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3013B1 - Posture corr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Posture correc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3013B1
KR102703013B1 KR1020220057798A KR20220057798A KR102703013B1 KR 102703013 B1 KR102703013 B1 KR 102703013B1 KR 1020220057798 A KR1020220057798 A KR 1020220057798A KR 20220057798 A KR20220057798 A KR 20220057798A KR 102703013 B1 KR102703013 B1 KR 102703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aist
correction device
posture correction
waist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58278A (en
Inventor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이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우 filed Critical 이재우
Priority to KR1020220057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3013B1/en
Publication of KR2023015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2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3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301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양 겨드랑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견착부, 한 쌍의 견착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 연결부 및 수직 연결부의 하부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일방향이 개방된 고리 형태로 사용자의 허리와 허리측면을 감싸 사용자의 허리를 받치고, 견착부로부터 수직 연결부를 통해 전달되는 무게를 사용자의 허리로 전달하는 허리 받침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일상 생활 속에서 손쉽게 사용 가능하다.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attachment parts supporting the user's armpits from below, a pair of vertical connection part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air of attachment parts, and a waist support part vert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connection parts and having a ring shape that is open in one direction to wrap around the user's waist and waist side to support the user's waist and to transfer the weight transferred from the attachment parts through the vertical connection parts to the user's waist.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easily used in daily life.

Description

자세 교정 장치{POSTURE CORRECTING DEVICE}Posture Correction Device {POSTURE CORRECTING DEVICE}

본 발명은 자세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양 겨드랑이와 허리를 함께 지지하여 사용자의 상반신 자세를 교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ure corre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that corrects the posture of the user's upper body by supporting both armpits and waist of the user.

최근 들어 업무를 책상 앞에서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서류를 처리하거나, 컴퓨터를 사용한 장시간 업무를 처리하는 형태의 직업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컴퓨터나 서류 작업을 장시간 수행함으로 인해 척추가 휘어지거나 바르지 않은 형태로 인한 다양한 체형 관련 질병을 가진 사람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jobs that involve working at a desk, bending over, processing documents, or using a computer for long periods of time. As a result, the number of people with various body-related diseases caused by a curved or incorrect spine due to working on a computer or working on documents for long periods of time is rapidly increasing.

이와 같이 척추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작업 시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꾸준한 운동을 병행할 경우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는 있으나, 바쁜 현실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이는 매우 힘든 실정이다.In order to prevent the spine from becoming deform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aintain correct posture while working and exercise regularly, but this is very difficult for modern people living busy lives.

특히 척추 측만증과 같은 척추 질환은 비교적 어린 나이의 학생들에게도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척추 질환이 발생, 지속될 경우 앉아만 있어도 몸에 통증이 발생해서 집중력, 기억력 등이 감퇴할 뿐만 아니라 업무 효율 역시 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spinal diseases such as scoliosis are occurring even in students of relatively young ages, and if these spinal diseases occur and persist, pain occurs in the body even when sitting, which can lead to decreased concentration, memory, and work efficiency.

이러한 변형된 척추를 교정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교정 장치를 착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강제적으로 교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변형된 척추를 교정하기 위해서 대부분 탄력적인 재질로 이루어진 밴드 형태나,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척추 교정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기기의 탈착이 번거롭고 일상 생활 속에서 지속적인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One of the methods for correcting such deformed spines is to wear a corrective device to force the user to correct their posture. To correct such deformed spines, most of the bands made of elastic materials or separate spine correctors made of hard plastic are used, but these devices have the problem that they are difficult to remove and are difficult to use continuously in daily life.

이에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일상생활 속에서도 쉽게 탈착이 가능한 형태의 자세 교정 장치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continuous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posture correction device that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during daily life.

