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5901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s of health program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s of health progra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016B1
KR102659016B1 KR1020210106014A KR20210106014A KR102659016B1 KR 102659016 B1 KR102659016 B1 KR 102659016B1 KR 1020210106014 A KR1020210106014 A KR 1020210106014A KR 20210106014 A KR20210106014 A KR 20210106014A KR 102659016 B1 KR102659016 B1 KR 102659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health
rate
health care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24014A (en
Inventor
한현욱
이명훈
이상준
윤성수
Original Assignee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016B1/en
Publication of KR20230024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0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01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건강관리 행동의 습관화 정도를 지표로 산출하고 산출된 지표에 기반한 시각화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실질적인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사업의 효과 분석, 프로그램 개발 및 운용에 도움이 되는 데이터를 직관적이고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장치는 건강 프로그램 진행에 따라 수집되는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의 사용 정보를 근거로 디바이스 사용률을 계산하는 디바이스 사용률 계산부; 상기 건강 프로그램 진행에 따라 수집되는 사용자 단말의 자가입력 항목별 정보를 근거로 자가입력 실천율을 계산하는 자가입력 실천율 계산부; 상기 계산된 디바이스 사용률 및 자가입력 실천율 중에서 하나 이상을 근거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로 시각화처리하는 지표 산출부; 및 상기 시각화처리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상기 건강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지표로서 출력하는 지표 송신부;를 포함한다.By calculating the degree of habituation of healthcare program participants' healthcare behavior as an indicator and providing a visualized graphical interface based on the calculated indicators, data that is helpful in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practical mobile healthcare service projects and developing and operating programs is provided intuitively. It presents 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s that can be easily identified. The presented device includes a device usage rate calculator that calculates the device usage rate based on usage information of devices for health care services collected as the health program progresses; a self-input practice rat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self-input practice rate based on information for each self-input item of the user terminal collected as the health program progresses; an index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based on one or more of the calculated device usage rate and self-input practice rate, and visualizes the calculated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in a comparison graph interface; and an indicator transmitter that outputs the visualized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 as an indicator corresponding to the health program.

Description

건강 프로그램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s of health programs}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s of health programs}

본 발명은 건강 프로그램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사업효과 검증을 위한 건강 프로그램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 for a health program,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 for a health program for verifying the business effectiveness of mobile healthcare services. will be.

종래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또는 프로그램은 의료기관과 연계하여 배포된 관리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관리 디바이스의 센서 정보 또는 모바일 앱에 직접 입력한 값을 기초로 기존 대비 프로그램 이용 이후의 건강의 개선정도 등을 파악하여 지표로 활용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Conventional health management service systems and/or programs use management devices distributed in connection with medical institutions, and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health after using the program compared to the existing program based on sensor information of the management device or values directly entered into the mobile app, etc. A method of identifying and using it as an indicator is being used.

그러나, 실제 건강 관리 서비스의 효과는 단기간에 산출되는 것이 아니며, 그 지표도 대상자의 건강 정도의 전후 변화만으로는 확인되는 것이 아니고, 건강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므로, 실제로 사용자가 건강한 습관들을 꾸준히 실천하였는지에 대한 분석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표로서 파악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effects of actual health management services are not calcula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indicators are not confirmed solely by the before-and-after changes in the subject's health level, and maintaining health as is is also important, so it is important to check whether the user has actually consistently practiced healthy habits. Although analysis is very importa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identify it as an indicator.

특히, 주기적인 목표를 정하고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운용하는 건강 관리 사업자는 서비스 참여자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를 목표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및 관리하고자 하지만, 습관화 정도를 전후변화가 아닌 구체적인 지표와 수치화된 데이터로서 산출할 수 있는 방안이 전무한 실정이다.In particular, health care providers who set periodic goals and operate health management programs seek to develop and manage health management programs with the goal of habituating service participants' health management behavior, but the degree of habituation is not measured by before and after changes, but by using specific indicators and quantified data. There is no way to calculate it.

마찬가지로, 수치화된 데이터가 없으므로, 건강 관리 행동 습관화 정도를 시각화하여 제공하여 주는 방안도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Likewise, since there is no quantified data, there are very few ways to visualize and provide the degree of habituation to health management behavior.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9810호(지역, 직장단위 건강, 질병지표 생성 및 건강관리지원 방법 및 시스템)Prior ar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39810 (regional and workplace-level health and disease index generation and health management support method and system)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4623호(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Prior ar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84623 (Health care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건강관리 행동의 습관화 정도를 지표로 산출하고 산출된 지표에 기반한 시각화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실질적인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사업의 효과 분석, 프로그램 개발 및 운용에 도움이 되는 데이터를 직관적이고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 프로그램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It calculates the degree of habituation of health care behavior of health care program participants as an index and provides a visualized graphic interface based on the calculated index, thereby providing a practical mobile health care servi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dicators for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of health programs that enable intuitive and easy identification of data helpful for business effect analysis, program development and oper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건강 프로그램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장치는, 건강 프로그램 진행에 따라 수집되는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의 사용 정보를 근거로 디바이스 사용률을 계산하는 디바이스 사용률 계산부; 상기 건강 프로그램 진행에 따라 수집되는 사용자 단말의 자가입력 항목별 정보를 근거로 자가입력 실천율을 계산하는 자가입력 실천율 계산부; 상기 계산된 디바이스 사용률 및 자가입력 실천율 중에서 하나 이상을 근거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로 시각화처리하는 지표 산출부; 및 상기 시각화처리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상기 건강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지표로서 출력하는 지표 송신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evice for providing a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 for a health progr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device usage rate based on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health care service device collected as the health program progresses. a device usage rate calculation unit; a self-input practice rat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self-input practice rate based on information for each self-input item of the user terminal collected as the health program progresses; an index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based on one or more of the calculated device usage rate and self-input practice rate, and visualizes the calculated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in a comparison graph interface; and an indicator transmitter that outputs the visualized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 as an indicator corresponding to the health program.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는, 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에게 배포된 디바이스로서, 혈당계와 체성분계와 혈압계 및 활동량계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lth care service device is a device distributed to health care program participants and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blood sugar meter, a body composition meter, a blood pressure meter, and an activity level meter.

상기 디바이스 사용률 계산부는,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의 측정 정보가 수집될때마다 입력 횟수를 카운트하여 이를 각각의 디바이스의 사용 횟수로서 누적시키고,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의 측정 정보가 수집될때마다 디바이스별 사용자 수를 카운팅하여 누적시키고, 이를 근거로 디바이스 사용률을 계산할 수 있다. The device usage rate calculation unit counts the number of inputs each tim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each device is collected, accumulates this as the number of uses of each device, and counts the number of users for each device each tim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each device is collected. This can be accumulated, and the device usage rat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is.

상기 디바이스 사용률은, 건강관리 서비스의 마지막 주차 디바이스별 1회 이상 사용자 수, 및 건강관리 서비스 기간중 디바이스별 1회 이상 사용자 수를 근거로 생성된 디바이스별 최종 사용률; 및 건강관리 서비스 완료자중에서 지급받은 디바이스를 1회 이상 사용한 사람들의 분율의 합인 디바이스 총 사용률;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usage rate is the final usage rate for each device generated based on the number of users at least once per device during the last parking of the health care service and the number of users at least once per device during the health care service period; and a total device usage rate, which is the sum of the proportions of people who used the provided device at least once among those who completed health care services.

상기 디바이스별 최종 사용률은, 상기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마지막 주차 디바이스별 1회 이상 사용자 수를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기간중 디바이스별 1회 이상 사용자 수로 나눈 값일 수 있다.The final usage rate for each device may be the number of users who used each device at least once during the last parking of the health care program divided by the number of users who used each device at least once during the health care service period.

