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27480B1 - Noise-cancelling headset with variable band mask technology - Google Patents
Noise-cancelling headset with variable band mask technolog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27480B1 KR102727480B1 KR1020230191442A KR20230191442A KR102727480B1 KR 102727480 B1 KR102727480 B1 KR 102727480B1 KR 1020230191442 A KR1020230191442 A KR 1020230191442A KR 20230191442 A KR20230191442 A KR 20230191442A KR 102727480 B1 KR102727480 B1 KR 1027274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ise
- band
- octave
- section
- octave ba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102100026436 Regulator of MON1-CCZ1 complex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5
- 101710180672 Regulator of MON1-CCZ1 complex Protein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30 cognitive 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받은 사운드에 대해, 한 옥타브 밴드를 1/6 옥타브 밴드로 분할하여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canceling headset using a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that can minimize power waste by dividing an input sound into one octave bands into 1/6 octave bands.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입력 받은 사운드에 대해, 한 옥타브 밴드를 1/6 옥타브 밴드로 분할하여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canceling headset using a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and more specifically, to a noise-canceling headset using a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that can minimize power waste by dividing an input sound into one octave bands into 1/6 octave bands.
사용자의 사운드를 입력 받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대방에게 송신하는 통신기기를 예를 들면,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화기나 이동 중에 사용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있을 수 있고, 그 밖에 무전기라든지 마이크를 구비한 음성통신용 헤드셋 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Examples of communication devices that input the user's sound and transmit it to the other party via wire or wirelessly include telephones used at home or mobile terminals that can be used while on the move, as well as walkie-talkies and headset devices for voice communication equipped with microphones.
상기에서 열거한 각종 기기들은 상호 통신을 하면서 소통을 하게 되는데, 이때,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까지도 함께 입력된다. 사용자의 주변에서는 다양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주변의 사람들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이나, 제조산업 현장에서 동시에 발생되는 기계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 여러 가지 소음이 있을 수 있다. The various devices listed abov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t this time, noises generated in the surroundings are also input. Various noises can occur in the user's surroundings, for example, noises generated by people nearby, noises generated by machines operating simultaneously in manufacturing sites, noises generated at construction sites, etc.
즉, 가청주파수 대역 내에 잡음이 많은 상황에서는 인간의 인식능력이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다양한 소음 환경에서 불필요한 소음을 제거하여 의사소통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In other words, human cognitive ability is significantly reduced in situations where there is a lot of noise within the audible frequency band, and accordingly, the need for technology to remove unnecessary noise in various noisy environments and improve the convenience of communication is increasing.
종래의 FFT 분석은 4000 ~ 8000point 정도의 해석을 통해 data를 취득하는 방식으로, 주파수에 대한 대응이 LINEAR SCALE로 이루어져, 저음부에서는 너무 간격이 넓고, 고음부에서는 반대로 너무 촘촘하여, 불필요한 GARBAGE 데이터가 많이 생성되었다. 이에 따라, 높은 해상도의 FFT 연산은 많은 양의 MCU 파워가 필요하며, 소형 기기의 경우 배터리 소모가 많았으며, 생산단가, 배터리 전원 관리에 있어서도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였다. The conventional FFT analysis method acquires data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about 4,000 to 8,000 points, and the frequency correspondence is made with a LINEAR SCALE, so the interval is too wide in the low-frequency range and conversely, it is too dense in the high-frequency range, and a lot of unnecessary GARBAGE data is generated. Accordingly, high-resolution FFT operation requires a lot of MCU power, and in the case of small devices, it consumes a lot of battery, and it also causes serious problems in terms of production cost and battery power management.
따라서, 적은 양의 MCU 파워를 사용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고 주변 소음을 억제하여 사용자의 청취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새로운 기법이 적용된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we aim to provide a noise-cancelling headset with a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that uses a new technique to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and suppress ambient noise using a small amount of MCU power, thereby maintaining a more comfortable listening environment for the us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 받은 사운드에 대해, 한 옥타브 밴드를 1/6 옥타브 밴드로 분할하여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canceling headset using a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that can minimize power waste by dividing an input sound into one octave bands into 1/6 octave band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경소음(귀 인근) 마이크와 근접 마이크(얼굴 입 인근)를 포함하는 마이크; 상기 배경소음 마이크와 근접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두 사운드의 신호에 대해 평균을 구해서 편차를 계산하고 분석하는 사운드 분석부; 한 옥타브 밴드 구간을 일정한 개수의 밴드로 분할하는 밴드 분할부; 소음을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 및, 소음이 제거된 사운드를 내보내는 블루투스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ise-canceling headset using a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icrophone including a background noise (near the ear) microphone and a proximity microphone (near the mouth of the face); a sound analysis unit calculating and analyzing a deviation by calculating an average of two sound signals input from the background noise microphone and the proximity microphone; a band division unit dividing an octave band section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bands; a noise removal unit removing noise;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outputting a sound from which noise has been removed.
