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988B1 -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0988B1 KR102620988B1 KR1020220045949A KR20220045949A KR102620988B1 KR 102620988 B1 KR102620988 B1 KR 102620988B1 KR 1020220045949 A KR1020220045949 A KR 1020220045949A KR 20220045949 A KR20220045949 A KR 20220045949A KR 102620988 B1 KR102620988 B1 KR 1026209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search
- user terminal
- screen
- ser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5—Clustering; Classif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783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objects detected or recognised in the video conten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9—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EPG data reposito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하는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채팅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채팅 데이터 및 제1 검색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1 검색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색 데이터는 복수의 카테고리들로 분류 가능한 데이터이다.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user terminal, a second user terminal, and a server, wherein the server receives shooting data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 communication interface that receives chatting data from a second user terminal, transmits the chatting data and first search data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ransmits broadcasting data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a processor that identifies an object based on the captured data and generates first search data for the object, wherein the first search data is data that can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시간 검색이 가능한 실시간 방송을 위한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for real-time broadcasting capable of real-time search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방송 채널이 다양화됨에 따라 방송사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통적인 방송 방식부터 개인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방송 방식까지 다양한 방송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As broadcasting channels are diversifying, various broadcasting methods are being developed, ranging from traditional broadcasting methods in which broadcasting companies provide broadcasting services to new broadcasting methods in which individuals provide broadcasting services.
특히, 스마트 기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 방송을 수행하는 방식이 개발되고 있는데, 촬영부와 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기기에 집약된 스마트 기기의 특성 상 실시간 방송을 수행함에 있어서 방송인에게 보다 간편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a method of performing real-time broadcasting through user terminals such as smart devices is being developed. Due to the nature of smart devices in which the recording unit and display unit are integrated into one device, a simpler interface is provided to broadcasters when performing real-time broadcasting. needs to be
또한, 실시간 방송의 특성 상 방송인이 보다 신속하게 방송에 제공할 컨텐츠를 확보하기 위해 실시간 검색이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실시간 채팅을 통해 방송에 제공한 컨텐츠를 즉각적으로 채택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real-time broadcasting, real-time search needs to be performed in order for broadcasters to more quickly secure content to be provided for broadcasting, and there is a need to immediately adopt content provided for broadcasting through real-time cha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시간 방송을 수행함에 있어서 실시간 검색이 가능한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provide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capable of real-time search when performing real-time broadcasting,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하는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채팅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채팅 데이터 및 제1 검색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1 검색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색 데이터는 복수의 카테고리들로 분류 가능한 데이터이다.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user terminal, a second user terminal, and a server, wherein the server receives shooting data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 communication interface that receives chatting data from a second user terminal, transmits the chatting data and first search data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ransmits broadcasting data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a processor that identifies an object based on the captured data and generates first search data for the object, wherein the first search data is data that can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하는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실시간 촬영을 수행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서버에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채팅 데이터 및 제1 검색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방송 화면, 채팅 화면, 및 검색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방송 화면에 상기 촬영 데이터가, 상기 채팅 화면에 상기 채팅 데이터가, 상기 검색 화면에 상기 제1 검색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색 데이터는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식별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이며, 복수의 카테고리들로 분류 가능한 데이터이다.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a first user terminal, a second user terminal, and a server, wherein the first user terminal performs real-time shooting and collects the captured data. A camera unit that generates; a communication interface that transmits shooting data to a server and receives chatting data and first search data from the server;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broadcast screen, a chat screen, and a search screen; And a processor that controls to display the captured data on the broadcast screen, the chat data on the chat screen, and the first search data on the search screen, wherein the first search data is identified from the captured data. This is data about an object, and is data that can be classified into multiple categori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 단말, 및 서버를 포함하는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시간 촬영을 수행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방송 화면에 상기 촬영 데이터를 표시하고, 서버에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촬영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의해, 방송 화면에 상기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고, 채팅 화면에 채팅 데이터를 표시하고, 서버에 상기 채팅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채팅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1 검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검색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채팅 화면에 상기 채팅 데이터를 표시하고, 검색 화면에 상기 제1 검색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색 데이터는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식별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이며, 복수의 카테고리들로 분류 가능한 데이터이다.A method of driving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driving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a first user terminal, a second user terminal, and a server, in real time by the first user terminal. performing shooting to generate shooting data, displaying the shooting data on a broadcast screen, and transmitting the shooting data to a server; transmitting, by the server,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shooting data to the second user terminal; Displaying the broadcast data on a broadcast screen, displaying chat data on a chat screen, and transmitting the chat data to a server, by the second user terminal; By the server, the chat data is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 object is identified based on the shooting data, first search data for the object is generated, and the first search data is s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Transmitting to a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the chat data on a chat screen and the first search data on a search screen, by the first user terminal, wherein the first search data is applied to the object identified from the shooting data. This is data that can be classified into multiple categori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 촬영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방송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간편하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oadcast screen can be provided simply by performing real-time shooting using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and thus a broadcast service can be provided more simply.
