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302B1 - Appar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3302B1 KR102673302B1 KR1020190067230A KR20190067230A KR102673302B1 KR 102673302 B1 KR102673302 B1 KR 102673302B1 KR 1020190067230 A KR1020190067230 A KR 1020190067230A KR 20190067230 A KR20190067230 A KR 20190067230A KR 102673302 B1 KR102673302 B1 KR 1026733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voice coil
- vibration
- central axis
- air press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316 Ag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20 A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3 gold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15 magnet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8—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l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을 진동시키는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 중심축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 내외부의 기압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추가적인 비용 발생 없이 실시간으로 차량의 내외부 기압 상태를 판단할 수 있어 배기가스의 유입을 방지하거나 저감시킬 수 있다.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ice coil that vibrates about a central axis of vibration, a detector that detects a signal that vibrates the voice coil, and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signal that causes the voice coil to vibrate, and determines whether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moves based on the signal,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air pressure state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based on the judgment result,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air pressure state of the vehicle can be determined in real time without incurring additional costs, thereby preventing or reducing the inflow of exhaust gas.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
차량은 운전자 안전을 위하여 차량 내부를 가능한 밀폐 상태로 유지하여 배기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완벽한 밀폐 상태를 구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여, 특정 주행 상태에서 차량의 실내 압력이 실외 압력보다 낮아지는 경우 배기가스 유입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차량 내외부의 기압 차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하는데, 차량 내외부의 기압 차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해서는 차량 내, 외부에 기압센서를 구비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되어 차량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For driver safety, vehicles are designed to block the inflow of exhaust gases by keep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s airtight as possible. However,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achieve a completely sealed state, so there is a problem that exhaust gas inflow occurs when the indoor pressure of the vehicle becomes lower than the outdoor pressure in certain driving condition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exhaust gas flowing in, the air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vehicle must be detected in real time. In order to detect the air pressure difference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in real time, air pressure sensors must be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which results in additional There is a problem that costs are incurred and lead to an increase in the pric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추가적인 비용 발생 없이 차량 내외부의 기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at can determine the air pressure conditions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without incurring additional cost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을 진동시키는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 중심축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 내외부의 기압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ice coil that vibrates about a central axis of vibration, a detector that detects a signal that vibrates the voice coil, and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signal that causes the voice coil to vibrate, and determines whether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moves based on the signal,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air pressure state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상기 검출부는 상기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보이스 코일이 소정 변위를 진동하도록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한다.The detector detects a voltage applied to cause the voice coil to vibrate at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이스 코일이 소정 변위를 진동하도록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상기 보이스 코일에 흐를 수 있는 기준 전류를 산출한다.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reference current that can flow through the voice coil by a voltage applied to cause the voice coil to vibrate at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변위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 중심축의 위치를 설정한다.The control unit sets the position of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based on the predetermined displacement.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보이스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The detector detect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voice coil.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보이스 코일의 변위를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displacement of the voice coil based on the curren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이스 코일의 변위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 중심축의 이동 여부를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moves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the voice coi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중심축의 이동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 내외부의 기압상태를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air pressure state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based on whether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mov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중심축이 차량의 실내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 내부의 기압이 차량 외부의 기압보다 낮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If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has moved towar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t determines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vehicle is lower tha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vehic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기압이 차량 외부의 기압보다 낮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vehicle is lower tha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vehicle, it controls air from outside the vehicle to flow 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중심축이 차량의 실외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 내부의 기압이 차량 외부의 기압보다 높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If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has moved toward the exterior of the vehicle, it determines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vehicle is higher tha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보이스 코일을 진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이스 코일을 진동시키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 중심축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 내외부의 기압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vibrating a voice coil based on a vibration central axis, detecting a signal for vibrating the voice coi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vibration central axis moves based on the signal. , includ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ir pressure condition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상기 보이스 코일을 진동시키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보이스 코일이 소정 변위를 진동하도록 하는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tep of detecting a signal for vibrating the voice coil includes detecting an applied voltage that causes the voice coil to vibrate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상기 보이스 코일이 소정 변위를 진동하도록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상기 보이스 코일에 흐를 수 있는 기준 전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It further includes calculating a reference current that can flow in the voice coil by a voltage applied to cause the voice coil to vibrate at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상기 소정 변위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 중심축의 위치를 설정한다.The position of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is set based on the predetermined displacement.
