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27639B1 - User communication device executing standby mode, operating method, and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reof - Google Patents
User communication device executing standby mode, operating method, and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27639B1 KR102727639B1 KR1020210174700A KR20210174700A KR102727639B1 KR 102727639 B1 KR102727639 B1 KR 102727639B1 KR 1020210174700 A KR1020210174700 A KR 1020210174700A KR 20210174700 A KR20210174700 A KR 20210174700A KR 102727639 B1 KR102727639 B1 KR 1027276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device
- user
- signal
- human body
- user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7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H04B13/005—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medium consists of the human bod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6—Arrangements for providing Galvanic isolation, e.g. by means of magnetic or capaci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통신 장치의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정형 통신 장치로부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기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기상 신호는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것, 기상 신호에 응답하여, 대기 모드에서 기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기상 모드 동안, 고정형 통신 장치로부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1 인체 통신 채널은 사용자 통신 장치의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제공된다.A method of operating a user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weather signal from a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wherein the weather signal has a frequency in a low-frequency band; switching from a standby mode to a weather mode in response to the weather signal; and receiving a data signal from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during the weather mode, wherein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is provided by a body of a user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체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 모드를 실행하는 사용자 통신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an body commun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communication device executing a standby mode,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인체 통신은 인체를 통신 채널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 인체에 근접한 다양한 장치가 인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물에 부착된 고정형 통신 장치와 사용자의 이동형 통신 장치가 인체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사용자 근처에 있거나 사용자와 접촉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의 이동형 통신 장치가 고정형 통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Human body communication is a technology that uses the human body as a communication channel to transmit data, and various devices close to the human body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human body. When a fixed communication device attached to an object and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human body communication, a situation may occur where other users'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that are near or in contact with the user receive data from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이와 같이, 의도치 않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인체 통신 장치 간의 간섭 현상을 제어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Thus, in order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unintended data is received, a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between multiple human body communication devices that may occur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is required.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대기 모드를 실행하는 사용자 통신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user communication device executing a standby mode,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통신 장치의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정형 통신 장치로부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기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상 신호는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것, 상기 기상 신호에 응답하여, 대기 모드에서 기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은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의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제공된다.A method of operating a user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weather signal from a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wherein the weather signal has a frequency in a low-frequency band; switching from a standby mode to a weather mode in response to the weather signal; and receiving a data signal from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during the weather mode, wherein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is provided by a body of a user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가 상기 기상 모드로 전환됨을 가리키는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receiving the data signal from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during the weather mode includes the step of transmitting, during the weather mode,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indicating that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has switched to the weather mode, and after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signal, receiving the data signal from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상 모드 동안,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로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a standby signal to an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during the wake-up mode, requesting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to set an operation mode of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to the standby mod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대기 모드를 가리키는 상기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제2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체 통신 채널은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의 다른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제공된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transmitting, during the wake-up mode, the standby signal to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indicating the standby mode,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during the wake-up mode, the standby signal to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over a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the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being provided by a body of the other user of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대기 모드를 가리키는 상기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상 모드 동안,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transmitting, during the wake-up mode, the standby signal indicating the standby mode to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during the wake-up mode, the standby signal to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over a wireless communications channe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 및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는 이동형 인체 통신 장치들이고, 그리고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는 고정형 인체 통신 장치이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are mobile human body communication devices, and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is a fixed human body communication devi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 후, 상기 기상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after processing the data signal,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switching from the wake-up mode to the standby mod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저주파 대역보다 높은 고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다.In one embodiment, the data signal has a frequency in a high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low frequency ban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상 모드는 상기 기상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저주파 대역의 통신 및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고주파 대역의 통신을 모두 활성화한다. In one embodiment, the weather mode activates both communication in the low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weather signal and communication in the high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data signal.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인체 통신 시스템은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사용자 통신 장치 및 고정형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 통신 시스템의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로 기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상 신호는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것,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기상 신호에 응답하여 대기 모드에서 기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의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은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의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제공된다.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user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ng through a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and a stationary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step of transmitting, by the stationary communication device, a wake-up signal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wherein the wake-up signal has a frequency in a low-frequency band; a step of switching, by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from a standby mode to a wake-up mode in response to the wake-up signal; and a step of transmitting, by the stationary communication device, a data signal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during the wake-up mode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is provided by a body of a user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체 통신 시스템은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대기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인체 통신 채널은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의 다른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제공된다.In one embodiment,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n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transmitting, by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a standby signal to the stationary communication device over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during the wake-up mode; and transmitting, by the stationary communication device, the standby signal over a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to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in response to the standby signal, wherein the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is provided by a body of another user of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대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executing the standby mode in response to the standby signal by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기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기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의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보안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switching, by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wake-up mode in response to the wake-up signal includes the step of transmitting, by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an iden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step of transmitting, by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e data signal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over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during the wake-up mode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the step of generating, by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a security signal compris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ata signal, and transmitting, by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e security signal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over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보안 신호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의 상기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보안 신호의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의 상기 식별 정보가 일치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보안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by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whe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urity sig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match; and processing the security signal if it is determined, by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urity sig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match.