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8619B1 - Photolithography edu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photolithography proces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hotolithography edu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photolithography proces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8619B1
KR102708619B1 KR1020210188131A KR20210188131A KR102708619B1 KR 102708619 B1 KR102708619 B1 KR 102708619B1 KR 1020210188131 A KR1020210188131 A KR 1020210188131A KR 20210188131 A KR20210188131 A KR 20210188131A KR 102708619 B1 KR102708619 B1 KR 102708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aminated
base substrate
photosensitive film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1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99069A (en
Inventor
권영우
Original Assignee
권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우 filed Critical 권영우
Priority to KR1020210188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8619B1/en
Publication of KR20230099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0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8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861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2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industrial processes; of machin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69Engineering, e.g. mechanical, electrical desig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된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필름 마스크 기재에 패턴을 인쇄하는 마스크 패턴 인쇄 장치; 베이스 기재와 감광필름을 라미네이팅하고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를 소정의 크기로 전달하여 출력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와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를 얼라인하고 이들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를 노광하는 노광장치; 및 노광된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를 현상하여 상기 패턴에 의해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의 노광 영역과 비노광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현상장치;를 포함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embodiment can provide a photolithography education device including: a mask pattern printing device that prints a pattern on a film mask substrate based on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computing device; a laminating device that laminates a base substrate and a photosensitive film and transmits and outputs the base substrate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in a predetermined size; an exposure device that aligns the base substrate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nd the film mask substrate to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and irradiates light thereto to expose the base substrate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nd a developing device that develops the base substrate to which the exposed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to selectively remove an exposed area and a non-exposed area of the base substrate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by the pattern.

Description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학습하는 방법{Photolithography edu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photolithography process using the same}Photolithography edu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photolithography process using the same {Photolithography edu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photolithography proce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학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lithography edu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learning a photolithography process using the same.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회로 설계 제조공정 등에서 사용하는 공정이다. 포토 공정이라고도 불리며, 사진 인쇄 기술과 비슷하게 빛을 이용하여 복잡한 회로 패턴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Photolithography is a process used in semiconductor, display, and circuit design manufacturing processes. It is also called a photo process and is widely used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complex circuit patterns using light, similar to photo printing technology.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거의 모든 첨단산업에 핵심부품을 제조하는데 적용되고 있어 산업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이와 연관하여 기업의 경쟁우위를 결정해 주는 가장 결정적인 요인이 바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인재의 경쟁력이며, 이러한 인재배출의 산실이 교육 기관이라고 볼 수 있다. 인적자원개발 및 기술혁신 원천으로서의 교육 기관의 역할이 점차 증대되면서, 그리고 선진국뿐 아니라 아시아 국가들도 교육 기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개혁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세계의 일류기업, 연구소들이 우수한 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더욱 집적되고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The photolithography process is applied to manufacturing core components in almost all advanced industries, and thu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ntire industry. In relation to this, the most decisive factor that determines a company's competitive advantage is the competitiveness of the talents that the company possess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can be seen as the birthplace of such talents. It is a widely known fact that as the rol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s a sourc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and as not only advanced countries but also Asian countries are actively promoting reform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world's first-class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are becoming more concentrated around excellent educational institutions.

나아가 인터넷 환경의 발달로 인하여 반도체 기업들과 수많은 전문가들은 다양한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의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배포함으로써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의 기술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통해 반도체 기술을 학습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교육 자료들은 모두 시청각 교육 자료에 불과하다. 더욱이,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은 매우 고도한 기술이 직얍된 방대한 기술이라는 점에서 실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Furthermor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environment, semiconductor companies and numerous experts produce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on semiconductors, displays, etc. and distribute them through various media, so that anyone interested in semiconductor, display, etc. technology can learn about semiconductor technology through various forms of contents. However, all existing educational materials are merely audiovisual educational materials. Furthermore, since semiconductors, displays, etc. are very advanced technologies that require extensive knowledge, it is realistically very difficult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be practiced.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73449호는 반도체 장비의 교육실습 장치를 제공하여 자동 제어부에 의한 프로그램 제어 방식을 선택하여 플라즈마 모듈과 웨이퍼 이송 모듈에 대한 동작 제어를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0796호는 서브 컨트롤러를 이용한 반도체 유지보수 장비 교육실습 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기술들은 반도체 공정의 핵심 공정 중 하나인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 않는 점, 비교적 기본적인 지식을 갖춘 사람이나 실제 작업 현장에 투입될 사람을 교육하는 기술인 점에서 기초 지식이 없는 비전문가를 위한 교육 관점에서는 한계가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73449 provides a semiconductor equipment education and training device so that the operation control for the plasma module and the wafer transfer module can be learned by selecting a program control method by an automatic control unit. 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80796 provides a semiconductor maintenance equipment education and training device using a sub-controller. However, the prior arts do not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one can experience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which is one of the core processes in the semiconductor process, and since they are technologies for educating people with relatively basic knowledge or people who will be deployed to actual work sites, they have limit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for non-experts without basic knowledge.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7344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73449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079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8079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8170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81701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공정, 반도체 공정, 인쇄회로기판 제조 공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학생이나 비전문가를 대상으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device and method that enable students or non-experts who lack understanding of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which is essential in display processes, semiconductor processes, and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processes, to effectively learn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또한, 본 발명은 포토리소그래피의 기본 공정 과정을 실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교육용으로서 안전하고 취급이 용이한 재료들을 활용하여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device and method that enable the basic process of photolithography to be practiced while effectively learning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by utilizing safe and easy-to-handle materials for educational purposes.

실시예는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된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필름 마스크 기재에 패턴을 인쇄하는 마스크 패턴 인쇄 장치; 베이스 기재와 감광필름을 라미네이팅하고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를 소정의 크기로 전달하여 출력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와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를 얼라인하고 이들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를 노광하는 노광장치; 및 노광된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를 현상하여 상기 패턴에 의해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의 노광 영역과 비노광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현상장치;를 포함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embodiment can provide a photolithography education device including: a mask pattern printing device that prints a pattern on a film mask substrate based on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computing device; a laminating device that laminates a base substrate and a photosensitive film and transmits and outputs the base substrate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in a predetermined size; an exposure device that aligns the base substrate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nd the film mask substrate to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and irradiates light thereto to expose the base substrate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nd a developing device that develops the base substrate to which the exposed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to selectively remove an exposed area and a non-exposed area of the base substrate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by the pattern.

다른 측면에서. 상기 필름 마스크 기재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패턴은 조사된 광의 통과를 차단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ilm mask substrate may be compos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pattern may provide a photolithography teaching device that blocks the passage of irradiated light.

