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4346B1 -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4346B1
KR102704346B1 KR1020240016228A KR20240016228A KR102704346B1 KR 102704346 B1 KR102704346 B1 KR 102704346B1 KR 1020240016228 A KR1020240016228 A KR 1020240016228A KR 20240016228 A KR20240016228 A KR 20240016228A KR 102704346 B1 KR102704346 B1 KR 102704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wire
screen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진순
박홍섭
양승철
Original Assignee
손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진순 filed Critical 손진순
Priority to KR1020240016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4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4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43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8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63F13/245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game, e.g. steer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79Other kinds of output
    • A63F2009/2482Electromo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35Virtual f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제 낚시처럼 스크린 낚시를 할 수 있게 구동하는 구동제어장치(10)와, 상기 구동제어장치(10)와 연결되는 낚시대(20), 상기 구동제어장치(10)와 낚시대(20)에 연결된 낚시줄(30), 상기 구동제어장치(10)와 낚시대(20)에 연결된 스크린(40)으로 구성되는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과, 초급, 중급, 상급의 낚시 레벨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낚시 레벨 선택 후 지역에 따른 어종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어종 선택 단계 후 입질하는 단계, 상기 입질에 따른 챔질하는 단계, 상기 챔질의 결과를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으로, 손맛이 느껴지는 입질에 따른 챔질을 통해 실제 낚시하는 것처럼 스크린 낚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 {Screen fishing game system and screen fishing game method}
본 발명은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모니터)상에 낚시 상황을 그래픽 영상의 배경 화면으로 다양하게 출력되고, 낚시 게임용 구동제어장치를 통해 낚시의 손맛을 느낄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실제로 낚시하는 것과 같은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실제 낚시장면의 영상기록을 모니터 상에 표시하여 낚시의 감각(sensation)을 시뮬레이트(simulate)한 후 마치 실제로 낚시를 즐기는 느낌을 갖도록 하기위해 모니터 상에 입질(biting)이 표시되거나 낚싯대의 휘는 정도에 따라 챔질하는 형태였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실제의 낚시행위보다는 현실적 감각이 매우 차이가 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낚시와 관련한 다양한 컴퓨터 게임이 개발되고, 인터넷, 컴퓨터 주변기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발달에 따라, 낚시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이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및 그 주변기기로서 마우스를 이용한 낚시 게임 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낚시 바늘에 미끼를 끼우고, 마우스의 좌측 버튼을 눌러 미끼가 끼워진 낚싯대를 저수지 등에 던져 넣고 기다리다가, 물고기가 미끼를 무는지 여부를 찌의 움직임을 통해 관찰한다. 이때, 물고기가 미끼를 물고 수면으로 오르거나, 미끼를 물고 달아나면, 마우스를 어느 방향으로든 빠르게 움직여, 낚싯대를 낚아채듯 재빠르게 움직이도록 하여, 물고기가 미끼를 물고 있는 낚시 바늘에 찔리도록 한다(통상, "챔질"이라 한다). 그 후, 마우스를 좌 또는 우로 둥글게 이동시켜, 낚싯대를 좌우로 끌어 당김으로서, 물고기의 힘을 빼고, 물고기를 뭍으로 끌어 올리게 된다. 이와 같은 미끼 던지기, 낚싯대의 움직임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다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제어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마우스 또는 버튼을 이용한 낚싯대의 제어는 게임 게이머들이 쉽게 흥미를 잃고,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낚시의 스릴을 게임 게이머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6089호(명칭: 낚시 게임 장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7828호(명칭: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낚시 게임 방법)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크린(모니터)상에 낚시 상황을 그래픽 영상의 배경 화면으로 다양하게 출력 가능하게 함에 따라 게임하는 사용자들이 다양한 장소와 시간, 상황으로 게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낚시로 채집할 때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 느낄 수 있는 손맛을 낚시 게임용 구동제어장치를 통해 느낄 수 있어, 사용자가 실제로 낚시하는 것과 같은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시하러 멀리 이동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시간을 아낄 수 