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29320B1 - Mini park golf course array - Google Patents
Mini park golf course arr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29320B1 KR102729320B1 KR1020210048704A KR20210048704A KR102729320B1 KR 102729320 B1 KR102729320 B1 KR 102729320B1 KR 1020210048704 A KR1020210048704 A KR 1020210048704A KR 20210048704 A KR20210048704 A KR 20210048704A KR 102729320 B1 KR102729320 B1 KR 1027293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een
- course
- target
- obstacle
- y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91—Golf practising terrai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A63B57/357—Markers for golf cups or holes, e.g. flag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40—Golf cups or hol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 Putting track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63F7/0604—Type of ball game
- A63F7/0628—Golf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04—Target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 Putting tracks therefor
- A63B2067/025—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 Putting track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acting on the track surface for varying its topography, e.g. slo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니 파크골프장 어레이에 것으로서, 페어웨이가 되는 실내,외의 바닥면(B) 상에, 사각형상의 프레임(R)에 배설되는 네트(N)인 구획용의 코스용펜스(Fc)와 게이트용펜스(Fg)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설하여 다수 개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를 가지는 코스진행로(R)를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에는 그린비치물로서 지형구성구(E), 장애물구성구(O) 및 그린구성구(G)를 구성하는 비치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형구성구(E)는 페어웨이인 상기 바닥면(B) 상의 지형형상을 변경시키는 비치물, 상기 장애물구성구(O)는 바닥면(B) 상에 비치되어 러프, 벙커, 워터해저드와 같은 장애물로서 기능하는 비치물, 상기 그린구성구(G)는 전체 구획그린코스(C1,C2,C3..CN)의 하나 또는 최종의 구획코스(CN)에 비치되는 목표 타겟물로서의 비치물이며, 상기 구획그린코스(C1,C2,C3..CN)의 각각에 상기 지형구성구(E)의 어느 하나 이상, 상기 장애물구성구(O)의 어느 하나 이상, 상기 그린구성구(G)의 어느 하나 이상을 각각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ni park golf course array, wherein, on an indoor/outdoor floor surface (B) which serves as a fairway, a course fence (Fc) for dividing, which is a net (N) disposed in a square frame (R), and a gate fence (Fg) are disposed in a zigzag shape to form a course path (R) having a plurality of dividing green courses (C1, C2, C3, . . . CN), and each of the dividing green courses (C1, C2, C3, . . . CN) further includes a terrain component (E), an obstacle component (O), and a green component (G) as green beach objects, wherein the terrain component (E) is a beach object that changes the terrain shape on the floor surface (B) which serves as a fairway, the obstacle component (O) is a beach object that is disposed on the floor surface (B) and functions as an obstacle such as a rough, a bunker, or a water hazard, and the green component (G) is a green component of the entire dividing green course (C1, C2, C3, . . . CN). It is a beach object as a target object placed on one or the final segment course (CN),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laced by selectively combining at least one of the terrain component (E), at least one of the obstacle component (O), and at least one of the green component (G) on each of the segment green courses (C1, C2, C3, etc.).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니 파크골프장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실외에 설치할 수 있는 미니 규격의 파크골프장을 하나의 전체 시스템으로서 제공하여 노년층 등의 생활체육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미니형의 파크골프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ni park golf course array, and more specifically, to a mini-type park golf course that can be installed indoors and outdoors and provides a mini-size park golf course as a single complete system so that it can be used for recreational sports by the elderly and others.
근래들어 노년층 인구가 대폭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생활체육시설의 수요 또한 대폭 증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elderly population has been increasing rapidly, and the demand for sports facilities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노년층의 경우, 소일거리의 발견과 사교의 장의 참여, 사회성의 유지의 대한 욕구가 크고 나아가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 각 지자체에서도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고자 생활체육시설을 증대시키고 있다.In the case of the elderly, there is a great desire to find pastimes,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and maintain sociality, and furthermore, interest in health management is very high, so each local government is increasing sports facilities to meet this demand.
일반인 또는 노년층을 위한 대부분의 생활체육 시설은 공원이나, 하천부지, 유휴지 등의 일정한 스페이스에 설치되는 각종의 체육시설 또는 게이트볼, 테니스장 등이 있으나, 대부분 지자체의 예산에 의하여 수립되고 집행되는 관계로 그 시설의 대폭적인 확중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Most of the sports facilities for the general public or the elderly are various sports facilities or gateball and tennis courts installed in certain spaces such as parks, riverbeds, and idle lands. However, since most of them ar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based on local government budget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greatly expanding such facilities.
특히, 게이트볼은 노년층의 체력유지를 위한 운동과 사교의 장이 된다는 점에서는 바람직한 시설로 생각되나 그 규칙이나 운용방법의 단순성으로 인하여 곧 흥미를 잃게 되고, 청장년 시절에 골프를 하였던 노년층의 경우 개인의 체화된 기술이 적용될 여지가 적은 코스와 규칙으로 인하여 흥미를 가지지 않거나 노인들의 운동이라는 인식으로 인하여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In particular, gateball is considered a desirable facility in that it provides exercise and a social gathering place for the elderly to maintain physical strength, but the simplicity of its rules and operation methods causes people to soon lose interest, and in the case of the elderly who played golf in their youth, they tend to avoid it because of the course and rules that leave little room for applying their personal skills, or because they perceive it as a sport for the elderly.
이러한 게이트볼의 대안으로 최근들어서는 제한된 타력을 제공하는 목재의 골프 클럽과 축소된 형태와 파수, 다양하게 설정가능한 규칙이 적용가능한 파크골프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As an alternative to gateball, wooden golf clubs that provide limited hitting power and park golf with a reduced shape, number of shots, and various rules have become widely popular in recent years.
특히, 파크골프는 공인된 국제규격 이외에도 플레이하는 주체가 그 규칙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실제 골프와 거의 유사한 운용이 가능하여 흥미를 유발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으로서 생각된다.In particular, park golf is considered desirable because it allows the player to set rules arbitrarily in addition to the recognized international standards and because it can be operated in a manner similar to actual golf, which makes it interesting.
그러나, 파크골프 역시 설치에는 상당한 면적의 유휴지가 필요하여 각 지자체에서 이를 보급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민간에서의 보급이 기대되나, 실제 수익성 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많은 참여가 있지 않다.However, park golf also requires a significant amount of idle land for installation, so it is difficult for each local government to popularize it. Although it is expected to be popularized by the private sector, there is not much participation because profitability is not guaranteed.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건물의 실내에 설치할 수 있는 미니 파크골프장 또는 주거지 근거리의 유휴지에 설치가능한 형태의 파크골프장이 요청되고 있으며 실내형의 미니 파크골프장의 경우, 건물의 지하실이나 주거지 인접한 유휴지 등에 설치가능하여 체인점의 형태로 보급하고 나아가 지자체의 보조가 있을 경우 급속한 파급이 가능할 것으로서 생각된다.Considering these points, there is a demand for mini park golf courses that can be installed indoors in buildings or on idle land near residential areas. In the case of indoor mini park golf courses, it is thought that rapid spread is possible if they are distributed in the form of chain stores and, furthermore, if there is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they can be installed in basements of buildings or on idle land near residential areas.
즉, 생활 근거리의 미니 파크골프장이 실내,실외에 설치되면 노년층은 접근이 매우 용이하여 생활체육으로서의 많은 장점을 가지게 된다.In other words, if a mini park golf course is installed indoors or outdoors within walking distance, it will be very easy for the elderly to access, and will have many advantages as a form of recreational sports.
