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0729B1 - Dust collect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Dust collecting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0729B1 KR102670729B1 KR1020220152918A KR20220152918A KR102670729B1 KR 102670729 B1 KR102670729 B1 KR 102670729B1 KR 1020220152918 A KR1020220152918 A KR 1020220152918A KR 20220152918 A KR20220152918 A KR 20220152918A KR 102670729 B1 KR102670729 B1 KR 1026707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injection
- guide member
- gas
- vortex
- injection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8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517 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208 Crucible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628 steelm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7—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internal rotors, e.g. impeller, ventilator, fan, blower, pum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8—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injection or suction of gas or liquid into the cyclo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처리물을 흡입시키도록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후드 및 후드의 하측공간에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흡입기 를 포함하고, 흡입기는, 후드의 하측공간에 가스를 분사하도록 후드의 하측에 설치된 가스 분사부 및 일측면이 가스 분사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와류 생성부를 향하도록 설치된 가이드 부재, 와류 생성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후드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후드의 하측에 와류를 생성시킬 수 있다. 즉, 후드에서 발생되는 흡입력 외에, 와류에 의한 흡입력을 추가로 생성한다. 따라서 흡입력이 영향을 미치는 영역이 증가 또는 확대된다. 이에, 후드의 직하부 영역뿐만 아니라, 후드의 폭 방향 및 길이방향 외측의 처리물도 함께 집진시킬 수 있어, 집진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dus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od capable of generating suction force inside to suck in the treated material and an inhaler capable of generating a vortex in the lower space of the hood, and the inhaler is located in the lower space of the hood. A gas injection unit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od to spray gas, a guide member with one side installed toward the vortex generator, which is a space surrounded by the gas injection unit, and a rotatable fan installed inside the hood to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vortex generator. can do.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rtex can be generated under the hood. That is, in addition to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hood, suction force is additionally generated by the vortex. Therefore, the area over which the suction force is affected increases or expands. Accordingly, dust can be collected not only in the area immediately below the hood but also on the outside of the hood in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thereby improving dust collection efficiency.
Description
본원발명은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물의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ust collection device that can improv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reated materials.
일반적으로 제철소, 주물 공장, 석탄 화력발전소, 미곡 종합처리장, 시멘트 공장 등의 산업현장에서는 다량의 분진 또는 흄(fume) 등의 오염물질이 발생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산업현장 및 그 주위의 환경을 오염시키고, 작업자의 건강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In general, large amounts of pollutants such as dust or fume are generated at industrial sites such as steel mills, foundries, coal-fired power plants, rice processing plants, and cement factories. These pollutants contaminate industrial site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worsen the health of workers.
따라서, 오염물질이 발생되는 구역 또는 장치 주변에 집진장치를 설치한다. 집진장치는 후드, 후드에 연결되며 흡입력이 발생되는 덕트 및 흡입된 공기 중에서 오염물질을 걸러내도록 덕트에 설치된 집진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집진장치는 후드 및 덕트를 통해 오염물질이 혼합된 공기(air)를 흡입하고, 집진부를 통해 공기 중 오염물질을 걸러내어 집진한다. 그리고 오염물질이 걸러진 또는 제거된 공기를 덕트 외부로 배출시킨다.Therefore, a dust collection device is installed around the area or device where pollutants are generated. The dust collection device includes a hood, a duct connected to the hood and generating suction force, and a dust collection unit installed in the duct to filter out contaminants from the sucked air. This dust collection device sucks air mixed with pollutants through a hood and duct, filters out pollutants in the air through a dust collection unit, and collects dust. Then, the air from which pollutants have been filtered or remov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uct.
그런데 이러한 집진장치에 의하면, 후드 직하부의 오염물질을 흡입시켜 집진시킬 수 있지만, 후드의 폭 방향 외측의 오염물질은 흡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산업현장에 오염물질 잔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However, according to this dust collection device, pollutants directly below the hood can be sucked in and collected,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uck pollutants outside the hood in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decreases, resulting in the problem of contaminants remaining at industrial sites.
본원발명은 처리물의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on device that can improv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reated materials.
본원발명은 흡입력이 영향을 미치는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on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area affected by suction for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처리물을 흡입시키도록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후드; 및 상기 후드의 하측공간에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흡입기; 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기는, 상기 후드의 하측공간에 가스를 분사하도록, 상기 후드의 하측에 설치된 가스 분사부; 및 일측면이 상기 가스 분사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와류 생성부를 향하도록 설치된 가이드 부재; 상기 와류 생성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드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한 팬; 을 포함할 수 있다.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od capable of generating a suction force therein to suck in treated materials; and an inhaler capable of generating a vortex in the lower space of the hood; It includes: a gas injection unit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od to spray gas into the lower space of the hood; and a guide member installed so that one side faces the vortex generator, which is a space surrounded by the gas injection portion. A fan installed inside the hood to be located above the vortex generator and rotatable; may include.
상기 가스 분사부 및 상기 가이드 부재 각각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상기 가스 분사부에는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노즐을 커버하도록 상기 가스 분사부에 연결될 수 있다.Each of the gas injection unit and the guide member has a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as injection unit is provided with a nozzle for spraying gas, and the guide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gas injection unit to cover the nozzle.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일측면이 오목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member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on which one side is concave.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원이 상기 팬의 회전으로 형성되는 제1원과 외접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may be provided in a shape such that a second circle formed along one side can circumscribe a first circle formed by rotation of the fan.
상기 가스 분사부 및 가이드 부재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이웃하여 배치된 두 개의 가스 분사부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일측면이 복수의 상기 가스 분사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상기 와류 생성부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가스 분사부가 나열된 배치 형태는, 이웃하여 배치된 가스 분사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일부 다른 다각형이고,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두 개의 가스 분사부 사이에 위치된 가이드 부재의 연장길이가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두 개의 가스 분사부 사이에 위치된 가이드 부재에 비해 길게 마련될 수 있다.The gas injection unit and the guide member ar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the guide member is installed to be located at least partially between two adjacent gas injection units, and the one side is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gas injection units. It is installed to face the vortex generator, which is a space, and the arrangement form where the plurality of gas injection units are arranged is a polygon in which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gas injection units is partially different,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wo gas injection units is relatively short. The extension length of the guide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two gas injection units may be longer than that of the guide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two gas injection units having a relatively long separation distance.
상대적으로 연장길이가 긴 가이드 부재와 상대적으로 연장길이가 짧은 가이드 부재는 일부영역의 위치가 겹치고, 상대적으로 연장길이가 짧은 가이드 부재의 단부는 겹치는 영역 밖으로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The positions of a guide member with a relatively long extension length and a guide member with a relatively short extension length may overlap in some areas, and the end of the guide member with a relatively short extension length may be positioned to protrude outside the overlapping area.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하방향 연장 길이는 상기 가스 분사부의 상하방향 연장 길이에 비해 짧고,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가스 분사부의 하단쪽으로 치우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vertical extension length of the guide member is shorter than the vertical extension length of the gas injection unit, and the guide member may be installed to be biase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gas injection unit.
상기 노즐은 상기 가스 분사부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은 상기 가스 분사부로부터 그 연장방향으로 연장한 연장선이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면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nozzle may be installed to extend from the gas injection unit, and the nozzle may be provided such that an extension line extending from the gas injection unit in its extension direction faces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상기 노즐은 상기 가스 분사부와 연결된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 끝단이며 가스가 토출되는 타단의 높이가 동일하거나, 상기 일단에 비해 타단이 높게 마련될 수 있다.The nozzle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gas injection unit and an opposite end of the one end, and the height of the other end through which gas is discharged may be the same, or the other end may be provided to be higher than the one end.
상기 흡입기는, 상기 후드와 연통되도록 상기 후드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스 분사부 및 가이드 부재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일측에 마련된 제1개방부 및 타측에 마련된 제2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후드와 연통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후드의 하부에 연결된 상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된 하부부재; 및 상기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가 나열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어,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연결하는 측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분사부는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inhaler is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hoo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hood, and includes a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gas injection unit and the guide member are accommodated, and the body has a first opening provided on one side and a body provided on the other side. It includes a second opening, wherein the body includes an upper memb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od and having an open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hood. a lower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upper member; And a side member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re arranged, and connecting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wherein the gas injection unit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t can be installed in any position.
상기 하부부재에는 복수의 홀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홀 중, 상기 와류 생성부와 마주보는 영역에 마련된 홀의 내경이 상기 와류 생성부의 외측과 마주보는 영역에 마련된 홀의 내경에 비해 작을 수 있다.A plurality of holes are provided in the lower member, and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provided in the lower member,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provided in the area facing the vortex generating part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provided in the area facing the outside of the vortex generating part. You can.
상기 하부부재는, 상기 상부부재와 마주보도록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홀이 마련된 제1하부판; 상기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의 나열 방향으로, 상기 제1하부판의 양측에 연결된 제2 및 제3하부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member includes: a first lower plate spaced downward to face the upper member and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holes; It may include second and third lower plate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lower plate in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open portions.
상기 흡입기는,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가스 분사부 외측에 설치되어, 가스를 분사하는 보조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haler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gas injection unit inside the body and include an auxiliary injection unit that sprays ga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후드의 하측에 와류를 생성시킬 수 있다. 즉, 후드에서 발생되는 흡입력 외에, 와류에 의한 흡입력을 추가로 생성한다. 따라서 흡입력이 영향을 미치는 영역이 증가 또는 확대된다. 이에, 후드의 직하부 영역뿐만 아니라, 후드의 폭 방향 및 길이방향 외측의 처리물도 함께 집진시킬 수 있어, 집진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rtex can be generated under the hood. That is, in addition to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hood, suction force is additionally generated by the vortex. Therefore, the area over which the suction force is affected increases or expands. Accordingly, dust can be collected not only in the area immediately below the hood but also on the outside of the hood in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thereby improving dust collection efficiency.
또한, 복수의 가스 분사부 각각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에 의해 회전기류 및 와류의 형성이 용이하고, 강한 원심력을 가지는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와류의 유지가 용이하다. 이에, 와류에 의한 흡입력으로 처리물을 후드로 용이하게 흡입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member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gas injection units facilitate the formation of rotating air currents and vortices, allow the formation of vortices with strong centrifugal force, and facilitate the maintenance of the vortices. Accordingly, the treated material can be easily sucked into the hood using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vortex.
또한, 보조 분사부에 의한 기류에 의해 와류가 생성되는 영역으로 흡입되는 처리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처리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처리물의 집진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mount of treated material sucked into the area where the vortex is generated by the airflow by the auxiliary spray unit can be increased, and the escape of the treated material can be suppressed, which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treated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흡입장치가 압연기의 상측에 설치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덕트 및 흡입장치가 압연기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입기의 일부 구성 및 가스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입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 분사부에 가이드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은 복수의 가이드 부재의 곡률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흡입기의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8은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흡입기의 가스 분사부 및 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흡입기의 가스 분사부 및 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실시예의 제3변형예에 따른 흡입기의 가스 분사부 및 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1실시예의 제4변형예에 따른 흡입기의 가이드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1실시예의 제5변형예에 따른 흡입기의 하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흡입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1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dus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uction device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lling mill.
FIG. 3 is a view showing the duct and suction device of FIG. 2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lling mill.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and gas flow of an inha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of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above.
Figure 6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member is installed in the gas injec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viewed from the top of the inhaler to explain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urvature of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gas injection portion and nozzle of an inhaler according to a first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gas injection portion and nozzle of an inhaler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 gas injection portion and nozzle of an inhaler according to a third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Figure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uide member of an inhaler according to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Figure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lower member of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fifth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Figure 13 is a plan view of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abov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inten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giving.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xpl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symbols in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본원발명은 흡입력이 영향을 미치는 영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원발명은 후드의 하측공간에 와류(vortex)를 형성시킬 수 있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on device that can improve dust collection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area affected by suction pow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on device capable of forming a vortex in the lower space of the hood.
집진장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분진 및 흄(fume)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흡입 또는 흡인하여 집진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집진장치는 예컨대 제철소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집진장치는 용강을 응고시켜 제조된 주편(slab)을 압연하는 압연기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A dust collection device is a device that collects dust by sucking or absorbing pollutants such as dust and fumes using suction power. Such dust collection devices can be installed in steel mills, for example.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dust collector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 rolling mill that rolls a slab manufactured by solidifying molten steel.
물론 집진장치의 설치 위치는 압연기에 한정되지 않고, 제철소 내에서 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장치의 주위 또는 상기 장치가 설치된 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Of course,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rolling mill, and may be installed around various devices that generate pollutants within a steel mill or in areas where the devices are installed.
