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600B1 - Ballon cathether for medical treatment - Google Patents
Ballon cathether for medical treat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5600B1 KR102625600B1 KR1020210190711A KR20210190711A KR102625600B1 KR 102625600 B1 KR102625600 B1 KR 102625600B1 KR 1020210190711 A KR1020210190711 A KR 1020210190711A KR 20210190711 A KR20210190711 A KR 20210190711A KR 102625600 B1 KR102625600 B1 KR 1026256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low
- balloon
- catheter tube
- tube
- medical treat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61M25/1034—Joining of shaft and ballo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5—Connections between catheter tubes and inflation tu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02—Intraluminal radiation therap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7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radio-opaque markers in the region of the ballo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radiation therap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02—Intraluminal radiation therapy
- A61N2005/1003—Intraluminal radiation therapy having means for centering a radioactive source within the lumen, e.g. ballo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92—Details
- A61N2005/1094—Shielding, protecting agains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는, 중공형 튜브의 벽을 따라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통로와 연통하며 상기 벽 외부로 개구되는 공기유입구 및 공기유출구가 형성된 중공형 카테터 튜브;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유입구 및 공기통로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재; 및 상기 공기유출구가 형성된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타단부 측 외주를 감싸며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유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에 의해 팽창하는 벌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벌룬 부재는 바닥부를 가지는 통 형상부이고, 상기 바닥부 내측면 상에 결합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통 형상부와 결합돌출부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타단부가 상기 간격에 삽입되도록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가 상기 벌룬 부재의 통 형상부에 삽입 결합될 때,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중공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벌룬 부재의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통 형상부가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 타단부를 밀폐하여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catheter tube in which an air passage is formed along the wall of the hollow tube, and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re formed that communicate with the air passage and open to the outside of the wall; An air injection member coupled to one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and injecting air into the air inlet and air passage; And a balloon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where the air outlet is formed, coupled to the hollow catheter tube, and inflated by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wherein the balloon member has a bottom portion. It is a cylindrical part, and a coupling protrusion is protruding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ylindrical part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hollow catheter tube is inserted into the gap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is inserted into the gap. When the catheter tube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ylindrical part of the balloon member, the engaging protrusion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hollow of the hollow catheter tube, and the bottom of the balloon member and the cylindric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are inserted into the hollow. It is characterized by sealing and covering the other end of the type catheter tub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alloon catheters for medical treatment.
보다 상세하게는 전립선암이나 자궁암 등의 방사선 치료 등의 의료 치료 시에 사람의 생식기로 삽입되어 치료 대상 조직을 고정시키기 위한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that is inserted into a person's genitals and fixes the tissue to be treated during medical treatment such as radiation treatment for prostate cancer or uterine cancer.
전립선염,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 암 등의 남성 질환시에 전립선 또는 그 부근의 조직을 고정하기 위하여 단부에 벌룬 부재를 구비한 벌룬 카테터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자궁암 등의 여성 질환의 방사선 치료 등의 의료 치료에 있어서도, 여성 생식기를 통하여 삽입되어 치료 대상 조직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벌룬 카테터가 사용되고 있다.A balloon catheter equipped with a balloon member at the end is used to fix the tissue in or around the prostate during male diseases such as prostatitis, prostatic hypertrophy, and prostate cancer. Additionally, in medical treatment such as radiation therapy for female diseases such as uterine cancer, a balloon catheter is used to insert through the female genital tract and fix the tissue to be treated.
예컨대, 전립선 암이나 자궁암 등의 방사선 치료 시에 종양 주변의 건강한 조직에 방사선이 가해질 경우 해당 부위가 방사능에 피폭되어 매우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치료대상인 종양이 있는 조직에 대해서 정확하게 방사선을 주사하고, 그 외의 조직은 방사선 피폭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방사선 치료 외에 다른 의료적 치료 내지 처치를 하는 경우에도, 치료 대상 조직을 직접 고정하거나 치료 대상 조직의 주변을 고정하여 치료 대상 조직을 간접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벌룬 카테터가 사용되고 있다. 벌룬 카테터는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벌룬 부재를 카테터 일단에 구비하고 있어 요도 등의 생식기로 삽입된 카테터가 치료 대상 조직에 근접하였을 때, 상기 벌룬 부재를 팽창시켜 치료 대상 조직 또는 그에 인접한 조직을 벌룬의 압력에 의해서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의료진은 예컨대 종양이 존재하는 조직에 대해서 방사선 치료 등을 행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during radiation treatment for prostate cancer or uterine cancer, if radiation is applied to healthy tissue around the tumor, the area may be exposed to radiation and cause very serious side eff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inject radiation into the tissue containing the tumor to be treated and protect other tissues from radiation exposure. In addition, even when performing medical treatments or treatments other than radiation therapy, balloon catheters are used to directly fix the tissue to be treated or to indirectly fix the tissue to be treated by fixing the surroundings of the tissue to be treated. The balloon catheter has a balloon member at one end of the catheter that is inflated by air injection, and when the catheter inserted into the genitals such as the urethra approaches the tissue to be treated, the balloon member is inflated to balloon the tissue to be treated or the tissue adjacent to it. It can be fixed by pressing it with pressure. Accordingly, medical staff can perform radiation treatment, for example, on tissue where a tumor exists.
도 1은 본 출원인이 제안한 종래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1)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1)의 벌룬 부재(30)의 팽창 모습을 나타내는 일례이고, 도 3은 도 1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1)의 벌룬 부재(30)의 팽창 모습을 나타내는 다른 예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1)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and Figure 2 is an example showing the expansion of the balloon member 30 of the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1) of Figure 1. , FIG. 3 is another example showing the expansion of the balloon member 30 of the balloon catheter 1 for medical treatment in FIG. 1.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제안한 벌룬 카테터(1)는, 중공형 튜브의 벽을 따라 공기통로(12)가 형성된 중공형 카테터 튜브(10)와, 상기 카테터 튜브(1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공기주입부재(20) 및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의 타단부 측 외주를 감싸며 결합하는 벌룬 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도 1(a) 참조).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중공형 카테터 튜브(10)의 길이를 줄여서 나타내었지만, 실제 상기 카테터 튜브(10)의 길이는 환자의 생식기에 삽입되어 치료 대상조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길이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the balloon catheter 1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coupled to a hollow catheter tube 10 with an air passage 12 formed along the wall of the hollow tube and one end of the catheter tube 10. It is provided with an air injection member 20 and a balloon member 30 that surrounds and couples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 (see FIG. 1(a)).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a hollow catheter is provided. Although the length of the tube 10 is shown to be short, the actual length of the catheter tube 10 may be longer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patient's genitals and access the tissue to be treated.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는 중공(11) 주위의 튜브 벽에 공기통로(12)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통로(12)는 카테터 튜브벽을 관통하여 개구된 공기유입구(12b) 및 공기유출구(12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기통로(12)의 양단부에도 개구(12a,12d)가 형성되어 있다.The hollow catheter tube 10 has an air passage 12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wall around the hollow 11, and the air passage 12 is an air inlet that penetrates the catheter tube wall. (12b) and an air outlet (12c). Openings 12a and 12d are also formed at both ends of the air passage 12.
상기 공기주입부재(20)는,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튜브 결합부(21)와, 상기 튜브 결합부(21)와 소정 각도를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 부재 결합부(22)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 부재 결합부(22)에는 소정의 밸브 부재(23)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밸브 부재 결합부(22)에는 상기 공기통로(12)의 공기유입구(12b)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관(22a)이 내장되어 상기 밸브 부재(23)를 통하여 상기 공기주입관(22a)-공기유입구(12b)-공기통로(12)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공기주입부재(20)가 중공형 카테터 튜브(10)에 결합된 상태로 나타내었다.The air injection member 20 combines a tube coupling portion 21 coupled to one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 and a valve member integrally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tube coupling portion 21. It is provided with unit 22. A predetermined valve member 23 is coupled to the valve member coupling portion 22. In addition, the valve member coupling portion 22 is equipped with an air injection pipe 22a for injecting air into the air inlet 12b of the air passage 12, and the air injection pipe 22a is provided through the valve member 23. ) - Air inlet (12b) - Air can be injected into the air passage (12).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in FIG. 1, the air injection member 20 is shown coupled to the hollow catheter tube 10.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의 타단부 측에는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를 감싸며 결합되는 벌룬 부재(30)와,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타단부와 벌룬 부재(30)의 개구를 밀봉하며 결합되는 마개 부재(40)가 위치한다. At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 a balloon member 30 is coupled to surround the hollow catheter tube 10, and seals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and the opening of the balloon member 30. A stopper member 40 to be coupled is located.
상기 벌룬 부재(30)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 원통형 내로 중공형 카테터 튜브(10)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도 1(b) 참조). 상기 벌룬 부재(30)에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가 끼워진 후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벌룬 부재(30)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 외주면 사이에 소정 길이만큼 접착제(T)를 도포한다. 접착제(T) 도포시 상기 접착제(T)가 소정 길이 이상으로 벌룬 부재(30)의 내주면과 카테터 튜브(10) 외주면 사이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벌룬 부재(30)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상기 소정 길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오링(50)을 각각 끼운 다음,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의 벌룬 부재(30)와 카테터 튜브(10) 사이로 예컨대 주사기로 접착제(T)를 주사하여 벌룬 부재(30)의 상하 단부를 카테터 튜브(10)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시킨다. 결합 후에 오링(50)은 제거된다.The balloon member 3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 is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hollow cylindrical shape (see FIG. 1(b)). In order to ensure airtightness after the hollow catheter tube 10 is inserted into the balloon member 30, a predetermined length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alloon member 3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 Apply adhesive (T) as much as necessary. When applying the adhesive (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balloon member (30) is placed to prevent the adhesive (T)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lloon member (3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theter tube (10) beyond a predetermined length. After inserting the O-rings 50 into each, adhesive T is injec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alloon members 30 and the catheter tube 10 using, for example, a syringe,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alloon member 30 are connected to the catheter tube 10. ) is tightly bon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fter joining, the O-ring 50 is removed.
