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090B1 - 합성 폴리펩타이드 에피토프 기반의 백신 조성물 - Google Patents
합성 폴리펩타이드 에피토프 기반의 백신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3090B1 KR102673090B1 KR1020207003116A KR20207003116A KR102673090B1 KR 102673090 B1 KR102673090 B1 KR 102673090B1 KR 1020207003116 A KR1020207003116 A KR 1020207003116A KR 20207003116 A KR20207003116 A KR 20207003116A KR 102673090 B1 KR102673090 B1 KR 1026730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v1
- protein
- nacl
- urea
- aebsf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125—Picornaviridae, e.g. calicivirus
- A61K39/135—Foot- and mouth-disease vir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1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y
- C07K1/22—Affinity chromatography or related techniques based upon selective absorption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3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processes of different typ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es
- C07K14/08—RNA viruses
- C07K14/085—Picornaviridae, e.g. coxsackie virus, echovirus, enterovirus
- C07K14/09—Foot-and-mouth disease vir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05—Inorganic adjuv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61—CpG containing adjuvants; Oligonucleotide containing adjuv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66—Emulsions, e.g. Freund's adjuvant, MF59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72—Lipopolysaccharides; Lipid A; Monophosphoryl lipid 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70—Multivalent vaccine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7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positive-sense
- C12N2770/00011—Details
- C12N2770/32011—Picornaviridae
- C12N2770/32111—Aphthovirus, e.g. footandmouth disease virus
- C12N2770/321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7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positive-sense
- C12N2770/00011—Details
- C12N2770/32011—Picornaviridae
- C12N2770/32311—Enterovirus
- C12N2770/323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Description
1A: MEV1의 개략도로, 3개의 에피토프의 4개의 카피가 나란히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링커는 에피토프를 분리하여 유연성을 부가한다. NdeI 및 BamHI 서열은 각각 5' 및 3' 말단에 존재한다.
1B: MEV2의 개략도로, 6개의 에피토프의 3개의 카피와, 이어서 추가 3개의 에피토프의 1개의 카피가 나란히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링커는 에피토프를 분리하여 유연성을 부가한다. NdeI 및 BamHI 서열은 각각 5' 및 3' 말단에 존재한다.
도 2: 상이한 농도의 IPTG를 평가하여 MEV1 (2A) 및 MEV2 (2B)의 발현에 대한 최적 농도를 평가하였다. 2A: 좌측으로부터, 레인 1: 비유도된 세포 (IPTG의 부재), 레인 2~4: 각각 0.2 mM, 0.5 mM 및 0.75 mM IPTG로 유도된 세포, 레인 5: 바닥에서부터 각각 16 kDa, 29 kDa, 33 kDa, 43 kDa, 54 kDa, 71 kDa, 91 kDa, 124 kDa 및 250 kDa의 크기를 가지는 단백질에 대한 분자량 마커, 레인 6~8: 각각 0.2 mM, 0.5 mM 및 0.75 mM IPTG로 유도되고, 이어서 용해된 후의 단백질 응집체를 가지는 세포 펠릿, 레인 9~11: 각각 0.2 mM, 0.5 mM 및 0.75 mM IPTG로 유도되고, 이어서 용해된 후의 세포 용해물.
2B: 좌측으로부터, 레인 1: pET11b-MEV2로 형질전환된 비유도된 BL21 (DE3) 세포 (IPTG의 부재), 레인 2~4: 0.2 mM, 0.5 mM 및 0.75 mM IPTG를 사용하여 pET11b-MEV2로 형질전환된 BL21(DE3) 세포의 유도.
결론: 상기 도면의 결과에 의하면, MEV1 및 MEV2의 발현은 광범위한 IPTG 농도를 사용하여 유도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3: MEV1 (3A, 3B) 및 MEV2 (3C)의 발현 수준이 상이한 온도 설정에서 평가된다.
