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25380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25380B1 KR102725380B1 KR1020190078516A KR20190078516A KR102725380B1 KR 102725380 B1 KR102725380 B1 KR 102725380B1 KR 1020190078516 A KR1020190078516 A KR 1020190078516A KR 20190078516 A KR20190078516 A KR 20190078516A KR 102725380 B1 KR102725380 B1 KR 1027253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deo
- broadcast
- unit
- display
- broadcast video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86 mem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6 process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substituting a video cli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방송 영상의 캡쳐 화면에 기초하여 방송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닌 경우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broadcast image, and a control unit that analyzes the broadcast image based on a captured screen of the broadcast image,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recommended content if the broadcast image is not a program broadcast im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추천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recommended content.
최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recent years, digital TV services us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have become widespread. Digital TV services can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that were not available with existing analog broadcasting services.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한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mart TV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smart TV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a type of digital TV service, and smart TV service provide interactivity that allows users to actively select the type of program to watch, the viewing time, etc. Based on this interactivity, IPTV and smart TV services can also provid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such as Internet search, home shopping, and online games.
한편, 최근 들어, 사용자 편의를 위해 TV에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추천 컨텐트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 포함된 프로그램 방송 편성표에 기반하여 제공된다. EPG는 프로그램 방송 시간과 내용, 출연자 정보,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추천 컨텐트는 PG의 프로그램 방송 시간에 기초하여 광고 영상이 표시될 때 제공된다.Meanwhile, recently, technology to provide recommended content on TV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is being studied. Such recommended content is provided based on the program broadcast schedule included in the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The EPG includes program broadcast time and content, performer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For example, recommended content is provided when an advertisement video is displayed based on the program broadcast time of the PG.
하지만, EPG에 포함된 프로그램 방송 시간대로 실제 프로그램 방송이 방송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예컨대, EPG에 포함된 방송 시간의 시작 시점에 스포츠 방송이 방송되더라도 해당 스포츠 경기가 연장전으로 연장되거나 우천으로 경기가 지연되는 경우, EPG에 포함된 방송 시산의 종료 시점보다 한참 지나서 실제 해당 스포츠 방송이 종료된다. 예컨대, EPG에 포함되지 않은 특별 생방송이 긴급 편성되는 경우, 해당 특별 생방송은 EPG와 별개로 방송된다. However, there are often cases where the actual program broadcast is not broadcast at the program broadcast time included in the EPG. For example, even if a sports broadcast is broadcast at the beginning of the broadcast time included in the EPG, if the sports game is extended to overtime or delayed due to rain, the actual sports broadcast ends much later than the end time of the broadcast time included in the EPG. For example, if a special live broadcast that is not included in the EPG is urgently scheduled, the special live broadcast is broadcast separately from the EPG.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프로그램 방송(A1, A2, A3)과 이들 프로그램 방송들(A1, A2, A3) 사이에 2개의 광고 영상(B1, B2)이 방송된다. 즉, A1 프로그램 방송이 방송되고, B1 광고 영상이 방송된다. A2 프로그램 방송이 방송되고, B2 광고 영상이 방송된다. A3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고 B3 광고 영상이 방송된다. As shown in Fig. 5, three program broadcasts (A1, A2, A3) are broadcast, and two advertisement videos (B1, B2) are broadcast between these program broadcasts (A1, A2, A3). That is, the A1 program broadcast is broadcast, and the B1 advertisement video is broadcast. The A2 program broadcast is broadcast, and the B2 advertisement video is broadcast. The A3 program broadcast is broadcast, and the B3 advertisement video is broadcast.
하지만, 연장전이나 긴급 편성된 특별 생방송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상황으로 인해 EPG의 방송 편성 정보에 따른 프로그램 방송의 방송 시간보다 실제의 프로그램 방송의 방송 시간이 더 커질 수 있다. However, due to various circumstances such as extended play or urgent special live broadcasts, the actual broadcast time of a program may be longer than the broadcast time of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broadcast schedule information of the EPG.
예컨대, EPG에 따른 A1 프로그램 방송의 방송 시간은 t11인데 반해, 실제 방송된 A1 프로그램 방송의 방송 시간은 t11보다 큰 t12이다. 예컨대, EPG에 따른 A3 프로그램 방송의 방송 시간은 t31인데 반해, 실제 방송된 A3 프로그램 방송의 방송 시간은 t31보다 큰 t32이다. EPG에 따른 A2 프로그램 방송의 방송 시간(t21)과 실제로 방송된 A2 프로그램 방송의 방송 시간(t22)는 동일하다. For example, the broadcast time of an A1 program broadcast according to the EPG is t11, while the broadcast time of an actually broadcast A1 program broadcast is t12, which is greater than t11. For example, the broadcast time of an A3 program broadcast according to the EPG is t31, while the broadcast time of an actually broadcast A3 program broadcast is t32, which is greater than t31. The broadcast time of an A2 program broadcast according to the EPG (t21) and the broadcast time of an A2 program broadcast actually broadcast (t22) are the same.