상기 디바이스 총 사용률은, 상기 디바이스별 최종 사용률을 가중치로서 적용할 수 있다.The total device usage rate may apply the final usage rate for each device as a weight.

상기 혈당계와 체성분계와 혈압계 및 활동량계가 상기 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에게 배포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 총 사용률은 하기의 식, 디바이스 총 사용률 = (A/(A+B+C+D))*(활동량계의 최종 사용률) + (B/(A+B+C+D))*(체성분계의 최종 사용률) + (C/(A+B+C+D))*(혈압계의 최종 사용률) + (D/(A+B+C+D))*(혈당계의 최종 사용률) (여기서, 상기 A는 활동량계를 사용한 사용자 수를 의미하고, 상기 B는 체성분계를 사용한 사용자 수를 의미하고, 상기 C는 혈압계를 사용한 사용자 수를 의미하고, 상기 D는 혈당계를 사용한 사용자 수를 의미함.)으로 구해질 수 있다.When the blood sugar meter, body composition monitor, blood pressure monitor, and activity meter are distributed to participants in the health management program, the total device usage rate i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total device usage rate = (A/(A+B+C+D))*(activity meter final usage rate of) + (B/(A+B+C+D))*(final usage rate of body composition monitor) + (C/(A+B+C+D))*(final usage rate of blood pressure monitor) + (D /(A+B+C+D))*(Final usage rate of the blood glucose meter) (where A refers to the number of users who used the activity meter, B refers to the number of users who used the body composition monitor, and C refers to the number of users using the body composition monitor) refers to the number of users using a blood pressure monitor, and D refers to the number of users using a blood sugar monitor.).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자가입력 항목별 정보는, 상기 건강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건강행태, 식사일기, 및 운동일기 중에서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for each self-input item of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information on one or more items among health behavior, meal diary, and exercise diary corresponding to the health program.

상기 자가 입력 실천율 계산부는, 상기 다수의 자가입력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때마다 해당 자가입력 항목을 입력한 사용자의 수 및 해당 자가입력 항목의 입력 횟수를 카운트하여 누적시키고, 이를 근거로 자가입력 실천율을 계산할 수 있다.The self-input practice rate calculation unit counts and accumulates the number of users who entered the self-input item and the number of times the self-input item was entered each time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self-input items is collected, and based on this, You can calculate the self-input practice rate.

상기 자가입력 실천율은, 건강관리 서비스의 마지막 주차 자가입력 항목별 1회이상 입력 실천자 수, 및 건강관리 서비스기간중 1회 이상 자가입력 항목별 입력 실천자 수를 근거로 생성된 자가입력 항목별 최종 실천율; 및 건강관리 서비스 완료자중에서 자가입력 항목별 1건 이상 입력한 사람들의 분율의 합인 자가입력 총 실천율;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lf-input practice rate is the final practice rate for each self-input item generated based on the number of practitioners who entered each self-input item at least once in the last week of health care service and the number of practitioners who entered each self-input item at least once during the health care service period; and the total self-input practice rate, which is the sum of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entered at least one self-input item among those who completed health care services.

상기 자가입력 항목별 최종 실천율은,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의 마지막 주차 자가입력 항목별 1회이상 입력 실천자 수를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기간중 1회 이상 자가입력 항목별 입력 실천자 수로 나눈 값일 수 있다.The final practice rate for each self-input item may be the number of practitioners who entered each self-input item at least once in the last week of the health care service divided by the number of practitioners who entered each self-input item at least once during the health care service period.

상기 자가입력 총 실천율은, 상기 자가입력 항목별 최종 실천율을 가중치로서 적용할 수 있다.The self-input total practice rate may apply the final practice rate for each self-input item as a weight.

상기 건강행태, 식사일기, 및 운동일기가 상기 자가입력 항목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자가입력 총 실천율은 하기의 식, 자가입력 총 실천율 = (E/(E+F+G))*(건강행태 입력의 최종 실천율) + (F/(E+F+G))*(식사일기 입력의 최종 실천율) + (G/(E+F+G))*(운동일기 입력의 최종 실천율) (여기서, 상기 E는 건강행태 입력자 수를 의미하고, 상기 F는 식사일기 입력자 수를 의미하고, 상기 G는 운동일기 입력자 수를 의미함.)으로 구해질 수 있다.When the health behavior, meal diary, and exercise diary are included in the self-input items, the self-input total practice rate is calculated using the formula below, self-input total practice rate = (E/(E+F+G))*(health behavior Final action rate of input) + (F/(E+F+G))*(Final action rate of meal diary entry) + (G/(E+F+G))*(Final action rate of exercise diary entry) (here, The E refers to the number of health behavior entryrs, the F refers to the number of food diary entryrs, and the G refers to the number of exercise diary entryrs.).

상기 지표 산출부는, 상기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연도별, 성별, 연령별로 구분하여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되거나 스크롤방식으로 화면표시되도록 시각화처리할 수 있다.The indicator calculation unit may visualize the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s by dividing them by year, gender, and age and displaying them together on one screen or in a scrolling manner.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방법은,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방법으로서, 건강 프로그램 진행에 따라 수집되는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의 사용 정보를 근거로 디바이스 사용률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건강 프로그램 진행에 따라 수집되는 사용자 단말의 자가입력 항목별 정보를 근거로 자가입력 실천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디바이스 사용률 및 자가입력 실천율 중에서 하나 이상을 근거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로 시각화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각화처리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상기 건강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지표로서 관리자 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method of providing a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providing a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provided by a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providing device, and is a health care service device collect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a health program. calculating device usage rate based on usage information; Calculating a self-input practice rate based on information for each self-input item of the user terminal collected as the health program progresses; Calculating a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based on one or more of the calculated device usage rate and self-input practice rate; Visualizing the calculated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ex using a comparison graph interface; and outputting the visualized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as an index corresponding to the health program through an administrator terminal.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구체적인 지표 정의 및 연산방식에 따라 디바이스 사용률과 자가입력 실천율을 기반으로 건강 행동 습관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산출할 수 있고, 이에 기반한 건강 프로그램 운영, 성과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n indicator indicating the degree of habituation of health behavior based on the device usage rate and self-input practice rate according to specific indicator definitions and calculation methods, and perform health program oper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based on this. there is.

특히, 건강이 유지된 경우까지도 성과 지표로서 확인할 수 있는 지표 정의 및 연산방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시각화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연령/성별/연도별로 직관적이고 명확한 지표 파악을 가능하게 한다.In particular, it can provide indicator definitions and calculation methods that can be checked as performance indicators even when health is maintained, and provides a visualization comparison graph interface to enable intuitive and clear identification of indicators by age/gender/year.

또한, 건강 관리 기관 및 공공 데이터 영역에서의 데이터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라이프로그 데이터의 하나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건강 프로그램 사업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주요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inserted into data from health management organizations and public data areas, and can be used as one of the life log data, and can be used as a major means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health program projects.

또한, 건강 행동 습관화 지표를 직관적으로 파악 가능한 화면 또는 이미지들을 생성 출력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통계 분석 및 현황 파악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output screens or images that can intuitively identify health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s,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managers and making statistical analysis and status identification easi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방법 설명에 채용되는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의 예들이다.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rver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19 are examples of comparison graph interfaces used to explain a method of providing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overall understanding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20), 관리자 단말(30), 네트워크(40), 및 서버(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shown in FIG. 1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0, a health care service device 20, an administrator terminal 30, a network 40, and a server 50.

사용자 단말(10)은 자가입력 항목별 정보를 네트워크(4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 may transmit information for each self-input item to the server 50 through the network 40.

다시 말해서, 사용자 단말(10)에는 소정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탑재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자가입력 항목별 정보를 네트워크(4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user terminal 10 is equipped with a predetermined mobile application, and information for each self-input item entered through the mounted mobile applic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50 through the network 40.

