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644B1 - Deck guardrail system with adjustable angle - Google Patents
Deck guardrail system with adjustable ang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6644B1 KR102626644B1 KR1020230070986A KR20230070986A KR102626644B1 KR 102626644 B1 KR102626644 B1 KR 102626644B1 KR 1020230070986 A KR1020230070986 A KR 1020230070986A KR 20230070986 A KR20230070986 A KR 20230070986A KR 102626644 B1 KR102626644 B1 KR 1026266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ar
- bracket
- deck
- railing
- ang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 Y10S256/02—Adjustable or falling f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종 산책로 또는 등산로 등을 포함하는 보행로의 가장자리에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대를 설치할 때 난간대의 기둥을 견고하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보행자의 안전도모는 물론 데크의 시공성을 향상시킨 각도조절 난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gle-adjustable railing system that improves the constructability of the deck as well as the safety of pedestrians by firmly and easily installing the pillars of the railing when installing a railing for the safety of pedestrians at the edge of a pedestrian path including various walking trails or hiking trails. It's about.
최근들어 사회적으로 친환경 붐이 일면서 등산로, 둘레길, 공원 내 산책로, 호수 주변 또는 전원주택의 집 주위 등과 같은 다양한 시설물 주변의 바닥면 또는 계단을 데크로 마감 시공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Recently, with the social eco-friendly boom, the number of cases of finishing decks on the floor or stairs around various facilities such as hiking trails, trails, trails in parks, around lakes, or around houses in country houses is increasing.
이와 같은 데크는 천연 목재를 사용하는 목재 데크, 목재 분말을 수지와 결합하여 만든 합성목재 데크, 금속을 사용하는 금속 데크 등으로 제작되며, 다른 재료에 비해 자연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충격이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해 주고 시각적으로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주는 목재 데크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Such decks are made of wooden decks using natural wood, synthetic wood decks made by combining wood powder with resin, and metal decks using metal. They are not only more eco-friendly than other materials, but also effectively protect against shock and vibration. Wooden decking is the most widely used, as it absorbs moisture and provides a visually soft and comfortable feel.
그리고, 데크에는 상판의 측부에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난간대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난간대는 데크의 상판 측부에 전후 간격으로 두고 세워지는 다수의 기둥과, 기둥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대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In addition, the deck is equipped with a railing that protrudes upward for the safety of pedestrians on the side of the deck. These railings are a plurality of pillars erected at front and rear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deck, and a horizontal rail connecting the pillars. Most of what has been accomplished.
그러나, 기존에는 데크의 난간대 시공 시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However, there are the following disadvantages when constructing deck railings.
일 예로서, 보통 난간대는 H-빔 등의 데크 프레임 위에 기둥을 단순 볼팅 방식으로 고정시킨 구조로 설치되는데, 대부분의 세로대가 일정한 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관계로 기둥이 나사 체결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대의 방향을 맞추어 기둥을 세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As an example, a railing is usually installed on a deck frame such as an H-beam with a structure in which pillars are fixed by simple bolting. Since most vertical bars must be installed in a certain direction, the pillars are firmly coupled by screwing.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t the pillar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crossbar.
다른 예로서, 보행자로부터 난간대에 가해지는 하중, 충격 등에 의해 기둥의 나사결합 부위가 헐거워지면서 전체적으로 난간대가 덜거덕거리게 되는 등 보행자의 안전 보호에 불리한 단점이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re is a disadvantage in protecting the safety of pedestrians, such as the screw connection part of the pillar becoming loose due to the load or impact applied to the handrail from the pedestrian, causing the overall handrail to rattle.
또 다른 예로서, 데크의 경사 구간에 난간대 시공 시 기둥을 고정하는 브라켓류 및 기둥 전체가 기울어진 상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힘을 많이 받지 못하게 되고, 결국 데크의 안전성 측면에서 취약한 단점이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constructing a handrail in an inclined section of a deck, the brackets that secure the pillars and the entire pillar are constructed in an inclined state, so they do not receive much force, which ultimately has the disadvantage of making the deck vulnerable in terms of safety.
