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3281B1 - System for installing raised access floor panels - Google Patents
System for installing raised access floor pane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83281B1 KR102683281B1 KR1020220118569A KR20220118569A KR102683281B1 KR 102683281 B1 KR102683281 B1 KR 102683281B1 KR 1020220118569 A KR1020220118569 A KR 1020220118569A KR 20220118569 A KR20220118569 A KR 20220118569A KR 102683281 B1 KR102683281 B1 KR 1026832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tallation
- flooring
- main body
- floor
- mo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6—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stance of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장소의 바닥에 복수 열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설치용 프레임 상부로 설치대상 바닥재를 설치 또는 기설치된 설치대상 바닥재를 해체하는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에 있어서, 설치장소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설치대상 바닥재가 수납되는 바닥재 수납부 및, 설치용 부재가 수납되는 설치용부재 수납부가 구비된 본체, 본체에 구비되며, 설치용 부재를 설치용 프레임으로 이동시키는 설치용부재 공급부, 본체에 구비되며, 설치대상 바닥재를 설치용부재가 배치된 설치용 프레임으로 이동시키는 바닥재 이동부, 본체에 구비되며, 설치용 프레임에 배치된 설치대상 바닥재를 설치용 프레임에서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바닥재 밀착부, 본체에 구비되며, 바닥재 밀착부에 의해 이동된 설치대상 바닥재가 설치용 프레임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설치 검사부를 포함하는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that installs a flooring material to be installed or dismantles a previously installed flooring material on the upper part of a plurality of installation frames arrang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plurality of rows on the floor of an installation location, and is movable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A main body provided with a flooring storage part in which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is stored and an installation member storage part in which the installation members are stored, an installation member supply par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moving the installation members to the installation frame, and an installation member supply part in the main body, which is installed. A flooring moving part that moves the target flooring to the installation frame on which the installation member is placed,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 flooring adhesion part that moves the target flooring placed in the installation frame to a designated position in the installation fram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ing Provided is a double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including an installation inspection unit that checks whether th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moved by the unit is placed in a designated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fr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LCD 제조 공장의 클린룸과 데이터 센터의 이중 바닥재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자동화시키는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sed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that automates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raised flooring in clean rooms of semiconductor and LCD manufacturing plants and data centers.
일반적으로, 건설용 로봇은 인력을 대체하는 용도로 활용되어 건설 현장에서 사고 위험이 있거나 반복적인 시공을 보조할 수 있고 작업자의 부상 가능성을 줄인다.In general, construction robots are used to replace human workers, assisting in repetitive construction work or at risk of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and reducing the possibility of worker injury.
그러나, 종래의 건설용 로봇은 특정 건축물 및 특정 작업에 국한되도록 개발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어렵고 범용적이지 못한 단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건축물 벽면 자재를 시공하는 건설용 로봇의 경우 타일과 같은 바닥 자재를 시공하는 작업이나 천장 자재를 시공하는 작업에 활용되기 곤란하다.However, conventional construction robots have been developed to be limited to specific buildings and specific tasks, so they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difficult to utilize for various purposes and not being univers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construction robots that construct building wall materials, it is difficult to use them for the work of constructing floor materials such as tiles or ceiling materials.
또한, 종래의 경우 건설 시공에 필요한 단위 작업, 예를 들어 건설 자재 이송, 설치 및 해체 등은 별도로 전용의 건설 로봇(건설 자재 이송 로봇, 건설 자재 설치 로봇 및 건설 자재 해체 로봇)을 개별적으로 운영하여야 하므로, 로봇 개발 및 투자비가 증가하며, 센서의 경우 일반 제조 현장에 사용되는 센서를 열악한 건설 현장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ase, unit tasks required for construction, such as transporting, installing, and dismantling construction materials, must be operated separately by dedicated construction robots (construction material transport robot, construction material installation robot, and construction material disassembly robot). Therefore, robot development and investment costs increase, and in the case of sensors, there are limitations in applying sensors used in general manufacturing sites to poor construction sites.
뿐만 아니라 건설 대상이 일반 제조 공장일 경우 설립 단계에서 활용되는 자동화 로봇이 생산 단계에도 재활용될 수 있다면 자원절약을 통한 ESG 경영에 기여 가치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In addition, if the construction target is a general manufacturing plant, if the automated robots used in the establishment stage can be recycled in the production stage, it is expected to have high contribution value to ESG management through resource saving.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5607호 (2012.05.09 공개)에 개시된다.The technology behind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45607 (published on May 9, 2012).