여기서, 자가입력 항목에는 필수 항목 및 선택 항목이 있을 수 있다. 필수 항목은 흡연, 음주, 신체활동 및 운동, 영양, 비만 및 체중조절 등의 세부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필수 항목은 건강행태 설문 형식으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즉, 소정 기간동안 행해지는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용자)는 필수 항목의 각 세부항목에 대하여 직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선택 항목은 식사일기 항목, 및 운동일기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식사일기 항목은 사용자가 식사를 함에 따라 기록하는 세부항목(예컨대, 총칼로리, 섭취량, 제공량, 칼로리, 열량 영양소, 영양소별 평가 등)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식사 전/후에 식사일기 항목의 각 세부항목에 대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운동일기 항목은 사용자가 운동을 함에 따라 기록하는 세부항목(예컨대, RPE, 운동지속시간, 칼로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운동을 한 이후에 운동일기 항목의 각 세부항목에 대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Here, self-input items may include required items and optional items. Required items include detailed items such as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nutrition, obesity and weight control. Required item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a health behavior questionnaire, and users (i.e., users who participate in a health management program condu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can directly enter information for each detailed item of the required items. Selected items may include meal diary items and exercise diary items. Meal diary entries include detailed items recorded by the user as they eat (e.g., total calories, intake, serving size, calories, caloric nutrients, nutrient evaluation, etc.). For example, a user can enter information about each detailed item of a meal diary entry before/after a meal. Exercise diary items include detailed items (e.g., RPE, exercise duration, calories, etc.) recorded as the user exercises. For example, after exercising, the user can enter information for each detailed item of the exercise diary entry.

이와 같이 자가입력 항목별로 입력되는 정보(예컨대, 건강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건강행태, 식사일기, 및 운동일기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를 자가입력 항목별 정보라고 할 수 있다.In this way, information entered for each self-input item (eg, including one or more of health behavior, meal diary, and exercise diary corresponding to a health program) may be referred to as information for each self-input item.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 may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terminal or a portable computer. 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including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and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Fi, LTE ( It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Long Term Evolution (Long Term Evolution) terminals. Portable computers may include notebooks, laptops, etc.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user terminal 10 may be various smart devices such as a smartphone, smart note, tablet PC, or wearable computer.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20)는 보건소 등의 의료기관에서 사용자(즉, 소정 기간동안 행해지는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용자)에게 배포한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어, 혈당계, 체성분계, 혈압계, 활동량계 등이 있을 수 있다.The health care service device 20 is a device distributed by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public health centers to users (i.e., users who participate in a health care program condu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xample, a blood sugar meter, body composition meter, blood pressure meter, activity level meter, etc. This can be.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20)에는 내부적으로 센서(도시 생략) 및 통신 모듈(도시 생략)이 장착되어 있다. 그에 따라, 혈당계, 체성분계, 혈압계, 활동량계는 사용자(즉, 소정 기간동안 행해지는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용자)가 해당 디바이스를 사용함에 따른 각종의 정보를 센싱하고, 센싱된 정보를 네트워크(4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The health care service device 20 is internally equipped with a sensor (not shown) and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ccordingly, the blood sugar meter, body composition meter, blood pressure meter, and activity meter sense various information as the user (i.e., a user who participates in a health management program condu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uses the device, and transmit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network (40). )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50.

예를 들어, 활동량계는 걸음수, 활동거리, 소모칼로리, 심박수 등의 정보를 서버(5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체성분계는 체중, 근육량, 체지방율, BMI 등의 정보를 서버(5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혈압계는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맥박 등의 정보를 서버(5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혈당계는 혈당의 정보를 서버(5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ctivity meter may transmit information such as number of steps, activity distance, calories burned, heart rate, etc. to the server 50. The body composition monitor can transmit information such as weight, muscle mass, body fat percentage, and BMI to the server 50. The blood pressure monitor can transmit information such as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to the server 50. The blood sugar meter can transmit blood sugar information to the server 50.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임의의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되면 해당 디바이스가 동작하여 소정의 측정 정보(예컨대, 활동량, 체성분, 혈압, 혈당 등에서 어느 하나의 측정 정보)를 서버(50)에게로 전송하므로,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20)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20)의 사용 정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a user uses a device, the device operates and transmits certain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information such as activity level,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blood sugar, etc.) to the server 50, thereby managing health.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rvice device 20 may be referred to as usage information of the health care service device 20.

도 1에서,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20)는 혈당계, 체성분계, 혈압계, 활동량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혈당계, 체성분계, 혈압계, 활동량계 이외의 다른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In FIG. 1, the health care service device 20 is shown as including a blood sugar meter, a body composition meter, a blood pressure meter, and an activity meter, but if necessary, it may additionally include devices other than a blood sugar meter, a body composition meter, a blood pressure meter, and an activity meter. You may.

관리자 단말(30)은 건강관리 서비스용 프로그램을 기획 또는 관리하는 자(즉, 관리자)의 단말이다. 바람직하게, 관리자는 보건소 등의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자일 수 있다.The administrator terminal 30 is a terminal of a person (i.e., administrator) who plans or manages a health care service program. Preferably, the manager may be a person working in a medical institution such as a public health center.

관리자 단말(30)은 네트워크(40)를 통해 서버(50)로부터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예컨대,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수신하여 화면표시할 수 있다. The manager terminal 30 may receive a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 (eg, in the form of a comparison graph interface) from the server 50 through the network 40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관리자는 해당 단말(30)에 화면표시되는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지표간 상관관계 등을 분석할 것이다.The manager will verify the validity of the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s displayed on the screen on the corresponding terminal 30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icators.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30)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nager terminal 30 may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terminal or portable computer. 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including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and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Fi, LTE ( It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Long Term Evolution (Long Term Evolution) terminals. Portable computers may include notebooks, laptops, etc.

또한, 관리자 단말(30)은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manager terminal 30 may be various smart devices such as a smartphone, smart note, tablet PC, or wearable computer.

네트워크(40)는 사용자 단말(10)과 서버(50)간의 통신,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20)와 서버(50)간의 통신, 관리자 단말(30)과 서버(50)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network 40 facilitates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server 50,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lth care service device 20 and the server 50,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administrator terminal 30 and the server 50. Let it be lost.

예를 들어, 네트워크(4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network 40 may be implemented as a wired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 Value Added Network (VAN).

또한, 네트워크(40)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twork 40 includes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Bluetooth,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and LTE (Long It can be implemented in all types of wireless networks such as Term Evolution).

필요에 따라서, 네트워크(40)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If necessary, the network 40 may be a mixed wired and wireless network.

서버(50)는 건강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 사용자 단말(10)에서의 자가입력 항목별 정보 및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20)의 사용 정보(예컨대,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함에 따른 활동량/체성분/혈압/혈당 등의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근거로 디바이스 사용률 및 자가입력 실천율을 계산할 수 있다.The server 50 provides information for each self-input item on the user terminal 10 in which a health program is in progress and usage information of the health care service device 20 (e.g., activity level/body composition/blood pressure according to the user's use of the device). /measurement information such as blood sugar) can be collected, and the device usage rate and self-input practice rat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또한, 서버(50)는 계산된 디바이스 사용률 및 자가입력 실천율 중에서 하나 이상을 근거로 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즉,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라고 함)를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50 may calculate an indicator (i.e., referred to as a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indicating the degree of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of health care program participants based on one or more of the calculated device usage rate and self-input practice rate. You can.

서버(50)는 산출된 지표를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로 시각화처리하여 관리자 단말(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rver 50 may visualize the calculated indicators in a comparison graph interface in a graph format and transmit them to the manager terminal 30.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FIG.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rver shown in FIG. 1.

