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46424B1 -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을 위한 단일염기 다형성 마커세트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을 위한 단일염기 다형성 마커세트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424B1
KR102646424B1 KR1020210170194A KR20210170194A KR102646424B1 KR 102646424 B1 KR102646424 B1 KR 102646424B1 KR 1020210170194 A KR1020210170194 A KR 1020210170194A KR 20210170194 A KR20210170194 A KR 20210170194A KR 102646424 B1 KR102646424 B1 KR 102646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mo
asian
pumpkin
dna
single nucleot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2354A (ko
Inventor
이은수
김도선
이혜은
한고은
이예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170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424B1/ko
Publication of KR2023008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4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Plant trai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을 위한 단일염기 다형성 마커세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동양계 호박 형질의 순도검정 및 품종을 판별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거나 판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을 위한 단일염기 다형성 마커세트 및 이의 용도 {SNP MARKER SET FOR IDENTIFYING CUCURBITA MOSCHATA CULTIVARS AND METHOD FOR IDENTIFYING CUCURBITA MOSCHATA CULTIVAR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을 위한 단일염기 다형성 마커세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품종간 구분은 여러 가지 목적에 따라 필요한 연구이다. 예를 들면, 국제식물신품종보호동맹 UPOV(International U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의 설립 이후 품종보호권 설정은 종자 회사와 육종가의 큰 관심사가 되었고, UPOV의 회원국인 우리나라 또한 품종보호를 위하여 품종구분에 객관적인 기준을 설정 혹은 수치화하는 계량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일반적인 품종 구분은 표현형에 근거하여 구분되어 왔다. 하지만 표현형은 환경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많은 실험을 요구한다. 또한 품종간 구별에 있어 표현형은 객관적 기준이 불분명하고 체감적인 차이를 반영하지 못한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DNA 분자 마커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DNA 분자 마커는 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APD(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SSR(simple sequence repeat), SNP(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이중에 SNP 마커는 DNA 염기 변이 형태의 가장 흔한 유형이며 다형성 마커 개발에 높은 성공의 결과를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이다.
호박(Cucurbita spp.)은 2003년부터 수요 증대로 재배면적이 2007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가 이후 증감을 거듭하였고 재배면적은 2003년 8,791 ha에서 2018년 9,206 ha로 증가하였고 생산량도 2018년 31만톤 이상으로 2000년 27만톤 비해 약 1.1배 증가하였다. 국내 호박 종자시장도 2018년에 117억 규모로 2014년에 비해 약 1.5 배 이상 증가하여 향후에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된다(종자협회, 2019). 호박의 경제적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신품종 육성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적재산권인 품종보호권 강화 및 유사복제품종 개발 차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1. KR 10-2264690B1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서열번호 1 내지 41의 염기서열에서 각 염기서열의 61번째 염기에 위치한 단일염기다형성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전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제를 포함하는,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a) 동양계 호박 시료로부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분리하고, 서열번호 1 내지 41번으로 표시되는 각각의 염기서열의 61번째 위치에 존재하는 단일염기다형성 전부의 유전자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여 동양계 호박의 순도 및 품종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서열번호 1 내지 41의 염기서열에서 각 염기서열의 61번째 염기에 위치한 단일염기다형성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전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제를 포함하는,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41의 염기서열은 아래와 같다:
서열번호 Assays ID Chr. SNP Pos (bp) Sequence
1 CmoSPT01 Cmo_Chr01 1152621 TCTGATGGCA ACGAACATTC TTCAGCCGAC AGTTTACAAG CCGTCGGTGA AGATCGCTGC [T/C]AAGGTAATCGGGCGTAAGTGGGCACCGTTGCCGGCGGTGATGGCGACGTTTTTAGTATCG
2 CmoSPT02 Cmo_Chr01 3245142 ATCTCCTACCCCGATTAGGCAAAAAGGATCCGTTGCTTAGGAATGTCGATTTATTCATAT[A/T]ATTGCAACTTTTTCTTCAGGGGGCCTGTATTTTCAACCTCTTTCATGGAGCCTTCGCTTG
3 CmoSPT3 Cmo_Chr01 12189252 AAAGCTGGAGGCTCTGGAGTTCCCCCAGTGCTGCGTTGTAGTGTGTGTTATTATATGGGT[T/C]TCTTATAACCCTTTCTTTTTTGGATGAACTGAATTCCTCTCATGGAGGAGTTATGATGAT
4 CmoSPT4 Cmo_Chr02 485611 TCCCCTCGATGTTCCACCGCTGCCTTCCGTTCATCTCCATCCCTCTCTTATCTCTTCCTC[A/T]CTCTCAGAAGGAATCTATGCGAATTTATAGGAATGCAGGCGGAGACGACGACGGAACCGG
5 CmoSPT5 Cmo_Chr02 8290850 CTATCCTAGATCCCCGCGCTCCACCAGCGGATCTGACGGAACCAAGCAGCAGAGCTACTG[T/G]AAAGAAGACGAACTCCAATTCAAAAATCGAGACAATACAACGGAGAAGCAATTCAAATAT