이후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의 중공에 마개 부재(40)의 돌출부(41)가 끼워져 결합된다. 마개 부재(40)는 반구형의 마개부 본체와 상기 마개부 본체로부터 돌출된 돌출부(41)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41)가 상기 중공에 끼워져 결합될 때 상기 마개부재(40)가 상기 벌룬 부재(30) 및 중공형 카테터 튜브(10)의 타단부의 단면을 덮어 밀봉한다. 상기 마개부 본체의 바닥면과 상기 카테터 튜브(10)의 단부면, 그리고 마개부재의 돌출부(41) 외주면과 상기 중공 내주면은 접착제(T)로 기밀하게 접착된다(도 1(c) 참조).Thereafter, the protrusion 41 of the stopper member 4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 and coupled thereto. The stopper member 40 has a hemispherical stopper body and a protrusion 41 protruding from the stopper main body, and when the protrusion 41 is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coupled, the stopper member 40 is connected to the balloon member. (30) and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 are covered and seale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pper body, the end surface of the catheter tube 10,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trusion 41 of the stopper member, and the hollow inner peripheral surface are airtightly bonded with an adhesive T (see Figure 1(c)).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벌룬 카테터(1)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balloon catheter 1 had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도 2와 같이, 벌룬 부재(30)에 중공형 카테터 튜브(10)를 삽입하고 기밀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벌룬 부재(3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소정 길이만큼 접착제(T)를 주사로 주입하는 작업이 각각 필요하였다.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벌룬 부재(30)가 팽창하는 풍선부(B)가 되며, 이 부분으로 접착제(T)가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부와 하단부의 풍선부 경계 부분에 오링(50)을 각각 끼우고 접착제(T)를 주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오링 부착 및 접착제 주사작업은 그 자체로 번거로워 공수 및 제조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작업자에 따라 상기 접착제 도포 길이가 설정된 소정 길이와 상이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First, as shown in FIG. 2, in order to insert and airtightly couple the hollow catheter tube 10 to the balloon member 30, adhesive T is inject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alloon member 30. Each task was required. The balloon member 30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becomes the expanding balloon part B, and in order to prevent the adhesive T from being injected into this part, the balloon part boundar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is as described above. Each O-ring (50) was inserted and adhesive (T) was injected. However, this O-ring attachment and adhesive injection operation itself was cumbersome, causing an increase in man-hours and manufacturing costs. Addition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dhesive application length differs from the predetermined length depending on the operator.
둘째, 벌룬 부재(30)와 중공형 카테터 튜브(10)를 접착한 후, 마개 부재(40)의 돌출부(41)를 벌룬 부재(30) 및 카테터 튜브(10) 타단부에 끼워 밀봉하였다. Second, after adhering the balloon member 30 and the hollow catheter tube 10, the protrusion 41 of the stopper member 40 wa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balloon member 30 and the catheter tube 10 and sealed.
그러나, 이 경우 마개 부재(40)와 벌룬 부재(30) 사이로 공기가 누설될 우려가 있었다. 공기 누설 방지를 위하여 마개 부재(40) 등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벌룬 부재(30)와 접착하는 경우에도 마개 부재(40)는 벌룬 부재(30)와 별개의 부품이므로, 반복 사용에 따라 상기 부품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공기 누설이 될 위험성이 존재하였다.However, in this case, there was a risk of air leaking between the stopper member 40 and the balloon member 30. In order to prevent air leakage, even when adhesive is applied to the stopper member 40 and the like to adhere it to the balloon member 30, the stopper member 40 is a separate part from the balloon member 30, so there may be a difference between the parts due to repeated use. There was a risk of air leakage due to a gap occurring.
셋째, 상기 마개 부재(40)는 별도 부품으로 성형하여 제작하여야 했으므로, 부품수가 증가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였다.Third, since the stopper member 40 had to be manufactured by molding it as a separate part, the number of parts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d.
넷째, 상기 마개 부재(40)에는 황산 바륨 등의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을 포함시켜 벌룬 카테터(1)를 전립선 등에 삽입하여 방사선 등으로 투과하여 관찰할 경우, 상기 마개 부재(40)가 상기 카테터(1)의 끝단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그런데, 도 2와 같이 벌룬 부재(30) 하단부의 접착제(T) 도포 길이가 작업자에 따라 상이할 경우, 풍선부(B)의 크기, 팽창 형상도 그 도포 길이에 따라 상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벌룬 카테터(1)의 품질이 상이하여 풍선부(B) 크기나 형상이 달라지면, 대상 조직의 고정을 상기 벌룬 부재(30)로 균일하게 행할 수 없으므로, 의료 시술을 정확하게 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마개 부재(40) 끝단부와 풍선부(B) 간의 간격도 카테터(1)에 따라 달라지므로, 벌룬 카테터(1)의 위치 결정도 균일하게 행할 수 없는 위험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풍선 내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벌룬 부재(30)의 풍선이 상기 접착제(T) 도포지점 끝단부에 눌려 도 3과 같이 우측으로 치우쳐서 팽창되거나 반대로 좌측으로 치우쳐서 팽창되는 등 일정한 형태로 팽창되지 않아 대상 조직의 고정이 곤란한 경우가 발생한다.Fourth, the stopper member 40 contains a radiopaque component such as barium sulfate, so that when the balloon catheter 1 is inserted into the prostate, etc. and observed through radiation, etc., the stopper member 40 is inserted into the catheter 1. ) is an indicat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end. However, as shown in FIG. 2, when the application length of the adhesive T at the lower end of the balloon member 30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operator, the size and expansion shape of the balloon part B also vary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length. In this way, if the quality of the balloon catheter 1 is different and the size or shape of the balloon portion B is different, the target tissue cannot be fixed uniformly with the balloon member 30, making it difficult to perform the medical procedure accurately.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topper member 40 and the balloon portion B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catheter 1, there is a risk that positioning of the balloon catheter 1 may not be performed uniformly.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pressure applied within the balloon, the balloon of the balloon member 30 is not inflated in a certain shape, such as being pressed against the end of the adhesive (T) application point and inflated to the right or conversely to the left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re are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fix the target tissu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서, 중공형 카테터 튜브와 벌룬 부재의 결합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조 공수 및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that can reduce manufacturing man-hours and costs by simplify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a hollow catheter tube and a balloon member.
또한, 본 발명은 공기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중공형 카테터 튜브 타단부 외주와 벌룬 부재 내주면의 접착제 도포부를 삭제하여, 벌룬 부재의 팽창 형태를 균일화하고 벌룬 부재 끝단부와 팽창되는 풍선 부분의 간격을 일정하게 한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prevents air leakage and eliminates the adhesive application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oon member, thereby uniformizing the inflation shape of the balloon member and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end of the balloon member and the inflated balloon por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는, 중공형 튜브의 벽을 따라 공기통로가 형성된 중공형 카테터 튜브;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통로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재; 및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타단부 측 외주를 감싸며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통로를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하는 벌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벌룬 부재는 바닥부를 가지는 통 형상부이고, 상기 바닥부 내측면 상에 결합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통 형상부와 결합돌출부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타단부가 상기 간격에 삽입되도록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가 상기 벌룬 부재의 통 형상부에 삽입 결합될 때,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중공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벌룬 부재의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통 형상부가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 타단부를 밀폐하여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catheter tube in which an air passage is formed along the wall of the hollow tube; An air injection member coupled to one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to inject air into the air passage; and a balloon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coupled to the hollow catheter tube, and inflated by air injected through the air passage, wherein the balloon member is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bottom. A coupling protrusion is protruding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ylindrical part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hollow catheter tube is insert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is inserted into the gap. When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balloon member, the engaging protrusion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hollow of the hollow catheter tube, and the bottom of the balloon member and the cylindric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are connected to the hollow catheter tube. The other end is sealed and covered.
하나의 예로서, 상기 벌룬 부재의 바닥부는,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타단부로 개구되는 상기 공기통로를 밀폐한다.As one example, the bottom portion of the balloon member seals the air passage opening to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벌룬 부재의 통 형상부의 상단부 내주면은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 외주면과 접착되고, 상기 벌룬 부재의 바닥부 내측면 및 결합돌출부의 외주면은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 타단부의 단부면 및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중공 내주면과 각각 접착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balloon member is adher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catheter tub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balloon member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are the end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and the Each may be adhered to the hollow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catheter tube.
하나의 예로서, 상기 벌룬 부재의 바닥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As one example, at least one of the bottom of the balloon memb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 may include a radiopaque component.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중공을 형성하는 내주원이 상기 카테터 튜브의 외주원에 대하여 편심되게 배치되어, 상기 카테터 튜브의 튜브 벽 두께가 상기 내주원의 둘레를 따라 변화하고,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내주원과 외주원의 간격이 가장 먼 부분의 두꺼운 튜브 벽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편심된 내주원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벌룬 부재의 바닥부 내측면에서 편심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편심된 내주원의 중공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inner circumference forming the hollow of the hollow catheter tube is disposed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atheter tube, so that the tube wall thickness of the catheter tube chang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ce, The air passage is formed along the thick tube wall at the part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is furthest,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eccentrical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balloon member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eccentric inner circumference. Thus, the coupling protrusion can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hollow of the eccentric inner circumference.
다른 예로서,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중공을 형성하는 내주원이 상기 튜브의 외주원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되되, 상기 내주원의 일부에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카테터 튜브의 내주원의 중공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nner circumference forming the hollow of the hollow catheter tube is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ube, and a protrusion protruding radially inward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ce, and the air passage is It is formed on the protrus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ha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on one side. As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coupling protrusion can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hollow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theter tube. .
하나의 예로서, 상기 결합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바닥부를 향하여 점차 두꺼워져, 상기 통 형상부와 상기 결합돌출부 사이 간격은 상기 바닥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질 수 있다.As one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engaging protrusion may gradually increase toward the bottom, and the gap between the cylindrical portion and the engaging protrusion may gradually decrease toward the bottom.
다른 예로서, 상기 통 형상부의 내주면이 길이방향 양단부로부터 길이방향 중간부를 향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선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통 형상부의 길이방향 양단부로부터 길이방향 중간부를 향하여 상기 통 형상부의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것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is formed to draw a convex curved line outward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middl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tubular portion gradually increases from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tubular portion toward the middl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be thinning.