본 발명은,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이중 바닥재를 자동으로 설치 및 해체를 가능하게 하는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sed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that enables automatic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e raised flooring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본 발명은, 설치장소의 바닥에 복수 열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설치용 프레임 상부로 설치대상 바닥재를 설치하는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장소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설치대상 바닥재가 수납되는 바닥재 수납부 및, 설치용 부재가 수납되는 설치용부재 수납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설치용 부재를 설치용 프레임으로 이동시키는 설치용부재 공급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설치대상 바닥재를 설치용 부재가 배치된 설치용 프레임으로 이동시키는 바닥재 이동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설치용 프레임에 배치된 설치대상 바닥재를 설치용 프레임에서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바닥재 밀착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재 밀착부에 의해 이동된 설치대상 바닥재가 설치용 프레임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설치 검사부를 포함하는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for installing a flooring material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a plurality of installation frames arrang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plurality of rows on the floor of an installation location, wherein the flooring material to be installed is movably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the flooring material to be installed i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flooring material storage portion for storing the installation member and an installation member storage portion for storing the installation member, an installation member supply par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moving the installation member to an installation frame, and provided in the main body, th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material. A flooring moving part that moves the installation member to the installation frame on which the installation member is placed, a flooring contact par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 flooring adhesion part that moves th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placed in the installation frame to a designated position in the installation frame, provided in the main body, the flooring material Provided is a double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including an installation inspection unit that checks whether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moved by the adhesion unit, is placed in a designated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frame.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설치장소의 작업자 포함한 주변 장애물 정보와, 설치장소의 바닥 주변 환경 정보 및, 설치대상 바닥재의 설치 위치 및 설치장소의 바닥 상에서 본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정보 인식용 센서수단과, 상기 정보 인식용 센서수단과 연결되며, 정보 인식용 센서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설치대상 바닥재의 설치가 이루어질 위치로 설치용 프레임 상에서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ncludes information on surrounding obstacles including workers at the installation site, environmental information around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ite, information recognition sensor means for recogniz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material, and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ite; , It is connected to the sensor means for information recognition, and may include a traveling means for moving the main body on the installation frame to the location where th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material is to be installed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formation recognition sensor means.
또한, 상기 설치대상 바닥재가 이미 배치된 위치에서 설치대상 바닥재를 설치할 설치용 프레임을 따라 본체가 이동시, 설치용 프레임에서 본체의 위치정보를 주행수단으로 전달하는 설치 프레임 추종수단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주행수단을 통해 설치용 프레임 상에서 설치대상 바닥재의 설치가 이루어질 위치로 이동시, 본체가 설치용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본체를 지지하는 본체 지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in body moves along the installation frame where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is to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is already placed, an installation frame tracking means that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from the installation frame to the traveling means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is moved on the installation frame through the traveling means to a position where th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material is to be installed,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main body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can move along the installation frame.
또한, 상기 설치용부재 공급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설치용부재 수납부에 수납된 설치용 부재를 설치용 프레임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시키는 설치용부재설치 로봇플랫폼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설치용 프레임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용 부재의 배치여부를 검출하는 설치용부재위치 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member supply un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ncludes an installation member installation robot platform for placing the installation member stored in the installation member storage unit at a designated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frame, and an installation member installation robot platform,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installation frame. It may include an installation member position detection means that detects whether the installation member is placed at a designated location.