(3A): 좌측으로부터, 레인 1: 비유도된 세포 (IPTG의 부재), 레인 2: 도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분자량 단백질 마커, 레인 3~4: 37℃에서 0.2 mM IPTG로 유도되고 용해된 후의 각각의 세포 용해물 및 세포 펠릿, 레인 4~5: 25℃에서 0.2 mM IPTG로 유도되고 용해된 후의 각각의 세포 용해물 및 세포 펠릿.
(3B): 좌측으로부터, 레인 1: 비유도된 세포 (IPTG의 부재), 레인 2: 37℃에서 IPTG로 유도된 세포, 레인 3~4: 37℃에서 0.2 mM IPTG로 유도되고 용해된 후의 각각의 세포 펠릿 (P) 및 세포 용해물 (S), 레인 5: 25℃에서 IPTG로 유도된 세포, 레인 6~7: 25℃에서 0.2 mM IPTG로 유도되고 용해된 후의 각각의 세포 펠릿 (P) 및 세포 용해물 (S), 레인 8: 도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분자량 단백질 마커.
(3C): 좌측으로부터, 레인 1: 비유도된 MEV2 유전자 형질전환된 로제타 세포 (IPTG의 부재), 레인 2: 18℃에서 0.2 mM IPTG로 유도된 로제타 세포, 레인 4: 비유도된 MEV2 유전자 형질전환된 BL21 (DE3) 세포, 레인 5: 37℃에서 0.2 mM IPTG로 유도된 BL21 (DE3) 세포, 레인 6: 18℃에서 0.2 mM IPTG로 유도된 BL21 (DE3) 세포, 레인 7: 분자량 단백질 마커.
결론: 도 3A 및 3B로부터 수득된 결과에 의하면, 37℃는 IPTG에 의해 MEV1 및 MEV2를 유도하기 위한 최적의 온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 4: 2가지의 상이한 농도의 요소 (6 M 및 3 M)가 MEV1 (4A)의 용해도를 개선하기 위해 평가되는 반면, MEV2의 경우에는 가변성 pH를 가지는 DTT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2가지의 상이한 농도의 요소 (6M 및 3M)에 의해 용해도가 평가되었다 (4B, 4C).
4A: 좌측으로부터, 레인 1: 0.2 mM IPTG로 유도되고, 이어서 용해된 후의 세포 용해물, 레인 2: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6 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상청액, 레인 3: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6 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세포 펠릿, 레인 4: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3 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상청액, 레인 5: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3 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세포 펠릿, 레인 6: 도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분자량 단백질 마커.
4B: 좌측으로부터, 레인 1: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3 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상청액, 레인 2: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3 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세포 펠릿, 레인 3: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10 mM DTT의 존재하에 3 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상청액, 레인 4: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10 mM DTT의 존재하에 3 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세포 펠릿, 레인 5: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6 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상청액, 레인 6: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6 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세포 펠릿, 레인 7: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10 mM DTT의 존재하에 6 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상청액, 레인 8: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10 mM DTT의 존재하에 6 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세포 펠릿, 레인 9: 도 2B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분자량 단백질 마커.
