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6807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6807B1
KR102686807B1 KR1020160167706A KR20160167706A KR102686807B1 KR 102686807 B1 KR102686807 B1 KR 102686807B1 KR 1020160167706 A KR1020160167706 A KR 1020160167706A KR 20160167706 A KR20160167706 A KR 20160167706A KR 102686807 B1 KR102686807 B1 KR 10268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voltage
transistor
pull
car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7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6934A (en
Inventor
김인준
손기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7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6807B1/en
Publication of KR20180066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9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680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7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6Details of a shift regis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픽셀 어레이 및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한다. 픽셀 어레이는 게이트라인들에 연결되는 픽셀들이 배치된다. 게이트 구동부는 종속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스테이지들을 이용하여,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스캔신호를 인가한다. 스테이지는 Q 노드 전압에 응답하여 스캔클럭을 출력단에 충전시키는 풀업 트랜지스터, Q 노드 전압에 반대 위상인 QB 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을 저전위전압으로 방전시키는 풀다운 트랜지스터, Q 노드 전압과는 반대 위상으로 QA 노드를 제어하는 인버터, QA 노드 전압에 응답하여 QB 노드를 충전시키는 QB 노드 제어부 및 QB 노드 제어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변화에 의해서 QB 노드가 충전되는 충전량이 감소하는 것을 보상하는 충전 보조부를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xel array and a gate driver. In the pixel array, pixels connected to gate lines are arranged. The gate driver sequentially applies scan signals to the gate lines using a plurality of stages that are dependently connected. The stage includes a pull-up transistor that charges the output terminal with the scan clock in response to the Q node voltage, and a pull-down transistor that discharges the output terminal to a low potential voltage in response to the voltage of the QB node, which is in phase opposite to the Q node voltage. It includes an inverter that controls the QA node by phase, a QB node control unit that charges the QB node in response to the QA node voltage, and a charging auxiliary unit that compensates for a decrease in the amount of charge charged to the QB node due to a change i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QB node control transistor. do.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표시장치는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이 직교되도록 배치되고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데이터라인들에는 표시하고자 하는 비디오 데이터전압이 공급되고 게이트라인들에는 스캔신호가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스캔신호가 공급되는 표시라인의 픽셀들에 비디오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며, 모든 표시라인들이 스캔신호에 의해 순차적으로 스캐닝되면서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한다. In the display device, data lines and gate lines are arranged at right angles, and pixel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The video data voltage to be displayed is supplied to the data lines, and the scan signal is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gate lines. Video data voltage is supplied to the pixels of the display line to which the scan signal is supplied, and all display lines are sequentially scanned by the scan signal to display video data.

표시장치에서 스캔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구동부는 표시패널에서 비표시영역인 베젤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이하 GIP) 형태로 구현되기도 한다. GIP 형태의 게이트 구동부는 게이트라인의 개수에 대응하는 스테이지를 구비하고, 각 스테이지는 일대일로 대응하는 게이트라인에 스캔신호를 출력한다. 각 스테이지들에 포함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들은 시간에 따라서 열화되어 전압-전류 특성 곡선이 전압의 (+) 방향으로 쉬프트된다. 전압-전류 특성 곡선이 쉬프트되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에 동일한 전압이 인가될지라도 구동전류의 양이 줄어든다. The gate driver that generates the scan signal in the display device is sometime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gate-in-panel (GIP) made up of a combination of thin film transistors in the bezel area, a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The GIP-type gate driver has stag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gate lines, and each stage outputs a scan signal to the corresponding gate line on a one-to-one basis. A number of transistors included in each stage deteriorate over time, causing the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curve to shift toward the (+) direction of voltage. When the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curve is shifted, the amount of driving current decreases even if the same voltage is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transistor.

특히, QB 노드를 충전하는 트랜지스터의 열화가 발생하여 QB 노드에 충전되는 전압의 전압레벨이 낮아지면, QB 노드와 연결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가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In particular, when the transistor charging the QB node deteriorates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voltage charged to the QB node decreases, a problem occurs in which a number of transistors connected to the QB node malfunction.

본 발명은 시프트 레지스터의 스테이지의 트랜지스터 열화로 인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solves problems caused by deterioration of transistors in the stage of a shift register.

특히, 본 발명은 스테이지의 트랜지스터의 열화로 인해서 QB 노드의 충전량이 줄어드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o improve the reduction in the charging amount of the QB node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transistor of the stage.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픽셀 어레이 및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한다. 픽셀 어레이는 게이트라인들에 연결되는 픽셀들이 배치된다. 게이트 구동부는 종속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스테이지들을 이용하여,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스캔신호를 인가한다. 스테이지는 Q 노드 전압에 응답하여 스캔클럭을 출력단에 충전시키는 풀업 트랜지스터, Q 노드 전압에 반대 위상인 QB 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을 저전위전압으로 방전시키는 풀다운 트랜지스터, Q 노드 전압과는 반대 위상으로 QA 노드를 제어하는 인버터, QA 노드 전압에 응답하여 QB 노드를 충전시키는 QB 노드 제어부 및 QB 노드 제어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변화에 의해서 QB 노드가 충전되는 충전량이 감소하는 것을 보상하는 충전 보조부를 포함한다.As a means of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xel array and a gate driver. In the pixel array, pixels connected to gate lines are arranged. The gate driver sequentially applies scan signals to the gate lines using a plurality of stages that are dependently connected. The stage includes a pull-up transistor that charges the output terminal with the scan clock in response to the Q node voltage, and a pull-down transistor that discharges the output terminal to a low potential voltage in response to the voltage of the QB node, which is in phase opposite to the Q node voltage. It includes an inverter that controls the QA node by phase, a QB node control unit that charges the QB node in response to the QA node voltage, and a charging auxiliary unit that compensates for a decrease in the amount of charge charged to the QB node due to a change i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QB node control transistor. do.