상기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의 벌룬 부재 바닥부의 외측면은 반구형의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balloon member of the medical treatment balloon catheter may be formed as a hemispherical protrusion.
다른 예로서, 상기 바닥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 통 형상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외측 통 형상부에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을 포함하는 표지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n outer cylindrical portion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labeling member containing a radiopaque component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ylindrical portion.
상기 표지부재의 외측 통 형상부 결합면의 반대측 상부면은 평탄면 또는 반구형의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opposite to the outer cylindrical part engaging surface may be formed as a flat surface or a hemispherical protrusion.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 조직을 고정하는 카테터의 벌룬 부재를, 바닥부를 가지는 통 형상부로 구성하고 상기 바닥부와 통 형상부로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타단부를 밀폐하여 덮음으로써 공기가 누설될 위험성을 제거하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oon member of the catheter that fixes the target tissue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bottom, and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is sealed and covered with the bottom and the cylindrical portion to eliminate the risk of air leakage. did.
또한, 바닥부를 가지는 벌룬 부재를 제안함으로써, 마개 부재 없이도 카테터 제조가 가능하므로, 부품수를 저감하고 제조공정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다.Additionally, by proposing a balloon member having a bottom,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catheter without a stopper member,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greatl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뿐만 아니라, 중공형 카테터 튜브 타단부 외주측의 접착제 도포 없이 벌룬 부재의 결합돌출부와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결합으로 벌룬 부재를 중공형 카테터 튜브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접착제 도포 길이의 차이에 따른 풍선부 팽창 불균일의 문제를 제거하였다. In addition, by allowing the balloon member to be coupled to the hollow catheter tube by combining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balloon member and the hollow catheter tube without applying adhesiv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dhesive application length as in the past. The problem of non-uniform expansion of the balloon portion was eliminat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에 의하면, 풍선부 팽창을 균일하게 하고 카테터 단부의 위치 결정을 보다 정확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의료 시술의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niformly inflate the balloon portion and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catheter,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accuracy of medical procedure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출원인이 제안한 종래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의 벌룬 부재의 팽창 모습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도 3은 도 1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의 벌룬 부재의 팽창 모습을 나타내는 다른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룬 부재의 팽창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B-B', C-C'선을 따른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의 요부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의 요부를 반분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부재의 팽창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D-D', E-E', F-F'선을 따른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룬 부재와 표지부재의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도 12의 변형예에 따른 벌룬 부재와 표지부재의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변형예에 따른 벌룬 부재의 팽창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FIG. 2 is an example showing the expansion of the balloon member of the medical treatment balloon catheter of FIG. 1.
Figure 3 is another example showing the expansion of the balloon member of the medical treatment balloon catheter of Figure 1.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expanded state of a ballo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taken along lines A-A', B-B', and C-C' of FIG. 6.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of the embodiment of Figure 8 divided in half.
Figure 10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expanded state of the balloon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8.
FIG.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taken along lines D-D', E-E', and F-F' of FIG. 6.
Figure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alloon member and a label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alloon member and a label membe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Figur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expanded state of the balloon member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FIG. 13.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며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shown as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dimensions of som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는, 환자의 치료 대상 조직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공형 카테터 튜브에 결합되는 벌룬 부재를 바닥부를 가지는 통 형상부로 구성하고, 이 바닥부 내측면 상에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에 결합되는 결합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벌룬 부재와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상호 끼움 결합만으로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타단부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fixing the tissue to be treated in a patient, and the balloon member coupled to the hollow catheter tube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bottom, and the hollow catheter is plac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By forming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atheter tube,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can be completely sealed only by fitting the balloon member and the hollow catheter tube to each other.
이에 의하여 벌룬 부재와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결합과정이 대폭 간소화되고, 벌룬 부재의 풍선부의 팽창 형태도 균일하게 할 수 있어, 조립 공수 및 제조비용을 감소할 수 있으며, 의사의 시술 정확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balloon member and the hollow catheter tube is greatly simplified, and the inflation shape of the balloon portion of the balloon member can be made uniform, thereby reducing assembly man-hours and manufacturing costs, and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doctor's procedure. there i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벌룬 부재의 팽창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 B-B', C-C'선을 따른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의 측단면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expansion of the balloon member, and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along lines A-A', B-B', and C-C' of FIG. 6.
본 실시예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1000)는, 중공형 튜브의 벽을 따라 공기통로(120)가 형성된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통로(120)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재(200); 및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타단부 측 외주를 감싸며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통로(120)를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하는 벌룬 부재(300)를 포함한다.The balloon catheter 1000 for medical treatment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hollow catheter tube 100 in which an air passage 120 is formed along the wall of the hollow tube; An air injection member (200) coupled to one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d injecting air into the air passage (120); And a balloon member 300 that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s coupled to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d expands with air injected through the air passage 120. do.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는 유도봉(R)이 삽입되는 중공 통로(110)와 상기 중공 주위의 튜브 벽을 따라 관통 형성된 공기통로(1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중공 통로(110)의 일단에는 유도봉(R)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111)가 형성되고 타단에도 개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로(120)는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벽을 따라 관통 형성되고 양단이 개구되어 있다. 상기 개구(121,124) 중 유도봉(R)이 삽입되는 측의 개구(121)는 접착제에 의해서 밀봉되어 있다. 상기 공기통로(120)는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로(120)와 연통하여 카테터 튜브벽을 관통하여 상기 튜브벽 외부로 개구되는 공기유입구(122) 및 공기유출구(123)가 카테터 튜브(100)의 일단부 측과 타단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길이를 줄여서 나타내었지만, 실제 상기 카테터 튜브(100)의 길이는 환자의 생식기에 삽입되어 치료 대상조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길이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어 구부러지는 연질 소재로 되어 있다. 따라서, 사람의 생식기에 벌룬 카테터(1000)를 삽입할 경우에는 유도봉(R)을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중공부(중공 통로(110))에 삽입하고 상기 유도봉(R)을 잡고 카테터 튜브(100)를 밀어서 치료 대상 조직까지 상기 벌룬 카테터(1000)를 전진시킬 수 있다(도 5 참조).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has a hollow passage 110 into which the guide rod (R) is inserted and an air passage 120 formed through the tube wall around the hollow. An opening 111 through which the guide rod (R) can be inserte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ollow passage 110, and an opening 112 is formed at the other end. The air passage 120 is formed along the wall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d is open at both ends. Among the openings 121 and 124, the opening 121 on the side where the guide rod R is inserted is sealed with an adhesive. The air passage 12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 air inlet 122 and an air outlet 123 that communicate with the air passage 120 and penetrate the catheter tube wall and open to the outside of the tube wall will be formed 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atheter tube 100. You can. Although the length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s shortene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the actual length of the catheter tube 100 can be made longer to allow access to the tissue to be treated when inserted into the patient's genitals. there is.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s made of a soft material that has flexibility and can be bent. Therefore, when inserting the balloon catheter 1000 into the human genital organ, the guide rod (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hollow passage 110)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d the guide rod (R) is The balloon catheter 1000 can be advanced to the tissue to be treated by holding and pushing the catheter tube 100 (see Figure 5).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유입구(122) 및 공기통로(120)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재(20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n air injection member 200 tha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 and injects air into the air inlet 122 and the air passage 120.
상기 공기주입부재(200)는,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튜브 결합부(210)와, 상기 튜브 결합부(210)와 소정 각도를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 부재 결합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튜브 결합부(210)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공기유입구(122)가 형성된 일단부 측이 상기 튜브 결합부(210)에 동심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공기주입부재(200)는, 밸브 부재(230))가 결합되는 밸브 부재 결합부(220)와 튜브 결합부(210)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튜브 결합부(210)와 밸브 부재 결합부(420)를 별도로 끼우거나 체결하는 결합과정이 필요 없다. 이로 인하여 상기 공기주입부재(200)의 튜브 결합부(210)에 중공 카테터 튜브(100)를 결합하고 상기 밸브 부재 결합부(220)에 밸브 부재(230)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공기주입부재(200)의 결합을 한번에 끝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벌룬 부재(300)의 구성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공기주입부재(200)의 구성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중공 카테터 튜브(100)의 공기유입구(122)로 효율적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부재라면, 상기 튜브 결합부(210)와 밸브 부재 결합부(220)가 별도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The air injection member 200 combines a tube coupling portion 210 coupled to one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d a valve member integrally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tube coupling portion 210. A unit 220 may be provided. The tube coupling portion 21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one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where the air inlet 122 is formed is concentrically fitted and coupled to the tube coupling portion 210. Since the air injection member 20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valve member coupling portion 220 and the tube coupling portion 210 to which the valve member 230 is coupled, the tube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valve member coupling portion ( 420),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joining or fastening process. For this reason, the air injection member 200 can be assembled by simply coupling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to the tube coupling portion 210 of the air injection member 200 and coupling the valve member 230 to the valve member coupling portion 220. ) can be completed at once. 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balloon member 300, and does not specifically limit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injection member 200. That is, if it is a member that can efficiently inject air into the air inlet 122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the tube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valve member coupling portion 220 are configured separately and coupled to each other. Even if it is configured, it is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공기주입부재(200)는, 상기 튜브 결합부(210)와 상기 밸브 부재 결합부(220)를 연통시키는 연통로를 상기 공기주입부재(200)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벌룬 카테터(1000)는 밸브 부재(230)로부터 벌룬 부재(300)로의 공기 이동과정에서 공기가 외부로 누설될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튜브 결합부(210), 밸브 부재 결합부(220) 및 연통로(공기주입관(221))가 모두 공기주입부재(20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카테터 튜브(100)의 공기통로(120)의 공기유입구(122) 측을 상기 연통로에 연이어지도록 상기 카테터 튜브(100)를 상기 공기주입부재(200)의 튜브 결합부(210)에 결합하고 밸브 부재(230)를 상기 공기주입부재(200)의 밸브 부재 결합부(220)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결합작업을 매우 간소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ir injection member 200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path inside the air injection member 200 that communicates the tube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valve member coupling portion 220. Therefore, the balloon catheter 1000 of this embodiment can reduce the risk of air leaking to the outside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air from the valve member 230 to the balloon member 300. Additionally, as described above, the tube coupling portion 210, the valve member coupling portion 220, and the communication passage (air injection pipe 221) are all formed integrally with the air injection member 200. Therefore, for example, the catheter tube 100 is connected to the tube coupling portion 210 of the air injection member 200 so that the air inlet 122 side of the air passage 120 of the catheter tube 10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assage. By simply coupling the valve member 230 to the valve member coupling portion 220 of the air injection member 200, the coupling operation can be simplified and air leakage can be prevented at the same time.
