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57988B1 -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 Google Patents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988B1
KR102657988B1 KR1020217013867A KR20217013867A KR102657988B1 KR 102657988 B1 KR102657988 B1 KR 102657988B1 KR 1020217013867 A KR1020217013867 A KR 1020217013867A KR 20217013867 A KR20217013867 A KR 20217013867A KR 102657988 B1 KR102657988 B1 KR 102657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erture
supply system
component
rigid bodies
gas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3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0419A (ko
Inventor
마크 포터
리차드 헤인스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80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9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1/00Use of unspecified rubbers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1/003Thermoplastic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6Sealing devices, e.g. packaging for pistons or pipe joints
    • B29L2031/265Packings, G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는, 증기 발생기를 하우징하기 위한 챔버로부터 유체를 홀딩하기 위한 저장조를 분리하는 경계 벽 - 경계 벽은 서로 밀봉된 2개 이상의 강성 바디들을 포함함 - ; 및 저장조로부터 증기 발생기로의 유체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경계 벽 내의 튜브형 애퍼처를 포함하며, 여기서 애퍼처는 인접한 강성 바디들 사이에 정의되며, 강성 바디들은 애퍼처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애퍼처의 둘레를 에워싼다.

Description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본 개시내용은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에 관한 것이다.
증기 공급 시스템들, 이를테면 전자 시가렛들은, 액체 또는 겔 형태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재 재료들로부터 흡입 가능한 증기 또는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그러한 재료들은 통상적으로 저장조 또는 탱크에 저장되고, 증기 챔버에 하우징된 전기 가열 엘리먼트와 같은 증기 발생기로 전달된다. 벽 또는 파티션은 저장조의 내부를 증기 챔버로부터 분리시키고, 하나 이상의 개구들 또는 애퍼처들이 벽에 제공되며, 그 하나 이상의 개구들 또는 애퍼처들로 인해, 유체가 저장조로부터 증기 발생기로, 대개는 애퍼처를 통해 연장되는 다공성 윅킹(wicking) 엘리먼트에서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이 애퍼처들을 통한 유체 유동은 적절한 레이트로 유체를 전달하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애퍼처를 통한 과도한 유동은 증기 챔버 내의 자유 액체의 존재를 초래할 수 있으며, 자유 유체는 증기 챔버로부터 시스템의 다른 부분들로 이동하여 누설들, 손상 및 불량한 품질의 에어로졸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조 애퍼처들에서 유체 누출들을 방지하는 것에 대한 접근법들이 관심의 대상이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8343호 (2012.09.05.)
본원에서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들의 제1 양상에 따르면,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가 제공되며, 이 컴포넌트는: 증기 발생기를 하우징하기 위한 챔버로부터 유체를 홀딩하기 위한 저장조를 분리하는 경계 벽 ― 경계 벽은 서로 밀봉된 2개 이상의 인접한 강성 바디들을 포함함 ― ; 및 저장조로부터 증기 발생기로의 유체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경계 벽 내의 튜브형 애퍼처를 포함하며; 여기서 애퍼처는 인접한 강성 바디들 사이에 정의되며, 강성 바디들은 애퍼처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애퍼처의 둘레를 에워싼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들의 제2 양상에 따르면, 제1 양상에 따른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들의 제3 양상에 따르면,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가 제공되며, 이 컴포넌트는: 증기 발생기를 하우징하기 위한 챔버로부터 유체를 홀딩하기 위한 저장조를 분리하는 경계 벽, 및 저장조로부터 증기 발생기로의 유체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경계 벽 내의 만곡된 튜브형 애퍼처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들의 제4 양상에 따르면, 제3 양상에 따른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이들 및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독립항들 및 종속항들에 제시된다. 종속항들의 특징들은, 청구항들에서 명시적으로 제시된 특징들 이외의 조합들로 서로 그리고 독립항들의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게다가, 본원에서 설명되는 접근법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원에서 제시되는 특징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들을 포함하고 고려한다. 예컨대, 컴포넌트는, 적절하게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특징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본원에 설명된 접근법들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제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증기 공급 시스템의 간략화된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증기 공급 시스템의 예시적인 증기 챔버의 간략화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선형 애퍼처들 및 윅(wick)을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예시적인 증기 챔버의 간략화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도 3의 증기 챔버에 포함된 경계 벽의 예시적인 구성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만곡된 애퍼처들 및 윅을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추가의 예시적인 증기 챔버의 간략화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도 5의 증기 챔버에 포함된 애퍼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개스킷을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증기 챔버의 간략화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증기 챔버에 포함된 경계 벽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6의 예로서 구성될 수 있는 예시적인 증기 챔버의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증기 챔버를 위한 경계 벽 상부 강성 바디 및 개스킷의 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증기 챔버를 위한 경계 벽 상부 강성 바디 및 개스킷의 추가의 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a는 도 10의 예의 일부의 간략화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증기 챔버를 위한 경계 벽 상부 강성 바디 및 개스킷의 더 추가의 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양상들 및 특징들은 본원에서 논의/설명된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일부 양상들 및 특징들은 종래 기술에 따라 구현될 수 있고, 이들은 간략화를 위해 상세히 논의/기술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원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본원에서 논의된 장치 및 방법들의 양상들 및 특징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임의의 종래의 기법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증기 공급 디바이스/시스템", "전자 증기 공급 디바이스/시스템", "에어로졸 공급 디바이스/시스템", "전자 에어로졸 공급 디바이스/시스템"이라는 용어들 및 유사한 용어들은, 비가연성 에어로졸 및 증기 공급 시스템들(비가연성 흡연 물품들), 이를테면, 가열 또는 다른 기법들, 이를테면 진동에 의해 에어로졸 가능한 기재 재료들로부터 증기 또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전자 시가렛들 또는 e-시가렛들을 포함하는 전자 흡연 물품들, 담배 가열 제품들처럼 연소 없이 기재 재료로부터 화합물을 방출하는 가열 디바이스, 및 기재 재료들의 조합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들, 예컨대 액체 또는 겔 또는 고체 기재들을 함유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에어로졸"이라는 용어는 "증기"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또는 증기 제공 시스템은, 베이핑(vaping) 디바이스로 또한 알려진 전자 시가렛과 같은 비가연성 흡연 물품이다. 비가연성 에어로졸 공급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이를테면, 가열기 및 에어로졸 가능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템은, 가열기, 가열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 공급부, 에어로졸 가능 기재, 이를테면 액체 또는 겔, 하우징, 및 선택적으로 마우스피스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가능 기재는 기재 용기에 포함될 수 있다. 기재 용기는 가열기와 결합되거나 가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또는 증기 공급 시스템은 기재 재료를 가열하지만 연소시키지 않고 하나 이상의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가열 제품이다. 기재 재료는, 예를 들어, 니코틴을 함유할 수 있거나 함유하지 않을 수 있는 담배 또는 다른 비담배 제품들일 수 있는 에어로졸 가능 기재 재료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품은 담배 가열 제품이다. 담배 가열 제품은, 가열기, 가열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 공급부, 및 에어로졸 가능 기재, 이를테면 고체 또는 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제품은, 고체 또는 겔 재료와 같은 에어로졸 가능한 기재, 및 임의의 전자 수단 없이 이를테면 연소 재료, 이를테면 챠콜(charcoal)을 연소함으로써 열 에너지를 에어로졸 가능 기재에 공급할 수 있는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제품은 또한, 에어로졸 가능 기재를 가열함으로써 생성되는 에어로졸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또는 증기 공급 시스템은, 기재 재료들의 조합을 가열하지만 연소시키지 않고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다. 기재 재료들은, 예를 들어 니코틴을 함유할 수 있거나 함유하지 않을 수 있는 고체, 액체 또는 겔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액체 또는 겔 기재 및 고체 기재를 포함한다. 고체 기재는, 예를 들어, 니코틴을 함유할 수 있거나 함유하지 않을 수 있는 담배 또는 비담배 제품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액체 또는 겔 기재 및 담배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또는 증기는,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제품의 성질에 따라, 다양한 방식들로 다양한 기재들로부터 생성되거나 방출될 수 있다. 이들은 기화를 야기하기 위한 가열, 화합물들을 방출하기 위한 가열, 및 액적들을 생성하기 위한 액체 또는 겔의 진동을 포함한다. 하나의 시스템 내의 하나 이상의 상이한 재료 들일 수 있는 기재 재료는,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 에어로졸 형성 기재 재료, 에어로졸 가능 기재, 에어로졸 가능 기재 재료, 또는 유사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기재 재료들은 고체, 액체 또는 겔일 수 있고, 그리고 담배를 포함 또는 함유하거나 포함 또는 함유하지 않을 수 있고, 그리고 에어로졸 또는 증기 함유 니코틴을 생성하거나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에어로졸 가능 기재 재료는 증기 또는 에어로졸 생성제 또는 습윤제, 이를테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아세틴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은, 사용 시 함께 연결되는 2개의 분리 가능 컴포넌트들, 즉, 재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 컴포넌트, 및 일회용 또는 단일 사용일 수 있고 에어로졸 가능 기재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성 컴포넌트(예컨대,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에어로졸/증기 공급 또는 생성 시스템, 이를테면 e-시가렛(10)의 고도로 개략적이고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실척은 아님)을 도시한다. e-시가렛(10)은 일반적으로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2개의 주 컴포넌트들, 즉, 제어 또는 전력 컴포넌트, 섹션 또는 유닛(12), 및 에어로졸 생성 컴포넌트로서 동작하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또는 섹션(14)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컴포넌트들은 엔드-투-엔드(end-to-end)로 배열되지만, 나란한(side-by-side) 배열과 같은 다른 어레인지먼트들이 가능하다. 또한, 시스템의 전체 형상이 세장형일 필요는 없다.
