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7960B1 - 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7960B1
KR102717960B1 KR1020210104926A KR20210104926A KR102717960B1 KR 102717960 B1 KR102717960 B1 KR 102717960B1 KR 1020210104926 A KR1020210104926 A KR 1020210104926A KR 20210104926 A KR20210104926 A KR 20210104926A KR 102717960 B1 KR102717960 B1 KR 102717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entioned
catch
connecting portion
plu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9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23132A (en
Inventor
이호재
박병선
최명준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제이씨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텍(주) filed Critical 제이씨텍(주)
Priority to KR1020210104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7960B1/en
Priority to PCT/KR2021/012843 priority patent/WO2023017896A1/en
Publication of KR20230023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1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7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796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마개는 주 내용물이 위치하는 용기 본체와 결합되는 마개 본체 및 상기 마개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주 내용물과 다른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 본체는 제1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마개 본체 내부에 위치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pper, wherein the stopper comprises a stopper body coupled with a container body in which main contents are positioned, and a receiving member coupled with the stopper body and in which secondary contents other than the main contents are positioned, wherein the stopper body has a first coupling portion, the receiving member has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member is positioned inside the stopper body by coupling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Description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개를 개봉하기 전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서로 분리하여 수용하고 마개를 개방하고 내용물을 섭취할 때는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차단막을 구비한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pper and a container hav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eparable stopper having a double barrier membrane that allows different types of contents to be separated and contained before the stopper is opened and allows different types of contents to be consumed together when the stopper is opened and the contents are consumed, and a container having the same.

각종 음료수나 조미료 등을 수용하기 위한 병과 같은 용기는 현대인에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Containers such as bottles for holding various beverages and seasonings are very useful to modern people.

이러한 용기 중에는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과 구분되는 별도의 분리 공간을 구비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기능성 마개를 구비하는 용기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Among these containers, containers equipped with a separable functional stopper that has a separate space distinct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body have been developed and are being sold commercially.

마개에 구비된 분리 공간에는 용기 본체에 담겨 있는 내용물(예, 주 내용물)과 다른 형태의 내용물(예, 부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다.The separation space provided in the stopper accommodates contents of a different form (e.g., secondary contents) from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main body of the container.

따라서, 용기 본체에 담겨 있는 주 내용물을 섭취하기 위해, 사용자가 용기 본체와 결합된 마개가 열어 주 내용물을 섭취할 때, 마개에 담겨있는 부 내용물도 함께 섭취하게 된다. Therefore, when a user opens the stopper combined with the main body of the container to ingest the main content, the secondary content contained in the stopper is also ingested.

하지만, 부 내용물을 담고 있는 마개의 분리 공간의 밀폐력의 문제로 인해, 주로 액체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에 주 내용물과 마개의 부 내용물이 혼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due to the problem of sealing force of the separation space of the stopper containing the secondary contents,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main contents and the secondary contents of the stopper are mixed in the main body of the container, which is mainly composed of liquid.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1-0102112호(공개일자: 2011년 09월 16일, 발명의 명칭: 용기마개의 밀봉부재)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Patent No. 10-2011-0102112 (Publication date: September 16, 2011, Title of invention: Sealing member for container stopper)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8-0049549호(공개일자: 2018년 05월 11일, 발명의 명칭: 내열용기마개)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Patent No. 10-2018-0049549 (Publication date: May 11, 2018, Title of invention: Heat-resistant container stopp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과 마개에 수용된 내용물의 혼합 현상을 방지하여, 두 내용물의 보존 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mixing of contents contained in a container body and contents contained in a stopper, thereby extending the preservation period of the two content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마개 본체와 수용부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수용부를 구비한 마개 본체의 이동이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plug body and the receiving portion, thereby facilitating movement or bonding of the plug body having the receiving por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용기 본체의 내용물과 마개의 내용물을 편리하게 섭취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Another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allowing the contents of the main body of the container and the contents of the stopper to be conveniently consumed.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마개는 주 내용물이 위치하는 용기 본체와 결합되는 마개 본체 및 상기 마개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주 내용물과 다른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 본체는 제1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마개 본체 내부에 위치한다.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pper comprises a stopper body coupled with a container body in which main contents are positioned, and a receiving member coupled with the stopper body and in which secondary contents other than the main contents are positioned, wherein the stopper body has a first coupling portion, the receiving member has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member is positioned inside the stopper body by coupling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마개 본체의 측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일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테두리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나선 돌기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 위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may be a catch protruding inwardly from a side of the plug body,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a spiral project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a rim of the receiving member,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coupling portion.

상기 걸림턱은 상기 마개 본체에서 정해진 각도의 기울기를 갖고 나선 형태로 연장된 나사산일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catch may be a screw thread extending in a spiral shape with a predetermined angle of inclination from the above-mentioned plug body.

상기 마개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나선 돌기의 리드, 걸림턱의 리드 및 상기 나사산의 리드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The above plug body may further include screw threads for screw connection with the container body, and the lead of the spiral projection, the lead of the catch, and the lead of the screw thread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상기 마개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나선 돌기, 걸림턱 및 상기 나사산의 피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The above plug body may further include screw threads for screw connection with the container body, and the pitches of the spiral projection, the catch, and the screw threads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상기 걸림턱의 개수와 상기 나선 돌기의 개수는 서로 복수 개일 수 있고, 상기 걸림턱의 개수는 상기 나선 돌기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catches and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spiral projections may be plural, and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catches may be less than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spiral projections.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마개 본체의 측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일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테두리부에서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된 걸림홈일 수 있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홈 속에 삽입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may be a catch protruding inwardly from a side of the plug body,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may be a catch groov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receiving member, and the catch groove may be inserted into the catch groove.

상기 걸림턱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stumps may be plural.

상기 마개 본체는 상부, 상기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1 차단막 및 상기 제1 차단막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2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1 평탄부, 상기 제1 평탄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2 평탄부, 상기 제2 평탄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기둥부 및 인접한 두 기둥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으로 막혀 있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plug body may include an upper portion, a first blocking film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portion, and a second blocking film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portion and spaced outwardly from the first blocking film, and the receiving member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secondary contents are located, a first flat portion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in which the first blocking film is located, a second fla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flat portion and in which the second blocking film is located, a plurality of pillar portion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flat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located between two adjacent pillar portions and blocked by the first blocking film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상기 특징에 따른 마개는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 사이에 위치하는 밀폐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lug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s may further include a sealed spac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locking film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상기 수용부, 상기 제1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는 순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receiving portion, the first flat portion, and the second flat portion may have a stepped structure whose height sequentially decreases.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용기는 주 내용물이 위치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는 마개 본체 및 상기 마개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주 내용물과 다른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 본체는 제1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마개 본체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iner includes a container body in which main contents are positioned, a stopper body coupled with the container body, and a receiving member coupled with the stopper body and in which secondary contents other than the main contents are positioned, wherein the stopper body has a first coupling portion, the receiving member has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member can be positioned inside the stopper body by coupl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마개 본체의 측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일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테두리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나선 돌기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 위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may be a catch protruding inwardly from a side of the plug body,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a spiral project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a rim of the receiving member,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coupling portion.

상기 걸림턱은 상기 마개 본체에서 정해진 각도의 기울기를 갖고 나선 형태로 연장된 나사산일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catch may be a screw thread extending in a spiral shape with a predetermined angle of inclination from the above-mentioned plug body.

상기 마개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나선 돌기의 리드, 걸림턱의 리드 및 상기 나사산의 리드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The above plug body may further include screw threads for screw connection with the container body, and the lead of the spiral projection, the lead of the catch, and the lead of the screw thread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상기 마개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나선 돌기, 걸림턱 및 상기 나사산의 피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The above plug body may further include screw threads for screw connection with the container body, and the pitches of the spiral projection, the catch, and the screw threads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상기 걸림턱의 개수와 상기 나선 돌기의 개수는 서로 복수 개일 수 있고, 상기 걸림턱의 개수는 상기 나선 돌기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catches and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spiral projections may be plural, and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catches may be less than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spiral projections.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마개 본체의 측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일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테두리부에서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된 걸림홈일 수 있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홈 속에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portion may be a catch protruding inwardly from a side of the plug body,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may be a catch groov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receiving member, and the catch groove may be inserted into the catch groove.

상기 걸림턱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 있다.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stumps may be plural.

상기 마개 본체는 상부, 상기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1 차단막 및 상기 제1 차단막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2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1 평탄부, 상기 제1 평탄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2 평탄부, 상기 제2 평탄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기둥부 및 인접한 두 기둥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으로 막혀 있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plug body may include an upper portion, a first blocking film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portion, and a second blocking film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portion and spaced outwardly from the first blocking film, and the receiving member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secondary contents are located, a first flat portion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in which the first blocking film is located, a second fla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flat portion and in which the second blocking film is located, a plurality of pillar portion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flat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located between two adjacent pillar portions and blocked by the first blocking film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상기 특징에 따른 용기는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 사이에 위치하는 밀폐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s may further include a sealed spac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arrier and the second barrier.

상기 수용부, 상기 제1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는 순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receiving portion, the first flat portion, and the second flat portion may have a stepped structure whose height sequentially decreases.

상기 용기 본체는 외측면에 나사산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개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나사선과 결합되는 나사선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나사선과 상기 마개 본체의 나사선의 중첩폭은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중첩폭보다 클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may further include screw threads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the stopper body may further include screw threads coupled with the screw threads of the container body, and an overlapping width of the screw threads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screw threads of the stopper body may be greater than an overlapping width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용기 본체와 마개에 각각 담겨있는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이 섞이지 않고 품질의 변질없이 보관되므로, 내용물의 유통 기한이 증가한다.According to these features, the different types of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and the stopper are not mixed and are stored without quality deterioration, so the shelf life of the contents is increased.

또한, 이중 차단막에 의해, 마개에 위치한 내용물 보관 공간의 밀폐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용기 본체에 보관되어 있는 내용물이 마개의 내용물 보관 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각 내용물의 유통 기한은 더욱 더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power of the contents storage space located in the stopper is increased by the double barrier, and as a result, the contents stored in the main body of the container ar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contents storage space of the stopper, so that the shelf life of each contents can be further improved.