또한,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 촬영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촬영 대상에 대한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획득한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보다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search results for a shooting target can be obtained simply by performing real-time shooting using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a more immediate and efficient broadcast service can be provided using the obtained search results.
또한,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 촬영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촬영 대상에 대한 시청자의 관심사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와 소통 가능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viewer's interests in the subject of filming simply by performing real-time filming using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roadcasting service that allows communication with viewers.
결과적으로, 방송인은 실시간 방송을 수행하면서 실시간 검색한 결과를 이용하여 소정 주제에 대한 지속적이고 깊이 있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실시간 방송을 수행하면서 실시간 검색한 결과 중 실시간 채팅을 통해 시청자가 관심을 갖는 주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와 소통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broadcasters can provide continuous and in-depth broadcasting services on certain topics by using real-time search results while performing real-time broadcasting, and viewers can share their interest through real-time chat among the real-time search results while performing real-time broadcasting. Becaus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quickly identify topic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roadcasting service that allows communication with view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이 제공하는 방송인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과 시청자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이 제공하는 방송인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과 시청자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이 제공하는 방송인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과 시청자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이 제공하는 방송인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과 시청자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reen of a broadcaster's user terminal and the screen of a viewer's user terminal provided by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reen of a broadcaster's user terminal and the screen of a viewer's user terminal provided by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reen of a broadcaster's user terminal and the screen of a viewer's user terminal provided by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reen of a broadcaster's user terminal and the screen of a viewer's user terminal provided by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 configurations and various processing steps. Thes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numbers of hardware or/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execute specific functions.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direct memory, processing, logic, look-up tables, etc. that can execute various functions under the control of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other control devices. Circuit configurations can be employed. Similar to the fact that elements of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programming or software element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algorithms implemented as combinations of data structures, processes, routines or other programming constructs. , can be implemented in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s such as C, C++, Java, assembler, etc. Functional aspects may be implemented as algorithms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Additional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mploy conventional technologies for electronic environment setup, signal processing, and/or data processing. Terms such as mechanism, element, means, and configuration can be used broadly and are not limited to mechanical and physical configurations. The term may include the meaning of a series of software routines in connection with a processor, etc.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earch-bas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10)은 제1 사용자 단말(100a), 제2 사용자 단말(100b), 서버(200), 및 데이터베이스(20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earch-based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방송인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100b)은 시청자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The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a)에 의해 획득된 방송 화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205)로부터 검색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a) 및 제2 사용자 단말(100b) 사이에 채팅 데이터를 공유시킬 수 있다.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하나일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100b)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re may be one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카메라부(101a), 통신 인터페이스(103a), 디스플레이부(105a), 프로세서(107a),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09a)를 포함한다.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1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미리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가리키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The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카메라부(101a)가 실시간 촬영을 수행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며, 통신 인터페이스(103a)가 서버(200)에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채팅 데이터 및 제1 검색 데이터를 수신하며, 디스플레이부(101a)가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한다.When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the
방송인의 제1 사용자 단말(100a)에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은 방송 화면, 채팅 화면, 검색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화면, 채팅 화면, 검색 화면은 서로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가 동일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application screen provided to the broadcaster's
프로세서(107a)는 방송 화면에 촬영 데이터가, 채팅 화면에 채팅 데이터가, 검색 화면에 제1 검색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The
제1 검색 데이터는 서버(200)가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205)로부터 추출한 검색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The first search data may refer to search data extracted by the
촬영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Captured data may include image data and/or audio data.
이미지 데이터는 소정의 오브젝트를 화면의 소정 위치에서 촬영한 데이터일 수도 있고, 소정의 오브젝트를 소정 시간 이상 촬영한 데이터일 수도 있고, 소정의 오브젝트를 화면의 소정 위치에서 소정 시간 이상 촬영한 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mage data may be data in which a certain object is photographed at a certain location on the screen, or it may be data in which a certain object is photographed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it may be data in which a certain object is photographed at a certain position on the screen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is not limited to this.
오디오 데이터는 소정의 오브젝트를 소정 횟수 이상 호명한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udio data may be data that refers to a predetermined object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but is not limited to this.
제1 검색 데이터는 촬영 데이터로부터 식별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이며, 복수의 카테고리들로 분류 가능한 데이터이다.The first search data is data about an object identified from shooting data and is data that can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제1 검색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검색 데이터의 이미지 데이터는 촬영 데이터의 이미지 데이터의 유사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제1 검색 데이터의 텍스트 데이터는 촬영 데이터의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오브젝트에 관련된 텍스트 데이터일 수 있다.The first search data may include image data and/or text data. The image data of the first search data may be similar image data to the image data of the shooting data. The text data of the first search data may be text data related to an object extracted from image data and/or audio data of the shooting data.