6 CmoSPT6 Cmo_Chr03 3235775 TATCTTTGGGGAAGCCAAGATTGAAGATTTGAGCTCCCAACTACAAACCCAAGCTGCAGA[A/G]CAGTTCAAGGCACCTAATTTGAGTAACTTGACATCAAAGCCTGAGCCATCAACCGTGGTT
7 CmoSPT7 Cmo_Chr03 8003317 ATGTCCATCCCTTTTACCTTATTGTACTCGAGTGACGAGAAAAAAACAGTAAAAAAAAGG[A/G]ACTTTTGCTTCATAGCTTTTCTCGTGGTGCCTTCGAGGAGTGAATTATGGGTACCCTTTA
8 CmoSPT8 Cmo_Chr04 4262843 TTATGGGCTTGGCTCTGTATCGTTGGTTGGGGCACCATAACAGATTGATATGAATGGTTA[T/G]TGGGAGCAGGATGCGGCTGCATAGACATGAAAACATTAGGATCTGAACCAATGGCCAACG
9 CmoSPT9 Cmo_Chr04 7816936 CTGGCCGTTCGTCACGATCGCGCTCAAAATACTCTCAATACGCTCCACCAGTTCCTCATC[A/G]ACGCCCTCCGCTGCCTCCAATACGCCATCAATCGACTGGAGAAACTCCACATTCGAATCG
10 CmoSPT10 Cmo_Chr04 17956800 GCGAATGAGCTAGTGCAGAAGTTTCATATAGCAATGGAGACTGTTTCTGAAAACATTAAT[A/T]GCAGTGAAGCTGGAGATAAATTTACCCAGCAGCATAAAGAACTTCTGTCTGTTCTCGATC
11 CmoSPT11 Cmo_Chr05 272092 TTTAAGATGCTTTGTTGGGTCACTGAAGTCAAACAAAACGCAGCATAGATTTAGCTTCTT[A/G]ACAAACAAATTCTGTTTTTCAGAGCTTGGAACTTCCCTAAACCCAGGCAATGCCTCATAT
12 CmoSPT12 Cmo_Chr05 5280339 TTATGAGTCGGTATGATTCTGCTAGCCAGAGTCACTTTTCACTTCTCTTTAGATCAGTGC[A/T]GCAGACAATAATGTTCTAGTCATTAGTAGGGTAGAAACTGATGTCTCCAATTTTTTTTTT
13 CmoSPT13 Cmo_Chr06 8873197 CAGAAGTGCTTCAGTAAATCTTGGCTAGCCAGGGTTGAAACGTGGTTCTTCACCCCGATC[A/G]TAATCGACCCCAAGAGAAACGTGCCTCATCATCTGCTCGCAGCTTACAGCCATCCTTCAA
14 CmoSPT14 Cmo_Chr07 2866018 TTTGATGACTTTGCTGGCTTCTTGAGTTACTGGGTCGACAAGATAGTCAGGCACGTCACG[T/C]AGATGAGGAGCAGGGGGCTTCTTGCTGAGAATCTTATCATGTTTCAACAAATCTGCCCAA
15 CmoSPT15 Cmo_Chr07 4120945 CCCACCGAGTAAACAAAGAACAATGAGTGACAGACCAATCCACTGGTGGCCTTAGCAGCT[A/C]AGAAGCCCCCTCGGGCCCCAACGGAGGAAGTGGGTACAGAGAAGGAAAGGCCAACGCCAA
16 CmoSPT16 Cmo_Chr08 721844 TTCTTATACTCATGTAGCTGCACTGAGGAAGGAGATCTCAGACGAGACTGATAGAGAGAC[A/C]GGGCGCAGTAAACAAATTTCAAGTGTTCCAATCCATCTGAGTATCTACTCTCCCAATGGT
17 CmoSPT17 Cmo_Chr09 910035 TGACTTTGATGAGTCTAGCTGTAGGCTTAATGGTCGTTGCACTTGTTACAAAGGATCTAA[T/C]GAGGAACAGAAATGCTGCAACTTGAGCCATCACAGAATTTCTTGTGCAGCTACGGTTAGG
18 CmoSPT18 Cmo_Chr09 2176802 TATAAATCCCTTTACCCCTAAGTTTTGGGTACTGACCTCTTGCTGCATGATGATCATCCT[A/G]GTCGGTTGTTGCGAACAAAAGGCACGAGAATGGTGACGGTTGGACGGGGATGGAACGAAA
19 CmoSPT19 Cmo_Chr09 6066333 GATGAACAGGGTTGGCTTTTCTTAACCACTTGAATTCTGTATCTAAGTAATCCTTACTGT[T/C]GTTTTGTTTCTTGTTTACATCTATGATTTGTTTCTTTGTTTCAATTGGTGGAATCTTCTG
20 CmoSPT20 Cmo_Chr10 1050490 TTCAGGTCCAGAAACCTCCTGATTTCTGGGACTTGTTTTTGAATTTGAATTGTTGCTCTG[T/C]TTTTTAATCCACTGATCAAATGAGATCTTTTATGCCCACCAAGTGCTTGACCTGATGCGA
21 CmoSPT21 Cmo_Chr10 2077280 TTTTTCAAGATTGAAATCAATCTCAATCTCATGGTTGTCTTCTATAGGAAGCACGGATGC[A/C]ACTCCTCCAGTTGATTTGTTTTTGTAGTCGGATCTTGCTTTAAGCGTGGCTGCTCCTTTC
22 CmoSPT22 Cmo_Chr10 10779291 ATTGTTAACTGTATGTGAGATTCACTGTTCAGCACAGAATAGAATCTATGGAACGGAAAA[T/C]GATTGGTATGGGATTCTTCAAATTGATCAATCAGCAGACGAAACAATTATAAAAAAGCAA
23 CmoSPT23 Cmo_Chr11 11671486 CATAGACAGTGACAATGAGTTTAAGAAATCGGATTCTCATGGGCATATCGTCGACGCGTT[T/C]GGGGCGTCAATGGTAGAGCCTTGGCTTGCAGCCCATGGAGACCCAACAAGGTTTTCATTT
24 CmoSPT24 Cmo_Chr12 188855 GACTGGGCCTTCAACGGTATCGTTGCTACCACCGGGAGCCGCGGCCCCGTCGGTGGTGTT[T/C]CCAATCTTGCCATCGGCGCCGGGAGCCTCGGTTTTATTAGCACCGGCCTTGGGAGTTTCA
25 CmoSPT25 Cmo_Chr12 9389415 CTTCCCACACGGCGGAGCCATGGACTCAATGGATCATGGGGTTTACAGCGGGGGTGGAAG[T/C]GGAGACGGGTACGGCGGGAACTTCCTGATTTCGATGGCGGCCGGGGCGGAAGCCGGGAGC
26 CmoSPT26 Cmo_Chr13 6150899 CACCAAAGGAGCAATTCTTCTCAAAATTTTAAAAGGTACTAAGTTGGAATCCCATTCTAA[G/C]TAAAGATTCTTGTGGTACAAGGACTACAAATTAATAGGAAGAAAAACAATGTTGACTACT
27 CmoSPT27 Cmo_Chr14 1094562 CTCCTTAAGAACGGACACAAGCTCAATATTTGATTCTTGACTTCTCTTTAGCTGCAGAGC[T/G]AAATCAGCATTGGATTCTTTTTGGAACTTCAGTTCATCTTTCAATTCATCTAAGATTTTT
28 CmoSPT28 Cmo_Chr14 5494858 TAACTTTGAAAGGTCCGAAAAGTTGCAGCTCCGAAAGCAATTCGAATCAGATTTTTATTC[A/G]ACTTTTGGTTTTTCTTACGAAGTAGTCGGGTCGGGAGGTTTACAGTGTTTTTAACAACAG
29 CmoSPT29 Cmo_Chr15 3627784 ACATTTCTTACCCGAAATTGCAGCATTTAAGGCCGGTCTTCTTCTGCTCCCACAACAGTT[T/G]ACACCCGCCGTAGATATCGATGCGGCGGCAACGGTAGACCTGGTGATGCTGGTTCCGGTG
30 CmoSPT30 Cmo_Chr16 320626 TCGAGCTGCTTGTTCTCGCAAGCGATGGACTTTGGGACGTGGTACGCAACGAGGTATGCT[G/C]ACTACATCATTACCCCATGTATCTAAGATGCTCTAAATTGTGAACTCCACATACGAACTT
31 CmoSPT31 Cmo_Chr16 9148953 ATCATCTTCGGCCGAAAACTCCTCTGTTTCGTCGCAGACGATATCGGTGTCGTCAAATTC[A/C]CCGCTGCCAAGCTGACAATGGGGGAGTCATTAGTAATGTCGATAAGCGCCGATCGATCTT
32 CmoSPT32 Cmo_Chr17 2436117 TGACGTTTTCACTGCAGATTTCAATTCCAGTAAAAACCAGTGCCAATTTTCCTCCGTCTC[G/C]GCATCTACAACTGCAAAAGCTGCTGGAAATATGCCATCTTCCCCATCCACAGCTGTGGCA
33 CmoSPT33 Cmo_Chr17 7898700 ATTAAATTCACATTCGAGAGGAGTGGAAGCAGCCGTAGGATTGAAGCAAGGGTAGGATAG[T/G]AAATTAAGACAAAAGTGAAGGGCAGGGGTCAGTCGCACGTGTGAAAAAGATTGAAGTCAC
34 CmoSPT34 Cmo_Chr18 856797 AGATTCAGATTTACAGGTGATGAAGGAGAAATTAAACCCTGCAATCTTCCAGGGAAACGG[A/G]GAGGTTGAAGGTAAGAAAATCAGTGGGAGAAGTAACGGGGAAAGTTTCTCGGTGTCGAAG
