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44485B1 -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485B1
KR102644485B1 KR1020230105262A KR20230105262A KR102644485B1 KR 102644485 B1 KR102644485 B1 KR 102644485B1 KR 1020230105262 A KR1020230105262 A KR 1020230105262A KR 20230105262 A KR20230105262 A KR 20230105262A KR 102644485 B1 KR102644485 B1 KR 102644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iber
cucumber
extr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5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빈
Original Assignee
김우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빈 filed Critical 김우빈
Priority to KR1020230105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4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4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11/00Surface finishing of leath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가공 오이 섬유를 포함하고 천연 추출물 및 천연 오일을 포함하여 클리너 조성물 사용시 가죽 제품의 이염 가능성을 낮추고 오염 제거 능력을 개선한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co-friendly cleaner composition for decontamination and prevention of stain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가공 오이 섬유를 포함하고 천연 추출물 및 천연 오일을 포함하여 클리너 조성물 사용시 가죽 제품의 이염 가능성을 낮추고 오염 제거 능력을 개선한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죽은 질감이 우수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가방, 의류, 신발, 지갑, 벨트, 장갑, 가구 등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 가죽은 포유동물 등의 몸을 감싸고 있는 동물성 조직인 원피를 수득하고, 수득한 원피의 은면층(grain layer)과 진피층(corium layer)에 포함된 지방과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무두질 등의 방법으로 가공한 다음, 염색, 도색 등의 과정을 거쳐 제조된 피혁(leather)을 의미한다.
따라서, 천연 가죽은 원피를 얻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가죽 제품을 얻기 위한 원피의 가공을 위해 많은 약품과 여러 공정이 필요하고, 가공 공정 또한 복잡하여 고가의 제품 제조를 위해 활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천연 가죽 제품은 표면에 오염이 발생하는 경우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로 제조한 직물 원단에 비해 세척이 어렵고, 가죽 제품이 동물성이기 때문에 습기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천연 가죽은 보습력 유지와 표면 보호를 위해 표면 가공이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표면 가공은 영구적이지 않기 때문에 가죽의 컨디션을 유지시켜 주고 보호해 줄 수 있는 전용 제품으로 가죽표면을 보호해 줄 필요가 있으며, 까짐, 찍힘, 스크래치, 닳음, 흠집, 갈라짐, 터짐, 찢김, 마찰에 의한 표피 손상 등이 발생하여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수명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 가죽을 세정하고,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 2295203호는 인체 유해 성분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성을 나타내면서도, 브러싱, 러빙 등의 방법으로 가죽 표면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가죽 제품의 유연성, 광택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변색 안정성이 우수한 가죽용 세정제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천연 가죽의 종류가 다양하며, 가죽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제품의 종류도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의 가죽 제품에 적합한 오염 제거 방식 및 가죽 표면 보호방식 또한 다양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 2295203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공 오이 섬유를 포함하고 천연 추출물 및 천연 오일을 포함하여 클리너 조성물 사용시 가죽 제품의 이염 가능성을 낮추고 오염 제거 능력을 개선한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은 소엽 잎 추출물 30~50중량부, 뽕나무 껍질 추출물 30~50중량부, 티트리 추출물 50~100 중량부, 병풀 추출물 100~150중량부, 알란토인 50~100중량부 및 정제수 6000중량부를 혼합하는 1차 혼합액 제조 단계; 스팀기에 오이 섬유를 넣은 후 향나무 칩 및 카카오 열매 껍질을 첨가하고 스팀 처리한 다음 향나무 칩 및 카카오 열매 껍질을 제거하여 가공 오이 섬유를 제조하는 가공 오이 섬유 제조 단계; 상기 1차 혼합액 5000~5500중량부, 가공 오이 섬유 100~150중량부, 계면활성제 200~400중량부, 글리세린 200~400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50~100중량부,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액 50~100중량부, 망고스틴 껍질 추출물 20~50중량부, 인삼 씨앗 오일 20~50중량부, 해바라기씨 오일 50~100중량부 및 미네랄 오일 300~500중량부를 혼합한 후 유화 처리하여 혼합 크림을 제조하는 혼합 크림 