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0567B1 - Slipper structure for cleaning - Google Patents

Slipper structure for clea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0567B1
KR102720567B1 KR1020240030733A KR20240030733A KR102720567B1 KR 102720567 B1 KR102720567 B1 KR 102720567B1 KR 1020240030733 A KR1020240030733 A KR 1020240030733A KR 20240030733 A KR20240030733 A KR 20240030733A KR 102720567 B1 KR102720567 B1 KR 102720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width direction
wearer
button
fl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0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진희
주종철
Original Assignee
안진희
주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희, 주종철 filed Critical 안진희
Priority to KR1020240030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05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0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056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8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1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2Implements with several different tr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8Polishing implements
    • A47L13/282Polishing implements mounted under footwear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가 개시되며, 상기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는, 착용자의 발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상측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폭 방향 타단에 연결되는 발등 지지체; 및 상기 몸체의 전단부의 둘레면 상에 상기 몸체의 전단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청소솔을 포함한다.A cleaning slipper structure is disclosed, the cleaning slipper structure including: a body supporting a wearer's foot from the lower side; an instep support member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in the width direction to an upper side of the body in the width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cleaning brush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on the circumference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Description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SLIPPER STRUCTURE FOR CLEANING}{SLIPPER STRUCTURE FOR CLEANING}

본원은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주택의 방이나 거실이나 화장실 및 주방 등을 청소할 때, 빗자루로 바닥의 쓰레기나 먼지 등을 분리하는 작업 외에 물걸레 등으로 바닥의 오물을 문질러 제거하는 행동이 수반될 수 있다.When cleaning a room, living room, bathroom, or kitchen in a house, in addition to using a broom to separate trash or dust from the floor, you may also need to scrub the floor with a mop or similar tool.

이러한 걸레질은 사람을 힘들게 하는데, 이러한 어려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쪼그려 앉지 않아도 걸레질을 할 수 있도록 긴 봉에 걸레를 부착하는 제품들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긴 봉이 식탁이나 의자, 소파 등 가구에 걸리적거리면 청소가 쉽지 않고, 의자나 가구 밑을 청소하려면 봉을 놓고 의자를 옮기고 다시 봉을 잡아 바닥을 닦고, 또 봉을 놓고 의자를 원위치 시켜야 한다.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This kind of mopping is hard on people, so to eliminate this difficulty, products that attach mops to long poles have been developed so that mopping can be done without squatting. However, if the long pole gets in the way of furniture such as tables, chairs, or sofas, cleaning is not easy, and to clean under a chair or furniture, you have to put down the pole, move the chair, pick up the pole again, wipe the floor, put down the pole again, and return the chair to its original position. It can be quite a hassle.

특히,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욕실이나 화장실 바닥을 청소할 때는 주로 주부들이 허리와 상체를 굽힌 상태에서 세척솔을 손으로 잡고 욕실이나 화장실 내의 바닥을 문질러 청소를 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허리와 상체를 굽힌 자세에서 손으로 청소를 하면, 체력 소모가 심할 뿐만 아니라 허리에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되며, 또한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손에 고무장갑을 끼워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cleaning the bathroom or toilet floor at home, housewives usually hold the cleaning brush with their hands while bending their waist and upper body and scrubbing the floor in the bathroom or toilet. However, cleaning with their hands while bending their waist and upper body like this not only consumes a lot of physical strength, but also puts a considerable burden on their waist, and there are also inconveniences such as having to wear rubber gloves on their hands to protect their hands.

이에 따라 청소를 돕는 보조 기구에 대한 필요가 있어 왔다.Accordingly, there has been a need for auxiliary devices to assist cleaning.

