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8602B1 -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602B1
KR102628602B1 KR1020200105098A KR20200105098A KR102628602B1 KR 102628602 B1 KR102628602 B1 KR 102628602B1 KR 1020200105098 A KR1020200105098 A KR 1020200105098A KR 20200105098 A KR20200105098 A KR 20200105098A KR 102628602 B1 KR102628602 B1 KR 102628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m
displays
adhesive
film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3884A (ko
Inventor
이종훈
김형진
정명섭
이종걸
Original Assignee
(주)이녹스첨단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녹스첨단소재 filed Critical (주)이녹스첨단소재
Priority to KR1020200105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602B1/ko
Priority to JP2021134523A priority patent/JP2022036065A/ja
Priority to US17/407,924 priority patent/US20220056314A1/en
Publication of KR20220023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6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1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 C03C17/002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for flat glass, e.g. float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f the release lin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rare earth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58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3/00Presence of epoxy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적외선 영역에서 높은 흡수능력을 가지며,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높은 투과율을 유지할 수 있어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Adhesive film for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적외선 영역에서 높은 흡수능력을 가지며,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높은 투과율을 유지할 수 있어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근적외선은 흡수하며, 가시광선의 투과율은 우수한 접착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시광선 투과율 및 저 파장대(800~1,000nm)의 근적외선 투과율이 모두 우수한 접착필름은 개발된 적이 있으나, 저 파장대의 근적외선 투과율이 높아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해 인듐 주석 산화물(ITO)을 사용하였으나, 근적외선의 흡수 능력이 충분하지 못하며 자외선에 의해 광 착색 현상이 발생하여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적외선의 투과율을 낮추며,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투과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접착필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400nm 내지 800nm 의 파장대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80% 이상 이고, 800nm 초과 내지 1,500nm의 파장대의 근적외선 투과율이 5% 내지 50% 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은 접착수지 및 근적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경화되어 제조되고, 400nm 내지 800nm 의 파장대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80% 이상 이고, 800nm 초과 1,500nm까지의 파장대의 근적외선 투과율이 5% 내지 50%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은 400nm 내지 800nm 의 파장대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높일 수 있으며, 800nm 초과 1,500nm까지의 파장대의 근적외선 투과율은 낮춤으로써, 시인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은 접착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이형필름, 투명기재필름 및 유리(glass)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부착됨으로써, 접착필름에 반사되는 광을 감소시키며, 미광을 제거하여 시인성이 더욱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양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은 접착수지 및 근적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경화되어 제조되고, 400nm 내지 800nm 의 파장대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80% 이상 이고, 800nm 초과 1,500nm까지의 파장대의 근적외선 투과율이 5% 내지 50% 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제조용 조성물은 접착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수지는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1,2-폴리부타디엔 말단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1,4-폴리부타디엔 말단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테르계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이들 각각의 친수성기 치환물, 이들 각각의 수소 첨가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에스테르, 1,4-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디올, 폴리에테르디올, 폴리카프로락톤디올,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단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화 