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92668B1 - Stent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ent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92668B1 KR102692668B1 KR1020220169409A KR20220169409A KR102692668B1 KR 102692668 B1 KR102692668 B1 KR 102692668B1 KR 1020220169409 A KR1020220169409 A KR 1020220169409A KR 20220169409 A KR20220169409 A KR 20220169409A KR 102692668 B1 KR102692668 B1 KR 1026926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vature
- circle
- ring
- stent
- radiu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7536 Thromb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9078 coronary arte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152 intervention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1320 Ather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0 blood supp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51 coronary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65 myocard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92 va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8—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formed as helical or spiral coi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8—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formed as helical or spiral coils
- A61F2/88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formed as helical or spiral coils comprising a coil including a plurality of spiral or helical sections with alternate directions around a central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스텐트는, 원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1마루(crest), 제1골(trough), 제2마루 및 제2골이 반복하고, 길이 방향으로 진폭을 갖는 파형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1링들 Ei (i는 1~n의 자연수, n은 2 이상의 자연수)과, 제1링 Ei-1과 제1링 Ei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브릿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링들 Ei 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제1링 Ei-1과 제1링 Ei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링 Ei-1의 제1마루와 제1링 Ei의 제2마루가 대응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른 위상차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텐트는, 원주 방향을 따르는 대칭축 S4를 기준으로 복수의 제1링들 Ei 및 복수의 제1브릿지들과 대칭되는 복수의 제2링들 Ei' 및 복수의 제2브릿지들과, 인접하는 제1링 E1과 제2링 E1'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브릿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3브릿지들의 각각은 제1링 E1의 제2마루의 밸리와 제2링 E1'의 제2마루의 밸리를 연결할 수 있다. The stent has a first crest, a first trough, a second crest, and a second trough sequentially repe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rings E having a wave shape with an amplitu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include i (i is a natural number from 1 to n, and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nd a plurality of first bridges connecting the first ring E i-1 and the first ring E i . A plurality of first rings E i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ring E i-1 and the first ring E i are the first ridge and the first ring E i-1 of the first ring E i-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can be arranged to have a phase differe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ridges of the first ring E i correspond. In addition, the sten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rings E i and a plurality of second rings E i 'and a plurality of second bridges that are symmetrical to the plurality of first bridges with respect to the axis of symmetry S4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n adjacent first ring E i .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ird bridges connecting the first ring E 1 and the second ring E 1 '. Each of the plurality of third bridges may connect the valley of the second ridge of the first ring E 1 and the valley of the second ridge of the second ring E 1 '.
Description
본 개시내용(disclosure)은 인체의 혈관 등에 삽입 시술되는 스텐트 및 스텐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최적 패턴으로 디자인된 스텐트 및 스텐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is disclosure relates to a stent and a stent manufacturing device that are inserted into blood vessels of the human body, etc., and in particular, to a stent and a stent manufacturing device designed with an optimal pattern.
스텐트는 인체, 특히 혈관 등에 삽입 시술되는 의학용 기구이다. 심장의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심장 근육에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 나타나는 질환을 관상동맥질환이라 하며, 혈관이 좁아지는 원인은 혈관 벽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질이 쌓이는 죽상경화증 그리고 이와 동반된 혈전(Thrombus)때문이다. 관상동맥질환은 서구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가장 흔한 사망 원인으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에서도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A stent is a medical device that is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especially blood vessels. Coronary artery disease is a disease that occurs when the heart's coronary arteries are narrowed or blocked, preventing sufficient blood supply to the heart muscle. The cause of blood vessel narrowing is atherosclerosis, which is the accumulation of lipids such as cholesterol on the walls of blood vessels, and accompanying blood clots. Because of (Thrombus). Coronary artery disease has long been known as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in the West, and has recently been rapidly increasing in the East, including Korea.
중재시술(interventional procedure) 의료기기 중 가장 전형적인 구성들은 금속 스텐트, 약물방출 스텐트, 생분해성 스텐트 등이며, 이중 임상적 결과를 통해 약물방출 스텐트의 중재시술 영역이 더욱 확장되어 왔다. 특히 2~3세대의 변화를 거친 약물방출 스텐트는 초기의 약물방출 스텐트에 비해 뛰어난 성능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존재하는 혈관 회복 지연의 문제에 대한 해결이 시술자와 산업계에 요구되고 있고, 약물 방출과 같은 부가적인 이벤트 없이도(Event-free) 환자의 생존을 향상시키기 위한 원천적인 기술로서 스텐트 플랫폼 자체의 개선은 여전히 중요한 연구 개발 영역이다. 특히 최근의 기술 개발은 약물 방출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혈관내 회복과 재내피화 특성이 좋은 두께 60㎛ 급의 초박형 스텐트에 집중되고 있다.The most typical components of interventional procedure medical devices are metal stents, drug-eluting stents, and biodegradable stents, and the scope of interventional procedures for drug-eluting stents has been further expanded through clinical results. In particular, drug-eluting stents that have undergone changes in the 2nd to 3rd generation are showing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initial drug-eluting stents, but there is a need for practitioners and industry to solve the problem of delayed vascular recovery that still exists, and there is a need for solutions such as drug release. As a fundamental technology to improve patient survival without additional events (event-free), improving the stent platform itself is still an important area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particular,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focused on ultra-thin stents with a thickness of 60㎛, which do not require drug release and have good endovascular recovery and re-endothelialization characteristics.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직조하는 방법, 금속관의 외부 표면을 식각하여 제조하는 방법, 금속관 표면을 레이저로 천공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나, 최근 초박형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해 채택이 고려되는 유력한 방법은 레이저로 천공하는 방법이다.Methods for manufacturing stents include weaving using wire, manufacturing by etching the outer surface of a metal tube, and perforating the surface of the metal tube with a laser. Recently, this method is being considered for adoption to manufacture ultra-thin stents. The most likely method is drilling with a laser.
레이저 빔을 초박형의 모재에 조사하여 패턴을 정확하게 천공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빔이 특정 위치에 정지함으로써 에너지가 집중되는 상황이 초래되어서는 안된다. 즉 레이저 빔의 제어가 원활하지 않아 에너지가 집중되는 경우 해당 위치의 패턴은 원하는 형상보다 크게 천공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레이저 빔 또는 모재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기에 문제가 없으면서도 원하는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패턴의 개발은 더욱 중요한 상황이다.In order to accurately drill a pattern by irradiating a laser beam onto an ultra-thin base material, the laser beam must not stop at a specific location, resulting in a situation where energy is concentrated. In other words, if the control of the laser beam is not smooth and the energy is concentrated, the pattern at that location will be perforated larger than the desired shape. Therefore, there is no problem in controlling the moving speed of the laser beam or base material, bu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desired mechanical properties. The development of representing patterns is even more important.