본원의 배경 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23-0025142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23-0025142.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허리와 상체를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 세척솔을 이용해 바닥을 문질러 청소를 하게 하는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echnology, and to provide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that enables cleaning by scrubbing the floor with a cleaning brush without bending the waist and upper body.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task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는, 착용자의 발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상측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폭 방향 타단에 연결되는 발등 지지체; 및 상기 몸체의 전단부의 둘레면 상에 상기 몸체의 전단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청소솔을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task,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that supports a wearer's foot from the lower side; an instep support member that extends from one end of the body in the width direction to an upper side of the body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cleaning brush that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on the circumference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착용자가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를 발에 착용하고 몸체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청소솔로 바닥을 문지름으로써, 쪼기르지 않고도 바닥의 오염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er can easily remove contaminants on the floor without scraping by wearing the cleaning slipper structure on his/her feet and scrubbing the floor with a cleaning brush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의 개략적인 개념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의 바닥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3은 수세미부의 도시를 생략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수세미부의 도시를 생략한 제한턱이 형성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몸체가 상측부 및 하측부를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의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conceptual perspective drawing of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bottom view illustrating the bottom surface of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mitting the city of the water-washing unit.
FIG. 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limiting jaw is formed while omitting the city of the water-washing unit.
FIG. 5 is a schematic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body includes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assigned similar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n element is located “on,” “above,” “below,” “under,” or “below” another elemen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an element is in contact with another element,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element exists between the two element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ever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omponent, this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but rather includes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면, 상부, 하측, 하면, 하부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면,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등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related to direction or position (upper side, upper surface, upper side, lower side, lower side, lower side, etc.)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t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each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looking at FIG. 1, the overall 12 o'clock direction can be the upper side, the overall side facing the 12 o'clock direction can be the upper side, the overall part facing the 12 o'clock direction can be the upper side, the overall part facing the 6 o'clock direction can be the lower side, and so on.

본원은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이하 '본 구조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의 개략적인 개념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의 바닥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저면도이며, 도 3은 수세미부의 도시를 생략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는 수세미부의 도시를 생략한 제한턱이 형성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몸체가 상측부 및 하측부를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의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bottom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illustration of a washbasin omitted, FIG. 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limiting jaw formed with the illustration of a washbasin omitted, and FIG. 5 is a schematic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body includ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구조체는, 몸체(1)를 포함한다. 몸체(1)는 착용자의 발을 착용자의 발의 하측에서 지지한다. 즉, 착용자가 본 구조체를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발은 몸체(1) 상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tructure includes a body (1). The body (1) supports the wearer's foot from the lower side of the wearer's foot. That is, when the wearer wears the structure, the wearer's foot can be positioned on the body (1).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구조체는 발등 지지체(2)를 포함한다. 발등 지지체(2)는 몸체(1)의 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몸체(1)의 상측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몸체(1)의 폭 방향 타단에 연결된다. 발등 지지체(2)는 몸체(1)의 폭 방향 일단과 몸체(1)의 폭 방향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발등 지지체(2)는 발등 지지체(2)의 일단과 타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몸체(1) 사이에 착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발등 지지체(2)는 몸체(1)의 중간부에 구비될 수 있다. 몸체(1)의 중간부라 함은, 몸체(1)의 전단부와 몸체(1)의 후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는데, 발등 지지체(2)가 구비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몸체(1)의 전단부, 후단부 및 중간부 각각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단부의 전후 방향이 가장 길 수 있고, 중간부의 전후 방향 길이가 전단부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structure includes an instep support (2). The instep support (2) extends from one end of the body (1)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1) in the width direction. The instep support (2) can connect one end of the body (1)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1) in th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the instep support (2) can form a space where the wearer's foot is positioned between the remaining portion exclud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instep support (2) and the body (1). In addition, the instep support (2) can be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body (1). The middle of the body (1) can mean a region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body (1) and the rear end of the body (1), and can mean a region where the instep support (2)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lengths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each of the front end, rear end, and middle part of the body (1) may not be the same. For example,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rear end may be the longest, and the front-back direction length of the middle part may be longer than the front-back direction length of the front end.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구조체는, 청소솔(3)을 포함한다. 청소솔(3)은 몸체(1)의 전단부의 둘레면 상에 몸체(1)의 전단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이에 따라, 몸체(1)의 전면 및 폭 방향 일측면과 폭 방향 타측면 각각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청소솔(3)을 이용해 착용자는 본 구조체를 착용하고 발로 청소솔(3)을 이용해 청소를 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structure includes a cleaning brush (3). The cleaning brush (3)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1) on the circumference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1). Accordingly, a wearer can wear the present structure and clean using the cleaning brush (3) with his/her feet by using the cleaning brush (3) provided on each of the front end of the front and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