또한, 집진장치의 설치 위치는 제철소에 한정되지 않고, 집진이 필요한 다양한 작업장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집진장치는 석탄 화력발전소, 미곡 종합처리장, 시멘트 공장, 주물공장 등의 작업장에 설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is not limited to a steel mill, and can be installed in various workplaces where dust collection is required. For example, dust collection devices can be installed in workplaces such as coal-fired power plants, rice processing plants, cement factories, and foundrie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흡입장치가 압연기의 상측에 설치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덕트 및 흡입장치가 압연기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입기의 일부 구성 및 가스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입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1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dus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uction device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lling mill. FIG. 3 is a view showing the duct and suction device of FIG. 2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lling mill.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and gas flow of an inha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of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above.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집진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집진장치를 이용하여 집진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을 처리물로 명명한다. 이 처리물은 고상의 입자들로 이루어진 분진 및 기체 상태의 흄(fu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물을 흡입시켜 집진시키고자 하는 구역 또는 영역을 처리구역이라 명명한다. 이에, 처리구역은 집진장치가 설치되는 위치 또는 구역으로 설명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dust collec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t this time, the pollutants to be collected using the dust collection device are referred to as treated substances. This treatment produc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dust consisting of solid particles and gaseous fume. In addition, the area or area where the treated matter is to be sucked in and collected is called the treatment area. Accordingly, the treatment area can be described as the location or area where the dust collection device is install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집진장치는 처리물이 통과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덕트(1000), 덕트(1000)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블로어(2000), 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가 마련된 흡입기(3200)를 구비하며, 덕트(1000)에 연결된 후드(3100)의 하측에 와류(vortex)를 형성시키는 흡입장치(30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dust collection device includes a
그리고, 집진장치는 후드(3100)와 블로어(2000) 사이에 위치하도록 덕트(1000)에 연결되고, 덕트(1000)를 통과하는 가스 또는 기체로부터 처리물을 집진 또는 포집하는 집진부(400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덕트(1000)는 후드(3100) 내로 흡입된 처리물 및 기체를 통과시키는 통로이다. 여기서, 후드(3100) 내로 흡입되는 기체란, 집진장치 주위에 존재하는 대기 및 후술되는 흡입기(3200)로부터 분사된 가스 등의 기체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덕트(1000)는 그 일단이 후드(3100)에 연결되고, 상기 후드(3100)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또한, 덕트(1000)는 후드(3100)와 연결된 일단 및 상기 일단의 반대 끝단인 타단이 개구되어 있다. 이에, 후드(3100) 내부로 흡입된 처리물은 덕트(1000)의 일단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 유입되며, 집진부(4000)에 의해 처리물이 제거된 기체는 타단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블로어(2000)는 덕트(1000) 및 후드(3100)의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블로어(2000)는 덕트(1000)의 타단과 인접하도록 덕트(10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블로어(2000)는 덕트(1000)의 외부에서 상기 덕트(1000)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블로어(2000)는 예컨대, 회전 가능한 회전체,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회전체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상기 회전체에 설치된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수단일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예컨대 모터(motor)일 수 있다. 물론, 블로어(200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가스를 송풍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의 적용이 가능하다.The
집진부(4000)는 덕트(1000) 내부로 유입된 기체로부터 처리물을 제거하여 집진하는 수단이다. 즉, 집진부(4000)는 기체로부터 고체 입자인 분진 및 오염을 야기시키는 기체 상태의 흄(fume) 등을 분리시켜, 상기 분진 및 흄(fume)이 제거된 기체만을 통과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집진부(4000)는 분진 및 흄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하는 여과부를 포함하는 수단일 수 있다. 또한, 집진부(40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덕트(1000)로 유입된 기체로 액체 예컨대 물 또는 약액을 분무시켜, 기체로부터 분진 및 흄을 분리시키는 습식 집진부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집진부(4000)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집진시키는 전기 집진부일 수 있다.The
도 3을 참조하면, 흡입장치(3000)는 덕트(1000)의 일단에 연결된 후드(3100) 및 후드(3100)의 하측공간에 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를 구비하고, 후드(3100)의 하측에 위치된 흡입기(3200)를 포함한다. 또한, 흡입장치(3000)는 후드(3100) 내부에 위치되며 회전 가능한 블레이드(3310)(도 4 참조)를 가지는 팬(fan)(3300),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 각각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라인(3400) 및 가스라인(3400)과 가스 분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흡입장치(3000)는 집진이 필요한 구역 즉, 처리구역에 위치하며, 덕트(1000)에 연결된다. 이때, 흡입장치(300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구역의 바닥 또는 처리구역에 설치되며 분진 및 흄과 같은 처리물을 발생시키는 장치 예컨대 압연기(30)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흡입장치(3000)는 도 2와 같이 처리구역에 위치하는 구조물(20) 상에 장착될 수 있다.The
여기서, 압연기(30)는 제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장치로, 주편(1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롤 및 하부롤과 마주보게 위치된 상부롤을 포함하는 수단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롤과 하부롤 중 적어도 하나가 승하강되어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주편(10)을 압연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Here, the rolling
그리고, 흡입장치(3000)는 처리물을 흡입시키고자 하는 주 타겟 위치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 타켓 위치를 압연기(30)라고 할 때, 흡입장치(3000)는 압연기(30)의 상측에서 상기 압연기(3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주편(10)이 압연기(30)로 이동하는 방향(Y축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흡입장치(3000)가 압연기(3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되는 흡입기(3200)에 있어서 Y축 방향의 일 개방부(3240d)(도 3 참조)가 압연기(3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흡입장치(30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후드(3100)는 처리물이 통과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덕트(1000)와 연결된 일단 및 흡입기(3200)를 향하는 타단이 개구되어 있다.The
후드(3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그 폭(또는 내경)이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즉, 후드(3100)의 일단 및 타단의 폭이 동일하고, 일단과 타단 사이에 폭 변화가 없는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후드(310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은 덕트(1000)의 일단과 동일하거나, 그 보다 작은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그 폭(또는 내경)이 동일한 형상의 후드(3100)를 제1타입 후드라 명명한다.The
후드(3100)는 상술한 제1타입 후드에 한정되지 않고, 덕트(1000)의 일단으로 갈수록 그 폭(또는 내경)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때, 덕트(1000)와 연결되는 후드(3100)의 일단은 덕트(1000)의 일단과 동일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덕트(1000)는 후드(3100)의 타단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드(310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단으로부터 일단으로 갈수록 그 폭(또는 내경)이 감소하는 형상의 후드(3100)를 제2타입 후드라 명명한다.The
후드(3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타입 후드이거나, 제2타입 후드일 수 있다. 이때, 제1타입 후드를 사용하는 경우 제2타입 후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후드(3100)로 흡입되는 처리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이는, 제2타입 후드의 경우, 폭 방향을 기준으로 후드(3100) 타단의 중심영역은 덕트(1000) 일단의 직하부 영역이기 때문에 흡입력이 강하지만, 후드(3100) 타단의 가장자리 영역은 덕트(1000) 일단의 외측에 위치된 영역이기 때문에 흡입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이다. 이에, 후드(3100) 내부의 중심영역에 있는 처리물은 덕트(1000)로 쉽게 빨려 들어가지만, 후드(3100) 내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있는 처리물은 덕트(1000)로 빨려들어가지 못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드(3100)의 일단 및 타단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이 후드(3100) 내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있는 처리물의 이동 또는 유동을 방해하는 저항으로 작용한다. 이에, 후드(3100) 내 가장자리로 유입된 처리물이 덕트(1000)로 빨려들어가지 못하고 다시 후드(3100)의 타단을 통해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cond type hood, the suction power is strong because the center area of the other end of the
반면, 제1타입 후드의 경우, 후드(3100) 내부의 중심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의 흡입력이 균일 또는 동일하다. 이는, 제1타입 후드의 경우, 상하방향으로 그 폭(또는 내경)이 동일한 형상이고, 후드(310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은 덕트(1000)의 일단과 동일하거나, 그 보다 작은 폭으로 마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타입 후드를 사용하는 경우 제2타입 후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덕트(1000)로 흡입되는 처리물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irst type hood, the suction power of the center area and the edge area inside th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드(3100)의 타단 개구를 흡입구(3110)(도 3 참조)라 명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other end opening of the
팬(fan)(3300)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팬(3300)은 후드(3100)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팬(3300)은 후술하는 바디(3240)의 상부부재(3240a)에 마련된 개구(3241)와 동일 높이에 위치하면서 후드(3100)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팬(3300)은 후드(3100) 내경의 중심 및 상부부재(3240a)에 마련된 개구(3241)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팬(3300)은 그 회전 중심이 후드(3100) 하측에서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과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The
팬(3300)은 덕트(1000) 및 후드(3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흡입력 또는 부압에 의해 회전 동작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블로어(2000)가 동작하면 덕트(1000) 및 후드(3100)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되는데, 이 흡입력에 의해 팬(3300)이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팬(3300)의 회전 동작에 의한 흡입력이 추가로 더 발생된다. 즉, 블로어(2000)에 의한 흡입력 외에 팬(3300)에 의한 흡입력이 더 발생된다. 팬(3300)은 도 4와 같이 회전 가능한 회전체(3320) 및 회전체(3320)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상기 회전체(3320)에 장착된 복수의 블레이드(3310)를 포함하는 수단일 수 있다.The
물론, 팬(3300)은 자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팬(3300)은 회전체(33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구동부는 예컨대 모터(motor)를 포함하는 수단일 수 있다.Of course, th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흡입기(3200)는 각각이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3211)이 마련되고, 후드(3100)의 둘레방향으로 나열되어 이격 배치된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 및 이웃하게 배치된 두 개의 가스 분사부(3210) 사이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 각각에 연결되며, 일측면이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마주보도록 마련된 가이드 부재(3230)를 포함한다.3 to 5, the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상기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로부터 분사되는 가스 및 팬(3300)의 회전에 의해 와류가 생성 또는 발생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에 의해 둘러싸인 빈 공간을 와류 생성부(3220)라 명명한다.The space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또한, 흡입기(3200)는 후드(3100)의 흡입구(3110)와 마주보는 영역 및 측면에 개방부(이하, 제1개방부(3240d))를 가지고,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 및 복수의 가이드 부재(323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바디(32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바디(3240)의 내부공간 내의 가스 분사부(3210)의 외측에 위치되어 가스 분사부(3210)쪽으로 가스를 분사하는 보조 분사부(3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도 3을 참조하면 바디(3240)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 상부부재(3240a) 및 하부부재(3240b)를 포함한다. 또한, 바디(3240)는 각각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부재(3240a)와 하부부재(3240b)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측부부재(3240c)를 포함한다. 이에, 바디(3240)는 상부부재(3240a), 하부부재(3240b) 및 한 쌍의 측부부재(3240c)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공간을 가지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한 쌍의 측부부재(3240c)가 나열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 측면이 개방된 형상이다.Referring to FIG. 3, the
