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9655B1 - Optical lens, light uint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reof - Google Patents

Optical lens, light uint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9655B1
KR102719655B1 KR1020160083986A KR20160083986A KR102719655B1 KR 102719655 B1 KR102719655 B1 KR 102719655B1 KR 1020160083986 A KR1020160083986 A KR 1020160083986A KR 20160083986 A KR20160083986 A KR 20160083986A KR 102719655 B1 KR102719655 B1 KR 102719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cess
optical lens
exit surface
incid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4439A (en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60083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9655B1/en
Publication of KR20180004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4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9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965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02B19/0061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H01L31/03521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10Semiconductor bodies
    • H10F77/14Shape of semiconductor bodies;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semiconductor regions within semiconductor bodies
    • H10F77/143Shape of semiconductor bodies;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semiconductor regions withi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quantum structures
    • H10F77/1433Quantum do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개시된 광학 렌즈는, 투명한 몸체 하부에 바닥 면으로부터 오목한 리세스; 상기 리세스의 상면에 제1입사면, 상기 리세스의 양 측면에 서로 대응되는 제2입사면과 제3입사면을갖는 복수의 입사면; 상기 몸체의 서로 반대 측면에 배치된 제1전반사면 및 제2전반사면; 및 상기 몸체의 상부 센터에 제1출사면, 상기 제1출사면의 양측에 제2출사면 및 제3출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출사면은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2출사면은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3출사면은 오목한 곡면을 포함한다.An optical lens disclosed in an embodiment comprises: a recess concave from a bottom surface in a lower portion of a transparent body; a plurality of incident surfaces having a first incident surface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cess, and second and third incident su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opposite sides of the recess; a first total reflection surface and a second total reflection surface arranged on opposite sides of the body; and a first exit surface in an upper center of the body, and a second exit surface and a third exit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first exit surface, wherein the first exit surface has a convex curved surface, the second exit surface has a convex curved surface, and the third exit surface includes a concave curved surface.

Description

광학 렌즈,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및 조명 장치{OPTICAL LENS, LIGHT UINT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REOF}OPTICAL LENS, LIGHT UINT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광학 렌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lens.

본 발명은 광학 렌즈를 갖는 라이트 유닛 및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unit and a lighting device having an optical lens.

GaN, AlGaN 등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는 넓고 조정이 용이한 밴드 갭 에너지를 가지는 등의 많은 장점을 가져서 발광 소자, 수광 소자 및 각종 다이오드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Semiconductor devices containing compounds such as GaN and AlGaN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wide and easily tunable band gap energy, and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light-emitting devices, light-receiving devices, and various diodes.

특히, 반도체의 3-5족 또는 2-6족 화합물 반도체 물질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와 같은 발광소자는 박막 성장 기술 및 소자 재료의 개발로 적색, 녹색, 청색 및 자외선 등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형광 물질을 이용하거나 색을 조합함으로써 효율이 좋은 백색 광선도 구현이 가능하며,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 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In particular, light-emitting devices such as light-emitting diodes (LEDs) or laser diodes using semiconductor materials of groups 3-5 or 2-6 can implement various colors such as red, green, blue, and ultraviolet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in film growth technology and device materials, and can also implement efficient white light by using fluorescent substances or combining colors, and have the advantages of low power consumption, semi-permanent lifespan, fast response speed, safety,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compared to existing light sources such as fluorescent lamps and incandescent lamps.

뿐만 아니라, 광검출기나 태양 전지와 같은 수광 소자도 반도체의 3-5족 또는 2-6족 화합물 반도체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경우 소자 재료의 개발로 다양한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광 전류를 생성함으로써 감마선부터 라디오 파장 영역까지 다양한 파장 영역의 빛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 친화성 및 소자 재료의 용이한 조절의 장점을 가져 전력 제어 또는 초고주파 회로나 통신용 모듈에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hotodetectors or solar cells are made using semiconductor materials of groups 3-5 or 2-6, light-receiving devices can be developed to absorb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and generate photocurrents, thereby utilizing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from gamma rays to radio wavelengths. In addition, they have the advantages of fast response speed, safety,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easy control of device materials, so they can be easily used in power control or ultra-high frequency circuits or communication modules.

따라서, 반도체 소자는 광 통신 수단의 송신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냉음극관(CCFL: Cold Cathode Fluorescence Lamp)을 대체하는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 형광등이나 백열 전구를 대체할 수 있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자동차 헤드 라이트 및 신호등 및 Gas나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 등에까지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반도체 소자는 고주파 응용 회로나 기타 전력 제어 장치, 통신용 모듈에까지 응용이 확대될 수 있다.Accordingly, semiconductor devices are being used in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including transmission modules for optical communication means, light-emitting diode backlights that replace cold cathode fluorescence lamps (CCFLs) that constitute the backlights of LCD (Liquid Crystal Display) displays, white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s that can replace fluorescent or incandescent bulbs, automobile headlights and signal lights, and sensors that detect gas or fire. In addition, semiconductor devices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including high-frequency application circuits, other power control devices, and communication modules.

실시 예는 새로운 광학 렌즈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novel optical lens.

실시 예는 길이가 긴 바(bar) 형상을 갖는 광학 렌즈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provides an optical lens having a long bar shape.

실시 예는 적어도 3개의 서로 다른 입사면과, 적어도 3개의 서로 다른 출사면을 갖는 광학 렌즈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provides an optical lens having at least three different entrance faces and at least three different exit faces.

실시 예는 리세스의 바닥 중심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입사면 및 제1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가 비대칭 형상을 갖는 광학 렌즈를 제공한다. The embodiment provides an optical lens in which at least one of a first incident surface and a first exit surface has an a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center of the recess.

실시 예는 리세스의 바닥 중심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입사면 및 제1출사면이 비대칭 형상을 갖는 광학 렌즈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n optical lens in which a first incident surface and a first exit surface have an a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center of the recess.

실시 예는 리세스의 바닥 중심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리세스의 양측에 배치된 제2입사면 및 제3입사면이 서로 비대칭 형상을 갖는 광학 렌즈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n optical lens in which second and third incident plane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 have asymmetrical shapes relative to a central axi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center of the recess.

실시 예는 리세스의 바닥 중심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2출사면 및 제3출사면이 서로 비대칭 형상을 갖는 광학 렌즈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n optical lens in which a second exit surface and a third exit surface have an asymmetrical shape relative to a central axi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center of the recess.

실시 예는 비대칭 형상의 콜리메이터 렌즈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provides a collimator lens of asymmetrical shape.

실시 예는 복수의 발광 소자 상에 직선 또는 곡선 바 형상을 갖는 광학 렌즈를 갖는 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provides a light unit having an optical lens having a straight or curved bar shape on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실시 예는 복수의 발광 소자의 배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광학 렌즈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The embodiment provides an optical lens having a long length in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elements and a light unit having the same.

실시 예는 발광 소자의 배열 방향으로 리세스, 입사면 및 출사면을 갖는 광학 렌즈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n optical lens having a recess, an incident surface, and an exit surfac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light emitting elements, and a light unit having the same.

실시 예는 하나의 회로 기판 상에 하나 또는 복수의 광학 렌즈가 배치된 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provides a light unit having one or more optical lenses arranged on a single circuit board.

실시 예는 복수의 광학 렌즈로부터 방출된 광들이 서로 동일한 방향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한 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light unit that allows light emitted from a plurality of optical lenses to be emitted in the same direction or in opposite directions.

실시 예에 따른 광학 렌즈 및 발광 소자를 갖는 라이트 유닛 및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A light unit and a lighting device having an optical lens and a light-emit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provided.

실시 예에 따른 광학 렌즈는, 투명한 몸체 하부에 바닥 면으로부터 오목한 리세스; 상기 리세스의 상면에 제1입사면, 상기 리세스의 양 측면에 서로 대응되는 제2입사면과 제3입사면을갖는 복수의 입사면; 상기 몸체의 서로 반대 측면에 배치된 제1전반사면 및 제2전반사면; 및 상기 몸체의 상부 센터에 제1출사면, 상기 제1출사면의 양측에 제2출사면 및 제3출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출사면은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2출사면은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3출사면은 오목한 곡면을 포함한다.An optical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rises: a recess concave from a bottom surface in a lower portion of a transparent body; a plurality of incident surfaces having a first incident surface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cess, and second and third incident su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opposite sides of the recess; a first total reflection surface and a second total reflection surface arranged on opposite sides of the body; and a first exit surface in an upper center of the body, and a second exit surface and a third exit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first exit surface, wherein the first exit surface has a convex curved surface, the second exit surface has a convex curved surface, and the third exit surface includes a concave curved surface.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내부에 오픈 영역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오픈 영역에 광학 부재; 상기 하우징 상에 복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가 배치된 회로 기판을 갖는 발광 모듈; 상기 발광 모듈의 광 출사측에 광학 렌즈; 상기 광학 렌즈 상에 상부 커버를 가지며, 상기 광학 렌즈는, 투명한 몸체 하부에 바닥 면으로부터 오목하며 제1축 방향의 너비보다 긴 길이를 갖는 리세스; 상기 리세스의 상면에 제1입사면, 상기 리세스의 양 측면에 서로 대응되는 제2입사면과 제3입사면을갖는 복수의 입사면; 상기 몸체의 서로 반대 측면에 배치된 제1전반사면 및 제2전반사면; 및 상기 몸체의 상부 센터에 제1출사면, 상기 제1출사면의 양측에 제2출사면 및 제3출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출사면은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2출사면은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3출사면은 오목한 곡면을 포함한다.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rises: a housing having an open area therein; an optical member in the open area of the housing; a light emitting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nd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re arranged on the housing; an optical lens on a light emitting sid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an upper cover on the optical lens, the optical lens comprising: a recess which is concave from a bottom surface on a lower portion of a transparent body and has a length longer than a width in a first-axis direction; a plurality of incident surfaces having a first incident surface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cess, and second and third incident su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opposite sides of the recess; a first total reflection surface and a second total reflection surface arranged on opposite sides of the body; and a first exit surface on an upper center of the body, and a second exit surface and a third exit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first exit surface, wherein the first exit surface has a convex curved surface, the second exit surface has a convex curved surface, and the third exit surface includes a concave curved surface.

실시 예에 따른 광학 렌즈를 갖는 라이트 유닛 또는 조명 장치를 포함한다. A light unit or lighting device having an optical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 예는 광학 렌즈로부터 출사된 광에 의한 핫 스팟과 같은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The embodiment can reduce noise such as hot spots caused by light emitted from an optical lens.

실시 예는 라이트 유닛에서의 광 균일도를 개선시켜 줄 수 있다.The embodiment can improve light uniformity in a light unit.

실시 예는 에지 광을 광학 렌즈로 균일한 분포로 출사시켜 줄 수 있다.The embodiment can emit edge light with a uniform distribution through an optical lens.

실시 예는 사이드 뷰 타입의 라이트 유닛에서 광의 균일도를 개선시켜 줄 수 있다. The embodiment can improve the uniformity of light in a side-view type light unit.

실시 예는 광학 렌즈를 갖는 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의 신뢰성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The embodimen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a light unit having an optical lens and a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광학 렌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학 렌즈의 측 단면도의 예이다.
도 3은 도 2의 광학 렌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 단면도의 예이다.
도 4는 도 2의 광학 렌즈의 제1입사면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광학 렌즈의 제1입사면 및 제1출사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광학 렌즈에서 제1입사면과 제2,3입사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광학 렌즈를 갖는 라이트 유닛의 측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라이트 유닛의 다른 예이다.
도 9는 도 7의 광학 렌즈에서 제1입사면 및 제1출사면으로 진행하는 광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광학 렌즈에서 제2,3입사면 및 제2,3출사면으로 진행하는 광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7의 라이트 유닛의 변형 예로서, 복수의 라이트 유닛을 갖는 예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7의 라이트 유닛의 변형 예로서, 복수의 라이트 유닛을 서로 반대측에 배치한 예이다.
도 16은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도 1의 광학 렌즈를 갖는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조명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조명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조명 장치의 A-A측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조명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1은 도 17의 조명 장치의 A-A측 측 단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조명 장치의 광학 렌즈에 의한 광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6의 조명 장치의 발광 소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의 발광 소자의 측 단면도이다.
도 25는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광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tical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2 is an example of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lens of Figure 1.
FIG. 3 is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optical lens of FIG. 2.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of the optical lens of Figure 2.
FIG. 5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and the first exit surface of the optical lens of FIG. 2.
Figure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incidence surface and the second and third incidence surfaces in the optical lens of Figure 2.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unit having the optical lens of FIG. 1.
Fig. 8 is another example of the light unit of Fig. 7.
FIG. 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light path that proceeds from the optical lens of FIG. 7 to the first incident surface and the first exit surface.
Figure 10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light path that proceeds from the optical lens of Figure 7 to the second and third incident planes and the second and third exit planes.
Figures 11 to 13 are examples of modifications of the light unit of Figure 7, examples having multiple light units.
Figures 14 and 15 are examples of modifications of the light unit of Figure 7, in which multiple light units are arranged on opposite sides.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device having the optical lens of Fig. 1 in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lighting device of Fig. 16.
Fig. 18 is a bottom view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17.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A side cross-section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17.
Fig. 20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19.
Fig. 2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A side cross-section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17.
Fig. 2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light path by the optical lens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21.
Fig. 23 is a drawing showing a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16.
Fig. 2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f Fig. 23.
Fig. 25 is a drawing showing the light distribution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achieve the above purpo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scribed that each element is formed "on or under", "on or under" includes both cases where two elements are direct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where one or more other elements are formed by being disposed (indirectly) between the two elem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on or under", it can include the meaning of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element.

반도체 소자는 발광 칩, 또는 수광 칩 등 각종 전자 소자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칩과 수광 칩은 모두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발광 칩일 수 있다. 발광 칩은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함으로써 빛을 방출하게 되고, 이 빛의 파장은 물질 고유의 에너지 밴드갭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물질의 조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The semiconductor device may include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light-emitting chip or a light-receiving chip, and both the light-emitting chip and the light-receiving chip may include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light-emitting chip. The light-emitting chip emits light when electrons and holes recombine, and the wavelength of the light is determined by the energy band gap inherent in the material. Therefore, the emitted light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

<광학 렌즈><Optical Lens>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광학 렌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학 렌즈의 측 단면도의 예이며, 도 3은 도 2의 광학 렌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 단면도의 예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tical le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 2 is an example of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lens of FIG. 1, and FIG. 3 is an example of a side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optical lens of FIG. 2.

도 1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광학 렌즈(300)는 투명한 몸체로서, 제1축(X) 방향의 너비(X1)보다 제2축(Y) 방향의 길이(Y1)가 더 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 렌즈(300)의 길이(Y1)는 너비(X1)의 3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축(X) 방향은 상기 광학 렌즈(300)의 너비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축(Y) 방향은 상기 광학 렌즈(300)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광학 렌즈(300)의 너비는 출사면들의 너비(또는 X축 방향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으며, 길이는 출사면의 길이(또는 Y축 방향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3, an optical len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 transparent body, and may be arranged such that a length (Y1) in a second axis (Y) direction is greater than a width (X1) in a first axis (X) direction. The length (Y1) of the optical lens (300) may be three times or more the width (X1). The first axis (X) direction may be a width direction of the optical lens (300), and the second axis (Y) direction may be a length direction of the optical lens (300). The width of the optical lens (300) may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exit surfaces (or the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length may be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exit surfaces (or the length in the Y-axis direction).