시클로데카트리엔(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카르보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놀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아크릴레이트, 페놀(에틸렌옥사이드 2 몰 변성)아크릴레이트, 페놀(에틸렌옥사이드 4 몰 변성)아크릴레이트, 파라쿠밀페놀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에틸 렌옥사이드 변성 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에틸렌옥사이드 4 몰 변성)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에틸렌옥사이드 8 몰 변성)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프로필렌옥사이드 2.5몰 변성)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프탈산(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숙신산(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플루오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말산,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프탈산모노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다이머, β-(메트)아크로일옥시에틸하이드로젠숙시네이트, n-(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헥사히드로프탈이미드 및, 이들 각각의 친수성기 치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로는 2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3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4관능성 또는 그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로는 1,3-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사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2-부틸-프로판디올 (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르산 변성 펜타에리트리톨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2,2-비스(4-(메트)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트)아크릴옥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트)아크릴옥시테트라에톡시페닐)프로판, 및, 이들 각각의 친수성기 치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트)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및, 이들 각각의 친수성기 치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관능성 또는 그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로는 디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에톡시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각각의 친수성기 치환물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바이페닐계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계 에폭시 수지, 플로렌계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계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계 에폭시 수지, 트리스하이드록실페닐메탄계 에폭시 수지, 테트라페닐메탄계 에폭시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F형 에폭시 수지등이 있다. 에폭시계 수지로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품에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는 국도화학의 YD-020, YD-020L, YD-019K, YD-019, YD-017H, YD-017R, YD-017, YD-014, YD-014ER, YD-013K, YD-012, YD-011H, YD-011S, YD-011 등이 있다. 그리고,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로는 국도화학의 YDCN-500-80PCA60, YDCN-500-80PBC60, YDCN-500-90PA75, YDCN-500-90P, YDCN-500-80P, YDCN-500-10P, YDCN-500-8P, YDCN-500-7P, YDCN-500-5P, YDCN-500-4P, YDCN-500-1P이 있고 일본화약주식회사의 EOCN-102S, EOCN-103S, EOCN-104S, EOCN-1012, EOCN-1025, EOCN-1027, 동도화성의 YDCN-701, YDCN-702, YDCN-703, YDCN-704, YDCN-701P, YDCN-702P, YDCN-703P, YDCN-704P, YDCN-701S, YDCN-702S, YDCN-703S 등이 있다. 또한,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로는 YDPN-638A80, YDPN-644, YDPN-637, YDPN-636, YDPN-638, YDPN-631 등이 있다.
상기 실리콘 수지는 용매 부가형 수지, 용매 축합형 수지, 용매 자외선-경화형 수지, 무용매 부가형 수지, 무용매 축합형 수지, 무용매 자외선 경화형 수지, 무용매 전자선 경화형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제조용 조성물은 근적외선차단제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접착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근적외선 차단제를 0.5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근적외선의 투과를 억제하여,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차단제는 금속 산화 나노 파우더(Metal oxide nano Powder), 근적외선 염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 나노 파우더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 CWO(세슘이 도핑된 WO3), WO3,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 산화 나노 파우더로서, 인듐 주석 산화물(ITO)과 함께, CWO(세슘이 도핑된 WO3) 및 WO3 중 1종 이상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듐 주석 산화물은 1,200nm 내지 1,500nm 의 장파장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CWO(세슘이 도핑된 WO3), WO3은 800nm 초과 내지 1,500nm 의 파장을 흡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고효율로 접착필름의 투명성을 유지하며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인듐 