또 다른 예로서, 난간대의 기둥 고정부위 타공 작업은 파이프 양쪽면을 타공하는 작업으로 현장 타공 시 현장 여건이나 상황 등에 따라 위치 잡기가 힘든 단점이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drilling work on the pillar fixing part of the railing involves drilling holes on both sides of the pipe,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difficult to position depending on site conditions or situations when drilling on site.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데크의 난간대 시공 시 기둥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동시에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 형태의 기둥 브라켓을 적용한 새로운 난간대 고정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보행자 등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견고한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현장에서 경사 및 계단을 만나는 경우에도 각도 조절을 통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등 난간대의 안전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각도조절 난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with this in mind, and by implementing a new handrail fixing device using a pillar bracket in the form of a housing that can stably accommodate the pillar when constructing a deck handrail and at the same time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angles, pedestrians An angle-adjustable railing system that can secure solid structural rigidity even when a load is applied from the back, and can improve the safety and constructability of the railing by actively responding by adjusting the angle even when encountering slopes or stairs in the field.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둥이 삽입 고정되는 기둥 브라켓의 바닥에 타공 구조를 적용하여 빗물 등이 쉽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기둥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등 난간대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각도조절 난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perforated structure to the bottom of the pillar bracket into which the pillar is inserted and fixed so that rainwater, etc. can be easily discharged,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corrosion of the pillar, and adjusting the angle to ensure the durability of the railing. The goal is to provide a rail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 시공 시 현장 여건에 맞춰가면서 기둥 브라켓의 설치 각도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둥 고정부위 타공을 공장에서 선반공구를 사용하여 정밀하게 타공한 후 현장에서는 그대로 조립하기만 하면 되므로, 데크의 제작성 향상은 물론 현장에서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각도조절 난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erly set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pillar bracket while adapting to the field conditions during field construction. Accordingly, the pillar fixing portion can be precisely drilled using a lathe tool at the factory and then left as is. The goal is to provide an angle-adjustable railing system that can improve the manufacturability of the deck as well as the constructability in the field by simply assembling 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조절 난간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ngle-adjustable handrail syste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 각도조절 난간시스템은 난간대를 이루는 기둥의 하단부를 수용하면서 잡아주는 수단으로서, 기둥의 삽입을 위해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데크 프레임측과 접하는 전면부에는 위쪽을 향해 볼록한 호(弧) 형상의 장공홀 형태로 되어 있는 위쪽의 상부 볼트홀과 원형홀 형태로 되어 있는 아래쪽의 하부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 브라켓을 포함한다. The angle-adjustable railing system is a means of receiving and holding the lower end of the pillar forming the railing, and is made in the form of a square box with the upper part open for the insertion of the pillar, and the front part in contact with the deck frame side has an arc convex upward. It includes a column bracket having an upper upper bolt hole in the form of an arch-shaped long hole and a lower lower bolt hole in the form of a circular hole.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 난간시스템은 데크 프레임의 직선 구간 및 경사 구간에 설치 시 상부 볼트홀을 통해 기둥 브라켓의 좌우 각도를 조절해가면서 기둥 브라켓 및 이곳에 고정되는 기둥을 수직 자세로 설치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Therefore, when the angle-adjustable railing system is installed in the straight section and inclined section of the deck frame, the column bracket and the column fixed there can be installed in a vertical position by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angles of the column bracket through the upper bolt hole. am.
여기서, 상기 기둥 브라켓의 바닥에는 물 배출을 위한 다수 개의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a plurality of drain holes for discharging water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illar bracket.