오브젝트에 관련된 텍스트 데이터는 오브젝트를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텍스트 데이터일 수도 있고, 오브젝트와 유사한 오브젝트를 설명하는 텍스트 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ext data related to an object may be text data directly describing the object or text data describing an object similar to the obje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카테고리는 상품 카테고리, 장소 카테고리, 검색 엔진 카테고리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category may be a product category, a location category, a search engine category,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품 카테고리는 판매처, 가격 비교, 유사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장소 카테고리는 인근 명소, 뉴스, 역사, 행사, 교통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검색 엔진 카테고리는 검색 엔진에 오브젝트를 검색한 결과를 가리킬 수 있다.The product categor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ller, price comparison, and similar product, the place categor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earby attractions, news, history, events, and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 search engine category may include an object to a search engine. It can refer to search results.
이처럼, 방송인은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카메라부(101a)를 이용하여 실시간 촬영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시청자인 제2 사용자 단말(100b)들에 방송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송인은 실시간 촬영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서버(200)로부터 촬영 대상에 대한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검색 결과를 이용하며 방송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방송 수행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broadcaster can provide a broadcast screen to the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03a)가 서버(200)로부터 공통 단어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고, 프로세서(107a)가 검색 화면에 표시된 제1 검색 데이터 중 공통 단어를 다른 단어와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the
사용자 인터페이스(109a)가 다른 단어와 구별되도록 표시된 공통 단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프로세서(107a)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공통 단어 선택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신 인터페이스(103a)가 서버(200)에 공통 단어 선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109a receives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common word displayed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words, the
통신 인터페이스(103a)가 서버(200)로부터 제2 검색 데이터를 수신하고, 프로세서(107a)가 검색 화면에 제2 검색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검색 화면에는 제1 검색 데이터 대신 제2 검색 데이터가 표시될 수도 있고, 제1 검색 데이터와 제2 검색 데이터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제2 검색 데이터는 공통 단어와 관련된 데이터이며, 복수의 카테고리들로 분류 가능한 데이터이다.The second search data is data related to common words and is data that can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제2 검색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검색 데이터의 이미지 데이터는 공통 단어를 가리키는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공통 단어를 가리키는 이미지 데이터의 유사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2 검색 데이터의 텍스트 데이터는 공통 단어와 관련된 텍스트 데이터일 수 있다.The second search data may include image data and/or text data.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search data may be image data indicating a common word and/or image data similar to the image data indicating a common wor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ext data of the second search data may be text data related to common words.
공통 단어에 관련된 텍스트 데이터는 공통 단어를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텍스트 데이터일 수도 있고, 공통 단어와 유사한 단어를 설명하는 텍스트 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ext data related to a common word may be text data directly describing the common word, or may be text data describing words similar to the common wor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카테고리는 상품 카테고리, 장소 카테고리, 검색 엔진 카테고리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category may be a product category, a location category, a search engine category,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서버(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01) 및 프로세서(203)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05)는 서버(200)의 일 구성일 수도 있고, 서버(200)와 구별된 별개의 구성일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일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제1 사용자 단말(100a)로부터 촬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100b)로부터 채팅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 사용자 단말(100a)에 채팅 데이터 및 제1 검색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사용자 단말(100b)에 방송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프로세서(203)는 촬영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03)는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오브젝트에 대한 제1 검색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프로세서(203)는 촬영 데이터 및 채팅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3)는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이미지 데이터를 가리키는 채팅 데이터의 텍스트 데이터를 오브젝트로 식별할 수도 있고, 촬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오디오 데이터를 가리키는 채팅 데이터의 텍스트 데이터를 오브젝트로 식별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제1 검색 데이터는 복수의 카테고리들로 분류 가능한 데이터이다.The first search data is data that can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프로세서(203)는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면의 소정 위치에서 촬영된 오브젝트를 주기적으로 식별할 수도 있고, 소정 시간 이상 촬영된 오브젝트를 주기적으로 식별할 수도 있고, 화면의 소정 위치에서 소정 시간 이상 촬영된 오브젝트를 주기적으로 식별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프로세서(203)는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정 횟수 이상 호명된 오브젝트를 주기적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데이터베이스(205)는 텍스트 데이터 및/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저장한 공간을 의미할 수도 있고, 검색 엔진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데이터베이스(205)는 프로세서(203)에 의해 검색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프로세서(203)는 채팅 데이터와 제1 검색 데이터의 공통 단어를 추출하고,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제1 사용자 단말(100a)에 공통 단어 식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제1 사용자 단말(100a)로부터 공동 단어 선택 데이터를 수신하고, 프로세서(203)는 공통 단어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여 공통 단어에 대한 제2 검색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신 인터페이스(201)는 제1 사용자 단말(100a)에 제2 검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제2 사용자 단말(100b)은 통신 인터페이스(103b), 디스플레이부(105b), 프로세서(107b), 사용자 인터페이스(109b)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2 사용자 단말(100b)은 복수(100bi, 100bj)일 수 있다.There may be multiple