추가적으로, 마개 본체와 수용부의 결합력이 증가하여, 용기 본체와의 결합을 위해 수용부가 결합된 마개를 이동시키거나 이송할 때, 수용부가 마개 본체에서 분리되거나 탈거되는 문제가 해소되거나 감소할 수 있다. Additionally, sinc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stopper body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increased, when moving or transporting the stopper with the receiving portion combined for bonding with the container body, the problem of the receiving portion being separated or removed from the stopper body can be resolved or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마개 본체와 수용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마개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수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수용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수용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마개 본체와 수용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8에 도시한 마개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1는 도 8에 도시한 수용부재의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body and receiving member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body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ceiving member shown in Figure 1.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ceiving member shown in Figure 5.
Figure 7 is a plan view of the receiving member shown in Figure 5.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body and receiving member shown in Figure 8.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body shown in Figure 8.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ceiving member shown in Figure 8.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drawings,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In this application, each step described may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listed order, except in cases where it must be performed in the listed order due to a special causal relationship.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100)를 구비한 용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 container (1) equipped with a stoppe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본 예의 용기(1)는 마개(100) 및 측면 외측에 나사산(2021)을 구비한 체결부(202)를 구비하여 체결부(202)를 통해 마개(100)와 결합되는 용기 본체(20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ainer (1) of this example may have a container body (200) that is provided with a stopper (100) and a fastening member (202) having screw threads (2021) on the outer side thereof, and is connected to the stopper (100)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202).

내부에 내용물(예, 주 내용물)이 담기는 내부 공간(S200)을 구비할 수 있다. It may have an internal space (S200) in which contents (e.g., main contents) are contained.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마개(100)는 용기 본체(200)에 결합되는 마개 본체(110), 마개 본체(110)에 결합되는 수용부재(120) 및 마개 본체(110)와 결합되어 있는 임시고정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plug (100) of the present example may have a plug body (110) coupled to a container body (200), a receiving member (120) coupled to the plug body (110), and a temporary fixing member (130) coupled to the plug body (110).

마개 본체(110)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수용부재(120)와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부재(120)를 내장할 수 있다. 이러한 마개 본체(110)는 용기 본체(200)와 결합되어 용기(1)를 구성할 수 있다.The plug body (110) can be combined with a receiving member (120) as shown in Fig. 2 to have the receiving member (120) built into the inside. This plug body (110) can be combined with a container body (200) to form a container (1).

이러한 마개 본체(110)는, 도 2 내 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상부(111), 상부(111)에 연결되어 있는 측부(112), 상부(111)에 연결된 제1 차단막(113)과 제2 차단막(114), 그리고 상부(111)에 연결된 결합벽(115)을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to 4, the plug body (110) may have an upper portion (111) having a circular flat shape, a side portion (112)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111), a first blocking film (113) and a second blocking film (114)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111), and a joining wall (115)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111).

상부(111)는 마개 본체(110)의 상면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상부(111) 외측 가운데 부분에는 원형의 함몰 부분(S111)을 구비하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판 형태일 수 있다. 이때, 함몰 부분(S111)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함몰 부분(S111)이 존재할 경우, 마개(100)의 심미성이 좀 더 향상될 수 있다. The upper part (111) is a part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lug body (110), and may be a plate shape having a circular flat shape with a circular sunken part (S111) in the outer center part of the upper part (111). At this time, the sunken part (S111) may be omitted as needed, and if the sunken part (S111) exists, the aesthetics of the plug (100) may be further improved.

측부(112)는 상부(111)의 가장자리에서 상부(111)와 교차하는 방향(예,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ide (112) may extend from the edge of the upper portion (111)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upper portion (111) (e.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이러한 측부(112)의 내측에는 나사산(1121), 그리고 수용부(121)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걸림턱(1122)(예, 제1 결합부)을 구비할 수 있다.The inner side of the side (112) may be provided with screw threads (1121) and a plurality of catches (1122) (e.g., first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receiving portion (121).

나사산(1121)은 용기 본체(200)의 나사산(2021)과의 나사 결합하여, 마개(100)와 용기 본체(200)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예에서, 나사산(1121)을 구비한 나사는 나사산(1121)의 개수가 2개인 두줄 나사일 수 있다. The screw thread (1121) may be screw-connected with the screw thread (2021) of the container body (200) to connect the cap (100) and the container body (200) to each other. In this example, the screw having the screw thread (1121) may be a double-row screw having two screw threads (1121).

이에 따라, 마개 본체(11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해 나사산(2021)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200)의 나사 역시 두줄 나사일 수 있고, 이들 용기 본체(200)의 나사와 마개 본체(110)의 나사의 피치(pitch)는 서로 동일하며, 용기 본체(200)의 나사와 마개 본체(110)의 나사의 리드(lead) 역시 모두 동일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crew of the container body (200) forming the screw thread (2021) for screw connection with the stopper body (110) may also be a double-row screw, and the pitch of the screw of the container body (200) and the screw of the stopper body (110) may be the same, and the lead of the screw of the container body (200) and the screw of the stopper body (110) may also be the same.

각 걸림턱(1122)은 상부(111)의 내측면에서부터 정해진 거리(D1)만큼 최소한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D1은 걸림턱(1122) 최소 이격 거리한다. Each catch (1122)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111) by a minimum distance (D1). Here, D1 is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of the catch (1122).

각각 나사산(1121) 보다 높은 위치, 즉 나사산(1121)보다 상부(111)의 내측면에 좀 더 인접하게 위치할 있다.Each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screw thread (1121), that is, clos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111) than the screw thread (1121).

본 예에서, 복수 개의 걸림턱(1122)은 마개 본체(110)와 수용부재(120)와 결합된 상태로 마개 본체(110)를 용기 본체(200)와의 결합을 위한 용기 본체(200) 위로 이동하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송 시, 마개 본체(110)와의 결합 상태가 수용부재(120)의 자중(自重)에 의해 해제되어 마개 본체(110)에서 빠지거나 결합 상태가 비정상 상태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In this example, a plurality of catches (1122) are provided to prevent the stopper body (11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topper body (110) or from being changed into an abnormal state when the stopper body (110) is moved over the container body (200) for combination with the container body (200) or transported to another area while the stopper body (110) is combined with the receiving member (120).

이러한 복수 개의 걸림턱(1122)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정해진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한 예로 걸림턱(1122)의 개수는 4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 가능하며, 2개 이상일 수 있다.These multiple catches (1122) may all have the same structure and may b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et interval. For example, the number of catches (1122) is fou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nd may be two or more.

걸림턱(1122)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측부(112)의 내측에서 내부 쪽, 즉 결합벽(115) 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정해진 각도의 기울기로 기울어져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된 나선 형태로 연장된 나사산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catch (1122) may be a screw thread that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side (112) toward the inside, that is, toward the joining wall (115), and is extended in a spiral shape by a predetermined length while being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측부(112)의 외측에는 측부(112)의 연장 방향으로 위치한 복수 개의 홈과 돌기가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홈과 돌기에 의해 사용자는 좀 더 용이하게 마개(100)를 개폐할 수 있다. On the outside of the side (112), a plurality of grooves and protrusions may be alternately positione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ide (112). These grooves and protrusions enable the user to open and close the stopper (100) more easily.

상부(111)에 위치한 제1 차단막(113), 제2 차단막(114) 및 결합벽(115)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111)의 내측면에서 아래쪽 방향, 즉, 지면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blocking film (113),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and the joining wall (115)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111) can extend dow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111), i.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ground (for examp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s shown in FIG. 2.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차단막(113), 제2 차단막(114) 및 결합벽(115)의 각 연장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차단막(114)의 연장 길이가 가장 길고, 결합벽(115)의 연장 길이가 가장 짧을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2, the respective extension lengths of the first blocking film (113),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and the bonding wall (115)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extension length of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may be the longest, and the extension length of the bonding wall (115) may be the shortest.

이러한 제1 차단막(113)과 제2 차단막(114)은 하부에 위치한 수용부재(120)의 해당 부분의 상면과 접할 때까지 연장될 수 있다. 반면, 결합벽(115)은 외측에 위치한 수용부재(120)의 해당 부분과 접할 수 있다.These first blocking film (113) and second blocking film (114) can be extended until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0) located at the bottom. On the other hand, the joining wall (115)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0) located at the outside.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이들 제1 차단막(113), 제2 차단막(114) 및 결합벽(115)은 상부(1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정해진 간격으로 평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고, 각각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벽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blocking film (113),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and the bonding wall (115) may b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plane direction at a set interval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art (111), and may each be in the form of a wall having a circular plane shape.

이때, 제1 차단막(113)과 제2 차단막(114)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주변을 원형으로 에워싸고 있는 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barrier (113) and the second barrier (114) can perform a dam function that surrounds the periphery in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2.

수용부재(12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마개 본체(110)와 결합되어 마개 본체(1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receiving member (120), as already described, may be combined with the plug body (110) and positioned inside the plug body (110).

이러한 수용부재(120)는 마개 본체(110)와의 결합을 위해 마개 본체(110)와 동일한 평면 형상, 예를 들어,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is receiving member (120) may have the same planar shape as the stopper body (110), for example, a circular planar shape, for combination with the stopper body (110).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수용부재(120)는 수용부(121), 수용부(121)에 연결되어 있고, 외측으로 평탄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1 평탄부(122), 제1 평탄부(122)에 연결되어 있고, 외측으로 평탄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2 평탄부(123), 제2 평탄부와 연결되어 있고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기둥부(124), 기둥부(124)의 상단에 결합되어 기둥부(124)의 상단에 위치하는 테두리부(125) 및 후크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5, the receiving member (120)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121), a first flat portion (122)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121) and extending outwardly flat, a second flat portion (123) connected to the first flat portion (122) and extending outwardly flat, a plurality of pillar portions (124) connected to the second flat portion and extending upward, a frame portion (125)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llar portion (124) and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pillar portion (124), and a hook portion (126).

수용부(121)는 용기 본체(200)에 담겨 있는 내용물(예, 주 내용물)과 다른 내용물(예,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121) may be a portion where contents (e.g., main contents) and other contents (e.g., secondary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200) are located.

이러한 수용부(121)는 제1 평탄부(122)와 끊김없이 연결되어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is receiving portion (121) may have a circular flat shape that protrudes upward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flat portion (122) without interruption.

따라서, 수용부(121)는 제1 평탄부(122)와 연결되어 있어 제1 평탄부(122)에서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측면과 이 측면과 연결되어 있는 상면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receiving portion (121) is connected to the first flat portion (122) and may have a side surface protruding from the first flat portion (122) by a set length and an upper surface connected to this side surface.