본 발명은 트랜지스터의 열화로 인해서 QB 노드의 충전량일 감소하는 것을 보상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ensate for a decrease in the charging amount of the QB node due to deterioration of the transist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픽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프트 레지스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예에 의한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스테이지의 구동신호 및 주요 노드의 전압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예에서, 제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전압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 예에 의한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 예에서, 제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3 실시 예에 의한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실시 예에서, QB 노드의 전압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ixel.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st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5 is a timing diagram showing the driving signal of the stage and the voltage change of the main node.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gate-source voltage change of the fourth transistor in the first embodiment.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sta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gate voltage of the fourth transistor in the second embodiment.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stag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voltage change of the QB node in the third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액정표시장치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names of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specifications and may be different from the names of the actual product.

본 발명의 시프트 레지스터에서 스위치 소자들은 n 타입 또는 p 타입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구조의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n 타입 트랜지스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트랜지스터는 게이트(gate), 소스(source) 및 드레인(drain)을 포함한 3 전극 소자이다. 소스는 캐리어(carrier)를 트랜지스터에 공급하는 전극이다. 트랜지스터 내에서 캐리어는 소스로부터 흐르기 시작한다. 드레인은 트랜지스터에서 캐리어가 외부로 나가는 전극이다. 즉, MOSFET에서의 캐리어의 흐름은 소스로부터 드레인으로 흐른다. n 타입 MOSFET(NMOS)의 경우, 캐리어 가 전자(electron)이기 때문에 소스에서 드레인으로 전자가 흐를 수 있도록 소스 전압이 드레인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가진다. n 타입 MOSFET에서 전자가 소스로부터 드레인 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전류의 방향은 드레인으로부터 소스 쪽으로 흐른다. p 타입 MOSFET(PMOS)의 경우, 캐리어가 정공(hole)이기 때문에 소스로부터 드레인으로 정공이 흐를 수 있도록 소스 전압이 드레인 전압보다 높다. p 타입 MOSFET에서 정공이 소스로부터 드레인 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전류가 소스로부터 드레인 쪽으로 흐른다. MOSFET의 소스와 드레인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MOSFET의 소스와 드레인은 인가 전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으로 인하여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In the shift regi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elements may be implemented as transistors with an n-type or p-type 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structure. Although an n-type transistor is illustrated in the following example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transistor is a three-electrode device including a gate, source, and drain. The source is an electrode that supplies carriers to the transistor. Within the transistor, carriers begin to flow from the source. The drain is the electrode through which carriers exit the transistor. That is, the flow of carriers in the MOSFET flows from the source to the drain. In the case of an n-type MOSFET (NMOS), because the carriers are electrons, the source voltage has a lower voltage than the drain voltage so that electrons can flow from the source to the drain. In an n-type MOSFET, since electrons flow from the source to the drain, the direction of current flows from the drain to the source. In the case of a p-type MOSFET (PMOS), since the carrier is a hole, the source voltage is higher than the drain voltage to allow holes to flow from the source to the drain. In a p-type MOSFET, current flows from the source to the drain because holes flow from the source to the drai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ource and drain of the MOSFET are not fixed. For example, the source and drain of a MOSFET can change depending on the applied voltage. The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source and drain of the transistor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또한, 본 명세에서 게이트 온 전압은 트랜지스터의 동작 전압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는 n 타입 트랜지스터를 실시 예로 설명되고 있기 때문에, 게이트 하이전압을 게이트 온 전압으로 규정하고 있다.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the gate-on voltage refers to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transistor. Since this specification describes an n-type transistor as an example, the gate high voltage is defined as the gate-on voltag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 타이밍 콘트롤러(110),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140) 등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00, a timing controller 110, a data driver 120, and gate drivers 130 and 140.

표시패널(100)은 데이터라인들(DL1~DLn) 및 게이트라인(GL)들이 정의되고 픽셀(P)들이 배치되는 픽셀 어레이(100A), 픽셀 어레이(100A)의 외측으로 각종 신호라인들이나 패드 등이 형성되는 비표시영역(100B)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은 액정표시장치(LCD),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LED), 전기영동 표시장치(EP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pixel array 100A in which data lines DL1 to DLn and gate lines GL are defined and pixels P are arranged, and various signal lines, pads, etc. are formed outside the pixel array 100A. It includes a non-display area 100B formed. The display panel 100 may us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or electrophoretic display (EPD).

픽셀(P)들은 서로 직교하는 데이터라인(DL) 및 게이트라인(GL)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각 픽셀(P)는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SW)를 통해 공급된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여, 데이터전압에 대응하는 밝기로 계조 표현을 한다. 픽셀(P)들의 픽셀회로(PC) 및 스위칭 소자(SW)는 표시패널의 종류에 따라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Pixels P are formed in an area where data lines DL and gate lines GL, which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intersect. Each pixel (P) operates in response to a scan signal supplied through a switching element (SW)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 and the data line (DL), and expresses gradation with brightness corresponding to the data voltage. The pixel circuit (PC) and switching element (SW) of the pixels (P) may be implemented in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the type of display panel.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영상보드에 연결된 LVDS 또는 TMDS 인터페이스 수신회로 등을 통해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도트 클럭(DLCK)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받는다.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입력된 타이밍신호를 기준으로 데이터 구동부(1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 및 게이트 구동부(130,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The timing controller 110 receives timing signals such as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 data enable signal (DE), and a dot clock (DLCK) through an LVDS or TMDS interface reception circuit connected to the video board. receives input. The timing controller 110 generates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ata driver 120 and a gate tim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gate drivers 130 and 140 based on the input timing signal.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및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을 포함한다.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 구동부(120)의 쉬프트 스타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 구동부(120) 내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신호이다.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includes a source start pulse (Source Start Pulse, SSP), source sampling clock (SSC), and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urce Output Enable, SOE). The source start pulse (SSP) controls the shift start timing of the data driver 120. The source sampling clock (SSC) is a clock signal that controls the sampling timing of data within the data driver 120 based on the rising or falling edge.

스캔 타이밍 제어신호는 스타트신호(VST), 캐리클럭(CRCLK) 및 스캔클럭(SCCLK) 등을 포함한다. 스타트신호(VST)는 시프트 레지스터(140)의 첫 번째 스테이지(STG1)에 입력되어, 쉬프트 스타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캐리클럭(CRCLK) 및 스캔클럭(SCCLK)은 레벨 쉬프터(130)를 통해 레벨 쉬프팅된 후에 시프트 레지스터(140)에 입력된다.The scan timing control signal includes a start signal (VST), carry clock (CRCLK), and scan clock (SCCLK). The start signal (VST) is input to the first stage (STG1) of the shift register 140 to control the shift start timing. The carry clock (CRCLK) and scan clock (SCCLK) are level shifted through the level shifter 130 and then input to the shift register 140.