제2 사용자 단말(100b)은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1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00b)은 미리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가리키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00b)은 알림 메시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통신 인터페이스(103b)는 서버(20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서버(200)에 채팅 데이터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부(105b)가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the
시청자의 제2 사용자 단말(100b)에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은 방송 화면 및 채팅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화면 및 검색 화면은 서로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가 동일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application screen provided to the viewer's
프로세서(107b)는 방송 화면에 방송 데이터가, 채팅 화면에 채팅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사용자 인터페이스(109b)는 채팅 데이터를 작성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방송인은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카메라부(101a)를 이용하여 실시간 촬영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서버(200)에 의해 생성된 검색 결과와 채팅 데이터의 공통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검색 결과를 이용하며 방송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와 소통 가능한 방송 수행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broadcaster searches for common words in the search results generated by the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의 제1 검색 데이터 제공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first search data in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실시간 촬영을 수행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S201), 촬영 데이터를 서버(200)에 전송한다(S203).Referring to FIG. 2, the
서버(200)는 촬영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방송 데이터를 제2 사용자 단말(100b)에 전송한다(S205).The
제2 사용자 단말(100b)은 방송 데이터를 방송 화면에, 채팅 데이터를 채팅 화면에 표시한다(S207). 채팅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100b)이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한 데이터일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100a)이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제2 사용자 단말(100b)은 채팅 데이터를 서버(200)에 전송하고(S209), 서버(200)는 채팅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100a)에 전송한다(S211).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촬영 데이터를 방송 화면에, 채팅 데이터를 채팅 화면에 표시한다(S213).The
한편,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a)로부터의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식별하고(S215), 식별된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여 제1 검색 데이터를 생성하고(S217), 제1 검색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100a)에 전송한다(S219).Meanwhile, 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제1 검색 데이터를 검색 화면에 표시한다(S211).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이 제공하는 방송인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과 시청자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reen of a broadcaster's user terminal and the screen of a viewer's user terminal provided by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방송 화면(1051a)에는 촬영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고, 채팅 화면(1053a)에는 채팅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고, 검색 화면(1055a)에는 제1 검색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shooting data may be displayed on the
제2 사용자 단말(100b)의 방송 화면(1051b)에는 방송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고, 채팅 화면(1053b)에는 채팅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Broadcast data may be displayed on 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방송 화면(1051a)과 제2 사용자 단말(100b)의 방송 화면(1051b)은 동일한 화면 또는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화면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송인은 실시간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채팅 화면(1053a)과 제2 사용자 단말(100b)의 채팅 화면(1053b)은 동일한 채팅 데이터 또는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채팅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송인과 시청자는 실시간 채팅을 수행할 수 있다.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검색 화면(1055a)에는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제1 검색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검색 데이터는 방송 화면(1051a)에 표시된 촬영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First search data transmitted from the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카메라부(101a)가 청계천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면,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a)로부터 전송된 촬영 데이터로부터 청계천을 식별할 수 있다.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05)에 청계천을 검색하고, 검색 데이터를 분류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a)에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검색 화면(1055a)에는, 청계천을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텍스트 데이터(청계천: 개요, 역사, 복원, 교량), 청계천을 따라 위치한 광장시장의 먹거리를 설명하는 텍스트 데이터(광장시장: 막걸리, 빈대떡, 꼼장어), 청계천을 따라 위치한 세운상가의 이슈를 설명하는 텍스트 데이터(세운상가: 주상복합아파트, 역사), 청계천을 따라 위치한 방산시장의 상품을 설명하는 텍스트 데이터(방산시장: 비닐, 등산복, 침구, 옷)가 제1 검색 데이터로서 표시될 수 있다.In the
이를 통해 방송인은 실시간 방송과 실시간 검색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Through this, broadcasters can perform real-time broadcasting and real-time search at the same time.