35 CmoSPT35 Cmo_Chr18 5506608 ACAGATGCCCTTCTTCATTGACATTTGTCAGTCTGTAGAAAGATAGCCAAGCATGACAGC[T/C]TTGGATAAATTTGGTGACTAAACTGTATAAAATCTTTAAAAAGTCCTTTAGTCTTACATT
36 CmoSPT36 Cmo_Chr18 12459404 CTCTGACATTTTTCTTCTCAGCTGCGGCTCATCCTCCAGTCCCACCTTCTTTAACCGCAC[T/C]TTCGTCGGCGATTCAGTCAAACCCGCCTCCGACTTTCTCACTGCCGGCCGATCGGTGGCG
37 CmoSPT37 Cmo_Chr19 139944 TCGTAGAGCTACAAGAACGAAGATGATGATTCAATGTTTTTTGACATTTGGCTTCTGAAC[T/G]TTTAAATGCTTGCTCTGTCTTTGGTTTTTGTAGTTACAGATCTTTATATTGTTCATCGAA
38 CmoSPT38 Cmo_Chr19 8523415 TATATACACTCATCCATCATATACACTCATCCATCGCCCTCTCGCTCTCTCTCGTGCGTT[T/G]TGTATGTACAGGAAGATTGTAACAGTGGAAGAGATCTTAACAATTGACATAAAACCAGGT
39 CmoSPT39 Cmo_Chr20 124230 GTTGGAGCAGCTCTTTGACAGCTCCCTCGTGGGTTGAGTATTACTCATCTATTTGTAGCT[T/C]TCCACTTATCAATGGATATTTTCTCGTTTCTTATCTAAAATATTTGCCGTCAACTTATCC
40 CmoSPT40 Cmo_Chr20 2167111 ACAGAATCAAACAGTCTCTATGAGACTTATAATCACCACTCATATGGTTCTTCACCGGCC[G/C]ATTCGTTCTTCGATGGAGTTTCATCGCCAGATTTCTCCACTCCAAACATGGCTGATTCAA
41 CmoSPT41 Cmo_Chr20 4092624 TCATTTACTGGTGATCGATCATCATTGATATTTGAACAGCACGTACCTGGAGAGAGTGTC[A/G]ATGAGCTGAAAAAGAAAATTCAGTCACAGGTGATTTTAACATGCTTCAATTTGTGTTATC
상기 단일염기다형성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은 DNA에서 한 개의 뉴클레오티드의 삽입, 소실, 또는 치환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다형성'이라는 용어는 군집 내에서 변하는 유전자의 서열에서의 배치를 지칭한다. 다형성은 상이한 "대립유전자"로 구성된다. "대립유전자"는 한 쌍의 상동염색 체에서 서로 대응하는 부위, 즉 상동하는 유전자자리에 위치하는 대립형질에 대응하는 유전자를 말하며, 같은 염색체 위치 (same chromosomallocus)를 점유하는 한 유전자의 둘 또는 그 이상의 선택적인 형태 (alternative forms) 중 하나를 뜻한다. 이러한 다형성의 배치는 유전자에서의 그의 위치 및 그에서 발견되는 상이한 아미노산 또는 염기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아미노산 변이는 2개의 상이한 대립유전자인, 2개의 가능한 변이체 염기, C 및 T의 결과이다. 유전자형은 2개의 다른 별개의 대립유전자로 구성되기 때문에, 여러 가능한 변이체 중 임의의 변이체가 어느 한 개체에서 관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C (A로 표시), CT (H로 표시) 또는 TT (B로 표시)). 개개의 다형성은 또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일염기다형성은 서열번호 1 내지 41의 염기서열에서 각 염기서열의 61번째 염기에 위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61번째 염기는 서열번호 1 내지 41번 중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 상에서 61번째 염기이다. 서열번호 1 내지 41번의 염기서열은 각각 동양계 호박의 염색체 상에 존재하는 단일염기다형성 및 측면 서열(Flanking sequence)을 포함한다.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41번에서, 각각의 61번째 염기는 동양계 호박의 염색체 상에 존재하는 단일염기다형성으로, 동양계 호박의 순도 및 품종식별과 관련된 것을 선별한 것이다. 상기 단일염기다형성의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면 양친과 자손의 염기 차이를 비교하여 동양계 호박의 순도 및 품종판별 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선택된 단일염기다형성에 해당하는 염기를 포함하는 연속염기와 동일하거나 상보적인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속 염기는 5 내지 121개의 염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제는 서열번호 1 내지 41번의 염기서열 중 어느 하나에서, 61번째 위치한 대립유전자 중 어느 하나의 염기 및 이의 측면 서열의 전부 또는 일부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와 상보적인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일 수 있다. 각 서열번호의 염기서열은 61번째 염기에 단일염기다형성이 위치하고, 61번째 염기를 기준으로 상류(upstream) 및 하류(downstream) 방향으로 각각 60bp의 측면 서열(flanking sequence)이 SNP에 연결되어 있다. 각 서열번호의 염기서열에는 1개의 단일염기다형성이 위치한다. 상기 연속 염기의 길이는 SNP 유전자형 판단 방법에 따라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제제는 검출 또는 증폭하고자 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해당하는 서열번호의 61번째 염기에 위치한 단일염기다형성을 식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서열번호 중 어느 하나의 61번째 염기에 해당하는 단일염기다형성 대립유전자형 중 어느 하나의 염기 및 이와 연속적인 측면서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제제는 프로브, 프라이머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용어 "프로브"는 특정 표적 서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말한다. 상기 프로브는 단일염기다형성 부위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상보적이거나 특이적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브는 단일염기다형성의 염기 차이에 따라 결합력의 차이가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로브는 라벨링(labeling)되어 있어서 특정 핵산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용어 "프라이머"는 중합효소에 의한 뉴클레오티드의 중합반응에서 개시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단일가닥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한다. 상기 프라이머는 선택한 SNP 분석 방법에 따라 통상 기술자에게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서열은 서열번호 1 내지 41번의 염기서열 중 일부 연속염기와 동일하거나 상보적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의 길이는 다양한 인자, 예를 들어 온도 및 프라이머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41의 식별하기 위한 프라이머들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서열번호 Assays ID Chr. SNP Pos (bp) Primer Seq Allele X (FAM) Primer Seq Allele Y (HEX) Primer Seq common
