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8099B1 - Health functional food in puffed formulation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Health functional food in puffed formulation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88099B1 KR102688099B1 KR1020230104516A KR20230104516A KR102688099B1 KR 102688099 B1 KR102688099 B1 KR 102688099B1 KR 1020230104516 A KR1020230104516 A KR 1020230104516A KR 20230104516 A KR20230104516 A KR 20230104516A KR 102688099 B1 KR102688099 B1 KR 1026880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own rice
- granules
- powder
- puffed
- we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Grain Derivativ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화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mposition for producing a health functional food in a puffed formula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health functional food using the s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팽화 제형의 건강기능식품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functional food in a puffed formula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건강기능성 식품은 일일 권장량만큼 섭취하고 인체에 유용한 원료를 사용하여 기능성을 보장하는 기준 규격에 맞게 제조한 식품이다.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은 기능성 원료 또는 성분의 섭취를 목적으로 정제, 캡슐, 환, 액상, 분말, 시럽, 겔 형태로 1회 섭취가 용이하게 제조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Health functional foods are foods that are consumed in the recommended daily amount and manufactured according to standards that guarantee functionality using raw materials useful to the human body. The above-mentioned health functional food refers to food manufactured and processed for easy one-time consumption in the form of tablets, capsules, pills, liquid, powder, syrup, or gel for the purpose of ingestion of functional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건강기능성 식품은 꾸준히 챙겨 먹기 어렵다는 섭취 편의성이나 휴대 간편성이 낮아 최근에는 섭취가 용이한 츄어블, 젤리나 주스 등 다양한 제형에 대한 개발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섭취 용이성을 높인 제형은 주로 어린이에 적합한 기능성 제품이 한정적이다. 특히 고령층의 경우 큰 사이즈의 캡슐이나 타정 제형 또는 복용량이 많은 제품의 경우 소화 흡수나 목넘김 등 섭취가 불편하여 주로 액상 제형이 많다. Because health functional foods are difficult to consume consistently and are not convenient to carry, the development of various formulations such as chewables, jelly, and juice that are easy to consume is being conducted. Formulations that enhance the ease of ingestion are mainly limited to functional products suitable for children. In particular, for the elderly, large-sized capsules, tablet formulations, or products with a large dosage are difficult to digest, absorb, or swallow, so most of them are liquid formulations.
하지만 액상 제형의 경우, 연하 곤란자에게는 폐 질환의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어린이를 비롯 성인 및 시니어들도 쉽게 섭취가 가능한 새로운 제형이 요구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liquid formulation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may pose a risk of lung disease to people who have difficulty swallowing. Therefore, a new formulation that can be easily consumed by children, adults, and seniors is required.
스낵(snack)이란 과자의 일부분으로 비교적 비중이 가볍고 가격이 싸고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것을 말하며 곡류, 감자, 고구마, 콩, 전분, 견과류 및 육류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튀김, 볶음, 압출성형, 팽화와 같은 공정을 거쳐 가볍게 즐기기 위한 식품을 말한다.A snack is a part of a confectionery that is relatively light, cheap, and easy to eat. It is made using grains, potatoes, sweet potatoes, beans, starch, nuts, and meat as raw materials and is fried, stir-fried, extruded, and puffed. This refers to food that is intended to be enjoyed lightly after going through the same process.
건강기능성 식품을 스낵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할 경우 과자 먹는 습관 그대로 거부감 없이 섭취가 가능하며, 물 없이 씹어서 간식처럼 간편하게 섭취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현미와 같은 곡류를 사용하여 팽화시킨 팽화 스낵의 경우 식사 대용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When health functional foods are manufactured in a snack-type formulation, they can be consumed without resistance just like eating snacks,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y can be chewed without water and easily consumed like a snack. In particular, puffed snacks made using grains such as brown rice can be used as a meal replacement.
현미를 비롯한 곡류를 이용한 팽화 스낵은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원료에 물을 넣고 가열한 후 갑자기 압력을 내리면 원료 내부의 수증기가 급격히 팽창하여 원료가 다공질 구조를 갖도록 제조한다. 상기 공정에 의하여 전분이 주성분인 원료는 쉽게 씹히는 다공질로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팽화조건에서 충분히 호화되어 소화 및 흡수가 용이하다. Puffed snacks using grains, including brown rice, are manufactured by adding water to raw materials and heating them under pressure, then suddenly lowering the pressure, causing the water vapor inside the raw materials to rapidly expand, giving the raw materials a porous structure.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raw material containing starch as the main ingredient not only becomes porous and easily chewable, but is also sufficiently gelatinized under the above puffing conditions, making it easy to digest and absorb.
특허문헌1은 변비 예방을 위해 기능성 식이섬유를 섭취할 수 있는 팽화 스낵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팽화 스낵은 백미, 현미, 및 옥수수와 함께 차전자피 식이섬유 분말을 혼합하여 압출팽화기로 팽화시켜 제조한다. 이러한 팽화 스낵은 차전자피 식이섬유로 인해 딱딱한 식감이 있고, 분말 상태의 차전자피 식이섬유가 현미 등의 곡류와 고른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형태(환) 또한 균일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Patent Document 1 suggests a puffed snack that can be consumed with functional dietary fiber to prevent constipation. The puffed snack is manufactured by mixing white rice, brown rice, and corn with psyllium husk dietary fiber powder and puffing it with an extrusion puffer. These puffed snacks have a hard texture due to the psyllium husk dietary fiber,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wdered psyllium husk dietary fiber is not evenly mixed with grains such as brown rice, so the shape (ring) is not uniform.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팽화 스낵을 활용하기 위해선, 바삭한 식감과 맛과 함께 기능성 원료가 일일섭취량 기준에 적합하도록 균등하게 포함되어야 한다. In order to use puffed snacks as health functional foods, they must have a crispy texture and taste, as well as functional raw materials evenly included to meet the daily intake standards.
특허문헌2에서는 맛과 영양소를 함께 포함하도록 기능성 원료로 토마토나 마늘의 건조분말을 사용하고, 여기에 찹쌀풀, 멥쌀가루를 혼합하여 과립을 제조하고, 이를 물에 불린 쌀과 혼합하여 팽화시킨 팽화 스낵을 언급하고 있다. 상기 팽화 스낵은 과립화를 먼저 수행함으로써 생산된 제품의 크기가 균일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팽화 후 팽화 스낵의 색상 갈변이 일어나고, 찹쌀의 점탄성이 멥쌀보다 작아 팽화 과정에서 기공이 파열되면서 조직이 부스러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토마토나 마늘이 갖는 기능성을 나타내기 위해선 다량의 분말을 사용하거나 팽화 스낵의 일일섭취량을 늘려야 한다. 상기 다량의 분말 사용은 팽화율에 악영향을 주고 일일섭취량을 늘릴 경우 소비자로부터 외면받는 요인이 될 수 있다. Patent Document 2 uses dried powder of tomatoes or garlic as a functional raw material to contain both taste and nutrients, mixes it with glutinous rice paste and non-glutinous rice powder to produce granules, and mixes them with rice soaked in water to puff them up. Snacks are mentioned. The puffed snack has the advantage that the size of the product produced is uniform by first performing granulation. However, after puffing, the color of the puffed snack browned, and the viscoelasticity of glutinous rice was smaller than that of non-glutinous rice, so the pores ruptured during the puffing process and the tissue crumbled. Additionally, in order to demonstrate the functionality of tomatoes or garlic, a large amount of powder must be used or the daily intake of puffed snacks must be increased. The use of a large amount of the powder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swelling rate and may be a factor in being ignored by consumers if the daily intake is increased.
본 출원인은 기능성 원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섭취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팽화 제형으로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하였다. 그 과정에서 기능성 원료를 사용하여 팽화하더라도 기능성 원료가 팽화 제형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며, 높은 팽화율로 바삭한 식감을 내고, 일일섭취량을 감소시키며 섭취 편의성을 증대시킨 팽화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조성과 공정을 개발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The present applicant has made diligent efforts to develop a puffed formul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containing functional ingredients. In the process, even if puffed using functional raw materials,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are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puffed formulation, and a high puffing rate produces a crispy texture, reducing the daily intake and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consump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achieved by developing a composition and process.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팽화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팽화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producing a health functional food in a puffed formula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health functional food in a puffed formul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현미; 콘그릿츠(corn grits); 및 기능성 원료를 포함하는 과립;을 포함하는 팽화 제형의 건강기능식품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rown rice; corn grits; and granules containing functional raw materials. It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a health functional food in a puffed formulation containing a.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현미 20 내지 60 중량%, 콘그릿츠 30 내지 70 중량%, 및 과립 1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may include 20 to 60% by weight of brown rice, 30 to 70% by weight of corn grits, and 1 to 25% by weight of granules.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현미 및 콘그릿츠를 70 내지 99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may include 70 to 99% by weight of brown rice and corn grits.
본 발명에서 상기 현미 및 콘그릿츠는 30 ~ 70 : 70 ~ 3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rice and corn grits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30 to 70:70 to 30.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은 기능성 원료, 현미 분말, 및 감미료를 10 ~ 50 : 10 ~ 50 : 1 ~ 25의 중량 비율로 포함하고, 상기 감미료는 프락토올리고당, 스테비아, 이소말토 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리톨, 설탕, 과당, 수크랄로스, 알룰로스 및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nules contain functional raw materials, brown rice powder, and sweetener in a weight ratio of 10 to 50:10 to 50:1 to 25, and the sweetener is fructooligosaccharide, stevia, isomaltooligosaccharide, xylooligosaccharide,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xylitol, sugar, fructose, sucralose, allulose, and erythritol.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은 평균 직경이 0.5 mm 내지 6.0 mm인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nules may have an average diameter of 0.5 mm to 6.0 mm.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 원료는 무기질; 비타민; 단백질; 프로폴리스; 프로바이오틱스; 폴리덱스트로스; 식이섬유; 아미노산; 아미노당; 자일리톨; 프락토올리고당; 콜라겐; 펩타이드; 견과류 추출물 또는 분말; 해조류 추출물 또는 분말; 곡류 추출물 또는 분말; 과일 추출물 또는 분말; 및 채소 추출물 또는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include minerals; vitamin; protein; propolis; probiotics; polydextrose; Dietary Fiber; amino acid; amino sugar; xylitol; Fructooligosaccharide; Collagen; peptide; Nut extract or powder; Seaweed extract or powder; Cereal extract or powder; Fruit extract or powder; and vegetable extract or powder; and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기능성 원료를 과립화하는 단계; 과립과 현미 및 콘그릿츠를 포함하는 혼합하는 단계; 및 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nulating functional raw materials; A step of mixing granules containing brown rice and corn grits; and a puffing step. It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a.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화하는 단계는 기능성 원료, 현미 분말, 감미료 및 용매의 혼합물을 과립화하는 것이고, 상기 감미료는 프락토올리고당, 스테비아, 이소말토 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리톨, 설탕, 과당, 수크랄로스, 알룰로스 및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nulating step is to granulate a mixture of functional raw materials, brown rice powder, sweetener, and solvent, and the sweetener is fructooligosaccharide, stevia, isomaltooligosaccharide, xylooligosaccharide, xylitol, sugar, fructose, and sucralose.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allulose, and erythritol.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 원료, 현미 분말 및 감미료는 10 ~ 50 : 10 ~ 50 : 1 ~ 25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brown rice powder, and sweetener may be mixed at a weight ratio of 10 to 50:10 to 50:1 to 25.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화하는 단계 시 과립의 평균 직경이 0.5 mm 내지 6.0 mm가 되도록 과립화하는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granulation step, the granules may be granulated so that the average diameter of the granules is 0.5 mm to 6.0 mm.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 시 상기 현미, 콘그릿츠 및 과립은 30 ~ 70 : 70 ~ 30 : 1 ~ 20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mixing step, the brown rice, corn grits, and granules may be mixed at a weight ratio of 30 to 70:70 to 30:1 to 20.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 시 기능성 원료를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ing step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additionally mixing functional raw materials.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기존에 스낵에서 제공되던 팽화 제형으로 제공됨으로써 간식처럼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nufactured by the method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puffed formulation that was previously provided as a snack, so that it can be easily consumed like a snack.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는 경우, 기존에 팽화가 어려웠던 기능성 원료를 이용하더라도 높은 팽화율로 팽화를 가능케 하며, 기능성 원료가 최종 제조된 팽화형 식품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가 되도록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uffing is possible at a high swelling rate even when using functional raw materials that were previously difficult to puff, and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are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final manufactured puffed food.