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체 통신 시스템은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보안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에 의해, 제2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보안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보안 신호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신호의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의 상기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다고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보안 신호를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인체 통신 채널은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의 다른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제공된다.In one embodiment,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n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by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e security signal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by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e security signal to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determining, by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whe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urity signal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match, and discarding the security signal based on determining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urity sig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do not match, wherein the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is provided by a body of another user of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 상기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transmitting an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by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by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the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via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통신 장치는 사용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사용자와 접촉한 것에 기초하여,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고정형 통신 장치로부터 기상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기상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기상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 모드를 가리키는 대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사용자와 접촉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 상기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 동안 저주파 대역의 통신을 활성화하고,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저주파 대역의 통신 및 고주파 대역의 통신을 활성화하고, 그리고 상기 인체 통신 채널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제공된다.A user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omprises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figured to come into contact with a user,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wake-up signal from a stationary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body communication channel based on the first electrod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ser, a processor configured to switch an operation mode from a standby mode to a wake-up mode based on the wake-up signal and generate a standby signal indicative of the standby mode, and a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wake-up signal to the stationary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body communication channel based on the second electrod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ser, wherein the processor activates communication in a low frequency band during the standby mode, and activates communication in the low frequency band and communication in a high frequency band during the wake-up mode, and the body communication channel is provided by a body of the user.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대기 모드를 실행하는 사용자 통신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user communication device executing a standby mode,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또한, 대기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전력 소모가 감소하고, 보안이 향상될 수 있는 사용자 통신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In addition, a user communication device,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which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improve security by executing a standby mode.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인체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의 인체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의 제1 사용자 통신 장치를 구체화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에에 따른 인체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도 4의 인체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인체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인체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도 7의 인체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of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of FIG. 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clearly and in detail so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도면들 또는 상세한 설명에서의 모듈들은 도면에 도시되거나 또는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구성 요소 이외에 다른 것들과 연결될 수 있다. 모듈들 또는 구성 요소들 사이의 연결은 각각 직접적 또는 비직접적일 수 있다. 모듈들 또는 구성 요소들 사이의 연결은 각각 통신에 의한 연결이거나 또는 물리적인 접속일 수 있다.The modules in the drawings or detailed description below may b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other than those depicted in the drawings or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dules or components may be direct or indirect, respective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dules or components may be a connection by communication or a physical connection, respectively.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인체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체 통신 시스템(100)은 고정형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통신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형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통신 장치(120)는 인체 통신 채널(HBC)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인체 통신 채널(HBC)은 사용자 통신 장치(120)의 사용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1,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100) may include a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a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may communicate via a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 may be provided by a user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고정형 통신 장치(110)는 인체 통신 채널(HBC)을 통해 사용자 통신 장치(120)와 통신할 수 있다. 고정형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의 접촉을 통해서 사용자 통신 장치(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려는 고정형 인체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형 통신 장치(110)는 냉장고, 에어컨, 및 세탁기와 같은 가전 제품에 부착된 인체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고정형 통신 장치(110)는 건물의 개폐 장치나 개인의 인증이 필요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via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be a fixed human body communication devic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through the user's contact. For example,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be a human body communication device attached to home appliances such as a refrigerator, an air conditioner, and a washing machine. In addition,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be used in a building's opening and closing device or a device that requires personal authentication.
사용자 통신 장치(120)는 인체 통신 채널(HBC)을 통해 고정형 통신 장치(110)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통신 장치(120)는 사용자의 접촉을 통해서 고정형 통신 장치(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려는 이동형 인체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통신 장치(120)는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무전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can communicate with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via a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can be a mobile human body communication devic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through user contact. For example,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can be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watch, a wearable devic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 walkie-talkie.
고정형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 통신 장치(120)의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한 것에 응답하여 기상 신호를 사용자 통신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기상 신호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에 기초하여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기상 신호는 사용자 통신 장치(120)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기상 모드로 전환하도록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transmit a wake-up signal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in response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making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he wake-up signal may be a signal generated based on the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he wake-up signal may be a signal requesting that the operation mode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be switched from a standby mode to a wake-up mode.
일 실시 예에서, 기상 신호는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일 수 있다. 대기 모드는 사용자 통신 장치(120)가 기상 신호에 대응하는 저주파 대역의 통신만을 활성화하는 모드일 수 있다. 기상 모드는 사용자 통신 장치(120)가 저주파 대역의 통신 및 고주파 대역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모드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eather signal may be a signal having a low frequency band frequency. The standby mode may be a mode in which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activates only low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corresponding to the weather signal. The weather mode may be a mode in which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activates low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and high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사용자 통신 장치(120)는 고정형 통신 장치(110)로부터 기상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 통신 장치(120)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기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통신 장치(120)는 기상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는 대기 모드를 실행하고, 기상 신호를 수신하면, 실행 중이던 대기 모드를 종료하고, 기상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can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weather mode in response to a weather signal from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That is,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can execute the standby mode before receiving the weather signal, and when receiving the weather signal, can terminate the standby mode that was being executed and execute the weather mode.