이하에서는, 상부부재(3240a) 및 하부부재(3240b)의 연장방향 또는 한 쌍의 측부부재(3240c)가 나열된 방향을 제1방향(X축 방향)이라 하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제2방향(Y축 방향)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제1방향은 바디(3240), 후드(3100), 와류 생성부(3220)의 길이 방향, 제2방향은 바디(3240), 후드(3100), 와류 생성부(3220)의 폭 방향으로 명명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상술한 제1 및 제2방향을 반영하여 바디(3240)에 대해 다시 설명하면, 바디(3240)는 각각이 제1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된 상부부재(3240a) 및 하부부재(3240b)와, 각각이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방향으로 나열되어 마주보게 설치된 측부부재(3240c)를 포함한다. 이때, 한 쌍의 측부부재(3240c) 중 하나는 상부부재(3240a)의 일단과 하부부재(3240b)의 일단 사이를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측부부재(3240c)는 상부부재(3240a)의 타단과 하부부재(3240b)의 타단 사이를 연결한다.If the
따라서, 바디(3240)는 상부부재(3240a) 및 하부부재(3240b)에 의해 상측 및 하측에 폐쇄되어 있고, 한 쌍의 측부부재(3240c)에 의해 제1방향의 양 측이 폐쇄되어 있다. 또한, 바디(3240)는 제2방향의 양 측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이에, 바디(3240)는 제2방향의 양 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형태로 설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흡입장치(3000)는 제2방향을 기준으로 바디(3240)의 양 측 개방부 중, 일측의 개방부(이하, 제1개방부(3240d))가 압연기(3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바디(3240)의 제1개방부(3240d)가 타측의 개방부인 제2개방부(3240e)에 비해 압연기(30)와 인접하도록 설치된다.The
이렇게 처리구역 즉, 압연기(30)의 후방에 위치된 바디(3240)의 제1개방부(3240d)는 압연기(30)로부터 발생되는 처리물을 바디(3240)의 내부 또는 와류 생성부(3220)로 유입시키는 입구 역할을 한다. 물론, 바디(3240)의 제2개방부(3240e)를 통해서도 바디(3240)의 내부로 처리물이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개방부(3240d)가 처리물이 다량 발생되는 압연기(30)와 마주보면서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1개방부(3240d)를 통해 바디(3240) 내부로 유입되는 처리물의 양이 제2개방부(3240e)를 통해 유입되는 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다. 따라서, 제1개방부(3240d)가 처리물이 유입되는 메인 입구인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ocessing area, that is, the
상부부재(3240a)는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와 후드(3100) 사이에 위치되며, 그 하부에는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가 연결되고, 상부에는 후드(3100)가 연결된다. 이러한 상부부재(3240a)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판(plate) 형상일 수 있고, 예컨대 제1방향의 길이가 제2방향의 길이에 비해 긴 직사각형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부재(3240a)는 후드(3100)의 흡입구(3110) 및 와류 생성부(3220)에 비해 큰 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즉, 상부부재(3240a)는 제1 및 제2방향의 길이가 흡입구(3110) 및 와류 생성부(3220)에 비해 길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부부재(3240a)는 제1 및 제2방향의 중심에 후드(3100) 및 와류 생성부(3220)가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부부재(3240a)에는 후드(3100)가 연결되는 부위에 흡입구(3110)와 연통되는 개구(3241)가 마련되며, 이 개구(3241)는 와류 생성부(3220)의 상측에 마주보게 마련된다. 이에, 바디(3240) 내부공간의 상측은 후드(3100)의 흡입구(3110)가 위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상부부재(3240a)에 의해 폐쇄된다.The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후드(3100) 내부에 수용되도록 팬(3300)이 설치되는데, 이때 팬(3300)은 상부부재(3240a) 개구(3241)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부재(3240a)의 개구(3241)에 있어서 제1 및 제2방향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팬(3300)을 설치한다. 이때, 상부부재(3240a)의 개구(3241)는 그 중심이 후드(3100)의 흡입구(3110) 중심과 일치하도록 마련되므로, 팬(3300)은 후드(3100)의 흡입구(3110)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부재(3240a) 및 후드(3100)는 와류 생성부(322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설치되며, 이에 따라 팬(3300)의 중심 또는 팬(3300)의 회전 중심이 와류 생성부(3220)의 중심과 일치된다.And, as described above, the
하부부재(3240b)는 상부부재(3240a)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그 상부에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가 연결 또는 지지된다. 이러한 하부부재(3240b)는 상부부재(3240a)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하부부재(3240b)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판(plate) 형상일 수 있고 제1 및 제2방향의 길이가 상부부재(3240a)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바디(3240) 내부공간의 하측은 하부부재(3240b)에 의해 폐쇄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바디(3240)에 의하면, 바디(3240) 내부공간의 상측은 후드(3100)의 흡입구(3110)가 위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상부부재(3240a)에 의해 폐쇄되고, 내부공간의 하측은 하부부재(3240b)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바디(3240)의 내부공간에 있어서 제1방향의 양 측은 한 쌍의 측부부재(3240c)에 의해 폐쇄된다. 이에, 와류 생성부(3220)에서 생성되는 와류는 상부부재(3240a)와 하부부재(3240b)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와류 생성부(3220)의 상측에는 후드(3100)가 위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하측에는 하부부재(3240b)가 위치되어 있으므로, 와류는 적어도 상부부재(3240a)와 하부부재(3240b) 사이에 갇히도록 생성될 수 있다. 즉, 와류가 상부부재(3240a)의 상측 또는 하부부재(3240b)의 하측으로 벗어나도록 생성되지 않고, 상부부재(3240a)와 하부부재(3240b) 사이에 생성된다.According to the
하부부재(3240b)에는 처리물이 통과될 수 있는 홀(h)이 마련될 수 있다. 홀(h)은 하부부재(3240b)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홀(h)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복수의 홀(h)은 하부부재(3240b)의 전 면적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부부재(3240b) 중, 와류 생성부(3220)와 마주보는 영역과, 그 나머지 영역 각각에 복수의 홀(h)이 마련된다.The
하부부재(3240b)에 마련되는 홀(h)의 내경은 1mm 내지 50mm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부재(3240b) 중 와류 생성부(3220)와 마주보는 영역에 마련된 홀(이하, 제1홀(h1))은 그 내경이 1mm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10mm일 수 있다. 그리고, 와류 생성부(3220)의 외측에 위치되는 하부부재(3240b) 영역에 마련되는 홀(이하, 제2홀(h2))은 그 내경이 1mm 내지 50mm, 바람직하게는 20mm 내지 40mm 일 수 있다.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h provided in the
한편, 제1홀(h1)의 내경이 10mm를 초과하는 경우, 제1홀(h1)을 통해 외기의 유입이 용이해져 상부부재(3240a)와 하부부재(3240b) 사이에 형성된 와류의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제2홀(h2)의 내경이 50mm를 초과하는 경우 제2홀(h2)을 통한 외기의 유입량이 많고, 이 외기가 와류 생성부(3220)로 유입되어 와류가 유지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제1 및 제2홀(h1, h2)의 내경이 1mm 미만인 경우, 미립자 분진의 유입이 어려울 수 있고, 이에 집진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hole (h 1 ) exceeds 10 mm, the inflow of external air through the first hole (h 1 ) is facilitated to maintain the vortex formed between the upper member (3240a) and the lower member (3240b). can be difficult. In addition,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hole (h 2 ) exceeds 50 mm, the amount of external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hole (h 2 ) is large, and this external air flows into the
이와 같이, 하부부재(3240b)에 홀(h)이 마련되는 경우, 바디(3240)의 내부공간 하측은 완전하게 폐쇄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하부부재(3240b)에 마련된 홀(h)은 처리물은 유입시키면서 외기에 의해 와류가 무너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은 내경으로 조절한다. 이에, 상부부재(3240a)와 하부부재(3240b) 사이에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hole h is provided in the
가스 분사부(3210)는 후드(3100)의 하측 공간에 회전기류 또는 와류(vortex)를 생성시키기 위한 가스를 바디(3240)의 내부공간으로 분사한다. 여기서, 가스는 예컨대 에어(air)일 수 있다. 물론, 가스는 에어(air)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체가 사용될 수 있다.The
가스 분사부(32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며, 가스의 이동 또는 통과가 가능한 내부공간을 가진다. 그리고, 가스 분사부(3210)에는 가스를 외부로 분사하는 노즐(3211)이 마련된다. 노즐(3211)은 복수개 마련되고, 복수의 노즐(3211)은 가스 분사부(3210)의 연장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마련된다.The
가스 분사부(3210)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3240)의 내부공간에서 후드(3100)의 둘레방향으로 나열되게 배치된다. A plurality of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가 후드(3100)의 둘레방향으로 나열된다는 것은, 후드(3100)의 형상으로 나열된다는 의미는 아니며,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가 후드(3100)의 폭 또는 길이방향 중심의 둘레방향으로 나열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 즉, 가스 분사부(321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한 지점(이하, 기준위치(Ps))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기준위치(Ps)은 후드(3100)의 중심 또는 후드(3100) 내에 설치된 팬(3300)의 회전중심 또는 팬(3300)을 구성하는 회전체(3320)의 중심일 수 있다.The fact that the plurality of
이에,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 배치의 기준이 되는 기준위치(Ps)와, 후드(3100)의 중심, 팬(3300)의 회전중심에 대해 동일 도면부호 Ps를 사용하여 설명한다.Accordingly, the reference position (P s ) that serves as a standard for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를 후드(3100)의 둘레방향으로 나열되게 배치하는데 있어서, 복수의 가스 분사부 각각과 기준위치(PS) 간의 이격 거리가 동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복수의 가스 분사부 각각과 기준위치(PS) 간의 이격거리가 다르게 마련될 수도 있다.When arranging the plurality of
그리고,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는 도 3과 같이 후드(3100)의 흡입구(3110) 수평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제1 및 제2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가 후드(3100)의 흡입구(3110) 외측에 위치된다. 이에,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이며, 와류가 생성되는 공간인 와류 생성부(3220)가 후드(3100)의 하측에 마련된다.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와류 생성부(3220)의 전체적인 형태는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의 배치 및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가스 분사부(32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4 개의 가스 분사부(3210: 3210a 내지 3210d)의 배치 형태가 사각형이 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스 분사부(3210a)와 제2가스 분사부(3210b)가 제2방향(Y축 방향)으로 나열되고, 제1 및 제2가스 분사부(3210a, 3210b)와 제3 및 제4가스 분사부(3210c, 3210d)가 제1방향(X축 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 이때, 제3가스 분사부(3210c)와 제4가스 분사부(3210d)는 제2방향(Y축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그리고, 제1방향을 기준으로 제1가스 분사부(3210a)와 제2가스 분사부(3210b)의 위치가 동일하고, 제3가스 분사부(3210c)와 제4가스 분사부(3210d)의 위치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방향을 기준으로 제1가스 분사부(3210a)와 제4가스 분사부(3210d)의 위치가 동일하고, 제2가스 분사부(3210b)와 제3가스 분사부(3210c)의 위치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스 분사부(3210a)와 제2가스 분사부(3210b) 간의 이격거리 및 제3가스 분사부(3210c)와 제4가스 분사부(3210d) 간의 이격거리는 제1가스 분사부(3210a)와 제4가스 분사부(3210d) 간의 이격거리 및 제2가스 분사부(3210b)와 제4가스 분사부(3210d) 간의 이격거리에 비해 짧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overall shape of the
이에, 제1 내지 제4가스 분사부(3210a 내지 3210d)가 이루는 형태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준위치(PS)를 거치치 않게, 제1 내지 제4가스 분사부(3210a 내지 3210d) 각각의 상단 중심을 연결한 형태가 직사각형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가스 분사부(3210a 내지 3210d)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즉, 와류 생성부(3220)는 그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이 된다.Accordingly, the first to fourth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가스 분사부(3210a 내지 3210d)의 배치 형태가 직사각형이 되도록 하는 것은, 배치 형태가 정사각형일 때에 비해 주위의 장치 또는 구조물과 간섭이 없거나 최소시켜 흡입기(3200)를 설치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In this way, making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to fourth
이하,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의 배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4 개의 가스 분사부(3210)를 구비하고, 가스 분사부(3210)의 배치 형태가 직사각형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제1 내지 제4가스 분사부(3210a 내지 3210d) 각각에는 노즐(3211: 3211a 내지 3211d)이 마련되고, 가이드 부재(3230: 3230a 내지 3230d)가 마련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내지 제4가스 분사부(3210a 내지 3210d) 각각에 마련된 노즐을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로 명명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가스 분사부(3210a 내지 3210d) 각각에 연결된 가이드 부재를 제1 내지 제4가이드 부재(3230a 내지 3230d)로 명명한다.Nozzles 3211 (3211a to 3211d) ar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제1 내지 제4가스 분사부(3210a 내지 3210d)를 설치한다.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 각각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분사부(3210a 내지 3210d)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관 형태일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 각각은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된 파이프(pipe) 형상일 수 있다. The first to
이때,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 각각의 연장길이는 0mm 초과, 100mm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mm 내지 20mm(10mm 이상, 20mm 이하)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ension length of each of the first to
한편,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 각각의 연장길이가 100mm를 초과하는 경우 가이드 부재(3230a 내지 3230d)와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Meanwhile, for example, if the extension length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nozzles (3211a to 3211d) exceeds 100 mm, a problem of interference with the guide members (3230a to 3230d) may occur.