도 1은 (a) 실시예 1, (b) 실시예 2, (c) 실시예 3, (d) 비교예 1 및 (e)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팽화형 건강기능식품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시험예 2에서 과립 크기를 달리하여 제조된 팽화 스낵을 비교한 사진으로, (a) 0.5mm, (b) 2.0mm, (c) 3.0mm, 및 (d) 6.0mm 크기의 과립을 사용하여 제조된 팽화형 건강기능식품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a) 비교예 3, (b) 실시예 7, (c) 실시예 2, 및 (d) 비교예 4에서 제조된 팽화형 건강기능식품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shows photographs of puffed health functional foods prepared in (a) Example 1, (b) Example 2, (c) Example 3, (d) Comparative Example 1, and (e) Comparative Example 2. .
Figure 2 is a photograph comparing puffed snacks prepared with different granule sizes in Test Example 2, showing granules of (a) 0.5 mm, (b) 2.0 mm, (c) 3.0 mm, and (d) 6.0 mm. This shows a photo of the puffed health functional food manufactured using the product.
Figure 3 shows photographs of puffed health functional foods prepared in (a) Comparative Example 3, (b) Example 7, (c) Example 2, and (d) Comparative Example 4.
본 발명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신규한 제형인 팽화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팽화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oducing a health functional food in a puffed formulation, which is a novel formulation as a health functional food,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health functional food in a puffed formulation u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health functional food" refers to food manufactured and processed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with functional properties useful to the human body in accordance with Act No. 6727 on Health Functional Food, and nutrients fo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It means ingestion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health or obtaining useful health effects such as physiological effects.
건강기능식품에서의 팽화 제형은 맛과 식감이 우수해야 하고 1일 섭취량이 많지 않아야 한다. 여기에, 기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능성 원료를 첨가할 경우 팽화율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딱딱한 식감을 나타내거나 불균일한 크기 및 과도한 일일섭취량 등의 문제가 야기된다. 또한, 제조 및 유통 기한 중 상기 기능성 원료의 소실 및 파괴가 함께 일어난다. Puffed formulations in health functional foods must have excellent taste and texture, and the daily intake must not be large. Here, when functional raw materials are added to increase functionality, it affects the swelling rate, causing problems such as hard texture, uneven size, and excessive daily intake. Additionally, loss and destruction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occur simultaneously during manufacturing and shelf life.
이에 기능성 원료를 첨가하더라도 높은 팽화율로 팽화 스낵이 갖는 바삭한 식감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기능성 원료의 소실 및 파괴가 없어 일일섭취량을 감소시키고 섭취 편의성을 높이는 기술이 필요하다.Accordingly, even when functional raw materials are added,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hat maintains the crispy texture of puffed snacks with a high swelling rate, while reducing the daily intake and increasing convenience of consumption by preventing loss or destruction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원료의 균질한 분포와 팽화 시 높은 팽화율 확보를 위하여, 기능성 원료의 1차적 과립화 후 팽화하는 공정으로 설계 적용하였고, 상기 팽화 전 과립과 혼합되는 현미 및 콘그릿츠의 조성을 선정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nsure uniform distribution of functional raw materials and a high swelling rate during puffing, a process of puffing after primary granulation of functional raw materials was designed and applied, and the composition of brown rice and corn grits mixed with the granules before puffing was selected. .
본 명세서에서 용어 "팽화율"이란 사출구의 직경에 대한 압출 성형물의 직경의 비를 의미한다. 특별한 언급이 없은 한 팽화율은 직경 팽화율을 의미한다. 팽화율이 높다라는 의미는 조직의 조밀도가 감소하고 다공성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높은 다공성으로 인해 팽화 스낵이 바삭한 식감을 나타낼 수 있다. 낮은 팽화율의 팽화 스낵은 상대적으로 딱딱한 식감을 나타낸다. As used herein, the term “swelling rate” refers to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extruded product to the diameter of the injection orifice. Unless otherwise specified, swelling rate refers to diameter swelling rate. A high puffing rate means that the density of the tissue decreases and the porosity increases, and the high porosity allows the puffed snack to have a crispy texture. Puffed snacks with a low expansion rate have a relatively hard texture.
팽화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팽화되는 원료의 수분과 함께 입자 크기 및 조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분 함량을 조절하고, 입자 크기를 한정한다. 팽화율만 조절하였다 하더라도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능성 원료가 갖는 기능성을 충분히 발휘해야 하는데, 상기 기능성 원료의 첨가로 인해 팽화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원료의 팽화율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2.5 이상의 높은 팽화율을 갖기 위해, 상기 수분 함량 및 직경과 함께 그 조성으로 현미 및 콘그릿츠를 사용하고, 기능성 원료를 포함하는 과립을 사용한다.Factors that affect the swelling rate include particle size and composition along with the moisture of the raw material being puffed.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content is controlled and the particle size is limited. Even if only the swelling rate is controlled, the functionality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 for use as a health functional food must be fully demonstrated. However, the addition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 causes the problem of a decrease in the swelling rat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have a high swelling ratio of 2.5 or more while minimizing the effect on the swelling ratio of functional raw materials, brown rice and corn grits are used as the composition along with the moisture content and diameter, and granules containing functional raw materials are used. do.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현미; 콘그릿츠(corn grits); 및 기능성 원료를 포함하는 과립;을 포함하는 팽화 제형의 건강기능식품 제조용 조성물을 제시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rown rice; corn grits; and granules containing functional raw materials. A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a health functional food in a puffed formulation is presented.
본 발명에서 상기 현미는 벼의 왕겨를 벗겨낸 상태로 도정되지 않은 알곡 상태의 쌀로, 백미보다 비타민이나 식이섬유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탄수화물이 낮기 때문에 건강식품으로 취급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rown rice is rice in a grain state that has not been milled with the husk removed, and is treated as a health food because it contains more vitamins and dietary fiber than white rice and is relatively low in carbohydrates.
본 발명에서 상기 현미로는 현미 알곡인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현미 알곡 외에도 현미 분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미 분말은 현미를 미세하게 분말화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현미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입자 크기가 상이한 현미 알곡, 콘그릿츠 및 과립 사이의 공간에 침투하여 이들 사이에 브릿지를 형성하여 이들 입자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현미 분말은 현미 대비 수분용해지수 및 수분흡착지수가 높아 팽화 식품의 호화도를 높이고, 작은 입자 크기로 인해 팽화율을 높일 수 있어 기공이 많아 바삭한 식감을 갖는 팽화 식품의 제조를 가능케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rice is brown rice grain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brown rice powder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addition to brown rice grains. The brown rice powder is finely powdered brown ric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brown rice powder, it penetrates into the space between brown rice grains, corn grits, and granules of different particle sizes to form a bridge between them,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se particles. It can be raised. In addition, the brown rice powder has a higher water solubility index and water adsorption index compared to brown rice, which increases the gelatinization of puffed foods, and can increase the puffing rate due to its small particle size,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puffed foods with a crispy texture due to the large number of pores. do.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현미는 20 내지 60 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기로 30 내지 6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rice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20 to 60% by weight,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to 60% by weight.
본 발명에서 상기 현미와 함께 사용하는 콘그릿츠(corn grits)는 옥수수의 옥피와 배아를 제거한 배유 부분을 분쇄한 것으로, 옥수수 고유의 고소한 풍미와 전분질, 단백질 등 영양분을 그대로 간직한다. 상기 콘그릿츠 대신 옥수수를 사용할 경우 그 크기로 인해 현미와의 혼합이 균일하지 않아 팽화의 불균일성을 유도한다. 이에, 옥수수 전분과 같이 미세한 분말 형태로 사용하게 되면 전분 특유의 점성 특성으로 인해 이 또한 현미와 균일한 혼합을 이루기 어렵다. Corn grits used with the brown ric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by pulverizing the endosperm portion of corn from which the husk and germ have been removed, and retain the nutty flavor and nutrients such as starch and protein that are inherent to corn. When corn is used instead of the corn grits, mixing with brown rice is not uniform due to its size, leading to non-uniform puffing. Therefore, when used in the form of a fine powder such as corn starch, it is difficult to achieve uniform mixing with brown rice due to the unique viscosity characteristics of starch.
본 발명에서 상기 콘그릿츠는 평균 입자 크기가 0.5 mm 내지 1.5 mm, 바람직하기로는 0.55 mm 내지 1.0 mm 가 되도록 분쇄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e grits are preferably ground to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5 mm to 1.5 mm, preferably 0.55 mm to 1.0 mm.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콘그릿츠는 수분 함량이 10 내지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n grits preferably have a moisture content of 10 to 15% by weight.