그리고, 상기 기둥 브라켓의 내부는 양쪽 측면부에서 안쪽으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동시에 서로 마주보며 위치되는 격벽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볼트의 헤드부나 너트를 수용하는 앞쪽의 전방 공간부와 기둥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뒤쪽의 후방 공간부가 조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ior of the pillar bracket is divided by a partition wall that protrudes inward from both side parts by a certain length and is positioned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front space part accommodates the head or nut of the bolt and the rear part accommodates the lower end of the pillar. The rear space can be created.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기둥 브라켓의 설치를 위한 데크 프레임의 파이프 양쪽면에 타공 시 공장에서 선반공구를 사용하여 정밀하게 프레임 볼트홀을 타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사 구간 시공 시의 경우에도 기둥 브라켓의 설치 각도를 조절해가면서 기둥 브라켓 및 기둥을 수직 자세로 설치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when drilling holes on both sides of the pipe of the deck frame for installing the column bracket, frame bolt holes can be drilled precisely using a lathe tool at the factory. Accordingly, even when constructing an inclined section, the column bracket can be drilled. The pillar bracket and pillar can be installed in a vertical position by adjusting the installation angle.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도조절 난간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angle-adjustable handrail syste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난간대의 기둥을 기둥 브라켓으로 수용하면서 견고하게 잡아줌으로써, 보행자 등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견고한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by accommodating the pillars of the handrail with pillar brackets and holding them firmly, there is an effect of securing strong structural rigidity even when load is applied from pedestrians, etc.
둘째, 현장에서 경사 및 계단 발생 시 기둥 브라켓과 기둥의 설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기둥의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 난간대의 안전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 when slopes and stairs occur in the field,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pillar bracket and pillar can be properly adjusted to maintain the vertical state of the pillar, which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afety and constructability of the railing.
셋째, 기둥이 삽입 고정되는 기둥 브라켓의 바닥에 타공홀을 형성함으로써, 기둥 브라켓의 내부로 침투한 빗물 등을 그때그때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등 기둥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어 난간대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by forming a perforated hole at the bottom of the pillar bracket where the pillar is inserted and fixed, corrosion of the pilla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such as rainwater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pillar bracket can be easily discharged at any time, thereby ensuring the durability of the railing. There is a possible effect.
넷째, 난간대 설치를 위한 데크 프레임 제작 시 기둥 고정부위 타공을 공장에서 선반공구를 사용하여 정밀하게 타공한 후 현장에서는 그대로 조립하기만 하면 되므로, 데크의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현장에서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ourth, when manufacturing a deck frame for installing a handrail, the pillar fixing parts need only be precisely drilled using a lathe tool at the factory and then assembled on site, thereby improving the manufacturability of the deck and constructability on si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 난간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 난간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각도조절 난간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1 to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angle-adjustable handra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ngle-adjustable handra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angle-adjustable handrail syste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 난간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 난간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ures 1 to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angle-adjustable handra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ngle-adjustable handra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 난간시스템은 데크의 난간대를 이루는 기둥(10)의 하단부를 수용하면서 잡아주는 수단으로 기둥 브라켓(14)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angle-adjustable railing system includes a
상기 기둥 브라켓(14)은 기둥(10)의 삽입을 위해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공간부(21)가 조성되어 있는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기둥 브라켓(14)은 금속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게 된다. The
그리고, 상기 기둥 브라켓(14)의 전면부, 즉 데크 프레임(11)측과 접하는 면에는 위쪽을 향해 볼록한 호(弧) 형상의 장공홀 형태로 되어 있는 위쪽의 상부 볼트홀(12)과 원형홀 형태로 되어 있는 아래쪽의 하부 볼트홀(13)이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ront part of the
이때, 상기 상부 볼트홀(12)은 기둥 브라켓(14)의 전면부 좌우 폭에 대략 상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볼트홀(13)은 상부 볼트홀(12)의 길이 중간 위치에서 아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위치된다. At this time, the
이에 따라, 상기 기둥 브라켓(14)을 데크 프레임(11)의 직선 구간 및 경사 구간에 설치할 때, 장공홀 형태로 되어 있는 상부 볼트홀(12)을 통해 기둥 브라켓(14)을 좌우로 젖혀 각도를 조절해가면서 설치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직선 구간은 물론 경사 구간에서도 기둥 브라켓(14)을 수직 자세로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이렇게 설치한 기둥 브라켓(14)에 끼워져 지지되는 기둥(10)도 수직 자세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installing the
이와 같이, 현장 시공 시 현장 여건이나 제작 오차에 따라 난간대의 수평과 수직이 약간 맞지 않는 경우나 경사 및 계단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기둥 브라켓(14)의 각도 조절을 통해 각종 시공상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면서 수평과 수직을 맞춰 난간대를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even in cases whe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of the handrail are slightly mismatched or when slopes or stairs occur due to site conditions or manufacturing errors during field construction, various changes in construction can be actively handl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pillar bracket (14). This allows you to accurately construct the railing by aligning it horizontally and vertically.