이때, 상기 사운드 분석부를 통해 기 설정된 개수의 옥타브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eset number of octave sections are formed through the sound analysis unit.
이때, 상기 밴드 분할부는 한 옥타브 밴드 구간을 1/6로 분할하여 밴드 구간을 형성하는 1/6 옥타브 밴드 분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band division par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1/6 octave band division part that divides one octave band section into 1/6 to form a band section.
이때, 상기 밴드 분할부를 통해 50 내지 54개의 밴드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50 to 54 band sections are formed through the band division section.
이때, 상기 노이즈 제거부는 기 설정된 기준으로 소음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noise removal unit is characterized by removing noise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은 입력 받은 사운드에 대해, 한 옥타브 밴드를 1/6 옥타브 밴드로 분할하여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A noise-canceling headset using a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power waste by dividing an input sound from an octave band into 1/6 octave bands.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전력 헤드셋의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의 사운드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의 1/6 옥타브 밴드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Figure 1 is an example of a low-power heads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noise-cancelling headset using a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 chart of a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sound analysis of a noise-canceling headset using a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1/6 octave band division of a noise-canceling headset using a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detail certain exemplary aspects of one or more of the aspect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se aspects are exemplary and that any of the various methods of practicing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tilized, and the description is intended to encompass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In particular, the terms “embodiment,” “example,” “aspect,” “example,” etc., as used herein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preferred or advantageous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regardless of the drawing symbols,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or compon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se elements or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or component from another element or component. Accordingl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first element or component referred to below may also be a second element or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a meaning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all not be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dditionally, the term "or" is intended to mean an inclusive "or" rather than an exclusive "or." That is,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clear from the context, "X employs A or B" is intended to mean either of the 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That is, if X employs A; X employs B; or X employs both A and B, "X employs A or B" can apply to any of these cases. Furthermore, the term "and/or" as used herein should be understood to refer to and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associated items listed.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 the presence of the features and/or compon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components, and/or groups thereof. Also,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clear from the context to refer to the singular form, the singular form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generally be construed to mean "one or more."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정보" 및 "데이터"는 종종 서로 상호교환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erms “information” and “data” as used herein may often be used interchangeably.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used for compon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convenienc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in themselves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purpose and eff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ttached drawings. In explain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judg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present disclosure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disclos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의 구성들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s of a noise-cancelling headset using a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은 배경소음 마이크(Mic1)와 근접 마이크(Mic2)를 포함하는 마이크(Mic); 상기 배경소음 마이크(Mic1)와 근접 마이크(Mic2)로부터 입력된 두 사운드의 신호에 대해 평균을 구해서 편차를 계산하고 분석하여 복수의 옥타브 밴드 구간을 형성하는 사운드 분석부(SA); 한 옥타브 밴드 구간을 일정한 개수의 밴드로 분할하는 밴드 분할부(110); 상기 밴드 분할부(110)를 거친 사운드에 대해 소음을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120); 및, 소음이 제거된 사운드를 내보내는 블루투스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A noise-canceling headset using a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icrophone (Mic) including a background noise microphone (Mic1) and a proximity microphone (Mic2); a sound analysis unit (SA) calculating and analyzing a deviation by taking an average of two sound signals input from the background noise microphone (Mic1) and the proximity microphone (Mic2) to form a plurality of octave band sections; a band division unit (110) dividing one octave band section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bands; a noise removal unit (120) removing noise from a soun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and division unit (110);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ting a sound from which noise has been removed.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H)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피커(S)와, 각 스피커(S)를 연결하는 연결부재(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S)는 음성 내지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수단이며, 상기 연결부재(C)는 두 스피커(S)를 연결하는 것은 물론, 스피커(S)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머리 등에 거치된다. A noise-canceling headset (H) using a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may include, as illustrated in Fig. 1, a pair of speakers (S) and a connecting member (C) connecting each speaker (S). The speakers (S) are a means for outputting voice or sound, and the connecting member (C) is mounted on the head or the like so as to connect the two speakers (S) and secure the speakers (S) to the user's body.
한편, 상기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H)은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H)은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는 배경소음 마이크(Mic1)과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는 근접 마이크(Mic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근접 마이크(Mic2)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입과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배경소음 마이크(Mic1)는 사용자의 음성에 간섭 받지 않고 주변의 소리를 수집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입과는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noise-canceling headset (H) of the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may include a microphone (Mic). More specifically, the noise-canceling headset (H) of the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may include a background noise microphone (Mic1) for collecting surrounding sounds and a proximity microphone (Mic2) for collecting a user's voice.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ximity microphone (Mic2) is formed adjacent to the user's mouth so as to be able to collect the user's voice, and the background noise microphone (Mic1) is formed at a position relatively far from the user's mouth so as to be able to collect surrounding sounds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by the user's voice.