이러한 경우, EPG의 방송 편성 정보에 따라 광고 방송의 제공 시점이 결정되는 경우, EPG의 방송 편성 정보에 따라 A1 프로그램 방송의 종료 시간(t1) 이후의 t3 시점에 추천 컨텐트가 제공된다. 하지만, 추천 컨텐트가 제공된 t3 시점은 실제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방송되는 A1 프로그램 방송이 종료되기 전으로서 실제 A1 프로그램 방송이 한참 방송되고 있는 중에 해당된다. 이에 따라, 실제로 방송 중인 A1 프로그램 방송 중에 추천 컨텐트가 제공되어 시청자의 해당 A1 프로그램 방송에 대한 시청을 방해하거나 몰입감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A3 프로그램 방송 또한 한참 방송되고 있는 중에 추천 컨텐트가 제공되어 시청 방해와 몰입감 저해의 문제가 발생된다.In this case, if the time of providing the advertisement broadcas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broadcast schedule information of the EPG, the recommended content is provided at the time t3 after the end time (t1) of the A1 program broadcast according to the broadcast schedule information of the EPG. However, the time t3 when the recommended content is provided is before the A1 program broadcast actually ends being broadcast on the display device, which corresponds to the time while the actual A1 program broadcast is in full swing.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commended content is provided during the A1 program broadcast that is actually being broadcast, thereby interrupting the viewer's viewing of the A1 program broadcast or reducing their sense of immersion. The recommended content is also provided while the A3 program broadcast is in full swing, which causes problems of interrupting viewing and reducing their sense of immersion.
본 발명은 프로그램 방송의 실제 방송되는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추천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adaptively providing recommended content according to the actual broadcasting situation of a program broadcast.
본 발명은 추천 컨텐트가 제공되어야 할 시점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시청자의 시청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time at which recommended content should be provided, thereby eliminating viewing inconvenience for viewers.
본 발명은 프로그램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저해하지 않고 추천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recommended content without disturbing the immersion of a viewer watching a program broadcas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방송 영상의 캡쳐 화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상기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닌 경우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broadcast image; and a control unit that analyzes the broadcast image based on a captured screen of the broadcast image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recommended content if the broadcast image is not a program broadcast im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사 사정에 의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방송 시간이 연장되거나 EPG에 포함되지 않은 프로그램 방송이 긴급 편성되어 방송되는 경우에 따라 추천 컨텐트를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나 긴급 편성된 프로그램 방송의 방송 시간대가 아닌 다른 시간대에 추천 컨테트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로그램 방송의 실제 방송되는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여 시청자의 시청 몰입감을 방해하지 않고 시청자에게 다양한 추천 컨텐트를 추천하여 주어 시청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ases where the broadcast time of a program broadcast image is extended due to circumstances of a broadcaster or a program broadcast not included in an EPG is urgently scheduled and broadcast, the recommended content is displayed at a time other than the broadcast time of the program broadcast image or the urgently scheduled program broadcast, thereby adaptively providing the recommended content according to the actual broadcast situation of the program broadcast,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viewer by recommending a variety of recommended content to the viewer without disturbing the viewer's viewing immersion.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 영상의 캡쳐 화면에서 획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님을 획득하고,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닐 때에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시청자가 프로그램 방송 영상에 보다 더 집중적으로 몰입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a captured screen of a broadcast video, it is determined that the broadcast video is not a program broadcast video, and when the broadcast video is not a program broadcast video, recommended content is displayed, thereby helping the viewer to become more immersed in the program broadcast video.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 영상의 캡쳐 화면에서 획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님을 획득하고,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닐 때에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추천 컨텐트의 제공 시점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timing of providing recommended content by obtaining that a broadcast video is not a program broadcast video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captured screen of the broadcast video and displaying recommended content when the broadcast video is not a program broadcast vide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EPG 방송 편성표에 실제 방송 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표시됨을 도시한다.
도 9는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메인 영상을 식별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종료 영상을 식별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광고 영상을 식별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2는 광고 영상 시간에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광고 영상 영상에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으로 변경되는 경우, 추천 컨텐트의 표시를 차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종료 영상인 경우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종료 영상인 경우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n example of an actual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 example of utilizing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actual broadcasts in the EPG broadcast schedule.
FIG. 6 illustrates a control uni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ed conten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llustrates that a program broadcast image is displayed.
Figure 9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how to identify the main image of a program broadcast video.
Figure 10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how to identify the end video of a program broadcast video.
Figure 11 illustrates an example of identifying an advertising video.
Figure 12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how recommended content is displayed during an advertisement video time.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blocking the display of recommended content when changing from an advertisement video to a program broadcast video o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splaying recommended content when the video is the end video of a program broadcast video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how recommended content is displayed when the video is the end of a program broadcast.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used for compon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convenienc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통신부(173), 음성 획득부(175),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unit (130),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 storage unit (140),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 control unit (17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a voice acquisition unit (175), a display unit (180), an audio output unit (185), and a power supply unit (190).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30) may include a tuner (131), a demodulator (132),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133).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tuner (131) can select a specific broadcast channel according to a channel selection command. The tuner (131) can receive a broadcast signal for the selected specific broadcast channel.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프로그램 방송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The demodulator (132) can separate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into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a data signal related to a program broadcast, and can restore the separated video signal, audio signal, and data signal into a form that can be output.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provide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transmit or receive data to or from another user or another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That is, it can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network and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the corresponding server.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That is,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receive content such as movies, advertisements, games, VOD, broadcast signals, etc., and information related thereto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provider through a network.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receive firmware update information and update files provided by the network operator, and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or content provider or network operator.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3) can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application from among applications open to the public via a network.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can receive an application or a list of applications in an adjacent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70) or storage unit (14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can provide a connection path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can receive one or more of images and audio output from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ly to the display device (100) and transmit them to the control unit (17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can include a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The plurality of external input terminals can include an RGB terminal, one or more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s, and a component terminal.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A video signal of an external devic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A voice signal of an external devic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can be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8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An external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be any one of a set-top box, a Blu-ray player, a DVD player, a game console, a sound bar, a smartphone, a PC, a USB memory, and a home theater, but this is only an example.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some of the content data stored in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transmitted to a selected user or electronic device among other users or other electronic devices pre-registered in the display device (100).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stores programs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within the control unit (170) and can store processed images, voices, or data signals.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y storage of video, audio, or data signals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a network interface unit (133), and may also store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image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can store an application or a list of applications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a network interface unit (133).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can play content files (video files, still image files, music files, document files, application files,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nd provide them to the user.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can transmit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70), or transmit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can receive and process control signals such as power on/off, channel selection, and screen setting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WB (Ultra Wideband), ZigBee,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or infrared (IR) communication, or process the control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can transmit control signals input from local keys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channel key, volume key, and setting value to the control unit (170).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An image signal processed in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18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In addition, an image signal processed in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voice signal processed in the control unit (170) can be output as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processed in the control unit (170) can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within the display device (100).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display device (100) by a user command or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nd can connect to a network to allow the user to download a desired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into the display device (100).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70) enables the user-selected channel information, etc.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audio output unit (185) together with the processed image or audio signal.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enables a video signal or audio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camera or camcorder,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audio output unit (185) according to an external device video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an image, and for example,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a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131), an external input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n image inpu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or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can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can be a 2D image or a 3D image.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playback of content stored in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d broadcast content, or external input content input from the outside, and the content can be in various forms such as broadcast images, external input images, audio files, still images, connected web screens, and document files.