실시 예에 따른 광학 렌즈(300)는 직선 형태를 갖는 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직선형 바는 상기 광학 렌즈(300)가 소정 길이를 갖고 직선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광학 렌즈(300)는 곡선 형태를 갖는 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곡선형 바는 상기 광학 렌즈(300)가 소정 곡률을 갖고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선형 바는 광학 렌즈(300)는 출사면(340,342,344)이 서로 마주보는 바 형상이거나, 입사면(310)이나 바닥 면(302,304)이 서로 대응되는 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곡선형 바는 렌즈 중심이 동일 선상에 배치되거나 렌즈 중심이 서로 다른 방향에 놓이거나 출사면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점차 틀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optical lens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a bar shape having a straight shape. The straight bar may be arranged in a straight shape with the optical lens (30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optical lens (300) may be a bar shape having a curved shape. The curved bar may be formed in a long length with the optical lens (300)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curved bar may be a bar shape in which the optical lens (300) has an exit surface (340, 342, 344) facing each other, or may be a bar shape in which the incident surface (310) or the bottom surface (302, 304) corresponds to each other. The curved bar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lens centers are arranged on the same line, the lens centers ar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or the exit surfaces are gradually turned so that they face different directions.

실시 예에 따른 광학 렌즈(300)의 두께(Z1)는 상기 광학 렌즈(300)의 너비(X1)보다 작게 예컨대, 상기 광학 렌즈(300)의 너비(X1)의 1/2.5 이하 예컨대, 1/2.5 내지 1/1.8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학 렌즈(300)의 두께(Z1)가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광의 추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보다 크면 광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광학 렌즈(300)는 렌즈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조명 광의 고 휘도화 및 광 균일도를 개선시켜 줄 수 있다. The thickness (Z1) of the optical lens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X1) of the optical lens (300), for example, 1/2.5 or less of the width (X1) of the optical lens (300), for example, 1/2.5 to 1/1.8. If the thickness (Z1) of the optical lens (300) is smaller than the above rang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may be reduced, and if it is larger than the above range, the light efficiency may be reduced. The optical lens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reduce the number of lenses, and improve high brightness and light uniformity of illumination light.

상기 광학 렌즈(300)는 투광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렌즈(300)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실리콘 또는 에폭시 수지, 또는 글래스(Gla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렌즈(300)는 굴절률이 2이하일 수 있으며 예컨대, 1.4 내지 1.7 범위의 투명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lens (300) may include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The optical lens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olycarbonate (PC),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silicone or epoxy resin, or glass. The optical lens (300) may have a refractive index of 2 or less and may include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a range of, for example, 1.4 to 1.7.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광학 렌즈(300)는, 복수의 바닥 면(302,304), 상기 복수의 바닥 면(302,304) 사이에 오목하게 함몰된 리세스(315), 상기 리세스(315) 상에 배치된 복수의 입사면(310,312,314), 외측에 복수의 전반사면(332,334), 상기 복수의 입사면(310,312,314)와 전반사면(332,334) 상에 입사된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출사면(340,342,344)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optical lens (300) includes a plurality of bottom surfaces (302, 304), a recess (315) concavely sunken between the plurality of bottom surfaces (302, 304), a plurality of incident surfaces (310, 312, 314) arranged on the recesses (315), a plurality of total reflection surfaces (332, 334) on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exit surfaces (340, 342, 344) that emit light incident on the plurality of incident surfaces (310, 312, 314) and the total reflection surfaces (332, 334).

상기 광학 렌즈(300)에서 복수의 바닥 면(302,304)은 몸체 바닥 면으로서, 제1,2바닥 면(302,304)을 포함하며, 상기 제1,2바닥 면(302,304)은 상기 광학 렌즈(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리세스(315)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세스(315)는 상기 제1,2바닥 면(302,304) 사이에 광 출사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315)의 너비 방향의 양측은 제2,3입사면(312,31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315)의 길이 방향의 양측은 개방되거나 다른 측면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바닥 면(302,304)는 광학 렌즈(300)를 지지해 줄 수 있다. 상기 바닥 면(302,304)는 길이 방향을 따라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2바닥 면(302,304)은 편평한 면일 수 있으며, 요철 면이거나, 지지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In the optical lens (300), the plurality of bottom surfaces (302, 304) are body bottom surfaces and include first and second bottom surfaces (302, 304). The first and second bottom surfaces (302, 304) may be arranged lengthwis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tical lens (300) and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 (315). Here, the recess (315) may be concavely sunken in the light emission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ttom surfaces (302, 304). Second and third incident surfaces (312, 314)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ss (315).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ss (315) may be open or may have different side surfaces arranged. The first and second bottom surfaces (302, 304) may support the optical lens (300). The above bottom surface (302, 304) may have a rough structure along the length dir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and second bottom surfaces (302, 304) may be flat surfaces, rough surfaces, or may have protruding support protrusions.

상기 제1바닥 면(302)은 제2출사면(342)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어, 광학 렌즈(300)의 바닥 일부를 지지해 줄 수 있다. 상기 제1바닥 면(302)의 일부는 제1출사면(340)의 영역, 또는 제1,2출사면(340,342)의 경계 영역에 수직하게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닥 면(302)은 제1전 반사면(332)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거나 제1전 반사면(332)의 영역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bottom surface (302) may be arranged to overlap vertically with the second exit surface (342) so as to support a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optical lens (300). A portion of the first bottom surface (302) may overlap vertically with the area of the first exit surface (340) or the boundary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exit surfaces (340, 342). The first bottom surface (302) may not overlap vertically with the first total reflection surface (332) or may be arranged inside the area of the first total reflection surface (332).

상기 제2바닥 면(304)은 제1출사면(340)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어, 광학 렌즈(300)의 바닥 일부를 지지해 줄 수 있다. 상기 제2바닥 면(304)의 일부는 제3출사면(344)의 영역, 또는 제1,3출사면(340,344)의 경계 영역에 수직하게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닥 면(304)은 제2전반사면(334)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거나 상기 제2전 반사면(334)의 영역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bottom surface (304) may be arranged to overlap vertically with the first exit surface (340) and support a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optical lens (300). A portion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304) may overlap vertically with an area of the third exit surface (344) or a boundary area of the first and third exit surfaces (340, 344). The second bottom surface (304) may not overlap vertically with the second total reflection surface (334) or may be arranged inside the area of the second total reflection surface (334).

상기 제1,2바닥 면(302,304)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기 리세스(315)의 바닥 중심(ZO)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바닥 면(302,304)의 각각의 너비는 2mm 이하일 수 있으며, 예컨대, 0.5mm 내지 2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1,2바닥 면(302,304)의 너비는 상기 리세스(315)의 바닥 중심(ZO)에 대해 수평한 축(X0) 상에서의 너비로서, 상기 범위보다 좁을 경우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 상기 광학 렌즈(300)의 너비(X1)가 너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1,2바닥 면(302,304)은 비대칭 구조의 광학 렌즈(300)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너비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bottom surfaces (302, 304) are arranged lengthwise and can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bottom center (ZO) of the recess (315). The width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ottom surfaces (302, 304) can be 2 mm or less, and for example, can be in the range of 0.5 mm to 2 mm. 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bottom surfaces (302, 304) is the width on the axis (X0) horizontal to the bottom center (ZO) of the recess (315). If it is narrower than the above range, the strength may be reduced, and if it is larger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dth (X1) of the optical lens (300) becomes too large. The first and second bottom surfaces (302, 304) can have the same or different widths in the optical lens (300) having an asymmetrical structure.

상기 리세스(315)의 길이는 제2축 방향 즉,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315)의 길이는 상기 광학 렌즈(300)의 길이(Y1)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315)의 길이는 상기 광학 렌즈(300)의 길이(Y1)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광학 렌즈(300)의 길이 방향 외측에는 다른 입사면이나 다른 전반사면이 더 배치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recess (315) may be arranged to be long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i.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ength of the recess (315) may be the same as the length (Y1) of the optical lens (300). The length of the recess (315)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Y1) of the optical lens (300), and in this case, another incident surface or another total reflection surface may be arranged on the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tical lens (300).

상기 리세스(315)는 바닥 중심(ZO)으로부터 소정 깊이 및 소정 너비를 갖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315)는 상부 너비(D3)가 바닥 너비(D2)보다 좁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세스(315)는 깊어질수록 너비가 점차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으며, 상부 너비(D3)와 바닥 너비(D2) 사이의 차이는 0.8mm 이상의 차이 예컨대, 0.8mm 내지 1.2mm 범위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리세스(315)의 상부 너비(D3)와 바닥 너비(D2)의 차이가 상기 범위보다 크거나 작으면 광의 입사 분포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리세스(315)의 바닥 너비(D2)는 3mm 이상 예컨대, 3mm 내지 4mm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리세스(315)의 상부 너비(D3)는 2mm 내지 2.8mm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리세스(315)의 바닥 너비(D2)는 후술되는 발광 소자의 너비보다 2배 이상 넓을 수 있다. 상기 리세스(315)의 상부 너비(D3)는 후술되는 발광 소자의 너비보다 넓게 배치되어 광의 입사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315)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므로, 내부에 복수의 발광 소자를 배치할 수 있어, 광 입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e above recess (315) may b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and width from the bottom center (ZO). The recess (315)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upper width (D3) is narrower than the bottom width (D2). The recess (315)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narrows as it becomes deepe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width (D3) and the bottom width (D2) may have a difference of 0.8 mm or more, for example, a difference in the range of 0.8 mm to 1.2 mm.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width (D3) and the bottom width (D2) of the recess (315) is larger or smaller than the above range, the incidence distribution of light may change. The bottom width (D2) of the recess (315) may be 3 mm or more, for example, a range of 3 mm to 4 mm, and the upper width (D3) of the recess (315) may be a range of 2 mm to 2.8 mm. The bottom width (D2) of the above recess (315) may be at least twice as wide as the width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described later. The upper width (D3) of the above recess (315) may be arrang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described later,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the light incidence efficiency. Since the recess (315) is arrang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elements may be arranged inside, thereby maximizing the light incidence efficiency.

상기 복수의 입사면(310,312,314)은 몸체 내부에 배치된 면으로서, 상기 리세스(315)의 상면 및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사면(310,312,314)은 상기 리세스(315)의 상면인 제1입사면(310), 및 상기 리세스(315)의 양 측면인 제2,3입사면(312,31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입사면(310)은 곡면일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리세스(315)의 바닥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입사면(310)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입사면(310)이 하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제공되므로, 입사되는 광을 제1출사면(340)으로 진행하도록 굴절시켜 줄 수 있다. The above plurality of incident surfaces (310, 312, 314) are surfaces arranged inside the body and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recess (315). The above plurality of incident surfaces (310, 312, 314) include a first incident surface (310) which is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ss (315), and second and third incident surfaces (312, 314) which are both side surfaces of the recess (315).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may be a curved surfac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convex surface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of the recess (315).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Since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is provided as a downward convex surface, it can refract incident light so that it proceeds to the first exit surface (340).

상기 제2,3입사면(312,314)는 서로 마주보거나 대응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2입사면(312)은 상기 제1입사면(310)과 상기 제1바닥면(3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입사면(314)은 상기 제1입사면(310)과 상기 제2바닥면(3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and third incident surfaces (312, 314) may be facing or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1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and the first bottom surface (302), and the third incident surface (314)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304).

상기 제2입사면(312)은 오목한 곡면일 수 있으며, 상기 오목한 곡면은 제1전반사면(332) 방향으로 함몰된 곡면일 수 있다. 이러한 제2입사면(312)는 오목한 곡면을 가짐으로써, 입사되는 광의 반사를 억제시키고 입사된 광을 제1전반사면(332)으로 굴절시켜 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2입사면(312)은 볼록한 곡면이거나 평탄한 경사 면일 수 있다. 상기 제3입사면(314)은 상기 제3입사면(314)은 오목한 곡면일 수 있으며, 상기 오목한 곡면은 제2전반사면(334) 방향으로 함몰된 곡면일 수 있다. 이러한 제3입사면(314)는 오목한 곡면을 가짐으로써, 입사되는 광의 반사를 억제시키고 입사된 광을 제2전반사면(334)으로 굴절시켜 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3입사면(314)은 볼록한 곡면이거나 평탄한 경사 면일 수 있다.The second incident surface (312) may be a concave surface, and the concave surface may be a surface sunken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total reflection surface (332). Since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12) has a concave surface, it can suppress reflection of incident light and refract the incident light toward the first total reflection surface (332). 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12) may be a convex surface or a flat inclined surface. The third incident surface (314) may be a concave surface, and the concave surface may be a surface sunken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total reflection surface (334). Since the third incident surface (314) has a concave surface, it can suppress reflection of incident light and refract the incident light toward the second total reflection surface (334). As another example, the third incident surface (314) may be a convex curved surface or a flat inclined surface.

도 2와 같이, 상기 복수의 출사면(340,342,344)은 몸체 상부에 배치된 면들로서, 몸체 센터 측에 볼록한 제1출사면(340), 상기 제1출사면(340)의 양측에 제2,3출사면(342,34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출사면(340)은 제2,3출사면(324,34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출사면(340,342,3444)은 상기 제1입사면(310)으로 입사된 광을 굴절시켜 출사하는 제1출사면(340), 상기 제2입사면(312)을 통해 입사된 광을 굴절시켜 출사하는 제2출사면(342), 및 상기 제3입사면(314)을 통해 입사된 광을 굴절시켜 출사하는 제3출사면(34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출사면(310)의 영역은 상기 제1입사면(310), 상기 제2 및 제3입사면(312,314)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plurality of exit surfaces (340, 342, 344) are surfaces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include a first exit surface (340) that is convex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and second and third exit surfaces (342, 344) on both sides of the first exit surface (340). The first exit surface (340) can be arrang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exit surfaces (324, 344). The plurality of exit surfaces (340, 342, 3444) include a first exit surface (340) that refracts and emits light incident on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a second exit surface (342) that refracts and emits light incident through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12), and a third exit surface (344) that refracts and emits light incident through the third incident surface (314). The area of the first exit surface (310) can overlap vertically with the first incidence surface (310) and the second and third incidence surfaces (312, 314).

상기 제1출사면(340)은 광 출사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2출사면(342)는 광 출사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3출사면(344)은 광 출사 방향의 반대측 방향 예컨대, 제2전 반사면(334)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는 제1,2출사면(340,342)을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하고, 제3출사면(344)을 오목한 곡면으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3출사면(344)에 의해 굴절된 광이 제1,2출사면(340,342)에 의해 굴절된 광의 진행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어, 서로 다른 영역으로 조사되거나 서로 혼합될 수 있다. The first exit surface (340) may have a convex surface in the light emission direction, the second exit surface (342) may have a convex surface in the light emission direction, and the third exit surface (344) may have a concave surface that is sunke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light emission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total reflection surface (334). In an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exit surfaces (340, 342) are formed as convex surfaces, and the third exit surface (344) is arranged as a concave surface, so that light refracted by the third exit surface (344) can proceed in the direction of light refracted by the first and second exit surfaces (340, 342), and thus can be irradiated to different areas or mixed with each other.