있는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도 낚시대를 설치하여 낚시 게임이 가능함에 따라 공간에 있어 효율적인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낚시 게임을 위한 구동력을 지지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부(200);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위치 및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400)와 결합되어 와이어(400)와의 결합을 지지하는 와이어결합부(300); 상기 와이어결합부(300)에 결합되어 회전판부(200)를 통한 진동을 낚시줄(30)로 전달하는 와이어(400); 일단이 상기 와이어(400)와 결합되고 타단이 낚시줄(30)과 연결되는 연결부(500);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 및 결합되는 스프링(600); 상기 스프링(600)의 상부에 결합하여 위치하고 중앙에 통공을 구비하는 낚시찌(650); 상기 프레임(100)의 후면 일측에 위치 및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부(20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700); 상기 프레임(100)의 후면 일측에 위치하여 회전 구동력의 세기 및 방향 등을 조절하는 제어부(800); 상기 프레임(100) 및 회전판부(200), 와이어결합부(300), 와이어(400), 연결부(500), 스프링(600), 모터(700), 제어부(800)의 외측에 형성되어 보호하는 케이스(900);로 구성되고, 실제 낚시처럼 스크린 낚시를 할 수 있게 구동하는 구동제어장치(10);와,
상기 구동제어장치(10)와 연결되는 낚시대(20);
상기 구동제어장치(10)와 낚시대(20)에 연결된 낚시줄(30);
상기 구동제어장치(10)와 낚시대(20)에 연결된 스크린(40);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제어장치(10)의 회전판부(200)의 회전으로 와이어(400)가 밀려 이동하고, 상기 와이어(4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낚시찌(650)가 스프링(600)을 누른 후 원위치로 이동하는 작동을 통하여 압축 및 진동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600)의 압축 및 진동이 와이어(400)로 전달되고, 상기 와이어(400)와 연결된 낚시대(20)와 낚시줄(30)에 진동이 전달됨에 따라 손맛이 느껴지는 입질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구동제어장치(10)의 구동에 따른 단계별 낚시 진행 상황을 상기 스크린(40)을 통해 나타내어 실제 낚시하는 것처럼 스크린 낚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낚시 게임을 위한 구동력을 지지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부(200),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위치 및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400)와 결합되어 와이어(400)와의 결합을 지지하는 와이어결합부(300), 상기 와이어결합부(300)에 결합되어 회전판부(200)를 통한 진동을 낚시줄(30)로 전달하는 와이어(400), 일단이 상기 와이어(400)와 결합되고 타단이 낚시줄(30)과 연결되는 연결부(500),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 및 결합되는 스프링(600), 상기 스프링(600)의 상부에 결합하여 위치하고 중앙에 통공을 구비하는 낚시찌(650), 상기 프레임(100)의 후면 일측에 위치 및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부(20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700), 상기 프레임(100)의 후면 일측에 위치하여 회전 구동력의 세기 및 방향 등을 조절하는 제어부(800), 상기 프레임(100) 및 회전판부(200), 와이어결합부(300), 와이어(400), 연결부(500), 스프링(600), 모터(700), 제어부(800)의 외측에 형성되어 보호하는 케이스(900)로 구성되는 구동제어장치(10)와, 낚시대(20), 낚시줄(30), 스크린(40)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진행하는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장치(10)의 제어부(800)가 초급, 중급, 상급의 낚시 레벨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낚시 레벨 선택 후, 상기 구동제어장치(10)의 제어부(800)가 지역에 따른 어종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구동제어장치(10)의 제어부(800)의 구동 제어로 구동제어장치(10)의 모터(700)에 부착된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구동제어장치(10)의 회전판부(200)의 회전 속도와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어종 선택에 따라 낚시줄(30)의 입질의 크기를 조절하는, 낚시줄(30)을 통해 입질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질에 따라 낚시대(20)를 통해 챔질하는 단계;
상기 챔질 완료 후, 상기 구동제어장치(10)의 제어부(800)가 상기 낚시대(20)의 챔질의 결과를 물고기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물고기 체력과 함께 낚시 점수로 스크린(40)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낚시 레벨 선택 후 지역에 따른 어종 선택 단계는 장비를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제어장치(10) 및 낚시대(20), 낚시줄(30), 스크린(40)의 구동을 통해 손맛이 느껴지는 입질에 따른 챔질을 통해 실제 낚시하는 것처럼 스크린 낚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린(모니터)상에 낚시 상황을 그래픽 영상의 배경 화면으로 다양하게 출력 가능하게 함에 따라 게임하는 사용자들이 다양한 장소와 시간, 상황으로 게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낚시로 채집할 때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 느낄 수 있는 손맛을 낚시 게임용 구동제어장치를 통해 느낄 수 있어, 사용자가 실제로 낚시하는 것과 같은 재미를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시하러 멀리 이동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시간을 아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도 