제어 또는 전력 컴포넌트(12)는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고, 전형적으로, 며칠, 몇 주, 몇 달 또는 몇 년의 기간에 걸쳐 복수의 에어로졸 공급 경험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재사용(이것이 필수적이지는 않음)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의 일부 설계들에서 "카토마이저(cartomiser)"로 지칭될 수 있는 카트리지 어셈블리(14)는, 액체 또는 겔 형태의 에어로졸 가능 기재 재료를 포함하고, 전형적으로, 기재 재료가 다 사용되었거나 소모되었을 때 교체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이 컴포넌트(14)는 "소모성 컴포넌트"로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예들에서, 소모성 컴포넌트는 제1 양의 기재 재료가 소비되었을 때 기재 재료로 재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모성 컴포넌트(14)는, 그 내부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부품들, 이를테면 가열 엘리먼트 또는 윅킹 컴포넌트가 작동 수명이 다 되었을 때, 교체 가능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많은 예들에서, 단일 디바이스는 순차적으로 교체되는 복수의 소모성 컴포넌트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디바이스의 작동 수명은 소모성 컴포넌트의 작동 수명보다 더 길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이지는 않으며, 디바이스는 또한, 비교적 짧은 작동 수명을 갖는 교체 가능한 부품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소모성 컴포넌트(14)는 저장조 또는 다른 저장 볼륨에 저장되는 액체 또는 겔 형태의 에어로졸 가능 기재 재료(3)의 공급을 포함한다. 기재 재료는 에어로졸이 생성될 재료이며, 이는 에어로졸 함유 니코틴 일 수 있거나 아닐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향미제들이 기재에 포함될 수 있다. 소모성 컴포넌트(14)는 또한, 기재 재료(3)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아토마이저(기화기)(4)를 포함한다. 아토마이저(4)의 성질은 기재 재료(3)의 포맷에 적절할 것이다. 예들은, 액체 또는 겔이 기화되도록 윅킹, 모세관(capillary) 또는 다른 액체 이송 어레인지먼트에 의해 기재 재료가 전달되는 전기 가열 엘리먼트(저항성 가열 또는 유도 가열에 의해 동작 가능함), 및 액체 또는 겔이 액적 생성을 위해 전달되는 진동 천공 시트를 포함한다. 아토마이저로 전달되는 에어로졸 가능 기재 재료로부터 증기를 생성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기화기 또는 아토마이저 구성들 또는 조립체들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거나 용이하게 자명할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 아토마이저(4)는 증기 발생기 또는 증기 발생 엘리먼트(이를테면, 위에서 언급된 전기 가열 엘리먼트 또는 진동 천공 시트)를 하우징하는 챔버(증기 챔버)의 형태를 갖고, 챔버를 에어로졸 가능 기재 재료를 홀딩하는 저장조로부터 분리하는 주변 벽에 의해 정의된다.
소모성 컴포넌트(14)는 또한 개구 또는 공기 배출구를 갖는 마우스피스(9)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아토마이저(4)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디바이스(12)는 에어로졸 가능 기재 재료(3)로부터 아토마이저(4)에 의한 에어로졸의 생성을 위한 전력 및 제어를 제공한다. 따라서, 디바이스(12)는 e-시가렛(10)의 전기 컴포넌트들, 이를테면 아토마이저(4)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셀 또는 배터리(5)(이하에서 배터리로 지칭되며 재충전 가능할 수 있음)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e-시가렛을 일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6), 이를테면, 인쇄 회로 기판 및/또는 다른 전자 기기 또는 회로가 존재한다. 제어기(6)는 프로세서(7)(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자 기기들)를 포함할 수 있다(또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기(6)는, 증기가 요구될 때 예컨대, 공기가 디바이스(20)의 하우징의 벽(또는 다른 예들에서 소모성 컴포넌트(14)의 벽)의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들(8)을 통해 진입하는 시스템(10) 상의 흡입을 검출하는 공기 압력 센서 또는 공기 유동 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아토마이저(4)를 배터리(5)에 연결한다. 아토마이저(4)가 배터리(5)로부터 전력을 받을 때, 아토마이저(4)는 에어로졸 가능 기재 재료(3)로부터 증기를 생성하도록 동작하고, 이는 마우스피스(9)의 개구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흡입될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에어로졸은, 사용자가 마우스피스(9)를 흡입할 때 아토마이저(4)로의 공기 유입구(8)를 공기 배출구에 연결하는 공기 채널(미도시)을 따라 아토마이저(4)로부터 마우스피스(9)로 운반된다.
도 1의 예에서, 디바이스(12) 및 소모성 컴포넌트(14)는, 도 1의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 예에서)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분리함으로써 서로 분리 가능한 별개의 연결 가능한 섹션들이다. 컴포넌트들(12, 14)은, 디바이스(12)와 소모성 컴포넌트(14) 사이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협력 맞물림 엘리먼트들(16, 18)(예컨대, 스크루 또는 베요넷 피팅)에 의해 시스템(10)이 사용 중일 때 함께 결합 또는 커플링된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어레인지먼트이며, 다양한 엘리먼트들이 디바이스(12)와 소모성 컴포넌트(14) 사이에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고, 다른 부분들 및 엘리먼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2개의 섹션들은 도 1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 구성으로 엔드-투-엔드로, 또는 평행한 나란한 어레인지먼트와 같은 상이한 구성으로 사용을 위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섹션들 또는 컴포넌트들(12, 14)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소진될 때(예컨대, 저장조가 비어 있거나 또는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폐기 및 교체되도록 의도될 수 있거나, 또는 저장조를 재충전하고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것과 같은 동작들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다수 회의 사용들을 위해 의도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시스템(10)은 단일 유니터리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기능 및 소모성 컴포넌트 기능을 제공하는 단일 하우징 내에 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 시스템은 일회용, 단일 사용 시스템일 수 있거나, 또는 배터리 재충전 또는 교체 및 저장조 재충전에 의해 다수회의 사용들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 및 예들은, 당업자가 인지할 이러한 구성들 및 다른 구성들 중 임의의 구성에 적용 가능하다.
도 2는 증기 챔버의 구성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아토마이저(4)는 줄 효과(Joule effect)에 의해 열을 생성하기 위한 전력의 공급을 위해 전기 공급부(미도시)에 연결 가능한 가열 코일의 형태의 가열 엘리먼트(24), 및 코일이 감겨진 심지 엘리먼트(26)를 포함한다. 윅(26)은 액체를 흡수하고 모세관 현상들에 의해 액체를 전파할 수 있는 다공성 엘리먼트이다. 아토마이저(4)는 증기 챔버(22)의 측면들을 정의하는 경계 벽(28)을 갖는 증기 챔버(22)에 하우징된다. 저장조(3)는 챔버(22)를 둘러싸고, 소스 액체 또는 겔(20)(에어로졸 가능 기재 재료)을 홀딩하기 위한 외측 벽(32)과 경계 벽(28) 사이에 정의된 환형 저장 볼륨을 제공한다. 경계 벽은 챔버(22)의 대향 측면들에 형성된 2개의 대향 애퍼처들(30)을 가지며, 이를 통해 윅(26)의 2개의 단부들은 저장조(3)의 저장 볼륨 내로 도달하도록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윅(26)이 액체(20)와 접촉하게 된다.