데이터 구동부(120)는 타이밍 콘트롤러(110)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RGB)과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를 공급받는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RGB)을 감마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전압을 생성하고, 데이터전압을 표시패널(100)의 데이터라인들(DL1~DLn)을 통해 공급한다. The data driver 120 receives digital video data (RGB) and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from the timing controller 110. The data driver 120 generates a data voltage by converting digital video data (RGB) into a gamma voltage in response to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data voltage to the data lines DL1 to DLn of the display panel 100. supplied through

게이트 구동부(130,140)는 레벨 시프터(130) 및 시프트 레지스터(140)를 포함한다. 레벨 시프터(130)는 IC 형태로 표시패널(100)에 접속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형성된다. 레벨 시프터(130)는 스타트신호(VST), 캐리클럭(CRCLK) 및 스캔클럭(SCCLK) 등을 레벨 쉬프팅한 후 시프트 레지스터(140)에 공급한다. 시프트 레지스터(140)는 종속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스테이지들을 포함한다. The gate drivers 130 and 140 include a level shifter 130 and a shift register 140. The level shifter 130 is form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00 in the form of an IC. The level shifter 130 levels-shifts the start signal (VST), carry clock (CRCLK), and scan clock (SCCLK) and then supplies them to the shift register 140. Shift register 140 includes multiple stages that are dependently connected.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프트 레지스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hift regi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시프트 레지스터(140)는 표시패널(100)의 비표시영역(100B)에서 GIP 방식에 의해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조합으로 형성되어서, 스캔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서 시프트 레지스터(140)는 서로 종속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스테이지(STG)들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shift register 140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thin film transistors using the GIP method in the non-display area 100B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sequentially outputs scan signals. For this purpose, the shift register 140 includes a plurality of stages (STGs) that are 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하의 설명에서 "전단 스테이지"는 기준이 되는 스테이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제k(k는 자연수) 스테이지를 기준으로, 전단 스테이지는 제1 스테이지 내지 제k-1 스테이지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한다. "후단 스테이지"는 기준이 되는 스테이지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제k 스테이지를 기준으로, 후단 스테이지는 제k+1 스테이지 내지 마지막 스테이지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ront stage” refers to something located above the standard stage. For example, based on the kth stage (k is a natural number), the previous stage indicates one of the first stage to the k-1th stage. “Rear stage” refers to something located below the standard stage. For example, based on the kth stage, the subsequent stage indicates one of the k+1th stage to the last stage.

제n(n은 3보다 큰 자연수) 스테이지(STG(n))는 전단 캐리신호(CARRY(n-3))에 응답하여, 스캔클럭(SCCLK)의 출력 타이밍과 동기되는 제n 스캔신호(SCAN(n))를 출력하고, 캐리클럭(CRCLK)의 출력 타이밍과 동기되는 제n 캐리신호(CARRY(n))를 출력한다. 전단 캐리신호(CARRY(n-3))는 캐리클럭(CRCLK)의 타이밍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n 스테이지(STGn)가 제(n-3) 캐리신호(CARRY(n-3))를 이용하는 실시 예를 바탕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3) stage (STG(n)) responds to the previous carry signal (CARRY(n-3)) and outputs the nth scan signal (SCAN), which is synchronized with the output timing of the scan clock (SCCLK). (n)) is output, and the nth carry signal (CARRY(n)), which is synchronized with the output timing of the carry clock (CRCLK), is output. The front-end carry signal (CARRY(n-3)) may vary depending on the timing of the carry clock (CRCLK),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th stage (STGn) receives the (n-3)th carry signal (CARRY(n-3)). ) will be described based on an embodiment using.

제1 내지 제3 스테이지는 캐리신호 대신에 스타트신호(VST)를 입력받아서 동작한다.The first to third stages operate by receiving a start signal (VST) instead of a carry signal.

도 4는 제1 실시 예에 의한 제n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nth st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제n 스테이지(STG(n))는 스타트 제어부(T1,T1A), Q 노드 방전제어부(T3n,T3nA), 제3q 트랜지스터(3q), 제3 트랜지스터(T3), 제3A 트랜지스터(T3A), 인버터(T4A,T4q), QB 충전제어 트랜지스터(T4, 이하 제4 트랜지스터), 충전 보조부(C1), 제5q 트랜지스터(T5q), 캐리 풀업 트랜지스터(Tpu1, 이하 제1 풀업 트랜지스터), 캐리 풀다운 트랜지스터(Tpd1, 이하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 풀업 트랜지스터(Tpu2, 이하 제2 풀업 트랜지스터)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Tpd2, 이하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n-th stage (STG(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rt control unit (T1, T1A), a Q node discharge control unit (T3n, T3nA), a 3q transistor (3q), and a third Transistor (T3), 3A transistor (T3A), inverter (T4A, T4q), QB charging control transistor (T4,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4th transistor), charging auxiliary unit (C1), 5q transistor (T5q), carry pull-up transistor (Tpu1) , a first pull-up transistor hereinafter), a carry pull-down transistor (Tpd1, hereinafter a first pull-down transistor), a pull-up transistor (Tpu2, a second pull-up transistor), and a pull-down transistor (Tpd2, hereinafter a second pull-down transistor).

스타트 제어부(T1,T1A)는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1A 트랜지스터(T1A)를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전극 및 드레인전극은 이전단 캐리신호(CARRY(n-3))를 공급하는 입력단에 연결되고, 소스전극은 Qh 노드에 연결된다. 제1A 트랜지스터(T1A)의 게이트전극은 이전단 캐리신호(CARRY(n-3))를 공급하는 입력단에 연결되고, 드레인전극은 Qh 노드에 연결되며, 소스전극은 Q 노드에 연결된다. 스타트 제어부(T1,T1A)는 이전단 캐리신호(CARRY(n-3))를 이용하여 Q 노드를 고전위전압으로 충전한다. The start control unit (T1, T1A) includes a first transistor (T1) and a 1A transistor (T1A). The gate electrode and drain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T1) ar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the previous carry signal (CARRY(n-3)), and the sourc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Qh node. The gate electrode of the 1A transistor T1A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the previous carry signal CARRY(n-3), the drain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Qh node, and the sourc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Q node. The start control unit (T1, T1A) charges the Q node with a high potential voltage using the previous carry signal (CARRY(n-3)).