이때, 한 예로서, 수용부(121)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는 움푹 들어간 함몰부(1211)가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함몰부(1211)는 생략될 수 있고, 이런 경우, 수용부재(120)의 상부(111)는 움푹 들어간 부분 없이 평탄면인 수용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an example, a sunken recessed portion (1211) may exist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21). However, in an alternative example, the sunken portion (1211) may be omitted, and in this case, the upper portion (111) of the receiving member (120) may have a receiving portion (121) that is a flat surface without a sunken portion.

이와 같이, 수용부(121)의 상면에 함몰부(1211)가 위치하는 경우, 캡슐 형태의 영양제와 같은 고체 내용물(미도시)일 수 있는 부 내용물은 안정적으로 수용부(121)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recessed portion (1211)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21), the solid content (not shown), such as a capsule-shaped nutritional supplement, can be stably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21).

제1 평탄부(122)와 제2 평탄부는 수용부(121)에 계단 형태로 끊김없이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flat portion (122) and the second flat portion can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121) in a step-like manner without interruption.

제1 평탄부(122)와 제2 평탄부는 각각 지면과 평행한 방향인 평면 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평탄면을 구비할 수 있고, 수용부(121), 제1 평탄부(122) 및 제2 평탄부의 상면의 높이는 순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평탄부(122)의 상면 높이는 제2 평탄부의 상면 높이보다 높을 수 있고, 수용부(121)의 상면 높이는 제1 평탄부(122)의 상면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The first flat portion (122) and the second flat portion may each have a flat surface extending outwardly along a plane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heights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receiving portion (121), the first flat portion (122), and the second flat portion may sequentially decrease.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first flat portion (122) may be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second flat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receiving portion (121) may be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first flat portion (122).

이로 인해, 수용부(121), 제1 평탄부(122) 및 제2 평탄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져 수용부재(120)의 측면은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가장 높은 곳에는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수용부(121)가 위치할 수 있다. Due to this, the receiving portion (121), the first flat portion (122), and the second flat portion become lower in height as they go downward, so that the side of the receiving member (120) can have a step shape, and the receiving portion (121) where the contents are located can be located at the highest point.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제1 평탄부(122) 및 제2 평탄부는 각각 제1 차단막(113)과 제2 차단막(114)이 위치하는 지지대로서 기능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2, the first flat portion (122) and the second flat portion can function as supports on which the first blocking film (113)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are positioned, respectively.

따라서, 제1 평탄부(122)의 상면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제1 차단막(113)의 끝단이 위치하여 밀착될 수 있고, 제2 평탄부의 상면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제2 차단막(114)의 끝단이 위치하여 밀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end of the first blocking film (113) extending downwards can be positioned and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lat portion (122), and the end of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extending downwards can be positioned and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lat portion.

이로 인해, 제1 평탄부(122)와 제2 평탄부는 각각 접하고 있는 제1 차단막(113)과 제2 차단막(114)에 의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받을 수 있다. Due to this, the first flat portion (122) and the second flat portion can receive pressure applied from above to below by the first blocking film (113)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that they are in contact with, respectively.

이와 같이, 정해진 간격으로 평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평면부와 제2 평면부에 각각 제1 차단막(113)과 제2 차단막(114)이 위치하여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blocking film (113)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are positioned on the first and second plane portion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plane direction at a set interval, so that pressure can be applied.

따라서, 마개 본체(110)에는 제1 차단막(113)으로 에워싸여진 수용부(121)의 수용 공간(S101)과 제1 차단막(113)과 제2 차단막(114) 사이에 위치하는 수용 공간(S102)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lug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S101) of a receiving portion (121) surrounded by a first blocking film (113) and a receiving space (S102) located between the first blocking film (113)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수용 공간(S101)은 마개 본체(110)의 상부(111) 일부, 제1 차단막(113) 및 수용부(121)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으로서, 수용부(121)에 위치하는 부 내용물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 공간(S101)은 제1 차단막(113)과 제2 차단막(114)에 의해 외부와 차단된 상태를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accommodation space (S101) is a space surrounded by a portion of the upper part (111) of the plug body (110), the first blocking film (113), and the accommodation portion (121), and the contents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121) can be located therein. This accommodation space (S101) can maintain a sealed state by being blocked from the outside by the first blocking film (113)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수용 공간(S102)은 제1 차단막(113)과 제2 차단막(114), 제1 평탄부(122)와 제2 평탄부 및 상부(111) 일부에 의해 에워싸여진 밀폐된 공간일 수 있다.The accommodation space (S102) may be a closed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blocking film (113),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the first flat portion (122), the second flat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111).

이러한 수용 공간(S102)에 의해, 수용 공간(S101)은 외부와 더욱 더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By means of this accommodation space (S102), the accommodation space (S101)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further isolated from the outside.

복수 개의 기둥부(124)는 제2 평탄부와 연결되어 제2 평탄부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illar sections (124)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at section and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flat section.

이러한 복수 개의 기둥 부분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평탄부(122) 및 제2 평탄부의 연장방향과는 다른 방향(예, 위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se multiple column sections may all have the same shape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flat section (122) and the second flat section (e.g., upward).

복수 개의 기둥부(124)는 제2 평탄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illar sections (124) can be positioned at set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meter of the second flat section.

따라서, 인접한 두 기둥부(124) 사이에는 빈 공간인 관통구(S124)가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ly, a through hole (S124), which is an empty space, can be located between two adjacent pillars (124).

각 기둥부(124)의 일단은 제2 평탄부에 연결될 있고, 타단은 테두리부(125)에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each pillar (124)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flat part, and the other end can be connected to the frame part (125).

이때, 각 기둥부(124)는 하부에서 상부(111) 쪽으로 연장될 때 지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다가 지면에 대해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위쪽 방향으로 연장된 후 다시 지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각 기둥부(124)는 직선으로 연장되거나 곡선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직선 구간과 곡선 구간을 모두 구비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pillar part (124) may extend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when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111), then extend upward at an angle less than 90 degrees to the ground, and then extend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again. Each of these pillar parts (124) may extend in a straight line, in a curved line, or may have both a straight section and a curved section.

본 예에서, 수용부재(120)는 탄성을 갖는 재료(예, 실리콘(silicon)이나 천연 고무 등)를 함유할 수 있고, 이런 경우, 수용부재(12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receiving member (120) may contain an elastic material (e.g., silicone or natural rubber), and in this case, the receiving member (120) may have elasticity.

따라서, 제2 평탄부의 연장 폭이 그 위에 위치하는 제2 차단막(114)의 두께보다 작을 경우, 제1 평탄부(122)와 제2 평탄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과 기둥부(124) 사이의 빈 공간 속으로 제2 차단막(114)이 삽입될 때, 제2 차단막(114)은 밀접해 있는 수용부재(120)의 부분을 압축해 밀어서 해당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extension width of the second flat portion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positioned thereon, when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is inserted into the empty space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flat portion (122) and the second flat portion and the pillar portion (124),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can b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by compressing and pushing the portion of the closely-contacting receiving member (120).

제2 차단막(114)이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하여 수용부재(120)와의 결합이 완료되면, 수용부재(120)의 해당 부분은 탄성에 의한 위치가 복원되어 제2 차단막(114) 쪽으로 압력을 가해 제2 차단막(114)의 밀폐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When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is lowered to a set position and the combination with the receiving member (120) is completed,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0) is restored to its position by elasticity and pressure is applied toward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thereby increasing the sealing force of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이와 같이, 제2 차단막(114)이 수용부재(120)의 제2 평탄부에 삽입되어 위치함에 따라 복수 개의 관통구(S124)와 기둥부(124)의 내측을 빙 둘러 막아, 복수 개의 관통구(S124)는 제2 차단막(114)에 의해 막히게 된다.In this way, as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is inserted and positioned in the second flat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0),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S124) and the inner side of the pillar portion (124) are blocked, so that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S124) are blocked by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용기 본체(200)에 담겨있는 내용물(예, 주 내용물)인 유체 내용물(예를 들어, 유산균 발효음료 등)은 개방된 관통구(S124)를 통해 수용부재(12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fluid content (e.g.,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beverage, etc.), which is the content (e.g., main content)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200), can move toward the receiving member (120) through the open through-hole (S124).

하지만, 위에 기재한 것처럼, 수용부(121)를 에워싸고 있는 복수 개의 관통구(S124)가 제2 차단막(114)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유체 내용물이 수용부재(120)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되거나 유입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S124) surrounding the receiving portion (121) are blocked by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the movement of the fluid contents toward the receiving member (120) may be blocked or the inflow amount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수용부(121)에 연결된 제1 평탄부(122)와 제2 평탄부가 계단 형태로 위치하고,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수용부(121)의 상면 높이가 제1 평탄부(122)와 제2 평탄부의 평면 높이보다 제일 높으므로, 주 내용물이 수용부(121)의 수용 공간(S101) 내로 유입하는 것을 더욱 더 곤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flat portion (122) and the second flat portion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121) are positioned in a step shape, and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receiving portion (121) where the secondary contents are positioned is highest than the plane heights of the first flat portion (122) and the second flat portion, it may be even more difficult for the main contents to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S101) of the receiving portion (121).

더욱이, 제1 차단막(113)과 제2 차단막(114) 상에 존재하는 수용 공간(S102)에 의해, 주 내용물이 부 내용물이 위치하고 있는 수용 공간(S101)으로의 유입 현상은 방지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phenomenon of the main contents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S101) where the secondary contents are located can be prevented by the accommodation space (S102) existing on the first blocking film (113)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수용부재(120)의 테두리부(125)는 용기 본체(200)의 체결부(202) 상부(111)에 삽입되어, 수용부재(120)를 용기 본체(200)에 위치시키기 위한 부분이다.The edge portion (125) of the receiving member (120)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111) of the fastening portion (202) of the container body (200) to position the receiving member (120) in the container body (200).

이러한 테두리부(125)는 복수 개의 기둥부(124)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단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후 외측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후 다시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se border portions (125)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s of multiple pillar portions (124),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portions, extend outwardly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n extend downward again.

따라서, 테두리부(125)는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부분(1251), 제1 부분(1251)과 연결되어 있고 지면과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부분(1252) 및 제2 부분(1252)과 연결되어 있고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된 제3 부분(1253)을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dge portion (125) may have a first portion (1251) protruding upward, a second portion (1252)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1251) and extending outwardly parallel to the ground, and a third portion (1253)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1252) and extending downward.