고정형 통신 장치(110)는 기상 신호를 사용자 통신 장치(120)로 전송한 후에, 사용자 통신 장치(120)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신호는 사용자가 고정형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통신 장치(120) 간의 인체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 신호는 고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일 수 있다.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transmit a data signal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after transmitting a weather signal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The data signal may be a signal including data that the user wishes to receive through human communication between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In one embodiment, the data signal may be a signal having a frequency in a high-frequency band.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통신 장치(120)는 대기모드에서 기상 모드로 전환한 후에, 고정형 통신 장치(110)로 기상 모드로 전환됨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고정형 통신 장치(110)는 알림 신호를 수신한 후에, 사용자 통신 장치(120)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may, after switching from a standby mode to a wake-up mode, transmit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notifying that the device has switched to the wake-up mode. After receiving the notification signal,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transmit a data signal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인체 통신 채널(HBC)은 고정형 통신 장치(110)와 사용자 통신 장치(120) 간 인체 통신에 활용되는 채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 통신 채널(HBC)은 사용자 통신 장치(120)의 사용자 신체의 일부를 매질로 하여 형성되는 채널일 수 있다. A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 may be a channel utilized for human body communication between a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a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For example,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 may be a channel formed using a part of a user's body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as a medium.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의 인체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인체 통신 시스템(100)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다. 고정형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통신 장치(120) 각각은 도 1의 고정형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통신 장치(120)에 대응할 수 있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S. 1 and 2, an operation method of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100) of FIG. 1 is illustrated. Each of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may correspond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of FIG. 1.
S110 단계에서, 사용자 통신 장치(120)는 대기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 통신 장치(120)가 대기 모드를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 통신 장치(120)는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다. At step S110,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can execute a standby mode. While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executes the standby mode,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can receive only signals having a low frequency band frequency.
S120 단계에서, 고정형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 통신 장치(120)의 사용자의 신체와의 접촉을 감지하고, 기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121 단계에서, 고정형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 통신 장치(120)로 기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At step S120,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detect contact between the user's body and the user's communication device (120) and generate a wake-up signal. At step S121,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transmit a wake-up signal to the user's communication device (120).
S130 단계에서, 사용자 통신 장치(120)는 기상 신호에 응답하여, 기상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기상 모드를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 통신 장치(120)는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 및 고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 모두를 수신할 수 있다. At step S130,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can execute a weather mode in response to a weather signal. While executing the weather mode,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can receive both a signal having a low frequency band frequency and a signal having a high frequency band frequency.
일 실시 예에서, S130 단계는 사용자 통신 장치(120)가 기상 신호에 응답하여, 고정형 통신 장치(110)로 데이터 신호를 요청하는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신호는 사용자 통신 장치(120)가 기상 모드로 전환됨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step S130 may include a step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requesting a data signal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in response to the weather signal. The notification signal may be a signal notifying that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is switched to a weather mode.
S131 단계에서, 고정형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 통신 장치(120)로 데이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131 단계는 고정형 통신 장치(110)가 사용자 통신 장치(12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요청하는 알림 신호를 수신한 후에, 사용자 통신 장치(120)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step S131,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transmit a data signal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In one embodiment, step S131 may include a step of transmitting the data signal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after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receives a notification signal requesting a data signal from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S140 단계에서, 사용자 통신 장치(120)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통신 장치(120)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 후에, 사용자 통신 장치(120)의 동작 모드를 기상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At step S140,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can process the received data signal. After processing the data signal,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can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from the wake-up mode to the standby mode.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의 제1 사용자 통신 장치를 구체화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통신 장치(120)는 제1 전극(121), 제2 전극(122), 수신기(123), 송신기(124), 및 프로세서(12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통신 장치(120)는 도 1의 사용자 통신 장치(120)와 대응할 수 있다.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3,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21), a second electrode (122), a receiver (123), a transmitter (124), and a processor (125).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may correspond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of FIG. 1.
제1 전극(121)은 사용자 통신 장치(1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전극(121)은 사용자 통신 장치(120)의 인체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21)은 사용자 통신 장치(120)가 데이터를 수신할 때 사용되는 전극일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12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and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user.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an electrode that enables human body communication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an electrode used when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receives data.
제2 전극(122)은 사용자 통신 장치(1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전극(122)은 사용자 통신 장치(120)의 인체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122)은 사용자 통신 장치(120)가 데이터를 송신할 때 사용되는 전극일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12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user. The second electrode (122) may be an electrode that enables human body communication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122) may be an electrode used when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transmits data.
수신기(123)는 제1 전극(121)이 사용자와 접촉한 것에 기초하여,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고정형 통신 장치로부터 기상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기(123)는 프로세서(125)로 기상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The receiver (123) can receive a weather signal and a data signal from a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based on the first electrode (121)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ser. The receiver (123) can transmit the weather signal and the data signal to the processor (125).