1 CmoSPT01 Cmo_Chr01 1152621 CCCACTTACGCCCGATTACCTTA CCACTTACGCCCGATTACCTTG CAGTTTACAAGCCGTCGGTGAAGAT
2 CmoSPT02 Cmo_Chr01 3245142 GTTGCTTAGGAATGTCGATTTATTCATATA GTTGCTTAGGAATGTCGATTTATTCATATT GGCCCCCTGAAGAAAAAGTTGCAAT
3 CmoSPT3 Cmo_Chr01 12189252 GTTCATCCAAAAAAGAAAGGGTTATAAGAA CATCCAAAAAAGAAAGGGTTATAAGAG GTGCTGCGTTGTAGTGTGTGTTATTATAT
4 CmoSPT4 Cmo_Chr02 485611 AAATTCGCATAGATTCCTTCTGAGAGT AAATTCGCATAGATTCCTTCTGAGAGA CCGTTCATCTCCATCCCTCTCTTAT
5 CmoSPT5 Cmo_Chr02 8290850 GAACCAAGCAGCAGAGCTACTGT AACCAAGCAGCAGAGCTACTGG GTCTCGATTTTTGAATTGGAGTTCGTCTT
6 CmoSPT6 Cmo_Chr03 3235775 TACTCAAATTAGGTGCCTTGAACTGT ACTCAAATTAGGTGCCTTGAACTGC GATTTGAGCTCCCAACTACAAACCCAA
7 CmoSPT7 Cmo_Chr03 8003317 CACGAGAAAAGCTATGAAGCAAAAGTT ACGAGAAAAGCTATGAAGCAAAAGTC TTACCTTATTGTACTCGAGTGACGAGAAA
8 CmoSPT8 Cmo_Chr04 4262843 CAGCCGCATCCTGCTCCCAA AGCCGCATCCTGCTCCCAC GGCACCATAACAGATTGATATGAATGGTT
9 CmoSPT9 Cmo_Chr04 7816936 ACGCTCCACCAGTTCCTCATCA CGCTCCACCAGTTCCTCATCG GTTTCTCCAGTCGATTGATGGCGTA
10 CmoSPT10 Cmo_Chr04 17956800 GTAAATTTATCTCCAGCTTCACTGCT GTAAATTTATCTCCAGCTTCACTGCA GCAATGGAGACTGTTTCTGAAAACATTAAT
11 CmoSPT11 Cmo_Chr05 272092 CAAAACGCAGCATAGATTTAGCTTCTTA AAAACGCAGCATAGATTTAGCTTCTTG GGAAGTTCCAAGCTCTGAAAAACAGAATT
12 CmoSPT12 Cmo_Chr05 5280339 TTTCACTTCTCTTTAGATCAGTGCA CTTTTCACTTCTCTTTAGATCAGTGCT CAGTTTCTACCCTACTAATGACTAGAACAT
13 CmoSPT13 Cmo_Chr06 8873197 ACGTGGTTCTTCACCCCGATCA CGTGGTTCTTCACCCCGATCG GCAGATGATGAGGCACGTTTCTCTT
14 CmoSPT14 Cmo_Chr07 2866018 CAAGATAGTCAGGCACGTCACGT AAGATAGTCAGGCACGTCACGC CAAGAAGCCCCCTGCTCCTCAT
15 CmoSPT15 Cmo_Chr07 4120945 CACTGGTGGCCTTAGCAGCTA CACTGGTGGCCTTAGCAGCTC TTCTCTGTACCCACTTCCTCCGTT
16 CmoSPT16 Cmo_Chr08 721844 CACTTGAAATTTGTTTACTGCGCCCT ACTTGAAATTTGTTTACTGCGCCCG GAAGGAGATCTCAGACGAGACTGAT
17 CmoSPT17 Cmo_Chr09 910035 CAAGTTGCAGCATTTCTGTTCCTCA AAGTTGCAGCATTTCTGTTCCTCG GTCGTTGCACTTGTTACAAAGGATCTAA
18 CmoSPT18 Cmo_Chr09 2176802 CTTGCTGCATGATGATCATCCTA CTTGCTGCATGATGATCATCCTG CCATTCTCGTGCCTTTTGTTCGCAA
19 CmoSPT19 Cmo_Chr09 6066333 AACAAATCATAGATGTAAACAAGAAACAAAACA CAAATCATAGATGTAAACAAGAAACAAAACG CCACTTGAATTCTGTATCTAAGTAATCCTT
20 CmoSPT20 Cmo_Chr10 1050490 TGTTTTTGAATTTGAATTGTTGCTCTGT GTTTTTGAATTTGAATTGTTGCTCTGC GGCATAAAAGATCTCATTTGATCAGTGGAT
21 CmoSPT21 Cmo_Chr10 2077280 CTTCTATAGGAAGCACGGATGCA CTTCTATAGGAAGCACGGATGCC CCACGCTTAAAGCAAGATCCGACTA
22 CmoSPT22 Cmo_Chr10 10779291 GATCAATTTGAAGAATCCCATACCAATCA CAATTTGAAGAATCCCATACCAATCG AGCACAGAATAGAATCTATGGAACGGAAA
23 CmoSPT23 Cmo_Chr11 11671486 GGGCATATCGTCGACGCGTTT GGCATATCGTCGACGCGTTC GCTGCAAGCCAAGGCTCTACCAT
24 CmoSPT24 Cmo_Chr12 188855 GGCGCCGATGGCAAGATTGGA GCGCCGATGGCAAGATTGGG CGGCCCCGTCGGTGGTGTT
25 CmoSPT25 Cmo_Chr12 9389415 CCGCCGTACCCGTCTCCA CCGCCGTACCCGTCTCCG CATGGACTCAATGGATCATGGGGTT
26 CmoSPT26 Cmo_Chr13 6150899 AGTCCTTGTACCACAAGAATCTTTAC AGTCCTTGTACCACAAGAATCTTTAG AAAAGGTACTAAGTTGGAATCCCATTCTAA
27 CmoSPT27 Cmo_Chr14 1094562 TGACTTCTCTTTAGCTGCAGAGCT GACTTCTCTTTAGCTGCAGAGCG CTGAAGTTCCAAAAAGAATCCAATGCTGAT
28 CmoSPT28 Cmo_Chr14 5494858 CGACTACTTCGTAAGAAAAACCAAAAGTT GACTACTTCGTAAGAAAAACCAAAAGTC AGCTCCGAAAGCAATTCGAATCAGATTT
29 CmoSPT29 Cmo_Chr15 3627784 CATCGATATCTACGGCGGGTGTA ATCGATATCTACGGCGGGTGTC GTCTTCTTCTGCTCCCACAACAGTT
30 CmoSPT30 Cmo_Chr16 320626 GGTACGCAACGAGGTATGCTG GGTACGCAACGAGGTATGCTC GCATCTTAGATACATGGGGTAATGATGTA
31 CmoSPT31 Cmo_Chr16 9148953 GACGATATCGGTGTCGTCAAATTCA ACGATATCGGTGTCGTCAAATTCC CTAATGACTCCCCCATTGTCAGCTT
32 CmoSPT32 Cmo_Chr17 2436117 GTGCCAATTTTCCTCCGTCTCG GTGCCAATTTTCCTCCGTCTCC TATTTCCAGCAGCTTTTGCAGTTGTAGAT
33 CmoSPT33 Cmo_Chr17 7898700 AGGATTGAAGCAAGGGTAGGATAGT GAAGCAAGGGTAGGATAGG CCCCTGCCCTTCACTTTTGTCTTAA
34 CmoSPT34 Cmo_Chr18 856797 GCAATCTTCCAGGGAAACGGA GCAATCTTCCAGGGAAACGGG ACTTCTCCCACTGATTTTCTTACCTTCAA
35 CmoSPT35 Cmo_Chr18 5506608 TTTATACAGTTTAGTCACCAAATTTATCCAAA ATACAGTTTAGTCACCAAATTTATCCAAG CATTTGTCAGTCTGTAGAAAGATAGCCAA
36 CmoSPT36 Cmo_Chr18 12459404 GTCCCACCTTCTTTAACCGCACT CCCACCTTCTTTAACCGCACC GGTTTGACTGAATCGCCGACGAA
37 CmoSPT37 Cmo_Chr19 139944 AAAAACCAAAGACAGAGCAAGCATTTAAAA AACCAAAGACAGAGCAAGCATTTAAAC GAGCTACAAGAACGAAGATGATGATTCAA
38 CmoSPT38 Cmo_Chr19 8523415 CACTGTTACAATCTTCCTGTACATACAA ACTGTTACAATCTTCCTGTACATACAC CTCTCGCTCTCTCTCGTGCGTT
39 CmoSPT39 Cmo_Chr20 124230 AAACGAGAAAATATCCATTGATAAGTGGAA CGAGAAAATATCCATTGATAAGTGGAG CTCGTGGGTTGAGTATTACTCATCTATTT
40 CmoSPT40 Cmo_Chr20 2167111 CATATGGTTCTTCACCGGCCG CATATGGTTCTTCACCGGCCC GCGATGAAACTCCATCGAAGAACGAA
41 CmoSPT41 Cmo_Chr20 4092624 CACGTACCTGGAGAGAGTGTCA ACGTACCTGGAGAGAGTGTCG CCTGTGACTGAATTTTCTTTTTCAGCTCAT
상기 프라이머는 동양계 호박 순도 및 품종 판별을 위한 KASP 마커를 증폭시키기 위한 프라이머일 수 있다.