한편, 상기 밸브 부재 결합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 결합부(21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 부재 결합부(220)에 결합된 밸브 부재(230) 및 밸브 부재 결합부(220)에 형성된 공기주입관(221)이 중공 카테터 튜브(100)의 공기통로(120) (의 공기유입구(122))를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 부재(230)로 상기 공기 유입구(122)를 아래로 하여 하향으로 공기 주입시(즉, 도 4에서 밸브 부재(230) 측을 상향으로 위치시켜 공기 주입시)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공기유입구(122)로 아래를 향하여 주입할 수 있고, 공기가 밸브 부재(23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밸브 부재(230)가 구비한 체크밸브 자체의 역류 방지기능과 상기 밸브 부재 결합부(220)가 소정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진 구성에 의하여 공기의 역류 방지기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밸브 부재(230)는, 공기의 흐름을 벌룬 카테터(1000)의 벌룬 부재(300) 측으로만 흐르게 하고 그 반대방향으로 흐름을 차단하는 체크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밸브 부재(230)의 일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기구(예컨대 시린지(S))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이러한 체크밸브 및 체크밸브를 구비한 밸브 본체의 구성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valve member coupling portion 22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tube coupling portion 210, as shown in FIG. 4 . Accordingly, the valve member 230 coupled to the valve member coupling portion 220 and the air injection pipe 221 formed in the valve member coupling portion 220 are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120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t is dispos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air inlet 122. Therefore, when air is injected downward through the valve member 230 with the air inlet 122 facing down (i.e., when air is injected by positioning the valve member 230 side upward in FIG. 4), air is injected more quickly. It can be injected downward through the air inlet 122, and ai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oward the valve member 230. That is, the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of the check valve itself provided in the valve member 230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valve member coupling portion 220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can further strengthen the air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For reference, the valve member 230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not shown) that allows air to flow only toward the balloon member 300 of the balloon catheter 1000 and blocks the flow in the opposite direction. Air may be injected into one end of the valve member 230 using an air injection device (eg, syringe S), as shown in FIG. 5 . Since the configuration of such a check valve and the valve body provided with the check valve is known,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is specification.
공기주입부재(200)와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를 기밀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주입부재(200)의 튜브 결합부(210) 상단부의 내주면과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 내주면 사이에 접착제를 주사기로 주사하여 접착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airtightly couple the air injection member 200 and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 adhesive is plac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tube coupling portion 210 of the air injection member 2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Can be adhered by injecting with a syringe.
상기 공기유출구(123)가 형성된 카테터 튜브(100)의 타단단부 측에는 벌룬 부재(300)가 구비된다. 상기 벌룬 부재(300)는 연질의 가요성 부재(예컨대, 가요성 실리콘)로 이루어져 있어 벌룬 부재(300)로의 공기 주입시 팽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벌룬 부재(300)는 상기 카테터 튜브(100)의 타단부 측 외주를 감싸며 상기 카테터 튜브(100)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유출구(123)로부터 배출된 공기에 의해 팽창된다. A balloon member 30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atheter tube 100 where the air outlet 123 is formed. The balloon member 300 is made of a soft flexible member (eg, flexible silicone) and can expand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balloon member 300. The balloon member 300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end of the catheter tube 100 and is coupled to the catheter tube 100, and is inflated by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123.
본 발명의 벌룬 부재(300)는 종래와 같이 중공이 관통 형성된 원통형의 튜브 형태가 아니라, 바닥부(320)를 가지는 통 형상부(310)로 구성된다. 즉,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중공 원통형 튜브를 중공형 카테터 튜브에 끼워 결합하고 마개 부재로 다시 밀봉하는 구조가 아니라, 상기 바닥부(320)를 가지는 통 형상부(310)에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벌룬 부재(300)의 통 형상부(310)와 이로부터 연장되는 바닥부(320)가 카테터 튜브(100)의 타단부를 완전히 밀폐하여 덮는 구조이다. 따라서, 마개 부재로 다시 밀봉할 필요가 없어 마개 부재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부품수가 감소되고 해당 부품의 조립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통 형상부(310)와 바닥부(320)가 카테터 튜브(100)의 타단부를 완전히 밀폐하므로, 종래와 같이 마개 부재와 벌룬 부재 사이로 공기가 누설될 가능성이 없다.The balloon memb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tube with a hollow formed through it as in the prior art, but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portion 310 having a bottom portion 320. That is, as shown in Figures 1 to 3, rather than a structure in which a hollow cylindrical tube is fitted and coupled to a hollow catheter tube and resealed with a stopper member, the hollow catheter is attached to the cylindrical part 310 having the bottom part 320.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tube 100 is inserted and comb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rical portion 310 of the balloon member 300 and the bottom portion 320 extending therefrom completely seal and cover the other end of the catheter tube 100.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re-seal with a stopper member, so there is no need to manufacture a separate stopper member. Accordingly,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and the assembly process for the parts can be omitted. Additionally, since the cylindrical portion 310 and the bottom portion 320 completely seal the other end of the catheter tube 100, there is no possibility of air leaking between the stopper member and the balloon member as in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의 벌룬 부재(300)는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와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통 형상부(310)의 바닥부(320) 내측면 상에 결합돌출부(330)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돌출부(330)는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중공(112)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벌룬 부재(300)를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에 보다 강고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돌출부(330)를 상기 중공(112)에 기밀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합돌출부(330)는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중공(112) 내주 형상에 대응되는 외주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lloon memb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33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320 of the cylindrical portion 310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upling with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 Since the coupling protrusion 330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hollow 112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the balloon member 300 is more firmly coupled to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330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hollow 112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330 can be airtightly coupled to the hollow 112. .
또한, 상기 통 형상부(310)와 결합돌출부(330) 사이, 즉 결합돌출부 주위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격을 통하여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타단부가 삽입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타단부가 상기 간격에 삽입되면서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가 벌룬 부재(300)의 통 형상부(310)에 삽입 결합될 때, 동시에 상기 벌룬 부재 바닥부(320)의 결합돌출부(330)가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중공(112)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벌룬 부재(300)와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를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타단부가 상기 벌룬 부재의 바닥부(320)의 내측면(321)에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결합되면, 상기 바닥부(320)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통 형상부(310)가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를 완전히 밀폐하여 덮게 되므로, 카테터 튜브(100) 타단부를 통하여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ylindrical portion 31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30, that is, around the coupling protrusion.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s inserted through this gap.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s inserted into the gap and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ylindrical portion 310 of the balloon member 300. At the same time, the coupling protrusion 330 of the balloon member bottom 320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hollow 112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thereby forming the balloon member 300 and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 can be reliably combined. When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s coup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321 of the bottom 320 of the balloon member, the bottom 320 and the cylindrical shape extending from the bottom are formed. Since the portion 310 completely seals and covers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air from leaking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catheter tube 100.
그리고,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타단부의 끝단면(101)이 상기 벌룬 부재의 바닥부(320)에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결합되면, 상기 타단부로 개구되는 상기 공기통로(120)도 상기 바닥부(320)(의 내측면(321)에 의하여 밀폐되므로, 상기 공기통로의 개구(124)도 밀봉된다. And, when the end surface 101 of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s coupl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320 of the balloon member, the air passage 120 opening to the other end also Since the inner surface 321 of the bottom 320 is sealed, the opening 124 of the air passage is also sealed.
한편,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 타단부와 반대측의 상기 벌룬 부재 상단부 내주면도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 외주면과 기밀하게 접착된다. 즉,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타단부를 벌룬 부재(300)의 통 형상부(310)에 삽입시킨 후, 도 4의 오링(400)을 벌룬 부재(300) 상단부의 일정 위치에 끼우고 상기 벌룬 부재(300) 상단부 내주면과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 내주면 사이에 예컨대 주사기로 접착제(T)를 주사하여 벌룬 부재(300) 상단부와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를 접착할 수 있다. 접착 후에 상기 오링(400)은 제거된다.Meanwhil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lloon member on the opposite side to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s also airtightly adher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That is, after inserting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310 of the balloon member 300, the O-ring 400 of FIG. 4 is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position at the upper end of the balloon member 300. The upper end of the balloon member 300 and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can be bonded to each other by injecting adhesive T between the upp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lloon member 3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using, for example, a syringe. After adhesion, the O-ring 400 is removed.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벌룬 부재(300)의 상단부와 하단부(바닥부(320))가 모두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와 기밀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공기통로(120)로 주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유출구(123)를 통하여 상기 벌룬 부재(30)의 상하단부 사이의 통 형상부(310)로 배출되어 이 부분의 통 형상부를 팽창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벌룬 부재(30) 상하단부 사이의 통 형상부(310)가 풍선부(B)가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oth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bottom part 320) of the balloon member 300 are airtightly coupled to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so that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passage 120 is discharged to the cylindrical portion 310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alloon member 30 through the air outlet 123, thereby expanding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is portion. That is, the cylindrical portion 310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alloon member 30 becomes the balloon portion B.
상기 결합돌출부(330)의 위치 및 형태 등은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중공 형태 또는 공기통로(120)의 위치 등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30 may vary depending on the hollow shape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or the location of the air passage 120.
본 실시형태는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중공(112)이 편심되게 배치된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This embodiment assumes a case where the hollow 112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s eccentrically disposed.