또한, 본 구조체에 있어서, 폭 방향 일측은 착용자의 착용자의 한 쌍의 발의 서로를 향하는 방향인 내측이고, 폭 방향 타측은 착용자의 한 쌍의 발의 서로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방향인 외측일 수 있다. 즉, 착용자는 본 구조체를 왼발 및 오른발 각각에 착용할 수 있는데, 이때, 왼발에 착용되는 본 구조체의 경우, 오른발을 향하는 오른쪽이 내측이될 수 있고, 왼쪽이 외측이 될 수 있다. 또한, 오른발에 착용되는 본 구조체의 경우, 왼발을 향하는 왼쪽이 내측이 될 수 있고, 오른쪽이 외측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tructure,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the inner side,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wearer's pair of feet face each other, and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the outer side, which i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s in which the wearer's pair of feet face each other. That is, the wearer may wear the present structure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feet, and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present structure worn on the left foot, the right side facing the right foot may be the inner side, and the left side may be the outer sid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sent structure worn on the right foot, the left side facing the left foot may be the inner side, and the right side may be the outer side.

도 1을 참조하면, 본 구조체는, 외측부(폭 방향 타측인 외측을 향하는 부분)의 둘레면 중 전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스퀴지(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스퀴지(4)는 중간부 및 후단부의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스퀴지(4)는 물기 제거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스퀴지(4)가 몸체(1)의 내측부에 구비되면, 반대편 발에 착용되는 본 구조체의 스퀴지(4)와 간섭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착용자의 한 쌍의 발 각각에 착용되는 본 구조체 각각의 스퀴지(4)간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스퀴지(4)는 몸체(1)의 외측부에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structure may include a squeegee (4)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ide (a portion facing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except for the front end. According to this, the squeegee (4) may be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middle and rear ends. The squeegee (4) may be used to remove moisture, and if such a squeegee (4)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dy (1), it may interfere with the squeegee (4) of the present structure worn on the opposite foot.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squeegee (4)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1) so as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squeegees (4) of each of the present structures worn on each of a pair of feet of the wearer.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구조체는 몸체(1)의 전단부의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수세미부(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구조체의 사용시, 사용자는 몸체(1)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청소솔(4)을 사용하므로 발의 전단부에 힘이 가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몸체(1)의 전단부에 하측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몸체(1)의 전단부의 하측에 수세미부(5)가 구비되므로, 착용자가 청소솔(4)을 사용하기 위해 발의 전단부에 힘을 가할 때, 수세미부(5)에도 힘이 가해져 수세미질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the present structure may include a scrubbing part (5)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1). When the present structure is used, the user may apply force to the front end of the foot by using the cleaning brush (4) provided on the front end of the body (1), and accordingly, force may be applied downwardly to the front end of the body (1). In consideration of this, since the scrubbing part (5)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1), when the wearer applies force to the front end of the foot to use the cleaning brush (4), force is also applied to the scrubbing part (5), and scrubbing can be performed together.

특히, 착용자는 청소솔(4) 사용시 발의 뒤꿈치를 들고 발의 전단부를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수세미부(5)에 대한 발의 하측으로의 외력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수세미부(5)에 의한 수세미질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의 다양한 종류의 수세미가 수세미부(5)로 적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using the cleaning brush (4), the wearer can lift the heel of the foot and use the front part of the foot, and in this cas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foot against the scrubbing part (5), so that scrubbing by the scrubbing part (5) can also be performed. Various types of conventional scrubbing cloths can be used as the scrubbing part (5).

또한, 본 구조체는, 몸체(1)의 전단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절곡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6)의 둘레면 상에는 절곡부(6)의 둘레를 따라 보조 청소솔(3)이 구비될 수 있다. 보조 청소솔(3)은 전술한 청소솔(3)과 형성 위치만 다를 뿐 동일 내지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structure may include a folded portion (6) protruding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body (1). An auxiliary cleaning brush (3)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olded portion (6) on the circumference surface of the folded portion (6). The auxiliary cleaning brush (3) ha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figuration as the aforementioned cleaning brush (3) except for the formation position, and thus uses the same drawing reference numeral.

