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20384B1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global letters - Google Patents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global lett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20384B1 KR102720384B1 KR1020210088779A KR20210088779A KR102720384B1 KR 102720384 B1 KR102720384 B1 KR 102720384B1 KR 1020210088779 A KR1020210088779 A KR 1020210088779A KR 20210088779 A KR20210088779 A KR 20210088779A KR 102720384 B1 KR102720384 B1 KR 1027203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value
- corresponds
- value
- sound
- worl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다수의 자음 키와 다수의 모음 키를 이용하여 소정의 문자를 선택한 것에 관한 제1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의 문자와 연관하여 입력 기호를 입력한 것에 관한 제2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제1 입력 정보 및 상기 제2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세계 문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문자는, 한글 자음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또는 한글 모음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 중 하나에 대응되고, 상기 입력 기호는 점(·) 또는 획(ㅡ)인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inputting a world character is provided, comprising the steps of: obtaining first input information regarding a user selec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by using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a plurality of vowel keys; obtaining second input information regarding a user inputting an input symbol in association with the predetermined character; and generating a world character based on the obtained first inpu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wherein the predetermined character corresponds to one of the Korean consonants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or the Korean vowels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 and the input symbol is a dot (·) or a stroke (ㅡ).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 system and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world characters.
문자란 인간의 언어를 기록하기 위한 시각적인 기호 체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문자는 개별 문자가 말의 어떠한 단위를 대표하는지에 따라 흔히 단어문자, 음절문자 및 음소문자로 분류된다. 여기서, 음소문자는 개별 문자를 자음과 모음으로 분절하여 나타내는 문자 체계를 의미한다. 음소문자는 단어문자 및 음절문자와 비교하여 문자 수가 훨씬 적고 체계가 간명함을 이유로 가장 높은 수준의 문자로 평가받고 있다.A writing system is a visual symbol system for recording human language. These writing systems are often classified into word writing, syllabic writing, and phonemic writing systems, depending on which unit of speech each letter represents. Here, phonemic writing refers to a writing system that segments individual letters into consonants and vowels. Compared to word writing and syllabic writing systems, phonemic writing systems are considered the highest level of writing systems because they have far fewer letters and a simpler system.
한글은 대표적인 음소문자로서, 제자 원리가 과학적이고 조직적인 문자이다. 이러한 한글의 우수성과 과학성은 이미 세계적으로 입증되었고, 특히, 최근의 디지털 시대에서 한글은 전자 기기의 자판 운용에 최적화된 문자로 손꼽히고 있다.Hangul is a representative phonetic alphabet, and its principles are scientific and systematic. The excellence and scientific nature of Hangul have already been proven worldwide, and especially in the recent digital era, Hangul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optimized character for keyboard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다만, 이러한 한글의 우수성과 과학성에도 불구하고, 외국어 음가에 대응하는 한글 음가가 일부 존재하지 않아, 외국어를 한글로 표기하는데 제약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중국어를 한글로 표기함에 있어서, 중국어의 한어병음 [c]에 대응하는 한글 문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현재는 해당 음가와 비슷한 다른 한글의 문자로 표기하고 있으나, 표기된 한글의 발음과 해당 외국어의 실제 발음은 크게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despite the excellence and scientific nature of Hangul, there are cases where there are limitations in writing foreign languages in Hangul because there are no Hangul phonemes that correspond to some foreign language phonemes. For example, when writing Chinese in Hangul, there is no Hangul character that corresponds to the Chinese pinyin [c]. In such cases, it is currently written using other Hangul characters that are similar to the corresponding phonem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written Hangul pronunciation and the actual pronunciation of the corresponding foreign language.
또한, 한국어는 1개의 한국어가 1개의 한글 음절로 표기되는 특성이 있다. 다만,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외국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경우에 1개의 외국어가 복수 개의 한글 음절로 표기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한자 '好'로 표기되는 중국어를 한글로 표기하면 '하오'로 표기된다. 즉, 한자 1개당 2개의 한글 음절로 표기되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외국어를 한글로 표기함에 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문장 자체가 길어지게 되므로 간결성이 저해되며, 또 어떤 경우에는 정확한 외국어 발음을 할 수 없다는 문제를 야기한다.In addition, Korean has a characteristic in which one Korean word is written as one Hangul syllable. However, due to this characteristic, when writing foreign languages in Hangul, there are cases in which one foreign language is written as multiple Hangul syllables. For example, Chinese, written as the Chinese character '好', is written as '하오' in Hangul. In other words, one Chinese character is written as two Hangul syllables. This characteristic causes problems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write foreign languages in Hangul, sentences themselves become long, which hinders conciseness, and in some cases, it causes problems in which accurat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is impossible.
이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한글에 새한글 36자를 추가한 세계 문자(Global Letter)를 제안하며, 세계문자를 전자 기기의 자판 운용에 최적화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하는 바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global letter by adding 36 new Korean letters to the existing Korean letters, and proposes a technology for optimizing the global letter for keyboard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ll of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에 점(·) 또는 획(ㅡ)을 조합하여 세계 문자를 생성함으로써, 일관성과 체계성을 갖춘 세계 문자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ld character with consistency and systematization by creating a world character by combining dots (·) or strokes (ㅡ) with the currently used Korean characters.
또한, 본 발명은, 세계 문자를 전자 기기의 자판 운용에 최적화함으로써, 세계 문자를 디지털 데이터화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digitizing world characters by optimizing the world characters for keyboard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A representativ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다수의 자음 키와 다수의 모음 키를 이용하여 소정의 문자를 선택한 것에 관한 제1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의 문자와 연관하여 입력 기호를 입력한 것에 관한 제2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제1 입력 정보 및 상기 제2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세계 문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문자는, 한글 자음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또는 한글 모음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 중 하나에 대응되고, 상기 입력 기호는 점(·) 또는 획(ㅡ)인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inputting a world character is provided, comprising the steps of: obtaining first input information regarding a user selec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by using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a plurality of vowel keys; obtaining second input information regarding a user inputting an input symbol in association with the predetermined character; and generating a world character based on the obtained first inpu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wherein the predetermined character corresponds to one of the Korean consonants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or the Korean vowels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 and the input symbol is a dot (·) or a stroke (ㅡ).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자음 키와 다수의 모음 키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자음 키와 상기 다수의 모음 키를 이용하여 소정의 문자를 선택한 것에 관한 제1 입력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의 문자와 연관하여 입력 기호를 입력한 것에 관한 제2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입력부, 및 상기 획득한 제1 입력 정보 및 상기 제2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세계 문자를 생성하는 문자 편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문자는, 한글 자음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또는 한글 모음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 중 하나에 대응되고, 상기 입력 기호는 점(·) 또는 획(ㅡ)인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inputting world characters is provided, comprising: an input unit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a plurality of vowel keys, obtains first input information regarding a user selec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by using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the plurality of vowel keys, and obtains second input information regarding a user inputting an input symbol in association with the predetermined character; and a character editing unit which generates a world character based on the obtained first inpu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wherein the predetermined character corresponds to one of the Korean consonants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or the Korean vowels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 and the input symbol is a dot (·) or a stroke (ㅡ).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In addition, other method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other system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 methods ar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현용되고 있는 한글에 점(·) 또는 획(ㅡ)을 조합하여 세계 문자를 생성함으로써, 일관성과 체계성을 갖춘 세계 문자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dots (·) or strokes (ㅡ) with the currently used Korean characters to create world characters, it is possible to provide world characters with consistency and systematiz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계 문자를 전자 기기의 자판 운용에 최적화함으로써, 세계 문자를 디지털 데이터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optimizing world characters for keyboard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it is possible to digitize world characters into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점자음, 쌍자음 및 점모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중모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비모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자판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자판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inputting world charact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5 are drawings exemplarily showing an input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showing dot consonants, double consonants, and dot vowels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of world charact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rawing showing a middle vowel among the new Hangul letters of the world charact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rawing showing a double vowel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of the worl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rawing showing non-vowels among the new Hangul letters of world charact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rawing showing the keyboard layout of an input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rawing showing the keyboard layout of an inpu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t forth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ifferent from each other,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from one embodiment to anoth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s or arrangements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taken to encompass the scope of the claims and all equivalents thereof.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presen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aspec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A system for entering world charact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inputting world charact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s 2 to 5 are drawings exemplarily showing an input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은 입력부(100), 문자 편집부(200), 메모리부(300), 표시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for inputting world charact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put unit (100), a character editing unit (200), a memory unit (300), a display unit (400), and a control unit (500).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0)는 다수의 키(또는, 버튼)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키가 선택되면 키마다 할당된 입력 정보(예를 들면, 한글의 자모에 관한 정보)를 문자 편집부(2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00)는, 태블릿,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글래스,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은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에 포함되거나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입력부(100)는 노트북 컴퓨터에 연결되는 물리 키보드로서, 사용자는 물리 키보드에 구성된 물리적인 키를 선택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입력부(100)는 스마트 폰에 포함된 터치스크린 키보드로서, 사용자는 스마트 폰의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가상의 키를 선택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입력부(100)는 스마트 워치에 포함된 터치스크린 키보드로서, 사용자는 스마트 워치의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가상의 키를 선택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입력부(100)는 스마트 글래스에 포함된 프로젝션 키보드로서, 사용자는 특정 일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바닥)에 프로젝션된 가상의 키를 선택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입력부(1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물리적인 키 또는 가상의 키로 구성되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구성요소라면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00)로서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First, the input unit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or buttons), and when a predetermined key is selected by a user, it can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information on Korean letters) assigned to each key to the character editing unit (200). The input unit (100) may be a configuration included in or connected to a digital device having a memory means, a microprocessor, and a computing capability, such as a tablet, a smart watch, a smart band, a smart glass,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workstation, a PDA, a web pad, a mobile phone, etc.