서버(50)는 정보 수집부(51), 디바이스 사용률 계산부(52), 자가입력 실천율 계산부(53), 지표 산출부(54), 지표 송신부(55), 및 제어부(56)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50 may include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1, a device usage rate calculation unit 52, a self-input practice rate calculation unit 53, an indicator calculation unit 54, an indicator transmission unit 55, and a control unit 56. You can.

정보 수집부(51)는 건강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 사용자 단말(10)에서의 자가입력 항목별 정보 및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20)의 사용 정보(예컨대,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함에 따른 활동량/체성분/혈압/혈당 등의 측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1 provides information for each self-input item in the user terminal 10 in which a health program is in progress and usage information of the health care service device 20 (e.g., activity amount/bod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use of the device). /measurement information such as blood pressure/blood sugar, etc.) can be collected.

여기서, 정보 수집부(51)는 사용자 단말(10)의 자가입력 항목별 정보 및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20)의 사용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1 may periodically collect information for each self-input item of the user terminal 10 and usage information of the health care service device 20.

디바이스 사용률 계산부(52)는 각각의 디바이스(예컨대, 활동량계, 체성분계, 혈압계, 혈당계 등)의 측정 정보가 수집될때마다 입력 횟수를 카운트하여 이를 각각의 디바이스의 사용 횟수로서 누적시킨다. 또한, 디바이스 사용률 계산부(52)는 각각의 디바이스의 측정 정보가 수집될때마다 디바이스별 사용자 수를 카운팅하여 누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디바이스 사용률 계산부(52)는 정보 수집부(51)에서 수집되는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20)의 사용 정보를 근거로 디바이스 사용률을 계산할 수 있다.The device usage rate calculation unit 52 counts the number of inputs each time measurement information for each device (eg, activity meter, body composition monitor, blood pressure monitor, blood sugar meter, etc.) is collected and accumulates this number as the number of uses for each device. In addition, the device usage rate calculation unit 52 can count and accumulate the number of users for each device each time measurement information for each device is collected. As a result, the device usage rate calculation unit 52 can calculate the number of users in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1. The device usage rat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collected usage information of the health care service device 20.

상술한 디바이스 사용률은 디바이스별 최종 사용률, 및 디바이스 총 사용률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device usage rate may include the final usage rate for each device and the total device usage rate.

디바이스 총 사용률은 건강관리 서비스 완료자(즉,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완료한 참여자)중에서 지급받은 디바이스(예컨대, 혈당계, 체성분계, 혈압계, 활동량계)를 1회 이상 사용한 사람들의 분율의 합을 의미할 수 있다. 디바이스 총 사용률을 계산함에 있어서 디바이스별 최종 사용률이 가중치로서 적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별 최종 사용률은 특정 디바이스의 사용 쏠림으로 인한 통계 왜곡을 제거하기 위해 활용된다. The total device usage rate refers to the sum of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have used the issued device (e.g., blood glucose meter, body composition monitor, blood pressure monitor, activity monitor) at least once among health care service completers (i.e.,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health care program). You can. When calculating the total device usage rate, the final usage rate for each device can be applied as a weight. The final usage rate by device is used to eliminate statistical distortions caused by concentrated use of specific devices.

다시 말해서, 디바이스 총 사용률은 디바이스별 최종 사용률을 바탕으로 계산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별 최종 사용률은 건강관리 서비스의 마지막 주차(예컨대, 24주차가 될 수 있음) 디바이스별 1회 이상 사용자 수를 건강관리 서비스기간(즉,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간)중 디바이스별 1회 이상 사용자 수로 나누면 된다.In other words, the total device usage rat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final usage rate for each device. For example, the final usage rate by device is the last week of health care service (e.g., week 24). The number of users per device more than once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devices used during the health care service period (i.e., the period during which the health care program is implemented). Divide by the number of users per star more than once.

디바이스 총 사용률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하기와 같을 수 있다.The total device usage rate can be expressed as a formula as follows.

즉, "디바이스 총 사용률 = (A/(A+B+C+D))*(디바이스 a의 최종 사용률) + (B/(A+B+C+D))*(디바이스 b의 최종 사용률) + (C/(A+B+C+D))*(디바이스 c의 최종 사용률) + (D/(A+B+C+D))*(디바이스 d의 최종 사용률)"와 같을 수 있다. 상기의 수식은 4개의 디바이스(예컨대, 활동량계, 체성분계, 혈압계, 혈당계)를 사용한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서, A는 디바이스 a(예컨대, 활동량계)를 사용한 사용자 수를 의미할 수 있고, B는 디바이스 b(예컨대, 체성분계)를 사용한 사용자 수를 의미할 수 있고, C는 디바이스 c(예컨대, 혈압계)를 사용한 사용자 수를 의미할 수 있고, D는 디바이스 d(예컨대, 혈당계)를 사용한 사용자 수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디바이스의 갯수가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이라고 할지라도, 당업자라면 상기의 수식을 근거로 디바이스 총 사용률이 계산되어 질 수 있으리라는 것은 자명하게 알 수 있다.That is, “device total utilization = (A/(A+B+C+D))*(final utilization of device a) + (B/(A+B+C+D))*(final utilization of device b) + (C/(A+B+C+D))*(final utilization rate of device c) + (D/(A+B+C+D))*(final utilization rate of device d)". The above formula assumes the use of four devices (e.g., activity meter, body composition monitor, blood pressure monitor, and blood sugar meter), where A may refer to the number of users using device a (e.g., activity meter), and B may mean the number of users using device a (e.g., activity meter). may refer to the number of users using device b (e.g., body composition monitor), C may refer to the number of users using device c (e.g., blood pressure monitor), and D may refer to the number of users using device d (e.g., blood sugar monitor). It can mean. Even if the number of devices is 3 or less or 5 or mor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total device usage rat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above formula.

디바이스 사용률 계산부(52)는 보건소 등의 의료기관에서 시행하는 각각의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주기별로 디바이스 사용률을 계산할 수 있다.The device usage rate calculation unit 52 may calculate the device usage rate for each cycle of each health care program implemented by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public health centers.

자가 입력 실천율 계산부(53)는 다수의 자가입력 항목(예컨대, 건강행태, 식사일기, 운동일기)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때마다 해당 자가입력 항목을 입력한 사용자의 수를 카운트하여 누적시킬 수 있다. 또한, 자가 입력 실천율 계산부(53)는 다수의 자가입력 항목(예컨대, 건강행태, 식사일기, 운동일기)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때마다 해당 자가입력 항목의 입력 횟수를 카운트하여 누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자가입력 실천율 계산부(53)는 정보 수집부(51)에서 수집되는 사용자 단말(10)의 자가입력 항목별 정보를 근거로 자가입력 실천율을 계산할 수 있다. The self-input practice rate calculation unit 53 counts the number of users who entered the self-input item each time information on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self-input items (e.g., health behavior, meal diary, exercise diary) is collected. It can be accumulated. In addition, the self-input practice rate calculation unit 53 counts and accumulates the number of times the self-input item has been entered each time information on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self-input items (e.g., health behavior, meal diary, exercise diary) is collected. You can do it. Accordingly, the self-input practice rate calculation unit 53 can calculate the self-input practice rate based on the information for each self-input item of the user terminal 10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1.

상술한 자가입력 실천율은 자가입력 항목별 최종 실천율, 및 자가입력 총 실천율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lf-input practice rate described above may include the final practice rate for each self-input item and the total self-input practice rate.