송신기(124)는 제2 전극(122)이 사용자와 접촉한 것에 기초하여, 인체 통신채널을 통해 고정형 통신 장치로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송신기(124)는 프로세서(125)로부터 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124) can transmit a notification signal to a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based on the second electrode (122)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ser. The transmitter (124) can receive the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processor (125).
프로세서(125)는 수신기(123) 및 송신기(124)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5)는 대기 모드 및 기상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25)는 수신기(123)로부터 기상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는 대기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수신기(123)로부터 기상 신호를 수신하면, 기상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25) can control the receiver (123) and the transmitter (124). The processor (125) can execute a standby mode and a wake-up mode. More specifically, the processor (125) can execute a standby mode before receiving a wake-up signal from the receiver (123). When receiving a wake-up signal from the receiver (123), the processor (125) can execute a wake-up mode.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5)는 주파수 변환을 통해 대기 모드 동안, 저주파 대역의 통신을 활성화하고, 기상 모드 동안, 저주파 대역 및 고주파 대역의 통신을 활성화할 수 있다. 대기 모드 동안, 저주파 대역의 통신만을 활성화함에 따라, 사용자 통신 장치(120)는 기상 모드에서 소비되는 전력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25) can enable communication in a low frequency band during the standby mode through frequency conversion, and enable communication in both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high frequency band during the wake-up mode. By enabling only communication in the low frequency band during the standby mode,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can consume less power than the power consumed in the wake-up mode.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에에 따른 인체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체 통신 시스템(200)은 고정형 통신 장치(210),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 및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형 통신 장치(210) 및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 각각은 도 1의 고정형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통신 장치(120)에 대응할 수 있다.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4,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200) may include a fixed communication device (210), a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and a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Each of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210) and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may correspond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120) of FIG. 1.
고정형 통신 장치(210)는 제1 인체 통신 채널(HBC1)을 통해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는 제1 인체 통신 채널(HBC1)을 통해 고정형 통신 장치(210)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의 사용자는 고정형 통신 장치(210)와 통신을 의도하는 사용자의 이동형 인체 통신 장치일 수 있다.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210)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via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1).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can communicate with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210) via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1). The user of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can be a mobile human body communication device of a user who intends to communicate with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210).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는 인체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체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는 제2 인체 통신 채널(HBC2)을 통해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와 통신할 수 있다.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be a human body communication devic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human body communication.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through a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2).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의 사용자는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의 사용자와 다를 수 있다.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의 사용자는 고정형 통신 장치(210)와 통신을 의도하지 않는 사용자의 이동형 인체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는 고정형 통신 장치(210)의 사용자 근처에 있는 사용자의 이동형 인체 통신 장치일 수 있다. The user of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be different from the user of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The user of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be a mobile human body communication device of a user who does not intend to communicate with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210).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be a mobile human body communication device of a user who is near the user of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210).
고정형 통신 장치(210)는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의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한 것에 응답하여 기상 신호를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는 기상 신호에 응답하여, 기상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210) can transmit a wake-up signal to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in response to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user.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can execute a wake-up mode in response to the wake-up signal.
일 실시 예에서, 기상 모드 동안,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는 고정형 통신 장치로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상 모드 동안,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는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로 제1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대기 신호는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가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로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during the wake-up mode,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may transmit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stationary communication device. In one embodiment, during the wake-up mode,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may transmit a first standby signal to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The first standby signal may be a signal requesting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to set the operation mode to the standby mode.
일 실시 예에서,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는 인체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헤더에 고정형 통신 장치(210) 및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가 통신 중이라는 정보를 삽입하여 제1 대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can generate a first standby signal by inserting information that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210) and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are communicating into the header of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network.
일 실시 예에서,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는 무선 통신 채널(WLC)를 통해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로 제1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는 제2 인체 통신 채널(HBC2)을 통해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로 제1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인체 통신 채널(HBC2)은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 및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 간 인체 통신에 활용되는 채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체 통신 채널(HBC2)은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의 사용자 신체의 일부를 매질로 하여 형성되는 채널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can transmit a first standby signal to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LC). In one embodiment,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can transmit the first standby signal to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via a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2). The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2) can be a channel utilized for human body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and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For example, the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2) can be a channel formed using a part of a user's body of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as a medium.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는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로부터 제1 대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는 제1 대기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대기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는 기준 시간 동안 대기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기준 시간은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가 대기 모드를 실행하는 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준 시간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can receive a first standby signal from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can execute a standby mod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first standby signal.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can execute the standby mode for a reference time. The reference time can be a time at which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executes the standby mode. In one embodiment, the reference time can be set by a user.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도 4의 인체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인체 통신 시스템(200)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다. 고정형 통신 장치(210),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 및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 각각은 도 4의 고정형 통신 장치(210),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 및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S210 단계, S220 단계, S221 단계, 및 S230 단계 각각은 도 2의 S110 단계, S120 단계, S121 단계, 및 S130 단계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복된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of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S. 4 and 5, an operation method of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200) of FIG. 4 is illustrated. Each of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210),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and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correspond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210),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and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of FIG. 4. In addition, each of steps S210, S220, S221, and S230 may correspond to steps S110, S120, S121, and S130 of FIG. 2. Accordingly, duplicated content may be omitted.
