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3007B1 - 3-Level DC-DC Converter Including multi-phase - Google Patents

3-Level DC-DC Converter Including multi-ph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007B1
KR102623007B1 KR1020180150781A KR20180150781A KR102623007B1 KR 102623007 B1 KR102623007 B1 KR 102623007B1 KR 1020180150781 A KR1020180150781 A KR 1020180150781A KR 20180150781 A KR20180150781 A KR 20180150781A KR 102623007 B1 KR102623007 B1 KR 102623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unit
converter
converting unit
out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7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4557A (en
Inventor
임동주
김철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0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007B1/en
Publication of KR20200064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5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00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3-레벨 DC-DC 컨버터에 관한 기술이다. 3-레벨 DC-DC 컨버터는 캐패시터, 및 상기 캐패시터를 충, 방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들 포함하는 제 1 컨버팅부, 상기 제 1 컨버팅부의 출력 노드에 연결되고, 인덕터 및 상기 인덕터로 상기 제 1 컨버팅부의 출력 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방전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제 2 컨버팅부, 및 상기 제 2 컨버팅부와 연결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제 1 컨버팅부는 단일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컨버팅부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3-레벨 DC-DC 컨버터는 1개의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This is a technology related to 3-level DC-DC converter. The 3-level DC-DC converter includes a capacitor, a first convert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e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capacitor, connected to an output node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an inductor, and the first converting unit using the inductor. It may include a second converting unit including a switching unit that selectively supplies or discharges a negative output voltage, and an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rting unit. The first converting unit consists of a single unit, and the second converting un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units, so that the 3-level DC-DC converter may include one capacitor.

Description

다중 위상을 갖는 3-레벨 DC-DC 컨버터{3-Level DC-DC Converter Including multi-phase}3-Level DC-DC Converter Including multi-phase}

본 발명은 전력 변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중 위상을 갖는 3-레벨 DC-DC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wer conversion systems, and more specifically to a three-level DC-DC converter with multiple phases.

DC-DC 컨버터는 직류(DC) 전압원을 하나의 전압 레벨에서 다른 전압 레벨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DC-DC 컨버터는 반도체 소자의 집적 밀도가 감소됨에 따라, 전원 전압을 상대적으로 낮은 동작 전압으로 변환시키는데 주로 이용될 수 있다. DC-DC 컨버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은 입력 전압에 대해 낮은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벅(Buck) DC-DC 컨버터 뿐만 아니라, 입력 전압에 비해 높은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부스트(boost) DC-DC 컨버터 및 또는 입력 전압에 대해 높거나 낮은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벅-부스트(buck-boost)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A DC-DC converter is a device that converts a direct current (DC) voltage source from one voltage level to another voltage level. As the integration density of semiconductor devices decreases, such DC-DC converters can be mainly used to convert the power supply voltage to a relatively low operating voltage. As described above, the DC-DC converter is a buck DC-DC converter that generates a low output voltage for a high input voltage, as well as a boost DC-DC converter that generates a high output voltage compared to the input voltage. It may include a converter and/or a buck-boost DC-DC converter that produces a high or low output voltage relative to the input voltage.

일반적인 DC-DC 컨버터는 입력 전압 대비 출력 전압비가 높은 경우, 파워 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3-레벨 DC-DC 컨버터가 제안되었다. 3-레벨 DC-DC 컨버터는 복수의 파워 스위치, 플라잉(flying) 캐패시터 및 인덕터를 포함하는 위상(phase)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전압 변환 동작을 위해, 상기 복수의 파워 스위치가 구동됨으로 인해, 컨덕션 로스(conduction loss) 및 스위칭 로스(switching loss)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원 전압이 상기 위상에 입력되는 과정에서, 오버 슛(overshoot) /언더 슛(undershoot)과 같은 출력 전압 이상 및 출력 전압 리플(ripple)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품질의 출력 전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3-레벨 DC-DC 컨버터는 상기 위상을 복수 개 이용하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General DC-DC converters have the disadvantage of lowering power efficiency when the ratio of output voltage to input voltage is high. Accordingly, a 3-level DC-DC converter was proposed. A 3-level DC-DC converter may be composed of a phase including a plurality of power switches, flying capacitors, and inductors. However, for the voltage conversion operation, as the plurality of power switches are driven, conduction loss and switching loss may occur. Additionally, in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power voltage to the phase, , output voltage abnormalities such as overshoot/undershoot and output voltage ripple problems may occur. Accordingly, a 3-level DC-DC converter structure using a plurality of the above phases was proposed to provide high-quality output voltage.

그런데, 다중 위상 3-레벨 DC-DC 컨버터의 경우, 각 위상마다 캐패시터가 구비되기 때문에, 3-레벨 DC-DC 컨버터의 면적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캐패시터의 충전량의 미스매치(mismatch)로 인해, 인덕터의 출력 전류 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인덕터의 출력 전류차이는 DC-DC 컨버터의 파워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 multi-phase 3-level DC-DC converter, a capacitor is provided for each phase, so not only does the area of the 3-level DC-DC converter increase, but also a mismatch in the charge amount of the capacitor causes , there is a problem that a difference in the output current of the inductor occurs. This difference in the output current of the inductor causes a decrease in the power efficiency of the DC-DC converter.

본 발명은 면적 및 파워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3-레벨 DC-DC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3-level DC-DC converter that can improve area and power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레벨 DC-DC 컨버터는, 캐패시터, 및 상기 캐패시터를 충, 방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들 포함하는 제 1 컨버팅부, 상기 제 1 컨버팅부의 출력 노드에 연결되고, 인덕터 및 상기 인덕터로 상기 제 1 컨버팅부의 출력 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방전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제 2 컨버팅부, 및 상기 제 2 컨버팅부와 연결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컨버팅부는 단일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컨버팅부는 복수 개로 구성된다. A 3-level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verting unit including a capacitor and a plurality of switche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capacitor, and is connected to an output node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A second converting unit including an inductor and a switching unit that selectively supplies or discharges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to the inductor, and an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rting unit, wherein the first converting unit consists of a single unit. And, the second converting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레벨 DC-DC 컨버터는 입력 전원과 접지 전원 사이에 직렬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 제 1 NMOS 트랜지스터, 제 2 PMOS 트랜지스터, 제 2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와 및 상제 2 PMOS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플라잉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제 1 컨버팅부; 상기 제 1 컨버팅부의 출력 노드에 병렬로 연결되며, 인덕터 및 상기 인덕터로 상기 제 1 컨버팅부의 출력 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2 컨버팅부; 상기 제 2 컨버팅부와 연결되어 부하를 제공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 1 컨버팅부의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제 2 컨버팅부의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2 컨버팅부는 위상차를 가지고 순차적으로 구동된다.In addition, a 3-level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MOS transistor, a first NMOS transistor, a second PMOS transistor, and a second NMOS transistor sequentially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input power and the ground power. , and a first converting unit including a flying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NMOS transistor and the second PMOS transistor; a plurality of second converting unit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utput node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and including an inductor and a switching unit that selectively supplies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to the inductor; an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rting unit to provide a load; and a control circuit block that controls the transistors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and the switching unit of the second converting unit,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rting units are sequentially driven with a phase difference.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적 큰 면적을 차지하는 플라잉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제 1 컨버팅부를 단수 개로 구현하고,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 2 컨버팅부를 복수 개의 위상으로 구현한다. 이에 따라, 컨버터의 점유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컨덕션 로스(conduction loss)를 감소시킬 수 있어, 파워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verting unit including a flying capacitor occupying a relatively large area is implemented as a single phase, and the second converting unit including an inductor is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phases. Accordingly, the occupied area of the converter can be reduced, conduction loss can be reduced, and power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플라잉 캐패시터를 충전 및 방전시키기 위한 PMOS 트랜지스터 및 NMOS 트랜지스터를 입력 전원과 접지 전원 사이에 교대로 직렬 연결하므로써, 전압 스윙 레벨을 줄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voltage swing level can be reduced by alternately connecting PMOS transistors and NMOS transistor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flying capacitor in series between the input power and the ground pow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레벨 DC-DC 컨버터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레벨 DC-DC 컨버터의 제어 회로 블록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조 신호들의 출력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컨버팅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는 일반적인 3-레벨 DC-DC 컨버터 구조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3-레벨 DC-DC 컨버터의 각 위상 별 출력 전압의 타이밍도이다.
도 7은 각 위상 별 듀티비에 따른 충전 모드 및 방전 모드의 유효 저항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듀티 비에 따른 평균 저항을 보여주는 표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3-level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circuit block of a 3-level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output waveforms of modulation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general 3-level DC-DC converter structure.
Figures 6a to 6c are timing diagrams of output voltages for each phase of a 3-level DC-DC converter.
Figure 7 is a table showing the effective resistance in charging mode and discharging mode according to the duty ratio for each phase.
Figure 8 is a table showing average resistance according to each duty rat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DC-DC 컨버터(100)는 제 1 컨버팅부(110), 제 2 컨버팅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DC-DC converter 100 may include a first converting unit 110, a second converting unit 120, and an output unit 130.