상기 복수의 전반사면(332,334)은 몸체의 너비 방향 양 측면으로서, 광학 렌즈(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입사된 광의 경로를 출사 방향으로 반사해 준다. 상기 복수의 전반사면(332,334)은 제1,2전반사면(332,334)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반사면(332)은 상기 제1바닥 면(302)과 제2출사면(34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전반사면(334)은 상기 제2바닥 면(304)과 제3출사면(34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전반사면(332,334)은 상기 제2입사면(312) 및 제2출사면(342)의 외측에 배치된 제1전 반사면(332)와, 상기 제3입사면(314) 및 제3출사면(344)의 외측에 배치된 제2전 반사면(334)을 포함하며,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total reflection surfaces (332, 334) are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optical lens (300) as the width-wise side surfaces of the body, and reflect the path of the incident light in the emission direction.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total reflection surfaces (332, 334) include first and second total reflection surfaces (332, 334), and the first total reflection surface (332)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302) and the second emission surface (342), and the second total reflection surface (334) is arranged between the second bottom surface (304) and the third emission surface (344). The above plurality of total reflection surfaces (332, 334) include a first total reflection surface (332) arrang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12) and the second exit surface (342), and a second total reflection surface (334) arranged on the outer side of the third incident surface (314) and the third exit surface (344).

상기 제1전반사면(332)은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2입사면(312)으로 입사된 광을 상기 제2출사면(342)을 반사하게 된다. 상기 제2전반사면(334)은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3입사면(314)으로 입사된 광을 제3출사면(344)으로 반사하게 된다. 상기 제1,2전반사면(332,334) 각각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total reflection surface (332) has an outwardly convex curve and reflects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12) onto the second exit surface (342). The second total reflection surface (334) has an outwardly convex curve and reflects light incident on the third incident surface (314) onto the third exit surface (344).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otal reflection surfaces (332, 334) may include curves having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광학 렌즈(300)의 제1출사면(340)은 출사 측의 센터 영역에 배치되고 중심축(P0)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1입사면(310)의 반대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출사면(340)은 상기 제1입사면(310)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exit surface (340) of the optical lens (300) is arranged in a center region on the exit side and has a convex curv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P0), and may have a convex curv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The first exit surface (340) may include a curve having a smaller radius of curvature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상기 제1출사면(340)의 너비(X2)는 상기 제1입사면(310)의 너비(D3)의 2배 이상 예컨대, 1.2배 내지 5배의 범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사면(340)의 너비(X2)가 상기 범위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1입사면(310)을 통해 제1출사면(340)으로 입사된 광량이 줄어들거나 상기 광학 렌즈(300)의 두께(Z1)가 작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제1출사면(340)의 너비(X2)가 상기 범위보다 클 경우 출사 효율의 개선이 미미하고 제2,3출사면(342,344)의 너비(X3)가 달라질 수 있다.The width (X2) of the first exit surface (340) may be arranged in a range of at least twice the width (D3)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for example, 1.2 to 5 times. If the width (X2) of the first exit surface (340) is smaller than the above range,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first exit surface (340) through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may decrease or the thickness (Z1) of the optical lens (300) may decrease. If the width (X2) of the first exit surface (340) is larger than the above range, the improvement in emission efficiency may be minimal and the widths (X3) of the second and third exit surfaces (342, 344) may be different.

상기 제1 내지 제3출사면(340,342,344)은 상기 광학 렌즈(300)의 길이(Y1)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출사면(340,342,344)이 상기 리세스(315)와 동일한 길이를 갖고 배치되므로, 상기 제1내지 제3입사면(310,312,314)을 통해 입사된 광에 대해 굴절시켜 출사 방향으로 출사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출사면(340)은 상기 광학 렌즈(300)의 길이(Y1)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3출사면(342,344)은 상기 광학 렌즈(300)의 길이(Y1)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광학 렌즈(300)의 양 측벽(도 1의 346,348) 중에서 상기 제1,2전반사면(332,334)에 인접한 영역이 경사진 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 렌즈(300)의 양 측벽(346,348)은 수직한 평면이거나 제1,2출사면(342,344)에 인접한 영역이 경사진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exit surfaces (340, 342, 344) may have the same length as the length (Y1) of the optical lens (300). Since the first to third exit surfaces (340, 342, 344) are arrang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recess (315), light incident through the first to third incident surfaces (310, 312, 314) may be refracted and emitted in the exit direction.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exit surface (340) may have the same length as the length (Y1) of the optical lens (300), and the second and third exit surfaces (342, 344) may have shorter lengths than the length (Y1) of the optical lens (300). This means that among the two side walls (346, 348 in FIG. 1) of the optical lens (300), the areas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total reflection surfaces (332, 334) can be arranged as inclined surfaces. The two side walls (346, 348) of the optical lens (300) can be vertical planes, or the areas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exit surfaces (342, 344) can be formed as inclined surfaces.

실시 예는 광학 렌즈(300)는 바닥 중심(Z0)에 대해 직교하는 중심축(P0)을 기준으로 비대칭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2,3입사면(310,312,314)의 중심과 상기 제1출사면(340)의 중심은 중심축(P0)으로부터 시프트 예컨대 제1전 반사면(334) 방향으로 시프트됨을 알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optical lens (300) has an a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P0) orthogonal to the bottom center (Z0). It can be seen that the center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cident surfaces (310, 312, 314) and the center of the first exit surface (340) are shifted from the central axis (P0), for exampl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total reflection surface (334).

실시 예는 제1입사면(310) 및 제2출사면(34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는 상기 리세스(315)의 바닥 중심에 수직한 중심축(P0)을 기준으로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입사면(310)은 중심 축(P0)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사면(340)은 중심 축(P0)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at least one or both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and the second exit surface (340) may have an a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P0) perpendicular to the bottom center of the recess (315). For example,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may be formed to have an a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The first exit surface (340) may have an a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실시 예는 제2입사면(312) 및 제3입사면(314)는 리세스(315)의 바닥 중심에 수직한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전 반사면(332) 및 제2전반사면(334)는 중심 축(P0)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출사면(342) 및 제3출사면(344)는 상기 중심 축(P0)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 형상을 갖는다. 상기 리세스(315)는 중심 축(P0)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 형상을 갖는다. 상기 비대칭 형상은 상기 중심 축(P0) 또는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 또는 상기 광학 렌즈의 너비 방향이거나, X축 방향으로 비대칭 형상일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12) and the third incident surface (314) have asymmetrical shapes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P0) perpendicular to the bottom center of the recess (315). The first total reflection surface (332) and the second total reflection surface (334) may have asymmetrical shap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The second exit surface (342) and the third exit surface (344) have asymmetrical shap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The recess (315) has asymmetrical shap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The asymmetrical shapes may be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tical le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or the X-axis direction, or may be asymmetrical shapes in the X-axis direction.

도 2 및 도 3에서, 광학 렌즈(300)의 두께 방향을 보면, 제2출사면(342)의 고점 높이(Z1)는 제3출사면(344)의 고점 높이(Z2)보다 높게 배치되며, 제2출사면(342)의 저점 높이(Z3)는 제3출사면(344)의 저점 높이(Z4)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출사면(342)의 고점은 제2출사면(342)과 제1전 반사면(332)의 경계 지점(P3)이며 상기 제2출사면(342)의 저점은 상기 제1출사면(340)과 제2출사면(342) 사이의 경계 지점(P1)이며, 제3출사면(344)의 고점은 제3출사면(344)과 제2전반사면(334) 사이의 경계 지점(P4)이며, 상기 제3출사면(344)의 저점은 상기 제3출사면(344)과 제1출사면(340) 사이의 경계 지점(P2)일 수 있다. 상기 제1출사면(340)의 정점의 높이(Z5)는 양 지점(P1,P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출사면(340,342) 사이의 경계 지점(P1)의 높이(Z3)는 상기 제1 및 제3출사면 (340,342,344) 사이의 경계 지점(P2)의 높이(Z4)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입사면(310)과 제2입사면(312) 사이의 경계 지점(P5)의 높이(Z6)은 상기 제1입사면(310)과 제3입사면(314) 사이의 경계 지점(P6)의 높이(Z7)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지점(P1,P2,P3,P4,P5,P6)들의 높이는 광학 렌즈(300)의 바닥에 수평한 직선(도 2의 X0)이 기준일 수 있다. 상기 높이들의 관계를 보면, Z1>Z2>Z3>Z4>Z6>Z7의 관계를 가지며, Z5는 Z2>Z5>Z3>Z4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In FIGS. 2 and 3, when looking at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ptical lens (300), the high point height (Z1) of the second exit surface (342)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high point height (Z2) of the third exit surface (344), and the low point height (Z3) of the second exit surface (342)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 point height (Z4) of the third exit surface (344). Here, the high point of the second exit surface (342) may be the boundary point (P3) between the second exit surface (342) and the first total reflection surface (332), the low point of the second exit surface (342) may be the boundary point (P1) between the first exit surface (340) and the second exit surface (342), the high point of the third exit surface (344) may be the boundary point (P4) between the third exit surface (344) and the second total reflection surface (334), and the low point of the third exit surface (344) may be the boundary point (P2) between the third exit surface (344) and the first exit surface (340). The height (Z5) of the peak of the first exit surface (340) may be positioned at a higher position than both points (P1, P2). The height (Z3) of the boundary point (P1)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xit surfaces (340, 342)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height (Z4) of the boundary point (P2) between the first and third exit surfaces (340, 342, 344). The height (Z6) of the boundary point (P5) between the first incidence surface (310) and the second incidence surface (312)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height (Z7) of the boundary point (P6) between the first incidence surface (310) and the third incidence surface (314). The heights of each of the points (P1, P2, P3, P4, P5, P6) may be based on a straight line (X0 in FIG. 2) horizontal to the bottom of the optical lens (300).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ove heights, they have the relationship Z1>Z2>Z3>Z4>Z6>Z7, and Z5 can have the relationship Z2>Z5>Z3>Z4.

이러한 광학 렌즈(300)는 제1입사면(310)의 양 지점(P5,P6)의 높이 차이와, 제1출사면(340)의 양 지점(P1,P2)의 높이 차이를 갖는 비대칭 형상에 의해,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할 수 있고, 서로 다른 광 경로에 의해 광의 분포를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This optical lens (300) can control the path of the emitted light by having an asymmetrical shape hav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wo points (P5, P6)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and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wo points (P1, P2) of the first exit surface (340), and can provide a uniform distribution of light by different optical paths.

또한 상기 제1출사면(340)의 양 지점(P1,P2)을 연결한 너비(X2)는, 제2출사면(342)의 양 지점(P1,P3)을 연결한 너비(X3), 상기 제3출사면(344)의 양 지점을 연결한 너비(X4)의 관계는, X3≥X2>X4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너비(X2,X3,X4)는 수평한 방향에서의 직선 길이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X2) connecting the two points (P1, P2) of the first exit surface (340), the width (X3) connecting the two points (P1, P3) of the second exit surface (342), and the width (X4) connecting the two points of the third exit surface (344) may have a relationship of X3≥X2>X4. The widths (X2, X3, X4) represent straight line length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3을 참조하면, 광학 렌즈(300)의 바닥 중심(Z0)과 중심축(P0)을 기준으로 한 각 지점의 각도를 보면, 제1입사면(310)의 각도로서, 지점 P5와 중심축(P0) 사이의 각도(R1)는 지점 P6와 중심축(P0) 사이의 각도(R2)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즉, R1≥R2이며, 상기 R2는 34도 내지 38도의 범위에 있으며, R1과 R2의 차이는 3도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각도 R1,R2를 가지는 제1입사면(310)이 리세스(315) 상에 배치됨으로써, 발광 소자의 상면으로 방출된 광이 효과적으로 입사될 수 있다. 상기 R1, R2는 발광 소자의 광 지향각에서 반치각의 1/2 이하의 각도를 갖게 되므로, 제1입사면(310)은 제2,3입사면(312,314) 사이의 영역에서 광을 효과적으로 입사 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looking at the angles of each point based on the bottom center (Z0) of the optical lens (300) and the central axis (P0), as an angle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the angle (R1) between the point P5 and the central axis (P0)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angle (R2) between the point P6 and the central axis (P0). That is, R1≥R2, and R2 is in the range of 34 degrees to 38 degre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R1 and R2 may be 3 degrees or less. When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having such angles R1 and R2 is arranged on the recess (315), light emit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can be effectively incident. Since the above R1 and R2 have an angle less than half of the half-value angle in the light-direction angle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can effectively receive light in the area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incident surfaces (312, 314).

상기 제1출사면(340)의 각도(R3)를 보면, 바닥 중심(Z0)을 기준으로, 지점 P1과 중심축(P0) 사이의 각도 R4는 지점 P2와 중심축(P0) 사이의 각도 R5 보다 작을 수 있다. 지점 P3와 지점 P1 사이의 각도 R5는 지점 P2와 지점 P4를 지나는 각도 R6보다 클 수 있다. 상기 R5는 제2출사면(342)의 각도이며, R6는 제3출사면(344)의 각도이며, R5>R6의 관계를 가지며, 상기 R5는 R6의 3배 이상 예컨대, 4배 내지 6배 범위로 클 수 있다. 이러한 제1출사면(340)의 각도(R3)는 50도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중심 축(P1)을 기준으로 각도 R4와 R5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오목한 곡면을 갖는 제3출사면(344)이 각도 R6가 볼록한 곡면을 갖는 제2출사면(342)의 각도 R5보다 1/3 이하로 작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3출사면(344)을 통해 출사된 광량 및 광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angle (R3) of the first exit surface (340), the angle R4 between the point P1 and the central axis (P0) with respect to the floor center (Z0) may be smaller than the angle R5 between the point P2 and the central axis (P0). The angle R5 between the point P3 and the point P1 may be larger than the angle R6 passing through the points P2 and P4. The R5 is the angle of the second exit surface (342), and R6 is the angle of the third exit surface (344), and they have a relationship of R5>R6, and the R5 may be 3 times or larger than R6, for example, 4 to 6 times larger. The angle (R3) of the first exit surface (340) may be 50 degrees or larger, and the angles R4 and R5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1)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Since the third exit surface (344) having the concave curved surface is arranged so that the angle R6 is less than 1/3 of the angle R5 of the second exit surface (342) having the convex curved surfac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through the third exit surface (344) and the light path can be controlled.