한편, 방송인은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검색 화면(1055a)에 표시된 제1 검색 데이터 중 일부인 “청계천: 복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제1 검색 데이터 중 일부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er can select “Cheonggyecheon: Restoration”, which is part of the first search data displayed on the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a)로부터 전송된 제1 검색 데이터 중 일부를 재검색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서버(200)에 의해 제1 검색 데이터 중 일부가 재검색된 결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이 제공하는 방송인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과 시청자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reen of a broadcaster's user terminal and the screen of a viewer's user terminal provided by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청계천: 복원”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재검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서버(200)는 “청계천: 복원”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100a) 및 제2 사용자 단말(100b)에, “청계천: 복원”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100a)에 전송할 수 있다.The
서버(200)에 의해 제1 사용자 단말(100a) 및 제2 사용자 단말(100b)에 전송되는 “청계천: 복원”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는,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들 중에서 가장 관련성이 높거나, 가장 최근에 촬영되거나, 가장 최근에 업로드되거나, 가장 많이 다운로드되거나, 가장 많이 인용된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image data for “Cheonggyecheon: Restoration” transmitted by 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방송 화면(1051a) 및 제2 사용자 단말(100b)의 방송 화면(1051b)에는 각각 “청계천: 복원”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Image data for “Cheonggyecheon: Restor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청계천: 복원”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는 복수의 카테고리들로 분류 가능한 데이터일 수 있다. “청계천: 복원”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는 “청계천” 및 “복원”과 모두 관련된 데이터로서 복원과 관련된 서울의 다른 개천들을 설명하는 텍스트 데이터(복원: 홍제천, 중랑천, 굴포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ext data about “Cheonggyecheon: Restoration” may be data that can be classified into multiple categories. Text data for “Cheonggyecheon: Restoration” is data related to both “Cheonggyecheon” and “restoration” and may include text data describing other streams in Seoul related to restoration (restoration: Hongjecheon, Jungnangcheon, Gulpocheon), It is not limited.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검색 화면(1055a)에는 “청계천: 복원”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Text data about “Cheonggyecheon: Restor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이를 통해 방송인은 실시간 방송을 수행하면서 실시간 검색한 결과를 이용하여 소정 주제에 대한 지속적이고 깊이 있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broadcasters can provide continuous and in-depth broadcasting services on certain topics by using real-time search results while performing real-time broadcasting.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의 제2 검색 데이터 제공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second search data in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채팅 데이터와 제1 검색 데이터의 공통 단어를 추출한다(S501).Referring to FIG. 5, the
S501의 채팅 데이터 및 제1 검색 데이터는 S211의 채팅 데이터 및 S219의 제1 검색 데이터일 수 있다.The chatting data and first search data of S501 may be the chatting data of S211 and the first search data of S219.
서버(200)는 채팅 데이터의 텍스트 데이터와 제1 검색 데이터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1 검색 데이터의 이미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키는 채팅 데이터의 텍스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공통 단어로서 추출할 수 있다.The
서버(200)는 채팅 데이터의 텍스트 데이터와 제1 검색 데이터의 텍스트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 텍스트 데이터를 공통 단어로서 추출할 수 있다.The
서버(200)는 공통 단어를 가리키는 공통 단어 식별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a)에 전송한다(S503).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공통 단어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여 검색 화면을 업데이트한다(S505).The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검색 화면에 공통 단어 식별 데이터가 가리키는 공통 단어를 다른 단어와 구별되도록 보다 굵게 표시하거나, 밑줄로 표시하거나,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다른 크기로 표시하거나, 깜빡이는 등 애니메이션 효과를 갖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공통 단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507).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공통 단어 선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이 서버(200)에 공통 단어 선택 데이터를 전송하면(S509), 서버(200)는 공통 단어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여 공통 단어를 검색한다(S511).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05)를 이용하여 공통 단어를 검색한 결과인 제2 검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서버(200)가 제2 검색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100a)에 전송하면(S513),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검색 화면을 업데이트한다(S515). 제1 사용자 단말은 검색 화면에 제2 검색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검색 화면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Wh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이 제공하는 방송인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과 시청자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reen of a broadcaster's user terminal and the screen of a viewer's user terminal provided by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방송 화면(1051a)에는 촬영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고, 채팅 화면(1053a)에는 채팅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고, 검색 화면(1055a)에는 제1 검색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shooting data may be displayed on the
제2 사용자 단말(100b)의 방송 화면(1051b)에는 방송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고, 채팅 화면(1053b)에는 채팅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Broadcast data may be displayed on 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방송 화면(1051a)과 제2 사용자 단말(100b)의 방송 화면(1051b)은 동일한 화면 또는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화면일 수 있다.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채팅 화면(1053a)과 제2 사용자 단말(100b)의 채팅 화면(1053b)은 동일한 채팅 데이터 또는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채팅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검색 화면(1055a)에는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제1 검색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검색 데이터는 방송 화면(1051a)에 표시된 촬영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일 수 있다.First search data transmitted from the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카메라부(101a)가 광장시장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면,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a)로부터 전송된 촬영 데이터로부터 광장시장을 식별할 수 있다.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05)에 광장시장을 검색하고, 검색 데이터를 분류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a)에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검색 화면(1055a)에는, 광장시장의 먹거리를 설명하는 텍스트 데이터(광장시장: 막걸리, 빈대떡, 꼼장어), 광장시장 인근의 자연 환경인 청계천을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텍스트 데이터(청계천: 개요, 역사, 복원, 교량), 광장시장 인근의 오래된 건물인 세운상가의 이슈를 설명하는 텍스트 데이터(세운상가: 주상복합아파트, 역사), 광장시장 인근의 또 다른 시장인 방산시장의 상품을 설명하는 텍스트 데이터(방산시장: 비닐, 등산복, 침구, 옷)가 제1 검색 데이터로서 표시될 수 있다.In the