제조 단계; 상기 혼합 크림을 12~72시간 동안 숙성하는 숙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혼합액 제조 단계에서 정제수는 건조 무화과 잎 10~15중량%, 편백나무 칩 20~25중량% 및 활성탄 60~70중량%로 구성되는 여과체에 증류수를 3~7회 여과한 여과수 80중량%와, 트러플 0.1~1중량%, 카카오 꽃 8~10중량%, 석류 씨앗 8~10중량% 및 증류수 중량 79~83.9%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증류 추출하여 얻어진 증류액 2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정제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숙성 단계는 혼합 크림을 숙성하는 동안 혼합 크림에 질소를 주입하며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공 오이 섬유 제조 단계의 오이 섬유는 오이의 과육을 분쇄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 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건조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은 가공 오이 섬유를 포함하고 천연 추출물 및 천연 오일을 포함하여 클리너 조성물 사용시 가죽 제품의 이염 가능성을 낮추고 오염 제거 능력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가죽 제품의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소엽 잎 추출물 30~50중량부, 뽕나무 껍질 추출물 30~50중량부, 티트리 추출물 50~100 중량부, 병풀 추출물 100~150중량부, 알란토인 50~100중량부 및 정제수 6000중량부를 혼합하는 1차 혼합액 제조 단계; 스팀기에 오이 섬유를 넣은 후 향나무 칩 및 카카오 열매 껍질을 첨가하고 스팀 처리한 다음 향나무 칩 및 카카오 열매 껍질을 제거하여 가공 오이 섬유를 제조하는 가공 오이 섬유 제조 단계; 상기 1차 혼합액 5000~5500중량부, 가공 오이 섬유 100~150중량부, 계면활성제 200~400중량부, 글리세린 200~400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50~100중량부,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액 50~100중량부, 망고스틴 껍질 추출물 20~50중량부, 인삼 씨앗 오일 20~50중량부, 해바라기씨 오일 50~100중량부 및 미네랄 오일 300~500중량부를 혼합한 후 유화 처리하여 혼합 크림을 제조하는 혼합 크림 제조 단계; 상기 혼합 크림을 12~72시간 동안 숙성하는 숙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 1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소엽 잎 추출물 30~50중량부, 뽕나무 껍질 추출물 30~50중량부, 티트리 추출물 50~100 중량부, 병풀 추출물 100~150중량부, 알란토인 50~100중량부 및 정제수 6000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혼합액을 제조한다.
상기 소엽 잎 추출물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한해살이풀인 소엽(Perilla frutescens var. acuta)의 잎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소엽은 차조기 또는 차즈기라고도 불리며 항균, 항암, 해열 및 피부 미백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뽕나무 껍질 추출물은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 뽕나무속에 속한 낙엽교목인 뽕나무(Morus alba)의 뿌리껍질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뽕나무 뿌리껍질은 상백피라고도 불리며 항암, 항스트레스, 호흡기 질환 개선 및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티트리 추출물은 도금양목 도금양과의 상록교목인 티트리 나무(Melaleuca alternifolia)의 잎을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티트리 추출물은 피부 진정, 항염,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병풀 추출물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인 병풀(Centella asiatica)을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병풀 추출물은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 재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알란토인(Allantoin)은 자연 유래 성분으로서 컴프리, 사탕무 등 다양한 식물에서 추출이 가능하다. 알란토인은 화장품 분야에서 자연보습인자로 알려진 요소(Urea)와 유사한 분자구조를 공유하며 피부 진정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는 건조 무화과 잎 10~15중량%, 편백나무 칩 20~25중량% 및 활성탄 60~70중량%로 구성되는 여과체에 증류수를 3~7회 여과한 여과수 80중량%와, 트러플 0.1~1중량%, 카카오 꽃 8~10중량%, 석류 씨앗 8~10중량% 및 증류수 중량 79~83.9%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증류 추출하여 얻어진 증류액 2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건조 무화과 잎은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의 낙엽관목인 무화과나무(Ficus carica)의 잎을 건조시킨 것을 의미한다. 문화과 잎은 항염, 항균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편백나무 칩은 겉씨식물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인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를 작은 칩 크기로 분쇄한 것을 의미한다. 편백나무는 항균, 항염, 항산화 및 피부진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활성탄은 목재, 갈탄, 이탄(泥炭) 등을 활성화제인 염화아연이나 인산과 같은 약품으로 처리하여 건조시키거나 목탄을 수증기로 활성화시켜 제조하는 대부분의 구성물질이 탄소질로 된 물질을 의미한다. 활성탄은 흡착력이 강해 여과제 또는 흡습제 등으로 주로 사용된다.