무선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73)는 외부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can perform short rang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can support short range communication by using at least one of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i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can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another display device (100), or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0) and a network where the display device (100, or an external server) is located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Area Network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a short-rang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authenticated)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Here, the other display device (100) may be a wearable device (e.g., a smartwatch, smart glass, or a head mounted display (HMD)) or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at can exchange data with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can be link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may detect (or recognize)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around the display device (100). Furthermore, if the detected wearable device is an authenticated device to communicate with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70) may transmit at least a part of the data processed in the display device (100) to the wearable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3). Therefore, a user of the wearable device may use the data processed in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earable device.
음성 획득부(175)는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The voice acquisition unit (175) can acquire audio. The voice acquisition unit (175) can include at least one microphone (not shown) and can acquire audio around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microphone (not shown).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80) can generate a driving signal by converting a video signal, data signal,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or a video signal, data signal, etc.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into R, G, B signals, respectively.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display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display device (100) actually implemented.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eded.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by each block are intended to expl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s or devices thereof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device (100) may receive and play back an image through a network interface unit (133) or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without having a tuner (131) and a demodulator (132).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as an image processing device, such as a set-top box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or contents according to various network services, and a content playback device for playing contents in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device.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performed by any one of the display devic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s well as an image processing device such as the separated set-top box, or a content playback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180) and an audio output unit (185).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an example of an actual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2,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2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a user input unit (230), a sensor unit (240), an output unit (250), a power supply unit (260), a storage unit (270), a control unit (280), and a voice acquisition unit (290).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Referring to FIG. 2,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with any one of th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equipped with an RF module (22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display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RF communication standards, and may be equipped with an IR module (223)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display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IR communication standards.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equipped with a Bluetooth module (225)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display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s.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equipped with an NFC module (227)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display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tandards, and may be equipped with a WLAN module (229)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display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WLAN (Wireless LAN) communication standards.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by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221), and, if necessary, can transmit commands for turning the power on/off, changing the channel, changing the volume, etc.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IR module (223).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user input unit (230) may be composed of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operating the user input unit (230). If the user input unit (230) is provided with a hard key butto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pushing the hard key butt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The plurality of buttons may include a fingerprint recognition button (212), a power button (231), a home button (232), a live button (233), an external input button (234), a volume control button (235), a voice recognition button (236), a channel change button (237), a confirmation button (238), and a back button (239).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프로그램 방송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 fingerprint recognition button (212) may be a button for recognizing a user's fingerprint. In one embodiment, the fingerprint recognition button (212) may be capable of a push operation, and may receive a push operation and a fingerprint recognition operation. The power button (231) may be a button for turning the display device (100) on/off. The home button (232) may be a button for moving to the hom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live button (233) may be a button for displaying a real-time program broadcast. The external input button (234) may be a button for receiving an external input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he volume control button (235) may be a button for adjusting the volume output by the display device (100).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236) may be a button for receiving a user's voice and recognizing the received voice. The channel change button (237) may be a button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of a specific broadcast channel. The confirmation button (238) may be a button for selecting a specific function, and the back button (239) may be a button for returning to the previous screen.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Let's explain Figure 2 again.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When the user input unit (230) is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us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touching the soft key of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230)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such as a scroll key or a jog key, and this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240) may be equipped with a gyro sensor (241) or an acceleration sensor (243), and the gyro sensor (241)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yro sensor (241) can sens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ased on the x, y, and z axes, and the acceleration sensor (243) can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speed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eanwhil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further be equipped with a distance measuring sensor, so as to sense the distance to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isplay device (100).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50) can output a video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0) or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output unit (250), the user can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230) is being operated or whether the display device (100) is being controlled.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put unit (250) may be equipped with an LED module (251) that lights up when the user input unit (230) is oper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a vibration module (253) that generates vibration, an audio output module (255) that outputs audio, or a display module (257) that outputs an image.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260) supplies power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power waste can be reduced by stopping the power supply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power supply unit (260) can resume th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operated.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storage unit (270) can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pplication data, etc. required for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hrough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RF module (221),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display device (100)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store and reference information about the frequency band, etc., that can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the display device (100)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 the storage unit (270).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80) controls all matter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control unit (280) can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0)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ensed by the sensor unit (240) to th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oice acquisition unit (29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acquire voice.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The voice acquisition unit (290) may include at least one microphone (291) and may acquire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291).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Next, Figure 4 is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FIG. 4 shows an example of utilizing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Figure 4 (a) illustrates that a pointer (205) corresponding to a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The user can mov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up and down, left and right, or rotate it.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isplay device (100)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is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be called a space remote control because the pointer (205) moves and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3D space, as shown in the drawing.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Figure 4 (b) exemplifies that when a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left,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isplay device (100) also moves to the left correspondingly.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detected through the sensor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he display device (100) can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205) from th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display device (100) can display the pointer (205)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Figure 4 (c) illustrates a case where a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way from the display unit (180)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with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s a result, a selection area within the display unit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can be zoomed in and displayed in an enlarged manner.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loser to the display unit (180), the selection area within the display unit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may be zoomed out and displayed in a reduced size.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away from the display unit (180), the selection area may be zoomed out, and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closer to the display unit (180), the selection area may be zoomed in.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specific button with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pressed, recognition of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can be excluded. That is,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away from or toward the display unit (180),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are not recognized, and only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can be recognized. When a specific button with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not pressed, only the pointer (205) moves according to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vement speed or movement direction of the pointer (205) can correspond to the movement speed or movement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pointer in this specification means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ly, objects of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arrow shape illustrated in the drawing are possible as the pointer (205). For example, it may be a concept including a point, a cursor, a prompt, a thick outline, etc. In addition, the pointer (205) may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one point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on the display unit (180), and may also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multiple points such as lines and surfaces.