본 개시내용의 일 태양에 따르면, 스텐트는, 원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1마루(crest), 제1골(trough), 제2마루 및 제2골이 반복하고, 길이 방향으로 진폭을 갖는 파형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1링들 Ei (i는 1~n의 자연수, n은 2 이상의 자연수)과, 상기 제1링 Ei-1과 상기 제1링 Ei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브릿지들을 포함하고,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ent has a waveform in which a first crest, a first trough, a second crest, and a second trough sequentially repea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ve an amplitu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rings E i having a shape (i is a natural number from 1 to n, n is a natural number 2 or more), and a plurality of first bridges connecting the first ring E i-1 and the first ring E i including those,
상기 복수의 제1링들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The plurality of first ring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1링 Ei-1과 상기 제1링 Ei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링 Ei-1의 제1마루와 상기 제1링 Ei의 제2마루가 대응되도록, 상기 원주 방향을 따른 위상차를 갖도록 배치되고, The first ring E i-1 and the first ring E i are such that the first crest of the first ring E i-1 and the second crest of the first ring E i correspond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ranged to have a phase differe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복수의 제1브릿지들의 각각은 상기 제1링 Ei-1의 제1마루의 피크와 상기 제1링 Ei의 제2마루의 밸리를 연결하고,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ridges connects a peak of the first crest of the first ring E i-1 and a valley of the second crest of the first ring E i ,
상기 복수의 제1브릿지들의 각각은 상기 제1링 Ei의 상기 제2마루의 밸리와 연결되는 제1직선구간과, 상기 제1직선구간과 연결되는 제1곡선구간과, 상기 제1곡선구간과 연결되는 제2곡선구간과, 상기 제2곡선구간과 연결되고 상기 제1링 Ei-1의 제1마루의 피크와 연결되는 제3곡선구간을 포함하고,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ridges includes a first straight section connected to the valley of the second crest of the first ring E i , a first curved s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straight section, and the first curved section. It includes a second curved section connected to and a third curved sec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urved section and connected to the peak of the first crest of the first ring E i-1 ,
상기 제1곡선구간은 제1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그 오목측은 제1곡률반경 R1을 갖고 그 볼록측은 제2곡률반경 R2를 갖고, 여기서 상기 제1회전방향은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이고,The first curved section is curved in a first direction of rotation, with its concave side havi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R1 and its convex side having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R2, wherein the first direction of rotation is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상기 제2곡선구간은 상기 제1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제2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그 오목측은 제3곡률반경 R3를 갖고 그 볼록측은 제4곡률반경 R4를 갖고, The second curved section is curved in a second rotation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e concave side has a third radius of curvature R3 and the convex side has a fourth radius of curvature R4,
상기 제3곡선구간은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그 오목측은 제5곡률반경 R5를 갖고 그 볼록측은 제6곡률반경 R6를 갖고, The third curved section is curv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with its concave side having a fifth radius of curvature R5 and its convex side having a sixth radius of curvature R6,
상기 제3곡선구간의 상기 볼록측과 상기 제1링 Ei-1의 상기 제1마루의 상기 피크를 연결하는 연결부위는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제7곡률반경 R7을 갖고,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convex side of the third curved section and the peak of the first crest of the first ring E i-1 is curv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and has a seventh radius of curvature R7,
상기 복수의 제1브릿지들의 각각은 폭 w1을 가질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ridges may have a width w1.
어떠한 예시들에서, R1의 곡률원과 R2의 곡률원은 동심을 갖고, R2=R1+w1의 관계를 갖고, In some examples,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re concentric and have the relationship R2=R1+w1,
R3의 곡률원과 R4의 곡률원은 동심을 갖고, R4=R3+w1의 관계를 갖고, The circle of curvature of R3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4 are concentric and have the relationship R4=R3+w1,
R5의 곡률원과 R6의 곡률원은 동심을 갖고, R5=R1 및 R6=R2의 관계를 갖고,The circle of curvature of R5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6 are concentric and have the relationship of R5 = R1 and R6 = R2,
R7=R1의 관계를 갖고,It has the relationship R7=R1,
R1의 곡률원과 R4의 곡률원은 외접하고,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4 are circumscribed,
R2의 곡률원과 R3의 곡률원은 외접하고,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3 are circumscribed,
R5의 곡률원과 R4의 곡률원은 외접하고,The circle of curvature of R5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4 are circumscribed,
R6의 곡률원과 R3의 곡률원은 외접하고, The circle of curvature of R6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3 are circumscribed,
R7의 곡률원과 R6의 곡률원은 외접하고,The circle of curvature of R7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6 are circumscribed,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R3 및 상기 R4의 곡률원들의 중심을 지나는 대칭축 S1을 기준으로 상기 R1의 곡률원은 상기 R5의 곡률원과 대칭을 이루고, 상기 R2의 곡률원은 상기 R6의 곡률원과 대칭을 이룰 수 있다.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 may be symmetrical with the circle of curvature of R5,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may be symmetrical with the circle of curvature of R6 based on the axis of symmetry S1 passing through the centers of the circles of curvature of R3 and R4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본 개시내용의 일 태양의 스텐트는, 압축력이 국부 위치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길이 방향 압축 저항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강성을 가질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스텐트 시술 시 특정 방향에 대한 편차를 줄여 사용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상차를 갖도록 브릿지를 배치함으로써 비틀림 힘에 대한 적응력을 갖추고 있어 목표 병변에 도달할 때까지 비틀림 힘에 의한 제품의 파손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tent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the advantage of improving longitudinal compression resistance by allowing compressive force to be distributed rather than concentrated at a local location. It can also provide the advantage of having excellent rigidity. In addition, it can provide the advantage of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by reducing deviation in a specific direction during stent surgery.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bridge to have a phase difference, it has the ability to adapt to twisting force, providing the advantage of minimizing damage to the product due to twisting force until it reaches the target lesion.
어떠한 예시들에서, 스텐트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르는 대칭축 S4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제1링들 Ei 및 상기 복수의 제1브릿지들과 대칭되는 복수의 제2링들 Ei' 및 복수의 제2브릿지들과, 상기 제1링 E1와 상기 제2링 E1'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브릿지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In some examples, the st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rings E i and a plurality of second rings E i 'and a plurality of second rings symmetrical to the plurality of first bridges with respect to the axis of symmetry S4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ridges and a plurality of third bridges connecting the first ring E 1 and the second ring E 1 ',
상기 복수의 제3브릿지들의 각각은 상기 제1링 E1의 상기 제2마루의 밸리와 상기 제2링 E1'의 상기 제2마루의 밸리를 연결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third bridges may connect a valley of the second ridge of the first ring E 1 and a valley of the second ridge of the second ring E 1 '.
도 1은 일 예시에 따른 스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텐트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한 후 펼쳐 놓은 전개도이다.
도 3은 일 예시에 따른 스텐트의 제1브릿지의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예시에 따른 스텐트의 인접하는 제1링들과 그 사이의 제1브릿지의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예시에 따른 스텐트의 제1마루, 제1골, 제2마루 및 제2골의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예시에 따른 스텐트의 인접하는 제1링 E1 및 제2링 E1'과 그 사이의 제3브릿지의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예시에 따른 스텐트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nt according to an example.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stent of Figure 1 cut along the length and then unfolde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pattern of a first bridge of a stent according to an example.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pattern of adjacent first rings of a stent and a first bridge between them according to an example.
Figures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patterns of the first ridge, first valley, second ridge, and second valley of a stent according to an example.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pattern of adjacent first ring E 1 and second ring E 1 ′ of a stent according to an example and a third bridge therebetween.
Figure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stent according to an example.
본 개시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시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시들은 본 개시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how to achieve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s described in detail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se example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omplete, an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예시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존재하거나 또는 추가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xample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disclosure.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one or more other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are included. It does not exclude existing or additions.