상기 트러플(Truffle, Tuber melanosporum)은 자낭균류 서양송로과의 지하생 버섯으로 송로버섯으로도 알려져 있다. 특유의 맛과 향으로 요리 재료로 주로 사용되며 항균, 항산화, 피부 수분 공급 및 피부 재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카카오 꽃은 쌍떡잎식물 아욱목 벽오동나무과의 교목인 카카오 나무(Theobroma cacao)의 꽃을 의미한다. 카카오 꽃은 플라보노이드가 풍부하여 항산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석류 씨앗은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석류나무과의 낙엽소교목인 석류 나무(Punica granatum)의 열매인 석류에서 껍질과 과육을 제거한 씨앗을 의미한다. 석류 씨앗은 에스트로겐이 풍부하여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으로, 스팀기에 오이 섬유를 넣은 후 향나무 칩 및 카카오 열매 껍질을 첨가하고 스팀 처리한 다음 향나무 칩 및 카카오 열매 껍질을 제거하여 가공 오이 섬유를 제조한다.
상기 오이 섬유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박목 박과의 1년생 덩굴식물인 오이(Cucumis sativus)의 과실에서 추출한 섬유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이 섬유는 오이의 과육을 분쇄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 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건조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오이 섬유는 클리너 조성물에 포함되어 가죽 제품에 사용시 오염 제거에 물리적인 도움을 주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향나무 칩은 겉씨식물 구과식물아강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인 향나무(Juniperus chinensis)를 작은 칩 크기로 분쇄한 것을 의미한다. 향나무는 특유의 향을 지녀 방향제로도 사용되며 항균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카카오 열매 껍질은 쌍떡잎식물 아욱목 벽오동나무과의 교목인 카카오 나무(Theobroma cacao)의 열매인 카보스(cabosse)에서 내용물인 카카오 콩을 제거한 껍질을 의미한다. 카카오 열매 껍질은 폴리페놀이 풍부해 항산화 및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의 오이 섬유 스팀 처리 과정은 오이섬유를 향나무 칩 및 카카오 열매 껍질과 함께 스팀처리 함으로써 스팀으로 추출된 향나무 칩 및 카카오 열매 껍질의 활성 성분이 오이 섬유에 첨가되는 것일 수 있으며, 동시에 오이 섬유를 연화시켜 이를 포함하는 클리너 조성물을 가죽제품에 사용시 가죽표면이 받는 물리적 자극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1차 혼합액 5000~5500중량부, 가공 오이 섬유 100~150중량부, 계면활성제 200~400중량부, 글리세린 200~400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50~100중량부,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액 50~100중량부, 망고스틴 껍질 추출물 20~50중량부, 인삼 씨앗 오일 20~50중량부, 해바라기씨 오일 50~100중량부 및 미네랄 오일 300~500중량부를 혼합한 후 유화 처리하여 혼합 크림을 제조한다.