즉,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중공(112)을 형성하는 내주원(C1)이 상기 카테터 튜브(100)의 외주원(C2)에 대하여 편심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편심으로 배치한 이유는 상기 공기통로(120)를 카테터 튜브(100)의 벽에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내주원(C1)이 외주원(C2)에 대하여 편심 배치되므로, 상기 카테터 튜브(100)의 벽 두께는 상기 내주원(C1)의 둘레를 따라 변화한다. 상기 공기통로(120)는 상기 내주원(C1)과 외주원의 간격이 가장 먼 부분, 즉 내주원(C1)의 둘레를 따라 벽 두께가 가장 두꺼운 부분의 튜브 벽(101)에 형성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S. 4 to 7, the inner circumference C1 forming the hollow 112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s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ce C2 of the catheter tube 100. It is placed. The reason for this eccentric arrangement is to secure space for forming the air passage 120 on the wall of the catheter tube 100. Since the inner circumferential circle (C1) is disposed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circle (C2), the wall thickness of the catheter tube 100 chang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circle (C1). The air passage 120 is formed in the tube wall 101 at the part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circle C1 and the outer circle is the farthest, that is, at the part where the wall thickness is thickes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le C1.
이에 따라 상기 벌룬 부재(300)의 바닥부(320)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330)도 상기 카테터 튜브(100)의 편심된 내주원(C1)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벌룬 부재(300)의 바닥부 내측면(321)에 편심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카테터 튜브(100)의 중공을 형성하는 내주원(C1)과 상기 벌룬 부재(300)의 결합돌출부(330)가 정합되는 위치에 놓여지므로, 상기 결합돌출부(330)를 상기 중공(112)에 기밀하게 끼워 결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upling protrusion 330 formed on the bottom 320 of the balloon member 300 also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eccentric inner circumference C1 of the catheter tube 100. It is formed eccentrically on the inner surface 321. That is, since the inner circumferential circle C1 forming the hollow of the catheter tube 10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30 of the balloon member 300 are positioned in alignment, the coupling protrusion 330 is connected to the hollow 112. ) can be airtightly joined.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벌룬 부재(300)와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접착과정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벌룬 부재(300)의 통 형상부(310)에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를 삽입시키기 전에, 상기 벌룬 부재(300)의 바닥부 내측면(321) 및 결합돌출부(330)의 외주면, 또는 이와 접촉하게 될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 타단부의 단부면(101) 및 중공(112) 내주면에 접착제(T)를 도포한다. 접착제(T)는 결합되는 벌룬 부재(300)의 바닥부(320)와 결합돌출부(330)에만 도포하거나, 혹은 상기 바닥부(320)와 접하는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단부면(101) 및 결합돌출부와 접촉하는 중공(112) 내주면 측에만 도포하거나, 혹은 벌룬 부재(300)와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양측 모두에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조립 및 접착작업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상기 결합돌출부(330)가 삽입되는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중공(112) 내주면과 카테터 튜브(100)의 타단부 단부면(101)에 접착제(T)를 도포하고 여기에 상기 벌룬 부재(300)를 끼워 조립하는 것이 편리하다. 도 6에서 굵은 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접착제 도포부(T)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룬 부재(300)의 통 형상부(310)와 결합돌출부(330) 사이의 간격에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가 끼워져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벌룬 부재(300)의 결합돌출부(330)가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중공(112)에 삽입결합되면, 접착제(T)에 의하여 상기 벌룬 부재(300)의 바닥부 내측면(321) 및 결합돌출부(330)의 외주면은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 타단부의 단부면(101) 및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중공(112) 내주면과 접착제(T)에 의해서 각각 강고하게 접착된다. Referring to FIGS. 4 and 6, the adhesion process of the balloon member 300 and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before inserting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310 of the balloon member 300, the bottom inner surface 321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30 of the balloon member 300 ), or the end surface 101 of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112 that will be in contact with it, (T) is applied. The adhesive (T) is applied only to the bottom 32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30 of the balloon member 300 to be coupled, or to the end surface 101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n contact with the bottom 320.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only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112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or to both sides of the balloon member 300 and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However, considering the ease of assembly and adhesion work, adhesive is appli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112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330 is inserted and the end surface 101 of the other end of the catheter tube 100. It is convenient to apply (T) and assemble it by inserting the balloon member 300 thereon. The portion indicated by a thick line in FIG. 6 is the adhesive application portion (T). As shown in FIG. 6,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gap between the cylindrical portion 31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30 of the balloon member 300, and at the same time, the balloon member 300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33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hollow 112 of the hollow catheter tube, the inner surface 321 of the bottom of the balloon member 30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30 are formed by the adhesive T. The end surface 101 of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112 of the hollow catheter tube are each firmly adher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T.
이후, 상기 벌룬 부재(300)의 통 형상부(310)의 상단부 내주면과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 외주면 사이에 예컨대 주사기 등에 의해서 접착제를 주사하여 소정길이 만큼 접착제(T)를 도포한다. 이에 의하여, 벌룬 부재(300)의 상단부와 바닥부가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와 기밀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단부와 바닥부 사이의 벌룬 부재(풍선부(B))가 공기주입에 의해 팽창하게 된다. Thereafter, the adhesive T is applied to a predetermined length by injecting the adhesive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310 of the balloon member 30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using, for example, a syringe. By this, the upper end and the bottom of the balloon member 300 are airtightly coupled to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d the balloon member (balloon part B)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bottom is expanded by air injection. .
상기 벌룬 부재(300)의 바닥부(320) 및 상기 결합돌출부(330) 중 적어도 하나는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을 포함한다.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1000)를 전립선 등에 삽입하여 시술할 경우, 시술 대상 조직으로 카테터(1000)를 위치시키고 카테터의 끝단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벌룬 부재(300)의 바닥부(320) 또는 이에 연결된 결합돌출부(330) 또는 이 모두에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바륨(황산 바륨), 요오드, 텅스텐,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결합돌출부(330) 부분에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이 포함되어 짙은 색으로 상기 결합돌출부(330)를 표시하고 있다. At least one of the bottom portion 32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portion 330 of the balloon member 300 includes a radiopaque component. When inserting the balloon catheter 1000 for medical treatment into the prostate, etc., the bottom 320 or A radiopaque component may be includ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330 or both connected thereto. Such radiopaque components may include, for example, barium (barium sulfate), iodine, tungsten, or a resin containing one or more of these. In Figures 4 and 5, the coupling protrusion 330 is displayed in dark color because the coupling protrusion 330 contains a radio-opaque component.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벌룬 부재의 팽창 과정을 설명한다.5 and 6, the expansion process of the ballo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의 벌룬 부재들(300)는 바닥부(320)를 가지는 통 형상부(310)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320)에 결합돌출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The balloon members 300 of FIG. 6 are formed as a cylindrical portion 310 having a bottom 320, and a coupling protrusion 330 is formed on the bottom 320.
도 5 및 도 6(a)의 벌룬 부재 바닥부(320)의 외측면(322)은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6(b)와 같이 벌룬 부재 바닥부의 외측면(322)을 반구형의 돌출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벌룬 부재 바닥부(320)가 반구형 돌출부(322)로 구성되면, 벌룬 부재의 바닥부 외측면(322)을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에 끼워 넣을 때 상기 외측면(322)을 가압하여 결합하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 반구형 돌출부에 의해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1000)의 단부면이 둥글고 부드럽게 마감되므로, 인체에 삽입시 내부 조직에 상처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도 6(a)와 같이 벌룬 부재 바닥부(320)를 평탄면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벌룬 부재의 재질을 실리콘과 같이 부드러운 재질로 하여 내부 조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벌룬 부재의 바닥부(320)는 결합돌출부(330)와 함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1000)의 끝단 위치를 표지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표지 기능을 위하여 상기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을 필요한 양만큼, 또한 필요한 두께만큼 포함할 필요가 있다. The outer surface 322 of the bottom portion 320 of the balloon member in FIGS. 5 and 6(a) is formed as a flat surface. However, as shown in FIG. 6(b), the outer surface 322 of the bottom of the balloon member may be formed as a hemispherical protrusion. In this way, when the bottom part of the balloon member 320 is composed of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322, when the outer surface 322 of the bottom part of the ballo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the outer surface 322 is pressed. This makes it easy to combine. In addition, the end surface of the balloon catheter 1000 for medical treatment is rounded and smooth due to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internal tissues when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Of course, even when the bottom portion 320 of the balloon member is formed as a flat surface as shown in FIG. 6(a), damage to the internal tissue can be prevented by making the balloon member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 The bottom portion 320 of the balloon member, together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330, functions to mark the end position of the balloon catheter 1000 for medical treatment. Therefore, for the labeling function,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radiopaque component in the required amount and at the required thickness.
