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82815B1 -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 Google Patents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2815B1
KR102682815B1 KR1020230052551A KR20230052551A KR102682815B1 KR 102682815 B1 KR102682815 B1 KR 102682815B1 KR 1020230052551 A KR1020230052551 A KR 1020230052551A KR 20230052551 A KR20230052551 A KR 20230052551A KR 102682815 B1 KR102682815 B1 KR 102682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formation
user terminal
payment
ti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2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호준
Original Assignee
김호준
주식회사 시큐어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준, 주식회사 시큐어랩스 filed Critical 김호준
Priority to KR102023005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28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281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mprises: a circuit breaker; a communication part configured to provide a temporary opening signal for closing to the circuit breaker after temporarily opening the circuit breaker in response to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a first user terminal; a link providing part configured to transmit a remote control link providing an application capable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a circuit breaker control part configured to control the circuit breaker based on receiving a command signal for opening the circuit breaker through the application; a parking fee calculation part calculating a parking fee; and a payment management part configured to transmit a payment link providing payment information for the parking fee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cquire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payment of the parking fee, wherein the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n active state for a specified time, and switch from the active state to an inactive state in response to the elapse of the specified time.

Description

모바일을 이용한 자동식 주차 관리 시스템{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모바일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 to a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차량의 이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차량을 소지한 사용자가 건물을 방문할 경우, 주차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건물은, 차량의 주차를 위한 주차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주차장에 입차 및 출차하는 차량을 사람이 관리할 경우, 주차 관리 인력이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자동화된 시스템에 따라 주차를 관리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As the use of vehicles increases, parking spaces may be needed when users with vehicles visit the building. The building may provide a parking space for parking vehicles. When humans manage vehicles entering and exiting a parking lot, separate parking management personnel are needed, so a parking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parking according to an automated system is being used.

자동식 주차 관리 시스템의 경우, 입차하는 차량을 위한 차단기와 출차하는 차량을 위한 차단기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차단기는,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소형 건물의 경우, 복수의 차단기들을 구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형 상가의 경우, 주차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입차와 출차를 동시에 관리하는 하나의 차단기만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기를 개방하는 리모컨을 통해, 입주자들은 출입이 가능하고, 방문자의 경우, 입주자가 리모컨으로 차단기를 열어주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차장 이용이 번거로울 수 있다. In the case of an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a breaker for vehicles entering and a breaker for vehicles leaving may be provided separately. Since circuit breakers occupy a significant amount of space, it may be difficult to provide multiple circuit breakers in small building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mall shopping mall, because there is a shortage of parking space, only one circuit breaker can be installed to simultaneously manage entry and exit. For example, residents can enter and exit through a remote control that opens the circuit breaker, and in the case of visitors, using the parking lot can be cumbersome because the resident needs to open the circuit breaker with a remote control.

상술한 정보는 본 개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배경 기술(related art)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 중 어느 것도 본 개시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prior art)로서 적용될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어떠한 주장이나 결정이 제기되지 않는다.The abov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s background art for the purpose of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disclosure. No claim or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any of the foregoing may apply as prior art with respect to the present disclosure.

일반적인 자동식 주차 관리 시스템의 경우,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차단기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을 소유한 사람이 방문자를 위해 차단기를 열어줄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또는, 자동식 차단기의 경우, 입차 시 자동을 개방될 수 있으나, 출차 시 주차 요금 정산 과정을 통해 개방되므로, 출차 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typical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it may be necessary for a person with a remote control to control the barriers installed at the parking lot entrance to open the barriers for visitors.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an automatic circuit breaker, it may be opened automatically when entering the car, but it is opened through a parking fee settlement process when leaving the car, so it may take time to leave the car.