도 4에서, 제1입사면(310)의 구조를 보면, 제1입사면(310)의 지점 P5을 기준으로, 상기 지점 P5로부터 제1입사면(310)의 접선의 연장 선과 중심축(P0)을 연결한 제1삼각형의 탄젠트 값(b1/b2)은 0.5±0.02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삼각형의 높이 b1과 밑변 b2의 관계는 b1<b2의 관계 예컨대, b2는 b1의 1.5 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입사면(310)의 지점 P6을 기준으로, 상기 지점 P6로부터 제1입사면(310)의 접선의 연장 선과 중심축(P0)을 연결한 제2삼각형의 탄젠트 값(b3/b4)은 0.25±0.02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삼각형의 높이 b3과 밑변 b4의 관계는 b3<b4의 관계 예컨대, b4는 b1의 3배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삼각형의 탄젠트 값과 제2삼각형의 탄젠트 값의 비율은 0.5±0.06의 범위 예컨대, 상기 제2삼각형의 탄젠트 값이 제1삼각형의 탄젠트 값에 비해 1.5배 이상 클 수 있다. 이는 제1입사면(310)의 지점 P5와 지점 P6의 높이가 다르고, 제1입사면(310)을 지나는 접선에 의한 탄젠트 값의 차이에 의해, 상기 제1입사면(310)으로 입사된 광이 제1출사면(340)으로 입사되도록 굴절시켜 줄 수 있다. In Fig. 4,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with respect to the point P5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the tangent value (b1/b2) of the first triangle connecting the extended line of the tangent line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from the point P5 and the central axis (P0) may be in the range of 0.5±0.0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ight b1 and the base b2 of the triangle may be a relationship such that b1<b2, for example, b2 may be 1.5 times or more than b1. With respect to the point P6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the tangent value (b3/b4) of the second triangle connecting the extended line of the tangent line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from the point P6 and the central axis (P0) may be in the range of 0.25±0.0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ight b3 of the above triangle and the base b4 may be a relationship such that b3<b4, for example, b4 may be three times or more greater than b1. Here, the ratio of the tangent value of the first triangle to the tangent value of the second triangle may be in the range of 0.5±0.06, for example, the tangent value of the second triangle may be 1.5 times or more greater than the tangent value of the first triangle. This is because the heights of points P5 and P6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are different, and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may be refracted to be incident on the first exit surface (340) due to the difference in tangent value due to the tangent line passing through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도 5를 참조하면, 광학 렌즈(300)의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은, 발광 소자(100)의 상면의 중심(101), 중심축(P0), 지점 P5를 연결한 제1삼각형의 탄젠트 값(c2/c1)과, 상기 발광 소자(100)의 상면의 중심(101), 중심축(P0) 및 지점 P1을 연결한 제2삼각형의 탄젠트 값(c3/c4)의 비율은 1.5 이상 예컨대, 1.75±0.15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삼각형의 탄텐트 값(c2/c1)은 0.6 이상 0.9 이하 예컨대, 0.7±0.02의 범위일 수 있고, 상기 제2삼각형의 탄젠트 값(c3/c4)은 0.3 이상 0.6 이하 예컨대, 0.4±0.02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c4는 c1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의 상면 중심(101)은 출사 측 중심일 수 있으며, 리세스(315)의 바닥보다 0.5 이상 1mm 이하의 범위로 높게 위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of the optical lens (300), the left region may have a ratio of a tangent value (c2/c1) of a first triangle connecting the center (101), the central axis (P0), and the point P5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and a tangent value (c3/c4) of a second triangle connecting the center (101), the central axis (P0), and the point P1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in a range of 1.5 or more, for example, 1.75±0.15. The tangent value (c2/c1) of the first triangle may be in a range of 0.6 or more and 0.9 or less, for example, 0.7±0.02, and the tangent value (c3/c4) of the second triangle may be in a range of 0.3 or more and 0.6 or less, for example, 0.4±0.02. The above c4 may be at least twice that of c1. The upper surface center (101)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may be the center of the emission side and may be positioned higher by 0.5 to 1 mm than the bottom of the recess (315).

그리고, 광학 렌즈(300)의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은, 발광 소자(100)의 상면의 중심(101), 중심축(P0), 지점 P6를 연결한 제3삼각형의 탄젠트 값(e2/e1)과, 상기 발광 소자(100)의 상면의 중심(101), 중심축(P0) 및 지점 P2을 연결한 제4삼각형의 탄젠트 값(e3/e4)의 비율은 0.9 이상 1.5 이하 예컨대, 1.072±0.07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삼각형의 탄텐트 값(e2/e1)은 0.6 이상 0.9 이하 예컨대, 0.75±0.02의 범위일 수 있고, 상기 제4삼각형의 탄젠트 값(e3/e4)은 0.6 이상 0.9 이하 예컨대, 0.7±0.02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e4는 e1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의 상면 중심은 출사면의 중심일 수 있으며, 리세스(315)의 바닥보다 0.5 이상 1mm 이하의 범위로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지 제4삼각형의 탄젠트 값의 관계를 보면, 제1,4삼각형의 탄젠트 값 보다는 제2삼각형의 탄젠트 값이 더 크고, 제2삼각형의 탄젠트 값보다는 제3삼각형의 탄젠트 값이 클 수 있다. An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of the optical lens (300), the right region may have a ratio of the tangent value (e2/e1) of the third triangle connecting the center (101), the central axis (P0), and the point P6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and the tangent value (e3/e4) of the fourth triangle connecting the center (101), the central axis (P0), and the point P2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in a range of 0.9 or more and 1.5 or less, for example, 1.072±0.07. The tangent value (e2/e1) of the third triangle may be in a range of 0.6 or more and 0.9 or less, for example, 0.75±0.02, and the tangent value (e3/e4) of the fourth triangle may be in a range of 0.6 or more and 0.9 or less, for example, 0.7±0.02. The above e4 may be more than twice e1.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 light-emitting element may be the center of the emission surface, and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recess (315) by a range of 0.5 to 1 mm.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ngent values of the first to fourth triangles, the tangent value of the second triangle may be greater than the tangent values of the first and fourth triangles, and the tangent value of the third triangle may be greater than the tangent value of the second triangle.

상기 제1,2삼각형의 탄젠트 값의 비율을 제1비율이라고 하고, 제3,4삼각형의 탄젠트 값들의 비율을 제2비율이라고할 때, 제1비율/제2비율 간의 관계는 1.5 이상 예컨대, 1.5 이상 1.9이하일 수 있다. When the ratio of the tangent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triangles is called the first ratio, and the ratio of the tangent values of the third and fourth triangles is called the second rati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ratio/second ratio may be 1.5 or more, for example, 1.5 or more and 1.9 or less.

도 6을 참조하여 발광 소자, 제1 내지 제3입사면(310,312,314)의 관계를 보면, 발광 소자(100)의 상면에 수평한 직선과 지점 P5에 수직한 직선을 연결한 제1삼각형의 탄젠트(c5/c1) 값은 0.15 이상 예컨대, 0.20±0.02의 범위이고, 지점 P6에 수직한 직선을 연결한 제2삼각형의 탄젠트(e5/e1) 값은 0.3 이상 예컨대, 0.34±0.02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삼각형의 탄젠트 값은 제2삼각형의 탄젠트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삼각형의 탄젠트 값과 제2삼각형의 탄젠트 값의 비율은 0.5 이상 예컨대, 0.5 내지 0.7의 범위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whe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emitting element and the first to third incident surfaces (310, 312, 314), the tangent (c5/c1) value of the first triangle connecting the horizontal lin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100) and the vertical line to point P5 may be 0.15 or mor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0.20±0.02, and the tangent (e5/e1) value of the second triangle connecting the vertical line to point P6 may be 0.3 or mor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0.34±0.02. Here, the tangent value of the first triangle may be smaller than the tangent value of the second triangle. The ratio of the tangent value of the first triangle and the tangent value of the second triangle may be 0.5 or mor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0.5 to 0.7.

도 7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광학 렌즈(300) 아래에 회로 기판(400) 및 발광 소자(100)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 모듈은 발광 소자(100) 및 회로 기판(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라이트 유닛은 상기 광학 렌즈(300), 회로 기판(400) 및 발광 소자(1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 ligh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have a circuit board (400) and a light-emitting element (100) placed under an optical lens (300). The light-emitting module may include the light-emitting element (100) and the circuit board (400), and the light unit may include the optical lens (300), the circuit board (400), and the light-emitting element (100).

상기 발광 소자(100)는 상기 회로 기판(400) 상에 상기 광학 렌즈(300)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 예컨대,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100)는 소정 간격을 갖고 상기 광학 렌즈(300)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는 상기 광학 렌즈(300)의 리세스(31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의 상면 즉, 광 출사면은 상기 리세스(315)의 바닥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은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의 LED 칩을 가지며, 그 두께(D1)는 1.2mm 이하 예컨대, 1mm 이하일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may be arranged one or more, for example, a plura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tical lens (300) on the circuit board (400).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100) may be arranged along the optical lens (3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may be arranged in the recess (315) of the optical lens (300).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that is, the light emitting surface, may be arranged above the bottom of the recess (315).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may have one or a plurality of LED chips therein, and the thickness (D1) thereof may be 1.2 mm or less, for example, 1 mm or less.

상기 회로 기판(400)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100)를 서로 연결 예컨대,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해 줄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400)은 상기 광학 렌즈(300)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광학 렌즈(300)로부터 누설된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의 광축은 상기 광학 렌즈(300)의 중심축(P0)과 동일하게 정렬될 수 있어, 상기 광축은 중심축(P0)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는 중심 축(P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의 광축에 대해, 제1입사면(312)는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의 광축에 대해, 제2입사면(312)과 제3입사면(314)는 서로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의 광축에 대해, 제1출사면(340)은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의 광축에 대해, 제1출사면(340)의 양측 제2출사면(342)과 제3출사면(344)는 서로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의 광축에 대해, 제1전반사면(332)와 제2전반사면(334)는 서로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circuit board (400) may connect the plurality of light-emitting elements (100) to each other, for example, in series, in parallel, or in series-parallel. The circuit board (400) may be arranged under the optical lens (300) and may include a layer that absorbs or reflects light leaked from the optical lens (300).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100) may be aligned with the central axis (P0) of the optical lens (300), so that the optical axis may be the central axis (P0). The light-emitting elements (100) may have shapes that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100),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2) may have an a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100),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12) and the third incident surface (314) may have asymmetrical shap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100), the first exit surface (340) may have an a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100), the second exit surface (342) and the third exit surface (344) on both sides of the first exit surface (340) may have asymmetrical shap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100), the first total reflection surface (332) and the second total reflection surface (334) may have asymmetrical shap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상기 회로 기판(400)은 수지 재질의 PCB, 금속 코어를 갖는 PCB(MCPCB, Metal Core PCB), 연성 PCB(FPCB, Flexible PC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 소자(100)는 백색, 청색, 녹색, 적색, 황색, 자외선 광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2개 이상을 발광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above circuit board (4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sin material PCB, a metal core PCB (MCPCB, Metal Core PCB), and a flexible PCB (FPCB, Flexible PCB),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may emit at least one or two or more of white, blue, green, red, yellow, and ultraviolet l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회로 기판(400)의 너비는 상기 리세스(315)의 바닥 너비(도 2의 D2)보다 넓을 수 있으며, 5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400)은 상기 광학 렌즈(300)의 제1,2바닥 면(302,304)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400)의 너비는 상기 광학 렌즈(300)으로부터 하 방향으로 진행되는 광을 반사하기 위해, 상기 광학 렌즈(300)의 너비보다 더 넓을 수 있다. The width of the circuit board (400) may be wider than the bottom width (D2 of FIG. 2) of the recess (315) and may be 5 mm or more. The circuit board (400)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bottom surfaces (302, 304) of the optical lens (300). The width of the circuit board (400) may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optical lens (300) in order to reflect light traveling downward from the optical lens (300).

상기 회로 기판(400)의 길이는 상기 광학 렌즈(300)의 길이(도 1의 Y1)보다 길게 배치되어, 상기 광학 렌즈(300)로부터 누설된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400) 상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광학 렌즈(30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circuit board (400) is arrang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optical lens (300) (Y1 in FIG. 1), so that light leaked from the optical lens (300) can be absorbed or reflected. One or more optical lenses (300) can be arranged on the circuit board (400).

상기 발광 소자(100)는 광학 렌즈(300)의 리세스(31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는 리세스(315)의 제1입사면(310), 제2 및 제3입사면(312,31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의 하면은 상기 광학 렌즈(300)의 바닥 면(302,304)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의 하면은 회로 기판(400)의 상면 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의 하면은 상기 회로 기판(400)의 상면 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100)가 적어도 3면 이상으로 발광할 경우, 상기 발광 소자(100)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광학 렌즈(300)의 제1입사면(310), 제2,3입사면(312,314)을 통해 입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소자(100)로부터 방출된 광에 의한 손실을 줄여줄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may be placed within the recess (315) of the optical lens (300).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may be placed adjacent to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second and third incident surfaces (312, 314) of the recess (315).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may be placed above the bottom surface (302, 304) of the optical lens (300).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may be plac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400).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may be plac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400). When the light-emitting elemen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emits light on at least three surface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100) can be incident through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and the second and third incident surfaces (312, 314) of the optical lens (300). Accordingly, loss due to light emitted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100) can be reduced.

도 8과 같이, 상기 발광 소자는 리세스(315)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0)는 상기 광학 렌즈(300)의 바닥 면(302,304)과 동일 수평 선상에 배치되거나, 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발광 소자(100)의 광 지향각 분포를 고려할 때, 상기 발광 소자(100)를 광학 렌즈(300)의 바닥 면보다 아래에 배치하거나, 상기 리세스(315)의 깊이를 줄여줄 수 있으며, 이 경우 발광 소자(100)의 상면 중심(101)과 리세스(315), 입사면들의 관계는 도 4 및 도 5의 관계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315)의 깊이는 2mm 이하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light emitting element may be placed below the recess (315).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may be plac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bottom surface (302, 304) of the optical lens (300), or may be placed lower. Considering the light irradianc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may be placed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optical lens (300), or the depth of the recess (315) may be reduced.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surface center (101)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the recess (315), and the incident surfaces may apply the relationship of Figs. 4 and 5. The depth of the recess (315) may be 2 mm or less.

도 9를 참조하면, 광학 렌즈(300)의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 또는 상부 영역으로 진행하는 광의 각도와 우측 영역 또는 하부 영역으로 진행하는 광의 각도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영역 또는 상부 영역은 제1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우측 영역 또는 하부 영역은 제2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으로 진행하는 광은 정(+)의 각도로 표현하고, 제2영역으로 진행하는 광은 부(-)의 각도로 표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angle of light traveling to the left region or upper region and the angle of light traveling to the right region or lower region can be compared based on the central axis (P0) of the optical lens (300). The left region or upper region can be defined as the first region, and the right region or lower region can be defined as the second region. The light traveling to the first region can be expressed as a positive (+) angle, and the light traveling to the second region can be expressed as a negative (-) angle.

제1출사면(340)의 제1영역을 보면, 상기 광학 렌즈(300)의 제1출사면(340)은 제1입사면(310)에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제1각도(a1)로 입사된 제1광(L1)에 대해 굴절시켜 제2각도(a2)로 출사하게 되며, 상기 제1각도(a1)는 0도 내지 +38도의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각도(a2)는 상기 제1각도(a1)보다 작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a2/a1의 비율은 0 이상 1이하일 수 있으며, 예컨대 0≤a2/a1≤1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Looking at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exit surface (340), the first exit surface (340) of the optical lens (300) refracts the first light (L1) incident at the first angle (a1)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on the first incidence surface (310) and exits at a second angle (a2). The first angle (a1) may be in the range of 0 degrees to +38 degrees, and the second angle (a2) may be an angle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a1). Here, the ratio of a2/a1 may be 0 or more and 1 or less, and may have, for example, a range of 0≤a2/a1≤1.