제 1 컨버팅부(110)는 입력 전원(Vin) 및 접지 전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버팅부(110)는 입력 전원(Vin) 및 접지 전원 사이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M1), 제 1 NMOS 트랜지스터(M2), 제 2 PMOS 트랜지스터(M3)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PMOS 트랜지스터(M1), 제 1 NMOS 트랜지스터(M2), 제 2 PMOS 트랜지스터(M3)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4)는 제 1 내지 제 4 제어 신호(Gsc1, Gsc2, Gsc3, Gsc4)에 의해 선택적으로 턴온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제어 신호(Gsc1, Gsc2, Gsc3, Gsc4)는 이하에서 설명될 제어 회로 블록에서 제공될 수 있다.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may include switche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input power source Vin and the ground power source. For example,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includes a first PMOS transistor (M1), a first NMOS transistor (M2), a second PMOS transistor (M3) sequentially connected between the input power supply (Vin) and the ground power supply. It may include a second NMOS transistor (M4). The first PMOS transistor (M1), the first NMOS transistor (M2), the second PMOS transistor (M3), and the second NMOS transistor (M4) are controlled by the first to fourth control signals (Gsc1, Gsc2, Gsc3, and Gsc4). Turns on selectively. The first to fourth control signals (Gsc1, Gsc2, Gsc3, Gsc4) may be provided from control circuit blocks that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M1), 제 1 NMOS 트랜지스터(M2), 제 2 PMOS 트랜지스터(M3)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4)는 동일한 모빌리티(mobility)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제 1 PMOS 트랜지스터(M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M3)는 각각 4N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 1 NMOS 트랜지스터(M2)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4)는 각각 2N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4N의 면적을 갖는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M1, M3) 및 2N의 면적을 갖는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2,M4)는 각각 R에 해당하는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R 및 N은 양의 유리수일 수 있다. The first PMOS transistor (M1), the first NMOS transistor (M2), the second PMOS transistor (M3), and the second NMOS transistor (M4) may have the same mobility characteristics. ) and the second PMOS transistor M3 may each be formed to have an area of 4N, and the first NMOS transistor M2 and the second NMOS transistor M4 may each be formed to have an area of 2N.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PMOS transistors (M1, M3) with an area of 4N and the first and second NMOS transistors (M2, M4) with an area of 2N may each have a resistance corresponding to R. At this time, R and N may be positive rational numbers.

또한, 제 1 컨버팅부(110)는 플라잉 캐패시터(flying capacitor: Cfly)를 포함할 수 있다. 플라잉 캐패시터(Cfly)는 입력 전압(Vin)의 0.5배 해당하는 전압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잉 캐패시터(Cfly)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M1)와 제 1 NMOS 트랜지스터(M2)의 연결 노드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M3)와 제 2 NMOS 트랜지스터(M4)의 연결 노드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제 1 컨버팅부(110)는 단일 개로 구비된다. 그러므로, 플라잉 캐패시터(Cfly)는 3-레벨 DC-DC 컨버터(100)내에 하나만이 구비되어, 3-레벨 DC-DC 컨버터(100)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may include a flying capacitor (Cfly). The flying capacitor (Cfly) can be charged by a voltage equal to 0.5 times the input voltage (Vin). Here, the flying capacitor Cfly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PMOS transistor M1 and the first NMOS transistor M2 and the connection node of the second PMOS transistor M3 and the second NMOS transistor M4. .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is provided as a single unit. Therefore, only one flying capacitor (Cfly) is provided in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thereby reducing the area of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 1 컨버팅부(110)은 입력 전원(Vin)과 접지 전원 사이에, 제 1 PMOS 트랜지스터(M1), 제 1 NMOS 트랜지스터(M2), 제 2 PMOS 트랜지스터(M3)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4)가 교대로 직렬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 1 컨버팅부(110)의 출력 노드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M2)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M3)의 연결 노드에 해당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MOS transistor (M1), a first NMOS transistor (M2), and a second PMOS transistor (M3) between the input power supply (Vin) and the ground power supply. and the second NMOS transistor M4 are alternately connected in series. Accordingly, the output node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may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NMOS transistor M2 and the second PMOS transistor M3.

제 1 컨버팅부(110)의 스위치들은 입력 전원(Vin) 및 접지 전원 사이에서 PMOS 트랜지스터 및 NMOS 트랜지스터가 교대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 및 제 1 NMOS 트랜지스터(M1,M2)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Gsc1,Gsc2)들이 Vin~Vin/2 범위에서 스윙되고, 제 2 PMOS 트랜지스터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3,M4)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Gsc3, Gsc4)는 Vin/2~Vss에서 스윙될 수 있다. 또한, 제 1 컨버팅부(110)는 상기 플라잉 캐패시터(Cfly)가 일정 전하를 보전하여, 일정한 출력 전압(Vsc)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M1,M3)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거나,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2,M4)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컨버팅부(110)를 구성하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M1), 제 1 NMOS 트랜지스터(M2), 제 2 PMOS 트랜지스터(M3)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4)가 일제히 동작되지 않기 때문에, 입력 전압(Vin)에서 접지 전압(Vss)까지 슛-쓰루(shoot through)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제 1 컨버팅부(110)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M1), 제 1 NMOS 트랜지스터(M2), 제 2 PMOS 트랜지스터(M3)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4)의 선택적인 동작에 의해, 입력 전원(Vin)에서 캐패시터 전압(Vf)을 감한 전압(Vin-Vf) 또는 캐패시터 전압(Vf)을 반복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패시터 전압(Vf)은 입력 전압의 0.5배에 해당하기 때문에, 제 1 컨버팅부(110)는 지속적으로 입력 전원(Vin)의 0.5배에 해당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The switches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have PMOS transistors and NMOS transistors alternately connected between the input power Vin and the ground power supply. Accordingly, the control signals (Gsc1, Gsc2) for driving the first PMOS transistor and the first NMOS transistor (M1, M2) swing in the range Vin ~ Vin/2, and the second PMOS transistor and the second NMOS transistor ( The control signals (Gsc3, Gsc4) for driving M3, M4) can swing from Vin/2 to Vss. In addition,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selectively converts the first and second PMOS transistors M1 and M3 so that the flying capacitor Cfly preserves a certain charge and provides a constant output voltage Vsc. or the first and second NMOS transistors (M2, M4) can be selectively driven. Therefore, because the first PMOS transistor (M1), first NMOS transistor (M2), second PMOS transistor (M3), and second NMOS transistor (M4) constituting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do not operate simultaneously. , no shoot through occurs from the input voltage (Vin) to the ground voltage (Vss). As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is responsible for selective operation of the first PMOS transistor (M1), the first NMOS transistor (M2), the second PMOS transistor (M3), and the second NMOS transistor (M4). As a result, the voltage (Vin-Vf) or the capacitor voltage (Vf) obtained by subtracting the capacitor voltage (Vf) from the input power (Vin) can be repeatedly output. At this time, because the capacitor voltage (Vf) corresponds to 0.5 times the input voltage,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can continuously output a voltage corresponding to 0.5 times the input power (Vin).

제 2 컨버팅부(120)는 제 1 컨버팅부(110)의 출력 노드와 출력부(13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컨버팅부(120)는 인덕터(L)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다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제 2 컨버팅부(120)는 콘덕션 로스 및 스위칭 로스를 줄일 수 있도록, 다중 위상(PH1, PH2, PH3, PH4)으로 동작될 수 있다. 다중 위상으로 구동되는 제 2 컨버팅부(120)는 상기 제 1 컨버팅부(110)의 출력 노드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컨버팅부(120)는 예를 들어, 4개의 위상차, 예컨대, 0°, 45°, 90°, 135°의 위상차를 갖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 2 컨버팅부(120)는 제 1 컨버팅부(110)의 출력 전압(Vsc)을 스위칭 및 방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컨버팅부(110)의 출력 노드와 상기 인덕터(L) 사이에, 스위칭부(SW)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컨버팅부(120)의 스위칭부(SW)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Mp1) 및 제 3 NMOS 트랜지스터(Mn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PMOS 트랜지스터(Mp1)는 제 1 컨버팅부(110)의 출력 노드와 연결되는 드레인, 제 5 제어 신호(Gp1)를 입력받는 게이트 및 제 3 NMOS 트랜지스터(Mn1)와 연결되는 드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NMOS 트랜지스터(Mn1)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Mp1)의 드레인과 연결되는 드레인, 제 6 제어 신호(Gn1)를 입력받는 게이트, 및 접지 전원과 연결되는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Vx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Mp1)의 드레인, 제 3 NMOS 트랜지스터(Mn1)의 드레인 및 인덕터(L)가 연결되는 노드를 지시한다.The second converting unit 12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node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and the output unit 130. The second converting unit 12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ductor (L) and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uctors (L).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rting units 120 may be operated in multiple phases (PH1, PH2, PH3, PH4) to reduce conduction loss and switching loss. The second converting unit 120 driven in multiple phases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utput node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rting units 120 may be driven to have four phase differences, for example, 0°, 45°, 90°, and 135°. In addition, the second converting unit 120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node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and the inductor (L) in order to switch and discharge the output voltage (Vsc)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It may include a switching unit (SW). The switching unit (SW) of the second converting unit 120 may include a third PMOS transistor (Mp1) and a third NMOS transistor (Mn1). The third PMOS transistor Mp1 may include a drain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a gate receiving the fifth control signal Gp1, and a drain connected to the third NMOS transistor Mn1. You can. The third NMOS transistor Mn1 may include a drain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third PMOS transistor Mp1, a gate receiving the sixth control signal Gn1, and a source connected to a ground power source. In the drawing, Vx indicates a node to which the drain of the third PMOS transistor (Mp1), the drain of the third NMOS transistor (Mn1), and the inductor (L) are connected.