본 발명에서 상기 콘그릿츠의 입자 크기 및 수분 함량은 팽화 식품의 형태 및 식감에 영향을 준다. 압출 팽화기를 이용하여 팽화가 진행되는데, 이때 압출물의 팽창은 팽화 식품의 질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재료의 점탄성과 압출기를 흐르는 재료의 수분양이 영향을 받는다. 상기 콘그릿츠의 입자 크기 및 수분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조절할 때 현미 등 타 조성과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콘그릿츠 자체가 갖는 단단한 경질 재질로 흡수 및 팽윤이 어려워 팽화 시 물의 흡수에 따라 부풀어 오르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전분 용출이 쉽지 않아 팽화 식품의 바삭한 식감을 유지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cle size and moisture content of the corn grits affect the shape and texture of the puffed food. Puffing is carried out using an extrusion puffer. At this time, the expansion of the extrudate is closely related to the texture of the puffed food and is affected by the viscoelasticity of the material and the amount of moisture in the material flowing through the extruder. When the particle size and moisture content of the corn grits are adjusted to the above range, uniform mixing with other ingredients such as brown rice can be achieved. In addition, the hard material of the corn grits themselves makes them difficult to absorb and swell, so the problem of swelling due to absorption of water during puffing does not occur, and the crispy texture of puffed foods can be maintained because starch does not easily elute.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콘그릿츠는 30 내지 70 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기로는 40 내지 6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n grits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30 to 70% by weight, preferably in the range of 40 to 60% by weight.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현미 및 콘그릿츠는 70 내지 99 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기로는 75 내지 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75 내지 9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팽화율을 높일 수 있다.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rice and corn grits can be included in an amount of 70 to 99% by weight, preferably 75 to 95%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75 to 90% by weight, to increase the swelling rate.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현미 및 콘그릿츠는 30 ~ 70 : 70 ~ 30의 중량 비율, 바람직하기로는 40 ~ 60 : 60 ~ 40의 중량 비율,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1 : 1 ~ 1.1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현미를 콘그릿츠 대비 과다하게 사용하게 되면 팽화 식품이 쉽게 부스러지고, 콘그릿츠를 현미 대비 과다하게 사용하면 딱딱한 식감의 팽화 식품이 제조된다.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rice and corn grits ar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30 to 70:70 to 30, preferably in a weight ratio of 40 to 60:60 to 40, and most preferably in a weight ratio of 1:1 to 1.1. You can. If brown rice is used excessively compared to corn grits, puffed foods easily break down, and if corn grits are used excessively compared to brown rice, puffed foods with a hard texture are produced.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과립은 기능성 원료를 과립기 또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환 형태의 입자로, 예를 들어 평균 직경이 0.5 mm 내지 6.0 mm, 또는 1.0 mm 내지 4.0 mm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nules are ring-shaped particles manufactured from functional raw materials using a granulator or extruder, and may have an average diameter of, for example, 0.5 mm to 6.0 mm, or 1.0 mm to 4.0 mm. It is not limited.
본 명세서에서 용어 "기능성 원료"는 인체에 유용한 특정 기능을 갖는 원료나 성분으로, 예를 들어 고시형 건강기능식품 원료,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원표 등을 포함하며, 분말, 과립 또는 액상일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functional raw material" refers to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that have a specific function useful to the human body, including, for example, notified health functional food raw materials, individually approved health functional food raw materials, etc., and may be in powder, granule, or liquid form. there is.
일례로, 상기 기능성 원료는 Ca, K, P, I, Mg, Fe, Cu, Mn, Co, Cr, Mo, Zn, Se 등의 무기질; 비타민A, 비타민B(비타민B1, B2, B6, B12), 비타민C, 비타민D, 비타민E, 비타민K, 니아신, 판토텐산, 비오틴, 엽산 등의 비타민; 코엔자임Q10; 단백질; 프로폴리스; 프로바이오틱스; 폴리덱스트로스,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펙틴 등의 식이섬유; 테아닌, L-아르기닌 등의 아미노산; 글루코사민 등의 아미노당;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등의 고분자 다당류;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의 고분자 펩타이드류; 자일리톨; 프락토올리고당;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include minerals such as Ca, K, P, I, Mg, Fe, Cu, Mn, Co, Cr, Mo, Zn, and Se; Vitamins such as vitamin A, vitamin B (vitamin B1, B2, B6, B12), vitamin C, vitamin D, vitamin E, vitamin K, niacin, pantothenic acid, biotin, and folic acid; Coenzyme Q10; protein; propolis; probiotics; Dietary fibers such as polydextrose, indigestible maltodextrin, and pectin; Amino acids such as theanine and L-arginine; Amino sugars such as glucosamine; High molecular weight polysaccharides such as hydroxyethyl cellulose, xanthan gum, sodium hyaluronate, and chondroitin sulfate; high molecular weight peptides such as collagen, hydrolyzed collagen, gelatin, elastin, hydrolyzed elastin, and keratin; xylitol; Fructooligosaccharide;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this.
다른 예로, 상기 기능성 원료는 밤, 땅콩, 아몬드, 호두, 피스타치오, 잣, 해바라기씨, 호박씨, 은행, 케슈넛, 헤이즐넛, 피칸, 및 마카다미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견과류 추출물 또는 분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another example, the functional raw material may be one or more nut extracts or powd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estnuts, peanuts, almonds, walnuts, pistachios, pine nuts, sunflower seeds, pumpkin seeds, ginkgo nuts, cashew nuts, hazelnuts, pecans, and macadamia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또 다른 예로, 상기 기능성 원료는 다시마, 미역, 톳, 김, 우뭇가사리, 파래, 스피룰리나, 클로렐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해조류 추출물 또는 분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another example, the functional raw material may be one or more seaweed extracts or powd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elp, seaweed, hijiki, seaweed, agar, green seaweed, spirulina, and chlorella,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 다른 예로, 상기 기능성 원료는 보리, 수수, 귀리, 율무, 기장, 식용피, 좁쌀, 및 찹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곡류 추출물 또는 분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another example, the functional raw material may be one or more grain extracts or powd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rley, sorghum, oats, coix radish, millet, edible hulls, millet, and glutinous r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 다른 예로, 상기 기능성 원료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딸기, 바나나, 망고, 석류, 복숭아, 코코넛, 오디, 사과, 포도, 빌베리, 블루베리, 크렌베리, 체리, 쏘팔메토, 파인애플, 감, 멜론, 배, 토마토, 키위, 깔라만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과일 추출물 또는 분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another example,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include garcinia cambogia, strawberry, banana, mango, pomegranate, peach, coconut, mulberry, apple, grape, bilberry, blueberry, cranberry, cherry, saw palmetto, pineapple, persimmon, melon, pear, It may be one or more fruit extracts or powd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omato, kiwi, and calamansi,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 다른 예로, 상기 기능성 원료는 인삼, 홍삼, 녹차, 영지버섯, 은행잎, 차전자피, 알로에겔, 양배추, 파, 비트, 청경채, 시금치, 브로콜리, 미나리, 연근, 파프리카, 피망, 단호박, 케일, 파, 샐러리, 파슬리, 당근, 부추, 깻잎, 상추, 메리골드꽃, 루바브, 밀크씨슬(Silybum marianum), 알로에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채소 추출물 또는 분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another example,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include ginseng, red ginseng, green tea, reishi mushroom, ginkgo biloba, psyllium husk, aloe gel, cabbage, green onion, beet, bok choy, spinach, broccoli, water parsley, lotus root, paprika, green pepper, sweet pumpkin, kale, green onion, It may be one or more vegetable extracts or powd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ery, parsley, carrots, chives, perilla leaves, lettuce, marigold flowers, rhubarb, milk thistle (Silybum marianum), and aloe gel, but is limited thereto. no.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 원료로는 체지방 감소 또는 배변 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차전자피 추출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unctional raw material, psyllium extract, Garcinia cambogia extract,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to reduce body fat or activate bowel activ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 원료로는 혈행 개선을 위해 홍삼, 영지버섯 자실채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raw material may be red ginseng, reishi mushroom extract, ginkgo biloba extract, or a mixture thereof to improve blood circul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 원료로는 장 건강을 위해 프로바이오틱스, 알로에겔, 프락토올리고당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raw material may be probiotics, aloe gel, fructooligosaccharide, or a mixture thereof for intestinal heal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 원료로는 면역력 강화를 위해 인삼 추출물, 클로렐라, 알로에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raw material may be ginseng extract, chlorella, aloe gel, or a mixture thereof to strengthen immun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 원료로는 항산화를 위해 프로폴리스, 토마토 추출물, 녹차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raw material may be propolis, tomato extract, green tea extract, or a mixture thereof for antioxidant purpos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 원료로는 눈 건강을 위해 메리골드꽃 추출물, 오메가3(EPA, DHA), 빌베리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raw material may be marigold flower extract, omega 3 (EPA, DHA), bilberry extract, or a mixture thereof for eye heal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 원료의 선정은 일반 성인용, 어린이용 및 시니어용 등 목표 소비자에게 적합한 구성으로 조합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can be selected and combined in a composition suitable for target consumers such as general adults, children, and seniors.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5 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기로 1 내지 15 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팽화율을 높이고, 최종 제조될 팽화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기능성 원료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nules are included in the range of 1 to 25% by weight, preferably 1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o increase the swelling rate and to provide functionality in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final puffed formulation. Ensure that raw materials are distributed evenly.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과립 내에 포함되는 기능성 원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기능성 원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충분한 기능성 효과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고,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팽화율이 저하되어 팽화 제형으로 제조하기 어려울 수 있다.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raw material included in the granules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5 to 15% by weight,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functional effect, and if the conten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swelling rate may decrease and it may be difficult to manufacture a puffed formul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에는 과립화를 용이하게 하고, 팽화 시 기공 형성을 도와 팽화율을 높이기 위해 현미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nules may further include brown rice powder to facilitate granulation and to increase the swelling rate by helping to form pores during puffing.
본 발명에서 상기 현미 분말로는 평균 입자 크기가 0.5㎛ 내지 0.9mm, 바람직하기로 1㎛ 내지 0.5mm로 분쇄된 것을, 과립 총 중량에 대하여 10~5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현미 분말의 입경이 상기 하한 값 미만인 경우 현미 분말끼리 응집이 발생하여 기능성 원료(과립) 사이의 균일한 혼합이 어렵다. 반대로 상기 상한 값 초과인 경우 큰 입자 크기로 인해 과립화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그 중량 비율이 하한 값 미만인 경우 다른 과립 조성과의 충분한 결합 효과를 얻을 수 없고, 현미 분말의 함량이 상기 중량 비율의 상한 값 초과인 경우 추후 팽화 시 기공이 많이 형성되어 팽화 식품이 쉽게 부스러져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rice powder may be ground to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5 μm to 0.9 mm, preferably 1 μm to 0.5 mm, at a weight ratio of 10 to 50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granules. If the particle size of the brown rice powder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agglomeration occurs between the brown rice powders, making it difficult to uniformly mix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granules). Conversely, if the above upper limit value is exceeded, granulation is not easy due to the large particle size. In addition, if the weight ratio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a sufficient binding effect with other granule compositions cannot be obtained, and if the content of brown rice powder exceeds the upper limit of the weight ratio, many pores are formed during later puffing, making the puffed food easy to spoil. It may collapse and reduce productivity.