비록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of cours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예시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exam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스텐트(100)는 인체에 삽입되는 의학용 기구이다. 스텐트(100)는 그물 모양의 패턴이 반복되어 형성된 지름이 수 mm 이내의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텐트(100)는 협착된 혈관 등에 삽입한 후 반경 방향으로 팽창시켜 혈관 등을 확장시켜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텐트(100)는 인체에 삽입되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내화학성이 강해야 하며, 팽창된 후 다시 축소되지 않도록 탄성도 강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예시들에서, 스텐트(100)는 그 재질이 예컨대, 스테인레스강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스텐트(100)는 그 표면 및 단부가 날카롭지 않고 부드럽게 처리되어야 하며, 균일한 팽창력을 유지하기 위해 그물 모양의 패턴이 균일하고 정확하게 형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The
도 1은 일 예시에 따른 스텐트(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텐트(100)를 길이 방향(Dl)을 따라 절개한 후 펼쳐 놓은 전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텐트(100)는 복수의 제1링들(10) Ei (i는 1~n의 자연수, n은 2 이상의 자연수) 및 복수의 제1브릿지들(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텐트(100)는 제1링(10) E1, 제1링(10) E2, 제1링(10) E3 ... 들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the
어떠한 예시들에서, 스텐트(100)는, 원주 방향(Dc)을 따르는 대칭축 S4를 기준으로 복수의 제1링들(10) Ei 및 복수의 제1브릿지들(60)과 대칭되는 복수의 제2링들(20) Ei' 및 복수의 제2브릿지들(7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텐트(100)는 제2링(20) E1', 제2링(20) E2', 제2링(20) E3' ... 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들에서, 제2링들(20) 및 제2브릿지들(70)은 제1링들(10) 및 제1브릿지들(60)과 대칭이므로, 이하에서는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2링들(20) 및 제2브릿지들(70)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제1링들(10) 및 제1브릿지들(60)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대칭축 S4는 제1링(10) E1의 길이 방향 양쪽 중 제1링(10) E2와 반대되는 쪽에 위치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제1링들(10)의 갯수와 제2링들(20)의 갯수가 각각 6개씩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전술한 바와 같다. 더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제1링들(10) 및 제2링들(20)의 대칭은 패턴의 대칭을 의미하는 것일 뿐, 제1링들(10)의 갯수와 제2링들(20)의 갯수가 동일한 것으로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즉, 제1링들(10)의 갯수와 제2링들(20)의 갯수는 다를 수 있다. In some examples, the
또한, 본 개시내용이 제1링들(10)과 제2링들(20)이 대칭 구조를 가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링들(10)과 제2링들(20)은 비대칭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2링들(20), 제2브릿지들(70) 및 제3브릿지들(80) 없이 제1링들(10) 및 제1브릿지들(60)만으로 스텐트(100)가 이루어지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복수의 제1링들(10)은 원주 방향(Dc)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1마루(11), 제1골(13), 제2마루(15) 및 제2골(17)이 반복하고 길이 방향(Dl)으로 진폭을 갖는 파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링들(10)은 원주 방향(Dc)으로 진행하면서 길이 방향(Dl)으로 진동하는 파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1마루(11), 제1골(13), 제2마루(15) 및 제2골(17)이 각각 3개씩인 파형 형상을 가지는 제1링들(10)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개시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lurality of
각각의 제1브릿지(60)는 제1링(10) Ei-1과 제1링(10) Ei를 연결할 수 있다. 어떠한 예시들에서, 복수의 제1브릿지들(60)의 각각은 제1링(10) Ei-1의 제1마루(11)의 피크와 제1링(10) Ei의 제2마루(15)의 밸리를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브릿지(60)는 제1링(10) E1의 제1마루(11)의 피크와 제1링(10) E2의 제2마루(15)의 밸리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제1링(10)이 3개씩의 제1마루(11)와 제2마루(15)를 갖는 예시들에서는, 제1링(10) Ei-1과 인접하는 제1링(10) Ei 사이에는 3개의 제1브릿지들(60)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내용이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ach
어떠한 예시들에서, 스텐트(100)는, 제1링(10) E1와 제2링(20) E1'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브릿지들(8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3브릿지들(80)의 각각은 제1링(10) E1의 제2마루(15)의 밸리와 제2링(20) E1'의 제2마루의 밸리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제1링(10) 및 제2링(20)이 3개씩의 제2마루를 갖는 예시들에서는, 제1링(10) E1과 인접하는 제2링(20) E1' 사이에는 3개의 제3브릿지들(80)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이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some examples, the
복수의 제1링들(10)은 길이 방향(Dl)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어떠한 예시들에서, 인접하는 제1링들(10) 사이의 이격 거리는 0.39~0.42mm일 수 있다. 제1링(10) Ei-1과 제1링(10) Ei는, 길이 방향(Dl)을 따라 제1링(10) Ei-1의 제1마루(11)와 제1링(10) Ei의 제2마루(15)가 대응되도록, 원주 방향(Dc)을 따른 위상차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한 예시에서는, 제1링(10) Ei-1과 제1링(10) Ei이 원호의 중심각 60°의 위상차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본 개시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위상차를 갖도록 교차되는 브릿지 구조를 통하여 비틀림 힘에 대한 적응력을 갖추고 있어 목표 병변에 도달할 때까지 비틀림 힘에 의한 제품의 파손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길이 방향(Dl)은 원주 방향(Dc)의 원호의 접선 방향 및 반경 방향에 각각 수직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원주 방향(Dc)을 따라 그려지는 원의 중심축 방향을 의미한다. 원주 방향(Dc)은 도 1에서는 곡선으로 표현됨에 반하여, 도 1의 스텐트를 펼쳐 놓은 도 2에서는 직선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스텐트의 패턴은 도 2의 전개도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longitudinal direction (D l ) refers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angent direction and radial direction of the circular arc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 c ), respectively, and specifically,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circle draw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 c ). While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 c ) is expressed as a curve in FIG. 1, it may be expressed as a straight line in FIG. 2 when the stent of FIG. 1 is unfolded. Hereinafter,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the pattern of the st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evelopment diagram of FIG. 2.
도 3은 일 예시에 따른 스텐트(100)의 제1브릿지(60)의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a pattern of the
어떠한 예시들에서, 복수의 제1브릿지들(60)의 각각은 제1링(10) Ei의 제2마루(15)의 밸리와 연결되는 제1직선구간(61)과, 제1직선구간(61)과 연결되는 제1곡선구간(63)과, 제1곡선구간(63)과 연결되는 제2곡선구간(65)과, 제2곡선구간(65)과 연결되고 제1링(10) Ei-1의 제1마루(11)의 피크와 연결되는 제3곡선구간(67)을 포함할 수 있다. In some examples, each of the plurality of
제1곡선구간(63)은 제1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그 오목측은 제1곡률반경 R1을 갖고 그 볼록측은 제2곡률반경 R2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회전방향이 반시계방향인 예시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회전방향은 반시계방향일 수도, 시계방향일 수도 있다. The first
제2곡선구간(65)은 제1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제2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그 오목측은 제3곡률반경 R3를 갖고 그 볼록측은 제4곡률반경 R4를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제3곡선구간(67)은 제1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그 오목측은 제5곡률반경 R5를 갖고 그 볼록측은 제6곡률반경 R6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곡선구간(67)의 볼록측과 제1링(10) Ei-1의 제1마루(11)의 피크를 연결하는 연결부위(69)는 제2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제7곡률반경 R7을 가질 수 있다. The third
복수의 제1브릿지들(60)의 각각은 폭 w1을 가질 수 있다. 어떠한 예시들에서, 제1브릿지들(60)의 제1직선구간(61)은 0.06~0.08mm의 폭을 가지며, 제1곡선구간(63), 제2곡선구간(65) 및 제3곡선구간(67)은 0.08~0.1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어떠한 예시들에서, R1의 곡률원(C1)과 R2의 곡률원(C2)은 동심을 갖고, R2=R1+w1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일정한 곡률 반경을 길이 방향에 대한 압축력을 받는 링크 부분에 적용하여 압축력이 국부 위치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여 길이 방향 압축 저항을 향상시킬 수 있다. R3의 곡률원(C3)과 R4의 곡률원(C4)은 동심을 갖고, R4=R3+w1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R5의 곡률원(C5)과 R6의 곡률원(C6)은 동심을 갖고, R5=R1 및 R6=R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R7=R1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In some examples, the circle of curvature C1 of R1 and the circle of curvature C2 of R2 may be concentric and have a relationship of R2=R1+w1. By applying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to the link portion that receives compressive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mpressive force can be distributed rather than concentrated at a local location, thereby improving longitudinal compression resistance. The circle of curvature (C3) of R3 and the circle of curvature (C4) of R4 are concentric and may have a relationship of R4=R3+w1. The circle of curvature (C5) of R5 and the circle of curvature (C6) of R6 are concentric and may have a relationship of R5=R1 and R6=R2. It can have a relationship of R7=R1.
어떠한 예시들에서, R1의 곡률원(C1)과 R4의 곡률원(C4)은 외접할 수 있다. 외접하는 원을 통해 링크부를 만들어 하중 분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R2의 곡률원(C2)과 R3의 곡률원(C3)은 외접할 수 있다. R5의 곡률원(C5)과 R4의 곡률원(C4)은 외접할 수 있다. R6의 곡률원(C6)과 R3의 곡률원(C3)은 외접할 수 있다. R7의 곡률원(C7)과 R6의 곡률원(C6)은 외접할 수 있다. In some examples, the circle of curvature C1 of R1 and the circle of curvature C4 of R4 may be circumscribed. A load distribution effect can be achieved by creating a link section through a circumscribed circle. The circle of curvature (C2) of R2 and the circle of curvature (C3) of R3 can be circumscribed. The circle of curvature (C5) of R5 and the circle of curvature (C4) of R4 can be circumscribed. The circle of curvature (C6) of R6 and the circle of curvature (C3) of R3 can be circumscribed. The circle of curvature (C7) of R7 and the circle of curvature (C6) of R6 can be circumscribed.