또한, 주차장을 부정으로 이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차단기가 부정 사용자를 인식하거나, 부정 사용자의 입차를 차단할 수 없다. 부정 사용자가 주차장을 이용할 경우, 실제로 주차장을 이용해야 할 차량을 위한 주차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case of a user using the parking lot illegally, the blocker cannot recognize the illegal user or block the illegal user from entering the car. If unauthorized users use the parking lot, there may not be enough parking space for vehicles that actually need to use the parking lot.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은, 하나의 차단기가 차량의 입차와 출차를 관리할 수 있고, 차량의 사용자가 차단기를 제어하여 출차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주자창을 이용할 수 있다. In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ne breaker can manage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and the user of the vehicle can control the breaker to exit the vehicle, so the parking window can be easily used.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is docu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고유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차단기, 상기 식별자를 통한 통신 채널의 수립을 요청하는 통신 신호를 송신한 제1 사용자 단말기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상기 통신 채널을 수립하며, 상기 통신 채널의 수립에 응답하여 상기 차단기를 일시적으로 개방한 후, 폐쇄하기 위한 일시적 개방 신호를 상기 차단기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리모컨 링크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링크 제공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단기를 개방하기 위한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명령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차단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차단기 제어부, 차량이 주차장을 이용한 시간에 기반하여, 주차 요금을 계산하는 주차 요금 계산부 및 상기 주차 요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결제 링크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주차 요금이 결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결제 완료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결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지정된 시간동안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활성화 상태로부터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 parking lot entrance, identifies a circuit breaker including a unique identifier, and a first user terminal that transmits a communication signal requesting establishment of a communication channel through the identifier,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establish the communication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temporarily open the circuit breaker in response to establishment of the communication channel, and then provide a temporary opening signal to the circuit breaker to close the circuit breaker; A link provider configured to transmit a remote control link providing an application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reak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a command signal for opening the breaker through the application, and Based on a command signal, a breaker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circuit breaker, a parking fee calculator that calculates the parking fee based on the time the vehicle used the parking lot, and a payment link that provides payment information for the parking fee. 1. A payment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o a user terminal and obtain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parking fee being paid, wherein the application maintains an active state for a specified time and responds when the specified time has elapsed. In response,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ition from the activated state to the deactivated sta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 제공부는, 상기 결제 관리부로부터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리모컨 링크를 재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nk provider may be configured to retransmit the remote control link to the first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obtaining the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payment management un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비활성 상태 내에서, 상기 결제 관리부로부터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획득함에 응답하여,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to switch from the inactive state to the activated state in response to obtaining the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payment management unit within the inactive sta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관리부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무료 주차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차 요금을 계산할 때, 상기 이용 시간과 상기 무료 주차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이용 시간이 상기 무료 주차 시간을 초과하는 것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상기 이용 시간에서 상기 무료 주차 시간을 제외한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주차 요금을 계산하고, 상기 이용 시간이 상기 무료 주차 시간 이하임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yment management unit obtains information about the free parking time for the vehicle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compares the use time and the free parking time when calculating the parking fee, and In response to identifying that the usage time exceeds the free parking time, calculating the parking fee based on the usage time minus the free parking time, and in response to identifying that the usage tim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ree parking time. Thus, 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 주차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DB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DB 관리부는, 상기 차량의 상기 주차에 대한 정보가 비정상 상태임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 주차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블랙리스트에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DB management unit that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information about parking, an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DB management unit is configured to stor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park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identifying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is in an abnormal state, the blacklist may be configured to updat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information about parking, an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B 관리부는, 상기 블랙리스트에 업데이트된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 상기 주차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B management un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information about parking, an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terminal updated in the blacklist to the manager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B 관리부는, 상기 블랙리스트에 업데이트된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지정된 기관 서버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B management un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an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terminal updated in the blacklist to a designated organization serv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B 관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식별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업데이트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에 대응함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부로 상기 일시적 개방 신호의 제공을 중단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B management unit,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terminal identifi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terminal updated in the blacklist, sends the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request to stop providing a temporary open sig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장 입구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DB 관리부는, 상기 블랙리스트에 업데이트된 상기 주차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에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상을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further includes a camera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entrance to the parking lot, and the DB management unit extracts an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at a time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updated in the blacklist. ,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extracted video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은, 하나의 차단기를 통해, 사용자가 쉽게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시스템은, 간편하고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주차장을 관리할 수 있다.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provide a system that allows users to easily use a parking lot through a single breaker.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can manage parking lots through a simple and efficient process.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료 주차 시간 내에 직접 차단기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llows the user to directly control the circuit breaker within the free parking time through an application,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malfunctions.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은, 부정 사용자의 경우 차단기가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부정 사용자의 차량은, 주차장 입구를 통과하지 못하고, 주차장 이용이 미연에 차단될 수 있으므로, 부정 사용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prevents fraudulent use because the circuit breaker is not opened in the case of an unauthorized user, the vehicle of the unauthorized user cannot pass through the parking lot entrance, and use of the parking lot may be blocked in advance. You can.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according to an embodiment) 주차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차량이 주차장 입구에 진입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제1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부 사이의 통신 채널의 수립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제1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도시한다.
도 6은,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수신된 결제 링크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a,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블랙리스트 관리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b는, 관리자 단말기를 도시한다.
도 9는, 부정 사용자가 주자창에 재진입을 시도할 때, 주차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a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shows a state in which a vehicle enters the parking lot entrance.
Figure 4 shows the establishment state of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unit.
Figure 5 shows an application displayed on a first user terminal.
Figure 6 shows a payment link receiv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a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8A is a flowchart showing a blacklist management operation of a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b shows an administrator terminal.
Figure 9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when an unauthorized user attempts to re-enter the parking lo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according to an embodiment) 주차 관리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차단기(110), 통신부, 링크 제공부(130), 차단기 제어부(140), 주차 요금 계산부(150), 결제 관리부(160), DB(database) 관리부(170), 및/또는 카메라(18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reaker 110, a communication unit, a link provider 130, a breaker control unit 140, a parking fee calculation unit 150, and a payment management unit ( 160), a database (DB) management unit 170, and/or a camera 18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기(110)는, 주차장 입구(330)에 설치될 수 있다. 차단기(110)는, 주차장 입구(330)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기(110)는, 차단봉(112)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110)는, 차단봉(112)이 닫힌(closed) 상태 내에서, 주차장 입구(330)를 폐쇄함으로써 차량(310)의 진입을 저지할 수 있다. 차단기(110)는, 차단봉(112)이 열린(opened) 상태 내에서, 주차장 입구(330)를 개방함으로써 차량(310)의 진입을 허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ircuit breaker 110 may be installed at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The circuit breaker 110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For example, the circuit breaker 110 may include a blocking rod 112. The circuit breaker 110 can block the entry of the vehicle 310 by closing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while the blocking rod 112 is closed. The circuit breaker 110 may allow entry of the vehicle 310 by opening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while the blocking rod 112 is in an open sta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는, 차량(310)의 사용자(예: 운전자)가 보유한 제1 사용자 단말기(210), 주차장이 설치된 상가 건물(320)의 사용자가 보유한 제2 사용자 단말기(220), 및 주차 관리 시스템(100)을 통제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기(23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210)는,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기기(예: 스마트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가 건물(320)의 사용자는, 상가 건물(320)의 적어도 일부를 소유하거나 임대하여, 상가 건물(320)을 점유하는 점유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가 건물(320)의 사용자는, 상가 건물(320)의 상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210)가 통신 채널(CH)의 수립을 요청하는 통신 신호를 주차 관리 시스템(100)으로 송신하면, 통신부는, 상기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210)와 통신 채널(CH)을 수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채널(CH)은, 무선 전화를 통해 수립되는 무선 전화 통신 채널(CH)(예: 공중 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재래 전화 서비스(POTS, Plain Old Telephone Servic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채널(CH)은, QR 코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채널(CH), RF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채널(CH)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한되지 않는 예시로서, 유선 전화를 통해 수립되는 통신 채널(CH)의 예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first user terminal 210 held by a user (e.g., a driver) of the vehicle 310, a second user terminal 220 held by a user of a commercial building 320 where a parking lot is installed, and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administrator terminal 230 for controlling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For example, the first user terminal 210 may be a mobile device (eg, a smartphone) owned by the user. For example, a user of the commercial building 320 may mean an occupant who occupies the commercial building 320 by owning or renting at least part of the commercial building 320 . For example, a user of the commercial building 320 may be a merchant of the commercial building 3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210 transmits a communication signal requesting establishment of a communication channel (CH) to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sends the first user terminal ( 210) and may be configured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CH).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channel (CH) is a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channel (CH) established through a wireless telephone (e.g.,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Plain Old Telephone Service (POTS) )),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channel (CH) may include a communication channel (CH) that can be connected through a QR code, and a communication channel (CH) that can be connected through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F signals. As a non-limiting example,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channel (CH) established via a landline telephone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 제공부(13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 차단기(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리모컨 링크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모컨 링크는, 문자나 다른 어플리케이션 메시지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310)의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 수신된 리모컨 링크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예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nk provider 13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remote control link that provides an application tha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110 to the first user terminal 210. The remote control link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210 through text or another application message. For example, the user of the vehicle 310 can use the application through the remote control link receiv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210. An example of the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기 제어부(14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단기(110)를 개방하기 위한 명령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40)는, 명령 신호에 기반하여 차단기(1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ircuit breaker control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command signal for opening the circuit breaker 110 through an application. The breaker control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breaker 110 based on a command sig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 요금 계산부(150)는, 차량(310)이 주차장을 이용한 이용 시간에 기반하여, 주차 요금을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요금 계산부(150)는, 시간 당 주차 요금과 이용 시간에 기반하여, 차량(310)의 주차 요금을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rking fee calculation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the parking fee based on the time the vehicle 310 uses the parking lot. For example, the parking fee calculation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the parking fee for the vehicle 310 based on the hourly parking fee and usage ti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관리부(160)는, 주차 요금에 대한 결제를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사용자에 의해 주차 요금이 결제되면, 결제 완료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may be configured to request payment for the parking fee from the user and, when the parking fee is paid by the user, perform payment completion process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DB 관리부(170)는, 주차장을 이용한 차량(310)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B 관리부(170)는, 후술될 블랙리스트(171)를 별도로 리스트 업하고, 블랙리스트(171)를 관리함으로써, 불법 주차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B management unit 170 may be configured to store and manag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310 using the parking lot. The DB management unit 170 can perform operations to prevent illegal parking in advance by separately listing the blacklist 17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managing the blacklist 171.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180)는, 주차장 입구(330)를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80)는, 불특정 다수(예: 관리자)에게 주차장 입구(330)의 영상을 보여주는,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 Closed-circuit Television)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80)를 통해 촬영된 주차장 입구(330)의 영상은, 일부 추출되어 관리자 단말기(230)로 송신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주차장 입구(330)의 촬영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mera 180 may be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For example, the camera 180 may include a 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that shows an image of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eg, a manager). The image of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captured through the camera 180 may be partially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230. The manager can check the captured video of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in real time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이 설명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차량(310)이 주차장 입구(330)에 진입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제1 사용자 단말기(210)와 통신부 사이의 통신 채널(CH)의 수립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제1 사용자 단말기(21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도시한다. 도 6은,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 수신된 결제 링크를 도시한다. Figure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310 has entered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Figure 4 shows the establishment state of a communication channel (CH) between the first user terminal 2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FIG. 5 shows an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first user terminal 210. Figure 6 shows a payment link receiv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210.