제 3 PMOS 트랜지스터(Mp1) 및 제 3 NMOS 트랜지스터(Mn1)는 제 5 제어 신호(Gp1) 및 제 6 제어 신호(Gn1)에 의해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턴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컨버팅부(110)의 출력 전압(Vsc)이 인덕터(L)에 그대로 스위칭되든지, 혹은 접지 전압이 인덕터(L)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5 및 제 6 제어 신호(Gp1, Gn1)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제어 신호(Gsc1~Gsc4)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 회로 블록에서 생성할 수 있다. The third PMOS transistor Mp1 and the third NMOS transistor Mn1 may be turned on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by the fifth control signal Gp1 and the sixth control signal Gn1. Accordingly, the output voltage (Vsc)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may be switched directly to the inductor (L), or the ground volt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inductor (L). The fifth and sixth control signals (Gp1, Gn1) can be generated in the control circuit block like the first to fourth control signals (Gsc1 to Gsc4).

제 2 컨버팅부(120)의 제 3 PMOS 트랜지스터(Mp1)는 2R에 해당하는 저항을 갖도록 2N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3 NMOS 트랜지스터(Mn1)는 2R에 해당하는 저항을 갖도록 N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PMOS transistor Mp1 of the second converting unit 120 may be formed to have an area of 2N and have a resistance corresponding to 2R, and the third NMOS transistor Mn1 may have an area of N to have a resistance corresponding to 2R. can be formed.

출력부(130)는 출력 캐패시터(Co), 출력 저항(R) 및 전류원(Ic)을 포함하는 부하(load)일 수 있다. 출력 캐패시터(Co) 및 출력 저항(R)은 출력부(130)의 출력 노드와 접지 전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전류원(Ic) 역시 출력 노드와 접지 전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30 may be a load including an output capacitor (Co), an output resistance (R), and a current source (Ic). The output capacitor (Co) and the output resistor (R) may b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output node of the output unit 130 and the ground power source. A current source (Ic) may also be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node and the ground supply.

출력부(130)의 출력 노드의 전압(Vout, 이하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은 다음의 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The voltage of the output node of the output unit 130 (Vou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utput voltage of the DC-DC converter)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식 1><Equation 1>

Vout= Duty *Vin *0.5Vout=Duty*Vin*0.5

이에 따라, 3-레벨 DC-DC 컨버터의 출력 신호의 듀티 비(Duty ratio)는 D=Vout/Vin * 200으로 구해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duty ratio of the output signal of the 3-level DC-DC converter can be obtained as D=Vout/Vin * 20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레벨 DC-DC 컨버터의 제어 회로 블록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조 신호들의 출력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컨버팅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circuit block of a 3-level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output waveforms of modulation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3-레벨 DC-DC 컨버터(100)를 제어 회로 블록(200)은 제 2 컨버팅부(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위상 제어부(140) 및 제 1 컨버팅부(110)의 스위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ircuit block 200 that controls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includes the phase control unit 14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onverting unit 120 and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It may include a switching control unit 15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witches.

위상 제어부(140)는 신호 생성부(142) 및 구동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hase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a signal generator 142 and a driver 144.

신호 생성부(142)는 시간에 근거한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장치일 수 있다. 상기 PID는 출력부의 부하 전류(Iload)의 변화에 따라, 출력 전압(Vout) 가변시켜 출력하도록 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생성부(142)는 출력 전압(Vout) 및 기준 전압(Vref)을 입력 받아, 출력 클럭(CKout) 및 기준 클럭(CKref)을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142)는 상기 출력 클럭(CKout)을 근거로 하여, 상기 기준 클럭(CKref)을 분주시켜, 복수의 변조 신호(PWMs)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ignal generator 142 may be a time-based 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PID) device. The PID may include a regulator that varies the output voltage (Vout) according to changes in the load current (Iload) of the output unit. Additionally, the signal generator 142 may receive an output voltage (Vout) and a reference voltage (Vref) and generate an output clock (CKout) and a reference clock (CKref). The signal generator 142 may divide the reference clock (CKref) based on the output clock (CKout) to generate a plurality of modulation signals (PWMs).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신호 생성부(142)는 출력 클럭(CKout) 및 기준 클럭(CKref)에 동기되는 4 분주된 변조 신호(PWM 0°, PWM 45°, PWM 90°, PWM 135°)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변조 신호(PWM 0°, PWM 45, PWM 90°, PWM 135°)는 각각 45°의 위상차를 가지며 순차적으로 인에이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위상(PH1~PH4)에 입력되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신호(Gp1)일 수 있다. 또한, 신호 생성부(142)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 신호(Gp1)를 반전시켜, 각 위상(PH1~PH4)의 제 3 NMOS 트랜지스터(Mn1)의 게이트 신호(Gn1)를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signal generator 142 generates 4 divided modulation signals (PWM 0°, PWM 45°, PWM 90°, PWM 135°) that are synchronized with the output clock (CKout) and the reference clock (CKref). can be created. The modulation signals (PWM 0°, PWM 45, PWM 90°, and PWM 135°) each have a phase difference of 45° and can be enabled sequentially. For example, it may be the gate signal (Gp1) of the third PMOS transistor (Mp1) input to each phase (PH1 to PH4). In addition, the signal generator 142 inverts the gate signal (Gp1) of the third PMOS transistor (Mp1) to generate the gate signal (Gn1) of the third NMOS transistor (Mn1) of each phase (PH1 to PH4). You can.

구동부(144)는 신호 생성부(142)에서 출력되는 상기 변조 신호(PWMs)를 MOS 트랜지스터의 구동에 적합한 레벨로 버퍼링한다. 구동부(144)는 버퍼링된 변조 신호들을 각각의 위상(PH1~PH4), 즉 복수의 제 2 컨버팅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 2 컨버팅부(120)들의 스위치들은 버퍼링된 변조 신호(PWMs)에 의해 순차적으로 턴온될 수 있다. The driver 144 buffers the modulation signals (PWMs) output from the signal generator 142 to a level suitable for driving the MOS transistor. The driver 144 may provide the buffered modulation signals to each phase (PH1 to PH4), that is, to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rting units 120. Accordingly, the switch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rting units 120 may be sequentially turned on by the buffered modulation signals (PWMs).

스위칭 제어부(150)는 분주부(152), 예비 제어 신호 생성부(154) 및 제어 신호 생성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witching control unit 150 may include a dividing unit 152, a preliminary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154, and a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156.

분주 회로부(152)는 상기 신호 생성부(142)로부터 제공되는 출력 클럭(CKout)를 입력받아, 상기 출력 클럭(CKout)을 4 분주시켜 제어 클럭(Fsc, 도 3 참조)을 생성할 수 있다. The dividing circuit unit 152 may receive the output clock CKout provided from the signal generating unit 142 and divide the output clock CKout by 4 to generate the control clock Fsc (see FIG. 3).

선택 회로부(154)는 상기 제어 클럭(Fsc)를 입력 받아, 상기 제어 클럭(Fsc)을 변조시켜, 예비 제어 신호(pre_S)를 생성할 수 있다. 예비 제어 신호(pre_S)는 예를 들어, PMOS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들 및 NMOS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lection circuit unit 154 may receive the control clock (Fsc), modulate the control clock (Fsc), and generate a preliminary control signal (pre_S). The preliminary control signal pre_S may include, for example, signals for driving a PMOS transistor and signals for driving an NMOS transistor.