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the input unit (100) is a physical keyboard connected to a notebook computer, and the user can input characters by selecting physical keys configured on the physical keyboard.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the input unit (100) is a touchscreen keyboard included in a smart phone, and the user can input characters by selecting virtual keys implemented on the touchscreen of the smart phone. Also, referring to FIG. 4, the input unit (100) is a touchscreen keyboard included in a smartwatch, and the user can input characters by selecting virtual keys implemented on the touchscreen of the smartwatch. Also, referring to FIG. 5, the input unit (100) is a projection keyboard included in smartglasses, and the user can input characters by selecting virtual keys projected on a specific surface (e.g., the palm of the user's hand). The input units (100) illustrated in FIGS. 2 to 5 are exemplary, and any component that is configured with physical keys or virtual keys and can input characters can be employed as the input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limita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편집부(200)는 입력부(100)로부터의 입력 정보 중 문자 정보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기호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여 문자를 편집 또는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문자 편집부(200)에 대하여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Next, the character editing unit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function of editing or generating characters by determining character information among input information from the input unit (100) and information about input symbo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editing unit (200) described above can be better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1.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300)는 입력부(100)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저장하거나, 문자 편집부(200)에서 편집 또는 생성되는 문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버퍼나 문자 데이터 레지스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공지의 기록 매체를 수반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Next, the memory unit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that can store input information from the input unit (100) or information about characters edited or generated in the character editing unit (200), and may be a component that carries one or more known recording media, such as a buffer or a character data regist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400)는 디지털 연산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400)는, 바람직하게는 광을 방출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문자 편집부(200)를 통한 문자의 편집 또는 생성 과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표시부(400)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및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지털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공지된 구성요소라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400)로서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Next, the display unit (4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function of displaying a digital operation processing result. This display unit (400) is preferably a display means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by emitting light, and can display a character editing or generation process through the character editing unit (200). The display unit (400) may be, for example, any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known component capable of displaying digital data may be employed as the display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limitation.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0)는 입력부(100), 문자 편집부(200), 메모리부(300) 및 표시부(40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입력부(100), 문자 편집부(200), 메모리부(300) 및 표시부(400)에서 각각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별도의 통신 수단(미도시됨)을 이용하여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외부의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도 있다.Finally, the control unit (5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low of data between the input unit (100), the character editing unit (200), the memory unit (300), and the display unit (400), thereby controlling the input unit (100), the character editing unit (200), the memory unit (300), and the display unit (400) to perform their own functions, and can also control the flow of data between components of the system for inputting world characters and external components using a separate communication means (not shown).
세계 문자World Character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입력 또는 생성되는 세계 문자에 관하여 설명한다.Below, world characters input or generated in a system for inputting world charact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점자음, 쌍자음 및 점모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drawing showing dot consonants, double consonants, and dot vowels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of world charact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점자음은 8자(, , , , , , , )로 구성된다. 점자음은 입력 기호인 점(·)을 이용한 세계 문자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Referring to Figure 6, the Braille consonants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of the worl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8 letters ( , , , , , , , ) is composed of. The dot consonant is a global character using the input symbol dot (·), and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e will examine it in order below.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디??)은 국제 음성 기호 [ð]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자음이다. 이러한 (점디??)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자음 'ㄷ'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호인 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d]에 해당하는 'ㄷ'과 국제 음성 기호 [ð]에 해당하는 (점디??)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Jumdi??) is a consonant of the world script that represents the same sound value as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ð]. This (점디??)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 currently used Korean consonant 'ㄷ' with the input symbol 'dot'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ㄷ'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d] and 'ð'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ð] (Jomdi??)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리을)은 국제 음성 기호 [r]과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자음이다. 이러한 (점리을)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자음 'ㄹ'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호인 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l]에 해당하는 'ㄹ'과 국제 음성 기호 [r]에 해당하는 (점리을)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jeomri-eul) is a consonant of the world script that represents the same sound value as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r]. This (점리을)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 currently used Korean consonant 'ㄹ' with the input symbol dot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ㄹ'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l] and 'ㄹ'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r] (점리을)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비읍)은 국제 음성 기호 [v]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자음이다. 이러한 (점비읍)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자음 'ㅂ'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호인 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b]에 해당하는 'ㅂ'과 국제 음성 기호 [v]에 해당하는 (점비읍)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Jeombieup) is a consonant of the world script that represents the same sound as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v]. This (점비읍)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 currently used Korean consonant 'ㅂ' with the input symbol dot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ㅂ'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b] and 'ㅂ'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v] (Jeombieup)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시읏)은 국제 음성 기호 [∫]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자음이다. 이러한 (점시읏)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자음 'ㅅ'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호인 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s]에 해당하는 'ㅅ'과 국제 음성 기호 [∫]에 해당하는 (점시읏)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점시읏) is a consonant of the world script that represents the same sound value as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 This (점시읏)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 currently used Korean consonant 'ㅅ' with the input symbol 'dot'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ㅅ'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s] and 's'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 (점시읏)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지읒)은 국제 음성 기호 []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자음이다. 이러한 (점지읒)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자음 'ㅈ'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호인 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j]에 해당하는 'ㅈ'와 국제 음성 기호 []에 해당하는 (점지읒)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t) is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 ] are consonants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value. These (점지읒)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 currently used Korean consonant 'ㅈ' with the input symbol '점(·)'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ㅈ'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j] and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 ] corresponding to (The point of view)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치읓)은 한어병음 [ch]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자음이다. 이러한 (점치읓)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자음 'ㅊ'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호인 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에 존재하지 않는 한어병음 [ch]의 음가를 (점치읓)을 이용하여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Jeonchijjeot) is a consonant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s the same sound value as Hanyu Pinyin [ch]. This (점치읓)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 currently used Korean consonant 'ㅊ' with the input symbol dot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the phonetic value of the Korean pinyin [ch], which does not exist in the currently used Korean, can be expressed. It can be expressed using (divina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티읕)은 국제 음성 기호 [θ]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자음이다. 이러한 (점티읕)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자음 '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호인 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t]에 해당하는 'ㅌ'와 국제 음성 기호 [θ]에 해당하는 (점티읕)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Jeomti-tip) is a consonant of the world script that represents the same sound value as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θ]. This (점티읕)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 currently used Korean consonant 'ㅌ' with the input symbol 'dot'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ㅌ'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t] and 'θ'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θ] (The dots)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피읖)은 국제 음성 기호 [f]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자음이다. 이러한 (점피읖)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자음 'ㅍ'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호인 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p]에 해당하는 'ㅍ'과 국제 음성 기호 [f]에 해당하는 (점피읖)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Fi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Jumpip) is a consonant of the world script that represents the same sound as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f]. This (Jump)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 currently used Korean consonant 'ㅍ' with the input symbol dot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ㅍ'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p] and 'ㅍ'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f] (Jump)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쌍자음은 1자()로 구성된다. 쌍자음은 입력 기호인 획(ㅡ)을 이용한 세계 문자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치읓)은 한어병음 [c]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자음이다. 이러한 (쌍치읓)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자음 'ㅊ'에 획 'ㅊ'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에 존재하지 않는 한어병음 [c]의 음가를 (쌍치읓)을 이용하여 표기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ure 6, the double consonan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of the worl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 letter ( ) is composed of. The double consonant is a world character using the stroke (ㅡ), which is an input symbol,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sangchijjit) is a consonant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s the same sound value as Hanyu Pinyin [c]. This (Double consonant) can be written by combining the stroke 'ㅊ' with the currently used Korean consonant 'ㅊ'. This allows the sound value of the Korean pinyin [c], which does not exist in the currently used Korean alphabet, to be expressed. It can be expressed using (double-spaced).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점모음은 3자(, , )로 구성된다. 