상기 보이스 코일을 진동시키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보이스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The step of detecting a signal that vibrates the voice coil detects a current flowing in the voice coil.
상기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보이스 코일의 변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determining a displacement of the voice coil based on the detected current.
상기 보이스 코일의 변위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 중심축의 이동 여부를 판단한다.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moves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the voice coil.
상기 진동 중심축의 이동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 내외부의 기압상태를 판단한다.The air pressure condition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moves.
상기 진동 중심축이 차량의 실내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 내부의 기압이 차량 외부의 기압보다 낮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has moved towar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vehicle is lower tha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vehicle.
상기 차량 내부의 기압이 차량 외부의 기압보다 낮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vehicle is lower tha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vehicl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controlling to allow air outside the vehicle to flow in.
상기 진동 중심축이 차량의 실외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 내부의 기압이 차량 외부의 기압보다 높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has moved toward the exterior of the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vehicle is higher tha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추가적인 비용 발생 없이 실시간으로 차량의 내외부 기압 상태를 판단할 수 있어 배기가스의 유입을 방지하거나 저감시킬 수 있다.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pressure conditions of the vehicle in real time without incurring additional costs, thereby preventing or reducing the inflow of exhaust g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의 진동 중심축 및 유효 자기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구현된 BL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구현된 BL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und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and effective magnetic area of a voice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graph showing BL characteristics implemented based on the detected curr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graph showing BL characteristics implemented based on the detected curr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N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100)는 사운드 출력부(110), 검출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사운드 출력부(110)는 보이스 코일(111), 진동판(112) 및 영구 자석(1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110)의 구성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검출부(120)는 보이스 코일(111)을 진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보이스 코일(111)을 진동시키기 위한 전압 및 보이스 코일(111)에 흐르는 전류 등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부(120)는 전압 또는 전류를 센싱하는 센싱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어부(130)는 각종 명령의 연산이나 실행을 수행 가능한 반도체 칩 등을 내장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의 다양한 처리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30)는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신호를 기반으로 보이스 코일(111)의 진동 중심축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 내외부의 기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The
제어부(130)는 보이스 코일(111)의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보이스 코일(111)이 소정 변위만큼 진동하도록 하는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청 주파수 대역(20-20000Hz) 보다 낮아 사운드 재생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10Hz의 사인파를 인가하되 보이스 코일(111)이 소정 변위만큼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진동하도록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이스 코일(111)이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1mm 내지 1mm를 진동하도록 0.5 V를 인가할 수 있다. The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임피던스 값을 이용하여 보이스 코일(111)에 흐를 수 있는 기준 전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기준 전류는 인가된 전압에 의해 보이스 코일(111)에 흐를 수 있는 전류를 산출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기준 전류를 기반으로, 기준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과 영구 자석(113)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 작용으로 형성된 힘(보이스 코일을 진동시키는 힘)과 보이스 코일(111)의 변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기준 BL 특성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BL 특성은 보이스 코일(111)이 진동하는 소정 변위를 기반으로 0mm 위치에 진동 중심축이 설정되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의 그래프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B는 영구 자석에 의해 형성된 자기력을 의미하며 L은 유효 자기 영역(도 3의 'A' 참조) 내에 위치한 유효 코일수를 의미할 수 있다. The
제어부(130)는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획득하고,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전류와 산출된 기준 전류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검출된 전류가 산출된 기준 전류와 차이가 없으면,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보이스 코일(111)이 진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인가된 전압에 의해 코이스 보일(111)에 흐를 수 있는 전류를 산출한 기준 전류와 실제 측정된 전류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보이스 코일(111)은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진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한편, 제어부(130)는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전류와 산출된 기준 전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검출부(120)로부터 획득된 전류값으로 흐르고 있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과 영구 자석(113)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의 상호 작용으로 형성된 힘(보이스 코일을 진동시키는 힘)과 보이스 코일(111)의 변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BL 특성을 정의할 수 있고, BL 특성을 이용하여 실제 이동된 보이스 코일(111)의 변위를 산출할 수 있다. Meanwhile, if the
