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023B1 - 소수성 고분자 기재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고분자 기재 - Google Patents
소수성 고분자 기재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고분자 기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2023B1 KR102622023B1 KR1020210081023A KR20210081023A KR102622023B1 KR 102622023 B1 KR102622023 B1 KR 102622023B1 KR 1020210081023 A KR1020210081023 A KR 1020210081023A KR 20210081023 A KR20210081023 A KR 20210081023A KR 102622023 B1 KR102622023 B1 KR 1026220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drophilic
- hydrophobic polymer
- polymer substrate
- modifying
- surfacta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6—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 C08J7/18—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using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실시예 3(좌)과 비교예1(우)의 계면활성제 유무에 따라 소수성 지지체에 도입된 친수성 관능기의 균일도를 분석한 사진이다.
도 3은 순수한 PP 부직포, 실시예 3 및 실시예 9의 아크릴산 및 4-비닐피리된 단량체가 각각 도입된 소수성 지지체의 퓨리에변환 적외선 분광 분석(FT-IR) 스펙트라를 나타낸 것이다.
| 조사량 (kGy) |
단량체 용액 | 반응 온도(oC) | 반응 시간(분) | |||
| 용매(wt%) | 단량체 함량(wt%) | 계면활성제(wt%) | ||||
| 실시예 1 | 30 | 91.5 (증류수) | 8 (아크릴산) | 0.5 | 40 | 60 |
| 실시예 2 | 60 | 91.5 (증류수) | 8 (아크릴산) | 0.5 | 40 | 60 |
| 실시예 3 | 90 | 91.5 (증류수) | 8 (아크릴산) | 0.5 | 40 | 60 |
| 실시예 4 | 90 | 93.5 (증류수) | 6 (아크릴산) | 0.5 | 40 | 60 |
| 실시예 5 | 90 | 89.5 (증류수) | 10 (아크릴산) | 0.5 | 40 | 60 |
| 실시예 6 | 90 | 92 (증류수) | 8 (아크릴산) | 0.3 | 40 | 60 |
| 실시예 7 | 90 | 92 (증류수) | 8 (아크릴산) | 0.7 | 40 | 60 |
| 실시예 8 | 90 | 92 (증류수) | 8 (아크릴산) | 1.0 | 40 | 60 |
| 실시예 9 | 90 | 96.5 (증류수) | 3 (4-비닐피리딘) | 0.5 | 30 | 120 |
| 비교예 1 | 90 | 92 (증류수) | 8 (아크릴산) | 0 | 40 | 60 |
| 비교예 2 | 90 | 92 (아세톤) | 8 (아크릴산) | 0 | 40 | 60 |
| 비교예 3 | 30 | 92 (증류수) | 8 (아크릴산) | 0 | 40 | 60 |
| 비교예 4 | 60 | 92 (증류수) | 8 (아크릴산) | 0 | 40 | 60 |
| 비교예 5 | 90 | 92 (증류수) | 8 (아크릴산) | - | - | - |
| 그라프트 중합 수율(%) | |
| 실시예 1 | 100 |
| 실시예 2 | 120 |
| 실시예 3 | 150 |
| 실시예 4 | 110 |
| 실시예 5 | 200 |
| 실시예 6 | 130 |
| 실시예 7 | 140 |
| 실시예 8 | 120 |
| 실시예 9 | 115 |
| 비교예 1 | 80 |
| 비교예 2 | 105 |
| 비교예 3 | 40 |
| 비교예 4 | 60 |
| 비교예 5 | 20 |
Claims (9)
- 소수성 고분자에 30 kGy 내지 200 kGy의 전자선을 조사하는 단계;
단량체 수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3 wt% 이상 1 wt% 미만의 계면활성제, 1 wt% 내지 30 wt%의 친수성 단량체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친수성 단량체 수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및
전자선 조사된 소수성 고분자와 친수성 단량체 수용액을 30 내지 70℃의 온도에서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수성 고분자 기재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인, 소수성 고분자 기재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소수성 고분자 기재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스팬, spans)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계면활성제, 에톡실화 계면활성제 및 PEG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소수성 고분자 기재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단량체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 함유 아미드 또는 아민, 및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질소 함유 헤테로고리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소수성 고분자 기재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선 조사된 소수성 고분자와 친수성 단량체 수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는 30분 내지 180분 동안 수행되는, 소수성 고분자 기재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미반응 또는 단일중합된 친수성 단량체를 세척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소수성 고분자 기재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81023A KR102622023B1 (ko) | 2021-06-22 | 2021-06-22 | 소수성 고분자 기재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고분자 기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81023A KR102622023B1 (ko) | 2021-06-22 | 2021-06-22 | 소수성 고분자 기재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고분자 기재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70232A KR20220170232A (ko) | 2022-12-29 |