도 5와 같이,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1000)를 전립선 등 환자의 신체에 삽입하고 유도봉(R)을 상기 카테터(1000)의 중공 통로(110)에 삽입하여 시술 대상 조직으로 전진시킨다. 시술 대상 조직에 접근하면 시린지(S) 등으로 상기 공기주입부재(200)에 공기를 주입하며, 주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주입관(221), 공기유입구(122), 공기통로(120)를 통하여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 타단부 측의 공기유출구(123)로 이송된다. 상기 공기통로(120)의 끝단의 개구(124)는 벌룬 부재(300)의 바닥부(320)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기통로(120)로 주입된 공기는 공기유출구(123)로만 배출된다. 이 때 벌룬 부재(300)의 상단부와 바닥부(320)는 밀폐되어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300)와 결합하고 있으므로, 상기 벌룬 부재(300)의 상단부 및 바닥부(320) 사이의 통 형상부((310):풍선부(B))가 도 6과 같이 팽창한다. 본 발명의 경우, 벌룬 부재(300)의 통 형상부(310) 내주면과 접촉하는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 타단부의 외주면은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도면과 같이 상기 풍선부(B)가 벌룬 부재의 바닥부(320)에 인접한 끝단부분까지 확장되어 팽창된다. 즉, 상기 벌룬 부재(300)의 바닥부(320)와 결합돌출부(330)가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 타단부의 단부면(101)과 중공(112) 내주면에 꽉 끼워져 결합되고 접착제(T)로 확실하게 기밀성을 유지하므로, 종래와 같이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 타단부의 외주면과 벌룬 부재의 통 형상부 내주면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이 부분에 오링을 설치하여 주사기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풍선부(B)가 상기와 같이 확장되므로, 종래와 같이 접착제 도포지점에 눌려 풍선부(B)가 불균일하게 팽창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벌룬 부재의 풍선부(B)를 도 6(a) 및 도 6(b)의 하부 도면과 같이 균일하게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풍선부(B)의 길이가 길어지는 만큼, 풍선부(B)의 끝단과 벌룬 부재의 바닥부(320), 즉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1000)의 단부와의 거리도 균일하게 짧아지므로, 어떤 작업자가 조립작업을 행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접착제 도포길이에 따른 불균일한 팽창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5, a balloon catheter 1000 for medical treatment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such as the prostate, and a guide rod (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assage 110 of the catheter 1000 and advanced to the tissue to be treated. When approaching the tissue to be treated,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injection member 200 using a syringe (S), etc., and the injected air flows through the air injection pipe 221, the air inlet 122, and the air passage 120. It is transferred to the air outlet 123 at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Since the opening 124 at the end of the air passage 120 is sealed by the bottom 320 of the balloon member 300,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passage 120 is discharged only through the air outlet 123. . At this time, the top and bottom portions 320 of the balloon member 300 are sealed and coupled to the hollow catheter tube 300, so the cylindrical portion between the top and bottom portions 320 of the balloon member 300 ((310): balloon part (B)) expands as shown in FIG. 6.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310 of the balloon member 300, is not bonded with adhesive, and therefore the balloon portion B is as shown in the drawing. It expands and expands to the end portion adjacent to the bottom portion 320 of the balloon member. That is, the bottom 320 and the engaging protrusion 330 of the balloon member 300 are tightly coupled to the end surface 101 of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112 and are tightly coupled with an adhesive (T ) to reliably maintain airtightness, there is no need to apply adhesiv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balloon member as in the past. Accordingly, by installing an O-ring in this part, the task of applying adhesive with a syringe can be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balloon part (B) is expanded as described above, problems such as the balloon part (B) being pressed against the adhesive application point and expanding unevenly, as in the past, can be prevented.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oon portion (B) of the balloon member can be uniformly inflated as shown in the lower drawings of FIGS. 6(a) and 6(b). In addition, as the length of the balloon part (B) in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balloon part (B) and the bottom part 320 of the balloon member, that is, the end of the medical treatment balloon catheter 1000, also becomes uniformly shorter. , no matter which worker performs the assembly work, uneven expansion according to the adhesive application length can be prevented as in the past.
도 7은 도 6의 A-A', B-B', C-C'선을 따른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7로부터 각 선의 단면에 따라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와 벌룬 부재(300)의 결합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벌룬 부재(300)의 결합돌출부(330)가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중공(112)에 삽입되고, 벌룬 부재(300)의 바닥부(320)가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단부면(101)의 개구(124)를 덮어 밀폐하는 과정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내주원(C1)과 외주원(C2)이 편심되어 형성되는 것과 벌룬 부재(300)의 결합돌출부(330)가 바닥부(320) 상에서 편심되어 배치되는 것도 잘 나타나 있다.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along lines A-A', B-B', and C-C' of FIG. 6.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d The coupled state of the balloon member 300 can be easily determined. Specifically, the coupling protrusion 330 of the balloon member 30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112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d the bottom 320 of the balloon member 30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The process of covering and sealing the opening 124 of the end surface 101 can be well understood. 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ce (C1) and the outer circumference (C2)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re formed eccentrically,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30 of the balloon member 300 is eccentrically disposed on the bottom 320. It shows up well.
(제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의 요부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실시예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의 요부를 반분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부재의 팽창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6의 D-D', E-E', F-F'선을 따른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의 측단면도이다.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8 divided in half. 10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expansion of the balloon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8, and FIG. 11 is a side view of the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along lines D-D', E-E', and F-F' of FIG. 6.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제2 실시형태의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1000')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 공기주입부재(200) 및 벌룬 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와 공기주입부재의 결합관계에 관한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balloon catheter 1000' for medical treat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also includes a hollow catheter tube 100, an air injection member 200, and a balloon member 300', as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hollow catheter tube and the air injection member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본 실시형태는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중공 형상 및 공기통로의 구성과, 이에 대응하는 벌룬 부재의 결합돌출부 등의 구성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hollow shape of the hollow catheter tub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passag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engaging protrusion of the corresponding balloon member.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공기통로(12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중공을 형성하는 내주원(C1)을 외주원(C2)에 대하여 편심시켜 형성되는 두꺼운 튜브 벽 부분에 형성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은 성형이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내주원(C1)의 둘레를 따라 튜브 벽의 두께가 달라지므로, 얇은 벽 두께 부분의 강성이 취약해지고 또한 공기통로(120)의 직경을 크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The air passage 120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s formed in a thick tube wall portion formed by eccentriciz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circle C1, which forms a hollow,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circle C2, as shown in FIGS. 6 and 7. There is a way.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for forming, but since the thickness of the tube wall vari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le (C1), the rigidity of the thin wall thickness portion becomes weak and there is a limit to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air passage 120. .
따라서, 도 8의 실시형태에서는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중공을 형성하는 내주원(C1')을 튜브 외주원(C2')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하여 전체적인 튜브 벽 두께를 균일하게 하였다. 대신, 상기 내주원(C1')의 일부에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01a)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101a)를 따라 공기통로(120)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는 튜브 벽 두께가 균일하므로 전체적인 튜브 강성을 균일화 또는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돌출부(101a)의 크기에 따라 공기통로(120)의 직경도 다양하게 변경하여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벌룬 부재(300')는 이러한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결합돌출부(300)도 상기 공기통로(120)의 중공 개구 형태에 대응하여 통 형상부(310)의 바닥부(320) 중앙에 형성된다(도 11 참조). 다만, 상기 결합돌출부(330')는 상기 돌출부(101a)가 삽입되는 삽입홈(331)을 일측면에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01a)가 상기 결합돌출부의 삽입홈(331)에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돌출부(330')를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내주원의 중공(112)에 끼워 결합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FIG. 8, the inner circumference (C1') forming the hollow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was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ube (C2') to make the overall tube wall thickness uniform. Instead, a protrusion 101a protruding radially inward was formed on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ce C1', and an air passage 120 was formed along this protrusion 101a. This hollow catheter tube 100 has the advantage that the overall tube rigidity can be equalized or improved because the tube wall thickness is uniform, and the diameter of the air passage 120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rotrusion 101a. There is. The balloon member 300' of 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be applied to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00 also has a cylindrical portion 310 corresponding to the hollow opening shape of the air passage 120. I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320 (see FIG. 11). However, the coupling protrusion 330' has an insertion groove 331 on one side into which the protrusion 101a is inserted. Therefore, while the protrusion 101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31 of the coupling protrusion, the coupling protrusion 330' can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hollow 112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llow catheter tub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타단부를 상기 벌룬 부재(300')의 바닥부(320')의 내측면(321')에 밀접하게 접촉할 때까지 상기 결합돌출부(330')를 상기 중공(112)에 끼우면, 상기 타단부 단부면으로 개구된 공기출구(124)는 상기 바닥부(321')로 덮여 밀폐된다.As shown in FIG. 9,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s coupled until i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321' of the bottom 320' of the balloon member 300'. When the protrusion 33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112, the air outlet 124 opened at the other end is covered and sealed by the bottom 321'.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벌룬 부재(300')의 결합돌출부(330'), 바닥부(320') 중 적어도 하나에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을 포함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well, a radiopaque component may be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30' and the bottom 320' of the balloon member 300'.
또한, 상기 바닥부 외측면을 도 8 및 도 9와 같이 반구형의 돌출부로 형성하여 카테터의 표지기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arking function of the catheter can be further strengthened by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into a hemispherical protrusion as shown in FIGS. 8 and 9.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풍선부(B)의 길이가 상기 바닥부(320')까지 확장되어 풍선부(B)를 균일하게 팽창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well, the length of the balloon part (B) is extended to the bottom part (320'), so that the balloon part (B) can be uniformly inflated.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룬 부재(300')의 상단부와 바닥부(320')가 접착제(T)에 의하여 밀폐되어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와 결합하고 있으므로, 상기 벌룬 부재(300')의 상단부 및 바닥부(320') 사이의 통 형상부((310'):풍선부(B))가 도 10(b)와 같이 팽창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벌룬 부재(300')의 통 형상부(310') 내주면과 접촉하는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 타단부의 외주면은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풍선부(B)가 벌룬 부재의 바닥부(320')에 인접한 끝단부분까지 확장되어 팽창된다. 즉, 상기 벌룬 부재(300')의 바닥부(320')와 결합돌출부(330')가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 타단부의 단부면(101)과 중공(112) 내주면(내주원(C1')의 내주면)에 꽉 끼워져 결합되고 접착제(T)로 확실하게 기밀성을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벌룬 부재의 풍선부(B)를 도 10(b)와 같이 균일하게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풍선부(B)의 길이가 길어지는 만큼, 풍선부(B)의 끝단과 벌룬 부재의 바닥부(320'), 즉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1000)의 단부와의 거리도 균일하게 짧아지므로, 어떤 작업자가 조립작업을 행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접착제 도포길이에 따른 불균일한 팽창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0, the top and bottom portions 320' of the balloon member 300' are sealed by an adhesive T and coupled to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so the balloon member 300' The cylindrical portion (310': balloon portion (B))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bottom portion (320') of (300') expands as shown in FIG. 10(b). Also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310' of the balloon member 300', is not bonded with adhesive, so the balloon portion B is It expands and expands to the end portion adjacent to the bottom portion 320' of the member. That is, the bottom 320' and the engaging protrusion 330' of the balloon member 300' are connected to the end surface 101 of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112 (inner peripheral circle C1). It is tightly fitted and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 and ensures airtightness with adhesive (T).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oon portion (B) of the balloon member can be uniformly inflated as shown in FIG. 10(b). In addition, as the length of the balloon part (B) in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balloon part (B) and the bottom part 320' of the balloon member, that is, the end of the balloon catheter 1000 for medical treatment, is uniformly shortened. Therefore, no matter which worker performs the assembly work, uneven expansion according to the adhesive application length can be prevented as in the past.