한편, 서버(200)에 의해 채팅 데이터와 제1 검색 데이터의 공통 단어로서 “빈대떡”이 추출되어 “빈대떡”을 가리키는 공통 단어 식별 데이터가 제1 사용자 단말(100a)에 전송되면,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빈대떡”을 다른 단어와 구별되도록 음영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검색 화면(1055a)에서 “빈대떡”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장시장” 역시 “빈대떡”과 같이 음영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채팅 화면(1053a)에서 “빈대떡”을 다른 단어와 구별되도록 음영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Meanwhile, when “Bindaetteok” is extracted as a common word of the chat data and the first search data by the
도시하지 않았으나, 서버(200)는 “빈대떡”을 가리키는 공통 단어 식별 데이터를 제2 사용자 단말(100b)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100b)은 채팅 화면(1053b)에서 “빈대떡”을 다른 단어와 구별되도록 음영 표시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한편, 방송인이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검색 화면(1055b) 내 “빈대떡”을 선택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공통 단어 선택 데이터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broadcaster selects “Bindaetteok” in the search screen 1055b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이 제공하는 방송인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과 시청자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creen of a broadcaster's user terminal and the screen of a viewer's user terminal provided by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도 6의 제1 사용자 단말(100a)로부터 수신한 공통 단어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여 “빈대떡”에 대한 제2 검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이때, 서버(200)는 “빈대떡”과 “빈대떡”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장시장”을 함께 검색한 결과로서 제2 검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도시하지 않았으나, 서버(200)는 “빈대떡”을 검색한 결과로서 제2 검색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고, “빈대떡”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장시장”이 속한 지역과 “빈대떡”을 함께 검색한 결과로서 제2 검색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lthough not shown, the
제2 검색 데이터는 “광장시장” 내 “빈대떡 판매처”를 지도 상에 표시한 이미지 데이터 및 “광장시장” 내 “빈대떡 판매처”를 나열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earch data may include image data showing “Bindaetteok Sellers” in “Gwangjang Market” on a map and text data listing “Bindaetteok Sellers” in “Gwangjang Market.”
이미지 데이터는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00ai)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data may further include an indicator 100ai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서버(200)는 “광장시장” 내 “빈대떡 판매처”를 지도 상에 표시한 이미지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100a) 및 제2 사용자 단말(100b)에, “광장시장” 내 “빈대떡 판매처”를 나열한 텍스트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100a)에 전송할 수 있다.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방송 화면(1051a) 및 제2 사용자 단말(100b)의 방송 화면(1051b)에는 각각 “광장시장” 내 “빈대떡 판매처”를 지도 상에 표시한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The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검색 화면(1055a)에는 “광장시장” 내 “빈대떡 판매처”를 나열한 텍스트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Text data listing “Bindaetteok Sellers” in “Gwangjang Market” may be displayed on the
한편, 서버(200)는 채팅 데이터와 제2 검색 데이터의 공통 단어로서 “B네 빈대떡”이 추출되어 “B네 빈대떡”을 가리키는 공통 단어 식별 데이터가 제1 사용자 단말(100a)에 전송되면,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B네 빈대떡”을 다른 단어와 구별되도록 음영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검색 화면(1055a)에서 “B네 빈대떡”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광장시장” 및 “빈대떡” 역시 “B네 빈대떡”과 같이 음영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채팅 화면(1053a)에서 “B네 빈대떡”을 다른 단어와 구별되도록 음영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Meanwhile, the
도시하지 않았으나, 서버(200)는 “B네 빈대떡”을 가리키는 공통 단어 식별 데이터를 제2 사용자 단말(100b)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100b)은 채팅 화면(1053b)에서 “B네 빈대떡”을 다른 단어와 구별되도록 음영 표시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도시하지 않았으나, 방송인이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검색 화면(1055b) 내 “B네 빈대떡”을 선택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0a)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공통 단어 선택 데이터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when the broadcaster selects “B's Bindaetteok” in the search screen 1055b of the
이때,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00ai)로부터 “B네 빈대떡”에 이르는 경로가 표시된 이미지 데이터 및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현재 위치로부터 “B네 빈대떡”에 이르는 경로를 설명한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00ai)로부터 “B네 빈대떡”에 이르는 경로가 표시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100a) 및 제2 사용자 단말(100b)에, 제1 사용자 단말(100a)의 현재 위치로부터 “B네 빈대떡”에 이르는 경로를 설명한 텍스트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100a)에 전송할 수 있다.The
이를 통해 방송인은 실시간 방송을 수행하면서 실시간 검색한 결과 중 실시간 채팅을 통해 시청자가 관심을 갖는 주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와 소통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broadcasters can accurately and quickly identify topics that viewers are interested in through real-time chat among real-time search results while performing real-time broadcasting, thereby providing a broadcasting service that allows communication with viewers.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with a focus on preferred embodiment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perspe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e inventions claimed by the claims and inventions equivalent to the claimed inventions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a: 제1 사용자 단말
100b: 제2 사용자 단말
200: 서버
205: 데이터베이스100a: first user terminal
100b: second user terminal
200: server
205: database
Claims (20)
실시간 촬영을 수행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서버에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채팅 데이터 및 제1 검색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방송 화면, 채팅 화면, 및 검색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방송 화면에 상기 촬영 데이터가, 상기 채팅 화면에 상기 채팅 데이터가, 상기 검색 화면에 상기 제1 검색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색 데이터는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식별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이며, 복수의 카테고리들로 분류 가능한 데이터이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서버로부터 공통 단어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색 화면에 상기 공통 단어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공통 단어가 다른 단어와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In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a first user terminal, a second user terminal, and a server, the first user terminal:
A camera unit that performs real-time shooting to generate shooting data;
a communication interface that transmits shooting data to a server and receives chatting data and first search data from the server;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broadcast screen, a chat screen, and a search screen;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the captured data to be displayed on the broadcast screen, the chat data to be displayed on the chat screen, and the first search data to be displayed on the search screen,
The first search data is data about an object identified from the shooting data and is data that can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receives common word identification data from the server,
The processor displays a common word corresponding to the common word identification data on the search screen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words.