챔버(22)는 (도시된 배향으로) 그 상부 및 하부 단부들에서 개방되고, 증기 공급 시스템을 통한 공기 유동 경로 내에 포함된다. 공기 유동 경로는 시스템의 하우징 내의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들(이를테면, 도 1의 유입구(8))로부터 챔버(22)를 통해 마우스피스(예컨대, 도 1의 마우스피스(9))의 배출구까지 연장된다. 사용 시, 윅은 저장조로부터 액체(20)를 흡수하고, 이를 가열 엘리먼트(24)의 부근으로 운반한다. 가열 엘리먼트에 전력이 공급될 때, 가열 엘리먼트는 열을 생성하며, 이 열은 윅(26)에 홀딩된 휘발성 액체를 기화시켜 증기 챔버에서 증기를 생성한다. 공기 유동 경로들을 따르는 공기 유동(A)은 챔버(22)를 통해, 가열기(24) 및 윅(26) 위로 통과하고, 증기를 수집하며, 그 증기 중 일부는 전형적으로 응축되어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증기 및/또는 에어로졸은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공기 유동에 의해 마우스피스로 운반된다.
도 2의 어레인지먼트는 단지 예시적이며;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상이한 형상들, 구성들 및 상대적인 물리적 포지션들을 가질 수 있다.
윅(26)이 저장조 내로 연장하게 하는 경계 벽(28) 내의 애퍼처들(30)의 형태가 관심 대상이다. 애퍼처들(30)은 경계 벽(28)에 드릴링, 펀칭, 또는 다른 방식으로 생성된 간단한 홀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어레인지먼트들에서, 경계 벽(28)은 애퍼처를 제공하기 위해 부품들 사이에 공간을 두고 서로 접촉하는 2개 이상의 형상화된 파트들 또는 컴포넌트들로 형성된다. 증기 챔버 및 또한 그에 따른 공기 유동 채널에서의 자유 액체의 존재를 방지하기 위해, 애퍼처들을 통한 저장조로부터의 액체의 누설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자유 액체는, 마우스피스를 통해 시스템을 빠져나가거나, 공기 유동 방향에 반대로 이동하여 시스템으로부터 누출되거나 또는 전기 컴포넌트들과 접촉하여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애퍼처/윅 인터페이스에서의 어느 정도의 밀봉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아토마이저로의 액체의 유동을 유지하기 위해 저장조 내부 및 외부의 압력을 밸런싱하기 위해 공기가 저장조에 진입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밀봉은 너무 빈틈이 없거나 완전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매우 빈틈이 없는 밀봉은 윅을 과도하게 압축하여 윅을 따르는 액체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밀봉이 너무 느슨하면, 자유 액체 누설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애퍼처를 통과하는 윅에 대한 애퍼처의 사이즈 및 형상은 중요하며, 과도한 액체가 챔버 내로 빠져나가지 않으면서, 저장조로부터 가열 엘리먼트로의 원하는 액체 유동 경로를 따르는 효율적인 액체 이송을 가능하게 하도록 주의하여 선택되어야 한다.
경계 벽이 접촉하는 인접 부품들로 형성되는 설계들에서, 고무 및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또는 탄성 재료들이 부품들 중 하나 이상을 위해 일반적이다. 이들 재료들의 압축성은, 저장조로부터 과도한 유체가 누설로 윅 주위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윅 주위를 밀봉하는 정도로 부품들이 함께 어셈블링될 때 요구되는 애퍼처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압축성은 또한, 애퍼처의 형성, 그리고 그에 따라, 윅 둘레의 애퍼처의 피팅이 디바이스들 사이의 변동 및 의도된 설계로부터의 편차의 관점에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경향이 있다. 어셈블링된 시스템에서, 애퍼처는 의도된 크기와 비교하여 잠재적으로 너무 크거나 또는 너무 작을 수 있다. 큰 애퍼처는 챔버 내로의 자유 액체 누설을 허용할 수 있고, 작은 애퍼처는 저장조로부터의 액체 유동을 제한할 수 있고, 추가의 외향 액체 유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소비된 액체를 대체하기 위해 필요한 저장조로의 공기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들 조건들 중 어느 하나는 증기 생성을 위해 가열 엘리먼트 근처의 윅에서 이용 가능한 액체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 건조한 윅은 가열 엘리먼트에 의해 생성되는 열에 노출될 때 연소되기 쉬운데, 이는 위험하며, 생성된 증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유체가 저장조로부터 증기 발생기로 이송되게 하는 애퍼처 또는 애퍼처들을 제공하기 위한 특정 피처들을 제안한다. 저장조와 증기 챔버 사이의 경계 벽은 강성 재료로 제조된 바디들(또한 "강성 바디들")로 형성되고, 이 바디들은 서로 접촉되거나, 인접하게 만들어지고, 접촉될 때 접촉된 바디들 사이에 애퍼처 또는 애퍼처들이 정의되도록 형상화되는 것이 제안된다.
도 3은 예시적인 증기 챔버 및 저장조 어레인지먼트의 간략화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많은 부품들이 도 2와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으며,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유사한 부품들에 사용되며; 이들 부품들의 설명은 상세히 반복되지는 않을 것이다. 이전과 같이, 증기 챔버(22)를 저장조(3)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경계 벽(28)이 제공되며, 증기 챔버(22)는 환형 저장조(3) 내의 중앙에 배치된다. 2개의 애퍼처들(30)은, 대향 배치로 챔버(22)의 각 면에 하나씩 경계 벽(28)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각각의 애퍼처(30)는 저장조(3)의 내부로부터 가열 엘리먼트(24)(이 예에서는, 증기 발생기가 가열 코일로서 구현됨)로의 액체의 유체 유동 또는 유체 이송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며, 이 예에서, 유체 유동은 애퍼처들(30)에 수용된 윅 또는 윅킹 엘리먼트(26)에 의해 제어되고 관리된다. 윅(26)의 중앙 부분은 챔버에 놓이고 가열 엘리먼트(24)의 코일들에 의해 둘러싸이며, 윅의 2개의 대향 단부 부분들은 애퍼처들(30) 내로 그리고 애퍼처들(30)을 통해서 저장조(3) 내로 연장된다. 윅(26)은, 저장조(3)로부터 액체를 흡수하고, 윅킹 또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윅(26) 내의 기공들을 통해 가열 엘리먼트(24)의 부근으로 그 액체를 이송하도록 구성된 다공성 엘리먼트 또는 부재이다. 가열 엘리먼트(24)에 있거나 또는 가열 엘리먼트(24) 근처에 있는 액체가 증기로서 배출됨에 따라, 액체의 지속적인 공급이 증기 생산을 위해 이용 가능하도록, 윅킹 효과는 윅 재료의 다공성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부분을 향해 새로운 액체를 끌어 당긴다. 윅은, 예컨대, 저장조 내의 에어로졸 가능 기재 재료(액체 또는 겔)의 특정 품질들, 예컨대 점도에 관한 윅킹 성능을 참조하여 선택되는, 임의의 적절한 다공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윅은, 단일 스트랜드, 합사, 또는 스트랜드 또는 방적사들의 번들(sbund), 꼬임(twist), 또는 다른 그룹으로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 섬유 또는 다른 천연 섬유들 또는 인공 섬유들과 같은 다른 섬유들이 면과 함께 또는 면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다공성 재료들, 이를테면, 스펀지 재료들 및 다공성 세라믹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경계 벽(28)은 접촉 구성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2개의 강성 바디들로 형성된다. 제1 강성 바디(28a)는 애퍼처들(30) 위의 경계 벽(28)을 정의하고, 제2 강성 바디(28b)는 애퍼처들(30) 아래의 경계 벽(28)을 정의한다. 따라서, 강성 바디들(28a, 28b) 각각은, 각각의 단부에서 개방된 중앙 공극 또는 공동 주위에 벽, 파티션 또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대체로 튜브형 또는 환형 형상을 가지며, 그에 따라, 강성 바디들(28a, 28b)이 대향 단부 표면들을 접촉하게 함으로써 엔드-투-엔드 접촉하는 경우, 중앙 공극들은 결합하여,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증기 챔버(22)인 연속적인 중앙 공극 또는 공간, 그리고 가능하게는 또한 증기 챔버(22)의 상류 및 하류의 공기 유동 채널의 부분들을 형성한다. 접촉하는 강성 바디들(28a, 28b)의 에지들은, 경계 벽(28) 및 그에 따른 챔버(22)를 형성하기 위해 에지들이 함께 어셈블링될 때, 개구(30)를 제공하는 에지들 사이에 개방 공간이 남겨 지도록 형상화된다. 이러한 예에서, 강성 바디들(28a, 28b)은, 애퍼처들(30)의 길이(유체 유동 방향을 따른 치수)가 애퍼처들(30)의 폭(유체 유동 방향에 직교하는 치수)보다 더 크다는 점에서 세장형인 애퍼처들(30)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두께를 가지며, 두께는, 경계 벽(38)의 평면에 일반적으로 직교하고 애퍼처들(30)에 의해 제공되는 유체 이송 경로의 방향을 따르는 치수이다. 예를 들어, 길이는 폭의 2배 또는 폭의 2배 초과일 수 있다. 애퍼처들은 튜브형이거나, 중공 폐쇄 채널들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세장형 특징은, 윅(26)이 더 큰 거리에 걸쳐 애퍼처들(30)에 의해 에워싸이기 때문에, 애퍼처들(30)을 통한 액체의 누설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4a는 도 3의 라인 IV-IV를 따른 경계 벽(28)의 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애퍼처(30)를 위한 개구를 정의하기 위해 제1 또는 상부 강성 바디(28a) 및 제2 또는 하부 강성 바디(28b) 둘 모두는 이들의 인접한 에지들 상에 형상화되며, 애퍼처(30)에는 윅(26)이 수용된다. 각각의 강성 바디(28a, 28b)는, 접촉하는 에지의 면에 반원형 개방 채널 또는 리세스를 가지며, 이들은 함께 합쳐질 때 원형 폐쇄 채널 또는 튜브를 형성하여, 애퍼처(30)를 제공한다. 따라서, 2개의 강성 바디들(28a, 28b)은 애퍼처(30)의 둘레를 완전히 에워싸고, 이 예에서, 이러한 에워쌈은 도 3으로부터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애퍼처의 전체 길이 또는 세장형 범위에 걸쳐 존재한다.