제어부(130)는 보이스 코일(111)이 실제로 이동한 변위를 기반으로 진동 중심축을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실제로 보이스 코일(111)이 이동한 변위를 기반으로 설정된 진동 중심축이 기준 BL 특성을 이용하여 설정된 진동 중심축으로부터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일 예로, 제어부(130)가 보이스 코일(111)이 소정 변위(-1mm 내지 1mm)로 진동하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진동 중심축은 0mm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30)가 진동 중심축이 0mm 위치에 설정되고 이를 기준으로 소정 변위로 진동하도록 전압을 인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정의된 BL 특성을 이용하여 보이스 코일(111)의 변위가 0mm 내지 2mm인 것으로 판단되면, 진동 중심축은 1mm 위치에 설정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0mm 위치에 설정된 진동 중심축으로부터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다른 예로, 제어부(130)가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변위(-1mm 내지 1mm)로 진동하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진동 중심축은 0mm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30)가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변위로 진동하도록 전압을 인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정의된 BL 특성을 이용하여 보이스 코일(111)의 변위가 -2mm 내지 0mm인 것으로 판단되면, 진동 중심축은 -1mm 위치에 설정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진동 중심축이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변위의 + 방향은 차량 내부(차량의 실내) 방향일 수 있고, - 방향은 차량 외부(차량의 실외) 방향을 의미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 중심축이 0mm 위치에서 1mm 위치로 이동한 경우는 + 방향 즉, 차량 내부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진동 중심축이 0mm 위치에서 -1mm 위치로 이동한 경우는 - 방향 즉, 차량 외부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 direction of displacement may mean the direction inside the vehicle (indoor of the vehicle), and the - direction may mean the direction outside the vehicle (outside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is If it moves from the 0mm position to the 1mm position, it can be judged to have moved in the + direction, that is, toward the inside of the vehicle. If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moves from the 0mm position to the -1mm position, it can be judged to have moved in the - direction, that is, toward the outside of the vehicle. It can be judged that it was done.
제어부(130)는 진동 중심축의 위치를 기반으로 보이스 코일(111)의 진동 중심축이 차량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보이스 코일이(111)의 진동 중심축이 차량 내부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 내부 기압이 차량 외부 기압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가 음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음압 상태는 차량의 내부에 저기압이 형성된 상태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고 있을 경우, 차량 외부 후방의 공기 속도가 매우 빨라지며 기압은 반대로 낮아짐에 따라 차량 실내 공기가 기압이 낮은 외부로 방출되어 차량 내부는 저기압이 형성되는데, 이 상태에서 차량이 감소하게 되면 차량 외부의 기압은 다시 높아지고 차량 내부의 후방은 강한 저기압이 형성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차량 내부가 음압 상태에서는 차량의 후방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와류 현상에 의해 차량 후방에 머무는 동안 차체 하부나 트렁크의 틈새를 통해 차량 내부로 다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제어부(130)는 차량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제어하여 차량 내부의 음압 상태가 해소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공기 순환 모드를 외기 순환 모드로 제어하거나, 창문이 오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under negative pressure,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stays at the rear of the vehicle due to a vortex phenomenon and flows back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gap in the lower body or trunk. The
한편, 제어부(130)는 진동 중심축의 위치를 기반으로 보이스 코일이(111)의 진동 중심축이 차량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진동 중심축이 이동되지 않았거나, 차량 외부 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러한 경우, 차량 내부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가 양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양압 상태는 차량의 내부에 고기압이 형성된 상태를 의미한다. 참고로, 차량 내부가 양압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기압 차에 의해 차량 후방에 구비된 공기 배출구의 고무 덮개가 열리면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여 차량 내부의 고기압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Meanwhile,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und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운드 출력부(110)는 보이스 코일(111), 진동판(112) 및 영구 자석(1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면부호를 병기하지 않은 구성들도 사운드 출력부(110)의 동작과 관련된 구성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보이스 코일(111)은 원통형의 보빈에 감겨진 코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전기 전도율이 우수한 구리, 알루미늄, 은 합금, 금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입력 단자에 전압이 인가되면 보이스 코일(111)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전류가 흘러 만들어진 자기장과 영구 자석(113)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 작용으로 진동될 수 있다.The
