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20602B1 - Composite structure of steel semi-section deck for rapid construction of bridg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Composite structure of steel semi-section deck for rapid construction of bridg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20602B1 KR102720602B1 KR1020230190958A KR20230190958A KR102720602B1 KR 102720602 B1 KR102720602 B1 KR 102720602B1 KR 1020230190958 A KR1020230190958 A KR 1020230190958A KR 20230190958 A KR20230190958 A KR 20230190958A KR 102720602 B1 KR102720602 B1 KR 1027206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tion
- mentioned
- concrete
- shaped steel
- reinforcing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로서, 하부플랜지와 상기 하부플랜지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복부를 포함하는 역T형강재; 상기 역T형강재의 복부 상부에 일체로 결합된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반단면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반단면데크는, 상기 역T형강재의 복부 상부에서 좌우방향인 횡방향 양측으로 연장된 반단면플랜지와 상기 반단면플랜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부에 결합된 반단면복부를 포함하는 반단면콘크리트와, 상기 반단면콘크리트에 일부 매설됨과 동시에 나머지 일부는 상측으로 노출되어 추후 타설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바닥판과 결합되는 합성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반단면데크가 결합되는 상기 복부의 상측에는 하측으로 함몰되데 전후 방향인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결합요홈들과, 상기 결합요홈들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결합돌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부가 특수 커팅된 역T형강재 상부에 반단면데크를 미리 합성히야, 활용도가 낮은 상부 플랜지를 제거하여 강재를 절약함과 동시에 상부는 콘크리트를 하부는 강재를 배치하여 부재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시공 중 휨에 의한 강재의 국부좌굴이나 횡비틀림좌굴이 방지되며, 별도의 전단연결재 없이도 충분한 수평 전단강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강재가 절약되고, 교량 상부구조의 시공 중 바닥판 거푸집 설치단계 등이 불필요함으로써, 현장 시공 단계가 축소되어 간편하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for rapid construction of a bridge, comprising: an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including a lower flange and a web vertically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flange; A reinforced concrete half-section deck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of the above-mentioned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wherein the half-section deck comprises a half-section concrete including a half-section flange extending in both transverse directions from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of the above-mentioned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and a half-section we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alf-section flange and connected to the abdomen, and a synthetic reinforcing bar partially embedded in the half-section concrete while the remaining portion is exposed upward and connected to a cast-in-place concrete floor slab to be poured later, and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to which the half-section deck is connected includes connecting grooves that are sunken downward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connecting projections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grooves, so that the half-section deck is pre-synthesiz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whose upper part is specially cut, thereby saving steel by removing the upper flange with low utilization, and at the same time promoting efficiency of the member by arranging concrete on the upper part and steel on the lower part, During construction, local buckling or lateral torsional buckling of steel due to bending is prevented, sufficient horizontal shear strength is secured without a separate shear connector, and steel is saved. In addition, since the stage of installing floor slab formwork during construction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is unnecessary, the on-site construction stage is shortened, enabling simple and rapid constru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 구조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교량 상부구조의 현장 시공 단계를 축소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역T형강재 상부에 반단면데크를 미리 합성시킨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 구조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for rapid bridge construc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for rapid bridge construction in which a half-section deck is pre-composited on top of an inverted T-shaped steel beam so as to reduce the on-site construction stage of a bridge superstructure and enable simple and rapid construc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교량 상부구조 형식 중 강합성 구조는 오랫동안 도로교에서 상당한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 중 중경간교량(경간 25~50m) 형식으로는 I형 거더 상부에 콘크리트 바닥판을 합성하는 구조 형식이 가장 경제적으로 평가되어 왔다. Among the bridge superstructure types, the composite structure has long occupied a significant market share in road bridges. Among them, the structure type that composites a concrete floor slab on top of an I-beam girder has been evaluated as the most economical for medium-span bridges (span of 25 to 50 m).