또한, 상기 바닥재 이동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설치대상 바닥재를 설치장소의 바닥과 수평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수단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설치대상 바닥재가 설치장소의 바닥에 배치되도록 설치장소의 바닥에 연직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oring moving par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ncludes horizontal moving means for moving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a horizontal moving means for moving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move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to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It may include a vertical movement means for mov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ite so that it can be placed.
또한, 상기 바닥재 밀착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재 이동부를 통해 설치용 프레임에 배치된 설치대상 바닥재를 설치용 프레임에 기설치된 설치대상 바닥재 방향 및 설치장소의 바닥방향으로 가압하는 바닥재 밀착수단과, 상기 바닥재 밀착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재 밀착수단을 통해 설치대상 바닥재를 가압시 바닥재 밀착수단에 일정한 가압력을 유지시키는 바닥재 가압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oring adhesion un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flooring adhesion means for pressing th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disposed on the installation frame through the flooring moving unit in the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alread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frame and in the floor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It is connected to the flooring adhesion means and may include a flooring pressure control means that maintains a constant pressing force on the flooring adhesion means when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is pressed through the flooring adhesion means.
또한, 상기 설치 검사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설치장소의 바닥에 인접하게 배치된 설치대상 바닥재들 사이의 틈새 간격 및 설치대상 바닥재들의 높이 차이를 측정하는 설치검출 센서수단과, 상기 설치검출 센서수단에 연결되며, 설치검출 센서수단에서 측정된 입력값을 통해 설치대상 바닥재의 설치상태를 검출한 후 출력하는 설치검출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inspection unit includes an installation detection sensor means, which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measures a clearance gap between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materials arranged adjacent to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a height difference between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materials, and the installation detection sensor. It is connected to the means and may include an installation detection output means that detect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through the input value measured by the installation detection sensor means and then outputs the output.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는, 본체에 설치대상 바닥재와 설치용 부재를 수납한 상태에서 설치용부재 공급부와 바닥재 이동부가 설치장소의 바닥에 구비된 설치용 프레임 상에 설치용 부재와 설치대상 바닥재를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배치하고, 바닥재 밀착부는 다시 설치대상 바닥재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 배치되게 하며, 설치 검사부에서 설치대상 바닥재가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바, 설치장소의 바닥에 이중 바닥재의 설치 작업이 자동화되면서 시공 효율성을 증대시켜 작업생산성과 안전성 향상 및 비용 절감과 인력 수급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In the double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and the installation member stored in the main body, the installation member supply unit and the flooring moving part sequentially install the installation member and th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on the installation frame provided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ite. It is arranged in a stacked manner, and the flooring adhesion section moves and arranges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to the designated location. The installation inspection section checks whether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is installed correctly in the designated location, so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double flooring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performed. Automation increases construction efficiency, improving work productivity and safety, reducing costs, and resolving the im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manpow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를 이용한 설치작업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Figure 1 is a state diagram of installation work using a raised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raised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raised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definability.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100a)는, 본체(100), 설치용부재 공급부(200), 바닥재 이동부(300), 바닥재 밀착부(400), 설치 검사부(500)를 포함할 수 있고,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설치장소의 바닥에 설치 작업을 수행하거나 설치장소의 바닥에 이미 설치된 설치대상 바닥재(10)의 해체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설치대상 바닥에는 설치용 부재(20) 및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지지하는 설치용 프레임(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설치용 프레임(1)은 복수 열로 서로 평행한 상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설치용 프레임(1)들 사이의 간격은 설치대상 바닥재(10)의 폭 보다 작게 구비된 바, 설치대상 바닥재(10)가 설치장소의 바닥으로 이동시 설치용 프레임(1)의 상부에 안착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설치대상 바닥재(10)는 이중 바닥재 일 수 있다. 그리고, 설치대상 바닥재(10)에는 설치장소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이후 설명될 작업 정보 인식용 센서수단(130)의 인식 정확도 향상을 위해 부착된 수동형 표식 장치(미도시)와, 설치대상 바닥재(10)의 이송, 공급 및 설치 또는 해체시 정확한 상대 위치 및 방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발광 기능을 포함한 능동형 표식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raised