일본등록특허공보 2902368호(1999.06.07)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902368 (June 7, 199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일상 생활 속에서 손쉽게 사용 가능한 자세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 posture correction device that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easily used in daily life.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상기 목적은, 사용자의 양 겨드랑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견착부, 상기 한 쌍의 견착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 연결부 및 상기 수직 연결부의 하부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일방향이 개방된 고리 형태로 사용자의 허리와 허리측면을 감싸 사용자의 허리를 받치고, 상기 견착부로부터 상기 수직 연결부를 통해 전달되는 무게를 사용자의 허리로 전달하는 허리 받침부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a posture correction device including a pair of attachment members that support the user's armpits from below, a pair of vertical connecting members that extend downwardly from the pair of attachment members, and a waist support member that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s of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s and wraps around the user's waist and waist side in a one-way open ring shape to support the user's waist and transfer the weight transferred from the attachment members through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s to the user's waist.

바람직하게는, 허리 받침부의 개방된 고리 형태를 연결하며, 허리 받침부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하고, 사용자에 대한 허리 받침부의 밀착 정도와 압박 정도를 조절하는 벨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Preferably, 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elt portion that connects the open ring shape of the lumbar support portion, fixes the lumbar support portion to the user's body, and adjusts the degree of adhesion and compression of the lumbar support portion to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수직 연결부와 허리 받침부를 연결하며, 견착부 및 수직 연결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Preferably, the vertical connecting portion and the waist support portion may be connected, and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ttachment portion and the vertical connecting portion.

바람직하게는, 허리 받침부는 사용자의 하의에 고정되는 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Preferably, the lumbar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lower body support member that is secured to the user's lower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무게가 가벼워 편리한 착용감에도 지속적인 자세 교정 효과를 제공한다.A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light in weight, providing a comfortable fit while providing a continuous posture correction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자켓이나 조끼와 같은 의복 상의 내부에 착용하거나 상의 내부에 부착되어 일상 생활 중에 상의 착용만으로 자세 교정 장치를 통한 지속적인 자세 교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nside an upper garment such as a jacket or vest or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an upper garment so that continuous posture correction through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can be performed simply by wearing the upper garment during daily life.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n exploded view of a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er wears a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ir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and the meanings of th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 or custom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shall follow the definitions in this specification, and in the absence of a specific definition, shall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are arbitrarily shown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In order to clearly express various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 the thickness is shown by enlarging it. And in the drawing,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hickness of some layers and regions is shown exaggeratedly.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dditionally,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ever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it excludes other components, but rather that i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분해도이다.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n exploded view of a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양 겨드랑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견착부(110), 한 쌍의 견착부(110)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 연결부(120), 수직 연결부(120)의 하부와 수직으로 연결된 허리 받침부(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A and 1B, a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attachment parts (110) that support the user's armpits from below, a pair of vertical connecting parts (120) that extend downward from the pair of attachment parts (110), and a waist support part (130) that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connecting parts (120).

한 쌍의 견착부(110)는 사용자의 우측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우겨드랑이 견착부(110a) 및 좌측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좌겨드랑이 견착부(110b)를 포함하고, 양 겨드랑이의 무게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상체를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A pair of attachment parts (110) include a right armpit attachment part (110a) that supports the user's right armpit and a left armpit attachment part (110b) that supports the left armpit, and serve to support the user's upper body by supporting the weight of both armpits.

즉, 견착부(110)는 사용자의 견갑골과 팔(상지)이 상체에 연결된 부위의 근육들에 거상력(lifting force)을 통해 척추에 가해지는 양팔 및 상체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That is, the attachment part (110) can reduce the weight of both arms and the upper body applied to the spine through lifting force on the muscles of the area where the user's scapula and arm (upper limb) are connected to the upper body.

견착부(110)는 사용자의 양 겨드랑이를 지지하기 위해 자세 교정 장치의 수직 연결부(120) 상에 형성된다. 이때, 견착부(110)의 형태는 사용자의 겨드랑이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겨드랑이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수직 연결부(120) 상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견착부(110)는 수직 연결부(120)를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서로 다른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수직 연결부(120)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전방을 향해 꺾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가 하부로 파여진 받침대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견착부(110)의 형상은 특정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겨드랑이에 삽입되어 거상력(lifting force)을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The attachment part (110) is formed on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120) of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to support the user's armpits.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attachment part (11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120) so as to support the armpit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user's armpits. For example, the attachment part (110)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predetermined angles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120), or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bent for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120), or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support shape with the central part dug downward. In this way, the shape of the attachment part (11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and various shape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armpits and exhibit lifting force may be applied.

