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7297B1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7297B1
KR102687297B1 KR1020220157592A KR20220157592A KR102687297B1 KR 102687297 B1 KR102687297 B1 KR 102687297B1 KR 1020220157592 A KR1020220157592 A KR 1020220157592A KR 20220157592 A KR20220157592 A KR 20220157592A KR 102687297 B1 KR102687297 B1 KR 10268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port layer
energy level
hole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75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62108A (en
Inventor
이세희
송우섭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7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7297B1/en
Publication of KR20220162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1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729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43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11/54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two or three six-membered aromatic ring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8Reflective anodes, e.g. ITO combined with thick metallic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07Non-condensed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과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정공 수송층 및 제 1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1 발광 유닛과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제 2 정공 수송층 및 제 2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2 발광 유닛과 제 1 정공 수송층과 제 1 유기 발광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정공 조절층 및 제 2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제 2 유기 발광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정공 조절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a first electrode including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and a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locat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including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and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first hole control layer and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located betwee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It is characterized as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a second hole control layer located between the second organic light-emitting layers.

Description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고온 환경에서 효율 및 수명의 향상이 가능한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efficiency and lifespan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는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전자(electron) 주입을 위한 전극(cathode)과 정공(hole) 주입을 위한 전극(anode)으로부터 각각 전자와 정공을 발광층 내부로 주입시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한 엑시톤(exciton)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이다.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is a self-emitting display device that injects electrons and holes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from a cathode for electron injection and an anode for hole injection, respectively. It is a display device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at emits light when an exciton, which is a combination of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falls from the excited state to the ground state.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따라서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 하부 발광(Bottom Emission) 방식 및 양면 발광(Dual Emission) 방식 등이 있고, 구동 방식에 따라서는 수동 매트릭스형(Passive Matrix)과 능동 매트릭스형(Active Matrix) 등으로 나누어진다.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include top emission, bottom emission, and dual emission methods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light is emitted, and passive matrix types depending on the driving method. ) and active matrix type.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CD)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 가능하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저전압 구동에 의해 소비 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색상 구현, 응답 속도, 시야각, 명암비(contrast ratio: CR)도 우수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연구되고 있다.Unlik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light source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lightweight and thin form. In additio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re not only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due to low voltage driving, but also have excellent color reproduction, response speed,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CR), and are being studied as next-generation displays.

고 해상도로 디스플레이가 발전하면서 단위 면적당 픽셀 개수가 증가하고, 높은 휘도가 요구되고 있지만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발광 구조 상 단위 면적 전류(A)에 한계가 있고, 인가 전류의 증가로 인한 유기 발광 소자의 신뢰성 저하 및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As displays develop with high resolution, the number of pixels per unit area increases and high luminance is required.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unit area current (A) due to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nd the increase in applied current cause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o deteriorate. There are problems with reduced reliability and increased power consumption.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품질 및 생산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는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 수명 향상 및 소비 전력 절감이라는 기술적 한계를 극복해야 하며, 색감 영역을 유지하면서도 발광 효율, 발광층의 수명 및 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소자 개발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technical limitations of improving the luminous efficiency, lifespan,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which are factors that impede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s, and maintain the color gamut while maintaining luminous efficiency, lifespan of the light-emitting layer, and viewing angle. Various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develop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that can improve their characteristics.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 수명 향상 및 소비 전력 저감 등을 위한 다양한 유기 발광 소자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various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structures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lifespan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이에 따라, 하나의 스택(1 stack) 즉, 하나의 발광 유닛(electroluminescence unit: EL unit)을 적용하는 유기 발광 소자 구조뿐만 아니라, 향상된 효율 및 수명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 개의 스택(stack), 즉 복수 개의 발광 유닛의 적층을 이용하는 탠덤(Tandem) 구조의 유기 발광 소자가 제안되고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implement not only one stack (1 stack), that is, one electroluminescence unit (EL unit),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structure, but also improved efficiency and lifespan characteristics, a plurality of stacks (stacks), i.e.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ith a tandem structure that uses stacking of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units has been proposed.

이와 같은 탠덤 구조, 즉 복수 개의 발광 유닛의 적층을 이용한 스택 유기 발광 소자 구조에 있어서,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recombination)을 통해서 발광이 일어나는 발광 영역이 제 1 발광 유닛 및 제 2 발광 유닛의 각각에 위치하므로 상온에서의 유기 발광 소자의 구동 시에는 높은 효율과 이에 따른 저전류로 인해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수명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In such a tandem structure, that is, a stack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structure using a stack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a light emitting region in which light emission occurs through recombination of electrons and holes is located in each of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Therefore,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driven at room temperature,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light emission lif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ue to the high efficiency and the resulting low current.

그러나 고온 환경에서는 정공이 전자보다 높은 이동도 특성을 보임에 따라서 정공이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발광하는 영역인 유기 발광층을 지나 전자 수송층으로 이동하여 발광 영역을 벗어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고온에서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 및 수명 특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However,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as holes exhibit higher mobility than electrons, holes pass through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which is the area where electrons and holes recombine and emit light, and move to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thereby escaping the light-emitting area. Accordingly, at high temperatures, holes appear to have higher mobility than electrons. There is a problem in which the efficiency and lifespan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are significantly reduced.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복수 개의 발광 유닛의 적층을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구조에 있어서 고온에서 효율 및 수명의 향상이 가능한 유기 발광 소자를 발명하였다. Accordingl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vent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efficiency and lifespan at high temperatures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structure using a stack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복수 개의 발광 유닛의 적층을 이용한 스택 구조의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제 1 정공 수송층과 제 1 유기 발광층 사이에 제 1 정공 조절층을 형성하고 또한 제 2 정공 수송층과 제 2 유기 발광층 사이에 제 2 정공 조절층을 형성함으로써 고온에서 효율 및 수명의 향상이 가능한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oblem to be sol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first hole control layer between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and a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stack structure using a stack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and also to form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efficiency and lifespan at high temperatures by forming a second hole control layer between the and the second organic light-emitting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Problems to be solve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발광 유닛의 적층을 이용한 스택 구조의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제 1 정공 수송층과 제 1 유기 발광층 사이에 제 1 정공 조절층을 형성하고 또한 제 2 정공 수송층과 제 2 유기 발광층 사이에 제 2 정공 조절층을 형성함으로써 고온에서 효율 및 수명의 향상이 가능한 유기 발광 소자가 제공된다.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stack structure using a stack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hole control lay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are form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efficiency and lifespan at high temperatures is provided by forming a second hole control layer betwe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과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정공 수송층 및 제 1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1 발광 유닛과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제 2 정공 수송층 및 제 2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2 발광 유닛과 제 1 정공 수송층과 제 1 유기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정공 조절층 및 제 2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제 2 유기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정공 조절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a first electrode including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and a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locat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including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and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first hole control layer and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located betwee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It is characterized as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a second hole control layer located between the second organic light-emitting layers.

제 1 정공 조절층의 HOMO 에너지 레벨은 제 1 정공 수송층의 HO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을 수 있다.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may be 0.1 eV or more lower than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제 1 정공 조절층의 LUMO 에너지 레벨은 제 1 정공 수송층의 LU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을 수 있다.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may be at least 0.1 eV lower than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제 2 정공 조절층의 HOMO 에너지 레벨은 제 2 정공 수송층의 HO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을 수 있다.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may be 0.1 eV or more lower than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제 2 정공 조절층의 LUMO 에너지 레벨은 제 2 정공 수송층의 LU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을 수 있다.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may be at least 0.1 eV lower than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제 1 정공 조절층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은 제 1 유기 발광층에 포함된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보다 높을 수 있다.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may be higher than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the dopant included in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제 2 정공 조절층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은 상기 제 2 유기 발광층에 포함된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보다 높을 수 있다.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may be higher than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the dopant included in the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제 1 정공 조절층 및 제 2 정공 조절층은 각각 TPD(N,N'-Bis(3-methylphenyl)-N,N'-bis(phenyl)-benzidine), α-NPB(Bis[N-(1-naphthyl)-N-phenyl]benzidine), TDAPB(1,3,5-tris(4-diphenylaminophenyl)benzene), TCTA(Tris(4-carbazoyl-9-yl)triphenylamine), spiro-TAD(2,2',7,7'-Tetrakis(N,N-diphenylamino)-9,9-spirobifluorene), CBP(4,4’-bis(carbazol-9-yl)biphenyl), BFA-1T(4-[bis(9,9-dimethylfluoren-2-yl)amino]phenyl group), spiro-TCBz(triclabendazole) 및 TBA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and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are TPD (N,N'-Bis(3-methylphenyl)-N,N'-bis(phenyl)-benzidine) and α-NPB (Bis[N-(1 -naphthyl)-N-phenyl]benzidine), TDAPB (1,3,5-tris(4-diphenylaminophenyl)benzene), TCTA(Tris(4-carbazoyl-9-yl)triphenylamine), spiro-TAD(2,2 ',7,7'-Tetrakis(N,N-diphenylamino)-9,9-spirobifluorene), CBP(4,4'-bis(carbazol-9-yl)biphenyl), BFA-1T(4-[bis( It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9,9-dimethylfluoren-2-yl)amino]phenyl group), spiro-TCBz (triclabendazole), and TBA.

제 1 발광 유닛과 제 2 발광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전하 생성층 및 제 2 전하 생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and a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located between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제 1 전하 생성층 및 제 2 전하 생성층은 NP 접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and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may have an NP junction structure.

제 1 유기 발광층은 적색 서브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제 1 적색 발광층, 녹색 서브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제 1 녹색 발광층 및 청색 서브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제 1 청색 발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 2 유기 발광층은 적색 서브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제 2 적색 발광층, 녹색 서브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제 2 녹색 발광층 및 청색 서브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제 2 청색 발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organic light-emitting layer includes a first red light-emitting layer located in the red sub-pixel area, a first green light-emitting layer located in the green sub-pixel area, and a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located in the blue sub-pixel area, and the second organic light-emitting layer may include a second red light-emitting layer located in the red sub-pixel area, a second green light-emitting layer located in the green sub-pixel area, and a second blue light-emitting layer located in the blue sub-pixel area.