주석 산화물의 입자, CWO(세슘이 도핑된 WO3), 또는 WO3의 입자 직경은 10nm 내지 100nm 일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차단제는 근적외선 염료를 포함함으로써, 근적외선의 투과를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염료는 시아닌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포르피린계 화합물, 벤조포르피린계 화합물, 스크아릴륨계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크로코늄계 화합물, 디이모늄계 화합물, 디티올 금속 착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800nm 초과 1,200nm까지의 파장대에서 최대흡수파장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차단 접착필름의 조성물은 접착수지 100 중량부 대비 열경화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범위의 열경화제를 포함함으로써, 조성물의 열경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제는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디페닐요오드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4-메틸페닐-4-(1-메틸에틸)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메틸페닐-4-(1-메틸에틸)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 로안티모네이트, 4-메틸페닐-4-(1-메틸에틸)페닐요오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4-메틸페닐-4-(1-메틸에틸)페닐요오드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4-메톡시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4-메틸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트릴쿠밀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의 요오드늄염; 트리알릴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등의 술포늄염 ; 트리페닐피레닐메틸포스포늄염 등의 포스포늄염; (η6-벤젠)(η5-시클로펜타디에닐)철(Ⅱ)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o-니트로벤질실릴에테르와 알루미늄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조합; 실세스퀴옥산과 알루미늄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조합 ; 멜라민계 수지; 유기과산화물 (예를 들어, 케톤퍼옥사이드, 퍼옥시케탈, 디아실퍼옥사이드, 퍼옥시에스테르, 퍼옥시디카보네이트 등), 루이스산 (삼불화붕소, 염화아연, 염화알루미늄, 염화철, 염화주석 등), 아조 화합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등), 산 (유기산 또는 저온 가열에 의해 산을 발생시키는 술포늄염계의 산발생제 등), 염기 (지방족 폴리아민 등의 폴리아민, 이미다졸, 히드라지드 및 케티민 등의 아민 화합물, 저온 가열에 의해 아민 화합물을 발생시키는 화합물 등),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메르캅탄, 백금족계 금속 화합물 또는 그 착물 (염화백금 (Ⅳ), 염화백금산육수화물, 비스(알키닐)비스(트리페닐포스핀)백금착물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경화제는, 시판품으로서, 45S(부림케미컬), DS-HF 10929TKI CATALYST (테이코쿠 잉크 제조사 제조, 멜라 민 수지)를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차단 접착필름의 조성물은 접착수지 100 중량부 대비 광중합개시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범위의 광중합개시제를 포함함으로써, 조성물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경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개시제는 벤조페논 또는 그 유도체, 벤질 또는 그 유도체, 안트라퀴논 또는 그 유도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등의 벤조인 유도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4-t-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등의 아세토페논 유도체, 2-디메틸아미노에틸벤조에이트, p-디메틸아미노에틸벤조에이트, 디페닐디술피드, 티옥산톤 및 그 유도체, 캄포퀴논, 7,7-디메틸-2,3-디옥소비시클로[2.2.1]헵탄-1-카르복실산, 7,7-디메틸-2,3-디옥소비시클로[2.2.1]헵탄-1-카르복시-2-브로모에틸에스테르, 7,7-디메틸-2,3-디옥소비시클로[2.2.1]헵탄-1-카르복시-2-메틸에스테르, 7,7-디메틸-2,3-디옥소비시클로[2.2.1]헵탄-1-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등의 캄포퀴논 유도체;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포리노페닐)-부타논-1 등의 α-아미노알킬페논 유도체; 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벤조일디에톡시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메톡시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에톡시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아실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제조용 조성물은 상기 접착수지 100 중량부 대비 자외선 차단제를 1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자외선 투과를 억제하여,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및 산화 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접착필름의 물성이 변화되거나 장기간 자외선에 의해 투과율이 저하되는 광 착색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살리칠산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벤조트리아조릴 화합물, 벤조일 화합물 등의 유기 자외선 흡수제, 산화 아연, 산화 티탄, 산화 세륨 등의 무기 자외선 흡수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으로써,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자외선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기 광안정화제를 포함함으로써, 광 착색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자외선 흡수제의 열화를 방지하여 자외선 흡수제의 성능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광안정화제는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일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HALs의 