본 예에서, 테두리부(125)의 제1 부분(1251)은 인접한 두 기둥부(124) 사이에도 끊김없이 위치하므로, 테두리부(125)의 평면 형상은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example, since the first part (1251) of the frame portion (125) is positioned without a break between two adjacent pillar portions (124), the plane shape of the frame portion (125) can have a ring shape.

이러한 제1 내지 제3 부분(1251-1253)에 의해, 테두리부(125)의 하측에는 홈이 존재하고, 이 홈이 용기 본체(200)의 체결부(202) 상부(111)에 삽입될 수 있다. By these first to third parts (1251-1253), a groove exists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125), and this groove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111) of the fastening part (202) of the container body (200).

따라서, 수용부재(120)가 용기 본체(200)의 주입구 속으로 삽입되어 테두리부(125)의 홈이 체결부(202)의 상부(111)에 삽입되면,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마개 본체(110)의 결합벽(115)은 인접한 제1 부분(1251)의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receiving member (120) is inserted into the injection port of the container body (200) and the groove of the rim (125)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111) of the fastening portion (202), as shown in FIG. 2, the joining wall (115) of the stopper body (11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adjacent first portion (1251).

이러한 밀착 동작에 의해, 수용부재(120)는 마개 본체(110)와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By this close contact action, the receiving member (120) can be maintained in a combined state with the plug body (110).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제3 부분(1253)의 외측면에는 마개 본체(110)의 복수 개의 걸림턱(1122) 위에 걸쳐져 걸림턱(1122)과 결합되는 복수 개의 나선 돌기(1254)(예, 제2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5 to 7,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portion (1253)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iral projections (1254) (e.g., second connecting portions) that hang over a plurality of catches (1122) of the plug body (110) and are connected with the catches (1122).

따라서, 걸림턱(1122)은 나선 돌기(1254)와 중첩될 수 있다. 본 예에서, 걸림턱(1122)의 돌출 높이(H11)는 나선 돌기(1254)의 돌출 높이(H12)보다 클 수 있고, 걸림턱(1122)의 돌출 높이(H11)와 나선 돌기(1254)의 돌출 높이(H12)의 차이는 대략 0.3mm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catch (1122) can overlap with the spiral projection (1254). In this example, the protrusion height (H11) of the catch (1122) can be greater than the protrusion height (H12) of the spiral projection (1254),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trusion height (H11) of the catch (1122) and the protrusion height (H12) of the spiral projection (1254) can be approximately 0.3 mm.

하지만, 마개 본체(110)에 형성된 나사산(1121)의 돌출 높이(H21)와 용기 본체(200)에 위치한 나사산(2021)의 돌출 높이(H22)의 차이는 걸림턱(1122)과 나선 돌기(1254) 사이의 돌출 높이 차이보다 적을 수 있다. 즉, 마개 본체(110)에 형성된 나사산(1121)의 돌출 높이(H21)와 용기 본체(200)에 위치한 나사산(2021)의 중첩 폭(W11)이 걸림턱(1122)과 나선 돌기(1254)의 중첩 폭(W12) 보다 길 수 있어, 마개 본체(110)와 용기 본체(200)의 결합력이 마개 본체(110)와 수용부재(120) 사이의 결합력보다 더 클 수 있다.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trusion height (H21) of the screw thread (1121) formed on the stopper body (110) and the protrusion height (H22) of the screw thread (2021) located on the container body (200) may be less than the difference in protrusion height between the catch (1122) and the spiral projection (1254). That is, the overlapping width (W11) of the protrusion height (H21) of the screw thread (1121) formed on the stopper body (110) and the screw thread (2021) located on the container body (200) may be longer than the overlapping width (W12) of the catch (1122) and the spiral projection (1254), so tha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topper body (110) and the container body (200) may be great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topper body (110) and the receiving member (120).

복수 개의 나선 돌기(1254)는,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제3 부분(1253)의 외측면의 진행 방향으로 따라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고, 적어도 한 나선 돌기 세트에 포함될 수 있다. 각 나선 돌기 세트에 구비된 나선 돌기(1254)의 개수는 1개 이상일 수 있다. A plurality of spiral projections (1254) may b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et interval along the direction of progress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portion (1253), as illustrated in FIG. 6, and may be included in at least one spiral projection set. The number of spiral projections (1254) provided in each spiral projection set may be one or more.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하나의 예로서 네 개의 나선 돌기 세트가 구비될 수 있고, 서로 반대편에서 대면하고 있는 나선 돌기 세트는 서로 동일한 개수의 나선 돌기(1254)를 구비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7, as an example, four sets of spiral projections may be provided, and the sets of spiral projections facing each other on opposite sides may have the same number of spiral projections (1254).

도 7에서, 5개의 나선 돌기(1254)를 구비하고 있는 나선 돌기(1254) 세트는 2개이고, 1개의 나선 돌기(1254)를 구비하고 있는 나선 돌기(1254) 세트는 2개일 수 있다. In Fig. 7, there may be two sets of spiral projections (1254) each having five spiral projections (1254), and there may be two sets of spiral projections (1254) each having one spiral projection (1254).

각 나선 돌기(1254)의 기울기 각도(θ1)는 모두 동일하며, 모든 나선 돌기(1254)의 시작 위치(SP12)의 높이는 서로 동일하고, 종료 위치(EP12)의 높이 역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The inclination angle (θ1) of each spiral projection (1254) is the same, the heights of the start positions (SP12) of all spiral projections (1254) are the same, and the heights of the end positions (EP12) can also be the same.

나선 돌기(1254) 세트가 복수 개 존재할 경우, 인접한 두 나선 돌기(1254) 세트 사이에는 나선 돌기(1254)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 즉 돌기 미형성 부분(PR1)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돌기 미형성 부분(PR1)의 개수는 걸림턱(1122)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When there are multiple sets of spiral protrusions (1254), a portion where no spiral protrusions (1254) are located, i.e., a portion where no protrusions are formed (PR1), may exist between two adjacent sets of spiral protrusions (1254). At this time, the number of portions where no protrusions are formed (PR1)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catches (1122).

동일한 나선 돌기(1254) 세트에서, 인접한 두 나선 돌기(1254)의 시작 위치(SP12)와 종료 위치(EP12)는 동일한 가상의 수직선(L1) 상에 위치할 수 있다.In a set of identical spiral projections (1254), the start position (SP12) and end position (EP12) of two adjacent spiral projections (1254) can be located on the same virtual vertical line (L1).

본 예의 마개 본체(110)와 수용부재(120)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복수 개의 나선 돌기(1254)는 억지 끼움 방식 등을 통해 인접한 걸림턱(1122)을 넘어 해당 걸림턱(1122) 위에 위치할 수 있다.The plug body (110) and the receiving member (120) of the present example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us, the plurality of spiral projections (1254) may be positioned over the adjacent catches (1122) by way of a forced fit method or the like.

또한, 걸림턱(1122)의 돌출 높이(H11)와 나선 돌기(1254)의 돌출 높이(H12)의 차이는 대략 0.3mm로서 일반적으로 나사 결함을 위한 나사의 경우인 대략 0.1mm보다 크므로, 마개 본체(110)가 회전할 때, 마개 본체(110)에 형성된 걸림턱(1122)은 나선 돌기(1254)를 타고 넘어가 마개 본체(110)가 겉도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trusion height (H11) of the catch (1122) and the protrusion height (H12) of the spiral projection (1254) is approximately 0.3 mm, which is larger than approximately 0.1 mm, which is generally the case for screw defects, so that when the plug body (110) rotates, the catch (1122) formed on the plug body (110) may pass over the spiral projection (1254), causing the plug body (110) to rotate.

이때, 돌기 미형성 부분(PR1)의 폭은 각 걸림턱(1122)의 직선 거리(L11), 즉 걸림턱(1122)의 시작점(SP11)과 종료점(EP11)을 지면에 평행하게 연결한 직선 거리는 돌기 미형성 부분(PR1)의 폭(L12), 즉 평행한 방향으로의 직선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protrusion-free portion (PR1) may be shorter than the straight-line distance (L11) of each catch (1122), that is, the straight-line distance connecting the start point (SP11) and the end point (EP11) of the catch (1122) parallel to the ground, than the width (L12) of the protrusion-free portion (PR1), that is, the straight-line distance in the parallel direction.

따라서, 돌기 미형성 부분(PR1)은 각 걸림턱(1122)의 삽입 영역으로 기능할 수 있어, 걸림턱(1122)은 좀 더 용이하게 나선 돌기(1254)와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non-protrusion-formed portion (PR1) can function as an insertion area for each catch (1122), so that the catch (1122) can be more easily combined with the spiral protrusion (1254).

예를 들어, 수용부재(120)나 마개 본체(110)를 해당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켜 걸림턱(1122)이 미형성 부분(PR1)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 후, 마개 본체(110)와 수용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 제1 차단막(113)과 제2 차단막(114)이 수용부재(120)의 제1 평탄부(122)와 제2 평탄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after the receiving member (120) or the plug body (110) is rotat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1122) can be positioned in the unformed portion (PR1), a physical force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plug body (110) and the receiving member (120) so that the first blocking film (113)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can be positioned on the first flat portion (122) and the second flat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120), respectively.

그런 다음, 본체 마개나 수용부재(120)를 회전시켜, 나선 돌기(1254)가 걸림턱(1122)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Then, the main body cap or receiving member (120) is rotated so that the spiral projection (1254) can be positioned on the catch (1122).

또한, 마개 본체(110)의 걸림턱(1122)이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 위치하므로, 좀 더 적은 힘으로 억제 끼움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atches (1122) of the plug body (110) are positioned in multiple pl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restraining fit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 less force.

더욱이, 걸림턱(1122)이 마개 본체(110)의 내측면을 따라 끊김없이 연결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나선 돌기(1254)와의 결합력이 약화되므로, 마개 본체(110)를 용기 본체(200)에서 해제할 때, 수용부재(120)가 안정적으로 용기 본체(2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more, since the engaging jaw (1122) is formed as one piece that is connected without interruptio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110), the bonding force with the spiral projection (1254) is weakened, so that when the stopper body (110) is released from the container body (200), the receiving member (120)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200).

본 예에서, 각 나선 돌기(1254)의 기울기 방향과 기울기 각도(θ1)는 각 걸림턱(1122)의 기울기 방향과 기울기 각도와 각각 동일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inclination direction and inclination angle (θ1) of each spiral protrusion (1254) may be identical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and inclination angle of each catch (1122), respectively.