이러한 미니타입의 골프장의 공지된 기술의 일례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 1992-7002822 호의 '미니 골프 경기장'에서는,As an example of a known technology of this type of mini golf course, in the 'mini golf course' of Korean Publication Patent No. 1992-7002822,
복수의 티그라운드와,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홀을 갖는 퍼팅그린을 구비하는 복수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상기 골프코스는 롱코스, 미들코스 및 쇼트코스를 포함하고 각각의 골프코스는 아웃코스, 인코스 또는 센터코스로하여 복수회 사용되고 상기 각 골프코스의 각 기준타수란에 대응한 스코어기입란을 갖고 상기 스코어 기입란은 각 코스를 아웃코스, 인코스 또는 센터코스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복수조 갖춘 스코어카드를 사용하여 경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In a plurality of golf courses having a plurality of tee grounds and a putting green having a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hereto, the golf courses include a long course, a middle course and a short course, and each golf course is used multiple times as an out course, an in course or a center course, and each golf course has a score entry column corresponding to each standard stroke column of the golf course, and the score entry column is characterized in that a game is played using a score card having a plurality of sets corresponding to the cases where each course is used as an out course, an in course or a center course.
다른 예로서, 한국 등록 특허 제 10-0307824호의 '실내 미니골프'에서는,As another example, in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307824, ‘Indoor Mini Golf’,
공을 타격하는 시타부(A), 각종 장애물이 형성된 장애부(B), 홀(6)이 형성된 홀부(C)로 이루어지며, 시타부(A), 장애부(B), 홀부(C)는 각각 베이스판(1) 상에 인조잔디(2)를 결합하며 양측에는 벽면(3)을 형성하고 베이스판(1)은 하측에 높낮이가 서로 다른 받침대(4)를 결합하며, 상기 시타부(A), 장애부(B), 홀부(C)는 개별로 분리제작하여 조립수단으로서 상호 분리,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이들의 결합에 따라 각 코스를 여러 패턴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하고, 시타부(A)와 홀부(C) 사이에는, 전코스의 홀부(C)에서 시타부(A)측으로 공을 이송함과 동시에 전코스 홀부(C)의 홀(6)로부터 다음 코스의 시타부(A)로 공을 이송하는 이송관(9)을 배치하여 이들을 각 코스 별로 연결토록 하며, 장애부(B)와 홀부(C)상에는 탈락구(5)를 형성하고 저면에는 탈락구(5)에서 탈락된 공을 회수하기 위한 네트(7)와 회수관(8)을 마련하며, 홀부(C)와 이송관(9)측에는 한 코스를 뛰어넘어 그 다음 코스로 곧장 이동할 수 있는 한단계 뛰어넘기경로를 구비한 것이 있으며,It consists of a pitcher (A) for hitting a ball, an obstacle section (B) formed with various obstacles, and a hole section (C) formed with a hole (6). The pitcher section (A), the obstacle section (B), and the hole section (C) are each formed by combining artificial grass (2) on a base plate (1), forming walls (3) on both sides, and a base plate (1) having a support (4) of different heights on the lower side. The pitcher section (A), the obstacle section (B), and the hole section (C)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can be separated and assembled as an assembly means, so that each course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patterns according to their combination. Between the pitcher section (A) and the hole section (C), a transfer pipe (9) is arranged to transfer the ball from the hole section (C) of the previous course to the pitcher section (A) side and at the same time transfer the ball from the hole (6) of the hole section (C) of the previous course to the pitcher section (A) of the next course, so that they are connected for each course. On the obstacle section (B) and the hole section (C), An elimination hole (5) is formed, and a net (7) and a recovery pipe (8) are provided on the bottom to recover balls dropped from the elimination hole (5), and a one-step jump path is provided on the hole (C) and the transfer pipe (9) side to enable jumping over one course and moving directly to the next course.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 10 -1254883호의 '도심형 미니골프장'에서는,In addition, in the 'urban mini golf course' of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54883,
다수의 티잉 그라운드와 다수의 퍼팅 그린이 형성되어 페어웨이를 공유하는 도심형 미니 골프장에 있어서, 상기 티잉 그라운드에 형성되는 홀 안내판; 상기 홀 안내판에 형성되는 방향 안내 스위치; 및 상기 방향 안내 스위치에 의해 점멸되고, 상기 티잉 그라운드와 상기 티잉 그라운드에 대응되는 상기 퍼팅 그린의 사이에 형성되어 골퍼가 어느 퍼팅 그린을 향해 티샷을 해야 할지를 알려주는 다수의 방향 안내등을 포함하고, 상기 티잉 그라운드와 상기 티잉 그라운드에 대응되는 상기 퍼팅 그린의 사이에 공략 추천 코스를 안내하는 다수의 추천 코스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In an urban mini golf course where a plurality of teeing grounds and a plurality of putting greens are formed and share a fairway, the course comprises: a hole guide plate formed on the teeing ground; a directional guide switch formed on the hole guide plate; and a plurality of directional guide lights that blink by the directional guide switch and are formed between the teeing ground and the putting green corresponding to the teeing ground to indicate which putting green a golfer should tee off toward; and a plurality of recommended course lights that provide guidance on recommended courses of play between the teeing ground and the putting green corresponding to the teeing ground.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4-0074436호의 '미니골프 필드구조'에서는,In the ‘mini golf field structure’ of Korean Publication Patent No. 10-2014-0074436,
골프코스를 이루는 홀에 페어웨이를 생략하여 파 2 로 규정타수를 완성하도록 홀컵을 가지는 그린(G); 및 그린 내에나 주변에서 클럽으로 골프공을 치는 티에어리어(T)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그린과 대응하는 티에어리어를 일조로 하는 파 2 그린(PG)을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하여 파 2 로 게임을 가능토록 하고,A golf course is composed of a green (G) having a hole cup to complete the required number of strokes with par 2 by omitting the fairway in the hole; and a tee area (T) for hitting a golf ball with a club within or around the green; at least two par 2 greens (PG) are installed with the tee area corresponding to the green as the same to enable the game with par 2.
골프코스를 이루는 홀에 페어웨이를 생략하여 파 2 로 규정타수를 완성하도록 홀컵을 가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그린(G1~G9); 및 각 그린(G1~G9) 내에나 주변에서 클럽으로 골프공을 치도록 각 그린(G1~G9)에 대응하는 티에어리어(T1~T9)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그린(G1~G9)과 대응하는 티에어리어(T1~T9)를 각각 일조로 하여 이루어지는 파 2 그린(PG)을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하여 파 2 로 게임을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 golf cour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two greens (G1 to G9) having hole cups so that the fairway is omitted in the holes forming the golf course to complete the required number of strokes with par 2; and a tee area (T1 to T9) corresponding to each green (G1 to G9) so that a golf ball can be hit with a club within or around each green (G1 to G9); and a par 2 green (PG) formed by each of the greens (G1 to G9) and the corresponding tee areas (T1 to T9) as a group is installed at a distance to enable a game with par 2.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축소된 형태의 미니 골프장드에서는 실제 골프장의 구성에 근접하게 축소한 형태나, 시합의 운용에 있어서 실내에 적합한 방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구성은 개시되어 있으나,In the miniature golf course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echnology, a form that is close to the configuration of an actual golf course or a configuration suitable for performing a method suitable for indoor operation in the operation of a game is disclosed.