다른 측면에서. 상기 노광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노광장치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를 수납하고 상기 본체부 상에 삽입 또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출 가능한 제1 프레임부,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를 수납하는 제2 프레임부,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이송부, 상기 노광장치의 내부를 관찰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의 얼라인을 위한 얼라인뷰어부 및 노광을 위해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포함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exposure device may include a main body, a cover part that opens and closes the exposure device by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a connection point with the main body, a first frame part that accommodates a base substrate on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nd can be inserted onto or withdrawn from the main body, a second frame part that accommodates a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a transport part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frame part, an alignment viewer part for observing the inside of the exposure device and aligning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and a light irradiation part that irradiates light for exposure.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프레임부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된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 영역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높이를 제어하여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와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irst frame portion may include a photolithography education device including a handle portion, a plate portion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an elevation por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region of the plate portion to adjust the height of a base substrate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nd an elevation driving portion for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elevation portion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base substrate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nd the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다른 측면에서. 상기 커버부는 관측 및 광조사 홀이 형성되고, 상기 노광장치는 상기 노광장치의 내부의 관찰을 위해 상기 얼라인뷰어부는 상기 관측 및 광조사 홀에 매칭되도록 이동 또는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로 광을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관측 및 광조사 홀에 매칭되도록 이동하도록 구성된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cover part may be provided with an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formed therein, and the exposu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alignment viewer part to match the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for observing the inside of the exposure device, or to move the light irradiation part to match the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for irradiating light onto a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The photolithography education device may be provided.

다른 측면에서. 상기 노광장치는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와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관측 및 광조사 홀에 매칭되도록 이동하여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를 통과한 패턴광이 배율이 조절되어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 상에 조사되도록 하는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exposure device may provide a photolithography education device further including a lens unit that moves to match the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s so that pattern light passing through the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is irradiated on the base substrate on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while adjusting the magnification, so that the photosensitive film is positioned between the laminated base substrate and the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다른 측면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승강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프레임부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와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의 얼라인 정보 및 상기 얼라인뷰어부를 통해 관측된 촬영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의 이동을 위한 입력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의 위치를 변경하고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의 위치 정보를 상기 노광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노광장치가 상기 제2 프레임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하고, 상기 승강부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 상에 조사되는 상기 패턴광의 배율 정보를 표시하고, 입력된 패턴의 선폭의 변화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턴광의 배율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패턴광의 배율 정보에 따라 상기 승강부의 높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노광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노광장치가 승강부의 높이를 제어하여 패턴광이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에 조사되어 노광되도록 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puting device displays alignment information of the base substrate on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nd the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and the photographed image observed through the alignment viewer unit based on the prese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ing unit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frame uni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based on the reception of an input signal for moving the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and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to the exposure device so that the exposure device chang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frame, and displays magn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tern light irradiated on the base substrate on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elevating unit, sets the magn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tern light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on the change amount of the line width of the pattern, and generates height information of the elevating unit according to the set magn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tern light and provides it to the exposure device so that the exposure device controls the height of the elevating unit so that the pattern light is irradiated on the base substrate on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nd exposed. Can provide.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공정, 반도체 공정, 인쇄회로기판 제조 공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교육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embodiment can provide a system that can teach a photolithography process that is essential in a display process, a semiconductor process, and a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process.

실시예는 마스크의 패턴의 설계에서부터 현상공정까지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embodiment can provide a system that can effectively learn from the design of a mask pattern to the development process.

또한, 실시예는 가격이 저렴한 소재의 기재를 사용하고 안정성이 보장된 현상액을 이용하고, 노광을 위한 자외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교육용으로서 적합한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교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can provide a photolithography educational device suitable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a method for teaching a photolithography process using the same by using a substrate made of inexpensive materials, using a developer with guaranteed stability, and preventing external exposure to ultraviolet rays for exposure.

또한, 실시예는 감광필름을 활용하여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교육함으로서 감광물질의 도포를 위한 스핀 공정, 베이킹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시스템을 단순화하면서도 핵심적인 사항을 교육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teaches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by utilizing a photosensitive film, thereby omitting the spin process and baking process for applying the photosensitive material, thereby simplifying the system while allowing education of key matters.

또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마스크의 패턴을 직접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하고, 최종 결과물로 사용자가 디자인한 패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allows the user to directly design the pattern of the mask and check the pattern designed by the user as the final result, thereby enhancing the educational effect.

또한, 실시예는 마스크와 베이스 기재의 얼라인 과정을 사용자가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 핵심적인 얼라인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Additionally, the embodiment allows users to directly perform the alignment process of a mask and a base substrate, thereby enhancing understanding of the key alignment process in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또한, 실시예는 다양한 노광 조건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광 조사의 세기, 파장, 조사 시간, 패턴의 배율에 따른 결과물의 품질의 차이를 종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can provide a device and method that can comprehensively study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a result according to the intensity, wavelength, irradiation time, and pattern magnification of light irradiation by allowing application of various exposure con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감광필름과 베이스 기재를 서로 라미네이팅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를 통해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 상에 광을 조사하여 노광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d는 노광된 베이스 기재를 현상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e는 컴퓨팅 장치의 디자인 프로그램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마스크 패턴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라미네이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라미네이팅 장치의 내부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노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커버부가 열린 상태에서의 노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제1 및 제2 프레임부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현상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현상부에 제1 프레임부가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를 구성하는 노광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를 구성하는 노광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hotolithography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hotolithography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schematically illustrates laminating a photosensitive film and a base substrate to each other.
Figure 2c schematically illustrates exposure by irradiating light onto a base substrate to which a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through a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a pattern is printed.
Figure 2d schematically illustrates developing an exposed base substrate.
Figure 2e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user interface of the design program of the computing device.
Figure 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mask pattern printing device.
Figure 4 schematically illustrates a laminating device.
Figure 5 schematically illustrates part of the interior of a laminating devic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posure device.
Figures 7 and 8 schematically illustrate the exposure device with the cover part open.
Figures 9 to 11 illustrate the first and second frame sections.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veloping part.
Figure 13 shows the insertion of the first frame into the developing section.
FIG. 14 illustrates a part of an exposure device constituting a photolithography edu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llustrates a part of an exposure device constituting a photolithography edu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s various embodiments, and thu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not used in a limiting sense, but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In addi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mean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In addition, the sizes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sizes and thicknesse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drawing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감광필름과 베이스 기재를 서로 라미네이팅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c는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를 통해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 상에 광을 조사하여 노광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2d는 노광된 베이스 기재를 현상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마스크 패턴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라미네이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라미네이팅 장치의 내부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노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커버부가 열린 상태에서의 노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제1 및 제2 프레임부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2는 현상부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현상부에 제1 프레임부가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FIG.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hotolithography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hotolithography edu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schematically illustrates laminating a photosensitive film and a base substrate, FIG. 2c schematically illustrates exposing a base substrate to which a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by irradiating light through a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a pattern is printed, and FIG. 2d schematically illustrates developing the exposed base substrate. In addition, FIG. 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mask pattern printing device, FIG. 4 schematically illustrates a laminating device, and FIG. 5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art of the inside of a laminating device. In addi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posure device, FIGS. 7 and 8 schematically illustrate an exposure device in a state where a cover portion is open, and FIGS. 9 to 11 illustrate first and second frame portions.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veloping part, and Fig. 13 shows the first frame part being inserted into the developing part.