그리고,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 각각의 내경은 3mm 내지 10mm(3mm 이상, 10mm 이하)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8mm(5mm 이상, 8mm 이하)일 수 있다. And, the inner diameter of each of the first to
한편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 각각의 내경이 3mm 미만인 경우 분사되는 가스의 유량이 작아 와류 형성이 어렵거나, 막힘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 각각이 복수개로 마련되기 때문에, 이들의 내경을 10mm를 초과하도록 마련할 필요는 없다.Meanwhile, for example, if the inner diameter of each of the first to
또한,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 각각은 가스 분사부(3210a 내지 3210d)와 이루는 각도가 수직일 수 있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 각각은 하부부재(3240b)와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 각각에서 토출되는 가스는 하부부재(3240b)와 평행 또는 0°일 수 있다. 이에 대해 다른 말로 설명하면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 각각은 일단과 타단의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ngle formed by each of the first to
또한, 이러한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 각각은 가스가 토출되는 끝단(타단)이 가이드 부재(3230a 내지 3230d)와 마주볼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노즐(3211) 중, 가스 분사부(3210)에 연결된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 끝단인 타단을 연결한 연장선을 노즐 연장선이라 명명한다. 이를 반영하여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의 위치에 대해 다시 설명하면,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노즐 연장선(L1 내지 L4)이 각 가스 분사부(3210a 내지 3210b)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3230a 내지 3230d)의 내면을 향할 수 있도록 또는 내면에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 각각의 노즐 연장선(L1 내지 L4)이 가이드 부재(3230a 내지 3230d) 내면의 선단(또는 타단)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 각각의 노즐 연장선(L1 내지 L4)이 가이드 부재(3230a 내지 3230d) 내면의 선단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을 마련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to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기준위치(Ps)를 지나지 않도록 제1 내지 제4가스 분사부(3210a 내지 3210d)의 상단을 연결하여 마련된 사각형 도형의 4 개의 변을 제1 내지 제4변(S1 내지 S4)으로 명명한다. 그리고, 제1가스 분사부(3210a)와 제2가스 분사부(3210b)를 연결하는 변을 제1변(S1), 제2가스 분사부(3210b)와 제3가스 분사부(3210c)를 연결하는 변을 제2변(S2), 제3가스 분사부(3210c)와 제4가스 분사부(3210d)를 연결하는 변을 제3변(S3), 제4가스 분사부(3210d)와 제1가스 분사부(3210a)를 연결하는 변을 제4변(S4)이라 명명한다. To explain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the four sides of a rectangular shape provided by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first to fourth
도 5를 참조하면, 제1노즐(3211a)은 그 노즐 연장선(L1)이 제1가이드 부재(3230a) 선단의 내면과 연결되면서, 제1변(S1)과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제2노즐(3211b)은 그 노즐 연장선(L2)이 제2가이드 부재(3230b) 선단의 내면과 연결되면서, 제2변(S2)과 교차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3노즐(3211c)은 그 노즐 연장선(L3)이 제3가이드 부재(3230c) 선단의 내면과 연결되면서, 제3변(S3)과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제4노즐(3211d)은 그 노즐 연장선(L4)이 제4가이드 부재(3230d) 선단의 내면과 연결되면서, 제4변(S4)과 교차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때 제1노즐(3211a)은 가스를 분사하는 타단이 제2변(S2)을 향하고, 제3노즐(3211c)은 가스를 분사하는 타단이 제4변(S3)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의 배치를 조정하는 것은, 상기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로부터 토출되는 가스에 의한 회전기류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로부터 토출되는 가스에 의해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의 회전기류를 형성시키기 위함이다.The purpose of adjusting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to
한편,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 각각을 그 노즐 연장선(L1 내지 L4)이 제1 내지 제4변(S1 내지 S4)과 나란하도록 배치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노즐(3211a)은 그 연장선(L1)이 제1변(S1)과 나란하고, 제2노즐(3211b)은 그 연장선(L2)이 제2변(S2)과 나란하며, 제3노즐(3211c)은 그 연장선(L3)이 제3변(S3)과 나란하고, 제4노즐(3211d)은 그 연장선(L]4)이 제4변(S4)과 나란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re may be a method of arranging each of the first to
그러나,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가 나열된 배치 형태에 있어서, 이웃하여 배치된 가스 분사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일부 다른 다각형인 경우, 제1 내지 제4변(S1 내지 S4)과 나란하도록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이 배치되면, 회전기류가 형성될 수 없거나, 형성되기 어렵다.However, in an arrangement where a plurality of
여기서, 이웃하여 배치된 가스 분사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일부 다른 다각형이라는 것은, 가로세로 비(종횡비)가 1 미만 또는 1을 초과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Here, the fact that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gas injection unit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may mean that the aspect ratio is less than or greater than 1.
이에,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a 내지 3210d) 배치 형태의 가로세로 비가 1 미만 또는 1을 초과하는 다각형인 경우, 그 노즐 연장선(L1 내지 L4) 각각이 제1 내지 제4가이드 부재(3230a 내지 3230d) 부재 내면과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노즐(3211a 내지 3211d)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노즐(3211a 내지 3211d)은 그 노즐 연장선(L1 내지 L4)이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a 내지 3210d)를 연결하는 변(S1 내지 S4)과 교차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노즐(3211a)은 그 타단이 제2변(S2)을 향하고, 제3노즐(3211c)은 그 타단이 제4변(S4)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제1노즐(3211a)로부터 토출된 가스는 제2노즐(3211b)로부터 토출된 가스와 간섭 또는 충돌될 수 있고, 제3노즐(3211c)로부터 토출된 가스는 제4노즐(3211d)로부터 토출된 가스와 간섭 또는 충돌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의 간섭은 회전기류 형성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만으로는 안정적인 회전기류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이에 따라 와류의 생성이 어려울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가 상호 이격되어 위치되므로, 와류 생성부(3220)는 가스 분사부(3210)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노출되어 있다. 이에, 와류 생성부(3220) 외측의 외기가 가스 분사부(32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와류 생성부(32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와류 생성부(3220)에 와류가 생성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유입된 외기에 의해 와류가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로부터 분사된 가스의 흐름이 외기와 충돌하게 되면 가스가 회전 유동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와류가 유지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와류에 의한 흡입력이 약하여 분진을 흡입시키기 어렵거나, 집진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Additionally, since the plurality of
따라서,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로부터 분사된 가스에 의해 회전기류를 안정적으로 생성시키고, 와류 생성부(3220)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 각각에 가이드 부재(3230)를 설치한다.Therefore, in order to stably generate a rotating airflow by the gas injected from the plurality of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 분사부에 가이드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Figure 6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member is installed in the gas injec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이드 부재(3230)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분사부(3210)의 연장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 부재(3230)의 상하방향 연장길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의 제1가스 분사부(3210a) 및 제1가이드 부재(3230a)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가이드 부재(3230a)의 상하방향으로의 연장길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스 분사부(3210a)에 비해 짧거나, 제1가스 분사부(3210a)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 부재(3230a)의 상하방향 길이는 가스 분사부의 100%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이드 부재(3230a)의 상하방향 길이가 제1가스 분사부(3210a)에 비해 짧을 경우, 제1가이드 부재(3230a) 의 상하방향 길이는 제1가스 분사부(3210a)의 30% 이상, 100% 미만일 수 있다. 도 6은 제1가이드 부재(3230a) 의 상하방향 길이가 가스 분사부의 90% 이상, 100% 미만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제1가이드 부재(3230a) 는 그 상하방향 중심이 제1가스 분사부(3210a)의 상하방향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1가이드 부재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제2 내지 제4가이드 부재(3230b 내지 3230d)의 상하방향의 길이도 제2 내지 제4가스 분사부(3210b 내지 3210d)의 30% 이상, 100% 이하로 마련된다.As shown in FIGS. 3, 4, and 6, the
이와 같은 가이드 부재(3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게 배치된 두 개의 가스 분사부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도록 가스 분사부(3210)에 연결된다.This
그리고, 가이드 부재(3230)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하면, 가이드 부재(3230) 중 와류 생성부(3220)와 마주보는 면을 일측면(또는 내면), 상기 일측면의 반대쪽 면을 타측면(또는 외면)이라고 할 때, 일측면이 오목한 형상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3230)는 그 일측면이 오목한 형상이 되도록 이웃하게 배치된 두 가스 분사부 사이에서 휘어지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230)가 곡률을 가지도록 또는 일측면이 오목면이 되도록 마련하는 것은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로부터 분사된 가스로 회전기류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회전기류의 형성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이드 부재(3230)의 곡률 또는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후에 다시 하기로 한다.Additionally, the
가이드 부재(3230)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 각각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 부재(3230a)는 제1가스 분사부(3210a)와 제2가스 분사부(3210b) 사이에 위치하도록 그 일단이 제1가스 분사부(3210a)에 연결되고, 제2가이드 부재(3230b)는 제2가스 분사부(3210b)와 제3가스 분사부(3210c) 사이에 위치하도록 그 일단이 제2가스 분사부(3210b)에 연결된다. 또한, 제3가이드 부재(3230c)는 제3가스 분사부(3210c)와 제4가스 분사부(3210d) 사이에 위치하도록 그 일단이 제3가스 분사부(3210c)에 연결되고, 제4가이드 부재(3230d)는 제4가스 분사부(3210d)와 제1가스 분사부(3210a) 사이에 위치하도록 그 일단이 제4가스 분사부(3210d)에 연결된다.A plurality of
그리고, 이때 제1 내지 제4가이드 부재(3230a 내지 3230d)는 노즐(3211a 내지 3211d)이 와류 생성부(322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노즐(3211a 내지 3211d)을 커버하도록 위치된다. 즉, 와류 생성부(3220)의 중심 또는 팬(3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4가이드 부재(3230a 내지 3230d) 각각의 일단이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에 비해 상기 중심과 멀리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이 제1 내지 제4가이드 부재(3230a 내지 3230d) 각각의 일단에 비해 와류 생성부(3220)의 중심 또는 팬의 중심과 인접하도록 마련된다.And, at this time, the first to
또한, 각 가이드 부재(3230a 내지 3230d)에 있어서, 일단의 반대 끝단인 타단(선단)은 마주보는 가스 분사부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에 가이드 부재(3230)와 마주보는 가스 분사부 사이에 틈이 발생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5와 같이 제1가이드 부재(3230a)의 타단은 제2가스 분사부(3210b)와 이격되고, 제2가이드 부재(3230b)의 타단은 제3가스 분사부(3210c)와 이격되며, 제3가이드 부재(3230c)의 타단은 제4가스 분사부(3210d)와 이격되고, 제4가이드 부재(3230d)의 타단은 제1가스 분사부(3210a)와 이격된다. 따라서, 제1가이드 부재(3230a) 타단과 제2가스 분사부(3210b) 사이, 제2가이드 부재(3230b) 타단과 제3가스 분사부(3210c) 사이, 제3가이드 부재(3230c) 타단과 제4가스 분사부 사이, 제4가이드 부재(3230d) 타단과 제1가스 분사부(3210a) 사이에 틈이 마련된다.Additionally, in each guide member (3230a to 3230d), the other end (tip), which is the opposite end,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as injection unit facing the other end. As a result, a gap is created between the
이와 같이, 이웃하게 배치된 두 개의 가스 분사부 사이에 가이드 부재(3230)가 위치됨에 따라, 가스 분사부(3210) 사이의 이격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 부재(3230)에 의해 폐쇄된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와류 생성부(3220) 중, 적어도 가이드 부재(3230)와 마주보는 영역은 노출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 부재(3230)에 의해 커버된다. 이렇게 와류 생성부(3220)를 커버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가이드 부재(3230)는 외기가 와류 생성부(32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또는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가이드 부재(3230)는 외기의 이동을 저지시켜, 와류 생성부(3220)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따라서, 와류 생성부(3220) 내에 와류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In this way, as the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3230)를 그 일단 및 타단이 이웃하게 배치된 두 개의 가스 분사부(3210) 각각에 연결시키지 않고, 타단과 가스 분사부(3210) 사이에 틈이 마련되도록 하였다. 이 틈은 와류 생성부(3220) 외측의 처리물이 상기 와류 생성부(3220)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가이드 부재(3230)가 이웃하게 배치된 두 가스 분사부(321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두 가스 분사부(32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완전히 폐쇄하는 경우, 외측의 처리물이 와류 생성부(3220)로 유입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처리물의 집진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3230)와 가스 분사부(3210) 사이에 틈을 마련하여 처리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And, as described abov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3230)는 회전기류가 보다 쉽게 형성되게 하고, 외측의 처리물을 와류 생성부(3220)로 유입시키면서도 와류가 유지되도록 외기의 유입을 차단한다.In this way, the
도 7은 복수의 가이드 부재의 곡률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흡입기의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Figure 7 is a plan view viewed from the top of the inhaler to explain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urvature of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가이드 부재(3230)는 그 일측면이 오목한 형상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가이드 부재(3230)의 일측면이 곡률을 가지도록 마련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로부터 분사되는 가스에 의해 가스가 원형으로 회전하는 회전기류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 각각으로부터 분사되는 가스의 흐름을 연결시켰을 때, 그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 각각으로부터 가스가 분사되면,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가스가 가이드 부재(3230)의 일측면을 따라 흐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가이드 부재(3230)는 이웃하게 배치된 두 개의 가스 분사부(3210) 사이에 위치되고, 그 일측면이 곡면으로 마련되므로, 가스가 복수의 가이드 부재(3230)의 일측면을 따라 흐름에 따라 회전기류가 형성된다. 즉, 가스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선회하는 회전기류가 형성된다.When gas is injec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일측면이 오목면이 되도록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가이드 부재(3230: 3230a 내지 3230d)를 마련하는데 있어서,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원(C21 내지 C24)이 팬(3300)의 회전으로 형성되는 원(C1)과 접할 수 있는 또는 외접할 수 있는 형상이 되도록 마련한다. In providing the guide members (3230: 3230a to 3230d) in a shape with a curvature such that one side is a concave surface, a circle (C 21 to C 21 ) formed along one side is used. C 24 ) is provided to have a shape that can contact or circumscribe the circle (C 1 )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여기서, 팬(3300)의 회전으로 형성되는 원(C1)이란, 팬(3300)의 회전 반경에 의해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즉, 팬(3300)의 블레이드(3310) 중 회전체(3320)와 연결된 일단의 반대 끝단인 타단과 팬(3300)의 회전체(3320)의 중심(Ps) 간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제1원(C1))으로 한다.Here, the circle C 1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또한, 가이드 부재(3230: 3230a 내지 3230d)의 일측면을 따라 원(C21 내지 C24)을 형성한다는 것은, 가이드 부재(3230: 3230a 내지 3230d)의 일측면이 원둘레(원호)의 일부가 되도록 원(이하, 제2원(C21 내지 C24))을 그린다는 의미일 수 있다.In addition, a circle (C 21 to Forming a circle (C 24 ) means forming a cir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circle (C 21 to C 21 It may mean drawing C 24 )).
