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984B1 - Ground pad of wiring for vehicle - Google Patents
Ground pad of wiring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0984B1 KR102620984B1 KR1020210146140A KR20210146140A KR102620984B1 KR 102620984 B1 KR102620984 B1 KR 102620984B1 KR 1020210146140 A KR1020210146140 A KR 1020210146140A KR 20210146140 A KR20210146140 A KR 20210146140A KR 102620984 B1 KR102620984 B1 KR 1026209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d
- cable
- binding
- lower pad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는: 한 가닥 이상 배열되는 케이블의 각 도체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차폐선 각각의 하측 둘레면에 동시에 접하고 통전 재질인 로어패드, 차폐선 각각의 상측 둘레면에 동시에 접하고 통전 재질인 어퍼패드, 및 대향하는 로어패드와 어퍼패드를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for a grounding device for vehicle cables is disclosed. The disclosed grounding device for the vehicle cable is: simultaneously in contact with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shield wir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conductor of one or more strands of the cable, and simultaneously in contact with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lower pad and shield wire, which are conductive materials, and conducting electricity.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upper pad made of material, and a binding portion for binding the opposing lower pad and the upper pad.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금속성 패드를 차량에 배선된 복수 가닥의 케이블 각각의 차폐선에 접한 채, 한 쌍의 패드 중 어느 하나의 패드를 차체에 접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케이블의 접지를 위한 부품을 최소화하여 원가와 중량을 줄이고, 접지 작업성을 향상하고자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ing device for vehicle cables. More specifically, a pair of metallic pads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shielding wire of each of a plurality of cables wired in a vehicle, and one of the pair of pads is placed on the vehicle body. This relates to a grounding device for a vehicle cable that is intended to reduce cost and weight and improve grounding workability by minimizing parts for grounding the cable by providing contact with the cable.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비롯하여 전기자동차나 연료전지 자동차에는 차량 구동을 위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고전압 배터리가 사용된다.Generally, high-voltage batteries are used in electric vehicles and fuel cell vehicles, including hybrid vehicles, to supply electrical energy for driving the vehicle.
고전압 배터리는 다수의 단위전지 또는 모듈을 연결하여 고전압을 만들 수 있는 배터리팩이 구성되며, 이를 이용하여 높은 전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고전압 배터리에서 만들어진 고전압의 전류가 차량의 구동 중 사용될 수 있도록 직경이 큰 고전압 케이블을 이용하여 고전압의 전류를 흘려보내게 된다.A high-voltage battery consists of a battery pack that can create high voltage by connecting multiple unit cells or modules, and uses this to generate high power. Accordingly, the high-voltage current generated by the high-voltage battery is sent using a high-voltage cable with a large diameter so that it can be used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고전압 케이블에는 고전류가 흐름에 따라 고전압 케이블로부터 고전압 케이블의 주변으로 전자파를 방출하므로 고전압 케이블의 주변부품에 전자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고전압 케이블은 외부 노이즈에 대해서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서 차폐를 적용한다. 차폐는 개별 차폐와 일괄 차폐 타입으로 구성되며, 편조선이 케이블 내부에 적용되면 개별차폐, 케이블 외부를 감싸면 일괄차폐로 분류된다.As a high current flows through a high-voltage cable, electromagnetic waves are emitted from the high-voltage cable to the surroundings of the high-voltage cable, so electromagnetic waves may affect the surrounding parts of the high-voltage cable. Accordingly, high voltage cables are shielded to protect the cable from external noise. Shielding consists of individual shielding and collective shielding types. When the braided wire is applied inside the cable, it is classified as individual shielding, and when it wraps around the outside of the cable, it is classified as collective shielding.