4C: 좌측으로부터, 레인 1: 0.2 mM IPTG로 유도되고, 이어서 용해 완충액-I (pH 7.4) 중에서 용해된 후의 세포 용해물, 레인 2: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20 mM DTT의 존재하에 용해 완충액-II (pH 7.4) 중에서 6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상청액, 레인 3: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20 mM DTT의 존재하에 용해 완충액-II (pH 7.4) 중에서 6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세포 펠렛, 레인 4: 0.2 mM IPTG로 유도되고, 이어서 용해 완충액 (50 mM Na2HPO4, 0.3 M NaCl, 1% TritonX-114, 0.5 mg/ml 라이소자임, 1 mM AEBSF, pH 8) 중에서 용해된 후의 세포 용해물,
레인 5: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20 mM DTT의 존재하에 용해 완충액 (50 mM Na2HPO4, 0.3 M NaCl, 1% TritonX-114, 0.5 mg/ml 라이소자임, 1 mM AEBSF, pH 8) 중에서 6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상청액, 레인 6: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20 mM DTT의 존재하에 용해 완충액 (50 mM Na2HPO4, 0.3 M NaCl, 1% TritonX-114, 0.5 mg/ml 라이소자임, 1 mM AEBSF, pH 8) 중에서 6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세포 펠릿, 레인 8: 도 2B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분자량 단백질 마커, 레인 8: 0.2 mM IPTG로 유도되고, 이어서 용해 완충액 (50 mM Tris, 0.3 M NaCl, 1% TritonX-114, 0.5 mg/ml 라이소자임, 1 mM AEBSF, pH 8.5) 중에서 용해된 후의 세포 용해물, 레인 9: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20 mM DTT의 존재하에 용해 완충액 (50 mM Tris, 0.3 M NaCl, 1% TritonX-114, 0.5 mg/ml 라이소자임, 1 mM AEBSF, pH 8.5) 중에서 6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상청액, 레인 10: 불용성 세포 응집체가 20 mM DTT의 존재하에 용해 완충액 (50 mM Tris, 0.3 M NaCl, 1% TritonX-114, 0.5 mg/ml 라이소자임, 1 mM AEBSF, pH 8.5) 중에서 6M 요소로 처리된 후의 세포 펠릿 (세포 펠릿의 부피는 잘 용해됨에 따라 레인 10 샘플에 대해 매우 적었다).
결론: 상기 도면에 의하면, 3 M 및 6 M 요소 처리는 미처리된 샘플과 비교할 때 고순도를 가지는 상당량의 MEV1로 회수될 수 있는 반면, 6 M 요소 및 DTT의 존재는 상당량의 가용성 MEV2 단백질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결론지어 진다.
도 5: EV-Ag (MEV1)의 발현 및 정제.
(5A): 발현된 MEV1은 Ni-NTA 수지를 사용하여 IMAC (immobilized metal affinity chromatography) 기술에 의해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되고, SDS-PAGE 전기 영동이 수행되었다. 좌측으로부터, 레인 1: 비유도된 세포 펠릿 (IPTG의 부재), 레인 2: 3 M 요소로 처리된 세포 응집체와 같은 봉입체 (IB)로부터의 상청액, 레인 3: N-NTA 수지를 사용하여 IMAC 매개된 정제 후의 정제 단백질, 레인 4: 도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분자량 단백질 마커.
(5B): MEV1의 특이적 발현은 항-his 항체를 사용하여 웨스턴 블롯에 의해 검출되었다. 좌측으로부터, 레인 1: (UP) - 3 M 요소에 의한 처리 후 세포 응집체와 같은 봉입체 (IB)로부터 유래된 상청액 중의 미정제 단백질, 레인 2: (P) - Ni-NTA 수지를 사용하여 IMAC 매개된 정제 후의 정제 단백질.
결론: 도 5의 결과에 의하면, IMAC 정제 단계는 90% 초과의 정제 MEV1을 생성하였고, 특이적 발현은 항-his 항체를 사용하여 웨스턴 블롯팅에 의해 확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 6: IgG1/IgG2a 비는 상이한 아쥬반트의 존재하에 MEV1 면역화된 Balb/C 마우스 혈청 (1:250)에 대해 측정되었다. CFA (Complete Freund's adjuvant)/IFA (Freund's incomplete adjuvant): 프라임 용량으로서 완전 프로인트 아쥬반트의 존재하의 MEV1 및 후속 부스터 용량으로서 불완전 프로인트 아쥬반트의 존재하에서 MEV1로 면역화된 마우스, 알룸(Alum): 아쥬반트로서 알룸의 존재하에서 MEV1로 면역화된 마우스, MPLA+알룸: 알룸과 MPLA 둘 다로 제형화된 MEV로 면역화된 마우스. Poly(I:C): Poly(I:C)로 제형화된 MEV로 면역화된 마우스, AddaVax: AddaVax로 제형화된 MEV로 면역화된 마우스. MEV1 코팅된 ELISA 플레이트는 혈청 (1:250)으로 처리되고 최종적으로 항-마우스 IgG1-HRP 또는 IgG2a-HRP 2차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 처리되었다.
