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936B1 - heating apparatus for food - Google Patents
heating apparatus for fo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1936B1 KR102641936B1 KR1020230106018A KR20230106018A KR102641936B1 KR 102641936 B1 KR102641936 B1 KR 102641936B1 KR 1020230106018 A KR1020230106018 A KR 1020230106018A KR 20230106018 A KR20230106018 A KR 20230106018A KR 102641936 B1 KR102641936 B1 KR 1026419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asting
- receiving space
- space
- exhaust fan
- water recei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Abstract
음식물 구이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 구이기는, 상부가 개방된 구이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외기유입공이 마련되고, 타측에 에어배기공이 마련되며, 상기 구이공간을 사이에 두고 제1 통풍공과 제2 통풍공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구이본체; 상기 구이본체에 결합되고, 물 수용공간과 기름받이공간이 별도로 구획되게 마련되는 드로어; 상기 구이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기유입공을 통해 외기를 흡입한 후 상기 제1 통풍공을 통해 상기 제2 통풍공을 향하는 상기 구이공간 측으로 송풍하는 제1 흡출팬; 상기 제1 흡출팬에 의해 상기 구이공간 측으로 송풍된 공기를 상기 제2 통풍공을 통해 상기 구이본체 내부로 흡입한 후 상기 물 수용공간 측으로 블로잉하는 제2 흡출팬; 및 상기 물 수용공간과 상기 에어배기공 사이의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구이본체에 교체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이공간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유증기를 포함하는 가스는, 상기 제1 흡출팬에 의해 송풍되는 상대적인 저온의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응축되어 상기 기름받이공간으로 일부 수집되면서 1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상기 물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과의 접촉에 의해 2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되며, 상기 필터에 의해 3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된 후 상기 구이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이공간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유증기를 포함하는 가스가 제1 흡출팬에 의해 송풍되는 상대적인 저온의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응축되어 1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물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과의 접촉에 의해 2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되며, 필터에 의해 3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된 후 구이본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3단계에 걸쳐 유분, 이물질 및 냄새 제거 등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가스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조리시 연기, 유증기 발생없이 사용할 수 있고 주변 실내공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The food roasting machine starts. In the food roa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asting space with an open top is formed, an external air inflow hole is provided on one side, and an air exhaust hol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ventilation hole and the second ventilation hole face each other across the roasting space. A roasting body formed to be; A drawer coupled to the roasting body and provided to separate a water receiving space and an oil receiving space; a first exhaust fan installed inside the grilling body, which draws in outside air through the outside air inlet hole and then blows it toward the roasting space toward the second vent hole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hole; a second exhaust fan that sucks air blown toward the roasting space by the first exhaust fan into the roasting body through the second ventilation hole and then blows it toward the water receiving space; and a filter provided in a flow path between the water receiving space and the air exhaust hole and capable of being replaced and mounted on the grilling body, wherein the gas containing smoke and oil vapor generated in the roasting space is the first filter. Foreign substances are primarily filtered as they are condensed by contact with relatively low-temperature air blown by an exhaust fan and partially collected into the oil receiving space, and secondarily by contact with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space. It is filtered, and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thirdly by the filter and then discharged out of the roas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as containing smoke and oil vapor generated in the roasting space is condensed by contact with relatively low temperature air blown by the first exhaust fan, and foreign substances are primarily filtered, and the gas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space is condensed.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secondarily by contact with water, thirdly filtered by a filter, and then the gas is sequentially removed in three stages to remove oil, foreign substances, and odors so that they are discharged outside the grilling body. As it is discharged, it can be used without generating smoke or oil vapor during cooking and can prevent contamination of surrounding indoor spac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구이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유증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함과 동시에 제품 내부를 따라 가스가 순환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제품 내부의 오염을 최소할 수 있고 위생적으로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는 음식물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d roaster that effectively treats smoke and oil vapor generated during the food roasting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fundamentally prevents gases from circulating along the inside of the product, thereby minimizing contamination inside the product and enabling hygienic use and management. It's about.
일반적으로, 음식물 구이과정에서 발생된 연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된 에어순환식 구이기는 구이과정에서 구이물이 타거나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줄이도록 연기나 냄새를 흡입하여 본체 내에서 여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있다.In general, air circulation type grills that can inhale smoke generated during the roasting process are designed to absorb smoke or odor and filter it within the main body to reduce burning or smoke generation during the roasting process. I'm losing.
덧붙여, 대개 본체의 내부에 흡출팬이 내장되어 본체의 양측벽 상에 형성된 에어흡입구와 에어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장치 내부에서 순환시키고, 공기순환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유분을 침지시킬 수 있도록 본체 내에 물이 수용된 기름받이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an exhaust fan is usually built into the main body to circulate air inside the device through the air inlet and air outlet formed on both walls of the main body, and the oil contained in the air is immersed in the air circulation process. There is an oil pan containing water.