개별 차폐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도체, 절연체, 편조선, 테이핑, 쉬즈로 구성된다. 도체는 전원 연결을 위해 유닛과 체결되고, 절연체는 도체와 편조선 사이 쇼트(short)를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며, 편조선은 접지를 구성하여 도체에 노이즈 유입을 방지한다. 따라서, 차체와 편조선을 연결하여 접지를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Individually shielded cables typically consist of conductors, insulation, braids, taping, and sheath. The conductor is fastened to the unit for power connection, an insulator is applied to prevent short circuits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braided wire, and the braided wire forms a ground to prevent noise from entering the conductor. Therefore, a method of connecting the car body and the braided wire to connect the ground is used.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6696호(공개일:2019.06.14.)에는 "고전압 케이블 조립체용 접지클립"이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66696 (publication date: 2019.06.14.) “Grounding clip for high voltage cable assembly.”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is background technology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at it is widely known prior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케이블은 접지를 위해 편조선을 구비하는데, 편조선을 접지하기 위해서 연결되는 케이블과 차체에 고정하는 어스 터미널, 편조선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스플라이스 터미널, 케이블을 감싸는 외장재까지 다양한 부품이 구비됨에 따라, 다수의 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작업 공수가 증가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A high-voltage cab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provided with a braided wire for grounding, including a cable connected to ground the braided wire, an earth terminal fixed to the vehicle body, a splice terminal connecting the braided wire and the cable, and an exterior material surrounding the cable. As various parts are provided, the number of working hours to connect a large number of parts increases, leading to a decrease in productivity.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 쌍의 금속성 패드를 차량에 배선된 복수 가닥의 케이블 각각의 차폐선에 접한 채, 한 쌍의 패드 중 어느 하나의 패드를 차체에 접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케이블의 접지를 위한 부품을 최소화하여 원가와 중량을 줄이고, 접지 작업성을 향상하고자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impro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 pair of metallic pads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shielding wir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bles wired in the vehicle, and any one of the pair of pads is contacted to the vehicle bod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grounding device for a vehicle cable that minimizes parts for grounding the cable, reduces cost and weight, and improves grounding workability.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는: 한 가닥 이상 배열되는 케이블의 각 도체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차폐선 각각의 하측 둘레면에 동시에 접하고, 통전 재질인 로어패드; 상기 차폐선 각각의 상측 둘레면에 동시에 접하고, 통전 재질인 어퍼패드; 및 대향하는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를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한다.The grounding device for a vehicle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pad made of a current-conducting material and simultaneously in contact with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shield wir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conductor of one or more cables arranged; An upper pad that simultaneously contacts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shielding wires and is made of an electric current-conducting material; and a binding portion that binds the opposing lower pad and the upper pad.
일 예로, 상기 결속부는, 대응되는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를 결속한 채 상기 차폐선의 접지를 위해 차체에 연결되는 접지결속부재를 포함한다.As an example, the binding unit includes a ground binding member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to ground the shield wire while binding the corresponding lower pad and the upper pad.
대응되는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끼리 상기 접지결속부재에 의해 상기 차체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corresponding lower pad and the upper pad is hingedly connected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by the ground binding member.
다른 예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차체를 향하는 상기 로어패드의 타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차체에 끼워지는 후크; 및 상기 로어패드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어퍼결속홀에 삽입된 후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As another example, the binding portion may include a hook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d facing the vehicle body and being inserted into the vehicle body; and a coupling member that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lower pad, is inserted into the upper coupling hole, and then couples the lower pad and the upper pad.
대응되는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또는 상기 차폐선을 일대일 수용하기 위해 수용홈부를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lower pad and the upper pad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recessed receiving groove to receive the cable or the shielding line one by one to maintain the arranged sta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한 쌍의 금속성 패드를 차량에 배선된 복수 가닥의 케이블 각각의 차폐선에 접한 채, 한 쌍의 패드 중 어느 하나의 패드를 차체에 접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케이블의 접지를 위한 부품을 최소화하여 원가와 중량을 줄이고, 접지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prior art, the grounding device for a vehicle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metallic pads in contact with the shielding wir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bles wired in the vehicle, and one of the pair of pads is By providing the pad in contact with the car body, parts for grounding the cable can be minimized, reducing cost and weight, and improving grounding work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접지장치를 차체에서 분리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초기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ounding device for a vehicl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ble grou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body.