상기 제1출사면(340)의 제2영역을 보면, 상기 광학 렌즈(300)의 제1출사면(340)은 제1입사면(310)에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제1각도(b1)로 입사된 제2광(L2)에 대해 굴절시켜 제2각도(b2)로 출사하게 되며, 상기 제1각도(b1)는 -36도 내지 0도의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각도(b2)는 상기 제1각도(b1)보다 작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a2/a1의 비율은 -0.7 이상 0이하일 수 있으며, 예컨대 -0.7≤b2/b1≤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출사면(340)으로 출사되는 광(L1,L2)은 상기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축(P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다. 이는 제1출사면(340)으로 출사된 광(L1,L2)이 수평한 광 뿐만 아니라, 중심축(P0)에서 상부 방향으로 진행토록 굴절시켜 줄 수 있다.Looking at the second region of the first exit surface (340), the first exit surface (340) of the optical lens (300) refracts the second light (L2) that is incident on the first incident surface (310) at a first angle (b1)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and exits at a second angle (b2). The first angle (b1) may be in a range of -36 degrees to 0 degrees, and the second angle (b2) may be an angle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b1). Here, the ratio of a2/a1 may be -0.7 or more and 0 or less, and may have a range of -0.7≤b2/b1≤0, for example. The light (L1, L2) exited through the first exit surface (340) may be exi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P0)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This can refract the light (L1, L2) emitted from the first exit surface (340) not only horizontally, but also upwardly from the central axis (P0).

도 10을 참조하면, 제1영역 측 제2출사면(342)을 보면, 상기 광학 렌즈(300)의 제2출사면(342)은 제2입사면(312)에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제1각도(c1)로 입사된 제3광(L3)에 대해 굴절시켜 제2각도(c2)로 출사하게 되며, 상기 제1각도(c1)는 36도 내지 60도(±2)의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각도(c2)는 상기 제1각도(c1)보다 작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c2/c1의 비율은 0 이상 0.1이하일 수 있으며, 예컨대 0≤c2/c1≤0.1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when looking at the second exit surface (342) on the first area side, the second exit surface (342) of the optical lens (300) refracts the third light (L3) incident at a first angle (c1)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to the second incident surface (312) and exits at a second angle (c2). The first angle (c1) may be in the range of 36 degrees to 60 degrees (±2), and the second angle (c2) may be an angle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c1). Here, the ratio of c2/c1 may be 0 or more and 0.1 or less, and may have, for example, a range of 0≤c2/c1≤0.1.

제2영역 측 제3출사면(344)을 보면, 상기 광학 렌즈(300)의 제3출사면(344)은 제3입사면(314)에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제1각도(d1)로 입사된 제4광(L4)에 대해 굴절시켜 제2각도(d2)로 출사하게 되며, 상기 제1각도(d1)는 -60도 내지 -36도(±2)의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각도(d2)는 상기 제1각도(d1)보다 작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d2/d1의 비율은 -0.2 이상 0 이하일 수 있으며, 예컨대 -0.2≤d2/d1≤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Looking at the third exit surface (344) on the second area side, the third exit surface (344) of the optical lens (300) refracts the fourth light (L4) incident at the third incidence surface (314) at a first angle (d1)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and exits at a second angle (d2). The first angle (d1) may be in the range of -60 degrees to -36 degrees (±2), and the second angle (d2) may be an angle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d1). Here, the ratio of d2/d1 may be -0.2 or more and 0 or less, and may have a range of, for example, -0.2≤d2/d1≤0.

상기 제2출사면(342)으로 출사되는 광(L3)은 상기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축(P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다. 이는 제2출사면(342)으로 출사된 광(L3)이 중심축(P0) 보다 상부 방향으로 진행토록 굴절시켜 주어, 상부 방향에서의 광 분포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출사면(343)으로 출사되는 광(L4)은 상기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축(P0)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다. 이는 제3출사면(343)으로 출사된 광(L4)이 중심축(P0)의 하부에서 중심축(P0)에 가까워진 방향으로 진행하여, 상부 방향에서의 광 분포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The light (L3) emitted through the second exit surface (342) can be emit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P0)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This allows the light (L3) emitted through the second exit surface (342) to be refracted so as to proceed in a direction higher than the central axis (P0), thereby forming a light distribution in the upper direction. In addition, the light (L4) emitted through the third exit surface (343) can be emitt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central axis (P0)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This allows the light (L4) emitted through the third exit surface (343) to proce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central axis (P0) from below the central axis (P0), thereby forming a light distribution in the upper direction.

실시 예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제1출사면(340), 제2출사면(342), 제3출사면(344)을 통해 출사되는 광들(L1,L2,L3,L4)의 굴절 각이 다르고 제1영역의 방향으로 진행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영역 상의 서로 다른 타켓을 향하여 조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분포를 균일한 분포로 제공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light (L1, L2, L3, L4) emitted through the first exit surface (340), the second exit surface (342), and the third exit surface (344) has different refractive angles and travel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region, so that it can be irradiated toward different targets on the first region. Accordingly, the light distribution can be provided as a uniform distribution.

도 11 내지 도 15는 실시 예에 따른 라이트 유닛의 변형 예들이다.Figures 11 to 15 are examples of modifications of light units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11을 참조하면, 제1라이트 유닛의 제1광학 렌즈(300)와, 제2라이트 유닛의 제2광학 렌즈(300B)를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제1광학 렌즈(300)와 제2광학 렌즈(300B)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광학 렌즈(300)는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좌측 제1영역 상에 제2출사면(342)이 배치되며, 제2광학 렌즈(300B)는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우측 제2영역 상에 제2출사면(342)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2광학 렌즈(300,300B)는 센터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광이 조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first optical lens (300) of the first light unit and the second optical lens (300B) of the second light unit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optical lens (300) and the second optical lens (300B)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optical lens (300) has the second exit surface (342) arranged on the first region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and the second optical lens (300B) has the second exit surface (342) arranged on the second region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lenses (300, 300B) may irradiate light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도 12를 참조하면, 제1라이트 유닛의 제1광학 렌즈(300)와, 제2라이트 유닛의 제2광학 렌즈(301)를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제1광학 렌즈(300)와 제2광학 렌즈(301)가 서로 동일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광학 렌즈(300)는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좌측 제1영역 상에 제2출사면(342)이 배치되며, 제2광학 렌즈(301)는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제1영역 상에 제2출사면(342)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2광학 렌즈(300,301)는 센터를 기준으로 제1영역 방향으로 광이 조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first optical lens (300) of the first light unit and the second optical lens (301) of the second light unit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optical lens (300) and the second optical lens (301) can be arranged with the same structure. For example, the first optical lens (300) has the second exit surface (342) arranged on the first region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and the second optical lens (301) has the second exit surface (342) arranged on the first reg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lenses (300, 301) can irradiate light toward the first reg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도 13를 참조하면, 제1라이트 유닛의 제1광학 렌즈(300)와, 제2라이트 유닛의 제2광학 렌즈(300)를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제1광학 렌즈(300)와 제2광학 렌즈(300)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광학 렌즈(300)는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우측 제2영역 상에 제2출사면(342)이 배치되며, 제2광학 렌즈(300)는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좌측 제1영역 상에 제2출사면(342)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2광학 렌즈(300)는 센터를 기준으로 센터 방향으로 광이 조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 first optical lens (300) of the first light unit and the second optical lens (300) of the second light unit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optical lens (300) and the second optical lens (300)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optical lens (300) has a second exit surface (342) arranged on the second region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and the second optical lens (300) has a second exit surface (342) arranged on the first region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lenses (300) may irradiate light toward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도 14를 참조하면, 제1라이트 유닛의 제1광학 렌즈(300)와, 제2라이트 유닛의 제2광학 렌즈(300C)는 서로 마주보거나 서로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광학 렌즈(300)와 제2광학 렌즈(300C)는 센터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광학 렌즈(300)는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상부 제1영역 상에 제2출사면(342)이 배치되며, 제2광학 렌즈(300C)는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상부 제1영역 상에 제2출사면(342)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2광학 렌즈(300,300C)는 센터 상부 방향으로 광이 조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2광학 렌즈(300,300C)는 상부에 반사 시트(160A)나 반사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고, 하부에 투광을 위한 시트(180A)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광을 위한 시트(180A)는 확산 시트, 또는 프리즘 시트, 투명한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라이트 유닛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the first optical lens (300) of the first light unit and the second optical lens (300C) of the second light unit may face each other or be positioned on opposite sides. The first optical lens (300) and the second optical lens (300C) may be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For example, the first optical lens (300) has a second exit surface (342) positioned on the upper first reg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and the second optical lens (300C) has a second exit surface (342) positioned on the upper first reg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lenses (300, 300C) may irradiate light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center.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lenses (300, 300C) may have a reflective sheet (160A) or a reflective structure placed on the upper side, and a sheet (180A) for light transmission placed on the lower side. The sheet (180A) for light transmiss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ffusion sheet, a prism sheet, or a transparent sheet. The first and second light units may be placed at the same height, or may be placed at different heights.

도 15를 참조하면, 제1라이트 유닛의 제1광학 렌즈(300)와, 제2라이트 유닛의 제2광학 렌즈(300)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광학 렌즈(300)와 제2광학 렌즈(300)는 센터를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광학 렌즈(300)는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상부 제1영역 상에 제2출사면(342)이 배치되며, 제2광학 렌즈(300)는 중심축(P0)을 기준으로 하부 제1영역 상에 제3출사면(344)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2광학 렌즈(300)는 센터 상부/하부 방향으로 광이 조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2라이트 유닛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first optical lens (300) of the first light unit and the second optical lens (300) of the second light unit can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optical lens (300) and the second optical lens (300) can be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For example, the second exit surface (342) of the first optical lens (300) is arranged on the upper first reg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and the third exit surface (344) of the second optical lens (300) is arranged on the lower first reg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lenses (300) can irradiate light in the upper/lower direction of the center.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light units can be arranged at the same height or at different heights.

실시 예에 따른 광학 렌즈(300)는 직선 형상을 갖는 바 형상이거나, 곡선 형상을 갖는 바 형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곡선 형상을 갖는 바 형상의 광학 렌즈(300) 및 이를 갖는 조명 장치의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optical lens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a bar shape having a straight shape or a bar shape having a curved shap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as an example of an optical lens (300) having a bar shape having a curved shape and a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도 16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로서, 도 2의 광학 렌즈를 갖는 조명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조명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조명 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조명 장치의 A-A측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0은 도 19의 조명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21은 도 17의 조명 장치의 A-A측 측 단면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조명 장치의 광학 렌즈에 의한 광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ich has the optical lens of FIG. 2, FIG. 17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16, FIG. 18 is a bottom view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17,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long the line A-A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17, FIG. 20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19, FIG. 21 is a front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long the line A-A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17, and FIG. 2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n optical path by an optical lens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21.

도 16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는 외측 둘레가 원 형상을 갖고 하부에 오픈 영역(10)이 배치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오픈 영역(10)의 외측 둘레에 복수의 발광 소자(173)가 배열된 발광 모듈(170), 상기 발광 모듈(170)의 광 출사측에 실시 예에 따른 광학 렌즈(300), 상기 발광 모듈(170)의 후방에 배치되며 오픈 영역(50)을 갖는 방열 프레임(150), 상기 방열 프레임(150)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되며 상기 광학 렌즈(300)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하는 상부 커버(160), 상기 하우징(110)의 오픈 영역(105)에 배치되며 상기 광학 렌즈(300)로 출사된 광 및 상기 상부 커버(160)에 의해 반사된 광을 확산시켜 출사하는 광학 부재(18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6 to 22, the light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110) having a circular outer perimeter and an open area (10) disposed at the bottom, a light emitting module (170)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173) arranged on the outer perimeter of the open area (10) of the housing (110), an optical len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 a light emitting sid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70), a heat dissipation frame (150) disposed at the rear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70) and having an open area (50), an upper cover (160) coupled to the housing (110) on the outer side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150) and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lens (300), and an optical member (180) disposed in the open area (105) of the housing (110) and diffusing and emitting light emitted by the optical lens (300) and light reflected by the upper cover (160).

도 16 내지 도 19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은 하부 둘레 예컨대, 외곽 형상이 원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반경(r2)은 100mm 이상 예컨대, 130mm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하우징(110)을 갖는 조명 장치의 두께는 10mm 이상 예컨대, 15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의 두께는 15mm 내지 30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조명 장치는, 내부에 광학 렌즈(300)를 채용함으로써, 광 확산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학 렌즈(300)의 반경(r1)은 90mm 이상 예컨대, 110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광학 렌즈(300)는 상기 조명 장치 내에 하나 또는 복수개 예컨대, 2개 이상이 링 형상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광학 렌즈(300)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거나,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6 to 19, the housing (110) has a lower circumference, for example, an outer shape, that is, a circular shape. The radius (r2) of the housing (110) may be 100 mm or more, for example, 130 mm or mo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thickness of the lighting device having the housing (110) may be 10 mm or more, for example, 15 mm or more. The thickness of the lighting device may range from 15 mm to 30 mm. The lighting device may reduce the light diffusion space by employing an optical lens (300) therein. Here, the radius (r1) of the optical lens (300) may be 90 mm or more, for example, 110 mm or more. The optical lens (300) may be arranged in a ring shape, one or more, for example, two or more, within the lighting device. The two or more optical lenses (300) may have the same length or different lengths.

상기 하우징(110)은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예컨대 PC(Polycarbonate), PETG(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PE(polyethylene), PSP(Polystyrene Paper), PP(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광 반사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내측 표면에 반사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금속이거나, 비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상기 금속인 경우,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은, 은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11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for example, at least one of PC (Polycarbonate), PETG (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PE (polyethylene), PSP (polystyrene paper), PP (polypropylene), and PVC (polyvinyl chloride).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light reflectivity, or a reflective layer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 housing (110) may be made of a metal or a non-metallic material. In the case of the meta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luminum, an aluminum alloy, silver, and a silver alloy.

도 20과 같이, 상기 하우징(110)은 외곽 둘레에 외곽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곽부(112) 내에는 발광 모듈(170)이 배치된다. 상기 외곽부(112)는 상기 상부 커버(160)의 외곽부(165)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곽부(112)는 상기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재질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곽부(112)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곽 둘레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0)의 외곽 둘레의 강성을 강화시켜 줄 수 있고, 상기 상부 커버(160)의 외곽부(165)와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0, the housing (110) may have an outer portion (112) on its outer periphery. A light-emitting module (170) is arranged within the outer portion (112). The outer portion (112) may be combined with the outer portion (165) of the upper cover (160). The outer portion (11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110) or may be combined with a separate material. The outer portion (112) may protrude outwardly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110), thereby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110) and facilitating combination with the outer portion (165) of the upper cover (160).

상기 하우징(110)의 외곽부(112)는 내측에 리세스(27)를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26)는 상기 방열 프레임(150)의 외측 돌기(15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지지부(113)는 상기 광학 부재(180)의 외측 둘레를 지지하게 된다. The outer portion (112) of the housing (110) includes a recess (27) on the inner side, and the recess (26) can be joined with an outer protrusion (155)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150). The support portion (113) of the housing (110) suppor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tical member (180).

상기 하우징(110)에는 복수의 체결 구멍(17)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 구멍(17)은 상부 커버(160)의 외곽부(165)의 체결 구멍(16)을 통해 체결 수단이 체결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7) can be arranged in the above housing (110), and a fastening means can be fastened to these fastening holes (17) through the fastening holes (16) of the outer portion (165) of the upper cover (160).