Q 노드 방전제어부(T3N,T3NA)는 제3n 트랜지스터(T3n) 및 제3nA 트랜지스터(T3nA)를 포함한다. 제3n 트랜지스터(T3n)는 후단신호(CARRY(n+3))를 공급하는 입력단에 연결되는 게이트전극, Q 노드에 연결되는 드레인전극 및 Qh 노드에 연결되는 소스전극을 포함한다. 제3nA 트랜지스터(T3nA)는 후단신호(CARRY(n+3))를 공급하는 입력단에 연결되는 게이트전극 Qh 노드에 연결되는 드레인전극 및 제2 저전위 구동전압(GVSS2)을 공급하는 입력단에 연결되는 소스전극을 포함한다. Q 노드 방전제어부(T3N,T3NA)는 후단신호(CARRY(n+3))에 응답하여 Q 노드를 제2 저전위 구동전압(GVSS2)으로 방전시킨다. The Q node discharge control unit (T3N, T3NA) includes a 3n transistor (T3n) and a 3nA transistor (T3nA). The 3n transistor T3n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the downstream signal CARRY(n+3),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Q node, and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the Qh node. The 3nA transistor (T3nA) has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Qh nod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the downstream signal (CARRY(n+3)) and an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the second low potential driving voltage (GVSS2). Includes a source electrode. The Q node discharge control unit (T3N, T3NA) discharges the Q node to the second low-potential driving voltage (GVSS2) in response to the rear-end signal (CARRY(n+3)).

제3 트랜지스터(T3)는 QB 노드에 연결되는 게이트전극, Q 노드에 연결되는 드레인전극 및 Qh 노드에 연결되는 소스전극을 포함한다. 제3A 트랜지스터(T3A)는 QB 노드에 연결되는 게이트전극, Qh 노드에 연결되는 드레인전극 및 제2 저전위 구동전압(GVSS2)을 공급하는 입력단에 연결되는 소스전극을 포함한다. 제3 트랜지스터(T3) 및 제3A 트랜지스터(T3A)는 QB 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Q 노드를 제2 저전위 구동전압(GVSS2)으로 방전시킨다.The third transistor T3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QB node,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Q node, and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the Qh node. The 3A transistor T3A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QB node,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Qh node, and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the second low-potential driving voltage GVSS2. The third transistor T3 and the third A transistor T3A respond to the voltage of the QB node and discharge the Q node to the second low-potential driving voltage GVSS2.

제3q 트랜지스터(3q)는 Q 노드에 연결되는 게이트전극, 고전위 구동전압(GVDD)을 공급하는 입력단에 연결되는 드레인전극 및 Qh 노드에 연결되는 소스전극을 포함한다. 제3q 트랜지스터(3q)는 Q 노드가 고전위전압인 동안에 Qh 노드를 고전위 구동전압(GVDD)으로 충전시킨다. 그 결과 제3q 트랜지스터(3q)는 Q 노드가 고전위전압인 동안에는 Q 노드 방전제어부(T3N,T3NA) 및 제3 트랜지스터(T3)의 동작을 억제시킨다.The 3q transistor 3q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Q node,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a high potential driving voltage (GVDD), and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the Qh node. The 3q transistor 3q charges the Qh node with the high potential driving voltage (GVDD) while the Q node is at the high potential voltage. As a result, the 3rd q transistor (3q) suppresses the operation of the Q node discharge control units (T3N, T3NA) and the third transistor (T3) while the Q node is at a high potential voltage.

인버터(T4A,T4q)는 제4A 트랜지스터(T4A) 및 제4q 트랜지스터(T4q)를 포함한다. 제4A 트랜지스터(T4A)의 게이트전극 및 드레인전극은 고전위 구동전압(GVDD)을 공급하는 입력단에 연결되고, 소스전극은 QA 노드에 연결된다. 제4q 트랜지스터(T4q)의 게이트전극은 Q 노드에 연결되고 드레인전극은 QA 노드에 연결되며, 소스전극은 제1 저전위 구동전압(GVSS1)을 공급하는 입력단에 연결된다. 인버터(T4A,T4q)는 QA 노드의 전압을 Q 노드의 전압에 반대 위상으로 유지시킨다. 즉, 제4q 트랜지스터(T4q)는 Q 노드가 고전위전압일 때 턴-온되어, QA 노드를 제1 저전위 구동전압(GVSS1)으로 유지시킨다. Q 노드가 저전위전압일 때에는 제4q 트랜지스터(T4q)가 턴-오프되어, QA 노드는 제4A 트랜지스터(T4A)를 통해서 공급받는 고전위 구동전압(GVDD)으로 충전된다.The inverters (T4A, T4q) include a 4A transistor (T4A) and a 4q transistor (T4q). The gate electrode and drain electrode of the 4A transistor (T4A) ar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the high potential driving voltage (GVDD), and the sourc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QA node. The gate electrode of the fourth q transistor (T4q) is connected to the Q node, the drain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QA node, and the sourc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the first low-potential driving voltage (GVSS1). The inverters (T4A, T4q) maintain the voltage of the QA node in opposite phase to the voltage of the Q node. That is, the 4th q transistor (T4q) is turned on when the Q node is at a high potential voltage, and maintains the QA node at the first low driving voltage (GVSS1). When the Q node has a low potential voltage, the 4th q transistor (T4q) is turned off, and the QA node is charged with the high potential driving voltage (GVDD) supplied through the 4A transistor (T4A).

제4 트랜지스터(T4)는 QA 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QB 노드를 고전위 구동전압(GVDD)으로 충전시킨다. The fourth transistor (T4) charges the QB node with the high potential driving voltage (GVDD) in response to the voltage of the QA node.