제어 신호 생성부(156)는 상기 예비 제어 신호(pre_S)을 제공받아, 상기 예비 제어 신호(pre_S)를 Vin~Vin/2 범위 및 Vin/2~Vss가 되도록 레벨 쉬프팅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156)는 상기 레벨 쉬프팅된 예비 제어 신호(pre_S) 및 그것을 반전시킨 신호들을 상기 제 1 내지 제 4 제어 신호(Gsc1, Gsc2, Gsc3, Gsc4)로서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56 receives the preliminary control signal (pre_S) and level shifts the preliminary control signal (pre_S) to the range Vin~Vin/2 and Vin/2~Vss.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56 may output the level-shifted preliminary control signal (pre_S) and its inverted signal as the first to fourth control signals (Gsc1, Gsc2, Gsc3, and Gsc4).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클럭(Fsc)이 하이 구간인 경우(①), 예비 제어 신호 생성부(154) 및 제어 신호 생성부(156)는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M1, M3)는 턴온되고,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2,M4)가 턴오프되도록 상기 제 1 내지 제 4 제어 신호(Gsc1, Gsc2, Gsc3, Gsc4)을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4, when the control clock (Fsc) is in the high section (①), the preliminary control signal generator 154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56 generate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2 PMOS transistors (M1, M3) are turned on, and the first to fourth control signals (Gsc1, Gsc2, Gsc3, Gsc4) can be generat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NMOS transistors (M2, M4) are turned off. .

상기와 같이,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M1, M3)가 턴온(turn on)되고,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2,M4)가 턴 오프(turn off)되는 경우, 제 1 컨버팅부(110)는 입력 전압(Vin)에서 캐패시터 전압(Vf)를 제한 전압(Vin-Vf)을 출력 전압(Vsc)으로서 출력한다. 상기 캐패시터 전압(Vf)가 입력 전압(Vin)의 0.5배에 해당하므로, 제 1 컨버팅부(110)는 실질적으로 캐패시터 전압(Vf)을 출력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and second PMOS transistors (M1, M3) are turned on and the first and second NMOS transistors (M2, M4) are turned of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outputs the capacitor voltage (Vf) from the input voltage (Vin) and the limiting voltage (Vin-Vf) as the output voltage (Vsc). Since the capacitor voltage (Vf) is 0.5 times the input voltage (Vin),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can substantially output the capacitor voltage (Vf).

한편, 제어 클럭(Fsc)이 로우 구간인 경우(②), 예비 제어 신호 생성부(154) 및 제어 신호 생성부(156)는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M1, M3)를 턴오프시키고,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2,M4)를 턴온시키기 위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제어 신호(Gsc1, Gsc2, Gsc3, Gsc4)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컨버팅부(1110)는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M1, M3)는 턴오프되고,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2,M4)가 턴온되기 때문에, 캐패시터 전압(Vf)을 출력 전압(Vsc)으로서 출력한다. Meanwhile, when the control clock (Fsc) is in the low section (②), the preliminary control signal generator 154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56 turn off the first and second PMOS transistors (M1 and M3), The first to fourth control signals (Gsc1, Gsc2, Gsc3, Gsc4) can be generated to turn on the first and second NMOS transistors (M2, M4). Accordingly, the first converting unit 1110 converts the capacitor voltage Vf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PMOS transistors M1 and M3 are turned off and the first and second NMOS transistors M2 and M4 are turned on. is output as the output voltage (Vsc).

결과적으로, 제 1 컨버팅부(110)는 제어 클럭(Fsc)의 하이 구간(①) 및 로우 구간(②) 모두 플라잉 캐패시터(Cfly)의 캐패시터 전압(Vf), 즉 입력 전원(Vin)의 0.5배에 해당하는 전압을 출력하므로써, 오토 밸런싱(auto Balance)을 유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converts the capacitor voltage (Vf) of the flying capacitor (Cfly), that is, 0.5 times the input power (Vin), in both the high section (①) and low section (②) of the control clock (Fsc). By outputting a voltage corresponding to , auto balancing can be maintained.

도 5는 일반적인 3-레벨 DC-DC 컨버터 구조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Figure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general 3-level DC-DC converter structure.

도 5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3-레벨 DC-DC 컨버터(10)는 복수의 파워 스위치(M11,M12,M13,M14), 플라잉 캐패시터(Cfly) 및 인덕터(L)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컨버팅부(20) 및 복수개의 컨버팅부(20)들과 연결되는 출력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컨버팅부(20)는 서로 다른 위상차를 가지고 구동되어, 복수 개의 위상으로 일컬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 typical 3-level DC-DC converter 10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rting units (M11, M12, M13, M14), a flying capacitor (Cfly), and an inductor (L). 20) and an output unit 30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nverting units 20. The plurality of converting units 20 are driven with different phase differences and may be referred to as a plurality of phases.

상기 파워 스위치는 입력 전원(Vin)과 그라운드 전원 사이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M11), 제 2 PMOS 트랜지스터(M12), 제 1 NMOS 트랜지스터(M13)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14)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M11,M12)는 2R의 저항을 갖도록 2N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13,M14)는 2R에 해당하는 저항을 갖도록 N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ower switch is connected to the first PMOS transistor (M11), the second PMOS transistor (M12), the first NMOS transistor (M13), and the second NMOS transistor (M14) sequentially connected between the input power supply (Vin) and the ground power supply. It may apply. The first and second PMOS transistors M11 and M12 may be formed to have a resistance of 2R and an area of 2N. The first and second NMOS transistors M13 and M14 may be formed to have an area of N and have a resistance corresponding to 2R.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도 1)에 따른 3-레벨 DC-DC 컨버터(100)의 충전 모드 및 방전 모드에서의 유효 저항, 및 도 5에 도시된 일반적인 3-레벨 DC-DC 컨버터(10)의 충전 모드 및 방전 모드의 유효 저항을 비교한 표이다.Table 1 below shows the effective resistance in charging mode and discharging mode of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and the typical 3-level DC-DC shown in FIG. 5. This is a table comparing the effective resistance of the converter 10 in charging mode and discharging mode.

도 5의 Cfly1 충전시 유효 저항Effective resistance when charging Cfly1 in Figure 5 도 5의 Cfly1 방전시 유효 저항Effective resistance when discharging Cfly1 in Figure 5 도 1의 Cfly 충전시 유효 저항Effective resistance when charging Cfly in Figure 1 도 1의 Cfly 방전시 유효 저항Effective resistance during Cfly discharge in Figure 1 단일 위상 선택Single phase selection 4R4R 4R4R 4R4R 2R2R 2개 위상 선택2 phase selection 2R2R 2R2R 3R3R RR 3개 위상 선택3 phase selection 4R/34R/3 4R/34R/3 8R/38R/3 2R/3 2R/3

표 1을 참조하면, 도 5의 컨버팅부(20) 중 하나가 구동되면서, 상기 플라잉 캐패시터(Cfly1)가 충전되려면, 도 5의 DC-DC 컨버터(10)의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M11,M12)가 턴온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도 5의 3-레벨 DC-DC 컨버터(10)는 4R의 유효 저항(2R+2R)을 갖는다. Referring to Table 1, in order for the flying capacitor Cfly1 to be charged while one of the converting units 20 of FIG. 5 is driven, the first and second PMOS transistors M11 of the DC-DC converter 10 of FIG. 5 ,M12) must be turned on. Accordingly, the 3-level DC-DC converter 10 of FIG. 5 has an effective resistance of 4R (2R+2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3-레벨 DC-DC 컨버터(100)의 제 2 컨버팅부(120)중 하나가 선택 구동되고, 제 1 컨버팅부(110)의 플라잉 캐패시터(Cfly)가 충전되려면, 제 1 컨버팅부(110)의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M1,M3) 및 선택된 제 2 컨버팅부(10)의 제 3 PMOS 트랜지스터(Mp1)가 모두 턴온되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100)는 4R의 유효 저항(R+R+2R)을 갖는다. Meanwhile, one of the second converting units 120 of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and driven, and the flying capacitor (Cfly)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To be charged, all of the first and second PMOS transistors M1 and M3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and the selected third PMOS transistor Mp1 of the second converting unit 10 must be turned on. Accordingly, the DC-DC converter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n effective resistance of 4R (R+R+2R).

또한, 도 5의 3-레벨 DC-DC 컨버터(10)의 컨버팅부(20)중 하나가 선택 구동되고, 플라잉 캐패시터(Cfly1)가 방전되려면, 도 5의 3-레벨 DC-DC 컨버터(10)의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13,M14)가 턴온되어야 한다. 이때, 도 5의 3-레벨 DC-DC 컨버터(10)는 4R의 유효 저항(2R+2R)을 갖게 된다.In addition, if one of the converting units 20 of the 3-level DC-DC converter 10 of FIG. 5 is selected and driven and the flying capacitor (Cfly1) is discharged, the 3-level DC-DC converter 10 of FIG. 5 The first and second NMOS transistors (M13, M14) must be turned on. At this time, the 3-level DC-DC converter 10 of FIG. 5 has an effective resistance of 4R (2R+2R).

