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5552B1 - Assistive devices using electromagnet for spinal cord disabled people - Google Patents

Assistive devices using electromagnet for spinal cord disabled peop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5552B1
KR102695552B1 KR1020220154066A KR20220154066A KR102695552B1 KR 102695552 B1 KR102695552 B1 KR 102695552B1 KR 1020220154066 A KR1020220154066 A KR 1020220154066A KR 20220154066 A KR20220154066 A KR 20220154066A KR 102695552 B1 KR102695552 B1 KR 102695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al cord
main body
electromagnet
steel
sid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72458A (en
Inventor
이소현
이의철
Original Assignee
이소현
이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현, 이의철 filed Critical 이소현
Priority to KR1020220154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5552B1/en
Publication of KR20240072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24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5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555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4/00Methods or devices enabl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perate an apparatus or a device not forming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8Serving devices for one-hand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 A47G2200/046For person with a handicap of holding or gras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쪽으로 개방되는 수용공간이 내측에 마련되는 본체;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양쪽으로 개방되는 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인출되고, 휨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서 상기 본체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스틸밴드;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양쪽으로 개방되는 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스틸밴드를 감싸도록 각각 인출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트랩;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고, 상기 본체나 상기 스트랩에 마련되는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상면에 철재 도구가 부착되도록 자력을 제공하는 전자석;을 포함하도록 한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척수 장애인이 포크나 스푼 뿐만 아니라, 사용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도구 등을 손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척수 장애인이 손쉽게 도구 등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척수 장애인이 이러한 도구 등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agnet-using assistive device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provided on the inside thereof that is open to both sides; steel bands that are respectively fixed to sides open to both sides within the accommodating space, are respectively pulled out longitudinally from the main body, and are made of a bendable metal material so as to wrap around a user's wrist and secure the main body; straps that are respectively fixed to sides open to both sides within the accommodating space, are respectively pulled out to wrap around the steel bands, and a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an electromagnet that is accommodated within the accommodating space and provides a magnetic force to attach a steel tool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using electric energy provided from a battery provided in the main body or the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 with a spinal cord disability can hold in his or her hand not only a fork or spoon but also various tools that he or she needs to use, thereby enabling a person with a spinal cord disability to easily use tools, and enabling a person with a spinal cord disability to easily replace such tools, etc.

Description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Assistive devices using electromagnet for spinal cord disabled people}Assistive devices using electromagnet for spinal cord disabled people

본 발명은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척수 장애인이 포크나 스푼 뿐만 아니라, 사용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도구 등을 손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척수 장애인이 손쉽게 도구 등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istive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ic magnet for a person with a spinal cord disability,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ssistive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ic magnet for a person with a spinal cord disability that enables a person with a spinal cord disability to hold in his or her hand not only a fork or spoon but also various tools that require use, thereby enabling the person with a spinal cord disability to easily use tools, etc.

일반적으로, 척수 장애란 사고나 질병으로 척수에 손상을 입게 되어 신체적 기능에 장애가 발생한 것을 말하는데 , 이로 인해, 척수 장애인들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고, 물체를 쥘 수 있는 악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식사를 하는 경우 스푼이나 포크를 정확하게 잡고 사용할 수 없어 매우 불편하였다. In general, spinal cord injury refers to a physical disability caused by damage to the spinal cord due to an accident or disease. As a result,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often cannot use their hands freely and lack the grip strength to hold objects. Therefore, it is very inconvenient to be unable to hold and use a spoon or fork correctly when eating.

이러한 척수 장애인들의 식사 편의를 위하여, 유니버설 커프(universal cuff)라는 기구가 개발되었으나, 유니버설 커프는 밴드 형식으로 손에 감아서 고정되며, 포켓이 형성되어 있어서 포크나 스푼을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척수 장애인들은 악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유니버설 커프의 도움을 받아 식사를 한다.In order to facilitate eating for these spinal cord disabled people, a device called a universal cuff was developed. However, the universal cuff is a band that is wrapped around the hand and fixed, and has a pocket that can be used to insert and fix a fork or spoon. Therefore, spinal cord disabled people eat with the help of the universal cuff because they lack grip strength.