견착부(110)는 사용자가 착용 시 사용자의 상체 무게를 지탱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착용감을 개선하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피로감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견착부(110) 표면에 푹신한 소재의 쿠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Since the attachment part (110) supports the weight of the user's upper body when worn by the user, a cushion made of soft material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part (110) to improve the user's wearing comfort and reduce fatigue due to long-term use.

쿠션은 고무, 스폰지, 붕대, 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푹신한 질감을 줄 수 있는 재질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Cushions can be made of materials such as rubber, sponge, bandage, cotton, etc., but are not limited to any material that can provide a soft texture.

견착부(110)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있는 수직 연결부(120)는 우겨드랑이 견착부(110a)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우수직 연결부(120a) 및 좌겨드랑이 견착부(110b)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좌수직 연결부(120b)을 포함하고, 견착부(110) 및 이어 설명할 허리 받침부(130)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The vertical connecting portion (1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attachment portion (110) includes a right vertical connecting portion (120a) extending from the right armpit attachment portion (110a) and a left vertical connecting portion (120b) extending from the left armpit attachment portion (110b), and serves to connect the attachment portion (110) and the waist support portion (130) to be described later.

필요에 따라 수직 연결부(120)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공지의 구조를 포함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연결부(120)는 상호간에 내부로 삽입되거나 연장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봉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둘 이상의 봉 또는 막대로 구성되어 이를 조립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If necessary,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120) may be of a height-adjustable type, including a known structure for adjusting its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For example,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120) may have a multi-stage rod shape that is inserted or extended into each other to allow for length adjustment, and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rods or bars and assembled to allow for length adjustment.

허리 받침부(130)는 수직 연결부(120)의 하부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일방향이 개방된 고리 형태로 사용자의 허리와 허리측면을 감싸 사용자의 허리를 받치고, 견착부(110)로부터 수직 연결부(120)를 통해 전달되는 무게를 사용자의 허리로 전달한다.The waist support member (130)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connection member (120), and wraps around the user's waist and waist side in a ring shape with one side open to support the user's waist, and transfers the weight transmitted from the attachment member (110) through the vertical connection member (120) to the user's waist.

도 1a 및 도 1b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직 연결부(120)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수직 연결부(120)와 허리 받침부(130)를 연결하는 부위에 추가적인 연장부(121)를 구비하여 연장부(121)의 일단으로 수직 연결부(120)가 결합되고, 연장부의 타단으로 허리 받침부(130)의 체결부(131)가 결합되는 형태를 가져, 수직 연결부(120)와 허리 받침부(130)를 결합하는 것과 함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부(121)에 삽입되는 수직 연결부(120)의 깊이와 연장부(121)가 허리 받침부(130)의 체결부(131)에 삽입되는 깊이를 통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FIGS. 1A and 1B,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120), an additional extension part (121) is provided at a portion connecting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120) and the waist support part (130).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12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extension part (121), and the fastening part (131) of the waist support part (13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art, so that a structure can be formed in which the height can be adjusted together with the coupling of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120) and the waist support part (130). That is, the height can be adjusted through the depth of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120) inserted into the extension part (121) and the depth of the insertion of the extension part (121) into the fastening part (131) of the waist support part (130).