어떠한 예시들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R3의 곡률원(C3) 및 R4의 곡률원(C4)의 중심을 지나는 대칭축 S1을 기준으로 R1의 곡률원(C1)은 R5의 곡률원(C5)과 대칭을 이루고, R2의 곡률원(C2)은 R6의 곡률원(C6)과 대칭을 이룰 수 있다. In some examples, the circle of curvature C1 of R1 is symmetrical to the circle of curvature C5 of R5 about the axis of symmetry S1 that passes through the centers of the circle of curvature C3 of R3 and the circle of curvature C4 of R4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R2 The circle of curvature (C2) of may be symmetrical to the circle of curvature (C6) of R6.
어떠한 예시들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R2의 곡률원(C2)과 R6의 곡률원(C6) 사이의 최단 거리 L1은 L1 < 2*R3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스텐트(100)가 목표 병변에 위치하기 위해 이동하는 동안 발생되는 힘에 저항하기 위하여 만곡부를 이용하여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some examples, the shortest distance L1 between the circle of curvature C2 of R2 and the circle of curvature C6 of R6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have the relationship L1 < 2*R3. Stiffness can be increased by using the curved portion to resist the force generated while the
어떠한 예시들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R2의 곡률원(C2)의 일 지점과 R4의 곡률원(C4)의 일 지점 사이의 최장 수직 거리 A2는 0.3*w1 < (A2-2*R4) ≤ 0.5*w1일 수 있다. A2-2*R4은 A1으로 표시된 길이에 대응된다. A1의 간격이 너무 작게 되면 R3의 값이 작아지면서 직선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길이 방향 저항력이 낮아질 수 있고, 반대로 A1의 간격이 너무 넓어지게 되면 크림핑(crimping) 작업 과정에서 스트럿과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A1의 크기는 0.3*w1보다는 크고, 0.5*w1 이하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some examples, the longest vertical distance A2 between a point on the circle of curvature (C2) of R2 and a point on the circle of curvature (C4) of R4, measur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0.3*w1 < (A2-2*R4) ≤ 0.5 *Can be w1. A2-2*R4 corresponds to the length indicated by A1. If the gap between A1 is too small, the value of R3 becomes smaller and closer to a straight line, which may lower the longitudinal resistance. Conversely, if the gap between A1 is too wide, interference with the strut may occur during the crimping process. Therefore, the size of A1 can be set to be greater than 0.3*w1 and less than or equal to 0.5*w1.
도 4는 일 예시에 따른 스텐트(100)의 인접하는 제1링들(10)과 그 사이의 제1브릿지(60)의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a pattern of adjacent
어떠한 예시들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제1링(10) Ei의 제2마루(15)의 피크로부터 제1링(10) Ei의 제1골(13)의 피크까지의 수직 거리 L2와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제1링(10) Ei의 제2마루(15)의 피크로부터 제1곡선구간(63)까지의 거리(간격) L3는, L2 < L3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어떠한 예시들에서, L2는 8.85~9.46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In some examples,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peak of the
어떠한 예시들에서, L3와,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제1곡선구간(63), 제2곡선구간(65) 및 제3곡선구간(67)의 합산 길이 L4는 L3 > L4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In some examples, L3 and the combined length L4 of the first
어떠한 예시들에서, 0.3*L2 ≤ L4 ≤ 0.35*L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In some examples, the relationship may be 0.3*L2 ≤ L4 ≤ 0.35*L2.
어떠한 예시들에서, L2는 0.085*L2 < w1 < 0.115*L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In some examples, L2 may have the relationship 0.085*L2 < w1 < 0.115*L2.
어떠한 예시들에서, 복수의 제1링들(10)의 제1마루(11)로부터 제1골(13)을 거쳐 제2마루(15)까지 이어지는 파형과 제2마루(15)로부터 제2골(17)을 거쳐 제1마루(11)까지 이어지는 파형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제2마루(15)의 중심을 지나는 대칭축 S2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대칭적인 구조를 통하여 스텐트(100) 시술 시 특정 방향 따른 편차를 줄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some examples, a waveform extending from the
도 5 및 도 6은 일 예시에 따른 스텐트(100)의 제1마루(11), 제1골(13), 제2마루(15) 및 제2골(17)의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s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patterns of the
복수의 제1링들(10)의 각각은 제1골(13)과 제2마루(15)를 연결하는 제1스트럿(14)과, 제2마루(15)와 제2골(17)을 연결하는 제2스트럿(16)을 포함할 수 있고, 어떠한 예시들에서, 제2마루(15)의 피크는 제1스트럿(14)과 연결되는 제8곡선과, 제8곡선과 연결되는 제9곡선과 제9곡선과 연결되고 제2스트럿(16)과 연결되는 제10곡선을 윤곽선으로 가질 수 있다. 제8곡선은 시계방향으로 만곡되되, 제8곡률반경 R8을 가질 수 있다. 제9곡선은 반시계방향으로 만곡되되, 제9곡률반경 R9를 가질 수 있다. 제10곡선은 시계방향으로 만곡되되, 제10곡률반경 R10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은 R9 > R8 = R10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R9는 제1스트럿(14)과 제2스트럿(16)이 압력에 의해 확장되는 과정에서 응력 집중에 의한 파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R8 및 R10보다 큰 반경을 가짐으로써 스텐트(100)의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 R8의 곡률원은 R9의 곡률원과 외접할 수 있다. R10의 곡률원은 R9의 곡률원과 외접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R8의 곡률원의 중심점은 제1스트럿(14)과 제1브릿지(6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R10의 곡률원의 중심점은 제1브릿지(60)와 제2스트럿(16)의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The center point of the circle of curvature of R8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복수의 제1링(10) Ei의 스트럿은 폭 w2를 가질 수 있다. 어떠한 예시들에서, w2는 0.09~0.11m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e struts of the plurality of first rings 10 E i may have a width w2. In some examples, w2 may have a size between 0.09 and 0.11 mm.
또한, 제1스트럿(14)과 제1브릿지(60)가 만나는 오목측은 제11곡률반경 R11을 갖고, 제1브릿지(60)와 제2스트럿(16)이 만나는 오목측은 제12곡률반경 R12를 가질 수 있다. R8 = R10 > R11 + w2 = R12 + w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R11의 중심은 R8의 중심보다 제1스트럿(14)쪽으로 편심 위치하고, R12의 중심은 R10의 중심보다 제2스트럿(16)쪽으로 편심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cave side where the
도 6의 C8'는 R11의 곡률원(C11)과의 비교를 위하여 도시한 곡률원이고, P8'는 C8'의 곡률원의 중심을 나타낸다. C8'의 곡률원은 R8의 곡률원(C8)과 동일한 중심점을 갖고 w2의 폭 만큼 반경 값이 줄었을 때에 얻어지는 곡률원이다. 이렇게 얻어진 C8'의 곡률원의 반경을 줄이고 그 중심점을 제1스트럿(14)에 더 근접 위치되게 편심시킨 것이 C11의 곡률원이다. P8'보다 C11의 곡률원의 중심인 P11을 제1스트럿(14)에 가깝게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인 스트럿 폭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C8' in FIG. 6 is a circle of curvature shown for comparison with the circle of curvature (C11) of R11, and P8' represents the center of the circle of curvature of C8'. The circle of curvature of C8' has the same center point as the circle of curvature of R8 (C8) and is a circle of curvature obtained when the radius value is reduced by the width of w2. The radius of the curvature circle of C8' obtained in this way is reduced and its center point is eccentrically located closer to the
제1마루(11)의 피크는 제13 곡률반경 R13을 가지고, 밸리는 제14곡률반경 R14를 가질 수 있다. 제1골(13)의 피크는 제15률반경 R15를 가지고, 밸리는 제16곡률반경 R16을 가질 수 있다. 제2골(17)의 피크는 제17곡률반경 R17을 가지고, 밸리는 제18곡률반경 R18을 가질 수 있다. The peak of the
제1마루(11)와 제1골(13) 사이의 스트럿은 R13의 곡률원(C13)과 R16의 곡률원(C16)의 공통 내접선과, R14의 곡률원(C14)과 R15의 곡률원(C15)의 공통 내접선을 윤곽선으로 가질 수 있다. The strut between the first ridge (11) and the first trough (13) has a common inscribed line between the circle of curvature (C13) of R13 and the circle of curvature (C16) of R16, and the common circle of curvature (C14) of R14 and the circle of curvature (C15) of R15. You can have an inscribed line as a contour.