이하의 실시예에 명명된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The definitions of terms named in the examples below are as follows.
- 프로그램 방송: 광고 영상과 구별하여 드라마, 예능, 뉴스, 스포츠 등과 같은 컨텐트를 방송사를 통해 정규적으로 제공하는 정규 방송- Program broadcast: Regular broadcasting that provides content such as dramas, entertainment, news, and sports regularly through broadcasting stations, as distinguished from commercials.
- 광고 영상: 프로그램 방송 시간대가 아닌 시간대에 시청자에게 알리거나 홍보하기 위해 제공된 컨텐트- Advertisement video: Content provided to inform or promote viewers outside of the program broadcast time slot.
- 식별자 로고 정보: 해당 프로그램 방송을 제공한 제공자를 식별하는 로고 정보- Identifier logo information: Logo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provider that provided the program broadcast.
- 추천 컨텐트: 인기 채널 정보나 시청자의 시청 패턴에 기초하여 획득된 컨텐트- Recommended content: Content obtained based on popular channel information or viewers’ viewing pattern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를 도시한다.FIG. 6 illustrates a control uni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화면 캡쳐부(1710), 식별자 로고 획득부(1720), 방송 영상 판단부(1730) 및 컨텐트 추천부(17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6, a control unit (170) of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screen capture unit (1710), an identifier logo acquisition unit (1720), a broadcast image judgment unit (1730), and a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740).
화면 캡쳐부(1710)는 방송 영상에서 캡쳐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캡쳐 화면의 캡쳐는 통상적인 공지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creen capture unit (1710) can capture a capture screen from a broadcast video. Since capturing a capture screen is a commonly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방송 영상은 현재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되는 영상일 수 있다. 예컨대, 캡쳐 화면은 영상 이미지로서, 프레임 단위로 방송되는 방송 영상에서의 프레임 이미지일 수 있다. 화면 캡쳐부(1710)는 방송 영상에서 캡쳐 화면을 주기적으로 캡쳐할 수 있다. 화면 캡쳐부(1710)는 예컨대, 3 내지 100 프레임 단위로 방송 영상에서 캡쳐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화면 캡쳐부(1710)는 예컨대, 5 내지 80 프레임 단위로 방송 영상에서 캡쳐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화면 캡쳐부(1710)는 예컨대, 20 내지 50 프레임 단위로 방송 영상에서 캡쳐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예컨대, 캡쳐 화면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캡쳐 화면은 2개 내지 20개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image may be an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For example, the capture screen may be a frame image from a broadcast image that is broadcast in frame units as a video image. The screen capture unit (1710) may periodically capture a capture screen from the broadcast image. The screen capture unit (1710) may capture a capture screen from the broadcast image in units of 3 to 100 frames, for example. The screen capture unit (1710) may capture a capture screen from the broadcast image in units of 5 to 80 frames, for example. The screen capture unit (1710) may capture a capture screen from the broadcast image in units of 20 to 50 frames, for example. For example, the capture screen may include images corresponding to at least two or more frames. For example, the capture screen may include images corresponding to two to 20 frames.
식별자 로고 획득부(1720)는 캡쳐 화면에서 식별자 로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식별자 로고 획득부(1720)는 캡쳐 화면을 영상 분석하여, 캡쳐 화면에 포함된 텍스트를 추출하여, 추출된 텍스트를 인식하여 식별자 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식별자 로고 정보는 컨텐트 제공자 로그 정보 또는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트 제공자 로그 정보로서, 예컨대, KBS 방송사 로고, MBC 방송사 로그, SBS 방송사 로고 등이 있다.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식별정보로는 해당 프로그램 방송 이름, 예컨대 런닝맨, 인간극장 등이 있다. The identifier logo acquisition unit (1720) can acquire identifier logo information from the capture screen. The identifier logo acquisition unit (1720) can analyze the capture screen, extract text included in the capture screen, and recognize the extracted text to acquire identifier log information. The identifier logo information can include content provider log information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rogram broadcast video. Examples of content provider log information include the KBS broadcasting station logo, MBC broadcasting station log, SBS broadcasting station logo, etc. Example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rogram broadcast video include the name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such as Running Man, Human Theater, etc.
식별자 로그 획득부는 방송 영상 분석 툴을 이용하여 식별자 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식별자 로그 획득부는 인공지능(AI)에 기반한 딥 러닝(deep learning) 툴을 이용하여 식별자 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딥 러닝 툴을 실행하기 위한 로그 획득 모델이나 로그 획득 엔진이 구비될 수 있다. 식별자 로그 획득부는 캡쳐 화면에 포함된 문자, 도형, 그림, 수식, 캐릭터 등에 기초하여 식별자 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identifier log acquisition unit can acquire identifier log information using a broadcast video analysis tool. The identifier log acquisition unit can acquire identifier log information using a deep learning too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A log acquisition model or log acquisition engine for executing such a deep learning tool may be provided. The identifier log acquisition unit can acquire identifier log information based on characters, shapes, pictures, formulas, characters, etc. included in the captured screen.