또한, 상기 기둥 브라켓(14)의 바닥에는 다수 개의 배수홀(15)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기둥 브라켓(14)의 내부로 들어온 우수 등의 물, 예를 들면 기둥(10)과 기둥 브라켓(14) 간의 틈새로 스며들어온 물은 배수홀(15)을 통해 그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며, 결국 목재로 되어 있는 기둥이 썩거나 금속재로 이루어진 기둥이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기둥(10)을 포함하는 난간대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때, 상기 기둥 브라켓(14)에 있는 다수 개의 배수홀(15)은 오와 열을 맞춘 격자형 배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기둥 브라켓(14)의 내부로 들어온 물이 어느 한 곳에 고이지 않고 전체적으로 곧장 빠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15) in the column bracket (14) are formed in a grid-like arrangement arranged in five rows, so that the water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column bracket (14) does not accumulate in any one place but flows straight throughout. It is advisable to let it fall out.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기둥 브라켓(14)의 공간부(21)는 앞뒤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어서 기둥(10)을 기둥 브라켓(14) 내에 끼울 때 볼트 헤드부나 너트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이를 위하여, 상기 기둥 브라켓(14)의 내부에는 양쪽 측면부에서 안쪽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동시에 서로 마주보며 위치되는 2개의 격벽(16)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기둥 브라켓(14)의 내부는 볼트의 헤드부나 너트를 수용하면서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으로 이루어진 앞쪽의 전방 공간부(17)와 기둥(10)의 하단부를 수용하면서 상대적으로 큰 공간으로 이루어진 뒤쪽의 후방 공간부(18)가 각각 조성된다. For this purpose, two
따라서, 데크 프레임(11)과 기둥 브라켓(14)을 체결하고 있는 볼트의 헤드부나 너트가 전방 공간부(17) 내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기둥(10)을 후방 공간부(18) 내에 끼우게 되면, 이때의 기둥(10)은 볼트의 헤드부나 너트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고 기둥 브라켓(14) 내에, 다시 말해 기둥(10)의 둘레에 상응하는 면적을 가지는 후방 공간부(18) 내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그리고, 상기 데크 프레임(11)의 양쪽면에는 기둥 브라켓(14)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볼트홀(12)과 하부 볼트홀(13)에 대응하는 위아래 2개의 프레임 볼트홀(19)이 관통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부 볼트홀(12)과 위쪽 1개의 프레임 볼트홀(19)에 1개의 볼트가 체결되고, 또 하부 볼트홀(13)과 아래쪽 1개의 프레임 볼트홀(19)에 1개의 볼트가 체결되므로서, 데크 프레임(11)측에 기둥 브라켓(14)이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이때, 상기 기둥 브라켓(14)의 설치를 위해 데크 프레임(11)의 파이프 양쪽면에 타공되는 프레임 볼트홀(19)의 경우, 공장에서 선반공구를 사용하여 미리 정밀하게 타공될 수 있으며, 이는 데크 직선 구간 시공은 물론 경사 구간 시공 시에 기둥 브라켓(14)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에 가능하다 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frame bolt holes 19 drilled on both sides of the pipe of the
즉, 제작상의 오차, 현장 여건 등의 변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기둥 브라켓(14)의 각도 조절을 통해 이러한 변수들을 충분히 커버하면서 기둥 브라켓(14) 및 기둥(10)의 수직 자세를 바로 잡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장에서 타공 위치를 힘들게 잡을 필요없이, 또 경사 구간에 들어가는 데크 프레임(11)의 프레임 볼트홀(19)을 직선 구간과 다르게 비스듬히 따로 타공할 필요없이 공장에서 프레임 볼트홀(19)을 설계사양에 맞춰 선(先) 가공한 후에 그대로 현장으로 옮긴 다음, 현장에서는 단지 볼트 체결 작업만 하면 되는 등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at is, even when variables such as manufacturing errors and site conditions occur, these variables are sufficiently cover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각도조절 난간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angle-adjustable handrail syste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크의 데크 프레임(11)을 선(先) 시공한 후, 그 위에 데크 플레이트(미도시)는 물론 난간대(20)를 설치한다. As shown in Figure 5, after the
이를 위하여, 데크 프레임(11)의 측면부에 기둥 브라켓(14)을 밀착시킨 후, 기둥 브라켓(14)의 상하부 볼트홀(12,13)과 프레임 볼트홀(19)에 2개의 볼트를 체결하여 데크 프레임(11)측에 기둥 브라켓(14)을 고정 설치한다. To this end, after attaching the pillar bracket (14) to the side surface of the deck frame (11), two bolts are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bolt holes (12, 13) of the pillar bracket (14) and the frame bolt hole (19) to secure the deck. Fix and install the pillar bracket (14) on the frame (11) side.