상기 배경소음 마이크(Mic1)에서 입력된 소리는 배경소음 앰프(A1)를 거칠 수 있고, 상기 근접 마이크(Mic2)에서 입력된 소리는 근접마이크 앰프(A2)를 거칠 수 있다. 즉, 배경소음 마이크(Mic1)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는 배경소음 앰프(A1)를 거쳐 제어부(100)로 들어가며, 근접 마이크(Mic2)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는 근접마이크 앰프(A2)를 거쳐 제어부(100)로 들어간다. The sound input from the above background noise microphone (Mic1) may pass through the background noise amplifier (A1), and the sound input from the above proximity microphone (Mic2) may pass through the proximity microphone amplifier (A2). That is, the sound input through the background noise microphone (Mic1) passes through the background noise amplifier (A1) and enters the control unit (100), and the sound input through the proximity microphone (Mic2) passes through the proximity microphone amplifier (A2) and enters the control unit (100).
상기 근접 마이크(Mic2)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며,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H)은 수집된 음성을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다른 사용자의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H')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의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H')에 형성된 스피커(S')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각 사용자들은 작업 중 필요한 대화를 블루투스 통신으로 주고받을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proximity microphone (Mic2) collects the user's voice, and the noise-canceling headset (H) with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can transmit the collected voice to another user's noise-canceling headset (H') with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via Bluetooth communication, and output it through the speaker (S') formed in the noise-canceling headset (H') with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of another user. Through this, each user can exchange necessary conversations during work via Bluetooth communication.
이를 위해 각각의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H)들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H)은 사용자의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each noise-canceling headset (H) of the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be connected via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noise-canceling headset (H) of the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Bluetooth communic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user's working environment.
한편, 상기 배경소음 마이크(Mic1)는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H)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는데, 이는, 사용자의 사운드 이외의 불필요한 소음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할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에서 상세히 다루도록 한다. Meanwhile, the background noise microphone (Mic1) collects sounds around the noise-canceling headset (H) using the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in order to remove unnecessary noises other than the user's sound. Details for implementing this will be covered in detail in the noise-canceling headset using the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H)은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H)의 특정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00)는 장치의 복잡함을 줄이기 위해 스피커(S)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근접 마이크(Mic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다른 기기로 전달함은 물론, 배경소음 마이크(Mic1)로부터 입력되는 소리 중 불필요한 소음을 제거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통한 통신을 원활하게 한다. Meanwhile, the noise canceling headset (H) of the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may include a control unit (100). The control unit (100) may be formed at a specific location of the noise canceling headset (H) of the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00)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speaker (S) to reduce the complexity of the device. The control unit (100) not only transmits the user's voice input from the proximity microphone (Mic2) to another device, but also removes unnecessary noise from the sound input from the background noise microphone (Mic1), thereby facilitat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user's voice.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분석부(SA), 밴드 분할부(110), 노이즈제거부(120), 블루투스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00) may include a sound analysis unit (SA), a band division unit (110), a noise removal unit (120),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30), as shown in FIG. 2.
상기 사운드 분석부(SA)는 상기 배경소음 마이크(Mic1)와 근접 마이크(Mic2)로부터 입력된 두 사운드의 신호에 대해 평균을 구해서 편차를 계산하고 분석을 수행한다. The above sound analysis unit (SA) calculates the deviation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two sound signals input from the background noise microphone (Mic1) and the proximity microphone (Mic2) and performs analysis.
상기 사운드 분석부(SA)에서 분석을 수행한 사운드의 신호는 사용자가 기설정한 구간에 따라 복수의 옥타브 밴드 구간(O)을 가질 수 있는데, 옥타브 밴드 구간(O)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옥타브 밴드 구간(O1) 내지는 제n옥타브 밴드 구간(On)으로, 대략 8 ~ 10개 가량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sound signal analyzed by the above sound analysis unit (SA) may have multiple octave band sections (O) according to the sections preset by the user. As shown in FIG. 4, the octave band sections (O) may be divided into approximately 8 to 10 sections, such as the first octave band section (O 1 ) to the nth octave band section (O n ).
상기 사운드 분석부(SA)에서는 사운드 분석부(SA)를 이용해, 기 설정된 개수로 옥타브 밴드 구간(O)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사용자가 기설정한 최대 주파수에 해당하는 수치값을 갖는 x Hz를 기준으로, x/2 Hz, x/4 Hz, x/8 Hz, x/16 Hz, x/32 Hz, x/64 Hz, x/128 Hz, x/256 Hz, x/512 Hz에 옥타브 밴드 구간(O)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일 예시일 뿐, 기술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 sound analysis unit (SA) can be configured to have a preset number of octave band sections (O) by using the sound analysis unit (SA). As an example, based on x Hz having a numeric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frequency preset by the user, the octave band sections (O) can be configured at x/2 Hz, x/4 Hz, x/8 Hz, x/16 Hz, x/32 Hz, x/64 Hz, x/128 Hz, x/256 Hz, and x/512 Hz.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implemented by changing i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technician.