일반적으로, 착용자는 슬리퍼 착용시 일반 신발의 착용시와 다르게 발의 전단이 슬리퍼의 전단 끝부분에 접촉되지 않고 전단 끝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간격을 두게 슬리퍼를 착용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착용자는 본 구조체를 착용한 상태에서 발의 뒤꿈치를 들고 발의 전단에 힘을 줄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절곡부(6)와 몸체(1)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보조 청소솔(3)과 청소솔(3)에 의해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벽과 바닥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대한 청소가 용이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wearing slippers, the wearer can wear the slippers so that the front of the foo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slipper, but rather has a space behind the front end, unlike when wearing regular shoes. Accordingly, the wearer can lift the heel of the foot and apply force to the front end of the foot while wearing the structure, and in this case, cleaning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e auxiliary cleaning brush (3) and the cleaning brush (3) provided at the bending portion (6) and the front end of the body (1). In particular, cleaning can be easily performed at the corner where the wall and the floor meet.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착용자가 본 구조체를 착용할 때 착용자의 발의 전단이 절곡부(6)에 접촉되지 않고 절곡부(6)로부터 후방으로 간격을 두게 슬리퍼를 착용하는 것이 가이드되도록, 절곡부(6)로부터 후방으로 간격을 두고 몸체(1)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제한턱(7)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턱(7)은 몸체(1)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몸체(1)의 폭 방향(도 1 참조 4시-10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in order to guide the wearer to wear the slippers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wearer's foot does not contact the folded portion (6) when the wearer wears the structure and is spaced rearwardly from the folded portion (6), a limiting projection (7) protruding upwardly from the body (1) at a distance rearwardly from the folded portion (6) may be included. The limiting projection (7)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ly from the body (1) and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 (4 o'clock to 10 o'clock direction, referring to FIG. 1).

제한턱(7)은 착용자의 발이 절곡부(6)와 후방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제한턱(7)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대비 착용자의 발의 전방으로의 위치 이동을 일부 제한할 수 있다.The limiting jaw (7) can partially limit the forward movement of the wearer's foot compared to when the limiting jaw (7) is not formed so that the wearer's foot is positioned with a distance from the fold (6) and backward.

이에 따라, 착용자는 자신의 발이 제한턱(7)보다 전방에 위치하지 않게 본 구조체를 착용할 수 있고, 이에 따르면, 제한턱(7)의 전방에 발이 위치하지 않으므로 몸체(1)의 전단부 및 제한턱(7)이 보다 용이하게 변형되어 청소하는 영역에 맞는 변형이 이루어져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wearer can wear the structure without his/her feet being positioned in front of the limiting jaw (7), and accordingly, since the feet are not positioned in front of the limiting jaw (7), the front end of the body (1) and the limiting jaw (7) can be deformed more easily to suit the area to be cleaned, so that cleaning can be performed.

또한, 청소솔(3)을 제외한 본 구조체의 제한턱(7)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1a)(몸체(1)의 제한턱(7)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 및 절곡부(6))의 변형이 제한턱(7)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청소솔(3)을 제외한 본 구조체의 제한턱(7)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1a)은 몸체(1)의 제한턱(7)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탄성계수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o that deformation of the portion (1a) located in front of the limiting jaw (7) of the present structure excluding the cleaning brush (3) (the portion located in front of the limiting jaw (7) of the body (1) and the folded portion (6)) is easier than that of the portion located in the rear of the limiting jaw (7), the portion (1a) located in front of the limiting jaw (7) of the present structure excluding the cleaning brush (3)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elastic modulus than that of the portion located in the rear of the limiting jaw (7) of the body (1).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구조체에 있어서, 몸체(1)는 상측부(18) 및 하측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세미부(5)는 하측부(19)의 하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in the present structure, the body (1) may include an upper portion (18) and a lower portion (19). In this case, the water-washing portion (5)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19).