그러나 경간 25m 이하의 소경간 교량 분야에서는 I형 거더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에 비해 경제적이지 않게 되는데, 그 원인은 주로 다음과 같다. 즉, 자중 절감에 따른 부재력 감소화 같은 경량화된 거더의 이점은 경간이 감소함에 따라 그 효과가 줄어든다. 또한, 특별한 공사 현장 제작조건을 제외하면 미리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크레인 가설은 경간 30m까지는 간편하고 경제적이다. 또한, 경간 30m 이하의 교량 분야에서 거더를 사용할 경우 경제성을 고려하여 2주 거더 또는 소수주 거더(Twin girder) 개념을 사용하여 거더 개수를 최소화해야 한다. 하지만 낮은 스팬비(경간/바닥판폭)로 인해 단면이 최적화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 경우 다주거더(Multiple girder) 개념이 더 편리하다. However, in the field of small-span bridges with a span of 25 m or less, I-girder is not economical compared to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mainly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That is, the advantages of lightweight girders, such as reduced member force due to reduced dead weight, decrease as the span decreases. In addition, except for special on-site manufacturing conditions, crane erection of prefabricat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is simple and economical for spans up to 30 m. In addition, when using girders in the field of bridges with a span of 30 m or less, the number of girders should be minimized by using the two-girder or twin girder concept considering economic feasibility. However, in most cases, the cross-section is not optimized due to low span ratio (span/deck width), and in this case, the multiple girder concept is more convenient.
현재 강구조 및 도로교 설계기준(KDS)의 정모멘트부 휨 설계 방식으로 접근한다면, 단면은 극한(강도)한계상태 개념에서 결정된다. 이 개념은 강재 단면이 얇지 않다는 가정하에 휨에 대한 저항은 단면의 소성모멘트로 결정되며, 이는 휨 모멘트를 받는 합성단면에서 가장 일반적인 경우에 해당한다. 이에 따르면 도면 1과 같이 보통 중경간 교량의 경우 소성 중립축이 웹(복부)에 존재하여 상부플랜지가 압축에 대한 저항을 담당하는 반면, 소경간 교량의 경우 소성 중립축이 콘크리트 바닥판 내에 존재하고 이때 상부 플랜지는 인장에 저항하게 된다. 그런데 소성중립축을 기준으로 상측 콘크리트단면은 충분한 압축강도를 가지고 하측 강재 하부 플랜지는 충분한 인장강도를 가지므로 소경간의 경우에는 상부 플랜지가 인장 영역을 담당하지 않아도 충분한 휨강도가 발현된다. 따라서 상부 플랜지는 극한한계상태에서 소성모멘트에 대한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작으며, 사용한계상태에서도 활용률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If we approach the bending design method of the current steel structure and road bridge design code (KDS) in terms of positive moment section, the sec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ncept of the ultimate (strength) limit state. This concept assumes that the steel section is not thin, and the resistance to bending is determined by the plastic moment of the section, which is the most common case in composite sections subjected to bending moments. According to this, as shown in Drawing 1, in the case of a medium-span bridge, the plastic neutral axis exists in the web (belly), so the upper flange is responsible for resistance to compression, whereas in the case of a small-span bridge, the plastic neutral axis exists in the concrete deck, and in this case, the upper flange resists tension. However, since the upper concrete section has sufficient compressive strength based on the plastic neutral axis, and the lower steel lower flange has sufficient tensile strength, sufficient bending strength is expressed even if the upper flange does not take charge of the tensile region in the case of a small-span bridge. Therefore, the upper flange has a relatively small contribution to the plastic moment in the ultimate limit stat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s utilization rate is low even in the serviceability limit state.
또한, 다주 거더 개념의 상부 플랜지는 단면이 완성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활용도가 낮지만, 상부에 위치한 바닥판 콘크리트와의 합성을 위한 전단연결재를 배치해야 하므로 적절한 폭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점은 소경간 교량분야의 상부형식 결정에서 강재 플레이트 거더는 상대적으로 재료비가 저렴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형식보다 경제적으로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flange of the multi-column girder concept has relatively low utilization when the cross-section is completed, but it must have an appropriate width because it must place shear connectors for synthesis with the floor slab concrete located on top. This is a problem in that, in determining the upper type in the field of small-span bridges, the steel plate girder is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compared to th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type, which has relatively low material costs.