도 11로부터 각 선의 단면에 따라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와 벌룬 부재(300')의 결합상태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벌룬 부재(300')의 결합돌출부(330')가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중공(112)에 동심으로 결합되고, 벌룬 부재(300')의 바닥부(320')가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단부면(101)의 개구(124)를 덮어 밀폐하는 과정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내주원(C1)의 중공에 돌출부(101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01a)가 벌룬 부재 바닥부(320')의 삽입홈(331)에 삽입 결합되는 것이 잘 나타나 있다.From FIG. 11, the combined state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d the balloon member 300' can be more easily seen according to the cross section of each line. Specifically, the coupling protrusion 330' of the balloon member 300' is concentrically coupled to the hollow 112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d the bottom portion 320' of the balloon member 300' is hollow. The process of covering and sealing the opening 124 of the end surface 101 of the catheter tube 100 can be well understood. In addition, a protrusion 101a is formed in the hollow of the inner circumference C1 of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and the protrusion 101a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331 of the bottom part 320' of the balloon member. It shows up well.
(제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룬 부재와 표지부재의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도 12의 변형예에 따른 벌룬 부재와 표지부재의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변형예에 따른 벌룬 부재의 팽창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Figure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alloon member and a label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alloon member and a label member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Figur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expanded state of the balloon member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Figure 13.
도 12의 실시예는, 벌룬 부재(300")의 바닥부(320")에 외측 통 형상부(340)가 연장 형성되는 점, 그리고 상기 외측 통 형상부(340)에 표지부재(400,400')가 결합되는 점 외에는 도 8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도 벌룬 부재(300")의 바닥부(320")에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중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출부(330")가 형성된다. 또한,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의 내주원(C1)의 중공에 돌출부(101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01a)가 벌룬 부재 바닥부(320")의 삽입홈(331)에 삽입 결합되는 것도 동일하다.12, the outer cylindrical portion 340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bottom 320" of the balloon member 300", and the outer cylindrical portion 340 is provided with label members 400 and 400'. It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 8 except that is combined. That is, in this embodiment as well, a coupling protrusion 330" is formed on the bottom 320" of the balloon member 300" and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hollow of the hollow catheter tube. In addition,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The same applies to the fact that a protrusion 101a is formed in the hollow of the inner circumference C1 and the protrusion 101a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331 of the bottom part 320" of the balloon member.
본 발명의 공기주입부재, 중공형 카테터 튜브 및 벌룬 부재는, 예컨대 사출성형 또는 진공성형 등 공지의 성형방법에 의하여 만들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벌룬 부재의 내부 형상을 구비한 금형에 실리콘 등의 재료를 사출하여 상기 바닥부 및 결합돌출부를 가지는 통 형상부의 벌룬 부재를 성형할 수 있다. 이 경우 금형의 바닥부 측에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을 주입한 상태에서 재료를 사출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을 포함하는 벌룬 부재를 제작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member, hollow catheter tube, and ballo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by known molding methods, such as injection molding or vacuum molding. For example, a cylindrical balloon member having the bottom and engaging protrusion can be molded by injecting a material such as silicon into a mold having the inner shape of the balloon member. In this case, if the material is injected with the radiopaque component injected into the bottom side of the mold, a balloon member containing the radiopaque component can be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벌룬 부재(300")의 바닥부(320")나 결합돌출부(330")에 표지 기능을 갖는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을 포함시키지 않고, 별도의 표지부재(400,400')를 설치하는 점이 상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예컨대, 통 형상부에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을 포함시켜 성형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비용이 많이 드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구성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술을 위하여 필요한 두께나 크기로 표지부재(400,400')를 자유롭게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표지부재(400,400')는 플라스틱 수지를 황산 바륨 등과 같은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을 포함시켜 예컨대 사출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a radiopaque component having a labeling function is not included in the bottom portion 320" or the engaging protrusion 330" of the balloon member 300", and separate labeling members 400 and 400' are used. The point of installat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 example, in cases where it is difficult or expensive to mold a cylindrical part with a radiopaque componen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ore preferable. In this case, the procedure may be perform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labeling members 400, 400' can be freely molded to the required thickness or size. The labeling members 400, 400' can be manufactured by, for example, injection molding by including a radiopaque component such as barium sulfate in a plastic resin. You can.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지부재(400,400')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벌룬 부재 바닥면 외측면으로부터 외측 통 형상부(340)를 연장 형성하고 있다. 상기 외측 통 형상부(340)에 상기 표지부재(400,400')를 결합시키고, 벌룬 부재의 통 형상부의 풍선부를 팽창시켜 시술할 수 있다. 결합돌출부와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결합과정, 접착작업 등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an outer cylindrical portion 340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loon member to couple the label members 400 and 400'. The procedure can be performed by coupling the labeling members 400 and 400' to the outer cylindrical portion 340 and inflating the balloon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balloon member. Since the joining process and adhesion work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hollow catheter tube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repeat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상기 표지부재(400,400')의 끝단면, 즉 외측 통 형상(340)부에 결합되는 결합면의 반대측 상부면은 평탄면 또는 반구형의 돌출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면이 평탄면을 가지는 표지부재(400)로 할 경우, 상기 상부면과 외측 통 형상부(340)의 끝단면을 동일한 면으로 하여 마무리할 수 있다(도 14 참조). 혹은 상기 상부면이 반구형의 돌출부로 형성된 표지부재(400')의 경우,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1000)의 단부면이 둥글고 부드럽게 마감되므로, 인체에 삽입시 내부 조직에 상처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의 예의 경우, 도 11과 같은 형태의 카테터 튜브(100)를 적용한 것을 상정하였지만, 도 7과 같은 형태의 카테터 튜브(100)를 적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결합돌출부(330")의 배치위치나 형태도 도 7의 카테터 튜브에 적합한 것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end surfaces of the marking members 400 and 400', that is, the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coupling surface coupled to the outer cylindrical portion 340, may be formed as a flat surface or a hemispherical protrusion. When the upper surface is a marking member 400 having a flat surface, the upper surface and the end surface of the outer cylindrical portion 340 can be finished on the same surface (see FIG. 14).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the labeling member 400' whos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hemispherical protrusion, the end surface of the balloon catheter 1000 for medical treatment is rounded and smoothly finishe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internal tissues when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there is. In the examples of FIGS. 12 to 14, it was assumed that the catheter tube 100 of the same form as that of FIG. 11 was applied. However, the catheter tube 100 of the same form as that of FIG. 7 can be applied, and thus the coupling protrusion (330") Of course, the placement position or shape can be changed to fit the catheter tube of FIG. 7.
도 12의 벌룬 부재(300") 및 표지부재(400,400')는 상기 외측 통 형상부(340)의 길이(깊이)를 조절함에 의하여 이에 결합되는 표지부재(400,400')의 높이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balloon member 300" and the label members 400 and 400' of FIG. 12 adjust the height of the label members 400 and 400' coupled thereto by adjusting the length (depth) of the outer cylindrical portion 340, as necessar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changed and used.
도 13은 도 12의 벌룬 부재의 변형예이다. 즉, 벌룬 부재의 통 형상부의 바닥부 외측면에 외측 통 형상부가 구비되고, 표지부재가 결합되는 점은 동일하다. 본 예에서는, 상기 결합돌출부(330")의 두께가 상기 바닥부(320")를 향하여 점차 두꺼워지고, 이에 따라, 상기 통 형상부(310")와 상기 결합돌출부(330") 사이 간격도 상기 바닥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있다. 상기 결합돌출부(330")의 외주면은 선형 또는 곡선형의 경사면(330"A)을 그릴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100)를 상기 간격에 삽입 결합될 때, 상기 카테터 튜브(100)의 타단부가 상기 간격에 꽉 끼워져 카테터 튜브와 상기 벌룬 부재(300")를 보다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Figure 13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balloon member of Figure 12. That is, the fact that the outer cylindrical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balloon member and the label member is coupled thereto is the same. In this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engaging protrusion 330"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bottom 320", and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cylindrical portion 310" and the engaging protrusion 330" is also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It gradually gets smaller towards the bott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30" may have a linear or curved inclined surface 330"A. Accordingly, when the hollow catheter tube 100 is inserted into the gap, the other end of the catheter tube 100 is tightly fitted into the gap to more tightly couple the catheter tube and the balloon member 300". You can do it.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통 형상부(310")의 두께가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점이 상이하다. 즉, 상기 통 형상부(310")의 내주면이 길이방향 양단부로부터 길이방향 중간부를 향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선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 형상부(310")의 길이방향 양단부로부터 길이방향 중간부를 향하여 상기 통 형상부(310")의 두께가 점차 얇아지게 된다. 따라서, 통 형상부(310")의 양단부 내주면(312) 쪽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통 형상부의 중간부 내주면(311) 쪽의 두께가 가장 얇아지는 형태가 된다. 도 14는 이러한 변형예의 통 형상부의 풍선부(B)가 팽창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서는 외측 통 형상부에(310") 결합되는 표지부재(400)의 상부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4와 같이, 중공 카테터 튜브의 공기유출구(123)는 통 형상부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형태의 통 형상부(310")로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면, 풍선부(B)의 팽창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즉, 공기압을 처음 받는 부분의 통 형상부 두께가 얇으므로 쉽게 팽창하고 그 공기압이 차츰 양측으로 퍼져 두꺼운 두께의 양단부까지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다. 또한, 팽창되는 풍선부의 형태도 보다 유선형에 가까운 형태로 균일하게 팽창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dditionally,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difference is that the thickness of the tubular portion 310" vari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310" extends outward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middl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formed to draw a convex curved line.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tubular portion 310" gradually becomes thinner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ular portion 310" toward the middl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312 of both ends of the cylindrical portion 310" is the thickest, and the thickness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311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is the thinnest. Figure 14 shows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is modified example. It shows that the balloon part B is inflated. In Figure 14, the upper surface of the labeling member 400 coupled to the outer cylindrical part 310" is formed as a flat surface. As shown in Figure 14, the air outlet 123 of the hollow catheter tube is located approximately in the middle of the cylindrical portion, so when air is injected and inflat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310" of the above-mentioned shape, the balloon portion B is expanded. It becomes easier. In other words, since the thickness of the cylindrical part that first receives air pressure is thin, it is easily inflated, and the air pressure gradually spreads to both sides, allowing it to be easily inflated to both ends of the thick thickness. Additionally, the shape of the balloon part to be inflated is also differen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xpand uniformly into a more streamlined shape.