제 1 정공 조절층과 제 2 정공 조절층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and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및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며, 적어도 두 개의 발광 유닛은 정공 수송층 및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발광 유닛 중 하나는 정공 수송층과 유기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 조절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wo light emitting units located between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at least two light emitting units include a hole transport laye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t includes a light-emitting layer, and one of the at least two light-emitting units is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a hole control layer located between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적어도 두 개의 발광 유닛은 제 1 발광 유닛과 제 2 발광 유닛일 수 있다. The at least two light emitting units may be a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제 1 발광 유닛에 상기 정공 조절층이 포함될 수 있다. The hole control layer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제 2 발광 유닛에 상기 정공 조절층이 포함될 수 있다. The hole control layer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발광 유닛의 적층을 이용한 스택 구조의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정공 수송층과 유기 발광층의 사이에 정공 조절층을 구성함으로써 고온에서 정공이 전자보다 높은 이동도 특성을 보임에 따라 정공이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발광하는 영역인 유기 발광층을 지나 전자 수송층으로 이동하여 발광 영역을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ith a stack structure using a stack of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les exhibit higher mobility characteristics than electrons at high temperatures by forming a hole control layer between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holes from escaping the light-emitting area by moving through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which is the area where electrons and holes recombine and emit light, to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또한, 전자와 정공의 재졀합 영역이 발광 영역을 벗어나지 않으므로 고온에서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 및 수명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combination area of electrons and holes does not leave the light-emitting area, the efficiency and lifespan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an be improved at high temperature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Since the content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problem to be solved,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and the effect do not specify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claim, the scope of the claim is not limit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ontent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정공 수송층 및 정공 조절층의 HOMO 에너지 레벨 및 LUMO 에너지 레벨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정공 수송층, 정공 조절층 및 청색 발광층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온 및 고온에서의 수명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온 및 고온에서의 전압에 따른 전류 밀도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비교예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기 광학 특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비교예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온에서의 수명 특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고온에서의 수명 특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온 및 고온에서의 수명 특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HOMO energy level and LUMO energy level condition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hole control layer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triplet energy level (T1) condition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the hole control layer, and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life evaluation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evaluating current density according to voltage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ative evaluation of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s i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ative evaluation of lifespan characteristics at room temperature i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ative evaluation of lifespan characteristics at high temperatures i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ative evaluation of lifespan characteristics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in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margin of e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top', 'on the top', 'on the bottom', 'next to', etc., 'immediately' Alternatively, there may be one or more other parts plac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또한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Additionally,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The features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fu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various technical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You ma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0)는 적색 서브 화소 영역(Rp), 녹색 서브 화소 영역(Gp) 및 청색 서브 화소 영역(Bp)이 정의되어 있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 1 전극(110, anode)과 정공 주입층(120, hole injection layer: HIL), 제 1 정공 수송층(130, 1st hole transporting layer: 1st HTL), 제 1 정공 조절층(135, 1st hole control layer: 1st HCL), 제 1 적색 발광층(140, 1st Red emission layer: 1st Red EML), 제 1 녹색 발광층(141, 1st Green emission layer: 1st Green EML) 및 제 1 청색 발광층(142, 1st Blue emission layer: 1st Blue EML)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유기 발광층, 제 1 전자 수송층(150, 1st electron transporting layer: 1st ETL), 제 1 전하 생성층(160, 1st charge generation layer: N-CGL), 제 2 전하 생성층(165, 2nd charge generation layer: P-CGL), 제 2 정공 수송층(170, 2nd hole transporting layer: 2nd HTL), 제 2 정공 조절층(175, 2nd hole control layer: 2nd HCL), 제 2 적색 발광층(180, 2nd Red emission layer: 2nd Red EML), 제 2 녹색 발광층(181, 2nd Green emission layer: 2nd Green EML) 및 제 2 청색 발광층(182, 2nd Blue emission layer: 2nd Blue EML)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유기 발광층, 제 2 전자 수송층(190, 2nd electron transporting layer: 2nd ETL), 제 2 전극(200, cathode) 및 캡핑층(210, capping layer: CPL)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a substrate in which a red sub-pixel region (Rp), a green sub-pixel region (Gp), and a blue sub-pixel region (Bp) are defined. The formed first electrode (110, anode), a hole injection layer (120, hole injection layer: HIL),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1 st hole transporting layer: 1 st HTL), and a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1 st hole control layer: 1 st HCL), first red emission layer (140, 1 st Red emission layer: 1 st Red EML), first green emission layer (141, 1 st Green emission layer: 1 st Green EML), and A first organic light-emitting layer made of 1 blue emission layer (142, 1 st Blue emission layer: 1 st Blue EML), a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50, 1 st electron transporting layer: 1 st ETL), and a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60, 1 st charge generation layer: N-CGL), 2nd charge generation layer (165, 2 nd charge generation layer: P-CGL), 2nd hole transport layer (170, 2 nd hole transporting layer: 2 nd HTL), 2nd Hole control layer (175, 2 nd hole control layer: 2 nd HCL), 2nd red emission layer (180, 2 nd Red emission layer: 2 nd Red EML), 2nd green emission layer (181, 2 nd Green emission layer: 2 nd Green EML) and a second blue emission layer (182, 2nd Blue emission layer: 2nd Blue EML), a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190, 2nd electron transporting layer: 2nd ETL), a second It includes an electrode (200, cathode) and a capping layer (210, CP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0)는 제 1 전극(110)과 제 2 전극(200)의 사이에 제 1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1 발광 유닛(1100, 1st EL Unit) 및 제 2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 2 발광 유닛(1200, 2nd EL Unit)이 적층되어 구성된 2 스택(stack) 구조를 갖는 유기 발광 소자이다.In addition,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ight-emitting unit (1100, 1 st EL Unit) including a first organic light-emitting layer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0. and a second light-emitting unit (1200, 2 nd EL Unit) including a second organic light-emitting layer is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having a two-stack structur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0)에 있어서 제 1 발광 유닛(1100)은 정공 주입층(120), 제 1 정공 수송층(130), 제 1 정공 조절층(135), 제 1 적색 발광층(140), 제 1 녹색 발광층(141) 및 제 1 청색 발광층(142)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유기 발광층 및 제 1 전자 수송층(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More specifically,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100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120,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organic light-emitting layer and a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50 including a first red light-emitting layer 140, a first green light-emitting layer 141, and a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0)에 있어서 제 2 발광 유닛(1200)은 제 2 정공 수송층(170), 제 2 정공 조절층(175), 제 2 적색 발광층(180), 제 2 녹색 발광층(181) 및 제 2 청색 발광층(182)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자 수송층(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dditionally,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1200 includes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a second hole control layer 175, a second red light emitting layer 180, and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organic light-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190 made of a green light-emitting layer 181 and a second blue light-emitting layer 182.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0)는 제 1 발광 유닛(1100)과 제 2 발광 유닛(1200)의 사이에 위치하는 n형 전하 생성층인 제 1 전하 생성층(160)과 p형 전하 생성층인 제 2 전하 생성층(1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60, which is an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located between the first light-emitting unit 1100 and the second light-emitting unit 12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165, which is a p-type charge generation layer.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 기판 상에 서로 교차하여 각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과 이중 어느 하나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원 배선이 위치하며, 각 화소 영역에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연결된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가 위치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전극(110, anode)에 연결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ate line and a data line that cross each other on the substrate and define each pixel area extend in parallel with any one of them. Power wiring is located, and in each pixel area,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the gate wiring and data wiring and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re locate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10 (anode).

제 1 전극(110)은 적색 서브 화소 영역(Rp), 녹색 서브 화소 영역(Gp) 및 청색 서브 화소 영역(Bp) 각각에 대응되도록 기판 상에 위치하며, 반사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110 is located on the substrate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red sub-pixel area (Rp), green sub-pixel area (Gp), and blue sub-pixel area (Bp), and may be made of a reflective electrode.

예를 들어서, 제 1 전극(110)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와 같이 일함수가 높은 투명 도전성 물질층과 은(Ag) 또는 은 합금(Ag alloy)과 같은 반사 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10 is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yer with a high work function such as indium-tin-oxide (ITO) and a reflective material layer such as silver (Ag) or silver alloy (Ag alloy). It may include a material layer.

정공 주입층(120)은 적색 서브 화소 영역(Rp), 녹색 서브 화소 영역(Gp) 및 청색 서브 화소 영역(Bp) 모두에 대응되도록 제 1 전극(110) 상에 위치한다. The hole injection layer 120 is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110 to correspond to all of the red sub-pixel area (Rp), green sub-pixel area (Gp), and blue sub-pixel area (Bp).

정공 주입층(120)은 정공의 주입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HATCN(1,4,5,8,9,11-hexaazatriphenylene-hexanitrile), CuPc(cupper phthalocyanine),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ANI(polyaniline) 및 NPD(N,N-dinaphthyl-N,N'-diphenylbenzidi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hole injection layer 120 may play a role in facilitating hole injection, and may contain HATCN (1,4,5,8,9,11-hexaazatriphenylene-hexanitrile), CuPc (cupper phthalocyanine), and PEDOT (poly(3) ,4)-ethylenedioxythiophene), PANI (polyaniline), and NPD (N,N-dinaphthyl-N,N'-diphenylbenzidine). It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 1 정공 수송층(130)과 제 2 정공 수송층(170)은 각각 적색 서브 화소 영역(Rp), 녹색 서브 화소 영역(Gp) 및 청색 서브 화소 영역(Bp) 모두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제 1 정공 수송층(130)은 정공 주입층(120) 상에, 제 2 정공 수송층(170)은 제 2 전하 생성층(165) 상에 위치한다.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all of the red sub-pixel area (Rp), green sub-pixel area (Gp), and blue sub-pixel area (Bp), respectively. The transport layer 130 is located on the hole injection layer 120, and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is located on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165.

제 1 정공 수송층(130)과 제 2 정공 수송층(170)은 정공의 수송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NPD(N,N-dinaphthyl-N,N'-diphenylbenzidine), TPD(N,N'-bis-(3-methylphenyl)-N,N'-bis-(phenyl)-benzidine), s-TAD 및 MTDATA(4,4',4"-Tris(N-3-methylphenyl-N-phenyl-amino)-triphenylami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play a role in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holes, and NPD (N,N-dinaphthyl-N,N'-diphenylbenzidine) and TPD (N,N'- bis-(3-methylphenyl)-N,N'-bis-(phenyl)-benzidine), s-TAD and MTDATA (4,4',4"-Tris(N-3-methylphenyl-N-phenyl-amino) -triphenylam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0)에 있어서, 제 1 정공 조절층(135)은 적색 서브 화소 영역(Rp), 녹색 서브 화소 영역(Gp) 및 청색 서브 화소 영역(Bp) 모두에 대응되도록 제 1 정공 수송층(130) 상에 위치한다.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is located in all of the red sub-pixel region (Rp), green sub-pixel region (Gp), and blue sub-pixel region (Bp). It is located o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to correspond.

또한 제 2 정공 조절층(175)은 적색 서브 화소 영역(Rp), 녹색 서브 화소 영역(Gp) 및 청색 서브 화소 영역(Bp) 모두에 대응되도록 제 2 정공 수송층(170) 상에 위치한다.Additionally,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175 is located on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to correspond to all of the red sub-pixel area (Rp), green sub-pixel area (Gp), and blue sub-pixel area (Bp).