또한, 상기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100a)를 이용한 설치대상 바닥재(10)의 설치 또는 해체 작업이 이루어지는 설치장소에는 바닥재 적재장치(30), 바닥재 이송장치(40), 바닥재 공급장치(5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재 적재장치(30)는 이종의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인식하고 주변 환경 및 작업 정보를 인식하는 센서들과 적재시 정렬 등 정밀 동작이 가능한 로봇 작업 플랫폼(미도시),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안전하게 파지하는 작업기(미도시) 및, 이후 설명될 바닥재 이송장치(40)의 특정 위치 및 방위에 정확하게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적재하는 적재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재 이송장치(40)는 바닥재 적재장치(30)에서 이중 바닥재 설치 및 해체장치 사이를 자율 또는 반자율 주행 또는 원격 조종이 가능하게 하는 로봇 이동 플랫폼(미도시)과, 설치장소 내 장애물 등 포함 주변환경 인식 센서(미도시) 및,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100a)의 작업 속도 향상을 위해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100a)와 바닥재 이송장치(40) 간 상대 위치 및 방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센서와 도킹 장치(미도시) 및, 적재된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안전하고 최적의 경로로 이송하는 주행제어 기술 및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닥재 공급장치(50)는 바닥재 이송장치(40)에 적재된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쉽고 빠르게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에 공급하기 위해 바닥재 이송장치(40)에 적재된 설치대상 바닥재(10)의 위치 및 방위를 검출하는 위치 및 방위 정보 검출 센서(미도시)와,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안전하게 파지하는 작업기(미도시) 및, 적재 위치에서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100a)의 바닥재 수납부(120)로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로봇 작업 플랫폼 및 공급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상기 본체(100)는 설치대상 바닥재(10)가 설치될 설치장소의 바닥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본체(100)는 이후 설명될 설치용부재 공급부(200)와, 바닥재 이동부(300)와, 바닥재 밀착부(400)와, 설치 검사부(500)를 연결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하단에는 설치장소의 바닥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이동휠(101)이 구비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본체(100)는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바닥재 수납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재 수납부(110)는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된다. 여기서, 바닥재 수납부(110)는 바닥재 공급장치(50)로부터 설치대상 바닥재(10)를 공급받아 수납한 후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이후 설명될 바닥재 이동부(300)로 미끄러지면서 이동되도록 본체(100)의 일측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에는 바닥재 수납부(110) 상에 설치대상 바닥재(10)의 수납여부 및 수납된 설치대상 바닥재(10)의 수를 측정하는 센서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설치용 부재(2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설치용부재 수납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용부재 수납부(120)는 설치용 부재(20)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상태로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설치용부재 수납부(120)에 수납된 설치용 부재(20)는 이후 설명될 설치용부재 공급부(200)에 의해 설치용 프레임(1) 상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설치용부재 수납부(120)에 수납되는 설치용 부재(20)는 설치용 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대상 바닥재(10)가 배치되기 전에 먼저 설치용 프레임(1)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설치대상 바닥재(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the
더불어, 상기 본체(100)는 설치장소에 배치된 작업자를 포함한 주변 장애물 정보와, 설치장소의 바닥 주변 환경 정보 및, 설치대상 바닥재(10)의 설치 위치 및 설치장소의 바닥 상에서 본체(100)의 위치를 인식하는 정보 인식용 센서수단(13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정보 인식용 센서수단(130)은 작업자를 포함한 설치장소 내 주변 장애물 정보와 설치대상 바닥재(10)가 아직 설치되지 않아 본체(100)의 이동시 추락 가능성이 있는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한 주변 환경 정보 및 설치대상 바닥재(10) 설치 또는 해체 위치 및 방위 정보와 현재 진행 중인 작업 상 위치 및 방위 변화 등 작업 과정 및 결과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3차원 좌표 정보 추적 센서와, 위치 및 방위 정보 검출 센서 및, 접촉력 정보 검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정보 인식용 센서수단(130)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설치대상 바닥재(10)의 설치가 이루어질 위치로 설치용 프레임(1) 상에서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주행수단(1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주행수단(140)은 정보 인식용 센서수단(130)과 연결되어, 정보 인식용 센서수단(130)으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우선 설치장소의 맵 생성과 본체(100)의 현재 위치 및 방위 정보가 생성되고 본체(100)가 자율적으로 설치장소 내 설치대상 바닥재(10)의 설치 또는 해체가 이루어질 작업장소로 주행되기 위한 자율 주행기술과 작업자가 원격조정장치를 통해 원하는 장소로 본체(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원격 제어기술 및 설치대상 바닥재(10) 설치 또는 해체 작업 시 본체(100)가 설치용 프레임(1)의 안내를 받아 작업 진행 방향으로 특정 거리만큼 반복적으로 이동되기 위한 위치 및 방위 정보 검출 센서와 정밀 주행제어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본체(100)는 설치대상 바닥재(10)가 이미 배치된 위치에서 추가적으로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설치할 설치용 프레임(1)을 따라 본체(100)가 이동시, 설치용 프레임(1)에서 본체(100)의 위치정보를 주행수단(140)으로 전달하는 설치 프레임 추종수단(15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설치 프레임 추종수단(150)은 이미 설치장소에 설치된 설치대상 바닥재(10) 영역 가장자리 부분까지 본체(100)가 주행수단(140)을 통해 이동된 후 추가로 설치될 설치대상 바닥재(10)가 설치되기 위해 설치용 프레임(1) 상부와 물리적인 접촉 및 하중 지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주행수단(140)을 통해 본체(100)가 작업 방향으로 특정 거리만큼 이동될 때 최소 2개 이상의 설치용 프레임(1) 사이 가상의 중심선 방향 위치 또는 정보인식용 센서수단(130)에서 측정된 정보로부터 산출되고, 산출된 중심선 방향 정보와 주행수단(140)에서 검출된 정보를 통해 주행수단(140)의 목표 위치 및 방위로 제공될 수 있는 경로 생성 기술과 설치용 프레임(1) 상부와 물리적 접촉을 이루기 위한 본체(100)의 위치 및 방위 정렬 작업을 보조하기 위한 광학식 선형 표시 장치와 위치 및 방위 정보 검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본체(100)는 주행수단(140)을 통해 설치용 프레임(1) 상에서 설치대상 바닥재(10)의 설치가 이루어질 위치로 본체(100)의 이동시, 본체(100)가 설치용 프레임(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본체(100)를 지지하는 가이드휠(161)이 장착된 본체 지지수단(16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 지지수단(160)은 가이드휠(161)을 본체(10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 배치되며, 유압실린더와 같은 유압수단을 통해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설치용 프레임(1)에 가이드휠(161)의 안착이 필요한 경우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배치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상기 본체(100)는 설치용 프레임(1)을 따라 이동시 본체(100)의 하중을 설치용 프레임(1)에 분산되게 함과 더불어 설치용 프레임(1) 상에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보조주행수단(17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주행수단(170)에는 설치용 프레임(1) 상에서 이동되게 하는 하중분산휠(171)이 장착될 수 있다. 이같이, 보조주행수단(170)은 하중분산휠(171)을 본체(100)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하면서 설치용 프레임(1)에 하중분산휠(171)의 안착이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이때, 보조주행수단(170)은 유압실린더일 수 있으며, 실린더 로드의 단부에 하중분산휠(171)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시킨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이같이, 상기 본체 지지수단(160)은 설치용 프레임(10)과 설치 프레임 추종수단(150)의 물리적인 접촉이 이루어질 때 본체(100)의 후측에 배치된 이동휠(101)만 이미 설치된 설치대상 바닥재(10)에 지지되고, 본체(100)의 선측에 배치된 이동휠(101)은 허공에 떠 있는 상태가 발생될 경우 설치 프레임 추종수단(150)과 함께 본체(100)의 선측 부분에 대한 하중 지지를 위해 가이드휠(161)을 하강시키고, 보조주행수단(170)은 본체 지지수단(160)에 의해 가이드휠(161)이 하강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하중분산휠(171)을 추가적으로 하강시켜 설치용 프레임(1)에 물리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설치용 프레임(1) 상에서 본체(100)가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way, the main body support means 160 only moves the moving