또는, 수직 연결부(120)와 허리 받침부(130)는 연장부(121) 없이 바로 파이프 형태의 수직 연결부(120) 내부로 허리 받침부(130)에 구비된 체결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연결)될 수 있으며, 수직 연결부(120)와 허리 받침부(130)에 구비된 암나사 및 수나사가 체결되는 형태로 결합(연결)될 수 있다. 다만, 수직 연결부(120)와 허리 받침부(130)의 연결 구조는 상술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연장부(121)를 사용한 구조를 포함하는 상술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연결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120) and the waist support part (130) may be joined (connected) in a form in which a fastening part provided in the waist support part (130) is inserted directly into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120) in the form of a pipe without an extension part (121), and may be joined (connected) in a form in which a female screw and a male screw provided in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120) and the waist support part (130) are joined. However,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120) and the waist support part (13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cluding the structure using the extension part (121) illustrated in the above-described FIGS. 1a and 1b, and various connection structures that are generally used may be applied.

허리 받침부(130)는 사용자의 허리 및 허리측면을 감싸는 고리 형태로서 일방향(사용자의 배 부분)이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즉, 허리 받침부(130)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허리와 허리측면은 감싸면서 사용자의 전방방향으로 개방된 고리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허리 받침부(130)는 요추하방 천장 관절 이완에 의한 좌골신경안정화에 기여하는 기능성을 제공한다.The waist support (130) is in the form of a ring that wraps around the user's waist and waist side and has a form that is open in one direction (the user's stomach area).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waist support (130) has a ring shape that wraps around the user's waist and waist side while being open in the user's forward direction. Such a waist support (130) provides functionality that contributes to stabilizing the sciatic nerve by relaxing the lumbar lower sacroiliac joint.

허리 받침부(130)는 허리 받침부(130)의 개방된 고리 형태를 연결하며, 허리 받침부(130)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하고, 허리 받침부가 상기 허리로 전달하는 무게를 조절하는 벨트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aist support member (130) may further include a belt member (132) that connects the open ring shape of the waist support member (130), fixes the waist support member (130) to the user's body, and adjusts the weight that the waist support member transfers to the waist.

벨트부(132)는 허리 받침부(130)의 개방된 고리 형태를 연결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벨트구조나 탄성소재로 구성되어 허리 받침부(130)를 사용자의 신체에 정확하게 고정하여 허리 받침부(130)가 보다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벨트부(132)는 허리 받침부(130)의 밀착 정도와 압박 정도를 조절하여 견착부(110)로부터 가해지는 무게에 의해 허리 받침부(130)가 사용자의 허리, 대둔근, 장골 능선 및 복근 등에 가하는 힘과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The belt part (132) connects the open ring shape of the waist support part (130) and is made of a belt structure or elastic material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to accurately fix the waist support part (130) to the user's body so that the waist support part (130) is in closer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hrough this, the belt part (132) can adjust the degree of close contact and pressure of the waist support part (130) and thereby control the force and pressure that the waist support part (130) applies to the user's waist, gluteus maximus, iliac crest, and abdominal muscles by the weight applied from the adhesion part (110).

벨트부(132)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가죽, 합성피혁, 합성수지 및 직물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벨트부(132)의 소재와 형상은 상술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허리 받침부(130)를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할 수 있는 형태와 소재가 자유롭게 적용될 수 있다.The belt part (132) has a structure that allows for length adjustment and can be formed of materials such as leather, synthetic leather, synthetic resin, and fabric, and can be formed of elastic materials such as rubber or silicone. However,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belt part (132)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the shape and material that can secure the waist support part (130) to the user's waist can be freely applied.

허리 받침부(130)는 사용자의 하의에 고정되는 하의 지지부(133)를 포함한다. 하의 지지부(133)는 허리 받침부(130)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하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자세 교정 장치의 하부를 사용자의 하의에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The waist support member (130) includes a lower body support member (133) that is fixed to the user's lower body. The lower body support member (133) is located on the waist support member (130) and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user's lower body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to the user's lower body.