자가입력 총 실천율은 건강관리 서비스 완료자(즉,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완료한 참여자)중에서 자가입력 항목별 1건 이상 입력한 사람들의 분율의 합을 의미할 수 있다. 자가입력 총 실천율을 계산함에 있어서 자가입력 항목별 최종 실천율이 가중치로서 적용될 수 있다. 자가입력 항목별 최종 실천율은 특정 자가입력 항목에 쏠림으로 인한 통계 왜곡을 제거하기 위해 활용된다. The total self-input practice rate may mean the sum of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entered at least one self-input item among those who completed health care services (i.e., participants who completed a health care program). When calculating the total self-input practice rate, the final practice rate for each self-input item can be applied as a weight. The final implementation rate for each self-input item is used to eliminate statistical distortion caused by focusing on specific self-input items.

다시 말해서, 자가입력 총 실천율은 자가입력 항목별 최종 실천율을 바탕으로 계산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가입력 항목별 최종 실천율은 건강관리 서비스의 마지막 주차(예컨대, 24주차가 될 수 있음) 자가입력 항목별 1회이상 입력 실천자 수를 건강관리 서비스기간(즉,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간)중 1회 이상 자가입력 항목별 입력 실천자 수로 나누면 된다.In other words, the total self-input practice rat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final practice rate for each self-input item. For example, the final practice rate for each self-entered item is the last week of health care service (for example, it could be week 24). The number of practitioners who entered each self-entered item more than once is calculated by the health care service period (i.e., the number of people who implemented the health care program). Self-input at least once during the period) can be divided by the number of people who entered each item.

자가입력 총 실천율은 수식으로 표현하면 하기와 같을 수 있다.The total self-input practice rate can be expressed as a formula as follows.

즉, "자가입력 총 실천율 = (E/(E+F+G))*(건강행태 입력의 최종 실천율) + (F/(E+F+G))*(식사일기 입력의 최종 실천율) + (G/(E+F+G))*(운동일기 입력의 최종 실천율)"와 같을 수 있다. 상기의 수식에서, E는 건강행태 입력자 수를 의미할 수 있고, F는 식사일기 입력자 수를 의미할 수 있고, G는 운동일기 입력자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의 자가입력 총 실천율의 수식은 자가입력 항목을 3개(건강행태, 식사일기, 운동일기)로 설정한 경우를 상정한 것인데, 만약 자가입력 항목의 갯수가 4개 이상이라고 할지라도 당업자라면 상기의 수식을 근거로 자가입력 총 실천율이 계산되어질 수 있으리라는 것은 자명하게 알 수 있다.In other words, "Total practice rate of self-input = (E/(E+F+G))*(final practice rate of health behavior entry) + (F/(E+F+G))*(final practice rate of food diary entry) + It can be equal to “(G/(E+F+G))*(final practice rate of exercise diary entry)”. In the above formula, E may mean the number of people who entered health behavior, F may mean the number of people who entered a meal diary, and G may mean the number of people who entered an exercise diary. The formula for the total self-input rate is assumed to be set to 3 self-input items (health behavior, food diary, exercise diary). Even if the number of self-input items is 4 or m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It is clear that the total self-input practice rat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formula.

자가입력 실천율 계산부(53)는 보건소 등의 의료기관에서 시행하는 각각의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주기별로 자가입력 실천율을 계산할 수 있다.The self-input practice rate calculation unit 53 can calculate the self-input practice rate for each cycle of each health care program implemented by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public health centers.

지표 산출부(54)는 디바이스 사용률 계산부(52)에서 계산된 디바이스 사용률(예컨대, 디바이스별 최종 사용률, 및 디바이스 총 사용률을 포함) 및 자가입력 실천율 계산부(53)에서 계산된 자가입력 실천율(예컨대, 자가입력 항목별 최종 실천율, 및 자가입력 총 실천율을 포함)을 근거로, 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즉,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라고 함)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표 산출부(54)는 계산된 디바이스 사용률 또는 자가입력 실천율을 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지표 산출부(54)는 디바이스 사용률과 자가입력 실천율을 합산하여 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지표 산출부(54)는 디바이스 사용률과 자가입력 실천율을 조합 연산하여 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The indicator calculation unit 54 includes the device usage rate calculated by the device usage rate calculation unit 52 (e.g., including the final usage rate for each device and the total device usage rate) and the self-input practice rate calculated by the self-input practice rate calculation unit 53 ( For example, based on the final practice rate for each self-entered item and the total self-entered practice rate), an indicator indicating the degree of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of health care program participants (i.e., referred to as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can be calculated. You can. For example, the indicator calculation unit 54 may use the calculated device usage rate or self-input practice rate as an indicator of health care behavior habits of health care program participants. As another example, the indicator calculation unit 54 may calculate an indicator of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of health care program participants by adding the device usage rate and self-input practice rate. As another example, the indicator calculation unit 54 may calculate a combination of the device usage rate and the self-input practice rate to calculate the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ex of health care program participants.

또한, 지표 산출부(54)는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연도별, 성별, 연령별로 구분된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로 시각화처리할 수 있다. 이는 관리자측에서 직관적이고 명확하게 지표 파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지표 산출부(54)는 시각화 처리모듈(도시 생략)을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In addition, the index calculation unit 54 can visualize the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in a comparative graph interface in a graph format divided by year, gender, and age. This is to enable managers to understand indicators intuitively and clearly. To this end, the index calculation unit 54 can be understood as having a built-in visualization processing module (not shown).

예를 들어, 지표 산출부(54)는 디바이스 사용률 및 자가입력 실천율에 근거한 지표를 연도별, 성별, 연령별로 구분하여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되거나 스크롤방식으로 화면표시되도록 시각화처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dicator calculation unit 54 can visualize indicators based on device usage rate and self-input practice rate by dividing them by year, gender, and age and displaying them together on one screen or in a scrolling manner.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지표 산출부(54)는 디바이스 사용률에 근거한 지표를 연도별, 성별, 연령별로 구분하여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되거나 스크롤방식으로 화면표시되도록 시각화처리할 수 있다. Additionally, if necessary, the index calculation unit 54 may visualize the index based on the device usage rate by dividing it by year, gender, and age and displaying them together on one screen or in a scrolling manner.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지표 산출부(54)는 자가입력 실천율에 근거한 지표를 연도별, 성별, 연령별로 구분하여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되거나 스크롤방식으로 화면표시되도록 시각화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indicator calculation unit 54 can visualize the indicators based on the self-input practice rate by dividing them by year, gender, and age and displaying them together on one screen or in a scrolling manner.

지표 송신부(55)는 지표 산출부(54)에서 시각화처리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관리자 단말(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The indicator transmitter 55 may transmit the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 visualized in the indicator calculation unit 54 to the manager terminal 30.

제어부(56)는 서버(5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정보 수집부(51), 디바이스 사용률 계산부(52), 자가입력 실천율 계산부(53), 지표 산출부(54), 및 지표 송신부(55)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6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rver 50, including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1, a device usage rate calculation unit 52, a self-input practice rate calculation unit 53, an indicator calculation unit 54, and an indicator transmission unit. (55) The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can be managed.

상기에서는 지표 산출부(54)가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연도별, 성별, 연령별로 구분된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로 시각화처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지표 송신부(55)가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로 시각화처리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In the above, it has been explained that the indicator calculation unit 54 visualizes the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 in a graph format comparison graph interface divided by year, gender, and age. However, if necessary, the indicator transmitter 55 may be processed in a graph format. It may be visualized using the comparison graph interface.

상술한 바와 같은 서버(50)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장치의 일 예가 될 수 있다.The server 50 as described above may be an example of a device for providing a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 as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단, 서버(50)는 건강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 사용자 단말(10)에서의 자가입력 항목별 정보 및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20)로부터의 사용 정보(예컨대,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사용함에 따른 활동량/체성분/혈압/혈당 등의 측정 정보)를 수집한다(S10).First, the server 50 receives information for each self-input item from the user terminal 10 in which a health program is in progress and usage information from the health management service device 20 (e.g., the amount of activity/activity due to the user using the device). Measurement information (body composition/blood pressure/blood sugar, etc.) is collected (S10).