그러나 유니버설 커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포크와 스푼을 번갈아가면서 사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척수 장애인들의 식사 장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척수 장애인들은 자세를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식사시에 한 손으로 테이블을 잡거나 하는 식으로 상체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다른 한 손은 유니버설 커프를 사용하여 식사를 한다. 식사를 할 때에는 포크와 스푼을 교대로 사용해야 하는데, 유니버설 커프에 이들을 교대로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스푼을 사용하다가 포크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 유니버설 커프에 끼워진 스푼을 입으로 잡아서 빼고, 다시 포크를 입으로 물어서 유니버설 커프에 끼워넣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는 것은 척수 장애인들에게 있어서, 식사의 즐거움을 감퇴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However, even when using a universal cuff,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using a fork and spoon alternately. Let me explain using a meal scene of a spinal cord injury as an example. Since spinal cord injury people have difficulty controlling their posture, they maintain their upper body balance by holding the table with one hand when eating. Then, they use the universal cuff with the other hand to eat. When eating, they have to use a fork and spoon alternately, but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m alternately on the universal cuff. In other words, if they want to use a fork after using a spoon, they have to grab the spoon in the universal cuff with their mouth, take it out, and then put the fork back in their mouth and put it back in the universal cuff. Repeating this process reduces the enjoyment of eating and lowers their quality of life for spinal cord injury people.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척수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구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41972호의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손에 장착되는 유니버설 커프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 일측과 타측에 각각 포크부와 스푼부가 형성되며, 상기 포크부와 스푼부 사이의 중앙부를 회동포인트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포크부재; 상기 스포크부재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포크부와 스푼부가 각각 사용자를 향하여 배치되었을 때 상기 스포크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s a prior art for an assistive device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41972, "Eating assistance device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is proposed, which comprises: a base member fixed to a universal cuff worn on a user's hand; a spoke member having a fork part and a spoon part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using the central part between the fork part and the spoon part as a rotation point; and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spoke member when the fork part and the spoon part are respectively positioned toward the user by the rotation of the spoke member.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여전히 포크부나 스푼부 등의 교체에 번거로움이 존재하고, 척수 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여러 물품에 적용하기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진다.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still has the problem that it is cumbersome to replace parts such as forks or spoons,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various items needed by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척수 장애인이 포크나 스푼 뿐만 아니라, 사용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도구 등을 손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척수 장애인이 손쉽게 도구 등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척수 장애인이 이러한 도구 등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enable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to easily use tools, etc. by allowing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to hold in his or her hand not only a fork or spoon but also various tools that require use, and to enable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to easily replace such tools, etc.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양쪽으로 개방되는 수용공간이 내측에 마련되는 본체;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양쪽으로 개방되는 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인출되고, 휨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서 상기 본체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스틸밴드;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양쪽으로 개방되는 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스틸밴드를 감싸도록 각각 인출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트랩;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고, 상기 본체나 상기 스트랩에 마련되는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상면에 철재 도구가 부착되도록 자력을 제공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magnet-using assistive device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provided on the inside thereof that is open to both sides; steel bands that are respectively fixed to sides open to both sides within the accommodating space, are respectively pulled out longitudinally from the main body, and are made of a bendable metal material so as to wrap around a user's wrist and secure the main body; straps that are respectively fixed to sides open to both sides within the accommodating space, are respectively pulled out to wrap around the steel bands, and a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an electromagnet that is accommodated within the accommodating space and provides a magnetic force to attach a steel tool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using electric energy provided from a battery provided in the main body or the strap.

상기 본체는, 상면에 상기 철재 도구가 정해진 위치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마련될 수 있다.The above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on the upper surface to guide the iron tool to be seated in a set position.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개방되는 측에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틸밴드와 상기 스트랩은, 끝단에 상기 고정돌기가 각각 삽입되기 위한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main body may have a number of fixing protrusions formed on a side that is open within the receiving space, and the steel band and the strap may have fixing holes formed at the ends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s are respectively inserted.

비철재 도구에 끼워지거나 부착됨으로써, 상기 비철재 도구에 고정되고, 철재로 제작되어 상기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부착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비철재 도구가 상기 가이드홈에 고정되도록 매개하는 철재고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By being fitted or attached to a non-ferrous tool, the non-ferrous tool may be fixed to the non-ferrous tool, and may further include a ferrous fixing piece made of ferrous material, the attachment portion being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guide groov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thereby mediating the fixing of the non-ferrous tool to the guide groove.