제1스트럿(14)은 R16의 곡률원(C16)과 R8의 곡률원(C8)의 공통 내접선과, R15의 곡률원(C15)과 R11의 곡률원(C11)의 공통 내접선을 윤곽선으로 가질 수 있다. The
제2스트럿(16)은 R10의 곡률원(C10)과 R18의 곡률원(C18)의 공통 내접선과 R12의 곡률원(C12)과 R17의 곡률원(C17)의 공통 내접선을 윤곽선으로 가질 수 있다. The
제2골(17)과 제1마루(11) 사이의 스트럿은 R17의 곡률원(C17)과 R14의 곡률원(C14)의 공통 내접선과, R18의 곡률원(C18)과 R13의 곡률원(C13)의 공통 접선을 윤곽선으로 가질 수 있다. The strut between the second valley (17) and the first ridge (11) has a common inscribed line between the circle of curvature (C17) of R17 and the circle of curvature (C14) of R14, and the common circle of curvature (C18) of R18 and the circle of curvature (C13) of R13. You can have tangent lines as outlines.
도 7은 일 예시에 따른 스텐트(100)의 인접하는 제1링(10) E1 및 제2링(20) E1'과 그 사이의 제3브릿지(80)의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pattern of the adjacent first ring 10 E 1 and the second ring 20 E 1 'of the
복수의 제3브릿지들(80)의 각각은 제1링(10) E1의 제2마루(15)의 밸리와 연결되는 제1'직선구간(81)과, 제1'직선구간(81)과 연결되는 제1'곡선구간(83)과, 제1'곡선구간(83)과 연결되는 제2'곡선구간(85)과, 제2'곡선구간(85)과 연결되는 제1''곡선구간(87)과, 제1''곡선구간(87)과 연결되고 제2링(20) E1'의 제2마루의 밸리와 연결되는 제1''직선구간(89)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제1'곡선구간(83)은 제1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그 오목측은 제1'곡률반경 R1'을 갖고 그 볼록측은 제2'곡률반경 R2'를 가질 수 있다. 제2'곡선구간(85)은 제2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그 오목측은 제3'곡률반경 R3'를 갖고 그 볼록측은 제4'곡률반경 R4'를 가질 수 있다. 제1''곡선구간(87)은 제1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그 오목측은 제1''곡률반경 R1''을 갖고 그 볼록측은 제2''곡률반경 R2'' 를 가질 수 있다. 제1'직선구간(81)과 제1''직선구간(89)은 대칭축 S4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곡선구간(83)과 제1''곡선구간(87)은 대칭축 S4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The first '
복수의 제3브릿지들(80)의 각각은 폭 w1'을 갖고, w1' = w1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R1'의 곡률원과 R2'의 곡률원은 동심을 갖고, R2'=R1'+w1'=R2=R1+w1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R3'의 곡률원과 R4'의 곡률원은 동심을 갖고, R4'=R3'+w1'=R4=R3+w1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R1''의 곡률원과 R2''의 곡률원은 동심을 갖고, R1''=R1'=R1 및 R2''=R2'=R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R1'의 곡률원과 R4'의 곡률원은 외접할 수 있다. R2'의 곡률원과 R3'의 곡률원은 외접할 수 있다. R1''의 곡률원과 R4'의 곡률원은 외접할 수 있다. R2''의 곡률원과 R3'의 곡률원은 외접할 수 있다. 대칭축 S4는 R3'의 곡률원 및 R4'의 곡률원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re concentric and may have a relationship of R2'=R1'+w1'=R2=R1+w1. The circle of curvature of R3'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4' are concentric, and may have a relationship of R4'=R3'+w1'=R4=R3+w1.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re concentric and may have the relationships R1''=R1'=R1 and R2''=R2'=R2.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4' can be circumscribe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3' can be circumscribe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4' can be circumscribe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3' can be circumscribed. The axis of symmetry S4 may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circle of curvature of R3'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4'.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R2'의 곡률원과 R2''의 곡률원 사이의 최단 거리 L1'은 L1' < 2*R3'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The shortest distance L1' between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have the relationship of L1' < 2*R3'.
원주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R2'의 곡률원의 일지점과 R4'의 곡률원의 일지점 사이의 최장 수직 거리 A2'는 0.3*w1' < (A2'-2*R4') ≤ 0.5*w1'일 수 있다. The longest vertical distance A2' between the first point of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nd the first point of the circle of curvature of R4', measur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an be 0.3*w1' < (A2'-2*R4') ≤ 0.5*w1'. there is.
L2와,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제1링(10) E1의 제2마루(15)의 피크로부터 제1'곡선구간까지의 거리 L3'는, L2 < L3'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L2 and the distance L3' from the peak of the
L3'와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제1'곡선구간(83), 제2'곡선구간(85) 및 제1''곡선구간(87)의 합산 길이 L4'는 L3' > L4'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The total length L4' of the
L2와 L4'는 0.3*L2 ≤ L4' ≤ 0.35*L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L2 and L4' may have a relationship of 0.3*L2 ≤ L4' ≤ 0.35*L2.
R8의 곡률원(C8)의 중심점은 제1스트럿(14)과 제3브릿지(8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R10의 곡률원(C10)의 중심점은 제3브릿지(80)와 제2스트럿(16)의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The center point of the circle of curvature (C8) of R8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trut (14) and the third bridge (80), and the center point of the circle of curvature (C10) of R10 is located between the third bridge (80) and the second strut (16). It can be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어떠한 예시들에서, 제1링(10) E1의 제1스트럿(14)과 제3브릿지(80)가 만나는 오목측은 제11'곡률반경 R11'을 갖고, 제3브릿지(80)와 제1링(10) E1의 제2스트럿(16)이 만나는 오목측은 제12'곡률반경 R12'를 가질 수 있다. R8 = R10 > R11' + w2 = R12' + w1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R11'의 중심은 R8의 중심보다 제1스트럿(14)쪽으로 편심 위치하고, R12'의 중심은 R10의 중심보다 제2스트럿(16)쪽으로 편심 위치할 수 있다. In some examples, the concave side of the first ring 10 E 1 where the
어떠한 예시들에서, 인접하는 제1링(10) E1과 제2링(20) E1' 사이의 이격 거리는 0.38~0.42mm일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djacent first ring 10 E 1 and second ring 20 E 1 'may be 0.38 to 0.42 mm.