또한, 각 나선 돌기(1254)의 기울기 방향과 기울기 각도(θ1)는 마개 본체(110)에 위치한 나사산(1121)의 기울기 방향과 기울기 각도와도 각각 동일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clination direction and inclination angle (θ1) of each spiral projection (1254) may be identical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and inclination angle of the screw thread (1121) located on the plug body (110).

이로 인해, 걸림턱(1122), 나선 돌기(1254) 및 나사산(1121)의 리드(lead)는 서로 동일할 수 있어, 서로 결합된 걸림턱(1122)과 나선 돌기(1254)의 리드 및 나사산(1121)과 용기 본체(200)에 위치한 나사산(2021)의 리드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Due to this, the leads of the catch (1122), the spiral projection (1254) and the screw thread (1121) can be the same as each other, so that the leads of the catch (1122) and the spiral projection (1254)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leads of the screw thread (1121) and the screw thread (2021) located on the container body (200) can be the same as each other.

본 예와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 나선 돌기(1254)의 피치와 결함홈의 피치는 서로 동일하며, 마개 본체(110)의 나사산(1121)의 피치와 용기 본체(200)의 나사산(2202)의 피치 역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Unlike the present example, in an alternative example, the pitch of the spiral projection (1254) and the pitch of the defect groove may be the same, and the pitch of the screw thread (1121) of the plug body (110) and the pitch of the screw thread (2202) of the container body (200) may also be the same.

또한, 나선 돌기(1254)와 결함홈의 피치는 마개 본체(110)의 나사산(1121)과 용기 본체(200)의 나사산(2021)의 피치와 서로 동일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itch of the spiral projection (1254) and the defect groove may be the same as the pitch of the screw thread (1121) of the plug body (110) and the screw thread (2021) of the container body (200).

따라서, 마개 본체(110)의 회전 동작 시 나선 돌기(1254)와 걸림턱(1122)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해당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lug body (110) is ensured to be able to rotate normally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without being adversely affected by the spiral projection (1254) and the catch (1122).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나선 돌기(1254)의 일부가 마개 본체(110)의 측부(112) 내측에 위치한 복수 개의 걸림턱(1122) 위에 위치하면, 복수 개의 걸림턱(1122)은 마개 본체(110)의 회전에 따라 인접한 나선 돌기(1254)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a portion of a plurality of spiral projections (1254) is positioned on a plurality of catches (1122)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side (112) of the plug body (110), the plurality of catches (1122)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adjacent spiral projections (1254)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lug body (110).

이와 같이, 마개 본체(110)의 걸림턱(1122)이 수용부재(120)의 나선 돌기(1254)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마개 본체(110) 또한 회전 동작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 동작을 행할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catch (1122) of the plug body (11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spiral projection (1254) of the receiving member (120), the plug body (110) can als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tion to perform an opening and closing motion.

이때, 나선 돌기(1254)에 의한 제3 부분(1253)에서 마개 본체(110)의 이동 범위는 각 나선 돌기(1254)의 높이(H3)에 따라 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plug body (110) in the third part (1253) by the spiral projection (1254)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eight (H3) of each spiral projection (1254).

본 예에서 나선 돌기(1254)의 높이(H3)에 따라 걸림턱(1122) 최소 이격 거리(D1)가 정해질 수 있고, 나선 돌기(1254)의 높이(H3)는 걸림턱(1122) 최소 이격 거리(D1)보다 짧은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D1) of the catch (1122)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eight (H3) of the spiral projection (1254), and the height (H3) of the spiral projection (1254) can be shorter than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D1) of the catch (1122).

이미 기술한 것처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한 제1 차단막(113), 제2 차단막(114) 및 결합벽(115)의 작용에 의해 수용부재(120)는 마개 본체(110)와 결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member (120) can be combined with the plug body (110) by the action of the first blocking film (113),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and the bonding wall (115) by an externally applied force.

이런 경우, 이미 기술한 것처럼, 용기 본체(200)와 수용부재(120)의 결합 상태는 외부 충격, 아래쪽으로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 또는 수용부재(120)의 자중에 의해 해제되거나 변할 수 있다. In this case, as already described, the bonding state of the container body (200) and the receiving member (120) may be released or changed by an external impact, a physical force applied downward, or the self-weight of the receiving member (120).

하지만, 복수 개의 걸림턱(1122)과 복수 개의 나선 돌기(1254)에 의해, 수용부재(120)가 마개 본체(1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나 또는 마개 본체(110)의 회전 동작 등과 같이 강제로 수용부재(120)를 마개 본체(110)에서 빼내지 않는 한 수용부재(120)는 마개 본체(110)에서 탈거되지 않고 정상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receiving member (120) is coupled to the plug body (110) by a plurality of catches (1122) and a plurality of spiral projections (1254), unless the receiving member (120) is forcibly removed from the plug body (110), such as by a worker or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plug body (110), the receiving member (120) can maintain a normal coupled state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plug body (110).

따라서, 수용부재(120)와 결합된 마개 본체(110)를 이송하거나 용기 본체(200) 위에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본체 마개와 수용부재(120)는 정상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or positioning the plug body (110) combined with the receiving member (120) on the container body (200), the body plug and the receiving member (120) can maintain a normal combined state.

또한, 마개 본체(110)가 해당 방향(예,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용부재(120)가 결합된 마개 본체(110)를 용기 본체(200)와 결합시키는 경우, 마개 본체(110)에 위치한 걸림턱(1122)은 수용부재(120)에 위치한 나선 돌기(1254)를 따라 하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lug body (110) is rotat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e.g., to the right) to couple the plug body (110) to which the receiving member (120) is coupled with the container body (200), the catch (1122) located on the plug body (110) can descend along the spiral projection (1254) located on the receiving member (120).

이때, 걸림턱(1122) 최소 이격 거리(D1)가 나선 돌기(1254)의 높이(H3)보다 짧으므로, 걸림턱(1122)이 해당 나선 돌기(1254)의 최저 위치에 위치할 경우, 마개 본체(110)는 수용부재(120) 쪽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D1) of the catch (1122) is shorter than the height (H3) of the spiral projection (1254), when the catch (1122) is located at the lowest position of the spiral projection (1254), the plug body (110) can apply pressure toward the receiving member (120).

이로 인해, 제1 차단막(113)과 제2 차단막(114)의 밀착 상태는 더욱 증가하여, 제1 차단막(113)과 제2 차단막(114)에 의한 밀폐 효과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Due to this,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first blocking film (113)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can be further increased, so that the sealing effect by the first blocking film (113)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can be further improved.

본 예에서, 용기 본체(200)의 나사산(2021)을 따라 이동하는 마개 본체(110)의 나사산(1121)의 이동폭이 나선 돌기(1254)를 따라 이동하는 걸림턱(1122)의 이동폭(즉, H3)보다 클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movement width of the screw thread (1121) of the plug body (110) moving along the screw thread (2021) of the container body (200) may be greater than the movement width (i.e., H3) of the catch (1122) moving along the spiral projection (1254).

따라서, 걸림턱(1122)이 나선 돌기(1254)를 따라 최저로 이동한 후에도 마개 본체(110)는 추가적으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마개 본체(110)가 추가적으로 회전하여 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하강하는 마개 본체(110)에 의해 수용부재(120) 쪽으로 압력이 추가적으로 가해져, 테두리부(125)는 용기 본체(200)의 상부(111)에 삽입되어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even after the catch (1122) moves to the lowest along the spiral projection (1254), the plug body (110) can be lowered additionally. Accordingly, when the plug body (110) is additionally rotated to perform a lowering operation, additional pressure is applied toward the receiving member (120) by the lowering plug body (110), so that the rim (125)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111) of the container body (200) and firmly fixed.

이때, 걸림턱(1122)이 나선 돌기(1254)의 최저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마개 본체(110)가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강하게 되면, 걸림턱(1122)의 돌출 높이(H11)가 나선 돌기(1254)의 돌출 높이(H12)보다 크므로, 걸림턱(1122)은 회전 방향을 따라 나란히 위치하는 나선 돌기(1254)를 순차적으로 타고 넘어 겉도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마개 본체(110)의 회전 동작은 걸림턱(1122)과 나선 돌기(1254)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stopper body (110) rotates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nd descends while the catcher (1122) has moved to the lowest position of the spiral projection (1254), the protrusion height (H11) of the catcher (1122) is greater than the protrusion height (H12) of the spiral projection (1254), so that the catcher (1122) may sequentially ride over the spiral projections (1254) positioned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thereby causing a phenomenon of rotation. Accordingl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topper body (110) can be performed normally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catcher (1122) and the spiral projection (1254).

이미 기술한 것처럼, 마개 본체(110)에 형성된 나사산(1121)의 돌출 높이(H21)와 용기 본체(200)에 위치한 나사산(2021)의 돌출 높이(H22)의 차이는 걸림턱(1122)과 나선 돌기(1254) 사이의 돌출 높이 차이보다 적어 마개 본체(110)와 용기 본체(200)의 결합력이 마개 본체(110)와 수용부재(120) 사이의 결합력보다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200)에 결합된 마개 본체(110)는 겉도는 현상없이 용기 본체(200)와 정상적인 나사 결합을 유지하면서 해당 높이까지 하강하여 안전하게 마개 본체(110)를 닫을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trusion height (H21) of the screw thread (1121) formed on the stopper body (110) and the protrusion height (H22) of the screw thread (2021) located on the container body (200) is smaller than the difference in protrusion height between the catch (1122) and the spiral projection (1254), so tha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topper body (110) and the container body (200) can be great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topper body (110) and the receiving member (120). Accordingly, the stopper body (110)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00) can be lowered to the corresponding height while maintaining normal screw bonding with the container body (200) without a turning phenomenon, thereby safely closing the stopper body (110).

복수 개의 후크부(126)는 테두리부(125)의 제3 부분(1253)에서 내측 방향[즉, 안착부재(120)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ook portions (126) can protrude inwardly [i.e., toward the fixing member (120)] from the third portion (1253) of the edge portion (125).

이러한 후크부(126)는 용기 본체(200)의 체결부(202)의 상부(111) 외측면의 함몰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This hook portion (126) can be joined to a sunken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111) of the fastening portion (202) of the container body (200).

이와 같은 후크부(126)를 통해 안착부재(120)는 용기 본체(2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Through the hook portion (126) like this, the fixing member (120) can be firmly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200).