낚시대를 설치하여 낚시 게임이 가능함에 따라 공간에 있어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의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의 낚시 게임용 구동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의 낚시 게임용 구동제어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a 및 7b, 7c는 본 발명의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의 낚시 게임용 구동제어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의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의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의 낚시 게임용 구동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의 낚시 게임용 구동제어장치의 측면도, 도 7a 및 7b, 7c는 본 발명의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의 낚시 게임용 구동제어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의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의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실제 낚시처럼 스크린 낚시를 할 수 있게 구동하는 구동제어장치(10)와, 상기 구동제어장치(10)와 연결되는 낚시대(20), 상기 구동제어장치(10)와 낚시대(20)에 연결된 낚시줄(30), 상기 구동제어장치(10)와 낚시대(20)에 연결된 스크린(4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제어장치(10)는 낚시 게임을 위한 구동력을 지지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부(200),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위치 및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400)와 결합되어 와이어(400)와의 결합을 지지하는 와이어결합부(300), 상기 와이어결합부(300)에 결합되어 회전판부(200)를 통한 진동을 낚시줄(30)로 전달하는 와이어(400), 일단이 상기 와이어(400)와 결합되고 타단이 낚시줄(30)과 연결되는 연결부(500),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 및 결합되는 스프링(600), 상기 스프링(600)의 상부에 결합하여 위치하는 낚시찌(650), 상기 프레임(100)의 후면 일측에 위치 및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부(20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700), 상기 프레임(100)의 후면 일측에 위치하여 회전 구동력의 세기 및 방향 등을 조절하는 제어부(800), 상기 프레임(100) 및 회전판부(200), 와이어결합부(300), 와이어(400), 연결부(500), 스프링(600), 모터(700), 제어부(800)의 외측에 형성되어 보호하는 케이스(90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프레임(100)은 후술하는 회전판부(200) 및 와이어결합부(300), 모터(700), 제어부(800)가 결합되어 구동제어장치(10)의 구동을 위해 지지하는 제1 프레임(110), 상기 제1 프레임(110)의 정면 상부에 결합되어 구동제어장치(10)의 구동을 위해 지지하는 제2 프레임(120), 상기 제1 프레임(110)의 정면 하부에 결합되어 와이어(400)와 결합되는 연결프레임(130), 상기 제1 프레임(110)의 후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하부프레임(140), 상기 제1 프레임(110) 및 연결프레임(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베이스프레임(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프레임(110)은 다수의 결합공(112)과 일단에 형성된 연결부(114)를 구비하고, 양측에 결합부(미명명)를 구비하는 직사각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12)을 통해 다른 부재와 결합 형성된다.
상기 제1 프레임(110)은 상기 연결부(114)를 통해 상기 제1 프레임(110)이 후술하는 연결프레임(130)의 연결부(134)와 결합 형성된다.
상기 제2 프레임(120)은 다수개의 결합공(122)과 중앙에 형성된 통공(124)을 구비하고, 상측 및 하측에 상기 제1 프레임(110)과 결합하는 결합부(미명명)를 구비하는 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22)은 다른 부재와 결합을 위해 형성되고, 상기 통공(124)은 후술하는 회전판부(200)의 회전의 구동이 걸림없이 회전하고 회전하는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다수개의 결합공(132)과 일측부에 형성된 연결부(134)를 구비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32)을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50)과 결합 형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상기 연결부(134)를 통해 상기 제1 프레임(110)의 연결부(114)와 연결 결합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40)은 다수개의 결합공(142)을 구비하고, 각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미명명)를 구비하는 단면이 ‘ㄷ’자 형태의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42)을 통해 다른 부재와 결합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50)은 다수개의 결합공(152)을 구비하고 각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미명명)를 구비하는 판 형태로, 상기 연결프레임(130) 및 하부프레임(140)과 결합하여 상기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 연결프레임(130), 하부프레임(140)을 지지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50)은 상기 연결프레임(130) 및 하부프레임(140)이 위치할 수 있도록 홈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부(200)는 다수개의 결합공(202)과 정면 일측에 결합 형성된 돌출부(205)를 구비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축부(204)를 통해 제1 프레임(110)과 결합하여 회전한다.