하의 지지부(133)는 사용자의 하의에 고정되기 위해 하부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반대로 하부 방향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 형태 혹은 ∪ 형태일 수 있으며, ∧ 형태 혹은 ∩ 형태일 수 있다. 또는, 하의 지지부(133)는 사용자의 하의에 허리 받침부(130)를 고정하기 위하여 집게, 클립 등과 같은 체결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The lower garment support member (133) may be in a shape that protrudes downwards to be fixed to the user's lower garment, or conversely, may have an opening formed downwards. For example, it may be in a ∨ shape or a ∪ shape, or in a ∧ shape or a ∩ shape. Alternatively, the lower garment support member (133)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structure such as a clamp or a clip to fix the waist support member (130) to the user's lower garment.

뿐만 아니라, 하의 지지부(130)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하의로서 바지, 치마 등에 고정될 수 있으며, 바지나 치마 등에 착용된 벨트에 고정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ower body support member (130) can be fixed to lower body clothing worn by the user, such as pants, a skirt, etc., and can also be fixed to a belt worn on pants, a skirt, etc.

하의 지지부(133)는 사용자의 하의에 고정된 상태에서 견착부(110)로부터 가해지는 무게를 하의로 전달하기 때문에 하의 뒷부분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이 압력은 하의 앞부분으로 전달되어 사용자의 대둔근, 장골 능선 및 복근에 가해질 수 있다. 이렇게 하의 지지부(133)에 의해 전달된 압력은 대둔근, 장골 능선 및 복근에 자극을 줄 수 있어 사용자 허리 주변의 근육 발달을 유도하여 척추가 바른 형태로 자리 잡게 하거나, 허리 통증 경감에 도움이 될 수 있다.Since the lower body support member (133) transmits the weight applied from the attachment member (110) to the lower body while being fixed to the user's lower body,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back of the lower body, and this pressure may be transmitted to the front of the lower body and applied to the user's gluteus maximus, iliac crest, and abdominal muscles. The pressure transmitted by the lower body support member (133) in this way may stimulate the gluteus maximus, iliac crest, and abdominal muscles, thereby inducing muscle development around the user's lower body, which may help to correct the spine or alleviate lower back pain.

일례로서, 하의 지지부(133)는 사용자의 허리 중앙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좌측과 우측의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이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하의 지지부(133)의 개수와 위치는 자세 교정 장치의 목적, 크기, 소재, 무게 및 사용자의 목적 등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이 가능하다.As an example, the lower body support parts (133) may be positioned in pairs at symmetrical posi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paced apart from the user's central wais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owever,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lower body support parts (133)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urpose, size, material, weight, and purpose of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as well as the user's purpose.

허리 받침부(130)는 허리 중앙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 방향을 향해 형성된 요철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요철부(134)의 형태는 하나의 요철 형상이 상부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둘 또는 세 개의 요철 형상이 상부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요철부(134)는 세 개의 요철 형상이 상부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구조로, 중앙에 위치한 요철 구조의 좌우로 중앙 방향으로 굴곡을 가지는 요철 구조가 형성된 것이다.The waist support member (130) may have a protruding member (134) formed upward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waist. The shape of the protruding member (134)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protruding shape is formed upwardly, or a structure in which two or three protruding shapes are formed upwardly. The protruding member (134) illustrated in Fig. 1a has a structure in which three protruding shapes are formed upwardly, and a protruding structure having a curve toward the center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protruding structure located in the center is formed.