임시고정부(130)는 용기 본체(200)를 둘러싸고 있고, 마개 본체(110)와 용기 본체(200)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된다. The temporary fixing member (130) surrounds the container body (200) and is connected to the stopper body (11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200).

또한, 임시고정부(130)는 외력에 의해 마개 본체(110)가 회전함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용기 본체(200)로부터 이탈된다. 이러한 임시고정부(130)는 마개 본체(110)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131) 및 연결부(131)에 연결되어 있고 용기 본체(200)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언더컷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orary fixing member (13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200) at least in part as the plug body (110) rotates due to an external force. The temporary fixing member (130)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131) connected to the plug body (110) and an undercut member (132)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131) and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200).

이런 상태에서, 마개(100)의 개폐하기 위해 마개 본체(110)가 해당 방향(예,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 연결부(131)는 연결 상태가 끊어지면서 언더컷부(132)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plug body (110) is rotat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e.g., rotational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plug (100), the connecting portion (131) may be separated from the undercut portion (132) while the connection state is broken.

연결부(131)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마개 본체(110)와 언더컷부(132) 사이에 위치하여, 마개 본체(110)와 언더컷부(13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131) is located between the plug body (110) and the undercut portion (132) as shown in Fig. 2, and can connect the plug body (110) and the undercut portion (132) to each other.

이러한 연결부(131)는 정해진 간격으로 마개 본체(110)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이격되게 위치하므로, 연결부(131)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 있다.Since these connecting parts (131) are positioned spaced apart along the lower edge of the plug body (110) at set intervals, the number of connecting parts (131) may be plural.

이러한 연결부(131)를 상부(111) 또는 하부에서 바라보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When these connecting parts (131) are viewed from above (111) or below, they can be seen to be arranged radially.

이러한 연결부(131)는 마개 본체(110)의 회전 동작에 의해 그 연결 상태가 파손되어, 본 예의 마개 본체(110)를 용기 본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This connection part (131) can be broken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lug body (110), thereby separating the plug body (110) of this example from the container body (200).

즉,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마개 본체(110)를 회전시키면, 연결부(131)가 상방으로 분리되고 언더컷부(132)는 제자리인 용기 본체(200)의 외주면에 남아있을 수 있다.That is, when a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rotate the plug body (110), the connecting portion (131) is separated upward and the undercut portion (132) may remai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200) in place.

결과적으로 연결부(131)는 연결되어 있는 마개 본체(110) 및 언더컷부(132)와 분리되어, 마개 본체(110) 역시 용기 본체(200)에 위치하는 언더컷부(132)와 분리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connecting portion (131)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ed plug body (110) and the undercut portion (132), so that the plug body (110) can also be separated from the undercut portion (132) located in the container body (200).

그런 다음, 마개 본체(110)의 나사산(1121)과 걸림턱(1122)은 각각 대응되는 용기 본체(200)의 나사산(2021)과 수용부재(120)의 나선 돌기(1254)를 따라 나선형으로 상승 이동하여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Then, the screw thread (1121) and the catch (1122) of the plug body (110) can move upwar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corresponding screw thread (2021) of the container body (200) and the spiral projection (1254) of the receiving member (120), respectively, to release the combined state.

이로 인해, 사용자는 마개 본체(110)를 용기 본체(200) 및 수용부재(120)와 분리하여 마개 본체(110)를 열 수 있게 된다. This allows the user to open the plug body (110) by separating the plug body (110) from the container body (200) and the receiving member (120).

마개 본체(110)의 개폐가 완료되면, 용기 본체(200)의 상부(111)에는 수용부재(120)가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lug body (110) is completed, a receiving member (120) can be positioned in the upper part (111) of the container body (200).

언더컷부(132)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언더컷부(132)는 용기 본체(200)의 외주면에 위치한 걸림턱(1122)(미도시)과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1122)은 언더컷부(132)의 회전 동작 역시 방지할 수 있다.The undercut portion (132) may have a 'V'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s shown in Fig. 2. Accordingly, the undercut portion (132) may be inserted and connected to a catch (1122) (not shown)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200). At this time, the catch (1122) may also preven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undercut portion (132).

이러한 삽입 결합에 의해 마개 본체(110)의 회전에 이루어질 때도, 언더컷부(132)는 용기 본체(200)의 해당 외주면에 회전되지 않고 위치하므로, 용이하게 연결부(131)가 파손되어 마개 본체(11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Even when the plug body (110) is rotated by this insertion connection, the undercut portion (132) is positioned without rotating on the corresponding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200),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131) is easily broken and the plug body (110) is opened.

이러한 구조를 갖고 있는 마개(100)는 마개 본체(110)가 용기 본체(200)의 체결부(202)와 나사 결합되어 용기 본체(200)의 주입구를 막게 되면, 용기 본체(200)의 내부에는 밀폐된 내부 공간(S200)이 형성된다.When a plug (100) having such a structure blocks the injection port of the container body (200) by screw-connecting the plug body (110) to the fastening part (202) of the container body (200), a sealed internal space (S200) is formed inside the container body (200).

또한, 마개 본체(110)와 수용부재(120)가 결합된 마개(100)의 내부에는 마개 본체(110)의 상부(111), 제1 차단막(113) 및 수용부재(120)의 수용부(121)가 이루는 수용 공간(S101)이 형성된다. In addition, inside the stopper (100) in which the stopper body (110) and the receiving member (120) are combined, an receiving space (S101) formed by the upper part (111) of the stopper body (110), the first blocking film (113), and the receiving portion (121) of the receiving member (120) is formed.

이러한 본 예에 따르면, 개봉 전 마개 본체(110)와 수용부재(120)가 결합되면, 두 개의 차단막인 제1 차단막(113)과 제2 차단막(114)에 의해 이중으로 부 내용물이 위치하고 있는 수용 공간(S101)을 차단하고 있으므로, 수용 공간(S101)의 밀폐력이 증가하여 용기 본체(200)의 내부 공간(S200)에 있는 주 내용물과 수용부재(120)에 위치한 부 내용물은 서로 섞이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is example, when the cap body (110) and the receiving member (120) are combined before opening, the receiving space (S101) where the secondary contents are located is blocked by two blocking films, the first blocking film (113)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so that the sealing force of the receiving space (S101) increases, so that the primary contents in the internal space (S200) of the container body (200) and the secondary contents located in the receiving member (120) do not mix with each other.

또한, 마개 본체(110)를 해당 방향으로 회전시켜 마개 본체(110)가 개방될 때, In addition, when the plug body (110) is opened by rotating the plug body (110)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용기 본체(200) 및 수용부재(120)의 테두리부(125)와 후크부(126)에 의한 마개 본체(110)와 용기 본체(200) 사이의 결합력이 나선 돌기(1254), 제1 차단막(113), 제2 차단막(114) 및 결합벽(115)에 의한 마개 본체(110)와 수용부재(120) 사이의 결합력보다 클 수 있다.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topper body (110) and the container body (200) by the edge portion (125) and the hook portion (126) of the container body (200) and the receiving member (120) may be great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topper body (110) and the receiving member (120) by the spiral projection (1254), the first blocking film (113),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and the bonding wall (115).

이로 인해, 마개 본체(110)의 회전에 의하 마개 본체(110)가 용기 본체(200)에서 분리되면, 마개 본체(110)와 수용부재(120)가 역시 서로 분리되어, 수용부재(120)만이 용기 본체(200)에 결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Due to this, when the stopper body (11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200) by the rotation of the stopper body (110), the stopper body (110) and the receiving member (120) are also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only the receiving member (120) can remain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200).

따라서, 마개 본체(110)의 분리 동작에 의해, 복수 개의 관통구(S124)를 막고 있는 제2 차단막(114)의 막힌 상태가 해제되어 관통구(S124)는 개방 상태가 될 수 있다. Accordingly, by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plug body (110), the blocked state of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blocki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S124) can be released, and the through holes (S124) can be opened.

이로 인해, 용기 본체(200)의 유체 내용물인 주 내용물은 관통구(S124)를 통해 수용 공간(S101) 속으로 유입되므로, 사용자는 용기 본체(200) 내의 주 내용물을 음용할 때 수용부재(120)에 위치하고 있는 부 내용물도 함께 편안하고 간편하게 섭취하게 된다. Due to this, the main content, which is the fluid content of the container body (200), flows into the receiving space (S101) through the through hole (S124), so that when the user drinks the main content in the container body (200), the secondary content located in the receiving member (120) can also be comfortably and conveniently consumed.

즉, 마개(100)를 개봉하기 전까지는 용기 본체(200)와 마개(100)에 각각 담겨있는 주 내용물과 부 내용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여 두 내용물의 변질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주 내용물과 부 내용물 각각의 성분을 변질없이 신선하게 유지하여 보관할 수 있다.That is, until the stopper (100) is opened, the main and secondary contents contained in the main body (200) and the stopper (100) are prevented from mixing with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the two contents, and thus the components of each of the main and secondary contents can be kept fresh without deterioration.

다음,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1a)를 설명할 수 있다.Next, a container (1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example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도 1 내지 도 7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Compared to FIGS. 1 to 7, components having the same structure and performing the same operation are given the same drawing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may be omitted.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본 예의 용기(1a) 역시 마개(100a) 및 마개(100a)와 결합되는 용기 본체(20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ainer (1a) of the present example illustrated in FIGS. 8 to 11 may also be provided with a stopper (100a) and a container body (200) coupled with the stopper (100a).

용기 본체(20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주 내용물이 보관되는 내부 공간(S200)과 마개(100a) 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202)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200) may be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S200) in which the main contents are stored and a fastening part (202) for connection with a stopper (100a)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본 예의 마개(100a) 역시 용기 본체(200)에 결합되는 마개 본체(110a), 마개 본체(110a)에 결합되는 수용부재 (120a) 및 마개 본체(110a)와 결합되어 있는 임시고정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The stopper (100a) of this example may also be provided with a stopper body (110a) coupled to a container body (200), a receiving member (120a) coupled to the stopper body (110a), and a temporary fixing member (130) coupled to the stopper body (110a).

본 예의 마개 본체(110a) 역시 상부(111), 상부(111)에 연결되어 있는 측부(112a), 상부(111)에 연결된 제1 차단막(113)과 제2 차단막(114), 그리고 상부(111)에 연결된 결합벽(115)을 구비할 수 있다.The plug body (110a) of this example may also have an upper part (111), a side part (112a) connected to the upper part (111), a first blocking film (113) and a second blocking film (114) connected to the upper part (111), and a joining wall (115) connected to the upper part (111).