강성 바디들(28a, 28b)은, 단순히 인접한 접촉으로 배치되기보다는, 이들의 접촉하는 에지들에서 함께 밀봉 또는 고정된다. 접촉하는 에지들의 면들이 합쳐지는 조인 또는 조인트(34)를 따르는 이러한 고정은, 애퍼처의 형상 및 사이즈를 유지하도록 작용하고, 그로 인해 애퍼처 치수들의 일관성을 향상시키고, 애퍼처들(30)을 통하는 것 이외의 액체의 통과를 억제하도록 강성 바디들을 함께 밀봉한다. 고정은 다수의 방식들 중 임의의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선택된 기법은 강성 바디들에 사용되는 재료 또는 재료들의 성질과 관련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초음파 용접은 일단 접촉하는 바디들이 어셈블링되면 바디들의 재료들을 함께 융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는 강성 바디들이 함께 어셈블링되기 전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접촉하는 면들에 적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고정은 접착에 의해 달성된다. 고정은, 2개의 인접한 강성 바디들 사이에 액체-밀폐 밀봉을 제공하도록 접촉되는 면들의 전체 범위를 따라 적용되며, 그에 따라, 액체는 애퍼처들을 통해서만 저장조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애퍼처들은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4a의 예에 도시된 원형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강성 바디들의 확실한 누설-방지 체결로 결합된 강성 바디들의 강성 재료는 일관되고 안정적인 애퍼처 사이즈 및 애퍼처 위치를 제공하여, 저장조로부터의 액체 유동이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증기 공급을 위한 시스템의 사용 동안 가열 엘리먼트로의 액체의 유동이 조절되며, 시스템이 비활성일 때 애퍼처 특성들은 누설을 억제한다. 애퍼처 사이즈, 형상 및 위치는, 또한 경계 벽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의 강성 성질로 인해, 어셈블리 프로세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그에 따라, 제품 대 제품 일관성이 향상된다.
도 4b는 도 3의 IV-IV 라인을 따른 평면도의 추가적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제1 강성 바디(28a)는 조인트(34)에서 접촉하는 에지 상에 형상을 갖지 않는 반면, 제2 강성 바디(28b)는 도 4a 예에서와 같이 반원형 개방 채널을 갖는다. 따라서, 강성 바디들(28a 및 28b)이 함께 어셈블링될 때, 제1 강성 바디의 평평한 표면은 제2 강성 바디 상의 개방 채널 위에 놓여 이를 폐쇄하여, 반원형 단면의 폐쇄 채널 또는 튜브를 형성하며, 이는 애퍼처(30)이다. 윅(26)은 애퍼처(30) 내에 수용되기 위해 유사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원형과 같은 일부 다른 형상으로부터 압축될 수 있다.
도 4c는 도 3의 IV-IV 라인을 따른 평면도의 더 추가적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3개의 강성 바디들(28a, 28b 및 28c)이 함께 합쳐져서 경계 벽(28)을 형성한다. 애퍼처(30)는 3개의 강성 바디들(28a, 28b, 28c) 사이의 접합부에 형성되며, 이들 바디들 각각은, 바디들이 함께 어셈블링되고 조인트들(34)을 따라 고정될 때, 원형 단면 애퍼처(30)를 정의하기 위해, 그 접촉하는 에지 면 상에 형상(shaping)을 갖는다. 다수의 강성 바디들의 다른 구성들, 이를테면 경계 벽의 대향 측면들을 위한 별개의 강성 바디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강성 바디들 사이의 일부 조인트들은 애퍼처 위치들로부터 분리될 것이고, 따라서 관련 에지 표면들은 애퍼처를 정의하기 위한 형상을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강성 바디들은 임의의 적절한 강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강성"이라는 것은, 재료가 사용 중에 임의의 식별 가능한 정도의 유연성, 탄성, 또는 변형성이 부족함을 의미하고; 강성 바디들이 함께 어셈블링될 때, 강성 바디들은 그 볼륨 및 형상을 유지하고 증기 공급 시스템의 규칙적인 사용 조건들 하에서 변형 가능하거나 압축 가능하지 않은 중실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애퍼처의 형상, 사이즈, 및 포지션이 유지된다. 적합한 재료들은 플라스틱들, 이를테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열가소성 수지들, 및 예컨대 유리 섬유로 보강된 강화 플라스틱들 및 열가소성 수지들을 포함한다. EMS-Grivory에 의해 제조되고, 증기 챔버의 환경에서 모두 중요한 특성들인 강성, 강도, 변형 안정성 및 내화학성과 관련하여 고온에서 우수한 성능을 갖는 반결정성 부분 방향족 코폴리아미드를 기반으로 한 40% 유리 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인 Grivory(RTM) HT1V-4 FWA가 그 예이다. 플라스틱들의 예들은, 심지어 화학적 노출 하에서도 유지되는 양호한 강도 및 기계적 특성들을 갖는 PEEK(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폴리프로필렌, 및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며; 일례로, Eastman 화학 회사에 의해 제조된 트리탄(RTM)이 있다. 다른 재료들은 금속들 및 유리 재료들을 포함한다. 금속들 및 유리들의 경우에 강성 바디들을 고정시키기 위해 레이저 용접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강성 재료들의 추가적인 예들은 비다공성 세라믹들이다. 경계 벽을 형성하는 모든 강성 바디들은 동일한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이한 강성 바디들이 상이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강성 바디들과 증기 공급 시스템의 다른 컴포넌트들 사이의 상이한 관계들을 고려할 때 유용할 수 있다.
