_SN을 첫 번째 도착하는 패킷의 순서번호에 1을 더한 값인 40001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의 PDCP 장치는 재정렬을 위한 Reordering_PDCP_RX_COUNT를 Next_PDCP_RX_SN과 HFN 값을 사용하여 계산한 값인 COUNT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Last_Submitted_PDCP_RX_SN 값은 첫번째 도착하는 패킷의 순서번호인 40000보다 일정 수만큼 앞선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ast_Submitted_PDCP_RX_SN 값은 첫 번째 도착하는 패킷의 순서번호인 40000에서 10000을 뺀 30000으로 설정 될 수도 있다. 이 때 제 1 타이머 만료 후 변수 업데이트 동작은 수신 PDCP의 재정렬 동작에 의해 진행될 수 있으며, 도 19의 결과와 일치한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PDCP 계층에서 수신을 시작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의 실시예에서, 수신 PDCP 장치가 순서번호 40000의 패킷(2g-10)을 수신했을 때 이 패킷이 정상적으로 수신한 패킷인지 기존 수신 시에 유효기간이 지난(Outdated) 패킷인지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 수신기의 PDCP 장치는 PDCP 수신 윈도우를 벗어난 패킷이 도착했을 때 사전에 지정된 시간(2g-100)만큼 해당 무선 베어러에 패킷이 수신되지 않는 상태가 지속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사전에 지정된 시간은 단말이 임의로 정한 시간이거나 시스템의 디폴트(Default) 설정 시간이거나 기지국에서 설정해 준 값일 수 있다.
만약 패킷을 수신했을 때 이전 일정 시간 동안 패킷 수신이 없을 때, 수신기의 PDCP 장치는 일정 시간 동안 패킷 수신이 없었던 시간 이후, 가장 먼저 수신한 패킷을 처리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에서 순서번호 40000의 패킷(2g-10)을 처리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2g-110)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패킷을 기반으로 수신 PDCP 장치의 변수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의 PDCP 장치는 Last_Submitted_PDCP_RX_SN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했던 가장 최근 PDCP 순서번호인 40000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수신기의 PDCP 장치는 Next_PDCP_RX_SN을 다음에 순서대로 도착할 것으로 예상하는 40001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방법의 변수 업데이트 방식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후에 순서번호 39999의 패킷(2g-20)이 도착할 경우, 이 패킷은 Last_Submitted_PDCP_RX_SN 값보다 낮은 값이기 때문에 수신 PDCP 장치에서 삭제(2g-120)될 수 있다. 한편 순서번호 40001의 패킷(2g-30)이 도착할 경우, 수신기의 PDCP 장치는 수신 PDCP 동작에 따라 처리한 후 상위 계층으로 전달(2g-130)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PDCP 장치에서 패킷을 전송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송신기와 수신기가 패킷 중복 전송이나 암호화 등의 목적으로 순서 번호를 사용할 경우, 순서 번호는 지정된 순서 번호의 최대값을 초과할 수 없을 수 있다.
도 21의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16-비트 순서 번호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되었고, 따라서 최대 순서번호 값은 2^16-1=65535로 가정되었다. 따라서 도 21의 실시예에서, 순서번호가 65535를 초과하는 경우 순서 번호를 초기화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순서번호의 랩어라운드(Wrap around), 다시 말해 순서번호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기능을 갖추지 않았을 경우 송신기는 임의로 순서 번호를 초기화할 수 없을 수 있다.
도 21의 실시예에서는 순서 번호의 최대치에 도달했을 때에 다른 식별자를 사용하여 순서번호를 시작하는 실시예가 제시되었다.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기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순서번호는 제 1 식별자를 사용하여 전송하고(2h-10, 2h-20, 2h-30), 새롭게 시작하는 순서번호는 제 2 식별자를 사용하여 전송(2h-40, 2h-50, 2h-60, 2h-70)할 수 있다. 이처럼, 무선 베어러에 대한 식별자를 바꾸면서 다시 순서번호를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1 식별자 또는 제 2 식별자는 단말의 논리 채널 ID, 무선 베어러 ID, 제2계층 ID 등이 될 수 있다. 도 21의 실시예에서는 순서번호를 0부터 시작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패킷 중복 전송을 사용하는 경우 등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순서번호를 1부터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PDCP 장치에서 패킷을 전송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송신기와 수신기가 패킷 중복 전송이나 암호화 등의 목적으로 순서 번호를 사용할 경우, 순서 번호가 지정된 순서 번호의 최대값을 초과할 수 없을 수 있다. 도 22의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16-비트 순서 번호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되었고, 따라서 최대 순서번호 값은 2^16-1=65535로 가정되었다. 따라서 순서번호가 65535를 초과하는 경우 순서 번호를 초기화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순서번호의 랩어라운드(Wrap around), 다시 말해 순서번호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기능을 갖추지 않았을 경우 송신기는 임의로 순서번호를 초기화할 수 없을 수 있다.