이때, 위아래 2개의 볼트를 꽉 조이기 전에 데크 직선 구간(수평 구간)에 있는 기둥 브라켓(14)은 물론 데크 경사 구간에 있는 기둥 브라켓(14)을 좌우로 각도를 조절해가면서 기둥 브라켓(14)의 수직 자세를 정확하게 맞춘 후에 2개의 볼트를 꽉 조여서 기둥 브라켓(14)을 완전히 고정시킨다. At this time, before tightening the two bolts at the top and bottom, adjust the angle of the column bracket (14) in the straight section (horizontal section) of the deck as well as the column bracket (14) in the inclined section of the deck to the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angle of the column bracket (14). After accurately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tighten the two bolts to completely secure the pillar bracket (14).
이 상태에서 난간대(20)를 이루는 기둥(10)의 하단부를 기둥 브라켓(14)의 공간부(21)로 삽입하면(예컨대, 기둥 삽입 시 너트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기둥의 한쪽면에 너트 자리를 위아래로 길게 홈을 파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10)을 수직 자세로 고정시킬 수 있는 등 난간대(20)의 설치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state, if the lower part of the
즉, 기둥 브라켓(14)의 설치를 위한 볼트 체결작업 이외의 추가적인 볼트 체결작업없이,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자세로 또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는 기둥 브라켓(14)에 기둥(10)을 그대로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기둥(10)을 포함하는 난간대(20)의 설치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등 전체적인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without any additional bolt fastening work other than the bolt fastening work for installing the
그리고, 계단 등의 데크 경사 구간에 설치되는 난간대(20)의 경우, 수직 자세로 설치되는 기둥(1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구축됨으로써, 구조적으로 우수한 난간대(20)의 시공이 가능하고, 따라서 데크의 전반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난간대의 기둥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동시에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 형태의 기둥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난간대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보행자 등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견고한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현장에서 경사 및 계단을 만나는 경우에도 각도 조절을 통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등 난간대의 안전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handrail fixing device consisting of a pillar bracket in the form of a housing that can stably accommodate the pillars of the handrail and at the same time can adjust the left and right angles, thereby maintaining strong structural rigidity even when loads are applied from pedestrians, etc. The safety and constructability of the handrail can be improved by being able to proactively respond to slopes and stairs by adjusting the angle even when encountering slopes and stairs in the field.
또한, 기둥이 삽입 고정되는 기둥 브라켓의 바닥에 타공 구조의 배수홀을 구비함으로써, 빗물 등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기둥의 부식을 막아 난간대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perforated drainage hole at the bottom of the pillar bracket into which the pillar is inserted and fixed, the durability of the railing can be secured by preventing corrosion of the pillar, which can easily drain rainwater, etc.
또한, 데크 현장 시공 시 현장 여건에 맞춰가면서 기둥 브라켓의 설치 각도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으므로, 기둥 고정부위 타공을 공장에서 선반공구를 사용하여 정밀하게 타공한 후 현장에서는 그대로 조립하기만 하면 되고, 이에 따라 데크의 제작성 향상은 물론 현장에서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a deck on-site,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pillar bracket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so all you have to do is drill the pillar fixing part precisely using a lathe tool at the factory and then assemble it at the site. It can improve the manufacturability of the deck as well as the constructability in the field.