그런데, 이러한 에어순환식 구이기는 구이과정에서 냄새나 연기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실내에서 용이하게 사용 가능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에어순환식 구이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흡출팬 자체나 본체 내부 등에 기름때나 이물질이 쌓임으로 인해, 흡출팬에 의한 공기흡입 능력이 저하되어 에어흡입구 측으로 연기가 유도되기는 하나 완전하게 흡입되지 못하고 연기가 그대로 머물러 있는 경우가 발생하여 제연효과나 탈취효과를 발휘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However, although this air circulation type griller can significantly reduce odor or smoke during the roasting process and can be easily used indoors, if the air circulation type griller is continuously used, grease or foreign substances may appear on the exhaust fan itself or inside the main body. Due to this accumulation, the air suction ability of the suction fan is reduced, and although smoke is guided to the air intake, it is not completely inhaled and the smoke remains there, which limits the ability to exert a smoke control or deodorizing effect. .
또한, 제품 내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구조로 인해, 제품 본체 내에 기름때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바, 제품을 위생적으로 사용 및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air circulates within the product, it is impossible to prevent grease or foreign substances from accumulating within the product body, which limits the hygienic use and management of the product.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 내에 두개 이상의 팬을 배치하여 구이과정에서 발생한 연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함과 동시에 구이본체 내부로 가스가 순환되는 구조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 구이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다단계의 필터링 과정을 거친 후 주변으로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주변공간의 오염을 방지하고 제품 자체를 위생적으로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는 음식물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By disposing two or more fans within the main body,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ffectively sucks in the smoke generated during the roasting process, but also fundamentally prevents gases from circulating inside the roasting main body. Rath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ood roaster that prevents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 space and allows the product itself to be used and managed hygienically by allowing gases generated during the food roasting process to go through a multi-step filtering process before being discharged to the surrounding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된 구이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외기유입공이 마련되고, 타측에 에어배기공이 마련되며, 상기 구이공간을 사이에 두고 제1 통풍공과 제2 통풍공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구이본체; 상기 구이본체에 결합되고, 물 수용공간과 기름받이공간이 별도로 구획되게 마련되는 드로어; 상기 구이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기유입공을 통해 외기를 흡입한 후 상기 제1 통풍공을 통해 상기 제2 통풍공을 향하는 상기 구이공간 측으로 송풍하는 제1 흡출팬; 상기 제1 흡출팬에 의해 상기 구이공간 측으로 송풍된 공기를 상기 제2 통풍공을 통해 상기 구이본체 내부로 흡입한 후 상기 물 수용공간 측으로 블로잉하는 제2 흡출팬; 및 상기 물 수용공간과 상기 에어배기공 사이의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구이본체에 교체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이공간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유증기를 포함하는 가스는, 상기 제1 흡출팬에 의해 송풍되는 상대적인 저온의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응축되어 상기 기름받이공간으로 일부 수집되면서 1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상기 물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과의 접촉에 의해 2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되며, 상기 필터에 의해 3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된 후 상기 구이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음식물 구이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asting space with an open top is formed, an external air inflow hole is provided on one side, an air exhaust hol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ventilation hole and the second ventilation ho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roasting space in between. Grilled bodies formed to face each other; A drawer coupled to the roasting body and provided to separate a water receiving space and an oil receiving space; a first exhaust fan installed inside the grilling body, which draws in outside air through the outside air inlet hole and then blows it toward the roasting space toward the second vent hole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hole; a second exhaust fan that sucks air blown toward the roasting space by the first exhaust fan into the roasting body through the second ventilation hole and then blows it toward the water receiving space; and a filter provided in a flow path between the water receiving space and the air exhaust hole and capable of being replaced and mounted on the grilling body, wherein the gas containing smoke and oil vapor generated in the roasting space is the first filter. Foreign substances are primarily filtered as they are condensed by contact with relatively low-temperature air blown by an exhaust fan and partially collected into the oil receiving space, and secondarily by contact with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space. A food roaster is provided in which food is filtered and foreign substances are thirdly filtered by the filter and then discharged outside the roasting body.
상기 구이본체와 상기 드로어에는 각각, 상기 가스가 상기 물 수용공간을 거친 후 상기 기름받이공간이 배치되는 상기 구이본체의 내부 중앙영역으로 이동하지 않고 모두 상기 필터 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에어배기공을 통해 바로 배출되도록 가스유동제한부가 마련될 수 있다.In the roasting body and the drawer, respectively, after the gas passes through the water receiving space, it does not move to the inner central area of the roasting body where the oil receiving space is disposed, but moves to the filter side and then passes through the air exhaust hole. A gas flow restrictor may be provided to allow immediate discharge.
상기 가스유동제한부는, 상기 구이본체의 일측단부에 라운드지게 마련되는 제1 라운드부; 및 상기 구이본체에 대해 상기 드로어가 결합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라운드부와 밀착 접촉하도록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상기 드로어에 마련되는 제2 라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gas flow restrictor includes a first round portion provided to be rounded at one end of the roasting body; and a second round part provided in the drawer to be rounded so a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round part when the drawer is fully coupled to the roasting body.
상기 제2 라운드부의 외측면은 상기 물 수용공간을 향하고, 상기 제2 라운드부의 내측면은 상기 구이본체의 내부 중앙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라운드부의 외측면은, 상기 물 수용공간을 향해 오목하게 라운드질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ound part faces the water receiving space,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ound part is arranged to face the inner central area of the roasting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ound part faces the water receiving space. It can be rounded concavely towards the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라운드부와 제2 라운드부의 일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차폐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A shielding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round part and the second round part facing each other.
상기 구이본체는, 상기 제2 흡출팬을 외부에 노출 또는 비노출시키도록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출팬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illing body may include an exhaust fan cov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expose or not expose the second exhaust fan to the outside.