상기 다수개의 결합공(20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양단부 및 중앙부에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원형의 결합공(202)의 사이에는 긴 원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회전판부(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긴 타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돌출부(20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회전판부(200)의 일단부에 형성된 결합공(202)에 볼트 결합하나, 위치 및 결합 방법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회전축부(204)는 볼베어링을 추가로 구비하여 마찰을 적게 하고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결합부(300)는 중앙부에 조절부(310)를 구비하고 제1 프레임(110)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와이어결합부(300)는 와이어(400)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400)를 고정 및 지지하며, 상기 조절부(310)를 통해 와이어(40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3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회전을 통해 와이어(40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와이어(400)는 일반적인 철 등으로 형성된 소재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연결부(500)는 상기 와이어(400)와 낚시줄(30)을 연결하는 부재로, 일단이 상기 와이어(400)와 연결되고 타단이 낚시줄(30)과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600)은 상기 제1 프레임(110)의 상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와이어(400)가 통과하여 위치한다.
상기 낚시찌(650)는 중앙을 관통하는 통공을 구비하는 원통형 또는 상부 꼭짓점이 완만한 원뿔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600)의 상부에 결합하여 위치한다.
상기 낚시찌(650)의 통공은 와이어(400)가 하부에서 상부로 끼움 결합하여 연결부(500)와 연결되고, 연결부(500)을 통해 낚시줄(30)과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낚시찌(6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원통형 또는 상부 꼭짓점이 완만한 원뿔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모터(700)는 제어부(800)를 통해 회전축부(204)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800)는 낚시대(20)와 스크린(40), 낚시 게임용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40)의 낚시 영상 및 낚시대(20)의 챔질을 제어하고 물고기의 크기 및 활력도에 따라 상기 모터(700)의 구동여부 및 상기 회전축부(204)의 회전 속도 및 방향 등을 제어한다.
상기 케이스(900)는 정면에 위치 및 결합하는 판 형태의 정면케이스(910)와, 상기 정면케이스(910)의 상부에 위치 및 결합 형성되는 판 형태의 상부케이스(920), 상기 정면케이스(910)의 양측면에 위치 및 결합 형성되는 판 형태의 한 쌍의 측면케이스(930), 후면에 위치 및 결합하는 판 형태의 후면케이스(940)로 구성된다.
상기 정면케이스(910)는 다수개의 결합공(912)을 구비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912)를 통해 베이스프레임(150) 및 한 쌍의 측면케이스(930)와 결합한다.
상기 상부케이스(920)는 다수개의 결합공(922)과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는 다각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정면케이스(910), 한 쌍의 측면케이스(930), 후면케이스(940)와 결합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920)는 상부면에 통공(924)을 구비하여 와이어(400) 및 연결부(500)가 낚시줄(30)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낚시줄(30)이 끊어질 경우 쉽고 편리하게 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면케이스(930)는 다수개의 결합공(932)과 상부 및 측면 테두리를 따라 결합부를 구비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50) 및 정면케이스(910), 상부케이스(920), 후면케이스(940)와 결합한다.
상기 후면케이스(940)는 다수개의 결합공(942)을 구비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50) 및 상부케이스(920), 한 쌍의 측면케이스(930)와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 게임용 구동제어장치(10)의 결합 및 구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프레임(110)의 상부 중앙에 돌출부(205)가 결합 형성된 회전판부(200)가 회전축부(204)로 결합하고, 제1 프레임(110)의 상부에 스프링(600)이 결합하고, 상기 스프링(600)의 상부에 낚시찌(650)가 결합하고, 상기 제1 프레임(110)의 후면에 모터(700) 및 제어부(800)가 결합하고, 상기 제1 프레임(110)의 정면 상부로 제2 프레임(120)이 결합하고, 상기 제1 프레임(110)의 정면 하부 일측에 와이어(400)가 결합된 와이어결합부(300)가 결합하고, 상기 제1 프레임(110)의 연결부(114)와 연결프레임(130)의 연결부(134)의 결합으로 연결프레임(130)이 결합하고, 상기 제1 프레임(110)의 후면 하부에 하부프레임(140)이 결합하며, 이렇게 결합된 연결프레임(130)과 하부프레임(140)이 베이스프레임(150)에 결합한다.