도 1,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시스템(1)은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10) 및 컴퓨팅 장치(20)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2a, 2b, 2c, 2d and 2e, a photolithography educat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photolithography education device (10) and a computing device (20).

컴퓨팅 장치(20)는 데스크탑 컴퓨팅 장치 또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컴퓨팅 장치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가 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20)에는 필름 마스크 기재 상에 인쇄할 패턴을 디자인하기 위한 프로그램(100p)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컴퓨팅 장치(20)의 디자인 프로그램(100p)의 실행에 따라 제공되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필름 마스크 기재 상에 인쇄할 패턴을 디자인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20)는 생성된 패턴 정보를 생성하여 마스크 패턴 인쇄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20) may be a desktop computing device or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tablet computing device. The computing device (20) may be installed with a program (100p) for designing a pattern to be printed on a film mask substrate. A user may design a pattern to be printed on a film mask substrate through various user interfaces provid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design program (100p) of the computing device (20). The computing device (20) may generate generated pattern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a mask pattern printing device (200).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10)는 하우징(100), 마스크 패턴 인쇄 장치(200), 라미네이팅 장치(300), 노광장치(400) 및 현상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A photolithography training device (10) may include a housing (100), a mask pattern printing device (200), a laminating device (300), an exposure device (400), and a developing device (500).

도 3을 더 참조하면, 마스크 패턴 인쇄 장치(200)는 컴퓨팅 장치(20)로부터 수신한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필름 마스크 기재에 패턴을 인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마스크 패턴 인쇄 장치(200)는 필름 마스크 기재의 가장 자리 영역을 제외한 가운데 영역에 수신한 패턴 정보에 기초한 패턴을 인쇄할 수 있다. Referring further to FIG. 3, the mask pattern printing device (200) can print a pattern on an input film mask substrate based on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computing device (20). In various embodiments, the mask pattern printing device (200) can print a pattern based on the received pattern information on a center area excluding an edge area of the film mask substrate.

마스크 패턴 인쇄 장치(200)의 기재 투입부(210)로 필름 마스크 기재(200a)가 투입되고, 마스크 패턴 인쇄 장치(200)의 필름 마스크 기재(200a) 출력부(220)를 통해 패턴(pt)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200a)가 출력될 수 있다.A film mask substrate (200a) is fed into the substrate input unit (210) of the mask pattern printing device (200), and a film mask substrate (200a) with a pattern (pt) printed thereon can be output through the film mask substrate (200a) output unit (220) of the mask pattern printing device (200).

필름 마스크 기재(200a)는 투명한 재질을 가진다. 따라서, 조사된 자외선 광의 굴절 등의 영향이 최소화되어 그래도 필름 마스크 기재(200a)를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필름 마스크에 인쇄된 패턴(pt)은 자외선의 차광이 가능한 물질로 구성된 차광 패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조사된 자외선 광은 차광 패턴에 의해서 필름 마스크 기재(200a)의 통과가 차단되고, 차광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통과될 수 있다.The film mask substrate (200a) has a transparent material. Therefore, the influence of refraction, etc. of the irradiated ultraviolet light is minimized, and the light can still pass through the film mask substrate (200a). In addition, the pattern (pt) printed on the film mask can be a light-shielding pattern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locking ultraviolet light. Therefore, the irradiated ultraviolet light is blocked from passing through the film mask substrate (200a) by the light-shielding pattern, and can pass through an area where the light-shielding pattern is not forme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라미네이팅 장치(300)는 베이스 기재(300a) 상에 감광필름(300b)을 라미네이팅 할 수 있다. 라미네이팅 장치(300)는 베이스 기재(300a)가 감겨 있는 원형 베이스 기재부(310)와 감광필름부(300b)가 감겨 있는 원형 감광필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라미네이팅 장치(300)는 원형 베이스 기재부(310)와 원형 감광필름부(320) 각각으로부터 베이스 기재(300a)와 감광필름(300b)을 인출하여 이들을 서로 부착하고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a laminating device (300) can laminate a photosensitive film (300b) on a base substrate (300a). The laminating device (300) can include a circular base substrate portion (310) around which a base substrate (300a) is wound, and a circular photosensitive film portion (320) around which a photosensitive film portion (300b) is wound. The laminating device (300) can extract the base substrate (300a) and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from each of the circular base substrate portion (310) and the circular photosensitive film portion (320), attach them to each other, cut them into a predetermined size, and output them.

베이스 기재(300a) 상에 감광필름(300b)을 라미네이팅하는 방식을 적용하므로, 베이스 기재(300a) 상에 포토리소그래피의 도포를 위한 스핀 공정이나 베이킹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Since a method of laminating a photosensitive film (300b) on a base substrate (300a) is applied, a spin process or baking process for applying photolithography on the base substrate (300a) can be omitted.

또한, 베이스 기재(300a)는 필름이나 PCB 등의 기판이 될 수 있다. 즉, 실시예는 교육용으로서 웨이퍼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한 기재를 베이스 기재(300a)로서 사용한다.In addition, the base substrate (300a) can be a substrate such as a film or a PCB. That is, the embodiment uses a substrate that is relatively much cheaper than a wafer for educational purposes as the base substrate (300a).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노광장치(400)는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와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200a)를 얼라인하고, 이들에 좌외선 광을 조사하여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를 노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to 11, the exposure device (400) aligns a base substrate (300a) to which a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and a film mask substrate (200a) to which a pattern is printed, and irradiates them with left-side ultraviolet light to expose the base substrate (300a)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노광장치(400)는 상부가 개방된 본체부(410)와 본체부(410)의 일측에 연결되고 본체부(410)의 일측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여 본체부(410)의 상부측을 개폐하는 커버부(420), 이송부(430), 제1 프레임부(440), 제2 프레임부(450), 얼라인뷰어부(460) 및 광조사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posure device (400) may include a main body (410) with an open upper portion, a cover portion (4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410) and capable of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one side of the main body (410)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410), a transfer portion (430), a first frame portion (440), a second frame portion (450), an alignment viewer portion (460), and a light irradiation portion (470).

이송부(430)는 제1 위치 가이드부(431), 제2 위치 가이드부(432), 제3 위치 가이드부(433), 제1 이송 레일(434), 제2 이송 레일(435), 제1 결합부(436) 및 제2 결합부(437)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430) may include a first position guide unit (431), a second position guide unit (432), a third position guide unit (433), a first transfer rail (434), a second transfer rail (435), a first coupling unit (436), and a second coupling unit (437).