본 발명에서 상기 현미 분말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현미 분말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과립화 또는 팽화율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rice powd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5 to 10% by weight, preferably 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brown rice powder is outside the above range,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granulation or puffing rate.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에는 감미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미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nules may further include a sweetener. At this time, the sweeten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본 발명에서 상기 감미료로는 프락토올리고당, 스테비아, 이소말토 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리톨, 설탕, 과당, 수크랄로스, 알룰로스, 에리스리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프락토올리고당 및 스테비아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weetener may be fructooligosaccharide, stevia, isomaltooligosaccharide, xylooligosaccharide, xylitol, sugar, fructose, sucralose, allulose, erythritol, etc., but is preferably fructooligosaccharide and stevia. .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에는 기능성 원료, 현미 분말 및 감미료가 10 ~ 50 : 10 ~ 50 : 1 ~ 25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 10 ~ 30 : 10 ~ 30 : 5 ~ 15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nules may contain functional raw materials, brown rice powder, and sweetener at a weight ratio of 10 to 50:10 to 50:1 to 25, preferably at a weight ratio of 10 to 30:10 to 30:5 to 15. can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에는 기능성 원료, 현미 분말, 프락토올리고당 및 스테비아가 10 ~ 50 : 10 ~ 50 : 1 ~ 15 : 0.5 ~1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 10 ~ 30 : 10 ~ 30 : 2 ~ 10 : 1 ~ 5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nules may contain functional raw materials, brown rice powder, fructooligosaccharide, and stevia in a weight ratio of 10 to 50:10 to 50:1 to 15:0.5 to 10, preferably 10 to 30: It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0 to 30:2 to 10:1 to 5.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에는 이와 같은 성분 외에도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물, 예를 들어, 설탕, 유당, 결정 포도당, 아스파탐,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감미료, 착향료, 착색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외에도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 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이들의 함량비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절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se ingredients, the granules may contain food-acceptable additives, such as sweeteners, flavoring agents, colorants, such as sugar, lactose, crystalline glucose, aspartame, and cyclodextrin, and in addition, for example, For example, chemical compounds such as ketones, glycine, calcium citrate, nicotinic acid, and cinnamic acid; Natural additives such as dark pigment, licorice extract, crystalline cellulose, high-quality pigment, and guar gum; It may further include mixed preparations such as L-glutamate sodium preparations, noodle added alkaline preparations, preservative preparations, tar coloring preparation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pecific content ratio of thes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purpose.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현미, 콘그릿츠 및 과립은 30 ~ 70 : 70 ~ 30 : 1 ~ 20의 중량 비율, 바람직하기로는 40 ~ 60 : 60 ~ 40 : 1 ~ 15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향후 팽화 시 팽화 효율을 높이고, 과립 내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의 균질한 분포를 가능케 한다.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rice, corn grits and granules ar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30 to 70:70 to 30:1 to 20, preferably 40 to 60:60 to 40:1 to 15. It increases the puffing efficiency during future puffing and enables homogeneous distribution of functional raw materials contained in the granules.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과립 외에도 현미 알곡과 함께 현미 분말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과립을 현미 및 콘그릿츠와 직접 혼합할 경우에도 팽화율을 높일 수 있으나, 작은 크기로 인해 혼합의 불균일성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과립 내부에 현미 분말이 포함될 경우 팽화율의 개선 효과가 보다 더 우수하다. 필요한 경우 과립화 시 현미 분말을 사용하고, 현미, 즉 현미 알곡 및 콘그릿츠의 배합시에도 추가적으로 현미 분말의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granules,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brown rice powder along with brown rice grains. When granules are directly mixed with brown rice and corn grits, the swelling rate can be increased, but the small size may cause non-uniformity in mixing. In particular, when brown rice powder is included inside the granul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welling rate is more excellent. If necessary, brown rice powder is used during granulation, and additional brown rice powder can be used when mixing brown rice, that is, brown rice grains and corn grits.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 외에 현미 알곡과 상기 현미 분말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현미 알곡과 현미 분말은 100 : 0.5 ~ 10 중량 비율, 바람직하기로는 100 : 2 ~ 7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현미 분말의 함량이 상기 중량 비율의 하한 값 미만인 경우 현미와 콘그릿츠 간의 충분한 결합 효과를 얻을 수 없고, 현미 분말의 함량이 상기 중량 비율의 상한 값 초과인 경우 추후 팽화 시 기공이 많이 형성되어 팽화 식품이 쉽게 부스러져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brown rice grains and brown rice powder are used together in addition to the granules, the brown rice grains and brown rice powder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00:0.5 to 10, preferably 100:2 to 7 weight ratio. If the content of brown rice powder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of the weight ratio, a sufficient bonding effect between brown rice and corn grits cannot be obtained, and if the content of brown rice powder is more than the upper limit of the weight ratio, many pores are formed during subsequent puffing. Puffed foods can easily break down, reducing productivity.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과립 외에도 기능성 원료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능성 원료는 과립 내에 포함되는 기능성 원료와 종류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functional raw materials in addition to the granules. At this time, the functional raw material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n type from the functional raw material contained in the granules.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 외에 상기 조성물 내에 추가로 포함되는 기능성 원료는 액상,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인 경우 당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raw material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ther than the granules may be in the form of liquid, powder, or granules, but if it is in the form of powder or granules, it may be coated with sugar.
본 발명에서 상기 당은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프락토올리고당 및 타가토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gar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xylitol, erythritol, fructooligosaccharide, and tagato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상기 당은 기능성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의 양으로 기능성 원료 표면 중 적어도 일부 상에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당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팽화 식품의 맛이 좋지 못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팽화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gar may be co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 in an amount of 5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ugar conte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taste of the puffed food is not good, and if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puffing time becomes longer, so it is us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it within the above range.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 외에 추가로 포함되는 기능성 원료는 건강기능식품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기능성 원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추가 목적에 의한 기능성 확보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팽화율이 저하되어 팽화 제형으로 제조하기 어려울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al raw materials additionally included in addition to the granules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20% by weight, preferably 5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If the content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securing functionality for additional purposes may be minimal, and if the conten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swelling rate may decrease and it may be difficult to manufacture it as a puffed formulation.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common food additives, and its suitability as a food additive is determined by the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for the relevant item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rules and general test methods of the food additive code approv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Judgment is made according to standards.
본 발명에서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 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tems listed in the food additive code include, for example, chemical compounds such as ketones, glycine, calcium citrate, nicotinic acid, and cinnamic acid; Natural additives such as dark pigment, licorice extract, crystalline cellulose, high-quality pigment, and guar gum; It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mixed preparations such as L-glutamate sodium preparations, noodle added alkaline preparations, preservative preparations, and tar coloring preparations.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기능성 원료를 과립화하는 단계; 과립과 현미 및 콘그릿츠를 포함하는 혼합하는 단계; 및 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nulating functional raw materials; A step of mixing granules containing brown rice and corn grits; and a puffing step.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a step is presented.
이하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Each step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과립화 단계;granulation step;
먼저,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원료, 현미 분말, 감미료 및 용매의 혼합물을 과립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granulating a mixture of functional raw materials, brown rice powder, sweetener, and solvent.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 원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인체에 유용한 특정 기능을 갖는 원료나 성분이라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raw material or component that has a specific function useful to the human body can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일례로, 상기 기능성 원료는 Ca, K, P, I, Mg, Fe, Cu, Mn, Co, Cr, Mo, Zn, Se 등의 무기질; 비타민A, 비타민B(비타민B1, B2, B6, B12), 비타민C, 비타민D, 비타민E, 비타민K, 니아신, 판토텐산, 비오틴, 엽산 등의 비타민; 코엔자임Q10; 단백질; 프로폴리스; 프로바이오틱스; 폴리덱스트로스,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펙틴 등의 식이섬유; 테아닌, L-아르기닌 등의 아미노산; 글루코사민 등의 아미노당;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등의 고분자 다당류;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의 고분자 펩타이드류; 자일리톨; 프락토올리고당;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include minerals such as Ca, K, P, I, Mg, Fe, Cu, Mn, Co, Cr, Mo, Zn, and Se; Vitamins such as vitamin A, vitamin B (vitamin B1, B2, B6, B12), vitamin C, vitamin D, vitamin E, vitamin K, niacin, pantothenic acid, biotin, and folic acid; Coenzyme Q10; protein; propolis; probiotics; Dietary fibers such as polydextrose, indigestible maltodextrin, and pectin; Amino acids such as theanine and L-arginine; Amino sugars such as glucosamine; high molecular weight polysaccharides such as hydroxyethyl cellulose, xanthan gum, sodium hyaluronate, and chondroitin sulfate; high molecular weight peptides such as collagen, hydrolyzed collagen, gelatin, elastin, hydrolyzed elastin, and keratin; xylitol; Fructooligosaccharide;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this.
다른 예로, 상기 기능성 원료는 밤, 땅콩, 아몬드, 호두, 피스타치오, 잣, 해바라기씨, 호박씨, 은행, 케슈넛, 헤이즐넛, 피칸, 및 마카다미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견과류 추출물 또는 분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another example, the functional raw material may be one or more nut extracts or powd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estnuts, peanuts, almonds, walnuts, pistachios, pine nuts, sunflower seeds, pumpkin seeds, ginkgo nuts, cashew nuts, hazelnuts, pecans, and macadamia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또 다른 예로, 상기 기능성 원료는 다시마, 미역, 톳, 김, 우뭇가사리, 파래, 스피룰리나, 클로렐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해조류 추출물 또는 분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another example, the functional raw material may be one or more seaweed extracts or powd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elp, seaweed, hijiki, seaweed, agar, green seaweed, spirulina, and chlorella,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 다른 예로, 상기 기능성 원료는 보리, 수수, 귀리, 율무, 기장, 식용피, 좁쌀, 및 찹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곡류 추출물 또는 분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another example, the functional raw material may be one or more grain extracts or powd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rley, sorghum, oats, coix radish, millet, edible hulls, millet, and glutinous r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 다른 예로, 상기 기능성 원료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딸기, 바나나, 망고, 석류, 복숭아, 코코넛, 오디, 사과, 포도, 빌베리, 블루베리, 크렌베리, 체리, 쏘팔메토, 파인애플, 감, 멜론, 배, 토마토, 키위, 깔라만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과일 추출물 또는 분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another example,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include garcinia cambogia, strawberry, banana, mango, pomegranate, peach, coconut, mulberry, apple, grape, bilberry, blueberry, cranberry, cherry, saw palmetto, pineapple, persimmon, melon, pear, It may be one or more fruit extracts or powd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omato, kiwi, and calamansi,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 다른 예로, 상기 기능성 원료는 인삼, 홍삼, 녹차, 영지버섯, 은행잎, 차전자피, 알로에겔, 양배추, 파, 비트, 청경채, 시금치, 브로콜리, 미나리, 연근, 파프리카, 피망, 단호박, 케일, 파, 샐러리, 파슬리, 당근, 부추, 깻잎, 상추, 메리골드꽃, 루바브, 밀크씨슬(Silybum marianum), 알로에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채소 추출물 또는 분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s another example,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include ginseng, red ginseng, green tea, reishi mushroom, ginkgo biloba, psyllium husk, aloe gel, cabbage, green onion, beet, bok choy, spinach, broccoli, water parsley, lotus root, paprika, green pepper, sweet pumpkin, kale, green onion, It may be one or more vegetable extracts or powd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ery, parsley, carrots, chives, perilla leaves, lettuce, marigold flowers, rhubarb, milk thistle (Silybum marianum), and aloe gel, but is limited thereto. no.