한편, 본 실시예 도 1의 3-레벨 DC-DC 컨버터(100)는 제 2 컨버팅부(120) 중 하나가 선택 구동되고, 제 1 컨버팅부(110)의 플라잉 캐패시터가 방전되려면, 다시 말해, 3-레벨 DC-DC 컨버터(100)이 접지 전원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여야 하는 경우, 제 1 컨버팅부(110)의 구동과 무관하게, 선택된 제 2 컨버팅부(120)의 제 3 NMOS 트랜지스터(Mn1)만 턴온되면 된다. 이에 따라, 도 1의 3-레벨 DC-DC 컨버터(100)는 실질적으로 2R의 유효 저항(제 3 NMOS 트랜지스터의 유효 저항)을 갖는다. Meanwhile, in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of FIG. 1 in this embodiment, one of the second converting units 120 is selected and driven, and the flying capacitor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is discharged, in other words, When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must output a voltage of the ground power level, regardless of the driving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the third NMOS transistor (Mn1) of the selected second converting unit 120 ) just needs to be turned on. Accordingly,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of FIG. 1 has an effective resistance of substantially 2R (effective resistance of the third NMOS transistor).

또한, 도 5의 3-레벨 DC-DC 컨버터(10)에서 2개의 컨버팅부(20)가 위상차를 가지고 선택되고, 플라잉 캐패시터(Cfly1)가 충전되려면, 2개의 컨버팅부(20)의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M11,M12)가 동시에 구동되기 때문에, 2R의 유효 저항(4R/2, 병렬 저항 값)을 갖는다.In addition, in the 3-level DC-DC converter 10 of FIG. 5, if the two converting units 20 are selected with a phase difference and the flying capacitor Cfly1 is charged, the first and Because the second PMOS transistors (M11 and M12) are driven simultaneously, they have an effective resistance of 2R (4R/2, parallel resistance valu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3-레벨 DC-DC 컨버터(100)는 병렬로 연결된 2개의 제 2 컨버팅부(120)가 위상차를 가지고 동시에 선택되고, 제 1 컨버팅부(110)의 플라잉 캐패시터(Cfly)를 충전하여야 하는 경우, 제 1 컨버팅부(110)의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M1,M3)가 구동되고, 및 2개의 제 2 컨버팅부(120)의 제 3 PMOS 트랜지스터(Mp1)가 동시에 구동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3-레벨 DC-DC 컨버터(100)는 3R에 해당하는 유효 저항(R+R+(2R/2))을 갖는다. Meanwhile, in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of FIG.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wo second converting units 120 connected in parallel are selected simultaneously with a phase difference, and the flying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When the capacitor Cfly needs to be charged, the first and second PMOS transistors M1 and M3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are driven, and the third PMOS transistors of the two second converting units 120 ( Mp1) runs simultaneously. Accordingly,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of this embodiment has an effective resistance (R+R+(2R/2)) corresponding to 3R.

도 5의 3-레벨 DC-DC 컨버터(10)에서 2개의 컨버팅부(20)가 위상차를 가지고 선택되고, 플라잉 캐패시터(Cfly1)가 방전되려면, 병렬로 연결된 2개 컨버팅부(20)의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13,M14)가 각각 구동되기 때문에, 2R의 유효 저항(4R/2)을 갖는다. In the 3-level DC-DC converter 10 of FIG. 5, the two converting units 20 are selected with a phase difference, and if the flying capacitor Cfly1 is to be discharged, the first of the two converting units 20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second NMOS transistors (M13 and M14) are driven, respectively, so they have an effective resistance (4R/2) of 2R.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3-레벨 DC-DC 컨버터(100)는 병렬로 연결된 2개의 제 2 컨버팅부(120)가 위상차를 가지고 동시에 선택되고, 제 1 컨버팅부(110)의 플라잉 캐패시터(Cfly)가 방전되려면, 선택된 2개의 제 2 컨버팅부(120)의 제 3 NMOS 트랜지스터(Mn1)가 각각 구동되어, DC-DC 컨버터(100)는 R(2R/2)의 유효 저항을 갖는다. Meanwhile, in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of FIG.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wo second converting units 120 connected in parallel are selected simultaneously with a phase difference, and the flying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For the capacitor Cfly to be discharged, the third NMOS transistor Mn1 of the two selected second converting units 120 are respectively driven, so that the DC-DC converter 100 has an effective resistance of R (2R/2). .

도 5의 3-레벨 DC-DC 컨버터(10)의 컨버팅부(20) 중 3개가 위상 차를 가지고 선택되고, 플라잉 캐패시터(Cfly1)를 충전시켜야 하는 경우, 병렬로 3개의 컨버팅부(20)의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M11,M12)가 각각 구동되기 때문에, DC-DC 컨버터(10)는 4R/3의 유효 저항을 갖는다. When three of the converting units 20 of the 3-level DC-DC converter 10 of FIG. 5 are selected with a phase difference and the flying capacitor (Cfly1) needs to be charged, the three converting units 20 in parallel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PMOS transistors M11 and M12 are driven, respectively, the DC-DC converter 10 has an effective resistance of 4R/3.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3-레벨 DC-DC 컨버터(100)는 병렬로 연결된 3개의 제 2 컨버팅부(120)가 동시에 선택되고, 제 1 컨버팅부(110)의 플라잉 캐패시터(Cfly)를 충전시켜야 하는 경우, 제 1 컨버팅부(110)의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M1,M3) 및 병렬로 연결된 3개의 제 2 컨버팅부(120)의 제 3 PMOS 트랜지스터(Mp1)가 동시에 턴온된다. 이에 따라, 도 1의 3-레벨 DC-DC 컨버터(100)는 8R/3에 해당하는 유효 저항(R+R+(2R/3))을 갖는다. Meanwhile, in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of FIG.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ree second converting units 120 connected in parallel are selected simultaneously, and the flying capacitor (Cfly)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is selected at the same time. ), the first and second PMOS transistors (M1, M3)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and the third PMOS transistor (Mp1) of the three second converting units 120 connected in parallel are simultaneously charged. It turns on. Accordingly,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of FIG. 1 has an effective resistance (R+R+(2R/3)) corresponding to 8R/3.

도 5의 DC-DC 컨버터(10)의 컨버팅부(20) 중 3개가 위상 차를 가지고 동시에 선택되고 플라잉 캐패시터(Cfly1)를 방전시켜야 하는 경우, 도 5의 DC-DC 컨버터(10)는 병렬로 연결된 3개의 컨버팅부(20)의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M13,M14)가 동시에 구동되기 때문에, 4R/3의 유효 저항을 갖는다.When three of the converting units 20 of the DC-DC converter 10 of FIG. 5 are selected simultaneously with a phase difference and the flying capacitor (Cfly1) needs to be discharged, the DC-DC converter 10 of FIG. 5 is operated in parallel. Since the first and second NMOS transistors M13 and M14 of the three connected converting units 20 are driven simultaneously, they have an effective resistance of 4R/3.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DC-DC 컨버터(100)는 병렬로 연결된 3개의 제 2 컨버팅부(120)가 동시에 선택되고, 제 1 컨버팅부(110)의 플라잉 캐패시터(Cfly)를 방전시켜야 하는 경우, 병렬로 연결된 3개의 제 2 컨버팅부(120)의 제 3 NMOS 트랜지스터(Mn1)가 동시에 구동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DC-DC 컨버터(100)는 2R/3의 유효 저항을 갖는다. Meanwhile, in the DC-DC converter 100 of FIG.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ree second converting units 120 connected in parallel are selected simultaneously, and the flying capacitor Cfly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110 is discharged. When required, the third NMOS transistors Mn1 of the three second converting units 120 connected in parallel are driven simultaneously. Accordingly, the DC-DC converter 100 of FIG.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n effective resistance of 2R/3.

도 6a 내지 도 6c는 DC-DC 컨버터의 각 위상 별 출력 전압의 타이밍도이다. 도 7은 각 위상 별 듀티비에 따른 충전 모드 및 방전 모드의 유효 저항을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s 6a to 6c are timing diagrams of output voltages for each phase of the DC-DC converter. Figure 7 is a table showing the effective resistance in charging mode and discharging mode according to the duty ratio for each phase.

도 6a는 출력 전압의 듀티비가 25% 이하일 때, 첫 번째 제 2 컨버팅부(PH1: 0°, 이하 제 1 위상), 두 번째 제 2 컨버팅부(PH2 : 45°, 이하, 제 2 위상), 세 번째 제 2 컨버팅부(PH3 : 90°, 이하, 제 3 위상) 및 네 번째 제 2 컨버팅부(PH4 : 135°, 이하, 제 4 위상)들의 출력 전압(Vout)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Figure 6a shows that when the duty ratio of the output voltage is 25% or less, the first second converting unit (PH1: 0°, hereinafter, first phase), the second second converting unit (PH2: 45°, hereinafter, second phase), This is a timing diagram showing the output voltage (Vout) of the third second converting unit (PH3: 90°, hereinafter, third phase) and the fourth second converting unit (PH4: 135°, hereinafter, fourth phase).