그리고 나서, 서버(50)는 수집된 정보를 근거로 디바이스 사용률(즉, 디바이스별 최종 사용률, 및 디바이스 총 사용률을 포함) 및 자가입력 실천율(즉, 자가입력 항목별 최종 실천율, 및 자가입력 총 실천율을 포함)을 계산한다(S20). 즉, 서버(50)는 수집된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20)의 사용 정보를 근거로 디바이스 사용률을 계산할 수 있고, 수집된 사용자 단말(10)의 자가입력 항목별 정보를 근거로 자가입력 실천율을 계산할 수 있다. Then, the server 50 determines the device usage rate (i.e., including the final usage rate for each device and the total device usage rate) and the self-input action rate (i.e., the final action rate for each self-input item and the total self-input action rate)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including) is calculated (S20). In other words, the server 50 can calculate the device usage rate based on the collected usage information of the health care service device 20, and calculate the self-input practice rate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for each self-input item of the user terminal 10. It can be calculated.

이후, 서버(50)는 계산된 디바이스 사용률 및 자가입력 실천율 중에서 하나 이상을 근거로 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즉,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산출한다(S30). 예를 들어, 서버(50)는 계산된 디바이스 사용률 또는 자가입력 실천율을 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서버(50)는 디바이스 사용률과 자가입력 실천율을 합산하여 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서버(50)는 디바이스 사용률과 자가입력 실천율을 조합 연산하여 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Thereafter, the server 50 calculates an index (i.e.,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indicating the degree of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of health care program participants based on one or more of the calculated device usage rate and self-input practice rate (S30). For example, the server 50 may use the calculated device usage rate or self-input practice rate as an indicator of health care behavior habits of health care program participants. As another example, the server 50 may calculate the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ex of health care program participants by adding the device usage rate and self-input practice rate. As another example, the server 50 may calculate the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ex of health care program participants by combining the device usage rate and self-input practice rate.

서버(50)는 산출된 지표를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로 시각화처리한다(S40). The server 50 visualizes the calculated indicators in a comparison graph interface in a graph format (S40).

그리고 나서, 서버(50)는 시각화처리한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30)에게로 전송한다(S50).Then, the server 50 transmits the visualized comparison graph interface to the manager terminal 30 (S50).

도 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방법 설명에 채용되는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의 예들이다.Figures 4 to 19 are examples of comparison graph interfaces used to explain a method of providing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버(50)는 각 디바이스별 최종 사용률을 근거로 산출된 지표를 시각화처리하여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연도별, 성별, 연령별로 구분된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관리자 단말(30)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의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가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되거나 스크롤방식으로 화면표시될 수 있다. The server 50 visualizes the indicators calculated based on the final usage rate for each device and provides a comparison graph interface in the form of a graph divided by year, gender, and age to the manager terminal 30 as shown in FIGS. 4 to 6. It can be sent to . Accordingly, in the manager terminal 30, the comparison graph interface in the graph format of FIGS. 4 to 6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one screen or may be displayed in a scrolling manner.

또한, 서버(50)는 디바이스 총 사용률을 근거로 산출된 지표를 시각화처리하여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연도별, 성별, 연령별로 구분된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관리자 단말(30)에서는 도 7 내지 도 9의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가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되거나 스크롤방식으로 화면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50 visualizes the indicators calculated based on the total device usage rate and provides a comparison graph interface in the form of a graph divided by year, gender, and age to the manager terminal 30 as shown in FIGS. 7 to 9. It can be sent to . Accordingly, in the manager terminal 30, the comparison graph interface in the graph format of FIGS. 7 to 9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one screen or displayed in a scrolling manner.

또한, 서버(50)는 자가입력 항목별 최종 실천율을 근거로 산출된 지표를 시각화처리하여 도 10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연도별, 성별, 연령별로 구분된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관리자 단말(30)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의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가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되거나 스크롤방식으로 화면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50 visualizes the indicators calculated based on the final practice rate for each self-input item and displays a comparative graph interface in the form of a graph divided by year, gender, and age as shown in FIGS. 10 to 12 at the administrator terminal ( 30) can be sent to. Accordingly, in the manager terminal 30, the comparison graph interface in the graph format of FIGS. 10 to 12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one screen or may be displayed in a scrolling manner.

또한, 서버(50)는 자가입력 총 실천율을 근거로 산출된 지표를 시각화처리하여 도 13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연도별, 성별, 연령별로 구분된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관리자 단말(30)에서는 도 13 내지 도 15의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가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되거나 스크롤방식으로 화면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50 visualizes the indicators calculated based on the self-input total practice rate and provides a comparative graph interface in the form of a graph divided by year, gender, and age as shown in FIGS. 13 to 15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30. It can be sent to . Accordingly, in the administrator terminal 30, the comparison graph interface in the graph format of FIGS. 13 to 15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one screen or may be displayed in a scrolling manner.

그에 따라, 관리자는 해당 단말(30)에 디스플레이되는 도 4 내지 도 15의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를 확인함에 따라, 각 디바이스 사용률, 자가입력 실천율 등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nager can intuitively understand each device usage rate, self-input practice rate, etc. by checking the comparison graph interface in the graph format of FIGS. 4 to 15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terminal 30.

한편, 서버(50)는 디바이스 사용률 및 자가입력 실천율을 시각화처리하여 건강행태 개선자에 대한 도 16에서와 같은 연도별, 성별, 연령별로 구분된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rver 50 visualizes the device usage rate and self-input practice rate and provides the manager terminal 30 with a comparison graph interface in the form of a graph divided by year, gender, and age as shown in FIG. 16 for health behavior improvers. It can be sent to .

한편으로, 서버(50)는 디바이스 사용률 및 자가입력 실천율을 시각화처리하여 건강행태 미개선자에 대한 도 17에서와 같은 연도별, 성별, 연령별로 구분된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rver 50 visualizes the device usage rate and self-input practice rate and provides a comparison graph interface in the form of a graph divided by year, gender, and age as shown in FIG. 17 for those who have not improved their health behavior to the manager terminal 30. It can be sent to .

한편으로, 서버(50)는 디바이스 사용률 및 자가입력 실천율을 시각화처리하여 건강위험요인 감소자에 대한 도 18에서와 같은 연도별, 성별, 연령별로 구분된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rver 50 visualizes the device usage rate and self-input practice rate and displays a comparative graph interface in the form of a graph divided by year, gender, and age as shown in FIG. 18 for those with reduced health risk factors on the administrator terminal (30). ) can be sent to.

한편으로, 서버(50)는 디바이스 사용률 및 자가입력 실천율을 시각화처리하여 건강위험요인 미감소자에 대한 도 19에서와 같은 연도별, 성별, 연령별로 구분된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를 관리자 단말(3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rver 50 visualizes the device usage rate and self-input practice rate and displays a comparative graph interface in the form of a graph divided by year, gender, and age as shown in FIG. 19 for those who have not reduced health risk factors on the administrator terminal (30). ) can be sent to.