상기 "KASP(kompetitive allele specific PCR)"는 PCR 기반의 분석 방법 중 하나로, 상동의 (homogenous) 그리고 형광(fluorescence) 기반의 유전형 분석 기술이다. KASP는 대립형질(allele)-특이적 올리고 연장(extension) 및 신호생성을 위한 형광공명에너지전이(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를 기반으로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키트는 PCR 키트, 마이크로어레이, 또는 KASP 키트일 수 있다.
상기 PCR 키트는 상기 단일염기다형성을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PCR 키트는 DNA 중합효소, dNTP 혼합물 및 PCR 완충 용액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DNA 중합효소는 예를 들면, E.coli DNA 중합효소 I의 클레나우(klenow) 단편, 열안정성 DNA 중합효소 또는 박테리오파아지 T7 중합효소인 것일 수 있다. 상기 PCR 완충용액은 KCl, Tris-HCl 및 MgCl2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CR 키트는 증폭 산물의 확인에 필요한 구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R 키트는 안내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안내서는 키트 사용법, 예를 들면, PCR 완충 용액 제조방법, 제시되는 반응 조건 등을 설명하는 인쇄물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는 기판 표면의 구분된 영역에 상기 단일염기다형성을 검출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예를 들면 프로브가 높은 밀도로 고정화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KASP 분석용 키트는 KASP용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은 DNA 폴리머라제, dNTPs, 및 버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dNTPs는 dATP, dCTP, dGTP, dTTP를 포함하며, DNA 폴리머라제는 내열성 DNA 중합효소로서 Taq DNA 폴리머라제, Tth DNA 폴리머라제 등 시판되는 폴리머라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a) 동양계 호박 시료로부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분리하고, 서열번호 1 내지 41번으로 표시되는 각각의 염기서열의 61번째 위치에 존재하는 단일염기다형성 전부의 유전자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여 동양계 호박의 순도 및 품종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에서는 시료로부터 분리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증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하는 단계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방법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중합효소연쇄반응(PCR), 리가아제 연쇄반응(ligase chain reaction), 핵산 서열 기재 증폭(nucleic acid sequence-based amplification), 전사 기재 증폭 시스템(transcription-based amplification system), 가닥 치환 증폭(strand displacement amplification) 또는 복제효소(replicas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b) 단계에서는 분석된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여 동양계 호박의 순도 및 품종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양계 호박 F1 의 분석된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을 이의 양친 호박의 유전자형과 비교하여 순도 검정 및 품종을 판별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본 발명의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용 조성물은 동양계 호박 F1 품종을 판별할 수 있고, F1 종자의 순도를 검정하여 양친에 의한 교배 여부를 정확하고 신속히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양계 호박 종자 분쟁 발생 시 품종의 진위성 검정과 품종보호 출원 시 대조 품종의 선정, 그리고 종자 유통 관리 등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동양계 호박 핵심계통 38개 중 33개에 대한 유전자형 분석 결과(A사 및 B사)(빨간색 : FAM 형광, 녹색 : HEX 형광, 파란색 : 이형접합형, 흰색 : 결측값)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동양계 호박 F1품종(4개) 및 양친 계통에 대한 유전자형 분석 결과(C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양계 호박 육종에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육성재료 45계통에 대한 유전자형 분석 결과(A사, B사 및 D사)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동양계 호박 SNP 분자표지 활용한 유전자형 분석 결과(예시 : 4개 프라이머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효용성이 검정된 동양계 호박 SNP 41개 마커세트의 위치를 나타낸 물리적지도(녹색 : 효용성 검정된 41개 SNP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동양계 호박 핵심계통 및 육성재료(총 78개)에 대한 유전적 계통수 분석 및 분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동양계 호박 핵심계통 및 육성재료(총 78개)에 대한 군집화(clustering)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동양계 호박 F1 및 양친 계통(총 12개)에 대한 유전적 계통수 분석 및 분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재료 및 방법
1-1. 시험 재료
동양계 호박의 다양한 육종 조합에 이용할 수 있는 SNP를 선발하기 위하여, 호박 자원 226개를 수집하였고 다양한 형질에서 특성이 중복되지 않는 동양계 호박 핵심계통 38개를 선발하였다(A사 및 B사 분양).
개발할 마커세트 검정을 위한 재료로 애호박, 대목(동양계) F1 4개 품종과 그것의 양친인 8계통, 그리고 나머지 육성계통 45개를 활용하였다 (A사, B사, C사, D사 분양).
1-2. 동양계 호박 핵심계통의 GBS 분석, 계통 간 SNP 탐색 및 선발
CTAB방법으로 고순도 gDNA를 분리하였고, Nanodrop을 이용하여 A260/280 값이 1.8이상이고 농도가 100ng/μL 이상의 기준에 충족함을 확인하였다.
제한효소 ApeKI를 이용하여 GBS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으며, 해당 라이브러리를 Illumina Nextseq 500 장비를 이용하여 동양계 호박 핵심계통별로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SAM Tool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핵심계통의 SNP calling을 진행하였고, SNP filtering을 진행하여 선발조건을 만족하는 SNP를 선발하였다.
1-3. KASP 마커세트 형태로 개발하여 종묘회사 육성 계통 및 F 1 품종에 적용
선발된 SNP는 KASPTM 유전자형 분석시스템 맞춤 프라이머(또는 탐침) 세트로 개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면 짧은 시간 내에 다수의 시료에 대한 다수의 분자표지 검정이 가능하다.
디자인된 SNP 마커세트는 핵심계통 38개 중 33개에 대하여 적용하였으며, 또한 F1 4개 품종과 그 양친인 8계통 그리고 동양계 호박 육종에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육성재료 41계통 대해 유전자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속대량(high-throughput) 마커세트의 유전자형 분석 결과를 통해 동양계 호박 육종 시 활용되는 계통들 간의 다형성을 보이는 SNP를 추가로 선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이 가능하다.