방송 영상 판단부(1730)는 식별자 로고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닌지 여부를 획득 또는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닌 경우로서, 광고 영상이나 예고편 방송이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는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닌 어떠한 방송도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닌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The broadcast image judgment unit (1730) can obtain or determine whether the broadcast image is not a program broadcast image based on the identifier logo inform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broadcast image is not a program broadcast image, there are advertisement images or trailer broadcasts, but this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embodiment, any broadcast image that is not a program broadcast image can be considered not a program broadcast image.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프로그램 방송 영상은 메인 영상과 종료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영상은 해당 프로그램 방송의 실질적인 컨텐츠 영상이고, 종료 영상은 해당 프로그램 방송의 종료와 관련된 영상일 수 있다. 예컨대, 종료와 관련된 영상으로는 출연진 리스트 영상, 촬영 에피소드 영상, 다음 회차 예고 영상 등이 있을 수 있다. As will be explained later, program broadcast videos can include main videos and ending videos. The main video is the actual content video of the program broadcast, and the ending video can be a video related to the end of the program broadcast. For example, videos related to the end can include a cast list video, a video of a filmed episode, and a preview video of the next episode.
방송 영상 판단부(1730)는 방송 영상이 광고 영상인지 또는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종료 영상인지 여부를 획득 또는 판단할 수 있다. 방송 영상 판단부(1730)는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되는 방송 영상이 광고 영상에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으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획득 또는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광고 영상에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으로 변경되는 경우, 광고 영상의 방송 때 제공되었던 추천 컨텐트의 표시 시점이나 제공 시점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광고 영상에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으로 변경되는 경우, 추천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부(18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광고 영상에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으로 변경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로 제공된 추천 컨텐트가 화면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broadcast image judgment unit (1730) can obtain or determine whether the broadcast image is an advertisement image or the end image of a program broadcast image. The broadcast image judgment unit (1730) can obtain or determine whether the broadcast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changes from an advertisement image to a program broadcast image. When the control unit (170) changes from an advertisement image to a program broadcast image, the control unit (170) can obtain the display time or provision time of the recommended content provided during the broadcast of the advertisement image.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170) changes from an advertisement image to a program broadcast image, the control unit (170) can block the recommended content from being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180).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170) changes from an advertisement image to a program broadcast image,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so that the recommended content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180)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컨텐트 추천부(1740)는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닐 때 표시할 추천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닐 때 상기 획득된 추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컨텐트 추천부(1740)는 시청자의 시청 패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트 추천부(1740)는 인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트 추천부(1740)는 시청자의 시청 패턴 및 인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트 추천부(1740)는 시청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부드럽게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정보, 예컨대 넛지(nudge) 정보 또는 시청자에게 도움이 되거나 가이드할 수 있는 정보 등을 포함한 추천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추천 컨텐트로는 예컨대, 사용자의 시청 패턴에 맞춘 연속 드라마 편성, 시청률 1위 프로그램 방송의 연송 편성, 사용자 지정 키워드 관련 영상의 연속 편성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740) can obtain recommended content to be displayed when it is not a program broadcast video. The control unit (170) can display the obtained recommended content on the display unit (180) when it is not a program broadcast video.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740) can obtain recommended content based on the viewer's viewing pattern.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740) can obtain recommended content based on popular channel information.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740) can obtain recommended content based on the viewer's viewing pattern and popular channel information.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740) can obtain recommended content including information that draws the viewer's attention or gently induces a selection, such as nudge information or information that can be helpful or guide the viewer. Recommended content may include, for example, a series of dramas tailored to the user's viewing pattern, a series of programs with the highest viewership ratings, a series of videos related to user-specified keywords, etc.
한편,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메인 영상,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종료 영상 또는 광고 영상인지에 따라 추천 컨텐트의 표시 시점을 획득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70) can obtain the display time of the recommended content depending on whether the broadcast video is the main video of the program broadcast video, the ending video of the program broadcast video, or an advertisement video.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닌 경우, 추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종료 영상인 경우, 추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이 광고 영상인 경우, 추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can display recommended content on the display unit (180) if the broadcast video is not a program broadcast video.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can display recommended content on the display unit (180) if the broadcast video is the end video of a program broadcast video.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can display recommended content on the display unit (180) if the broadcast video is an advertisement video.
광고 영상은 프로그램 방송 전 또는 후에 방송될 수 있다. 광고 영상은 프로그램 방송 도중에 방송될 수 있는데, 이를 중간 광고 영상이라 명명할 수 있다. 프로그램 방송 도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광고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Advertisement videos can be broadcast before or after a program is broadcast. Advertisement videos can be broadcast during a program, which can be called mid-program advertisement videos. At least one mid-program advertisement video can be shown during a program.