Figure 3 is an initial state diagram of a grounding device for a vehicl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cable grou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cable ground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ground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vehicle cable grou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접지장치를 차체에서 분리한 상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cable grou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state diagram of the cable grou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vehicle bod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초기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Figure 3 is an initial state diagram of a vehicle cable grou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cable groun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20)의 접지장치(100)는 로어패드(110), 어퍼패드(120) 및 결속부(130)를 포함한다.1 to 4, the
본 발명에 따른 접지장치(100)는 차량의 차체(10)에 배선된 케이블(20) 특히, 고전압용 케이블(20)을 차체(10)에 접지[ground]하는 역할을 한다.The
특히, 케이블(20)은 도전성 도체(22), 절연성 절연내피(24), 차폐선(26) 및 절연성 절연외피(28)로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the
절연내피(24)는 도체(22)와 차폐선(26) 사이에 구비되어, 도체(22)와 차폐선(26)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insulating
아울러, 절연외피(28)는 차폐선(26)의 외측을 감싸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한편, 로어패드(110)는 차체(10)에 한 가닥 이상으로 배열되는 케이블(20)의 각 도체(22)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차폐선(26)을 노출시킨 상태로, 해당 차폐선(26)의 하측 둘레면에 접하게 구비되고,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이때, 로어패드(110)는 차폐선(26)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차폐선(26)과 면 접촉되도록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어퍼패드(120)는 해당 차폐선(26)의 상측 둘레면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Additionally, the
어퍼패드(120)는 차폐선(26)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차폐선(26)과 면 접촉되도록 구비된다.The
특히, 케이블(20)이 복수 가닥일 경우, 대향하게 배치되는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는 각 차폐선(26)에 동시에 접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복수 가닥의 케이블(20)이 동시에 접지 가능하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또한, 결속부(130)는 대향하게 배치되어 쌍을 이루는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를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binding
이때, 대응되는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열되는 케이블(20)의 가닥수만큼의 수용홈부(140)를 함몰 형성한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편의상, 수용홈부(140)는 어퍼패드(120)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For convenience, the receiving
그래서, 복수 가닥의 케이블(20)의 차폐선(26)이 로어패드(110) 상에 놓인 채, 어퍼패드(120)의 수용홈부(140)가 해당 차폐선(26)의 상부 둘레면을 일대일로 수용한다. 그리고 나서, 결속부(130)가 대응되는 어퍼패드(120)와 로어패드(110)를 결속함에 따라, 복수 가닥의 케이블(20) 또는 대응되는 차폐선(26)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소정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refore, while the
이때, 차폐선(26)이 수용홈부(140)에 의해 어퍼패드(120)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접지 효율이 향상된다.At this time, the contact area of the
한편, 실시예로, 결속부(130)는 대응되는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를 결속한 채 차폐선(26)의 접지를 위해 차체(10)에 연결되는 접지결속부재(132)를 포함한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the binding
그리고, 접지 신뢰성 확보를 위해,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는 일부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And, to ensure grounding reliability, a portion of the
이를 위해, 대응되는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유단을 이루는 타측끼리 접지결속부재(132)에 의해 차체(10)에 결속된다. 이때, 로어패드(110)의 일측과 어퍼패드(120)의 일측은 접힘에 의한 내부 응력 부하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곡률지게 연결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corresponding
로어패드(110)는 축 방향을 따라 타측에 로어결속홀(112)을 통공하고, 어퍼패드(120)는 축 방향을 따라 타측에 어퍼결속홀(122)이 통공된다.The
그래서,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가 복수 가닥의 케이블(20)의 차폐선(26)을 접할 경우, 로어결속홀(112)과 어퍼결속홀(122)이 상하 방향으로 일치된다.Therefore, when the
아울러, 접지결속부재(132)는 볼트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는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cable ground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ground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20)의 접지장치(100)는 로어패드(110), 어퍼패드(120) 및 결속부(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5 and 6, the
이때, 로어패드(110) 및 어퍼패드(12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결속부(130)는 후크(133) 및 결합부재(134)를 포함한다.And, the binding
이때, 어퍼패드(120)는 하나 이상의 어퍼결속홀(122)을 통공한다. 편의상, 어퍼결속홀(122)은 어퍼패드(120)에 복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아울러, 후크(133)는 차체(10)를 향하는 로어패드(110)의 타측면에서 연장된다. 그리고, 후크(133)가 차체(10)의 고정홀(12)에 끼움됨에 따라, 로어패드(110)가 차체(10)에 고정된다. 이때, 후크(133)는 로어패드(110)에 일체로 구비되고, 후크(133)와 로어패드(110)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후크(133)가 차체(10)에 접촉된 채 고정됨으로써, 케이블(20)의 접지가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또한, 결합부재(134)는 로어패드(110)의 일측면에 일체로 돌출되어 정해진 어퍼결속홀(122)에 삽입된 후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결합부재(134)는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가 면접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래서, 케이블(20)의 접지 신뢰성이 확보된다.In addition, the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Drawing symbols not described are replaced with the one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0: 차체 20: 케이블
22: 도체 24: 절연내피
26: 차폐선 28: 절연외피
100: 접지장치 110: 로어패드
112: 로어결속홀 120: 어퍼패드
122: 어퍼결속홀 130: 결속부
132: 접지결속부재 133: 후크
134: 결합부재10: body 20: cable
22: conductor 24: insulating inner skin
26: shielding wire 28: insulating shell
100: Grounding device 110: Lower pad
112: Lower binding hole 120: Upper pad
122: Upper binding hole 130: Binding part
132: Ground binding member 133: Hook
134: Coupling member
Claims (5)
상기 결속부는, 대응되는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를 결속한 채 상기 차폐선의 접지를 위해 차체에 연결되는 접지결속부재를 포함하며,