상기 오브젝트가 상품인 경우 상기 제1 검색 데이터는 상품 카테고리로 분류 가능한 데이터이며,
상기 상품 카테고리는 판매처, 가격 비교, 유사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In claim 9,
When the object is a product, the first search data is data that can be classified into a product category,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in which the product category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ller, price comparison, and similar products.
상기 오브젝트가 장소인 경우 상기 제1 검색 데이터는 장소 카테고리로 분류 가능한 데이터이며,
상기 장소 카테고리는 인근 명소, 뉴스, 역사, 행사, 교통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In claim 9,
When the object is a place, the first search data is data that can be classified into a place category,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in which the place category includes at least one of nearby attractions, news, history, events, and transportation.
상기 제1 검색 데이터는 검색 엔진 카테고리로 분류 가능한 데이터이며,
상기 검색 엔진 카테고리는 검색 엔진에 상기 오브젝트를 검색한 결과를 가리키는,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In claim 9,
The first search data is data that can be classified into search engine categories,
The search engine category is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that indicates results of searching the object in a search engine.
상기 촬영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는 상기 오브젝트를 화면의 소정 위치에서 소정 시간 이상 촬영한 데이터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In claim 9,
The shooting data includes image data,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in which the captured data is data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object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n the screen ov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 공통 단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공통 단어 선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서버에 상기 공통 단어 선택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제2 검색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색 화면에 상기 제2 검색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검색 데이터는 상기 공통 단어와 관련된 데이터이며, 복수의 카테고리들로 분류 가능한 데이터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In claim 9,
It further includes a user interface that receives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common word,
The processor generates common word selection data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The communication interface transmits the common word selection data to the server and receives second search data from the server,
The processor controls the second search data to be displayed on the search screen,
The second search data is data related to the common word and is data that can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방송 화면에는 상기 촬영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채팅 화면에는 상기 채팅 데이터가 표시되는,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In claim 9,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in which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captured data is displayed on a broadcast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the chat data is displayed on a chat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시간 촬영을 수행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고, 방송 화면에 상기 촬영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서버에 상기 촬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촬영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의해, 방송 화면에 상기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고, 채팅 화면에 채팅 데이터를 표시하고, 서버에 상기 채팅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채팅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1 검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검색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채팅 화면에 상기 채팅 데이터를 표시하고, 검색 화면에 상기 제1 검색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색 데이터는 상기 촬영 데이터로부터 식별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이며, 복수의 카테고리들로 분류 가능한 데이터이고,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채팅 데이터와 상기 제1 검색 데이터의 공통 단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공통 단어 식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통 단어 선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공통 단어 선택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공통 단어에 대한 제2 검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제2 검색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검색 화면에 상기 제2 검색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In a method of driving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a first user terminal, a second user terminal, and a server,
generating captured data by performing real-time shooting by the first user terminal, displaying the captured data on a broadcast screen, and transmitting the captured data to the server;
transmitting, by the server,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shooting data to the second user terminal;
Displaying the broadcast data on a broadcast screen, displaying chat data on a chat screen, and transmitting the chat data to a server, by the second user terminal;
By the server, the chat data is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 object is identified based on the shooting data, first search data for the object is generated, and the first search data is s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Transmitting to a user terminal; and
Comprising: displaying the chat data on a chat screen and displaying the first search data on a search screen, by the first user terminal,
The first search data is data about an object identified from the shooting data and is data that can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Extracting, by the server, a common word between the chatting data and the first search data and transmitting common word identification data to 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ing common word selection data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by the server, and generating second search data for the common word in response to the common word selection data;
transmitting, by the server, the second search data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 method of driving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the second search data on the search screen by the first user terminal.