본 발명에서 상기 감미료로는 프락토올리고당, 스테비아, 이소말토 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리톨, 설탕, 과당, 수크랄로스, 알룰로스, 에리스리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프락토올리고당 및 스테비아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weetener may be fructooligosaccharide, stevia, isomaltooligosaccharide, xylooligosaccharide, xylitol, sugar, fructose, sucralose, allulose, erythritol, etc., but is preferably fructooligosaccharide and stevia. .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물에 기능성 원료, 현미 분말 및 감미료가 10 ~ 50 : 10 ~ 50 : 1 ~ 25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 10 ~ 30 : 10 ~ 30 : 5 ~ 15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ture may include functional raw materials, brown rice powder, and sweetener in a weight ratio of 10 to 50:10 to 50:1 to 25, preferably in a weight ratio of 10 to 30:10 to 30:5 to 15. may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물에 기능성 원료, 현미 분말, 프락토올리고당 및 스테비아는 10 ~ 50 : 10 ~ 50 : 1 ~ 15 : 0.5 ~1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 10 ~ 30 : 10 ~ 30 : 2 ~ 10 : 1 ~ 5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brown rice powder, fructooligosaccharide, and stevia may be included in the mixture in a weight ratio of 10 to 50:10 to 50:1 to 15:0.5 to 10, preferably 10 to 30: It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0 to 30:2 to 10:1 to 5.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 내에 포함되는 기능성 원료는 최종 제조될 건강기능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기능성 원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충분한 기능성 효과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고,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팽화율이 저하되어 팽화 제형으로 제조하기 어려울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included in the granules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5 to 15% by weight,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to be finally manufactured. If the content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functional effect, and if the conten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swelling rate may decrease and it may be difficult to manufacture a puffed formul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 내에 포함되는 현미 분말은 최종 제조될 건강기능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기로 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rice powder contained in the granules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5 to 10% by weight, preferably 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to be finally manufactured.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 내에 포함되는 프락토올리고당 및 스테비아는 각각 최종 제조될 건강기능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프락토올리고당 0.01 내지 5 중량% 및 스테비아 0.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fructooligosaccharide and stevia contained in the granules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5% by weight of fructooligosaccharide and 0.01 to 5% by weight of stevia, respective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nal health functional food to be manufactured.
본 발명에서 상기 용매는 물 또는 정제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매의 함량은 기능성 원료의 과립화를 위해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vent may be water or purified wa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solvent may be used in an appropriate amount for granulation of functional raw materials,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화 시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도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물, 예를 들어, 설탕, 유당, 결정 포도당, 아스파탐,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감미료, 착향료, 착색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외에도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 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이들의 함량비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절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granulating,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ingredients, food-acceptable additives such as sugar, lactose, crystalline glucose, aspartame, cyclodextrin, etc. may be included, as well as sweeteners, flavoring agents, colorants, etc. For example, chemical compounds such as ketones, glycine, calcium citrate, nicotinic acid, and cinnamic acid; Natural additives such as dark pigment, licorice extract, crystalline cellulose, high-quality pigment, and guar gum; It may further include mixed preparations such as L-glutamate sodium preparations, noodle added alkaline preparations, preservative preparations, tar coloring preparation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pecific content ratio of thes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purpose.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화는 과립기 또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nul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granulator or extruder.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화 공정을 통해 제조된 과립은 평균 직경이 0.5 mm 내지 6.0 mm, 또는 1.0 mm 내지 4.0 mm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nules manufactured through the granulation process may have an average diameter of 0.5 mm to 6.0 mm, or 1.0 mm to 4.0 mm, but are not limited thereto.
과립의 건조 단계Drying stage of granules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선택적으로 과립화 단계 이후에 과립을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drying the granules may optionally be additionally performed after the granulation step.
본 발명에서 과립의 건조 공정을 통해 과립 내 수분 함량이 10 내지 15 중량%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과립의 수분 함량이 너무 높으면 마찰열의 발생이 적어 충분한 온도로 올라가지 않아 팽화가 잘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수분 함량이 너무 낮으면 과도한 마찰열로 인하여 탄화가 일어나고 팽화된 과자가 잘 부스러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content in the granules can be adjusted to 10 to 15% by weight through the granule drying process. If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ranules is too high, the generation of frictional heat is low and the temperature does not rise to a sufficient level, which may cause problems with poor puffing. If the moisture content is too low, carbonization may occur due to excessive frictional heat, causing the puffed cookie to crumble easily. It can happen.
본 발명에서 상기 건조 공정은 60 ℃ 내지 80 ℃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온도가 너무 낮으면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고, 온도가 너무 높으면 과립의 수분 조절이 어렵고 고온에 의한 원료손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팽화를 위한 적정수분범위를 벗어나서 팽화가 잘 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건조는 열풍건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process can be performed at 60°C to 80°C for 1 hour to 5 hours. If the drying temperature is too low, drying time takes a long time, and if the temperature is too high, it is difficult to control moisture in the granules and problems with raw material damage due to high temperature may occur. In addition, if the time range is outside the above time range, problems with poor puffing may occur as the moisture is outside the appropriate moisture range for puffing. At this time, drying may be hot air dryin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팽화 전 혼합 단계Mixing stage before puffing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건조된 과립을 현미 및 콘그릿츠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mixing the dried granules as described above with brown rice and corn grits to obtain a mixture.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물 내에 상기 현미는 2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30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rice may be included in the mixture in an amount of 20 to 60% by weight, preferably 30 to 60% by weight.
본 발명에서 상기 콘그릿츠는 평균 입자 크기가 0.5 mm 내지 1.5 mm, 바람직하기로는 0.55 mm 내지 1.0 mm이고, 수분 함량이 10 내지 15 중량%인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e grits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5 mm to 1.5 mm, preferably 0.55 mm to 1.0 mm, and a moisture content of 10 to 15% by weight.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물 내에 상기 콘그릿츠는 30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40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n grits may be included in the mixture in an amount of 30 to 70% by weight, preferably 40 to 60% by weight.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물 내에 상기 상기 현미 및 콘그릿츠는 70 내지 99 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기로는 75 내지 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75 내지 9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팽화율을 높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rice and corn grits in the mixture can be included in an amount of 70 to 99% by weight, preferably 75 to 95%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75 to 90% by weight to increase the swelling rate. there is.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물 내에 상기 현미와 콘그릿츠는 30 ~ 70 : 70 ~ 30의 중량 비율, 바람직하기로는 30 ~ 60 : 70 ~ 40의 중량 비율,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1 : 1 ~ 1.1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현미를 콘그릿츠 대비 과다하게 사용하게 되면 팽화 식품이 쉽게 부스러지고, 콘그릿츠를 현미 대비 과다하게 사용하면 딱딱한 식감의 팽화 식품이 제조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rice and corn grits in the mixture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30 to 70:70 to 30, preferably in a weight ratio of 30 to 60:70 to 40, and most preferably in a weight ratio of 1:1 to 1.1. May be included. If brown rice is used excessively compared to corn grits, puffed foods easily break down, and if corn grits are used excessively compared to brown rice, puffed foods with a hard texture are produced.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물 내에 상기 과립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5 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기로 1 내지 15 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팽화율을 높이고, 최종 제조될 팽화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기능성 원료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nules in the mixture are included in the range of 1 to 25% by weight,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o increase the swelling rate and to provide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uffed formulation to be finally manufactured. Ensures that functional raw materials are distributed evenly.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물 내에 상기 현미, 콘그릿츠 및 과립은 30 ~ 70 : 70 ~ 30 : 1 ~ 20의 중량 비율, 바람직하기로는 40 ~ 60 : 60 ~ 40 : 1 ~ 15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향후 팽화 시 팽화 효율을 높이고, 과립 내에 포함된 기능성 원료의 균질한 분포를 가능케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rice, corn grits and granules are included in the mixture in a weight ratio of 30 to 70:70 to 30:1 to 20, preferably in a weight ratio of 40 to 60:60 to 40:1 to 15. This increases the puffing efficiency during future puffing and enables homogeneous distribution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contained in the granules.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물에 포함되는 현미는 현미 알곡인 것이 바람직하나, 콘그릿츠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 시 현미 분말을 추가로 더 혼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rice included in the mixture is preferably brown rice grains, but in order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with corn grits, brown rice powder may be additionally mixed if necessary.
본 발명에서 상기 현미 분말로는 평균 입자 크기가 0.5㎛ 내지 0.9mm, 바람직하기로 1㎛ 내지 0.5mm로 분쇄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현미 분말의 입경이 상기 하한 값 미만인 경우 현미 분말끼리 응집이 발생하여 현미 및 콘그릿츠와 균일한 혼합이 어렵다. 반대로 상기 상한 값 초과인 경우 현미 분말은 콘그릿츠 크기와 유사하기 때문에 이또한 상기 언급한 효과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wn rice powder may be ground to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5 μm to 0.9 mm, preferably 1 μm to 0.5 mm. If the particle size of the brown rice powder is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agglomeration occurs between the brown rice powders, making uniform mixing with brown rice and corn grits difficult. Conversely, if the upper limit value is exceede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above-mentioned effect because brown rice powder is similar in size to corn grit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 시 현미 알곡과 함께 현미 분말을 추가로 혼합하는 경우, 현미 알곡과 현미 분말은 100 : 0.5 ~ 10 중량 비율, 바람직하기로는 100 : 2 ~ 7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만약, 현미 분말의 함량이 상기 중량 비율의 하한 값 미만인 경우 현미와 콘그릿츠 간의 충분한 결합 효과를 얻을 수 없고, 현미 분말의 함량이 상기 중량 비율의 상한 값 초과인 경우 추후 팽화 시 기공이 많이 형성되어 팽화 식품이 쉽게 부스러져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brown rice powder is additionally mixed with brown rice grains during the mixing, brown rice grains and brown rice powder may be mixed at a weight ratio of 100:0.5 to 10, preferably 100:2 to 7. . If the content of brown rice powder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of the weight ratio, a sufficient bonding effect between brown rice and corn grits cannot be obtained, and if the content of brown rice powder is more than the upper limit of the weight ratio, many pores are formed during subsequent puffing. Puffed food may easily break down, reducing productivity.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물에는 기능성 원료가 추가로 더 혼합될 수 있다. 이때 기능성 원료는 과립 내에 포함되는 기능성 원료와 종류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al raw materials may be further mixed into the mixture. At this time, the functional raw material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n type from the functional raw material contained in the granules.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 외에 상기 혼합물 내에 추가로 포함되는 기능성 원료는 건강기능식품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기능성 원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추가 목적에 의한 기능성 확보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팽화율이 저하되어 팽화 제형으로 제조하기 어려울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granules, functional raw materials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mixtur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20% by weight, preferably 5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If the content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securing functionality for additional purposes may be minimal, and if the conten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swelling rate may decrease and it may be difficult to manufacture it as a puffed formul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 외에 상기 혼합물 내에 추가로 포함되는 기능성 원료는 액상,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인 경우 당액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raw material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mixture in addition to the granules may be in the form of liquid, powder, or granules. However, if it is in the form of powder or granules, it may be coated with a sugar solu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당액은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프락토올리고당 및 타가토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gar solution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xylitol, erythritol, fructooligosaccharide, and tagato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당류는 설탕, 포도당, 물엿 등의 당류와 달리 도포 대상에 대한 칼로리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설탕과 비교하여 적당한 단맛을 보장하고, 그 자체로서 기능성이 있는 당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당액은 당류를 간접가열(예를 들어 중탕) 등의 방식으로 액상으로 용융시키킨 것이다. 상기 당액은 당류 종류에 따라 약간씩 달라질 수 있으나 120 ℃ 내지 140 ℃, 바람직하게는 125 ℃ 내지 130 ℃의 범위에서 50분 내지 70분 동안 간접가열을 통해 액상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Unlike saccharides such as sucrose, glucose, and starch syrup, saccharides do not affect the calorie change in the application target, guarantee an appropriate sweetness compared to sugar, and are functional sugars in themselves. The sugar solu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melting sugar into a liquid state by indirect heating (for example, double boiling). The sugar solution may vary slightly depending on the type of sugar, but may be prepared in a liquid form through indirect heating in the range of 120 ℃ to 140 ℃, preferably 125 ℃ to 130 ℃ for 50 to 70 minutes.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 원료로는, 기능성 원료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4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 7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당액을 원료 상에 분무하여 코팅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당액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팽화 식품의 맛이 좋지 못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팽화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raw material may be coated by spraying a sugar solution on the raw material in an amount of 5 to 40 parts by weight, preferably 7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ntent of the sugar solution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taste of the puffed food is not good, and if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puffing time becomes longer, so it is us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it within the above range.