상기 구이본체는, 상기 제2 흡출팬과 상기 제2 흡출팬의 송풍방향을 가이드하는 벌류트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흡출팬 설치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흡출팬 커버에는 상기 흡출팬 설치프레임에 지지되도록 복수의 지지리브가 마련되되, 상기 흡출팬 커버와 상기 흡출팬 설치프레임에는 각각 서로간에 걸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걸림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The roasting body includes an exhaust fan installation frame that provides a space for installing the second exhaust fan and a volute that guides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second exhaust fan, and the exhaust fan cover has an exhaust fan installation frame. A plurality of support ribs are provided to support each other, and the suction fan cover and the suction fan installation frame may be provided with engaging means so that they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에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걸림돌기; 및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가 대응하여 걸림되도록 상기 흡출팬 설치프레임에 마련되는 복수의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each protruding from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And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provided in the suction fan installation frame so that the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are correspondingly caught.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음식물 구이기에 의하면, 구이공간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유증기를 포함하는 가스가 제1 흡출팬에 의해 송풍되는 상대적인 저온의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응축되어 1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물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과의 접촉에 의해 2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되며, 필터에 의해 3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된 후 구이본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3단계에 걸쳐 유분, 이물질 및 냄새 제거 등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가스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조리시 연기, 유증기 발생없이 사용할 수 있고 주변 실내공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od roa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gas containing smoke and oil vapor generated in the roasting space is condensed upon contact with relatively low temperature air blown by the first exhaust fan, and foreign substances are primarily filtered out. ,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secondarily by contact with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space, and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thirdly by a filter, and then oil, foreign substances, and odor are sequentially removed in three stages so that they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grilling body. As the gas consisting of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can be used without generating smoke or oil vapor during cooking and can prevent contamination of surrounding indoor spaces.
또한, 연기, 유증기가 구이본체 내부를 순환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제품 자체 내부에 기름때 등이 끼이는 것을 최소화하여 위생적으로 관리 및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undamentally preventing smoke and oil vapor from circulating inside the grilling body, the product can be managed and used hygienically by minimizing grease stains inside the product itsel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구이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5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구이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구이기의 흡출팬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4의 Ⅸ-Ⅸ선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구이기에서 다양한 필터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roast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bottom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od roast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ure 4;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Figure 5;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roast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haust fan cover of a food roa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Figure 4;
10 and 11 are diagrams showing various filter installation positions in a food roa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se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is is provided to inform you. In the drawings, like symbols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구이기는 제품 내부에 두개 이상의 팬을 설치하여 음식물 구이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유증기를 포함하는 가스를 효과적으로 흡입함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가 제품 내부를 순환하지 않고 제품 외부로 바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제품 내부에 유증기에 의해 기름때 등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위생적으로 제품 관리 및 사용이 가능하다.The food roas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two or more fans inside the product to effectively suck in gas containing smoke and oil vapor generated during the food roasting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the sucked air does not circulate inside the product. By allowing it to be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manage and use the product hygienically by minimizing the adhesion of oil stains due to oil vapor inside the product.
즉, 본 발명은 구이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유증기를 포함하는 가스를 3차에 걸쳐 이물질을 필터링한 후 제품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예를 들어 제품이 사용되는 실내공간의 오염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filters the gas containing smoke and oil vapor generated during the roasting process three time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then discharges them outside the product, thereby minimizing contamination in the indoor space where the product is used, for example. .
또한, 구이과정에서 발생하여 제품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완전연소시킴으로써 연기발생을 더욱 저감하여 위생적으로 제품 관리 및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 불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mpletely burning some of the air generated during the roasting process and sucked into the product, smoke generation is further reduced, enabling hygienic management and use of the product, as well as preventing consumer complaints.