제 1 정공 조절층(135) 및 제 2 정공 조절층(175)은 고온에서 정공이 전자보다 높은 이동도 특성을 보임에 따라 정공이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발광하는 영역인 제 1 적색 발광층(140), 제 1 녹색 발광층(141) 및 제 1 청색 발광층(142)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적색 발광층(180), 제 2 녹색 발광층(181) 및 제 2 청색 발광층(182)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유기 발광층을 지나 제 1 전자 수송층(150) 및 제 2 전자 수송층(190)으로 이동하여 발광 영역을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정공 조절층(135) 및 제 2 정공 조절층(175)은 카바졸 유도체, 트리아릴아민 유도체 또는 트리아민 유도체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TPD(N,N'-Bis(3-methylphenyl)-N,N'-bis(phenyl)-benzidine), α-NPB(Bis[N-(1-naphthyl)-N-phenyl]benzidine), TDAPB(1,3,5-tris(4-diphenylaminophenyl)benzene), TCTA(Tris(4-carbazoyl-9-yl)triphenylamine), spiro-TAD(2,2',7,7'-Tetrakis(N,N-diphenylamino)-9,9-spirobifluorene), CBP(4,4'-bis(carbazol-9-yl)biphenyl), BFA-1T(4-[bis(9,9-dimethylfluoren-2-yl)amino]phenyl group), spiro-TCBz(triclabendazole) 및 TB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정공 조절층(135) 및 제 2 정공 조절층(175)의 물질은 아래의 구조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and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175 are the first red light-emitting layer 140, which is a region where holes recombine with electrons to emit light as holes exhibit higher mobility than electrons at high temperatures. ), a first organic light-emitting layer consisting of a first green light-emitting layer 141 and a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a second red light-emitting layer 180, a second green light-emitting layer 181, and a second blue light-emitting layer 182. 2 It serves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moving beyond the light emitting area by moving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o the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50 and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190.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and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175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carbazole derivative, triarylamine derivative, or triamine derivative. For example, TPD(N,N'-Bis(3-methylphenyl)-N,N'-bis(phenyl)-benzidine), α-NPB(Bis[N-(1-naphthyl)-N-phenyl]benzidine) ), TDAPB (1,3,5-tris(4-diphenylaminophenyl)benzene), TCTA(Tris(4-carbazoyl-9-yl)triphenylamine), spiro-TAD(2,2',7,7'-Tetrakis( N,N-diphenylamino)-9,9-spirobifluorene), CBP(4,4'-bis(carbazol-9-yl)biphenyl), BFA-1T(4-[bis(9,9-dimethylfluoren-2-yl) )amino]phenyl group), spiro-TCBz (triclabendazole), and TBA,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aterials of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and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175 can be expressed by the structural formula below.

제 1 정공 조절층(135) 및 제 2 정공 조절층(175)은 상기 설명한 물질 중에서 선택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 발광 유닛(1100)과 제 2 발광 유닛(1200)에서의 정공의 이동도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설명한 물질 중에서 선택된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and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175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selected from the materials described above, and the movement of holes in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100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1200 It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selected from the materials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their properties.

제 1 적색 발광층(140)은 제 1 정공 수송층(130) 상의 적색 서브 화소 영역(Rp)에 위치하며, 또한 제 2 적색 발광층(180)은 제 2 정공 수송층(170) 상의 적색 서브 화소 영역(Rp)에 위치한다. 제 1 적색 발광층(140) 및 제 2 적색 발광층(180)은 각각 적색을 발광하는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물질은 인광 물질 또는 형광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red light-emitting layer 140 is located in the red sub-pixel region (Rp) o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second red light-emitting layer 180 is located in the red sub-pixel region (Rp) on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 is located in The first red light-emitting layer 140 and the second red light-emitting layer 180 may each include a light-emitting material that emits red light, and the light-emitting material may be formed using a phosphorescent material or a fluorescent material.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적색 발광층(140) 및 제 2 적색 발광층(180)은 CBP(4,4'-bis(carbozol-9-yl)biphenyl) 또는 mCP(1,3-bis(N-carbozolyl)benzene)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PQIr(acac)(bis(1-phenylquinoline) acetylacetonate iridium), PQIr(tris(1-phenylquinoline) iridium) 및 PtOEP(octaethylporphyrin platinu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펀트를 포함하는 인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는 달리 PBD:Eu(DBM)3(Phen) 또는 Perylene을 포함하는 형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red light-emitting layer 140 and the second red light-emitting layer 180 are CBP(4,4'-bis(carbozol-9-yl)biphenyl) or mCP(1,3-bis(N-carbozolyl)benzene ),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QIr (acac) (bis (1-phenylquinoline) acetylacetonate iridium), PQIr (tris (1-phenylquinoline) iridium), and PtOEP (octaethylporphyrin platinum) It may be made of a phosphorescent material containing a dopant including the above, and alternatively, it may be made of a fluorescent material containing PBD:Eu(DBM)3(Phen) or Peryle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 1 녹색 발광층(141)은 제 1 정공 수송층(130) 상의 녹색 서브 화소 영역(Gp)에 위치하며, 또한 제 2 녹색 발광층(181)은 제 2 정공 수송층(170) 상의 녹색 서브 화소 영역(Gp)에 위치한다. 제 1 녹색 발광층(141) 및 제 2 녹색 발광층(181)은 녹색을 발광하는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물질은 인광 물질 또는 형광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green light-emitting layer 141 is located in the green sub-pixel area (Gp) o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second green light-emitting layer 181 is located in the green sub-pixel area (Gp) on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 is located in The first green light-emitting layer 141 and the second green light-emitting layer 181 may include a light-emitting material that emits green light, and the light-emitting material may be formed using a phosphorescent material or a fluorescent material.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녹색 발광층(141) 및 제 2 녹색 발광층(181)은 CBP 또는 mCP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Ir(ppy)3(fac tris(2-phenylpyridine)iridium)을 포함하는 이리듐 착물(Ir complex)와 같은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인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는 달리 Alq3(tris(8-hydroxyquinolino)aluminum)을 포함하는 형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green light-emitting layer 141 and the second green light-emitting layer 181 may include a host material including CBP or mCP, and include Ir(ppy) 3 (fac tris(2-phenylpyridine)iridium). It may be made of a phosphorescent material containing a dopant material such as an iridium complex (Ir complex), and alternatively, it may be made of a fluorescent material containing Alq 3 (tris(8-hydroxyquinolino)alumin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 1 청색 발광층(142)은 제 1 정공 수송층(130) 상의 청색 서브 화소 영역(Bp)에 위치하며, 또한 제 2 청색 발광층(182)은 제 2 정공 수송층(170) 상의 청색 서브 화소 영역(Bp)에 위치한다. 제 1 청색 발광층(142) 및 제 2 청색 발광층(182)은 청색을 발광하는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물질은 인광 물질 또는 형광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is located in the blue sub-pixel area (Bp) o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second blue light-emitting layer 182 is located in the blue sub-pixel area (Bp) on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 is located in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and the second blue light-emitting layer 182 may include a light-emitting material that emits blue light, and the light-emitting material may be formed using a phosphorescent material or a fluorescent material.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청색 발광층(142) 및 제 2 청색 발광층(182)은 CBP 또는 mCP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4,6-F2ppy)2Irpic을 포함하는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인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spiro-DPVBi, spiro-6P, 디스틸벤젠(DSB), 디스트릴아릴렌(DSA), PFO계 고분자 및 PPV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광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and the second blue light-emitting layer 182 may include a host material including CBP or mCP, and phosphorescent material including a dopant material including (4,6-F2ppy)2Irpic. It can be made of material. In addition, it may be made of a fluorescent material containing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piro-DPVBi, spiro-6P, distylbenzene (DSB), distrylarylene (DSA), PFO-based polymer, and PPV-based polymer, but is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제 1 전자 수송층(150)은 적색 서브 화소 영역(Rp), 녹색 서브 화소 영역(Gp) 및 청색 서브 화소 영역(Bp) 모두에 대응되도록 제 1 적색 발광층(140), 제 1 녹색 발광층(141) 및 제 1 청색 발광층(142) 상에 위치하며, 제 2 전자 수송층(190)은 적색 서브 화소 영역(Rp), 녹색 서브 화소 영역(Gp) 및 청색 서브 화소 영역(Bp) 모두에 대응되도록 제 2 적색 발광층(180), 제 2 녹색 발광층(181) 및 제 2 청색 발광층(182) 상에 위치한다. The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50 includes a first red light-emitting layer 140 and a first green light-emitting layer 141 to correspond to all of the red sub-pixel region (Rp), green sub-pixel region (Gp), and blue sub-pixel region (Bp). And located on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190 is a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190 so as to correspond to all of the red sub-pixel area (Rp), green sub-pixel area (Gp), and blue sub-pixel area (Bp). It is located on the red light-emitting layer 180, the second green light-emitting layer 181, and the second blue light-emitting layer 182.

제 1 전자 수송층(150) 및 제 2 전자 수송층(190)은 전자의 수송 및 주입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 1 전자 수송층(150) 및 제 2 전자 수송층(190)의 두께는 전자 수송 특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50 and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190 may play a role in transporting and injecting electrons,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50 and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190 determines the electron transport characteristics. It can be adjusted taking into account.

제 1 전자 수송층(150) 및 제 2 전자 수송층(190)은 전자의 수송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Alq3(tris(8-hydroxyquinolino)aluminum), PBD(2-(4-biphenylyl)-5-(4-tert-butylpheny)-1,3,4oxadiazole), TAZ, spiro-PBD, BAlq 및 SAlq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50 and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190 serve to facilitate electron transport, and Alq 3 (tris(8-hydroxyquinolino)aluminum), PBD(2-(4-biphenylyl)-5 It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4-tert-butylpheny)-1,3,4oxadiazole), TAZ, spiro-PBD, BAlq, and SAlq,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1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을 별도로 제 2 전자 수송층(190) 상에 추가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configure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separately on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190.

전자 주입층(EIL)은 Alq3(tris(8-hydroxyquinolino)aluminum), PBD(2-(4-biphenylyl)-5-(4-tert-butylpheny)-1,3,4oxadiazole), TAZ, spiro-PBD, BAlq 또는 SAlq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is Alq 3 (tris(8-hydroxyquinolino)aluminum), PBD (2-(4-biphenylyl)-5-(4-tert-butylpheny)-1,3,4oxadiazole), TAZ, spiro- PBD, BAlq, or SAlq can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 구조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공 주입층(120), 제 1 정공 수송층(130), 제 2 정공 수송층(170), 제 1 전자 수송층(150), 제 2 전자 수송층(190) 및 전자 주입층(EIL)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정공 수송층(130), 제 2 정공 수송층(170), 제 1 전자 수송층(150), 제 2 전자 수송층(190) 및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두 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structure is not limi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120,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a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50, and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20. At least one of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190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may be omitted.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the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50,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190,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is divided into two or more layers. It is also possible to form

제 1 전하 생성층(160)은 적색 서브 화소 영역(Rp), 녹색 서브 화소 영역(Gp) 및 청색 서브 화소 영역(Bp) 모두에 대응되도록 제 1 전자 수송층(150) 상에 위치하며, 제 2 전하 생성층(165)은 적색 서브 화소 영역(Rp), 녹색 서브 화소 영역(Gp) 및 청색 서브 화소 영역(Bp) 모두에 대응되도록 제 1 전하 생성층(160) 상에 위치하며, 제 1 전하 생성층(160) 및 제 2 전하 생성층(165)은 NP 접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60 is located on the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50 to correspond to all of the red sub-pixel region (Rp), green sub-pixel region (Gp), and blue sub-pixel region (Bp), and the second The charge generation layer 165 is located on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60 to correspond to all of the red sub-pixel region (Rp), green sub-pixel region (Gp), and blue sub-pixel region (Bp), and generates the first charge The generation layer 160 and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165 may have an NP junction structure.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전하 생성층(160)과 제 2 전하 생성층(165)은 제 1 발광 유닛(1100)과 제 2 발광 유닛(12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전하 생성층(160) 및 제 2 전하 생성층(165)은 제 1 발광 유닛(1100)과 제 2 발광 유닛(1200)의 두 발광 유닛 간의 전하 균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60 and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165 are located between the first light-emitting unit 1100 and the second light-emitting unit 1200, and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 160) and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165 serve to adjust the charge balance between the two light-emitting units, the first light-emitting unit 1100 and the second light-emitting unit 1200.