하나는 애퍼처의 둘레의 일 측을 정의하고 다른 하나는 애퍼처의 둘레의 다른 측을 정의하는 2개의 바디들이 최소량의 어셈블링 작업을 요구하지만, 임의의 수의 강성 바디들이 경계 벽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애퍼처는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실제로, 애퍼처의 길이를 따라 변화하는 단면 형상 및/또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어셈블링의 용이성을 위해, 윅의 관련 부분이, 강성 바디들이 고정을 위해 함께 합쳐지기 전에 애퍼처를 정의할, 강성 바디들 중 하나 상의 형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강성 바디들이 함께 어셈블링될 때, 윅은 애퍼처에 이미 설치된다. 이는, 윅이 애퍼처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단면 크기를 갖는 경우에, 또는 윅이 애퍼처에 수용될 때 압축되도록, 윅이 더 큰 단면을 갖는 경우에 편리하다. 대안적으로, 윅의 단부는, 강성 바디들을 함께 고정시킴으로써 경계 벽이 형성된 후에 애퍼처 내에 삽입되거나 애퍼처를 통해 스레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논의된 예들에서, 애퍼처들은, 증기 챔버에 걸쳐 대향하게 배치된 쌍으로서 배열되고, 각각의 튜브형 애퍼처의 길이 방향 축이 선형이고 또한 경계 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라는 점에서 직선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윅은 그 길이 방향 축이 실질적으로 직선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선형 구성으로 유지된다. 이 라인은 기화 챔버를 통한 공기 유동의 방향에 직교한다. 윅은 그 자체가 이 선형 형상을 갖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윅 재료가 덜 강성인 경우, 윅은 한 쌍의 애퍼처들의 직선 포맷으로의 삽입에 의해 일직선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애퍼처들은 비선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애퍼처의 길이 방향 축은 직선을 따라 놓이지 않을 수 있으며; 애퍼처는 만곡되고 하나 이상의 굴곡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동일한 부분들이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다시 라벨링된, 증기 챔버의 추가적인 예의 간략화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저장조(3)와 증기 챔버(22) 사이의 경계 벽(28)은 상부 강성 바디(28a) 및 하부 강성 바디(28b)로 형성된다. 강성 바디들(28a, 28b)은, 바디들이 함께 어셈블링될 때, 만곡된 또는 굽은 형상을 갖는 애퍼처(30)가 형성되도록, 이들의 접촉 표면들 상에 형상화된다. 이전과 같이, 각각의 단부 부분이 저장조 내에 있고 가열 엘리먼트(24)를 갖는 중앙 부분이 공기 유동 방향에 수직하게 챔버에 배치되게 단일 윅(26)이 챔버(22)를 가로 질러 수용될 수 있도록 유사한 애퍼처(30)가 챔버(22)의 각각의 측면에 제공된다. 도시된 배향에서, 각각의 애퍼처(30)는 만곡된 튜브 형상을 갖는데, 애퍼처 단부의 개구(단면)는 경계 벽(28)의 평면에 놓인 챔버(22) 내로 이어지고, 그 반대 쪽 애퍼처 단부의 개구(단면)는 수직 평면에 놓인 저장조(3) 내로 이어진다. 애퍼처(30)는 그 중앙 부분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굴곡부를 가져서, 애퍼처(30)의 2개의 단부들은 언급된 바와 같이 수직이다. 이 예에서, 하부 강성 바디(28b)는, 환형 저장조(3)에 대한 외측 벽을 정의하기 위해 수직으로 상방으로 회전하기 전에, 저장조(3)의 베이스 벽(3a)을 정의하기 위해, 윅의 레벨 아래로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는 간단한 구조를 제공하지만, 이들 다양한 부분들은 대안적으로, 대신에 다양한 별개의 컴포넌트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는 도 5의 만곡된 애퍼처(30)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애퍼처(30)는 상부 또는 제1 강성 바디(28a)와 하부 또는 제2 강성 바디(28b)의 접촉하는 대향 에지 표면들 사이에 정의된다. 세장형인 애퍼처(30)는 길이 방향 축(L)을 갖는 튜브형 구성을 갖는다. 애퍼처(30)의 길이 또는 길이 방향 범위의 제1 부분은 챔버(22)와 연결되고, 애퍼처(30)의 길이 또는 길이 방향 범위의 제2 부분은 저장조(3)와 연결된다. 제1 부분은 길이 방향 축(L1)을 갖고, 제2 부분은 길이 방향 축(L2)을 가지며, 이 예에서, 2개의 길이 방향 축들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90°의 각도(θ)로 놓이는데, 이는 애퍼처(30)가 직각의 굴곡부 또는 턴을 애퍼처에 갖기 때문이다. 그러나 피처는 직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굴곡부를 갖는 애퍼처는 180도 미만인 제1 및 제2 부분들의 축들 사이의 각도(θ)를 포함할 수 있다. 직각 어레인지먼트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면, 각도는 80도 내지 100도의 범위, 예컨대 85도 내지 95도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2개의 대향하게 배치된 애퍼처들은 동일한 형상 및 곡률을 갖지만, 이는 선택적이다; 동일한 윅의 2개의 단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애퍼처들은 상이한 굴곡 각도들(곡률 각도들) 및/또는 상이한 굴곡 방향들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애퍼처가 만곡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애퍼처는 도 3의 예에서와 같이 일직선일 수 있다. 또한, 애퍼처는 그 길이 방향 범위를 따라 하나 초과의 만곡부 또는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애퍼처의 만곡된 또는 굴곡된 형상은 유사하게 만곡된 또는 굴곡된 배향의 윅을 수용한다. 윅이 비교적 강성인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 윅은 그러한 형상으로 미리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만곡된 애퍼처 내의 윅의 피팅에 의해 만곡된 형상이 주어질 수 있다.
만곡된 또는 굴곡된 애퍼처는, 애퍼처를 통한 저장조로부터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데, 이는 액체 유동 경로가 더 구불구불하고 덜 직선적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한 길이의 윅이 시스템에 걸쳐 더 좁은 가로 방향 범위 내에 수용될 수 있고, 따라서, 원하는 경우, 시스템의 외부 치수들이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곡률이 저장조의 베이스를 향하는 경우, 저장조로부터의 모든 액체의 더 양호한 흡수를 위해, 윅 단부들이 저장조(3)의 베이스 벽(3a)에 더 가까이 도달할 수 있는 한편, 가열 엘리먼트(24)는 여전히 증기 챔버(22)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환경들에서 매력적일 수 있는 아치형 또는 만곡된 애퍼처 어레인지먼트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아치형 윅 형상에 의해 제공되는 다수의 피처들이 존재한다.
증기 공급 시스템의 아토마이저는 저장조로부터 이전의 예들의 가열 코일과 같은 증기 발생기로 액체를 이송하기 위한 윅 또는 유사한 다공성 엘리먼트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저장조로부터 액체를 끌어당겨 기화를 위해 증기 챔버 내로 전달하기 위한 모세관 현상은,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기에 충분히 작은 규모로 치수가 정해지는 슬롯들, 채널들, 개구들 등인 하나 이상의 모세관 채널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경계 벽 애퍼처들은 윅킹 엘리먼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지 않을 수 있지만, 대신에 모세관 현상을 생성하기 위한 사이즈의 더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애퍼처들은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또는 직선형일 수 있다. 그러한 모세관 애퍼처들의 동작은 설명되는 강성 바디들의 사용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강성 재료들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애퍼처 형상, 사이즈, 및 위치의 개선된 일관성은, 작은 채널들을 형성하는 맥락에서 가치가 있는데, 이는 제조 에러들에 대한 허용 오차가 더 작은 스케일의 피처들에 대해 더 작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논의된 예들에서, 애퍼처 또는 각각의 애퍼처의 둘레는, 애퍼처의 길이를 따르는 모든 지점들에서, 접촉되고 고정된 강성 바디들의 강성 재료에 의해 완전히 정의되고 에워싸였다. "둘레"라는 용어는, 애퍼처를 에워싸는 측벽의 폐쇄된 경로 또는 라인을 설명하도록 의도되며, 여기서, 애퍼처는 튜브형 형상을 갖기 때문에 측벽이 애퍼처의 구멍을 둘러싸고 정의한다. 둘레는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애퍼처의 횡단면의 경계이다. 다른 예들에서, 강성 재료는 애퍼처의 길이의 일부 또는 부분에 대해서만 둘레의 전체 범위를 에워쌀 수 있다. 다른 일부 또는 일부분에서, 비강성 재료의 부가적인 컴포넌트가 둘레의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이 컴포넌트는, 예컨대,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그리고 애퍼처 근처에서 강성 바디들 사이에 배치된 개스킷과 같은 엘리먼트일 수 있다.
도 6은 개스킷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증기 챔버의 간략화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컴포넌트는 도 5의 예의 컴포넌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부가적으로 개스킷(36)이 포함된다. 개스킷(36)은, 애퍼처(30)를 정의하는 영역에 걸쳐 상부 강성 바디(28a)의 접촉 표면에 맞닿게 배치되고, 애퍼처의 폭을 넘어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36)은 애퍼처를 위해 의도된 볼륨 내로 돌출되지 않게 상부 강성 바디(28a)의 접촉 표면에 형성된 리세스(29)에 안착된다. 하부 강성 바디(28b)는 이전과 같이 상부 강성 바디(28a)에 접촉하고, 애퍼처(30) 주위의 경계 영역에서 개스킷(30)과 접촉하고 다른 곳에서는 상부 강성 바디 자체와 접촉한다.
도 7은 도 6의 라인 VII-VII를 따르는 경계 벽(28)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그로부터 개스킷(36)의 어레인지먼트가 또한 인식될 수 있다. 개스킷(36)은 상부 강성 바디(28a)의 접촉 표면의 리세스를 채우며, 여기서, 리세스는 애퍼처(30)를 정의하는 하부 강성 바디(28b)의 접촉 표면의 채널보다 더 넓다. 따라서, 조인트(34)는 애퍼처(30)로부터 바로 원격인 위치들에서 강성 바디들(28a, 28b) 사이에 있고, 이전과 같이 초음파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한편, 조인트는 애퍼처(30)에 바로 인접하게 하부 강성 바디(28b)와 개스킷(36) 사이에 있다. 개스킷(36)은 애퍼처(30)의 폭에 걸쳐 연장된다. 따라서, 애퍼처(30)의 둘레는 개스킷에 의해 부분적으로 그리고 챔버(22) 내로의 애퍼처(30)의 개구의 위치에서의 강성 재료에 의해 부분적으로, 그리고 또한 도 6에 도시된 개스킷의 안쪽으로의 범위에 따라 애퍼처의 제1 길이 방향 부분에 걸쳐 정의된다. 이를 넘어서,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애퍼처(30)의 둘레는 강성 바디들의 강성 재료에 의해 완전히 정의된다. 대안적으로, 개스킷 또는 다른 탄성 엘리먼트는, 증기 챔버 내로 개방되는 애퍼처의 단부로부터 분리된 애퍼처 길이를 따르는 일부 길이 방향 위치에서 애퍼처 둘레의 일부를 정의하도록 포지셔닝될 수 있다.