상기 계면활성제(surfactant)는 서로 다른 성질의 물질이 만나는 면(표면 또는 계면)에서 활성화된 물질이라는 의미로 물과 기름처럼 서로 섞이지 않은 경계면에서 활동할 수 있는 분자를 말한다. 계면활성제는 기본적으로 한 분자 내에 극성인 부분과 비극성인 부분이 함께 존재하는 분자이며, 일반적인 계면활성제의 경우 탄소 원자가 길게 연결된 사슬 형태가 소수성 부분을 구성하고 있고, 극성을 가지는 친수성 부분은 그 크기가 소수성 부분보다 현저히 작으므로, 친수성 부분을 머리(head)라고 부르고 소수성 긴 사슬 부분을 꼬리(tail)라고 부른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천연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글리세린(glycerin)은 글리세롤이라고도 하며 점성이 매우 강한 무색 무취의 성분이다. 지방산과 마찬가지로 유지 성분이며, 공업적으로도 유지를 분해함으로써 얻어진다. 글리세린은 3개의 수산기를 가진 3가 알코올이다. 글리세린은 윤활제 혹은 연고, 치약 같은 약품, 담배나 화장품의 방건제(防乾劑), 정미제(呈味劑), 방동제(防凍劑), 냉각제, 인쇄용 잉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Hydrolyzed Collagen)은 소 또는 돼지의 뼈와 피부를 '산','알칼리','효소' 등으로 처리하거나 가수분해로 얻은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의미한다. 주로 화장료의 성분으로 사용되며 피부 보습,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액은 곡물에 갈락토미세스(Galactomyces) 발효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곡물과 발효균을 제거한 발효 부산물을 의미한다. 화장료 재료로 주로 사용되며, 항산화, 피지 분비 개선, 여드름 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망고스틴 껍질 추출물은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고추나무과의 상록교목인 망고스틴(Garcinia mangostana)의 열매에서 과육과 씨앗을 제거하고 남은 껍질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망고스틴 껍질 추출물은 항염, 항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인삼 씨앗 오일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인삼(Panax ginseng)이 4년생이 되었을 때 맺는 열매에서 과육을 제거한 씨앗을 압착하여 추출한 오일을 의미한다. 인삼 씨앗 오일은 인삼의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가 풍부하며 이밖에도 비타민, 무기질, 칼슘, 마그네슘, 아연 등 미네랄이 풍부하여 항산화 효과, 피부 탄력 개선, 혈행 개선을 통한 노화 예방 등 다양한 효능이 알려져 있다.
상기 해바라기씨 오일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인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의 씨앗을 압착하여 추출한 오일을 의미한다. 요리 재료 또는 화장료의 재료로 주로 사용되며 천연 피부 보호막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 보호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Mineral Oil)은 석유에서 얻은 액체상태의 탄화수소류의 혼합물로 착향제, 피부보호제, 피부컨디셔닝제 등에 주로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혼합 크림을 12~72시간 동안 숙성하여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을 제조한다.