10 : 기둥
11 : 데크 프레임
12 : 상부 볼트홀
13 : 하부 볼트홀
14 : 기둥 브라켓
15 : 배수홀
16 : 격벽
17 : 전방 공간부
18 : 후방 공간부
19 : 프레임 볼트홀
20 : 난간대
21 : 공간부10: pillar
11: Deck frame
12: Upper bolt hole
13: Lower bolt hole
14: pillar bracket
15: Drain hole
16: Bulkhead
17: anterior space
18: rear space
19: Frame bolt hole
20: Handrail
21: space part
Claims (3)
상기 데크 프레임(11)의 양쪽면에는 기둥 브라켓(14)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볼트홀(12)과 하부 볼트홀(13)에 대응하는 위아래 2개의 프레임 볼트홀(19)이 관통 형성되어, 데크 프레임(11)의 측면부에 기둥 브라켓(14)을 밀착시킨 후, 기둥 브라켓(14)의 상하부 볼트홀(12,13)과 프레임 볼트홀(19)에 2개의 볼트를 체결하여 데크 프레임(11)측에 기둥 브라켓(14)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기둥 브라켓(14)에 있는 다수 개의 배수홀(15)은 오와 열을 맞춘 격자형 배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기둥 브라켓(14)의 내부로 들어온 물이 어느 한 곳에 고이지 않고 전체적으로 곧장 빠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난간시스템.
It is a means for receiving and holding the lower part of the pillar 10 forming the railing, and is made in the form of a square box with the upper part open for insertion of the pillar 10, and the front part in contact with the deck frame 11 side has the upper part. It includes a pillar bracket (14) having an upper upper bolt hole (12) in the form of an arc-shaped long hole convex toward the bottom and a lower lower bolt hole (13) in the form of a circular hole, When installing in a straight section or an inclined section of the deck frame (11), adjust the left and right angles of the column bracket (14) through the upper bolt hole (12) and vertically adjust the column bracket (14) and the column (10) fixed there. It can be installed in any position, and a plurality of drain holes (15)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illar bracket (14) for discharging water,
On both sides of the deck frame 11, two upper and lower frame bolt holes 19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bolt holes 12 and 13 formed in the pillar bracket 14 are formed through the deck, After attaching the pillar bracket (14) to the side part of the frame (11), fasten two bolts to the upper and lower bolt holes (12, 13) of the pillar bracket (14) and the frame bolt hole (19) to secure the deck frame (11). Fix and install the pillar bracket (14) on the side,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15) in the column bracket (14) are formed in a grid-like arrangement arranged in five rows so that water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column bracket (14) does not accumulate in any one place but drains straight out as a whole. An angle-adjustable handrail system characterized by:
상기 기둥 브라켓(14)의 내부는 양쪽 측면부에서 안쪽으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동시에 서로 마주보며 위치되는 격벽(16)에 의해 구획되어 볼트의 헤드부나 너트를 수용하는 앞쪽의 전방 공간부(17)와 기둥(10)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뒤쪽의 후방 공간부(18)가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난간시스템.