대응되는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끼리 상기 접지결속부재에 의해 상기 차체에 결속되며,
대응되는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또는 상기 차폐선을 일대일 수용하기 위해 복수 개의 수용홈부를 함몰 형성하고,
상기 어퍼패드는 복수 개의 어퍼결속홀을 통공하며, 상기 로어패드는 축 방향을 따라 타측에 로어결속홀을 통공하여, 복수 개인 상기 수용홈부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블 또는 상기 차폐선을 수용 후, 상기 접지결속부재가 일치되는 상기 어퍼결속홀과 상기 로어결속홀에 삽입되어 면접되는 상기 어퍼패드와 상기 로어패드의 타측을 상기 차체에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
A lower pad that is simultaneously in contact with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shielding wire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conductor of one or more strands of the cable and is made of a current-conducting material; An upper pad that simultaneously contacts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shielding wires and is made of an electric current-conducting material; and a binding portion that binds the opposing lower pad and the upper pad,
The binding unit includes a ground binding member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to ground the shield wire while binding the corresponding lower pad and the upper pad,
The corresponding lower pad and the upper pad are hingedly connected on one side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s are coupled to the vehicle body by the ground binding member,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lower pad and the upper pad is recessed to form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to receive the cable or the shielding line one by one to maintain the arranged state,
The upper pad has a plurality of upper binding holes, and the lower pad has a lower binding hole on the other side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accommodate the cable or the shielding wi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and then A grounding device for a vehicle c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ad and the lower pad, which are inserted into the upper binding hole and the lower binding hole where ground binding members are aligned, and are interviewed, are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상기 결속부는, 상기 차체를 향하는 상기 로어패드의 타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차체에 끼워지는 후크; 및
상기 로어패드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어퍼결속홀에 삽입된 후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According to clause 1,
The binding portion includes a hook that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d facing the vehicle body and is inserted into the vehicle body; and
A grounding device for a vehicle cable, comprising a coupling member that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lower pad, is inserted into the upper coupling hole, and then couples the lower pad and the upper pa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46140A KR102620984B1 (en) | 2021-10-28 | 2021-10-28 | Ground pad of wiring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46140A KR102620984B1 (en) | 2021-10-28 | 2021-10-28 | Ground pad of wiring for vehic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61173A KR20230061173A (en) | 2023-05-08 |
| KR102620984B1 true KR102620984B1 (en) | 2024-01-05 |
Family
ID=8638185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146140A Active KR102620984B1 (en) | 2021-10-28 | 2021-10-28 | Ground pad of wiring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20984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018729A (en) * | 2001-06-29 | 2003-01-17 | Seiwa Electric Mfg Co Ltd | Cable clamp |
| US20070246616A1 (en) * | 2006-04-21 | 2007-10-25 | Michael Budagher | Stackable transmission line hanger |
| JP2016073088A (en) * | 2014-09-30 | 2016-05-09 | 竹内工業株式会社 | cable clamp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920376B2 (en) * | 1996-04-26 | 2007-05-30 | 竹内工業株式会社 | Grounding clamp |
-
2021
- 2021-10-28 KR KR1020210146140A patent/KR10262098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018729A (en) * | 2001-06-29 | 2003-01-17 | Seiwa Electric Mfg Co Ltd | Cable clamp |
| US20070246616A1 (en) * | 2006-04-21 | 2007-10-25 | Michael Budagher | Stackable transmission line hanger |
| JP2016073088A (en) * | 2014-09-30 | 2016-05-09 | 竹内工業株式会社 | cable clamp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61173A (en) | 2023-05-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2792388B (en) | Wire harness | |
| US9502153B2 (en) | Wire harness with coaxial composite conductive path | |
| JP5848963B2 (en) | Shield structure and wire harness | |
| CN103958278B (en) | High-pressure conductive line and wire harness | |
| US9346420B2 (en) | Wire harness | |
| EP2773534B1 (en) | Wire harness with protective member | |
| US20140284100A1 (en) | Wire harness | |
| US9087620B2 (en) | Braid and wire harness | |
| JP2006156051A (en) | High voltage wire harness | |
| US9252575B2 (en) | High-voltage conduction path and wiring harness | |
| CN219286825U (en) | Charging harness | |
| CN103946070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arranging the same | |
| KR102620984B1 (en) | Ground pad of wiring for vehicle | |
| KR102598639B1 (en) | Ground pad of wiring for vehicle | |
| CN220138704U (en) | Electric connecting device | |
| CN104641523A (en) | Wire har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re harness | |
| US20210288436A1 (en) | Connector | |
| KR102655225B1 (en) | Joint-terminal for shield cable | |
| CN223245326U (en) | Coaxial cable connecting device and cable system | |
| CN222591418U (en) | Annular automobile main power source wire harness structure | |
| US20230040692A1 (en) | Wire harness | |
| JP2018045899A (en) | Earth processing structure of shielded wire | |
| JP2018163840A (en) | Wire harnes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