즉, 본 발명은 구이과정에서 발생된 연기를 효과적으로 제품 내부로 흡입함과 동시에 팬에 의해 본체 내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구조를 최대한 배제하면서도 공기를 안정적으로 정화 또는 완전연소 처리하도록 구비되어 제품 자체를 위생적으로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to effectively inhale the smoke generated during the roasting process into the product and at the same time exclude as much as possible the structure that circulates air inside the main body by a fan, and is equipped to stably purify or completely burn the air, thereby protecting the product itself. It can be used and managed hygienically.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구이기는 구이본체(100), 드로어(200), 히팅부재(300), 제1 흡출팬(400), 제2 흡출팬(500) 및 필터(600)를 포함한다.1 to 4, the food roa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구이본체(100)는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구이공간(110)이 형성되고, 구이공간 상에 구이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석쇠나 구이판(120)이 안착된다. 구이공간은 일정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구이본체(100)에는 구이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슬릿형태로 된 제1 통풍공(130)과 제2 통풍공(140)이 각각 형성된다. First, a
구이본체(100)에는 구이본체(100)의 내측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구이공간(110)과 상기 구이공간(110)과 구분되는 하부공간(150)을 형성하도록 구획판(160)이 설치된다.A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이본체(100)의 일측에는 구이공간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연기와 유증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온인 외기가 구이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슬릿형태의 외기유입공(170)이 마련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on one side of the
또한, 구이본체(100)의 타측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이공간에서 구이본체(100) 내부로 흡입된 후 다수의 필터링 과정을 거쳐 이물질이 충분히 제거된 공기를 구이본체 외부로 배출하도록 슬릿형태의 에어배기공(180)이 마련된다.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other side of the
다음,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팅부재(300)는 구이공간(110)으로 열을 발산하도록 구이본체(100)에 설치되는데, 히팅부재는 구이판(120)의 저면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구획판(160) 상에 장착되도록 구이본체(100)에 결합 가능하다. 히팅부재(300)는 일정 형태로 절곡된 봉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진다.Next,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다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로어(200)는 구이본체(100)의 하부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드로어(200)는 구이본체(100)에 완전히 분리 가능하도록 이탈될 수 있고 슬라이드 방식으로 구이본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as shown in FIGS. 1 to 4, the
한편,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드로어(200)는 구이본체(100)에 고정된 상태를 가질 수 있고, 구이판(120)과 구획판(160)을 구이본체(100)로부터 상측으로 이탈시켜 분리하는 방식으로 드로어(200)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s,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드로어(200)에는 물 수용공간(210)과 기름받이공간(220)이 별도로 구획된 상태로 마련되며, 이에 관련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이본체(100)의 내부에는 제1 통풍공(130)과 제2 통풍공(140)을 통해 외기를 공급하거나 구이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연기, 유증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제1 흡출팬(400)과 제2 흡출팬(500)이 내장 설치된다. 제1 흡출팬과 제2 흡출팬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시로코 팬으로 적용될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흡출팬(400)은 구이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며, 외기유입공(170)을 통해 저온의 외기를 흡입한 후 제1 통풍공(130)을 통해 제2 통풍공(140)을 향하는 구이공간(110) 측으로 송풍한다. 부연하자면, 제1 흡출팬(400)은 제1 통풍공(130) 측에 위치하여 구이본체(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외기유입공(170)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제1 통풍공(130)을 통해 구이공간(110) 상으로 송풍한다. 여기서, 외기유입공(170)은 구이본체(100)의 하부가 아닌 제1 흡출팬(400) 근방의 구이본체(100)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흡출팬(500)은 제1 흡출팬(400)에 의해 구이공간 측으로 송풍된 공기를 제2 통풍공(140)을 통해 구이본체(100) 내부로 흡입한 후 드로어(200)의 물 수용공간(210) 측으로 블로잉한다. 덧붙이자면, 제2 흡출팬(500)은 제2 통풍공(14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제2 통풍공을 통해 구이본체 내부로 흡입된 가스(연기, 유증기)를 물에 접촉시켜 기름성분 등을 물에 흡착하여 제거하도록 물 수용공간(210) 측으로 블로잉한다. 물 수용공간(210)을 통과하면서 일정이상 기름때나 이물질이 필터링된 공기는 후술하는 필터(600)를 통해 한번 더 기름때, 이물질이 필터링된 후 에어배기공(180)을 통해 구이본체 외부로 배출된다.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 구이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제1 흡출팬(400)과 제2 흡출팬(500)을 통해 효과적으로 흡입함과 동시에 흡입된 가스가 구이본체 내부를 순환하지 않고 에어배기공(180)을 통해 바로 구이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구이본체(100) 내부 구조물 표면에 유증기에 의해 기름때 등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위생적으로 제품 관리 및 사용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sucks the gas generated during the food roasting process through the
다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600)는 물 수용공간(210)과 에어배기공(180) 사이의 유로에 마련되고, 구이본체(100)에 교체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필터(600)는 이물질, 공기중 기름성분 등을 흡착하고 연기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부직포 필터, 헤파필터, 활성탄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3 to 5, th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이본체(100)의 일측 하부의 에어배기공(180) 근방에는 필터(600)를 고정 결합하도록 필터삽입홈을 형성하는 필터고정 브래킷(182)이 마련되며, 사용자는 드로어(200)를 구이본체(100)로부터 분리한 후 필터고정 브래킷(182) 내측의 필터삽입홈으로 필터(600)를 삽입 고정할 수 있다. 필터(600)가 장착된 상태에서, 필터(600)는 복수의 슬롯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배기공(180) 전체를 상측에서 커버한 상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물 수용공간(210)을 통과한 가스는 필터(600)에 의해 추가적으로 이물질, 기름때 등이 필터링된 후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 a
즉, 본 발명은 저온의 외기 유입 -> 제1 흡출팬에 의한 송풍 -> 제2 흡출팬에 의한 제1 흡출팬이 송풍한 공기를 흡입 -> 흡입한 공기를 구이본체 내부로 순환시키지 않고 직접적으로 외부 배출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공기는 구이본체(100) 내부를 순환하지 않는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nvolves introducing low-temperature outside air -> blowing by the first exhaust fan -> sucking the air blown by the first exhaust fan by the second exhaust fan -> directly without circulating the sucked air inside the grilling body. The process of discharging to the outside proceeds sequentially, and while this process is in progress, air does not circulate inside the roasting