도 2를 참조하면, 동작 201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부터, 통신부로 통신 채널(CH)의 수립을 요청하기 위한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in operation 201,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10 to request establishment of a communication channel (CH) to the communication unit.

도 3을 참조하면, 차량(310)은, 주차장 입구(330)를 통해, 주차장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310)의 사용자는, 상가 건물(320)을 이용하기 위해, 주차장 공간(340)의 이용이 필요할 수 있다. 차량(310)이 주차 공간(340)을 사용하기 위해서, 주차장 입구(330)를 통과가 필요할 수 있다. 주차장 입구(330)는, 차단기(11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차량(310)의 사용자는, 주차장으로 진입하기 위해, 차단기(110)에 부착된 차단기(110)의 고유의 식별자(예: 고유 번호(111))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유 번호(111)는, 전화번호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상기 고유 번호(111)인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동작은, 통신부로 통신 채널(CH)의 수립을 요청하는 동작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vehicle 310 may enter the parking lot through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 For example, a user of vehicle 310 may need to use parking space 340 in order to use commercial building 320 . In order for the vehicle 310 to use the parking space 340, it may need to pass through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can be kept closed by the circuit breaker 110. The user of the vehicle 310 may check the unique identifier (eg, unique number 111) of the breaker 110 attached to the breaker 110 in order to enter the parking lot. For example, the unique number 111 may be a phone number. Referring to FIG. 4, the user can make a call to the phone number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210. The operation of a user calling the phone number of the unique number 111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210 may be an operation of request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CH).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통신 신호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210)와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CH)을 수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부터 송신된 전화를 수신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기(210)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210)에 할당된 고유 번호(예: 전화번호)를 통해, 통신부는, 제1 사용자 단말기(210)를 식별할 수 있다. 통신부는, 통신 채널(CH)의 수립을 요청하는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210)와 통신 채널(CH)을 수립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be configured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CH) for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210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communication signal.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may identify the first user terminal 210 by receiving a call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10 .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may identify the first user terminal 210 through a unique number (eg, phone number) assign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210. The communication unit may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CH)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210 in response to receiving a communication signal requesting establishment of the communication channel (CH).

동작 202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통신 채널(CH)의 수립에 응답하여, 차단기(110)를 개방함으로써, 주차장 입구(330)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통신 채널(CH)의 수립에 응답하여, 차단기(110)를 일시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일시적 개방 신호를 차단기(11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단기(110)는, 통신부로부터 상기 일시적 개방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차단봉(112)을 이동시켜 개방될 수 있다. 차단기(110)가 개방되면, 주차장 입구(330)를 가로막는 차단봉(112)이 이동함으로써, 주차장 입구(330)가 일시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차량(310)은, 개방된 주차장 입구(330)를 통과하여, 주차장 안으로 진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만 하면, 차단기(110)가 개방되기 때문에, 주차장 입차가 편리하고 간소해질 수 있다. At operation 202,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open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by opening the breaker 110 in response to establishment of a communication channel (CH).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temporary opening signal to the circuit breaker 110 to temporarily open the circuit breaker 110 in response to establishment of a communication channel (CH). The circuit breaker 110 may be opened by moving the blocking rod 112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temporary opening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circuit breaker 110 is opened, the blocking rod 112 blocking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moves, so that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may be temporarily opened. The vehicle 310 may pass through the open parking lot entrance 330 and enter the parking lot. Since the circuit breaker 110 is opened when the user makes a call, entering the parking lot can be convenient and simp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기(110)를 일시적으로 개방함"은, 차단기(110)가 일정한 시간 동안 오픈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기(110)는, 통신부로부터 일시적 개방 신호를 수신하면, 차단봉(112)이 일정 시간 동안 위로 올라가도록, 차단봉(112)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차단기(110)는, 차단봉(112)을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폐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차단기(110)는, 차량(310)이 주차장 입구(330)를 통과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한 센서를 통해, 차량(310)이 주차장 입구(330)를 통과하여 주차장 내로 진입하면,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폐쇄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emporarily opening the circuit breaker 110” may mean that the circuit breaker 110 is ope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xample, when the circuit breaker 110 receives a temporary opening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unit, the circuit breaker 110 may control the blocking rod 112 so that the blocking rod 112 moves up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circuit breaker 110 can be closed by controlling the blocking rod 112 to move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another example, when the vehicle 310 passes through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and enters the parking lot, the circuit breaker 110 uses a sensor to identify that the vehicle 310 passes through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It may be closed before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동작 203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리모컨 링크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제공부(130)는, 통신부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 차단기(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리모컨 링크를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링크"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상기 링크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링크를 통해서만 접속 가능할 수 있다. In operation 203,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transmit a remote control link providing an application to the first user terminal 210. For example, the link provider 130 provides a remote control link that provides an application tha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110 to the first user terminal 2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In the present disclosure, “link” may mean a connection means that can access the application. For example, the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210 can access the application through the link. The application may be accessible only through the link.

도 5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기(210)가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차단기(110)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시각적 객체(211)(예: UI(User Interface)) 및 주차장 사용 안내 문구가 기재된 제2 시각적 객체(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2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면, 제1 시각적 객체(211) 및 제2 시각적 객체(212)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각적 객체(212)는, 주차장 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각적 객체(212)는, 주차장 이용 시간의 산정 기준, 출차 방법, 무료 주차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user terminal 210 is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For example, the application includes a first visual object 211 (e.g., User Interface (UI)) configured to receive a user input capable of controlling the circuit breaker 110 and a second visual object containing a parking lot usage guide ( 212) may be included. When accessing the application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210, the first visual object 211 and the second visual object 212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the second visual object 212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parking lot use. For example, the second visual object 212 may include a calculation standard for parking lot usage time, a method for exiting the parking lot, free parking time, etc.