밀봉을 실시하기 위해 강성 바디들을 서로에 고정시키는 것은, 강성 바디들의 재료가 2개의 강성 바디들 사이의 조인트들에서 접촉하는 그러한 영역들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개스킷이 애퍼처 주위의 대향 강성 바디와 접촉하는 경우, 개스킷 재료의 탄성 특성에 의해 밀봉이 제공된다. 개스킷은, 예컨대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을 위한 다른 적합한 재료들은, TPE(열가소성 엘라스토머)들 및 TPU(열가소성 폴리 우레탄)를 포함하지만, 다른 탄성 재료들이 배제되지 않는다. 애퍼처의 둘레의 일부 주위의 실리콘 또는 유사한 탄성의 압축성 재료의 존재는, 윅(26)이 애퍼처에 안착될 때 윅(26) 주위를 밀봉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대안으로서, 개스킷은 애퍼처의 폭을 넘어서 더 또는 훨씬 더 연장될 수 있다. 실제로, 개스킷은 링 형상(원형 또는 비원형)이 되는 정도까지 연장될 수 있고, 증기 챔버를 완전히 둘러싸거나 또는 에워싸도록 상부와 하부 강성 바디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상부와 하부 강성 바디들 사이의 조인트는 경계 벽의 내측 표면을 빙둘러 개스킷 재료로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개스킷 재료는 강성 바디들 사이에 액체-밀폐 밀봉을 제공하도록 작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를테면 초음파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한 본딩은 필요하지 않다. 개스킷 재료는 강성 바디들을 함께 밀봉하고 용접, 접착 등과 동일한 결과들을 달성한다는 점에서, 강성 바디들을 서로 고정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개스킷의 외측 범위(즉, 링 외부)를 넘어서면, 강성 바디들은 이전과 같이 접촉하여, 일정한 애퍼처 사이즈, 형상 및 위치를 달성하기 위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개스킷의 밀봉 효과를 향상시키고, 개스킷을 정확한 위치에 배치 및 유지하기 위해, 개스킷은 강성 바디들 내의 대응하는 리세스들 및/또는 돌출부들과 맞물리는 돌출부들 및/또는 리세스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라인 VIII-VIII에서 애퍼처(30)를 바라본, 도 6의 예와 유사하게 구성된 증기 챔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명확성을 위해, 윅 및 가열 엘리먼트가 제거된다. 개스킷(36)은 링의 형태이며, 증기 챔버(22)의 전체 둘레 주위로 연장되고, 하부 강성 바디(28b)의 상부와 상부 강성 바디(28a)의 베이스 사이에 끼워져서, 링의 내향 표면은 경계 벽(28)의 일부를 형성하고, 2개의 강성 바디들(28a, 28b) 사이에 밀봉을 생성한다. 개스킷(36)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은 그 위에 돌출 피처들(38)이 형성되고; 이들 피처들은 링-형상 주위에서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다. 개스킷(36)이 없을 때 접촉하게 될 상부 및 하부 강성 바디들(28a, 28b)의 대향 표면들에는 경계 벽이 어셈블링될 때 개스킷 상의 돌출부들(38)의 형상과 일치하고 돌출부들을 받아들이는 리세스들(40)이 제공되어, 3개의 부분들이 함께 맞물리게 한다. 돌출부들(38) 및 리세스들(40)은 반전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상이하게 형상화되고 포지셔닝될 수 있다.
형상화된 맞물림, 래칭 또는 클리핑 협력 표면 피처들이 강성 바디들 사이에 또한 제공되어, 개스킷의 가능한 압축을 포함하여 개스킷을 제 위치에 더 견고하게 또는 단단히 홀딩함으로써 강성 바디들을 함께 고정하고 개스킷의 밀봉 효과를 강화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그러한 어레인지먼트는 용접 또는 접착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강성 바디들은, 협력하는 피처들 사이의 "스냅 피팅(snap fit)" 또는 클리핑(clipping) 동작을 달성하기 위해, 강성 바디들을 함께 간단히 푸시함으로써 어셈블링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에 의해 매우 타이트한 접합이 달성될 수 있는 경우, 용접, 접착 또는 개스킷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바디들을 함께 밀봉하기 위해 그러한 협력하는 피처들의 맞물림에만 의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개스킷을 받아들이도록 형상화된 하나 또는 다른 강성 바디의 대향 표면 상의 리세스 내에 캐스킷을 배치하거나, 또는 대향 표면 상에 단순히 캐스킷을 놓은 다음, 다른 강성 바디를 접촉 위치에 놓음으로써, 개스킷은 바디들과 함께 어셈블링될 수 있다.
도 9는 어셈블링 전의 예시적인 상부 강성 바디 및 개스킷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부 바디(28a)는 증기 공급 시스템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피처들을 갖는 상세하게 몰딩된 외부 형상을 갖는다. 전체적으로, 이는 일반적으로 환상 형상을 가지며, 증기 챔버(22)의 일부를 정의하기 위해 최상부 및 최하부에 중앙 스루-캐비티 개구가 있다. 개스킷(36)은 링-형상이며, 상부 강성 바디(28a)에 의해 정의된 증기 챔버(22)의 경계 벽에 대응하는 중앙 개구를 갖는다. 개스킷(3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이 상부 강성 바디 내로 가압될 때, 상부 강성 바디(28a) 내의 대응하는 리세스 내로 맞물리기 위한 표면 피처인 상향 돌출 연속 림(38)을 갖는다.
도 10은 어셈블링 전의 다른 예시적인 상부 강성 바디 및 개스킷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부 바디(28a)는 도 9의 예와 동일한 외부 형태를 갖는다. 개스킷(36)은 또한, 풀-탭들의 기능을 제공하는 2개의 레그들(42)의 부가를 제외하고, 도 9의 예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레그들(42)은 개스킷(36)의 상부 표면의 맞은 편들 상에 상부 강성 바디(28a)의 위치를 향해 제공되고, 레그들(42) 각각은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부 강성 바디(28a)의 깊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길고 가늘고 실질적으로 직선인 연장 부분의 형태를 갖는다. 상부 강성 바디는 레그들(42)의 포지션과 정렬되는, 동일한 방향을 따르는 2개의 좁은 관통-홀들(보이지는 않음)을 갖는다. 어셈블링하기 위해, 레그들(42)은 스루-홀들을 통해 푸싱 또는 풀링되고, 레그들(42)의 단부들은 움켜잡고, 상부 강성 바디(28a)의 대향 표면에 맞닿게 캐스킷(36)의 의도된 포지션으로 개스킷(36)을 완전히 끌어당기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레그들(42)은 상부 강성 바디 위로 상당히 돌출될 것이며, 이들의 상부 부분들은 사실상 폐기물이고, 절단되거나 떼어내질 수 있다. 개스킷(36) 및 레그들(42)은 단일 부품으로서 실리콘 또는 다른 탄성 재료로 몰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의 레그(42) 또는 2개 초과의 레그들(42)이 제공될 수 있다.
개스킷(36)을 상부 강성 바디(28a)에 맞닿게 견고하게 맞물리기 위해, 각각의 레그(42)는 개스킷(36)이 상부 강성 바디(28a) 내에 어셈블링될 때 대응하는 스루-홀의 원격 단부 바로 위에 놓이는 포지션에 확장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부(44)는 스루-홀보다 더 큰 폭을 갖지만, 개스킷(36)이 제조되는 탄성 재료의 압축 가능한 특성은, 확장부가 감소된 볼륨으로 밀어 넣어져서 스루-홀을 통해 당겨질 수 있게 하여, 레그(42)의 더 좁은 부분을 따라 가게 한다. 일단 확장부(44)가 스루 홀의 원격 단부를 빠져나가면, 확장부(44)는 스루 홀보다 더 넓은 자신의 원래의 폭까지 확장되고, 그에 따라, 역방향으로 다시 스루 홀 내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레그를 제 위치에 "록킹(lock)"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스킷은 또한 제 위치에 로킹되고, 그 의도된 포지션에서 상부 강성 바디의 대향 표면에 맞닿게 홀딩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런 다음, 확장부(44) 위의 잉여 레그 재료는 제거된다.