제1 흡출팬(400)에 의해 외기를 구이공간(110) 상으로 공급하게 되면 구이과정에서 가열된 구이판(120)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유증기를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외기를 통해 응축시킬 수 있어 연기발생 저감과 공기중 기름기 성분을 일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구이공간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유증기를 포함하는 가스는 제1 흡출팬(400)에 의해 송풍되는 상대적인 저온의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응축되어 드로어(200)의 기름받이공간(220)으로 일부 수집되면서 1차적으로 이물질(공기 중 기름성분 등 포함)이 필터링될 수 있다.When outside air is supplied onto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이본체(100) 내에는 제2 흡출팬(500) 구동에 의해 흡입된 가스 중에 포함된 유분, 냄새, 그을음 등을 필터링하도록 여과수단이 마련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ing means is provided in the
여기서, 상기 여과수단은 드로어(200)의 물 수용공간(210)에 수용되는 물과, 전술한 필터(600)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ltering means may include water accommodated in the
상기 물은 유증기에 포함된 유분 등을 침전시킬 수 있는 일종의 수필터로 기능하는 것이고, 가스가 이러한 물에 접촉하면서 유분 등이 물 수용공간(210)의 바닥으로 침전될 수 있다.The water functions as a kind of water filter that can precipitate oil content contained in oil vapor, and when gas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ter, oil content, etc. can precipitate to the bottom of the
즉, 제2 흡출팬(500)을 통과한 가스 중에 포함된 유분, 이물질 등이 물 수용공간(210)에 수용된 물과 접촉하면서 침전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유분, 이물질이 제거된 가스는 필터(600)에 의해 추가적으로 이물질 필터링, 냄새 제거 등이 이루어진 후 에어배기공(1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품을 사용하는 실내 공간이 오염되는 것을 한층 방지할 수 있다.That is, oil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gas that passed through the
이러한 제1 흡출팬(400)과 제2 흡출팬(500)에 의한 멀티팬 구조, 상기 여과수단으로서 마련된 물 수용공간(210)에 수용되는 물과 필터(600)에 의하면, 구이과정에서 발생한 연기를 흡입하여 유분과 냄새 등을 필터링하는데, 연기가 구이본체(100)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순환하는 구조를 배제함에 따라 구이본체(100) 내부 벽면이나 구조물 등에 기름때가 묻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에 의해 제품을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데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ulti-fan structure using the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로어(200)에는 물 수용공간(210)을 경유한 공기가 필터(600) 및 에어배기공(180) 측으로 이동하도록 공기유로(240)가 마련된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이공간(110)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유증기를 포함하는 가스는, 제1 흡출팬(400)에 의해 송풍되는 상대적인 저온의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응축되어 기름받이공간(220)으로 일부 수집되면서 1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물 수용공간(210)에 수용된 물과의 접촉에 의해 2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되며, 필터(600)에 의해 3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된 후 구이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즉, 본 발명은 3단계에 걸쳐 유분, 이물질 및 냄새 제거 등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가스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조리시 연기, 유증기 발생없이 사용할 수 있고 주변 실내공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 containing smoke and oil vapor generated i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드로어(200)는 구이본체(10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 결합 가능하고, 그 일측에 물 수용공간(210)이 형성되고 또 다른 일측에는 음식물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낙하하도록 물 수용공간(210)과는 분리된 기름받이공간(220)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드로어(200)를 구이본체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물 수용공간(210)과 기름받이공간(220)을 모두 갖는 드로어가 구이본체로부터 분리된다. 구이판(120)과 구획판(160)의 중앙부에는 기름배출홀(184)이 마련되고 기름배출홀(184)을 통과한 기름이 드로어(200)의 기름받이공간(220)으로 낙하하여 수집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은 제2 흡출팬(500)을 통해 구이본체(100) 내부로 흡입된 가스가 구이본체 내부를 전체적으로 순환하지 않고 물 수용공간(210)과 필터(600)을 거쳐 에어배기공(180)을 통해 바로 구이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구이본체(100) 내부 구조물 표면에 유증기에 의해 기름때 등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 sucked into the
부연하자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흡출팬(500)을 통과한 가스가 에어배기공(180)으로 배출되기까지의 가스 유동경로는, 드로어(200)와 구이본체(100)의 내부 구조물에 의해 차폐되어 가스가 구이본체(100) 내부를 순환하지 않고 에어배기공(180)으로 직접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드로어(200)의 공기유로(240) 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구획판(160) 하측의 하부공간(150) 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바로 에어배기공(180)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구이본체(100)의 하부공간(150)에 위치하는 내부 구조물 표면에 유분, 이물질 등이 부착되어 위생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o elaborate, as shown in FIG. 5, the gas flow path until th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이본체(100)와 드로어(200)에는 각각, 가스가 물 수용공간(210)을 거친 후 기름받이공간(220)이 배치되는 구이본체(100)의 내부 중앙영역으로 이동하지 않고 모두 필터(600) 측으로 이동한 후 에어배기공(180)을 통해 바로 배출되도록 가스유동제한부(700)가 마련된다.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5,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유동제한부(700)는 구이본체(100)의 일측단부에 라운드지게 마련되는 제1 라운드부(710)와, 구이본체(100)에 대해 드로어(200)가 결합완료된 상태에서 제1 라운드부(710)와 밀착 접촉하도록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드로어(200)에 마련되는 제2 라운드부(720)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여기서, 제1 라운드부(710)와 제2 라운드부(720)는 각각 대략 원호형상의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서로간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가스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이본체의 내부 중앙영역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first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라운드부(720)의 외측면(721)은 물 수용공간(210)을 향하고, 제2 라운드부(720)의 내측면(722)은 구이본체(100)의 내부 중앙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제2 라운드부(720)의 외측면(721)은 물 수용공간(210)을 향해 오목하게 라운드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따라서, 제2 흡출팬(500) 구동에 의해 물 수용공간(210) 측으로 송풍된 가스가 물 수용공간(210)에 수용된 물과 접촉한 후 반력에 의해 일정이상 상측 방향으로 유동한 상태에서 공기유로(240)로 진입할때 오목하게 라운드진 면을 따라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Therefore, the gas blown toward the