구체적인 예시로, 상기 제1옥타브 밴드 구간(O1)은 32Hz와 65Hz 사이의 구간이며, 제2옥타브 밴드 구간(O2)은 65Hz와 130Hz 사이의 구간, 제3옥타브 밴드 구간(O3)은 130Hz에 260Hz 사이의 구간, 제4옥타브 밴드 구간(O4)은 260Hz와 사이의 구간, 제5옥타브 밴드 구간(O5)은 520Hz와 1,040Hz 사이의 구간, 제6옥타브 밴드 구간(O6)은 1,040Hz와 2,080Hz 사이의 구간, 제7옥타브 밴드 구간(O7)은 2,080Hz와 4,160Hz 사이의 구간, 제8옥타브 밴드 구간(O8)은 4,160Hz와 8,320Hz 사이의 구간, 제9옥타브 밴드 구간(O9)은 8,320Hz와 16,640Hz 사이의 구간에 대응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octave band section (O 1 ) is a section between 32 Hz and 65 Hz, the second octave band section (O 2 ) is a section between 65 Hz and 130 Hz, the third octave band section (O 3 ) is a section between 130 Hz and 260 Hz, the fourth octave band section (O 4 ) is a section between 260 Hz and 1,040 Hz, the fifth octave band section (O 5 ) is a section between 520 Hz and 1,040 Hz, the sixth octave band section (O 6 ) is a section between 1,040 Hz and 2,080 Hz, the seventh octave band section (O 7 ) is a section between 2,080 Hz and 4,160 Hz, the eighth octave band section (O 8 ) is a section between 4,160 Hz and 8,320 Hz, and the ninth octave band The interval (O 9 ) can correspond to the interval between 8,320 Hz and 16,640 Hz.
물론, 이는 일 예시일 뿐, 각 밴드구간(b)의 개수 및 대응구간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는 주파수 영역을 상이하게 구분한 다양한 분석포인트(a)에 따라, 상이한 밴드구간(b)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기술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Of cours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each band section (b) and corresponding section are not limited to this, and depending on the various analysis points (a) that divide the frequency range to be analyzed differently, different band sections (b) may be available. This may be implemented by changing i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intention of the technician.
상기 밴드 분할부(110)는 옥타브 밴드 구간을 일정한 개수의 밴드로 분할한다. The above band division unit (110) divides the octave band section into a certain number of bands.
상기 밴드 분할부(110)는 1/1 옥타브 밴드 분할부(111)를 포함한다. The above band division part (110) includes a 1/1 octave band division part (111).
상기 1/1 옥타브 밴드 분할부(111)는 사운드 분석부(SA)에서 구분된 옥타브 밴드 구간(O)을, 밴드 분할을 진행하지 않은 1/1 상태로 노이즈 제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The above 1/1 octave band division unit (111) enables noise removal in the octave band section (O) separated by the sound analysis unit (SA) to a 1/1 state without performing band division.
일 예시로, 상기 1/1 옥타브 밴드 분할부(111)는 사운드 레벨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나지 않거나, 사운드 레벨의 변동 편차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 옥타브 밴드 구간(O)을 분할하지 않고 1/1상태로 유지한다. As an example, the 1/1 octave band division section (111) does not divide the octave band section (O) and maintains it in the 1/1 state when the sound level does not appear abnormally high or the sound level fluctuation deviation does not appear large.
상기 밴드 분할부(110)는 1/6 옥타브 밴드 분할부(112)를 포함한다. The above band division section (110) includes a 1/6 octave band division section (112).
상기 1/6 옥타브 밴드 분할부(112)는 사운드 분석부(SA)에서 구분된 옥타브 밴드 구간(O)을, 1/6로 밴드 분할을 진행한 상태로 노이즈 제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The above 1/6 octave band division unit (112) enables noise removal by dividing the octave band section (O) distinguished by the sound analysis unit (SA) into 1/6 bands.
상기 밴드 분할부(110)는 상기 사운드 분석부(SA)에서 구분된 옥타브 밴드 구간(O)을 1/6 옥타브 밴드 분할부(112)를 통해 1/6로 분할한다. The above band division unit (110) divides the octave band section (O) distinguished by the sound analysis unit (SA) into 1/6 through the 1/6 octave band division unit (112).
일 예시로, 상기 1/1 옥타브 밴드 분할부(111)는 사운드 레벨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나거나, 사운드 레벨의 변동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경우, 한 옥타브 밴드 구간(O)을 1/6로 분할한다. As an example, the above 1/1 octave band division section (111) divides one octave band section (O) into 1/6 when the sound level appears abnormally high or the sound level fluctuation deviation appears large.