In claim 1,
The interior of the pillar bracket 14 is divided by a partition wall 16 that protrudes inward from both side surfaces by a certain length and is positioned facing each other, and includes a front space part 17 for accommodating the head or nut of the bolt. An angle-adjustable handrai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rear space 18 at the rear accommodating the lower end of the pillar 10 is creat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70986A KR102626644B1 (en) | 2023-06-01 | 2023-06-01 | Deck guardrail system with adjustable ang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70986A KR102626644B1 (en) | 2023-06-01 | 2023-06-01 | Deck guardrail system with adjustable angl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626644B1 true KR102626644B1 (en) | 2024-01-19 |
Family
ID=8971744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070986A Active KR102626644B1 (en) | 2023-06-01 | 2023-06-01 | Deck guardrail system with adjustable ang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26644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73891B1 (en) * | 2024-12-26 | 2025-10-17 | (주)하이탑 | Shock Absorbing Landscaping Facility |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80077894A (en) * | 1997-04-23 | 1998-11-16 | 김이남 | Detachable props with adjustable support |
| KR100998745B1 (en) * | 2010-09-06 | 2010-12-07 | 두원산업(주) | Pedestrian crossing border fence |
| KR101450716B1 (en) | 2014-06-12 | 2014-10-16 | 우리산업 주식회사 | Handrail post fixing apparatus for deck rod |
| KR101848014B1 (en) | 2017-01-26 | 2018-04-11 | (주)나무들 | Guardrail column fixing apparatus for deck road system and Guardrail column structure using it |
| KR101994644B1 (en) | 2018-11-27 | 2019-07-01 |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 Railing fixture for deck extension |
| KR102122981B1 (en) | 2018-11-08 | 2020-06-16 | 주식회사 남경에스텍 | Banister support fixing structure of deck rod |
| KR20210123565A (en) * | 2020-04-03 | 2021-10-14 | ㈜현대그린 | Fixture for road width extension |
-
2023
- 2023-06-01 KR KR1020230070986A patent/KR10262664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80077894A (en) * | 1997-04-23 | 1998-11-16 | 김이남 | Detachable props with adjustable support |
| KR100998745B1 (en) * | 2010-09-06 | 2010-12-07 | 두원산업(주) | Pedestrian crossing border fence |
| KR101450716B1 (en) | 2014-06-12 | 2014-10-16 | 우리산업 주식회사 | Handrail post fixing apparatus for deck rod |
| KR101848014B1 (en) | 2017-01-26 | 2018-04-11 | (주)나무들 | Guardrail column fixing apparatus for deck road system and Guardrail column structure using it |
| KR102122981B1 (en) | 2018-11-08 | 2020-06-16 | 주식회사 남경에스텍 | Banister support fixing structure of deck rod |
| KR101994644B1 (en) | 2018-11-27 | 2019-07-01 |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 Railing fixture for deck extension |
| KR20210123565A (en) * | 2020-04-03 | 2021-10-14 | ㈜현대그린 | Fixture for road width extensio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73891B1 (en) * | 2024-12-26 | 2025-10-17 | (주)하이탑 | Shock Absorbing Landscaping Facility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341317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Deck Rod Railings with Inserted Flow Bracket | |
| US6702259B2 (en) | Guard rail system | |
| KR102055652B1 (en) | Pillars of design fences that integrate wood and connection hardware to improve assembly | |
| US7475479B1 (en) | Method for anchoring a hollow fence post | |
| KR101991026B1 (en) | Deck road handrai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 CA3015329C (en) | Fencing system | |
| KR101973330B1 (en) | Deck load system with improved assembly and aesthetics | |
| KR102016341B1 (en) | Design-type fences with enhanced impact resistance and strength | |
| KR101807668B1 (en) | Handrail pole of deck road and bar connecting structure connected thereby | |
| KR20130092227A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parapet | |
| US20240309674A1 (en) | Modular fence system | |
| KR102626644B1 (en) | Deck guardrail system with adjustable angle | |
| US20140332745A1 (en) | Railing member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 |
| WO1998042918A1 (en) | Safety fence | |
| KR101140569B1 (en) | Handrail 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 |
| KR20200016135A (en) | Pillar and handrail fixing structure of design fence | |
| KR100566721B1 (en) | Prefabricator | |
| JP2015214802A (en) | Column support block | |
| KR20090054515A (en) | Safety | |
| JP3716290B2 (en) | Lateral joint structure in curtain wall | |
| KR102031079B1 (en) | Lower part assembly of deckroad handrail | |
| KR101650523B1 (en) | Wood deck plate height adjustment screw is attached via a fixed member that is equipped | |
| JP5270950B2 (en) | Stairs, tread mounting brackets for stairs | |
| KR102630113B1 (en) | Pillars for railings | |
| KR102817531B1 (en) | Wood railing with slope adjustment structure without bracket by utilizing aluminum inner pos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7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