그에 따라, 관리자는 해당 단말(30)에 디스플레이되는 도 16 내지 도 19의 그래프 형식의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를 확인함에 따라, 실제 건강행동 습관화 정도가 높을수록(즉, 디바이스 사용률 또는 자가입력 실천율이 높을수록) 건강 지표도 유지되거나 개선되었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관리자는 디바이스 사용을 많이 하고 자가입력을 잘 할 경우에는 건강행태 개선/유지의 효과가 있으며 위험요인 감소 효과도 작게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manager checks the comparison graph interface in the graph format of FIGS. 16 to 19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terminal 30, the higher the degree of actual health behavior habituation (i.e., the higher the device usage rate or self-input practice rate), the higher the ) You can intuitively confirm that health indicators are maintained or improved. In other words, if managers use devices a lot and are good at self-inpu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maintaining health behavior and a small effect of reducing risk factor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업, 공공기관 등 건강 관리 기관의 사업 검증 서비스의 지표의 출력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고, 헬스케어 프로그램의 사용자 실천도를 지표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데 이용할 수 있으며, 건강 관리 사업의 후속관리 프로세스의 모니터링 화면 출력에 이용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utput method for business verification services of health care institutions such as companies and public institutions, and can be used to index and display the user practice level of a health care program, and can be used to display health care programs. It can be used to output the monitoring screen of the project's follow-up management process.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providing a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dditionally,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claims.

10 : 사용자 단말 20 :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
30 : 관리자 단말 40 : 네트워크
50 : 서버 51 : 정보 수집부
52 : 디바이스 사용률 계산부 53 : 자가입력 실천율 계산부
54 : 지표 산출부 55 : 지표 송신부
56 : 제어부
10: User terminal 20: Device for health care services
30: Administrator terminal 40: Network
50: Server 51: Information collection unit
52: Device usage rate calculation unit 53: Self-input practice rate calculation unit
54: indicator calculation unit 55: indicator transmitter
56: control unit

Claims (15)

건강 프로그램 진행에 따라 수집되는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의 사용 정보를 근거로 디바이스 사용률을 계산하는 디바이스 사용률 계산부;
상기 건강 프로그램 진행에 따라 수집되는 사용자 단말의 자가입력 항목별 정보를 근거로 자가입력 실천율을 계산하는 자가입력 실천율 계산부;
상기 계산된 디바이스 사용률 및 자가입력 실천율 중에서 하나 이상을 근거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로 시각화처리하는 지표 산출부; 및
상기 시각화처리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상기 건강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지표로서 출력하는 지표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는, 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에게 배포된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 사용률 계산부는,
각각의 디바이스의 측정 정보가 수집될 때마다 입력 횟수를 카운트하여 이를 각각의 디바이스의 사용 횟수로서 누적시키고, 각각의 디바이스의 측정 정보가 수집될 때마다 디바이스별 사용자 수를 카운팅하여 누적시키며,
상기 디바이스 사용률은,
상기 건강 프로그램의 마지막 주차 디바이스별 1회 이상 사용자 수를 건강관리 서비스 기간 중 디바이스별 1회 이상 사용자 수로 나눈 값인 디바이스별 최종 사용률; 및
건강관리 서비스 완료자중에서 지급받은 디바이스를 1회 이상 사용한 사람들의 분율의 합에 상기 디바이스별 최종 사용률을 가중치로서 적용한 디바이스 총 사용률;을 포함하고,
상기 자가 입력 실천율 계산부는,
자가입력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 때마다 해당 자가입력 항목을 입력한 사용자의 수 및 해당 자가입력 항목의 입력 횟수를 카운트하여 누적시키며,
상기 자가입력 실천율은,
상기 건강 프로그램의 마지막 주차 자가입력 항목별 1회 이상 입력 실천자 수를 건강관리 서비스 기간 중 1회 이상 자가입력 항목별 입력 실천자 수로 나눈 값인 자가입력 항목별 최종 실천율; 및
건강관리 서비스 완료자중에서 자가입력 항목별 1건 이상 입력한 사람들의 분율의 합에 상기 자가입력 항목별 최종 실천율을 가중치로서 적용한 자가입력 총 실천율;을 포함하고,
상기 지표 산출부는 상기 디바이스 사용률 및 상기 자가입력 실천율을 조합 연산하여 상기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산출하는
건강 프로그램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장치.
a device usage rat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device usage rate based on usage information of devices for health care services collected as the health program progresses;
a self-input practice rat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self-input practice rate based on information for each self-input item of the user terminal collected as the health program progresses;
an index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based on one or more of the calculated device usage rate and self-input practice rate, and visualizes the calculated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in a comparison graph interface; and
It includes an indicator transmitter that outputs the visualized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 as an indicator corresponding to the health program,
The health care service device is a device distributed to health care program participants,
The device usage rate calculation unit,
Each time measurement information for each device is collected, the number of inputs is counted and accumulated as the number of uses for each device, and each time measurement information for each device is collected, the number of users for each device is counted and accumulated.
The device usage rate is,
A final usage rate for each device, which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number of users of the health program at least once for each device during the last parking period by the number of users for each device at least once during the health care service period; and
It includes a total device usage rate calculated by applying the final usage rate for each device as a weight to the sum of the proportions of people who used the device provided at least once among those who completed health care services,
The self-input practice rate calculation unit,
Whenever information on one or more of the self-input items is collected, the number of users who entered the self-input item and the number of times the self-input item was entered are counted and accumulated.
The self-input practice rate is,
The final practice rate for each self-input item, which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number of practitioners who entered each self-input item at least once in the last week of the health program by the number of practitioners who entered each self-input item at least once during the health care service period; and
Includes a total self-input practice rate that applies the final practice rate for each self-input item as a weight to the sum of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entered at least one self-input item among those who completed health care services,
The indicator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 by combining the device usage rate and the self-input practice rate.
A device that provides indicators for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 health program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는,
혈당계와 체성분계와 혈압계 및 활동량계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건강 프로그램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device for health care services is,
Containing one or more of a blood sugar meter, a body composition meter, a blood pressure meter, and an activity meter,
A device that provides indicators for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 health program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계와 체성분계와 혈압계 및 활동량계가 상기 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에게 배포된 경우, 상기 디바이스 총 사용률은 하기의 식,
디바이스 총 사용률 = (A/(A+B+C+D))*(활동량계의 최종 사용률) + (B/(A+B+C+D))*(체성분계의 최종 사용률) + (C/(A+B+C+D))*(혈압계의 최종 사용률) + (D/(A+B+C+D))*(혈당계의 최종 사용률)
(여기서, 상기 A는 활동량계를 사용한 사용자 수를 의미하고, 상기 B는 체성분계를 사용한 사용자 수를 의미하고, 상기 C는 혈압계를 사용한 사용자 수를 의미하고, 상기 D는 혈당계를 사용한 사용자 수를 의미함.)
으로 구해지는,
건강 프로그램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When the blood sugar monitor, body composition monitor, blood pressure monitor, and activity monitor are distributed to participants in the health care program, the total device usage rate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Total device usage rate = (A/(A+B+C+D))*(Final usage rate of activity tracker) + (B/(A+B+C+D))*(Final usage rate of body composition monitor) + (C /(A+B+C+D))*(Final usage rate of blood pressure monitor) + (D/(A+B+C+D))*(Final usage rate of blood glucose meter)
(Here, A refers to the number of users using an activity meter, B refers to the number of users using a body composition monitor, C refers to the number of users using a blood pressure monitor, and D refers to the number of users using a blood sugar monitor. Meaning.)
Saved by,
A device that provides indicators for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 health program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자가입력 항목별 정보는,
상기 건강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건강행태, 식사일기, 및 운동일기 중에서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information for each self-input item of the user terminal is,
Contain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items among health behavior, meal diary, and exercise diary corresponding to the health program,
A device that provides indicators for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행태, 식사일기, 및 운동일기가 상기 자가입력 항목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자가입력 총 실천율은 하기의 식,
자가입력 총 실천율 = (E/(E+F+G))*(건강행태 입력의 최종 실천율) + (F/(E+F+G))*(식사일기 입력의 최종 실천율) + (G/(E+F+G))*(운동일기 입력의 최종 실천율)
(여기서, 상기 E는 건강행태 입력자 수를 의미하고, 상기 F는 식사일기 입력자 수를 의미하고, 상기 G는 운동일기 입력자 수를 의미함.)
으로 구해지는,
건강 프로그램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If the health behavior, meal diary, and exercise diary are included in the self-input items, the total self-input practice rate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Total practice rate of self-input = (E/(E+F+G))*(final practice rate of health behavior entry) + (F/(E+F+G))*(final practice rate of food diary entry) + (G/ (E+F+G))*(Final implementation rate of exercise diary entries)
(Here, E refers to the number of health behavior entryrs, F refers to the number of food diary entries, and G refers to the number of exercise diary entries.)
Saved by,
A device that provides indicators for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 health program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산출부는,
상기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연도별, 성별, 연령별로 구분하여 하나의 화면에 함께 표시되거나 스크롤방식으로 화면표시되도록 시각화처리하는,
건강 프로그램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indicator calculation unit,
The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s are categorized by year, gender, and age and visualized so that they are displayed together on one screen or displayed in a scrolling manner.
A device that provides indicators for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 health programs.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방법으로서,
건강 프로그램 진행에 따라 수집되는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의 사용 정보를 근거로 디바이스 사용률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건강 프로그램 진행에 따라 수집되는 사용자 단말의 자가입력 항목별 정보를 근거로 자가입력 실천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디바이스 사용률 및 자가입력 실천율 중에서 하나 이상을 근거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비교 그래프 인터페이스로 시각화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각화처리된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상기 건강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지표로서 관리자 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용 디바이스는, 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자에게 배포된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 사용률을 계산하는 단계는,
각각의 디바이스의 측정 정보가 수집될 때마다 입력 횟수를 카운트하여 이를 각각의 디바이스의 사용 횟수로서 누적시키고, 각각의 디바이스의 측정 정보가 수집될 때마다 디바이스별 사용자 수를 카운팅하여 누적시키며,
상기 디바이스 사용률은,
상기 건강 프로그램의 마지막 주차 디바이스별 1회 이상 사용자 수를 건강관리 서비스 기간 중 디바이스별 1회 이상 사용자 수로 나눈 값인 디바이스별 최종 사용률; 및
건강관리 서비스 완료자중에서 지급받은 디바이스를 1회 이상 사용한 사람들의 분율의 합에 상기 디바이스별 최종 사용률을 가중치로서 적용한 디바이스 총 사용률;을 포함하고,
상기 자가입력 실천율을 계산하는 단계는,
자가입력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 때마다 해당 자가입력 항목을 입력한 사용자의 수 및 해당 자가입력 항목의 입력 횟수를 카운트하여 누적시키며,
상기 자가입력 실천율은,
상기 건강 프로그램의 마지막 주차 자가입력 항목별 1회 이상 입력 실천자 수를 건강관리 서비스 기간 중 1회 이상 자가입력 항목별 입력 실천자 수로 나눈 값인 자가입력 항목별 최종 실천율; 및
건강관리 서비스 완료자중에서 자가입력 항목별 1건 이상 입력한 사람들의 분율의 합에 상기 자가입력 항목별 최종 실천율을 가중치로서 적용한 자가입력 총 실천율;을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사용률 및 상기 자가입력 실천율을 조합 연산하여 상기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를 산출하는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방법.
As a method of providing a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provided by a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providing device,
Calculating a device usage rate based on usage information of a healthcare service device collected as the health program progresses;
Calculating a self-input practice rate based on information for each self-input item of the user terminal collected as the health program progresses;
Calculating a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based on one or more of the calculated device usage rate and self-input practice rate;
Visualizing the calculated health management behavior habituation index using a comparison graph interface; and
A step of outputting the visualized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as an index corresponding to the health program through an administrator terminal,
The health care service device is a device distributed to health care program participants,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evice usage rate is,
Each time measurement information for each device is collected, the number of inputs is counted and accumulated as the number of uses for each device, and each time measurement information for each device is collected, the number of users for each device is counted and accumulated.
The device usage rate is,
A final usage rate for each device, which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number of users of the health program at least once for each device during the last parking period by the number of users for each device at least once during the health care service period; and
It includes a total device usage rate calculated by applying the final usage rate for each device as a weight to the sum of the proportions of people who used the device provided at least once among those who completed health care services,
The step of calculating the self-input practice rate is,
Whenever information on one or more of the self-input items is collected, the number of users who entered the self-input item and the number of times the self-input item was entered are counted and accumulated.
The self-input practice rate is,
The final practice rate for each self-input item, which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number of practitioners who entered each self-input item at least once in the last week of the health program by the number of practitioners who entered each self-input item at least once during the health care service period; and
Includes a total self-input practice rate that applies the final practice rate for each self-input item as a weight to the sum of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entered at least one self-input item among those who completed health care services,
Calculate the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ex by combining the device usage rate and the self-input practice rate.
How to provide indicators for habituation of health care behavior.
KR1020210106014A 2021-08-11 2021-08-1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s of health programs Active KR1026590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14A KR102659016B1 (en) 2021-08-11 2021-08-1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s of health progra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14A KR102659016B1 (en) 2021-08-11 2021-08-1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s of health progra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014A KR20230024014A (en) 2023-02-20
KR102659016B1 true KR102659016B1 (en) 2024-04-18