상기 1/6 옥타브 밴드 분할부(1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운드 분석부(SA)에서 제1옥타브 밴드 구간(O1), 제2옥타브 밴드 구간(O2), 제3옥타브 밴드 구간(O3), 제4옥타브 밴드 구간(O4), 제5옥타브 밴드 구간(O5), 제6옥타브 밴드 구간(O6), 제7옥타브 밴드 구간(O7), 제8옥타브 밴드 구간(O8), 제9옥타브 밴드 구간(O9), …, 제n옥타브 밴드 구간(On) 등으로 구분된 각 옥타브 밴드 구간(O)에 대해, 분할포인트(a)를 설정하고, 해당 한 옥타브 밴드 구간(O)을 1/6로 분할하여 밴드구간(b)을 형성한다. The above 1/6 octave band division unit (112), as illustrated in FIG. 5, sets a division point (a) for each octave band section (O) divided into a first octave band section (O 1 ), a second octave band section (O 2 ), a third octave band section (O 3 ), a fourth octave band section (O 4 ), a fifth octave band section (O 5 ) , a sixth octave band section (O 6 ), a seventh octave band section (O 7 ), an eighth octave band section (O 8 ), a ninth octave band section (O 9 ), … , an nth octave band section (O n ), etc., and divides the corresponding one octave band section (O) into 1/6 to form a band section (b).
한편, 상기 1/6 옥타브 밴드 분할부(112)는, 제1분할포인트(a1), 제2분할포인트(a2), 제3분할포인트(a3), 제4분할포인트(a4), 제5분할포인트(a6)를 설정한다. 이에, 1/6 옥타브 밴드 분할부(112)는 한 옥타브 밴드 구간(O)의 시작포인트부터 제1분할포인트(a1)까지의 구간을 제1밴드구간(b1), 제1분할포인트(a1)에서 제2분할포인트(a2)까지의 구간을 제2밴드구간(b2), 제2분할포인트(a2)에서 제3분할포인트(a3)까지의 구간을 제3밴드구간(b3), 제3분할포인트(a3)에서 제4분할포인트(a4)까지의 구간을 제4밴드구간(b4), 제4분할포인트(a4)에서 제5분할포인트(a5)까지의 구간을 제5밴드구간(b5), 제5분할포인트(a5)에서 옥타브 밴드 구간(O)의 종점포인트까지의 구간을 제6밴드구간(b6)이 되도록 분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bove 1/6 octave band division section (112) sets a first division point (a 1 ), a second division point (a 2 ), a third division point (a 3 ), a fourth division point (a 4 ), and a fifth division point (a 6 ). Accordingly, the 1/6 octave band division section (112) is divided into a first band section (b 1 ) from the start point of one octave band section (O) to the first division point (a 1 ), a second band section (b 2 ) from the first division point (a 1 ) to the second division point (a 2 ), a third band section (b 3 ) from the second division point (a 2 ) to the third division point (a 3 ) and a fourth band section (b 4 ), a fifth band section (b 5 ) from the third division point (a 3 ) to the fourth division point (a 4 ) and a fifth band section (b 5 ), and a sixth band section (b 6 ) from the fifth division point (a 5 ) to the end point of the octave band section (O). It can be split as much as possible.
이에, 전체 구간이 9 옥타브 구간으로 정의된 경우, 한 옥타브 밴드 구간 당 6개의 밴드구간(b)을 가지므로, 전체 구간은 6 Х 9 = 54개의 밴드구간(b)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불필요한 양단의 밴드를 제외하여 50개의 밴드구간(b)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if the entire section is defined as 9 octave sections, and each octave band section has 6 band sections (b), the entire section can have 6 Х 9 = 54 band sections (b). At this time, unnecessary bands at both ends can be excluded to have 50 band sections (b).
이에, 1/6 옥타브 밴드 분할부(112)를 통해 한 옥타브 밴드 당 6개의 밴드구간(b)을 형성한 상태, 즉 전체 구간에 대략 50 ~ 54개의 밴드구간(b)을 형성한 상태로 노이즈 제거부(120)로 정보를 전달한다. Accordingl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noise removal unit (120) in a state where six band sections (b) are formed per octave band through the 1/6 octave band division unit (112), that is, in a state where approximately 50 to 54 band sections (b) are formed in the entire section.
상기 노이즈 제거부(120)는 소음을 제거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한다. The above noise removal unit (120) performs a series of operations to remove noise.