요철부(134)는 사용자의 허리 중앙부분에 위치하여 크게 세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요철부(134)는 의복 형태의 이종물(조끼 등의 상의나 기타 의복 등)에 고정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요철부(134)를 형상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하여 2 내지 5cm 정도의 수평적 길이 확장 기능성을 제공하며, 요철부(134)의 만곡정도에 따라 3, 4 번 요추의 간접적 지지를 제공한다. 특히, 별도의 고리 또는 체결도구를 이용하여 요철부(134)에 의복을 체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의복과 자세 교정 장치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사용자가 자세 교정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활동 시 발생되는 의복과 자세 교정 장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uneven portion (134)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ser's waist and performs three major functions. The uneven portion (134) provides ease of fixation to a garment-shaped foreign object (such as a top such as a vest or other garments), provides a horizontal length expansion function of about 2 to 5 cm by forming the uneven portion (134) with a shape-deformable material, and provides indirect support for the 3rd and 4th lumbar vertebrae depending on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uneven portion (134). In particular, a separate hook or fastening tool can be used to fasten garments to the uneven portion (134), and in this case, the combination of the garment and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is strengthened, thereby preventing the garment and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from coming off when the user is performing external activities while wearing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또한, 허리 받침부(130)는 좌측과 우측 위치, 즉 사용자의 좌/우측 옆구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측면 보조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보조부(135)는 허리 받침부(130)의 좌/우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자세 교정 장치를 착용 시 사용자의 좌/우측 옆구리에 접촉하여 요추하방 천장 관절 이완에 의한 좌골신경안정화에 기여하는 기능성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면 보조부(135)는 수평적으로 자세의 좌우기울기의 평형성 유지 기능을 제공하여 장골능부에 장치가 안착되는데 도움을 주어 옆구리 쪽으로 이행된 측면 보조부(135)가 장골능부에 밀착되고, 측면 보조부(135)가 견고한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SS Wire) 소재로서 곡선 만곡요철 형태로 형성되어 소정의 견고성과 유연성을 발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 장치는 걷기 운동 시 과도한 수평압이나 수직압에 대한 부드러운 저항감을 제공하여 압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한다.In addition, the lumbar support part (130) may further include side auxiliary parts (135) at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that is,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 The side auxiliary parts (135) are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umbar support part (130), and when the user wears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 thereby providing a functionality that contributes to stabilizing the sciatic nerve by relaxing the lumbar lower sacroiliac joint. More specifically, the side auxiliary parts (135) provide a function of maintaining the equilibrium of the left and right inclinations of the posture horizontally, thereby helping the device to be settled on the iliac crest, so that the side auxiliary parts (135) moved toward the sid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liac crest, and the side auxiliary parts (135) are formed in a curved and uneven shape as a solid stainless steel wire (SS Wire) material, thereby exhibiting a predetermined sturdiness and flexibility, so that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ft sense of resistance to excessive horizontal pressure or vertical pressure during walking exercise, thereby alleviating shock caused by pressur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앞서 설명한 도 1a 및 도 1b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와 비교할 때 높이 조절부(125)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is the same as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1A and 1B described above except for the height adjustment unit (125), and thus, a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수직 연결부(120) 중간에서 탈부착될 수 있는 높이 조절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ment part (125) that can be detached from the middle of a vertical connecting part (120).

높이 조절부(125)는 우수직 연결부(120a)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우높이 조절부(125a) 및 좌수직 연결부(120b)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좌높이 조절부(125b)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125) may include a right height adjustment unit (125a)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erior vertical connection unit (120a) and a left height adjustment unit (125b)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eft vertical connection unit (120b).

높이 조절부(125)를 탈착하기 위해 자세 교정 장치의 수직 연결부(120)는 수직 연결부(120)의 중간에서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수직 연결부(120) 사이에 높이 조절부(125)가 장착되어 자세 교정 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order to detach the height adjustment part (125), the vertical connecting parts (120) of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middle of the vertical connecting parts (120), and the height adjustment part (125) can be mounted between the separated vertical connecting parts (12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높이 조절부(125)의 길이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적절히 조절 가능하며,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적합한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이 조절부(125)는 스프링, 막대 형태 등일 수 있다.The length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125)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and can be used by adjusting the length to suit the body size of various users. 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part (125) can be in the form of a spring, a rod, etc.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앞서 설명한 도 1a 및 도 1b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와 비교할 때 자세 교정 장치 표면에 부착된 상의(200)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is the same as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1a and 1b described above, except for the upper part (200)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and thus, a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자세 교정 장치 표면에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상의(200)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upper garment (200) that can be worn by a use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상의(200)는 자켓, 조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의(200) 내부에 자세 교정 장치가 부착되어 있어, 일상 생활 중에 상의 착용만으로도 자세 교정 장치를 통한 지속적인 자세 교정이 가능하다. 또한, 자세 교정 장치와 일체로 형성된 상의(200)는 자세 교정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자세 교정 장치를 착용한 것이 타인에게 쉽게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다양한 장소에서 자유로운 착용이 가능하다.The upper garment (200) may include a jacket, a vest, etc., and a posture correction device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garment (200), so that continuous posture correction is possible through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simply by wearing the upper garment during daily life. In addition, the upper garment (200) formed integrally with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prevents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s wearing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is not easily exposed to others, providing psychological stability to the user and allowing free wearing in various places.