도 22의 실시예에서는 순서 번호의 최대치에 도달했을 때에 다른 식별자를 사용하여 순서번호를 시작하는 실시예가 제시되었다.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기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순서번호는 제 1 식별자를 사용하여 전송하고(2i-10, 2i-20, 2i-30), 새롭게 시작하는 순서번호는 제 2 식별자를 사용하여 전송(2i-40, 2i-50, 2i-60, 2i-70)할 수 있다. 이처럼, 무선 베어러에 대한 식별자를 바꾸면서 다시 순서번호를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1 식별자 또는 제 2 식별자는 단말의 논리 채널 ID, 무선 베어러 ID, 제2계층 ID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제 2 식별자를 사용하는 전송을 한다고 했을 때, 식별자의 변경만으로 해당 베어러가 이전 식별자를 사용한 전송과 같은 무선 베어러라고 확신할 수 없다. 따라서, 도 22의 실시예에서는 PDCP 헤더에 해당 패킷의 전송이 식별자가 변경된 전송임을 나타내는 필드(2i-100, 2i-110, 2i-120, 2i-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필드가 설정되어 있다면, 수신 PDCP 장치는 해당 패킷이 전송된 무선 베어러가 예전에 사용하던 무선 베어러와 동일하고 순서번호의 초기화를 위해 식별자가 제 2 식별자로 변경된 것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22의 실시예에서는 순서번호를 0부터 시작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패킷 중복 전송을 사용하는 경우 등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순서번호를 1부터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PDCP 장치에서 패킷을 전송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송신기와 수신기가 패킷 중복 전송이나 암호화 등의 목적으로 순서 번호를 사용할 경우, 순서 번호가 지정된 순서 번호의 최대값을 초과할 수 없을 수 있다. 도 23의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16-비트 순서 번호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되었고, 따라서 최대 순서번호 값은 2^16-1=65535로 가정되었다. 따라서 순서번호가 65535를 초과하는 경우 순서 번호를 초기화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순서번호의 랩어라운드(Wrap around), 다시 말해 순서번호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기능을 갖추지 않았을 경우 송신기는 임의로 순서번호를 초기화할 수 없을 수 있다.
도 23의 실시예에서는 순서 번호의 최대치에 도달했을 때에 다른 식별자를 사용하여 순서번호를 시작하는 실시예가 제시되었다.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기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순서번호는 제 1 식별자를 사용하여 전송하고(2j-10, 2j-20, 2j-30), 새롭게 시작하는 순서번호는 제 2 식별자를 사용하여 전송(2j-40, 2j-50, 2j-60, 2j-70)할 수 있다. 이처럼, 무선 베어러에 대한 식별자를 바꾸면서 다시 순서번호를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1 식별자 또는 제 2 식별자는 단말의 논리 채널 ID, 무선 베어러 ID, 제2계층 ID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제 2 식별자를 사용하는 전송을 한다고 했을 때 식별자의 변경만으로 해당 베어러가 이전 식별자를 사용한 전송과 같은 무선 베어러라고 확신할 수 없다. 따라서, 도 23의 실시예에서는 제 2 식별자를 사용한 전송 전에 식별자 변경(2j-100) 메시지를 수신기에게 전송하여, 수신기에서 식별자 변경을 통한 순서번호 초기화를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 PDCP 장치는 해당 패킷이 전송된 무선 베어러가 예전에 사용하던 무선 베어러와 동일하고 순서번호의 초기화를 위해 식별자가 제 2 식별자로 변경된 것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23의 실시예에서는 순서번호를 0부터 시작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패킷 중복 전송을 사용하는 경우 등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순서번호를 1부터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PDCP 장치의 패킷 수신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기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한 무선 베어러의 순서번호가 최대값에 도달했을 때, 송신기는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 등으로 순서번호를 초기화 할 수 있다.