제 1 전하 생성층(160)은 제 1 전하 생성층(16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발광 유닛(1100)으로 전자의 주입을 돕는 n형 전하 생성층(n-CGL)의 역할을 하며, 제 2 전하 생성층(165)은 제 2 전하 생성층(165)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발광 유닛(1200)으로 정공의 주입을 돕는 p형 전하 생성층(p-CGL)의 역할을 한다.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60 serves as an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n-CGL) that assists the injection of electrons into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100 located below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60,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165 functions as a p-type charge generation layer (p-CGL) that assists the injection of holes into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1200 located on top of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165.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주입의 역할을 하는 n형 전하 생성층(n-CGL)인 제 1 전하 생성층(160)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금속 화합물 또는 전자 주입 역할을 하는 유기물 또는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전하 생성층(160)의 호스트 물질은 제 1 전자 수송층(150) 및 제 2 전자 수송층(190)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안트라센(Anthracene) 유도체와 같은 유기 물질에 리튬(Li)과 같은 도펀트(dopant)가 도핑된 혼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60, which is an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n-CGL) that plays the role of electron injection, is formed of an alkali metal, an alkali metal compound, an organic material that plays an electron injection role, or a compound thereof. It is possible. Additionally, the host material of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6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50 and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190. For example , it may be composed of a mixed layer in which an organic material such as an anthracene derivative is doped with a dopant such as lithium (Li), but is not limited to this.

제 2 전하 생성층(165)은 제 1 전하 생성층(160) 상에 위치한다. 제 2 전하 생성층(165)은 정공 주입의 역할을 하는 p형 전하 생성층(p-CGL)의 역할을 하며, 제 2 전하 생성층(165)의 호스트 물질은 제 1 정공 주입층(120), 제 1 정공 수송층(130) 및 제 2 정공 수송층(170)의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서, HATCN(1,4,5,8,9,11-hexaazatriphenylene-hexanitrile), CuPc(cupper phthalocyanine) 및 TBAHA(tris(4-bromophenyl)aluminum hexacholroantimonate)와 같은 유기 물질에 p형 도펀트(dopant)가 도핑된 혼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p형 도펀트는 F4-TCNQ 또는 NDP-9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165 is located on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60.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165 functions as a p-type charge generation layer (p-CGL) that functions as a hole injection, and the host material of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165 is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 120. ,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For example , p-type dopants are added to organic materials such as HATCN (1,4,5,8,9,11-hexaazatriphenylene-hexanitrile), CuPc (cupper phthalocyanine), and TBAHA (tris(4-bromophenyl)aluminum hexacholroantimonate). ) may be composed of a doped mixed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dditionally, the p-type dopant may be made of either F 4 -TCNQ or NDP-9,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 2 전극(200)은 적색 서브 화소 영역(Rp), 녹색 서브 화소 영역(Gp) 및 청색 서브 화소 영역(Bp) 모두에 대응되도록 제 2 전자 수송층(190) 상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제 2 전극(200)은 마그네슘과 은의 합금(Mg:Ag)으로 이루어져 반투과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제 2 전극(200)을 통해 외부로 표시되는데, 제 2 전극(200)은 반투과 특성을 갖기 때문에, 일부의 빛은 다시 제 1 전극(110)으로 향하게 된다.The second electrode 200 is positioned on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190 to correspond to all of the red sub-pixel area (Rp), green sub-pixel area (Gp), and blue sub-pixel area (Bp). 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200 may be made of an alloy of magnesium and silver (Mg:Ag) and may have transflective characteristics. That is,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is displ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200, and since the second electrode 200 has transflective characteristics, some of the light is directed back to the first electrode 110. .

이와 같이, 반사층으로 작용하는 제 1 전극(110)과 제 2 전극(200)의 사이에서 반복적인 반사가 일어나는 마이크로 캐비티(micro cavity) 효과에 의해서 제 1 전극(110)과 제 2 전극(200) 사이의 캐비티 내에서 빛이 반복적으로 반사되어 광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In this way,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0 are formed by a micro cavity effect in which repetitive reflection occur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0, which act as a reflective layer. Light is reflected repeatedly within the cavity, increasing light efficiency.

이 외에도, 제 1 전극(110)을 투과 전극으로 형성하고, 제 2 전극(200)을 반사 전극으로 형성하여 제 1 전극(110)을 통해 유기 발광층으로부터의 빛이 외부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orm the first electrode 110 as a transmission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200 as a reflection electrode so that light from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is displ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electrode 110.

캡핑층(210)은 제 2 전극(200) 상에 위치한다. 캡핑층(210)은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광 추출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 1 정공 수송층(130), 제 2 정공 수송층(170) 물질, 제 1 전자 수송층(150), 제 2 전자 수송층(190) 물질, 그리고 제 1 적색 발광층(140), 제 2 적색 발광층(180), 제 1 녹색 발광층(141), 제 2 녹색 발광층(181), 제 1 청색 발광층(142) 및 제 2 청색 발광층(182)의 호스트 물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캡핑층(210)은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apping layer 210 is located on the second electrode 200. The capping layer 210 is to increase the light extraction effect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is composed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material, the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50, and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 190) material, and the first red light-emitting layer 140, the second red light-emitting layer 180, the first green light-emitting layer 141, the second green light-emitting layer 181,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and the second blue light-emitting layer ( 182) may be made of any one of the host materials. Additionally, the capping layer 210 can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0)에 있어서 정공 수송층 및 정공 조절층의 HOMO 에너지 레벨 및 LUMO 에너지 레벨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0)에 있어서 정공 수송층, 정공 조절층, 청색 발광층의 호스트 및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HOMO energy level and LUMO energy level condition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hole control laye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triplet energy level (T1) conditions of the host and dopant of the hole transport layer, hole control layer, and blue light emitting laye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0)의 구조를 적용하여, 도 2 및 도 3의 조건에 따른 각각의 청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여 정공 조절층에 대한 구조 평가를 진행하였다. 여기서 본 평가에 있어서의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제 1 전극(110), 정공 주입층(120), 제 1 정공 수송층(130), 제 1 정공 조절층(135), 제 1 청색 발광층(142) 및 제 2 전극(200) 만으로 이루어지는 정공 조절층의 구조 평가를 위한 HOD(hole only device) 단위 소자를 활용하였다. By applying the structure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each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a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FIGS. 2 and 3 to form a structure for the hole control layer. Evaluation was conducted. Here, in the case of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 this evaluation, the first electrode 110, the hole injection layer 120,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and the first blue light emitting layer 142. And a HOD (hole only device) unit device was used to evaluate the structure of the hole control layer consisting only of the second electrode 200.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의 경우는 제 1 정공 수송층(130) 및 제 1 정공 조절층(135) 각각에 2.1eV의 LUMO 에너지 레벨 및 5.26eV의 HOMO 에너지 레벨을 가지며 2.58eV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을 갖는 정공 조절층 1(HCL 1) 물질을 형성하여 청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또한 제 1 청색 유기 발광층(142)의 도펀트의 경우 2.4eV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을 갖는다. 즉, 비교예 1의 경우는 제 1 정공 수송층(130)과 제 1 정공 조절층(135) 각각에 동일하게 HOMO 에너지 레벨이 제 1 정공 수송층(130)의 HO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고, LUMO 에너지 레벨이 제 1 정공 수송층(130)의 LU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으며, 또한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이 제 1 청색 발광층(142)의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보다 높은 정공 조절층 1(HCL 1) 물질이 적용된 구조를 갖는다. Referring to Figures 2 and 3,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each have a LUMO energy level of 2.1 eV and a HOMO energy level of 5.26 eV, and a HOMO energy level of 2.58 eV. A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as manufactured by forming a hole control layer 1 (HCL 1) material with a triplet energy level (T1). Additionally, the dopant of the first blue organic emission layer 142 has a triplet energy level (T1) of 2.4 eV. That is,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HOMO energy level of each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is 0.1 eV or more lower than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LUMO Holes whose energy level is at least 0.1 eV lower than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whose triplet energy level (T1) is higher than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the dopant of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It has a structure in which control layer 1 (HCL 1) material is applied.

상기 LUMO 에너지 레벨은 최저준위 비점유 분자궤도(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를 의미하고, 상기 HOMO 에너지 레벨은 최고준위 점유 분자궤도(Hight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를 의미한다. The LUMO energy level refers to the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and the HOMO energy level refers to the Hight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

또한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은 형광 발광에 있어서 소실되는 비발광 삼중항(triplet) 여기자의 에너지 레벨을 의미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정공 조절층(HCL)에 적용되는 정공 조절층 1(HCL 1) 물질, 정공 조절층 2(HCL 2) 물질 및 정공 조절층 3(HCL 3) 물질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은 삼중항-삼중항 소멸(Triplet-Triplet Annihilation) 현상을 통한 효율 향상의 효과를 얻기 위해 모두 청색 발광층(B EML)의 도펀트(BD)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보다 높은 에너지 레벨을 갖는다. Additionally, the triplet energy level (T1) refers to the energy level of a non-luminescent triplet exciton that is lost during fluorescence emiss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a hole control layer 1 (HCL 1) material, a hole control layer 2 (HCL 2) material, and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the hole control layer 3 (HCL 3) material is all dopants ( It has a higher energy level than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BD).

또한 비교예 2의 경우는 제 1 정공 수송층(130) 및 제 1 정공 조절층(135) 각각에 2.0eV의 LUMO 에너지 레벨을 갖고, 5.13eV의 HOMO 에너지 레벨을 가지며 2.50eV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을 갖는 정공 수송층(HTL) 물질인 NPD를 각각 형성하여 청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또한 제 1 청색 유기 발광층(142)의 도펀트의 경우 2.40eV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을 갖는다. 즉, 비교예 2의 경우 제 1 정공 수송층(130) 및 제 1 정공 조절층(135) 각각에 동일하게 2.0eV의 LUMO 에너지 레벨을 갖고 5.13eV의 HOMO 에너지 레벨을 가지며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이 제 1 청색 발광층(142)의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보다 높은 정공 수송층(HTL) 물질인 NPD가 적용된 구조를 갖는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each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had a LUMO energy level of 2.0 eV, a HOMO energy level of 5.13 eV, and a triplet energy level of 2.50 eV ( A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as manufactured by forming NPD, which is a hole transport layer (HTL) material with T1). Additionally, the dopant of the first blue organic emission layer 142 has a triplet energy level (T1) of 2.40 eV. That is,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each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had the same LUMO energy level of 2.0 eV, a HOMO energy level of 5.13 eV, and a triplet energy level (T1).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has a structure in which NPD, a hole transport layer (HTL) material higher than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the dopant, is applied.