도 10a는 상부 강성 바디(28a)와 함께 제 위치에 설치된 개스킷(36)의 간략화된 단면도를 도시하며, 레그(42)는 확장부(44)가 스루 홀(46)의 원격 단부로부터 나올 때까지 상부 강성 바디(28a)의 스루 홀(46)을 통해 삽입되고 스루 홀(46)의 폭을 초과하는 그 적절한 폭으로 다시 복귀한다. 개스킷(36)은 필요에 따라 상부 강성 바디(28a)와 접촉한다. 확장부(44) 위의 레그(42)의 상부 부분(42a)은 제거될 수 있다.
도 11은 어셈블링 전의 다른 예시적인 상부 강성 바디 및 개스킷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부 바디(28a)는 도 9의 예와 동일한 외부 형태를 갖는다. 개스킷(36)은 또한, 어셈블링된 시스템에서 증기 챔버에 의해 점유되도록 의도된 중앙 공극을 채운 중앙 부분(36a)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9의 예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개스킷(36)은 의도된 링 형상보다는 평면 형상을 가지며, 최종 의도된 링-형 개스킷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전구 개스킷(precursor gasket)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중실 평면 형상은 개스킷(36)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또한 개스킷의 강성을 증가시키고/개스킷의 유연성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특성들은 경계 벽을 어셈블링할 때 개스킷(36)이 상부 강성 바디(28a)에 삽입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단 개스킷이 제 위치에 있고, 가능하게 또한 하부 강성 바디가 추가되면, 개스킷(36)의 중앙 부분(36a)은 개스킷 재료의 주변 링으로부터 절단되거나, 잘려지거나, 또는 펀칭되어 제거된다.
추가적인 대안에서, 강성 바디들 중 적어도 하나가 몰딩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개스킷은 2샷(또는 2스텝 또는 2스테이지) 사출 몰딩 프로세스에서 그 강성 바디와 함께 어셈블링될 수 있다. 2샷 몰딩은 단일의 복잡한 형상의 아이템이 2개의 상이한 재료들, 전형적으로는 폴리머들로 몰딩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에, 개스킷을 수용하기 위한 임의의 리세스를 포함하는 요구되는 형상을 생성하기 위해, 프로세스의 제1 샷에서 제1 재료로 강성 바디가 몰딩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스의 제2 샷에서 개스킷을 위한 제2 재료가 부가되어, 몰딩에 의해 적절한 위치에 이미 형성된 강성 바디 상에 직접 형성된다. 적절하게 양립 가능한 재료들의 경우, 이는 개스킷 재료가 응고됨에 따라 형성되는 강성 바디와 개스킷 사이에 강한 결합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강성 바디와 개스킷 사이에서 누설의 가능성이 없다. 이러한 접근법의 다른 이점들은, 모든 개스킷-강성 바디 조합이 동일한 몰드에서 형성될 것이고 본질적으로 동일할 것이기 때문에 컴포넌트들 사이의 높은 품질의 일관성을 포함하고, 2-샷 몰딩이 신속한 프로세스일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시간이 짧을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은 강성 바디에 대해 안전하고 정확하게 포지셔닝된다. 이어서, 추가의 강성 바디 또는 바디들, 및 포함된 경우 윅은, 조합된 몰딩된 아이템 상에 어셈블링되어 완성된 경계 벽 컴포넌트를 만들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예들은 모두 와이어 코일의 형태의 전기 가열 엘리먼트를 활용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와이어 형상들, 예컨대 판금으로부터 절단된 평면 금속 형상들, (윅킹 엘리먼트일 수 있는) 기판 상에 프린팅 또는 증착된 금속 또는 다른 전도성 재료의 트레이스들, 또는 다른 전도성 재료들로부터 형성된 엘리먼트들, 이를테면 세라믹들을 포함하는 다른 전기 가열 엘리먼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전기 가열 엘리먼트는 유도성 또는 저항성 전류 유동에 의해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체 액적들을 생성할 수 있는 진동 천공 플레이트와 같은 가열 이외의 수단에 의해 동작 가능한 증기 발생기가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어레인지먼트에서, 증기 발생기는 윅 또는 유사한 다공성 엘리먼트를 갖거나 또는 갖지 않으면서 애퍼처 또는 애퍼처들을 통해 저장조로부터 에어로졸화 가능 기재 재료를 받아들일 수 있다.
도 5는 굴곡된 또는 만곡된 형상, 이를테면 아치를 갖는 윅을 수용할 수 있는 비선형 애퍼처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논의된 바와 같이, 이러한 어레인지먼트와 연관된 다수의 매력적인 피처들이 존재한다. 이들 중 적어도 일부는 강성 바디로부터 경계 벽을 형성할 필요 없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또한, 저장조로부터 증기 챔버로의, 경계 벽을 관통하는 유체 유동 애퍼처의 일반적인 개념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애퍼처는 직선을 따라 놓이지 않는 길이 방향 축을 갖는다. 도 5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만곡된 애퍼처들의 다양한 피처들은, 애퍼처가 정의되는 경계 벽에 대한 어떠한 특정 요건들 없이, 이러한 개념에 적용 가능하다. 경계 벽은 강성 재료로 제조될 필요가 없거나, 부분적으로만 강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함께 고정 또는 밀봉되는 강성 바디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단지 청구된 특징들을 이해하고 교시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제시된다. 이들 실시예들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로서만 제공되며, 총망라적이지 않고 그리고/또는 배타적이지 않다. 본원에 설명된 이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상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들 또는 청구항들과 등가물들에 대한 제한들로 간주되지 않아야 하며,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고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 이외의, 개시된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피처들, 파트들, 단계들, 수단들 등의 적절한 조합들을 적절하게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을 필수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부가하여, 본 개시내용은 현재 청구되지 않지만 미래에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37)

  1. 증기 발생기를 하우징하기 위한 챔버로부터 유체를 홀딩하기 위한 저장조를 분리하는 경계 벽 ― 상기 경계 벽은 서로 접촉된 그리고 서로 밀봉된 2개 이상의 인접한 강성 바디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접한 강성 바디들은 상기 인접한 강성 바디들의 에지들에서 서로 접촉되며, 상기 인접한 강성 바디들은 접촉하는 에지들에서 서로 밀봉됨 ― ; 및
    상기 저장조로부터 상기 증기 발생기로의 유체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상기 경계 벽 내의 세장형의 튜브형 애퍼처를 포함하며,
    상기 애퍼처의 길이는 폭보다 크고,
    상기 애퍼처는 접촉된 인접한 강성 바디들 사이에 정의되며, 상기 인접한 강성 바디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애퍼처를 위한 개구를 정의하기 위해 상기 강성 바디들의 접촉하는 에지들 상에 형상화되고, 상기 강성 바디들은 상기 애퍼처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애퍼처의 둘레를 에워싸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바디들은 초음파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서로 밀봉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바디들은 접착에 의해 서로 밀봉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바디들은 상기 강성 바디들 사이에 개재된 탄성 엘리먼트에 의해 서로 밀봉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인접한 강성 바디들은 2개의 인접한 강성 바디들을 포함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벽은 상기 챔버를 둘러싸고, 상기 컴포넌트는 상기 튜브형 애퍼처에 대해 상기 챔버의 반대 편에 상기 저장조로부터 상기 챔버까지의 제2 튜브형 애퍼처를 포함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애퍼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저장조로부터 상기 증기 발생기로 유체를 이송하도록 구성된 다공성 부재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되고 치수가 정해지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8. 제7항에 있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저장조로부터 상기 증기 발생기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애퍼처에 포지셔닝된 다공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애퍼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저장조로부터 상기 증기 발생기로 유체를 이송하도록 형상화되고 치수가 정해지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애퍼처를 따라 상기 저장조로부터 이송되는 유체를 받아들이기 위해 상기 챔버에 하우징된 증기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기는 전기 가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바디들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유리 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폴리프로필렌, 코폴리에스테르, 금속 및 유리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13.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강성 바디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퍼처는 상기 길이의 제1 부분의 길이 방향 축과 상기 길이의 제2 부분의 길이 방향 축 사이의 각도가 180° 미만이 되도록, 애퍼처의 길이에 굴곡부를 갖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80° 내지 100°의 범위에 있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바디들은 상기 애퍼처의 길이의 전체를 따라 상기 애퍼처의 둘레를 에워싸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스킷이 상기 애퍼처의 길이의 일부를 따라 상기 애퍼처의 둘레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강성 바디들 중 2개 사이에 개재된 탄성 재료로 형성된 상기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실리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애퍼처가 상기 챔버 내로 개방되는 상기 애퍼처의 둘레의 일부를 형성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링 형상을 갖고, 상기 챔버를 2개의 강성 바디들 사이에서 둘러싸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2샷 사출 몰딩 프로세스에 의해 상기 강성 바디들 중 하나에 본딩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2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를 더 포함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2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커플링될 때 카트리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상기 카트리지이거나 또는 상기 카트리지에 포함되는,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2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증기 공급 시스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KR1020217013867A 2018-11-09 2019-10-31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Active KR102657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818270.9 2018-11-09
GBGB1818270.9A GB201818270D0 (en) 2018-11-09 2018-11-09 Component for a vapour provision system
PCT/GB2019/053091 WO2020095027A1 (en) 2018-11-09 2019-10-31 Component for a vapour provis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419A KR20210080419A (ko) 2021-06-30