이어서,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착용 상태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본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4, a brief look at the wearing state of a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er wears a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견착부(110)가 사용자의 겨드랑이 사이에 고정되어 겨드랑이를 지지하고, 견착부(110)의 하단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직 연결부(120)가 허리 받침대(130)와 연결되며, 허리 받침대(130)에 구비된 하의 지지부(133)가 사용자의 하의에 고정되어 허리 받침대(130)를 지지한다.As shown in FIG. 4,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ttachment part (110) fixed between the user's armpits to support the armpits, a vertical connection part (120) exte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attachment part (110) is connected to a waist support (130), and a lower body support part (133) provided on the lower body support (130) is fixed to the user's lower body to support the lower body support (130).

즉,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상체 무게를 지탱하여 척추에 가해지는 상체 무게를 사용자의 장골능선, 대둔근, 장골 능선 및 복근에 분산시킴으로 인해 척추 형태를 바르게 잡는 동시에 허리 부근의 근육 발달을 유도하여 척추가 바른 형태로 자리 잡게 하거나, 허리 통증 경감에 도움이 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weight of the user's upper body and distributes the upper body weight applied to the spine to the user's iliac crest, gluteus maximus, iliac crest, and abdominal muscles, thereby correcting the shape of the spine and inducing muscle development around the waist, thereby correcting the spine or helping to alleviate back pai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일상 생활 속에서 손쉽게 사용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ostur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easily used in daily life.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견착부 110a: 우겨드랑이 견착부
110b: 좌겨드랑이 견착부
120: 수직 연결부 120a: 우수직 연결부
120b: 좌수직 연결부 121: 연장부
130: 허리 받침부 131: 체결부
132: 벨트부 133: 하의 지지부
134: 요철부 135: 측면 보조부
110: Attachment 110a: Armpit Attachment
110b: Left armpit attachment
120: vertical connection 120a: superior connection
120b: Left vertical connection 121: Extension
130: Waist support 131: Fastening part
132: Belt part 133: Lower body support part
134: Rough part 135: Side auxiliary part

Claims (4)