본 발명의 미니 파크골프장 어레이(Array)와 같은 개념과 시설 및 구성의 것은 선행되어 있지 않다.There is no prior art with a concept, facility, or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mini park golf course array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파크골프를 축소화하여 실내 또는 협소한 실외에서 운용하기에 적합한 구성과 시스템을 가지는 미니 파크골프장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그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의 조합체로서의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mini park golf course having a configuration and system suitable for operation indoors or in narrow outdoor spaces by miniaturizing park golf,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s a combination of configurations that can achieve such a purpose.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페어웨이가 되는 실내,외의 바닥면 상에, 사각형상의 프레임에 배설되는 네트인 구획용의 코스용펜스와 게이트용펜스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설하여 다수 개의 구획그린코스를 가지는 코스진행로를 형성하고,On the indoor and outdoor floors that serve as fairways, a course fence and gate fence, which are nets laid in a square frame, are laid in a zigzag shape to form a course path with multiple green courses.
상기 각각의 구획그린코스에는 그린비치물로서 지형구성구, 장애물구성구 및 그린구성구를 구성하는 비치물로서 각각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배설하여 가지고,Each of the above-mentioned green courses has at least one green beach material, which is a terrain component, an obstacle component, and a green component, and is selectively installed as such.
상기 지형구성구는 페어웨이인 상기 바닥면 상의 지형형상을 변경시키는 비치물, 상기 장애물구성구는 바닥면 상에 비치되어 러프, 벙커, 워터해저드의 장애물로서 기능하는 비치물,The above terrain feature is a beach that changes the terrain shape on the floor surface, which is the fairway, and the above obstacle feature is a beach that is placed on the floor surface and functions as an obstacle such as rough, bunker, or water hazard.
상기 그린구성구 전체 구획그린코스의 하나 또는 최종의 구획코스에 비치되는 목표 타겟물로서의 비치물이며,It is a target object placed as a target object in one or the final section course of the entire section green course of the above green composition area.
상기 구획그린코스의 각각에 상기 지형구성구의 어느 하나 이상, 상기 장애물구성구의 어느 하나 이상, 상기 그린구성구의 어느 하나 이상을 각각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It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above-mentioned green courses is provided with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terrain composition sections,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obstacle composition sections, and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green composition sections,
나아가, 상기 지형구성구는, 단면 삼각형상 또는 원호상 절곡 세장관체인 힐플레이트, 단면 "ㄷ" 자형의 길이가 긴 경사로를 가지는 분리된 제 1레일웨이와 제 2레일웨이, 제 3레일웨이를 그 단부에서 상호 겹치도록 배설되고, 상기 제 2레일웨이의 높이를 조절가능한 레일웨이, 상향 경사진면을 가지는 평명형상 사각형 또는 원형의 디스크체인 힐디스크의 어느 하나 이상이며,Furthermore, the above-mentioned topographical structure comprises at least one of a heel plate, which is a triangular or circular folded slender tube chain in the cross-section, a separated first and second rails and third rails having a long ramp in the cross-section of the letter “ㄷ” and which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at their ends, a railway having an adjustable height of the second rail, and a heel disc, which is a flat square or circular disc chain having an upwardly inclined surface.
상기 장애물구성구는, 장애물펜스, 상기 바닥면 상에 직립하는 1 개 이상의 직선관체인 블록바아, 직립하는 세미서클과, 상기 세미서클 옆으로 임의의 각도로 배설되어 장애라인을 형성하는 한 쌍의 블록바아, 관체를 만곡시켜 구성하는 서클 또는 하프서클의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가지고,The above obstacle structure comprises a combination of an obstacle fence, one or more straight pipe block bars standing upright on the floor surface, an upright semi-circle, a pair of block bars that are arranged at an arbitrary angle next to the semi-circle to form an obstacle line, and at least one of a circle or half-circle formed by bending the pipe.
상기 그린구성구는 그린타겟이고, 상기 그린타겟은 단면 경사가 형성된 원형 디스크인 그린필드부, 상기 그린필드부의 중앙에 매몰되는 홀컵, 상기 홀컵의 중앙부에서 직립하는 깃발인 홀컵표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green component is a green target, and the green target is characterized by a green field portion which is a circular disk having a cross-sectional slope, a hole cup buried in the center of the green field portion, and a hole cup indicator which is a flag standing upright in the center of the hole cup.
본 발명의 미니 파크골프장 어레이는 한정된 실내공간 또는 협소한 면적의 실외에 설치하기가 극히 용이하고 그 설치비용 또한 저렴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이 가능한 미니형의 파크골프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mini park golf course arr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mini park golf course that is extremely easy to install in a limited indoor space or a narrow outdoor area and can be configured with a low installation cost.
나아가, 노년층의 생활체육의 기능을 하며, 사교의 장이 되어 노년층의 사회적인 소외감을 일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Furthermore, it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social alienation among the elderly by serving as a form of physical education for the elderly and as a place for social interaction.
또한, 본 발명의 미니 파크골프장어레이를 콘텐츠로 하여 프랜차이즈의 체인점의 형태로 운영하는 사업자의 경우, 유휴한 지하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이용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바람직한 사업수단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business operator who operates a franchise chain using the mini park golf course arra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ontent, it can be a desirable business means of generating profits by utilizing indoor spaces such as idle basements.
본 발명의 미니 파크골프장어레이는 실내에 적용이 가능하고, 실외의 경우는 주택지의 유휴지, 하천부지 등에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설치 및 해체가 극히 간단하여 임시적인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The mini park golf course arra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doors, and for outdoors, it can be installed in idle land in residential areas, riverbeds, etc.,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xtremely simple to install and dismantle, so it can be installed even in temporary spaces.
또한, 플레이하는 주체가 다양한 방식으로 비치물의 조합과 룰을 변경하여 적용함으로써 지속적인 흥미의 유발과 그에 따른 운동의 효과를 얻게 된다.In addition, the subject playing can continuously generate interest and obtain the effect of exercise by changing the combination of objects and rules in various ways.
도 1은 본 발명의 미니 파크골프장 어레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조망 사시도.
도 2 내지 9는 본 발명의 미니 파크골프장 어레이에서의 구획그린코스의 하나에 비치되는 그린비치물인 지형구성구, 장애물구성구, 그린구성구가 비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미니 파크골프장 어레이에서의 구획그린코스의 하나에 비치되는 그린비치물인 그린구성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적용되기에 바람직한 예시적인 윷놀이판의 평면도.
도 12는 도 1의 미니 골프프장 어레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조망 사시도와 같은 각도로 본 실제 사시사진.
도 13도 및 14도는 도2 내지 9의 본 발명의 미니 파크골프장 어레이에서의 구획그린코스의 하나에 비치되는 그린비치물인 지형구성구, 장애물구성구, 그린구성구가 비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사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mini park golf course arra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ate in which a terrain feature, an obstacle feature, and a green feature, which are green beach objects, are placed on one of the partitioned green courses in the mini park golf course arra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green structure, which is a green beach material provided on one of the partitioned green courses in the mini park golf course arra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lan view of an exemplary Yutnori board suitable for application to Fig. 10.
Fig. 12 is an actual isometric photograph viewed at the same angle as the perspective drawing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mini golf course array of Fig. 1.
FIGS. 13 and 14 are perspective photographs showing the state in which a terrain feature, an obstacle feature, and a green feature, which are green beach objects, are placed on one of the sectioned green courses in the mini park golf course array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S. 2 to 9.