상기 하우징(110) 상에는 방열 프레임(150)이 결합되며, 상기 방열 프레임(150)의 방열부(151)의 하부는 상기 하우징(110)의 홈(2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홈(20)은 방열 프레임(150)의 하부를 따라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150)은 금속 재질의 방열체로서, 상기 발광 모듈(170)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열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150)은 Ag, Ni, Al, Rh, Pd, Ir, Ru, Mg, Zn, Pt, Cu, Au, Hf의 물질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갖는 선택적인 합금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150)은 단층 또는 다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A heat dissipation frame (150) is coupled to the housing (110), and a lower portion of a heat dissipation part (151)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150) can be inserted into a groove (20) of the housing (110). The groove (20) can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150). The heat dissipation frame (150) is a heat dissipation body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can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emitting module (170). The heat dissipation frame (150) can include at least one of Ag, Ni, Al, Rh, Pd, Ir, Ru, Mg, Zn, Pt, Cu, Au, and Hf, or an optional alloy having at least one. The heat dissipation frame (150) can be laminated in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상기 방열 프레임(150)은 방열 효율을 위해, 상기 회로 기판의 너비(높이)보다 넓게 형성되어, 방열 표면적을 증가시켜 줄 수 있다. The above heat dissipation frame (150) may be formed wider than the width (height) of the circuit board to increase heat dissipation surface area for heat dissipation efficiency.

상기 광학 렌즈(300)는 상기 발광 모듈(170)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방열 프레임(150)의 지지부(15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150)의 지지부(153)는 상기 광학 렌즈(300)가 쳐지는 것을 지지하고, 상기 광학 부재(180)의 상면을 눌러줄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150)의 지지부(153)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광학 부재(180)의 상면과 광학 렌즈(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optical lens (300) may be placed on the light-emitting module (170) and may be placed on the support member (153) of the heat-dissipating frame (150). The support member (153) of the heat-dissipating frame (150) may support the optical lens (300) from being sagged and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optical member (180). The support member (153) of the heat-dissipating frame (150) may protrude inwardly and may be plac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optical member (180) and the optical lens (300).

상기 발광 모듈(170)은 회로 기판(171) 및 상기 회로 기판(171)의 내측에 배열된 복수의 발광 소자(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71)은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가 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71)은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수지 재질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메탈 코어 PCB(MCPCB, Metal Core PCB), 세라믹 기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170)은 다른 예로서, 회로 기판(171)이 없이 발광 소자가 다른 부재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71)은 상기 방열 프레임의 방열부(151) 상에 접착 부재 또는 방열성 접착제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71)은 상기 방열부(151)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71)의 배면은 수평한 축에 대해 90도의 각도로 배치되거나, 90도 이상 120도 이하의 범위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로 기판(171)은 수평한 축에 대해 90도 이상의 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발광 소자(173)로부터 방출된 광 중에서 광학 부재(180)로 직접 조사되는 광의 양을 줄여줄 수 있다. The light-emitting module (170) may include a circuit board (171) and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elements (173) arranged on the inside of the circuit board (171). At least one or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171)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The circuit board (171) may be a flexible board, and as another examp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inted circuit board (PCB) made of a resin material, a metal core PCB (MCPCB), and a ceramic board. As another example, the light-emitting module (170) may have a light-emitting element adhered to another member without the circuit board (171). The circuit board (171) may be attached to a heat-radiating portion (151) of the heat-radiating frame using an adhesive material or a heat-radiating adhesive. The circuit board (171) may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heat-radiating portion (151). The back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71) may be arranged at an angle of 90 degrees to the horizontal axis, or may be arranged in a range of 90 degrees or more and 120 degrees or less. That is, the circuit board (171) may be arranged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to the horizontal axis,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light directly irradiated to the optical member (180) amo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173).

상기 발광 소자(173)의 출사면은 반대측 회로 기판(171)과 대응되거나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73)의 출사면은 수평한 축에 대해 90도 이상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73)는 상기 회로 기판(171) 상에 1열 또는 2열 이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 소자(173)는 청색, 적색, 녹색, 백색, UV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할 수 있으며, 예컨대 조명을 위해 백색 광이 발광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73)는 칩 형태 또는 패키지 형태로 회로 기판(171) 상에 탑재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발광 소자(173)의 지향각은 115도 이상 예컨대, 118도 내지 160도 범위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The emission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73)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or be misaligned with the opposite circuit board (171). The emission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73) may be arranged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The light emitting element (173) may be arranged in one or two or more rows on the circuit board (171),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173) may emit at least one of blue, red, green, white, and UV, and may emit white light for illumination,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element (173) may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71) in a chip form or a package form, and in this case, the beam angle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173) may be 115 degrees or mor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18 degrees to 160 degre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173)는 회로 기판(171) 상에서 예를 들어, 웜 화이트 발광소자(Warm white LED)와 쿨 화이트 발광 다이오드(Cool white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웜 화이트 발광 다이오드와 쿨 화이트 발광 다이오드는 백색광을 방출하는 소자이다. 웜 화이트 발광 다이오드와 쿨 화이트 발광 다이오드가 각각 상관색 온도를 발산하여 혼합된 빛의 백색광을 발산시킬 수 있으므로, 자연 태양광에 가까움을 나타내는 연색 지수(Color Rendering Index: CRI)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실제 물체의 색이 왜곡되는 곳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눈의 피로감을 감소시켜 준다.The light-emitting element (17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for example, a warm white light-emitting element (Warm white LED) and a cool white light-emitting diode (Cool white LED) on the circuit board (171). The warm white light-emitting diode and the cool white light-emitting diode are elements that emit white light. Since the warm white light-emitting diode and the cool white light-emitting diode can emit white light of mixed light by emitting a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the color rendering index (CRI) indicating that it is close to natural sunlight increas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or of an actual object from being distorted and reduce eye fatigue of the user.

상기 광학 렌즈(300)는 상기 조명 장치 내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광학 렌즈는 2개 또는 3개 이상이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광학 렌즈(300)는 실시 예의 광학 렌즈로서, 예컨대 도 2와 같은 구조 및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The optical lens (30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one or more, within the lighting device. The plurality of optical lenses may be two or three or mo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optical lens (300) is an optical lens of an embodiment, and for example, the structure and description as in FIG. 2 will be referred to.

여기서, 상기 상부 커버(160)는 플라스틱 재질이거나 수지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160)는 고 반사 수지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160)는, 예를 들어,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VC poly(vinyl chloride) 레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반사 수지 재질은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수지 재질 내에 불순물을 첨가하여, 고 반사 수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불순물은 SiO2, TiO2, Al2O3, 및 MgO와 같은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160)는 반사부(161) 아래에 상기 광학 부재(180)와 대응되는 반사 면(163)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반사 면(163)은 고 반사 면이거나 러프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에는 광학 렌즈(300)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광학 부재(180)의 반사 면을 플랫하거나 수평한 평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면은 플랫한 면이거나, 오목한 곡면 또는/및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면(163)에는 반사 물질이 코팅되거나 도포되거나, 고 반사 물질이 러프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upper cover (16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or a resin material. The upper cover (160) may be a highly reflective resin material. The upper cover (16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C (polycarbonate), PVC poly(vinyl chloride) resin,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flective resin material may be formed as a highly reflective resin material by adding impurities to a resin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epoxy. The impuritie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aterials such as SiO 2 , TiO 2 , Al 2 O 3 , and MgO. The upper cover (160) may have a reflective surface (163) corresponding to the optical member (180) under the reflective portion (161), and the reflective surface (163) may be a highly reflective surface or a rough surface. By employing an optical lens (300) in the embodiment,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optical member (180) can be provided as a flat or horizontal plane. The reflective surface can be a flat surface, or can include a concave curved surface and/or a convex curved surface. A reflective material can be coated or applied on the reflective surface (163), or a highly reflective material can be roughly formed.

상기 광학 부재(180)의 외측 둘레는 상기 방열 프레임(150)의 지지부(153)과 하우징(110)의 지지부(113) 사이에 끼워질 수 있어, 외부 이동이 차단되며 빛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180)는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 시트는 입사된 광을 확산시켜 주어, 조명 영역에 균일한 광도로 조사되도록 한다. 상기 광학 부재(180)는 확산 재질 예컨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및 폴리스틸렌(P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180)에는 복수의 광학 시트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광학 부재(180)의 하부 둘레는 하우징(110)의 지지부(113)에 의해 쳐지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tical member (180) can be sandwich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153) of the heat dissipation frame (150) and the support member (113) of the housing (110), so that external movement is blocked and light leakage can be prevented. The optical member (180) can include a diffusion sheet. The diffusion sheet diffuses incident light, so that it can be irradiated to the illumination area with a uniform brightness. The optical member (180) can include at least one of a diffusion material, for example, polymethyl methacrylate ( PMMA ),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and polystyrene (PS). A plurality of optical sheets can be arranged on the optical member (18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lower periphery of the optical member (18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agging by the support member (113) of the housing (110).

상기 광학 렌즈(300)는 도 2와 같이, 제1출사면(340)이 제3출사면(344)보다 위에 배치되고, 제2출사면(342)이 제1출사면(340)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 렌즈(300)의 제1,2출사면(340,342)으로 출사된 광이 중심축(P0)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 예컨대, 상부 커버(160)의 반사부(161)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렌즈(300)의 3출사면(344)으로 방출된 광이 중심축(P0) 방향 또는 상부 커버(160)의 반사부(161)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광학 렌즈(300)의 제1,2,3출사면 (340,342,344)에 의해 출사된 광이 상부 커버(160)의 서로 다른 영역에 조사됨으로써, 균일한 광 분포를 제공하게 되며, 이 경우 상부 커버(160)에 의해 균일한 분포의 광이 광학 부재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optical lens (300) may have the first exit surface (340) positioned above the third exit surface (344), and the second exit surface (342) positioned above the first exit surface (340). Light emit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xit surfaces (340, 342) of the optical lens (300) may be emit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0), for example, toward the reflection portion (161) of the upper cover (160). In addition, light emitted through the third exit surface (344) of the optical lens (300) may travel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P0) or toward the reflection portion (161) of the upper cover (160). The light emitt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ission surfaces (340, 342, 344) of the optical lens (300) is irradiated to different areas of the upper cover (160), thereby providing a uniform light distribution. In this case, the light with a uniform distribution can be irradiated toward the optical member by the upper cover (160).

도 19 및 도 22를 참조하면, 상부 커버(160)의 중심 지점을 (0.0)이라고 하고, 서로 반대측의 발광 모듈 부분을 입광부로 정의하고, 예컨대 좌측을 좌측 입광부로 정의하고, 우측을 우측 입광부로 정의할 수 있다. 상부 커버(160)의 중심 지점에 대해 좌측 입광부 지점을 (-1,0)이라고 하고, 우측 입광부 지점을 (1,0)이라고 하고, 중심 지점과 좌측 입광부 지점 사이의 중간 지점을 (-0.5)라고 하고, 중심 지점과 우측 입광부 지점 사이의 중간 지점을 (0.5)이라고 할 때, 좌측 입광부를 기준으로, 도 9와 같은 제1영역의 제1출사면(340)으로 방출된 제1광은 -0.5 지점으로 진행하고, 제2영역의 제2출사면(342)으로 진행하는 제2광은 0.25지점으로 진행하며, 도 10과 같이 제1영역의 제2출사면(342)으로 출사된 광은 중심부 지점으로 진행되고, 제2영역의 제3출사면(344)으로 출사된 광은 중심부 지점으로 진행하게 된다. 즉, 일측 입광부의 광학 렌즈(300)로부터 방출된 광들은 상부 커버(160)의 -0.5지점부터 반대측 0.25 지점까지를 커버하게 되므로, 링 형상의 입광부인 광학 렌즈(300)로부터 방출된 광들에 의해 상부 커버(160)의 전 영역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렌즈(300)의 제1,2, (340,342,344)으로 진행하는 광은 상부 커버(160)의 전 영역으로 균일한 분포로 조사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9 and FIG. 22, the center point of the upper cover (160) is defined as (0.0), and the light-emitting module parts on opposite sides are defined as light-incident parts, for example, the left side can be defined as the left light-incident part, and the right side can be defined as the right light-incident part. When the left light incident point is designated as (-1,0)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upper cover (160), the right light incident point is designated as (1,0), the midpoint between the center point and the left light incident point is designated as (-0.5), and the midpoint between the center point and the right light incident point is designated as (0.5), with respect to the left light incident point, the first light emitted through the first exit surface (340) of the first region as shown in FIG. 9 proceeds to the -0.5 point, and the second light emitted through the second exit surface (342) of the second region proceeds to the 0.25 point, and as shown in FIG. 10,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second exit surface (342) of the first region proceeds to the center point, and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third exit surface (344) of the second region proceeds to the center point. That is, 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lens (300) of one side of the light-incident portion covers the area from the -0.5 point to the 0.25 poin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cover (160), the entire area of the upper cover (160) can be irradiated by the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lens (300), which is a ring-shaped light-incident portion. The light travel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340, 342, 344) optical lenses (300) is irradiated with a uniform distribution to the entire area of the upper cover (160).

상기 상부 커버(160)는 상기와 같이 입사된 광을 광학 부재(180)로 반사시켜 주게 되며, 상기 광학 부재(180)는 균일한 분포의 광을 더 확산시켜 주어, 출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출사된 광에서의 핫 스팟 문제를 억제할 수 있으며, 도 25와 같은 균일한 광도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 장치의 불쾌지수(UGR: Unified glare rating)를 보면, 19이하를 갖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불쾌 글레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IE 규정치에서는 불쾌 지수(UGR)가 21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분류하고 있다. The upper cover (160) reflects the incident light as described above to the optical member (180), and the optical member (180) further diffuses the light with a uniform distribution, thereby emitting it. Accordingly, the hot spot problem in the emitted light can be suppressed, and a uniform light intensity distribution as in FIG. 25 can be achieved. Looking at the discomfort index (UGR: Unified glare rating) of the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found to be 19 or less, indicating that there is no discomfort glare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CIE standard, a discomfort index (UGR) of 21 or more is classified as being uncomfortable for the user.

도 23 및 도 24는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 또는 광학 렌즈 내의 발광 소자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S. 23 and 24 are drawings showing examples of light-emitting elements in a lighting device or optical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 소자(173)는 예컨대, 오목부(260)를 갖는 몸체(210), 상기 오목부(260) 내에 복수의 리드 프레임(221,231), 및 상기 오목부(260) 내에 적어도 하나의 발광 칩(271,27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3 and 24, the light-emitting element (173) includes, for example, a body (210) having a concave portion (260), a plurality of lead frames (221, 231) within the concave portion (260), and at least one light-emitting chip (271, 272) within the concave portion (260).