도 6a를 참조하면, 출력 전압(Vout)의 듀비 비(D)가 25% 이하인 경우, 제 1 위상(PH1)은 하이 레벨로 인에이블되었으므로 플라잉 캐패시터(Cfly)의 충전 모드(C)에 해당되고, 나머지 제 2 내지 제 4 위상(PH2~PH4)는 로우 레벨로 디스에이블되었으므로, 플라잉 캐패시터(Cfly)의 방전 모드(DI)에 해당된다. Referring to Figure 6a, when the dubby ratio (D) of the output voltage (Vout) is 25% or less, the first phase (PH1) is enabled at a high level, so it corresponds to the charging mode (C) of the flying capacitor (Cfly) , Since the remaining second to fourth phases (PH2 to PH4) are disabled at low level, they correspond to the discharge mode (DI) of the flying capacitor (Cfly).

도 7을 참조하면, 출력 전압(Vout)의 듀티비(D)가 25% 이하인 경우, 도 5의 3-레벨 DC-DC 컨버터(10) 및 도 1의 DC-DC 컨버터(100)의 충전 모드(C)의 유효 저항들은 각각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일 위상 선택되고, 플라잉 캐패시터(Cfly)가 충전될 때의 유효 저항인 4R에 해당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duty ratio (D) of the output voltage (Vout) is 25% or less, the charging mode of the 3-level DC-DC converter 10 of FIG. 5 and the DC-DC converter 100 of FIG. 1 The effective resistances in (C) are each selected as a single phase, as shown in Table 1 above, and may correspond to 4R, which is the effective resistance when the flying capacitor Cfly is charged.

또한, 출력 전압(Vout)의 듀티비(D)가 25% 이하인 경우, 도 5의 3-레벨 DC-DC 컨버터(10) 및 도 1의 3-레벨 DC-DC 컨버터(100)의 방전 모드(DI)의 유효 저항들 각각은 3개의 위상이 동시 선택되고 플라잉 캐패시터(Cfly)가 방전될 때의 유효 저항인 4R/3 및 2R/3의 유효 저항을 갖는다(표 1 참조). In addition, when the duty ratio (D) of the output voltage (Vout) is 25% or less, the discharge mode ( Each of the effective resistances of DI) has an effective resistance of 4R/3 and 2R/3, which is the effective resistance when three phases are simultaneously selected and the flying capacitor (Cfly) is discharged (see Table 1).

도 6b는 출력 전압의 듀티 비가 25% 초과 50% 이하일 때, 제 1 위상(PH1: 0°), 제 2 위상(PH2: 45°), 제 3 위상(90°:PH3) 및 제 4 위상(PH4:135°)들의 출력 전압(Vout)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Figure 6b shows that when the duty ratio of the output voltage is more than 25% and less than 50%, the first phase (PH1: 0°), the second phase (PH2: 45°), the third phase (90°: PH3), and the fourth phase ( This is a timing diagram showing the output voltage (Vout) of PH4:135°).

도 6b를 참조하면, 출력 전압(Vout)이 25% 초과 50% 이하의 듀티비(D)를 갖는 경우, 제 1 위상(PH1) 및 제 2 위상(PH2)은 하이로 인에이블되기 때문에, 충전 모드(C)에 해당되고, 제 3 위상(PH3) 및 제 4 위상(PH4)은 로우로 디스에이블되기 때문에 방전 모드(DI)에 해당된다. Referring to Figure 6b, when the output voltage (Vout) has a duty ratio (D) of more than 25% and less than 50%, the first phase (PH1) and the second phase (PH2) are enabled high, so charging It corresponds to mode (C), and since the third phase (PH3) and fourth phase (PH4) are disabled to low, it corresponds to discharge mode (DI).

이에 따라, 도 7을 참조하면, 출력 전압(Vout)의 듀티비(D)가 25% 초과 50% 이하인 경우, 도 5의 3-레벨 DC-DC 컨버터(10) 및 도 1의 DC-DC 컨버터(100)의 충전 모드(C)의 유효 저항은 표 1의 2개의 위상이 동시에 선택되면서 플라잉 캐패시터(Cfly)가 충전될 때(C)의 유효 저항 값인 2R 및 3R에 해당된다.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7, when the duty ratio (D) of the output voltage (Vout) is greater than 25% and less than 50%, the 3-level DC-DC converter 10 of FIG. 5 and the DC-DC converter of FIG. 1 The effective resistance of the charging mode (C) of (100) corresponds to 2R and 3R, which are the effective resistance values of (C) when the flying capacitor (Cfly) is charged while the two phases in Table 1 are selected simultaneously.

출력 전압(Vout)의 듀티비(D)가 25% 초과 50% 이하인 경우, 도 5의 3-레벨 DC-DC 컨버터(10) 및 도 1의 3-레벨 DC-DC 컨버터(100)의 방전 모드(DI)의 유효 저항은 표 1의 2개의 위상이 동시에 선택되면서 플라잉 캐패시터가 방전될 때의 유효 저항 값인 2R 및 R에 해당된다. When the duty ratio (D) of the output voltage (Vout) is greater than 25% and less than 50%, the discharge mode of the 3-level DC-DC converter 10 in FIG. 5 and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in FIG. 1 The effective resistance of (DI) corresponds to 2R and R, which are the effective resistance values when the flying capacitor is discharged while the two phases in Table 1 are selected simultaneously.

도 6c는 출력 전압(Vout)의 듀티 비가 50% 초과 75% 이하일 때, 제 1 위상(PH1: 0°), 제 2 위상(PH2: 45°), 제 3 위상(PH3: 90°) 및 제 4 위상(PH4:135°)의 출력 전압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Figure 6c shows the first phase (PH1: 0°), the second phase (PH2: 45°), the third phase (PH3: 90°), and the third phase (PH3: 90°) when the duty ratio of the output voltage (Vout) is more than 50% and less than 75%. This is a timing diagram showing the output voltage of 4 phases (PH4:135°).

도 6c를 참조하면, 출력 전압(Vout)이 50% 초과 75% 이하의 듀티 비(D)를 갖는 경우, 제 1 위상(PH1) 내지 제 3 위상(PH3)은 하이로 인에이블되었기 때문에, 충전 모드(C)에 해당되고, 제 4 위상(PH4)은 로우로 디스에이블되었기 때문에 방전 모드(DI)에 해당된다. Referring to FIG. 6C, when the output voltage (Vout) has a duty ratio (D) of more than 50% and less than 75%, the first phase (PH1) to the third phase (PH3) are enabled high, so charging It corresponds to mode (C), and since the fourth phase (PH4) is disabled to low, it corresponds to discharge mode (DI).

도 7을 참조하면, 출력 전압(Vout)의 듀티 비(D)가 50% 초과 75% 이하인 경우, 도 5의 3-레벨 DC-DC 컨버터(10) 및 도 1의 3-레벨 DC-DC 컨버터(100)의 충전모드(C)의 유효 저항은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3개의 위상이 동시에 선택되면서 플라잉 캐패시터(Cfly)가 충전될 때의 유효 저항인 4R/3 및 8R/3에 해당된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duty ratio (D) of the output voltage (Vout) is greater than 50% and less than 75%, the 3-level DC-DC converter 10 of FIG. 5 and the 3-level DC-DC converter of FIG. 1 The effective resistance of the charging mode (C) of (100) corresponds to 4R/3 and 8R/3, which are the effective resistances when the flying capacitor (Cfly) is charged while three phases are selected simultaneously, as shown in Table 1. .

한편, 출력 전압(Vout)의 듀티비(D)가 듀티 비(D)가 50% 초과 75% 이하인 경우, 도 5의 3-레벨 DC-DC 컨버터(10) 및 도 1의 3-레벨 DC-DC 컨버터(100)의 방전 모드(DI)의 유효 저항들은 단일 위상이 구동되면서 플라잉 캐패시터(Cfly)가 방전될 때의 유효 저항 값인 4R 및 2R의 유효 저항을 갖는다(표 1 참조). On the other hand, when the duty ratio (D) of the output voltage (Vout) is greater than 50% and less than 75%, the 3-level DC-DC converter 10 in FIG. 5 and the 3-level DC- in FIG. 1 The effective resistances in the discharge mode (DI) of the DC converter 100 have effective resistances of 4R and 2R, which are the effective resistance values when the flying capacitor (Cfly) is discharged while a single phase is driven (see Table 1).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듀티 비에 따른 평균 저항을 보여주는 표이다. Figure 8 is a table showing average resistance according to each duty rat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25% 이하의 듀티 비인 경우, 도 5의 3-레벨 DC-DC 컨버터(10)의 평균 저항은 충전 모드의 유효 저항값인 4R과 방전 모드의 유효 저항값인 4R/3의 병렬 저항값(4R∥4R/3)에 해당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3-레벨 DC-DC 컨버터(100)는 충전 모드의 유효 저항값인 4R과 방전 모드의 유효 저항값인 2R/3의 병렬 저항값(4R∥4R/3)을 갖는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3-레벨 DC-DC 컨버터(10)와 비교하여 볼 때, 본 실시예의 3-레벨 DC-DC 컨버터(100)는 25% 이하의 듀티 비 구간에서 40% 정도 평균 저항이 감소된다. Referring to FIG. 8, in the case of a duty ratio of 25% or less, the average resistance of the 3-level DC-DC converter 10 of FIG. 5 is 4R, which is the effective resistance value in charging mode, and 4R/3, which is the effective resistance value in discharging mode. Corresponds to the parallel resistance value (4R∥4R/3), and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4R, which is the effective resistance value in charging mode, and 2R/3, which is the effective resistance value in discharging mode. It has a parallel resistance value (4R∥4R/3). Accordingly, compared to the general 3-level DC-DC converter 10, the average resistance of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of this embodiment is reduced by about 40% in the duty ratio section of 25% or less. .