만약 혼합 크림을 12시간 미만으로 숙성시킬 경우 클리너 조성물의 숙성에 따른 오염 제거 효과가 감소할 수 있으며, 72시간 이상 숙성할 경우 오염 제거 효과의 개선이 나타나지 않아 추가적인 숙성이 불필요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숙성 단계는 혼합 크림을 숙성하는 동안 혼합 크림에 질소를 주입하며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혼합 크림 질소 혼합 과정은 혼합 크림의 내부에 질소 공기 방울을 혼합함으로써 혼합 크림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소엽 잎 추출물 40중량부, 뽕나무 껍질 추출물 40중량부, 티트리 추출물 80 중량부, 병풀 추출물 120중량부, 알란토인 80중량부 및 정제수 6000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정제수는 건조 무화과 잎 10중량%, 편백나무 칩 20중량% 및 활성탄 70중량%로 구성되는 여과체에 증류수를 5회 여과한 여과수 80중량%와, 트러플 0.5중량%, 카카오 꽃 10중량%, 석류 씨앗 8중량% 및 증류수 중량 81.5%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증류 추출하여 얻어진 증류액 2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스팀기에 오이 섬유를 넣은 후 오이 섬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향나무 칩 30중량부 및 카카오 열매 껍질 40중량부를 첨가하고 15분 동안 스팀 처리한 다음 향나무 칩 및 카카오 열매 껍질을 제거하여 가공 오이 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오이 섬유는 오이의 과육을 분쇄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 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건조하여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1차 혼합액 5500중량부, 가공 오이 섬유 150중량부, 계면활성제 300중량부, 글리세린 300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60중량부,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액 70중량부, 망고스틴 껍질 추출물 40중량부, 인삼 씨앗 오일 30중량부, 해바라기씨 오일 70중량부 및 미네랄 오일 400중량부를 혼합한 후 유화 처리하여 혼합 크림을 제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혼합 크림을 40시간 동안 숙성하여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을 실시예 1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숙성 단계에서 혼합 크림을 숙성하는 동안 혼합 크림에 질소를 주입하며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된 클리너 조성물을 실시예 2로 명명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가공 오이 섬유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클리너 조성물을 비교예 1로 명명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정제수를 증류수로 대체하여 제조된 클리너 조성물을 비교예 2로 명명하였다.
[실험예 1: 세정력 분석]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가죽 제품에 대한 세정력을 비교하기 위해 가죽 세정력을 평가하였다. 세정력 평가는 피혁 시편에 우지(tallow) 20 중량부, 적색 염료(Solvent Red 27) 3 중량부,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5 중량부 및 아세톤 72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표면에 점적한 다음 30분 동안 방치시켜 오염된 피혁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피혁 시편에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클리너 조성물을 각각 도포한 다음 30회 이상 러빙하여 잔류하는 오염물의 색깔을 이용해 오염된 부분의 세정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오염물의 색깔이 옅어지는 정도를 9점 평가법으로 평가하여 낮은 값을 가질수록 세정 상태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세정을 거치지 않은 피혁 시편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세정 상태 9 1 1 3 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는 매우 우수한 세정 능력을 나타내에 본 발명에 따른 클리너 조성물의 오염 제거 능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 및 2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세정 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여 가공 오이 섬유의 첨가 여부 및 정제수의 사용 여부가 세정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변색 안정성 분석]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가죽 제품에 대한 변색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해 클리너 조성물 사용 전후에 따른 변색 여부를 분석하였다. 변색 여부 분석은 피혁 시편에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클리너 조성물을 각각 도포한 다음 30회 이상 러빙하여 세정 전후의 시편의 색상을 색차계(colormeter)를 통해 측정한 다음 그 차이를 변색량(△E)으로 기록하였다. 기록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변색량 - 0.06 0.04 0.10 0.16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 1 및 2와 비교하여 변색량이 적은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리너 조성물의 변색 방지 능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더욱 낮은 변색량을 보여 숙성 과정의 질소 혼합 여부가 변색 안정성을 더욱 높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및 2는 상대적으로 변색량이 높아진 것을 확인하여 가공 오이 섬유의 첨가 여부 및 정제수의 사용 여부가 변색 안정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소엽 잎 추출물 30~50중량부, 뽕나무 껍질 추출물 30~50중량부, 티트리 추출물 50~100 중량부, 병풀 추출물 100~150중량부, 알란토인 50~100중량부 및 정제수 6000중량부를 혼합하되, 상기 정제수는 건조 무화과 잎 10~15중량%, 편백나무 칩 20~25중량% 및 활성탄 60~70중량%로 구성되는 여과체에 증류수를 3~7회 여과한 여과수 80중량%와, 트러플 0.1~1중량%, 카카오 꽃 8~10중량%, 석류 씨앗 8~10중량% 및 증류수 중량 79~83.9%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증류 추출하여 얻어진 증류액 2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정제수인 것인 1차 혼합액 제조 단계;