본 예의 마개 본체(110)는 측부(112a)를 제외한 상부(111), 제1 차단막(113), 제2 차단막(114) 및 결합벽(115)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예의 마개 본체(11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plug body (110) of this exampl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plug body (110) of the examp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the upper part (111), the first blocking film (113),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and the joining wall (115) except for the side part (112a), so a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본 예의 마개 본체(110a)의 측부(112a) 역시, 상부(111)의 가장자리에서 상부(11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측부(112a)의 내측에는 용기 본체(200a)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121) 및 수용부(121)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걸림턱(1122a)(예, 제1 결합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의 걸림턱(1122a) 역시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정해진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잇다.The side (112a) of the plug body (110a) of the present example may also extend from the edge of the upper part (111)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upper part (111), and the inner side of the side (112a) may be provided with screw threads (1121) for coupling with the container body (200a) and a plurality of catches (1122a) (e.g., first coupling portions) for coupling with the receiving portion (121). The catches (1122a) of the present example may also have the same structure and may b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et distance.

본 예에서, 걸림턱(1122a)의 개수 역시 4개이지만 이러한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적어도 2개 이상인 것이 좋을 수 있다. 또한, 각 걸림턱(1122a)은 나사산(1121)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number of catches (1122a) is also four, but this number can be changed as needed, and it may be preferable to have at least two. In addition, each catch (1122a) can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screw thread (1121).

하지만,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마개 본체(110a)의 각 걸림턱(1122a)은 나선 형태로 이루어져 위치에 따라 높이가 상이한 것이 아니라, 위치에 따라 높이가 동일한 평행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However, each of the catches (1122a) of the plug body (110a)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may have a spiral shape so that the heights are not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but may have a parallel line shape with the same height depending on the position.

수용부재(120a) 역시 수용부(121), 수용부(121)에 계단 형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평탄부(122)와 제2 평탄부(123), 제2 평탄부와 연결되어 있고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기둥부(124), 기둥부(124)의 상단에 결합되어 기둥부(124)의 상단에 위치하고 제1 내지 제3 부분(1251-1253)을 구비한 테두리부(125) 및 후크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member (120a) may also include a receiving portion (121), a first flat portion (122) and a second flat portion (123)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121) in a step shape, a plurality of pillar portions (124) connected to the second flat portion and extending upward, a frame portion (125)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llar portion (124) and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pillar portion (124) and having first to third portions (1251-1253), and a hook portion (126).

인접한 두 기둥부(124) 사이에는 용기 본체(200)에 담겨있는 주 내용물이 통과하는 관통구(S124)가 위치할 수 있다.A through hole (S124) through which the main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200) pass may be located between two adjacent pillars (124).

이러한 본 예의 수용부재(120a)는 테두리부(125)의 제3 부분(1253)에 위치한 복수 개의 나선 돌기(1254) 대신에 제3 부분(1253)을 따라 형성된 하나의 걸림홈(예, 제2 결합부)(1254a)을 구비할 수 있다.The receiving member (120a) of this example may have a single engaging groove (e.g., second engaging portion) (1254a) formed along the third portion (1253) instead of a plurality of spiral projections (1254) located on the third portion (1253) of the edge portion (125).

수용부재(120a)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제3 부분(1253) 역시 원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3 부분(1253)에 위치한 걸림홈(1254a) 역시 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receiving member (120a) has a circular flat shape and the third part (1253) is also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engaging groove (1254a) located in the third part (1253) can also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이러한 걸림홈(1254a)은 마개 본체(110a)의 측부(112a)에 위한 복수 개의 걸림턱(1122a)이 삽입되어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This catch groove (1254a) may be a portion where multiple catch protrusions (1122a) are inserted and positioned for the side (112a) of the plug body (110a).

이때, 걸림턱(1122a)은 억지끼움 방식으로 걸림홈의 해당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tch (1122a) can b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catch groove by a forced fit.

본 예에서, 마개 본체(110a)에 형성된 나사산(1121)의 돌출 높이(H21)와 용기 본체(200)에 위치한 나사산(2021)의 돌출 높이(H22)의 차이는 걸림턱(1122a)의 돌출 높이와 걸림홈(1254a)의 함몰 깊이의 차이보다 적을 수 있다. 즉, 마개 본체(110a)에 형성된 나사산(1121)의 돌출 높이(H21)와 용기 본체(200)에 위치한 나사산(2021)의 중첩 폭(W21)은 걸림홈(1254a)과 걸림턱(1122a)의 중첩폭(즉, 걸림홈(1254a) 속에 삽입된 걸림턱(1122a)의 길이)(W22)보다 클수 있어, 마개 본체(110a)와 용기 본체(200)의 결합력이 마개 본체(110a)와 수용부재(120a) 사이의 결합력보다 더 클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truding height (H21) of the screw thread (1121) formed on the plug body (110a) and the protruding height (H22) of the screw thread (2021) located on the container body (200) may be less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catch (1122a) and the recessed depth of the catch groove (1254a). That is, the protrusion height (H21) of the screw thread (1121) formed on the plug body (110a) and the overlapping width (W21) of the screw thread (2021) located on the container body (200) may be greater than the overlapping width (W22) of the engaging groove (1254a) and the engaging step (1122a) (i.e., the length of the engaging step (1122a)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1254a)), so tha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lug body (110a) and the container body (200) may be great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lug body (110a) and the receiving member (120a).

이로 인해, 걸림홈(1254a)에 삽입된 걸림턱(1122a)은 마개 본체(110a)의 하강 동작을 위해 마개 본체(110a)가 회전할 때 걸림홈(1254a)에서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다.Due to this, the catch (1122a) inserted into the catch groove (1254a)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catch groove (1254a) when the stopper body (110a) rotates for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topper body (110a).

이러한 걸림턱(1122a)과 걸림홈(1254a)의 결합 동작에 의해, 수용부재(120a)는 마개 본체(110a) 내부에서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수용부재(120a)의 자중이나 외부 충격에 결합 상태가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By the engagement action of the catch (1122a) and the catch groove (1254a), the receiving member (120a) maintains a stable engagement state inside the plug body (110a), so that the engagement state may not be released by the weight of the receiving member (120a) or external impact.

이때, 걸림턱(1122a)이 제3 부분(1253)의 진행 방향을 따라 끊김없이 하나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걸림턱(1122a)이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걸림홈(1254a)과의 결합력이 감소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catch (1122a) is formed as a plurality of catch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atch (1122a) is formed as one without any break along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third part (1253), the bonding force with the catch groove (1254a) may decrease.

마개 본체(110a)를 개방하기 위해, 본체 마개(110a)가 해당 방향으로 회전될 때 본체 마개(110a)는 용이하게 수용부재(120a)와 분리되어 수용부재(120a)는 용기 본체(200)의 체결부(202) 상부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order to open the plug body (110a), when the body plug (110a) is rotat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the body plug (110a)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member (120a), so that the receiving member (120a) can remain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202) of the container body (200).

이와 같이, 마개 본체(110a)와 수용부재(120a)가 걸림턱(1122a)과 걸림홈(1254a)에 의해 삽입된 상태에서, 마개 본체(110a)를 해당 방향으로 회전시켜 용기 본체(200)와 나사 결합될 때, 마개 본체(110a)의 하강 동작에 따라 수용부재(120a) 쪽으로 압력이 가해지므로, 제1 차단막(113)과 제2 차단막(114)의 밀폐력이 증가하며 또한 수용부재(120a)와 용기 본체(200)의 결합력 역시 증가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plug body (110a) and the receiving member (120a) are inserted by the engaging step (1122a) and the engaging groove (1254a), and the plug body (110a) is rotat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to be screw-coupled with the container body (200), pressure is applied toward the receiving member (120a) according to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plug body (110a), so that the sealing force of the first blocking film (113)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114) increases, and also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ceiving member (120a) and the container body (200) can be increased.

반대로 마개 본체(110a)를 해당 방향으로 회전시켜 용기 본체(200)에서 마개 본체(110a)를 분리시킬 때, 마개 본체(110a)의 상승 동작에 의해, 걸림홈(1254a)에 삽입된 걸림턱(1122a)은 자연스럽게 탈거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plug body (110a) is rotat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to separate the plug body (110a) from the container body (200), the engaging protrusion (1122a)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1254a) can be naturally removed due to the rising motion of the plug body (110a).

이로 인해, 수용부재(120a)는 용기 본체(200)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한 채 마개 본체(110a)만이 수용부재(120a)로부터 탈거되어 수용부재(120a)와 분리될 수 있다.Due to this, the cap body (110a) can be detached from the receiving member (120a) and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member (120a)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container body (200).

이러한 본 예는 도 1 내지 도 7에 의해 발휘되는 효과뿐만 아니라 좀 더 단순하고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추가적인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This example can have additional effects, including a simpler and easier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effects exhibited by FIGS. 1 to 7.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at embodiment, and, unless they are mutually incompatible, 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and applied to different embodiments.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refore, each embodiment will focus on explaining each technical feature, but unless each technical feature is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it can be appli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ttached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view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se claims.