사용자의 양 겨드랑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견착부;
상기 한 쌍의 견착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 연결부; 및
상기 수직 연결부의 하부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일방향이 개방된 고리 형태로 사용자의 허리와 허리측면을 감싸 사용자의 허리를 받치고, 상기 견착부로부터 상기 수직 연결부를 통해 전달되는 무게를 사용자의 허리로 전달하는 허리 받침부;
를 포함하며,
상기 허리 받침부는,
상기 허리 받침부의 중앙부분에 상부 방향을 향해 형성된 세 개의 요철부;
상기 허리 받침부의 좌/우측에 상부 방향을 향해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SS Wire) 소재로 곡선 만곡요철 형태로 형성된 측면 보조부; 및
상기 허리 받침부의 좌/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허리 받침부의 상부 및 하부 방향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수직 연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연결부를 상기 허리 받침부에 결합시키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
A pair of attachments that support the user's armpits from below;
a pair of vertical connecting member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above pair of attachment members; and
A waist support part that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and wraps around the user's waist and waist side in a one-way open ring shape to support the user's waist and transfer the weight transferred from the attachment part through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to the user's waist;
Including,
The above waist support part is,
Three protruding portions formed in an upward directio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waist support;
A side auxiliary part formed in a curved and uneven shape with stainless steel wire (SS Wire) material facing upwar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bove waist support part; and
A fastening member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bove-mentioned waist support member, formed toward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above-mentioned waist support member, and inserted into the above-mentioned vertical connecting member to connect the above-mentioned vertical connecting member to the above-mentioned waist support member;
A posture correction devic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받침부의 개방된 고리 형태를 연결하며, 상기 허리 받침부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하고, 사용자에 대한 상기 허리 받침부의 밀착 정도와 압박 정도를 조절하는 벨트부;
를 더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 belt part that connects the open ring shape of the above-mentioned waist support part, fixes the above-mentioned waist support part to the user's body, and adjusts the degree of adhesion and pressure of the above-mentioned waist support part to the user;
A posture corr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연결부와 상기 허리 받침부를 연결하며, 상기 견착부 및 상기 수직 연결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연장부;
를 더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n extension connecting the vertical connecting portion and the waist support portion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ttachment portion and the vertical connecting portion;
A posture corr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받침부는 사용자의 하의에 고정되는 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 posture correction device, wherein the lumbar support part includes a lower body support part that is fixed to the user's lower body.
KR1020220057798A 2022-05-11 2022-05-11 Posture correcting device Active KR1027030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798A KR102703013B1 (en) 2022-05-11 2022-05-11 Posture correc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798A KR102703013B1 (en) 2022-05-11 2022-05-11 Posture correc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278A KR20230158278A (en) 2023-11-20
KR102703013B1 true KR102703013B1 (en) 2024-09-04

Family

ID=88974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798A Active KR102703013B1 (en) 2022-05-11 2022-05-11 Posture correc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301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7826Y2 (en) * 1993-07-02 1996-08-21 哲也 知久 Walking aids for people with low back pain
KR102035811B1 (en) * 2017-09-28 2019-10-24 이재우 Posture correcting device
CN215131043U (en) 2021-05-12 2021-12-14 湖南省森晖能动智能技术有限责任公司 Human waist suppor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54A (en) * 1995-06-19 1997-01-07 Noboru Kawabata Upper body stretch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7826Y2 (en) * 1993-07-02 1996-08-21 哲也 知久 Walking aids for people with low back pain
KR102035811B1 (en) * 2017-09-28 2019-10-24 이재우 Posture correcting device
CN215131043U (en) 2021-05-12 2021-12-14 湖南省森晖能动智能技术有限责任公司 Human waist suppor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278A (en) 202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1518B2 (en) Wearabl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supporting a torso
US11457673B2 (en) Kinematic bra for posture recovery and thoracic mobility
JP2007519428A (en) Chair-mounted back support system
CN106109067B (en) Lumbar supporting device
US11452317B2 (en) Posture correction bra
KR102034921B1 (en) the spine manipulation device
JP6407392B1 (en) Waist supporter
US5713840A (en) Weighted lumbar support
AU2011339028B2 (en) Neck relief device, and piece of headgear intended therefore
KR20190036815A (en) Posture correcting device
RU2692218C2 (en) Modular back protection device
KR102703013B1 (en) Posture correcting device
US20150264980A1 (en) Posture protecto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190297957A1 (en) Posture, performance, recovery (ppr) bra
KR200381273Y1 (en) belt for backbone correcting
CN213758795U (en) A posture correction belt
JP7237347B2 (en) bending support
CN210019841U (en) Sitting posture corrector
KR20140002374A (en) The lumbar posture correction device
KR20230047619A (en) Correction device for improving turtle neck symptoms
WO2015037899A1 (en) Bottoms having enhanced wearing comfort
JP2014236767A (en) Stiff shoulder and stiff neck improvement posture conscious device
CN114522007A (en) Adjustable multifunctional cervical vertebra posture correcting health care device
KR20210065336A (en) Electronic Acupressure Turtle Neck Corrector
WO1997011656A1 (en) Weighted lumbar support with magnetic 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