도 24의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제 1 식별자를 사용하여 순서번호 65533의 패킷(2k-10)과 순서번호 65534의 패킷(2k-20)이 전송된 경우가 가정된다. 이 때 수신기에서는 패킷이 순서대로 도착하였기 때문에, 수신기 PDCP 장치는 수신한 즉시 처리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2k-110, 2k-120) 할 수 있다. 이후, 순서번호 1의 패킷(2k-30)이 제 2 식별자를 사용하여 도착할 수 있다. 하지만 수신기는 이 때 제 1 식별자를 사용한 패킷이 더 이상 도착하지 않을 것인지 확신할 수 없다. 따라서, 수신 PDCP 장치는 순서번호 1의 패킷(2k-30)을 곧바로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기 PDCP 장치는 제 2 식별자를 사용한 패킷의 도착시점에 일정 시간 길이의 제 1 타이머(2k-100) 를 시작할 수 있다. 수신기 PDCP 장치는 이 타이머의 만료 시점까지는 제 2 식별자를 사용한 패킷을 처리하지 않고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순서번호 1의 패킷이 도착한 이후에 순서번호 0의 패킷(2k-40)이 도착할 수 있다. 이 패킷 역시 타이머의 만료 전에 도착하였기 때문에 처리되지 않고 저장될 수 있다. 이후에 순서번호 65535의 패킷(2k-50)이 도착하면, 이 패킷은 제 1 식별자를 사용하여 전송된, 순서번호가 초기화 되기 이전의 패킷이기 때문에, 도착한 즉시 처리(2k-130)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 패킷은 재정렬을 완료한 후에 처리될 수 있다.
수신기 PDCP 장치는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저장되어 있던 제 2 식별자를 사용하여 전송된 패킷을 처리하여 상위 계층에 전달(2k-140, 2k-150)할 수 있다. 제 1 타이머는 재정렬 타이머이거나 별도로 정의된 타이머가 될 수도 있다. 제 1 타이머의 길이는 단말이 임의로 정한 값이거나, 기지국이 사전에 설정한 값일 수 있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PDCP 장치의 패킷 수신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기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한 무선 베어러의 순서번호가 최대값에 도달했을 때, 송신기는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 등으로 식별자 변경 메시지를 사용하여 순서번호를 초기화 할 수 있다.
도 25의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제 1 식별자를 사용하여 순서번호 65533의 패킷(2l-10)과 순서번호 65534의 패킷(2l-20)이 전송된 경우가 가정된다. 이 때 수신기에서는 패킷이 순서대로 도착하였기 때문에 수신한 즉시 처리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2l-110, 2l-120) 할 수 있다. 이후, 수신기 PDCP 장치에 식별자 변경 메시지가 도착할 수 있다. 이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기는 이후에 도착할 제 2 식별자를 사용한 패킷들이 동일한 데이터에 대해 순서 번호 초기화를 한 패킷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식별자 변경 메시지의 도착 시점에, 수신기 PDCP 장치는 일정 시간 길이의 제 1 타이머(2l-25) 를 시작할 수 있다. 수신기 PDCP 장치는 이 타이머의 만료 시점까지는 제 2 식별자를 사용한 패킷을 처리하지 않고 저장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순서번호 1의 패킷(2l-30)이 도착한 이후에 순서번호 0의 패킷(2l-40)이 도착할 수 있다. 이 패킷 역시 타이머의 만료 전에 도착하였기 때문에 처리되지 않고 저장될 수 있다. 이후에 순서번호 65535의 패킷(2l-50)이 도착하면, 이 패킷은 제 1 식별자를 사용하여 전송된, 순서번호가 초기화되기 이전의 패킷이기 때문에, 도착한 즉시 처리(2l-130)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 패킷은 재정렬을 완료한 후에 처리될 수 있다.