동작 204 내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지정된 시간이 경과됨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상태로부터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은, 지정된 시간 동안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활성화 상태로부터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상태는, 제1 시각적 객체(211)를 통한 차단기(110)의 제어가 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비활성화 상태는, 제1 시각적 개체를 통한 차단기(110)의 제어가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Within operation 204, the application may transition from an active state to a deactivated state in response to the passage of a specified time peri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to remain active for a specified time and to transition from the activated state to the deactivated state in response to the passage of the specified time. For example, the activation state of the application may mean that the circuit breaker 110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first visual object 211. For example, the deactivated state of the application may mean that control of the circuit breaker 110 through the first visual object is impossible.

예를 들어, 도 5의 상태 500a는,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링크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210)가 어플리케이션에 지정된 시간 경과하기 전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다. 상태 500a를 참조하면, 링크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210)가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면, 제1 시각적 객체(211)는, 차단기(110)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시각적 객체(211)를 클릭하거나 제1 시각적 객체(211)에 터치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시각적 객체(21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어플리케이션은, 차단기(110)를 개방하기 위한 명령을 차단기 제어부(140)로 송신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40)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명령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차단기(11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상태로 참조될 수 있다. For example, state 500a of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user terminal 210 is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before the specified time has elapsed through a link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Referring to state 500a,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210 accesses the application through a link, the first visual object 211 may receive a user input that can control the circuit breaker 110. For example, the user may click the first visual object 211 or provide a touch input to the first visual object 211 . When a user input for the first visual object 211 is received, the application may transmit a command to open the breaker 110 to the breaker control unit 140. The circuit breaker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circuit breaker 110 to be opened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command from the application. This state may be referred to as the activation state of the application.

예를 들어, 도 5의 상태 500b는,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링크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210)가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상태를 도시한다. 상태 500b를 참조하면, 링크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210)가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어플리케이션은, 활성화 상태로부터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비활성화 상태 내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제1 시각적 객체(211)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활성화 상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단기(110)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지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차량(310)이 출차하기 위해서는, 주차 요금의 계산이 필요할 수 있다.For example, state 500b of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a specifi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first user terminal 210 accesses the application through a link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Referring to state 500b, when a specified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user terminal 210 accesses the application through a link, the application may be switched from the activated state to the deactivated state. Within the deactivation state, the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not to receive user input by deactivating the first visual object 211 . Since the circuit breaker 110 is not opened through the application in an inactive state, a parking fee may need to be calculated in order for the vehicle 310 to exit after a designated time has elapsed.

동작 205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차량(310)이 출차할 때, 차량(310)이 주차장을 이용한 시간에 기반하여, 주차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In operation 205,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calculate a parking fee based on the time the vehicle 310 used the parking lot when the vehicle 310 leaves the parking lot.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기(210)를 통해, 통신부와 통신 채널(CH)을 수립하는 시점에서, 입차 시간이 서버에 기록될 수 있다. 차량(310)이 주차장을 이용한 이용 시간은, 입차 시간으로부터 출차 시간까지 소요된 시간일 수 있다. 출차 시간은 사용자가 출차를 하기 위해 차단기 열기 동작을 수행하거나, 결제하기 동작을 수행하는 때로 결정될 수 있다. 주차 요금 계산부(150)는, 상기 이용 시간에 기반하여, 주차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요금 계산부(150)는, 시간 당 주차 요금을 주차 시간에 곱하여 주차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hannel (CH) with the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210, the entry time may be recorded in the server. The usage time of the vehicle 310 using the parking lot may be the time elapsed from the time of entering the vehicle to the time of exiting the vehicle. The exit time may be determined as when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to open the circuit breaker or perform a payment operation to exit the vehicle. The parking fee calculation unit 150 may calculate the parking fee based on the usage time. For example, the parking fee calculator 150 may calculate the parking fee by multiplying the hourly parking fee by the parking time.

동작 206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결제 링크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관리부(160)는, 주차 요금 계산부(150)로부터 계산된 주차 요금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주차 요금을 계산할 수 있는 결제 링크를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 송신할 수 있다 In operation 206,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transmit a payment link providing payment information to the first user terminal 210. For example,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may transmit a payment link for calculating the parking fee to the first user terminal 210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fee calculated from the parking fee calculation unit 150. there is

도 6을 참조하면, 결제 링크를 수신한 제1 사용자 단말기(210)에, 주차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제3 시각적 객체(213)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하는 제4 시각적 객체(214)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시각적 객체(213)는, 날짜, 시간, 차량(310)의 입차 시간, 주차장을 이용한 이용 시간, 주차 요금에 대한 정보, 및 정산 완료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정산 완료 시간은, 결제가 이루어진 후 결제가 완료된 시점의 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시각적 객체(214)는, 결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4 시각적 객체(214)를 클릭하거나 터치 입력을 제공하면, 계산된 주차 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카드 사 또는 은행에서 제공한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주차 요금이 결제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 시각적 객체(214)는, 입차 시간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주차 요금이 발생한 경우, 결제가 완료되어야 출차가 가능하다는 안내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third visual object 213 representing parking-related information and a fourth visual object 214 including a payment function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user terminal 210 that has received the payment link. . For example, the third visual object 213 may display the date, time, entry time of the vehicle 310, use time of the parking lot,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fee, and settlement completion time. The settlement completion time may be updated to the time when the payment is completed after the payment is made. For example, the fourth visual object 214 may provide a payment function. When the user clicks on the fourth visual object 214 or provides a touch input, the parking fee may be connected to another application (e.g., an application provided by a credit card company or bank) that can pay the calculated parking fee. there is. Additionally, the fourth visual object 214 may include a guidance message indicating that if a parking fee is incurred after a designat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parking entry time, the vehicle can be exited only after payment is completed.