또한 실시예 1의 경우는 제 1 정공 수송층(130)에 2.0eV의 LUMO 에너지 레벨을 갖고, 5.13eV의 HOMO 에너지 레벨을 갖는 정공 수송층(HTL) 물질인 NPD를 형성하였고, 제 1 정공 조절층(135)에 2.1eV의 LUMO 에너지 레벨 및 5.26eV의 HOMO 에너지 레벨을 가지며 2.58eV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을 갖는 정공 조절층 1(HCL 1) 물질을 형성하여 청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또한 제 1 청색 유기 발광층(142)의 도펀트의 경우 2.4eV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을 갖는다. 즉, 실시예 1의 경우는 제 1 정공 수송층(130)으로는 NPD가 적용되고, 제 1 정공 조절층(135)으로는 HOMO 에너지 레벨이 제 1 정공 수송층(130)의 HO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고, LUMO 에너지 레벨이 제 1 정공 수송층(130)의 LU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으며, 또한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이 제 1 청색 발광층(142)의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보다 높은 정공 조절층 1(HCL 1) 물질이 적용된 구조를 갖는다. In addition, in Example 1, NPD, which is a hole transport layer (HTL) material having a LUMO energy level of 2.0 eV and a HOMO energy level of 5.13 eV, was formed i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 [135] A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as manufactured by forming a hole control layer 1 (HCL 1) material with a LUMO energy level of 2.1 eV, a HOMO energy level of 5.26 eV, and a triplet energy level (T1) of 2.58 eV. Additionally, the dopant of the first blue organic emission layer 142 has a triplet energy level (T1) of 2.4 eV. That is, in Example 1, NPD is applied to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is 0.1 eV than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The LUMO energy level is at least 0.1 eV lower than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triplet energy level (T1) is lower than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the dopant of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 has a structure in which a higher hole control layer 1 (HCL 1) material is applied.

또한 실시예 2의 경우는 제 1 정공 수송층(130)에 2.0eV의 LUMO 에너지 레벨을 갖고, 5.13eV의 HOMO 에너지 레벨을 갖는 정공 수송층(HTL) 물질인 NPD를 형성하였고, 제 1 정공 조절층(135)에 2.1eV의 LUMO 에너지 레벨 및 5.20eV의 HOMO 에너지 레벨을 가지며 2.57eV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을 갖는 정공 조절층 2(HCL 2) 물질을 형성하여 청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또한 제 1 청색 유기 발광층(142)의 도펀트의 경우 2.40eV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을 갖는다. 즉, 실시예 2의 경우는 제 1 정공 수송층(130)으로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NPD가 적용되고, 제 1 정공 조절층(135)으로는 HOMO 에너지 레벨이 제 1 정공 수송층(130)의 HO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미만으로 낮고, LUMO 에너지 레벨이 제 1 정공 수송층(130)의 LU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미만으로 낮으며, 또한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이 제 1 청색 발광층(142)의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보다 높은 정공 조절층 2(HCL 2) 물질이 적용된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Example 2, NPD, which is a hole transport layer (HTL) material having a LUMO energy level of 2.0 eV and a HOMO energy level of 5.13 eV, was formed i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 [135] A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as manufactured by forming a hole control layer 2 (HCL 2) material with a LUMO energy level of 2.1 eV, a HOMO energy level of 5.20 eV, and a triplet energy level (T1) of 2.57 eV. Additionally, the dopant of the first blue organic emission layer 142 has a triplet energy level (T1) of 2.40 eV. That is, in the case of Example 2, NPD is applied to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in the same way as Example 1, and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is that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The HOMO energy level is less than 0.1 eV lower, the LUMO energy level is less than 0.1 eV lower than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triplet energy level (T1)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hole control layer 2 (HCL 2) material higher than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the dopant is applied.

또한 실시예 3의 경우는 제 1 정공 수송층(130)에 2.0eV의 LUMO 에너지 레벨을 갖고, 5.13eV의 HOMO 에너지 레벨을 갖는 정공 수송층(HTL) 물질인 NPD를 형성하였고, 제 1 정공 조절층(135)에 1.95eV의 LUMO 에너지 레벨 및 5.1eV의 HOMO 에너지 레벨을 가지며 2.50eV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을 갖는 정공 조절층 3(HCL 3) 물질을 형성하여 청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또한 제 1 청색 유기 발광층(142)의 도펀트의 경우 2.40eV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을 갖는다. 즉, 실시예 3의 경우는 제 1 정공 수송층(130)으로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게 NPD가 적용되고, 제 1 정공 조절층(135)으로는 HOMO 에너지 레벨이 제 1 정공 수송층(130)의 HOMO 에너지 레벨보다 높고, LUMO 에너지 레벨이 제 1 정공 수송층(130)의 LUMO 에너지 레벨보다 높으며, 또한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이 제 1 청색 발광층(142)의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보다 높은 정공 조절층 3(HCL 3) 물질이 적용된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in Example 3, NPD, which is a hole transport layer (HTL) material having a LUMO energy level of 2.0 eV and a HOMO energy level of 5.13 eV, was formed i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 [135] A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as manufactured by forming a hole control layer 3 (HCL 3) material with a LUMO energy level of 1.95 eV, a HOMO energy level of 5.1 eV, and a triplet energy level (T1) of 2.50 eV. Additionally, the dopant of the first blue organic emission layer 142 has a triplet energy level (T1) of 2.40 eV. That is, in the case of Example 3, NPD is applied to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in the same way as Examples 1 and 2, and the HOMO energy level is applied to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 is higher than the HOMO energy level, the LUMO energy level is higher than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triplet energy level (T1) is higher than the triplet energy level of the dopant of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higher hole control layer 3 (HCL 3) material than T1) is applied.

이상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조건으로 제 1 정공 수송층(130) 및 제 1 정공 조절층(135)을 형성하여 각각의 청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으며 각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상온 및 고온에서의 효율과 수명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Each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as manufactured by forming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under the condition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nd each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as manufactured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The efficiency and lifespan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0)에 있어서 정공 조절층 적용 조건에 따른 상온 및 고온에서의 수명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life evaluation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conditions of the hole control layer in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4는 앞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조건으로 정공 수송층 및 정공 조절층을 형성하여 각각의 청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여 각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상온(25?) 및 고온(85?)에서의 수명 특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That is, Figure 4 shows that each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as manufactured by forming a hole transport layer and a hole control layer under the conditions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nd each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as fabricated at room temperature (25?) and high temperature (85?). )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lifespan characteristics.

도 4를 참조하면 비교예 1의 조건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상온에서 초기 발광 휘도로부터 초기 발광 휘도의 95% 수준의 휘도를 나타내는 데까지의 시간인 95% 수명 시간(T95)은 약 310시간을 나타내었고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조건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들의 경우에는 상온에서 95% 수명 시간(T95)은 모두 약 2650시간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조건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동일한 수준의 우수한 상온에서의 수명 특성을 보였으나, 비교예 1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에는 상온에서도 낮은 수명 특성을 나타내었다. Referring to FIG. 4, in the case of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95% life time (T95), which is the time from the initial emission luminance to a luminance level of 95% of the initial emission luminance at room temperature, is about 310 hours. In the case of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2, Example 1, Example 2, and Example 3, the 95% life time (T95) at room temperature was all about 2650 hours. That is, the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2, Example 1, Example 2, and Example 3 showed the same excellent lifespan characteristics at room temperature, but the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showed low lifespan characteristics even at room temperature.

또한 비교예 1의 조건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고온에서 즉, 약 85?에서 보관 후 측정한 80% 수명 시간(초기 발광 휘도로부터 초기 발광 휘도의 80% 수준의 휘도를 나타내는 데까지의 시간, T80)은 약 215시간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2의 조건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80% 수명 시간(T80)은 약 240시간을 나타내었고, 실시예 1의 조건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80% 수명 시간(T80)은 약 865시간, 실시예 2의 조건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80% 수명 시간(T80)은 약 520시간, 실시예 3의 조건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80% 수명 시간(T80)은 약 280시간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1, 80% life time (time from initial luminance to 80% of the initial luminance) measured after storage at high temperature, that is, at about 85°C, T80) was about 215 hours, and the 80% life time (T80) of the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nder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about 240 hours, and the 80% life time (T80) of the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nder the conditions of Example 1 was about 240 hours. The % life time (T80) is about 865 hours, the 80% life time (T80) of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Example 2 is about 520 hours, and the 80% life time of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Example 3 The time (T80) showed a result of about 280 hours.

즉, 상기 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모든 조건에 있어서 상온 대비 고온에서의 수명 특성이 저하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실시예 1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 경우에는 고온에서 가장 우수한 수명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정공 조절층(135)의 HOMO 에너지 레벨이 제 1 정공 수송층(130)의 HO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고, LUMO 에너지 레벨이 제 1 정공 수송층(130)의 LU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으며, 또한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이 제 1 청색 발광층(142)의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보다 높은 특성을 갖는 제 1 정공 조절층(135)을 적용한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에, 제 1 정공 조절층(135)이 고온에서 정공이 전자보다 높은 이동도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에 따라, 정공이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발광하는 영역인 유기 발광층을 지나 전자 수송층으로 이동하여 발광 영역을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해 줌으로써 유기 발광층 내에서의 발광 효율이 향상되고 고온에서도 우수한 수명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In other words, looking at the above results comprehensively, the lifespan characteristics at high temperatures compared to room temperature were shown to be reduced in all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Example 1, Example 2, and Example 3, but Example 1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showed the best lifespan characteristics at high temperatures. This means t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is at least 0.1 eV lower than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LUMO energy level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that is at least 0.1 eV lower than the LUMO energy level and has a triplet energy level (T1) higher than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the dopant of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In the case of the applied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exhibits higher mobility characteristics for holes than for electrons at high temperatures. Accordingly, by preventing holes from moving to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through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which is the area where electrons and holes recombine to emit light, and escaping the light-emitting area, the luminous efficiency within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is improved and exhibits excellent lifespan characteristics even at high temperatures. You can see that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0)에 있어서 상온 및 고온에서의 전압에 따른 전류 밀도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evaluating current density according to voltage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in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5는 앞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따른 정공 수송층 및 정공 조절층 조건별 청색 유기 발광 소자 각각에 대해서 상온 및 고온에서의 전압에 따른 전류 밀도 수준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That is, Figure 5 shows each of the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according to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hole control layer condition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Example 1, Example 2, and Example 3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2 and 3. This show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current density level according to voltage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도 5에서 전압-전류 밀도(J-V) 곡선 내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사각형 형태의 EML 영역은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 발광에 기여하는 원하는 전류 밀도 영역으로 유기 발광층(EML) 기여 예측 구간을 의미하며, 또한 곡선 내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사각형 형태의 ETL 구간은 원하지 않는 전류 밀도 영역으로 전자 수송층(ETL) 기여 예측 구간을 의미한다. In FIG. 5, the rectangular EML region shown as a solid line within the voltage-current density (J-V) curve is the desired current density region that contributes to light emission in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represents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EML) contribution prediction section. The rectangular ETL section shown as a solid line within the curve represents the predicted section for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contribution to the unwanted current density area.