수신기 PDCP 장치는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저장되어 있던 제 2 식별자를 사용하여 전송된 패킷을 처리하여 상위 계층에 전달(2l-140, 2l-150)할 수 있다. 제 1 타이머는 재정렬 타이머이거나 별도로 정의된 타이머가 될 수도 있다. 제 1 타이머의 길이는 단말이 임의로 정한 값이거나, 기지국이 사전에 설정한 값일 수 있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m을 참고하면, 단말은 송수신부(2m-10), 프로세서(2m-20) 및 메모리(2m-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의 통신 방법에 따라, 단말의 송수신부(2m-10), 프로세서(2m-20) 및 메모리(2m-30)가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단말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2m-10), 프로세서(2m-20) 및 메모리(2m-3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2m-2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송수신부(2m-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2m-10)는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2m-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2m-10)의 일 실시예일뿐이며, 송수신부(2m-10)의 구성 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2m-30)는 상술된 송수신부 (2m-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프로세서(2m-20)를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m-30)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m-30)는 단말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m-3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m-30)는 복수 개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2m-30)는 빔 기반 협력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n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2n-10), 프로세서(2n-20) 및 메모리(2n-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2n-20)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다만, 기지국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2n-10), 프로세서(2n-20) 및 메모리(2n-3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 (2n-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2n-10)는 예를 들어, 단말에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n-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n-20)는 상술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n-30)는 상술된 송수신부 (2n-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프로세서 (2n-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n-30)는 기지국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n-3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n-30)는 복수 개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2n-30)는 빔 기반 협력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 상의 별도의 저장 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술된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다른 시스템, 예를 들어 LTE 시스템, 5G 또는 NR 시스템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전송 엔티티(entity)로부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PDCP 데이터는 상기 단말이 수신 가능 영역에 진입한 이후에 처음으로 수신된 것인, 단계;
    상기 PDCP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에 무선 베어러(bearer)에 관한 PDCP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되, 상기 무선 베어러는 상기 전송 엔티티와 연관된 것인, 단계;
    상기 시간 구간 동안에 상기 무선 베어러에 관한 상기 PDCP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PDCP 재정렬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처음으로 수신된 PDCP 데이터의 SN(sequence number)의 값이 0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수신될 PDCP 데이터의 예측된 SN을 지시하는 Next_PDCP_RX_SN 변수의 값을 상기 처음으로 수신된 PDCP 데이터의 상기 SN의 상기 값에 제1 설정 값을 더한 것과 연관된 값으로 설정하되, 상기 제1 설정 값은 1인 것인, 단계, 및
    상위 계층에게 전달되는 마지막 PDCP 데이터의 SN을 지시하는 Last_Submitted_PDCP_RX_SN 변수의 값을 상기 처음으로 수신된 PDCP 데이터의 상기 SN의 상기 값으로부터 제2 설정 값만큼 뺀 것과 연관된 값으로 설정하되, 상기 제2 설정 값은 1보다 큰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엔티티로부터, 상기 PDCP 재정렬 타이머가 구동 중인 동안에, 상기 처음으로 수신된 PDCP 데이터의 상기 SN의 상기 값보다 작은 값을 갖는 SN을 갖는 PDCP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PDCP 재정렬 타이머가 정지(stop)한 경우에, 상기 처음으로 수신된 PDCP 데이터 및 상기 PDCP 재정렬 타이머가 구동 중인 동안에 수신된 상기 PDCP 데이터를 재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상위 계층에게, 상기 처음으로 수신된 PDCP 데이터 및 상기 PDCP 재정렬 타이머가 구동 중인 동안에 수신된 상기 PDCP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Next_PDCP_RX_SN 변수의 상기 값을 사용하여, Reordering_PDCP_RX_COUNT 변수의 값을 설정하되, 상기 Reordering_PDCP_RX_COUNT 변수는 상기 PDCP 재정렬 타이머에 의해 사용되는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DCP 데이터는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 스킴(scheme)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 엔티티로부터 전송되는,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전송 엔티티(entity)로부터,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PDCP 데이터는 상기 단말이 수신 가능 영역에 진입한 이후에 처음으로 수신된 것이고,
    상기 PDCP 데이터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에 무선 베어러(bearer)에 관한 PDCP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되, 상기 무선 베어러는 상기 전송 엔티티와 연관된 것이며,
    상기 시간 구간 동안에 상기 무선 베어러에 관한 상기 PDCP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PDCP 재정렬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처음으로 수신된 PDCP 데이터의 SN(sequence number)의 값이 0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수신될 PDCP 데이터의 예측된 SN을 지시하는 Next_PDCP_RX_SN 변수의 값을 상기 처음으로 수신된 PDCP 데이터의 상기 SN의 상기 값에 제1 설정 값을 더한 것과 연관된 값으로 설정하되, 상기 제1 설정 값은 1인 것이며,
    상위 계층에게 전달되는 마지막 PDCP 데이터의 SN을 지시하는 Last_Submitted_PDCP_RX_SN 변수의 값을 상기 처음으로 수신된 PDCP 데이터의 상기 SN의 상기 값으로부터 제2 설정 값만큼 뺀 것과 연관된 값으로 설정하되, 상기 제2 설정 값은 1보다 큰 것인, 단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전송 엔티티로부터, 상기 PDCP 재정렬 타이머가 구동 중인 동안에, 상기 처음으로 수신된 PDCP 데이터의 상기 SN의 상기 값보다 작은 값을 갖는 SN을 갖는 PDCP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PDCP 재정렬 타이머가 정지(stop)한 경우에, 상기 처음으로 수신된 PDCP 데이터 및 상기 PDCP 재정렬 타이머가 구동 중인 동안에 수신된 상기 PDCP 데이터를 재정렬하며,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상위 계층에게, 상기 처음으로 수신된 PDCP 데이터 및 상기 PDCP 재정렬 타이머가 구동 중인 동안에 수신된 상기 PDCP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Next_PDCP_RX_SN 변수의 상기 값을 사용하여, Reordering_PDCP_RX_COUNT 변수의 값을 설정하되, 상기 Reordering_PDCP_RX_COUNT 변수는 상기 PDCP 재정렬 타이머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PDCP 데이터는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 스킴(scheme)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 엔티티로부터 전송되는, 단말.