또한, 몸체(1)에는 몸체(1)의 전단부로부터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ody (1) may be formed with a fluid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fluid from the front end of the body (1).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하측부(19)의 수세미부(5)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상면으로부터 하향 함몰되는 함몰부(19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측부(19)에는 함몰부(191)로부터 하측부(19)의 둘레면 중 전방을 향하는 부분으로 연장되어 외부와 함몰부(191)를 연통시키는 하측 연통구(192)가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a recessed portion (191) that is sunken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may be formed in a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washing portion (5) of the lower portion (19). In addition, a lower communication hole (192)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19) that extends from the recessed portion (191) to a forward-facing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portion (19) to connect the recessed portion (191) with the outside.

또한, 상측부(18)에는 후단부(13) 중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함몰부(191)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는 통로(181) 및 하나의 지점과 상측부(18)의 후단부(13)의 내측을 향하는 둘레면을 연통시키며 통로(181)와 상측부(18)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상측 연통구(1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연통구(182)에는 상측 연통구(182)의 상기 내측을 향하는 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테면, 개폐부재는 나사유닛일 수 있고, 상측 연통구(182)의 개폐부재와 체결되는 부분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개폐부재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상측 연통구(182)의 상기 내측을 향하는 단부는 상기 하나의 지점보다 높은 지점에 형성되어 상측 연통구(182)는 하나의 지점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art (18) may be formed with a passage (181) extending downwardly from one point of the rear end (13) to the recessed part (191) in an inclined manner, and an upper communication port (182) connecting one point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13) of the upper part (18) and connecting the passage (181) with the outside of the upper part (18). The upper communication port (182)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closing member that selectively opens/closes the end of the upper communication port (182) facing inward. For example, the opening/closing member may be a screw unit, and screw thread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ion of the upper communication port (182) that is connected to the opening/closing member so that the opening/closing member may be screw-connected. The end facing inward of the upper communication port (182) may be formed at a point higher than the one point, so that the upper communication port (182) may be formed with a slope whose height decreases as it approaches the one point.

이에 따라, 사용자는 나사유닛과 상측 연통구(182)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고 상측 연통구(182)에 세제, 물 등과 같은 유체를 주입할 수 있으며, 주입된 유체는 경사에 의해 자연스럽게 통로(181)를 통해 함몰부(191)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함몰부(191)에는 유체가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가 발로 함몰부(191)를 누르면 함몰부(191)로부터 유체가 하측 연통구(192)로 이동되어 토출될 수 있다. 하측 연통구(192)또한, 함몰부(191)와 연결되는 부분이 하측부(19)의 외부와 연통되는 부분보다 높은 높이에 형성되어 경사를 가지고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의 용이한 토출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user can release the screw connection between the screw unit and the upper communication port (182) and inject fluid such as detergent or water into the upper communication port (182), and the injected fluid can naturally move to the recessed portion (191) through the passage (181) due to the slope. Accordingly, the fluid can be stored in the recessed portion (191),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recessed portion (191) with his foot, the fluid can move from the recessed portion (191) to the lower communication port (192) and be discharged. The lower communication port (192) can also be formed at a higher height than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recessed portion (191) and extend downward with a slope. Accordingly, easy discharge of the fluid is possible.

또한, 전술한 바에 따르면, 함몰부(191)는 수세미부(15)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세미부(15)에 하향 외력을 가할 때 동시에 함몰부(191)에도 하향 외력이 가해져 청소시에 유체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cessed portion (191) can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shbasin portion (15), 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applies a downward external force to the washbasin portion (15), a downward external force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recessed portion (191), so that fluid can be discharged during cleaning.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부(18) 및 하측부(19) 각각의 전술한 본 구조체의 제한턱(7)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1a)에 속하는 부분은 제한턱(7)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1a) 각각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 대비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1a) 대비 작은 탄성계수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ortion (1a) located in front of the limiting jaw (7) of each of the upper portion (18) and lower portion (19) of the aforementioned main structure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maller elastic modulus than the portion (1a) located forward of the limiting jaw (7) compared to the portion located rearward of each of the portions (1a) located in front of the limiting jaw (7).