다양한 실시예에서, 노광장치(400)는 제1 내지 제3 위치 가이드부(431, 432, 433)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위치 변경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컴퓨팅 장치(20)로부터의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 장치를 제어하여 제1 내지 제3 위치 가이드부(431, 432, 433)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exposure device (4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position guide units (431, 432, 433) and a motor device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changing the position,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motor device based on a command signal from the computing device (20) to control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position guide units (431, 432, 433).

제1 위치 가이드부(431)는 커버부(420)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커버부(420) 가로 방향인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부(420)에는 제1 위치 가이드부(431)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리드 라인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위치 가이드부(432)는 커버부(420)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커버부(420)의 세로 방향이고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제3 위치 가이드부(433)는 커버부(420)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커버부(420)의 상부면과 평행을 유지하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position guide part (431)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420) and can mov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long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that is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over part (420). In some embodiments, a guard line may be provided on the cover part (420) to guide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position guide part (431). In addition, the second position guide part (432)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420) and can mov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long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that i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ver part (420)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position guide part (433)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420), can be maintained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420), and can rotate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제1 이송 레일(434)은 커버부(420)의 내측에 위치하고 커버부(420)의 제1 방향을 따라 커버부(420)의 내측 양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레일(제1-1 이송 레일(434a), 제1-2 이송 레일(434b)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transport rail (434) may be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ver part (420) and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rails (the first-first transport rail (434a) and the first-second transport rail (434b)) installed on each of the inner sides of the cover part (420) along the first direction of the cover part (420).

제2 이송 레일(435)은 커버부(420)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1 이송 레일(434)과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이송 레일(435)은 제1 이송 레일(434)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이송 레일(435)의 일측은 제1-1 이송 레일(434a)에 연결되고, 제2 이송 레일(435)의 타측은 제1-2 이송 레일(434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이송 레일(435)은 제1 이송 레일(434)을 따라서 제1 방향을 따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transport rail (435) is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ver part (420) and can be positioned vertically with the first transport rail (434). In addition, the second transport rail (435)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transport rail (434). One side of the second transport rail (435) can be connected to the 1-1 transport rail (434a),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transport rail (435) can be connected to the 1-2 transport rail (434b). The second transport rail (435) can move along the first transport rail (434) in the first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제1 결합부(436)는 제2 이송 레일(435)의 일측과 제1 위치 가이드부(43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치 가이드부(431)의 이동에 따라 제1 결합부(436)에 의해 연결된 제2 이송 레일(435)은 제1 이송 레일(434)을 따라 제1 위치 가이드부(431)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1 위치 가이드부(431)의 이동량 만큼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portion (436) can connect one side of the second transport rail (435) and the first position guide portion (431) to each other. Accordingly, as the first position guide portion (431) moves, the second transport rail (435) connected by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436) can move along the first transport rail (434)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position guide portion (431) by the movement amount of the first position guide portion (431).

제2 결합부(437)는 제2 이송 레일(435) 상에 설치되고, 제2 이송 레일(435)을 따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art (437) is installed on the second transport rail (435) and can mov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long the second transport rail (435).

제2 위치 가이드부(432)는 제2 결합부(437)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위치 가이드부(432)의 이동에 따라 제2 결합부(437)가 제2 이송 레일(435)을 따라 제2 위치 가이드부(432)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2 위치 가이드부(432)의 이동량 만큼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position guide part (432)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upling part (437). Accordingly, as the second position guide part (432) moves, the second coupling part (437) can move along the second transport rail (435)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position guide part (432) by the movement amount of the second position guide part (432).

제3 위치 가이드부(433)는 제2 위치 가이드부(432) 상에 설치되어 제2 위치 가이드부(43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hird position guide part (433) is installed on the second position guide part (432) and can move together with the second position guide part (43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프레임부(440)는 본체부(410)의 전면의 개구 영역을 통해 삽입될 수 있고, 본체부(410)에 삽입된 제1 프레임부(440)는 본체부(4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part (440) can be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area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part (410), and the first frame part (440) inserted into the main body part (410) can be withdrawn from the main body part (410).

제1 프레임부(440)는 손잡이부(441)와 손잡이부(441)에 연결된 플레이트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441)를 잡고 제1 프레임부(440)를 본체부(410) 상에 삽입하거나 본체부(410)에 삽입된 제1 프레임부(440)를 인출할 수 있다.The first frame portion (440) may include a handle portion (441) and a plate portion (442)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441). A user may hold the handle portion (441) and insert the first frame portion (440) onto the main body portion (410) or withdraw the first frame portion (440) inserted into the main body portion (410).

플레이트부(442)에는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가 위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442)에는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 base substrate (300a) to which a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can be positioned on the plate portion (442). The plate portion (442) can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can fix the position of the base substrate (300a)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제2 프레임부(450)는 제2 결합부(437)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결합부(437)가 제2 이송 레일(435)을 따라 이동시 제2 프레임부(450)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송 레일(435)이 제1 이송 레일(434)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2 프레임부(450)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프레임부(450)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frame part (450)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upling part (437). Therefore, when the second coupling part (437) moves along the second transport rail (435), the second frame part (450) can move. In addition, when the second transport rail (435) moves along the first transport rail (434), the second frame part (450) can also move together. Therefore, the second frame part (450) can mov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제2 프레임부(450)는 제2 결합부(437)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2 결합부(437)와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frame part (450) remains connected to the second coupling part (437) and can rotate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connection point with the second coupling part (437).

먼저 커버부(420)를 열고, 제2 프레임부(450)를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프레임부(450) 상에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200a)를 부착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450) 상에는 개구 영역(450h)이 형성된다.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200a)는 개구 영역(450h)을 커버하며 제2 프레임부(450)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450)에는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200a)의 고정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프레임부(450)의 측면에는 제2 프레임부(450)의 내부를 향하는 홈이 형성되고 홈 상에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200a)가 끼워질 수 있다. 필름 마스크 기재(200a)가 홈 상에 끼워지고 필름 마스크 기재(200a)의 패턴(pt)은 개구 영역(450h)을 통해 노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커버부(420)를 닫으면 제2 프레임부(450)는 제1 프레임부(44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200a)는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First, the cover part (420) is opened, and the second frame part (450) is rotated downward so that a film mask substrate (200a) having a pattern printed thereon can be attached to the second frame part (450). An opening area (450h) is formed on the second frame part (450). The film mask substrate (200a) having a pattern printed thereon covers the opening area (450h) and can be attached to the second frame part (450). An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film mask substrate (200a) having a pattern printed thereon can be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part (45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 groove facing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part (450)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frame part (450), and the film mask substrate (200a) having a pattern printed thereon can be fitted into the groove. The film mask substrate (200a) is fitted onto the groove, and the pattern (pt) of the film mask substrate (200a) may b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area (450h). Then, when the cover portion (420) is closed, the second frame portion (450)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portion (440). Accordingly, the film mask substrate (200a)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substrate (300a) on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제1 프레임부(440)는 플레이트부(442)의 일 영역의 상승을 위한 승강부(443) 및 승강부(443)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부(4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rame part (440)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part (443) for raising one area of the plate part (442) and a lifting drive part (444)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lifting part (443).