종류로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1-[2-[3-(3,5-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4-[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벤조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2-(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2-n-부틸말로네이트,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Mixed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Mixed{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β,β,β',β'-테트라메틸-3,9-[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디에틸}-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Mixed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Mixed{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β,β,β',β'-테트라메틸-3,9-[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디에틸}-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이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놀], 숙신산디메틸과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에탄올의 중합물, N,N',N'',N'''-테트라키스-(4,6-비스-(부틸-(N-메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트리아진-2-일)-4,7-디아자데칸-1,10-디아민, 디부틸아민-1,3,5-트리아진-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6-헥사메틸렌디아민과 N-(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부틸아민의 중축합물, 데칸이산비스(2,2,6,6-테트라메틸-1-(옥틸옥시)-4-피페리딜)에스테르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산화 방지제를 포함함으로써, 접착필름의 산화 및 열화를 억제하여, 접착필름의 내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산화방지제의 종류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유황계 산화 방지제 및 인(phosphorus)계 산화 방지제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2,6-디-t-부틸-p-크레졸, 부틸화히드록시아니솔,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비스(3,3'-t-부틸페놀)부티르산글리콜에스테르 및 이소옥틸-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접착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자외선 흡수제 0.02 내지 5 중량부, 상기 광안정화제 0.05 내지 5 중량부, 상기 산화 방지제 0.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접착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자외선 흡수제 0.0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자외선 흡수제가 석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접착필름의 투명성 및 의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자외선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접착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광안정화제 0.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광안정화제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으며, 접착필름에서 상기 광안정화제가 석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접착필름의 투명성 및 의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접착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산화 방지제 0.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산화 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를 접착필름에서 충분히 발휘할 수 있으며, 접착필름에서 상기 산화 방지제가 석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접착필름의 투명성 및 의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제조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메틸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 2,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카테콜, 하이드로-8-퀴논모노메틸에테르, 모노-tert부틸하이드로퀴논, 2,5-디-tert부틸하이 드로퀴논, p-벤조퀴논, 2,5-디페닐-p-벤조퀴논, 2,5-디-tert부틸-p-벤조퀴논, 피크르산, 시트르산, 페노티아진, tert부틸카테콜, 2-부틸-4-히드록시아니솔 및 2,6-디-tert부틸-p-크레졸 등의 중합금지제; 아크릴 고무, 우레탄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고무 등의 각종 엘라스토머; 무기 필러; 용제; 증량재; 보강재; 가소제; 증점제; 추가 염료; 안료; 난연제; 실란커플링제;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의 경화물인 접착필름은 400nm 내지 800nm 의 파장대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고, 800nm 초과 1,500nm까지의 파장대의 근적외선 투과율이 5% 내지 50% 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필름은 800nm 초과 내지 1,000nm의 파장대의 근적외선 투과율이 10% 내지 50%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은 UV-Vis-NIR 스펙트로미터(Perkin Elmer, Lambda 1050+)를 이용하여, 400nm 내지 800nm 파장대에서 각 파장별 투과율을 측정한 후 이들을 평균하여 얻은 값이다. 상기 근적외선 투과율은 UV-Vis-NIR 스펙트로미터(Perkin Elmer, Lambda 1050+)를 이용하여, 800nm 초과 내지 1,500nm 중 특정 파장대에서 각 파장별 투과율을 측정한 후 이들을 평균하여 얻은 값이다.