어떠한 예시들에서, 제3브릿지들(80)의 제1'직선구간(81) 및 제1''직선구간(89)은 각각 0.06~0.08mm의 폭을 가지며, 제1'곡선구간(83), 제2'곡선구간(85) 및 제1''곡선구간(87)은 각각 0.08~0.1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first '
이하, 스텐트(100)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Hereinafter, we will look at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for the
스텐트(100)의 제조방법으로서, 먼저, 미국특허 제5,855,597호나 제5,879,370호에서와 같이, 그물 모양의 패턴을 이루는 소정의 형상으로 구부러진 철사와 같은 부재들을 용접이나 접착에 의해 서로 연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다른 방법으로는, 미국특허 제5,421,955호나 제5,776,161호에서와 같이, 금속관의 외부 표면에 포토레지스트와 같은 내식각성이 있는 물질을 입히고, 형성하고자 하는 스텐트(100)의 패턴대로 노광·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후, 이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마스크로 하여 금속관을 식각함으로써 스텐트(100)를 제조할 수 있다. In another method, as in U.S. Patent No. 5,421,955 or 5,776,161, an etching-resistant material such as photoresist is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tube, and the photoresist is expos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또 다른 방법으로, 미국특허 제5,780,807호나 제5,852,277호에서와 같이, 금속관을 회전시키면서 금속관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금속관을 소정 패턴으로 절단(천공)함으로써 스텐트(100)를 제조할 수 있다. As another method, as in U.S. Patent No. 5,780,807 or 5,852,277, the
도 8은 이와 같이 레이저를 조사하여 스텐트(100)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텐트(100) 제조장치는, 중공의 원형관(100')을 지지하는 지지부(200)와, 원형관(100')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300)와, 지지부(200)와 레이저조사부(300)가 상대 운동되도록 지지부(200) 및 레이저 조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부(400)와, 복수의 링들과 복수의 브릿지들이 원형관(100')에 패터닝되도록 컴퓨터 수치 제어에 의하여 구동부(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the
어떠한 예시들에서, 지지부(200)는 원형관(100')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 척과 그 고정 척이 장착되며 수평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은 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테이블과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테이블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400)는 고정 척을 원형관(10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과, 테이블을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예컨대, X축 방향 이동 및 Y축 방향 이동)과, 레이저조사부(300)를 수직 이동 (예컨대, Z축 방향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In some examples, the
레이저조사부(300)는 원형관(100')의 천공에 필요한 레이저 빔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장치로서, 어떠한 예시들에서 레이저조사부(300)는 펄스 방식의 Nd:YAG 레이저 장치일 수 있다. The
스텐트(100)로 가공할 원형관(100')은 그 일단이 고정 척에 의해 고정되고 그 타단이 레이저조사부(300)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정렬된다. 테이블의 수평 이동과 레이저조사부(300)의 수직 이동에 의해 정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기저장된 스텐트 패턴의 CAD 데이터에 따라 테이블의 수평 이동과 고정 척의 회전 운동, 레이저조사부(300)의 레이저 빔의 조사를 제어할 수 있다. A circular tube (100') to be processed into a stent (100) is aligned so that one end thereof is fixed by a fixed chuck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positioned directly below a laser irradiation unit (300). The exact position can be aligned by horizontal movement of the table and vertical movement of the laser irradiation unit (300). The control unit (500) can control horizontal movement of the tabl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xed chuck, and irradiation of a laser beam of the laser irradiation unit (300) according to CAD data of a pre-stored stent patter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내용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예시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Therefore,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Claims (20)
상기 복수의 제1링들 Ei 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링 Ei-1과 상기 제1링 Ei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링 Ei-1의 제1마루와 상기 제1링 Ei의 제2마루가 대응되도록, 상기 원주 방향을 따른 위상차를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브릿지들의 각각은 상기 제1링 Ei-1의 제1마루의 피크와 상기 제1링 Ei의 제2마루의 밸리를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제1링들은 상기 제1골과 상기 제2마루를 연결하는 제1스트럿과, 상기 제2마루와 상기 제2골을 연결하는 제2스트럿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루의 피크는, 상기 제1스트럿과 연결되는 제8곡선과, 상기 제8곡선과 연결되는 제9곡선과 상기 제9곡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스트럿과 연결되는 제10곡선을 윤곽선으로 갖고,
상기 제8곡선은 시계방향으로 만곡되되, 제8곡률반경 R8을 갖고,
상기 제9곡선은 반시계방향으로 만곡되되, 제9곡률반경 R9를 갖고,
상기 제10곡선은 시계방향으로 만곡되되, 제10곡률반경 R10을 갖고,
R9 > R8 = R10의 관계를 갖고,
R8의 곡률원은 R9의 곡률원과 외접하고,
R10의 곡률원은 R9의 곡률원과 외접하고,
R8의 곡률원의 중심은 상기 제1스트럿과 상기 제1브릿지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R10의 곡률원의 중심은 상기 제1브릿지와 상기 제2스트럿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스텐트.
A plurality of first rings E i (i is a natural number from 1 to 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nd a plurality of first bridges connecting the first ring E i-1 and the first ring E i ,
The plurality of first rings E i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ring E i-1 and the first ring E i are such that the first crest of the first ring E i-1 and the second crest of the first ring E i correspond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ranged to have a phase differe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ridges connects a peak of the first crest of the first ring E i-1 and a valley of the second crest of the first ring E i ,
The plurality of first rings include a first strut connecting the first ridge and the second ridge, and a second strut connecting the second ridge and the second ridge,
The peak of the second ridge outlines an eighth curve connected to the first strut, a ninth curve connected to the eighth curve, and a tenth curve connected to the ninth curv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trut. Have it,
The eighth curve is curved clockwise and has an eighth radius of curvature R8,
The ninth curve is curved counterclockwise and has a ninth radius of curvature R9,
The tenth curve is curved clockwise and has a tenth radius of curvature R10,
There is a relationship of R9 > R8 = R10,
The circle of curvature of R8 circumscribes the circle of curvature of R9,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0 circumscribes the circle of curvature of R9,
The center of the circle of curvature of R8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trut and the first bridge,
The center of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0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ridge and the second strut,
stent.
상기 제1스트럿과 상기 제1브릿지가 만나는 오목측은 제11곡률반경 R11을 갖고, 상기 제1브릿지와 상기 제2스트럿이 만나는 오목측은 제12곡률반경 R12를 갖고,
상기 제1스트럿과 상기 제2스트럿은 폭 w2를 갖고,
R8 = R10 > R11 + w2 = R12 + w2의 관계를 갖고,
R11의 중심은 R8의 중심보다 상기 제1스트럿쪽으로 편심 위치하고, R12의 중심은 R10의 중심보다 상기 제2스트럿쪽으로 편심 위치하는,
스텐트.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cave side where the first strut and the first bridge meet has an 11th radius of curvature R11, and the concave side where the first bridge and the second strut meet has a 12th radius of curvature R12,
The first strut and the second strut have a width w2,
It has the relationship R8 = R10 > R11 + w2 = R12 + w2,
The center of R11 is located eccentrically toward the first strut relative to the center of R8, and the center of R12 is located eccentrically toward the second strut relative to the center of R10.
stent.
상기 복수의 제1브릿지들의 각각은 상기 제1링 Ei의 상기 제2마루의 밸리와 연결되는 제1직선구간과, 상기 제1직선구간과 연결되는 제1곡선구간과, 상기 제1곡선구간과 연결되는 제2곡선구간과, 상기 제2곡선구간과 연결되고 상기 제1링 Ei-1의 제1마루의 피크와 연결되는 제3곡선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곡선구간은 제1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그 오목측은 제1곡률반경 R1을 갖고 그 볼록측은 제2곡률반경 R2를 갖고, 여기서 상기 제1회전방향은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이고,
상기 제2곡선구간은 상기 제1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제2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그 오목측은 제3곡률반경 R3를 갖고 그 볼록측은 제4곡률반경 R4를 갖고,
상기 제3곡선구간은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그 오목측은 제5곡률반경 R5를 갖고 그 볼록측은 제6곡률반경 R6를 갖고,
상기 제3곡선구간의 상기 볼록측과 상기 제1링 Ei-1의 상기 제1마루의 상기 피크를 연결하는 연결부위는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제7곡률반경 R7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제1브릿지들의 각각은 폭 w1을 갖는,
According to paragraph 1,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ridges includes a first straight section connected to the valley of the second crest of the first ring E i , a first curved s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straight section, and the first curved section. It includes a second curved section connected to and a third curved sec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urved section and connected to the peak of the first crest of the first ring E i-1 ,
The first curved section is curved in a first direction of rotation, with its concave side havi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R1 and its convex side having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R2, wherein the first direction of rotation is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The second curved section is curved in a second rotation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e concave side has a third radius of curvature R3 and the convex side has a fourth radius of curvature R4,
The third curved section is curv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with its concave side having a fifth radius of curvature R5 and its convex side having a sixth radius of curvature R6,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convex side of the third curved section and the peak of the first crest of the first ring E i-1 is curv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and has a seventh radius of curvature R7,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ridges has a width w1,
R1의 곡률원과 R2의 곡률원은 동심을 갖고, R2=R1+w1의 관계를 갖고,
R3의 곡률원과 R4의 곡률원은 동심을 갖고, R4=R3+w1의 관계를 갖고,
R5의 곡률원과 R6의 곡률원은 동심을 갖고, R5=R1 및 R6=R2의 관계를 갖고,
R7=R1의 관계를 갖고,
R1의 곡률원과 R4의 곡률원은 외접하고,
R2의 곡률원과 R3의 곡률원은 외접하고,
R5의 곡률원과 R4의 곡률원은 외접하고,
R6의 곡률원과 R3의 곡률원은 외접하고,
R7의 곡률원과 R6의 곡률원은 외접하고,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R3 및 상기 R4의 곡률원들의 중심을 지나는 대칭축 S1을 기준으로 상기 R1의 곡률원은 상기 R5의 곡률원과 대칭을 이루고, 상기 R2의 곡률원은 상기 R6의 곡률원과 대칭을 이루는,