본 발명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에 의하면, 척수 장애인이 포크나 스푼 뿐만 아니라, 사용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도구 등을 손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척수 장애인이 손쉽게 도구 등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척수 장애인이 이러한 도구 등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assistive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to hold in his or her hand not only a fork or spoon but also various tools that require use, thereby enabling the spinal cord disabled person to easily use tools, and enabling the spinal cord disabled person to easily replace such too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의 착용을 위한 스트랩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를 도시한 내부 절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에 대한 포크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에 대한 면도기의 장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에 대한 칫솔의 장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에 대한 스푼의 장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에 대한 펜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에 대한 휴대폰 케이스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에 대한 펜과 휴대폰 케이스의 선택적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에 대한 손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에 대한 손의 착용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omagnet-based assistive device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a strap for wearing an assistive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internal cutaway view illustrating an electromagnet-based assistive device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mounting of a fork on an electromagnet-based assistive device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ttachment of a razor to an electromagnet-based assistive device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ttachment of a toothbrush to an electromagnet-based assistive device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ttachment of a spoon to an electromagnet-based assistive device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ttachment of a pen to an electromagnet-based assistive device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ttachment of a mobile phone case to an electromagnet-based assistive device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ptional attachment of a pen and a mobile phone case to an electromagnet-based assistive device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wearing of a hand for an electromagnet-based assistive device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back view illustrating the hand wearing of an electromagnet-based assistive device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Regardless of the drawing symbol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의 착용을 위한 스트랩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를 도시한 내부 절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에 대한 포크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istive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 for a person with a spinal cord dis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a strap for wearing an assistive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 for a person with a spinal cord dis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internal cutaway view illustrating an assistive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 for a person with a spinal cord dis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attachment of a fork to an assistive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 for a person with a spinal cord dis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100)는 본체(110), 스틸밴드(120), 스트랩(130) 및 전자석(1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5, an electromagnet-using assistive device (100)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110), a steel band (120), a strap (130), and an electromagnet (140).

본체(110)는 양쪽으로 개방되는 수용공간(111)이 내측에 마련된다. 본체(110)는 컴팩트하도록 판상구조를 가질 수 있고, 자력의 투과가 용이한 재질, 예컨대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111) that is open on both sides on the inside. The main body (110) may have a compact plate-like structure and may be manufactured from a material that is easily permeable to magnetic force, such as synthetic resin.

본체(110)는 상면에 철재 도구(10)가 정해진 위치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13)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113)은 본체(110) 상면에서 일측이 개방된 "ㄷ"자의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일측의 개방된 측을 통해서 철재 도구(10)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고, 철재 도구(10)의 부착부분을 "ㄷ"자 형태로 감싸도록 하여 철재 도구(10)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지지하게 된다.The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113) on the upper surface to guide the steel tool (10) to be seated at a set position. The guide groove (113) may have a “ㄷ” shaped plane structure with one side ope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may allow the steel tool (10) to be seated through the open side on one side, and may be supported to prevent the steel tool (10) from being detached by wrapping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steel tool (10) in a “ㄷ” shape.

본체(110)는 수용공간(111) 내에서 개방되는 측에 다수, 예컨대 2개의 고정돌기(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돌기(112)는 스틸밴드(120)와 스트랩(130)의 고정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may have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12), for example, two, formed on the side that opens within the receiving space (111). These fixing protrusions (112) may be used to fix the steel band (120) and the strap (130).

스틸밴드(120)는 수용공간(111) 내에서 양쪽으로 개방되는 측에 각각 고정되어, 본체(110)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인출되고, 휨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서 본체(110)를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The steel band (120) is fixed to each side that opens on both sides within the receiving space (111), is pulled 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110), and is made of a bendable metal material so that it can be wrapped around the user's wrist to secure the main body (110).

스트랩(130)은 수용공간(111) 내에서 양쪽으로 개방되는 측에 각각 고정되어, 스틸밴드(120)를 감싸도록 각각 인출되고,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플렉시블한 재질은 예컨대, 가죽일 수 있고, 이 밖에도 실리콘이나 연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raps (130) are each fixed to the sides that open on both sides within the receiving space (111), and are each pulled out to wrap around the steel band (120), and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ere, the flexible material may be, for example, leather, and may also be made of silicone or a soft synthetic resin.