이에, 가이드 부재(3230: 3230a 내지 3230d)를 마련하는데 있어서, 제2원(C21 내지 C24)이 제1원(C1)과 외접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3230)의 곡률 또는 형상을 결정한다.Accordingly, in providing the guide members (3230: 3230a to 3230d), the second circle (C 21 to 3230d) The curvature or shape of the
이하, 도 7의 (a) 내지 (d)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4가이드 부재(3230a 내지 3230d)를 마련하는 방법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eparing the first to
제1가이드 부재(3230a)는 도 7의 (a)와 같이 그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원(C21)이 제1원(C1)과 외접할 수 있는 형상이 되도록 또는 곡률을 가지도록 마련된다.The
그리고, 제3가스 분사부(3210c)에 연결된 제3가이드 부재(3230c)는 제1가이드 부재(3230a)와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3가이드 부재(3230c)는 도 7의 (b)와 같이 그 일단이 제3가스 분사부(3210c)에 연결되며, 그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원(C23)이 제1원(C1)과 외접할 수 있는 형상이 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제3가이드 부재(3230c)에 의한 제2원(C23)이 제1원(C1)과 외접하는 위치는 제1가이드 부재(3230a)에 의한 제2원(C21)과 제1원(C1)이 외접되는 위치와 마주보는 위치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제2가이드 부재(3230b)는 도 7의 (c)와 같이 그 일단이 제2가스 분사부(3210b)에 연결되며, 그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원(C22)이 제1원(C1)과 외접할 수 있는 형상이 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제2가이드 부재(3230b)에 의한 제2원(C22)과 제1원(C1)이 외접하는 위치는 제1 및 제3 가이드 부재(3230a, 3230c)에 의한 제2원(C21, C23)과 제1원(C1)이 외접하는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As shown in (c) of FIG. 7, one end of the
그리고, 제4가스 분사부(3210d)에 연결된 제4가이드 부재(3230d)는 제2가이드 부재(3230b)와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4가이드 부재(3230d)는 도 7의 (d)와 같이 그 일단이 제4가스 분사부(3210d)에 연결되며, 그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원(C24)이 제1원(C1)과 외접할 수 있는 형상이 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제4가이드 부재(3230d)에 의한 제2원(C24)이 제1원(C1)과 외접하는 위치는 제2가이드 부재(3230b)에 의한 제2원(C22)과 제1원(C1)이 외접되는 위치와 마주보는 위치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그리고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 부재(3230a 내지 3230d)의 길이는 다를 수 있다. 즉,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가스 분사부(3210)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및 제3 가이드 부재(3230a, 3230c)의 연장 길이는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가스 분사부(3210)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및 제4 가이드 부재(3230b, 3230d)에 비해 길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s shown in (d) of FIG. 7,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이와 같이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가스 분사부(3210)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3230)의 연장길이가 길도록 마련하는 것은, 가이드 부재(3230)의 일측면을 따라 가스가 흘러 인접 또는 이웃하여 위치된 다른 가이드 부재(3230)로 전달되는데 있어서, 그 가스의 전달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기 때문이다. 즉, 이격거리가 긴 가스 분사부(3210) 사이에 마련된 가이드 부재(3230)를 길게 마련하더라도, 가스 분사부(321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이미 멀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3230) 간의 거리가 멀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가이드 부재(3230b)의 길이를 제1가이드 부재(3230a)와 동일하도록 길게 마련 하더라도, 제2가스 분사부(3210b)와 제3가스 분사부(3210c) 사이의 이격거리가 이미 멀고, 이에 제2가이드 부재(3230b)와 제3가이드 부재(3230c) 간의 이격 거리가 멀다. 따라서, 제2가이드 부재(3230b)의 길이를 제1가이드 부재(3230a)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더라도, 제2가이드 부재(3230b)를 따라 흐르는 가스가 제3가이드 부재(3230c)로 전달되는 양은 제1가이드 부재(3230a)를 따라 흐르는 가스가 제2가이드 부재(3230b)로 전달되는 양에 비해 작을 수 있다.In this way, providing a long extension length of the
하지만, 상호간의 이격거리가 짧은 가스 분사부 사이에 마련된 가이드 부재(3230)를 길게 마련하는 경우, 가이드 부재(3230) 간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가스의 전달이 보다 용이하다.However, when the
그리고, 제1가스 분사부(3210a)와 제4가스 분사부(3210d) 사이의 이격공간은 바디(3240)의 제1개방부(3240d)와 마주보는 공간이다. 이에, 이격거리가 먼 제1가스 분사부(3210a)와 제4가스 분사부(3210d) 사이에 위치되는 제4가이드 부재(3230d)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경우, 처리물의 유입량이 감소되어 집진효율이 저감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격거리가 먼 제2가스 분사부(3210b)와 제3가스 분사부(3210c) 사이의 이격공간 역시, 바디(3240)의 제2개방부(3240e)와 마주보는 공간이다. 이에, 제2가스 분사부(3210b)와 제3가스 분사부(3210c) 사이에 위치되는 제2가이드 부재(3230b)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경우, 처리물의 유입량이 감소되어 집진효율이 저감될 수 있다.And, the space between the first
또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이웃하여 위치된 두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두 가이드 부재의 위치가 일부 겹치면서, 상호 간의 타단의 위치가 서로 다르도록 마련된다. 즉, 연장길이가 긴 가이드 부재와 연장길이가 짧은 가이드 부재는 그 일부영역의 위치가 겹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연장길이가 짧은 가이드 부재의 타단이 겹치는 영역 밖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wo guide members having different lengths and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positions of the two guide members partially overlap and the positions of the other end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guide member with a long extension length and the guide member with a short extension length are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s of some areas thereof overlap. Additionally, the other end of the guide member, which has a relatively short extension length, is formed to protrude beyond the overlapping area.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가이드 부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의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이때,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이웃하여 위치된 두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길이가 긴 가이드 부재의 타단이 길이가 짧은 가이드 부재의 타단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For more specific explanation, the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guide member to the other end is defined as forward. At this time, in two guide members having different lengths and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other end of the longer guide member is positioned behind the other end of the shorter guide member.
제1 및 제2가이드 부재(3230a, 3230b)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방향을 기준으로 제1가이드 부재(3230a)의 타단은 제2가이드 부재(3230b)의 타단에 비해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이드 부재(3230a)에 있어서, 그 타단으로부터 제2가이드 부재(3230b)의 일단과 마주보는 위치까지의 영역은 상기 제2가이드 부재(3230b)와 그 위치가 겹칠 수 있다. 이에, 제1가이드 부재(3230a)의 일측면을 따라 흐르는 가스가 제2가이드 부재(3230b)의 일측면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의 (d)에 도시된 X-Y 좌표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가이드 부재(3230a, 3230b)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를 위해, X축과 Y축이 교차하는 교점을 기준점(P0)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X축 및 Y축 각각에 있어서 기준점(P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기준점(P0)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또한, 제1가이드 부재(3230a)의 일단에서부터 X축과 수직하게 연결한 선(수선)이 X축 상에서 만나는 지점을 제1지점(P1)이라고 정의하고, 제2가이드 부재(3230b)의 일단에서부터 X축과 수직하게 연결한 선(수선)이 X축 상에서 만나는 지점을 제2지점(P2) 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제1가이드 부재(3230a)의 타단에서부터 X축과 수직하게 연결한 선(수선)이 X축 상에서 만나는 지점을 제3지점(P3) 이라고 정의하고, 제2가이드 부재(3230b)의 타단에서부터 X축과 수직하게 연결한 선(수선)이 X축 상에서 만나는 지점을 제4지점(P4) 이라고 정의한다. 도 7의 (d)를 참조하면, X축 상에서 제3지점(P3)의 위치와 제4지점(P4)의 위치가 다를 수 있다. 즉, X축 상에서 제3지점(P3)이 제4지점(P4)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X축 상에서 제4지점(P4)이 제3지점(P3)에 비해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및 제4지점(P3, P4)의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X축 상에서 제1 및 제2가이드 부재(3230a, 3230b)의 타단의 위치이다. 따라서, X축 상에서 제4지점(P4)에 비해 제3지점(P3)이 후방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은, X축 상에서 제1가이드 부재(3230a)의 타단이 제2가이드 부재(3230b)의 타단에 비해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4지점(P4)이 제3지점(P3)에 비해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은, X축 상에서 제1가이드 부재(3230a)의 타단에 비해 제2가이드 부재(3230b)의 타단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X축 상에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가이드 부재(3230a)와 제2가이드 부재(3230b)는 일부 영역이 겹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X축 상에서의 위치에 있어서, 제1가이드 부재(3230a)의 일부 영역의 위치와 제2가이드 부재(3230b)의 일부 영역의 위치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X축을 기준으로 제1가이드 부재(3230a)는 제1지점(P1)에서부터 제3지점(P3)까지 연장되고, 제2가이드 부재(3230b)는 제2지점(P2)에서부터 제4지점(P4)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지점(P2)의 후방으로는 제1가이드 부재(3230a)가 연장되고 제2가이드 부재(3230b)는 연장되지 않으며, 제3지점(P3)의 전방에서는 제2가이드 부재(3230b)가 연장되며, 제1가이드 부재(3230a)는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점(P2)에서부터 제3지점(P3)까지는 제1가이드 부재(3230a)와 제2가이드 부재(3230b)가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가이드 부재(3230a, 3230b) 각각의 일부 영역은 제2지점(P2)에서부터 제3지점(P3)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제1가이드 부재(3230a)와 제2가이드 부재(3230b)는 제2지점(P2)에서부터 제3지점(P3)까지에 해당하는 영역의 위치가 동일 또는 겹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점(P2)에서부터 제3지점(P3)까지의 영역의 전방에 제4지점(P4)이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제1가이드 부재(3230a)와 제2가이드 부재(3230b)가 겹치는 영역(제2지점(P2)에서부터 제3지점(P3)까지의 영역)의 전방으로 제2가이드 부재(3230b)의 타단이 돌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aking the first and
제3 및 제4가이드 부재(3230c, 3230d)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방향을 기준으로 제3가이드 부재(3230c)의 타단은 제4가이드 부재(3230d)의 타단에 비해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그 타단으로부터 제4가이드 부재(3230d)의 일단과 마주보는 위치까지의 영역은 상기 제4가이드 부재와 그 위치가 겹칠 수 있다. 이에, 제3가이드 부재(3230c)의 일측면을 따라 흐르는 가스가 제4가이드 부재(3230d)의 일측면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의 (d)에 도시된 X-Y 좌표를 이용하여 제3 및 제4가이드 부재(3230c, 3230d)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3 및 제4가이드 부재(3230c, 3230d)의 경우도 앞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가이드 부재(3230a, 3230b)의 경우와 유사하다. 설명을 위하여, 제4가이드 부재(3230d)의 타단에서부터 X축과 수직하게 연결한 선(수선)이 X축 상에서 만나는 지점을 제5지점(P5)이라고 정의하고, 제3가이드 부재(3230c)의 타단에서부터 X축과 수직하게 연결한 선(수선)이 X축 상에서 만나는 지점을 제6지점(P6)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제4가이드 부재(3230d)의 일단에서부터 X축과 수직하게 연결한 선(수선)이 X축 상에서 만나는 지점을 제7지점(P7)이라고 정의하고, 제3가이드 부재(3230c)의 일단에서부터 X축과 수직하게 연결한 선(수선)이 X축 상에서 만나는 지점을 제8지점(P8)이라고 정의한다. 도 7의 (d)를 참조하면, X축 상에서 제6지점(P6)이 제5지점(P5)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X축 상에서 제5지점(P5)이 제6지점(P6)에 비해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X축 상에서 제6지점(P6)이 제5지점(P5)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은, X축 상에서 제3가이드 부재(3230c)의 타단이 제4가이드 부재(3230d)의 타단에 비해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5지점(P5)이 제6지점(P6)에 비해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은, X축 상에서 제3가이드 부재(3230c)의 타단에 비해 제4가이드 부재(3230d)의 타단이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X축 상에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3가이드 부재(3230c)와 제4가이드 부재(3230d)는 일부 영역이 겹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X축 상에서의 위치에 있어서, 제3가이드 부재(3230c)의 일부 영역의 위치와 제4가이드 부재(3230d)의 일부 영역의 위치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X축을 기준으로 제3가이드 부재(3230c)는 제6지점(P6)에서부터 제8지점(P8)까지 연장되고, 제4가이드 부재(3230d)는 제5지점(P5)에서부터 제7지점(P7)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6지점(P6)의 후방으로는 제4가이드 부재(3230d)가 연장되고 제3가이드 부재(3230c)는 연장되지 않으며, 제7지점(P7)의 전방에서는 제3가이드 부재(3230c)가 연장되며, 제4가이드 부재(3230d)는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6지점(P6)에서부터 제7지점(P7)까지는 제3가이드 부재(3230c)와 제4가이드 부재(3230d)가 연장될 수 있다. 즉, 제3 및 제4가이드 부재(3230c, 3230d) 각각의 일부 영역은 제6지점(P6)에서부터 제7지점(P7)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제3가이드 부재(3230c)와 제4가이드 부재(3230d)는 제6지점(P6)에서부터 제7지점(P7)까지에 해당하는 영역의 위치가 동일 또는 겹칠 수 있다.Taking the third and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3230)를 마련하는데 있어서, 그 일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2원(C21 내지 C24)이 제1원(C1)과 외접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한다. 또한, 이웃하여 위치되며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두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길이가 긴 가이드 부재 타단이 길이가 짧은 가이드 부재의 타단의 후방에 위치하며, 일부 영역의 위치가 겹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로부터 토출된 가스가 복수의 가이드 부재(3230)의 일측면을 따라 흘러 형성되는 기류가 회전기류가 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providing the