상기 몸체(210)는 절연 재질, 또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0)는 폴리프탈아미드(PPA: Polyphthalamide)와 같은 수지 재질, 실리콘(Si), 금속 재질, PSG(photo sensitive glass), 사파이어(Al2O3), 인쇄회로기판(PCB)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몸체(210)는 수지 재질 예컨대, 폴리프탈아미드(PPA), 에폭시 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210)로 사용되는 에폭시 또는 실리콘 재질 내에는 반사 효율을 높이기 위해 TiO2, SiO2와 같은 금속 산화물인 필러(filler)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몸체(210)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0)는 다른 예로서,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수지 재질의 기판(PCB), 방열 금속을 갖는 기판(Metal Core PCB), 세라믹 기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0)는 콘트라스트(Contrast) 향상을 위해 어두운 색 또는 검은색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body (210)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or a conductive material. The body (21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 resin material such as polyphthalamide (PPA), silicon (Si), a metal material, PSG (photo sensitive glass), sapphire (Al 2 O 3 ), and a printed circuit board (PCB). For example, the body (210)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such as polyphthalamide (PPA), epoxy, or silicon. A filler, such as a metal oxide such as TiO 2 or SiO 2 , may be added to the epoxy or silicon material used as the body (210) to increase reflection efficiency. The body (210) may include a ceramic material. The body (210) may include a circuit board as another exampl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sin material substrate (PCB), a substrate having a heat-dissipating metal (Metal Core PCB), and a ceramic substrate. The above body (210) may be formed in a dark color or black to improve contras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몸체(210)는 소정 깊이를 갖는 오목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오목부(260)는 상기 몸체(210)의 상면(25)으로부터 오목한 컵 구조, 캐비티(cavity) 구조, 또는 리세스(recess) 구조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오목부(260)의 측벽은 바닥에 대해 수직하거나 경사질 수 있으며, 상기 측벽들 중 2개 이상의 측벽이 동일한 각도 또는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260)의 표면에는 다른 재질의 반사층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body (210) includes a concave portion (26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he concave portion (260)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as a concave cup structure, a cavity structure, or a recess structure from the upper surface (25) of the body (2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ide wall of the concave portion (260) may be perpendicular to the floor or inclined, and two or more of the side walls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at the same angle or different angles. A reflective layer of a different material may be further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26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몸체(210)의 형상은 위에서 볼 때,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거나, 원형, 타원형, 또는 곡면을 갖는 형상이거나, 모서리가 곡면인 다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shape of the above body (210) may be formed as a polygonal structure such as a triangle, square, or pentagon when viewed from above, or may be a shape having a circle, an ellipse, or a curved surface, or may be a polygonal shape with curved corn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몸체(210)는 외측 면은 상기 몸체(210)의 하면에 대해 수직하거나 경사진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210)의 길이(Y5)는 너비(X5)와 다를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길이(Y5)는 너비(X5)의 2배 이상 예컨대, 3배 이상일 수 있으며, 발광 소자(173)의 최대 길이(Y6)보다 짧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몸체(210)의 길이 방향은 너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이 된다. 상기 발광 소자(173) 내에는 복수의 발광 칩(271,272)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10) may be formed as a surface that is perpendicular or incli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210). The length (Y5) of the body (210) may be different from the width (X5), for example, the length (Y5) may be at least twice, for example, at least three times, the width (X5), and may be shorter than the maximum length (Y6)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173).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210)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chips (271, 272)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light-emitting element (173).

상기 발광 소자(173) 내에는 복수의 발광 칩(271,272)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배열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73)는 방열 측면에서 개별 리드 프레임(221,231) 상에 각 발광 칩(271,272)을 배치하거나, 하나의 리드 프레임 상에 복수의 발광 칩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173)의 길이가 너비보다 길게 배치함으로써, 각 발광 칩(271,272)의 방열 효율이 개선될 수 있고, 발광 칩(271,272)의 사이즈를 증가시켜 줄 수 있어, 고 휘도의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light-emitting element (173),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chips (271, 272) can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erms of heat dissipation, the light-emitting element (173) can have each light-emitting chip (271, 272) arranged on an individual lead frame (221, 231), or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chips arranged on a single lead frame.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length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173) to be longer than its width,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of each light-emitting chip (271, 272) can be improved, and the size of the light-emitting chip (271, 272) can be increased, thereby providing a high-brightness element.

상기 몸체(210)의 오목부(260)에는 복수의 리드 프레임(221,231)이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리드 프레임(221,231)은 적어도 2개 또는 3개 이상의 금속 프레임을 포함하며, 예컨대 제1 및 제2리드 프레임(221,2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리드 프레임(221,231)은 간극부(219)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lead frames (221, 231) are arranged in the concave portion (260) of the body (210). The plurality of lead frames (221, 231) include at least two or three or more metal frame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first and second lead frames (221, 231). The first and second lead frames (221, 231) may be separated by a gap portion (219).

상기 오목부(260) 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발광 칩(271,27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칩(271,272)은 적어도 2개 또는 3개 이상의 LED 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2발광 칩(271,2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드 프레임(221,231) 중 적어도 하나의 위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발광 칩(271,272)이 배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복수의 리드 프레임(221,231) 각각의 위에 적어도 하나의 발광 칩(271,27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칩(271,272)은 상기 복수의 리드 프레임(221,231)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271,272) 각각은 광원으로 정의될 수 있다. One or more light-emitting chips (271, 272) may be placed in the concave portion (260). The plurality of light-emitting chips (271, 272) may include at least two or three or more LED chip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chips (271, 272). One or more light-emitting chips (271, 272) may be plac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ead frames (221, 231), and for example, at least one light-emitting chip (271, 272) may be plac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lead frames (221, 231). The plurality of light-emitting chips (271, 272)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ead frames (221, 231). Each of the light-emitting chips (271, 272) may be defined as a light source.

상기 복수의 리드 프레임(221,231)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오목부(260)의 바닥 보다 낮은 깊이를 갖는 캐비티(cav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리드 프레임(221)은 제1캐비티(225)를 포함하며, 상기 제1캐비티(225)는 상기 오목부(260)의 바닥보다 낮은 깊이로 함몰된다. 상기 제1캐비티(225)는 상기 오목부(260)의 바닥부터 상기 몸체(210)의 하면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 예컨대, 컵(Cup) 구조 또는 리세스(recess)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제1캐비티(225)는 상기 제1리드 프레임(221)이 벤딩되거나 에칭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ead frames (221, 231) may include a cavity having a depth lower than the bottom of the recessed portion (260). The first lead frame (221) includes a first cavity (225), and the first cavity (225) is sunken to a depth lower than the bottom of the recessed portion (260). The first cavity (225) includes a concave shape from the bottom of the recessed portion (260)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210), for example, a cup structure or a recessed shape. The first cavity (225) may be formed by bending or etching the first lead frame (22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캐비티(225)의 측벽 및 바닥은 상기 제1리드 프레임(221)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캐비티(225)의 둘레 측벽은 상기 제1캐비티(225)의 바닥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티(225)의 측벽 중에서 마주되는 두 측벽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거나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1캐비티(225)의 측벽 및 바닥의 프레임 두께는 상기 제1리드 프레임(221)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일 수 있다. The side wall and the bottom of the first cavity (225) are formed by the first lead frame (221), and the peripheral side wall of the first cavity (225)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cavity (225).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first cavity (225) may be inclined at the same angle or may be inclined at different angles. The frame thickness of the side wall and the bottom of the first cavity (225) may be the same thickness as the thickness of the first lead frame (221).

상기 제2리드 프레임(231)은 제2캐비티(235)를 포함하며, 상기 제2캐비티(235)는 상기 오목부(260)의 바닥보다 낮은 깊이로 함몰된다. 상기 제2캐비티(235)는 상기 제2리드 프레임(231)의 상면 또는 상기 오목부(260)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몸체(210)의 하면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 예컨대, 컵(Cup) 구조 또는 리세스(recess)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제2캐비티(235)는 상기 제2리드 프레임(231)이 벤딩되거나 에칭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2캐비티(235)의 바닥 및 측벽은 상기 제2리드 프레임(231)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2캐비티(235)의 측벽은 상기 제2캐비티(235)의 바닥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캐비티(235)의 측벽 중에서 대응되는 두 측벽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거나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2캐비티(235)의 측벽 및 바닥의 프레임 두께는 상기 제2리드 프레임(231)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일 수 있다. The second lead frame (231) includes a second cavity (235), and the second cavity (235) is sunken to a depth lower than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260). The second cavity (235) includes a concave shape, for example, a cup structure or a recess shap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ead frame (231) or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260)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210). The second cavity (235) may be formed by bending or etching the second lead frame (231),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bottom and side walls of the second cavity (235) are formed by the second lead frame (231), and the side walls of the second cavity (235)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cavity (235). Among the side walls of the second cavity (235), two corresponding side walls may be inclined at the same angle or may be inclined at different angles. The frame thickness of the side walls and bottom of the second cavity (235) may be the same thickness a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ead frame (231).

상기 제1캐비티(225) 및 상기 제2캐비티(235)의 바닥 형상은 다각형 또는, 부분 곡면을 갖는 다각형 형상이거나, 원 또는 타원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bottom shape of the first cavity (225) and the second cavity (235) may be a polygon or a polygonal shape with a partial curved surface, or a circle or an ellip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리드 프레임(221) 및 상기 제2리드 프레임(231)의 일부 하면은 상기 몸체(210)의 하부로 노출되며, 상기 몸체(210)의 하면과 동일 평면 또는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드 프레임(221) 및 상기 제2리드 프레임(231)의 일부 하면은 상기 제1 및 제2캐비티(225,135)의 바닥의 반대측 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캐비티(225,135)의 바닥 반대측 면은 상기 몸체(210)의 하면에 노출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lead frame (221) and the second lead frame (231) are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210) and may be arranged on the same plane as or on a different plan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210).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lead frame (221) and the second lead frame (231) include opposite surfaces of the bottoms of the first and second cavities (225, 135).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bottoms of the first and second cavities (225, 135) may be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210).

상기 제1리드 프레임(221)은 제1리드부(2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리드부(223)는 상기 몸체(210)의 외 측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리드 프레임(231)은 제2리드부(233)를 포함하며, 상기 제2리드부(233)는 상기 몸체(210)의 외 측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드부(223)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리드부(233)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리드부(223,233)는 오목부(26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lead frame (221) includes a first lead portion (223), and the first lead portion (223) may protrude from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body (210). The second lead frame (231) includes a second lead portion (233), and the second lead portion (233) may protrude from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body (210). One or more first lead portions (223) may protrude, and one or more second lead portions (233) may protrude. The first and second lead portions (223, 233) may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oncave portion (260).

상기 제1리드 프레임(221) 및 제2리드 프레임(231)은 금속 재질, 예를 들어, 티타늄(Ti), 구리(Cu), 니켈(Ni), 금(Au), 크롬(Cr), 탄탈늄(Ta), 백금(Pt), 주석(Sn), 은(Ag), 인(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리드 프레임(221,231)의 두께는 0.15mm 이상 예컨대, 0.18mm~1.5mm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리드 프레임(221,231)의 두께가 0.15mm 미만인 경우, 사출 성형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리드 프레임(221,231)의 두께가 1.5mm를 초과한 경우, 상기 발광 소자(173)의 두께가 증가 및 사이즈가 증가될 수 있고, 재료비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리드 프레임(221,231)의 두께가 0.15mm 미만인 경우, 전기적인 특성 및 방열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The first lead frame (221) and the second lead frame (23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titanium (Ti), copper (Cu), nickel (Ni), gold (Au), chromium (Cr), tantalum (Ta), platinum (Pt), tin (Sn), silver (Ag), and phosphorus (P),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lead frames (221, 231) may be formed to be 0.15 mm or mor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0.18 mm to 1.5 mm.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lead frames (221, 231) is less than 0.15 mm, it is difficult to perform injection molding. In addition,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lead frames (221, 231) exceeds 1.5 mm,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173) may increase, which may cause an increase in material costs. In addition,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lead frames (221, 231) is less than 0.15 mm,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may deteriorate.

상기 제1, 제2리드 프레임(221,231)의 두께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및 제2리드 프레임(221,231)은 전원을 공급하는 리드 프레임으로 기능하게 된다. 상기 오목부(260) 내에는 제1,2리드 프레임(221,231) 이외에 방열을 위한 금속 프레임 또는 상기 제1,2리드 프레임(221,231)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을 위한 중간 프레임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lead frames (221, 231) may be formed to the same thickn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and second lead frames (221, 231) function as lead frames that supply power. In addition to the first and second lead frames (221, 231), a metal frame for heat dissipation or an intermediate frame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ead frames (221, 231) may be further arranged in the concave portion (26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리드 프레임(221)의 제1캐비티(225) 내에는 제1발광 칩(271)이 배치되며, 예를 들어 상기 제1발광 칩(271)은 제1캐비티(225) 상에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2리드 프레임(231)의 제2캐비티(235) 내에는 제2발광 칩(272)이 배치되며, 예를 들어 상기 제2발광 칩(272)은 제2캐비티(235) 상에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접착제는 절연성 접착제 또는 전도성 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 절연성 접착제는 에폭시 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접착제는 솔더와 같은 본딩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A first light-emitting chip (271) is placed in the first cavity (225) of the first lead frame (221). For example, the first light-emitting chip (271) may be bonded to the first cavity (225) with an adhesi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second light-emitting chip (272) is placed in the second cavity (235) of the second lead frame (231). For example, the second light-emitting chip (272) may be bonded to the second cavity (235) with an adhesi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dhesive may be an insulating adhesive or a conductive adhesive. The insulating adhesive may include a material such as epoxy or silicone, and the conductive adhesive may include a bonding material such as solder.

상기 제1 및 제2발광 칩(271,272)은 가시광선 대역부터 자외선 대역의 범위 중에서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으며, 예컨대 자외선 LED 칩, 레드 LED 칩, 블루 LED 칩, 그린 LED 칩, 엘로우 그린(yellow green) LED 칩, 백색 LED 칩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발광 칩(271,272)은 III족-V족 원소의 화합물 반도체와 II족-VI족 원소의 화합물 반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LED 칩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발광 칩(271,272)은 칩 내의 두 전극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수평형 칩 구조이거나, 서로 반대측에 배치된 수직형 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 칩(271,272)이 수평형 칩인 경우, 하부 절연 기판이 절연성 또는 전도성 접착제로 리드 프레임 상에 접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발광 칩(271,272)이 수직형 칩인 경우, 상기 수직형 칩의 하부 전극이 전도성 접착제로 리드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chips (271, 272) can selectively emit light in a range from a visible light band to an ultraviolet band, and can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an ultraviolet LED chip, a red LED chip, a blue LED chip, a green LED chip, a yellow green LED chip, and a white LED chip. The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chips (271, 272) include an LED chip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mpound semiconductor of a group III-V element and a compound semiconductor of a group II-VI element. The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chips (271, 272) may have a horizontal chip structure in which two electrodes within the chip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or may be arranged as vertical chips arranged on opposite sid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light-emitting chips (271, 272) are horizontal chips, a lower insulating substrate may be bonded to a lead frame using an insulating or conductive adhesive. Alternatively, if the light-emitting chip (271, 272) is a vertical chip, the lower electrode of the vertical chip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ad frame using a conductive adhesive.

상기 제1발광 칩(271)은 제1와이어(273)로 상기 오목부(260)의 바닥에 배치된 제1리드 프레임(221)과 연결되며, 제2와이어(274)로 제2리드 프레임(23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2발광 칩(272)은 제3와이어(275)로 상기 제1리드 프레임(22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4와이어(276)로 상기 오목부(260)의 바닥에 배치된 제2리드 프레임(23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first light-emitting chip (27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lead frame (221)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recessed portion (260) by the first wire (273)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lead frame (231) by the second wire (274),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light-emitting chip (27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lead frame (221) by the third wire (275)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lead frame (231)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recessed portion (260) by the fourth wire (276),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발광 소자(173)는 보호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소자는 상기 제1리드 프레임(221) 또는 상기 제2리드 프레임(231)의 일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소자는 몸체(2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소자는 싸이리스터, 제너 소자, 또는 TVS(Transient voltage suppression)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너 소자는 상기 발광 칩(271,272)을 ESD(electro static discharge)로 부터 보호하게 된다. 상기 보호 소자는 제1발광 칩(271) 및 제2발광 칩(272)의 연결 회로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The light-emitting element (173) may include a protection element. The protection element may be disposed on a part of the first lead frame (221) or the second lead frame (231). The protection element may be disposed within the body (210). The protection element may be implemented as a thyristor, a zener element, or a TVS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and the zener element protects the light-emitting chip (271, 272) from ESD (electro static discharge). The protection element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onnection circuit of the first light-emitting chip (271) and the second light-emitting chip (272).