도 5를 참조하여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온(25?)에서의 전압-전류 밀도(J-V) 곡선 결과와 고온(85?)에서의 전압-전류 밀도(J-V) 곡선의 결과를 살펴보면, 상온으로부터 고온으로 갈수록 전압-전류 밀도(J-V) 곡선이 전체적으로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온에서 보다 낮은 전압에서 청색 유기 발광 소자가 턴온(turn-on)되어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voltage-current density (J-V) curve results at room temperature (25?) and high temperature in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Example 1, Example 2, and Example 3.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voltage-current density (J-V) curve in (85?), as the voltage-current density (J-V) curve moves to the left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from room temperature,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ppears at a lower voltage than at high temperature. You can see that it turns on and current begins to flow.

상기 결과는 상온에서 정공이 주입 및 이동될 때의 경우와, 고온에서 정공이 주입 및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정공의 이동 특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현상이다. 고온에서 정공이 더욱 빠르게 이동하여 전압-전류 밀도(J-V) 곡선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며 턴온(turn-on) 전압이 낮아지고 보다 낮은 전압에서 더 많은 전류가 흐르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The above result is a phenomenon showing a difference in hole movement characteristics when holes are injected and moved at room temperature and when holes are injected and moved at high temperature. At high temperatures, holes move faster, causing the voltage-current density (J-V) curve to shift to the left, lowering the turn-on voltage and showing more current flowing at lower voltages.

도 5를 참조하여 비교예 1 및 비교예 2를 살펴보면, 비교예 1의 경우 상온에서는 전압-전류 밀도(J-V) 곡선이 원하는 전류 밀도 영역, 즉 EML 기여 예측 구간의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으나 고온에서는 EML 기여 예측 구간 내에 위치하고 있다. 비교예 2의 경우는 상온에서는 전압-전류 밀도(J-V) 곡선이 원하는 전류 밀도 영역(EML 기여 예측 구간) 내에 위치하고 있으나 고온에서는 원하는 전류 밀도 영역을 벗어나 EML 기여 예측 구간의 왼쪽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Looking at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with reference to FIG. 5,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at room temperature, the voltage-current density (J-V) curve is located in the desired current density region, that is, to the right of the EML contribution prediction section, but at high temperature, the EML contribution is It is located within the prediction interval.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it can be seen that at room temperature the voltage-current density (J-V) curve is located within the desired current density area (EML contribution prediction section), but at high temperature, it is outside the desired current density area and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EML contribution prediction section. there is.

비교예 1과 같이 제 1 정공 수송층(130)과 제 1 정공 조절층(135) 각각에 동일하게 정공 조절층 물질인 정공 조절층 1(HCL 1) 물질을 구성한 경우에는 상온에서도 전압-전류 밀도(J-V) 곡선이 EML 기여 예측 구간을 벗어나서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온에서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이 낮아지면서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수명이 낮은 결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As in Comparative Example 1, whe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are made of the same hole control layer 1 (HCL 1) material, the voltage-current density ( It can be seen that the J-V) curve is located outside the EML contribution prediction interval.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fficiency of the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s lowered at room temperature, resulting in a lower lifespan of the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또한 비교예 2의 경우를 살펴보면 제 1 정공 수송층(130)과 제 1 정공 조절층(135) 각각에 동일하게 정공 수송층 물질인 NPD를 형성한 경우에는 상온에서는 일반적인 정공의 이동으로 인해 원하는 전류 밀도 영역(EML 기여 예측 구간)에서 발광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온에서는 정공의 이동 능력이 높아짐에 따라서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턴온(turn-on) 전압이 낮아지면서 원하지 않는 전류 밀도 영역(ETL 기여 예측 구간)에서 발광이 이루어지고, 에너지가 발광에 기여하지 못하고 비발광 에너지(열 에너지)로 사용되게 된다. 따라서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안정성 및 효율이 낮아지면서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수명이 줄어들게 된다.In addition, looking at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when NPD, which is a hole transport layer material, i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the desired current density region is reached due to general hole movement at room temperature. It can be seen that light emission occurs in the (EML contribution prediction section). At high temperatures, as the hole movement ability increases, the turn-on voltage of the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decreases, causing light emission in an unwanted current density region (ETL contribution prediction range), and energy does not contribute to light emission. It is used as luminous energy (heat energy). Therefore, as the emission st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ecrease, the lifespan of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ecreases.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의 조건에 따라 제 1 정공 수송층(130)에 NPD를 형성하고 제 1 정공 조절층(135)에 정공 조절층 물질인 정공 조절층 1(HCL 1)을 형성한 경우에는 상온에서 전압-전류 밀도(J-V) 곡선이 원하는 전류 밀도 영역인 EML 기여 예측 구간 내에 위치한다. 또한 고온에서도 정공의 이동 능력이 높아짐에 따라 전압-전류 밀도(J-V) 곡선이 왼쪽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전압-전류 밀도(J-V) 곡선이 원하는 전류 밀도 영역인 EML 기여 예측 구간 내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NPD is formed i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le control layer 1 (HCL 1), which is a hole control layer material, is formed in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In the case where , the voltage-current density (J-V) curve at room temperature is located within the EML contribution prediction section, which is the desired current density region. In addition, as the ability to move holes increases even at high temperatures, it can be seen that even when the voltage-current density (J-V) curve moves to the left, the voltage-current density (J-V) curve is located within the EML contribution prediction section, which is the desired current density region. You ca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의 경우 즉, 제 1 정공 조절층(135)의 HOMO 에너지 레벨이 제 1 정공 수송층(130)의 HO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고, LUMO 에너지 레벨이 제 1 정공 수송층(130)의 LU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으며, 또한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이 제 1 청색 발광층(142)의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보다 높은 특성을 갖는 제 1 정공 조절층(135)을 적용한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에, 제 1 정공 조절층(135)이 고온에서 정공이 전자보다 높은 이동도 특성을 보임에 따라 정공이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발광하는 영역인 유기 발광층을 지나 전자 수송층으로 이동하여 발광 영역을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층 내에서의 발광 효율이 향상되고 고온에서도 우수한 수명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As such, in the case of Examp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is 0.1 eV or more lower than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and the LUMO energy level is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is at least 0.1 eV lower, and the triplet energy level (T1) is higher than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the dopant of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1 In the case of a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hole control layer 135,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exhibits higher mobility characteristics than electrons at high temperatures, so that holes recombine with electrons to emit light. It can prevent the phenomenon of escaping from the light-emitting area by moving through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and moving to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luminous efficiency within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is improved and excellent lifespan characteristics are exhibited even at high temperatures.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경우를 살펴보면, 두 경우 모두 상온에서는 전압-전류 밀도(J-V) 곡선이 원하는 전류 밀도 영역인 EML 기여 예측 구간 내에 위치하고 있으나, 고온에서는 전압-전류 밀도(J-V) 곡선이 원하는 전류 밀도 영역인 EML 기여 예측 구간을 일부 벗어나 ETL 기여 예측 구간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looking at the cases of Example 2 and Example 3 with reference to FIG. 5, in both cases, the voltage-current density (J-V) curve is located within the EML contribution prediction section, which is the desired current density region, at room temperature, but at high temperature, the voltage-current density (J-V) curve is located within the EML contribution prediction se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density (J-V) curve partially deviates from the EML contribution prediction section, which is the desired current density area, and is located in the ETL contribution prediction section.

따라서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경우,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대비할 때에는 고온에서 향상된 수명 특성을 나타내지만, 실시예 1과 대비할 때에는 고온에서 수명 특성이 떨어진 결과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Examples 2 and 3 showed improved lifespan characteristics at high temperatures when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but showed deteriorated lifespan characteristics at high temperatures when compared with Example 1.

즉, 상기 결과에서, 실시예 1의 조건을 만족하는 정공 조절층(HCL)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 고온에서 정공의 높은 이동도 특성을 나타냄에 따라 정공이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발광하는 영역인 유기 발광층을 지나 전자 수송층(ETL)으로 이동하여 발광 영역을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층 내 정공과 전자의 전하 균형(charge balance)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고온에서도 유기 발광 소자의 우수한 수명 특성 확보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from the above results, when applying the hole control layer (HCL) structur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of Example 1, it exhibits high mobility characteristics of holes at high temperatures, so that the holes are a region where electrons and holes recombine to emit ligh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escaping from the emission area by moving through the organic emission layer to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excellent lifespan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an be secured even at high temperatures by stably maintaining the charge balance of holes and electrons in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도 6은 비교예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0)에 있어서 전기 광학 특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ative evaluation of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비교예 2-1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비교예 2의 조건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 구조를 가지며, 실시예 1-1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 1의 조건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청색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한 전기 광학 특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Referring to FIG. 6, Comparative Example 2-1 has a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2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Example 1-1 has the structure of Example 1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t has a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structure according to conditions, and shows the results of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s of each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이하에서는 비교예 2-1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기판 위에 제 1 전극(110)을 ITO/APC/ITO의 구조로 24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정공 주입층(120)을 HATCN으로 100Å의 두께로 형성한 후 그 상부에 제 1 정공 수송층(130)을 NPD로 400Å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On the substrate, the first electrode 110 is formed with an ITO/APC/ITO structure to a thickness of 240 Å, and a hole injection layer 120 is formed with HATCN to a thickness of 100 Å on top of the first electrode 110, and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 130) was formed with NPD to a thickness of 400 Å.

다음으로 그 상부에 제 1 청색 발광층(142)의 호스트 물질로 안트라센(Anthracene) 유도체를 20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도펀트 물질로 파이렌(Pyrene) 유도체를 5% 도핑하여 제 1 청색 발광층(142)을 형성하였다. Next, an anthracene derivative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200 Å as the host material of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on the top, and 5% of pyrene derivative was doped as a dopant material to form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formed.

다음으로 그 상부에 제 1 전자 수송층(150)을 Alq3 25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제 1 전하 생성층(160)으로 안트라센 유도체를 10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도펀트로 리튬(Li)을 2% 도핑하여 제 1 전하 생성층(160)을 형성하였다. 그 상부에 제 2 전하 생성층(165)으로 NPD를 375Å의 두께로 형성하고 p형(p type) 물질인 F4-TCNQ를 8% 도핑하여 제 2 전하 생성층(165)을 형성하였다. Next, the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50 is made of Alq 3 on top. It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250 Å, and an anthracene derivative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100 Å as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60 on top of it, and 2% of lithium (Li) was doped as a dopant to form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60. NPD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375 Å as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165 on the top, and 8% of F4-TCNQ, a p-type material, was doped to form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165.