이하, 본 발명의 미니 파크골프장 어레이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ini park golf course arra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scriptions of parts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be omitted.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의 부재번호는 상술한 종래 선원의 부재번호와 겹치더라고 본 발명의 부재번호가 우선한다.In addition, even if the absence numbers in the description below overlap with the absence numbers of the conventional sailors described above, the absence num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 precedence.
도 1은 본 발명의 미니 파크골프장 어레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조망 사시도, 도 2 내지 9는 본 발명의 미니 파크골프장 어레이에서의 구획그린코스의 하나에 비치되는 그린비치물인 지형구성구, 장애물구성구, 그린구성구가 비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 은 미니 파크골프장 어레이에서의 구획그린코스의 하나에 비치되는 그린비치물인 그린구성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적용되기에 바람직한 예시적인 윷놀이판의 평면도, 도 12는 도 1의 미니 골프프장 어레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조망 사시도와 같은 각도로 본 실제 사시사진, 도 13도 및 14도는 도2 내지 9의 본 발명의 미니 파크골프장 어레이에서의 구획그린코스의 하나에 비치되는 그린비치물인 지형구성구, 장애물구성구, 그린구성구가 비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사진으로서 함께 또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ini park golf course arra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ate in which a terrain component, an obstacle component, and a green component, which are green beach objects provided on one of the sectioned green courses in the mini park golf course array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green component, which is a green beach object provided on one of the sectioned green courses in the mini park golf course array, FIG. 11 is a plan view of an exemplary Yutnori board suitable for application to FIG. 10, FIG. 12 is an actual perspective photograph seen at the same angle as the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mini golf course array of FIG. 1, and FIGS. 13 and 1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ate in which a terrain component, an obstacle component, and a green component, which are green beach objects provided on one of the sectioned green courses in the mini park golf course array of FIGS. 2 to 9, are provided, which are also described sequentially together.
본 발명의 미니 파크골프장어레이(A)는 실내에 한정하지 않고 협소한 면적의 실외에도 동일한 개념으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mini park golf course array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indoors and can be applied with the same concept to narrow outdoor areas.
실내의 경우에는 예시적으로 30 ~ 60평 정도의 주거지 인근한 건물의 지하실 등의 실내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실외의 경우는 주택지의 유휴지, 하천부지 등에 설치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파크골프장어레이(A)는 모두 조합하여 그 설치 및 해체가 극히 간단하여 임시적인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다.In the case of indoors, it is most desirable to install it in an indoor space such as a basement of a building near a residential area of about 30 to 60 pyeong, and in the case of outdoors, it can be installed in an idle land of a residential area, a riverbed, etc., and the park golf range array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l assembled, so that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are extremely simple, and thus it can be installed even in a temporary space.
본 발명의 미니 파크골프장어레이(A)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The mini park golf course array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1.
인조잔디가 식재되어 페어웨이로서 사용되는 실내, 실외의 바닥면(B)에 배설되는 구획수단과, 각각의 구획수단이 형성하는 구획공간인 구획그린코스에 다양한 종류의 비치물을 제공하여 이들을 조합, 구성하는 시스템으로서 제공되고 전체 구성물이 세트구성부재로서 제공된다.A system is provided that combines and configures various types of beach materials by providing partition means on the indoor and outdoor floor surfaces (B) where artificial grass is planted and used as fairways, and partition green courses, which are partition spaces formed by each partition means, and the entire composition is provided as a set component.
본 발명의 파크골프장어레이(A)는 다양한 구성체의 조합으로써 많은 형태의 파크골프장의 조합형성이 가능하며, 생활체육시설로서 또는 유흥을 위한 장으로 활용될 수 있다.The park golf course array (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combination of various types of park golf courses by combining various components, and can be utilized as a sports facility or a place for entertainment.
실내,외의 바닥면(B) 상에 구획용의 코스용펜스(Fc)와 게이트용펜스(Fg)가 동일한 구성체로서 제공되고, 각각의 코스용펜스(Fc)와 게이트용펜스(Fg)는 수직 높이가 일정한 개략 장방형상의 프레임(R)에 배설되는 네트(N)로써 폐색되어 구획용의 칸막이로서 다수 개 사용된다.On the indoor and outdoor floor surfaces (B), a course fence (Fc) and a gate fence (Fg) for dividing are provided as identical components, and each of the course fences (Fc) and the gate fence (Fg) is closed off with a net (N) that is installed in a roughly rectangular frame (R) of constant vertical height, and is used in multiple pieces as partitions for dividing.
다수 개의 코스용펜스(Fc)와 게이트용펜스(Fg)의 각각은 다른 수평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직립하방에는 레그판(P)이 제공되어 개별적인 코스용펜스(Fc)와 게이트용펜스(Fg)를 임의의 위치와 각도로서 바닥면(B) 상에 배설 및 조합이 가능하다.Each of the multiple course fences (Fc) and gate fences (Fg) can have different horizontal lengths, and a leg plate (P)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each upright, so that individual course fences (Fc) and gate fences (Fg) can be placed and combined on the floor surface (B) at any position and angle.
상기와 같은 코스용펜스(Fc)와 게이트용펜스(Fg)를 조합하여 구성하되, 코스용펜스(Fc)로써 경기의 진행로가 되는 코스진행로(R)를 형성하고, 게이트용펜스(Fg)는 각각의 코스용펜스(Fc)에 직각으로 위치하여 구획, 배치함으로써 좁은 실내에 가로세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여 전체 코스진행로(R)를 형성하여 다수의 구획된 공간인 구획그린코스(C1,C2,C3..CN)를 구성하게 된다.By combining the course fence (Fc) and gate fence (Fg) as described above, the course path (R) that serves as the course of the game is formed with the course fence (Fc), and the gate fence (Fg)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each course fence (Fc) to divide and arrange them, so that the entire course path (R) is formed by arranging them in a zigzag shape in the narrow indoor space, thereby forming a plurality of divided spaces, called divided green courses (C1, C2, C3, etc.).
따라서 다수 개, 바람직하게는 9 개의 코스를 가지는 구획그린코스(C1,C2,C3..CN)를 가지도록 코스용펜스(Fc)와 게이트용펜스(Fg)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실내의 바닥면(B)의 면적에 따라서 임의로 구획그린코스(C1,C2,C3..CN)의 수를 증감 및 코스의 형태를 달리할 수 있고, 이는 국제규격에 따르지 않고 사용자 임의로 구성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course fence (Fc) and the gate fence (Fg) can be set to have a plurality of, preferably nine, segmented green courses (C1, C2, C3, etc.), and the number of segmented green courses (C1, C2, C3, etc.)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nd the form of the courses can be changed arbitrarily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indoor floor surface (B) where it is installed, which provide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configured arbitrarily by the user without following international standards.
왜냐하면, 본 발명의 파크골프장어레이(A)는 공인규격에 따른 시합을 위한 것이 아니고 운동과 유흥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park golf range array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or competition according to official standards, but for exercise and entertainment.
위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가 형성하는 각각의 코스에는 도 2 이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별적인 그린비치물이 1 개 이상, 복수개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배치되고, 이하에서는 그린비치물(Green Objects)의 각각을 설명한다.In each course formed by the above sectioned green courses (C1, C2, C3, etc.), as shown in Fig. 2 and below, one or more individual green beach objects are selectively arranged in combination, and each of the green beach objects (Green Objects) is described below.