승강부(443)는 플레이트부(442)의 개구 영역(450h) 상에 위치하고, 승강구동부(444)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The elevator (443) is located on the opening area (450h) of the plate (442) and can be raised or lowered to a predetermined height by the elevator driving unit (444).

승강구동부(444)의 제어는 커버부(420)에 마련된 제1 입력부(490)를 통해 입력된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Control of the elevator drive unit (444) can be performed based on a command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490) provided in the cover unit (420).

승강부(443) 상에는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443)는 상승하여 제2 프레임부(450) 상에는 개구 영역(450h)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443)는 승강부(443)의 상부면과 제2 프레임부(450)의 상부면이 동일 평면을 이룰때까지 상승할 수 있다. 승강부(443)의 상승에 따라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200a)는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광의 회절 현상에 의해 광이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200a)를 통과하여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200a)와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 사이의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A base substrate (300a) on which a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can be positioned on the elevating member (443). Then, the elevating member (443) can be raised and inserted into an opening area (450h) on the second frame member (450). Then, the elevating member (443) can be raised until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member (44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member (450) form the same plane. As the elevating member (443) is raised, the film mask substrate (200a) on which a pattern is printed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base substrate (300a) on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Accordingly, the light is prevented from passing through the film mask substrate (200a)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due to the diffraction phenomenon of light to the area between the film mask substrate (200a)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and the base substrate (300a) on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얼라인뷰어부(460)와 광조사부(470)는 커버부(420) 상의 홀 매칭부(429d)를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얼라인뷰어부(460)와 광조사부(470)를 홀 매칭부(429d)를 따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alignment viewer unit (460) and the light irradiation unit (470) can move together along the hole matching unit (429d) on the cover unit (420). The user can move the alignment viewer unit (460) and the light irradiation unit (470) left and right along the hole matching unit (429d).

커버부(420)에는 관측 및 광조사 홀(428)이 형성된다. 얼라인뷰어부(460)와 광조사부(470)는 홀 매칭부(429d)를 따라 이동하며 얼라인뷰어부(460)와 광조사부(470) 중 어느 하나는 관측 및 광조사 홀(429)에 매칭될 수 있다. 얼라인뷰어부(460)와 광조사부(470)를 홀 매칭부(429d)를 따라 이동시켜 얼라인뷰어부(460)가 관측 및 광조사 홀(429) 상에 매칭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얼라인뷰어부(460)를 통해 노광장치(40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얼라인뷰어부(460)에는 노광장치(400)의 내부의 관찰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렌즈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입력부(490)를 통해 제어 가능하고 노광장치(400) 내부를 비추는 조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장치는 감광에 영향을 주지 않는 파장을 가진 광을 출력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An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428) is formed in the cover part (420). The alignment viewer part (460) and the light irradiation part (470) move along the hole matching part (429d), and either the alignment viewer part (460) or the light irradiation part (470) can be matched with the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429). The alignment viewer part (460) and the light irradiation part (470) can be moved along the hole matching part (429d) so that the alignment viewer part (460) is matched with the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429). In addition, the user can observe the inside of the exposure device (400) through the alignment viewer part (460). In various embodiments, the alignment viewer unit (460) may include a lens system to facilitate observation of the interior of the exposure device (400), and may include a lighting device that is controllable via the first input unit (490) and illuminates the interior of the exposure device (400). The lighting device may be a device that outputs light having a wavelength that does not affect photosensitivity.

사용자는 얼라인뷰어부(460)를 통해 제2 프레임부(450)의 개구 영역(450h) 상에 승강부(443)가 위치하도록 제2 프레임부(45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프레임부(45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위치 가이드부(431, 4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작할 수 있다.The user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second frame part (450) so that the lifting part (443) is positioned on the opening area (450h) of the second frame part (450) through the alignment viewer part (460). The user can manipulat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guide parts (431, 432)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econd frame part (450).

제2 프레임부(450)의 개구 영역(450h) 상에 승강부(443)가 위치하면 승강구동부(444)를 제어하여 승강부(443)를 상승시킬 수 있다. 승강부(443)가 상승함에 따라 승강부(443) 상에 위치한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의 상부면은 제2 프레임부(450)의 개구 영역(450h)을 통해 노출된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200a)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When the elevating unit (443) is positioned on the opening area (450h) of the second frame portion (450), the elevating unit (443) can be raised by controlling the elevating drive unit (444). As the elevating unit (443) rises,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300a) on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positioned on the elevating unit (443) is laminated can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lm mask substrate (200a) on which the pattern exposed through the opening area (450h) of the second frame portion (450) is printed.

사용자는 광조사부(470)가 관측 및 광조사 홀(429) 상에 위치하도록 홀 매칭부(429d) 상에서 얼라인뷰어부(460)와 광조사부(47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s of the alignment viewer unit (460) and the light irradiation unit (470) on the hole matching unit (429d) so that the light irradiation unit (470) is positioned on the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429).

광조사부(470)가 관측 및 광조사 홀(429) 상에 위치한 후, 제1 입력부(490)를 통해 광조사 명령 신호를 입력하면 광조사부(470)로부터 자외선 광이 조사될 수 있다. 노광장치(400)는 광조사부(470)로부터 출력되는 광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After the light irradiation unit (470) is positioned on the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429), when a light irradiation command signal is input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490), ultraviolet light can be irradiated from the light irradiation unit (470). The exposure device (400)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irradiation unit (470)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광조사부(470)로부터의 좌외선 광은 제2 프레임부(450)의 개구영역(450h) 상으로 조사된다. 그리고,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의 상부면의 영역 중 필름 마스크 기재(200a) 상의 패턴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고, 그 외의 영역에는 자외선이 조사됨에 따라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가 노광될 수 있다.The left outer ray light from the light irradiation unit (470) is irradiated onto the opening area (450h) of the second frame unit (450). The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300a)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which corresponds to the pattern on the film mask substrate (200a), is not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and the other areas are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so that the base substrate (300a)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can be exposed.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입력부(490)를 통해 조사되는 좌외선광의 세기와 조사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학습한 내용에 따라서 자외선 광의 세기나 광 조사 시간 등을 조절하여 노광을 진행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intensity and irradiation time of the left ultraviolet light irradiated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490) can be adjusted. Accordingly, the user can proceed with exposure by adjusting the intensity or irradiation time of the ultraviolet light according to the learned content.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의 노광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제1 프레임부(440)를 노광장치(400)로부터 인출하여 도 13과 같이 현상장치(500)에 삽입할 수 있다. 현상장치(500)는 현상액 토출부(510)와 현상액 토출제어부(520) 및 제2 입력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2 and 13, when the exposure of the base substrate (300a)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is completed, the user can withdraw the first frame portion (440) from the exposure device (400) and insert it into the developing device (500) as shown in FIG. 13. The developing device (500) may include a developer discharge portion (510), a developer discharge control portion (520), and a second input portion (530).