결론: CFA/IF 및 알룸으로 아쥬반트 첨가된 MEV1 면역화는 우세한 Th2형 면역 반응을 나타내는 훨씬 더 높은 IgG1 항체를 생성하는 반면, Poly(I:C), AddaVax 및 MPLA+알룸은 Th1형 면역 반응에 대한 약간의 바이어스를 가지는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Th1/Th2 반응을 나타내는 약간 더 높은 IgG2a 항체를 생성하였다.
도 7: 면역형광에 의한 MEV1 면역화된 혈청과 EV71 및 CVA16의 결합 분석. 혈청은 알룸으로 제형화된 MEV1로 면역화된 마우스 또는 알룸으로 제형화된 PBS로 면역화된 마우스로부터 수집되었다. 이어서, 베로 세포는 0.01의 감염 다중도로 엔테로바이러스 A71 (EV71) 및 콕삭키바이러스 A16 (CVA16)에 의해 감염되었다. 감염된 베로 세포는 도면의 상응하는 패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1:200 희석 혈청으로 처리된 후 Alexa 488 컨쥬게이트된 항-마우스 IgG 2차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 처리되고 형광 현미경하에 관찰되었다. 명시야: 현미경의 명시야, 형광: 현미경의 녹색 형광 시야, Ag+알룸: 알룸으로 제형화된 MEV1로 면역화된 마우스로부터 수집된 혈청, PBS+알룸: 알룸으로 제형화된 PBS로 면역화된 마우스로부터 수집된 혈청 (음성 대조군 혈청), EV71 감염된 베로 세포: EV71으로 감염된 베로 세포가 사용된 패널, CVA16 감염된 베로 세포: CVA16으로 감염된 베로 세포가 사용된 패널, 감염되지 않은(Mock infected) 베로 세포: 베로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패널 (감염된 베로 세포에 대한 음성 대조군). 결론: 면역형광 결과에 의하면, 교차 반응성은 EV71과 CVA16 둘 다에 대해 생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 8: 상이한 아쥬반트의 존재하에 MEV-1 항원 면역화된 마우스로부터의 혈청의 IgG 역가. 혈청은 2차 부스터 처리 후 2주에 수집되었다. ELISA는 차단 후 상이한 농도의 혈청의 존재하에 항원 코팅된 ELISA 플레이트에서 수행되었다. 이어서, 2차 IgG-HRP 컨쥬게이트화 항체가 첨가되었다. TMB 기질은 0.6~1 M HCL로 중단된 발색을 위해 첨가되었다. 색 강도는 ELISA 판독기에서 450 nm에서 기록되었다.
도 9: 상이한 아쥬반트로 제형화된 MEV1로 면역화된 마우스의 비장 세포로부터 분비된 IFN-γ (9A) 및 IL-4 (9B)의 정량화.
도 10: 합성 단백질 작제물 MEV-1의 안정성. 좌측으로부터, 레인 1: 2주 동안 37±2℃에서 안정화제 부재하의 MEV1 단백질, 레인 2: 2주 동안 37±2℃에서 20% 글리세롤 중에서의 MEV1 단백질, 레인 3: 37±2℃에 노출되지 않은 MEV1 단백질 (대조군 단백질), 레인 4: 분자량 단백질 마커.