또한, 이렇게 형성된 회전기류는 팬(330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소용돌이 또는 토네이도와 같은 와류가 된다. 즉,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와류 생성부(3220)에 와류가 생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가이드 부재(3230)에 의해 가스가 원형으로 이동하는 회전이동이 원활해 지고, 안정적인 회전기류가 형성됨에 따라, 와류의 생성 및 유지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원심력이 증가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후드(3100)의 직하 영역뿐만 아니라, 후드(3100)의 폭 방향 및 길이방향 외측 영역으로, 흡입력이 작용하는 또는 흡입력이 영향을 미치는 영역이 증가된다. 따라서, 후드(3100)의 직하부 영역뿐만 아니라, 후드(3100)의 폭 방향 및 길이방향 외측의 처리물도 함께 흡입시킬 수 있어, 집진효율이 향상된다.Additionally, the rotating airflow formed in this way becomes a vortex such as a vortex or tornado due to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보조 분사부(3250)는 바디(3240) 내부공간의 외부로 처리물이 빠져 나가는 것을 차단하고, 와류 생성부(3220)로부터 빠져나온 처리물이 다시 와류 생성부(32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가스를 분사한다. 이러한 보조 분사부(3250)는 상술한 가스 분사부(3210)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보조 분사부(32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보조 분사부(3250)에는 각각에서 가스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이하, 보조노즐(3251))이 마련된다. 복수의 보조노즐(3251)은 보조 분사부(3250)의 연장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복수의 보조노즐(3251: 3251a 내지 3251d)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분사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관 형태일 수 있다.The
보조 분사부(3250)는 바디(3240) 내부에서, 가스 분사부(3210)의 외측에 설치된다. 즉, 보조 분사부(3250)는 제1방향을 기준으로 가스 분사부(3210)의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보조 분사부(3250)는 제2방향의 한쪽으로 치우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개방부(3240d, 3240e) 중 제2개방부(3240e)와 상대적으로 이웃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보조 분사부(3250)는 복수개로 마련되는데, 복수의 보조 분사부(3250)는 제1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2 개의 보조 분사부(3250a, 3250b)가 마련되고, 제2가스 분사부(3210b)의 외측에 제1보조 분사부(3250a)가 위치되고, 제3가스 분사부(3210c)의 외측에 제2보조 분사부(3250b)가 위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보조 분사부(3250)에는 보조노즐(3251)이 마련되는데 있어서, 보조노즐(3251)이 가스 분사부(3210)와 마주볼 수 있도록 마련한다. 즉, 제1보조 분사부(3250a)에 마련된 제1보조노즐(3251a)은 제2가스 분사부(3210b)와 마주보고, 제2보조 분사부(3250b)에 마련된 제2보조노즐(3251b)은 제3가스 분사부(3210c)와 마주보도록 마련한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제1 및 제2보조 분사부(3250a, 3250b) 각각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제1보조노즐(3251a)이 제2가스 분사부(3210b)와 마주보고, 제2보조노즐(3251b)이 제3가스 분사부(3210c)와 마주볼 수 있도록 설치한다.The
이러한 제1 및 제2보조 분사부(3250a, 3250b)로부터 가스가 분사되면, 그 가스는 가이드 부재(3230)와 가스 분사부(3210) 사이의 틈을 통해 와류 생성부(3220)로 유입된다. 즉, 제1보조 분사부(3250a)로부터 가스가 토출되면, 그 가스는 제1가이드 부재(3230a)와 제2가스 분사부(3210b)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고, 제2보조 분사부(3250b)로부터 가스가 토출되면, 그 가스는 제3가이드 부재(3230c)와 제4가스 분사부(3210d) 사이의 틈으로 유입된다. 이에, 제1 및 제2보조 분사부(3250a, 3250b)로부터 분사된 가스가 와류 생성부(3220)로 유입되는 가스 흐름 또는 기류가 발생된다. 이는 와류 생성부(3220)에 생성된 와류가 가이드 부재(3230)와 가스 분사부(3210) 사이의 틈을 통해 보조 분사부(3250)로부터 토출된 가스를 끌어 당기기 때문이다.When gas is inj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이렇게 와류 생성부(3220) 외측 공간의 가스가 상기 와류 생성부(3220)로 유입될 때, 상기 와류 생성부(3220) 외측에 있는 처리물이 함께 이동한다. 이에, 와류 생성부(3220) 외측에 있는 처리물을 와류 생성부(3220)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와류 생성부(3220) 밖으로 빠져나온 처리물을 상기 와류 생성부(3220)로 다시 유입시킬 수 있다.When the gas in the space outside the
그리고, 보조 분사부(3250)로부터 분사된 가스가 가스 분사부(3210)와 가이드 부재(3230) 사이의 틈을 향해 흐르는 기류에 의한 에어커튼이 형성된다. 이 에어커튼은 처리물의 이동을 저지시켜 처리물의 바디(3240)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And, an air curtain is formed by the airflow in which the gas injected from the
도 8은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흡입기의 가스 분사부 및 노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제2변형예에 따른 흡입기의 가스 분사부 및 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9의 (a)는 제2변형예에 따른 가스 분사부 및 노즐의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1실시예의 제3변형예에 따른 흡입기의 가스 분사부 및 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gas injection unit and a nozzle of an inhaler according to a first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9 is a diagram showing a gas injection unit and a nozzle of an inhaler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Here, Figure 9 (a) is a front view of the gas injection unit and nozzle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and (b) is a side view.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 gas injection portion and nozzle of an inhaler according to a third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노즐(3211)이 하부부재(3240b)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토출되는 가스가 하부부재(3240b)와 평행 또는 0°를 이루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노즐(3211)이 후드(3100)를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8의 제1가스 분사부(3210a) 및 제1노즐(3211a)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노즐(3211a)의 노즐 연장선(L1)이 후드(3100)를 향하도록 상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노즐(3211a)은 그 노즐 연장선(L1)이 하부부재(3240b)의 상부면을 따라 연장한 연장선(LU)과 이루는 각도(θ)가 15°이하(0°초과)가 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도 8에서는 제1가스 분사부(3210a)에 마련된 제1노즐(3211a)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제2 내지 제3가스 분사부(3210b 내지 3210d)에 마련된 제2 내지 제4노즐(3211b 내지 3211d) 각각이 상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그 경사진 각도가 15°이하(0°초과) 일 수 있다..In FIG. 8, it has been explained that the
이와 같이 노즐(3211)을 상향 경사지게 마련함으로써, 처리물을 후드(3100)쪽으로 보다 용이하게 유입 또는 흡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providing the
한편, 노즐(3211)이 상향 경사진 각도가 15°를 초과하는 경우 하부부재(3240b) 쪽에서 와류가 약할 수 있다. 이에 하부부재(3240b)에 근접한 처리물이 후드쪽으로 흡입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Meanwhile, if the up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가스 분사부(3210)로부터 노즐(3211)이 외측으로 돌출된 파이프(pipe) 형상인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노즐(3211)이 슬릿 형태일 수 있다. 도 9를 들어 설명하면, 제1가스 분사부(3210a)에는 가스가 이동하는 그 내부 통로와 연통되며,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슬릿이 마련될 수 있고, 이 슬릿이 제1노즐(3211a)이다.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t was explained that the
이때, 슬릿 형태의 제1노즐(3211a)에 있어서 그 폭(W)은 1mm 내지 10mm(1mm 이상, 10mm 이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슬릿 형태인 제1노즐(3211a)의 폭(W)이 1mm 미만인 경우 토출되는 가스의 유량이 작아 와류 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막힘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폭을 10mm 이하로 하는 것은,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10mm를 초과하도록 크게 하는 것은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the width W of the slit-shaped
도 9에서는 제1노즐(3211a)이 슬릿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제2 내지 제4노즐(3211b 내지 3211d)도 슬릿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FIG. 9,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또한,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가스가 토출되는 노즐(3211)의 타단이 가이드 부재(3230) 내면의 타단(선단)과 마주보도록 마련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즉, 제1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은 그 노즐 연장선(L1 내지 L4)이 제1 내지 제4가이드 부재(3230a 내지 3230d) 내면의 선단과 연결되도록 마련되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other end of the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노즐(3211)은 그 타단이 가이드 부재(323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노즐(3211a)은 그 타단이 제1가이드 부재(3230a)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즉, 제1노즐(3211a)은 그 노즐 연장선(L1)이 제1가이드 부재(3230a)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내면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내지 제4노즐(3211b 내지 3211d) 역시, 그 노즐 연장선(L2 내지 L4)이 제2 내지 제4가이드 부재(3230b 내지 3230d)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내면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other end of the
도 11은 제1실시예의 제4변형예에 따른 흡입기의 가이드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uide member of an inhaler according to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부재(3230)의 상하방향 길이가 가스 분사부(3210)에 비해 짧을 때, 가이드 부재(3230)는 그 상하방향 중심이 가스 분사부(3210)의 상하방향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 부재(3230)가 하부부재(3240b)쪽으로 치우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의 제1가이드 부재(3230a)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가이드 부재(3230a)의 상하방향 길이가 제1가스 분사부(3210a)의 30% 이상, 100% 미만으로 짧게 마련될 때, 제1가이드 부재(3230a) 는 도 11과 같이 하부부재(3240b)가 위치된 하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가이드 부재(3230a)의 상하방향 길이가 제1가스 분사부(3210a)의 30% 이상, 70% 이하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때 제1가이드 부재(3230a)가 하부부재(3240b)가 위치된 하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 부재(3230a)의 하단이 하부부재(3240b)의 상면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내지 제4가이드 부재(3230b 내지 3230d) 역시 하부부재(3240b)가 위치된 하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n the vertical length of the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3230)의 상하방향 길이가 가스 분사부(3210)에 비해 짧을 때, 상기 가이드 부재(3230)를 하부부재(3240b)쪽으로 치우치게 설치함으로써, 후드(3100)와 멀리 떨어진 하부부재(3240b) 쪽에서의 와류를 보다 강하게 만들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vertical length of the