이러한 상측부(18) 및 하측부(18) 각각은 제한턱(7)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1a) 및 제한턱(7)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 각각인 4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져 각각 제조되고 접착 물질에 의해 상호 본딩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상측부(18) 및 하측부(18) 각각은 제한턱(7)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1a) 및 제한턱(7)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 각각인 4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져 각각 제조되고, 똑딱이 단추에 의해 착탈(장착 및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구조체는 보관 또한 용이할 수 있다.Each of the upper part (18) and the lower part (18) may be manufactured by dividing into four parts, each of which is a part (1a) positioned in front of the limiting jaw (7) and a part positioned in the rear of the limiting jaw (7), and bonding them to each other with an adhesive material. Alternatively, each of the upper part (18) and the lower part (18) may be manufactured by dividing into four parts, each of which is a part (1a) positioned in front of the limiting jaw (7) and a part positioned in the rear of the limiting jaw (7), and may be detachably connected (mounted and removed) with a snap button. Accordingly, the present structure may also be easy to store.

예를 들어, 똑딱이 단추는, 암수 결합하는 암단추 및 수단추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측부(18)의 제한턱(7)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1a)의 후면에는 암단추 및 수단추 중 하나가 제1 단추로 구비되고, 상측부(18)의 제한턱(7)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의 전면에는 제1 단추와 암수 결합하는 암단추 및 수단추 중 다른 하나가 제2 단추로 구비되되, 제1 단추 및 제2 단추는 암수 결합 가능하게 몸체(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제1 단추 및 제2 단추의 암수 결합에 의해 상측부(18)는 조립될 수 있다.For example, a snap button may include a male and female button and a push button that are combined, and on the back of a portion (1a) located in front of a limiting protrusion (7) of an upper portion (18), one of the male and female button and the push button is provided as a first button, and on the front of a portion located in the back of the limiting protrusion (7) of an upper portion (18), the other of the male and female button and the push button that are combined with the first button is provided as a second button, and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may b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 so as to be able to be combined with the male and female, and the upper portion (18) may be assembled by the male and female combination of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또한, 하측부(19)의 제한턱(7)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1a)의 후면에는 암단추 및 수단추 중 하나가 제3 단추로 구비되고, 하측부(19)의 제한턱(7)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의 전면에는 제3 단추와 암수 결합하는 암단추 및 수단추 중 다른 하나가 제4 단추로 구비되되, 제3 단추 및 제4 단추는 암수 결합 가능하게 몸체(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제3 단추 및 제4 단추의 암수 결합에 의해 하측부(19)는 조립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back of the part (1a) located in front of the limiting jaw (7) of the lower part (19), one of the female button and the auxiliary button is provided as a third button, and on the front of the part located in the back of the limiting jaw (7) of the lower part (19), the other of the female button and the auxiliary button that is connected male and female with the third button is provided as a fourth button, but the third button and the fourth button can be provided facing each other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1) so that the male and female can be connected, and the lower part (19) can be assembled by the male and female connection of the third button and the fourth button.

또한, 상측부(18)의 제한턱(7)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1a)의 하면에는 암단추 및 수단추 중 하나가 제5 단추로 구비되고, 하측부(19)의 제한턱(7)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1a)의 상면에는 암단추 및 수단추 중 하나가 제6 단추로 구비되되, 제5 단추 및 제6 단추는 암수 결합 가능하게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제5 단추 및 제6 단추의 암수 결합에 의해 상측부(18)와 하측부(19)는 몸체(1)의 제한턱(7)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1a)으로 조립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rtion (1a) located in front of the limiting jaw (7) of the upper portion (18), one of the female button and the auxiliary button is provided as a fifth button,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ion (1a) located in front of the limiting jaw (7) of the lower portion (19), one of the female button and the auxiliary button is provided as a sixth button, but the fifth button and the sixth button can be provided fac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be combined in a male-female manner, and by combining the male and female parts of the fifth button and the sixth button, the upper portion (18) and the lower portion (19) can be assembled into the portion (1a) located in front of the limiting jaw (7) of the body (1).