| 단계 | 순도 % |
| 용해 후 | 22~28% 사이 |
| 요소 변성 후 | 50~60% 사이 |
| IMAC 정제 후 | 90~94% 사이의 순도 |
|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후 | 92~96% 사이의 순도 |
| 단계 | 순도 % |
| 용해 후 | 22~28% 사이 |
| 요소 변성 후 | 50~60% 사이 |
|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후 | 최대 96% |
| 아쥬반트 제형 | EV71 | CVA16 |
| CFA/IFA | 40 | 20 |
| 알룸 | 30 | 15 |
| 알룸+MPLA | 80 | 20 |
| Adavax (MF59 유사) | 30 | 15 |
| Poly(I:C) | 30 | 15 |
| 시간 | 온도 | |
| 4℃ (5±3℃) | 37±2℃ | |
| 1주일 | 95% | > 90% |
| 2주일 | 95% | > 70% |
| 1개월 | 95% | |
| 3개월 | 93% | |
| 6개월 | 91% | |
Claims (13)
- a. 백신 항원으로서, 상기 백신 항원이 서열번호 2 (MEV1로 명명)로 표시되는 재조합 단백질 서열의 합성 작제물인, 백신 항원;
b. 아쥬반트;
c. 안정화제; 및
d. 포스페이트 완충액 및 시트레이트 완충액으로부터 선택된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액
을 포함하는, EV71 및 CA16에 의해 유발되는 수족구병의 예방용 백신 조성물로서,
상기 백신 조성물이 5±3℃에서 6개월 이상 및 37℃±2에서 최대 2주 동안 안정한, 백신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2의 단백질을 가지는 상기 백신 항원이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코돈 최적화된 유전자 서열로부터 수득되는, 백신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쥬반트가 알룸, 스쿠알렌계 아쥬반트, 몬타나이드, RIBI 아쥬반트, 완전 프로인트 아쥬반트 및 불완전 프로인트 아쥬반트, MPL, 무라밀 디펩타이드, 수중유 에멀젼, TLR 리간드 기반의 아쥬반트, CpG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비-CpG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사포닌, 비타민, 및 면역 조절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백신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룸이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또는 알루미늄 수산화물인, 백신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쿠알렌계 아쥬반트가 MF59인, 백신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포닌이 QS-1, ISCOM, 또는 ISCOMATRIX 인, 백신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조절제가 사이토카인인, 백신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가 5~60% 수크로오스 또는 5~40% 트레할로오스의 당류, 또는 5~40% 글리세롤 또는 5~40% 소르비톨과 같은 당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백신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2의 백신 항원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백신 조성물:
a. 코돈 최적화된 유전자 서열, 즉, 서열번호 1로부터의 서열번호 2의 단백질 서열을, 15℃~37℃ 사이에서 0.2~0.75 mM IPTG을 사용하여, 대장균 (E. coli) BL21 (DE3) 세포 또는 로제타 세포로부터 선택되는 적합한 숙주에서 봉입체의 형태로 발현시키는 단계;
b. 10,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릿 중의 목적 단백질을 수득하는 단계;
c. 단계 (b)의 상기 펠릿을, 50 mM Na2HPO4, 0.3 M NaCl, 1% TritonX-114, 0.5 mg/ml 라이소자임, 1 mM AEBSF를 포함하는 MEV1에 대한 용해 완충액-I으로 현탁시키고, 동시에 냉동 해동 사이클을 3회 이상 동안 수행한 후, 그 사이에 30초 이상의 간격으로 20초 동안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d. 3~6 M 요소, 5~10 mM 이미다졸, 50 mM Na2HPO4, 0.3 M NaCl 및 1 mM AEBSF를 포함하는 MEV1에 대한 용해 완충액-II로 4℃에서 3~16 시간 동안 세포 용해를 수행하여, pH 7.4에서 MEV1에 대해 불용성 단백질을 회수하여 MEV1의 변성 단백질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변성 단백질 용액을 Ni-NTA 고정화 금속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첨가한 후, 0.1% Triton X-114 및 5~10 mM 이미다졸과 함께 pH 7.4에서 50 mM Na2HPO4, 0.3 M NaCl, 1 mM AEBSF, 3 M 요소를 포함하는 세척 완충액-I로 세척하는 단계;