이후,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의 사이 및 상기 스프링(600)의 내부를 통과하여 연결부(500)와 연결된다.
일단이 와이어(400)가 결합된 연결부(500)는 타단이 낚시줄(30)과 결합하여 연결되며, 일단이 연결부(500)와 결합된 낚시줄(30)은 낚시대(20)와 연결되어 결합한다.
이렇게 형성된 낚시 게임용 구동제어장치(10)는 외부 프레임인 게임장치(1)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낚시대(20)는 게임장치(1)의 외부에 위치하고 스크린(40)이 게임장치(1)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낚시 게임할 수 있게 형성된다.
낚시 게임 시스템과 연결 결합된 제어부(800)의 제어로 스크린(40)의 낚시 영상 및 낚시대(20)의 챔질을 제어하고 물고기의 크기 및 활력도에 따라 모터(700)의 속도 및 크기를 작동시키며, 상기 모터(700)의 작동으로 상기 회전축부(204)가 회전된다.
도 7a 및 7b,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부(204)의 회전으로 와이어(400)가 밀려 이동하고, 상기 와이어(4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낚시찌(650)가 스프링(600)을 누른 후 원위치로 이동하는 작동을 통하여 압축 및 진동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600)의 압축 및 진동이 와이어(400)로 전달된다.
이로써, 상기 와이어(400)와 연결된 낚시줄(30)에 진동이 전달되어 실제 낚시할 경우에 느낄 수 있는 손맛과 같은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낚시줄(30)의 이동 및 진동에 따라 낚시대(20)에 결합된 방울(21)이 흔들려 소리를 내어 실제 물고기가 잡히는 느낌을 추가로 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입질시 낚시대를 들어 올리는 순간 마이크로 스워치(미도시)에 접점신호가 입력되어 물고기를 낚는 시점을 알려주게된다.
그리고 콘트롤러에 의한 모터 회전속도 조절로 물고기의 입질회수와 스프링 발란스의 탄력강도 조절로 물고기의 크기와 힘 조정에 따른 입질변화가 된다.
또한, 스프링의 탄력과 스프링 발란스의 줄 되감기 복원특성을 활용한 낚시줄의 움직임이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의 게임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초급, 중급, 상급의 낚시 레벨을 선택하는 단계(S100), 상기 낚시 레벨 선택 후 지역에 따른 어종을 선택하는 단계(S200), 상기 어종 선택 단계 후 입질하는 단계(S300), 상기 입질에 따른 챔질하는 단계(S400), 상기 챔질의 결과를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S500)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낚시 레벨 선택 후 지역에 따른 어종 선택 단계(S200)는 장비를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입질하는 단계(S300)는 회전판부(200)의 회전 속도와 방향을 조절하여 입질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추가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입질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챔질의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S500)는 상기 챔질에 따른 물고기 체력 표시 단계와, 상기 물고기 체력 표시에 대응하는 낚시 점수 누적 및 합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고기 체력 표시 단계는 물고기 종류,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각 단계에 맞는 상황의 영상이 그래픽 영상의 배경 화면으로 다양하게 출력되어 스크린(40)에 표시되며, 그에 따라 게임하는 사용자들이 다양한 장소와 시간, 상황으로 게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어종 선택 단계 후 입질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입질에 따른 챔질하는 단계(S400)에서의 스크린 낚시 시스템의 구동제어장치(10)의 구동은 도 7a 및 7b,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낚시 게임 시스템과 연결 결합된 제어부(800)의 제어로 스크린(40)의 낚시 영상 및 낚시대(20)의 챔질을 제어하고 물고기의 크기 및 활력도에 따라 모터(700)의 속도 및 크기를 작동되는 상기 회전축부(204)의 회전으로 와이어(400)가 밀려 이동하고, 상기 와이어(4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프링(600)이 이동하여 진동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600)의 진동이 와이어(400)로 전달된다.