상기 설치용부재 공급부(200)는 본체(100)의 설치용부재 수납부(120)에 수납된 설치용 부재(20)를 설치장소의 바닥,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용 프레임(1) 상부에 배치되도록 이동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설치용부재 공급부(200)는 본체(100)에 구비될 수 있다.The installation
여기서, 상기 설치용부재 공급부(200)는 설치용 부재(20)를 설치용부재 수납부(120)에서 추출과 운반 및 설치용 프레임(1) 상에 배치하기 위한 설치용부재설치 로봇플랫폼(210)과, 설치용 프레임(1)의 설정 위치에 설치용 부재(20)의 배치 여부를 검출하는 설치용부재위치 감지수단(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설치용부재설치 로봇플랫폼(210)은 설치용 부재(20)를 설치용부재 수납부(12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설치용부재 수직이동수단(210a)과, 설치용부재 수직이동수단(210a)에 의해 이동된 설치용 부재(2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설치용부재 수평이동수단(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설치용부재 수직이동수단(210a)은 설치용부재 수납부(120)에 배치된 설치용 부재(20)를 파지상태로 추출한 후 설치용 프레임(1) 상에 배치되게 하는 로봇암수단일 수 있으며, 설치용부재 수평이동수단(210b)은 설치용부재 수직이동수단(210a)에 의해 설치용 프레임(1)에 배치된 설치용 부재(20)를 설치위치로 밀어주는 실린더수단일 수 있다.Here, the installation
상기 바닥재 이동부(300)는 본체(100)의 바닥재 수납부(110)에 수납된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설치용부재 공급부(200)에 의해 설치용 부재(20)가 배치된 설치장소의 바닥, 즉 설치용 프레임(1) 상부에 배치되도록 이동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바닥재 이동부(300)는 본체(100)에 구비되며, 수평 이동수단(310)과 수직 이동수단(3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수평 이동수단(310)은 본체(100)에 구비되며, 바닥재 수납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설치장소의 바닥과 수평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즉, 수평 이동수단(310)은 바닥재 수납부(110)로부터 전달된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수직 이동수단(32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평 이동수단(310)은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지지한 상태로 설치장소의 바닥과 수평된 방향으로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콘베이어 구조를 적용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로봇암과 같은 로봇플랫폼으로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수평 이동수단(310)은 본체(100)에서 설치장소의 바닥과 수평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설치대상 바닥재(10)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수평위치 검출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horizontal moving means 310 is provided in the
상기 수직 이동수단(320)은 본체(100)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 이동수단(310)으로부터 이동된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전달받아 설치장소의 바닥, 즉 설치용 부재(20)가 배치된 설치용 프레임(1) 상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수직 이동수단(320)은 설치장소의 바닥에 연직된 방향으로 설치대상 바닥재(10)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수직 이동수단(320)은 설치대상 바닥재(10)를 하단에 안착상태로 지지하는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는 수직 이동안착대(321)와, 수직 이동안착대(321)를 본체(100)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수직 구동수단(3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직 이동안착대(321)는 본체(10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수직 이동안착대(321)의 하단 폭 크기는 상호 마주보는 설치용 프레임(1) 사이의 간격 크기보다 작도록 구비된 바, 수직 이동안착대(321)가 수직 구동수단(322)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설치용 프레임(1)의 상측보다 하방에 배치될 경우 수직 이동안착대(321)에 배치된 설치대상 바닥재(10)가 설치용 프레임(1) 상부에 안착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수직 구동수단(322)은 리니어모터나 실린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수직 이동수단(320)은 수직 이동안착대(321)에 배치된 설치대상 바닥재(10)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수직위치 검출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vertical moving means 320 is provided in the
상기 바닥재 밀착부(400)는 바닥재 이동부(300)를 통해 설치장소의 바닥에 배치된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설치장소의 바닥에서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바닥재 밀착부(400)는 바닥재 이동부(300)에서 설치용 프레임(1) 상으로 이동 배치된 설치대상 바닥재(10)를 다시 설치장소 바닥의 저장된 위치, 즉 설치장소의 바닥에 미리 설치된 설치대상 바닥재(10)에 일정 간격으로 밀착 배치되도록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바닥재 밀착부(400)는 본체(100)에 구비되며, 바닥재 밀착수단(410)과 바닥재 가압제어수단(4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바닥재 밀착수단(410)은 본체(100)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재 이동부(300)를 통해 설치장소의 바닥, 즉 설치용 프레임(1) 상부에 배치된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설치용 프레임(1) 상부에 미리 설치된 설치대상 바닥재(10) 방향 및 설치장소의 바닥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바닥재 밀착수단(410)은 로봇플랫폼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The flooring adhesion means 410 is provided in the
상기 바닥재 가압제어수단(420)은 바닥재 밀착수단(410)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재 밀착수단(410)을 통해 설치대상 바닥재(10)를 가압시 바닥재 밀착수단(410)을 통한 일정한 가압력을 유지시키도록 바닥재 밀착수단(4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바닥재 가압제어수단(420)은 바닥재 밀착수단(410)을 통해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상호 밀착되도록 가압시, 바닥재 밀착수단(410)과 설치대상 바닥재(10) 사이의 접촉력을 검출하는 접촉력 정보검출센서수단(미도시) 및, 접촉력 정보검출센서수단으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바닥재 밀착수단(410)을 통한 설치대상 바닥재(10)와의 접촉 여부 및 가압력을 제어하는 바닥재 가압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oring pressure control means 420 is connected to the flooring adhesion means 410, and maintains a constant pressing force through the flooring adhesion means 410 when pressing the
상기 설치 검사부(500)는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재 밀착부(400)에 의해 이동된 설치대상 바닥재(10)가 설치장소 바닥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부분이다. 즉, 설치 검사부(500)는, 설치용 프레임(1) 상에서 이미 설치된 설치대상 바닥재(10)와, 바닥재 밀착부(400)에 의해 가압 및 이동된 설치대상 바닥재(10) 사이의 빈틈 간격 및 높이 차이를 검출하여 설치대상 바닥재(10)가 정확하게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설치 검사부(500)는 설치검출 센서수단(510), 설치검출 출력수단(5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설치검출 센서수단(510)은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며, 설치장소의 바닥에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설치대상 바닥재(10)들 사이의 틈새 간격 및 설치대상 바닥재(10)들의 높이 차이를 측정한다. 이러한, 설치검출 센서수단(510)은 3차원 좌표 정보 추적 센서 및, 위치와 방위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및 방위 검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detection sensor means 510 is provided in the