그린비치물은 진행되는 각각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에 비치되는 시설구로서, 크게는 지형구성구(E)와, 장애물구성구(O) 및 그린구성구(G)로 대분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구분은 용어상의 명칭일 뿐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Green beach equipment is a facility placed in each section of the green course (C1, C2, C3, etc.), and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errain component (E), obstacle component (O), and green component (G), but this division is only a terminological name,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지형구성구(E)는 구획그린코스(C1,C2,C3..CN)를 실제 파크골프장의 필드(페어웨이 포함)의 느낌을 바닥면(B)에 부여하도록 하는 정치물로서,The terrain composition (E) is a political structure that gives the feeling of an actual park golf course field (including fairway) to the floor surface (B) by using the sectioned green course (C1, C2, C3, etc.).
도 2 이하의 제 1의 지형구성구(E)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The first topographical structure (E) below Fig. 2 is as shown,
단면 개략 삼각형상 또는 원호상, 사각상, 다각형상(도시하지 아니함)으로 절곡되고 길이가 긴 세장관체로서의 힐플레이트(10,11)이다.It is a heel plate (10, 11) that is folded into a cross-sectional outline of a triangle, a circular arc, a square, or a polygon (not shown) and is a long slender tube body.
힐플레이트(10,11) 역시, 페어웨이인 바닥면(B) 상에 비치되는 골프장의 지형 형성용이며 그 표면에는 바닥면(B)에 배설되는 인조잔디를 피복하여 실제 필드의 느낌을 부여한다.The heel plate (10, 11) is also used to form the terrain of the golf course on the floor surface (B), which is the fairway, and its surface is covered with artificial grass that is laid on the floor surface (B) to give it the feel of an actual field.
지형구성구(E)의 힐플레이트(10,11) 역시, 각각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 에 1 개 이상 배설하거나 배설하지 아니함으로써, 골퍼는 러프 또는 경사필드부로서 인식하게 되고 힐플레이트(10,11)를 회피하여 코스진행로(R)를 따라 타구하거나 삼각형 또는 원호상의 경사면(10',11')을 타고 넘어 타구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의 타구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Also, by distributing one or more heel plates (10, 11) of the terrain composition (E) or not distributing them in each section green course (C1, C2, C3, etc.), the golfer recognizes them as rough or a sloped field area, and by avoiding the heel plates (10, 11) and hitting the ball along the course path (R) or by going over a triangular or circular slope (10', 11'), the golfer can set various hitting directions.
도 2 이하의 제 2의 지형구성구(E)는 도시하는 바와 같은 레일웨이(20)이다.The second topographical structure (E) shown below in Fig. 2 is a railway (20) as shown.
이 레일웨이(20)는 단면 개략 "ㄷ" 자형의 길이가 긴 상방이 개방된 경사로를 형성하고 제 1레일웨이(21)와 제 2레일웨이(22), 제 3레일웨이(23)를 그 단부에서 상호 겹치도록 배설이 가능한 구성을 가지며, 중간의 제 2레일웨이(22)의 하방에는 높이를 가지는 레그바아(22',22")가 직립되게 고정되어, 만나는 단부에서 겹쳐지는 제1 레일웨이(21)와 제2레일웨이(22)가 일정한 경사각을 형성하여 실제 골프장의 페워에이상의 경사로를 형성한다.This railway (20) forms a long, open ramp in the shape of the letter "ㄷ" in cross section,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railway (21), the second railway (22), and the third railway (23) can be laid out so as to overlap each other at their ends, and a leg bar (22', 22") having a height is fixed upright below the second railway (22) in the middle, so that the first railway (21) and the second railway (22), which overlap at their ends, form a constant angle of incline, thereby forming a ramp higher than the fairway of an actual golf course.
제 1레일웨이(21)와 제 2레일웨이(22), 제 3레일웨이(23)가 그 단부에서 겹쳐짐으로써 형성하는 레일웨이(20)는 각각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 상에 1 개 이상 배설하거나 배설하지 아니할 수 있고, 배설됨으로써 골퍼는 지형물로서 인식하거나, 레일웨이(20)을 이용하여 최단의 파수를 구성하도록 타구를 수행하게 된다.The railway (20) formed by the first railway (21), the second railway (22), and the third railway (23) overlapping at their ends may or may not be placed on each section green course (C1, C2, C3, etc.), and by being placed, the golfer recognizes it as a terrain feature or uses the railway (20) to hit the ball to form the shortest wave.
특히, 도 3의 제 3의 지형구성구(E)는 도시하는 바와 힐디스크(30,31)이다.In particular, the third topographical structure (E) of Fig. 3 is a hill disk (30, 31) as shown.
힐디스크(30,31)는 단면이 중심으로 가면서 상향 경사진면을 가지는 평명형상 사각형, 다각형(도시하지 아니함) 또는 원형의 디스크체이고 역시 장애물 또는 경사 골프로의 코스진행로(R)에 비치되어 러프 또는 자연지형과 같은 느낌을 줌으로써 지형을 변형하여 타구에 재미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The heel disc (30, 31) is a flat square, polygon (not shown) or circular disc with a cross-section that slopes upward toward the center, and is also placed on the course path (R) of an obstacle or slope golf course to give the feeling of rough or natural terrain, thereby transforming the terrain and adding fun to the shot.
역시, 힐디스크(30,31)를 각각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에 1 개 이상 배설하거나 배설하지 아니할 수 있고, 배설됨으로써 골퍼는 지형물로서 인식하여 회피하거나 경사면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향성의 타구를 구사하여 최대한 파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Likewise, one or more heel discs (30, 31) may or may not be placed in each section green course (C1, C2, C3, etc.), and by being placed, golfers can recognize them as terrain and avoid them or use the slope to hit balls in various directions to minimize damage.
이하에서는 장애물구성구(O)을 설명한다.Below, the obstacle configuration (O) is described.
각각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에 선택적으로 비치될 수 있는 장애물구성구(O)는 특히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의 코스용펜스(Fc)와 게이트용펜스(Fg)와 동일한 장애물펜스(50)이다.The obstacle structure (O) that can be optionally placed in each section green course (C1, C2, C3, etc.) is an obstacle fence (50) that is identical to the course fence (Fc) and gate fence (Fg)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7.
장애물펜스(50)는 수직 높이가 일정한 개략 장방형상의 프레임(FR)에 배설되는 네트(N)로써 폐색되어 구성되어 진로방해물용의 칸막이로 채용되고 그 하방에는 직립을 위한 레그판(도시하지 아니함)이 고정된다.The obstacle fence (50) is constructed by blocking with a net (N) installed on a roughly rectangular frame (FR) with a constant vertical height and is used as a partition for obstacles to the path, and a leg plate (not shown) for upright standing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fence.
장애물펜스(50)는 코스용펜스(Fc)와 게이트용펜스(Fg)보다 작은 수평방향의 길이를 가지되 코스용펜스(Fc)의 수평방향의 길이보다 적게 하여 각각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의 일부를 폐색하게 된다.The obstacle fence (50) has a horizontal length smaller than that of the course fence (Fc) and the gate fence (Fg), but is short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course fence (Fc) to block a portion of each section green course (C1, C2, C3, etc.).
이러한 구성의 장애물펜스(50)는 각각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에 1 개 이상 배설하거나 배설하지 아니함으로써, 골퍼는 실제 골프장의 러프, 샌드벙커, 워터헤저드와 같은 장애물로 인식하게 되고 골퍼는 장애물펜스(50)를 피하여 코스진행로(R)를 형성함으로써 진행의 난이도를 부여하는 역활을 한다.Obstacle fences (50) of this configuration are installed one or more times in each section green course (C1, C2, C3, etc.) or are not installed at all, so that golfers recognize them as obstacles such as rough, sand bunkers, and water hazards of an actual golf course, and golfers avoid the obstacle fences (50) to form a course path (R), thereby increasing the difficulty of progression.