진동판(112)은 보이스 코일(111)에 연결되어 보이스 코일(111)의 진동에 진동되며, 공기를 진동시킨다. 여기서, 공기를 진동시키는 것은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운드는 물체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고 매질의 진동으로 인해 전달되는 파동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음파 또는 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영구 자석(113)은 강한 자화상태의 자석으로,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지 않아도 자성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자석을 의미한다. 영구 자석(113)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은 보이스 코일(111)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며, 상호 작용으로 보이스 코일(111)을 진동시킬 수 있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의 진동 중심축 및 유효 자기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and effective magnetic area of a voice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의 진동 중심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빈에 감긴 보이스 코일(111)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of the voice coil may be set based on the central position of the
보이스 코일(111)에 전류가 흐르면, 보이스 코일(111)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과, 영구 자석(113)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B)의 상호 작용으로 보이스 코일(111)에는 진동하는 힘(F)이 발생된다. 이때, 자기장(B)이 지나는 간극(A)은 유효 자기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유효 자기 영역(A) 내에 보이스 코일(111)의 수가 많을수록 보이스 코일(111)이 진동하는 힘이 강해진다. 이는 도 3의 BL 특성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BL 특성은 영구 자석(113)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B)이 지나는 간극(유효 자기 영역, 도 3의 'A' 참조)에 존재하는 유효 보이스 코일의 수가 최대인 경우, 보이스 코일(111)을 진동시키는 힘이 최대가 되고, 보이스 코일(111)의 변위에 따라 간극에 존재하는 유효 보이스 코일의 수가 적어지는 경우, 보이스 코일(111)을 진동하는 힘이 약해지는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보이스 코일(111)이 진동함에 따라 + 방향, - 방향의 변위 폭은 동일하며, 이에 따라 그래프는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의 그래프로 구현될 수 있다.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도 3에 도시된 BL 특성은 사운드 출력부(110)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보이스 코일(111)에 흐를 것이라고 산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의된 기준 BL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기준 BL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에서 X축은 보이스 코일(111)의 변위를 의미할 수 있고, Y축은 BI(영구 자석(113)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과 보이스 코일(111)에 흐르는 전류를 곱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30)로부터 산출된 전류와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전류가 상이할 경우,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의되는 BL 특성은 산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의된 BL 특성과 상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BL characteristics shown in FIG. 3 may mean standard BL characteristics defined using data obtained based on the current calculated to flow i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정의된 BL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4 is a graph showing BL characteristics defined based on the detected curr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BL 특성을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로부터 산출된 전류와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전류가 상이할 경우,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의되는 BL 특성은 산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의된 BL 특성과 상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즉, 제어부(130)는 기준 BL 특성을 기반으로 진동 중심축이 0mm 위치에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정의된 BL 특성을 이용하여 산출된 진동 중심축은 0mm 위치가 아닌 1mm 위치로, +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와 같이 +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진동 중심축이 차량 내부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차량 내부가 음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정의된 BL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Figure 5 is a graph showing BL characteristics defined based on the detected curr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BL 특성을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로부터 산출된 전류와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전류가 상이할 경우,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의되는 BL 특성은 산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의된 BL 특성과 상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즉, 제어부(130)는 기준 BL 특성을 기반으로 진동 중심축이 0mm 위치에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정의된 BL 특성을 이용하여 산출된 진동 중심축은 0mm 위치가 아닌 -1mm 위치로, -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와 같이 -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진동 중심축이 차량 외부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차량 내부가 양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보이스 코일(111)의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보이스 코일(111)이 소정 변위만큼 진동하도록 전압을 인가한다(S110). S110에서 제어부(130)는 가청 주파수 대역(20-20000Hz) 보다 낮아 사운드 재생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10Hz의 사인파를 인가하되 보이스 코일(111)이 소정 변위만큼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진동하도록 전압으로 인가할 수 있다. S110에서는 실시예에 따르면, 보이스 코일(111)이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1mm 내지 1mm를 진동하도록 0.5 V를 인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임피던스 값을 이용하여 보이스 코일(111)에 흐르는 기준 전류를 산출한다(S120). 여기서, 기준 전류는 인가된 전압에 의해 보이스 코일(111)에 흐를 수 있는 전류를 산출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S120에서 제어부(130)는 기준 전류를 기반으로, 기준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과 영구 자석(113)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 작용으로 형성된 힘(보이스 코일을 진동시키는 힘)과 보이스 코일의 변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기준 BL 특성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BL 특성은 0mm 위치에 진동 중심축이 설정되고,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의 그래프로 구현될 수 있다. The