상기 설치검출 출력수단(520)은 상기 설치검출 센서수단(510)에 연결되며, 설치검출 센서수단(510)에서 측정된 입력값을 통해 설치대상 바닥재(10)의 설치상태를 검출한 후 출력하여, 작업자가 설치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The installation detection output means 520 is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detection sensor means 510, and detect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또한, 일 실시예의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는, 설치장소의 치수 정보(설치장소 내 기둥 등 장애물 정보 포함)가 입력되면 설치대상 바닥재 설치 또는 해체 작업의 총괄 정보(이중 바닥재 설치 해체 장치의 예상 이동 경로, 설치 또는 해체 예상 소요 시간 등)가 별도의 출력 장치를 통해 작업자에게 제공되고 설치 또는 해체 작업의 세부 정보(전체 작업 공정 상 현재 진행 단계 정보, 이상 상태 발생 상황 정보, 작업자의 확인 및 의사 결정이 필요한 상황 정보 등) 및 전용 장치 별 상태 및 작업 정보 역시 별도의 출력 장치를 통해 작업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전용 장치 간 작업 관리(작업 순서 및 연계 관리, 장치 간 데이터 통신 등)기술, 오동작 발생 시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상황 별 세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는 통합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복수의 설치대상 바닥재(10) 이송, 공급 및 설치 또는 해체 장치가 운용되는 설치장소에서 장치 간 주행 및 작업 시 충돌, 간섭 및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원격지 상에서 각종 데이터 입출력 장치, 데이터 분석 및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한 관제 장치가 포함된 원격 관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aised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of one embodiment is provided with general information of the flooring installation or dismantling work (expected movement path of the double flooring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device) when dimension information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obstacles such as pillars within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input. Estimated time required for installation or dismantling, etc.) is provided to the worker through a separate output device, and details of the installation or dismantling work (information on the current progress stage in the overall work process, information on situations in which abnormal conditions occur, and information that requires the operator's confirmation and decision-making) are provided to the operator through a separate output device. situation information, etc.) and status and task information for each dedicated device can also be provided to the task manager through a separate output device, and task management (task sequence and linkage management, data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etc.) technology between dedicated devices, in case of malfunction An integrated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resolve detailed problems for each situation while ensuring safety. In addition, various data input/output devices, data analysis and processing at a remote location to prevent collisions, interference, and safety accidents when driving and working between devices at an installation site where multipl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materials (10) transport, supply, and installation or disassembly devices are operated. It may also include a remote control unit (not shown) that includes a control device including devices.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를 이용한 설치대상 바닥재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using the raised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 본체(100)는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설치할 위치로 주행수단(140)의 제어를 통해 이동 배치된다.The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즉, 상기 본체(100)가 설치될 위치로 주행수단(140)을 통해 기설치된 설치대상 바닥재(10) 상에서 1차 이동된 후,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인접 위치로 본체가 이동된 후에는 상기 본체지지수단(160)에 의해 가이드휠(161)이 설치용 프레임(1)에 안착 배치되게 한 후, 보조주행수단(170)에 의해 하중분산휠(171)이 설치용 프레임(1)에 안착 배치되게 한다. 이후, 추가적으로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설치할 위치로 본체(100)의 이동을 통해 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To explain this in detail, that is, after the
이렇게, 상기 설치대상 바닥재(10)가 설치될 대상위치에 본체(100)가 이동된 후 작업영역과 속도 등과 같은 작업정보를 입력된다.In this way, after the
그리고, 상기 바닥재 적재장치(30)를 통해 설치대상 바닥재(10)들을 바닥재 이송장치(40)에 적재된 후, 바닥재 이송장치(40)는 설치장소에서 바닥재 공급장치(50)로 이동되고, 바닥재 공급장치(50)는 바닥재 이송장치(40)에 적재된 설치대상 바닥재(10)를 파지한 후,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100a)의 본체(100)에 구비된 바닥재 수납부(110)로 공급된다.Then, after the
이후, 상기 설치용부재 공급부(200)의 설치용부재설치 로봇플랫폼(210)을 통해 본체(100)의 설치용부재 수납부(120)에 배치된 설치용 부재(20)를 설치용 프레임(1) 상부에 배치시킨다.Thereafter, the
상기 설치용 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용 부재(20)가 배치되면, 상기 본체(100)의 바닥재 수납부(110)로 공급된 설치대상 바닥재(10)는 바닥재 이동부(300)의 수평 이동수단(310)을 통해 수직 이동수단(320)의 수직 이동안착대(321) 상으로 이동된 후, 수직 구동수단(322)에 의해 본체(100)에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설치대상 바닥재(10)는 설치용 부재(2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설치용 프레임(1)의 상측에 배치된다.When the
이후, 상기 바닥재 밀착부(400)의 바닥재 밀착수단(410)은 바닥재 이동부(300)에 의해 설치용 프레임(1) 상에 배치된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Thereafter, the flooring adhesion means 410 of the
이렇게, 상기 바닥재 밀착부(400)에 의해 설치용 프레임(1) 상에서 설치대상 바닥재(10)의 이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설치 검사부(500)에서 설치대상 바닥재(10)가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In this way, after the
그리고, 상기 설치용 프레임(1)에 설치된 설치대상 바닥재(10)의 해체 작업시에는, 본체(100)가 해체될 설치대상 바닥재(10)의 위치로 주행수단(140)의 제어를 통해 이동 배치된 후, 상기 바닥재 이동부(300)의 수직 이동수단(320)을 통해 해체될 설치대상 바닥재(10)가 수직 이동안착대(321)에 안착상태로 본체(100)의 상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후, 다시 해체될 설치대상 바닥재(10)는 수평 이동수단(31)을 통해 본체(100)의 바닥재 수납부(110)로 이동된 상태로 적재가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dismantling the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는, 본체(100)에 설치대상 바닥재(10)와 설치용 부재(20)를 수납한 상태에서 설치용부재 공급부(200)와 바닥재 이동부(300)가 설치장소의 바닥에 구비된 설치용 프레임(1) 상에 설치용 부재(20)와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배치하고, 바닥재 밀착부(400)는 다시 설치대상 바닥재(10)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 배치되게 하며, 설치 검사부(500)에서 설치대상 바닥재(10)가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바, 설치장소의 바닥에 이중 바닥재(10)의 설치 작업이 자동화되면서 시공 효율성을 증대시켜 작업생산성과 안전성 향상 및 비용 절감과 인력 수급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in the raised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of one embodiment, the installa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claims.