실시예에서는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전 또는 후의 광고 영상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방송 도중에 방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광고 영상인 경우에 추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그램 방송 전의 광고 영상, 프로그램 방송 후의 광고 영상 그리고 중간 광고 영상에 서로 상이한 추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recommended content may be displayed when the broadcast video is not only an advertisement video before or after the program broadcast, but also at least one mid-roll advertisement video broadcast during the program broadcast. Different recommended content may be displayed for the advertisement video before the program broadcast, the advertisement video after the program broadcast, and the mid-roll advertisement video.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 판단부(1730)의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되는 방송 영상이 광고 영상에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으로 변경됨이 획득되는 경우, 광고 영상 시간에 표시되는 추천 컨텐트가 표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추천 컨텐트가 화면 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컨텐트 추천부(1740)에서 획득된 추천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부(180)로 제공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If the control unit (170) determines that the broadcast video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has changed from an advertisement video to a program broadcast video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broadcast video determination unit (1730),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so that the recommended content displayed during the advertisement video time is not displayed.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70) can block the recommended content obtained from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740) from being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180) so that the recommended content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도 6에서는 제어부(170) 내의 구성 요소가 화면 캡쳐부(1710), 식별자 로고 획득부(1720), 방송 영상 판단부(1730) 및 컨텐트 추천부(1740)의 순서로 동작되고, 컨텐트 추천부(1740)가 마지막에 동작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이와 달리, 컨텐트 추천부(1740)는 화면 캡쳐부(1710), 식별자 로그 획득부 및 방송 영상 판단부(1730)의 동작에 관계없이 미리 해당 추천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트 추천부(1740)는 특정 프로그램 방송이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됨이 인지될 때, 특정 프로그램 방송 이후에 표시할 추천 컨텐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추천 컨텐트는 특정 프로그램 방송이 아님이 인지될 때 표시될 수 있다. In FIG. 6, the components in the control unit (170) are illustrated as being operated in the order of a screen capture unit (1710), an identifier logo acquisition unit (1720), a broadcast image judgment unit (1730), and a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740), and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740) is operated last. In contrast,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740) can obtain the corresponding recommended content in advance regardless of the operations of the screen capture unit (1710), the identifier log acquisition unit, and the broadcast image judgment unit (1730).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740) recognizes that a specific program broadcas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t can obtain recommended content to be displayed after the specific program broadcast, and the obtained recommended content can be displayed when it is recognized that it is not a specific program broadcast.
도 7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A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ed conten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ed conten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S11).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예컨대, “런닝맨”이라는 프로그램 방송을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FIG. 6, and FIG. 7,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a broadcast image (S11). As shown in FIG. 8, the control unit (170) can display, for example, a program called “Running Man” on the display unit (180).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되는 방송 영상에서 캡쳐 화면을 획득할 수 있다(S13). 구체적으로, 화면 캡쳐부(1710)는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되는 방송 영상에서 캡쳐 화면을 획득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can obtain a capture screen from a broadcast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S13). Specifically, the screen capture unit (1710) can obtain a capture screen from a broadcast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제어부(170)는 캡쳐 화면에 기초하여 방송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S15). 구체적으로, 식별자 로고 획득부(1720)는 캡쳐 화면에서 식별자 로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can analyze the broadcast image based on the captured screen (S15). Specifically, the identifier logo acquisition unit (1720) can acquire identifier logo information from the captured screen.
식별자 로고 정보는 컨텐트 제공자 로고 정보 또는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dentifier logo information may include content provider logo information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rogram broadcast video.
방송 영상은 프로그램 방송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방송 영상은 메인 영상 및 종료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Broadcast video may include program broadcast video. Program broadcast video may include main video and ending video.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예컨대 “SBS” 방송사 로고를 컨텐트 제공자 로고 정보(301)로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메인 영상의 캡처 화면에서 획득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예컨대 “런닝맨”이라는 프로그램 방송 이름을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식별정보(302)로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메인 영상의 캡쳐 화면에서 획득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9, the control unit (170) can obtain, for example, the broadcasting station logo “SBS” as content provider logo information (301) from the capture screen of the main image of the program broadcast image. As illustrated in FIG. 9, the control unit (170) can obtain, for example, the program broadcast name “Running Man” as the program broadcast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302) from the capture screen of the main image of the program broadcast image.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예컨대, 방송 프로그램의 출연진 리스트 정보(303)를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메인 영상의 캡처 화면에서 획득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control unit (170) can obtain, for example, the cast list information (303) of a broadcast program from the capture screen of the main image of the program broadcast image.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예컨대, 광고 영상인 경우, 해당 광고 영상의 캡쳐 화면에서 식별자 로고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즉, 광고 영상의 경우 해당 광고 영상에 식별자 로고 정보를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170)는 해당 광고 영상의 캡쳐 화면에서 식별자 로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영상에서는 프로그램 방송에서 식별자 로고 정보가 위치된 영역, 예컨대 캡쳐 화면의 우상측에 대응하여 식별자 로고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빈 영역(305)이 위치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control unit (170) cannot obtain identifier logo information from the capture screen of the advertisement video, for example, if it is an advertisement video. That is, in the case of an advertisement video, since identifier logo information is not displayed in the advertisement video, the control unit (170) can obtain identifier logo information from the capture screen of the advertisement video.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11, in the advertisement video, a blank area (305) where identifier logo information is not displayed may b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an area where identifier logo information is positioned in the program broadcast, for example, the upper right side of the capture screen.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캡쳐 화면에 대한 영상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 여부를 획득 또는 판단할 수 있다(S17). 구체적으로, 방송 영상 판단부(1730)는 캡쳐 화면에서 획득된 식별자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인지 아닌지 여부를 획득 또는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7, the control unit (170) can obtain or determine whether the broadcast image is a program broadcast image based on the image analysis result for the captured screen (S17). Specifically, the broadcast image determination unit (1730) can obtain or determine whether the broadcast image is a program broadcast image based on the identifier lo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ptured screen.
방송 영상 판단부(1730)는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인 경우, S11로 이동하여 방송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If the broadcast video is a program broadcast video, the broadcast video judgment unit (1730) can move to S11 and display the broadcast video on the display unit (180).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닌 경우,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S19). 구체적으로, 컨텐트 추천부(1740)는 시청 패턴 및 인기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닐 때 표시할 추턴 컨텐트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닌 경우, 컨텐트 추천부(1740)에서 획득된 추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recommended content when the broadcast image is not a program broadcast image (S19). Specifically,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740) can obtain recommended content to be displayed when the broadcast image is not a program broadcast image based on at least one of viewing pattern information and popular channel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70) can display recommended content obtained from the content recommendation unit (1740) when the broadcast image is not a program broadcast image.