제어부(130)는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획득한다(S130). 그리고, 제어부(130)는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전류와 산출된 기준 전류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The
S140에서 제어부(130)는 S130에서 검출된 전류와 S120에서 산출된 기준 전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Y), S130에서 획득된 전류값으로 흐르고 있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과 영구 자석(113)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 작용으로 형성된 힘(보이스 코일을 진동시키는 힘)과 보이스 코일(111)의 변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BL 특성을 정의할 수 있고, BL 특성을 이용하여 실제 이동된 보이스 코일(111)의 변위를 산출한다(S150). 한편, S140에서 제어부(130)는 S130에서 검출된 전류와 산출된 기준 전류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N),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보이스 코일(111)이 진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종료한다.In S140, if the
S150에서 제어부(130)는 BL 특성을 이용하여 산출된 보이스 코일(111)의 변위를 기반으로 진동 중심축을 설정하고, BL 특성을 이용하여 설정된 진동 중심축이 S120에서 설정된 진동 중심축으로부터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일 예로, S160에서 제어부(130)는 S120에서 정의된 기준 BL 특성을 기반으로 0mm에서 설정된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변위(-1mm 내지 1mm)로 진동하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정의된 BL 특성을 이용하여 보이스 코일(111)의 변위가 0mm 내지 2mm인 것으로 판단하면, 진동 중심축은 1mm 위치에 설정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진동 중심축이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S150, the
다른 예로, S160에서 제어부(130)는 S120에서 정의된 기준 BL 특성을 기반으로 0mm에서 설정된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변위(-1mm 내지 1mm)로 진동하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정의된 BL 특성을 이용하여 보이스 코일(111)의 변위가 -2mm 내지 0mm인 것으로 판단되면, 진동 중심축은 -1mm 위치에 설정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진동 중심축이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S160, the
S160에서 제어부(130)는 실시예에 따라 변위의 + 방향은 차량 내부 방향이고, - 방향은 차량 외부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 중심축이 0mm 위치에서 1mm 위치로 이동한 경우는 + 방향 즉, 차량 내부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진동 중심축이 0mm 위치에서 -1mm 위치로 이동한 경우는 - 방향 즉, 차량 외부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S16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제어부(130)는 보이스 코일(111)의 진동 중심축이 차량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0). S170에서 제어부(130)는 보이스 코일이(111)의 진동 중심축이 차량 내부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Y), 차량 내부 기압이 차량 외부 기압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한다(S180). S180에서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가 음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음압 상태는 차량의 내부에 저기압이 형성된 상태를 의미한다. The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의 음압 상태가 해소되도록 차량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제어한다(S190). S190에서 제어부(130)는 차량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공기 순환 모드를 외기 순환 모드로 제어하거나, 창문이 오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한편, S170에서 제어부(130)는 보이스 코일이(111)의 진동 중심축이 차량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N), 이는 진동 중심축이 이동되지 않았거나, 차량 외부 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제어부(130)는 이러한 경우, 차량 내부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S200). 즉,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가 양압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양압 상태는 차량의 내부에 고기압이 형성된 상태를 의미한다. 참고로, 차량 내부가 양압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기압 차에 의해 차량 후방에 구비된 공기 배출구의 고무 덮개가 열리면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여 차량 내부의 고기압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Meanwhile, in S170, if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차량 제어 장치 100
사운드 출력부 110
보이스 코일 111
진동판 112
영구자석 113
검출부 120
제어부 130
Claims (22)
상기 보이스 코일을 진동시키는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 중심축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 내외부의 기압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이스 코일이 소정 변위를 진동하도록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소정 변위를 기반으로 진동 중심축의 위치를 설정하며,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보이스 코일이 이동한 변위를 판단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이 이동한 변위를 기반으로 진동 중심축을 판단하며, 상기 보이스 코일이 이동한 변위를 기반으로 판단된 진동 중심축이 상기 소정 변위를 기반으로 설정된 진동 중심축으로부터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제어 장치.A voice coil that vibrates about a central axis of vibration;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signal that vibrates the voice coil;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moves based on the signal and determines the air pressure condition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control unit
Apply a voltage so that the voice coil vibrates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set the position of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based on the predetermined displacement, determine the displacement that the voice coil has moved based on the current detected from the detector, and determine the displacement that the voice coil has moved. A vehicle control device that determines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based on the moved displacement, and determines whether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determined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the voice coil has moved from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set based on the predetermined displacement.