도 12는 제1실시예의 제5변형예에 따른 흡입기의 하부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2 is a diagram showing the lower member of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fifth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하부부재(3240b)가 하나의 부재로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부재(3240b)가 복수의 판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하부부재(3240b)는 도 12와 같이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a 내지 3210d)가 지지되는 제1하부판(3240b-1), 제1하부판(3240b-1)을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된 제2 및 제3하부판(3240b-2, 3240b-3)을 포함한다. 이때, 제1하부판(3240b-1)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의 하부부재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제2하부판(3240b-2)과 제3하부판(3240b-3)은 제1개방부(3240d)와 제2개방부(3240e)의 나열방향인 제2방향으로 나열된다.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이에 따라, 제5변형예에 따른 하부부재(3240b)는 도 12와 같이 제1하부판(3240b-1)에 연결된 제2 및 제3하부판(3240b-2, 3240b-3) 만큼 제2방향으로의 면적이 증가된다. 이렇게 제1하부판(3240b-1)의 양측에 제2 및 제3하부판(3240b-2, 3240b-3)을 연결하여 하부부재(3240b)의 면적을 증가시키면, 와류를 보다 강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제1 내지 제4노즐(3211a 내지 3211d)로부터 토출된 가스가 연장된 제2 및 제3하부판(3240b-2, 3240b-3)에 의해 하측으로 빠지는 또는 누설되는 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5변형예에 따른 하부부재(3240b)를 포함하는 흡입기(3200)에 의하면 제1실시예에 비해 와류를 보다 강하게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그리고, 제5변형예에 따른 하부부재(3240b)는 필요시에 제2 및 제3하부판(3240b-2, 3240b-3)이 제1하부판(3240b-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슬라이딩 되거나, 접힐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필요시라는 것은 예를 들어 집진을 실시하지 않을 때 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흡입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Figure 13 is a plan view of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top.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의 배치에 따른 가로세로 비가 1 미만 또는 1을 초과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로 세로비가 1, 예컨대 도 8의 제2실시예와 정사각형을 이루도록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가 배치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aspect ratio is less than or greater than 1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도 8과 같이 제1 내지 제4가스 분사부(3210: 3210a 내지 3210d)가 정사각형이 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노즐(3211: 3211a 내지 3211d)이 제1 내지 제4변(S1 내지 S4)과 나란하도록 복수의 가스 분사부 각각을 배치시킨다. 즉, 제1노즐(3211a)의 노즐 연장선(L1)이 제1변(S1)과 나란하고, 제2노즐(3211b)의 노즐 연장선(L2)이 제2변(S2)과 나란하며, 제3노즐(3211c)의 노즐 연장선(L3)이 제3변(S3)과 나란하고, 제4노즐(3211d)의 노즐 연장선(L4)이 제4변(S4)과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first to fourth gas injection units 3210 (3210a to 3210d) are arranged to be square as shown in FIG. 8, each nozzle (3211: 3211a to 3211d) is positioned on the first to fourth sides (S 1 to S 4). ) and arrange each of the plurality of gas injection units in parallel. That is, the nozzle extension line (L 1 ) of the first nozzle (3211a) is parallel to the first side (S 1 ), and the nozzle extension line (L 2 ) of the second nozzle (3211b) is parallel to the second side (S 2 ). And, the nozzle extension line (L 3 ) of the third nozzle (3211c) is parallel to the third side (S 3 ), and the nozzle extension line (L 4 ) of the fourth nozzle (3211d) is parallel to the fourth side (S 4 ). It can be arranged to do so.
이와 같이,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a 내지 3210d)의 배치 형태가 정사각형인 경우, 노즐(3211a 내지 3211d)이 제1 내지 제4변(S1 내지 S4)과 나란하게 배치되더라도 가스가 원형으로 회전하는 회전기류의 형성이 용이하다. 즉, 가로 세로비가 1이 되도록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가 배치된 경우, 각 노즐(3211a 내지 3211d)의 노즐 연장선(L1 내지 L4)이 각 변(S1 내지 S4)과 교차하지 않고 나란하도록 배치시키더라도 선회류를 형성하는데 문제가 없다.In this way, when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plurality of
또한,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 3210a 내지 3210d) 각각이 가이드 부재(3230: 3230a 내지 3230d)가 설치된다. 이 가이드 부재(3230)는 외기가 와류 생성부(32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또는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와류 생성부(3220) 내에 와류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a guide member (3230: 3230a to 3230d)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gas injection units (3210: 3210a to 3210d). This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때, 압연기의 후방에 흡입장치가 위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the case where the suction device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rolling mil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압연기(30)를 동작시켜 주편(10)을 압연시키는 동안 집진장치를 동작시켜, 압연 중 발생되는 처리물을 집진한다. 이를 위해, 블로어(2000)를 동작시키고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 및 복수의 보조 분사부(3250) 각각으로부터 가스를 분사한다.While the rolling
블로어(2000)가 동작하면, 덕트(1000) 및 후드(3100)에 흡입력이 발생되며, 후드(3100) 내부의 팬(3300)이 회전한다. 이에, 블로어(2000)에 의한 흡입력 및 팬(3300)에 의한 흡입력이 발생된다.When the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 각각의 노즐(3211)로부터 분사된 가스는 가이드 부재(3230)의 일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흐른다. 이에, 각각의 노즐(3211)로부터 분사된 가스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가스에 의한 회전기류 또는 선회류가 형성된다.The gas injected from each
그리고,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의 상측에 위치된 팬(3300)이 회전하고 있으므로, 팬(3300)의 회전에 의한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에, 후드(3100)에는 블로어(2000)에 의한 흡입력과 팬(3300)의 회전에 의한 흡입력이 발생되다. 그리고 이 후드(3100)의 흡입력은 그 하측 공간 즉, 와류 생성부(3220)에 작용한다. 따라서, 후드(3100)의 흡입력에 의해 와류 생성부(3220)에 형성된 회전기류가 후드(3100)쪽으로 당겨지고, 이에 따라 토네이도 또는 소용돌이와 같은 와류가 형성된다. 즉, 후드(3100) 하측에 위치된 와류 생성부(3220)에 와류가 형성된다. 그리고, 와류에 의한 흡입력이 발생된다.And, since the
이때, 블로어(2000) 및 팬(3300)의 동작에 의해 후드(3100)에 발생된 흡입력과, 와류의 원심력에 의한 흡입력 의해 바디(3240) 및 와류 생성부(3220) 내부로 처리물이 유입된다. 즉, 바디(3240)의 제1 및 제2개방부(3240e), 하부부재(3240b)에 마련된 복수의 홀(h)을 통해 와류 생성부(3220)로 처리물이 흡입 또는 유입된다. 와류 생성부(3220)로 유입된 처리물은 후드(3100)로 유입된다. 후드(3100)로 유입된 처리물은 덕트(1000) 내부를 통과한 후 집진부(4000)로 집진된다. 그리고, 처리물이 제거된 기체만이 덕트(1000)의 외부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treated material flows into the
이때, 후드(3100)의 하측에 와류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와류가 없을 때에 비해 흡입력이 작용하는 영역이 넓어진다. 이에 따라, 후드(3100)의 바로 하측 공간뿐만 아니라, 후드(3100)의 폭 및 길이방향의 외측 공간까지도 후드(3100) 및 와류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후드(3100)의 직하부 영역뿐만 아니라, 후드(3100)의 폭 방향 및 길이방향 외측의 처리물도 함께 집진시킬 수 있어, 집진효율이 향상된다. At this time, because a vortex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또한, 복수의 가스 분사부(3210) 각각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3230)에 의해 회전기류 및 와류의 형성이 용이하고, 강한 원심력을 가지는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3230)에 의해 외기가 와류 생성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와류에 의한 원심력에 따른 흡입력으로 처리물을 후드(3100)로 용이하게 흡입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집진효율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보조 분사부(3250)로부터 분사된 가스 흐름에 의해 와류 생성부(3220) 외측의 처리물을 상기 와류 생성부(3220)로 유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분사부(3250)로부터 분사된 가스에 의해 에어커튼이 형성되는데, 이 에어커튼은 처리물의 이동을 저지시켜 처리물이 바디(3240)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분사부(3250)에 의한 기류에 의해 와류 생성부로 흡입되는 처리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고, 처리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처리물의 집진효율이 향상된다. 상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흡입기가 4 개의 가스 분사부를 구비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가스 분사부의 개수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4 개 미만의 개수 또는 4 개를 초과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스 분사부는 4 개 미만인 개수인 1개 내지 3개로 마련되거나, 4 개를 초과하는 개수 5 개, 6 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가스 분사부가 배치되는 형태가 사각형인 경우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가스 분사부가 배치되는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cessing material outside the
1000: 덕트 3000: 흡입장치
3100: 후드 3210: 가스 분사부
3220: 와류 생성부 3230: 가이드 부재
3240: 바디 3250: 보조 분사부1000: Duct 3000: Suction device
3100: hood 3210: gas injection unit
3220: Vortex generating unit 3230: Guide member
3240: Body 3250: Auxiliary injection unit
Claims (20)
상기 가스 분사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며 와류가 생성되는 공간인 와류 생성부를 향하도록, 상기 가스 분사부에 연결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이웃하여 배치된 두 개의 가이드 부재는 일부영역의 위치가 겹치고,
일부영역의 위치가 겹치게 배치된 상기 두 개의 가이드 부재 중 하나의 가이드 부재의 단부는 겹치는 영역 밖으로 돌출되며,
복수의 상기 가스 분사부가 나열된 배치 형태는, 이웃하여 배치된 가스 분사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일부 다른 다각형이고,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두 개의 가스 분사부 사이에 위치된 가이드 부재의 연장길이가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두 개의 가스 분사부 사이에 위치된 가이드 부재에 비해 길게 마련된 와류 형성 장치.A plurality of gas injection units capable of spraying gas; and
A guide member connected to the gas injection unit is directed to the vortex generator, which is a space surrounded by the gas injection unit and is a space in which a vortex is generated.
The positions of two adjacent guide members overlap in some areas,
The end of one of the two guide members arranged to overlap in some areas protrudes outside the overlapping area,
The arrangement form in which the plurality of gas injection units are arranged is a polygon in which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djacent gas injection units is partially different,
A vortex forming device in which the extension length of the guide member located between two gas injection units with a relatively short separation distance is longer than that of the guide member located between two gas injection units with a relatively long separation distance.
상기 가스 분사부 및 상기 가이드 부재 각각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하방향 연장 길이는 상기 가스 분사부의 상하방향 연장 길이에 비해 짧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하방향의 중심이 상기 가스 분사부의 상하방향의 중심에 위치하는 와류 형성 장치.In claim 1,
Each of the gas injection unit and the guide member has a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rtical extension length of the guide member is shorter than the vertical extension length of the gas injection unit, and the vertical center of the guide member is located at the vertical center of the gas injection unit.
상기 가스 분사부에는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노즐을 커버하도록 일단이 상기 가스 분사부에 연결된 와류 형성 장치.In claim 1,
The gas injection unit is provided with a nozzle for spraying gas,
The guide member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gas injection unit to cover the nozzle.
상기 노즐은, 상기 가스 분사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관 형상이고,
상기 노즐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면을 향하도록 마련된 와류 형성 장치.In claim 3,
The nozzle is shaped like a tub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gas injection unit,
The nozzle is a vortex forming device provided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상기 노즐은, 가스가 이동하는 상기 가스 분사부의 내부 통로와 연통되며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상으로 마련된 와류 형성 장치.In claim 3,
The nozzl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nal passage of the gas injection unit through which the gas moves and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sli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가이드 부재는 오목한 곡면의 내면을 포함하는 와류 형성 장치.In claim 1,
The guide member is a vortex forming device including an inner surface of a concave curved surface.
상기 가스 분사부의 상측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팬; 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원이 상기 팬의 회전으로 형성되는 제1원과 외접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된 와류 형성 장치.In claim 6,
a fan installed to rotate above the gas injection unit; Including,
The guide member is a vortex forming device provided in a shape such that a second circle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can circumscribe a first circle formed by rotation of the fan.