점모음은 입력 기호인 점(·)을 이용한 세계 문자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Referring again to Figure 6, the new Korean alphabet of world charact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ree dot vowels ( , , ) is composed of. The dot vowel is a world character that uses the input symbol dot (·), and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e will examine them in order below.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아)는 국제 음성 기호 [ar]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점아)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ㅏ'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호인 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a]에 해당하는 'ㅏ'와 국제 음성 기호 [ar]에 해당하는 (점아)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점아)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as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a r ]. These (점아)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ㅏ' with the input symbol dot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ㅏ'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a] and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a r ] corresponding to (The dots)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어)는 국제 음성 기호 [ r]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점어)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ㅓ'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호인 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에 해당하는 'ㅓ'와 국제 음성 기호 [ r]에 해당하는 (점어)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itum) is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 It is a collection of world let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value as [r ]. These (Dot)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ㅓ' with the dot (·), which is an input symbo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 ] corresponding to 'ㅓ' and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 corresponding to [r ] (British)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오)는 국제 음성 기호 [ r]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점오)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ㅗ'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호인 점(·)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국제 음성 기호 [o]에 해당하는 'ㅗ'와 국제 음성 기호 [r]에 해당하는 (점오)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Fi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t) is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 It is a collection of world let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value as [r ]. These (점오)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ㅗ' with the input symbol dot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ㅗ'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o] and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 corresponding to [r] (점오)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중모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7 is a drawing showing a middle vowel among the new Hangul letters of the world charact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중모음은 5자(, , , , )로 구성된다. 중모음은 입력 기호인 획(ㅡ)을 이용한 세계 문자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Referring to Figure 7, the new Korean letters of the world charact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ive middle vowels ( , , , , ) is composed of. Diphthongs are world characters using the stroke (ㅡ), which is an input symbol, and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e will examine them in order below.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어)는 한어병음 [o]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오어)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ㅗ'에 획 'ㅓ'를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한어병음 [o]의 음가를, 세계 문자 (오어)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h-eo) is written in Korean pinyin [o ]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value. These (오어) can be written by combining the stroke 'ㅓ' with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ㅗ'. As a result, the Korean pinyin [o], which must be written as multiple syllables when written in currently used Korean, can be written as ]'s phonetic value, world characters (오어) can be used to represent a single syllab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아)는 한어병음 [ua]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우아)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ㅜ'에 획 'ㅏ'를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한어병음 [ua]의 음가를, 세계 문자 (우아)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a)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phonetic value as Hanyu Pinyin [ua]. These (Elegant) can be written by combining the stroke 'ㅏ' with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ㅜ'. This allows the phonetic value of Hanyu Pinyin [ua], which must be written as multiple syllables when written in currently used Hangul, to be written in world characters. (Elegant) can be used to express it as one syllab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애)는 한어병음 [a]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위애)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ㅜ'에 획 'ㅒ'를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한어병음 [a]의 음가를, 세계 문자 (위애)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ei Ai) is Hanyu Pinyin [ It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value as [a]. These (위애) can be written by combining the stroke 'ㅒ' with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ㅜ'. As a result, the Han-eo Pinyin [ The sound value of [a], world characters (위애) can be used to represent a single syllab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에)는 한어병음 [e]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위에)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ㅜ'에 획 'ㅖ'를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한어병음 [e]의 음가를, 세계 문자 (위에)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bove) is Hanyu Pinyin [ It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value as [e]. These (above) can be written by combining the stroke 'ㅖ' with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ㅜ'. As a result, the Han-eo Pinyin [ The sound value of [e], world characters (above) can be used to represent one syllable.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으어)는 한어병음 [ ]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으어)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ㅡ'에 획 'ㅓ'를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한어병음 [ ]의 음가를, 세계 문자 (으어)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Fi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uh) is Hanyu Pinyin [ ]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value. These (으어) can be written by combining the stroke 'ㅓ' with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ㅡ'. As a result, the Han-eo Pinyin [ ]'s phonetic value, world characters It can be expressed as one syllable using (으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8 is a drawing showing a double vowel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of the worl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은 16자(, , , , , , , , , , , , , , , )로 구성된다. 복모음은 입력 기호인 획(ㅡ)을 이용한 세계 문자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Referring to Figure 8, the new Korean vowels of the world charact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16 characters ( , , , , , , , , , , , , , , , ) is composed of. Diphthongs are world characters using the stroke (ㅡ), which is an input symbol, and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e will examine them in order below.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오)는 한어병음 [ao]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아오)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ㅏ'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한어병음 [ao]의 음가를, 세계 문자 (아오)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o)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phonetic value as the Hanyu Pinyin [ao]. These (Ao) is the stroke 'ㅏ' of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phonetic value of the Korean pinyin [ao], which must be expressed in multiple syllables when expressed in the currently used Korean alphabet, can be expressed in the world's characters. It can be expressed as one syllable using (ao).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는 한어병음 [ai]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아이)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ㅏ'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한어병음 [ai]의 음가를, 세계 문자 (아이)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이)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phonetic value as Hanyu Pinyin [ai]. These (아이) is the stroke 'ㅏ' in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phonetic value of Hanyu Pinyin [ai], which must be expressed in multiple syllables when expressed in the currently used Hangul, can be expressed in world characters. (아이) can be used to represent one syllab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오)(또는, 이아오)는 한어병음 [iao, yao]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야오)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ㅑ'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한어병음 [iao, yao]의 음가를, 세계 문자 (야오)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Yao) (or, Iao)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phonetic value as Hanyu Pinyin [iao, yao]. These (Yao) is the stroke 'ㅑ' of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phonetic value of Hanyu Pinyin [iao, yao], which must be expressed in multiple syllables when expressed in the currently used Hangul, can be expressed in world characters. (Yao) can be used to represent one syllab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이)(또는, 이아이)는 국제 음성 기호 [iai]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야이)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ㅑ'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국제 음성 기호 [iai]의 음가를, 세계 문자 (야이)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Yai) (or, Iai)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as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ai]. These (Yai) is the stroke 'ㅑ' in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sound value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iai], which must be expressed in multiple syllables when expressed in the currently used Hangul, can be expressed in the world character (Yai) can be used to represent a single syllab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우)는 국제 음성 기호 [u]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어우)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ㅓ'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국제 음성 기호 [u]의 음가를, 세계 문자 (어우)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ww) is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 It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value as [u]. These (어우) is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ㅓ' with a stroke '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 The sound value of [u], world characters (어우) can be used to express it as one syllab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이)는 국제 음성 기호 [i]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어이)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ㅓ'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국제 음성 기호 [i]의 음가를, 세계 문자 (어이)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y) is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 It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value as [i]. These (어이) is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ㅓ' with a stroke '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 which must be expressed in multiple syllables when expressed in the currently used Hangul, The sound value of [i], world characters (어이) can be used to express it as one syllab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는 한어병음 [ei]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에이)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ㅔ'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한어병음 [ei]의 음가를, 세계 문자 (에이)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i)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phonetic value as the Korean pinyin [ei]. These (A) is the stroke 'ㅔ' in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phonetic value of Hanyu Pinyin [ei], which must be expressed in multiple syllables when expressed in the currently used Hangul, can be expressed in world characters. (ei) can be used to represent a single syllab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우)(또는, 이어우)는 국제 음성 기호 [iu]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여우)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ㅕ'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국제 음성 기호 [iu]의 음가를, 세계 문자 (여우)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x) (or, ear-woo) is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i It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value as [u]. These (Fox) is the stroke 'ㅕ' in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i], which must be expressed as multiple syllables when expressed in the currently used Korean alphabet, The sound value of [u], world characters (fox) can be expressed as one syllab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이)(또는, 이어이)는 국제 음성 기호 [ii]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여이)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ㅕ'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국제 음성 기호 [ii]의 음가를, 세계 문자 (여이)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이) (or, 이이) is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i It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value as [i]. These (여이) is the stroke 'ㅕ' in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i], which must be expressed as multiple syllables when expressed in the currently used Korean alphabet, The sound value of [i], world characters (여이) can be used to represent a single syllab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우)는 한어병음 [ou]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오우)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ㅗ'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한어병음 [ou]의 음가를, 세계 문자 (오우)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value as Hanyu Pinyin [ou]. These (Oh) is the stroke 'ㅗ' in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phonetic value of the Hanyu Pinyin [ou], which must be expressed in multiple syllables when expressed in the currently used Hangul, can be expressed in the world character (오우) can be used to represent a single syllab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또는, 오아이)는 국제 음성 기호 [oai]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와이)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ㅗ'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국제 음성 기호 [oai]의 음가를, 세계 문자 (와이)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i) (or, Oai)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as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oai]. These (Why) is the stroke 'ㅗ' in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sound value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oai], which must be expressed in multiple syllables when expressed in the currently used Korean alphabet, can be expressed in the world character It can be expressed as one syllable using (why).