스틸밴드(120)는 끝단에 고정돌기(112)가 각각 삽입되기 위한 고정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트랩(130)은 끝단에 고정돌기(112)가 각각 삽입되기 위한 고정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틸밴드(120)의 고정홀(121)과 스트랩(130)의 고정홀(미도시)은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함께 고정돌기(112)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10)에 스틸밴드(120)와 스트랩(13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체(110)는 스틸밴드(120)와 스트랩(130)이 고정돌기(112)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용공간(111)이 개폐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외력에 의하여 어느 정도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130)에 감싸여진 스틸밴드(120)는 펼쳐진 상태에서, 도 2에서와 같이, 외력을 가하여 손에 착용을 위해 휘도록 하여,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H)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eel band (120) may have a fixing hole (121) formed at the end into which a fixing projection (112) is inserted. In addition, the strap (130) may have a fixing hole (not shown) formed at the end into which a fixing projection (112) is inserted. Accordingly, the fixing hole (121) of the steel band (120) and the fixing hole (not shown) of the strap (130) may be formed to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by allowing the fixing projections (112) to be inserted together, the steel band (120) and the strap (130)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110). In order for the steel band (120) and the strap (130) to be fixed to the fixing projections (112), the main body (1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receiving space (111) is opened and closed,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to some extent by an external force. Accordingly, the steel band (120) wrapped around the strap (130) is bent in an unfolded stat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as shown in FIG. 2 so that it can be worn on the hand (H), as shown in FIGS. 12 and 13.

전자석(140)은 수용공간(111) 내에 수용되고, 본체(110)나 스트랩(130)에 마련되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본체(110)의 상면에 철재 도구(10)가 부착되도록 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석(140)은 수용공간(111) 내에 끼움에 의해 고정되거나, 접착제에 의한 접착으로 고정되거나, 그 밖에 다양한 방식에 의해 수용공간(111)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자석(140)은 강력한 자력의 제공을 위하여, 네오디뮴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미도시)는 본체(110)나 스트랩(130)에 마련되는 배터리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하되, 외측으로 노출되는 커넥터를 통해서 충전회로에 의해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지일 수 있거나, 배터리수용공간으로부터 교체되는 건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자석(140)의 동작을 온(on)/ 오프(off) 하기 위한 스위치(141)가 본체(11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스위치(141)의 조작에 의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전자석(140)에 공급되도록 하거나,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omagnet (14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11) and can provide magnetic force to attach the iron tool (1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using electric energy provided from a battery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or the strap (130). The electromagnet (140) can b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1), fixed by bonding with an adhesive, or fixed in the receiving space (111) by various other methods. In addition, the electromagnet (140) can be made of a neodymium magnet to provide a strong magnetic force. Here, the battery (not shown) can be a rechargeable battery that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receiving space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or the strap (130) and charged by a charging circuit through a connector exposed to the outside, or can be made of a dry cell that is replaced from the battery receiving space. In addition, a switch (141) for turn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 (140) on/off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may be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140) or cut off by operating the switch (141).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100)에서, 철재 도구(10)는 포크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면도기(20), 도 7에 도시된 칫솔(30), 도 8에 도시된 스푼(40)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10)의 가이드홈(113) 내에 전자석(140)의 자력으로 부착되는 부분만큼은 철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In the electromagnet-using assistive device (100)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tool (10) is exemplified by a fork,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razor (20) illustrated in FIG. 6, a toothbrush (30) illustrated in FIG. 7, a spoon (40) illustrated in FIG. 8, etc. In this case, only the portion attach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140) within the guide groove (113) of the main body (110) is made of steel.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100)에서, 도구가 비철재인 경우에도 적용되기 위하여,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철재고정편(150,160)을 매개로 비철재 도구(50,60)를 자력으로 부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철재고정편(150,160)은 비철재 도구(50,60)에 끼워지거나 부착됨으로써, 비철재 도구(50,60)에 고정될 수 있고, 철재로 제작되어 전자석(140)의 자력에 의해 부착부(152,161)가 가이드홈(113)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비철재 도구(50,60)가 가이드홈(113)에 고정되도록 매개할 수 있다. In an electromagnet-assisted device (100)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be applied even when the tool is made of non-ferrous metal, as shown in FIGS. 9 to 11, a non-ferrous tool (50, 60) can be magnetically attached via a ferrous fixing member (150, 160). The ferrous fixing member (150, 160) can be fixed to the non-ferrous tool (50, 60) by being fitted into or attached to the non-ferrous tool (50, 60), and can be fixed to the non-ferrous tool (50, 60) by being made of ferrous metal and having an attachment portion (152, 161)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guide groove (113)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140), thereby allowing the non-ferrous tool (50, 60) to be fixed to the guide groove (113).