도 2와 도 8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제 2의 장애물구성구(O)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어웨이가 되는 설치 바닥면(B) 상에 직립하는 1 개 이상의 블록바아(60,61..6N)이다.As well illustrated in FIG. 2 and FIG. 8, the second obstacle structure (O) is one or more block bars (60, 61, .. 6N) standing upright on the installation floor surface (B) that becomes the fairway as illustrated.
블록바아(60,61)는 직선체의 관체를 시인성이 좋은 색상으로 도색하여 만든 장애물로서, 1 개 이상의 블록바아(도면에서는 2 개: 60,61)를 서로 조합하여 바닥면(B)에 배설하여 파크골프공의 진행에서 실제 필드의 러프(Rough)와 같은 임의의 장애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Block bars (60, 61) are obstacles made by painting the body of a straight body with a color that is highly visible. One or more block bars (two in the drawing: 60, 61) can be combined and placed on the floor (B) to be used as an arbitrary obstacle, like rough on an actual field, in the course of a park golf ball.
블록바아(60,61..N) 역시, 각각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에 1 개 이상 배설하거나 배설하지 않도록 구비하게 되어, 골퍼는 블록바아(60,61..N)를 피하여 코스진행로(R)를 따라 감으로써 진행의 난이도를 부여하는 역활을 한다.Block bars (60, 61..N) are also provided so that one or more may or may not be excreted in each section green course (C1, C2, C3..CN), so that golfers avoid the block bars (60, 61..N) and follow the course path (R), thereby adding difficulty to the progression.
도 5와 6에 잘 도시되는 제 3의 장애물구성구(O)는, 직립하는 반원 형상체이고 하방에 직립을 위한 레그판(71,72)이 용접,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 관체가 절곡된 세미서클(70)과, 이 세미서클(70) 옆으로 임의의 각도로 배설되어 장애라인을 형성하는 한 쌍의 블록바아(75,76)이다. 블록바아(75,76) 역시 하방 바닥면(B) 상에 설치를 위한 레그판(75',76')이 고정된다.The third obstacle structure (O) well illustrated in Figures 5 and 6 is a semicircle (70) having a bent body, which is an upright semicircular body and has leg plates (71, 72) for uprighting fixed to the lower side by welding, riveting, or the like, and a pair of block bars (75, 76) that are arranged at an arbitrary angle to the side of the semicircle (70) to form an obstacle line. The block bars (75, 76) also have leg plates (75', 76') fixed to the lower floor surface (B) for installation.
이러한 구성의 장애물구성구(O)는 최초의 구획코스(C1)가 형성하는 코스진행로(R) 상에 배설되어 파크골프공의 타구 개시점(티그라운드)으로 할 수도 있고 각각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 에 1 개 이상 배설함으로써 골퍼는 장애물로 인식하게 된다.Obstacles (O) of this configuration can be placed on the course path (R) formed by the first section course (C1) and used as the starting point (tee ground) for hitting a park golf ball, or by placing one or more on each section green course (C1, C2, C3, etc.) so that golfers recognize them as obstacles.
도 4,5,6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제 4의 장애물구성구(O)는 관체를 만곡시켜 구성하는 서클(80) 또는 하프서클(85)이다. 서클(80) 또는 하프서클(85)은 단순히 페어웨이인 바닥면(B) 상에 배설되는 실제 골프장의 샌드벙커 또는 워터해저드와 같은 장애물로서 채용된다.As well illustrated in Figures 4, 5, and 6, the fourth obstacle component (O) is a circle (80) or a half circle (85) formed by bending the body. The circle (80) or the half circle (85) is simply used as an obstacle, such as a sand bunker or a water hazard on an actual golf course, placed on the floor surface (B) of the fairway.
구획그린코스(C1,C2,C3..CN) 내의 코스진행로(R) 상에 1 개소 이상 배설되어 파크골프용의 클럽(도시하지 아니함)으로써 타구 시의 장애물로 기능하여 골퍼가 이를 회피하면서 타구를 진행하여야 하므로 타수의 증감을 유발하게 된다.In the green course (C1, C2, C3, etc.) of the section, there is a club (not shown) installed at one or more locations on the course path (R) and it functions as an obstacle when hitting the ball, so the golfer must avoid it while hitting the ball, which causes an increase or decrease in the number of strokes.
서클(80) 또는 하프서클(85) 역시, 코스진행로(R) 상에 배설되어 각각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 에 1 개 이상 배설하거나 배설하지 아니함으로써 골퍼는 장애물로 인식하게 된다.Circles (80) or half circles (85) are also placed on the course path (R) and are recognized as obstacles by golfers by placing one or more of them in each section green course (C1, C2, C3, etc.).
그린구성구(G)의 구성을 설명한다.Describes the composition of the green component (G).
도면 전체 및 도 7에 상세히 개시되는 바와 같은 제 1의 그린구성구(G)는, 그린타겟(90)이고, 이 그린타겟(90)은 단면 경사가 형성되고 인공잔디체인 원형상의 그린필드부(92)의 중앙에 매몰되는 홀컵(91)과, 홀컵(91)의 중앙부에서 직립하는 깃발인 홀컵표시기(93)로 구성된다.The first green component (G) as disclosed in the entire drawing and in detail in Fig. 7 is a green target (90), and this green target (90) is composed of a hole cup (91) that is formed with a cross-sectional slope and is buried in the center of a circular green field portion (92) that is an artificial grass chain, and a hole cup indicator (93) that is an upright flag in the center of the hole cup (91).
그린타겟(90) 역시, 페어웨이인 코스진행로(R) 상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에 배설되며 각각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 에 1 개 이상 배설 또는 배설하지 아니하거나, 최종의 구획그린코스(CN)에 비치함으로써 골퍼는 반드시 이 그린타겟(90) 에 홀인을 하여야 다음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의 하나로 이행하게 한다.Green targets (90) are also placed on the section green courses (C1, C2, C3, etc.) on the course path (R), which is the fairway. One or more of them are placed on each section green course (C1, C2, C3, etc.) or none are placed on each section green course (C1, C2, C3, etc.) or they are placed on the final section green course (CN). The golfer must make a hole-in on this green target (90) to proceed to one of the next section green courses (C1, C2, C3, etc.).
도 9에 그린구성구(G)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며 여기에서는 그린구성구(G)인 그린점수판타겟(110) 만이 별도로 도시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green component (G) is illustrated in Fig. 9, where only the green score board target (110), which is the green component (G), is illustrated separately.
그린점수판타겟(110)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As shown in the figure, the green scoreboard target (110)
시각적인 인지를 위한 유도서클(111) 및 이 유도서클(111)로의 골프공의 가이드를 인한 한 쌍의 가이드바아(116,117) 및, 이너가이드서클(112) 및 점수판(113)과, 점수판(113) 중앙부의 홀컵그린부(114), 홀컵(115), 홀컵사인기(119)로 구성된다.It consists of a guide circle (111) for visual recognition and a pair of guide bars (116, 117) for guiding a golf ball to the guide circle (111), an inner guide circle (112) and a scoreboard (113), a hole cup green section (114), a hole cup (115), and a hole cup sign (119) in the center of the scoreboard (113).