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우)(또는, 이오우)는 한어병음 [iou, you]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요우)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ㅛ'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한어병음 [iou, you]의 음가를, 세계 문자 (요우)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or, iowu)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phonetic value as Hanyu Pinyin [iou, you]. These (You) is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ㅛ' with a stroke '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phonetic value of Hanyu Pinyin [iou, you], which must be expressed in multiple syllables when expressed in the currently used Hangul, can be expressed in the world character (you) can be used to represent one syllab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또는, 우아이)는 한어병음 [uai, wai]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이)(또는, 우아이)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ㅜ'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한어병음 [uai, wai]의 음가를, 세계 문자 (이)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Yi) (or, Uai)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phonetic value as Hanyu Pinyin [uai, wai]. These ( This) (or, Uai) is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ㅜ' with a stroke '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phonetic value of Hanyu Pinyin [uai, wai], which must be expressed in multiple syllables when expressed in the currently used Hangul, can be expressed in world characters. ( It can be expressed as one syllable using this.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이)(또는, 우어이)는 한어병음 [ui]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워이)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ㅜ'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한어병음 [ui]의 음가를, 세계 문자 (워이)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oei) (or, Wooei) is pronounced as [u It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value as [i]. These (Woyi) is the stroke 'ㅜ' of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Korean pinyin [u], which must be expressed in multiple syllables when expressed in the currently used Korean alphabet, The sound value of [i], world characters (Way) can be used to represent a single syllab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또는, 우에이)는 한어병음 [uei, wei]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웨이)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ㅜ'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한어병음 [uei, wei]의 음가를, 세계 문자 (웨이)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ei) (or, Uei)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phonetic value as Hanyu Pinyin [uei, wei]. These (Way) is the stroke 'ㅜ' of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phonetic value of Hanyu Pinyin [uei, wei], which must be expressed in multiple syllables when expressed in the currently used Hangul, can be expressed in world characters. It can be expressed as one syllable using (way).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이)는 국제 음성 기호 [ii]와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이이)는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ㅣ'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국제 음성 기호 [ii]의 음가를, 세계 문자 (이이)를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Fi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i)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as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i]. These (이이) is the stroke 'ㅣ' of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sound value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ii], which must be expressed in multiple syllables when expressed in the currently used Hangul, can be expressed in the world character (이이) can be used to represent a single syllabl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비모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9 is a drawing showing non-vowels among the new Hangul letters of world charact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비모음은 3자(, , )로 구성된다. 비모음은 입력 기호인 획(ㅡ)을 이용한 세계 문자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Referring to Figure 9,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of the world charact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ree non-vowel letters ( , , ) is composed of. The non-vowel is a world character using the stroke (ㅡ), which is an input symbol, and is as follows in more detail. Let's examine it in order below.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안)은 한어병음 [uan]과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우안)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ㅜ'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한어병음 [uan]의 음가를, 세계 문자 (우안)을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an)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phonetic value as Hanyu Pinyin [uan]. These (Right) is the stroke 'ㅜ' in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phonetic value of Hanyu Pinyin [uan], which must be expressed in multiple syllables when expressed in the currently used Hangul, can be expressed in world characters. (right) can be used to represent one syllab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앙)은 한어병음 [uang]과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우앙)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ㅜ'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한어병음 [uang]의 음가를, 세계 문자 (우앙)을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ang)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value as Hanyu Pinyin [uang]. These (Wow) is the stroke 'ㅜ' of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the phonetic value of Hanyu Pinyin [uang], which must be expressed in multiple syllables when expressed in the currently used Hangul, can be expressed in world characters. It can be expressed as one syllable using (uang).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앤)은 한어병음 [an, yuan]과 동일한 음가를 나타내는 세계 문자의 모음이다. 이러한 (위앤)은 현용되고 있는 한글 모음 'ㅜ'에 획 ''을 조합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현용되고 있는 한글로 표기할 경우 복수 개의 음절로 표기해야 하는 한어병음 [an, yuan]의 음가를, 세계 문자 (위앤)을 이용하여 한 개의 음절로 표기할 수 있다.Fi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ei and) is Hanyu Pinyin [ It is a collection of world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ame sound value as [an, yuan]. These (Ween) is the currently used Korean vowel 'ㅜ' with a stroke ' '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m. As a result, if it were expressed in Hangul, which is currently in use, it would have to be expressed in multiple syllables, but it can be expressed in Hanyu Pinyin [ The phonetic value of [an, yuan] in world characters (위앤) can be used to represent one syllable.
이상에서, 점자음 8자, 쌍자음 1자, 점모음 3자, 중모음 5자, 복모음 16자 및 비모음 3자로 구성되는, 총 36자의 세계 문자의 새한글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총 36자의 세계 문자의 새한글과 현용되고 있는 한글 40자를 합하여, 세계 문자로 정의한다.Above, the new Hangul of 36 world characters, consisting of 8 dot consonants, 1 double consonant, 3 dot vowels, 5 diphthongs, 16 double vowels, and 3 non-vowels, has been explained. The new Hangul of these 36 world characters and the 40 Hangul characters currently in use are defined as the world charact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는, 그 표기 방법이 인간의 발음 기관에서 본 뜬 현용되는 한글과 연계되어 있으므로, 매우 과학적인 문자라고 할 수 있다.The world charact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very scientific characters because their notation method is linked to the currently used Hangul, which is modeled after the human pronunciation orga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는, 현용되는 한글에 간단한 점과 획을 첨가한 새한글이 추가된 것이므로,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고 곧바로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문자라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ld charact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very practical characters that anyone can easily learn and immediately apply to real life, as they are new Hangul characters that have simple dots and strokes added to the currently used Hangu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는, 새로운 소리가 발견된 경우에 얼마든지 그 소리에 대응되는 새로운 문자를 만들어 낼 수 있으므로, 조직성, 일관성 및 체계성이 갖추어진 문자라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ld charac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reate a new character corresponding to any sound discovered, so it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 equipped with organization, consistency, and systematiz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는, 연음을 표기하는 것과 같이 언어를 소리나는 대로 표기할 수 있으므로, 현재 발음 기호로 사용되고 있는 국제 음성 기호를 대체하는 국제 발음 기호로도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orld charac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resent a language as it is pronounced, such as representing a consonant, it can also be used as an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that replaces the international phonetic symbol currently used as a phonetic symbo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의 입력은 아래와 같은 과정에 따라 실제로 수행될 수 있다.The input of the new Korean alphabet of world charact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tuall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ss.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How to input world characters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력부(100)의 자판 배열이 이미 공지된 배열 구조 중 하나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keyboard layout of the input unit (100) is one of the already known layout structur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0)의 자판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0 is a drawing showing the keyboard layout of an input unit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0)는 쿼티(QWERTY) 자판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자음 키 및 다수의 모음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0)에 포함된 다수의 자음 키 및 다수의 모음 키 중 하나에는 한글 자음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과 한글 모음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n input unit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a plurality of vowel keys configured as a QWERTY keyboard. One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the plurality of vowel keys included in the input unit (100) may be assigned the Korean consonants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and the Korean vowels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편집부(200)는, 사용자가 입력부(100)의 자판 배열을 이용하여 한글 자음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또는 한글 모음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를 선택한 것에 관한 입력 정보(이하, '제1 입력 정보'라 한다.)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 정보는 단일의 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선택한 것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한글 자음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와 한글 모음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는, 다수의 자음 키 및 다수의 모음 키 중 단일의 키만을 이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Meanwhile, a character editing unit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input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input information”) regarding a user’s selection of a Korean consonant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or a Korean vowel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 using the keyboard layout of the input unit (100). Here, the first inpu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garding a character selected using a single key. That is, the Korean consonants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and the Korean vowels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 can be selected using only a single key among multiple consonant keys and multiple vowel keys.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편집부(200)는, 사용자가 입력부(100)의 자판 배열을 이용하여 선택한 문자(이하, '소정의 문자'라 한다.)와 연관하여 입력 기호를 입력한 것에 관한 입력 정보(이하, '제2 입력 정보'라 한다.)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문자 편집부(200)에서 소정의 문자에 입력 기호를 조합하여 세계 문자의 새한글을 생성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입력부(100)에서 입력 기호를 입력한 것에 관한 제2 입력 정보가 더 요구된다.Next, the character editing unit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input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input information”) regarding the input symbol entered by the user in association with the charac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determined character”) selected by the user using the keyboard layout of the input unit (100). That is, when the character editing unit (200) wants to create a new Hangul character of the world character by combining the input symbol with the predetermined character, second input information regarding the input symbol entered by the user in the input unit (100) is further required.