S210 단계에서,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는 대기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고정형 통신 장치(110)는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의 사용자의 신체와의 접촉을 감지하고, 기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221 단계에서, 고정형 통신 장치(110)는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로 기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At step S210,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can execute a standby mode. At step S220,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detect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user of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and generate a wake-up signal. At step S221,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transmit a wake-up signal to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S230 단계에서,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는 기상 신호에 응답하여, 기상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S231 단계에서,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는 고정형 통신 장치(210)로 기상 모드를 실행 중임을 나타내는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t step S230,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may execute a weather mode in response to the weather signal. At step S231,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may transmit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210) indicating that the weather mode is being executed.
S232 단계에서,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는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로 제1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는 제2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로 제1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는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로 제1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t step S232,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can transmit a first standby signal to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In one embodiment,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can transmit the first standby signal to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via a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In one embodiment,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can transmit the first standby signal to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S231 단계 및 S232 단계는 동시에 실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예에 따라, S231 단계가 S232 단계보다 먼저 실행될 수 있고, S232 단계가 S231 단계보다 먼저 실행될 수 있다.Although steps S231 and S232 are depicted as being executed simultaneously,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tep S231 may be executed before step S232, and step S232 may be executed before step S231.
S240 단계에서,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는 제1 대기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대기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대기 모드를 실행하는 동안,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는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다. At step S240,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execute a standby mod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first standby signal. While executing the standby mode,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receive only signals having a low-frequency band frequency.
S250 단계에서, 고정형 통신 장치(210)는 알림 신호를 수신한 후에,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 신호는 고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주파 대역의 통신만을 활성화하는 대기 모드를 수행하는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의 사용자만이 고정형 통신 장치(21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250,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210) may transmit a data signal to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after receiving the notification signal. In one embodiment, the data signal may have a frequency of a high frequency band. Accordingly,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which performs a standby mode that activates only low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may not receive the data signal. That is, only the user of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may receive the data signal from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210).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인체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인체 통신 시스템(300)은 고정형 통신 장치(310), 제1 사용자 통신 장치(320), 및 제2 사용자 통신 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형 통신 장치(310), 제1 사용자 통신 장치(320), 및 제2 사용자 통신 장치(330) 각각은 도 4의 고정형 통신 장치(210),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 및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에 대응할 수 있다.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6,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300) may include a fixed communication device (310), a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320), and a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330). Each of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310),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320), and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330) may correspond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210),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and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of FIG. 4.
고정형 통신 장치(310)는 제1 인체 통신 채널(HBC1)을 통해 제1 사용자 통신 장치(320)와 통신할 수 있다. 고정형 통신 장치(210)는 제1 사용자 통신 장치(320)의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한 것에 응답하여 기상 신호를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310)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320) via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1).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210) can transmit a weather signal to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in response to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320) making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user.
제1 사용자 통신 장치(320)는 고정형 통신 장치(310)로부터 기상 신호에 응답하여, 기상 모드를 실행하고, 고정형 통신 장치(310)로 제2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대기 신호는 제1 사용자 통신 장치(320) 이외의 고정형 통신 장치(310)와 통신할 수 있는 인체 통신 장치가 대기 모드를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320) may execute a wake-up mode in response to a wake-up signal from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310) and transmit a second standby signal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310). The second standby signal may be a signal requesting a human body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fixed communication device (310) other than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320) to execute a standby mode.
고정형 통신 장치(310)는 제2 대기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제2 인체 통신 채널(HBC2)을 통해 제2 사용자 통신 장치(330)로 제2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인체 통신 채널(HBC2)은 고정형 통신 장치(310) 및 제2 사용자 통신 장치(330) 간 인체 통신에 활용되는 채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체 통신 채널(HBC2)은 제2 사용자 통신 장치(330)의 사용자 신체의 일부를 매질로 하여 형성되는 채널일 수 있다.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second standby signal,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310) may transmit the second standby signal to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330) through the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2). The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2) may be a channel utilized for human body communication between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310) and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330). For example, the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2) may be a channel formed using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of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330) as a medium.
일 실시 예에서, 고정형 통신 장치(310)는 고정형 통신 장치(310)의 전극을 통해 제2 사용자 통신 장치(330)의 사용자로 제2 대기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 통신 장치(330)의 사용자가 고정형 통신 장치(310)에 접촉하지 않은 경우에도, 고정형 통신 장치(310)는 제2 인체 통신 채널(HBC2)을 통해 제2 사용자 통신 장치(330)로 제2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310) can radiate a second standby signal to a user of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330) via the electrodes of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310). Accordingly, even when the user of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330) does not contact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310),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310) can transmit the second standby signal to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330) via the second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2).