| KR102622023B1 true KR102622023B1 (ko) | 2024-01-10 |
Family
ID=8453938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81023A Active KR102622023B1 (ko) | 2021-06-22 | 2021-06-22 | 소수성 고분자 기재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고분자 기재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22023B1 (ko)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191132B1 (ko) | 1990-11-27 | 1999-06-15 | 스티븐 에이. 헬렁 | 중합체 제품의 표면피복 |
| JP2007161857A (ja) * | 2005-12-13 | 2007-06-28 | Fujifilm Corp | 基材表面改質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219965A (en) * | 1990-11-27 | 1993-06-15 | Bausch & Lomb Incorporated | Surface modification of polymer objects |
| KR0126891B1 (ko) * | 1994-02-08 | 1998-04-01 | 강박광 | 소수성 고분자의 표면개질 방법 |
| KR0149054B1 (ko) * | 1994-12-20 | 1998-10-15 | 강박광 | 소수성 고분자 표면의 친수화방법 |
| KR20000067415A (ko) * | 1999-04-28 | 2000-11-15 | 이윤식 | 표면 개질된 폴리스티렌 구형 수지의 제조방법 |
| KR101124619B1 (ko) * | 2010-03-03 | 2012-03-20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방사선을 이용한 고분자 재료 표면 위에 나노 재료 고정화 및 패턴 형성 방법 |
| KR101734841B1 (ko) * | 2014-06-09 | 2017-05-15 | 한국원자력연구원 | 방사선 그라프트 방법으로 제조된 친수화 다공성 지지체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친수화 다공성 지지체 |
| KR101837583B1 (ko) * | 2016-03-03 | 2018-03-13 | 한국원자력연구원 | 소수성 단량체가 그래프트된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
| KR102106060B1 (ko) * | 2018-06-22 | 2020-04-29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소수성 폴리올레핀 표면 친수화 처리 방법 및 이의 용도 |
-
2021
- 2021-06-22 KR KR1020210081023A patent/KR10262202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191132B1 (ko) | 1990-11-27 | 1999-06-15 | 스티븐 에이. 헬렁 | 중합체 제품의 표면피복 |
| JP2007161857A (ja) * | 2005-12-13 | 2007-06-28 | Fujifilm Corp | 基材表面改質方法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70232A (ko) | 2022-12-2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1821325B (zh) | 亲水性多孔基底 | |
| Bhattacharya | Radiation and industrial polymers | |
| JP2012503085A5 (ko) | ||
| JP2011522090A (ja) | リガンド官能化基材の製造方法 | |
| JP2011523965A (ja) | リガンド官能化基材 | |
| CN109967049A (zh) | 一种铀吸附剂及其制备方法 | |
| JP6697842B2 (ja) | モノマーグラフト化繊維及びその使用 | |
| CN102649029A (zh) | 一种聚乙烯中空纤维微孔膜辐照改性方法 | |
| KR102622023B1 (ko) | 소수성 고분자 기재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된 고분자 기재 | |
| JP2010516916A (ja) | 反応性界面活性剤分子を用いる、電離放射線によるグラフトの方法並びに得られる布基材及び電池セパレータ | |
| CN1539550A (zh) | 一种高效聚合物分离膜亲水化改性的方法 | |
| US20080248212A1 (en) | Methods of making functionalized fluoropolymer films | |
| JPH0561297B2 (ko) | ||
| US3390067A (en) | Alkali-etched, acrylate irradiation-grafted 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felt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 |
| JP6675713B2 (ja) | グラフト化繊維の製造方法 | |
| JPH08180891A (ja) | 常温型燃料電池用薄膜電解質及び常温型燃料電池 | |
| JPH07279052A (ja) | ポリプロピレン系基材の改質方法 | |
| JP3293031B2 (ja) | フィルムシール方式によるグラフト化繊維の製造法 | |
| JPS6020941A (ja) | ポリフツ化オレフイン成形物へのグラフト重合方法 | |
| KR20150083707A (ko) | 방사선을 이용한 고흡수성 섬유의 제조 방법 | |
| JPH0222317A (ja) | ポリオレフィン連続気泡体の改質方法 | |
| JPH04309536A (ja) | 放射線照射グラフト化方法およびグラフト化物 | |
| JP6025164B2 (ja) | 重合性モノマーがグラフト重合されたグラフト重合高分子繊維の製造方法、機能性材料、並びに金属捕集材 | |
| JPS6020939A (ja) | ポリフツ化オレフイン成形物へのグラフト重合方法 | |
| JPH0742342B2 (ja) | 親水化フィルム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