스텐트.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re concentric and have the relationship R2=R1+w1,
The circle of curvature of R3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4 are concentric and have the relationship R4=R3+w1,
The circle of curvature of R5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6 are concentric and have the relationship of R5 = R1 and R6 = R2,
It has the relationship R7=R1,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4 are circumscribe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3 are circumscribe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5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4 are circumscribe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6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3 are circumscribe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7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6 are circumscribe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 is symmetrical with the circle of curvature of R5,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is symmetrical with the circle of curvature of R6, with respect to the axis of symmetry S1 passing through the centers of the circles of curvature of R3 and R4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tent.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R2의 곡률원과 상기 R6의 곡률원 사이의 최단 거리 L1은 L1 < 2*R3의 관계를 갖는,
스텐트.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hortest distance L1 between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6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the relationship of L1 < 2*R3,
stent.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R2의 곡률원의 일지점과 상기 R4의 곡률원의 일지점 사이의 최장 수직 거리 A2는 0.3*w1 < (A2-2*R4) ≤ 0.5*w1인,
스텐트.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longest vertical distance A2 between the first point of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nd the first point of the circle of curvature of R4 measur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0.3*w1 < (A2-2*R4) ≤ 0.5*w1,
stent.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제1링 Ei의 상기 제2마루의 피크로부터 상기 제1링 Ei의 상기 제1골의 피크까지의 수직 거리 L2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제1링 Ei의 상기 제2마루의 피크로부터 상기 제1곡선구간까지의 거리 L3는, L2 < L3의 관계를 갖는,
스텐트.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vertical distance L2 from the peak of the second ridge of the first ring E i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peak of the first valley of the first ring E i and the first ridge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stance L3 from the peak of the second ridge of the ring E i to the first curve section has the relationship L2 < L3,
stent.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제1링 Ei의 상기 제2마루의 피크로부터 상기 제1곡선구간까지의 거리 L3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제1곡선구간, 상기 제2곡선구간 및 상기 제3곡선구간의 합산 길이 L4는 L3 > L4의 관계를 갖는,
스텐트.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distance L3 from the peak of the second crest of the first ring E i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first curved section, the first curved section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curved section, and The total length L4 of the third curve section has the relationship L3 > L4,
stent.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제1링 Ei의 상기 제2마루의 피크로부터 상기 제1링 Ei의 상기 제1골의 피크까지의 수직 거리 L2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제1곡선구간, 상기 제2곡선구간 및 상기 제3곡선구간의 합산 길이 L4는, 0.3*L2 ≤ L4 ≤ 0.35*L2의 관계를 갖는,
스텐트.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vertical distance L2 from the peak of the second ridge of the first ring E i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peak of the first valley of the first ring E i and the first ridge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mbined length L4 of the curved section, the second curved section, and the third curved section has a relationship of 0.3*L2 ≤ L4 ≤ 0.35*L2,
stent.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제1링 Ei의 상기 제2마루의 피크로부터 상기 제1링 Ei의 상기 제1골의 피크까지의 수직 거리 L2는 0.085*L2 < w1 < 0.115*L2의 관계를 갖는,
스텐트.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vertical distance L2 from the peak of the second crest of the first ring E i to the peak of the first valley of the first ring E i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0.085*L2 < w1 < 0.115*L2. having a relationship,
stent.
상기 복수의 제1링들의 상기 제1마루로부터 상기 제1골을 거쳐 상기 제2마루까지 이어지는 파형과 상기 제2마루로부터 상기 제2골을 거쳐 상기 제1마루까지 이어지는 파형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마루의 중심을 지나는 대칭축 S2를 기준으로 대칭인,
스텐트.
According to paragraph 3,
A waveform extending from the first crest of the plurality of first rings to the second crest via the first trough and a waveform extending from the second crest to the first crest via the second trough a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ymmetrical about the axis of symmetry S2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ridge,
stent.
상기 원주 방향을 따르는 대칭축 S4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제1링들 Ei 및 상기 복수의 제1브릿지들과 대칭되는 복수의 제2링들 Ei' 및 복수의 제2브릿지들과, 인접하는 상기 제1링 E1과 상기 제2링 E1'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브릿지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브릿지들의 각각은 상기 제1링 E1의 상기 제2마루의 밸리와 상기 제2링 E1'의 상기 제2마루의 밸리를 연결하는,
스텐트.
According to paragraph 3,
A plurality of first rings E i and a plurality of second rings E i 'and a plurality of second bridges symmetrical to the plurality of first bridges with respect to the axis of symmetry S4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adjacent second rings E i Additionally comprising a plurality of third bridges connecting the first ring E 1 and the second ring E 1 ',
Each of the plurality of third bridges connects the valley of the second ridge of the first ring E 1 and the valley of the second ridge of the second ring E 1 ',
stent.
상기 복수의 제3브릿지들의 각각은 상기 제1링 E1의 상기 제2마루의 상기 밸리와 연결되는 제1'직선구간과, 상기 제1'직선구간과 연결되는 제1'곡선구간과, 상기 제1'곡선구간과 연결되는 제2'곡선구간과, 상기 제2'곡선구간과 연결되는 제1''곡선구간과, 상기 제1''곡선구간과 연결되고 상기 제2링 R1'의 상기 제2마루의 상기 밸리와 연결되는 제1''직선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곡선구간은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그 오목측은 제1'곡률반경 R1'을 갖고 그 볼록측은 제2'곡률반경 R2'를 갖고,
상기 제2'곡선구간은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그 오목측은 제3'곡률반경 R3'를 갖고 그 볼록측은 제4'곡률반경 R4'를 갖고,
상기 제1''곡선구간은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만곡되되, 그 오목측은 제1''곡률반경 R1''를 갖고 그 볼록측은 제2''곡률반경 R2'' 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3브릿지들의 각각은 폭 w1'을 갖고, w1' = w1의 관계를 갖고,
R1'의 곡률원과 R2'의 곡률원은 동심을 갖고, R2'=R1'+w1'=R2=R1+w1의 관계를 갖고,
R3'의 곡률원과 R4'의 곡률원은 동심을 갖고, R4'=R3'+w1'=R4=R3+w1의 관계를 갖고,
R1''의 곡률원과 R2''의 곡률원은 동심을 갖고, R1''=R1'=R1 및 R2''=R2'=R2의 관계를 갖고,
R1'의 곡률원과 R4'의 곡률원은 외접하고,
R2'의 곡률원과 R3'의 곡률원은 외접하고,
R1''의 곡률원과 R4'의 곡률원은 외접하고,
R2''의 곡률원과 R3'의 곡률원은 외접하고,
상기 대칭축 S4는 상기 R3' 및 상기 R4'의 곡률원의 중심을 지나는,
스텐트.
According to clause 12,
Each of the plurality of third bridges includes a first 'straight section connected to the valley of the second ridge of the first ring E 1 , a first' curved s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straight section, and A second'curve section connected to the first'curve section, a first''curve section connected to the second'curve section, and the second ring R1'connected to the first''curve section. It includes a first ''straight section connected to the valley of the second ridge,
The first 'curved section is curv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e concave side has a first 'curvature radius R1' and the convex side has a second 'curvature radius R2',
The second 'curved section is curv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concave side has a third 'curvature radius R3' and the convex side has a fourth 'curvature radius R4',
The first ''curved section is curv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e concave side has a first ''radius of curvature R1'' and the convex side has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R2'',
Each of the plurality of third bridges has a width w1' and has a relationship of w1' = w1,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re concentric and have the relationship R2'=R1'+w1'=R2=R1+w1,
The circle of curvature of R3'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4' are concentric and have the relationship R4'=R3'+w1'=R4=R3+w1,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re concentric and have the relationships R1''=R1'=R1 and R2''=R2'=R2,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4' are circumscribe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3' are circumscribe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4' are circumscribe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3' are circumscribed,
The axis of symmetry S4 passes through the centers of the circles of curvature of R3' and R4',
stent.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R2'의 곡률원과 상기 R2''의 곡률원 사이의 최단 거리 L1'은 L1' < 2*R3'의 관계를 갖는,
스텐트.
According to clause 13,
The shortest distance L1' between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nd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the relationship L1'<2*R3',
stent.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R2'의 곡률원의 일지점과 상기 R4'의 곡률원의 일지점 사이의 최장 수직 거리 A2'는 0.3*w1' < (A2'-2*R4') ≤ 0.5*w1'인,
스텐트.
According to clause 13,
The longest vertical distance A2' between the first point of the circle of curvature of R2' and the first point of the circle of curvature of R4' measur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0.3*w1'<(A2'-2*R4') ≤ 0.5*w1 'person,
stent.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제1링 E1의 상기 제2마루의 피크로부터 상기 제1링 E1의 상기 제1골의 피크까지의 수직 거리 L2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제1링 E1의 상기 제2마루의 피크로부터 상기 제1'곡선구간까지의 거리 L3'는, L2 < L3'의 관계를 갖는,
스텐트.