다음으로 그 상부에 제 2 정공 수송층(170)을 NPD로 40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제 2 청색 발광층(182)의 호스트 물질로 안트라센(Anthracene) 유도체를 20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도펀트 물질로 파이렌(Pyrene) 유도체를 5% 도핑하여 제 2 청색 발광층(182)을 형성하였다.Next,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is formed with NPD to a thickness of 400 Å on top of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and an anthracene derivative is formed to a thickness of 200 Å as a host material for the second blue light-emitting layer 182, and is used as a dopant material. The second blue light-emitting layer 182 was formed by doping 5% of a pyrene derivative.

다음으로 그 상부에 제 2 전자 수송층(190)을 Alq3 와 Liq를 혼합하여 35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제 2 전극(200)으로 은-마그네슘 합금(Ag:Mg)을 16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캡핑층(210)을 NPD로 650Å의 두께로 형성하여 비교예 2-1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Next, a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190 was formed on top of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190 by mixing Alq 3 and Liq to a thickness of 350 Å, and a silver-magnesium alloy (Ag:Mg) was formed on top of the second electrode 200 to a thickness of 160 Å. A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1 was manufactured by forming a capping layer 210 on top of the capping layer 210 with NPD to a thickness of 650 Å.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실시예 1-1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structure according to Example 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기판 위에 제 1 전극(110)을 ITO/APC/ITO의 구조로 24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정공 주입층(120)을 HATCN으로 100Å의 두께로 형성한 후 그 상부에 제 1 정공 수송층(130)을 NPD로 30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제 1 정공 조절층(135)을 정공 조절층 1(HCL 1) 물질로 100Å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On the substrate, the first electrode 110 is formed with an ITO/APC/ITO structure to a thickness of 240 Å, and a hole injection layer 120 is formed with HATCN to a thickness of 100 Å on top of the first electrode 110, and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 130) was formed with NPD to a thickness of 300 Å, and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was formed on top of it with a hole control layer 1 (HCL 1) material to a thickness of 100 Å.

다음으로 그 상부에 제 1 청색 발광층(142)의 호스트 물질로 안트라센(Anthracene) 유도체를 20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도펀트 물질로 파이렌(Pyrene) 유도체를 5% 도핑하여 제 1 청색 발광층(142)을 형성하였다. Next, an anthracene derivative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200 Å as the host material of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on the top, and 5% of pyrene derivative was doped as a dopant material to form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formed.

다음으로 그 상부에 제 1 전자 수송층(150)을 Alq3 25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제 1 전하 생성층(160)으로 안트라센 유도체를 10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도펀트로 리튬(Li)을 2% 도핑하여 제 1 전하 생성층(160)을 형성하였다. 그 상부에 제 2 전하 생성층(165)으로 NPD를 375Å의 두께로 형성하고 p형(p type) 물질인 F4-TCNQ를 8% 도핑하여 제 2 전하 생성층(165)을 형성하였다. Next, the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50 is made of Alq 3 on top. It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250 Å, and an anthracene derivative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100 Å as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60 on top of it, and 2% of lithium (Li) was doped as a dopant to form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60. NPD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375 Å as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165 on the top, and 8% of F4-TCNQ, a p-type material, was doped to form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165.

다음으로 그 상부에 제 2 정공 수송층(170)을 NPD로 30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제 2 정공 조절층(175)을 정공 조절층 1(HCL 1) 물질로 100Å의 두께로 형성한 후 그 상부에 제 2 청색 발광층(182)의 호스트 물질로 안트라센(Anthracene) 유도체를 20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도펀트 물질로 파이렌(Pyrene) 유도체를 5% 도핑하여 제 2 청색 발광층(182)을 형성하였다.Next,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is formed on top of the NPD to a thickness of 300 Å, and a second hole control layer 175 is formed on top of it with a hole control layer 1 (HCL 1) material to a thickness of 100 Å. An anthracene derivative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200 Å as the host material of the second blue light-emitting layer 182, and the second blue light-emitting layer 182 was formed by doping 5% of pyrene derivative as a dopant material. .

다음으로 그 상부에 제 2 전자 수송층(190)을 Alq3와 Liq를 혼합하여 35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제 2 전극(200)으로 은-마그네슘 합금(Ag:Mg)을 16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캡핑층(210)을 NPD로 650Å의 두께로 형성하여 실시예 1-1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상기 비교예 2-1과 실시예 1-1에 따른 각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전기 광학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Next, a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190 was formed on top of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190 by mixing Alq 3 and Liq to a thickness of 350 Å, and a silver-magnesium alloy (Ag:Mg) was formed on top of the second electrode 200 to a thickness of 160 Å.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1 was manufactured by forming a capping layer 210 on top of the capping layer 210 with NPD to a thickness of 650 Å. The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each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1 and Example 1-1 were compared and evaluated.

도 6을 참조하여 비교예 2-1과 실시예 1-1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구동 전압 측면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비교예 2-1의 경우 650nit의 휘도를 나타내는데 7.7V 수준의 구동 전압이 요구되었다. 실시예 1-1의 경우 동일하게 650nit의 휘도를 나타내는데 7.6V 수준의 구동 전압이 요구되어, 비교예 2-1 대비 실시예 1-1에 있어서 약 0.1 V 수준으로 구동 전압이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Referring to FIG. 6, comparing the driving voltage aspects of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1 and Example 1-1, Comparative Example 2-1 shows a luminance of 650 nits and has a driving voltage of 7.7 V. It was requested. In the case of Example 1-1, a driving voltage of 7.6 V was required to show the same luminance of 650 nits, and the driving voltage was reduced to about 0.1 V in Example 1-1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2-1. .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교예 2-1과 실시예 1-1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전류 효율 측면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비교예의 경우 11.6Cd/A 수준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1의 경우 12.2Cd/A 수준의 효율을 나타내어 비교예 2-1 대비 실시예 1-1에 있어서 0.6Cd/A 수준으로 효율이 상승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Also, with reference to FIG. 6, when comparing the current efficiency of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1 and Example 1-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rative example showed an efficiency of 11.6 Cd/A. In the case of Example 1-1, the efficiency was shown at the level of 12.2Cd/A, which showed that the efficiency increased to the level of 0.6Cd/A in Example 1-1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2-1.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전력 효율(lm/W) 및 외부 양자 효율(EQE)의 측면에 있어서도 비교예 2-1 대비 실시예 1-1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향상된 결과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1 showed improved results in terms of power efficiency (lm/W) and 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2-1. there 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1의 경우 고온에서 발광 효율이 향상되고, 구동 전압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온에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고, 낮은 구동 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제 1 정공 조절층(135)의 HOMO 에너지 레벨을 제 1 정공 수송층(130)의 HO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고, LUMO 에너지 레벨을 제 1 정공 수송층(130)의 LU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이 제 1 청색 발광층(142)의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보다 높은 특성을 갖는 제 1 정공 조절층(135)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정공 조절층(175)의 HOMO 에너지 레벨을 제 2 정공 수송층(170)의 HO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고, LUMO 에너지 레벨을 제 2 정공 수송층(170)의 LU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이 제 2 청색 발광층(182)의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보다 높은 특성을 갖는 제 2 정공 조절층(135)을 적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Example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luminous efficiency is improved at high temperature and the driving voltage is lowered.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luminous efficiency at high temperatures and obtain a low driving voltage,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is lower than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by more than 0.1 eV, and the LUMO energy level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It can be set to be 0.1 eV or more lower than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In addition,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having a triplet energy level (T1) higher than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the dopant of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can be applied. In addition,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175 is 0.1 eV or more lower than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and the LUMO energy level is 0.1 eV or more lower than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It can be set low. In addition,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135 having a triplet energy level (T1) higher than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the dopant of the second blue light-emitting layer 182 can be applied.

도 7은 비교예 2-1과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온에서의 수명 특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비교예 2-1과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고온에서의 수명 특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비교예 2-1과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온 및 고온에서의 수명 특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ative evaluation of lifespan characteristics at room temperature in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1 and Example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ative evaluation of lifespan characteristics at high temperatures in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1 and Example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ative evaluation of lifespan characteristics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in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1 and Example 1-1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비교예 2-1과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온에서의 수명 특성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상온(25?)에서 비교예 2-1의 경우, 초기 발광 휘도의 95% 수준의 발광 휘도를 나타내는데 까지의 시간, 즉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95% 수명 시간(T95)이 약 245시간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1의 경우는 95% 수명 시간(T95)이 약 250시간의 수준을 나타내어 상온에서는 비교예 2-1과 실시예 1-1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수명이 동등한 수준을 나타내었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9, the lifespan characteristics at room temperature in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1 and Example 1-1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ared. At room temperature (25?), Comparative Example 2 In the case of -1, the time required to achieve 95% of the initial luminance, that is, the 95% life time (T95) of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as about 245 hours. In the case of Example 1-1, the 95% life time (T95) was about 250 hours, and at room temperature, the lifespans of the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1 and Example 1-1 were equivalent. .