본 발명에서 상기 당액 코팅 공정은 코팅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혼합기, 연합기 또는 코팅기, 예를 들어 스피드 믹서기 또는 연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피드 믹서기 또는 보온장치가 부착된 연합기를 사용시, 예를 들어 스피드믹서기의 경우 360rpm 연합기의 경우 당액 분사를 스피드믹서기의 1/3(스피드 믹서기의 당액 투하는 2kg/min) 약 650g/min 속도로 하여 충분한 마찰을 유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gar solution coating process may use a mixer, combiner, or coater commonly used in coating, for example, a speed mixer or combiner. When using the speed mixer or a combiner equipped with a thermosta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peed mixer, the sugar solution is sprayed at 360 rpm and in the case of a combiner, the sugar solution is sprayed at a speed of about 650 g/min at 1/3 of the speed of the speed mixer (the sugar solution in the speed mixer is sprayed at 2 kg/min). This can induce sufficient fric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당액과의 코팅 후 후속 공정을 위해 60 ℃ 이하, 구체적으로 겨울철에는 60 ℃ 이하, 여름철에는 45 ℃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 내지 상온의 온도가 될 때까지 냉각시키는 냉각 공정을 수행한다. 본 냉각 공정은 당액이 냉각되면서 고화 및 결정화되도록 하여 압축 또는 스크류방식의 압에 대하여 팽화에 필요한 반발 경도를 갖게 되도록 하는 공정이다. 만약 당약 냉각 전에 기능성 원료를 혼합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당액의 점도에 의해 기능성 원료의 뭉침 등이 발생하여 균일한 혼합이 어렵고 기능성 원료의 손실 또는 파괴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ubsequent process after coating with the sugar solution, a cooling process is performed by cooling to a temperature of 60 ℃ or lower, specifically 60 ℃ or lower in winter and 45 ℃ or lower in summer, preferably 40 ℃ to room temperature. do. This cooling process is a process that causes the sugar solution to solidify and crystallize as it cools so that it has the rebound hardness necessary for expansion against compression or screw pressure. If the process of mixing functional raw materials is performed before cooling the sugar solution,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may clump together due to the viscosity of the sugar solution, making uniform mixing difficult, and there is a risk of loss or destruction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물 내에는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ture may contain common food additives, and its suitability as a food additive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rules and general test methods of the food additive code approv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Judgment is made according to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본 발명에서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 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tems listed in the food additive code include, for example, chemical compounds such as ketones, glycine, calcium citrate, nicotinic acid, and cinnamic acid; Natural additives such as dark pigment, licorice extract, crystalline cellulose, high-quality pigment, and guar gum; It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mixed preparations such as L-glutamate sodium preparations, noodle added alkaline preparations, preservative preparations, and tar coloring preparations.
팽화 단계puffing stage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얻어진 혼합물을 팽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puffing the obtained mixture.
본 발명에서 상기 팽화는 압출팽화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혼합물을 압출팽화기에 주입하여 스크루를 통과하거나 압축되면서 압출팽화시켜 제조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압출팽화기는 산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익스트루더(extruder)를 사용한 압출 팽화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압출 팽화기기의 금형의 몰드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팽화 제형 식품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하며, 이러한 모양으로는 예를 들어 환 형태, 별 형태, 초승달 형태, 막대과자 형태 등을 들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ffing can be performed using an extrusion puffer. It is manufactured by injecting the mixture into an extrusion bulking machine and extruding it while passing through a screw or compressing it. The extrusion bulking machine used at this time can use an extrusion bulking method using an extruder commonly used in the industry.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puffed food compositions in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mold of the extrusion puffing machine used. These shapes include, for example, a ring shape, a star shape, a crescent moon shape, and a stick shape. .
본 발명에서 상기 팽화 공정은 100 내지 200 ℃, 바람직하기로 120 내지 140 ℃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범위보다 온도가 낮으면 팽화 식품으로 성형이 안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온도가 높으면 팽화 식품이 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ffing process is preferably performed at 100 to 200 °C, preferably 120 to 140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above range, problems may occur in which the puffed food cannot be molded, and if the temperature is high, the puffed food may burn.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는 경우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의 팽화율(제품의 직경/사출구 직경)로 상기 혼합물을 팽화시켜 기능성 원료가 균일하게 분포되며 식감이 우수한 팽화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ture is puffed with a swelling ratio (product diameter/injection port diameter) of 2.5 or more, preferably 3.0 or more, so that the functional ingredients are uniformly distributed and a health functional food in a puffed formulation with excellent texture is provided. to enable manufacturing.
본 발명에서 상기 팽화 식품은 유통 기한이 6개월 이상이며, 일일섭취량 포장 단위를 50g 이하로 포장될 수 있다. 유통 기한이 길어질수록 기능성 원료인 기능성 원료의 파괴가 쉬워지며 식품 형태 제형의 경우 이는 더 심각해진다. 본 발명의 팽화 식품은 기능성 원료가 안정적으로 존재하고 유통 과정 중의 파괴가 최소화됨에 따라 유통 기한을 더욱 늘릴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ffed food has an expiration date of 6 months or more and can be packaged in a daily intake packaging unit of 50g or less. The longer the shelf life, the easier it is for functional raw materials to be destroyed, and this becomes more serious in the case of food-type formulations. The shelf life of the puffed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rther extended because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are stably present and destruction during the distribution process is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팽화 식품은 기능성 원료의 함량을 늘려도 팽화율의 저감이 일어나지 않는다. 팽화율이 낮거나 기능성 원료의 함량이 낮을 경우 일일섭취량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문제가 있는데 비해, 본 발명의 팽화 식품은 일일섭취량을 감소시키고 섭취 편의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원가 절감이라는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welling rate of the puffed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ecrease even if the content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 is increased. If the puffing rate is low or the content of functional raw materials is low,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aily intake is relatively high. However, the puffed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daily intake, increases convenience of intake, and at the same time secures the effect of reducing costs.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intended to specifical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분석방법] [Analysis method]
(1) 직경 팽화율 측정(1) Measurement of diameter swelling rate
압출성형물의 직경 팽화율은 압출 성형물의 직경을 캘리퍼스(CD-15C, Mitutoyo Co., Tokyo, Japan)로 10회 측정하여 사출구의 직경과 압출 성형물의 직경 비의 평균값으로 산출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팽화율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직경 팽화율을 의미한다. The diameter swelling rate of the extruded product was calculated as the average value of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injection hole and the diameter of the extruded product by measuring the diameter of the extruded product 10 times with a caliper (CD-15C, Mitutoyo Co., Tokyo, Japan). The swelling rate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the diameter swelling rate unless otherwise specified.
(2) 기호도(2) preference
20~50대 남녀 각각 20명을 대상으로 압출성형물의 바삭한 정도, 거친정도, 단단한 정도, 색 및 전체적인 기호도 항목에 대하여 5점 채점법으로 2회 반복하여 평균치를 구하였다. For 20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50s, the crispness, roughness, hardness, color, and overall preference of the extruded product were repeated twice using a 5-point scoring method to obtain the average value.
[실시예 1][Example 1]
기능성 원료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HCA 70%, 수용성)를, 현미 분말, 프락토올리고당 분말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와 혼합한 뒤 정제수를 첨가한 후 제환기를 이용하여 과립화하고, 70 ℃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여 3mm 크기의 구형 과립을 제조하였다. Garcinia cambogia (HCA 70%, water soluble) as a functional raw material is mixed with brown rice powder, fructooligosaccharide powder, and enzyme-treated stevia, then added with purified water, granulated using a ventilation machine, and dried at 70°C for 2 hours. Thus, spherical granules of 3 mm in size were manufactured.
상기 과립에, 현미 알곡 및 콘그릿츠(입자 크기 0.7mm, 수분함량 10%)를 혼합한 뒤 압출팽화기에 투입하여 60 rpm/min 속도로 20초 동안 통과시켜 대략 0.13~0.15 g 무게를 갖는 팽화 환 제형의 팽화형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총 무게는 대략 50 g). 이때 각 성분들의 배합 비는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The granules were mixed with brown rice grains and corn grits (particle size 0.7 mm, moisture content 10%), then placed in an extrusion puffer and passed at a speed of 60 rpm/min for 20 seconds to produce puffed rings weighing approximately 0.13 to 0.15 g. A puffed health functional food formulation was prepared (total weight is approximately 50 g). At this time, the mixing ratio of each component is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2][Example 2]
제1 기능성 원료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HCA 70%, 수용성)를, 현미 분말, 프락토올리고당 분말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와 혼합한 뒤 정제수를 첨가한 후 제환기를 이용하여 과립화하고, 70 ℃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여 3mm 크기의 구형 과립을 제조하였다. As the first functional raw material, Garcinia cambogia (HCA 70%, water soluble) was mixed with brown rice powder, fructooligosaccharide powder, and enzyme-treated stevia, then purified water was added and granulated using a ventilation machine, and incubated at 70°C for 2 hours. After drying for a while, spherical granules of 3 mm in size were prepared.