제2 사용자 통신 장치(330)는 제2 인체 통신 채널(HBC2)을 통해 고정형 통신 장치(310)로부터 제2 대기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대기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 제2 사용자 통신 장치 읽을수록 이상한데, 제1 제1 사용자 통신 장치, 제2 제1 사용자 통신 장치로 하는게 나을 듯; 스펙에 제1/제2, claim에 제1 사용자 통신 장치/다른 제1 사용자 통신 장치 라고 적는 정도면 supporting 되요.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330) can execute a standby mode in response to receiving a second standby signal from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310) via the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2). @@ The more I read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the stranger it gets, but it would be better to call it the first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the second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if you just write first/second in the specification,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another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in claim, it will be supporting.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인체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체 통신 시스템(400)은 고정형 통신 장치(410),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 및 제2 사용자 통신 장치(4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형 통신 장치(410),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 및 제2 사용자 통신 장치(430) 각각은 도 4의 고정형 통신 장치(210),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 및 제2 사용자 통신 장치(230)에 대응할 수 있다.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 7,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400) may include a fixed communication device (410), a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and a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430). Each of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410),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and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430) may correspond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210),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and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of FIG. 4.
고정형 통신 장치(410)는 제1 인체 통신 채널(HBC1)을 통해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와 통신할 수 있다. 고정형 통신 장치(410)는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의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한 것에 응답하여 기상 신호를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410)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via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1).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410) can transmit a weather signal to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in response to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making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user.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는 고정형 통신 장치(310)로부터 기상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 통신 장치(320)는 기상 모드를 실행하고, 고정형 통신 장치(310)로 식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식별 신호는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may, in response to a weather signal from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310), execute a weather mode and transmit an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310). The identification signal may be a signal corresponding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일 실시 예에서,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는 제1 인체 통신 채널(HBC1)을 통해 고정형 통신 장치(410)로 식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사용자 통신 장치(220)는 무선 통신 채널(WLC)를 통해 고정형 통신 장치(410)로 식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can transmit an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410) via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1). In one embodiment,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can transmit an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410)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LC).
고정형 통신 장치(410)는 식별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식별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보안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보안 신호는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의 식별 정보 및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형 통신 장치(410)는 제1 인체 통신 채널(HBC1)을 통해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로 보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고정형 통신 장치(410)는 제2 인체 통신 채널(HBC2)을 통해 제2 사용자 통신 장치(430)로 보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410) may,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e a security sig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signal and the data signal. That is, the security signal may include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ata signal of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410) may transmit the security signal to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via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1).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410) may transmit the security signal to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430) via the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HBC2).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는 보안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수신된 보안 신호 내의 식별 정보와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는 보안 신호 내의 식별 정보와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의 식별 정보가 일치한다고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보안 신호 내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may,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security signal, determine whe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received security signal match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may process data in the security signal based on determining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security signal match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제2 사용자 통신 장치(430)는 보안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수신된 보안 신호 내의 식별 정보와 제2 사용자 통신 장치(430)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통신 장치(430)는 보안 신호 내의 식별 정보와 제2 사용자 통신 장치(430)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다고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보안 신호를 폐기할 수 있다.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430) may,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security signal, determine whe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received security signal match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430).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430) may discard the security signal based on determining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security signal does not mat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430).
이와 같이, 보안 신호 내의 식별 정보와 제2 사용자 통신 장치(430)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보안 신호를 폐기함에 따라, 통신을 의도하지 않는 통신 장치가 불필요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저장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security signal does not mat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430), the security signal is discarded, thereby preventing a situation in which a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not intended to communicate processes or stores unnecessary data.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도 7의 인체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를 참조하면, 도 7의 인체 통신 시스템(400)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다. 고정형 통신 장치(410),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 및 제2 사용자 통신 장치(430) 각각은 도 7의 고정형 통신 장치(410),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 및 제2 사용자 통신 장치(430)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S410 단계, S420 단계, S421 단계, 및 S430 단계 각각은 도 2의 S110 단계, S120 단계, S121 단계, 및 S130 단계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복된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of FIG. 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ferring to FIGS. 7 and 8, an operation method of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400) of FIG. 7 is illustrated. Each of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410),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and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430) may correspond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410),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and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430) of FIG. 7. In addition, each of steps S410, S420, S421, and S430 may correspond to steps S110, S120, S121, and S130 of FIG. 2. Accordingly, duplicated content may be omitted.
S410 단계에서,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는 대기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S420 단계에서, 고정형 통신 장치(410)는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의 사용자의 신체와의 접촉을 감지하고, 기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421 단계에서, 고정형 통신 장치(410)는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로 기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At step S410,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can execute a standby mode. At step S420,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410) can detect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user of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and generate a wake-up signal. At step S421,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410) can transmit a wake-up signal to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S430 단계에서,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는 기상 신호에 응답하여, 기상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S431 단계에서,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는 고정형 통신 장치(410)로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At step S430,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can execute a weather mode in response to the weather signal. At step S431,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can transmit an identification sig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410).
S440 단계에서, 고정형 통신 장치(410)는 식별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보안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t step S440,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410) can generate a security signal based on the identification signal and the data signal.