또한, 상측부(18)의 제한턱(7)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의 하면에는 암단추 및 수단추 중 하나가 제7 단추로 구비되고, 하측부(19)의 제한턱(7)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의 상면에는 암단추 및 수단추 중 하나가 제8 단추로 구비되되, 제7 단추 및 제8 단추는 암수 결합 가능하게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제7 단추 및 제8 단추의 암수 결합에 의해 상측부(18)와 하측부(19)는 제한턱(7)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조립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rtion located at the rear of the limiting jaw (7) of the upper portion (18), one of the female button and the auxiliary button is provided as a seventh button,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ion located at the rear of the limiting jaw (7) of the lower portion (19), one of the female button and the auxiliary button is provided as an eighth button, but the seventh button and the eighth button can be provided fac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be combined in a male-female manner, and by combining the male and female parts of the seventh button and the eighth button, the upper portion (18) and the lower portion (19) can be assembled into a portion located at the rear of the limiting jaw (7).

또한, 상측부(18) 및 하측부(19) 각각의 제한턱(7)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1a)은 제한턱(7)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 보다 낮은 높은 변형율을 갖도록 더 낮은 탄성계수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측부(18) 및 하측부(19)의 제한턱(7)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들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측부(18) 및 하측부(19)의 제한턱(7)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들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재질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portion (1a) located in front of the limiting jaws (7) of each of the upper portion (18) and the lower portion (19)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elastic modulus so as to have a higher strain rate than the portion located at the rear of the limiting jaws (7). The portions located at the rear of the limiting jaws (7) of the upper portion (18) and the lower portion (19)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portions located at the rear of the limiting jaws (7) of the upper portion (18) and the lower portion (19)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Since the materials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원의 도면에 도시된 하나의 청소솔(3)은 복수의 청소솔(모)로 이루어진 하나의 집체를 이루어진 것인데, 용이한 도면 표현을 위해 하나의 덩어리로 도시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one cleaning brush (3) illustrated 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one unit made up of multiple cleaning brushes (hairs), and may be illustrated as one mass for easy drawing representation.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청소솔(3)은 상측부(18) 및 하측부(19) 각각의 전단부의 둘레면 상에 몸체(1)의 전단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측부(19)에 구비되는 청소솔(3)은 절곡부(6)에 구비되는 청소솔(3)은 하측부(19)에 구비되는 청소솔(3)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절곡부(6)는 하측부(19)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벽면과 바닥면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청소가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the cleaning brush (3)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1) on the circumference surface of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upper portion (18) and the lower portion (19). In addition, the cleaning brush (3)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19) may protrude forward more than the cleaning brush (3) provided on the folded portion (6). In addition, the folded portion (6) may be positioned forward more than the lower portion (19). Accordingly, cleaning of the corner portion between the wall surface and the floor surface may be facilitated.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manner.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 몸체
2: 발등 지지체
3: 청소솔
4: 스퀴지
5: 수세미부
6: 절곡부
7: 제한턱
1: Body
2: Instep support
3: Cleaning brush
4: Squeegee
5: Sesemibu
6: Bend section
7: Limit jaw