즉, 물 수용공간(210)을 거친 가스가 공기유로(240)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드로어(200) 내부에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가스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여 결국 신속한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gas passing through the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물 수용공간(210)을 거친 가스가 구이본체의 내부 중앙영역, 즉 구이본체(100)의 하부공간(150)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한층 더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조를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dditional structure that can more stably prevent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제1 라운드부(710)와 제2 라운드부(720)의 일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차폐부재(730)가 마련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a shielding
차폐부재(730)는 제1 라운드부(710)와 제2 라운드부(720)가 서로 탄성적으로 밀착되게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그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예로 고무,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ielding
도 1 내지 도 4,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이본체(100)는 제2 흡출팬(500)을 외부에 노출 또는 비노출시키도록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출팬 커버(800)를 포함한다.1 to 4 and 7,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사용자는 흡출팬 커버(800)를 분리시켜 제2 흡출팬(500)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 후 제2 흡출팬의 블레이드 표면과 흡출팬 커버(800)의 내면에 붙은 유분, 이물질 등의 세척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The user removes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이본체(100)는, 제2 흡출팬(500)과 제2 흡출팬(500)의 송풍방향을 가이드하는 벌류트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흡출팬 설치프레임(190)을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5 and 7, the
또한, 흡출팬 커버(800)에는 흡출팬 설치프레임(190)에 지지되도록 복수의 지지리브(810)가 마련되며, 흡출팬 커버(800)와 흡출팬 설치프레임(190)에는 각각 서로간에 걸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걸림수단(820)이 마련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수단(820)은, 복수의 지지리브(810)에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걸림돌기(821)와, 복수의 걸림돌기(821)가 대응하여 걸림되도록 흡출팬 설치프레임(190)에 마련되는 복수의 걸림홈(823)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흡출팬 커버(800)를 손으로 잡고 들어올려 걸림홈으로부터 걸림돌기를 이탈시킴으로써 흡출팬 커버를 분리할 수 있고, 반대로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삽입됨에 따라 흡출팬 커버(800)는 안정적으로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S. 5, 7, and 8, the locking means 820 includes a plurality of locking
한편, 사용자가 흡출팬 커버(800)를 분리한 상태에서 흡출팬 구동이 계속 유지된다면 구이공간(110)의 유분이 주변의 사방으로 비산되거나 회전중인 흡출팬 노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extraction fan continues to operate while the user removes the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출팬 커버(800)에는 푸시돌기(840)가 마련되고, 구이본체(100) 내측에는 푸시돌기(840)에 의해 접촉, 가압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전류인가를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차단하는 리미트 스위치(860)가 마련된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as shown in FIG. 9, a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흡출팬(400)과 제2 흡출팬(500)의 구동은 메인컨트롤러(미도시)의 제어 신호 전달을 통해 이루어지고, 메인컨트롤러는 리미트 스위치(860)의 접점 또는 단락 신호를 전달받은 후 이를 기반으로 제1 흡출팬과 제2 흡출팬의 구동을 제어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구체적으로, 흡출팬 커버(800)가 결합되어 푸시돌기(840)가 리미트 스위치(860)의 텐션바를 가압하여 접점상태로 변환되면 메인컨트롤러는 제1 흡출팬과 제2 흡출팬을 구동시키거나 사용자의 버튼조작에 따른 흡출팬 구동 대기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이와 달리, 흡출팬들이 구동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흡출팬 커버(800)를 분리시키면 메인컨트롤러는 제1 흡출팬과 제2 흡출팬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며, 흡출팬들이 구동정지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흡출팬 커버(800)를 분리시키면 메인컨트롤러는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여 흡출팬을 구동시키고자 하더라도 제1 흡출팬과 제2 흡출팬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removes the
이상, 필터(600)가 가스의 유동경로상 물 수용공간(210)의 후방에 설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터의 설치 위치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bove, the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are based on the case where the
일 예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600)는 가스의 유동경로를 기준으로 제2 흡출팬(50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이와 같이 필터(600)가 제2 흡출팬(50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경우, 구이공간(110)에서 발생한 유증기의 유분 등이 필터에 의해 일차적으로 필터링된 후 제2 흡출팬으로 이동하므로, 제2 흡출팬(500)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팬의 내구성이 감소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 수용공간(210)에 수용된 물에 유분, 이물질 등이 침전되는 것을 한층 저감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다른 예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600)는 가스의 유동경로를 기준으로 제2 흡출팬(500)과 물 수용공간(210)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이러한 경우, 물 수용공간(210)에 수용된 물에 유분, 이물질 등이 침전되는 것을 한층 저감시켜 드로어(200)의 물 수용공간(210)의 오염 발생을 한층 저감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cipitation of oil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이와 같이, 필터(60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본 발명은 구이공간(110)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유증기를 포함하는 가스가 제1 흡출팬(400)에 의해 송풍되는 상대적인 저온의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응축되어 기름받이공간(220)으로 일부 수집되면서 1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물 수용공간(210)에 수용된 물과의 접촉에 의해 2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되며, 필터(600)에 의해 3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된 후 구이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3단계에 걸친 유분, 이물질 및 냄새 제거 등이 이루어지는바 조리시 연기, 유증기 발생없이 사용할 수 있고 주변 실내공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even i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numer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구이본체 120: 구이판