구체적으로, 소정의 문자에 조합될 입력 기호가 점(·)에 해당할 경우, 세계 문자의 새한글은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선택한 횟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소정의 키의 선택 횟수를 기초로 하여 입력 기호 점(·)이 조합되는 세계 문자의 새한글을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Specifically, when the input symbol to be combined with a given character corresponds to a dot (·), the new Hangul of the world character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selects a given key. Hereinafter, among the new Hangul of the world charac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w Hangul of the world character in which the input symbol dot (·) is combin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given key is selected will be examined in order.
먼저,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점자음인, (점디??), (점비읍), (점시읏), (점지읒), (점치읓)은, 'Shift'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각각 자음 키 'ㄷ', 'ㅂ', 'ㅅ', 'ㅈ', 'ㅊ'를 두 번 연속으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First, the Braille consonan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of the world's alphabet, (Jumdi??), (Jeombieup), (lunch time), (take it) (Fortune-telling)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Shift' key and then selecting the consonant keys 'ㄷ', 'ㅂ', 'ㅅ', 'ㅈ', 'ㅊ' twice in succession.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점자음인, (점리을), (점티읕), (점피읖)은, 'Shift'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각각 자음 키 'ㄹ', 'ㅌ', 'ㅍ'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the Braille consonan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of the world's characters, (Jeomri-eul), (Jeomtijeop), (Jump)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Shift' key and then selecting the consonant keys 'ㄹ', 'ㅌ', and 'ㅍ' once each.
마지막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점모음인, (점아), (점어), (점오)는, 'Shift'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각각 모음 키 'ㅏ', 'ㅓ', 'ㅗ'를 두 번 연속으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Lastly,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t vowel is (Jeoma), (brackets), (점오)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Shift' key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s 'ㅏ', 'ㅓ', and 'ㅗ' twice in succession.
한편, 소정의 문자에 조합될 입력 기호가 획(ㅡ)에 해당할 경우, 세계 문자의 새한글은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선택한 횟수 및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선택한 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소정의 키의 선택 횟수 및 소정의 키의 선택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입력 기호 획(ㅡ)이 조합되는 세계 문자의 새한글을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if the input symbol to be combined with a given character corresponds to a stroke (ㅡ), the new Hangul of the world character can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imes a user has selected a given key and the order in which the user has selected the given key. Hereinafter, among the new Hangul of the world charac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w Hangul of the world character in which the input symbol stroke (ㅡ) is combined will be examined in ord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imes a given key has been selected and the order in which the given key has been selected.
먼저,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쌍자음인 (쌍치읓)은, 'Shift'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자음 키 'ㅊ'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First, the double consonan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Double consonant)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Shift' key and then selecting the consonant key 'ㅊ' o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중모음인 (오어)는, 모음 키 'ㅗ'를 선택한 다음, 'ㅓ'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s alphabet are the middle vowels (오어)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vowel key 'ㅗ' and then selecting 'ㅓ' o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중모음인 (우아)는, 모음 키 'ㅜ'를 선택한 다음, 'ㅏ'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s alphabet are the middle vowels (Elegance)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vowel key 'ㅜ' and then selecting 'ㅏ' o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중모음인 (위애)는, 모음 키 'ㅜ'를 선택한 다음, 'ㅒ'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s alphabet are the middle vowels (위애)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vowel key 'ㅜ' and then selecting 'ㅒ' o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중모음인 (위에)는, 모음 키 'ㅜ'를 선택한 다음, 'ㅖ'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s alphabet are the middle vowels (above)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vowel key 'ㅜ' and then selecting 'ㅖ' o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중모음인 (으어)는, 모음 키 'ㅡ'를 선택한 다음, 'ㅓ'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s alphabet are the middle vowels (으어)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vowel key 'ㅡ' and then selecting 'ㅓ' o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아이), (야이), (어이), (여이), (오우), (요우), (이이)는, 'Shift'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각각 모음 키 'ㅏ', 'ㅑ', 'ㅓ', 'ㅕ', 'ㅗ', 'ㅛ', 'ㅣ'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kid), (Hey), (hey), (Yeo-i), (Ouch), (you), (이이)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vowel keys 'ㅏ', 'ㅑ', 'ㅓ', 'ㅕ', 'ㅗ', 'ㅛ', 'ㅣ' once each while holding down the 'Shift' key.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아오), (야오), (에이)는, 'Shift'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각각 모음 키 'ㅐ', 'ㅑ', 'ㅔ'를 두 번 연속으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Ao), (Yao), (A)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Shift' key and selecting the vowel keys 'ㅐ', 'ㅑ', and 'ㅔ' twice in succession.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어우)는, 모음 키 'ㅓ'를 선택한 다음, 'Shift'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모음 키 'ㅜ'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어우)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vowel key 'ㅓ', then selecting the 'Shift' key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 'ㅜ' o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여우)는, 모음 키 'ㅕ'를 선택한 다음, 'Shift'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모음 키 'ㅜ'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Fox)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vowel key 'ㅕ', then selecting the 'Shift' key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 'ㅜ' o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와이)는, 모음 키 'ㅗ'를 선택한 다음, 'Shift'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모음 키 'ㅏ'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Why)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vowel key 'ㅗ', then selecting the 'Shift' key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 'ㅏ' o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이)는, 모음 키 'ㅜ'를 선택한 다음, 'Shift'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모음 키 'ㅏ'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 This)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vowel key 'ㅜ', then selecting the 'Shift' key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 'ㅏ' o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워이)는, 모음 키 'ㅜ'를 선택한 다음, 'Shift'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모음 키 'ㅓ'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Woyi)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vowel key 'ㅜ', then selecting the 'Shift' key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 'ㅓ' o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웨이)는, 모음 키 'ㅜ'를 선택한 다음, 'Shift'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모음 키 'ㅔ'를 두 번 연속으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Way)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vowel key 'ㅜ', then selecting the 'Shift' key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 'ㅔ' twice in succession.