상기 노이즈 제거부(120)는 기 설정된 기준으로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The above noise removal unit (120) can remove noise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일 예시로, 상기 노이즈 제거부(120)는 상기 밴드 분할부(110)에서 한 옥타브 밴드 구간(O)이 분할되지 않고 1/1상태를 유지하는지, 1/6로 분할되어 밴드구간(b)들로 분할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옥타브 밴드 구간(O)이 분할되지 않고 1/1상태인 경우 소음을 제거하는 폭을 상대적으로 넓게하며, 한 옥타브 밴드 구간(O)이 1/6로 분할된 경우 소음을 제거하는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하여 세밀하게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noise removal unit (120) can remove noise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one octave band section (O) in the band division unit (110) is not divided and maintains a 1/1 state or is divided into 1/6 and divided into band sections (b). Specifically, if the octave band section (O) is not divided and maintains a 1/1 state, the width of noise removal is made relatively wide, and if the one octave band section (O) is divided into 1/6, the width of noise removal is made relatively narrow, so that noise can be removed in detail.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30)는 소음이 제거된 사운드를 다른 기기로 송신하거나, 다른 기기로부터 사운드를 수신 받는다. 한편,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30)에서 수신 받는 것을 사운드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사운드 이외의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 받을 수도 있다. The abov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s noise-free sound to another device or receives sound from another device. Meanwhile, what is received by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30) is not limited to sound, an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ther than sound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30)는 소음이 제거된 사운드를 내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bov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30) performs the function of outputting sound with noise removed.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30)를 통해 소음이 제거된 사운드를 내보내는 대상은 다른 사용자의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H')일 수 있다. 또는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H')이 아닌 다른 기기일 수도 있다. 이는 당 분야 기술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arget that sends out the noise-removed sound through the abov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30) may be another user's noise-removing headset (H') using the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Or, it may be another device other than the noise-removing headset (H') using the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This may be implemented by making various change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30)를 통해 소음이 제거된 사운드를 송신하고 나면, 다른 사용자가 이를 수신 받아 들을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 역시 같은 방식을 통해 답변을 회신할 수 있을 것이다. After transmitting the noise-free sound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30), other users can receive and hear it, and other users can also reply in the same way.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소음 마이크(Mic1)와 근접 마이크(Mic2)로부터 사운드를 입력 받는 사운드 입력 단계(S10); 상기 배경소음 마이크(Mic1)와 근접 마이크(Mic2)로부터 입력된 두 사운드의 신호에 대해 평균을 구해서 편차를 계산하고 분석하여 복수의 옥타브 밴드 구간을 형성하는 사운드 분석 단계(S20); 한 옥타브 밴드 구간을 일정한 개수의 밴드로 분할하는 밴드 분할 단계(S30); 상기 밴드 분할 단계(S30)를 거친 사운드에 대해 소음을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단계(S40); 및, 소음이 제거된 사운드를 내보내는 송신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s illustrated in FIG. 3, a sound input step (S10) for receiving sound from a background noise microphone (Mic1) and a proximity microphone (Mic2); a sound analysis step (S20) for calculating and analyzing a deviation by calculating an average of two sound signals input from the background noise microphone (Mic1) and the proximity microphone (Mic2) to form a plurality of octave band sections; a band division step (S30) for dividing one octave band section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bands; a noise removal step (S40) for removing noise from a sound that has gone through the band division step (S30); and a transmission step (S50) for transmitting a sound from which noise has been removed.
상기 사운드 입력 단계(S10)에서는 배경소음 마이크(Mic1)와 근접 마이크(Mic2)로부터 사운드를 입력 받는다. 상기 사운드 입력 단계(S10)는 배경소음 마이크(Mic1)와 근접 마이크(Mic2)로부터 수행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에 대해 상술한 설명과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In the above sound input step (S10), sound is input from a background noise microphone (Mic1) and a proximity microphone (Mic2). The sound input step (S10) can be performed from the background noise microphone (Mic1) and the proximity microphone (Mic2), and performs functions identical to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for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상기 사운드 분석 단계(S20)에서는 상기 배경소음 마이크(Mic1)와 근접 마이크(Mic2)로부터 입력된 두 사운드의 신호에 대해 평균을 구해서 편차를 계산하고 분석하여 복수의 옥타브 구간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사운드 분석 단계(S20)는 사운드 분석부(SA)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의 상기 설명과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In the above sound analysis step (S20), the average of the two sound signals input from the background noise microphone (Mic1) and the proximity microphone (Mic2) is calculated and analyzed to form multiple octave sections. The sound analysis step (S20) can be performed in the sound analysis unit (SA), and performs functions identical to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for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상기 밴드 분할 단계(S30)에서는 한 옥타브 밴드 구간을 일정한 개수의 밴드로 분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밴드 분할 단계(S30)는 밴드 분할부(11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에 대해 상술한 설명과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In the above band division step (S30), a process of dividing an octave band section into a certain number of bands is performed. The band division step (S30) can be performed in the band division unit (110), and performs a function identical to or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상기 밴드 분할 단계(S30)는 1/1 옥타브 밴드 분할 단계(S31)를 포함할 수 있는데, 한 옥타브 밴드 구간을 분할하지 않고 1/1로 상태로 이후 노이즈 제거단계(S40)를 진행하도록 한다. The above band division step (S30) may include a 1/1 octave band division step (S31), and the noise removal step (S40) is then performed in a 1/1 state without dividing the one-octave band section.