충전 보조부(C1)는 제4 트랜지스터(T4)가 QB 노드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QB 노드의 충전량이 감소되지 않도록 보상한다. 충전 보조부(C1)는 제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전극과 소스전극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harging auxiliary unit C1 compensates so that the charging amount of the QB node does not decrease while the fourth transistor T4 charges the QB node. The charging auxiliary unit C1 may be made of a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제5q 트랜지스터(T5q)는 Q 노드에 연결되는 게이트전극, QB 노드에 연결되는 드레인전극 및 제2 저전위 구동전압(GVSS2)에 연결되는 소스전극을 포함한다. 제5q 트랜지스터(T5q)는 Q 노드 전압에 응답하여 QB 노드를 제2 저전위 구동전압(GVSS2)으로 방전시킨다.The 5q transistor T5q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Q node,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QB node, and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low-potential driving voltage GVSS2. The 5q transistor (T5q) discharges the QB node to the second low-potential driving voltage (GVSS2) in response to the Q node voltage.

제1 풀업 트랜지스터(Tpu1)는 Q 노드에 연결되는 게이트전극, 캐리클럭(CRCLK)을 공급하는 입력단에 연결되는 드레인전극 및 캐리 출력단(n1)에 연결되는 소스전극을 포함한다. 제1 풀업 트랜지스터(Tpu1)는 Q 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캐리클럭(CRCLK)을 이용하여 캐리 출력단(n1)을 충전시킨다. The first pull-up transistor Tpu1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Q node,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a carry clock (CRCLK), and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the carry output terminal (n1). The first pull-up transistor (Tpu1) responds to the voltage of the Q node and charges the carry output terminal (n1) using the carry clock (CRCLK).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Tpd1)는 QB 노드에 연결되는 게이트전극, 캐리 출력단(n1)에 연결되는 드레인전극 및 제2 저전위 구동전압(GVSS2)을 공급하는 입력단에 연결되는 소스전극을 포함한다.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Tpd1)는 QB 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캐리 출력단(n1)을 제2 저전위 구동전압(GVSS2)으로 방전시킨다. The first pull-down transistor (Tpd1)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QB node,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carry output terminal (n1), and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the second low-potential driving voltage (GVSS2). The first pull-down transistor (Tpd1) responds to the voltage of the QB node and discharges the carry output terminal (n1) to the second low-potential driving voltage (GVSS2).

제2 풀업 트랜지스터(Tpu2)는 Q 노드에 연결되는 게이트전극, 스캔클럭(SCCLK)을 공급하는 입력단에 연결되는 드레인전극 및 출력단(n2)에 연결되는 소스전극을 포함한다. 제1 풀업 트랜지스터(Tpu1)는 Q 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스캔클럭(SCCLK)을 이용하여 출력단(n2)을 충전시킨다. The second pull-up transistor Tpu2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Q node,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the scan clock (SCCLK), and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n2). The first pull-up transistor (Tpu1) responds to the voltage of the Q node and charges the output terminal (n2) using the scan clock (SCCLK).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Tpd2)는 QB 노드에 연결되는 게이트전극, 출력단(n2)에 연결되는 드레인전극 및 저전위 구동전압(GVSS0)을 공급하는 입력단에 연결되는 소스전극을 포함한다.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Tpd2)는 QB 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출력단(n2)을 저전위 구동전압(GVSS0)으로 방전시킨다. The second pull-down transistor Tpd2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QB node,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n2), and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a low-potential driving voltage (GVSS0). The second pull-down transistor (Tpd2) responds to the voltage of the QB node and discharges the output terminal (n2) to a low driving voltage (GVSS0).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n 스테이지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FIG. 5 is a timing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nth stage shown in FIG. 4.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n 스테이지(STG(N))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the operation of the nth stage (STG(N)) is as follows.

제(n-3) 수평기간((n-3)th H) 동안, 스타트 제어부(T1,T1A)는 이전단 캐리신호(CARRY(n-3))에 응답하여 Q 노드를 프리챠징(pre charging)한다. During the (n-3)th horizontal period ((n-3)th H), the start control unit (T1, T1A) precharges the Q node in response to the previous carry signal (CARRY (n-3)). )do.

제n 수평기간(nth H) 동안, 제1 풀업 트랜지스터(Tpu1)의 드레인전극은 캐리클럭(CRCLK)에 의해서 고전위전압으로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제1 풀업 트랜지스터(Tpu1)의 게이트전극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되고, 제1 풀업 트랜지스터(Tpu1)는 턴-온되어서 캐리 출력단(n1)을 고전위전압으로 충전한다. 그 결과, 캐리 출력단(n1)은 고전위전압의 제n 캐리신호(CARRYn)를 출력한다.During the nth horizontal period (nth H), the drain electrode of the first pull-up transistor (Tpu1) rises to a high potential voltage due to the carry clock (CRCLK). Accordingly, the gate electrode of the first pull-up transistor (Tpu1) is bootstrapped, and the first pull-up transistor (Tpu1) is turned on to charge the carry output terminal (n1) with a high potential voltage. As a result, the carry output terminal (n1) outputs the nth carry signal (CARRYn) of high potential voltage.

마찬가지로, 제n 수평기간(nth H) 동안, 제2 풀업 트랜지스터(Tpu2)는 출력단(n2)을 통해서 제n 스캔신호(SCANn)를 출력한다.Likewise, during the nth horizontal period (nth H), the second pull-up transistor (Tpu2) outputs the nth scan signal (SCANn) through the output terminal (n2).

제(n+3) 수평기간((n+3)th H) 동안, 후단신호(CARRY(n+3))에 응답하여 Q 노드 방전제어부(T3N,T3NA)는 Q 노드를 제2 저전위 구동전압(GVSS2)으로 방전시킨다. 그 결과 제4q 트랜지스터(T4q)는 턴-오프 되고, QA 노드는 고전위 구동전압(GVDD)으로 충전된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QA 노드에 응답하여 턴-온되고, 고전위 구동전압(GVDD)을 QB 노드에 충전한다. 충전 보조부(C1)는 제4 트랜지스터(T4)가 QB 노드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QB 노드의 충전량이 감소되지 않도록 보상한다. During the (n+3)th horizontal period ((n+3)th H), in response to the rear end signal (CARRY(n+3)), the Q node discharge control units (T3N, T3NA) drive the Q node to the second low potential. Discharge to voltage (GVSS2). As a result, the 4th transistor T4q is turned off, and the QA node is charged with the high potential driving voltage (GVDD). The fourth transistor T4 is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QA node and charges the QB node with a high potential driving voltage (GVDD). The charging auxiliary unit C1 compensates so that the charging amount of the QB node does not decrease while the fourth transistor T4 charges the QB node.