각 계통별로 유전적 다양성(genetic diversity)을 분석하기 위해 유전적 계통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 연구 결과
2-1. 동양계 호박 핵심계통 선발 및 수집
호박 형질인 과크기, 과형, 과피색, 잎형태, 잎의 무늬 유무 및 초세 등에 다양한 특성이 포함되어 있는 226개 자원 중, 동양계 핵심계통으로 38개 선발하여 어린 잎(신초)을 수집하였다(A사 및 B사 분양).
2-2. 동양계 호박 핵심계통의 GBS 분석 및 SNP 탐색
고순도의 gDNA를 추출하여 GBS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기 위해 ApeKI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read로 조각내었다. 조각 양 끝에 서로 다른 adapter를 붙이고 이를 T4 DNA ligase로 ligation 시켰다.
구축된 GBS 라이브러리의 염기서열에 대해 Illumina Nextseq 500 장비를 활용하여 호박 자원별로 시퀀싱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trimmomatic 프로그램을 통하여 adapter 서열을 제거하고 trimming 작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집한 192자원(A사), 34자원(B사)에 대한 각각의 평균 reads 수는 1,765,076 및 2,523,739개였다.
Bowtie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표준유전체에 read mapping을 수행하였으며, 평균 overall read mapping rate는 A사는 84.0%, B사는 81.8%이었다.
VCFtool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표준유전체와 수집한 호박 자원 중 동양계 자원(167개) 간의 유전체 변이 정보를 탐색하는 SNP calling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10,549개의 최종 SNP를 탐색하였다.
In-house scrip를 이용하여 각 염색체 별 SNP의 개수을 계산하였으며, 각 샘플별 home/hetero genotype의 비율 또한 계산하였다.
2-3. 고속대량 분석시스템(high-throughput) 맞춤 SNP 선발 및 마커세트 개발
A사 및 B사에서 탐색한 총 10,549개의 SNP를 depth가 5x 이상에 해당되는 유전자형 결과를 선발하고 계통 간 유전자형이 다른 것들을 SNP로 분류하여 총 2,693개의 SNP를 선발하였으며, 동형접합성이 0.96이상인 SNP를 2,214개 선발하였다.
선발된 SNP 중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 등의 작업에 적합한 SNP를 고르기 위해 PIC(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값이 약 0.35~0.5 값을 나타내며, 20개의 염색체에 균등하게 분포하는 SNP를 최종적으로 48개를 확보하였다.
SNP 위치에서 upstream 및 downstream 양방향으로 인접한 60bp 염기서열인 인접 염기서열(flanking 또는 amplicon sequence) 정보를 바탕으로 PCR 증폭을 하는 KASPTM 프라이머 (또는 탐침) 세트를 합성하였다.
2-4. 동양계 호박 계통 및 품종에 KASP 마커세트를 적용하여 효용성 검정
디자인한 48개 KASPTM 프라이머를 동양계 호박 품종개발에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육성계통 및 F1 품종에 대해 적용하여 효용성을 검정하였다.
핵심계통 38개 중 33개와 F1 4개 품종과 그 양친인 8계통, 그리고 동양계 호박 육종에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육성재료 45계통에 대해 유전자형 분석을 분석하였다 (도 1 내지 3).
분석결과, 개발된 48개 KASPTM 마커세트 중에 대부분의 계통에서 이형접합성(heterozygote) 유전자형을 나타내거나 형광 탐침으로 탐지하기 모호한 7개를 제외한 41개가 분자표지로서 기능함을 확인하였다 (도 4). 효용성이 검정된 SNP 마커세트 41개에 대한 물리적 지도를 작성하였다 (도 5).
유전자형 분석으로 효용성이 검정된 최종 41개 KASP 마커세트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었다 (표 1).
F1 품종과 육성계통들의 다형성 있는 유전자형 분석 결과를 통해, 개발된 41개의 동양계 호박 SNP 마커세트를 이용하여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 내지 3).
분석에 사용된 각 계통들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해 유전적 계통수(Phylogenetic tree, Dendrogram) 분석을 실시하였다. 계통 발생 분석은 계층적 클러스터링(hierarchical clustering) 방법 중 산술평균을 사용하는 비가중 쌍 그룹 방법(unweighted pair group method with arithmetic mean)을 사용하여 Darwin6 소프트웨어(ver. 6.0.10)(http://darwin.cirad.fr/)에서 수행하였다. 부트스트랩(bootstraps)은 1,000 반복(replicates)으로 결정하였다.
A사, B사 및 D사에서 분양받은 동양계 호박 핵심계통 및 육성재료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 결과 크게 3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그룹에서는 동양계 호박 중 주로 식용재료(애호박 등)인 계통이 포함되었고, 세 번째 그룹에서는 대목으로 사용되는 육성재료가 다수 포함되었다(도 6).
그리고 Darwin6 소프트웨어에서 Factorial analysis를 통해 핵심계통 및 육성계통들의 분포도를 분석하였는데, 유연관계 분석처럼 크게 3가지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7).
C사에서 분양받은 동양계 호박 F1 및 양친 계통 총 12개에 대하여 총 41개의 마커세트를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F1 및 양친 계통 모두 유전적으로 유사하나 분류되었다 (도 8).