1, 1a: 용기 100, 100a: 마개
110, 110a: 마개 본체 120: 수용부재
111: 상부 112: 측부
113: 제1 차단막 114: 제2 차단막
115: 결합벽 1121: 나사산
1122: 걸림턱 120,120a: 수용부재
121: 수용부 122: 제1 평탄부
123: 제2 평탄부 124: 기둥부
125: 테두리부 1254: 나선 돌기
1254a: 걸림홈 200: 용기 본체
202: 체결부 2021: 나사산
S102: 밀폐공간 S124: 관통구
1, 1a: container 100, 100a: stopper
110, 110a: plug body 120: receiving member
111: Top 112: Side
113: 1st barrier 114: 2nd barrier
115: Joint wall 1121: Screw thread
1122: Jaw 120,120a: Receiving member
121: Reception area 122: First flat area
123: 2nd flat section 124: Column section
125: Border 1254: Spiral projection
1254a: Hanging groove 200: Container body
202: Fastener 2021: Screw
S102: Confined space S124: Penetration

Claims (23)

주 내용물이 위치하고 제1 나사산을 갖는 용기 본체와 결합되고 차단막을 구비하는 마개 본체; 및
상기 마개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주 내용물과 다른 부 내용물이 위치하며 상기 차단막에 의해 개폐 상태가 정해지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수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제1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 및 상기 제2 나사산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제2 나사산과 분리되어 있는 제1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고,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마개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마개.
A stopper body having a first screw thread and coupled to a container body in which the main contents are located and having a blocking film; and
A receiving member that is combined with the above plug body and has a through hole in which the main contents and other secondary contents are located and the open/close state is determined by the blocking film
Including,
The above plug body has a second screw thread that is screw-connected with the first screw thread of the container body and a first connecting portion that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screw threa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econd screw thread.
A stopper, wherein the receiving member has a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member is positioned inside the stopper body by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마개 본체의 측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이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테두리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나선 돌기이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 위에 위치하는 마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a catch that protrudes inward from the side of the plug body,
The abov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a spiral projec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edge of the receiving member,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a plug positioned abov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마개 본체에서 정해진 각도의 기울기를 갖고 나선 형태로 연장된 나사산인 마개.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mentioned catch is a plug with a screw thread that extends in a spiral shape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above-mentioned plug body.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돌기의 리드, 상기 걸림턱의 리드 및 상기 제2 나사산의 리드는 서로 동일한 마개.
In the third paragraph,
The lead of the above spiral projection, the lead of the above catch, and the lead of the above second screw thread are the same plug.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돌기, 상기 걸림턱 및 상기 제2 나사산의 피치는 서로 동일한 마개.
In the third paragraph,
A plug in which the pitches of the above spiral projection, the above catch and the above second screw thread are the sam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개수와 상기 나선 돌기의 개수는 서로 복수 개이고,
상기 걸림턱의 개수는 상기 나선 돌기의 개수보다 적은 마개.
In the second paragraph,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catches and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spiral projections are plural,
A plug having a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catches less than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spiral projection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마개 본체의 측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이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테두리부에서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된 걸림홈이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홈 속에 삽입되는 마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a catch that protrudes inward from the side of the plug body,
The abov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a catch groove formed along the edge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The above-mentioned catch is a plug inserted into the above-mentioned catch groov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개수는 복수 개인 마개.
In Article 7,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catches is plural individual stoppe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마개 본체의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1 차단막; 및
상기 제1 차단막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2 차단막
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1 평탄부;
상기 제1 평탄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2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기둥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는 인접한 두 기둥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으로 막혀 있는 마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barrier is,
A first blocking film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lug body; and
A second barrier film spaced outwardly from the first barrier film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acceptance absence is,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above contents are located;
A first flat portion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portion and on which the first blocking film is positioned;
a second fla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flat portion and having the second blocking film positioned thereon; and
A plurality of pillar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flat portion
Including,
The above penetration hole is located between two adjacent pillars and is a plug blocked by the first blocking film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 사이에 위치하는 밀폐 공간을 더 포함하는 마개.
In Article 9,
A plug further comprising a sealed spac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locking film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상기 제1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는 순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 구조를 갖는 마개.
In Article 10,
A plug having a stepped structur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portion, the first flat portion, and the second flat portion sequentially decrease in height.
주 내용물이 위치하고 제1 나사산을 갖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고 차단막을 구비하는 마개 본체; 및
상기 마개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주 내용물과 다른 부 내용물이 위치하며 상기 차단막에 의해 개폐 상태가 정해지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수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제1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 및 상기 제2 나사산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제2 나사산과 분리되어 있는 제1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마개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용기.
A container body having a first screw thread and in which the main contents are located;
A stopper body coupled to the above container body and having a barrier; and
A receiving member that is combined with the above plug body and has a through hole in which the main contents and other secondary contents are located and the open/close state is determined by the blocking film
Including,
The above plug body has a second screw thread that is screw-connected with the first screw thread of the container body and a first connecting portion that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screw threa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econd screw thread.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member has a second connecting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 container in which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member is positioned inside the plug body by the conn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마개 본체의 측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이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테두리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나선 돌기이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 위에 위치하는 용기.
In Article 12,
The abov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a catch that protrudes inward from the side of the plug body,
The abov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a spiral projec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edge of the receiving member,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a container positioned abov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마개 본체에서 정해진 각도의 기울기를 갖고 나선 형태로 연장된 나사산인 용기.
In Article 13,
A container in which the above-mentioned catch is a screw thread that extends in a spiral shape with a predetermined angle of inclination from the above-mentioned plug body.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돌기의 리드, 상기 걸림턱의 리드 및 상기 제2 나사산의 리드는 서로 동일한 용기.
In Article 14,
The lead of the above spiral projection, the lead of the above catch, and the lead of the second screw thread are the same container.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돌기, 상기 걸림턱 및 상기 제2 나사산의 피치는 서로 동일한 용기.
In Article 14,
A container in which the pitches of the above spiral projection, the above catch and the above second screw thread are the sam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개수와 상기 나선 돌기의 개수는 서로 복수 개이고,
상기 걸림턱의 개수는 상기 나선 돌기의 개수보다 적은 용기.
In Article 13,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catches and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spiral projections are plural,
A container in which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catches is less than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spiral projections.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마개 본체의 측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이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테두리부에서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된 걸림홈이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홈 속에 삽입되는 용기.
In Article 12,
The abov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a catch that protrudes inward from the side of the plug body,
The abov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a catch groove formed along the edge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The above-mentioned catch is a container that is inserted into the above-mentioned catch groove.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개수는 복수 개인 용기.
In Article 18,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studs is plural individual containers.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마개 본체의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1 차단막; 및
상기 제1 차단막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2 차단막
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1 평탄부;
상기 제1 평탄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2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기둥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구는 인접한 두 기둥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으로 막혀 있는 용기.
In Article 12,
The above barrier is,
A first blocking film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lug body; and
A second barrier film spaced outwardly from the first barrier film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acceptance absence is,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above contents are located;
A first flat portion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portion and on which the first blocking film is positioned;
a second fla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flat portion and having the second blocking film positioned thereon; and
A plurality of pillar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flat portion
Including,
A container in which the above penetration hole is located between two adjacent pillars and is blocked by the first barrier and the second barrier.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 사이에 위치하는 밀폐 공간을 더 포함하는 용기.
In Article 20,
A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sealed spac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arrier and the second barrier.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상기 제1 평탄부 및 상기 제2 평탄부는 순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 구조를 갖는 용기.
In Article 20,
A container in which the receiving portion, the first flat portion, and the second flat portion have a stepped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thereof sequentially decreases.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외측면에 나사산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나사선과 결합되는 나사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나사선과 상기 마개 본체의 나사선의 중첩폭은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중첩폭보다 큰 용기.
In Article 12,
The above container body further includes screw threads on the outer surface,
The above plug body further includes a screw thread that is coupled with the screw thread of the container body,
A container in which the overlapping width of the screw lines of the main body of the container and the screw lines of the main body of the plug is greater than the overlapping width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KR1020210104926A 2021-08-09 2021-08-09 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Active KR1027179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926A KR102717960B1 (en) 2021-08-09 2021-08-09 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PCT/KR2021/012843 WO2023017896A1 (en) 2021-08-09 2021-09-17 Stopper and container provided with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926A KR102717960B1 (en) 2021-08-09 2021-08-09 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132A KR20230023132A (en) 2023-02-17
KR102717960B1 true KR102717960B1 (en) 2024-10-17

Family

ID=8520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926A Active KR102717960B1 (en) 2021-08-09 2021-08-09 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717960B1 (en)
WO (1) WO2023017896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83313A2 (en) * 2000-04-28 2001-11-08 Gerald Hagop Alticosalian Device for storing and releasing a substance
US20110108442A1 (en) * 2003-11-28 2011-05-12 Young-Kook Cho Bottle
US20120152951A1 (en) * 2008-01-11 2012-06-21 Global Harvest Group, Inc. Container top having sealable chamber for the storing and mixing of two or more substances
KR101389114B1 (en) * 2014-02-12 2014-04-25 박종표 Container equipped with insulation space and pocket for functional p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4035B2 (en) * 2004-07-30 2010-07-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Storage container for different contents
KR101206170B1 (en) 2010-03-10 2012-12-03 삼화왕관주식회사 Sealing member for container cap
KR101889790B1 (en) 2016-11-03 2018-09-28 제이씨텍(주) Heat-resisting container cap for a bott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83313A2 (en) * 2000-04-28 2001-11-08 Gerald Hagop Alticosalian Device for storing and releasing a substance
US20110108442A1 (en) * 2003-11-28 2011-05-12 Young-Kook Cho Bottle
US20120152951A1 (en) * 2008-01-11 2012-06-21 Global Harvest Group, Inc. Container top having sealable chamber for the storing and mixing of two or more substances
KR101389114B1 (en) * 2014-02-12 2014-04-25 박종표 Container equipped with insulation space and pocket for functional p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132A (en) 2023-02-17
WO2023017896A1 (en)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91886B (en) Equipment for holding heterogeneous materials
EP1846303B1 (en) Liquids packaging
ES2333806T3 (en) AUTOMATIC LOW HEIGHT OPENING CLOSURE FOR COMPOSITE MATERIAL CONTAINERS OR FOR CONTAINER TUBULATURES OR BOTTLE NECKS TO BE CLOSED WITH SHEET MATERIAL.
US7143911B2 (en) Beverage closure with open/close spout and protected seal surfaces
US8544685B2 (en) Reclosable dispensing closure
WO2006035558A1 (en) Mixing vessel for two-part fluid or the like
US8474636B2 (en) Twist-cut unsealing mechanism for container
GB2523797A (en) Container assembly
US20210269201A1 (en) Sliding closure and container
KR102616898B1 (en) Container cap having double block membrane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EP4089028A1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lid
US11377267B2 (en) Choke-resistant closure
KR102717960B1 (en) 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KR102353170B1 (en) Bottle having containing member for preserving functional particles
KR102093774B1 (en) Auxiliary container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JP4615304B2 (en) Caps and containers and closure devices
KR102619274B1 (en) Stopper structure for beverage container
KR20240173417A (en) Double cap container and double cap having dual sealing structure of inner cap and outer cap
EP2476627A1 (en) Nozzle arrangement fixed on a container
KR20150066871A (en) Storing vessel
KR20220033958A (en) Separable and acceptable container cap
KR200478362Y1 (en) A cap for package bottle
KR20240178641A (en) 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KR20250014841A (en) Double cap container and double cap having dual sealing structure
KR20240167033A (en) Stoppers and containers containing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