상기 검출부는
상기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보이스 코일이 소정 변위를 진동하도록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차량 제어 장치.In claim 1,
The detection unit
A vehicle control device that detects a voltage applied to cause the voice coil to vibrate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이스 코일이 상기 소정 변위를 진동하도록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상기 보이스 코일에 흐를 수 있는 기준 전류를 산출하는 차량 제어 장치.In claim 2,
The control unit
A vehicle control device that calculates a reference current that can flow in the voice coil by a voltage applied to cause the voice coil to vibrate at the predetermined displacement.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보이스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차량 제어 장치.In claim 1,
The detection unit
A vehicle control device that detects current flowing through the voice coil.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이스 코일의 변위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 중심축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제어 장치.In claim 1,
The control unit
A vehicle control device that determines whether the vibration central axis moves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the voice coi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중심축이 차량의 실내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 내부의 기압이 차량 외부의 기압보다 낮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 제어 장치.In claim 1,
The control unit
A vehicle control device that determines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vehicle is lower tha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has moved towar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기압이 차량 외부의 기압보다 낮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In claim 9,
The control unit
A vehicl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air from outside the vehicle to flow 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vehicle is lower tha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vehic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중심축이 차량의 실외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 내부의 기압이 차량 외부의 기압보다 높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 제어 장치.In claim 1,
The control unit
A vehicle control device that determines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vehicle is higher tha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has moved toward the exterior of the vehicle.
상기 보이스 코일을 진동시키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 중심축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 내외부의 기압 상태를 판단하되,
상기 보이스 코일이 소정 변위를 진동하도록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소정 변위를 기반으로 진동 중심축의 위치를 설정하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를 기반으로 상기 보이스 코일이 이동한 변위를 판단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이 이동한 변위를 기반으로 진동 중심축을 판단하며, 상기 보이스 코일이 이동한 변위를 기반으로 판단된 진동 중심축이 상기 소정 변위를 기반으로 설정된 진동 중심축으로부터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제어 방법.Vibrating the voice coil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detecting a signal that causes the voice coil to vibrate; and
Based on the sig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is moving, and the air pressure condition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is determin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pply a voltage so that the voice coil vibrates at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set the position of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based on the predetermined displacement, determine the displacement that the voice coil has moved based on the current detected by the detector, and determine the displacement that the voice coil has moved. A vehicle control method for determining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based on the moved displacemen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determined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the voice coil has moved from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set based on the predetermined displacement.
상기 보이스 코일을 진동시키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진동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보이스 코일이 소정 변위를 진동하도록 하는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In claim 12,
The step of detecting a signal that vibrates the voice coil is
A vehicle control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n applied voltage that causes the voice coil to vibrate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상기 보이스 코일이 소정 변위를 진동하도록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상기 보이스 코일에 흐를 수 있는 기준 전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In claim 13,
A vehicle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calculating a reference current that can flow through the voice coil by a voltage applied to cause the voice coil to vibrate at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상기 보이스 코일을 진동시키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보이스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차량 제어 방법.In claim 12,
The step of detecting a signal that vibrates the voice coil is
A vehicle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current flowing in the voice coil.