1: 설치용 프레임 10: 설치대상 바닥재
20: 설치용 부재 30: 바닥재 적재장치
40: 바닥재 이송장치 50: 바닥재 공급장치
100a: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 100: 본체
110: 바닥재 수납부 120: 설치용부재 수납부
130: 정보인식용 센서수단 140: 주행수단
150: 설치프레임 추종수단 160: 본체 지지수단
200: 설치용부재 공급부 210: 설치용부재설치 로봇플랫폼
220: 설치용부재위치 감지센서 300: 바닥재 이동부
310: 수평 이동수단 320: 수직 이동수단
400: 바닥재 밀착부 410: 바닥재 밀착수단
420: 바닥재 가압제어수단 500: 설치 검사부
510: 설치검출 센서수단 520: 설치검출 출력수단1: Installation frame 10: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material
20: Installation member 30: Flooring loading device
40: Flooring material transfer device 50: Flooring material supply device
100a: Raised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100: Main body
110: Flooring material storage section 120: Installation member storage section
130: sensor means for information recognition 140: driving means
150: installation frame tracking means 160: main body support means
200: Installation member supply unit 210: Installation member installation robot platform
220: Installation member position detection sensor 300: Flooring moving part
310: horizontal means of movement 320: means of vertical movement
400: Flooring adhesion portion 410: Flooring adhesion means
420: Flooring pressurization control means 500: Installation inspection unit
510: Installation detection sensor means 520: Installation detection output means
Claims (7)
상기 설치장소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설치대상 바닥재가 수납되는 바닥재 수납부 및, 설치용부재가 수납되는 설치용부재 수납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설치용부재를 설치용 프레임으로 이동시키는 설치용부재 공급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설치대상 바닥재를 설치용부재가 배치된 설치용 프레임으로 이동시키는 바닥재 이동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설치용 프레임에 배치된 설치대상 바닥재를 설치용 프레임에서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바닥재 밀착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재 밀착부에 의해 이동된 설치대상 바닥재가 설치용 프레임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설치 검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재 밀착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재 이동부를 통해 설치용 프레임에 배치된 설치대상 바닥재를 설치용 프레임에 기설치된 설치대상 바닥재 방향 및 설치장소의 바닥방향으로 가압하는 바닥재 밀착수단과, 상기 바닥재 밀착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재 밀착수단을 통해 설치대상 바닥재를 가압시 바닥재 밀착수단에 일정한 가압력을 유지시키는 바닥재 가압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재 가압제어수단은 상기 바닥재 밀착수단을 통해 설치대상 바닥재를 상호 밀착되도록 가압시, 상기 바닥재 밀착수단과 설치대상 바닥재 사이의 접촉력을 검출하는 접촉력 정보검출센서수단 및, 접촉력 정보검출센서수단으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바닥재 밀착수단을 통한 설치대상 바닥재와의 접촉 여부 및 가압력을 제어하는 바닥재 가압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 검사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설치장소의 바닥에 인접하게 배치된 설치대상 바닥재들 사이의 틈새 간격 및 설치대상 바닥재들의 높이 차이를 측정하도록 3차원 좌표 정보 추적 센서 및, 위치와 방위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및 방위 검출 센서가 구비된 설치검출 센서수단과, 상기 설치검출 센서수단에 연결되며, 설치검출 센서수단에서 측정된 입력값을 통해 설치대상 바닥재의 설치상태를 검출한 후 출력하는 설치검출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
In the double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for installing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a plurality of installation frames arrang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plurality of rows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a main body movably disposed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provided with a flooring material storage portion for storing the flooring material to be installed, and an installation member storage portion for storing installation members;
an installation memb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moving the installation member to the installation frame;
a flooring mov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moving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to an installation frame on which an installation member is disposed;
a flooring adhesion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moving th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placed on the installation frame to a designated position in the installation frame;
It includes an installation inspection unit tha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hecks whether th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moved by the flooring adhesion unit is placed in the designated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frame,
The flooring adhesion un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flooring adhesion means that presses th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disposed on the installation frame through the flooring moving unit in the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alread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frame and in the floor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the flooring material. It is connected to the adhesion means, and includes a flooring pressurization control means that maintains a constant pressing force on the flooring adhesion means when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is pressed through the flooring adhesion means,
The flooring pressure control means detects contact force information detection sensor means for detecting a contact force between the flooring adhesion means and th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when the flooring material to be installed is pressed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flooring adhesion means, and a contact force information detection sensor means. It includes a floor pressurizat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whether or not there is contact with the floor to be installed through the floor adhesion means and the pressing force according to the signal,
The installation inspection un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information tracking sensor and location and orientation information to measure the gap between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materials arranged adjacent to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materials. An installation detection sensor means equipped with a position and orientation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nd an installation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detection sensor means and detect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through the input value measured by the installation detection sensor means and then outputs the information. Raised floor installation device including detection output means.