상기 과립에, 현미 알곡 및 콘그릿츠(입자 크기 0.7mm, 수분함량 10%)를 혼합하고, 추가로 제2 기능성 원료로 자일리톨이 19.55 중량% 함량으로 코팅된 차전자피 분말을 함께 혼합한 뒤 압출팽화기에 투입하여 60 rpm/min 속도로 20초 동안 통과시켜 대략 0.13~0.15 g 무게를 갖는 팽화 환 제형의 팽화형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총 무게는 대략 55 g). 이때 각 성분들의 배합 비는 아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To the granules, brown rice grains and corn grits (particle size 0.7 mm, moisture content 10%) were mixed, and psyllium husk powder coated with 19.55% by weight of xylitol as a second functional raw material was mixed together and placed in an extrusion blower. It was added and passed for 20 seconds at a speed of 60 rpm/min to prepare a puffed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a puffed pill weighing approximately 0.13 to 0.15 g (total weight is approximately 55 g). At this time, the mixing ratio of each component is shown in Table 2 below.
[실시예 3][Example 3]
기능성 원료로 빌베리 추출물(원료의 기능성분 36%)를, 현미 분말, 프락토올리고당 분말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와 혼합한 뒤 정제수를 첨가한 후 제환기를 이용하여 과립화하고, 70 ℃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여 3mm 크기의 구형 과립을 제조하였다. As a functional raw material, bilberry extract (36% of the functional ingredients of the raw material) is mixed with brown rice powder, fructooligosaccharide powder, and enzyme-treated stevia, then added with purified water, granulated using a ventilation machine, and incubated at 70 ° C for 2 hours. It was dried to prepare 3 mm spherical granules.
상기 과립에, 현미 알곡 및 콘그릿츠(입자 크기 0.7mm, 수분함량 10%)를 혼합한 뒤 압출팽화기에 투입하여 60 rpm/min 속도로 20초 동안 통과시켜 대략 0.13~0.15 g 무게를 갖는 팽화 환 제형의 팽화형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총 무게는 대략 10 g). 이때 각 성분들의 배합 비는 아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The granules were mixed with brown rice grains and corn grits (particle size 0.7 mm, moisture content 10%), then placed in an extrusion puffer and passed at a speed of 60 rpm/min for 20 seconds to produce puffed rings weighing approximately 0.13 to 0.15 g. A puffed health functional food formulation was prepared (total weight is approximately 10 g). At this time, the mixing ratio of each component is as shown in Table 3 below.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되, 기능성 원료로 가르시니아 대신 비타민 D 및 아연을 첨가하여 환 제형의 팽화형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2 was performed, but vitamin D and zinc were added instead of garcinia as functional raw materials to prepare a pill-type puffed health functional food.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기능성 원료로 가르시니아 대신 클로렐라 분말을 첨가하여 환 제형의 팽화형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A puffed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a pill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chlorella powder was added instead of garcinia as a functional raw material.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기능성 원료로 가르시니아 대신 칼슘을 첨가하여 환 제형의 팽화형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A puffed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a pill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calcium was added instead of garcinia as a functional raw material.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상기 표 1에 나타낸 각 성분들을 과립화 없이 단순히 혼합한 뒤 압출팽화기에 투입하여 60 rpm/min 속도로 20초 동안 통과시켜 대략 50 g 무게의 다수의 환 제형의 팽화형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Each ingredient shown in Table 1 was simply mixed without granulation, then put into an extrusion puffer and passed through the mixture for 20 seconds at a speed of 60 rpm/min to prepare a puffed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multiple pills weighing approximately 50 g.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과립화 시 현미 분말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과립, 현미 알곡 및 콘그릿츠의 혼합물을 압출팽화기에 투입하여 60 rpm/min 속도로 20초 동안 통과시켜 대략 53g 무게의 다수의 환 제형의 팽화형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Except that brown rice powder was not used during granulation,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and the mixture of granules, brown rice grains, and corn grits was put into an extrusion blower and passed at a speed of 60 rpm/min for 20 seconds to obtain approximately 53 g. A puffed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ills was manufactured.
[시험예 1] 팽화율 및 기능성 원료 함량 평가[Test Example 1] Evaluation of swelling rate and functional raw material content
1. 평균 팽화율의 비교1. Comparison of average swelling rates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얻어진 팽화형 건강기능식품의 평균 팽화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고, 각 얻어진 팽화형 건강기능식품의 사진을 도 1의 (a) 내지 (e)에 나타내었다. The average puffing rates of the puffed health functional foods obtained in Example 1, Example 2,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4 below, and photos of each obtained puffed health functional food are shown in Figure 1 (a) to (e).
상기 표 4 및 도 1의 (a) 내지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기능성 원료를 현미 분말, 프락토올리고당 및 스테비아와 혼합하여 1차로 과립화한 뒤에 현미 및 콘그릿츠와 혼합한 후 팽화를 수행한 경우(실시예 1, 2 및 3), 3.0 이상의 높은 팽화율로 팽화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제조되는 개개의 팽화 식품에서 균일한 정도로 팽화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4 and Figure 1 (a) to (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raw material of Garcinia cambogia is mixed with brown rice powder, fructo-oligosaccharide, and stevia, first granulated, and then mixed with brown rice and corn grits. When puffing was performed after mixing with (Examples 1, 2, and 3), it was confirmed that puffing was achieved with a high swelling ratio of 3.0 or more, and it was confirmed that puffing was achieved to a uniform degree in each puffed food produced. .
반면,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기능성 원료의 1차 과립화 없이,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현미 및 콘그릿츠 등과 단순히 혼합하여 팽화를 진행한 경우(비교예 1)나 과립화 시 현미 분말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2), 개개의 팽화 환마다 팽화율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puffing was performed by simply mixing Garcinia cambogia with brown rice and corn grits without primary granulation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 of Garcinia cambogia (Comparative Example 1) or when brown rice powder was not used during granulation (Comparative Example 2) ),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swelling rate for each individual puffing ring.
2. 팽화 환 별 기능성 원료의 균일도 비교2. Comparison of uniformity of functional raw materials for each puffed pill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각 팽화 환 별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기능성 원료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팽화 환 중 임의로 2개를 선정하여 이들 각 환에 포함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기능성 원료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0 mM 황산용액을 이용하여 팽화 환의 시료 중 하이드록시시트르산(Hydroxycitric acid)을 충분히 추출하여 액체크로마토그래프를 통해 g 당 함량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functional raw material of Garcinia cambogia is uniformly distributed in each puffed ring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two of the puffed rings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randomly selected and each of them The content of the functional raw material of Garcinia Cambogia contained in the pill was confirmed. Specifically, hydroxycitric acid was sufficiently extracted from the sample of the puffed ring using a 10 mM sulfuric acid solution, the content per g was confirmed through liquid chromatography,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below.
(752mg/day)13.69mg/g
(752mg/day)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일일섭취량 규격: 총(-)Hydroxycitric acid로부터 750mg/day)Compliance with standard standards
(Garcinia Cambogia daily intake specification: 750mg/day from total (-)Hydroxycitric acid)
(452mg/day)8.22mg/g
(452mg/day)
(1031mg/day)18.75mg/g
(1031mg/day)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일일섭취량 규격: 총(-)Hydroxycitric acid로부터 750mg/day)Compliance with standard standards
(Garcinia Cambogia daily intake specification: 750mg/day from total (-)Hydroxycitric acid)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기능성 원료를 현미 분말, 프락토올리고당 및 스테비아와 혼합하여 1차로 과립화한 뒤에 현미 및 콘그릿츠와 혼합한 후 팽화를 수행한 경우(실시예 1), 개개의 팽화 환마다 팽화율에도 큰 차이가 없을 뿐만 아니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기능성 원료 함량에도 큰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5, when the functional raw material of Garcinia cambogia was mixed with brown rice powder, fructooligosaccharide, and stevia, first granulated, mixed with brown rice and corn grits, and then puffed (Example 1), It was found that not only was th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uffing rate for each individual puffed pill, but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the Garcinia cambogia functional raw material.
반면,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기능성 원료를 과립화하지 않고,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현미 및 콘그릿츠 등과 단순히 혼합하여 팽화를 진행한 경우(비교예 1) 개개의 팽화 환마다 팽화율 차이가 클 뿐만 아니라, 팽화 환 마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함량 차이가 커서 팽화율이 높은 환의 경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함량이 적게 함유되어 기준규격에 미달되었고 팽화가 미흡한 환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분말가루가 과도하게 혼입된 것으로 기준 규격을 초과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과립화를 거치지 않으면 원료 혼합 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분말이 침전되고 균질하게 혼합되지 않아 발생된 것임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puffing was carried out by simply mixing Garcinia cambogia with brown rice and corn grits without granulating the Garcinia cambogia functional raw material (Comparative Example 1), not only was there a large difference in the puffing rate for each puffed pill, but also the amount of garcinia for each puffed pill was large. In the case of pills with a high swelling rate due to a large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cambogia, the garcinia cambogia content was low and did not meet the standard specifications, while the pills with insufficient puffing exceeded the standard specifications due to excessive mixing of Garcinia cambogia powder. It can be seen that this occurred because the Garcinia cambogia powder precipitated and was not mixed homogeneously when mixing raw materials without granulation.
[시험예 2] 과립의 크기에 따른 팽화 환의 크기, 팽화율 및 기호도 평가[Test Example 2] Evaluation of the size, swelling rate, and preference of the puffed ring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ranule
과립화 시 과립의 크기에 따른 팽화형 건강기능식품의 크기, 팽화율 및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2에 나타낸 방법으로 팽화형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과립화 시 제환기의 노즐을 조절하여 과립의 평균 직경을 0.5 mm, 2.0 mm, 3.0 mm, 6.0 mm로 달리하며 1차 과립화한 후 현미 및 콘그릿츠 등과 추가로 혼합한 뒤 팽화하여 팽화형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 각 제조된 건강기능식품의 크기, 팽화율 및 기호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고, 각 제품의 사진을 촬영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size, swelling rate, and preference of the puffed health functional food are affected by the size of the granules during granulation, the puffed health functional food was manufactured by the method shown in Example 2, but when granulating Garcinia Cambogia By adjusting the nozzle of the ventilation machine, the average diameter of the granules is varied to 0.5 mm, 2.0 mm, 3.0 mm, and 6.0 mm. After primary granulation, it is further mixed with brown rice and corn grits, and then puffed to produce a puffed health functional food. Manufactured. The size, swelling rate, and preference of each manufactured health functional food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and photos of each product were take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2.
상기 표 6 및 도 2의 결과를 보면, 과립의 크기가 팽화율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과립의 크기가 클수록 팽화율이 증가하였으나, 6.0mm와 같이 과립의 크기가 너무 큰 경우에는 팽화율이 오히려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섭취하기에 기호도가 저하되었다.Looking at the results in Table 6 and Figure 2, it can be seen that the size of the granules affects the swelling rate. As the size of the granules increased, the swelling rate increased, but when the size of the granules was too large, such as 6.0 mm, the swelling rate actually decreased, and the preference for ingestion decreased.