태양광의 스펙트럼 파장은 물질 고유의 특성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외선 파장대는 280nm 내지 400nm 미만, 가시광선 파장대는 400nm 내지 800nm, 근적외선 파장대는 800nm 초과 1,500nm까지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시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역은 400nm 내지 800nm 로서 빨강(Red), 초록(Green), 청색(Blue)으로 인식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근적외선 차단제에 포함된 금속 산화 나노 파우더에 의해 800nm 초과 1,500nm까지 파장대의 근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은 근적외선 차단제에 포함된 인듐 주석 산화물(ITO)에 의해 1,000nm 초과의 장파장의 근적외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근적외선 차단제에 포함된 근적외선 염료에 의해 800nm 초과 1,200nm까지의 파장대의 근적외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은 태양광의 스펙트럼 파장 중 400nm 내지 800nm 의 파장대의 가시광선만을 선택적으로 투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은 태양광의 근적외선 파장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400nm 내지 800nm 의 파장대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80% 이상으로 구현함으로써, 시인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은 접착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이형필름, 투명기재필름 및 유리(glass)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부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100)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100)은 접착필름(10)의 일면에 형성된 제1이형필름(20) 및 타면에 형성된 제2이형필름(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100)의 경우 접착필름(10)으로부터 제1이형필름(20) 및 제2이형필름(30)이 모두 분리된 후 상기 접착필름(10)만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200)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200)은 접착필름(11)의 일면에 형성된 투명기재필름(21) 및 타면에 형성된 이형필름(31)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투명기재필름(2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200)의 경우, 상기 접착필름(11)으로부터 상기 이형필름(31)이 분리되고, 상기 접착필름(11)과 상기 투명기재필름(21)이 서로 부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기재필름(21)은 반사방지층(anti-reflection), 저반사층(Low-reflection), 및 하드코팅층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함으로써, 접착필름(11)에 반사되는 광을 감소시키며, 미광을 제거하여 시인성이 더욱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300)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300)은 접착필름(12)의 일면에 형성된 투명기재필름(22) 및 타면에 형성된 유리(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투명기재필름(2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기재필름(22) 및 상기 유리(32) 중 적어도 하나는 반사방지층(anti-reflection), 저반사층(Low-reflection), 및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함으로써, 접착필름(12)에 반사되는 광을 감소시키며, 미광을 제거하여 시인성이 더욱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회로장치, 액정표시패널, 유기발광다이오드패널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접착필름 제조용 조성물 제조
접착수지(AR), 1종 이상의 근적외선 차단제(NIR-A) 및 경화제(PI)를 혼합하여 접착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의 종류 및 함량을 정리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AR NIR-A PI
NIR-A1 NIR-A2 NIR-A3 NIR-A4
실시예 1 100 1 1 0.5 0.5 1
실시예 2 100 1 1 0.5 1 1
실시예 3 100 0.5 1 1 1 1
실시예 4 100 4 1 1 1 1
실시예 5 100 4 - - 1 1
실시예 6 100 - 4 - 1 1
실시예 7 100 1 1 - 0.5 1
실시예 8 100 1 1 - 0.5 1
실시예 9 100 0.5 1 - 0.5 1
비교예 1 100 0.1 1 - - 1
비교예 2 100 1 1 - - 1
비교예 3 100 0.1 2 - - 1
비교예 4 100 0.5 4 - - 1
비교예 5 100 - 4 - - 1
비교예 6 100 10 0.5 1 1 1
비교예 7 100 1 - 1 - 1
비교예 8 100 - 12 2 1 1
비교예 9 100 - 1 3 - 1
- AR(접착수지): 부림케미컬, BA8900
- NIR-A1(CWO): 스미토모 메탈 마이닝, YMF-02A(고형분 28.5%, CWO 함량 18.5%)
- NIR-A2(WO3): NST, N2B9(고형분 23%, WO3 함량 15%)
- NIR-A3(근적외선 염료): American dye source, NIR949C
- NIR-A4(ITO): DK 나노, dk444
- PI(열경화제): 부림케미컬, 45S
접착필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9에서 제조된 각각의 조성물을 반사방지 처리 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25㎛의 두께로 도포한 후 120℃에서 5분 동안의 가열 및 60℃에서 3일 동안의 숙성 과정을 거쳐 경화시켜 접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9에서 제조된 각각의 접착필름의 접착력, 가시광선 투과율 및 근적외선 투과율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접착력 측정>
상기 각 접착필름을, Non Alkali Glass에 2kg 핸드롤러를 이용하여 부착하였다. 부착 후, 24시간 동안 상온 방치 후 분당 300mm의 속도로 180°로 박리시켜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가시광선 투과율 측정>
UV-Vis-NIR 스펙트로미터(Perkin Elmer, Lambda 1050+)를 이용하여, 400nm 내지 800nm 파장대에서 투과율을 측정한 후 이들의 평균값을 가시광선 투과율로 기록하였다.
<근적외선 투과율 측정>
UV-Vis-NIR 스펙트로미터(Perkin Elmer, Lambda 1050+)를 이용하여, 800nm 초과 1,500nm까지 파장대에서 각 파장별 투과율을 측정한 후 이들의 평균값을 근적외선 투과율로 기록하였다.