S451 단계에서,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는 보안 신호 내의 식별 정보와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At step S451,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can determine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security signal match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S452 단계에서,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는 보안 신호 내의 식별 정보와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수신된 보안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신호 내의 데이터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At step S452,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may process the received security signal in response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security signal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ata signal in the security signal may be restored.
S450 단계에서, 고정형 통신 장치(410)는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제1 사용자 통신 장치(420)로 보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S460 단계에서, 고정형 통신 장치(410)는 제2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사용자 통신 장치(430)로 보안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At step S450,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410) can transmit a security signal to the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420) through the first human communication channel. At step S460,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410) can transmit a security signal to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430) through the second human communication channel.
S450 단계 및 S460 단계는 동시에 실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예에 따라, S450 단계가 S460 단계보다 먼저 실행될 수 있고, S460 단계가 S450 단계보다 먼저 실행될 수 있다.Although steps S450 and S460 are depicted as being executed concurrently,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tep S450 may be executed before step S460, and step S460 may be executed before step S450.
S461 단계에서, 제2 사용자 통신 장치(430)는 제2 사용자 통신 장치(430)는 보안 신호 내의 식별 정보와 제2 사용자 통신 장치(430)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At step S461,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430) can determine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security signal match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430).
S462 단계에서, 제2 사용자 통신 장치(430)는 보안 신호 내의 식별 정보와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수신된 보안 신호를 폐기할 수 있다.At step S462, the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430) may discard the received security signal in response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security signal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 또한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contents are specific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include not on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lso embodiments that are simply designed or can be easily chang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include technologies that can be easily modified and implemented using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of this invention.
100, 200, 300, 400: 인체 통신 시스템
110, 210, 310, 410: 고정형 통신 장치
120: 사용자 통신 장치
220, 320, 420: 제1 사용자 통신 장치
230, 330, 430: 제2 사용자 통신 장치100, 200, 300, 400: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110, 210, 310, 410: Fixed communication devices
120: User Communication Device
220, 320, 420: First User Communication Device
230, 330, 430: Second User Communication Device
Claims (17)
고정형 통신 장치로부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기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상 신호는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것;
상기 기상 신호에 응답하여, 대기 모드에서 기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은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의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를 통해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로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In a method of operating a user communication device,
A step of receiving a weather signal through a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from a fixed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weather signal has a frequency in a low frequency band;
In response to the above weather signal, a step of switching from standby mode to weather mode; and
During said weather mode,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 data signal from said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said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is provided by the body of the user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during said wake-up mode, a standby signal to an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said fixed communication device, requesting that the operation mode of said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be set to said standby mode.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가 상기 기상 모드로 전환됨을 가리키는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In paragraph 1,
During the above weather mode, the step of receiving the data signal from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comprises:
During said weather mode, a step of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to said fixed communication device indicating that said user communication device has switched to said weather mode; and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the data signal through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from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after transmitting the above notification signal.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대기 모드를 가리키는 상기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제2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체 통신 채널은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의 다른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In paragraph 1,
During said wake-up mode, the step of transmitting said standby signal indicating said standby mode to said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is:
During said weather mode,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said standby signal to said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second human communication channel,
A method wherein said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is provided by the body of another user of said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대기 모드를 가리키는 상기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상 모드 동안,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In paragraph 1,
During said wake-up mode, the step of transmitting said standby signal indicating said standby mode to said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is: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tandby signal to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during the above-described weather mode.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 및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는 이동형 인체 통신 장치들이고, 그리고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는 고정형 인체 통신 장치인 방법.In paragraph 1,
The above user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are mobile human body communication devices, and
A method wherein the above fixed communication device is a fixed human body communication device.
상기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 후, 상기 기상 모드에서 상기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In paragraph 1,
A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witching from the weather mode to the standby mode after processing the data signal.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저주파 대역보다 높은 고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방법.In paragraph 1,
A method wherein the above data signal has a frequency in a high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low frequency band.
상기 기상 모드는 상기 기상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저주파 대역의 통신 및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고주파 대역의 통신을 모두 활성화하는 방법.In paragraph 1,
The above weather mode is a method for activating both communication in the low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weather signal and communication in the high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data signal.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로 기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상 신호는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것;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기상 신호에 응답하여 대기 모드에서 기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의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은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의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인체 통신 시스템은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대기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인체 통신 채널은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의 다른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대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A method of operating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user communication device and a fixed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ng through a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A step of transmitting a weather signal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by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weather signal has a frequency in a low frequency band;
A step of switching from a standby mode to a weather mode in response to the weather signal by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and
A step of transmitting a data signal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during the wake-up mode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by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e abov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is provided by the body of the user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The abov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further includes an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The above method,
a step of transmitting a standby signal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first human communication channel during the weather mode by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and
Including a step of transmitting the waiting signal to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in response to the waiting signal by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e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is provided by the body of another user of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executing the standby mode in response to the standby signal by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기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기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의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보안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In Article 10,
The step of switching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weather mode in response to the weather signal by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is:
A step of transmitting an iden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by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ata signal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during the wake-up mode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by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is:
A step of generating a security signal includ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ata signal by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ecurity signal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by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보안 신호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의 상기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보안 신호의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의 상기 식별 정보가 일치한다고 결정하면, 상기 보안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In Article 13,
A step of determining, by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urity sig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match; and
A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the security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urity sig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match.