KR1020180110469A 2018-09-14 2018-09-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625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469A KR102625142B1 (ko) 2018-09-14 2018-09-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
EP19860848.1A EP3837813B1 (en) 2018-09-14 2019-09-16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ck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9/011916 WO2020055209A1 (en) 2018-09-14 2019-09-16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ck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980060300.XA CN112703707B (zh) 2018-09-14 2019-09-16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传输分组的方法和装置
US16/571,821 US20200092944A1 (en) 2018-09-14 2019-09-16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ck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8/297,395 US12232220B2 (en) 2018-09-14 2023-04-07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ck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469A KR102625142B1 (ko) 2018-09-14 2018-09-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448A KR20200031448A (ko) 2020-03-24
KR102625142B1 true KR102625142B1 (ko) 2024-01-15

Family

ID=6977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469A Active KR102625142B1 (ko) 2018-09-14 2018-09-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200092944A1 (ko)
EP (1) EP3837813B1 (ko)
KR (1) KR102625142B1 (ko)
CN (1) CN112703707B (ko)
WO (1) WO20200552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616A1 (en) * 2017-03-09 2018-09-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packet communication over a local network using a local packet replication procedure
BR112022015576A2 (pt) * 2020-03-05 2022-09-27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s realizados por um dispositivo de transmissão, de retransmissão e de destino e para transmitir e receber um pacote, programa de computador,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e, dispositivos de transmissão, de retransmissão e de destino
US11765555B1 (en) 2020-10-20 2023-09-1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enhancement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WO2023106066A1 (ja) * 2021-12-06 2023-06-15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2936A1 (en) * 2016-03-07 2017-09-1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nfigurable mapping of quality of service class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86494B (zh) * 2008-09-22 2012-07-0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分组数据汇聚协议层处理数据包的方法和装置
CN106063324B (zh) * 2014-01-28 2019-10-11 寰发股份有限公司 重排序pdcp封包的方法以及用户设备
WO2015163593A1 (en) 2014-04-22 2015-10-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received pdcp pdus for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6820850B2 (ja) 2014-12-18 2021-01-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pdcpリオーダリングタイマーを再設定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WO2017034175A1 (en) * 2015-08-21 2017-03-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lte-wlan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20170113768A (ko) * 2016-03-24 2017-10-13 주식회사 케이티 Lwa 환경에서 베어러 구성 방법 및 장치
WO2018127842A1 (en) * 2017-01-06 2018-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ssless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sequence number change
KR102016728B1 (ko) * 2017-01-06 2019-09-02 주식회사 케이티 데이터 중복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0448386B2 (en) 2017-01-06 2019-10-15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dundant data transmission
EP4114112A1 (en) 2017-01-13 2023-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pack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33327B1 (ko) * 2017-01-16 2021-1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202279B2 (en) 2017-01-16 2021-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73773B2 (en) * 2017-08-07 2020-06-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handling state variables of a PDCP ent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JP6838114B2 (ja) * 2018-09-10 2021-03-03 華碩電腦股▲ふん▼有限公司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サイドリンク重複受信の初期化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2936A1 (en) * 2016-03-07 2017-09-1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nfigurable mapping of quality of service cla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448A (ko) 2020-03-24
WO2020055209A1 (en) 2020-03-19
US20230247722A1 (en) 2023-08-03
US20200092944A1 (en) 2020-03-19
EP3837813A1 (en) 2021-06-23
CN112703707B (zh) 2024-08-06
CN112703707A (zh) 2021-04-23
US12232220B2 (en) 2025-02-18
EP3837813B1 (en) 2023-11-08
EP3837813A4 (en)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256266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71905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24259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eedback-based ethernet header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2919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중복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00221526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establishing pdc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66493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2514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0003256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64557B1 (ko) Dual Connectivity 지원 망에서 RRC_IDLE 상태 단말을 위한 SN(Secondary Node)에서의 V2X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22010284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9246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0096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eedback-based ethernet header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1496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rlc 계층 장치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8304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1566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2단계 랜덤 엑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11973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iscontinuous reception val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3450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500634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ac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03646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조건부 핸드오버 설정을 사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2096387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3005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45934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1002073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3685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필요에 따라 전송 가능한 하향 링크 포지셔닝 기준 신호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210039864A (ko)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 Configured Grant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9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