마지막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비모음인, (우안), (우앙), (위앤)은, 모음 키 'ㅜ'를 선택한 다음, 각각, 모음 키 'ㅏ'와 자음 키 'ㄴ', 모음 키 'ㅏ'와 자음 키 'ㅇ', 모음 키 'ㅒ'와 자음 키 'ㄴ'을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Lastly,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non-vowel letter is (right bank), (Wow), (위앤) can be generated by selecting the vowel key 'ㅜ',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 'ㅏ' and consonant key 'ㄴ', the vowel key 'ㅏ' and consonant key 'ㅇ', and the vowel key 'ㅒ' and consonant key 'ㄴ' in that order, respectively.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0)의 자판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1 is a drawing showing the keyboard layout of an input uni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0)는 천지인 자판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자음 키 및 다수의 모음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0)에 포함된 다수의 자음 키 및 다수의 모음 키 중 하나에는 한글 자음 'ㄴ', 'ㄷ', 'ㅂ', 'ㅅ', 'ㅈ'과 한글 모음 'ㆍ', 'ㅡ', 'ㅣ'이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ㆍ', 'ㅡ', 'ㅣ'은 천지인 자판에서 각각 '천', '지', '인'을 나타내나, 본 발명에서는 한글 모음 중 하나인 것으로 정의한다.Referring to FIG. 11, an input uni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a plurality of vowel keys configured as a Cheonjiin keyboard. One of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the plurality of vowel keys included in the input unit (100) may be assigned the Korean consonants 'ㄴ', 'ㄷ', 'ㅂ', 'ㅅ', 'ㅈ' and the Korean vowels 'ㆍ', 'ㅡ', 'ㅣ'. Here, the above-described 'ㆍ', 'ㅡ', 'ㅣ' represent 'cheon', 'ji', and 'in', respectively, in the Cheonjiin keyboard, but are defined as one of the Korean vowels in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편집부(200)는, 사용자가 입력부(100)의 자판 배열을 이용하여 한글 자음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또는 한글 모음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를 선택한 것에 관한 입력 정보(이하, '제1 입력 정보'라 한다.)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 정보는 단일의 키 또는 복수의 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선택한 것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글 자음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과, 한글 모음 'ㅡ', 'ㅣ'는 단일의 자음 키 또는 단일의 모음 키만을 이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한글 모음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는 복수의 모음 키가 조합되어 선택될 수 있다.Meanwhile, a character editing uni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input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input information”) regarding a user’s selection of a Korean consonant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or a Korean vowel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 using the keyboard layout of the input unit (100). Here, the first inpu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garding a character selected using a single key or multiple keys. For example, the Korean consonants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and the Korean vowels 'ㅡ', 'ㅣ' can be selected using only a single consonant key or a single vowel key. In addition, the Korean vowels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can be selected by combining multiple vowel keys.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편집부(200)는, 사용자가 입력부(100)의 자판 배열을 이용하여 선택한 문자(이하, '소정의 문자'라 한다.)와 연관하여 입력 기호를 입력한 것에 관한 입력 정보(이하, '제2 입력 정보'라 한다.)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문자 편집부(200)에서 소정의 문자에 입력 기호를 조합하여 세계 문자의 새한글을 생성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입력부(100)에서 입력 기호를 입력한 것에 관한 제2 입력 정보가 더 요구된다.Next, the character editing uni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input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input information”) regarding the input symbol entered by the user in association with the charac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determined character”) selected by the user using the keyboard layout of the input unit (100). That is, when the character editing unit (200) wants to create a new Hangul character of the world character by combining the input symbol with the predetermined character, second input information regarding the input symbol entered by the user in the input unit (100) is further required.
구체적으로, 소정의 문자에 조합될 입력 기호가 점(·)에 해당할 경우, 세계 문자의 새한글은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선택한 횟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소정의 키의 선택 횟수를 기초로 하여 입력 기호 점(·)이 조합되는 세계 문자의 새한글을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Specifically, when the input symbol to be combined with a given character corresponds to a dot (·), the new Hangul of the world character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selects the given key. Hereinafter, among the new Hangul of the world charac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w Hangul of the world character in which the input symbol dot (·) is combin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given key is selected will be examined in order.
먼저,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점자음인, (점디??), (점리을), (점비읍), (점시읏), (점지읒), (점치읓), (점티읕), (점피읖)은, 모음 키 'ㆍ'를 한 번 선택한 다음, 자음 키를 이용하여 각각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를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First, the Braille consonan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of the world's alphabet, (Jumdi??), (Jeomri-eul), (Jeombieup), (lunch time), (take it) (fortune telling), (Jeomtijeop), (Jump)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vowel key 'ㆍ' once, and then using the consonant keys to select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respectively.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점모음인 (점아)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ㅏ'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ㆍ'를 두 번 연속으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t vowel (점아)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ㅏ' using the vowel key,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 'ㆍ' twice in succession.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점모음인 (점어)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ㅓ'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ㆍ'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t vowel (Bottom)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ㅓ' using the vowel key,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 'ㆍ' once.
마지막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점모음인 (점오)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ㅗ'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ㆍ'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Lastly,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t vowel (점오)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ㅗ' using the vowel key,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 'ㆍ' once.
한편, 소정의 문자에 조합될 입력 기호가 획(ㅡ)에 해당할 경우, 세계 문자의 새한글은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선택한 횟수 및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선택한 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소정의 키의 선택 횟수 및 소정의 키의 선택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입력 기호 획(ㅡ)이 조합되는 세계 문자의 새한글을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if the input symbol to be combined with a given character corresponds to a stroke (ㅡ), the new Hangul of the world character can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imes a user has selected a given key and the order in which the user has selected the given key. Hereinafter, among the new Hangul of the world charac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w Hangul of the world character in which the input symbol stroke (ㅡ) is combined will be examined in ord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imes a given key has been selected and the order in which the given key has been selected.
먼저,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쌍자음인 (쌍치읓)은, 자음 키를 이용하여 'ㅊ'을 선택한 다음, 자음 키 'ㅈ'을 두 번 연속으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First, the double consonan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Double consonant)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ㅊ' using the consonant key, then selecting the consonant key 'ㅈ' twice in succession.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중모음인 (오어)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ㅗ'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ㆍ', 'ㅣ'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s alphabet are the middle vowels (오어)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ㅗ' using the vowel key, then selecting the vowel keys 'ㆍ' and 'ㅣ' in seque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중모음인 (우아)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ㅜ'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ㅣ', 'ㆍ'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s alphabet are the middle vowels (Elegance)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ㅜ' using the vowel key, then selecting the vowel keys 'ㅣ' and 'ㆍ' in seque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중모음인 (위애)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ㅜ'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ㅣ', 'ㆍ', 'ㆍ', 'ㅣ'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s alphabet are the middle vowels (위애)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ㅜ' using the vowel key,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s 'ㅣ', 'ㆍ', 'ㆍ', 'ㅣ' in seque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중모음인 (위에)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ㅜ'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ㆍ', 'ㆍ', 'ㅣ', 'ㅣ'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s alphabet are the middle vowels (Above)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ㅜ' using the vowel key,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s 'ㆍ', 'ㆍ', 'ㅣ', 'ㅣ' in seque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중모음인 (으어)는, 모음 키 'ㆍ', 'ㅣ'를 차례로 선택한 다음,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ㅡ'를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s alphabet are the middle vowels (으어) can be created by selecting the vowel keys 'ㆍ', 'ㅣ' in sequence, and then selecting 'ㅡ' using the vowel key.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에이), (이이)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각각 'ㅔ', 'ㅣ'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ㅣ'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no way), (이이)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ㅔ' and 'ㅣ' respectively using the vowel keys,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 'ㅣ' o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아이), (야이), (여이)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각각 'ㅏ', 'ㅑ', 'ㅕ'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ㅣ'를 두 번 연속으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kid), (Hey), (여이)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ㅏ', 'ㅑ', 'ㅕ' using the vowel keys respectively,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 'ㅣ' twice in succession.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어이)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ㅓ'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ㅣ'를 세 번 연속으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어이)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ㅓ' using the vowel key,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 'ㅣ' three times in a row.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아오)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ㅏ'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ㆍ', 'ㅡ'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Ao)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ㅏ' using the vowel key, then selecting the vowel keys 'ㆍ' and 'ㅡ' in seque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야오)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ㅑ'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ㆍ', 'ㅡ'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Yao)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ㅑ' using the vowel key, then selecting the vowel keys 'ㆍ' and 'ㅡ' in seque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어우)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ㅓ'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ㅡ', 'ㆍ'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어우)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ㅓ' using the vowel key, then selecting the vowel keys 'ㅡ' and 'ㆍ' in seque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여우)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ㅕ'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ㅡ', 'ㆍ'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Fox)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ㅕ' using the vowel key, then selecting the vowel keys 'ㅡ' and 'ㆍ' in seque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오우)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ㅗ'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ㅡ', 'ㆍ'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Oh)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ㅗ' using the vowel key, then selecting the vowel keys 'ㅡ' and 'ㆍ' in seque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요우)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ㅛ'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ㅡ', 'ㆍ'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Yow)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ㅛ' using the vowel key, then selecting the vowel keys 'ㅡ' and 'ㆍ' in seque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와이)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ㅗ'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ㅣ', 'ㆍ'를 차례로 선택하고, 모음 키 'ㅣ'를 두 번 연속으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Why)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ㅗ' using the vowel key, then selecting the vowel keys 'ㅣ', 'ㆍ' in sequence,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 'ㅣ' twice in succession.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이)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ㅜ'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ㅣ', 'ㆍ'를 차례로 선택하고, 모음 키 'ㅣ'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 This)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ㅜ' using the vowel key, then selecting the vowel keys 'ㅣ', 'ㆍ' in sequence,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 'ㅣ' once.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워이)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ㅜ'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ㆍ', 'ㅣ'를 차례로 선택하고, 모음 키 'ㅣ'를 세 번 연속으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Way)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ㅜ' using the vowel key, then selecting the vowel keys 'ㆍ', 'ㅣ' in sequence,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 'ㅣ' three times in succession.