상기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양한 형질(과형태, 과색, 엽회반 및 초세 등)의 특성을 가지는 동양계 호박 핵심계통을 38개를 선발하였고, 어린 잎에서 DNA를 추출하여 ApeKI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GBS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해당 염기서열은 Illumina Nextseq 50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염기서열 신뢰도(depth), 다형성지수(PIC,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동형접합성, 분리비, SNP 근접 정도 등의 기준에 따라 380개의 SNP를 선발하였으며 KASPTM 유전자형 분석시스템 맞춤 48개의 SNP 프라이머(또는 탐침) 세트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마커세트는 95개 자원 중 90개 자원에 적용하였다. 핵심계통 38계통 중 33계통에 적용하였고, 또한 종묘회사에서 육종에 활용되고 있는 애호박, 대목(동양계) 등 육성계통 총 45개와 동양계 F1 및 양친 계통 12개에 대하여 검정한 결과, 총 48개 중에 41개의 프라이머(또는 탐침)가 분자표지로서 기능함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효용성이 검정된 41개의 마커세트는 각각의 육성계통에 대해 유전자형을 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종자의 순도검정 및 품종의 판별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Republic of Korea (Managemen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SNP MARKER SET FOR IDENTIFYING CUCURBITA MOSCHATA CULTIVARS AND METHOD FOR IDENTIFYING CUCURBITA MOSCHATA CULTIVARS USING THE SAME <130> RDA-BPN210028 <160> 4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01 <400> 1 tctgatggca acgaacattc ttcagccgac agtttacaag ccgtcggtga agatcgctgc 60 yaaggtaatc gggcgtaagt gggcaccgtt gccggcggtg atggcgacgt ttttagtatc 120 g 121 <210> 2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02 <400> 2 atctcctacc ccgattaggc aaaaaggatc cgttgcttag gaatgtcgat ttattcatat 60 wattgcaact ttttcttcag ggggcctgta ttttcaacct ctttcatgga gccttcgctt 120 g 121 <210> 3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3 <400> 3 aaagctggag gctctggagt tcccccagtg ctgcgttgta gtgtgtgtta ttatatgggt 60 ytcttataac cctttctttt ttggatgaac tgaattcctc tcatggagga gttatgatga 120 t 121 <210> 4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4 <400> 4 tcccctcgat gttccaccgc tgccttccgt tcatctccat ccctctctta tctcttcctc 60 wctctcagaa ggaatctatg cgaatttata ggaatgcagg cggagacgac gacggaaccg 120 g 121 <210> 5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5 <400> 5 ctatcctaga tccccgcgct ccaccagcgg atctgacgga accaagcagc agagctactg 60 kaaagaagac gaactccaat tcaaaaatcg agacaataca acggagaagc aattcaaata 120 t 121 <210> 6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6 <400> 6 tatctttggg gaagccaaga ttgaagattt gagctcccaa ctacaaaccc aagctgcaga 60 rcagttcaag gcacctaatt tgagtaactt gacatcaaag cctgagccat caaccgtggt 120 t 121 <210> 7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7 <400> 7 atgtccatcc cttttacctt attgtactcg agtgacgaga aaaaaacagt aaaaaaaagg 60 racttttgct tcatagcttt tctcgtggtg ccttcgagga gtgaattatg ggtacccttt 120 a 121 <210> 8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8 <400> 8 ttatgggctt ggctctgtat cgttggttgg ggcaccataa cagattgata tgaatggtta 60 ktgggagcag gatgcggctg catagacatg aaaacattag gatctgaacc aatggccaac 120 g 121 <210> 9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9 <400> 9 ctggccgttc gtcacgatcg cgctcaaaat actctcaata cgctccacca gttcctcatc 60 racgccctcc gctgcctcca atacgccatc aatcgactgg agaaactcca cattcgaatc 120 g 121 <210> 10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10 <400> 10 gcgaatgagc tagtgcagaa gtttcatata gcaatggaga ctgtttctga aaacattaat 60 wgcagtgaag ctggagataa atttacccag cagcataaag aacttctgtc tgttctcgat 120 c 121 <210> 11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11 <400> 11 tttaagatgc tttgttgggt cactgaagtc aaacaaaacg cagcatagat ttagcttctt 60 racaaacaaa ttctgttttt cagagcttgg aacttcccta aacccaggca atgcctcata 120 t 121 <210> 12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12 <400> 12 ttatgagtcg gtatgattct gctagccaga gtcacttttc acttctcttt agatcagtgc 60 wgcagacaat aatgttctag tcattagtag ggtagaaact gatgtctcca attttttttt 120 t 121 <210> 13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13 <400> 13 cagaagtgct tcagtaaatc ttggctagcc agggttgaaa cgtggttctt caccccgatc 60 rtaatcgacc ccaagagaaa cgtgcctcat catctgctcg cagcttacag ccatccttca 120 a 121 <210> 14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14 <400> 14 tttgatgact ttgctggctt cttgagttac tgggtcgaca agatagtcag gcacgtcacg 60 yagatgagga gcagggggct tcttgctgag aatcttatca tgtttcaaca aatctgccca 120 a 121 <210> 15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15 <400> 15 cccaccgagt aaacaaagaa caatgagtga cagaccaatc cactggtggc cttagcagct 60 magaagcccc ctcgggcccc aacggaggaa gtgggtacag agaaggaaag gccaacgcca 120 a 121 <210> 16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16 <400> 16 ttcttatact catgtagctg cactgaggaa ggagatctca gacgagactg atagagagac 60 mgggcgcagt aaacaaattt caagtgttcc aatccatctg agtatctact ctcccaatgg 120 t 121 <210> 17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17 <400> 17 tgactttgat gagtctagct gtaggcttaa tggtcgttgc acttgttaca aaggatctaa 60 ygaggaacag aaatgctgca acttgagcca tcacagaatt tcttgtgcag ctacggttag 120 g 121 <210> 18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18 <400> 18 tataaatccc tttaccccta agttttgggt actgacctct tgctgcatga tgatcatcct 60 rgtcggttgt tgcgaacaaa aggcacgaga atggtgacgg ttggacgggg atggaacgaa 120 a 121 <210> 19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19 <400> 19 gatgaacagg gttggctttt cttaaccact tgaattctgt atctaagtaa tccttactgt 60 ygttttgttt cttgtttaca tctatgattt gtttctttgt ttcaattggt ggaatcttct 120 g 121 <210> 20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20 <400> 20 ttcaggtcca gaaacctcct gatttctggg acttgttttt gaatttgaat tgttgctctg 60 ytttttaatc cactgatcaa atgagatctt ttatgcccac caagtgcttg acctgatgcg 120 a 121 <210> 21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21 <400> 21 tttttcaaga ttgaaatcaa tctcaatctc atggttgtct tctataggaa gcacggatgc 60 mactcctcca gttgatttgt ttttgtagtc ggatcttgct ttaagcgtgg ctgctccttt 120 c 121 <210> 22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22 <400> 22 attgttaact gtatgtgaga ttcactgttc agcacagaat agaatctatg gaacggaaaa 60 ygattggtat gggattcttc aaattgatca atcagcagac gaaacaatta taaaaaagca 120 a 121 <210> 23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23 <400> 23 catagacagt gacaatgagt ttaagaaatc ggattctcat gggcatatcg tcgacgcgtt 60 yggggcgtca atggtagagc cttggcttgc agcccatgga gacccaacaa ggttttcatt 120 t 121 <210> 24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24 <400> 24 gactgggcct tcaacggtat cgttgctacc accgggagcc gcggccccgt cggtggtgtt 60 yccaatcttg ccatcggcgc cgggagcctc ggttttatta gcaccggcct tgggagtttc 120 a 121 <210> 25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25 <400> 25 cttcccacac ggcggagcca tggactcaat ggatcatggg gtttacagcg ggggtggaag 60 yggagacggg tacggcggga acttcctgat ttcgatggcg gccggggcgg aagccgggag 120 c 121 <210> 26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26 <400> 26 caccaaagga gcaattcttc tcaaaatttt aaaaggtact aagttggaat cccattctaa 60 staaagattc ttgtggtaca aggactacaa attaatagga agaaaaacaa tgttgactac 120 t 121 <210> 27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27 <400> 27 ctccttaaga acggacacaa gctcaatatt tgattcttga cttctcttta gctgcagagc 60 kaaatcagca ttggattctt tttggaactt cagttcatct ttcaattcat ctaagatttt 120 t 121 <210> 28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28 <400> 28 taactttgaa aggtccgaaa agttgcagct ccgaaagcaa ttcgaatcag atttttattc 60 racttttggt ttttcttacg aagtagtcgg gtcgggaggt ttacagtgtt tttaacaaca 120 g 121 <210> 29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29 <400> 29 acatttctta cccgaaattg