접착력
(gf/inch)
가시광선
투과율 (%)
근적외선 투과율(%)
400nm ~
800nm
800nm
초과 ~
1,500nm
800nm
초과~
1,000nm
1,000nm
초과~
1,500nm
실시예 1 1,740 84.2 19.3 20.2 12.2
실시예 2 1,530 94.7 9.6 11.3 2.3
실시예 3 1,430 93.2 11.8 13.9 4.5
실시예 4 1,300 94.1 12.3 13.7 4.2
실시예 5 1,420 90.1 9.9 12.3 3.4
실시예 6 1,170 92.8 13.3 15.6 7.2
실시예 7 1,210 88.7 25.6 26.7 17.1
실시예 8 1,180 86.6 24.3 28.2 19.3
실시예 9 1,250 86.7 22.1 29.1 19.4
비교예 1 1,100 94.2 58.3 60.5 51.3
비교예 2 1,700 95.3 56.3 65.3 53.6
비교예 3 1,320 76.3 26.3 29.3 18.8
비교예 4 1,170 77.4 25.6 30.3 19.4
비교예 5 1,330 77.1 21.1 13.3 11.4
비교예 6 800 83.2 3.6 8.3 1.3
비교예 7 1,210 93.3 53.6 60.9 50.2
비교예 8 860 80.3 3.7 8.2 1.6
비교예 9 1,100 79.3 29.3 40.3 26.9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9에서 제조된 접착필름은 접착력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400nm 내지 800nm 의 파장대의 가시광선 투과율, 800nm 초과 1,500nm까지의 파장대의 근적외선 투과율이 모두 목표 수치범위에 속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 내지 9에서 제조된 접착필름은 400nm 내지 800nm 의 파장대의 가시광선 투과율 또는 800nm 초과 1,500nm까지의 파장대의 근적외선 투과율이 목표 수치범위에 속하지 않는 바, 시인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6 및 8에서 제조된 접착필름은 접착력이 낮아 공정 중 접착필름이 박리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8)

  1. 접착수지 및 근적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경화되어 제조되고,
    상기 근적외선 차단제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과 함께, CWO(세슘이 도핑된 WO3) 및 WO3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상기 접착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근적외선 차단제 2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며,
    400nm 내지 800nm 의 파장대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고, 800nm 초과 1,500nm까지의 파장대의 근적외선 투과율이 5% 내지 50%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차단제는 근적외선 염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염료는 시아닌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포르피린계 화합물, 벤조포르피린계 화합물, 스크아릴륨계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크로코늄계 화합물, 디이모늄계 화합물, 디티올 금속 착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800nm 초과 1,200nm까지의 파장대에서 최대흡수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지는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필름은 800nm 초과 내지 1,000nm의 파장대의 근적외선 투과율이 10%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접착수지 100 중량부 대비 열경화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접착수지 100 중량부 대비 광중합개시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이형필름, 투명기재필름 및 유리(glass)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은
    상기 접착필름의 일면 및 타면에 상기 이형필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은 상기 접착필름의 일면 및 타면에 상기 이형필름 및 상기 투명기재필름이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은 상기 접착필름의 일면 및 타면에 상기 투명기재필름 및 상기 유리가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필름은 반사방지층(anti-reflection), 저반사층(Low-reflection), 및 하드코팅층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는 반사방지층(anti-reflection), 저반사층(Low-reflection), 및 하드코팅층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18.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105098A 2020-08-21 2020-08-21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Active KR102628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098A KR102628602B1 (ko) 2020-08-21 2020-08-21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JP2021134523A JP2022036065A (ja) 2020-08-21 2021-08-20 ディスプレイ用接着フィルム
US17/407,924 US20220056314A1 (en) 2020-08-21 2021-08-20 Adhesive film for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098A KR102628602B1 (ko) 2020-08-21 2020-08-21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884A KR20220023884A (ko) 2022-03-03
KR102628602B1 true KR102628602B1 (ko) 2024-01-26

Family

ID=8027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098A Active KR102628602B1 (ko) 2020-08-21 2020-08-21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56314A1 (ko)
JP (1) JP2022036065A (ko)
KR (1) KR102628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918B1 (ko) * 2019-09-20 2021-09-27 주식회사 오토스윙 광기능성층 및 패널 제어 기술이 적용된 용접용 보호구
JP2023151521A (ja) * 2022-03-31 2023-10-1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ウィンドウフィル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8622A (ja) * 2007-06-15 2008-12-25 Toyo Ink Mfg Co Ltd 赤外線吸収性感圧式接着剤及び赤外線吸収性感圧式接着シート