제3 실시형태와 같이, 결합돌출부(330")의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사항 및 통 형상부(310")의 내주면의 형상을 변경하여 통 형상부의 두께를 길이방향을 따라 달리하는 사항은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matter of graduall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engaging protrusion 330" and changing the shap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310" to vary the thickness of the cylindrical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상기 벌룬 카테터의 카테터 튜브, 벌룬 부재, 공기주입부재의 소재는 의료 치료용에 부합하게 인체에 해가 없고 적절한 가요성과 강도 및 경도 등을 가지는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가요성 실리콘 등 인체에 무해한 소재, 혹은 그 외의 플라스틱 수지 등에서 적합한 소재의 것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벌룬 카테터를 제작할 수 있다.The materials of the catheter tube, balloon member, and air injection member of the balloon catheter may be materials that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have appropriate flexibility, strength, and hardness to suit medical treatment purposes. For example, the balloon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selecting a suitable material such as a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such as flexible silicone, or other plastic resin.
이상, 도면과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또는 실시예 등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drawings and examples. However, since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drawings or example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various equival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may exist.
100: 중공형 카테터 튜브
101: 튜브 벽(단부면)
101a: 돌출부
110: 중공(통로)
111,112: 중공 통로 양단 개구
120: 공기통로
121,124: 공기통로 양단 개구
122: 공기유입구
123: 공기유출구
C1,C1': 내주원
C2:C2': 외주원
200: 공기주입부재
210: 튜브 결합부
220: 밸브 부재 결합부
221: 공기주입관
230: 밸브 부재
S: 시린지
R: 유도봉
300,300',300": 벌룬 부재
310,310',310": 통 형상부
320,320',320": 바닥부
321,321': 바닥부 내측면
322,322': 바닥부 외측면
330,330',330": 결합돌출부
331: 삽입홈
340: 외측 통 형상부
400,400': 표지부재
T: 접착제(도포부)
1000,1000;' :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100: hollow catheter tube
101: Tube wall (end surface)
101a: protrusion
110: Hollow (passage)
111,112: Openings at both ends of hollow passage
120: Air passage
121,124: Openings at both ends of air passage
122: Air inlet
123: Air outlet
C1,C1': Inner circumference
C2:C2': Outsourcer
200: Air injection member
210: tube joint
220: Valve member coupling portion
221: Air injection pipe
230: valve member
S: Syringe
R: guide rod
300,300',300": Balloon member
310,310',310": barrel shape
320,320',320": Bottom
321,321': Bottom inner surface
322,322': Bottom outer surface
330,330',330": Combined protrusion
331: Insertion groove
340: Outer barrel-shaped portion
400,400': Sign member
T: Adhesive (applicator)
1000,1000;' :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Claims (11)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통로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재; 및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타단부 측 외주를 감싸며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통로를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하는 벌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벌룬 부재는 바닥부를 가지는 통 형상부이고, 상기 바닥부 내측면 상에 결합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통 형상부와 결합돌출부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타단부가 상기 간격에 삽입되도록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가 상기 벌룬 부재의 통 형상부에 삽입 결합될 때,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중공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벌룬 부재의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통 형상부가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 타단부를 밀폐하여 덮으며,
상기 벌룬 부재의 바닥부 내측면 및 결합돌출부의 외주면은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 타단부의 단부면 및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중공 내주면과 각각 접착되는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
A hollow catheter tube with an air passage formed along the wall of the hollow tube;
An air injection member coupled to one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to inject air into the air passage; and
It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is coupled to the hollow catheter tube, and includes a balloon member that expands with air injected through the air passage,
The balloon member is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bottom, an engag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on an inner surface of the bottom,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ylindrical portion and the engaging protrusion,
When the hollow catheter tube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ylindrical part of the balloon membe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is inserted into the gap, the engaging protrusion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hollow of the hollow catheter tube, The bottom of the balloon member and the cylindric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seal and cover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balloon member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are respectively adhered to the end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and the hollow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catheter tube.
상기 벌룬 부재의 바닥부는,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타단부로 개구되는 상기 공기통로를 밀폐하는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wherein the bottom of the balloon member seals the air passage opening to the other end of the hollow catheter tube.
상기 벌룬 부재의 통 형상부의 상단부 내주면은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 외주면과 접착되는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where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balloon member is adher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catheter tube.
상기 벌룬 부재의 바닥부 및 상기 결합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을 포함하는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bottom of the balloon memb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ncludes a radiopaque component.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중공을 형성하는 내주원이 상기 카테터 튜브의 외주원에 대하여 편심되게 배치되어, 상기 카테터 튜브의 튜브 벽 두께가 상기 내주원의 둘레를 따라 변화하고,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내주원과 외주원의 간격이 가장 먼 부분의 두꺼운 튜브 벽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편심된 내주원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벌룬 부재의 바닥부 내측면에서 편심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편심된 내주원의 중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inner circumference forming the hollow of the hollow catheter tube is disposed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atheter tube, so that the tube wall thickness of the catheter tube chang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ce,
The air passage is formed along the thick tube wall at the part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is furthest,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eccentrical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balloon member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eccentric inner circumferenc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eccentric inner circumference to be coupled to the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상기 중공형 카테터 튜브의 중공을 형성하는 내주원이 상기 튜브의 외주원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되되, 상기 내주원의 일부에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카테터 튜브의 내주원의 중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inner circumference forming the hollow of the hollow catheter tube is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ube, and a protrusion protruding radially inward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ce,
The air passage is formed in the protrusion,
The coupling protrusion is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in whic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fitted into the hollow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theter tube.
상기 결합돌출부의 두께는 상기 바닥부를 향하여 점차 두꺼워져, 상기 통 형상부와 상기 결합돌출부 사이 간격은 상기 바닥부를 향하여 점차 작아지는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protrusion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bottom, and the gap between the cylindrical port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bottom.
상기 통 형상부의 내주면이 길이방향 양단부로부터 길이방향 중간부를 향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만곡선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통 형상부의 길이방향 양단부로부터 길이방향 중간부를 향하여 상기 통 형상부의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
According to paragraph 1,
Medical treatment in whic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is formed to draw a convex curved line outward from both longitudinal ends toward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tubular portion gradually becomes thinner from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tubular portion toward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For balloon catheter.
상기 바닥부의 외측면은 반구형의 돌출부로 형성되는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with a hemispherical protrusion.
상기 바닥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 통 형상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외측 통 형상부에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을 포함하는 표지부재가 결합되는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n outer cylindrical portion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in which a labeling member containing a radiopaque component is coupled to the outer cylindrical portion.
상기 표지부재의 외측 통 형상부 결합면의 반대측 상부면은 평탄면 또는 반구형의 돌출부로 형성되는 의료 치료용 벌룬 카테터.According to clause 10,
A balloon catheter for medical treatment wherein the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outer cylindrical coupling surface of the labeling member is formed as a flat surface or a hemispherical protrus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90711A KR102625600B1 (en) | 2021-12-29 | 2021-12-29 | Ballon cathether for medical treat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90711A KR102625600B1 (en) | 2021-12-29 | 2021-12-29 | Ballon cathether for medical treatmen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100983A KR20230100983A (en) | 2023-07-06 |
| KR102625600B1 true KR102625600B1 (en) | 2024-01-17 |
Family
ID=8718582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190711A Active KR102625600B1 (en) | 2021-12-29 | 2021-12-29 | Ballon cathether for medical treatmen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25600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56494B1 (en) * | 2015-03-17 | 2016-09-2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Rectal expansion apparatus for immobilization of prostate internal motion |
| CN112274760A (en) * | 2020-07-03 | 2021-01-29 | 贝斯美德股份有限公司 | Preparation method of balloon catheter and balloon catheter made therefrom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25626B1 (en) * | 2010-08-12 | 2012-03-28 | 안용철 | Balloon catheter |
| KR101487594B1 (en) | 2013-03-27 | 2015-01-29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Catheter for prostate remedy |
-
2021
- 2021-12-29 KR KR1020210190711A patent/KR10262560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56494B1 (en) * | 2015-03-17 | 2016-09-2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Rectal expansion apparatus for immobilization of prostate internal motion |
| CN112274760A (en) * | 2020-07-03 | 2021-01-29 | 贝斯美德股份有限公司 | Preparation method of balloon catheter and balloon catheter made therefrom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100983A (en) | 2023-07-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4964853A (en) | Catheter equipped with expansible member | |
| US5522801A (en) | Integrate-forming silicone balloon catheter | |
| EP0805702B1 (en) | Dilation catheter | |
| US4701162A (en) | Foley catheter assembly | |
| RU2336910C2 (en) | Laryngoscopy mask and method of its manufacturing | |
| US4019515A (en) | Enemata administering device | |
| ES2234009T3 (en) | HEMOSTASIA VALVE. | |
| JP4399544B2 (en) | Gastric balloon catheter with improved balloon placement | |
| CA2166915C (en) | Intracavitary catheter for use in therapeutic radiation procedures | |
| US10406381B2 (en) | Multi-balloon catheter for medical applications | |
| JP5184551B2 (en) | Medical tube with cuff | |
| US4759752A (en) | Catheter | |
| WO2004093958A1 (en) | Valved hub for a catheter | |
| JP2015512329A (en) | Distal valve for catheter | |
| KR102625600B1 (en) | Ballon cathether for medical treatment | |
| WO2021200368A1 (en) | Sensor-equipped catheter | |
| JP5534542B1 (en) | Balloon catheter | |
| JP2005103120A (en) | Balloon catheter | |
| KR102312274B1 (en) | Rectal insertion tube | |
| CN110975115A (en) | Five-cavity four-bag prostate expansion catheter assembly | |
| US20240226416A9 (en) | Rectal catheter with fluid reservoi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rectal catheter | |
| CN211705595U (en) | Ball bag | |
| KR20200042456A (en) | Catheter device and brachytherapy system | |
| CN219250369U (en) | Saccule puncture outfit | |
| KR102518812B1 (en) | Ballon cathether for medical treat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