가이드바아(116,117)는 각각 분리된 파이프체의 바아로서, 하방으로는 바닥면(B)으로의 고정대 역활을 하는 레그판(별도 지칭하지 아니함)이 제공되어 있어 직립할 수 있다. 가이드바아(116,117)와 조합되는 유도서클(111)은 상방으로 형성된 반원호체의 파이프체이고 역시 하방에 용접고정되는 브릿지(111-1,111-2)에 의하여 임의의 장소에 직립하여 놓여질 수 있다.The guide bars (116, 117) are each bars of a separate pipe body, and are provided with a leg plate (not specifically designated) that serves as a fixing member for the floor surface (B) downward, so that they can stand upright. The guide circle (111) combined with the guide bars (116, 117) is a pipe body of a semicircular shape formed upward, and can be placed upright at any location by a bridge (111-1, 111-2) that is also welded and fixed downward.
상기의 가이드바아(116,117)를 유도서클(111)의 양단에 인접시켜 배설하면 골퍼가 퍼팅한 파크골프공(도시하지 아니함)은 개방된 각도를 가지고 벌려져 있는 가이드바아(116,117)에 의하여 용이하게 가이드되어 유도서클(111)이 형성하는 하방공간으로 들어가게 된다.When the above guide bars (116, 117) are plac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guide circle (111), the park golf ball (not shown) putted by the golfer is easily guided by the guide bars (116, 117) spread out at an open angle and enters the lower space formed by the guide circle (111).
이너가이드서클(112)은 통상적인 링형상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파이프체로서 내방의 점수판(113)을 둘러싸는 형상이고 상기의 유도서클(111)과 접하는 부분만 개방된 가이드체이다.The inner guide circle (112) is a conventional ring-shaped metal or synthetic resin pipe body that surrounds the inner scoreboard (113) and is a guide body that is open only in the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bove-mentioned guide circle (111).
홀컵(115)은 통상적인 파크골프용의 홀컵이고, 이 홀컵(115)을 수용하도록 단면 경사가 형성되고 인공잔디체인 개략 원형상의 홀컵그린부(114)의 중앙에 묻혀있다.The hole cup (115) is a typical hole cup for park golf, and is formed with a cross-sectional slope to accommodate the hole cup (115) and is embedded in the center of a roughly circular hole cup green section (114) made of artificial grass.
상기하는 구성의 그린구성구(G)를 제공함으로써, 그린점수판타겟(110)은 각각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의 어느 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지막의 구획코스(CN)에 배설되어 최종적인 라운딩에서의 점수를 내기 위한 유흥의 하나로서 채용이 된다.By providing the green component (G) of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the green score board target (110) is disposed in one of each of the segmented green courses (C1, C2, C3, etc.), more preferably in the last segmented course (CN), and is employed as one of the amusements for scoring points in the final round.
그린구성구(G)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10 및 도 11에 독립하여 별도로 도시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green configuration (G) is shown separately and independently in FIGS. 10 and 11.
윷판형그린타겟(120)을 도 9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하되, 점수판을 원형상으로 배설된 윷판형타겟(125)으로 하고, 이 윷판형타겟(125)상의 과녁항목의 배열을 다양하게(예를 들면, 도, 개, 걸, 윷, 모, 뒷도) 구성하면, 설치된 각각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의 하나에 비치하거나 또는 최종코스인 구획코스(CN)에서 파크골프공을 타구하여 윷판형그린타겟(120) 내의 윷판 상의 특정한 과녁 형상의 과녁항목에 안착시켜 별도의 도시하지 아니하는 윷말판 상에서 말을 이동시켜 윷놀이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The Yut board-shaped green target (12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mbodiment of FIG. 9, but the scoreboard is configured as a Yut board-shaped target (125)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target items on the Yut board-shaped target (125) are configured in various arrangements (for example, do, gae, geol, yut, mo, ddeutdo), so that the target items can be placed in one of the installed section green courses (C1, C2, C3, etc.), or in the section course (CN), which is the final course, by hitting a park golf ball and landing it on a target item of a specific target shape on the Yut board in the Yut board-shaped green target (120) , and then the Yut Nori can be enjoyed by moving the piece on a Yut board that is not shown separately.
예시적인 윷판형타겟(125)이 도 11에 평면 사진으로 개시된다.An exemplary Yut board-shaped target (125) is disclosed as a plan view in Fig. 11.
이는 본 발명의 미니 파크골프장어레이(A)의 목적이 경쟁을 위한 운동이 아니고, 사용자인 중장년, 노년층 등의 유흥을 통한 운동을 체력의 증진과 흥미를 유발시킴에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purpose of the mini park golf range array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exercise for competition, but to increase physical strength and induce interest through exercise for the enjoyment of users, such as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상기의 지형구성구(E), 장애물구성구(O), 그린구성구(G)의 각각의 그린비치물은 각각의 도면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의 어느 하나에 또는 하나 이상에 조합하여 배설하여 전체 파크골프장어레이(A)를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수시로 조합의 변경이 가능하여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Each green beach material of the above-mentioned terrain composition area (E), obstacle composition area (O), and green composition area (G) is combined and placed in one or more of each section green course (C1, C2, C3, etc.) as exemplarily illustrated in each drawing to form the entire park golf course array (A), thereby enabling the combination to be changed at any time as needed, thereby generating continuous interest.
본 발명의 미니 파크골프장 어레이(A)에는 상기하는 그린비치물 외에 다양한 구성의 지형구성구, 장애물구성구, 그린구성구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술적인 사상을 동일하게 가지는 그러한 변형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The mini park golf course array (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configurations of terrain structures, obstacle structures, and green structures in addition to the green beach material described above,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ll such modified embodiments having the same technical idea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파크골프장어레이
B: (설치) 바닥면
F: 디바이드펜스
R: 프레임
N: 네트A: Park Golf Course Array
B: (Installation) Floor surface
F: Dividing Fence
R: Frame
N: Net
Claims (6)
상기 각각의 구획그린코스(C1,C2,C3..CN)에는 그린비치물로서 지형구성구(E), 장애물구성구(O) 및 그린구성구(G)를 구성하는 비치물을 포함하고,
상기 지형구성구(E)는 페어웨이인 상기 바닥면(B) 상의 지형형상을 변경시키도록 단면 삼각형상 또는 원호상 절곡 세장관체인 힐플레이트(10,11), 단면 "ㄷ" 자형의 길이가 긴 경사로를 가지는 분리된 제 1레일웨이(21)와 제 2레일웨이(22), 제 3레일웨이(23)를 그 단부에서 상호 겹치도록 배설되고, 상기 제 2레일웨이(22)의 높이를 조절가능한 레일웨이(20), 상향 경사진면을 가지는 평면형상 사각형 또는 원형의 디스크체인 힐디스크(30,31)의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장애물구성구(O)는 바닥면(B) 상에 비치되어 러프, 벙커, 워터해저드와 같은 장애물로서 기능하도록, 장애물펜스(50), 상기 바닥면(B) 상에 직립하는 1 개 이상의 직선관체인 블록바아(60,61..N), 직립하는 세미서클(70)과, 상기 세미서클(70) 옆으로 임의의 각도로 배설되어 장애라인을 형성하는 한 쌍의 블록바아(75,76), 관체를 만곡시켜 구성하는 서클(80) 또는 하프서클(85)의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그린구성구(G)는 전체 구획그린코스(C1,C2,C3..CN)의 하나 또는 최종의 구획코스(CN)에 비치되는 목표 타겟물로서 기능하도록 그린타겟(90)을 가지고, 상기 그린타겟(90)은 단면 경사가 형성된 원형 디스크인 그린필드부(92), 상기 그린필드부(92)에 중앙에 매몰되는 홀컵(91), 상기 홀컵(91)의 중앙부에서 직립하는 깃발인 홀컵표시기(9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파크골프장 어레이.In a mini park golf course, a course fence (Fc) and a gate fence (Fg) for dividing, which are nets (N) installed in a square frame (R) on an indoor/outdoor floor surface (B) that serves as a fairway, are installed in a zigzag shape to form a course progression path (R) with a plurality of dividing green courses (C1, C2, C3, etc.);
Each of the above sections of green courses (C1, C2, C3, etc.) includes green beach objects that constitute terrain components (E), obstacle components (O), and green components (G).