현상액 토출제어부(520)는 제2 입력부(530)를 통해 입력된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현상액 토출부(510)로부터 현상액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다. 현상액 토출부(510)로부터 토출된 현상액은 노광이 완료된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를 현상할 수 있다. 현상액은 교육용으로서 안정성을 고려하여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MAH: Tetramethyl ammounium hydroxide)와 물을 혼합한 TMAH 2.38%의 희석 용액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developer discharge control unit (520) can control discharge of the developer from the developer discharge unit (510) based on a command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530). The developer discharged from the developer discharge unit (510) can develop the base substrate (300a) on which the exposed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The developer may be a 2.38% diluted solution of tetramethyl ammounium hydroxide (TMAH) and water, considering stability for educational purpos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감광필름(300b)의 포지티브 타입인 경우, 감광필름(300b)의 자외선이 조사된 영역은 제거되고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은 영역은 남게 된다. 그리고, 감광필름(300b)이 네거티브 타입인 경우 감광필름(300b)의 자외선이 조사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제거된다.In the case of the positive type of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the area of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is removed, and the area not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remain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negative type of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the area remaining except for the area of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is removed.

사용자는 현상 과정을 완료한 후 제1 프레임부(440)를 인출하여 도 2d와 같은 포토리소그래피 과정이 완료된 최종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After completing the development process, the user can extract the first frame part (440) to obtain the final result of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as shown in FIG. 2d.

사용자는 최종 결과물 상에서 형성된 패턴, 패턴의 품질 등을 참조하여 다양한 노광 조건들과 품질의 상관 관계에 대해서 학습할 수 있다.Users can learn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various exposure conditions and quality by referring to the pattern formed on the final result, the quality of the pattern, etc.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를 구성하는 노광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FIG. 14 illustrates a part of an exposure device constituting a photolithography edu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14를 참조하면, 노광장치(400)의 커버부(420)의 내측에 위치한 제2 결합부(437)의 하측에는 렌즈부(270)가 설치될 수 있다. 렌즈부(270)는 일측이 커버부(420)에 연결된 암부(271)와 암부(271)의 타측에 연결된 렌즈(272)로 구성될 수 있다. 암부(271)는 서로 연결된 복수의 암으로 연결되어 렌즈(272)가 개구 영역(450h)을 통해 관측 및 광조사 홀(429)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nd FIG. 14, a lens part (27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437)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ver part (420) of the exposure device (400). The lens part (270) may be composed of a female part (271) connected to the cover part (420) on one side and a lens (272)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emale part (271). The female part (271)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rms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ens (272)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429) through the opening area (450h).

제3 위치 가이드부(433)의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의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것에 대응하여 암부(271)가 회전할 수 있다. 암부(271)의 회전에 따라 암부(271)에 설치된 렌즈(272)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렌즈(272)는 관측 및 광조사 홀(429)에 매칭되어 이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거나 관측 및 광조사 홀(429)과 동일 선상이 되지 않도록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The dark part (271) can rotate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third position guide part (433)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position of the lens (272) installed in the dark part (271) can chang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ark part (271). The lens (272) can be positioned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429) and positioned on the same line therewith, or the position can be changed so as not to be on the same line as the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429).

렌즈(272)가 관측 및 광조사 홀(429)과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승강부(443)는 렌즈(272)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승강부(443)의 승강 높이는 제1 입력부(490)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광조사부(470)로부터의 광이 출력되면 광은 필름 마스크 기재(200a)를 통과하면서 필름 마스크 기재(200a) 상의 패턴에 의해 패턴광으로 변환되고, 패턴광은 렌즈(272)를 통과하면서 광 조사 영역이 변환될 수 있다. When the lens (272)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429)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ground, the lifting unit (443)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lens (27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ifting height of the lifting unit (443) can be adjusted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490). Then, when light from the light irradiation unit (470) is output,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film mask substrate (200a) and is converted into pattern light by the pattern on the film mask substrate (200a), and the pattern light can have the light irradiation area conver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lens (272).

일부 실시예에서 패턴광이 렌즈(272)를 통과하면서 광 조사 영역이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에 조사되는 패턴광에 의해서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가 노광될 수 있다. 이 때, 승강부(443)의 승강 높이에 따라 패턴광의 광 조사 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승강부(443)가 렌즈(272)에 가까워질수록 광조사 영역은 넓어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light irradiation area may be reduced as the pattern light passes through the lens (272). Finally, the base substrate (300a)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may be exposed by the pattern light irradiated onto the base substrate (300a)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At this time, the light irradiation area of the pattern light may vary depending on the elevation height of the lifting unit (443). That is, the closer the lifting unit (443) gets to the lens (272), the wider the light irradiation area may become.

렌즈(272)가 관측 및 광조사 홀(492)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노광 공정이 진행되면, 사용자가 디자인한 패턴이 축소되어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 상에 노광될 수 있다. 따라서, 패턴의 배율을 조정하여 노광을 진행함으로써 다양한 미세 패턴을 이용한 노광 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exposure process is performed while the lens (272)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492), the pattern designed by the user can be reduced and exposed on the base substrate (300a)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Accordingly, exposure education using various micro-patterns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magnification of the pattern and performing exposure.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를 구성하는 노광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FIG. 15 illustrates a part of an exposure device constituting a photolithography edu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부(440)의 플레이트부(442) 상에는 복수의 승강부(443)가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내지 제4 승강부(443, 443b, 443c, 443d)가 서로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 구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4 and 15, a plurality of lifting members (443) may be provided on the plate member (442) of the first frame member (440). For example, the first to fourth lifting members (443, 443b, 443c, 443d)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Each of them may be independently driven to lift or lower.

복수의 승강부(443) 각각에는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가 부착될 수 있다.A base substrate (300a) to which a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can be attach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443).