[시험예 3] 현미와 콘그릿츠의 혼합 비율에 따른 과립의 크기에 따른 팽화 환의 크기, 팽화율 및 기호도 평가 [Test Example 3] Evaluation of puffed ring size, puffing rate, an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ranules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brown rice and corn grits
현미와 콘그릿츠의 혼합 비율에 따른 팽화율 및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과립과 혼합되는 현미와 콘그릿츠의 함량을 하기 표 7과 같이 달리하며 혼합한 뒤 팽화하여 팽화형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 각 제조된 건강기능식품의 크기, 팽화율 및 기호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고, 각 제품의 사진을 촬영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n the puffing rate an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brown rice and corn grits, the contents of brown rice and corn grits mixed with the granules were varied as shown in Table 7 below, and the mixture was puffed to produce a puffed health functional food. Manufactured. The size, swelling rate, and preference of each manufactured health functional food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8 below, and photos of each product were take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3.
상기 표 8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그릿츠의 함량이 높을수록 팽화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비교예 3에서는 충분한 팽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바삭함의 식감과 맛이 떨어졌다. 반면에 비교예 4와 같이 콘그릿츠를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과도하게 팽화가 되어 쉽게 부스러지고 약간의 탄 냄새가 확인되었다.As shown in Table 8 and Figure 3, the swelling rate tended to increase as the content of corn grits increased, and in Comparative Example 3, sufficient swelling was not achieved, resulting in poor crispy texture and taste.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e grits were used excessively, as in Comparative Example 4, they puffed excessively and broke easily, and a slight burnt smell was observ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As the specific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specific techniques are merely preferred implementation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13)
상기 현미 및 콘그릿츠는 40 ~ 60 : 60 ~ 4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며,
상기 과립은 기능성 원료, 현미 분말 및 감미료가 10 ~ 50 : 10 ~ 50 : 1 ~ 25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과립기 또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환 형태의 입자이고,
상기 과립은 평균 입자 크기가 2.0 내지 6.0 mm이며,
상기 기능성 원료는 무기질; 비타민; 단백질; 프로폴리스; 프로바이오틱스; 폴리덱스트로스; 식이섬유; 아미노산; 아미노당; 자일리톨; 프락토올리고당; 콜라겐; 펩타이드; 해조류 추출물 또는 분말; 곡류 추출물 또는 분말; 과일 추출물 또는 분말; 및 채소 추출물 또는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팽화 제형의 건강기능식품 제조용 조성물.20 to 60% by weight of brown rice; 30 to 70% by weight of corn grits; And 1 to 25% by weight of granules;
The brown rice and corn grits ar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40 to 60:60 to 40,
The granules are ring-shaped particles manufactured by using a granulator or extruder to mix functional raw materials, brown rice powder, and sweetener in a weight ratio of 10 to 50:10 to 50:1 to 25,
The granules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of 2.0 to 6.0 mm,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include minerals; vitamin; protein; propolis; probiotics; polydextrose; Dietary Fiber; amino acid; amino sugar; xylitol; Fructooligosaccharide; Collagen; peptide; Seaweed extract or powder; Cereal extract or powder; Fruit extract or powder; A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a health functional food in a puffed formulation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egetable extract or powder.
상기 감미료는 프락토올리고당, 스테비아, 이소말토 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리톨, 설탕, 과당, 수크랄로스, 알룰로스 및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조성물.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weetener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ructooligosaccharide, stevia, isomaltooligosaccharide, xylooligosaccharide, xylitol, sugar, fructose, sucralose, allulose, and erythritol.
과립과 현미 및 콘그릿츠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과립과 현미 및 콘그릿츠의 혼합물은 현미 20 내지 60 중량%, 콘그릿츠 30 내지 70 중량% 및 과립 1 내지 25 중량%;을 포함하고, 상기 현미 및 콘그릿츠는 40 ~ 60 : 60 ~ 40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며,
상기 과립은 기능성 원료, 현미 분말 및 감미료를 10 ~ 50 : 10 ~ 50 : 1 ~ 25의 중량 비율로 포함하고, 평균 입자 크기가 2.0 내지 6.0 mm이고,
상기 기능성 원료는 무기질; 비타민; 단백질; 프로폴리스; 프로바이오틱스; 폴리덱스트로스; 식이섬유; 아미노산; 아미노당; 자일리톨; 프락토올리고당; 콜라겐; 펩타이드; 해조류 추출물 또는 분말; 곡류 추출물 또는 분말; 과일 추출물 또는 분말; 및 채소 추출물 또는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방법.Granulating a mixture of functional raw materials, brown rice powder, sweetener, and solvent into a ring shape using a granulator or extruder;
Obtaining a mixture by mixing granules with brown rice and corn grits; and
Including the step of puffing,
The mixture of the granules and brown rice and corn grits includes 20 to 60% by weight of brown rice, 30 to 70% by weight of corn grits, and 1 to 25% by weight of granules, and the brown rice and corn grits are 40 to 60:60 to 40. Included in weight percentage,
The granules contain functional raw materials, brown rice powder, and sweetener in a weight ratio of 10 to 50:10 to 50:1 to 25, and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of 2.0 to 6.0 mm,
The functional raw materials include minerals; vitamin; protein; propolis; probiotics; polydextrose; Dietary Fiber; amino acid; amino sugar; xylitol; Fructooligosaccharide; Collagen; peptide; Seaweed extract or powder; Cereal extract or powder; Fruit extract or powder; A method for producing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egetable extract or powder.
상기 감미료는 프락토올리고당, 스테비아, 이소말토 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리톨, 설탕, 과당, 수크랄로스, 알룰로스 및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The sweetener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ructooligosaccharide, stevia, isomaltooligosaccharide, xylooligosaccharide, xylitol, sugar, fructose, sucralose, allulose and erythritol.
상기 혼합물을 얻는 단계 시 상기 현미, 콘그릿츠 및 과립은 40 ~ 60 : 60 ~ 40 : 1 ~ 15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는, 제조 방법.According to clause 8,
In the step of obtaining the mixture, the brown rice, corn grits, and granules a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40 to 60:60 to 40:1 to 15.
상기 혼합물을 얻는 단계 시 기능성 원료를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According to clause 8,
A manufactu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dditionally mixing functional raw materials when obtaining the mixture.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04516A KR102688099B1 (en) | 2023-08-10 | 2023-08-10 | Health functional food in puffed formulation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
| PCT/KR2024/095995 WO2025034095A1 (en) | 2023-08-10 | 2024-08-09 | Health functional food in puffed formul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04516A KR102688099B1 (en) | 2023-08-10 | 2023-08-10 | Health functional food in puffed formulation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688099B1 true KR102688099B1 (en) | 2024-07-24 |
Family
ID=9217107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104516A Active KR102688099B1 (en) | 2023-08-10 | 2023-08-10 | Health functional food in puffed formulation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88099B1 (en) |
| WO (1) | WO2025034095A1 (en)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1062106A1 (en) * | 2000-02-22 | 2001-08-30 | N.V. Master Foods S.A. | Cereal snack comprising a body of expanded and bonded cereal grains |
| US20020071892A1 (en) * | 1999-03-29 | 2002-06-13 | Jacque L. Malfait | Puffed food starch produc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KR20170073895A (en) | 2015-12-21 | 2017-06-29 | 경상남도 | Granules for preparing puffed snacks, and method for preparing puffed rice snacks using the same |
| KR101908530B1 (en) * | 2017-06-30 | 2018-10-16 | 한국식품연구원 | Manufacturing method of puffed nuts granule snack and puffed nuts granule snack prepared therefrom |
| KR20210044628A (en) | 2019-10-15 | 2021-04-23 | 주식회사 시나몬바이오 | Popping food composition comprising functional dietary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210078261A (en) * | 2019-12-18 | 2021-06-28 | 농협경제지주 주식회사 | Method of preparing puffing snack by puffing pellet comprising ginseng powder |
-
2023
- 2023-08-10 KR KR1020230104516A patent/KR102688099B1/en active Active
-
2024
- 2024-08-09 WO PCT/KR2024/095995 patent/WO2025034095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20071892A1 (en) * | 1999-03-29 | 2002-06-13 | Jacque L. Malfait | Puffed food starch produc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WO2001062106A1 (en) * | 2000-02-22 | 2001-08-30 | N.V. Master Foods S.A. | Cereal snack comprising a body of expanded and bonded cereal grains |
| KR20170073895A (en) | 2015-12-21 | 2017-06-29 | 경상남도 | Granules for preparing puffed snacks, and method for preparing puffed rice snacks using the same |
| KR101908530B1 (en) * | 2017-06-30 | 2018-10-16 | 한국식품연구원 | Manufacturing method of puffed nuts granule snack and puffed nuts granule snack prepared therefrom |
| KR20210044628A (en) | 2019-10-15 | 2021-04-23 | 주식회사 시나몬바이오 | Popping food composition comprising functional dietary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210078261A (en) * | 2019-12-18 | 2021-06-28 | 농협경제지주 주식회사 | Method of preparing puffing snack by puffing pellet comprising ginseng powder |
Non-Patent Citations (2)
| Title |
|---|
| Liu et al., Nutritional,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extruded products from high-amylose corn grits. Emirates Journal of Food and Agriculture. 2017. 29(11): 846-855 * |
| Photinam and Moongngarm. Effect of rice flour to corn grits ratio and rice bran oil addition on starch digestibility profiles and properties of extruded multigrain puffed snacks. 2023.07., Internation *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25034095A1 (en) | 2025-02-1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2387320B1 (en) | Expanded food product and process of preparation | |
| EP1143811B1 (en) | Food particulate | |
| US20060078593A1 (en) | Nutritional compostions comprising a soluble viscous fiber in a solid crisp matrix | |
| US20100178413A1 (en) | Food-based Supplement Delivery System | |
| HK1224144A1 (en)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weight management and for improving glycemic control | |
| KR101949141B1 (en) | Nutritious cereal bars | |
| ES2655641T3 (en) | Food product comprising different layers | |
| JP3156921B2 (en) | Sugar coating | |
| CN103025171B (en) | There is the nutrition product of the ultrasonic process of the storage period of prolongation | |
| CN109152375A (en) | Particle | |
| AU2017285015B2 (en) | Soft chewable composition comprising psyllium | |
| KR101683223B1 (en) | Popping snack composition comprising functional dietary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CN105614897B (en) | Konjaku glucomannan strawberry Chewable C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80074974A (en) | Cereal bar containing laver | |
| US10327465B2 (en) | Sweetener particles, sweetener particle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 |
| KR102688099B1 (en) | Health functional food in puffed formulation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 |
| CA2559380C (en) | Ready-to-eat dry fruit products and process | |
| CN114794382B (en) | Method for producing a cereal mixture and cereal mixture produced thereby | |
| KR102686431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tapioca pearl with multi layer | |
| KR20110100948A (en) | Colorless Cereal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Cereal | |
| KR20210044628A (en) | Popping food composition comprising functional dietary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WO2021144024A1 (en) | Low sugar shaped snack product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thereof | |
| KR20140063042A (en) | Processed food comprising puffed red ginseng with high absorption pow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 JP7316892B2 (en) | Puffed foo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JP2001120223A (en) | Production of granular food mainly comprising plants and granular food product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