JP6610660B2 (ja) * 2015-03-31 2019-11-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粘着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5653B2 (en) * 1993-04-15 2009-08-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lt-flowable materials and method of sealing surfaces
TWI274662B (en) * 2002-03-29 2007-03-01 Toray Industries Laminated film, filter for display and display
WO2008059995A1 (fr) * 2006-11-17 2008-05-22 Lintec Corporation Composition adhésive sensible à la pression pour affichage
JP2008181097A (ja) * 2006-12-27 2008-08-07 Fujifilm Corp 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5176492B2 (ja) * 2007-11-06 2013-04-03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近赤外線吸収粘着体、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5339615B2 (ja) * 2009-08-07 2013-11-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6013252B2 (ja) * 2013-03-28 2016-10-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熱線遮蔽材、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JP2016118584A (ja) * 2014-12-18 2016-06-3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再帰性反射シート及びライセンスプレート、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EP3281981A4 (en) * 2015-04-09 2018-12-26 Zeon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and use of same
JP2018116069A (ja) * 2015-05-29 2018-07-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赤外遮蔽フィルム
JP6654515B2 (ja) * 2016-06-15 2020-02-26 日本化薬株式会社 赤外線遮蔽シート、赤外線遮蔽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並びに赤外線遮蔽合わせ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70363788A1 (en) * 2016-06-20 2017-12-21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Heat-ray shielding particle dispersing liquid, heat-ray shielding particle dispersing body, heat-ray shielding laminated transparent substrate and heat-ray shielding transparent substrate
US11345607B2 (en) * 2016-07-26 2022-05-31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Near-infrared absorbing fine particle dispersion liquid, near-infrared absorbing fine particle dispersion body, near-infrared absorbing transparent substrate, near-infrared absorbing laminated transparent substr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8622A (ja) * 2007-06-15 2008-12-25 Toyo Ink Mfg Co Ltd 赤外線吸収性感圧式接着剤及び赤外線吸収性感圧式接着シート
JP6610660B2 (ja) * 2015-03-31 2019-11-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粘着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56314A1 (en) 2022-02-24
KR20220023884A (ko) 2022-03-03
JP2022036065A (ja)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9207B1 (en) Light-transmitting electromagnetic-shielding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light-transmitting radio wave absorber, and adhesive composition
KR102628602B1 (ko)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KR101628437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JP6409885B2 (ja) 外装用赤外線吸収フィルム
CN101573409B (zh) 近红外线吸收薄膜用粘合剂树脂及使用它的近红外线吸收滤光片
TWI717408B (zh) 黏著劑層、近紅外線遮蔽膜、層合結構體、積層體、及黏著劑組成物
KR20120076251A (ko) 광학 점착제 조성물
KR20130078599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TWI631154B (zh) 固化性樹脂膜、第一保護膜形成用片及第一保護膜形成方法
EP3330338B1 (en) Liquid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adhesive bonding method
KR101651223B1 (ko) 비산방지용 점착시트, 이를 포함하는 터치기기 및 비산방지용 점착시트의 제조방법
KR102736669B1 (ko)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KR102480409B1 (ko)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EP3786242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improved weatherability
TWI721158B (zh) 保護膜形成用膜及保護膜形成用複合片
KR20240108905A (ko)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50756B1 (ko) 터치스크린 패널용 점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 필름
KR20220150235A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필름
KR20180056717A (ko) 환상 올레핀 수지 필름
JP6992483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重合性接着剤および積層体
KR102112080B1 (ko) 터치패널용 다층 점착 필름
JP2022553681A (ja) 硬化性組成物
KR101907910B1 (ko) 경화수축율이 작은 자외선 경화형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03843A (ko) 투명 점착제 조성물, 투명 점착시트, pdp용 광학 필터및 점착시트 제조방법
KR102401141B1 (ko) 점착 시트,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