동작 207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결제 완료 정보를 획득함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활성화하거나 또는 리모컨 링크를 재송신할 수 있다. In operation 207,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reactivate the application or retransmit the remote control link in response to obtaining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동작 206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 전송된 결제 링크를 통해, 사용자가 주차 요금을 결제하면, 결제 관리부(160)는, 주차 요금이 결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결제 완료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제 관리부(160)에 결제 완료 정보가 획득되는 것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이 다시 활성화되거나, 또는 링크 제공부(130)가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 리모컨 링크를 재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operation 206, when the user pays the parking fee through the payment link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210,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provides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parking fee being paid. It can be configured to obtain. Based on the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being obtained from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the application may be activated again, or the link provider 130 may be configured to retransmit the remote control link to the first user terminal 210.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결제 링크를 통해, 주차 요금을 결제한 경우, 결제 관리부(160)는, 결제 완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결제 관리부(160)가, 결제 완료 정보를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활성화시키거나 링크 제공부(130)가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 리모컨 링크를 재송신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상태 500c는,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상태를 도시한다.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시각적 객체(211)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시각적 객체(21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은, 차단기(110)를 개방하기 위한 명령을 차단기 제어부(140)로 송신하고, 차단기 제어부(140)는, 차단기(11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단기(110)가 개방되면, 차량(310)이 주차장으로부터 출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pays a parking fee through a payment link,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may obtain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obtaining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reactivates the application or the link provider 130 retransmits the remote control link to the first user terminal 210. can do. Referring again to FIG. 5, state 500c of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an application has been converted from a deactivated state to an activated state. As the application switches to the activated state, the user may provide user input to the first visual object 211.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first visual object 211, the application transmits a command to open the breaker 110 to the breaker control unit 140, and the breaker control unit 140 opens the breaker 110. can be controlled to open. When the circuit breaker 110 is opened, the vehicle 310 can leave the parking lot.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결제 링크를 통해, 주차 요금을 결제한 경우, 결제 관리부(160)는, 결제 완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결제 관리부(160)는, 결제 완료 정보를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결제완료 정보를 제공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링크 제공부(130)는, 결제 관리부(160)로부터, 결제 완료 정보를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 리모컨 링크를 재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 리모컨 링크가 재송신되면, 재송신된 리모컨 링크를 통해, 활성화 상태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활성화 상태의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시각적 객체(211)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시각적 객체(21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은, 차단기(110)를 개방하기 위한 명령을 차단기 제어부(140)로 송신하고, 차단기 제어부(140)는, 차단기(11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단기(110)가 개방되면, 차량(310)이 주차장으로부터 출차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when a user pays a parking fee through a payment link,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may obtain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may provide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provider in response to obtaining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The link provider 130 may be configured to retransmit the remote control link to the first user terminal 210 in response to obtaining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When the remote control link is re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210, the user can use the application in an activated state again through the retransmitted remote control link. The user may provide user input to the first visual object 211 of the application in an activated state.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first visual object 211, the application transmits a command to open the breaker 110 to the breaker control unit 140, and the breaker control unit 140 opens the breaker 110. can be controlled to open. When the circuit breaker 110 is opened, the vehicle 310 can leave the parking lot.

상술한 바와 같이,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하나의 차단기(110)를 통해, 사용자가 쉽게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100)을 제공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간편하고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주차장을 관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can provide a system 100 that allows users to easily use the parking lot through one breaker 110.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can manage a parking lot through a simple and efficient process.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상술한 지정된 시간은, 무료 주차 시간으로 참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가 건물(320)의 사용자는, 상가를 방문한 고객을 위해, 무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designated times described above may be referred to as free parking times. For example, users of the commercial building 320 may provide free parking services to customers who visit the commercial building.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1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제2 사용자 단말기(220)로부터, 주차장 입구(330)를 통과하여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310)에 대한 무료 주차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관리부(160)는, 제2 사용자 단말기(220)로부터 차량(310)에 대한 무료 주차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가 건물(320)의 일부에서 영업을 영위하는 상가 건물(320)의 사용자는, 자신의 상가를 방문한 고객의 차량(310)에 대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기(220)에 입력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기(220)는, 주차 관리 시스템(100)과 연동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상가 건물(320)의 사용자는, 고객의 차량(310)에 대한 정보(예: 차량(310) 번호)를 제2 사용자 단말기(220)에 입력할 수 있다. 무료 주차 시간에 대한 정보는, 제2 사용자 단말기(220)에 입력된 고객의 차량(31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가 건물(320)의 사용자가 제2 사용자 단말기(220)에 고객의 차량(310)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지정된 무료 주차 시간이 해당 차량(310)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료 주차 시간은, 30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7, in operation 701,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receives,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220, information about free parking time for the vehicle 310 parked in the parking lot after passing through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or example,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free parking time for the vehicle 310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220. For example, a user of a commercial building 320 who conducts business in a part of the commercial building 320 may input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310 of a customer who visited his or her commercial building into the second user terminal 220. You can. The second user terminal 220 may be a terminal device linked to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The user of the commercial building 320 may input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s vehicle 310 (eg, vehicle 310 number) into the second user terminal 220. Information about free parking tim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s vehicle 310 input into the second user terminal 220. When the user of the commercial building 320 inputs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s vehicle 310 into the second user terminal 220, a designated free parking time may be allocated to the vehicle 310. For example, the free parking time may be set to 30 minut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동작 702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이용 시간과 무료 주차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관리부(160)는, 주차 요금을 계산할 때, 이용 시간과 무료 주차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관리부(16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10)와 통신부 사이의 통신 채널(CH)이 수립된 시점으로부터, 차량(310)이 출차를 위해 차단기(110)에 인접한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을 통해, 이용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결제 관리부(160)는, 상기 이용 시간과 무료 주차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In operation 702,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compare usage time and free parking time. For example,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may compare the usage time and free parking time when calculating the parking fee. For example,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operates from the time when the communication channel (CH) between the first user terminal 2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is established to the time when the vehicle 310 is adjacent to the circuit breaker 110 for exit. Using the time required, the usage time can be calculated.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may compare the usage time and free parking time.

동작 703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이용 시간이 무료 주차 시간 이하임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결제 완료 정보를 결제 관리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관리부(160)는, 무료 주차 시간 이내의 이용 시간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결제 과정 없이, 결제가 완료된 것으로 처리하고, 결제 완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operation 703,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provide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in response to identifying that the usage tim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ree parking time. For example, in response to identifying the usage time within the free parking time,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may process the payment as completed without a payment process and provide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 제공부(130)를 통해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은, 제1 사용자 단말기(210)가 접속한 순간부터, 무료 주차 시간(예: 30분) 동안 활성화 상태 내에서 있을 수 있다. 차량(310)이 차단기(110)를 통과하여 주차장에 주차된 후, 출차를 위해 차단기(110)에 인접할 때, 주차 요금 계산부(150)는, 주차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30분 이내의 시간 동안 주차장을 이용한 경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제1 시각적 객체(211)를 통해, 차단기(110)를 개방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활성화 상태의 어플리케이션은, 차단기(110)를 개방하기 위한 명령을 차단기 제어부(140)로 송신하고, 차단기 제어부(140)는, 차단기(11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주차 요금 없이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다. 결제 관리부(160)는, 무료 주차 시간 이내의 시간동안 주차한 차량(310)에 대해서,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았더라도, 결제가 완료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ion provided through the link provider 130 may be in an activated state for a free parking period (eg, 30 minutes) from the moment the first user terminal 210 is connected. After the vehicle 310 passes the barrier 110 and is parked in the parking lot, when the vehicle 310 approaches the barrier 110 to take out, the parking fee calculation unit 150 may calculate the parking fee. At this time, if the user used the parking lot for less than 30 minutes, the user may input a user input to open the circuit breaker 110 through the first visual object 211 of th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in the activated state may transmit a command to open the circuit breaker 110 to the circuit breaker control unit 140, and the circuit breaker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circuit breaker 110 to be opened. Users can use the parking lot without parking fees.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may process payment as completed even if payment has not been made for the vehicle 310 parked within the free parking time.

동작 704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이용 시간이 무료 주차 시간을 초과하는 것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이용 시간에서 무료 주차 시간을 제외한 시간에 기반하여 주차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관리부(160)는, 이용 시간에서 무료 주차 시간을 제외한 시간에 시간 당 주차 요금을 곱함으로써, 주차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At operation 704,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in response to identifying that the usage time exceeds the free parking time, may calculate a parking fee based on the usage time minus the free parking time. For example,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may calculate the parking fee by multiplying the hourly parking fee by the time excluding the free parking time from the usage time.