상기 오목부(260), 제1캐비티(225) 및 상기 제2캐비티(235)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에는 몰딩 부재(28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몰딩 부재(281)는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투광성 수지층을 포함하며,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몰딩 부재(281)에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형광체가 첨가될 수 있다.A molding member (281)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r all of the above-mentioned concave portion (260), the first cavity (225), and the second cavity (235). The molding member (281) includes a light-transmitting resin layer such as silicone or epoxy, and may be formed in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At least one type of fluorescent substance may be added to the molding member (281).

상기 몰딩 부재(281)의 표면은 플랫한 형상, 오목한 형상, 볼록한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surface of the above molding member (281)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a concave shape, a convex shap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발광 소자(173)는 청색 발광 소자일 수도 있고, 연색 지수(Color Rendering Index: CRI)가 높은 백색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73)는 청색 발광 칩 상부에 형광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가 몰딩되어 백색 광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여기서, 형광체는 가넷(Garnet)계(YAG, TAG), 실리케이드(Silicate)계, 나이트라이드(Nitride)계 및 옥시나이트라이드(Oxynitride)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emitting element (173) may be a blue light-emitting element or a white light-emitting element with a high color rendering index (CRI). The light-emitting element (173) may be a light-emitting element that emits white light by molding a synthetic resin containing a fluorescent substance on top of a blue light-emitting chip. Here, the fluorescent substan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arnet type (YAG, TAG), a silicate type, a nitride type, and an oxynitride type.

상기 형광체는 청색 형광체, 시안 형광체, 녹색 형광체, 황색 형광체, 및 적색 형광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며, 단층 또는 다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형광 필름은 투광성 수지 재료 내에 형광체가 첨가된다. 상기 투광성 수지 재료는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형광체는 YAG, TAG, Silicate, Nitride, Oxy-nitride 계 물질 중에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층(260)은 양자점(quantum dot)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II-VI 화합물, 또는 III-V족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색, 녹색, 황색, 적색 양자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서로 다른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양자 구속(quantum confinement)으로부터 발생하는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나노미터 크기의 입자이다. 특정 여기원(excitation source)으로 자극시 원하는 파장의 광이 양자점으로부터 발광되도록 하기 위해 양자점의 특정 조성(들), 구조 및/또는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양자점은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가시 스펙트럼 전반에 걸쳐 발광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하나 이상의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반도체 재료의 예는, IV족 원소, II-VI족 화합물, II-V족 화합물, III-VI족 화합물, III-V족 화합물, IV-VI족 화합물, I-III-VI족 화합물, II-IV-VI족 화합물, II-IV-V족 화합물, 상술한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합금, 및/또는 3원 및 4원 혼합물 또는 합금을 포함하는, 상술한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예컨대, ZnS, ZnSe, ZnTe, CdS, CdSe, CdTe, GaN, GaP, GaAs, GaSb, InP, InAs, InSb, AlS, AlP, AlAs, PbS, PbSe, Ge, Si, CuInS2, CuInSe2, MgS, MgSe, MgTe등과 같은 것들 및 이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The above fluorescent material includes at least one or a plurality of blue fluorescent materials, cyan fluorescent materials, green fluorescent materials, yellow fluorescent materials, and red fluorescent materials, and may be arranged in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The fluorescent film has a fluorescent material added to a light-transmitting resin material. The light-transmitting resin material includes a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epoxy, and the fluorescent material may be selectively formed from YAG, TAG, silicate, nitride, and oxy-nitride materials. The resin layer (260) may include a fluorescent material such as a quantum dot. The quantum dot may include a II-VI compound or a III-V group compound semiconducto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r different types of red, green, yellow, and red quantum dots. The quantum dot is a nanometer-sized particle that may have optical properties arising from quantum confinement. The specific composition(s), structure, and/or size of the quantum dot may be selected in order to cause light of a desired wavelength to be emitted from the quantum dot when stimulated by a specific excitation source. Quantum dots can be tuned to emit light across the visible spectrum by varying their size. The quantum dots can comprise one or more semiconductor materials, examples of which include Group IV elements, Group II-VI compounds, Group II-V compounds, Group III-VI compounds, Group III-V compounds, Group IV-VI compounds, Group I-III-VI compounds, Group II-IV-VI compounds, Group II-IV-V compounds, alloys comprising any of the foregoing, and/or mixtures comprising any of the foregoing, including ternary and quaternary mixtures or alloys. The quantum dots can be, for example, ZnS, ZnSe, ZnTe, CdS, CdSe, CdTe, GaN, GaP, GaAs, GaSb, InP, InAs, InSb, AlS, AlP, AlAs, PbS, PbSe, Ge, Si, CuInS 2 , CuInSe 2 , MgS, MgSe, MgTe, and the like, and combinations thereof.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just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exemplifi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and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th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exemplified above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xample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the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173: 발광 소자 300: 광학 렌즈
302,304: 바닥면 310: 제1입사면
312: 제2입사면 314: 제3입사면
315: 리세스 332,334: 전반사면
340: 제1출사면 342: 제2출사면
344: 제3출사면 171,400: 회로 기판
100,173: Light-emitting element 300: Optical lens
302,304: Bottom surface 310: First entrance surface
312: 2nd entrance surface 314: 3rd entrance surface
315: Recess 332,334: Fully oblique
340: 1st exit surface 342: 2nd exit surface
344: 3rd exit surface 171,400: Circuit board

Claims (15)

투명한 몸체 하부에 바닥 면으로부터 오목한 리세스;
상기 리세스의 상면에 제1입사면, 상기 리세스의 양 측면에 서로 대응되는 제2입사면과 제3입사면을갖는 복수의 입사면;
상기 투명한 몸체의 서로 반대 측면에 배치된 제1전반사면 및 제2전반사면; 및
상기 투명한 몸체의 상부 센터에 제1출사면, 상기 제1출사면의 양측에 제2출사면 및 제3출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출사면은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2출사면은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3출사면은 오목한 곡면을 가지고,
상기 제1입사면은 상기 리세스의 바닥 면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2입사면 및 제3입사면은 오목한 곡면을 가지고,
Z1 내지 Z5는 Z1>Z2>Z5>Z3>Z4의 관계를 가지며,
상기 Z1은 상기 리세스의 바닥 면으로부터 상기 제2출사면의 최고점 까지의 높이를 나타내고,
상기 Z2는 상기 리세스의 바닥 면으로부터 상기 제3출사면의 최고점 까지의 높이를 나타내며,
상기 Z3은 상기 리세스의 바닥 면으로부터 상기 제2출사면의 최저점 까지의 높이를 나타내고,
상기 Z4는 상기 리세스의 바닥 면으로부터 상기 제3출사면의 최저점 까지의 높이를 나타내며,
상기 Z5는 상기 리세스의 바닥 면으로부터 상기 제1출사면의 최고점 까지의 높이를 나타내는 광학 렌즈.
A concave recess from the bottom surface on the lower part of the transparent body;
A plurality of incident surfaces having a first incident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ss, and second and third incident su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recess;
First and second reflective surfaces arranged on opposite sides of the transparent body; and
The transparent body includes a first exit surface at the upper center, a second exit surface and a third exit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first exit surface,
The above first projection surface has a convex surface,
The above second projection surface has a convex surface,
The above third projection surface has a concave surface,
The above first incident surface has a convex surface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The above second and third incidence surfaces have concave curves,
Z1 to Z5 have the relationship Z1>Z2>Z5>Z3>Z4,
The above Z1 represents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to the highest point of the second exit surface,
The above Z2 represents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to the highest point of the third projection surface,
The above Z3 represents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to the lowest point of the second exit surface,
The above Z4 represents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to the lowest point of the third exit surface,
The above Z5 is an optical lens representing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to the highest point of the first exit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의 바닥 중심에 수직한 중심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입사면 및 상기 제1출사면은 비대칭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심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입사면과 및 상기 제3입사면이 서로 비대칭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출사면 및 상기 제3출사면이 서로 비대칭 형상을 갖는 광학 렌즈.
In the first paragraph,
The first incident surface and the first exit surface have an asymmetrical shape based on a central axi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center of the recess,
An optical lens in which the second incidence surface and the third incidence surface have asymmetrical shap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and the second exit surface and the third exit surface have asymmetrical shap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사면의 중심은 상기 리세스의 바닥 중심에 수직한 중심 축으로부터 이격된 광학 렌즈.
In the first paragraph,
An optical lens whose center of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a central axi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center of the rec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사면과 상기 제2입사면 사이의 경계 지점은 상기 제1입사면과 상기 제3입사면 사이의 경계 지점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제1출사면과 상기 제2출사면 사이의 경계 지점은 상기 제1출사면과 상기 제3출사면 사이의 경계 지점보다 높게 배치되는 광학 렌즈.
In the first paragraph,
The boundary poi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cident surfaces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boundary point between the first and third incident surfaces,
An optical lens in which the boundary point between the first exit surface and the second exit surface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boundary point between the first exit surface and the third exit surface.
내부에 오픈 영역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오픈 영역에 광학 부재;
상기 하우징 상에 복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가 배치된 회로 기판을 갖는 발광 모듈;
상기 발광 모듈의 광 출사측에 광학 렌즈;
상기 광학 렌즈 상에 상부 커버를 가지며,
상기 광학 렌즈는,
투명한 몸체 하부에 바닥 면으로부터 오목하며 제1축 방향의 너비보다 긴 길이를 갖는 리세스;
상기 리세스의 상면에 제1입사면, 상기 리세스의 양 측면에 서로 대응되는 제2입사면과 제3입사면을갖는 복수의 입사면;
상기 몸체의 서로 반대 측면에 배치된 제1전반사면 및 제2전반사면; 및
상기 몸체의 상부 센터에 제1출사면, 상기 제1출사면의 양측에 제2출사면 및 제3출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출사면은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2출사면은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3출사면은 오목한 곡면을 가지고,
상기 제1입사면은 상기 리세스 바닥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2입사면 및 제3입사면은 오목한 곡면을 가지고,
Z1 내지 Z5는 Z1>Z2>Z5>Z3>Z4의 관계를 가지며,
상기 Z1은 상기 리세스의 바닥 면으로부터 상기 제2출사면의 최고점 까지의 높이를 나타내고,
상기 Z2는 상기 리세스의 바닥 면으로부터 상기 제3출사면의 최고점 까지의 높이를 나타내며,
상기 Z3은 상기 리세스의 바닥 면으로부터 상기 제2출사면의 최저점 까지의 높이를 나타내고,
상기 Z4는 상기 리세스의 바닥 면으로부터 상기 제3출사면의 최저점 까지의 높이를 나타내며,
상기 Z5는 상기 리세스의 바닥 면으로부터 상기 제1출사면의 최고점 까지의 높이를 나타내는 조명 장치.
A housing having an open area inside;
An optical member in the open area of the above housing;
A light-emitting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elements and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emitting elements are arranged on the housing;
An optical lens on the light emitting side of the above light emitting module;
Having an upper cover on the above optical lens,
The above optical lens,
A recess on the lower part of the transparent body, which is concave from the bottom surface and has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in the first axis direction;
A plurality of incident surfaces having a first incident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ss, and second and third incident su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recess;
First and second reflective surfaces arranged on opposite sides of the body; and
The upper center of the above body includes a first exit surface, a second exit surface and a third exit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first exit surface,
The above first projection surface has a convex surface,
The above second projection surface has a convex surface,
The above third projection surface has a concave surface,
The above first incident surface has a convex surface toward the bottom of the recess,
The above second and third incidence surfaces have concave curves,
Z1 to Z5 have the relationship Z1>Z2>Z5>Z3>Z4,
The above Z1 represents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to the highest point of the second exit surface,
The above Z2 represents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to the highest point of the third projection surface,
The above Z3 represents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to the lowest point of the second exit surface,
The above Z4 represents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to the lowest point of the third exit surface,
The above Z5 is a lighting device indicating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to the highest point of the first exit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원 형상이며,
상기 광학 렌즈는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3출사면으로 출사된 광이 상기 상부 커버의 서로 다른 영역에 조사되는 조명 장치.

In paragraph 5,
The above optical member has a circular shape,
A lighting device in which the optical lens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having a curvature, and light emitted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ission surfaces is irradiated to different areas of the upper co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83986A 2016-07-04 2016-07-04 Optical lens, light uint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reof Active KR1027196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986A KR102719655B1 (en) 2016-07-04 2016-07-04 Optical lens, light uint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986A KR102719655B1 (en) 2016-07-04 2016-07-04 Optical lens, light uint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439A KR20180004439A (en) 2018-01-12
KR102719655B1 true KR102719655B1 (en) 2024-10-18

Family

ID=6100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986A Active KR102719655B1 (en) 2016-07-04 2016-07-04 Optical lens, light uint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965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147B1 (en) * 2020-11-16 2021-02-02 굿아이텍 주식회사 A reclamation type signal lamp of the ground
KR102831193B1 (en) * 2022-10-05 2025-07-10 한국광기술원 Wall light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0296A (en) * 2008-08-04 2010-02-18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Arrayed light source optical element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10212021A (en) * 2009-03-09 2010-09-24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Vehicular lighting system
US20110103070A1 (en) * 2009-10-29 2011-05-05 Fu Zhun Precision Industry (Shen Zhen) Co., Ltd. Led module
US20120120666A1 (en) * 2009-05-13 2012-05-17 Hella Kgaa Hueck & Co. Street ligh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789B1 (en) * 2014-04-08 2016-02-12 한국광기술원 Complex aspherical le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0296A (en) * 2008-08-04 2010-02-18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Arrayed light source optical element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10212021A (en) * 2009-03-09 2010-09-24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Vehicular lighting system
US20120120666A1 (en) * 2009-05-13 2012-05-17 Hella Kgaa Hueck & Co. Street lighting device
US20110103070A1 (en) * 2009-10-29 2011-05-05 Fu Zhun Precision Industry (Shen Zhen) Co., Ltd. Led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439A (en) 2018-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1442B2 (en) Optical lens, and light unit and lighting device having same
EP2337072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unit using the same
US8465176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unit using the same
KR101830717B1 (en) A light emitting device pakage
EP2355194A2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20150027480A (en)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1659355B1 (en) Light-emitting element package
JP2017079209A (en) Luminaire
JP2022539405A (en) Lighting modules, lighting devices and lamps
KR102719655B1 (en) Optical lens, light uint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reof
KR20140049274A (en) Light source module and l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2160775B1 (en) A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432222B1 (en) Optical plate,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module
KR102110477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2451866B1 (en) Optical plate,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module
KR20110125067A (en) The light-
KR20170096734A (en) Optical lens, light unit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reof
KR20170052208A (en) Optical plate,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module
KR102531846B1 (en) Optical plate,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module
KR20170052204A (en) Optical plate,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module
KR20180035448A (en) Optical lens and light uint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reof
KR20200112540A (en)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KR102531104B1 (en) Optical plate,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module
KR102450123B1 (en) Optical plate,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module
KR102432223B1 (en) Ligh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7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7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