다음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복모음인 (웨이)는,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ㅜ'를 선택한 다음, 모음 키 'ㆍ', 'ㅣ', 'ㅣ'를 차례로 선택하고, 모음 키 'ㅣ'를 한 번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Next,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double vowel (Way) can be created by selecting 'ㅜ' using the vowel key, then selecting the vowel keys 'ㆍ', 'ㅣ', 'ㅣ' in sequence, and then selecting the vowel key 'ㅣ' once.
마지막으로, 세계 문자의 새한글 중 비모음인, (우안), (우앙), (위앤)은, 모음 키를 이용하여 'ㅜ'를 선택한 다음, 각각, 모음 키 'ㅣ', 'ㆍ'과 자음 키 'ㄴ', 모음 키 'ㅣ', 'ㆍ'과 자음 키 'ㅇ', 모음 키 'ㅣ', 'ㆍ', 'ㆍ', 'ㅣ'과 자음 키 'ㄴ'을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Lastly, among the new Korean letters in the world, the non-vowel letter is (right bank), (Wow), (위앤) can be generated by selecting 'ㅜ' using the vowel key, and then selecting vowel keys 'ㅣ', 'ㆍ' and consonant key 'ㄴ', vowel keys 'ㅣ', 'ㆍ' and consonant key 'ㅇ', vowel keys 'ㅣ', 'ㆍ', 'ㆍ', 'ㅣ' and consonant key 'ㄴ' in sequence.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mmand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os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commands, such as ROMs, RAMs, and flash memories. Examples of the program command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hardware devices may be changed in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se have been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those with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ased on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not onl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scopes equivalent to or equivalently modified from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입력부
200: 문자 편집부
300: 메모리부
400: 표시부
500: 제어부100: Input section
200: Text editor
300: Memory section
400: Display
500: Control Unit
Claims (9)
사용자가 다수의 자음 키와 다수의 모음 키를 이용하여 소정의 문자를 선택한 것에 관한 제1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의 문자와 연관하여 입력 기호를 입력한 것에 관한 제2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제1 입력 정보 및 상기 제2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세계 문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문자는, 한글 자음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또는 한글 모음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 중 하나에 대응되고,
상기 입력 기호는 점(·) 또는 획(ㅡ)이고,
상기 생성된 세계 문자는, (아오), (아이), (야오), (야이), (어우), (어이), (에이), (여우), (여이), (오우), (와이), (요우), (이), (워이), (웨이), (이이), (오어), (우아), (위애), (위에), (으어), (우안), (우앙) 및 (위앤) 중 하나이고,
상기 (아오)의 음가는 [ao]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아이)의 음가는 [ai]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야오)의 음가는 [iao, yao]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야이)의 음가는 [iai]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어우)의 음가는 [u]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어이)의 음가는 [i]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에이)의 음가는 [ei]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여우)의 음가는 [iu]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여이)의 음가는 [ii]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오우)의 음가는 [ou]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와이)의 음가는 [oai]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요우)의 음가는 [iou, you]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이)의 음가는 [uai, wai]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워이)의 음가는 [ui]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웨이)의 음가는 [uei, wei]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이이)의 음가는 [ii]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오어)의 음가는 [o]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우아)의 음가는 [ua]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위애)의 음가는 [a]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위에)의 음가는 [e]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으어)의 음가는 [ ]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우안)의 음가는 [uan]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우앙)의 음가는 [uang]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위앤)의 음가는 [an, yuan]의 음가에 대응되는
방법.As a method for entering world characters,
A step of obtaining first input information regarding a user selec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using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a plurality of vowel keys;
A step of obtaining second input information regarding the input symbol entered by the user in association with the predetermined character, and
A step of generating world characters based on the first inpu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obtained above is included,
The above-mentioned characters correspond to one of the Korean consonants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or the Korean vowels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
The above input symbol is a dot (·) or a stroke (ㅡ).
The world characters generated above are: (Ao), (kid), (Yao), (Hey), (Oh, yeah) (hey), (no way), (fox), (Yeo-i), (Ouch), (why), (you), ( this), (Wow), (way), (this person), (Oh, yeah), (elegance), (above), (above), (Ugh), (right bank), (Wow) and (Ween) is one of them,
Above The sound value of (ao)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ao].
Above The sound value of (child)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ai],
Above The phonetic value of (yao) corresponds to the phonetic value of [iao, yao].
Above The sound value of (yai)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iai],
Above The sound value of (eowoo) is [ I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u],
Above The phonetic value of (hey) is [ I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i],
Above The sound value of (ei)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ei].
Above The phonetic value of (fox) is [i I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u],
Above The sound value of (여이) is [i I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i],
Above The sound value of (ooo)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ou],
Above The sound value of (wai)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oai].
Above The sound value of (you)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iou, you],
Above ( The sound value of this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uai, wai].
Above The phonetic value of (Wayi) is [u I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i],
Above The sound value of (Wei)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uei, wei].
Above The sound value of (i)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ii],
Above The sound value of (o) is [o ]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Above The sound value of (elegan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ua],
Above The sound value of (위애) is [ I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a],
Above The sound value of (above) is [ I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e],
Above The sound value of (으어) is [ ]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Above The sound value of (righ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uan],
Above The sound value of (uang)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uang].
Above The sound value of (Ween) is [ corresponding to the sound value of [an, yuan]
method.
상기 입력 기호가 점인 경우, 상기 세계 문자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선택한 횟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방법.In the first paragraph,
If the above input symbol is a dot, the world character is generat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selects a given key.
method.
상기 생성된 세계 문자는, (점디??), (점리을), (점비읍), (점시읏), (점지읒), (점치읓), (점티읕), (점피읖), (점아), (점어) 및 (점오) 중 하나인
방법.In the second paragraph,
The world characters generated above are: (Jumdi??), (Jeomri-eul), (Jeombieup), (lunch time), (take it) (fortune telling), (Jeomtijeop), (jump up), (Jeoma), (bracket) and (Point 5) One of them
method.
상기 (점디??)의 음가는 [ð]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점리을)의 음가는 [r]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점비읍)의 음가는 [v]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점시읏)의 음가는 [∫]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점지읒)의 음가는 []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점치읓)의 음가는 [ch]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점티읕)의 음가는 [θ]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점피읖)의 음가는 [f]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점아)의 음가는 [ar]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점어)의 음가는 [ r]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점오)의 음가는 [ r]의 음가에 대응되는
방법.In the third paragraph,
Above The sound value of (jeomdi??)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ð],
Above The sound value of (jeomri-eul)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r].
Above The sound value of (jeombieup)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v],
Above The sound value of (점시읏)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
Above The phonetic value of (점지읒) is [ ]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Above The sound value of (점치읓)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ch].
Above The sound value of (jeomtijeop)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θ],
Above The sound value of (jump)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f].
Above The sound value of (점아)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a r ],
Above The phonetic value of (brain) is [ I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r ],
Above The phonetic value of (점오) is [ corresponding to the sound value of [ r ]
method.
상기 입력 기호가 획인 경우, 상기 세계 문자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선택한 횟수 및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선택한 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방법.In the first paragraph,
If the input symbol is a stroke, the world character is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selects a given key and the order in which the user selects the given key.
method.