이로써, 상기 와이어(400)와 연결된 낚시줄(30)에 진동이 전달되어 실제 낚시할 경우에 느낄 수 있는 손맛과 같은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낚시줄(30)의 이동 및 진동에 따라 낚시대(20)에 결합된 방울(21)이 흔들려 소리를 내어 실제 물고기가 잡히는 느낌을 추가로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낚시로 채집할 때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 느낄 수 있는 손맛을 낚시 게임용 구동제어장치를 통해 느낄 수 있어, 사용자가 실제로 낚시하는 것과 같은 재미를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시하러 멀리 이동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시간을 아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도 낚시대를 설치하여 낚시 게임이 가능함에 따라 공간에 있어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 게임장치
10: 구동제어장치
100: 프레임
110: 제1 프레임
112: 결합공
114: 연결부
120: 제2 프레임
122: 결합공
124: 통공
130: 연결프레임
132: 결합공
134: 연결부
140: 하부프레임
142: 결합공
150: 베이스프레임
152: 결합공
200: 회전판부
202: 결합공
204: 회전축부
205: 돌출부
300: 와이어결합부
310: 조절부
400: 와이어
500: 연결부
600: 스프링
650: 낚시찌
700: 모터
800: 제어부
900: 케이스
910: 정면케이스
912: 결합공
920: 상부케이스
922: 결합공
924: 통공
930: 측면케이스
932: 결합공
940: 후면케이스
942: 결합공
20: 낚시대
21: 방울
30: 낚시줄
40: 스크린

Claims (7)

  1.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낚시 게임을 위한 구동력을 지지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부(200);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위치 및 결합되고, 와이어(400)와 결합되어 와이어(400)와의 결합을 지지하는 와이어결합부(300); 상기 와이어결합부(300)에 결합되어 회전판부(200)를 통한 진동을 낚시줄(30)로 전달하는 와이어(400); 일단이 상기 와이어(400)와 결합되고 타단이 낚시줄(30)과 연결되는 연결부(500);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 및 결합되는 스프링(600); 상기 스프링(600)의 상부에 결합하여 위치하고 중앙에 통공을 구비하는 낚시찌(650); 상기 프레임(100)의 후면 일측에 위치 및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부(20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700); 상기 프레임(100)의 후면 일측에 위치하여 회전 구동력의 세기 및 방향 등을 조절하는 제어부(800); 상기 프레임(100) 및 회전판부(200), 와이어결합부(300), 와이어(400), 연결부(500), 스프링(600), 모터(700), 제어부(800)의 외측에 형성되어 보호하는 케이스(900);로 구성되고, 실제 낚시처럼 스크린 낚시를 할 수 있게 구동하는 구동제어장치(10);와,
    상기 구동제어장치(10)와 연결되는 낚시대(20);
    상기 구동제어장치(10)와 낚시대(20)에 연결된 낚시줄(30);
    상기 구동제어장치(10)와 낚시대(20)에 연결된 스크린(40);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제어장치(10)의 회전판부(200)의 회전으로 와이어(400)가 밀려 이동하고, 상기 와이어(4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낚시찌(650)가 스프링(600)을 누른 후 원위치로 이동하는 작동을 통하여 압축 및 진동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600)의 압축 및 진동이 와이어(400)로 전달되고, 상기 와이어(400)와 연결된 낚시대(20)와 낚시줄(30)에 진동이 전달됨에 따라 손맛이 느껴지는 입질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구동제어장치(10)의 구동에 따른 단계별 낚시 진행 상황을 상기 스크린(40)을 통해 나타내어 실제 낚시하는 것처럼 스크린 낚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2. 낚시 게임을 위한 구동력을 지지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부(200),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위치 및 결합되고, 와이어(400)와 결합되어 와이어(400)와의 결합을 지지하는 와이어결합부(300), 상기 와이어결합부(300)에 결합되어 회전판부(200)를 통한 진동을 낚시줄(30)로 전달하는 와이어(400), 일단이 상기 와이어(400)와 결합되고 타단이 낚시줄(30)과 연결되는 연결부(500),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위치 및 결합되는 스프링(600), 상기 스프링(600)의 상부에 결합하여 위치하고 중앙에 통공을 구비하는 낚시찌(650), 상기 프레임(100)의 후면 일측에 위치 및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부(20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700), 상기 프레임(100)의 후면 일측에 위치하여 회전 구동력의 세기 및 방향 등을 조절하는 제어부(800), 상기 프레임(100) 및 회전판부(200), 와이어결합부(300), 와이어(400), 연결부(500), 스프링(600), 모터(700), 제어부(800)의 외측에 형성되어 보호하는 케이스(900)로 구성되는 구동제어장치(10)와, 낚시대(20), 낚시줄(30), 스크린(40)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진행하는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장치(10)의 제어부(800)가 초급, 중급, 상급의 낚시 레벨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낚시 레벨 선택 후, 상기 구동제어장치(10)의 제어부(800)가 지역에 따른 어종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구동제어장치(10)의 제어부(800)의 구동 제어로 구동제어장치(10)의 모터(700)에 부착된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구동제어장치(10)의 회전판부(200)의 회전 속도와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어종 선택에 따라 낚시줄(30)의 입질의 크기를 조절하는, 낚시줄(30)을 통해 입질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질에 따라 낚시대(20)를 통해 챔질하는 단계;