cagcatttaa ggccggtctt cttctgctcc cacaacagtt 60 kacacccgcc gtagatatcg atgcggcggc aacggtagac ctggtgatgc tggttccggt 120 g 121 <210> 30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30 <400> 30 tcgagctgct tgttctcgca agcgatggac tttgggacgt ggtacgcaac gaggtatgct 60 sactacatca ttaccccatg tatctaagat gctctaaatt gtgaactcca catacgaact 120 t 121 <210> 31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31 <400> 31 atcatcttcg gccgaaaact cctctgtttc gtcgcagacg atatcggtgt cgtcaaattc 60 mccgctgcca agctgacaat gggggagtca ttagtaatgt cgataagcgc cgatcgatct 120 t 121 <210> 32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32 <400> 32 tgacgttttc actgcagatt tcaattccag taaaaaccag tgccaatttt cctccgtctc 60 sgcatctaca actgcaaaag ctgctggaaa tatgccatct tccccatcca cagctgtggc 120 a 121 <210> 33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33 <400> 33 attaaattca cattcgagag gagtggaagc agccgtagga ttgaagcaag ggtaggatag 60 kaaattaaga caaaagtgaa gggcaggggt cagtcgcacg tgtgaaaaag attgaagtca 120 c 121 <210> 34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34 <400> 34 agattcagat ttacaggtga tgaaggagaa attaaaccct gcaatcttcc agggaaacgg 60 rgaggttgaa ggtaagaaaa tcagtgggag aagtaacggg gaaagtttct cggtgtcgaa 120 g 121 <210> 35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35 <400> 35 acagatgccc ttcttcattg acatttgtca gtctgtagaa agatagccaa gcatgacagc 60 yttggataaa tttggtgact aaactgtata aaatctttaa aaagtccttt agtcttacat 120 t 121 <210> 36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36 <400> 36 ctctgacatt tttcttctca gctgcggctc atcctccagt cccaccttct ttaaccgcac 60 yttcgtcggc gattcagtca aacccgcctc cgactttctc actgccggcc gatcggtggc 120 g 121 <210> 37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37 <400> 37 tcgtagagct acaagaacga agatgatgat tcaatgtttt ttgacatttg gcttctgaac 60 ktttaaatgc ttgctctgtc tttggttttt gtagttacag atctttatat tgttcatcga 120 a 121 <210> 38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38 <400> 38 tatatacact catccatcat atacactcat ccatcgccct ctcgctctct ctcgtgcgtt 60 ktgtatgtac aggaagattg taacagtgga agagatctta acaattgaca taaaaccagg 120 t 121 <210> 39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39 <400> 39 gttggagcag ctctttgaca gctccctcgt gggttgagta ttactcatct atttgtagct 60 ytccacttat caatggatat tttctcgttt cttatctaaa atatttgccg tcaacttatc 120 c 121 <210> 40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40 <400> 40 acagaatcaa acagtctcta tgagacttat aatcaccact catatggttc ttcaccggcc 60 sattcgttct tcgatggagt ttcatcgcca gatttctcca ctccaaacat ggctgattca 120 a 121 <210> 41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moSPT41 <400> 41 tcatttactg gtgatcgatc atcattgata tttgaacagc acgtacctgg agagagtgtc 60 ratgagctga aaaagaaaat tcagtcacag gtgattttaa catgcttcaa tttgtgttat 120 c 121

Claims (6)

  1. 서열번호 1 내지 41의 염기서열에서 각 염기서열의 61번째 염기에 위치한 단일염기다형성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전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제를 포함하는,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서열번호 1 내지 41번의 염기서열에서 각 염기서열의 61번째 염기에 위치한 단일염기다형성 부위를 포함하는 5 내지 121개의 연속염기, 또는 이와 상보적인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프로브, 프라이머,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용 조성물.
  4. 제 1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용 키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PCR 키트, 마이크로어레이, 또는 KASP 키트인 것인,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용 키트.
  6. a) 동양계 호박 시료로부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분리하고, 서열번호 1 내지 41번으로 표시되는 각각의 염기서열의 61번째 위치에 존재하는 단일염기다형성 전부의 유전자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여 동양계 호박의 순도 및 품종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 방법.
KR1020210170194A 2021-12-01 2021-12-01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을 위한 단일염기 다형성 마커세트 및 이의 용도 Active KR102646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194A KR102646424B1 (ko) 2021-12-01 2021-12-01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을 위한 단일염기 다형성 마커세트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194A KR102646424B1 (ko) 2021-12-01 2021-12-01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을 위한 단일염기 다형성 마커세트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354A KR20230082354A (ko) 2023-06-08
KR102646424B1 true KR102646424B1 (ko) 2024-03-12

Family

ID=8676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194A Active KR102646424B1 (ko) 2021-12-01 2021-12-01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을 위한 단일염기 다형성 마커세트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4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563011B (zh) * 2024-06-24 2025-03-04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组snp分子标记作为检测靶点在鉴定中国南瓜种质资源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690B1 (ko) 2020-06-18 2021-06-14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호박 품종 식별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756B1 (ko) * 2020-12-16 2022-11-01 대한민국 동양계 호박의 여교배 세대단축 육종을 위한 단일염기 다형성 마커세트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690B1 (ko) 2020-06-18 2021-06-14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호박 품종 식별용 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354A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913533B (zh) 与草鱼性状相关的snp分子标记及其应用
US20100240061A1 (en) Soybean Polymorphisms and Methods of Genotyping
US20100223293A1 (en) Polymorphic Markers and Methods of Genotyping Corn
US20090208964A1 (en) Soybean Polymorphisms and Methods of Genotyping
US20080083042A1 (en) Maize polymorphisms and methods of genotyping
KR101923647B1 (ko) 쥬빌리 타입 또는 크림슨 타입 수박 품종 판별용 snp 마커
KR101979218B1 (ko) 후지 사과의 아조 변이 품종 판별용 조성물
KR102646426B1 (ko) 서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을 위한 단일염기 다형성 마커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461756B1 (ko) 동양계 호박의 여교배 세대단축 육종을 위한 단일염기 다형성 마커세트 및 이의 용도
KR20180077873A (ko) 수박 분자마커이용여교잡 선발용 snp 마커
US20170283854A1 (en) Multiplexed pcr assay for high throughput genotyping
KR102646424B1 (ko) 동양계 호박의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을 위한 단일염기 다형성 마커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461763B1 (ko) 서양계 호박의 여교배 세대단축 육종을 위한 단일염기 다형성 마커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535529B1 (ko) 수박 순도 검정 및 조기 고정 계통 선발을 위한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955074B1 (ko) 무 판별용 snp 마커
KR102530346B1 (ko) 홍해삼 식별용 유전자 마커를 이용한 친자확인방법
KR102458440B1 (ko) 고추 역병 저항성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고추 역병 저항성 판별 방법
KR102296889B1 (ko) 토마토 점무늬병 저항성 또는 이병성 품종 판별용 분자마커 및 이를 이용한 토마토 점무늬병 저항성 또는 이병성 품종 판별방법
KR101481734B1 (ko) 한국산 황기의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 및 이를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KR102737156B1 (ko) 페포계 호박 순도검정 및 품종판별을 위한 단일염기다형성 마커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985659B1 (ko)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이용한 백우 품종 식별 방법
WO1999053100A2 (en) Method for finding genetic markers of somaclonal variation
CN115772579B (zh) 一种茄子抗青枯病性状紧密连锁的snp分子标记及其应用
KR102575912B1 (ko) 시니그린 저함량 양배추 판별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801019B1 (ko) 60s 리보좀 유전자 기반 잎마름병 저항성 백합 품종 판별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2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307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307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