철재고정편(150,160)은 고정방식에 따라 제 1 철재고정편(150)과 제 2 철재고정편(16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철재고정편(150)은 도 9 및 도 11에서와 같이, 비철재 도구(50), 예컨대 펜과 같이 끼우기 용이한 형태를 가지는 비철재로 이루어지는 도구인 경우, 비철재 도구(50)가 끼워지기 위한 끼움부(151)가 일측에 마련되고, 타측에 가이드홈(113) 내에 안착되기 위한 부착부(15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 철재고정편(160)은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비철재 도구(60), 예컨대 휴대폰 케이스와 같이 끼우기 어렵지만, 접착제나 접착부재 등으로 부착이 용이한 경우, 일측면이 비철재 도구(60)에 접착되고, 타측이 가이드홈(113) 내에 안착되기 위한 부착부(161)를 가질 수 있다. The steel fixing member (150, 160) may be composed of a first steel fixing member (150) and a second steel fixing member (160) depending on the fixing method. As shown in FIGS. 9 and 11, when the first steel fixing member (150) is a non-ferrous tool (50), such as a pen, and is formed of a non-ferrous material that is easy to fit, a fitting part (151) for fitting the non-ferrous tool (5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and an attachment part (152) for being installed in a guide groove (113)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addition, the second steel fixing member (160) may have an attachment portion (161) in which one side is adhered to the non-ferrous tool (60) and the other side is secured within the guide groove (113) in the case of a non-ferrous tool (60) that is difficult to attach, such as a mobile phone case, as shown in FIGS. 10 and 11, but is easy to attach using an adhesive or adhesive material.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에 따르면, 척수 장애인이 포크나 스푼 뿐만 아니라, 사용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도구 등을 손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척수 장애인이 손쉽게 도구 등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척수 장애인이 이러한 도구 등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assistive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 for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inal cord disabled person can hold in his or her hand not only a fork or spoon but also various tools that he or she needs to use, thereby enabling the spinal cord disabled person to easily use tools, and enabling the spinal cord disabled person to easily replace such tool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by equivalents of these claims.

10 : 포크 20 : 면도기
30 : 칫솔 40 : 스푼
50 : 펜 60 : 휴대폰케이스
110 : 본체 111 : 수용공간
112 : 고정돌기 113 : 가이드홈
120 : 스틸밴드 121 : 고정홀
130 : 스트랩 140 : 전자석
150 : 제 1 철재고정편 151 : 끼움부
152 : 부착부 160 : 제 2 철재고정편
161 : 부착부
10: Fork 20: Razor
30: Toothbrush 40: Spoon
50 : Pen 60 : Phone Case
110: Body 111: Accommodation space
112: Fixed protrusion 113: Guide home
120 : Steel band 121 : Fixed hole
130 : Strap 140 : Electromagnet
150: 1st steel fixing piece 151: Fitting part
152: Attachment 160: Second steel fixing piece
161 : Attachment

Claims (4)