동작 705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동작 704에서 계산된 주차 요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결제 링크를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관리부(160)는, 주차 요금 계산부(150)로부터 계산된 주차 요금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주차 요금을 계산할 수 있는 결제 링크를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 송신할 수 있다. 동작 705는, 도 2의 동작 206으로 참조될 수 있다. In operation 705,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transmit a payment link providing payment information for the parking fee calculated in operation 704 to the first user terminal 210. For example,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may transmit a payment link for calculating the parking fee to the first user terminal 210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fee calculated from the parking fee calculation unit 150. there is. Operation 705 may be referred to as operation 206 of FIG. 2 .

동작 707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주차 요금이 결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결제 완료 정보를 결제 관리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관리부(160)는, 결제 완료 정보를 획득함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활성화하거나 또는 리모컨 링크를 재송신할 수 있다. 동작 707은, 도 2의 동작 207로 참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단기(110)를 개방하고 출차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단말기(210)로 제공된 리모컨 링크를 통해,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단기(110)를 개방하고 출차할 수 있다. In operation 707,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provide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in response to the parking fee being paid. For example,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may reactivate the application or retransmit the remote control link in response to obtaining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Operation 707 may be referred to as operation 207 of FIG. 2 . The user can open the circuit breaker 110 and exit the vehicle through a reactivated application, or open the circuit breaker 110 and exit the vehicle through a new application through a remote control link provid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210. .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하나의 차단기(110)만 설치되더라도, 무료 주차 시간을 계산하여 사용자의 주차 요금을 계산하고, 사용자의 주차를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전환하여, 별도의 관리 절차가 없더라도, 자동으로 무료 주차 시간 내에서 출차가 가능하고, 무료 주차 시간을 넘은 경우, 결제를 통해 출차하도록 주차를 관리함으로써, 별도의 관리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종래의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무료 주차 시간 내에 출차할 때, 관리 서버를 통해 차단기(110)를 제어하였으므로, 출차할 때 차단기(110) 앞에서 시간이 소요되거나 또는 서버 오류로 무료 주차 시간 내라도 결제 요금이 부과되는 오작동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료 주차 시간 내에 직접 차단기(110)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calculate the user's parking fee by calculating the free parking time and manage the user's parking, even if only one breaker 110 is installed. In particular, by switching the activation/deactivation status of the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exit within the free parking time even without separate management procedures, and by managing parking to exit through payment when the free parking time is exceeded, separate parking is required. Maintenance may not be required. The conventional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controls the breaker 110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when exiting the parking lot within the free parking time, so time is spent in front of the breaker 110 when exiting the parking lot, or the free parking time is not allowed due to a server error. There may be malfunctions that result in additional payment charges. However,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llows the user to directly control the circuit breaker 110 within the free parking time through an application, so unnecessary malfunctions can be prevented.

도 8a,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100)의 블랙리스트(171) 관리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b는, 관리자 단말기(230)를 도시한다. FIG. 8A is a flowchart showing a blacklist 171 management ope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b shows the manager terminal 230.

예를 들어, 주차장을 이용한 후, 주차 요금 정산 없이 부정한 방법으로 출차함으로써, 주차장을 불법적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존재할 수 있다. 부정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주차장을 이용할 경우, 주차장의 공간이 부족하여, 실제로 주차가 필요한 사용자의 주차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DB 관리부(170)를 통해, 부정 사용자에 대한 관리를 위한 블랙리스트(171)를 관리하고, 부정 사용자의 주차장 진입을 처음부터 차단하거나, 부정 사용자를 자동으로 신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re may be users who use the parking lot illegally by leaving the parking lot in an illegal manner without paying the parking fee. If illegal users repeatedly use the parking lot, there may be a case where parking is not possible for users who actually need parking due to insufficient space in the parking lot.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nages a blacklist 171 for management of fraudulent users through the DB management unit 170, blocks unauthorized users from entering the parking lot from the beginning, or blocks unauthorized users from entering the parking lot. can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eport.

일 실시예에 따르면, DB 관리부(170)는, 주차장을 이용한 차량(310)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310)에 대한 정보(예: 차종, 차량(310) 번호 등), 주차에 대한 정보(예: 주차 이용 일자, 주차 이용 시간 등), 및 제1 사용자 단말기(210)에 대한 정보(예: 제1 사용자 단말기(210)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210)와 통신부 사이의 통신 채널(CH)이 수립되면, DB 관리부(17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21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관리부(160)는, 차량(310)의 주차 이용 시간, 일자,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에 대한 정보 DB 관리부(170)로 제공하고, DB 관리부(170)는, 이를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B management unit 17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310 using the parking lot.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310 (e.g., vehicle type, vehicle 310 number, etc.), information about parking (e.g., parking use date, parking use time, etc.), and the first user terminal 210. Information (eg, phone numb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210) can be stored. For example, when a communication channel (CH) is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user terminal 2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the DB management unit 17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terminal 210. For example,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provides information about parking, including the parking use time, date, and pay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310, to the DB management unit 170, and the DB management unit 170 can store this. there is.

도 8a를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주차에 대한 정보가 비정상 상태임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블랙리스트(171)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B 관리부(170)는, 결제 관리부(160)로부터 수신한 주차에 대한 정보로부터, 비정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B 관리부(170)는, 입차 시간과 출차 시간 사이의 이용 시간이 무료 주차 시간을 초과함에도 불구하고, 결제 정보가 없는 경우, 무료 주차 이용이 짧은 간격(예: 1시간) 내에 반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입차 기록은 없고 출차 기록만 있는 경우, 및 입차 기록은 있고 출차 기록이 없는 경우 등을 비정상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DB 관리부(170)는, 비정상 상태로 판정한 경우, 해당 차량(310)에 대한 정보, 주차에 대한 정보, 및 제1 사용자 단말기(210)에 대한 정보를 블랙리스트(171)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A , in operation 801,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update the blacklist 171 in response to identifying that information about parking is in an abnormal state. For example, the DB management unit 170 may determine an abnormal state from information about parking received from the payment management unit 160. For example, the DB management unit 170 may determine that if there is no payment information even though the usage time between the entry time and the exit time exceeds the free parking time, the use of free parking is repeated within a short interval (e.g., 1 hour).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entry record and only an exit record, and a case where there is an entry record but no exit record, etc., it can be determined as an abnormal state. If the DB management unit 170 determines that it is in an abnormal state, the blacklist 171 may be updated with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310, information about parking, an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terminal 210. .

동작 802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업데이트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3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B 관리부(170)는, 통신부를 통해, 블랙리스트(171)에 새로운 정보가 업데이트된 경우, 새롭게 업데이트된 차량(310)에 대한 정보, 주차에 대한 정보, 및 제1 사용자 단말기(210)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3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230)에 알림으로 블랙리스트(171)의 업데이트 내용에 제공될 수 있다. In operation 802,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transmit updated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230. For example, when new information is updated in the blacklist 17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DB management unit 170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newly updated vehicle 310, information about parking, and the first user terminal (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210) to the manager terminal 230. For example, the update contents of the blacklist 171 may be provided as a notific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230.