130: 제1 통풍공 140: 제2 통풍공
170: 외기유입공 180: 에어배기공
182: 필터고정 브래킷 190: 흡출팬 설치프레임
200: 드로어 210: 물 수용공간
220: 기름받이공간 240: 공기유로
300: 히팅부재 400: 제1 흡출팬
500: 제2 흡출팬 600: 필터
700: 가스유동제한부 710: 제1 라운드부
720: 제2 라운드부 721: 외측면
722: 내측면 730: 차폐부재
800: 흡출팬 커버 810: 지지리브
820: 걸림수단 840: 푸시돌기
860: 리미트 스위치100: Roasting body 120: Roasting plate
130: first ventilation hole 140: second ventilation hole
170: External air inlet hole 180: Air exhaust hole
182: Filter fixing bracket 190: Exhaust fan installation frame
200: Drawer 210: Water receiving space
220: Oil receiving space 240: Air passage
300: Heating member 400: First exhaust fan
500: second exhaust fan 600: filter
700: Gas flow restriction unit 710: First round unit
720: second round part 721: outer surface
722: inner side 730: shielding member
800: Exhaust fan cover 810: Support rib
820: Locking means 840: Push projection
860: limit switch
Claims (8)
상기 구이본체에 결합되고, 물 수용공간과 기름받이공간이 별도로 구획되게 마련되는 드로어;
상기 구이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기유입공을 통해 외기를 흡입한 후 상기 제1 통풍공을 통해 상기 제2 통풍공을 향하는 상기 구이공간 측으로 송풍하는 제1 흡출팬;
상기 제1 흡출팬에 의해 상기 구이공간 측으로 송풍된 공기를 상기 제2 통풍공을 통해 상기 구이본체 내부로 흡입한 후 상기 물 수용공간 측으로 블로잉하는 제2 흡출팬; 및
상기 물 수용공간과 상기 에어배기공 사이의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구이본체에 교체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이공간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유증기를 포함하는 가스는, 상기 제1 흡출팬에 의해 송풍되는 상대적인 저온의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응축되어 상기 기름받이공간으로 일부 수집되면서 1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상기 물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과의 접촉에 의해 2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되며, 상기 필터에 의해 3차적으로 이물질이 필터링된 후 상기 구이본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구이본체와 상기 드로어에는 각각, 상기 가스가 상기 물 수용공간을 거친 후 상기 기름받이공간이 배치되는 상기 구이본체의 내부 중앙영역으로 이동하지 않고 모두 상기 필터 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에어배기공을 통해 바로 배출되도록 가스유동제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구이기.A roasting body in which a roasting space with an open top is formed, an external air inlet hole is provided on one side, an air exhaust hol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a first ventilation hole and a second ventilation hole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roasting space in between;
A drawer coupled to the roasting body and provided to separate a water receiving space and an oil receiving space;
a first exhaust fan installed inside the grilling body, which draws in outside air through the outside air inlet hole and then blows it toward the roasting space toward the second vent hole through the first ventilation hole;
a second exhaust fan that sucks air blown toward the roasting space by the first exhaust fan into the roasting body through the second ventilation hole and then blows it toward the water receiving space; and
A filter provided in the flow path between the water receiving space and the air exhaust hole and provided to be replaceable on the roasting body,
Gas containing smoke and oil vapor generated in the grilling space is condensed upon contact with relatively low-temperature air blown by the first exhaust fan and is partially collected into the oil receiving space, whereby foreign substances are primarily filtered out. ,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secondarily by contact with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space, and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thirdly by the filter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oasting body,
In the roasting body and the drawer, respectively, after the gas passes through the water receiving space, it does not move to the inner central area of the roasting body where the oil receiving space is disposed, but moves to the filter side and then passes through the air exhaust hole. A food roaster characterized by a gas flow restrictor provided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immediately.
상기 가스유동제한부는,
상기 구이본체의 일측단부에 라운드지게 마련되는 제1 라운드부; 및
상기 구이본체에 대해 상기 드로어가 결합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라운드부와 밀착 접촉하도록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상기 드로어에 마련되는 제2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구이기.According to paragraph 1,
The gas flow restrictor,
a first round portion provided to be rounded at one end of the roasting body; and
A food roaster comprising a second round part provided in the drawer to be rounded so a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round part when the drawer is fully coupled to the roasting body.
상기 제2 라운드부의 외측면은 상기 물 수용공간을 향하고, 상기 제2 라운드부의 내측면은 상기 구이본체의 내부 중앙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라운드부의 외측면은, 상기 물 수용공간을 향해 오목하게 라운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구이기.According to paragraph 3,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ound part faces the water receiving sp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ound part is arranged to face the inner central area of the roasting body,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ound portion is rounded concavely toward the water receiving space.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라운드부와 제2 라운드부의 일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차폐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구이기.According to paragraph 3,
A food roaster, characterized in that a shielding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round part and the second round part facing each other.