충전 보조부(C1)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auxiliary unit (C1) is as follows.

제4 트랜지스터(T4)가 QB 노드에 충전하는 전압은 제4 트랜지스터(T4)의 구동전류의 양에 비례한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열화에 의해서 전압-전류 특성 곡선이 (+) 방향으로 쉬프트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의 전압-전류 특성 곡선이 (+) 방향으로 쉬프트되면, 게이트전극의 전압이 일정할지라도 드레인전극과 소스전극을 경유하는 전류량이 감소한다. 즉, 제4 트랜지스터(T4)가 열화되면, QA 노드의 전압이 일정할지라도 QB 노드에 충전되는 전하량이 감소하고, 그 결과 QB 노드의 전압레벨은 열화되기 이전보다 낮아진다. QB 노드에 충전되는 전압레벨이 낮아지면, QB 노드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되는 트랜지스터들의 동작이 원활하지 못해서 오동작이 발생하거나, GIP의 수명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The voltage that the fourth transistor (T4) charges at the QB node i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driving current of the fourth transistor (T4). The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curv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may be shifted in the (+) direction due to deterioration. When the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curv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is shifted in the (+) direction, the amount of current passing through the drain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decreases even if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is constant. That is, when the fourth transistor T4 deteriorates, even if the voltage of the QA node is constant, the amount of charge charged to the QB node decreases, and as a result, the voltage level of the QB node becomes lower than before the deterioration. When the voltage level charged to the QB node is low, the transistors whose gate electrodes are connected to the QB node do not operate smoothly, causing malfunctions or shortening the lifespan of the GIP.

하지만, 제1 실시 예에 의한 충전 보조부(C1)는 제4 트랜지스터(T4)의 소스전극 전압에 따라 게이트전극의 전압이 부트스트래핑된다. 즉, 제4 트랜지스터(T4)가 턴-온되면 드레인전극에서 소스전극으로 흐르는 구동전류에 의해서 소스전극의 전압은 상승하고, 게이트전극의 전압은 소스전극의 전압 상승에 따라 부트스트래핑된다. 그 결과, 제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소스 전압은 상승하여 제4 트랜지스터(T4)를 흐르는 구동전류가 증가한다. 그 결과, QB 노드에 충전되는 전압레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However, in the charging auxiliary unit C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is bootstrapped according to the source electrode voltag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That is, when the fourth transistor T4 is turned on, the voltage of the source electrode increases due to the driving current flowing from the drain electrode to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is bootstrapp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voltage of the source electrode. As a result, the gate-source voltag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increases and the driv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ourth transistor T4 increases. As a result, the voltage level charged to the QB node can be further increased.

도 6은 제1 실시 예에 의한 효과를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제1 그래프(gr1)는 제1 실시 예에 의한 충전 보조부(C1)가 연결되는 제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2 그래프(gr2)는 충전 보조부가 없을 때의 제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제1 실시 예에 의한 충전 보조부(C1)는 제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소스 전압을 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QB 노드의 전압이 불완전하게 충전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simulation results showing the effect of the first embodiment. In FIG. 6, the first graph (gr1) is a diagram showing the gate-source voltage of the fourth transistor to which the charging auxiliary unit (C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connected, and the second graph (gr2) is a diagram showing the gate-source voltage when the charging auxiliary unit (C1) is not connected.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gate-source voltage of the fourth transistor. As shown in FIG. 6, the charging auxiliary unit C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maintain the gate-source voltag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higher, thereby improving incomplete charging of the voltage of the QB node. You can.

도 7은 제2 실시 예에 의한 제n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 예에서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제n 스테이지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는 도 5에 도시된 구동신호와 동일하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nth sta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7,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ponents tha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The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nth stage shown in FIG. 7 is the same as the driving signal shown in FIG. 5.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제n 스테이지(STG(n))는 스타트 제어부(T1,T1A), Q 노드 방전제어부(T3n,T3nA), 제3q 트랜지스터(3q), 제3 트랜지스터(T3), 제3A 트랜지스터(T3A), 인버터(T4A,T4q), QB 충전제어 트랜지스터(T4, 이하 제4 트랜지스터), 충전 보조부(C2), 제5q 트랜지스터(T5q), 캐리 풀업 트랜지스터(Tpu1, 이하 제1 풀업 트랜지스터), 캐리 풀다운 트랜지스터(Tpd1, 이하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 풀업 트랜지스터(Tpu2, 이하 제2 풀업 트랜지스터)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Tpd2, 이하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5 and 7, the n-th stage (STG(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rt control unit (T1, T1A), a Q node discharge control unit (T3n, T3nA), a 3q transistor (3q), and a third Transistor (T3), 3A transistor (T3A), inverter (T4A, T4q), QB charging control transistor (T4,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4th transistor), charging auxiliary unit (C2), 5q transistor (T5q), carry pull-up transistor (Tpu1) , a first pull-up transistor hereinafter), a carry pull-down transistor (Tpd1, hereinafter a first pull-down transistor), a pull-up transistor (Tpu2, a second pull-up transistor), and a pull-down transistor (Tpd2, hereinafter a second pull-down transistor).