도 8b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기(230)로, 블랙리스트(171)의 업데이트를 알리는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알림은, 블랙리스트(171)가 업데이트됨을 알림과 동시에, 카메라(180)로부터 추출된 영상을 제공하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230)에 제공된 링크를 통해, 추출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은, 부정 사용자의 사용 시간 동안, 상기 차량(310)에 대한 입차 및/또는 출차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추출된 영상의 길이는,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B 관리부(170)는, 부정 사용 차량(310)을 촬영한 영상 중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예: 30초) 동안의 영상을 추출하여, 관리자 단말기(230)로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는, 상기 링크를 클릭하거나 터치 입력하면, 추출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는, 부정 사용자의 사용 행위를 파악하고, 주차장의 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기(110)의 일부가 손상되거나, 차량(310)이 부정으로 차단기(110)를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 등, 관리자는, 추출된 영상으로부터 부정 사용 행위의 원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관리자는, 상기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쉽게 마련할 수 있으므로, 이후 동일한 방법의 부정 사용 행위가 예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B, a notification notifying the update of the blacklist 171 may be provided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230. The notification may include a link providing an image extracted from the camera 180 while notifying that the blacklist 171 is updated. The administrator can check the extracted video through the link provided on the administrator terminal 230. For example, the video may include images of entering and/or exiting the vehicle 310 during the time of use by an unauthorized user. The length of the extracted image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For example, the DB management unit 170 may extract images for a predetermined time (eg, 30 seconds) from images taken of an illegally used vehicle 310 and provide the images to the manager terminal 230. The administrator can check the extracted video by clicking or touching the link above. The manager can identify the usage behavior of unauthorized users and identify problems in parking lot management. For example, if a part of the circuit breaker 110 is damaged or there is a space where the vehicle 310 can illegally pass through the circuit breaker 110, the manager can easily determine the cause of the illegal use from the extracted video. You can. Administrators can easily prepare measures to resolve the above causes, so future fraudulent use of the same method can be prevented.

동작 803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업데이트된 정보를 지정된 기관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지정된 기관 서버란, 부정 행위를 단속하는 기관으로서, 예를 들어, 경찰서 또는 관공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DB 관리부(170)는, 업데이트된 블랙리스트(171) 정보를, 경찰서로 제공함으로써, 자동으로 부정 행위에 대한 신고가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자가 직접 부정 사용자의 부정 주차 행위에 대해 신고하지 않더라도, 주차 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자동으로 신고가 이루어질 수 있다. In operation 803,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transmit the updated information to the designated agency server. A designated agency server is an agency that regulates illegal activities, and may be, for example, a police station or government off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B management unit 170 may provide updated blacklist 171 information to a police station, thereby automatically reporting misconduct. Even if the manager does not directly report the illegal parking behavior of the illegal user, the report may be automatically made by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도 9는, 부정 사용자가 주자창에 재진입을 시도할 때, 주차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Figure 9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when an unauthorized user attempts to re-enter the parking lot.

부정 주차 행위로 인해, 블랙리스트(171)에 업데이트된 차량(310)이 주차장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 주차장으로 진입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료 주차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주차장을 이용하고, 결제 없이 출차한 차량(310), 입차 기록은 없으나 출차 기록만 있는 차량(310), 무료 주차 시간(예: 30분) 이용 후 출차하였다가, 짧은 간격(예: 1시간) 내에 다시 주차장에 진입을 시도하는 차량(310)이 있을 수 있다. 종래의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이러한 부정 주차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부정 사용자들이 반복적으로 주차장을 이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부정 주차 사용자에 대한 재진입을 미연에 차단함으로써, 주차장 이용을 금지할 수 있다.Due to illegal parking behavior, the vehicle 310 that has been updated in the blacklist 171 may attempt to enter the parking lot to use the parking lot again. For example, using the parking lot for a time exceeding the free parking time, leaving the vehicle without payment (310), having no entry record but only leaving record (310), using the free parking time (e.g. 30 minutes) There may be a vehicle 310 that leaves the parking lot and then attempts to re-enter the parking lot within a short interval (e.g., 1 hour). Since the conventional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does not manage such illegal park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illegal users repeatedly use the parking lot.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prohibit the use of the parking lot by preventing re-entry of users who park illegally.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01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통신부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210)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B 관리부(170)는, 차단기(110)의 고유 번호(111)로 전화를 건 제1 사용자 단말기(210)의 전화번호를 통신부로부터 획득하고, 획득한 전화번호를 DB 관리부(170)에 저장된 제1 사용자 단말기(210)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210)를 식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in operation 901,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may identify the first user terminal 2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For example, the DB management unit 170 obtains the phone numb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210 that called the unique number 111 of the circuit breaker 110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nd transfers the obtained phone number to the DB management unit 170. ), the first user terminal 210 can be identified by comparing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terminal 210 stored in .