예컨대,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닌 경우로서, 광고 영상이나 예고편 방송이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이 광고 영상이거나 예고편 방송인 경우, 추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broadcast video is not a program broadcast video, there may be an advertisement video or a trailer broadcast, but this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70) can display recommended content when the broadcast video is an advertisement video or a trailer broadcast.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이 광고 영상인 경우, 광고 영상의 화면의 일 영역(310)에 추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영역(310)은 추천 컨텐트 표시 영역으로 명명될 수 있다. 예컨대, 광고 영상의 화면의 일 영역(310)에 광고 영상 이전에 표시되었던 프로그램 방송 이후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방송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방송에 관한 정보는 광고 영상의 화면의 일 영역(310)에 문구및/또는 썸네일 이미지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영상의 화면의 일 영역(310)에 “다음은 'XXX' 예능 어떠세요”라는 문구와 해당 추천 예능 관련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2, the control unit (170) may display recommended content on an area (310) of the screen of the advertisement video when the broadcast video is an advertisement video. The area (310) may be named a recommended content display area.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program broadcast to be displayed after the program broadcast that was displayed before the advertisement video may be displayed on an area (310) of the screen of the advertisement video. Th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program broadcast may be displayed as text and/or thumbnail images, etc. on an area (310) of the screen of the advertisement video.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2, the text “How about the ‘XXX’ entertainment show next?” and a thumbnail image related to the recommended entertainment show may be displayed on an area (310) of the screen of the advertisement video.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광고 영상 영상에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으로 변경되는 경우, 추천 컨텐트의 표시를 차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7의 S17로부터 진행될 수 있다.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blocking the display of recommended content when changing from an advertisement video to a program broadcast video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can proceed from S17 of FIG. 7.
도 1 및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되는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닌지 여부를 획득 또는 판단하고, 프로그램 방송이 아닌 경우 방송 영상이 광고 영상인지 여부를 획득 또는 판단할 수 있다. 방송 영상이 광고 영상인 경우, 제어부(170)는 광고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S21).Referring to FIG. 1 and FIG. 6 to FIG. 13, the control unit (170) can obtain or determine whether the broadcast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s not a program broadcast image, and if not a program broadcast, can obtain or determine whether the broadcast image is an advertisement image. If the broadcast image is an advertisement image,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the advertisement image (S21).
제어부(170)는 광고 영상에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으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S23). 프로그램 방송 영상을 제공하는 컨텐트 제공자는 해당 프로그램 방송 영상을 송출하기 전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광고 영상을 송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해당 컨텐트 제공자로부터 수신된 광고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광고 영상의 수신이 종료된 후, 해당 프로그램 방송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해당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수신을 획득함으로써, 광고 영상에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으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획득 또는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can obtain whether the advertisement video is changed to a program broadcast video (S23). A content provider providing a program broadcast video can transmit an advertisement video to a display device (100) before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program broadcast video.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the advertisement video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er. The control unit (170) can receive the corresponding program broadcast video after reception of the advertisement video is terminated. By obtaining reception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broadcast video, the control unit (170) can obtain or determine whether the advertisement video is changed to a program broadcast video.
제어부(170)는 광고 영상에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으로 변경되지 않은 경우, S21로 이동되어 광고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If the control unit (170) does not change from an advertisement video to a program broadcast video, it can move to S21 and display the advertisement video on the display unit (180).
제어부(170)는 광고 영상에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으로 변경되는 경우, 추천 컨텐트를 차단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S25). 에컨대, 제어부(170)는 광고 영상에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으로 변경되는 경우, 추천 컨텐트를 디스플레이부(180)로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광고 영상에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으로 변경되는 경우, 추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부(180)로 공급하되,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하여 상기 공급된 추천 컨텐트를 화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block recommended content when changing from an advertisement video to a program broadcast video (S25).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can block the supply of recommended content to the display unit (180) when changing from an advertisement video to a program broadcast video. For example, when changing from an advertisement video to a program broadcast video, the control unit (170) can supply recommended content to the display unit (180), but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not display the supplied recommended content on the scree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종료 영상인 경우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7의 S17로부터 진행될 수 있다.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splaying recommended content when the video is the end video of a program broadcast video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can proceed from S17 of Fig. 7.
도 1, 도 6 내지 도 12 및 도 14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되는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닌지 여부를 획득 또는 판단하고, 프로그램 방송 영상인 경우 해당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메인 영상인지 여부를 획득 또는 판단할 수 있다(S31).Referring to FIGS. 1, 6 to 12 and 14, the control unit (170) can obtain or determine whether a broadcast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s not a program broadcast image, and if it is a program broadcast image, can obtain or determine whether the program broadcast image is a main image (S31).
제어부(170)는 해당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메인 영상인 경우, S31로 이동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can move to S31 when the corresponding program broadcast video is the main video.
제어부(170)는 해당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메인 영상이 아닌 경우, 해당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종료 영상인지 여부를 획득 또는 판단할 수 있다(S33).The control unit (170) can obtain or determine whether the program broadcast video is an ending video if the program broadcast video is not the main video (S33).
제어부(170)는 해당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종료 영상이 아닌 경우 S31로 이동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can move to S31 if the corresponding program broadcast video is not an ending video.