상기 인체 통신 시스템은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보안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에 의해, 제2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로 상기 보안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보안 신호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신호의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의 상기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다고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보안 신호를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인체 통신 채널은 상기 다른 사용자 통신 장치의 다른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In Article 13,
The abov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further includes an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ecurity signal to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first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by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security signal to the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by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A step of determining, by said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said security sig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said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match; and
Comprising a step of discarding said security signal based on determining that sa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said security signal and sa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said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do not match,
A method wherein said second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is provided by the body of another user of said other user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인체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 상기 식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In Article 13,
The step of transmitting an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by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by the user communication device, the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first human communication channel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상기 제1 전극이 상기 사용자와 접촉한 것에 기초하여,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고정형 통신 장치로부터 기상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기상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기상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대기 모드를 가리키는 대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사용자와 접촉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인체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고정형 통신 장치로 상기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 동안 저주파 대역의 통신을 활성화하고, 상기 기상 모드 동안 상기 저주파 대역의 통신 및 고주파 대역의 통신을 활성화하고, 그리고
상기 인체 통신 채널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통신 장치.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figured to contact a user;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weather signal from a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based on the first electrod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ser;
A processor configured to switch the operation mode from a standby mode to a wake-up mode based on the above-described weather signal and generate a standby signal indicating the standby mode;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tandby signal to the fixed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based on the contact of the second electrode with the user,
The processor activates communication in the low frequency band during the standby mode, activates communication in the low frequency band and communication in the high frequency band during the wake-up mode, and
The above human body communication channel is a user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by the user's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US17/552,766 US12225464B2 (en) | 2020-12-17 | 2021-12-16 | User communication device executing standby mode,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77679 | 2020-12-17 | ||
| KR20200177679 | 2020-12-17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87375A KR20220087375A (en) | 2022-06-24 |
| KR102727639B1 true KR102727639B1 (en) | 2024-11-08 |
Family
ID=8221563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174700A Active KR102727639B1 (en) | 2020-12-17 | 2021-12-08 | User communication device executing standby mode, operating method, and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27639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5180937A1 (en) * | 2014-05-27 | 2015-12-03 | Koninklijke Philips N.V. | Body coupled communication device with synchronization |
| KR101978232B1 (en) * | 2018-03-30 | 2019-05-14 | 주식회사 에스원 | Vehicle Door-Lock Locking Control Method by Using Smart Key Based on BAN and System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48605B1 (en) * | 2008-04-28 | 2010-03-2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Fingerprint authentication method of human body communication |
| KR20130027965A (en) * | 2011-09-08 | 2013-03-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 a near field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prurality of connections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 device and a device |
-
2021
- 2021-12-08 KR KR1020210174700A patent/KR10272763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5180937A1 (en) * | 2014-05-27 | 2015-12-03 | Koninklijke Philips N.V. | Body coupled communication device with synchronization |
| KR101978232B1 (en) * | 2018-03-30 | 2019-05-14 | 주식회사 에스원 | Vehicle Door-Lock Locking Control Method by Using Smart Key Based on BAN and System thereof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87375A (en) | 2022-06-2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185547B2 (en) |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 |
| EP3131348B1 (en) |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for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 |
| US12225465B2 (en) | Monitoring method, instruction sending method and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 |
| CN110602725A (en) | Data service processing method, network side equipment, termina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 WO2017166541A1 (en) | User device and method for waking from hibernation,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 JP2000232683A (en) |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 |
| WO2023169571A1 (en) | Wake-up signal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 |
| KR102727639B1 (en) | User communication device executing standby mode, operating method, and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reof | |
| US20240298377A1 (en) | Electronic device for changing radio resource control stat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 |
| CN112333795B (en) | Network access method and device | |
| US12225464B2 (en) | User communication device executing standby mode,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 |
| KR2019001275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aking up device | |
| US12339727B2 (en) |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arget wake time mode or power saving mod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 CN107040915B (en) | A kind of virtual SIM card implementation method and virtual SIM card device | |
| CN113489508B (en) | Power supply control method, power supply contro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 |
| CN117255434A (en) | Data transmission management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 CN115734401A (en) |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 |
| EP4195803A1 (en) |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paging messag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US10999799B2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ccess point and station | |
| WO2024222555A1 (en) | Frequency-hopping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and network-side device | |
| WO2025157139A1 (en) | Wus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wus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 |
| KR20010065397A (en) |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wireless telephone set | |
| WO2025066108A1 (en) | Bluetooth advertising-based control method, system,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 |
| KR20250007950A (en) |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WO2022206898A1 (en) | Pag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1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