According to clause 13,
The vertical distance L2 from the peak of the second crest of the first ring E 1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peak of the first valley of the first ring E 1 and the first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stance L3' from the peak of the second ridge of ring E 1 to the first 'curve section has the relationship L2 <L3',
stent.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제1링 E1의 상기 제2마루의 피크로부터 상기 제1'곡선구간까지의 거리 L3'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제1'곡선구간, 상기 제2'곡선구간 및 상기 제1''곡선구간의 합산 길이 L4'는 L3' > L4'의 관계를 갖는,
스텐트.
According to clause 13,
The distance L3' from the peak of the second crest of the first ring E 1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first 'curved section', the first' curved section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The combined length L4' of the 'curve section and the first''curve section has a relationship of L3'>L4',
stent.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제1링 E1의 상기 제2마루의 피크로부터 상기 제1링 E1의 상기 제1골의 피크까지의 수직 거리 L2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제1'곡선구간, 상기 제2'곡선구간 및 상기 제1''곡선구간의 합산 길이 L4'는, 0.3*L2 ≤ L4' ≤ 0.35*L2의 관계를 갖는,
스텐트.
According to clause 13,
The vertical distance L2 from the peak of the second crest of the first ring E 1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peak of the first valley of the first ring E 1 and the first measu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mbined length L4' of the 'curve section, the second' curve section and the first ''curve section' has a relationship of 0.3*L2 ≤ L4' ≤ 0.35*L2,
stent.
상기 복수의 제1링들은 상기 제1골과 상기 제2마루를 연결하는 제1스트럿과, 상기 제2마루와 상기 제2골을 연결하는 제2스트럿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루의 피크는, 상기 제1스트럿과 연결되는 제8곡선과, 상기 제8곡선과 연결되는 제9곡선과 상기 제9곡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스트럿과 연결되는 제10곡선을 윤곽선으로 갖고,
상기 제8곡선은 시계방향으로 만곡되되, 제8곡률반경 R8을 갖고,
상기 제9곡선은 반시계방향으로 만곡되되, 제9곡률반경 R9를 갖고,
상기 제10곡선은 시계방향으로 만곡되되, 제10곡률반경 R10을 갖고,
R9 > R8 = R10의 관계를 갖고,
R8의 곡률원은 R9의 곡률원과 외접하고,
R10의 곡률원은 R9의 곡률원과 외접하고,
상기 제1링 E1의 상기 제1스트럿과 상기 제3브릿지가 만나는 오목측은 제11'곡률반경 R11'을 갖고, 상기 제3브릿지와 상기 제1링 E1의 상기 제2스트럿이 만나는 오목측은 제12'곡률반경 R12'를 갖고,
상기 제1스트럿과 상기 제2스트럿은 폭 w2를 갖고,
R8 = R10 > R11' + w2 = R12' + w2의 관계를 갖고,
R8의 곡률원의 중심은 상기 제1스트럿과 상기 제3브릿지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R10의 곡률원의 중심은 상기 제3브릿지와 상기 제2스트럿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R11'의 중심은 R8의 중심보다 상기 제1스트럿쪽으로 편심 위치하고, R12'의 중심은 R10의 중심보다 상기 제2스트럿쪽으로 편심 위치하는,
스텐트.
According to clause 13,
The plurality of first rings include a first strut connecting the first ridge and the second ridge, and a second strut connecting the second ridge and the second ridge,
The peak of the second ridge outlines an eighth curve connected to the first strut, a ninth curve connected to the eighth curve, and a tenth curve connected to the ninth curv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trut. Have it,
The eighth curve is curved clockwise and has an eighth radius of curvature R8,
The ninth curve is curved counterclockwise and has a ninth radius of curvature R9,
The tenth curve is curved clockwise and has a tenth radius of curvature R10,
There is a relationship of R9 > R8 = R10,
The circle of curvature of R8 circumscribes the circle of curvature of R9,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0 circumscribes the circle of curvature of R9,
The concave side where the first strut and the third bridge of the first ring E 1 meet has an 11th 'radius of curvature R11', and the concave side where the third bridge and the second strut of the first ring E 1 meet has a Has a 12th 'radius of curvature R12',
The first strut and the second strut have a width w2,
It has the relationship R8 = R10 >R11' + w2 = R12' + w2,
The center of the circle of curvature of R8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trut and the third bridge,
The center of the circle of curvature of R10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third bridge and the second strut,
The center of R11' is located eccentrically toward the first strut relative to the center of R8, and the center of R12' is located eccentrically toward the second strut relative to the center of R10.
stent.
상기 원형관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와,
상기 지지부와 레이저조사부가 상대 운동되도록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레이저 조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기저장된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텐트의 패턴의 데이터에 따라 컴퓨터 수치 제어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장치.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hollow circular pipe,
A laser irradiation unit that irradiates a laser to the circular tube,
a driving unit that drives at least one of the support unit and the laser irradiation unit so that the support unit and the laser irradiation unit move relative to each o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rive unit by computer numerical control according to pre-stored data of the stent pattern of any one of claims 1 to 19,
Stent manufactur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69409A KR102692668B1 (en) | 2022-12-07 | 2022-12-07 | Stent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69409A KR102692668B1 (en) | 2022-12-07 | 2022-12-07 | Stent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
Public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84763A KR20240084763A (en) | 2024-06-14 |
| KR102692668B1 true KR102692668B1 (en) | 2024-08-06 |
| KR102692668B9 KR102692668B9 (en) | 2024-10-21 |
Family
ID=9148143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169409A Active KR102692668B1 (en) | 2022-12-07 | 2022-12-07 | Stent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9266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9655936B (en) * | 2025-02-20 | 2025-06-13 | 北京航空航天大学 | A degradable vascular stent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10052B1 (en) | 2019-11-04 | 2021-02-02 | 오스템카디오텍 주식회사 | Biodegradable stent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AU2013263411B2 (en) * | 2012-05-14 | 2017-05-25 | C.R. Bard, Inc. | Uniformly expandable stent |
| US9180031B2 (en) * | 2013-03-15 | 2015-11-10 | Covidien Lp | Stent with varying radius between struts |
| KR20170088781A (en) * | 2017-05-30 | 2017-08-02 | 김덕호 | Stent manufacturing device using one-way machining |
| KR102253030B1 (en) * | 2019-10-25 | 2021-05-18 | 주식회사 제노스 | Magnesium alloy stent |
-
2022
- 2022-12-07 KR KR1020220169409A patent/KR10269266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10052B1 (en) | 2019-11-04 | 2021-02-02 | 오스템카디오텍 주식회사 | Biodegradable sten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84763A (en) | 2024-06-14 |
| KR102692668B9 (en) | 2024-10-2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290426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laser cutting of metal stents | |
| JP4567815B2 (en) | Intravascular stent | |
| US7097651B2 (en) | Embolic protection basket | |
| JP4271403B2 (en) | Flexible stent | |
| US6929660B1 (en) | Intravascular stent | |
| US20180228627A1 (en) |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tent | |
| US6521865B1 (en) | Pulsed fiber laser cutting system for medical implants | |
| EP1594650B1 (en) | Pulsed fiber laser cutting system for medical implants | |
| US6036725A (en) | Expandable endovascular support device | |
| JP4749403B2 (en) | Intravascular stent | |
| EP0790041A2 (en) | Implantable vascular and endoluminal stents | |
| US20030014102A1 (en) | Intravascular Stent | |
| US20040172128A1 (en) | Stent pattern with figure-eights | |
| KR102692668B1 (en) | Stent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 |
| JP2009532107A (en) | Pulse-synchronized laser cutting of stent | |
| WO2006026778A2 (en) |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tent | |
| JP2002523009A (en) | Intravascular stent | |
| EP3998987B1 (en) | Stents with increased flexibility | |
| WO2019143717A1 (en) | Stents with increased flexibility | |
| KR102783035B1 (en) | Stent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 same | |
| KR20010052430A (en) | Low pressure stent | |
| WO2001034241A1 (en) | Cerebral vasculature stent | |
| JP4012251B6 (en) | Intravascular stent | |
| JP2001187150A (en) | St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