상기 본체는,
상기 설치장소의 작업자 포함한 주변 장애물 정보와, 설치장소의 바닥 주변 환경 정보 및, 설치대상 바닥재의 설치 위치 및 설치장소의 바닥 상에서 본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정보 인식용 센서수단과,
상기 정보 인식용 센서수단과 연결되며, 정보 인식용 센서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설치대상 바닥재의 설치가 이루어질 위치로 설치용 프레임 상에서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수단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
In claim 1,
The main body is,
Sensor means for information recognition that recognizes information on surrounding obstacles including workers at the installation site, environmental information around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it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material, and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ite;
A double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recognition sensor means and including a traveling means for moving the main body on the installation frame to a position where the installation target flooring material is to be installed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formation recognition sensor means.
상기 설치대상 바닥재가 이미 배치된 위치에서 설치대상 바닥재를 설치할 설치용 프레임을 따라 본체가 이동시, 설치용 프레임에서 본체의 위치정보를 주행수단으로 전달하는 설치 프레임 추종수단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주행수단을 통해 설치용 프레임 상에서 설치대상 바닥재의 설치가 이루어질 위치로 이동시, 본체가 설치용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본체를 지지하는 본체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
In claim 2,
When the main body moves along the installation frame where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is to be install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is already placed, an installation frame tracking means that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from the installation frame to the traveling means;
A double flooring installation further comprising a main body support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upporting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can move along the installation frame when the main body moves on the installation frame through a traveling means to a position where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is to be installed. Device.
상기 설치용부재 공급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설치용부재 수납부에 수납된 설치용부재를 설치용 프레임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시키는 설치용부재설치 로봇플랫폼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설치용 프레임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용부재의 배치여부를 검출하는 설치용부재위치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
In claim 1,
The installation member supply unit,
An installation member installation robot platform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placing the installation member stored in the installation member storage portion at a designated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frame;
A raised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n installation member posi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installation member is placed at a designated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frame.
상기 바닥재 이동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설치대상 바닥재를 설치장소의 바닥과 수평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수단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설치대상 바닥재가 설치장소의 바닥에 배치되도록 설치장소의 바닥에 연직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
In claim 1,
The floor moving part,
Horizontal moving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moving the flooring material to be instal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ite;
A double flooring installation device tha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ncludes vertical moving means for moving the flooring to be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ite so that it is placed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it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18569A KR102683281B1 (en) | 2022-09-20 | 2022-09-20 | System for installing raised access floor pane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18569A KR102683281B1 (en) | 2022-09-20 | 2022-09-20 | System for installing raised access floor panel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39787A KR20240039787A (en) | 2024-03-27 |
| KR102683281B1 true KR102683281B1 (en) | 2024-07-10 |
Family
ID=9048076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118569A Active KR102683281B1 (en) | 2022-09-20 | 2022-09-20 | System for installing raised access floor panel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83281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8123645A (en) * | 2017-02-03 | 2018-08-09 | 積水ハウス株式会社 | Ceiling board construction support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72504B1 (en) * | 2020-06-16 | 2022-03-08 | 삼성물산 주식회사 | Access floor unmanned construction system and access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468848B1 (en) * | 2021-02-26 | 2022-11-18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Direction retaining multipurpose autonomous working robot system for construction |
-
2022
- 2022-09-20 KR KR1020220118569A patent/KR10268328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8123645A (en) * | 2017-02-03 | 2018-08-09 | 積水ハウス株式会社 | Ceiling board construction support system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39787A (en) | 2024-03-2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3519651B1 (en) | System for placing objects on a surface and method thereof | |
| US9995047B2 (en) | Construction board installation robot | |
| CN109795521B (en) | Rail transit rolling stock inspection device and system | |
| CN104723318B (en) | Utonomous working robot system | |
| JP6713762B2 (en) | Construction work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struction work robot | |
| JP7091324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vehicle with respect to the truck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 |
| CA3071901C (en) | Device and method for maintaining the capability for precise navigation of an automated guided vehicle | |
| CN104259830B (en) | A kind of high-tension battery assembly equipment | |
| KR102468848B1 (en) | Direction retaining multipurpose autonomous working robot system for construction | |
| JP2019028974A (en) | Automatic horizontal / vertical transfer method of materials and equipment, and its automatic horizontal / vertical transfer device | |
| CN107486825B (en) | Work or material rest, loading attachment and automatic system of getting and putting work piece | |
| CN208008089U (en) | A kind of automatic dress cabinet device suitable for counter | |
| WO2020155600A1 (en) |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 JPH0626205A (en) | Floor panel attaching / detaching device and floor panel | |
| JP2021059435A (en) | Cargo handl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 |
| KR102683281B1 (en) | System for installing raised access floor panels | |
| CN109681011A (en) | A kind of Intelligent parking system and intelligent parking method | |
| CN110294276B (en) | Automatic positioning device and positioning method for comprehensive transport vehicle | |
| KR20200119401A (en) | Autonomous traveling logistics robot and autonomous driving method | |
| CN207908974U (en) | A kind of AGV vehicles applying to large-scale foil volume | |
| Hollingum | CATERPILLAR MAKE THE EARTH MOVE: AUTOMATICALLY: THE FIRST COMPANY TO ACHIEVE SUCCESS IN MARKETING FREE‐RANGING GUIDED VEHICLES | |
| CN111993568B (en) | Mounting equipment and production line with same | |
| KR102426361B1 (en) | Towing type multipurpose autonomous working robot system for construction | |
| JP6849767B1 (en) | Cargo handl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 |
| KR102426360B1 (en) | Variable multipurpose autonomous working robot system for construc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