또한, 상기 밴드 분할 단계(S30)는 1/6 옥타브 밴드 분할 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는데, 한 옥타브 밴드 구간을 1/6로 분할하여 한 옥타브 밴드 구간 당 6개의 1/6 옥타브 밴드를 형성하여, 이후 노이즈 제거단계(S40)를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 1/6 옥타브 밴드 분할 단계(S32)는 1/6 옥타브 밴드 분할부(112)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에 대해 상술한 설명과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band division step (S30) may include a 1/6 octave band division step (S32), which divides one octave band section into 1/6 to form six 1/6 octave bands per one octave band section, and then performs a noise removal step (S40). The 1/6 octave band division step (S32) may be performed in the 1/6 octave band division unit (112), and performs a function identical to or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상기 노이즈 제거단계(S40)에서는 상기 밴드 분할 단계(S30)를 거친 사운드에 대해 소음을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노이즈 제거단계(S40)는 노이즈 제거부(12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에 대해 상술한 설명과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In the above noise removal step (S40), a process of removing noise is performed on the sound that has gone through the band division step (S30). The noise removal step (S40) can be performed in the noise removal unit (120), and performs a function identical to or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상기 노이즈 제거단계(S40)는 1/1 옥타브 밴드 노이즈 제거 단계(S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1 옥타브 밴드 노이즈 제거 단계(S41)에서는 1/1 옥타브 밴드 분할 단계(S31)를 수행하여, 한 옥타브 밴드가 분할되지 않은 1/1 상태인 경우에 진행되는 것이 적절하다. The above noise removal step (S40) may include a 1/1 octave band noise removal step (S41). In the above 1/1 octave band noise removal step (S41), it is appropriate to perform the 1/1 octave band division step (S31) when one octave band is in an undivided 1/1 state.
상기 노이즈 제거단계(S40)는 1/6 옥타브 밴드 노이즈 제거 단계(S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6 옥타브 밴드 노이즈 제거 단계(S42)에서는 1/6 옥타브 밴드 분할 단계(S32)를 수행하여, 한 옥타브 밴드가 1/6로 분할된 상태인 경우에 진행되는 것이 적절하다. The above noise removal step (S40) may include a 1/6 octave band noise removal step (S42). In the above 1/6 octave band noise removal step (S42), it is appropriate to perform the 1/6 octave band division step (S32) so that one octave band is divided into 1/6.
상기 송신 단계(S50)에서는 소음이 제거된 사운드를 내보내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송신 단계(S50)는 블루투스 통신부(13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에 대해 상술한 설명과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In the above transmission step (S50), a process of transmitting sound from which noise has been removed is performed. The above transmission step (S50) can be performed in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30), and performs a function identical to or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disclosur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us, the disclosure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Mic1: 배경소음 마이크
Mic2: 근접 마이크
Mic: 마이크
SA: 사운드 분석부
110: 밴드 분할부
111: 1/1 옥타브 밴드 분할부
112: 1/6 옥타브 밴드 분할부
120: 노이즈 제거부
130: 블루투스 통신부
O: 옥타브 밴드 구간
b: 밴드구간Mic1: Background noise microphone
Mic2: Close-up microphone
Mic: Mic
SA: Sound Analysis Department
110: Band split
111: 1/1 octave band division
112: 1/6 octave band division
120: Noise removal section
130: Bluetooth communication section
O: Octave band interval
b: band section
Claims (5)
상기 배경소음 마이크와 근접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두 사운드의 신호에 대해 평균을 구해서 편차를 계산하고 분석하여 사용자가 기설정한 최대 주파수에 해당하는 수치값을 갖는 x Hz를 기준으로 8 ~ 10개의 옥타브 밴드 구간(O)을 형성하는 사운드 분석부;
한 옥타브 밴드 구간을 일정한 개수의 밴드로 분할하되, 사운드 레벨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나지 않거나 사운드 레벨의 변동 편차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 옥타브 밴드 구간(O)을 분할하지 않고 1/1상태로 유지하는 1/1 옥타브 밴드 분할부와, 사운드 레벨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나거나, 사운드 레벨의 변동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경우 한 옥타브 밴드 구간(O)을 1/6로 분할하여 밴드구간(b)을 형성하는 1/6 옥타브 밴드 분할부를 포함하는 밴드 분할부;
상기 밴드 분할부를 거친 사운드에 대해 소음을 제거하되, 한 옥타브 밴드 구간(O)이 분할되지 않고 1/1상태를 유지하는지, 1/6로 분할되어 밴드구간(b)들로 분할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옥타브 밴드 구간(O)이 분할되지 않고 1/1상태인 경우, 한 옥타브 밴드 구간(O)이 1/6로 분할된 경우에 비해 소음을 제거하는 폭을 상대적으로 넓게하며, 한 옥타브 밴드 구간(O)이 1/6로 분할된 경우, 옥타브 밴드 구간(O)이 분할되지 않고 1/1상태인 경우에 비해 소음을 제거하는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하여 소음을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 및,
소음이 제거된 사운드를 내보내는 블루투스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
Microphones including background noise microphones and proximity microphones;
A sound analysis unit that calculates and analyzes the deviation by taking the average of the two sound signals input from the background noise microphone and the proximity microphone, and forms 8 to 10 octave band sections (O) based on x Hz with a numeric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frequency set by the user;
A band division unit including a 1/1 octave band division unit that divides an octave band section into a fixed number of bands, but does not divide the octave band section (O) and maintains it in a 1/1 state when the sound level is not abnormally high or the sound level fluctuation deviation is not large, and a 1/6 octave band division unit that divides an octave band section (O) into 1/6 to form a band section (b) when the sound level is abnormally high or the sound level fluctuation deviation is large;
A noise removing unit for removing noise from a soun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and division unit, wherein, depending on whether an octave band section (O) is not divided and maintains a 1/1 state or is divided into 1/6 and divided into band sections (b), if the octave band section (O) is not divided and is in a 1/1 state, the width of noise removal is relatively widen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octave band section (O) is divided into 1/6, and if the octave band section (O) is divided into 1/6, the width of noise removal is relatively narrow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octave band section (O) is not divided and is in a 1/1 state; and
A noise-canceling headset using a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that emits noise-canceled sound.