사용자는 제1 및 제2 위치 가이드부(431, 432)를 이용하여 제2 프레임부(450)의 개구 영역(450h) 상에 복수의 승강부(443) 중 어느 하나가 위치하도록 제2 프레임부(45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레임부(450)의 개구 영역(450h)에 상에 위치한 승강부를 상승시킨 후 노광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또 다른 승강부를 제2 프레임부(450)의 개구 영역(450h) 상에 위치시킨 후, 승강부의 높이를 조절하고 광조사부(470)로부터의 출력 광의 세기, 파장, 출력 시간을 조절하여 노광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또 다른 승강부를 제2 프레임부(450)의 개구 영역(450h) 상에 위치시킨 후, 렌즈(272)를 관측 및 광조사 홀(492)과 동일 선상에 위치시키고, 승강부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 노광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승강부(443) 각각에 위치한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들 각각에 서로 다른 노광 조건에서 하에서 노광을 독립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 현상 공정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노광 조건에 따른 최종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광 조사의 세기, 파장, 조사 시간, 패턴의 배율에 따른 결과물의 품질의 차이를 종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frame part (450) so that one of the plurality of lifting members (443) is positioned on the opening area (450h) of the second frame part (450)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guide members (431, 432). Then, the user can raise the lifting member positioned on the opening area (450h) of the second frame part (450) and then perform exposure. Then, the user can position another lifting member on the opening area (450h) of the second frame part (450) and then adjust the height of the lifting member and the intensity, wavelength, and output time of the output light from the light irradiation member (470) to perform exposure. And, the user can position another elevator on the opening area (450h) of the second frame part (450), position the lens (272) on the same line as the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492), adjust the height of the elevator part, and then proceed with exposure. In this way, the photosensitive films (300b) position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elevator parts (443) can independently perform exposure under different exposure conditions on each of the laminated base substrates (300a). And, the final development process can be completed. Therefore, the final result according to various exposure conditions can be confirmed. That is, the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the result according to the intensity, wavelength, irradiation time, and magnification of the pattern of the light irradiation can be comprehensively learned.

도 2e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자인 프로그램(100p)은 제2 프레임부(450)의 현재 위치 정보를 노광장치(400)로부터 수신하고, 승강부(443)의 미리 설정된 위치 정보와 제2 프레임부(450)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와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200a)의 얼라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자인 프로그램(100p)은 승강부(443)를 나타내는 승강부 위치 정보 이미지(443i)와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200a)를 나타내는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 위치 정보 이미지(200ai)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인 프로그램(100p)은 승강부(443)와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200a)의 현재 위치에 매칭되도록 승강부 위치 정보 이미지(443i)와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 위치 정보 이미지(200ai)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자인 프로그램(100p)은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 위치 정보 이미지(200ai)의 이동과 관련된 입력 신호(터치 입력 또는 마우스 등의 외부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 위치 정보 이미지(200ai)를 이동시키고, 이동된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 위치 정보 이미지(200ai)의 위치 정보를 노광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노광장치(400)는 수신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위치 가이드부(431, 432)의 위치를 제어하여 제2 프레임부(45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e, in various embodiments, the design program (100p) may receiv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frame portion (450) from the exposure device (400), and display alignment information of the base substrate (300a) on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and the pattern-printed film mask substrate (200a) based on the prese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ing portion (443)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frame portion (450). That is, the design program (100p) may display an elevating portion position information image (443i) indicating the elevating portion (443) and a pattern-printed film mask substrate position information image (200ai) indicating the pattern-printed film mask substrate (200a). And, the design program (100p) can display the position information image (443i) of the lift unit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image (200ai) of the film mask substrate printed with the pattern so as to match the current position of the lift unit (443) and the pattern-printed film mask substrate (200a). In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design program (100p) receives an input signal (a signal input through an external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input or a mouse)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information image (200ai) of the film mask substrate printed with the pattern, the design program (100p) can move the position information image (200ai) of the film mask substrate printed with the pattern and transmi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ved position information image (200ai) of the pattern-printed film mask substrate to the exposure device (400). The exposure device (400) can control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guide units (431, 432) based on the received position information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econd frame unit (450).

사용자는 컴퓨팅 장치(20)를 통해서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200a)와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의 얼라인하는 과정을 학습할 수 있다.A user can learn the process of aligning a film mask substrate (200a) with a pattern printed thereon and a base substrate (300a) on which a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through a computing device (20).

다양한 실시예에서, 노광장치(400)의 얼라인뷰어부(460)는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노광장치(400)는 얼라인뷰어부(46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컴퓨팅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자인 프로그램(100p)은 수신한 촬영 영상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실제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200a)와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의 얼라인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실시예는 얼라인 과정에 대한 학습 효과를 높인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alignment viewer unit (460) of the exposure device (400) may include a photographing device. The exposure device (400) may transmit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alignment viewer unit (460) to a computing device (20). The design program (100p) displays the received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thereby allowing the alignment process of the actually printed film mask substrate (200a) and the base substrate (300a) on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to be observed. Therefore, the embodiment enhances the learning effect for the alignment process.

다양한 실시예에서, 노광장치(400)는 렌즈(272)가 관측 및 광조사 홀(429)에 매칭된 상태에서 승강부(443)의 현재 높이 정보를 컴퓨팅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exposure device (400) can transmit current height information of the elevator (443) to the computing device (20) while the lens (272) is matched to the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429).