상기 제1 검색 데이터는 상품 카테고리로 분류 가능한 데이터, 장소 카테고리로 분류 가능한 데이터, 및 검색 엔진 카테고리로 분류 가능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In claim 17,
The first search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data classifiable into a product category, data classifiable into a place category, and data classifiable into a search engine category.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면의 소정 위치에서 소정 시간 이상 촬영된 오브젝트를 주기적으로 식별하는 단계인, 검색 기반 방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In claim 17,
The step of identifying, by the server, an object based on the photographed data,
A method of driving a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which is a step of periodically identifying objects photographed over a predetermined time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n the screen by analyzing image data included in the captured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17509 | 2021-09-03 | ||
| KR20210117509 | 2021-09-03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34865A KR20230034865A (en) | 2023-03-10 |
| KR102620988B1 true KR102620988B1 (en) | 2024-01-05 |
Family
ID=85511752
Famil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45949A Active KR102620988B1 (en) | 2021-09-03 | 2022-04-13 |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20220111465A Ceased KR20230034921A (en) | 2021-09-03 | 2022-09-02 | Real-time purchase broadcas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20220111464A Active KR102620989B1 (en) | 2021-09-03 | 2022-09-02 | Real-time sales broadcas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111465A Ceased KR20230034921A (en) | 2021-09-03 | 2022-09-02 | Real-time purchase broadcas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20220111464A Active KR102620989B1 (en) | 2021-09-03 | 2022-09-02 | Real-time sales broadcas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3) | KR10262098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772261B1 (en) * | 2023-05-23 | 2025-02-26 | 주식회사 메타전스 | System for provid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based homeshopping product searching and comparing service |
Family Cites Familie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82094B1 (en) * | 2011-06-27 | 2015-01-13 | 주식회사 케이티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image |
| KR101720940B1 (en) * | 2013-01-28 | 2017-04-10 | 네이버 주식회사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haring a real time video through a chatting window of a messenger service |
| KR20160022432A (en) * | 2014-08-19 | 2016-03-02 | 정무성 | Bargaining Induction System Using Curation Commerce and Method thereof |
| KR101914840B1 (en) * | 2016-12-30 | 2018-11-02 | 최원석 | Online marke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 KR101929649B1 (en) * | 2017-02-10 | 2018-12-1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ation of open chat room through chat log keyword extraction |
| KR101901454B1 (en) * | 2017-03-24 | 2018-09-21 | 박수범 | A real-time shopping method using image recognition in broadcasting and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implementing it |
| KR20170073563A (en) * | 2017-06-15 | 2017-06-28 | 지대호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i-directional escrow service of electronic commerce |
| US11631096B2 (en) * | 2018-10-02 | 2023-04-18 | Mercari, Inc. | Inventory ingestion, image processing, and market descriptor pricing system |
-
2022
- 2022-04-13 KR KR1020220045949A patent/KR102620988B1/en active Active
- 2022-09-02 KR KR1020220111465A patent/KR20230034921A/en not_active Ceased
- 2022-09-02 KR KR1020220111464A patent/KR102620989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34920A (en) | 2023-03-10 |
| KR20230034865A (en) | 2023-03-10 |
| KR20230034921A (en) | 2023-03-10 |
| KR102620989B1 (en) | 2024-01-0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00245036A1 (en) |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obtaining and displaying supplemental data about a displayed movie, show, event or video game | |
| KR102014761B1 (en) | Method and system for sorting a search result with space objects,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device | |
| CN107870962B (en) |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managing local space objects | |
| JP6120467B1 (en) |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 US11392996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navigable path between pages of a network platform based on linking database entries of the network platform | |
| CN108230220B (en) | Watermark adding method and device | |
| KR101670824B1 (en) | Method for Intermediating Advertisement Director and Advertiser | |
| WO2019192424A1 (en) | Short vide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mobile terminal | |
| EP3388958B1 (en)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iewability of location-based spatial object | |
| KR102620988B1 (en) | Search-based broadcas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US20210118065A1 (en) | Location-Based Open Social Networks And Incentivization Methods | |
| US12333615B2 (en) | Location-based open social networks | |
| KR10150298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objects in contents and contents based on the object | |
| JP2017228278A (en) |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 US8955011B1 (en) | Location-based movie i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 |
| US20200242666A1 (en) | Location-Based Open Social Networks And Incentivization Methods | |
| US10368213B1 (en) | Location-based open social networks | |
| US10230676B2 (en) | Location-based open social networks | |
| KR101923130B1 (en) | Social Networking Service Providing System | |
| TWI779375B (en) | Method for conditionally displaying digital content, system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 |
| KR20200020431A (en) | Server for managing of natural park tour service | |
| WO2009002098A1 (en) | Method for providing and searching information keyword and information contents related to contents and system thereof | |
| RU2754199C1 (en) | Method for e-commerce through a public broadcasting environment | |
| KR101082928B1 (en) | System for providing moving pictures on the basis of a user and its method | |
| CN114443973A (en) | Conditional digital content display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