f. MEV1에 대해, 상기 단계 (e) 후에, 0.1% Triton X-114 및 20 mM 이미다졸과 함께 pH 7.4에서 50 mM Na2HPO4, 0.3 M NaCl, 1 mM AEBSF, 3~6 M 요소를 포함하는 세척 완충액-II로 세척을 다시 수행한 후; 추가적으로 20 mM 이미다졸과 감소하는 농도의 요소와 함께 50 mM Na2HPO4, 0.3 M NaCl, 1 mM AEBSF를 포함하는 세척 완충액-III으로 세척하는 단계;
g. 선택적으로 3-6M 요소와 함께 이미다졸의 농도 (250~500 mM)를 증가시킴으로서 50 mM Na2HPO4, 0.3 M NaCl, 1 mM AEBSF를 포함하는 용리 완충액으로 표적 단백질 MEV1을 용출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단계 (g) 후에, 10 kDa 컷오프 막을 사용하여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에 대해 MEV-1의 투석을 수행하고, 0.1~0.3 M NaCl, 10% 글리세롤 및 0.2~0.5 M 아르기닌 또는 0.2~0.5M 아르기닌-HCl을 포함하는 리폴딩 완충액으로 리폴딩한 후, 선택적으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92% 내지 96% 이상의 순도를 가지는 최종 단백질 MEV-1을 수득하는 단계. - 제1항의 백신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서열번호 2의 백신 항원을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인, 방법:
a. 코돈 최적화된 유전자 서열, 즉, 서열번호 1로부터의 서열번호 2의 단백질 서열을, 15℃~37℃ 사이에서 0.2~0.75 mM IPTG을 사용하여, 대장균 (E. coli) BL21 (DE3) 세포 또는 로제타 세포로부터 선택되는 적합한 숙주에서 봉입체의 형태로 발현시키는 단계;
b. 10,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릿 중의 목적 단백질을 수득하는 단계;
c. 단계 (b)의 상기 펠릿을, 50 mM Na2HPO4, 0.3 M NaCl, 1% TritonX-114, 0.5 mg/ml 라이소자임, 1 mM AEBSF를 포함하는 MEV1에 대한 용해 완충액-I으로 현탁시키고, 동시에 냉동 해동 사이클을 3회 이상 동안 수행한 후, 그 사이에 30초 이상의 간격으로 20초 동안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d. 3~6 M 요소, 5~10 mM 이미다졸, 50 mM Na2HPO4, 0.3 M NaCl 및 1 mM AEBSF를 포함하는 MEV1에 대한 용해 완충액-II로 4℃에서 3~16 시간 동안 세포 용해를 수행하여, pH 7.4에서 MEV1에 대해 불용성 단백질을 회수하여 MEV1의 변성 단백질 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변성 단백질 용액을 Ni-NTA 고정화 금속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첨가한 후, 0.1% Triton X-114 및 5~10 mM 이미다졸과 함께 pH 7.4에서 50 mM Na2HPO4, 0.3 M NaCl, 1 mM AEBSF, 3 M 요소를 포함하는 세척 완충액-I로 세척하는 단계;
f. MEV1에 대해, 상기 단계 (e) 후에, 0.1% Triton X-114 및 20 mM 이미다졸과 함께 pH 7.4에서 50 mM Na2HPO4, 0.3 M NaCl, 1 mM AEBSF, 3~6 M 요소를 포함하는 세척 완충액-II로 세척을 다시 수행한 후; 추가적으로 20 mM 이미다졸과 감소하는 농도의 요소와 함께 50 mM Na2HPO4, 0.3 M NaCl, 1 mM AEBSF를 포함하는 세척 완충액-III으로 세척하는 단계;
g. 선택적으로 3-6M 요소와 함께 이미다졸의 농도 (250~500 mM)를 증가시킴으로서 50 mM Na2HPO4, 0.3 M NaCl, 1 mM AEBSF를 포함하는 용리 완충액으로 표적 단백질 MEV1을 용출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단계 (g) 후에, 10 kDa 컷오프 막을 사용하여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에 대해 MEV-1의 투석을 수행하고, 0.1~0.3 M NaCl, 10% 글리세롤 및 0.2~0.5 M 아르기닌 또는 0.2~0.5M 아르기닌-HCl을 포함하는 리폴딩 완충액으로 리폴딩한 후, 선택적으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92% 내지 96% 이상의 순도를 가지는 최종 단백질 MEV-1을 수득하는 단계. - 92%~96% 이상의 순도를 가지는 서열번호 2에 기재된 다중 에피토프 합성 단백질.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IN201741023411 | 2017-07-03 | ||
| IN201741023411 | 2017-07-03 | ||
| PCT/IN2018/050433 WO2019008599A1 (en) | 2017-07-03 | 2018-07-03 | VACCINE COMPOSITION BASED ON SYNTHETIC POLYPEPTIDE EPITOP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24895A KR20200024895A (ko) | 2020-03-09 |
| KR102673090B1 true KR102673090B1 (ko) | 2024-06-05 |
Family
ID=6495082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7003116A Active KR102673090B1 (ko) | 2017-07-03 | 2018-07-03 | 합성 폴리펩타이드 에피토프 기반의 백신 조성물 |