상기 구이본체는, 상기 제2 흡출팬을 외부에 노출 또는 비노출시키도록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출팬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구이기.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oasting body includes a suction fan cov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expose or not expose the second exhaust fan to the outside.
상기 구이본체는, 상기 제2 흡출팬과 상기 제2 흡출팬의 송풍방향을 가이드하는 벌류트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흡출팬 설치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흡출팬 커버에는 상기 흡출팬 설치프레임에 지지되도록 복수의 지지리브가 마련되되, 상기 흡출팬 커버와 상기 흡출팬 설치프레임에는 각각 서로간에 걸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걸림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구이기.According to clause 6,
The grilling body includes a draft fan installation frame that provides a space where the second draft fan and a volute that guides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second draft fan are installed,
A food roa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fan cov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ribs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suction fan installation frame, and the suction fan cover and the suction fan installation frame are each provided with a locking means to enable engagement with each other. .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에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걸림돌기; 및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가 대응하여 걸림되도록 상기 흡출팬 설치프레임에 마련되는 복수의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구이기.
In clause 7,
The hanging means is,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each protruding from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and
A food roaster comprising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provided in the suction fan installation frame so that the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are caught in response.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06018A KR102641936B1 (en) | 2023-08-14 | 2023-08-14 | heating apparatus for food |
| PCT/KR2024/011959 WO2025037880A1 (en) | 2023-08-14 | 2024-08-12 | Food roas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06018A KR102641936B1 (en) | 2023-08-14 | 2023-08-14 | heating apparatus for food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641936B1 true KR102641936B1 (en) | 2024-02-29 |
Family
ID=9004120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106018A Active KR102641936B1 (en) | 2023-08-14 | 2023-08-14 | heating apparatus for food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41936B1 (en) |
| WO (1) | WO2025037880A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5037880A1 (en) * | 2023-08-14 | 2025-02-20 | 주식회사 디어홈 | Food roaster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303874B2 (en) * | 2000-03-29 | 2002-07-22 |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 Hot plate |
| KR20100102810A (en) * | 2009-03-12 | 2010-09-27 | 강규석 | Air circulation type electric frying pan |
| KR102152534B1 (en) * | 2019-06-21 | 2020-09-04 | (주)쿡젠 | Air circulation type electric roaster |
| KR102179137B1 (en) | 2020-01-08 | 2020-11-16 |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 Electric grill with excellent oder and fine dust removal efficiency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001758A (en) * | 2011-06-28 | 2013-01-07 | 김기철 | Electricity roaster |
| KR102641936B1 (en) * | 2023-08-14 | 2024-02-29 | 주식회사 디어홈 | heating apparatus for food |
-
2023
- 2023-08-14 KR KR1020230106018A patent/KR102641936B1/en active Active
-
2024
- 2024-08-12 WO PCT/KR2024/011959 patent/WO2025037880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303874B2 (en) * | 2000-03-29 | 2002-07-22 |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 Hot plate |
| KR20100102810A (en) * | 2009-03-12 | 2010-09-27 | 강규석 | Air circulation type electric frying pan |
| KR102152534B1 (en) * | 2019-06-21 | 2020-09-04 | (주)쿡젠 | Air circulation type electric roaster |
| KR102179137B1 (en) | 2020-01-08 | 2020-11-16 |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 Electric grill with excellent oder and fine dust removal efficiency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5037880A1 (en) * | 2023-08-14 | 2025-02-20 | 주식회사 디어홈 | Food roast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25037880A1 (en) | 2025-02-2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803836B1 (en) | Electric roaster equipped recircul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 |
| US9835339B2 (en) | Induction ventilation system for air supply and exhaust | |
| US20060150965A1 (en) | Exhausting and cooling system for cooking utensil | |
| CN1332153C (en) | Multifunctional oven over range | |
| KR100823674B1 (en) | Hood and deodorizer for meat grill | |
| KR102463634B1 (en) | Air circulation device to remove the smell of cooking and roasting of the electric fryer in the dining room | |
| KR102641936B1 (en) | heating apparatus for food | |
| KR102153416B1 (en) | Electric roaster equipped recirculation and purification guide plate of oil mist and smoke | |
| JP3854938B2 (en) | Cooker with air purifier | |
| JP2005241233A (en) | Hood integrated type microwave oven | |
| JP4466161B2 (en) | Circulating air treatment equipment for kitchen | |
| JP2007032915A (en) | Cooking table | |
| JP3683098B2 (en) | Cooker | |
| JP2869455B2 (en) | Smokeless cooker | |
| JP2003102625A (en) | Cooker | |
| KR102333957B1 (en) | Smokeless roaster | |
| KR102602481B1 (en) | Roaster of multi fan structure | |
| JP2004076954A (en) | Cooking device | |
| CN215765267U (en) | Oil fume treatment equipment | |
| KR102208632B1 (en) | Air circulation type roaster with air cleaning function | |
| KR101708435B1 (en) | Oven-tray oven to combine | |
| KR200166298Y1 (en) | Roaster of compact | |
| JP6037819B2 (en) | Cooker | |
| KR102480162B1 (en) | Fish oven apparatus for preventing smoke and odor | |
| KR20250148764A (en) | electric roast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4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