    스팀기에 오이 섬유를 넣은 후 향나무 칩 및 카카오 열매 껍질을 첨가하고 스팀 처리한 다음 향나무 칩 및 카카오 열매 껍질을 제거하여 가공 오이 섬유를 제조하는 가공 오이 섬유 제조 단계;
    상기 1차 혼합액 5000~5500중량부, 가공 오이 섬유 100~150중량부, 계면활성제 200~400중량부, 글리세린 200~400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50~100중량부, 갈락토미세스 발효 여과액 50~100중량부, 망고스틴 껍질 추출물 20~50중량부, 인삼 씨앗 오일 20~50중량부, 해바라기씨 오일 50~100중량부 및 미네랄 오일 300~500중량부를 혼합한 후 유화 처리하여 혼합 크림을 제조하는 혼합 크림 제조 단계;
    상기 혼합 크림을 12~72시간 동안 숙성하는 숙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 단계는 혼합 크림을 숙성하는 동안 혼합 크림에 질소를 주입하며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30105262A 2023-08-11 2023-08-11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ctive KR102644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5262A KR102644485B1 (ko) 2023-08-11 2023-08-11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5262A KR102644485B1 (ko) 2023-08-11 2023-08-11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485B1 true KR102644485B1 (ko) 2024-03-07

Family

ID=9027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5262A Active KR102644485B1 (ko) 2023-08-11 2023-08-11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4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728A (ko) * 2012-06-15 2015-03-20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위한 알킬 글리코사이드-기반 마이셀 증점제
KR102146522B1 (ko) * 2020-04-03 2020-08-20 전나래 천연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5203B1 (ko) 2020-03-10 2021-08-31 주식회사 뷰티몬코리아 가죽용 세정제 조성물
JP2022047531A (ja) * 2020-09-11 2022-03-24 セッツ株式会社 抗ウイルス剤、消毒剤及び洗浄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728A (ko) * 2012-06-15 2015-03-20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위한 알킬 글리코사이드-기반 마이셀 증점제
KR102295203B1 (ko) 2020-03-10 2021-08-31 주식회사 뷰티몬코리아 가죽용 세정제 조성물
KR102146522B1 (ko) * 2020-04-03 2020-08-20 전나래 천연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2047531A (ja) * 2020-09-11 2022-03-24 セッツ株式会社 抗ウイルス剤、消毒剤及び洗浄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23490B (zh) 一种具有美白保湿功效的去角质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019443B1 (ko) 친환경 복합 혼합물을 포함하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315985B2 (ja) 山養参を用いた石鹸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石鹸
KR102376726B1 (ko) 건강기능성 펫푸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8374B1 (ko) 공진단 제조방법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7281020A (zh) 一种玛咖美白护肤乳液的制备方法
KR102549572B1 (ko) 씨앗오일과 연어정소단백질추출물의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7951B1 (ko) 버섯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44485B1 (ko) 오염 제거 및 이염 방지를 위한 친환경 클리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30363B1 (ko) 녹용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23921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KR102109733B1 (ko) 돼지머리 편육 제조방법
KR20220079181A (ko) 주름예방에 적합한 화장용 복합 추출물
CN107593990A (zh) 一种辣木红茶的制备方法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55261B1 (ko) 피부보습 효능 및 피부 탄력성 효능이 향상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1867B1 (ko) 오크라, 퀴노아, 석류, 들깨, 편백 추출 혼합물과 프로폴리스 및 합성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조성물
KR20180060061A (ko) 아로니아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누의 제조방법
KR20170056830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9427B1 (ko) 황칠을 주원료로 한 발효액, 발효주 및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102456954B1 (ko) 스틱 형태의 포장 용기에 충전된 도라지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66968B1 (ko) 염색전용 트리트먼트 조성물
KR101984936B1 (ko)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각질제거용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