    상기 챔질 완료 후, 상기 구동제어장치(10)의 제어부(800)가 상기 낚시대(20)의 챔질의 결과를 물고기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물고기 체력과 함께 낚시 점수로 스크린(40)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낚시 레벨 선택 후 지역에 따른 어종 선택 단계는 장비를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제어장치(10) 및 낚시대(20), 낚시줄(30), 스크린(40)의 구동을 통해 손맛이 느껴지는 입질에 따른 챔질을 통해 실제 낚시하는 것처럼 스크린 낚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40016228A 2024-02-01 2024-02-01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 Active KR102704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6228A KR102704346B1 (ko) 2024-02-01 2024-02-01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6228A KR102704346B1 (ko) 2024-02-01 2024-02-01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04346B1 true KR102704346B1 (ko) 2024-09-05

Family

ID=9276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6228A Active KR102704346B1 (ko) 2024-02-01 2024-02-01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43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215A (ko) * 1997-03-07 2000-11-06 이리마지리 쇼우이치로 낚시 유희기 장치
KR20130017828A (ko) 2011-08-12 2013-02-20 여동석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낚시 게임 방법
KR20150026089A (ko) 2013-08-30 2015-03-11 박진수 낚시 게임 장치
KR20160122004A (ko) * 2015-04-13 2016-10-21 (주)지디아이코리아 스크린 낚시 장치
KR20210080886A (ko)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낚시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215A (ko) * 1997-03-07 2000-11-06 이리마지리 쇼우이치로 낚시 유희기 장치
KR20130017828A (ko) 2011-08-12 2013-02-20 여동석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낚시 게임 방법
KR20150026089A (ko) 2013-08-30 2015-03-11 박진수 낚시 게임 장치
KR20160122004A (ko) * 2015-04-13 2016-10-21 (주)지디아이코리아 스크린 낚시 장치
KR20210080886A (ko)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낚시 시뮬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786B1 (ko) 화상처리장치 및 게임장치
US5542672A (en) Fishing rod and reel electronic game controller
US6540614B1 (en) Game device including a subset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JP4120017B2 (ja) 入力装置およびゲーム処理装置、その方法
JP3167963B2 (ja) 手動操作装置およびゲーム装置
US6536770B1 (en) Intelligent basketball game assembly
KR101180972B1 (ko)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JP2001175157A (ja) ビデオゲーム装置、キャラクタ育成処理制御方法及びキャラクタ育成処理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可読記録媒体
KR102670885B1 (ko) 낚시 게임용 구동제어장치
KR20200079775A (ko) 게임용 릴낚시 시스템
KR102704346B1 (ko) 스크린 낚시 게임 시스템 및 스크린 낚시 게임 방법
KR102133046B1 (ko) 체감형 낚시 시스템
US8075400B2 (en) Game apparatus
JP7441251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JPH10201948A (ja) ビデオゲームシステムにおけるガイド表示装置、ガイド表示方法及びガイド表示を行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JPH10201951A (ja) ビデオゲームシステムにおけるコマンド設定装置、コマンド設定方法及びコマンド設定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KR20120085047A (ko) 컨트롤러를 이용한 낚시 게임 방법 및 컨트롤러를 이용한 낚시 게임을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611203B1 (ko) 트롤링 낚시 시뮬레이션 서비스 방법
JP2001269484A (ja) 遊戯装置
JPH10314457A (ja) 模擬釣り竿装置
JP7208551B2 (ja) 応援支援システム、応援支援方法、鑑賞支援システムおよび鑑賞支援方法
JP7208552B2 (ja) 応援支援システムおよび応援支援方法
JP3771701B2 (ja) 釣りシミュレーションゲーム装置
JP2000233077A (ja) ゲーム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JP2002292133A (ja) 野球ゲームの制御方法、ゲー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ゲー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2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