상기 생성된 세계 문자는 (쌍치읓)이고,
상기 (쌍치읓)의 음가는 [c]의 음가에 대응되는
방법.In the first paragraph,
The world characters generated above are (double-toothed) and
Above The sound value of (ssangchijjeo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c].
method.
다수의 자음 키와 다수의 모음 키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자음 키와 상기 다수의 모음 키를 이용하여 소정의 문자를 선택한 것에 관한 제1 입력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정의 문자와 연관하여 입력 기호를 입력한 것에 관한 제2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입력부, 및
상기 획득한 제1 입력 정보 및 상기 제2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세계 문자를 생성하는 문자 편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문자는, 한글 자음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또는 한글 모음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 중 하나에 대응되고,
상기 입력 기호는 점(·) 또는 획(ㅡ)이고,
상기 생성된 세계 문자는, (아오), (아이), (야오), (야이), (어우), (어이), (에이), (여우), (여이), (오우), (와이), (요우), (이), (워이), (웨이), (이이), (오어), (우아), (위애), (위에), (으어), (우안), (우앙) 및 (위앤) 중 하나이고,
상기 (아오)의 음가는 [ao]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아이)의 음가는 [ai]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야오)의 음가는 [iao, yao]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야이)의 음가는 [iai]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어우)의 음가는 [u]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어이)의 음가는 [i]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에이)의 음가는 [ei]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여우)의 음가는 [iu]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여이)의 음가는 [ii]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오우)의 음가는 [ou]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와이)의 음가는 [oai]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요우)의 음가는 [iou, you]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이)의 음가는 [uai, wai]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워이)의 음가는 [ui]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웨이)의 음가는 [uei, wei]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이이)의 음가는 [ii]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오어)의 음가는 [o]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우아)의 음가는 [ua]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위애)의 음가는 [a]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위에)의 음가는 [e]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으어)의 음가는 [ ]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우안)의 음가는 [uan]의 음가에 대응되고,
상기 (우앙)의 음가는 [uang]의 음가에 대응되며,
상기 (위앤)의 음가는 [an, yuan]의 음가에 대응되는
시스템.As a system for entering world characters,
An in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a plurality of vowel keys, and obtaining first input information regarding a user selec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using the plurality of consonant keys and the plurality of vowel keys, and obtaining second input information regarding a user inputting an input symbol in association with the predetermined character; and
Including a character editing unit that generates world characters based on the first inpu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put information obtained above,
The above-mentioned characters correspond to one of the Korean consonants 'ㄷ', 'ㄹ', 'ㅂ', 'ㅅ', 'ㅈ', 'ㅊ', 'ㅌ', 'ㅍ', or the Korean vowels 'ㅏ', 'ㅑ', 'ㅓ', 'ㅔ', 'ㅕ', 'ㅗ', 'ㅛ', 'ㅜ', 'ㅡ', 'ㅣ',
The above input symbol is a dot (·) or a stroke (ㅡ).
The world characters generated above are: (Ao), (kid), (Yao), (Hey), (Oh, yeah) (hey), (no way), (fox), (Yeo-i), (Ouch), (why), (you), ( this), (Wow), (way), (this person), (Oh, yeah), (elegance), (above), (above), (Ugh), (right bank), (Wow) and (Ween) is one of them,
Above The sound value of (ao)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ao].
Above The sound value of (child)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ai],
Above The phonetic value of (yao) corresponds to the phonetic value of [iao, yao].
Above The sound value of (yai)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iai],
Above The sound value of (eowoo) is [ I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u],
Above The phonetic value of (hey) is [ I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i],
Above The sound value of (ei)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ei].
Above The phonetic value of (fox) is [i I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u],
Above The sound value of (여이) is [i I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i],
Above The sound value of (ooo)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ou],
Above The sound value of (wai)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oai].
Above The sound value of (you)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iou, you],
Above ( The sound value of this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uai, wai].
Above The phonetic value of (Wayi) is [u I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i],
Above The sound value of (Wei)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uei, wei].
Above The sound value of (i)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ii],
Above The sound value of (o) is [o ]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Above The sound value of (elegan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ua],
Above The sound value of (위애) is [ I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a],
Above The sound value of (above) is [ I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e],
Above The sound value of (으어) is [ ]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Above The sound value of (right)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uan],
Above The sound value of (uang) corresponds to the sound value of [uang].
Above The sound value of (Ween) is [ corresponding to the sound value of [an, yuan]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88779A KR102720384B1 (en) | 2021-07-06 | 2021-07-06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global letters |
| CN202111587826.9A CN115586839A (en) | 2021-07-06 | 2021-12-23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global text |
| PCT/KR2022/009793 WO2023282637A1 (en) | 2021-07-06 | 2022-07-06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global lett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88779A KR102720384B1 (en) | 2021-07-06 | 2021-07-06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global letter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07897A KR20230007897A (en) | 2023-01-13 |
| KR102720384B1 true KR102720384B1 (en) | 2024-10-24 |
Family
ID=8477252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88779A Active KR102720384B1 (en) | 2021-07-06 | 2021-07-06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global letters |
Country Status (3)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20384B1 (en) |
| CN (1) | CN115586839A (en) |
| WO (1) | WO2023282637A1 (en) |
Family Cites Familie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0100112A (en) * | 2001-10-04 | 2001-11-14 | 서정수 | International Phonetic Hangeul input and output method |
| KR20030070802A (en) * | 2002-02-26 | 2003-09-02 | 이일성 | English correct Hangul use method |
| KR20090025610A (en) * | 2007-09-06 | 2009-03-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Hangul input processing method and touch input device using touch screen |
| KR100985201B1 (en) * | 2008-02-12 | 2010-10-05 | 유완선 | Hangul Notation Method and Input Device for Chinese Pronunciation Education |
| KR101400934B1 (en) * | 2008-02-18 | 2014-06-02 | 이옥재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new hangeul letters by using special symbol |
| KR20170140741A (en) * | 2016-06-13 | 2017-12-21 | (주)기신영 | A method for presenting phonetics, a media presenting phonetics and a phonetics presenting device based on hangul |
-
2021
- 2021-07-06 KR KR1020210088779A patent/KR102720384B1/en active Active
- 2021-12-23 CN CN202111587826.9A patent/CN115586839A/en active Pending
-
2022
- 2022-07-06 WO PCT/KR2022/009793 patent/WO2023282637A1/en not_active Ceas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23282637A1 (en) | 2023-01-12 |
| CN115586839A (en) | 2023-01-10 |
| KR20230007897A (en) | 2023-01-1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286104B1 (en) | Input method application for a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 |
| Jain et al. | User learning and performance with bezel menus | |
| KR94000543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memorizing and displaying cursive Chinese characters | |
| US20120227009A1 (en) | Navigable text user interface | |
| CN106716396A (en) | Input of characters based on sign-based written language | |
| KR20040053116A (en) | Component-based, adaptive stroke-order system | |
| US2004024338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ymbols in ideographic languages | |
| Arif et al. | A survey of text entry techniques for smartwatches | |
| TWI475405B (en) | Electronic device and text-input interface displaying method thereof | |
| US10725651B2 (en) | Gesture-based braille-to-text conversion system | |
| US9563282B2 (en) | Brahmi phonemics based keyboard for providing textual inputs in indian languages | |
| KR10121688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chinese language in mobile device | |
| KR102720384B1 (en)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global letters | |
| KR101977594B1 (en) | System and method of using hangul for leaming pronunciation of foreign language | |
| Shanbhag et al. | An intelligent multi-layered input scheme for phonetic scripts | |
| TWI554983B (en) | Electronic apparatus, learn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 |
| JP7334168B2 (en) | Touchscreen user interface with multilingual support | |
| JP2022094941A (en) |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program, and character input device | |
| KR101159323B1 (en) | Handwritten input for asian languages | |
| KR20150131662A (en) | Enlarging the condition of combination of characters when inputting text | |
| KR102238987B1 (en) | Chinese input method based on korean pinyin and input apparatus thereof | |
| KR10121692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chinese language in mobile device | |
| KR10140093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new hangeul letters by using special symbol | |
| KR10201680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inese dictionary based on plane deployment | |
| Kyaw Thu | Positional prediction: consonant cluster prediction text entry method for Burmese (Myanmar Languag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2-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not gran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2-oth-X000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