반면에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비교예 2-1과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고온에서의 수명 특성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고온(85?)에서 비교예 2-1의 경우, 초기 발광 휘도의 80% 수준의 발광 휘도를 나타내는데 까지의 시간, 즉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80% 수명 시간(T80)이 약 125시간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1의 경우는 80% 수명 시간(T80)이 약 275시간의 수준을 나타내어 고온에서는 비교예 2-1과 대비할 때 실시예 1-1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수명이 크게 향상된 결과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the lifespan characteristics at high temperature in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1 and Example 1-1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the comparative example at high temperature (85?) In the case of 2-1, the time taken to achieve 80% of the initial luminance, that is, the 80% life time (T80) of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as about 125 hours. In the case of Example 1-1, the 80% life time (T80) was about 275 hours, and at high temperatures, the lifespan was greatly improved in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1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2-1. You can see that the results are show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1의 경우 고온에서 유기 발광층 내에서의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고온에서 향상된 수명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고온에서 유기 발광층 내에서의 발광 효율 및 고온에서 향상된 수명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제 1 정공 조절층(135)의 HOMO 에너지 레벨을 제 1 정공 수송층(130)의 HO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고, LUMO 에너지 레벨을 제 1 정공 수송층(130)의 LU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이 제 1 청색 발광층(142)의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보다 높은 특성을 갖는 제 1 정공 조절층(135)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정공 조절층(175)의 HOMO 에너지 레벨을 제 2 정공 수송층(170)의 HO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고, LUMO 에너지 레벨을 제 2 정공 수송층(170)의 LU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이 제 2 청색 발광층(182)의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보다 높은 특성을 갖는 제 2 정공 조절층(135)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정공 조절층(135) 및 제 2 정공 조절층(175)이 고온에서 정공이 전자보다 높은 이동도 특성을 보임에 따라 정공이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발광하는 영역인 유기 발광층을 지나 전자 수송층으로 이동하여 발광 영역을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해 줌으로써 고온에서 유기 발광층 내에서의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고온에서 향상된 수명 특성을 얻을 수 있다.In the case of Example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uminous efficiency within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can be improved at high temperature and improved lifespan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at high temperature.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luminous efficiency in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at high temperatures and improved lifespan characteristics at high temperatures,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is lower than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by at least 0.1 eV, The LUMO energy level may be set to be 0.1 eV or more lower than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0. In addition,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having a triplet energy level (T1) higher than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the dopant of the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142 can be applied. In addition,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175 is 0.1 eV or more lower than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and the LUMO energy level is 0.1 eV or more lower than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0. It can be set low. In addition,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135 having a triplet energy level (T1) higher than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the dopant of the second blue light-emitting layer 182 can be applied. As a result,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and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175 exhibit higher mobility characteristics than holes at high temperatures, allowing holes to pass through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which is a region where electrons and holes recombine to emit light. By preventing electrons from moving to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leaving the light emitting area, the luminous efficiency with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can be improved at high temperatures and improved lifespan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at high temperatures.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발광 유닛(1100)에 포함된 제 1 정공 조절층(135) 및 제 2 발광 유닛(1200)에 포함된 제 2 정공 조절층(175)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발광 유닛(1100) 및 제 2 발광 유닛(1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발광 유닛에 정공 조절층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 구조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고온에서 발광 효율이 높아지고 수명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In this specification, an organic device having a first hole control layer 135 included in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100 and a second hole control layer 175 included in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1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light emitting device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structure having a hole control layer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100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1200 is equally susceptible to high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ncreasing luminous efficiency and improving lifespan.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정공 조절층을 적용한 청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여 고온에서의 효율 및 수명을 평가한 결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고, 적색 유기 발광 소자 및 녹색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서는 실시예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색 유기 발광 소자 구조에서와 동일한 조건을 갖는 정공 조절층을 적용하는 경우, 적색 유기 발광 소자 및 녹색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고온에서 발광 효율이 높아지고 수명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efficiency and lifespan at high temperature by manufacturing a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ing a hole control layer are explained in detail, and the re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the gre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re described in detail by giving examples. Although not explained, when applying a hole control layer having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uminous efficiency is increased at high temperature and the lifespan is increased in the r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gre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s well. This improved effect can be achiev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 유기 발광 소자
110 : 제 1 전극
120 : 정공 주입층
130 : 제 1 정공 수송층
135 : 제 1 정공 조절층
140 : 제 1 적색 발광층
141 : 제 1 녹색 발광층
142 : 제 1 청색 발광층
150 : 제 1 전자 수송층
160 : 제 1 전하 생성층
165 : 제 2 전하 생성층
170 : 제 2 정공 수송층
175 : 제 2 정공 조절층
180 : 제 2 적색 발광층
181 : 제 2 녹색 발광층
182 : 제 2 청색 발광층
190 : 제 2 전자 수송층
200 : 제 2 전극
210 : 캡핑층
1100 : 제 1 발광 유닛
1200 : 제 2 발광 유닛
Rp : 적색 서브 화소 영역
Gp : 녹색 서브 화소 영역
Bp : 청색 서브 화소 영역
1000: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10: first electrode
120: hole injection layer
130: first hole transport layer
135: first hole control layer
140: first red light emitting layer
141: first green light-emitting layer
142: first blue light emitting layer
150: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60: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65: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170: second hole transport layer
175: second hole control layer
180: second red light emitting layer
181: second green light-emitting layer
182: second blue light emitting layer
190: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200: second electrode
210: capping layer
1100: first light emitting unit
1200: second light emitting unit
Rp: Red sub-pixel area
Gp: Green sub-pixel area
Bp: Blue sub-pixel area

Claims (25)

제1 전극과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배치되며,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제1 서브 화소 영역, 제2 서브 화소 영역 및 제3 서브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정공 수송층, 제1 정공 조절층,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1 전자 수송층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발광 유닛;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제2 정공 수송층, 제2 정공 조절층, 제2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자 수송층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2 발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제1 전자 수송층의 두께와 상이하고,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유기 발광층과 상기 제2 유기 발광층 각각은 동일한 색상의 광을 발광하며 서로 중첩하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유기 발광층과 상기 제2 유기 발광층 각각은 동일한 색상의 광을 발광하며 서로 중첩하고,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유기 발광층과 상기 제2 유기 발광층 각각은 동일한 색상의 광을 발광하며 서로 중첩하고,
상기 제1 정공 조절층의 HOMO 에너지 레벨은 상기 제1 정공 수송층의 HO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고, 상기 제1 정공 조절층의 LUMO 에너지 레벨은 상기 제1 정공 수송층의 LU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으며,
상기 제2 정공 조절층의 HOMO 에너지 레벨은 상기 제2 정공 수송층의 HO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고, 상기 제2 정공 조절층의 LUMO 에너지 레벨은 상기 제2 정공 수송층의 LUMO 에너지 레벨보다 0.1eV 이상 낮은, 표시 장치.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 substrate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disposed and including a first sub-pixel region, a second sub-pixel region, and a third sub-pixel region that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a first light-emitt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including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a first hole control layer, a first organic light-emitting layer, and a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includes a second light-emitting unit in which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a second hole control layer, a second organic light-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are sequentially dispose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is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and the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dispos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each emit light of the same color and overlap each other,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and the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dispos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each emit light of the same color and overlap each other,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and the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disposed in the third sub-pixel area each emit light of the same color and overlap each other,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is 0.1 eV or more lower than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is 0.1 eV or more than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low,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is 0.1 eV or more lower than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is 0.1 eV or more than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Low,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제1 전자 수송층의 두께보다 큰,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has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유닛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사이에 배치되는 정공 주입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공 주입층의 두께는 상기 제1 정공 수송층의 두께와 상이한,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further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hole injection layer is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정공 주입층의 두께보다 큰,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display device wherein a thickness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is greater than a thickness of the hole injection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주입층의 두께는 상기 제1 전극의 두께보다 작은,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display device wherein a thickness of the hole injection layer is smaller than a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제1 전자 수송층의 두께보다 큰,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제2 유기 발광층의 두께보다 큰,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제2 전극의 두께보다 큰,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lay device wherein a thickness of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is greater than a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제2 전자 수송층의 두께보다 작은,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의 두께는 상기 제2 발광 유닛에 포함된 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보다 작은,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lay device wherein a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is smaller than a thickness of at least one of the layers included in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공 조절층과 상기 제2 정공 조절층의 두께는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또는 상기 제2 정공 수송층의 두께보다 작은,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lay device wherein a thickness of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and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is smaller than a thickness of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or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 발광층과 상기 제2 유기 발광층 각각의 호스트 및 도펀트의 HOMO 에너지 레벨은 상기 제1 정공 조절층과 상기 제2 정공 조절층 각각의 HOMO 에너지 레벨보다 낮은,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OMO energy level of the host and dopant of each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and the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is lower than the HOMO energy level of each of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and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 발광층과 상기 제2 유기 발광층 각각의 호스트 및 도펀트의 LUMO 에너지 레벨은 상기 제1 정공 조절층과 상기 제2 정공 조절층 각각의 LUMO 에너지 레벨보다 낮은,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UMO energy level of the host and dopant of each of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and the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is lower than the LUMO energy level of each of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and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공 조절층과 상기 제2 정공 조절층 각각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은 상기 제1 유기 발광층과 상기 제2 유기 발광층 각각에 포함된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레벨(T1)보다 높은,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each of the first hole control layer and the second hole control layer is higher than the triplet energy level (T1) of the dopant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organic light-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organic light-emitting layer.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유닛과 상기 제2 발광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전하 생성층과 제2 전하 생성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and a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하 생성층과 상기 제2 전하 생성층은 두께가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6,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and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have different thicknes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은 적색 서브 화소 영역이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녹색 서브 화소 영역이며,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은 청색 서브 화소 영역인,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sub-pixel area is a red sub-pixel area, the second sub-pixel area is a green sub-pixel area, and the third sub-pixel area is a blue sub-pixel area.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서브 화소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유기 발광층은 제1 적색 발광층이고, 상기 적색 서브 화소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 유기 발광층은 제2 적색 발광층이며,
상기 녹색 서브 화소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유기 발광층은 제1 녹색 발광층이고, 상기 녹색 서브 화소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 유기 발광층은 제2 녹색 발광층이며,
상기 청색 서브 화소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유기 발광층은 제1 청색 발광층이고, 상기 청색 서브 화소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 유기 발광층은 제2 청색 발광층인,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8,
The first organic light-emitting layer disposed in the red sub-pixel area is a first red light-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organic light-emitting layer disposed in the red sub-pixel area is a second red light-emitting layer,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disposed in the green sub-pixel area is a first green emission layer, and the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disposed in the green sub-pixel area is a second green emission layer,
The first organic light-emitting layer disposed in the blue sub-pixel area is a first blue light-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organic light-emitting layer disposed in the blue sub-pixel area is a second blue light-emitt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투명 도전성 물질층과 반사 물질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electrode has a structure in which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yer and a reflective material layer are stacked.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성 물질층은 ITO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20,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yer includes ITO.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물질층은 은(Ag) 또는 은 합금(Ag alloy)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20,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reflective material layer includes silver (Ag) or a silver alloy (Ag allo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마그네슘과 은의 합금(Mg:Ag)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n alloy of magnesium and silver (Mg:A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되는 캡핑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capping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KR1020220157592A 2014-12-23 2022-11-22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tive KR1026872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7592A KR102687297B1 (en) 2014-12-23 2022-11-22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481A KR102471177B1 (en) 2014-12-23 2014-12-23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0220157592A KR102687297B1 (en) 2014-12-23 2022-11-22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481A Division KR102471177B1 (en) 2014-12-23 2014-12-23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108A KR20220162108A (en) 2022-12-07
KR102687297B1 true KR102687297B1 (en) 2024-07-19

Family

ID=565004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481A Active KR102471177B1 (en) 2014-12-23 2014-12-23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0220157592A Active KR102687297B1 (en) 2014-12-23 2022-11-22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481A Active KR102471177B1 (en) 2014-12-23 2014-12-23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11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383B1 (en) * 2017-12-12 2020-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N115696942A (en) * 2022-10-28 2023-02-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602B1 (en) * 2006-07-10 2013-05-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091097A3 (en) * 2008-02-13 2013-05-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20041460A (en) * 2010-10-21 2012-05-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KR101451586B1 (en) * 2011-09-20 2014-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023943B1 (en) * 2012-12-28 2019-09-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100765B1 (en) * 2013-06-04 2020-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177B1 (en) 2022-11-24
KR20160076883A (en) 2016-07-01
KR20220162108A (en)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946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72199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976182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24516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33104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12588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33912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35380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14968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68729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2025005873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20220054757A (e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KR10257424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49424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27166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KR10247302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22847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29948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20170123896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X0901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