Country Status (6)
| Country | Link |
|---|---|
| US (1) | US11273215B2 (ko) |
| KR (1) | KR102673090B1 (ko) |
| CN (1) | CN111050795B (ko) |
| AU (1) | AU2018298499B2 (ko) |
| SG (1) | SG11201913826QA (ko) |
| WO (1) | WO201900859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966482A (zh) * | 2019-01-28 | 2019-07-05 | 新乡医学院 | 一种手足口病多肽疫苗、疫苗注射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CN111171117B (zh) * | 2019-12-27 | 2022-04-15 | 深圳康泰生物制品股份有限公司 | 重组ca16病毒样颗粒的纯化工艺、重组ca16病毒疫苗及其制备方法 |
| KR20210117832A (ko) * | 2020-03-20 | 2021-09-29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Gla-se를 포함하는 수족구병 백신 조성물 |
| CN112156183B (zh) * | 2020-08-21 | 2021-07-30 | 浙江皇冠科技有限公司 | 一种CpG复合佐剂及作为新型冠状病毒疫苗佐剂的用途 |
| WO2022070210A1 (en) * | 2020-09-29 | 2022-04-07 | Bharat Biotech International Limited | Stable formulations of low abundance enteroviruses vaccines and process of manufacture thereof |
| CN112089831B (zh) * | 2020-11-04 | 2021-04-02 | 浙江普康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 重组新型冠状病毒亚单位疫苗的制备方法 |
| CN113773371B (zh) * | 2021-09-16 | 2024-06-18 | 北京凯悦宁医药科技有限公司 | 一种vp1蛋白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CN115991731A (zh) * | 2022-11-14 | 2023-04-21 | 生工生物工程(上海)股份有限公司 | 一种耐热性蛋白质的回收方法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3833830A (zh) | 2012-11-22 | 2014-06-04 | 中国科学院上海巴斯德研究所 | 柯萨奇病毒a16型的保守中和表位多肽及其用途 |
Family Cites Familie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BR0011159A (pt) * | 1999-04-13 | 2002-07-23 | Government Of The Us Dept Of H | Método para produzir vacinas de vìrus rna de fita negativa atenuado a partir de sequências de nucleotìdeos clonados |
| CN101516395B (zh) * | 2006-09-01 | 2014-03-26 | 伯哈拉特生物技术国际有限公司 | 抗屈曲病毒感染的疫苗 |
| KR101851699B1 (ko) * | 2009-11-02 | 2018-04-24 | 더 트러스티스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펜실바니아 | 구제역 바이러스(fmdv) 공통 단백질, 이를 위한 코딩 서열 및 이로부터 만들어진 백신 |
| US9051361B2 (en) * | 2010-08-17 | 2015-06-09 | National Health Research Institutes | Immunogen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
| JP6190378B2 (ja) * | 2011-11-03 | 2017-08-30 | センティネクスト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エスディーエヌ ビーエイチディー | ヒトエンテロウイルスに対する抗原及びワクチン |
| CN102533860B (zh) * | 2012-01-10 | 2013-07-24 | 特菲(天津)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 一种手足口病疫苗及其制备方法 |
| MA40920A (fr) * | 2014-11-07 | 2017-09-12 | Takeda Vaccines Inc | Vaccins de la main, du pied et de la bouche, et procédés de fabrication et d'utilisation de ceux-ci |
-
2018
- 2018-07-03 CN CN201880056197.7A patent/CN111050795B/zh active Active
- 2018-07-03 SG SG11201913826QA patent/SG11201913826QA/en unknown
- 2018-07-03 KR KR1020207003116A patent/KR102673090B1/ko active Active
- 2018-07-03 AU AU2018298499A patent/AU2018298499B2/en active Active
- 2018-07-03 WO PCT/IN2018/050433 patent/WO2019008599A1/en not_active Ceased