동작 902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기(210)에 대한 정보가, 블랙리스트(171)에 업데이트된 제1 사용자 단말기(210)에 대한 정보에 대응함에 응답하여, 통신부로, 일시적 개방 신호의 제공을 중단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채널(CH)의 수립을 요청한 제1 사용자 단말기(210)의 전화번호가, 블랙리스트(171)에 저장된 제1 사용자 단말기(210)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DB 관리부(170)는, 통신부로 일시적 개방 신호의 제공을 중단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통신부는, 상기 요청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차단기(110)를 일시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일시적 개방 신호를 차단기(110)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차단기(110)가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부정 사용자의 차량(310)은, 주차장 입구(330)를 통과하지 못하고, 주차장 이용이 미연에 차단될 수 있으므로, 부정 사용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In operation 902,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identified first user terminal 210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terminal 210 updated in the blacklist 171, You may request that the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stop providing temporary open signals. For example, if the phone numb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210 that requested establishment of a communication channel (CH) matches the phone numb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210 stored in the blacklist 171, the DB management unit ( 170) may request the communication unit to stop providing a temporary open signal.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request, the communication unit may not provide a temporary opening signal for temporarily opening the circuit breaker 110 to the circuit breaker 110 . Since the circuit breaker 110 is not opened, the illegal user's vehicle 310 cannot pass through the parking lot entrance 330, and use of the parking lot may be blocked in advance, thereby preventing illegal use.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nd the terms u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changes, equivalents, or replacements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ber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The singular form of a noun corresponding to an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items, unless the relevant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Each of phrases such as “at least one of , B, or C” may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phrase, or any possible combination there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be used simply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such elements in other respects, such as importance or order) is not limited. One (e.g. first) component is said to be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Where mentioned, it means that any of the components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s directly (e.g. wired), wirelessly, or through a third componen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le or a plurality of entities,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entities may be separately arranged in other componen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multiple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In this case,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ose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prior to the integration.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may b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iteratively, or heuristically, or one or more of th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r omitted.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Claims (9)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 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고유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차단기;
상기 식별자를 통한 통신 채널의 수립을 요청하는 통신 신호를 송신한 제1 사용자 단말기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상기 통신 채널을 수립하며, 상기 통신 채널의 수립하는 것에 응답하여, 차량이 입차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기를 일시적으로 개방한 후, 폐쇄하기 위한 일시적 개방 신호를 상기 차단기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는 리모컨 링크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링크 제공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단기를 개방하기 위한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명령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차단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차단기 제어부;
상기 차량이 주차장을 이용한 이용 시간에 기반하여, 주차 요금을 계산하는 주차 요금 계산부; 및
상기 주차 요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결제 링크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주차 요금이 결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결제 완료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결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차단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시각적 객체, 및 무료 주차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시각적 객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한 순간으로부터, 지정된 시간동안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제1 시각적 객체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이 출차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기를 개방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차단기 제어부로 송신하고,
상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활성화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시각적 객체를 통한 상기 차단기의 제어가 불가능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비활성화 상태 내에서, 상기 결제 관리부로부터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획득함에 응답하여,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정된 시간은,
상기 무료 주차 시간인,
주차 관리 시스템.
In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A circuit breake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 parking lot entrance and including a unique identifier;
Identifying a first user terminal that transmitted a communication signal requesting establishment of a communication channel through the identifier, establish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for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and in response to establish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emporarily open the breaker to allow a vehicle to enter, and then provide a temporary opening signal to the breaker to close it;
a link provider configured to transmit a remote control link providing access to an application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to the first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circuit breaker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command signal for opening the circuit breaker through the application and control the circuit breaker based on the command signal;
a parking fe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parking fee based on the time the vehicle uses the parking lot; and
A payment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 payment link providing payment information for the parking fee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obtain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parking fee being paid,
The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provide a first visual object configured to receive user input for controlling the breaker, and a second visual object including information about free parking hours,
From the moment the first user terminal accesses the application, it remains active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While maintaining the activated state, receive the user input through the first visual object,
Based on the user input, transmitting a command to open the circuit breaker to the circuit breaker control unit so that the vehicle can exit the vehicle,
In response to the passage of the specified time, transitioning from the activated state to a deactivated state in which control of the blocker through the first visual object is not possible,
Configured to switch from the deactivated state to the activated state in response to obtaining the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payment management unit, within the deactivated state,
The time specified above is,
The free parking time is,
Parking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제공부는,
상기 결제 관리부로부터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리모컨 링크를 재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ink provider said,
configured to retransmit the remote control link to the first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obtaining the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payment management unit,
Parking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비활성화 상태 내에서, 상기 결제 관리부로부터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획득함에 응답하여,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주차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pplication is,
In the deactivated state, in response to obtaining the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payment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switch from the deactivated state to the activated state,
Parking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관리부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무료 주차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주차 요금을 계산할 때, 상기 이용 시간과 상기 무료 주차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이용 시간이 상기 무료 주차 시간을 초과하는 것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상기 이용 시간에서 상기 무료 주차 시간을 제외한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주차 요금을 계산하고,
상기 이용 시간이 상기 무료 주차 시간 이하임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ayment management department,
Obtaining information about free parking time for the vehicle from a second user terminal,
When calculating the parking fee, compare the usage time and the free parking time,
In response to identifying that the usage time exceeds the free parking time, calculate the parking fee based on the usage time minus the free parking time,
configured to provide the payment comple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identifying that the usage tim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ree parking time,
Parking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 주차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DB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DB 관리부는,
상기 차량의 상기 주차에 대한 정보가 비정상 상태임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 주차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블랙리스트에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Further comprising a DB management unit that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information about parking, an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terminal,
The DB management department,
In response to identifying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of the vehicle is in an abnormal state, configured to update th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the information about parking,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terminal to a blacklist,
Parking management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B 관리부는,
상기 블랙리스트에 업데이트된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 상기 주차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The DB management department,
configured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updated in the blacklist,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an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terminal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Parking management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B 관리부는,
상기 블랙리스트에 업데이트된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지정된 기관 서버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6,
The DB management department,
configured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an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terminal updated in the blacklist to a designated agency server,
Parking management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B 관리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식별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상기 블랙리스트에 업데이트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에 대응함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부로 상기 일시적 개방 신호의 제공을 중단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The DB management department,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terminal identifi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 terminal updated in the blacklist, to request the communication unit to stop providing the temporary open signal composed,
Parking management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입구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DB 관리부는,
상기 블랙리스트에 업데이트된 상기 주차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에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상을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주차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Further comprising a camera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parking lot entrance,
The DB management department,
Extracting an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at a time corresponding to the parking information updated in the blacklist,
Configured to transmit the extracted video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Parking management system.
KR1020230052551A 2023-04-21 2023-04-21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Active KR1026828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551A KR102682815B1 (en) 2023-04-21 2023-04-21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551A KR102682815B1 (en) 2023-04-21 2023-04-21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2815B1 true KR102682815B1 (en) 2024-07-17

Family

ID=9217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551A Active KR102682815B1 (en) 2023-04-21 2023-04-21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281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334B1 (en) * 2017-07-18 2018-07-05 김용오 Parking management ARS server, parking management method for using the same, an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20180101141A (en) * 2017-03-03 2018-09-12 주식회사 올로케이션 Parking lot sharing system using phone number
KR102319938B1 (en) * 2021-06-07 2021-10-29 김태선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blacklist to block the use of illegal vehicle license plates in parking lo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141A (en) * 2017-03-03 2018-09-12 주식회사 올로케이션 Parking lot sharing system using phone number
KR101875334B1 (en) * 2017-07-18 2018-07-05 김용오 Parking management ARS server, parking management method for using the same, an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102319938B1 (en) * 2021-06-07 2021-10-29 김태선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blacklist to block the use of illegal vehicle license plates in parking lo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10079B (en) A kind of public bicycles system based on bluetooth
US20120188054A1 (en) Remote security entrance application
CN103679906A (en) Wireless network based access control system
US20030083043A1 (en) Method for detecting access to controlled areas and related system
US20100030590A1 (en) Centralized multi-property management system
CN104182798A (en) Self-service room reserv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mobile device
US20120180103A1 (en) Garage management system
KR102016089B1 (en) Parking Space Sharing System using Automatic Response System and Web-Based Visible Automatic Response System
US12020525B2 (en) Property management systems
FR3043484A1 (en) METHOD FOR MANAGING ACCESS TO A LOCAL
US20240135765A1 (en) Vehicle parking barrier access control system
KR20140097642A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valet parking management
KR102033731B1 (en) Method for managing apartment using network and system for managing apartment using the same
KR102682815B1 (en)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KR20170115874A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parking fee
KR20190078805A (en) System and method for mutually sharing company's vehicle and employee's vehicle
KR102230250B1 (en) Illegal subleas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rental housing
CN115862206B (en) Intelligent park non-inductive pass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rmediate data layer
KR20030087313A (en) Manless parking control system method thereof
CN115880107A (en) Intelligent apartment management platform,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190093776A (en) A system to automatically open breaker of building parking lot in conjunction with fire signal and notify manager
KR102350701B1 (en) Method for parking fee payment
KR20230141328A (en) Illegal parking enforcement advance notification system
WO2003094118A1 (en) Parking system
CN114065978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4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