충전 보조부(C2)는 QA 노드와 교류신호를 공급하는 입력단에 연결된다. 교류신호는 저전위전압부터 고전위전압 범위 내에서 스윙하는 신호에 해당하고, 일례로 스캔클럭(SCCLK)이 이용될 수 있다. 충전 보조부(C2)에 의해서 QA 노드는 스캔클럭(SCCLK)을 공급하는 입력단과 커플링 현상이 발생한다. 그 결과 스캔클럭(SCCLK)이 저전위전압에서 고전위전압으로 반전될 때에 QA 노드는 커플링 효과에 의해서 전압이 상승한다. 즉, 제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전극의 전압은 스캔클럭(SCCLK)에 동기되어 상승한다. 도 8은 제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전극의 전압이 스캔클럭(SCCLK)에 동기되어 상승되는 것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충전 보조부(C2)가 없을 경우에 QA 노드가 20V 정도의 수준이었다면, 제2 실시 예에 의한 제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전극의 전압은 스캔클럭(SCCLK)에 의해서 일정 간격으로 50V이상으로 상승한다. The charging auxiliary unit (C2) is connected to the QA node and an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an alternating current signal. An alternating current signal corresponds to a signal that swings within a range from a low potential voltage to a high potential voltage, and as an example, a scan clock (SCCLK) can be used. The charging auxiliary unit (C2) causes coupling between the QA node and the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the scan clock (SCCLK). As a result, when the scan clock (SCCLK) is inverted from a low potential voltage to a high potential voltage, the voltage of the QA node increases due to the coupling effect. That is,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increas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can clock SCCLK. FIG. 8 is a simulation result showing that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increas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can clock SCCLK. If the QA node was at a level of about 20V in the absence of the charging auxiliary unit (C2),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rises to 50V or more at regular intervals by the scan clock (SCCLK). do.

이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의하면 제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소스 간의 전압(Vgs)이 상승하고, 그 결과 QB 노드에 충전되는 전압이 상승한다. 따라서, 제4 트랜지스터(T4)의 전압-전류 특성 곡선이 (+) 방향으로 쉬프트된다고 할지라도, 충전 보조부(C2)는 충분한 전압레벨 이상으로 충전될 수 있다.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voltage (Vgs) between the gate and sourc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increases, and as a result, the voltage charged at the QB node increases. Accordingly, even if the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curv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is shifted in the (+) direction, the charging auxiliary unit C2 can be charged to a sufficient voltage level or higher.

도 9는 제3 실시 예에 의한 제n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제3 실시 예에서 전술한 실시 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제n 스테이지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는 도 5에 도시된 구동신호와 동일하다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nth stag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ponents tha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The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nth stage shown in FIG. 9 is the same as the driving signal shown in FIG. 5.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제n 스테이지(STG(n))는 스타트 제어부(T1,T1A), Q 노드 방전제어부(T3n,T3nA), 제3q 트랜지스터(3q), 제3 트랜지스터(T3), 제3A 트랜지스터(T3A), 인버터(T4A,T4q), QB 충전제어 트랜지스터(T4, 이하 제4 트랜지스터), 충전 보조부(C3), 제5q 트랜지스터(T5q), 캐리 풀업 트랜지스터(Tpu1, 이하 제1 풀업 트랜지스터), 캐리 풀다운 트랜지스터(Tpd1, 이하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 풀업 트랜지스터(Tpu2, 이하 제2 풀업 트랜지스터)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Tpd2, 이하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5 and 9, the n-th stage (STG(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rt control unit (T1, T1A), a Q node discharge control unit (T3n, T3nA), a 3q transistor (3q), and a third Transistor (T3), 3A transistor (T3A), inverter (T4A, T4q), QB charging control transistor (T4,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4th transistor), charging auxiliary unit (C3), 5q transistor (T5q), carry pull-up transistor (Tpu1 , a first pull-up transistor hereinafter), a carry pull-down transistor (Tpd1, hereinafter a first pull-down transistor), a pull-up transistor (Tpu2, a second pull-up transistor), and a pull-down transistor (Tpd2, hereinafter a second pull-down transistor).

충전 보조부(C3)는 QB 노드와 교류신호를 공급하는 입력단에 연결된다. 교류신호는 저전위전압부터 고전위전압 범위 내에서 스윙하는 신호에 해당하고, 일례로 스캔클럭(SCCLK)이 이용될 수 있다. 충전 보조부(C3)에 의해서 QB 노드는 스캔클럭(SCCLK)을 공급하는 입력단과 커플링 현상이 발생한다. 그 결과 스캔클럭(SCCLK)이 저전위전압에서 고전위전압으로 반전될 때에 QB 노드는 커플링 효과에 의해서 전압이 상승한다. The charging auxiliary unit (C3) is connected to the QB node and an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an alternating current signal. An alternating current signal corresponds to a signal that swings within a range from a low potential voltage to a high potential voltage, and as an example, a scan clock (SCCLK) can be used. A coupling phenomenon occurs between the QB node and the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the scan clock (SCCLK) by the charging auxiliary unit (C3). As a result, when the scan clock (SCCLK) is reversed from a low voltage to a high voltage, the voltage of the QB node increases due to the coupling effect.

제4 트랜지스터(T4)의 전압-전류 특성 곡선이 (+) 방향으로 쉬프트되어서, 제4 트랜지스터(T4)를 통해서 QB 노드에 충전되는 전압이 작아질 수 있다. 하지만, 충전 보조부(C3)는 스캔클럭(SCCLK)과의 커플링 효과를 이용하여 QB 노드의 전압을 직접 상승시키기 때문에, QB 노드의 전압이 낮아지는 것을 보상할 수 있다. Since the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curv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is shifted in the (+) direction, the voltage charged to the QB node through the fourth transistor T4 may decrease. However, since the charging auxiliary unit C3 directly increases the voltage of the QB node using the coupling effect with the scan clock (SCCLK), it can compensate for the decrease in the voltage of the QB node.