컴퓨팅 장치(20)는 승강부(443)의 현재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272)를 통해 출력되는 패턴광이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 상에 조사될 때의 패턴광의 배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된 패턴 정보 및 패턴광의 배율 정보에 기초하여 패턴의 선폭의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20)는 입력된 패턴의 선폭의 변화량 정보에 기초하여 패턴광의 배율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패턴광의 배율 정보에 따라 승강부(443)의 높이 정보를 생성하여 노광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노광장치(400)는 수신한 승강부(443)의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부(443)의 높이를 제어하고 감광필름(300b)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300a) 상에 패턴광을 조사하면서 노광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디자인한 패턴의 선폭의 변화에 따라 노광 및 현상의 품질 등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mputing device (20) can display magn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tern light output through the lens (272) based on the current height information of the elevating unit (443) when the pattern light is irradiated on the base substrate (300a)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line width of the pattern can be displayed based on the designed pattern information and the magn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tern light. In various embodiments, the computing device (20) can set the magn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tern light based on the input amount of change in the line width of the pattern, and generate height information of the elevating unit (443) according to the set magn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tern light and provide it to the exposure device (400). The exposure device (400) can control the height of the elevating unit (443) based on the received height information of the elevating unit (443) and perform exposure while irradiating the pattern light on the base substrate (300a)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300b) is laminated. Therefore, the embodiment enables learning of the quality of exposure and development, etc. according to changes in the line width of the designed pattern.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mmand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os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commands, such as ROMs, RAMs, and flash memories. Examples of the program command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hardware devices may be changed in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exemplary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the sake of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s or lack of connections of lines between compon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merely exemplary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may be replaced or represented as various additional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in an actual device. In addition, if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such as “essential,” “important,” etc., it may not be a component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r having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Claims (7)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된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필름 마스크 기재에 패턴을 인쇄하는 마스크 패턴 인쇄 장치;
베이스 기재와 감광필름을 라미네이팅하고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를 소정의 크기로 전달하여 출력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와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를 얼라인하고 이들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를 노광하는 노광장치; 및
노광된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를 현상하여 상기 패턴에 의해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의 노광 영역과 비노광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현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노광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노광장치를 개폐하는 커버부,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를 수납하고 상기 본체부 상에 삽입 또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출 가능한 제1 프레임부,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를 수납하는 제2 프레임부,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이송부,
상기 노광장치의 내부를 관찰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의 얼라인을 위한 얼라인뷰어부 및 노광을 위해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포함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
A mask pattern printing device for printing a pattern on a film mask substrate based on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computing device;
A laminating device that laminates a base substrate and a photosensitive film and outputs the base substrate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in a predetermined size;
An exposure device that aligns a base substrate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nd a film mask substrate to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and irradiates light thereto to expose the base substrate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nd
A developing device for developing a base substrate to which an exposed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nd selectively removing an exposed area and a non-exposed area of the base substrate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by the pattern;
The above exposure device
Main body,
A cover part that opens and closes the exposure device by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connection point with the main body part;
A first frame part that accommodates a base substrate on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nd can be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main body part;
A second frame portion for storing a film mask substrate having the above pattern printed thereon;
A transfer unit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frame section,
The inside of the above exposure device is observed, and an alignment viewer unit for aligning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and a light irradiation unit for irradiating light for exposure are included.
Photolithography train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마스크 기재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패턴은 조사된 광의 통과를 차단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ilm mask substrate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pattern blocks the passage of the irradiated light.
Photolithography training devic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된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 영역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높이를 제어하여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와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irst frame part
Handle,
A plate portion connected to the above handle portion,
A lifting unit that adjusts the height of a region of the plate sect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ase substrate on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nd
It includes an elevator driving unit that controls the height of the elevator unit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ubstrate on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nd the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Photolithography training devi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관측 및 광조사 홀이 형성되고,
상기 노광장치는 상기 노광장치의 내부의 관찰을 위해 상기 얼라인뷰어부는 상기 관측 및 광조사 홀에 매칭되도록 이동 또는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로 광을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관측 및 광조사 홀에 매칭되도록 이동하도록 구성된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
In the fourth paragraph,
The above cover part has an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formed,
The above exposure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lignment viewer part moves to match the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for observing the inside of the exposure device, or the light irradiation part moves to match the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Photolithography training devi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장치는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와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관측 및 광조사 홀에 매칭되도록 이동하여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를 통과한 패턴광이 배율이 조절되어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 상에 조사되도록 하는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
In clause 5,
The above exposure device
The photosensitive film is positioned between the laminated base substrate and the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and moves to match the observation and light irradiation holes, so that the pattern light passing through the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is irradiated on the base substrate on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with the magnification adjusted.
Photolithography training devic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승강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프레임부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와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의 얼라인 정보 및 상기 얼라인뷰어부를 통해 관측된 촬영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의 이동을 위한 입력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의 위치를 변경하고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 마스크 기재의 위치 정보를 상기 노광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노광장치가 상기 제2 프레임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하고,
상기 승강부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 상에 조사되는 상기 패턴광의 배율 정보를 표시하고,
입력된 패턴의 선폭의 변화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패턴광의 배율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패턴광의 배율 정보에 따라 상기 승강부의 높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노광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노광장치가 승강부의 높이를 제어하여 패턴광이 상기 감광필름이 라미네이팅된 베이스 기재에 조사되어 노광되도록 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교육 장치.
In Article 6,
The above computing device
Based on the prese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bove-mentioned elevator unit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bove-mentioned second frame unit, alignment information of the base substrate on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nd the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and the photographed image observed through the alignment viewer unit are displayed,
Based on the reception of an input signal for movement of a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the position of the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is changed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lm mask substrate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is transmitted to the exposure device so that the exposure device chang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frame.
The magn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tern light irradiated on the base substrate to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above-mentioned elevator,
Based on the change amount information of the line width of the input pattern, the magn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tern light is set, and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lifting uni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t magn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attern light and provided to the exposure device, so that the exposure device controls the height of the lifting unit so that the pattern light is irradiated to the base substrate on which the photosensitive film is laminated and exposed.
Photolithography training device.
KR1020210188131A 2021-12-27 2021-12-27 Photolithography edu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photolithography process using the same Active KR1027086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131A KR102708619B1 (en) 2021-12-27 2021-12-27 Photolithography edu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photolithography proces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131A KR102708619B1 (en) 2021-12-27 2021-12-27 Photolithography edu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photolithography proces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069A KR20230099069A (en) 2023-07-04
KR102708619B1 true KR102708619B1 (en) 2024-09-23

Family

ID=8715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131A Active KR102708619B1 (en) 2021-12-27 2021-12-27 Photolithography edu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photolithography proces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861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2863A (en) * 2006-03-31 2009-09-10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Dynamic compensation system for maskless lithography
JP2011090149A (en) * 2009-10-22 2011-05-06 Canon Inc Education system for operation training
KR101926614B1 (en) * 2012-07-27 2018-1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hase shift mask
KR102342827B1 (en) * 2019-11-18 2021-12-24 그린정보통신(주) Wafer defect detecting system semiconductor photolithography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4628A (en) * 2012-10-29 2014-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Manufacture method of printed circuit board
KR101480796B1 (en) 2013-10-31 2015-01-09 (주) 이더 The apparatus for training a semiconductor maintenance equipment using sub-controller
KR101981701B1 (en) 2018-06-20 2019-05-23 주식회사 에스피지코리아 Educational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s Using Virtual Reality
KR102173449B1 (en) 2020-04-16 2020-11-04 주식회사 선경 이.엔.아이 Educational practice device of semiconductor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2863A (en) * 2006-03-31 2009-09-10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Dynamic compensation system for maskless lithography
JP2011090149A (en) * 2009-10-22 2011-05-06 Canon Inc Education system for operation training
KR101926614B1 (en) * 2012-07-27 2018-1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hase shift mask
KR102342827B1 (en) * 2019-11-18 2021-12-24 그린정보통신(주) Wafer defect detecting system semiconductor photolithography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069A (en)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2285B2 (en)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40098332A1 (en) Displays With Logos and Alignment Marks
KR102333949B1 (en) Lithography apparatus
US5813342A (en) Method and assembly for producing printing plates
CN104391431B (en) Exposure imaging method and system, Exposure Control Module
KR102708619B1 (en) Photolithography edu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photolithography process using the same
CN103119515A (en) Device for optical axis alignment for image capturing and method for aligning an optical axis
KR101130890B1 (en) Proximity Exposure Type Exposure System
WO2022166319A1 (en) Light processing device
KR20170089761A (en) Exposure apparatus
US9829740B2 (en) Display with reduced color mixing
JP4759290B2 (en) Exposure apparatus and method
JPS6058576B2 (en) Exposure method and exposure equipment used for it
US10867110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CN105466955A (en)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image acquisition method
CN103955087B (en) Liquid crystal photomask, application thereof and plate making device
JP43864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plates in screen printing
JP2011081422A (en) Exposure device, exposure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bstrate
JP2006269936A (en) Circuit pattern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US55606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 alignment grid or pattern
CN205592776U (en) Light controlling means
CN103955088B (en) Liquid crystal photomask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161882B1 (en) Maskless exposure apparatus and align method the same
KR100567520B1 (en) Exposure method using digital image
CN208092429U (en) A pri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305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