Claims (5)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에 있어서,
하측부 및 상기 하측부 상에 구비되는 상측부를 포함하고, 착용자의 발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상기 몸체의 상측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폭 방향 타단에 연결되는 발등 지지체; 및
상기 몸체의 전단부의 둘레면 상에 상기 몸체의 전단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청소솔을 포함하고,
상기 폭 방향 일측은 착용자의 한 쌍의 발의 서로를 향하는 방향인 내측이고, 상기 폭 방향 타측은 착용자의 한 쌍의 발의 서로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방향인 외측이며,
상기 몸체의 외측부의 둘레면 중 상기 전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스퀴지;
상기 하측부의 전단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수세미부; 및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체 배출부는, 상기 하측부의 상기 수세미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상면으로부터 하향 함몰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로부터 상기 하측부의 전단으로 연장되어 외부와 상기 함몰부를 연통시키는 하측 연통구;
상기 상측부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함몰부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는 통로;
상기 통로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상측 연통구; 및
상기 상측 연통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상측 연통구 및 상기 통로를 통해 유체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유체를 저장하며, 유체를 상기 하측 연통구로 토출 가능한 것인,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
In the cleaning slipper structure,
A body including a lower part and an upper part provided on the lower part, and supporting the wearer's foot from the lower part;
A foot support member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in the width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in the width direction; and
Includes a cleaning brush provid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on the perimet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The above width direction side is the inner side,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wearer's pair of feet face each other, and the above width direction other side is the outer side, which i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earer's pair of feet face each other.
A squeegee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except for the front end;
A water-washing part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lower part; and
Further comprising a fluid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fluid to the front of the body,
The above fluid discharge portion is a recessed portion that is sunken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a portion located above the water discharge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A lower communication hole extending from the above-mentioned recessed portion to the front end of the lower portion and connecting the recessed portion with the outside;
A passage extending downwardly and slantedly from the rear end of the upper portion to the recessed portion;
An upper connecting port connecting the above passage with the outside; and
Including an opening/closing member that selectively opens/closes the upper communication port,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wherein the above-mentioned recessed portion receives fluid through the upper communication port and the passage, stores the supplied fluid, and can discharge the fluid through the lower communication po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단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의 둘레면 상에는 상기 절곡부의 둘레를 따라 보조 청소솔이 구비되는 것인,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
In the first paragraph,
Further comprising a bent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above body,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wherein an auxiliary cleaning brush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above-mentioned folded portion on the circumference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folded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절곡부로부터 후방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한턱이 형성되는 것인, 청소용 슬리퍼 구조체.
In paragraph 4,
A cleaning slipper structure, wherein a limi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ody,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dy at a rearward interval from the bending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KR1020240030733A 2024-03-04 2024-03-04 Slipper structure for cleaning Active KR1027205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0733A KR102720567B1 (en) 2024-03-04 2024-03-04 Slipper structure for clea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0733A KR102720567B1 (en) 2024-03-04 2024-03-04 Slipper structure for clea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20567B1 true KR102720567B1 (en) 2024-10-21

Family

ID=9328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0733A Active KR102720567B1 (en) 2024-03-04 2024-03-04 Slipper structure for clea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056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240Y1 (en) * 2006-09-12 2006-12-08 이찬혁 Bathroom slippers
KR20090011186U (en) * 2009-10-13 2009-11-02 윤혜경 Bathroom cleaning slippers
KR102513509B1 (en) * 2021-11-24 2023-03-22 유순후 Cleaning bathroom shoes
KR20240050131A (en) * 2022-10-11 2024-04-18 장재임 Slippers for toilet and bathroom combining ease of washing and lower body exercise by wear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240Y1 (en) * 2006-09-12 2006-12-08 이찬혁 Bathroom slippers
KR20090011186U (en) * 2009-10-13 2009-11-02 윤혜경 Bathroom cleaning slippers
KR102513509B1 (en) * 2021-11-24 2023-03-22 유순후 Cleaning bathroom shoes
KR20240050131A (en) * 2022-10-11 2024-04-18 장재임 Slippers for toilet and bathroom combining ease of washing and lower body exercise by wea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2405B1 (en) Two-sided toilet brush
KR101262430B1 (en) Cleaning tool
US3526014A (en) Foot floor-scouring attachment
US20070022527A1 (en) Foot scrubbing and massaging assembly
US5410772A (en) Floor washing mop
KR200469579Y1 (en) A mop
KR200494366Y1 (en) Slipper mop
US20110035894A1 (en) Foot cleaning brush
US20080216271A1 (en) Floor care device
KR102720567B1 (en) Slipper structure for cleaning
CN209437177U (en) cleaning device
KR102180296B1 (en) A washer for foot
KR200455515Y1 (en) Brush combined mop mop
KR200458908Y1 (en) The slippers where the cleaning brush
KR20230063580A (en) Slipper having floor cleaning function
CN204635203U (en) A kind of for clean footwear
KR200357905Y1 (en) Clean slippers
CN205757491U (en) A kind of shoes mopped floor
CN209404668U (en) a slipper mop
KR200262673Y1 (en) Golf Club Head Cleaner
US20220338704A1 (en) Foot-connectable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KR102625838B1 (en) Connection pad for non-woven fabric with Velcro
CN203913569U (en) Waterproof floor-cleaning slippers
KR200497399Y1 (en) Functional clean slippers
KR200306974Y1 (en) A Foot R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3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