Family

ID=8532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014A Active KR102659016B1 (en) 2021-08-11 2021-08-1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s of health progra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016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610A (en) * 2008-06-27 2010-01-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Ubiquitous hypertens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clinical decision supporting system
KR20150034556A (en) * 2013-09-26 2015-04-03 주식회사 어웨이크그룹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for managing habits of a user of a mobile device, mobile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
KR101439810B1 (en) 2014-05-07 2014-09-12 국민건강보험공단 System and method for health, disease-index formation and healthcare support of regional and workplace unit
KR101584623B1 (en) 2014-06-24 2016-01-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management service
KR102323211B1 (en) * 2014-11-04 2021-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health car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48751B1 (en) * 2018-11-12 2021-05-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aging health of chronic patient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014A (en) 202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ultz et al. The use of medical scribes in health care settings: a systematic review and future directions
Zhou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electronic health record use and quality of care over time
Yakusheva et al. Economic evaluation of the 80% baccalaureate nurse workforce recommendation: a patient-level analysis
Roux et al. Cost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Sternfeld et al. A systematic approach to selecting an appropriate measure of self-reported physical activity or sedentary behavior
Kirkham et al. Which modifiable health risks are associated with changes in productivity costs?
Menzies et al. The determinants of HIV treatment costs in resource limited settings
Sorenson et al. Advancing value assessment in the United States: a multistakeholder perspective
Du et al. The use of count data models in biomedical informatics evaluation research
US838699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 software design
Vanderby et al. Modelling the future of the Canadian cardiac surgery workforce using system dynamics
Garcia Variability in acuity in acute care
van Velthoven et al. How standards and user involvement can improve app quality: a lifecycle approach
James Improving referrals to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in medically underserved adults
Dahri et al. Usability evaluation of mobile health application from AI perspective in rural areas of Pakistan
Gabrys et al. Effects of a structured physical-activity counseling and referral scheme in long-term unemployed individuals: A pilot accelerometer study
Balkrishnan et al. Capitation payment, length of visit, and preventive services: evidence from a national sample of outpatient physicians
Peabody et al. Prevalen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family physicians providing e-visits
Moss et al. Costing nursing care: using the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to value nursing intervention in an acute-care setting
Levine et al. The safety of outpatient health care: review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US10068492B2 (en) Controlled resources based on good behavior
Menachemi et al. Predictors of physician satisfaction among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users
Doley et al. Early implementation of malnutrition clinical quality metrics to identify institutional performance improvement needs
Chaisurin et al. A self-liberation intervention using a pedometer to encourage physical activity among sedentary nursing staf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KR1026590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behavior habituation indicators of health progr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4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4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