- 2018-07-03 US US16/628,057 patent/US1127321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3833830A (zh) | 2012-11-22 | 2014-06-04 | 中国科学院上海巴斯德研究所 | 柯萨奇病毒a16型的保守中和表位多肽及其用途 |
Non-Patent Citations (1)
| Title |
|---|
| Microbes and Infection Volume 17, Issue 2, February 2015, Pages 155-162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SG11201913826QA (en) | 2020-01-30 |
| AU2018298499A1 (en) | 2020-02-20 |
| AU2018298499B2 (en) | 2024-07-18 |
| US11273215B2 (en) | 2022-03-15 |
| US20210220466A1 (en) | 2021-07-22 |
| WO2019008599A1 (en) | 2019-01-10 |
| KR20200024895A (ko) | 2020-03-09 |
| CN111050795A (zh) | 2020-04-21 |
| CN111050795B (zh) | 2023-09-2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673090B1 (ko) | 합성 폴리펩타이드 에피토프 기반의 백신 조성물 | |
| CN102481359B (zh) | 重组rsv抗原 | |
| EP1996711B1 (en) | Novel plant virus particles and methods of inactivation thereof | |
| WO2022083768A1 (zh) | 免疫原性组合物及其应用 | |
| IL200341A (en) |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immunogenic particles containing influenza a m2e protein fused to hepatitis b virus core protein | |
| JP2006020637A (ja) | クレブシエラ・ニューモニエ由来の免疫アジュバントタンパク質 | |
| US20020018780A1 (en) | Epitope-based vaccine for respiratory syncytial virus F-protein | |
| Guo et al. | Self-assembly of virus-like particles of rabbit hemorrhagic disease virus capsid protein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nd their immunogenicity in rabbits | |
| US20080199911A1 (en) | Vp1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 | |
| JPH0768267B2 (ja) | フラビウイルス抗原 | |
| CN102210860B (zh) | 一种结核分枝杆菌tb10.4-f1融合蛋白疫苗及制备方法 | |
| JP5568017B2 (ja) | 組換え鶏伝染性コリーザワクチン及びその製造方法 | |
| Yang et al. | Eliciting cross-neutralizing antibodies in mice challenged with a dengue virus envelope domain III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 |
| WO2007010291A1 (en) | Vaccine | |
| JP2000500969A (ja) | 抗デング熱多価ワクチン | |
| KR102451412B1 (ko) | 세포성, 체액성 면역 반응의 동시 유도 및 광범위한 방어능을 갖는 신규 면역 증강용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구제역 백신 조성물 | |
| KR102041144B1 (ko) | 대장균 유래 지카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도메인 iii 재조합 단백질의 가용화를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카 재조합 단백질 생산방법 | |
| Tripathi et al. | Enhanced production and immunological characterization of recombinant West Nile virus envelope domain III protein | |
| WO1994006468A1 (en) | Recombinant influenza virus vaccine compositions | |
| EP1942188B1 (en) | Recombinant viral proteins and particles | |
| CN105399802B (zh) | A型口蹄疫基因工程复合表位蛋白及疫苗 | |
| US20240350611A1 (en) | Recombinant antigen for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gainst the zika virus | |
| WO2016115665A1 (en) | Immunoglobulin g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3d proteins of enteroviruses | |
| Lim et al. | Glycosylation is not necessary for recognition of the fusion glycoprotein domain of the Human respiratory syncytial virus by a polyclonal antibod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