25% 초과 50% 이하의 듀티비인 경우, 도 5의 3-레벨 DC-DC 컨버터(10)의 평균 저항은 충전 모드의 유효 저항값인 2R과 방전 모드의 유효 저항값인 2R의 병렬 저항 값(2R∥2R)에 해당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3-레벨 DC-DC 컨버터(100)는 충전 모드의 유효 저항값인 3R과 방전 모드의 유효 저항값인 R의 병렬 저항 값(3R∥R)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3-레벨 DC-DC 컨버터(10)와 비교하여 볼 때, 본 실시예의 3-레벨 DC-DC 컨버터(100)는 25% 초과 50% 이하의 듀비 비 구간에서 25% 정도 평균 저항이 감소된다. In the case of a duty ratio of more than 25% and less than 50%, the average resistance of the 3-level DC-DC converter 10 of FIG. 5 is the parallel resistance value of 2R, which is the effective resistance value in charging mode, and 2R, which is the effective resistance value in discharging mode ( Corresponds to 2R∥2R), and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parallel resistance value of 3R, which is the effective resistance value in charging mode, and R, which is the effective resistance value in discharging mode (3R∥R) corresponds to Accordingly, compared to the general 3-level DC-DC converter 10,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of this embodiment has an average resistance of about 25% in the dubby ratio range of more than 25% and less than 50%. This is reduced.

한편, 50% 초과 75% 이하의 듀티비인 경우, 도 5의 DC-DC 컨버터(10)의 평균 저항은 충전 모드의 유효 저항값인 4R/3과 방전 모드의 유효 저항값인 4R의 병렬 저항 값(4R/3∥4R)에 해당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DC-DC 컨버터(100)는 충전 모드의 유효 저항값인 8R/3과 방전 모드의 유효 저항값인 2R의 병렬 저항 값(8R/3∥2R)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DC-DC 컨버터(10)와 비교하여 볼 때, 본 실시예의 DC-DC 컨버터(100)는 50% 초과 75% 이하의 듀티비 구간에서는 오히려 12% 정도 평균 저항이 증대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a duty ratio of more than 50% and less than 75%, the average resistance of the DC-DC converter 10 in FIG. 5 is the parallel resistance value of 4R/3, which is the effective resistance value in charging mode, and 4R, which is the effective resistance value in discharging mode. Corresponds to (4R/3∥4R), and the DC-DC converter 100 of FIG.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parallel resistance value of 8R/3, which is the effective resistance value in charging mode, and 2R, which is the effective resistance value in discharging mode. Corresponds to (8R/3∥2R). Accordingly, compared to the general DC-DC converter 10, the average resistance of the DC-DC converter 100 of this embodiment can be increased by about 12% in the duty ratio range of more than 50% and less than 75%. .

이때, 3-레벨 DC-DC 컨버터의 컨덕션 로스는 다음의 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duction loss of the 3-level DC-DC converter can be expressed as the following equation.

<식 2><Equation 2>

Conduction loss = I0 2 * 평균 저항 (I0는 출력 전류)Conduction loss = I 0 2 * average resistance (I 0 is the output current)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3-레벨 DC-DC 컨버터(100)를 구현하는 경우, 50% 이하의 듀티 비 구간에서 유효 저항값이 25% 이상 감소되었으므로, 콘덕션 로스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ly, when implementing the 3-level DC-DC converter 100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ive resistance value is reduced by more than 25% in the duty ratio section of 50% or less, so conduction loss can be reduced. .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적 큰 면적을 차지하는 플라잉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제 1 컨버팅부를 단수 개로 구현하고, 인덕터를 포함하는 제 2 컨버팅부를 복수 개의 위상으로 구현한다. 이에 따라, 컨버터의 점유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컨덕션 로스(conduction loss)를 감소시킬 수 있어, 파워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verting unit including a flying capacitor occupying a relatively large area is implemented as a single phase, and the second converting unit including an inductor is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phases. Accordingly, the occupied area of the converter can be reduced, conduction loss can be reduced, and power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플라잉 캐패시터를 충전 및 방전시키기 위한 PMOS 트랜지스터 및 NMOS 트랜지스터를 입력 전원과 접지 전원 사이에 교대로 직렬 연결하므로써, 전압 스윙 레벨을 줄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voltage swing level can be reduced by alternately connecting PMOS transistors and NMOS transistor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flying capacitor in series between the input power and the ground power.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preferred embodiments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3-레벨 DC-DC 컨버터 110 : 제 1 컨버팅부
120 : 제 2 컨버팅부 130 : 출력부
100: 3-level DC-DC converter 110: first converting unit
120: second converting unit 130: output unit

Claims (18)