상기 보이스 코일의 변위를 기반으로 상기 진동 중심축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제어 방법.In claim 12,
A vehicle control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moves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the voice coil.
상기 진동 중심축이 차량의 실내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 내부의 기압이 차량 외부의 기압보다 낮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 제어 방법.In claim 12,
A vehicle control method for determining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vehicle is lower tha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has moved towar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상기 차량 내부의 기압이 차량 외부의 기압보다 낮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In claim 2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vehicle is lower tha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vehicle, the vehicle control method further includes controlling to allow air outside the vehicle to flow in.
상기 진동 중심축이 차량의 실외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 내부의 기압이 차량 외부의 기압보다 높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 제어 방법.In claim 12,
A vehicle control method for determining that the air pressure inside the vehicle is higher tha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entral axis of vibration has moved toward the exterior of the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67230A KR102673302B1 (en) | 2019-06-07 | 2019-06-07 | Appar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67230A KR102673302B1 (en) | 2019-06-07 | 2019-06-07 | Appar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40528A KR20200140528A (en) | 2020-12-16 |
| KR102673302B1 true KR102673302B1 (en) | 2024-06-10 |
Family
ID=7404224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67230A Active KR102673302B1 (en) | 2019-06-07 | 2019-06-07 | Appar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73302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262944A (en) | 2004-03-17 | 2005-09-29 | Kenwood Corp | Security system for automobile |
| JP4583801B2 (en) | 2004-04-23 | 2010-11-17 | 学校法人早稲田大学 | Pressure measuring method,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tonometer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0139511B1 (en) * | 1993-12-16 | 1998-07-01 | 전성원 | Compensation device for pressure differen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a car and its method |
| JPH10252483A (en) * | 1997-03-07 | 1998-09-22 | Toyota Motor Corp |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2019
- 2019-06-07 KR KR1020190067230A patent/KR1026733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262944A (en) | 2004-03-17 | 2005-09-29 | Kenwood Corp | Security system for automobile |
| JP4583801B2 (en) | 2004-04-23 | 2010-11-17 | 学校法人早稲田大学 | Pressure measuring method,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tonomet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40528A (en) | 2020-12-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980068B2 (en) | Method of estimating diaphragm excursion of a loudspeaker | |
| CN105230047B (en) | Microphone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low frequency response of MEMS microphone | |
| KR102690400B1 (en) |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 KR102673302B1 (en) | Appar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 |
| EP3688749B1 (en) | Acoustic transducer and magnetizing current controller | |
| CN106932036B (en) | Method for measuring flow by means of a magnetically inductive flow measuring device | |
| US11480547B2 (en) | Liquid immersion sensor | |
| US10674263B1 (en) | Speaker excursion protection | |
| WO2019200715A1 (en) |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bration displacement of voice coil | |
| JP5441150B2 (en) | DRIVE CONTROL DEVICE, DRIVE CONTROL METHOD, AND IMAGING DEVICE | |
| JPH0997116A (en) | Drive control method for solenoid valve and air pressure regulator | |
| CN105632743A (en) | A coil structure for a pass-through detector and a detector composed of the same | |
| JP2008076124A (en) | Sensor | |
| CN107295257A (en) | Detecting head oscillation damping method, detecting head vibration absorber and unmanned plane | |
| KR2021012935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rtual Engine Sound System of Vehicle | |
| JPH08240477A (en) | Seismic device | |
| KR20210105511A (en) | Vibration spe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JP7363487B2 (en) | proximity sensor | |
| JPS6247611B2 (en) | ||
| WO2016103502A1 (en) | Constant-excitation-magnetic-flux-type current sensor | |
| KR102431486B1 (en) | TPMS Valve Operation System Using Driving Noise of Tire | |
| JPH07151326A (en) | Combustion device | |
| JP2022051562A (en) | Ultrasonic flowmeter with vibration-resistant operating mode | |
| JP2003214915A (en) | Flow measurement device | |
| KR20230036128A (en) | Method and earphone system for determining wearing state of earphon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07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6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1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