상기 밴드 분할부를 통해 50 내지 54개의 밴드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밴드 마스크 기법의 소음제거 헤드셋.
In the first paragraph,
A noise-canceling headset using a variable band mask technique, characterized in that 50 to 54 band sections are form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band division s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91442A KR102727480B1 (en) | 2023-12-26 | 2023-12-26 | Noise-cancelling headset with variable band mask technolog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91442A KR102727480B1 (en) | 2023-12-26 | 2023-12-26 | Noise-cancelling headset with variable band mask technology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727480B1 true KR102727480B1 (en) | 2024-11-07 |
Family
ID=9346242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191442A Active KR102727480B1 (en) | 2023-12-26 | 2023-12-26 | Noise-cancelling headset with variable band mask technolog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27480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00033625A (en) | 1998-11-25 | 2000-06-15 | 전주범 | Active Noise Canceling Device for PDP TV |
| US20050013443A1 (en) * | 2003-06-16 | 2005-01-20 | Toru Marumoto | Audio correcting apparatus |
| US20140278385A1 (en) * | 2013-03-13 | 2014-09-18 | Kopin Corporation | Noise Cancelling Microphone Apparatus |
| US20210280203A1 (en) * | 2019-03-06 | 2021-09-09 | Plantronics, Inc. | Voice Signal Enhancement For Head-Worn Audio Devices |
-
2023
- 2023-12-26 KR KR1020230191442A patent/KR10272748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00033625A (en) | 1998-11-25 | 2000-06-15 | 전주범 | Active Noise Canceling Device for PDP TV |
| US20050013443A1 (en) * | 2003-06-16 | 2005-01-20 | Toru Marumoto | Audio correcting apparatus |
| US20140278385A1 (en) * | 2013-03-13 | 2014-09-18 | Kopin Corporation | Noise Cancelling Microphone Apparatus |
| US20210280203A1 (en) * | 2019-03-06 | 2021-09-09 | Plantronics, Inc. | Voice Signal Enhancement For Head-Worn Audio Device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190297435A1 (en) | Hearing aid device for hands free communication | |
| US6671379B2 (en) | Ear microphone apparatus and method | |
| US20110158420A1 (en) | Stand-alone ear bud for active noise reduction | |
| EP321768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performance of audio transducer based on detection of transducer status | |
| CN108701449A (en) | The system and method for active noise reduction in earphone | |
| CN104754436B (en) | Active noise reduction method and noise reduction earphone | |
| CN105959842A (en) | Earphone noise reduc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arphone | |
| CN102123334A (en) | A communication headset with a circumferential microphone slot | |
| WO2006028587A3 (en) | Headset for separation of speech signals in a noisy environment | |
| US11418866B2 (en) | Voice-activated sound encoding for headsets using frequency domain representations of microphone signals | |
| US11375322B2 (en) | Hearing aid determining turn-taking | |
| CN112104936B (en) | Earphone | |
| EP4429267A1 (en) | Earphone having active noise reduction function and active noise reduction method | |
| US20080240477A1 (en) | Wireless multiple input hearing assist device | |
| CN206196006U (en) | Many loudspeaker earphone with leading note pipe | |
| CN102300002A (en) | Mobile terminal and hearing aiding processing method thereof | |
| CN107343235A (en) | It is a kind of can plug earphone cord active noise reduction earphone | |
| CN214799882U (en) | Self-adaptive directional hearing aid | |
| KR102727480B1 (en) | Noise-cancelling headset with variable band mask technology | |
| CN114666700B (en) | Noise reduction earphone, earphone noise redu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 |
| CN114205708B (en) | Intelligent voice touch system and method of bone conduction Bluetooth headset | |
| CN104038860A (en) | Non-removable close-distance voice listening method and headset | |
| CN113099350B (en) | Bluetooth headset capable of automatically reducing noise during music playing | |
| AU2006200446B2 (en) | Ear Microphone Apparatus and Method | |
| JP3211617U (en) | Conversation assistance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6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