양쪽으로 개방되는 수용공간이 내측에 마련되는 본체;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양쪽으로 개방되는 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인출되고, 휨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서 상기 본체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스틸밴드;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양쪽으로 개방되는 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스틸밴드를 감싸도록 각각 인출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트랩;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고, 상기 본체나 상기 스트랩에 마련되는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상면에 철재 도구가 부착되도록 자력을 제공하는 전자석;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면에 상기 철재 도구가 정해진 위치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개방되는 측에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틸밴드와 상기 스트랩은,
끝단에 상기 고정돌기가 각각 삽입되기 위한 고정홀이 형성되고,
비철재 도구에 끼워지거나 부착됨으로써, 상기 비철재 도구에 고정되고, 철재로 제작되어 상기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부착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비철재 도구가 상기 가이드홈에 고정되도록 매개하는 철재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 장애인을 위한 전자석 이용 보조기구.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on the inside that opens to both sides;
A steel band that is fixed to each side that opens on both sides within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is drawn out longitudinally from the above-mentioned main body, and is made of a bendable metal material so as to wrap around the user's wrist and fix the above-mentioned main body;
Strap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each fixed to a side that opens on both sides within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space and each pulled out to wrap around the steel band; and
An electromagnet that is accommodated in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and provides magnetic force to attach a steel too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main body by using electric energy provided from a battery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main body or the above-mentioned strap;
Including,
The above body,
A guide groov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o guide the steel tool to be settled in a set position,
The above body,
A number of fixed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pen side within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The above steel band and the above strap,
A fixing hole is formed at the end for inserting each of the fixing protrusions,
An assistive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 for a person with a spinal cord injur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teel fixing member that is fixed to a non-ferrous tool by being fitted or attached to the non-ferrous tool, and is made of steel and has an attachment portion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guide groov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thereby mediating the fixation of the non-ferrous tool to the guide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54066A 2022-11-16 2022-11-16 Assistive devices using electromagnet for spinal cord disabled people Active KR1026955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066A KR102695552B1 (en) 2022-11-16 2022-11-16 Assistive devices using electromagnet for spinal cord disabled peop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066A KR102695552B1 (en) 2022-11-16 2022-11-16 Assistive devices using electromagnet for spinal cord disabled peop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2458A KR20240072458A (en) 2024-05-24
KR102695552B1 true KR102695552B1 (en) 2024-08-16

Family

ID=9132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066A Active KR102695552B1 (en) 2022-11-16 2022-11-16 Assistive devices using electromagnet for spinal cord disabled peop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555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6019A (en) * 2004-03-06 2005-09-15 Yutaka Maeda Magnetic band
KR200474519Y1 (en) * 2014-03-10 2014-09-23 최세형 Bracelet for location
KR102083756B1 (en) * 2019-05-17 2020-03-02 이두희 Spoon and chopsticks support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359A (en) * 2017-11-06 2019-05-15 최원석 Universal cuff for han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6019A (en) * 2004-03-06 2005-09-15 Yutaka Maeda Magnetic band
KR200474519Y1 (en) * 2014-03-10 2014-09-23 최세형 Bracelet for location
KR102083756B1 (en) * 2019-05-17 2020-03-02 이두희 Spoon and chopsticks suppo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2458A (en) 202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6319A (en) Exercise grip
EP1738796A2 (en) Tool belt
US10750271B1 (en) Ear buds with detachable harness strap
EP1473988A1 (en) A DEVICE FOR CARRYING A FOUR−LEGGED ANIMAL
KR102695552B1 (en) Assistive devices using electromagnet for spinal cord disabled people
KR102676193B1 (en) Assistive devices using permanent magnets for spinal cord disabled people
US20240147124A1 (en) Affixable receptacles for personal audio devices
CN212696188U (en) Bluetooth headset box protective sheath that charges
KR200252682Y1 (en) Handfree earphone
KR200202199Y1 (en) Cellular phone clip
CN219999542U (en) Wireless earphone assembly and spring-grip charging box thereof
TWI784461B (en) A wearable device for mobile phones
JP7390133B2 (en) Wrist-mounted mobile phone holder
TWI857448B (en) Wireless earphone device
JP3000756U (en) The best
KR200285670Y1 (en) Knapsack having backbone supporting device
US5170541A (en) Fastening apparatus for handbag straps
CN213906896U (en) Terminal device and Bluetooth headset
CN212519108U (en) Mobile phone protective sleeve with telescopic wrist strap
KR20230128044A (en) wearable system
JP2007059669A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case
JP3024490U (en) Mobile phones and mobile phone cases
KR200279833Y1 (en) Arm and leg sports equipment
JP2002136316A (en) Walking aid
KR200387238Y1 (en) A mobile phone case which is established at safety belt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