제어부(170)는 해당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종료 영상인 경우,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S35). 제어부(170)는 해당 프로그램 방송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캡쳐 화면에서 출연진 리스트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해당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종료 영상인임을 획득 또는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recommended content when the corresponding program broadcast video is a finished video (S35). The control unit (170) can obtain or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program broadcast video is a finished video by obtaining the cast list information from the captured screen obtained from the corresponding program broadcast video.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프로그램 방송 영상에서 획득된 캡쳐 화면에서 출연진 리스트 정보(303)를 획득하는 경우, 해당 프로그램 방송 영상을 종료 영상으로 간주하고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추천 컨텐트는 해당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종료 영상의 화면 상의 추천 컨텐트 표시 영역(310)에 추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5, when the control unit (170) obtains cast list information (303) from a captured screen obtained from a program broadcast video,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regard the program broadcast video as an ending video and display recommended content. The recommended content may be displayed in a recommended content display area (310) on the screen of the ending video of the program broadcast video.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상기 방송 영상의 캡쳐 화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 상기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닌 경우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영상에서 캡쳐 화면을 캡쳐하는 화면 캡쳐부,
상기 캡쳐 화면에서 식별자 로고 정보를 획득하는 식별자 로고 획득부,
상기 식별자 로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닌지 여부를 획득하는 방송 영상 판단부, 및
시청 패턴 또는 인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 방송 영상이 아닐 때 표시할 추천 컨텐트를 획득하는 컨텐트 추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section for displaying broadcast images; and
A control unit is included that analyzes the broadcast video based on a captured screen of the broadcast video,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recommended content if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broadcast video is not a program broadcast video.
The above control unit
Screen capture section that captures the captured screen from the above broadcast video,
An identifier logo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identifier logo information from the above capture screen,
A broadcast image judgment unit that obtains whether the broadcast image is not a program broadcast image based on the identifier logo information, and
A content recommendation unit that obtains recommended content to be displayed when the program is not being broadcast based on viewing patterns or popular channel information.
Display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영상이 광고 영상인 경우 상기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ntrol unit
If the above broadcast video is an advertisement video,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recommended content.
Display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영상이 광고 영상에서 프로그램 방송 영상으로 변경될 경우 상기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지 않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ntrol unit
Control the display unit so as not to display the recommended content when the above broadcast video changes from an advertisement video to a program broadcast video.
Display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영상이 프로그램 방송 영상인 경우, 상기 방송 영상이 상기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종료 영상에 해당 여부를 획득하고,
상기 방송 영상이 상기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종료 영상인 경우 상기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ntrol unit
If the above broadcast video is a program broadcast video, obtain whether the above broadcast video corresponds to the end video of the above program broadcast video,
If the above broadcast video is the end video of the above program broadcast video,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recommended content.
Display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영상이 상기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종료 영상인 경우, 상기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종료 영상의 종료 후 시간대의 다른 프로그램 방송 영상에 관한 컨텐트를 상기 추천 컨텐트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In paragraph 4,
The above control unit
If the above broadcast video is the end video of the above program broadcast video,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display content related to another program broadcast video in the time zone after the end video of the above program broadcast video as the recommended content.
Display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영상의 캡처 화면에서 식별자 로고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방송 영상을 분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ntrol unit
By obtaining identifier logo information from the captured screen of the above broadcast video, the above broadcast video is analyzed.
Display device.
상기 식별자 로고 정보는
컨텐트 제공자 로고 정보 또는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In Article 6,
The above identifier logo information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provider's logo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ogram broadcast video.
Display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영상을 상기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메인 영상, 상기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종료 영상 및 광고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컨텐트의 표시 시점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ntrol unit
Recognize the above broadcast video as one of the main video of the above program broadcast video, the ending video of the above program broadcast video, and an advertisement video, and obtain the display time of the above recommended content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Display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영상이 상기 프로그램 방송 영상의 종료 영상 또는 상기 광고 영상인 경우 상기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In Article 8,
The above control unit
If the above broadcast video is the ending video of the above program broadcast video or the above advertisement video,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above recommended content.
Display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영상을 주기적으로 캡쳐하여 상기 방송 영상을 분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ntrol unit
Periodically capture the above broadcast video and analyze the above broadcast video.
Display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78516A KR102725380B1 (en) | 2019-07-01 | 2019-07-01 |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78516A KR102725380B1 (en) | 2019-07-01 | 2019-07-01 |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02797A KR20210002797A (en) | 2021-01-11 |
| KR102725380B1 true KR102725380B1 (en) | 2024-11-04 |
Family
ID=7412930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78516A Active KR102725380B1 (en) | 2019-07-01 | 2019-07-01 |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2538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2181862A1 (en) * | 2021-02-26 | 2022-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KR20240002060A (en) * | 2022-06-28 | 2024-0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image and the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90007B1 (en) * | 2014-08-08 | 2020-12-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serv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20160126483A (en) * | 2015-04-23 | 2016-1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
-
2019
- 2019-07-01 KR KR1020190078516A patent/KR102725380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02797A (en) | 2021-01-1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64481B1 (en) | App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user viewing behavior using pattern matching and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 |
| KR101899597B1 (en) | Method for searching object information and dispaly apparatus thereof | |
| US10448107B2 (en) | Display device | |
| KR20150145616A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102725380B1 (en) | Display device | |
| KR20200131559A (en) | Display device | |
| KR102618748B1 (en) | display device | |
| KR20170123184A (en) |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a scrap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20150137499A (en) |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102319680B1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20140094132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 |
| EP3926967A1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 |
| KR102834043B1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20220167119A (en) | A display device and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 |
| KR20210011290A (en) | Display device | |
| US20250227341A1 (en) | Display device | |
| KR102646584B1 (en) | Display device | |
| US11949942B2 (en) | Display device | |
| KR102701362B1 (en) | Display device | |
| US20250159278A1 (en) | A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102700206B1 (en) | A display device | |
| KR102804739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 KR102249486B1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US20250024110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 US20250138776A1 (en) |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4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7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