KR102657988B1 true KR102657988B1 (ko) 2024-04-16

Family

ID=64739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867A Active KR102657988B1 (ko) 2018-11-09 2019-10-31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2185760B2 (ko)
EP (1) EP3876758B1 (ko)
JP (1) JP7351488B2 (ko)
KR (1) KR102657988B1 (ko)
CA (1) CA3119303C (ko)
GB (1) GB201818270D0 (ko)
WO (1) WO2020095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5862A (zh) * 2019-03-27 2021-11-12 日本烟草国际股份有限公司 用于电子烟的流体传递部件
EP3799742A1 (en) * 2019-10-02 2021-04-07 Nerudia Limited Smoking substitute component
US20210401052A1 (en) * 2020-06-24 2021-12-30 Vuber Technologies, Llc Vaporization device using frustal porous vaporization media
JPWO2024084573A1 (ko) * 2022-10-18 2024-04-25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0537A (zh) 2013-04-22 2014-08-27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电子烟及其雾化器装配方法
US20140261487A1 (en) 2013-03-14 2014-09-18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Electronic smoking article with improved storage and transport of aerosol precursor compositions
US20170020193A1 (en) 2015-07-24 2017-01-26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radiant heating
WO2017021536A2 (en) 2015-08-06 2017-02-09 Fontem Holdings 1 B.V. Electronic smoking device with a glass capillary tube
WO2018050030A1 (zh) 2016-09-19 2018-03-22 林光榕 具有储液过渡腔的电子烟雾化器
WO2018193339A1 (en) 2017-04-21 2018-10-25 Rai Strategic Holdings, Inc. Refillable aerosol delivery device and relate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830900U (zh) * 2010-06-09 2011-05-18 李永海 电子香烟的烟液雾化装置
RU107026U1 (ru) 2010-11-26 2011-08-10 Евгений Иванович Евсюк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галяций (варианты)
KR20120098343A (ko) * 2011-02-28 2012-09-05 주식회사 피앤디플러스 전자 담배
US8528569B1 (en) 2011-06-28 2013-09-10 Kyle D. Newton Electronic cigarette with liquid reservoir
AU2012330370B2 (en) 2011-10-27 2017-04-13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system with improved aerosol production
UA112883C2 (uk) 2011-12-08 2016-11-10 Філіп Морріс Продактс С.А. Пристрій для утворення аерозолю з капілярним примежовим шаром
WO2013181797A1 (zh) 2012-06-05 2013-12-12 Liu Qiuming 电子烟及其吸杆
CN103960781A (zh) 2013-09-29 2014-08-06 深圳市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电子烟
CN103584286A (zh) 2013-11-12 2014-02-19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烟用雾化头、雾化器及电子烟
CN203723438U (zh) 2013-11-18 2014-07-23 刘秋明 一种电子烟及其雾化装置
TWM494249U (zh) 2014-09-16 2015-01-21 Mywish Information Corp 一種嵌合結構之置放座
CN112493554B (zh) 2014-09-17 2024-11-12 富特姆投资有限公司 用于储存和蒸发液体介质的装置
CA2963466A1 (en) 2014-10-02 2016-04-07 Digirettes, Inc. Disposable tank electronic cigarette,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CN206453238U (zh) * 2014-11-28 2017-09-01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雾化组件和电子烟
CN104605482A (zh) 2015-01-05 2015-05-13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可更换的雾化单元和包括该雾化单元的雾化器及电子烟
CN204444245U (zh) * 2015-01-05 2015-07-08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可更换的雾化单元和包括该雾化单元的雾化器及电子烟
CN204670384U (zh) 2015-03-31 2015-09-30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雾化组件及电子烟
CN104839893B (zh) * 2015-04-28 2018-06-26 深圳麦克韦尔股份有限公司 吸入器及其雾化组件
EP3292774B1 (en) * 2015-05-22 2021-08-04 Japan Tobacco Inc. Manufacturing method for atomizing unit, atomizing unit, and non-combustion type fragrance aspirator
US10524505B2 (en) * 2015-08-06 2020-01-07 Altria Client Services Llc. Method for measuring a vapor precursor level in a cartomizer of an electronic vaping device and/or an electronic vaping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the method
EA039935B1 (ru) * 2015-12-03 2022-03-30 Джт Интернэшнл С.А.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нагрева для ингаляци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GB201605100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system
US10617152B2 (en) * 2016-03-31 2020-04-14 Altria Client Services Llc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separate capsule and vaporizer
NL2016548B1 (en) * 2016-04-04 2017-10-10 Sluis Cigar Machinery Bv E-cigarette
US10034495B2 (en) 2016-07-25 2018-07-31 Fontem Holdings 1 B.V. Device for storing and vaporizing liquid
CN206079029U (zh) 2016-09-09 2017-04-12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烟雾化器
EP3554293B1 (en) * 2016-12-19 2021-02-03 Philip Morris Products S.a.s. Aerosol-generating system having an external cartridge
CN106820269B (zh) 2017-01-12 2023-04-07 惠州市新泓威科技有限公司 电子烟雾化器
GB201703284D0 (en) 2017-03-01 2017-04-12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device with liquid capture
CN206620836U (zh) 2017-04-13 2017-11-10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雾化器
US10285444B2 (en) 2017-04-27 2019-05-14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ceramic wicking element
CN207855035U (zh) 2017-12-25 2018-09-14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雾化组件及电子烟
GB201801143D0 (en) 2018-01-24 2018-03-07 Nicoventures Trading Ltd vapour provision apparatus and systems
CN108244710A (zh) 2018-02-02 2018-07-06 深圳市劲嘉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的封闭式雾化器及其实现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61487A1 (en) 2013-03-14 2014-09-18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Electronic smoking article with improved storage and transport of aerosol precursor compositions
CN104010537A (zh) 2013-04-22 2014-08-27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电子烟及其雾化器装配方法
US20170020193A1 (en) 2015-07-24 2017-01-26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radiant heating
WO2017021536A2 (en) 2015-08-06 2017-02-09 Fontem Holdings 1 B.V. Electronic smoking device with a glass capillary tube
WO2018050030A1 (zh) 2016-09-19 2018-03-22 林光榕 具有储液过渡腔的电子烟雾化器
WO2018193339A1 (en) 2017-04-21 2018-10-25 Rai Strategic Holdings, Inc. Refillable aerosol delivery device and relate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19303A1 (en) 2020-05-14
KR20210080419A (ko) 2021-06-30
EP3876758A1 (en) 2021-09-15
GB201818270D0 (en) 2018-12-26
WO2020095027A1 (en) 2020-05-14
US12185760B2 (en) 2025-01-07
US20220125106A1 (en) 2022-04-28
JP7351488B2 (ja) 2023-09-27
CA3119303C (en) 2023-10-03
JP2022511680A (ja) 2022-02-01
EP3876758B1 (en) 202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7988B1 (ko) 증기 공급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US11937637B2 (en) Aerosol source for a vapor provision system
JP7265029B2 (ja) 蒸気供給システム用の流れ誘導部材
JP7268824B2 (ja) 蒸気供給システム用のアトマイザ
US12185756B2 (en) Atomizer enclosure for a vapor provision system
JP2023507312A (ja)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用のカートリッジ、カートリッジを含む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ならびに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用のヒーター組立品およびカートリッジを製造する方法
US20230148664A1 (en) Cartridge for an Electronic Cigarette
RU2799807C2 (ru) Компонент системы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пара
US20230404152A1 (en) A Vapour Generating System
RU2823148C2 (ru) Направля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потока для системы подачи пара, резервуар для удержания аэрозолируемого субстра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в системе подачи пара, картридж для системы генерации пара и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пара
RU2824940C1 (ru) Картридж для системы, генерирующей аэрозоль,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одержащая картридж,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агревателя в сборе и картриджа для системы, генерирующей аэрозоль
CN116528701A (zh) 蒸气产生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X0901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