상기 가스 분사부 및 가이드 부재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일측에 마련된 제1개방부 및 타측에 마련된 제2개방부를 구비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집진장치.The vortex form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dust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a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gas injection unit and the guide member are accommodated, and having a first opening provided on one side and a second opening provided on the other side.
상기 바디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부재에는 복수의 홀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홀 중, 상기 와류 생성부와 마주보는 영역에 마련된 홀의 내경이 상기 와류 생성부의 외측과 마주보는 영역에 마련된 홀의 내경에 비해 작은 집진장치.In claim 11,
A plurality of holes are provided in the lower member forming the lower part of the body,
Among the plurality of holes,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provided in the area facing the vortex generating unit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provided in the area facing the outside of the vortex generating unit.
상기 가스 분사부 외측에 설치되어, 가스를 분사하는 보조 분사부를 포함하는 집진장치.In claim 11,
A dust collection device installed outside the gas injection unit and including an auxiliary injection unit that sprays gas.
상기 와류 형성 장치의 상측에 위치된 후드; 및
상기 후드에 연결된 덕트;를 포함하는 집진장치.In claim 11,
A hood located above the vortex forming device;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a duct connected to the hood.
상기 분사된 가스가 상기 가스 분사부에 연결된 가이드 부재를 따라 흘러 회전기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기류를 흡입하여 와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분사부를 이용하여 가스를 분사하는 단계에 있어서,
이웃하여 배치된 두 개의 가이드 부재는 일부영역의 위치가 겹치고, 일부영역의 위치가 겹치게 배치된 두 개의 가이드 부재 중 하나의 가이드 부재의 단부는 겹치는 영역 밖으로 돌출되게 위치시켜 분사하고,
복수의 상기 가스 분사부가 나열된 배치 형태가 이웃하여 배치된 가스 분사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일부 다른 다각형이 되도록 분사하며,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두 개의 가스 분사부 사이에 위치된 가이드 부재의 연장길이를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두 개의 가스 분사부 사이에 위치된 가이드 부재에 비해 길게 마련하여 분사하는 와류 형성 방법.Injecting gas using a plurality of gas injection units;
forming a rotating airflow by allowing the injected gas to flow along a guide member connected to the gas injector; and
Including the step of generating a vortex by sucking the rotating air current,
In the step of spraying gas using the gas injection unit,
The positions of two adjacent guide members overlap in some areas, and the end of one guide member of the two guide members arranged in overlapping partial areas is positioned to protrude outside the overlapping area for spraying,
A plurality of the gas injection units are injected so that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gas injection units has different polygons,
A vortex forming method in which the extension length of the guide member located between two gas injection units with a relatively short separation distance is provided to be longer than the guide member located between two gas injection units with a relatively long separation distance and then sprayed.
상기 회전기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사된 가스가 일 가이드 부재의 오목한 곡면인 내면을 따라 흐르고, 상기 일 가이드 부재의 내면을 따라 흐른 가스를 이웃하는 가이드 부재의 내면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와류를 생성하는 단계는, 회전기류를 상측 방향으로 흡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류 형성 방법.In claim 15,
The step of forming the rotating airflow includes allowing the injected gas to flow along the concave curved inner surface of one guide member, and transferring the gas flow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ne guide member to the inner surface of a neighboring guide member; ,
The step of generating the vortex includes the step of sucking a rotating airflow in an upward direction.
상기 가이드 부재를 이용하여, 와류가 생성되는 영역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류 형성 방법.In claim 15,
A vortex forming method comprising blocking external air from flowing into the area where the vortex is generated using the guide member.
상기 가스 분사부에 연결된 가이드 부재를 이용해 상기 분사된 가스를 이동시켜 회전기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회전기류를 흡입하여 와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와류를 이용하여 처리물을 덕트로 흡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분사부를 이용하여 가스를 분사하는 단계에 있어서,
이웃하여 배치된 두 개의 가이드 부재는 일부영역의 위치가 겹치고, 일부영역의 위치가 겹치게 배치된 두 개의 가이드 부재 중 하나의 가이드 부재의 단부는 겹치는 영역 밖으로 돌출되게 위치시켜 분사하고,
복수의 상기 가스 분사부가 나열된 배치 형태가 이웃하여 배치된 가스 분사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일부 다른 다각형이 되도록 분사하며,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두 개의 가스 분사부 사이에 위치된 가이드 부재의 연장길이를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두 개의 가스 분사부 사이에 위치된 가이드 부재에 비해 길게 마련하여 분사하는 집진방법.Injecting gas using a plurality of gas injection units;
forming a rotating airflow by moving the injected gas using a guide member connected to the gas injection unit;
generating a vortex by sucking the rotating airflow; and
Including: suctioning the treated material into a duct using the vortex,
In the step of spraying gas using the gas injection unit,
The positions of two adjacent guide members overlap in some areas, and the end of one guide member of the two guide members arranged in overlapping partial areas is positioned to protrude outside the overlapping area for spraying,
A plurality of the gas injection units are injected so that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gas injection units has different polygons,
A dust collection method in which the extension length of the guide member located between two gas injection units with a relatively short separation distance is made longer than the guide member located between two gas injection units with a relatively long separation distance.
상기 회전기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사된 가스가 일 가이드 부재의 오목한 곡면인 내면을 따라 흐르고, 상기 일 가이드 부재의 내면을 따라 흐른 가스를 이웃하는 가이드 부재의 내면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와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스 분사부의 상측에서 팬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기류를 흡입하여, 와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집진방법.In claim 18,
The step of forming the rotating airflow includes allowing the injected gas to flow along the concave curved inner surface of one guide member, and transferring the gas flow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ne guide member to the inner surface of a neighboring guide member; ,
The step of generating the vortex includes rotating a fan above the gas injection unit to suck in the rotating air current, thereby generating the vortex.
상기 처리물을 덕트로 흡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한 흡입력 및 상기 와류의 원심력에 의한 흡입력으로 처리물을 덕트로 흡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집진방법.In claim 19,
The step of sucking the processed material into the duct includes the step of sucking the processed material into the duct using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fan and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vortex.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52918A KR102670729B1 (en) | 2020-12-21 | 2022-11-15 | Dust collecting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79250A KR102469350B1 (en) | 2020-12-21 | 2020-12-21 | Dust collecting equipment and dust collecting method |
| KR1020220152918A KR102670729B1 (en) | 2020-12-21 | 2022-11-15 | Dust collecting equipment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79250A Division KR102469350B1 (en) | 2020-12-21 | 2020-12-21 | Dust collecting equipment and dust collecting method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57350A KR20220157350A (en) | 2022-11-29 |
| KR102670729B1 true KR102670729B1 (en) | 2024-05-30 |
Family
ID=82268677
Famil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79250A Active KR102469350B1 (en) | 2020-12-21 | 2020-12-21 | Dust collecting equipment and dust collecting method |
| KR1020220152918A Active KR102670729B1 (en) | 2020-12-21 | 2022-11-15 | Dust collecting equipment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79250A Active KR102469350B1 (en) | 2020-12-21 | 2020-12-21 | Dust collecting equipment and dust collecting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2) | KR102469350B1 (en) |
Citations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2088377A2 (en) | 2006-07-27 | 2009-08-12 | Electrolux Professional S.P.A. | Improvement in the ventilation arrangement of a fume extractor hood |
| CN102954514A (en) | 2011-08-27 | 2013-03-06 |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 Range hood and whirlwind generating device thereof |
| KR101395187B1 (en) * | 2012-12-28 | 2014-05-15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Exhaust hood enhanced by vortex |
| JP2014227577A (en) | 2013-05-23 | 2014-12-08 | 株式会社Ihi | Dust collector of blast furnace |
| JP2015504508A (en) | 2012-12-28 | 2015-02-12 | コリア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インダストリアル テクノロジー | Eddy current exhaust hood |
| KR101779549B1 (en) | 2016-03-08 | 2017-09-18 | 주식회사 포스코 | Scarping Apparatus and Scarping Method |
| KR101918406B1 (en) * | 2017-06-20 | 2018-11-13 | 이원희 | A hood device having a dust collecting function |
| CN109028429A (en) | 2018-08-10 | 2018-12-18 | 西安建筑科技大学 | A kind of vortex ventilating system and method suitable for large-space clean factory building |
| KR101957879B1 (en) | 2018-04-05 | 2019-07-04 | 윤승원 | Exhaust hood enhanced by vortex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493684B2 (en) * | 1993-05-25 | 2004-02-03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Dust collector around hot metal / slag outlet of blast furnace |
| JP2939861B2 (en) * | 1995-03-06 | 1999-08-25 | 東陶機器株式会社 | Range food |
| JPH09316508A (en) * | 1996-05-29 | 1997-12-09 | Kawasaki Steel Corp | Dust collection method for blast furnace tilting gutter |
| KR101712827B1 (en) | 2015-09-04 | 2017-03-07 | 주식회사 포스코 | Dust Collecting Apparatus |
-
2020
- 2020-12-21 KR KR1020200179250A patent/KR102469350B1/en active Active
-
2022
- 2022-11-15 KR KR1020220152918A patent/KR10267072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2088377A2 (en) | 2006-07-27 | 2009-08-12 | Electrolux Professional S.P.A. | Improvement in the ventilation arrangement of a fume extractor hood |
| CN102954514A (en) | 2011-08-27 | 2013-03-06 |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 Range hood and whirlwind generating device thereof |
| KR101395187B1 (en) * | 2012-12-28 | 2014-05-15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Exhaust hood enhanced by vortex |
| JP2015504508A (en) | 2012-12-28 | 2015-02-12 | コリア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インダストリアル テクノロジー | Eddy current exhaust hood |
| JP2014227577A (en) | 2013-05-23 | 2014-12-08 | 株式会社Ihi | Dust collector of blast furnace |
| KR101779549B1 (en) | 2016-03-08 | 2017-09-18 | 주식회사 포스코 | Scarping Apparatus and Scarping Method |
| KR101918406B1 (en) * | 2017-06-20 | 2018-11-13 | 이원희 | A hood device having a dust collecting function |
| KR101957879B1 (en) | 2018-04-05 | 2019-07-04 | 윤승원 | Exhaust hood enhanced by vortex |
| CN109028429A (en) | 2018-08-10 | 2018-12-18 | 西安建筑科技大学 | A kind of vortex ventilating system and method suitable for large-space clean factory building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469350B1 (en) | 2022-11-23 |
| KR20220089010A (en) | 2022-06-28 |
| KR20220157350A (en) | 2022-11-2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5716268A (en) | Device for removal of deleterious impurities from room atmosphere | |
| CN107218074A (en) | Excavation face in coal mine dust pelletizing system | |
| KR102038907B1 (en) | Hood device with air-curtain for industry | |
| KR101609512B1 (en) | Wet Scrubber | |
| JP6912654B2 (en) | Dust remover for cleaning gas | |
| JP6912653B2 (en) | Dust remover for cleaning gas | |
| KR101957879B1 (en) | Exhaust hood enhanced by vortex | |
| CN102728469A (en) | Vertical type wet process electric dust collector flow field optimizing device | |
| CN105625238B (en) | Clean- suction nozzle, Pneumatic System and cleaning vehicle | |
| KR102670729B1 (en) | Dust collecting equipment | |
| CN211513897U (en) | Wide-angle dust removal fog gun | |
| KR101395187B1 (en) | Exhaust hood enhanced by vortex | |
| KR102257711B1 (en) | Vortex washing type dust collector | |
| CN111330444B (en) | Ammonia spraying grid low speed swirl hood and ammonia spraying grid | |
| JP5753955B2 (en) | Eddy current exhaust hood | |
| KR100741786B1 (en) | Exhaust hood | |
| US4022385A (en) | Water spray nozzle | |
| JP2023522922A (en) | Dust re-entrainment device for filter dust collector including filter bag protection air curtain generation module and filter dust collector provided with the same | |
| JP3271045B2 (en) | Smoke dust and toxic gas removal equipment | |
| KR20120083258A (en) | Compressed air injection system using air amplifier | |
| JPWO2020183537A1 (en) |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and exhaust gas abatement device using it | |
| CN212431169U (en) | Washed air purifier | |
| KR20230007662A (en) | Appratus for collecting dust | |
| KR100741783B1 (en) | Exhaust hood | |
| KR101897034B1 (en) | System for improving dust collecting environment in raw material storehous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11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0122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0017925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2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