The above-mentioned terrain configuration (E) is at least one of a heel plate (10, 11) which is a triangular or circular arc-shaped folded slender tube chain in cross-section to change the terrain shape on the floor surface (B) which is a fairway, a separated first rail (21) and second rail (22) having a long slope in the shape of the letter "ㄷ" in cross-section, and a third rail (23) which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at their ends, and a railway (20) which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second rail (22), and a heel disc (30, 31) which is a square or circular disc chain in a planar shape with an upwardly inclined surface,
The above obstacle structure (O) is provided on the floor surface (B) to function as an obstacle such as rough, bunker, or water hazard, and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n obstacle fence (50), one or more straight pipe block bars (60, 61, ..N) standing upright on the floor surface (B), an upright semi-circle (70), a pair of block bars (75, 76) formed at an arbitrary angle to the side of the semi-circle (70) to form an obstacle line, and a circle (80) or half-circle (85) formed by bending the pipe.
The above green component (G) has a green target (90) to function as a target object placed on one or the final section course (CN) of the entire section green course (C1, C2, C3, etc.), and the green target (90) includes a green field portion (92) which is a circular disk with a cross-sectional slope formed thereon, a hole cup (91) buried in the center of the green field portion (92), and a hole cup indicator (93) which is a flag standing upright in the center of the hole cup (91).
An array of mini park golf courses featuring:
상기 그린구성구(G)는 그린점수판타겟(110)이 될 수 있고, 상기 그린점수판타겟(110)은, 반원형상의 직립한 유도서클(111) 및 상기 유도서클(111)로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직선관체인 가이드바아(116,117), 원형 절곡관체인 이너가이드서클(112) 및 점수판(113), 상기 점수판(113) 중앙부의 홀컵그린부(114), 홀컵(115), 홀컵사인기(11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파크골프장 어레이.In paragraph 1,
The above green component (G) can be a green scoreboard target (110), and the green scoreboard target (110)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emicircular upright guide circle (111) and a pair of straight pipe guide bars (116, 117) guiding entry into the guide circle (111), an inner guide circle (112) which is a circular bent pipe, and a scoreboard (113), a hole cup green section (114) in the center of the scoreboard (113), a hole cup (115), and a hole cup sign (119).
상기 그린구성구(G)는 상기 그린타겟(90)의 점수판을 윷판형타겟(125)으로 한 또 다른 형태의 윷판형그린타켓(120)이고,
상기 윷판형그린타켓(120)은 상기 윷판형타겟(125)상의 과녁항목의 배열을 윷의 구성항목으로 (도, 개, 걸, 윷, 모, 뒷도)로 구성하여, 상기 구획그린코스(C1,C2,C3..CN)의 어느 하나 또는 최종 구획코스(CN)에 비치하여 윷판형그린타켓(120) 내의 윷판 상의 특정한 과녁 형상의 과녁항목에 안착시켜 윷놀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파크골프장 어레이.In paragraph 1,
The above green target (G) is another type of Yut board-shaped green target (120) with the scoreboard of the above green target (90) as a Yut board-shaped target (125).
The above Yut board-shaped green target (120) is a mini park golf course ar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target items on the Yut board-shaped target (125) are arranged as Yut components (do, gae, geol, yut, mo, ddeutdo), and the Yut Nori can be played by placing the target items on one of the segmented green courses (C1, C2, C3, etc.) or the final segmented course (CN) and landing them on a specific target-shaped target item on the Yut board within the Yut board-shaped green target (120) .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48704A KR102729320B1 (en) | 2021-04-14 | 2021-04-14 | Mini park golf course arr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48704A KR102729320B1 (en) | 2021-04-14 | 2021-04-14 | Mini park golf course array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42231A KR20220142231A (en) | 2022-10-21 |
| KR102729320B1 true KR102729320B1 (en) | 2024-11-12 |
Family
ID=8380524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48704A Active KR102729320B1 (en) | 2021-04-14 | 2021-04-14 | Mini park golf course arra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2932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2109470B1 (en) | 2023-05-01 | 2024-10-08 | Cody J. Skacan | Modular mini-golf obstacle kit |
| KR20240177502A (en) | 2023-06-20 | 2024-12-27 | 함순웅 | Construction Method of Golf Practice Facilities Using Artificial Grass |
| KR20240177597A (en) | 2023-06-20 | 2024-12-27 | 아이투엠 주식회사 | Farming-type Park Golf Cours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90581Y1 (en) * | 2002-06-08 | 2002-10-04 | 황인철 | Golf game goods |
Family Cites Familie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307824B1 (en) * | 1999-03-16 | 2001-09-24 | 김형태 | A interior of room - mini golf |
| KR100763343B1 (en) * | 2005-09-12 | 2007-10-04 | 신혜연 | Indoor golf game system with golf course |
| KR200467693Y1 (en) * | 2011-02-18 | 2013-06-28 | 황기호 | Putting play hall cup |
| KR101254883B1 (en) | 2011-03-03 | 2013-04-15 | 우제철 | Urban Mini Golf Course |
| KR20140074436A (en) | 2012-12-07 | 2014-06-18 | (주)엠지엔지니어링 | Par 2 field for mini golf course |
| JP3185213U (en) * | 2013-05-27 | 2013-08-08 | 美雪 神宮 | Game mat |
-
2021
- 2021-04-14 KR KR1020210048704A patent/KR10272932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90581Y1 (en) * | 2002-06-08 | 2002-10-04 | 황인철 | Golf game good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42231A (en) | 2022-10-2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729320B1 (en) | Mini park golf course array | |
| US5419561A (en) | Method of playing golf game on reduced size course | |
| EP2600947B1 (en) | Games apparatus | |
| US3649027A (en) | Golf course | |
| RU2223129C2 (en) | Roller for roller-cross type game | |
| US6623370B1 (en) | Golf training facility | |
| US3671042A (en) | Golf course | |
| US3610631A (en) | Golfing target | |
| US20060154736A1 (en) | Golf course and method of play | |
| JPH06505891A (en) | golf facilities | |
| US7291071B2 (en) | Compact golf facility and a method of playing a golf game | |
| US20170291082A1 (en) | Disc golf game system | |
| US4726589A (en) | Golf course | |
| US20110294587A1 (en) | Urban golf course | |
| US7144014B2 (en) | Portable kicking game | |
| US9604111B2 (en) | Game of horseshoes | |
| KR100292563B1 (en) | Billiards Golf Table | |
| US6743110B2 (en) | Golf course and method of play | |
| US12042707B2 (en) | Boules-style game and apparatus | |
| KR200233558Y1 (en) | Indoor golf game machine | |
| JPH0426423A (en) | Golf shot reproducing course | |
| JP2006055542A (en) | Putter golf course facility | |
| KR20050037009A (en) | Simple golf complex and method to use that | |
| JPH06190095A (en) | Ball hitting game method | |
| CA2483886A1 (en) | Terrace table golf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0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