도 10은 제3 실시 예에서, QB 노드의 전압이 스캔클럭에 동기되어 상승되는 것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0에서와 같이, 제4 트랜지스터(T4)를 통해서 충전되는 QB 노드의 전압이 20V 에 못 미치는데에 반해서, 충전 보조부(C3)는 QB 노드의 전압을 일정간격으로 30V 정도로 상승시킬 수 있다. Figure 10 is a simulation result showing that the voltage of the QB node increas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can clock in the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while the voltage of the QB node charged through the fourth transistor T4 is less than 20V, the charging auxiliary unit C3 can increase the voltage of the QB node to about 30V at regular intervals.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의한 충전 보조부들(C1,C2,C3) 각각은 제4 트랜지스터(T4)의 열화로 인해서 QB 노드에 충전되는 전압레벨이 낮아지는 것을 보상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charging auxiliary units C1, C2, and C3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can compensate for the lowering of the voltage level charged to the QB node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fourth transistor T4. there is.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하나의 충전 보조부가 이용되는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하지만, 시프트 레지스터의 스테이지는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의한 충전 보조부를 두 개 이상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스테이지는 제1 및 제2 실시 예에 의한 충전 보조부(C1,C2)를 포함하거나, 제2 및 제3 실시 예에 의한 충전 보조부(C2,C3)를 포함하거나, 제1 및 제3 실시 예에 의한 충전 보조부(C1,C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의한 충전 보조부(C1,C2,C3)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described focusing on embodiments in which a single charging auxiliary unit is used. However, the stage of the shift register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two or more charging auxiliary units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For example, the stage includes charging auxiliary units C1 and C2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r includes charging auxiliary units C2 and C3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r includes charging auxiliary units C2 and C3 according to the first and third embodiments. By way of example, it may include charging auxiliary units (C1, C3). Additionally, it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ll of the charging auxiliary units C1, C2, and C3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In addition,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patent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표시패널 110: 타이밍 콘트롤러
120: 데이터 구동부 130, 140: 게이트 구동부
C1,C2,C3: 충전 보조부
100: display panel 110: timing controller
120: data driver 130, 140: gate driver
C1,C2,C3: Charging auxiliary unit

Claims (7)

삭제delete 삭제delete 게이트라인들에 연결되는 픽셀들이 배치되는 픽셀 어레이; 및
종속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스테이지들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스캔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지는
Q 노드 전압에 응답하여, 스캔클럭을 출력단에 충전시키는 풀업 트랜지스터;
상기 Q 노드 전압에 반대 위상인 QB 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을 저전위전압으로 방전시키는 풀다운 트랜지스터;
상기 Q 노드 전압과는 반대 위상으로 QA 노드를 제어하는 인버터;
상기 QA 노드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QB 노드를 충전시키는 QB 노드 제어부; 및
상기 QB 노드 제어부의 문턱전압 변화에 의해서 상기 QB 노드가 충전되는 충전량이 감소하는 것을 보상하는 충전 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보조부는
상기 QA 노드 및 고전위전압부터 저전위전압 범위 내에서 스윙하는 교류신호를 공급하는 입력단에 연결되는 커패시터인 표시장치.
a pixel array in which pixels connected to gate lines are arranged; and
Equipped with a gate driver that sequentially applies scan signals to the gate lines using a plurality of stages that are dependently connected,
The stage is
A pull-up transistor that charges the output terminal with a scan clock in response to the Q node voltage;
a pull-down transistor that discharges the output terminal to a low potential voltage in response to the voltage of the QB node, which is in phase opposite to the Q node voltage;
an inverter that controls the QA node in a phase opposite to the Q node voltage;
a QB node control unit that charges the QB node in response to the QA node voltage; and
It includes a charging auxiliary unit that compensates for a decrease in the amount of charge charged to the QB node due to a change i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QB node control unit,
The charging auxiliary unit
A display device that is a capacitor connected to the QA node and an input terminal that supplies an alternating current signal swinging within a range from a high potential voltage to a low potential voltage.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신호를 공급하는 입력단은 상기 스캔클럭을 공급하는 입력단인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input terminal supplying the AC signal is an input terminal supplying the scan clock.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Q 노드에 응답하여 상기 스캔클럭과 동일한 위상을 갖는 캐리클럭을 이용하여 캐리 출력단을 충전하는 캐리 풀업 트랜지스터; 및
이전단 스테이지의 상기 캐리 출력단이 출력하는 캐리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Q 노드를 충전하는 스타트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tage is
a carry pull-up transistor that charges a carry output terminal in response to the Q node using a carry clock having the same phase as the scan clock; and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start control unit that charges the Q node in response to a carry signal output from the carry output terminal of the previous stage.
삭제delete
KR1020160167706A 2016-12-09 2016-12-09 Display Device Active KR1026868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706A KR102686807B1 (en) 2016-12-09 2016-12-0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706A KR102686807B1 (en) 2016-12-09 2016-12-09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934A KR20180066934A (en) 2018-06-20
KR102686807B1 true KR102686807B1 (en) 2024-07-19

Family

ID=62769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706A Active KR102686807B1 (en) 2016-12-09 2016-12-09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68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3358B (en) * 2018-11-22 2021-11-12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Shifting register unit, grid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KR102174833B1 (en) * 2019-02-01 2020-11-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10070828B (en) * 2019-04-08 2021-02-26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GOA circuit and display panel
CN110675828A (en) * 2019-09-10 2020-01-10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GOA circuit
KR102763920B1 (en) * 2021-07-08 2025-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Inverter circuit, gate driver using the same ane sensing method display device
KR102673103B1 (en) * 2021-11-10 2024-06-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Scan driver,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hereof
KR20230103570A (en) 2021-12-31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102627933B1 (en) * 2022-03-21 2024-01-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Scan driver circuit for improving degradation of TFT
CN119234268A (en) 2023-04-28 2024-12-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Shift register,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743B1 (en) * 2008-01-29 2015-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385624B1 (en) * 2014-05-02 2022-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934A (en)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86807B1 (en) Display Device
KR102578838B1 (en) Gate Driving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EP3324397B1 (en) Display device
KR102507421B1 (en) Display Device
KR102596043B1 (en)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KR101951940B1 (en) Gate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678214B1 (en)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607402B1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352289B1 (en) Display Device
KR20190079855A (en)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reof
KR20180072041A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90032959A (en) Shift Resit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the Same
KR20180042754A (en) Display Device
KR102634178B1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90066984A (en) Gate Driving Circu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the Same
KR20190069179A (en) Gate driv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90031026A (en) Shift Resis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393725B1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363194B1 (en) Display Device
KR102550292B1 (en)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the Same
KR102185119B1 (en) Display Device
KR20160047664A (en) Orgaiic Light Emittiig Diode
KR102356159B1 (en) Display Device
KR20190024367A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