캐패시터 및 상기 캐패시터를 선택적으로 충,방전시킬 수 있도록 입력 전원과 접지 전원 사이에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 1 PMOS 트랜지스터, 제 1 NMOS 트랜지스터, 제 2 PMOS 트랜지스터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 1 컨버팅부;
상기 제 1 컨버팅부의 출력 노드에 연결되고, 인덕터 및 상기 인덕터로 상기 제 1 컨버팅부의 출력 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방전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제 2 컨버팅부; 및
상기 제 2 컨버팅부와 연결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컨버팅부는 단일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컨버팅부는 복수 개로 구성되는 3-레벨 DC-DC 컨버터.
A capacitor and a first converting unit including a first PMOS transistor, a first NMOS transistor, a second PMOS transistor, and a second NMOS transistor sequentially connected between an input power source and a ground power source to selectively charge and discharge the capacitor;
a second converting unit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and including an inductor and a switching unit that selectively supplies or discharges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to the inductor; and
It includes an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rting unit,
The first converting unit is composed of a single unit,
A 3-level DC-DC convert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cond converting uni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연결 노드 및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연결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는 상기 입력 전원에서 제공되는 입력 전압의 0.5배에 해당하는 전압에서 상기 캐패시터의 전압 레벨까지 스윙하는 전압에 의해 턴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는 상기 캐패시터의 전압 레벨에서 상기 접지 전원 레벨까지 스윙하는 전압에 의해 턴온되는 3-레벨 DC-DC 컨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capacitor is connected between a connection node of the first PMOS transistor and the first NMOS transistor and a connection node of the second PMOS transistor and the second NMOS transistor,
The first and second PMOS transistors are turned on by a voltage that swings from a voltage corresponding to 0.5 times the input voltage provided from the input power sourc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capacitor,
A three-level DC-DC convert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NMOS transistors are turned on by a voltage swinging from the voltage level of the capacitor to the ground power lev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는 R에 해당하는 저항을 갖도록 4N의 면적으로 형성되고(상기 R 및 N은 양의 유리수)
상기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는 상기 R에 해당하는 저항을 갖도록 2N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3-레벨 DC-DC 컨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PMOS transistors are formed with an area of 4N to have a resistance corresponding to R (where R and N are positive rational numbers).
The first and second NMOS transistors are formed to have an area of 2N and have a resistance corresponding to R, a 3-level DC-DC conver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버팅부가 일정 전압을 지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가 선택적으로 턴온되는 3-레벨 DC-DC 컨버터.
According to claim 1,
A 3-level DC-DC converter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MOS transistors and the first and second NMOS transistors are selectively turned on so that the first converting unit continuously outputs a constant voltag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의 전압 레벨은 상기 입력 전압의 0.5배에 해당하는 전압인 3-레벨 DC-DC 컨버터.
According to claim 2,
A 3-level DC-DC converter where the voltage level of the capacitor is a voltage corresponding to 0.5 times the input voltag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1 내지 제 4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3-레벨 DC-DC 컨버터.
According to claim 4,
A 3-level DC-DC converter further comprising a switching control unit that generates first to fourth control signals for driving the first PMOS transistor, the first NMOS transistor, the second PMOS transistor, and the second NMOS transistor.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의 출력 전압을 근거로 하여 생성되는 출력 클럭을 분주하여 제어 클럭을 생성하는 분주부;
상기 제어 클럭을 변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들을 선택하기 위한 예비 제어 신호 및 상기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들을 선택하기 위한 예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선택 회로부; 및
상기 예비 제어 신호들의 동작 레벨을 조절하여,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는 제 2 제어 신호,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는 제 3 제어 신호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는 제 4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3-레벨 DC-DC 컨버터.
According to claim 6,
The switching control unit,
a dividing unit that generates a control clock by dividing the output clock generated based on the output voltage of the output unit;
a selection circuit unit that modulates the control clock to generate a preliminary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the first and second PMOS transistors and a preliminary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the first and second NMOS transistors; and
By adjusting the operation levels of the preliminary control signals, the first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first PMOS transistor, the second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second PMOS transistor, and the third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first NMOS transistor and a control signal generator that generates a fourth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second NMOS transis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버팅부의 스위칭부는,
상기 제 1 컨버팅부의 출력 노드와 연결되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3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인덕터의 연결 노드와 상기 접지 전원 사이에 연결되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3-레벨 DC-DC 컨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ing unit of the second converting unit,
A third PMOS transistor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and
A 3-level DC-DC converter including a third NMOS transistor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node of the third PMOS transistor and the inductor and the ground power suppl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 2 컨버팅부의 스위칭부는 각각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고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3-레벨 DC-DC 컨버터.
According to claim 8,
A 3-level DC-DC converter in which the switching units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rting units are each sequentially driven with a predetermined phase differen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컨버팅부의 스위칭부 각각은 45°의 위상차를 가지고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3-레벨 DC-DC 컨버터.
According to clause 9,
A 3-level DC-DC converter in which each switching unit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rting units is sequentially driven with a phase difference of 4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PMOS 트랜지스터는 2R에 해당하는 저항을 갖도록 2N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NMOS 트랜지스터는 상기 2R에 해당하는 저항을 갖도록 N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3-레벨 DC-DC 컨버터.
According to claim 8,
The third PMOS transistor is formed with an area of 2N to have a resistance corresponding to 2R,
The third NMOS transistor is a 3-level DC-DC converter formed with an area of N to have a resistance corresponding to 2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3 NMOS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5 및 제 6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위상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3-레벨 DC-DC 컨버터.
According to claim 8,
A 3-level DC-DC converter further comprising a phase control unit generating fifth and sixth control signals for driving the third PMOS transistor and the third NMOS transisto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의 출력 전압 및 기준 전압을 입력받아, 출력 클럭 및 기준 클럭을 생성하고, 상기 출력 클럭 및 상기 기준 클럭을 분주하여, 위상 차를 가지고 순차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복수의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변조 신호들을 버퍼링하여, 상기 복수의 제 2 컨버팅부에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3-레벨 DC-DC 컨버터.
According to claim 12,
Generates a signal that receives the output voltage and reference voltage of the output unit, generates an output clock and a reference clock, and divides the output clock and the reference clock to generate a plurality of modulation signals that are sequentially enabled with a phase difference. wealth; and
A 3-level DC-DC converter including a driving unit that buffers the modulation signals and provides the buffered signals to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rting uni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2 컨버팅부의 출력 노드와 연결되는 캐패시터, 상기 출력부의 상기 캐패시터와 상기 접지 전원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 및 상기 제 2 컨버팅부의 출력 노드와 상기 접지 전원 사이에 연결되는 전류원을 포함하는 3-레벨 DC-DC 컨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unit includes a capacitor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of the second converting unit, a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capacitor of the output unit and the ground power supply, and a current source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node of the second converting unit and the ground power supply. 3-level DC-DC converter.
입력 전원과 접지 전원 사이에 직렬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 제 1 NMOS 트랜지스터, 제 2 PMOS 트랜지스터, 제 2 N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와 및 상제 2 PMOS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플라잉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제 1 컨버팅부;
상기 제 1 컨버팅부의 출력 노드에 병렬로 연결되며, 인덕터 및 상기 인덕터로 상기 제 1 컨버팅부의 출력 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2 컨버팅부;
상기 제 2 컨버팅부와 연결되어 부하를 제공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 1 컨버팅부의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제 2 컨버팅부의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2 컨버팅부는 위상차를 가지고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3-레벨 DC-DC 컨버터.
A first PMOS transistor, a first NMOS transistor, a second PMOS transistor, a second NMOS transistor sequentially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input power and the ground power,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NMOS transistor and the second PMOS transistor A first converting unit including a flying capacitor;
a plurality of second converting unit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utput node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and including an inductor and a switching unit that selectively supplies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to the inductor;
an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converting unit to provide a load; and
It includes a control circuit block that controls the transistors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and the switching unit of the second converting unit,
A 3-level DC-DC converter i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rting units are sequentially driven with a phase differenc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버팅부의 스위칭부는,
상기 제 1 컨버팅부의 출력 노드와 연결되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3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인덕터의 연결 노드와 상기 접지 전원 사이에 연결되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3-레벨 DC-DC 컨버터.
According to claim 15,
The switching unit of the second converting unit,
A third PMOS transistor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of the first converting unit; and
A 3-level DC-DC converter including a third NMOS transistor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node of the third PMOS transistor and the inductor and the ground power supply.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 블록은,
상기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들이 선택적으로 동작되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들이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제 1 내지 제 4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 제어 블록; 및
상기 복수의 제 2 컨버팅부의 상기 스위칭부가 위상차를 가지고 순차적으로 턴온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위상 제어 블록을 포함하는 3-레벨 DC-DC 컨버터.
According to claim 15,
The control circuit block is,
a switching control block that generates first to fourth control signals to selectively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PMOS transistors or to selectively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NMOS transistors; and
A 3-level DC-DC converter including a phase control block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switching units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verting units are sequentially turned on with a phase differenc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 블록 및 상기 위상 제어 블록은 상기 출력부의 출력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4 제어 신호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3-레벨 DC-DC 컨버터.
According to claim 17,
The switching control block and the phase control block are configured to generate the first to fourth control signals and the control signal based on the output voltage of the output unit.
KR1020180150781A 2018-11-29 2018-11-29 3-Level DC-DC Converter Including multi-phase Active KR1026230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81A KR102623007B1 (en) 2018-11-29 2018-11-29 3-Level DC-DC Converter Including multi-ph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81A KR102623007B1 (en) 2018-11-29 2018-11-29 3-Level DC-DC Converter Including multi-ph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557A KR20200064557A (en) 2020-06-08
KR102623007B1 true KR102623007B1 (en) 2024-01-10

Family

ID=7108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781A Active KR102623007B1 (en) 2018-11-29 2018-11-29 3-Level DC-DC Converter Including multi-ph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0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702B1 (en) * 2020-12-04 2023-04-28 한국과학기술원 A Three-Level Buck Converter including Transient Response Improvement Techniques and Flying Capacitor Balancing Techniques
US12113410B2 (en) 2021-07-26 2024-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23013849A1 (en) 2021-08-04 2023-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Three-level inverting buck-boost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602806B1 (en) 2022-04-11 2023-11-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Recursive resonant switched dc-dc converter with tri-coupled inductor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959B1 (en) * 2015-02-23 2022-11-09 주식회사 솔루엠 Power supplier and power supply method using the same
KR102400554B1 (en) * 2015-04-24 2022-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DC/DC converter, driving method thereof, and power supply adopting the same
KR102502419B1 (en) * 2016-06-02 2023-02-22 삼성전기주식회사 Multi-phase power supply with single compa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557A (en)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3007B1 (en) 3-Level DC-DC Converter Including multi-phase
US11088616B2 (en) Isolated converter with switched capacitors
US10756623B1 (en) Low loss power converter
US10069408B2 (en) Switched capacitor circuit modifying voltage on the inductor of a buck regulator
US7271573B2 (en) Low loss DC/DC converter including a multi-level controller that applies a monotonic sequence of voltage levels
US7541859B2 (en) Charge pump circuit
US9966842B1 (en) Parallel voltage regulator with switched capacitor or capacitor-inductor blocks
US913675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two-stage buck boost converters with fast transient response
KR102562452B1 (en) Reconfigurable switched capacitor power converter techniques
US7633778B2 (en) Switched-capacitor regulators
US7276886B2 (en) Dual buck-boost converter with single inductor
US8836301B2 (en) Power supply unit
US20110133821A1 (en) Charge pump circuit
Guo et al. A family of multimodes charge pump based dc–dc converter with high efficiency over wide input and output range
CA2963665A1 (en) Two-phase three-level converter and controller therefor
JP2009518730A (en) High voltage power switch using low voltage transistors
US20190181853A1 (en) Signal output circuit
JP2006333694A (en) Charge pump circuit for high side drive circuit and driver drive voltage circuit
US8614569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switched-mode power supply having a single inductive element and several outputs, and corresponding power supply, in particular for a cellular mobile telephone
US10027221B1 (en) Method of generating a feedback signal in a switching regulator
EP2385615A1 (en) Voltage Converter
JP6794240B2 (en) Buck-boost DC / DC converter
US20140111177A1 (en) Dc-dc converter and method for driving same
US20240186902A1 (en) Multiphase switching converter with stackable controllers
JP6886343B2 (en) DC / DC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5-X000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R16-X000 Change to inventor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