또한 소수주 거더 또는 2주 거더를 적용할 시 시공 중 바닥판 거푸집 브래킷에 의한 횡방향 휨응력, 휨에 의한 횡방향 비트림 및 상부 플랜지 국부좌굴 등에 의해 단면의 최적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pplying a single-column girder or a two-column gird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optimization of the cross-section due to transverse bending stress caused by the floor slab formwork bracket during construction, transverse torsion caused by bending, and local buckling of the upper flange.
따라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is reques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가 특수 커팅된 역T형강재 상부에 반단면데크를 미리 합성함으로써, 활용도가 낮은 상부 플랜지를 제거하여 강재를 절약함과 동시에 상부에는 콘크리트를 하부에는 강재를 배치하여 부재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시공 중 휨에 의한 강재의 국부좌굴이나 횡비틀림좌굴이 방지되며, 별도의 전단연결재 없이도 역T형강재와 반단면데크 사이에 충분한 수평 전단강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강재가 절약되고, 교량 상부구조의 시공 중 바닥판 거푸집 설치단계 등이 불필요함으로써, 현장 시공 단계가 축소되어 간편하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한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 구조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for rapid bridge construc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 which the upper flange with low utilization is eliminated by pre-synthesizing a half-section deck on the upper part of a specially cut inverted T-shaped steel, thereby saving steel, and at the same time, concrete is placed on the upper part and steel is placed on the lower par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member, local buckling or lateral torsional buckling of the steel due to bending during construction is prevented, sufficient horizontal shear strength is secured between the inverted T-shaped steel and the half-section deck without a separate shear connector, and steel is saved, and the stage of installing a floor slab formwork during construction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is unnecessary, thereby reducing the on-site construction stage and enabling simple and rapid construction.
본 발명 일례에 따른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는, 하부플랜지와 상기 하부플랜지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복부를 포함하는 역T형강재; 상기 역T형강재의 복부 상부에 일체로 결합된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반단면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반단면데크는, 상기 역T형강재의 복부 상부에서 좌우방향인 횡방향 양측으로 연장된 반단면플랜지와 상기 반단면플랜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부에 결합된 반단면복부를 포함하는 반단면콘크리트와, 상기 반단면콘크리트에 일부 매설됨과 동시에 나머지 일부는 상측으로 노출되어 추후 타설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바닥판과 결합되는 합성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반단면데크가 결합되는 상기 복부의 상측에는 하측으로 함몰되데 전후 방향인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결합요홈들과, 상기 결합요홈들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결합돌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for rapid bridge construction includes: an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including a lower flange and a web vertically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flange; a half-section deck of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tegrally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web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wherein the half-section deck includes half-section concrete including a half-section flange extending in both transverse directions from an upper side of the web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and a half-section we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alf-section flange and connected to the web; and a composite reinforcing bar partially embedded in the half-section concrete while the remaining portion is exposed upward and connected to a cast-in-place concrete floor slab to be poured later; and the upper side of the web to which the half-section deck is connected includes connecting grooves that are sunken downwar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connecting protrusions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grooves.
상기 결합요홈은 상측인 입구의 하측에 폭이 넓은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는 상측인 머리의 하측에 폭이 좁은 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joining groov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wide extension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inlet, and the joining projection has a narrow neck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head.
상기 결합요홈은 중앙의 하부수평면과 상기 하부수평면의 전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하부호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부는 중앙의 상부수평면과 상기 상부수평면의 전후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상부호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호면과 상기 상부호면은 상기 하부호면과 상기 상부호면을 상하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부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joining groove may include a lower horizontal plane at the center and a lower arc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horizontal plane, the joining projection may include an upper horizontal plane at the center and an upper arc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plane, and the lower arc and the upper ar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nd surface that cuts the lower arc and the upper arc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하부호면은 상기 하부수평면 전후단부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곡율반경이 단계적으로 점차 감소하고, 상기 상부호면은 상기 상부수평면 전후단부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곡율반경이 단계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bove lower surfac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gradually decreases in steps as it goes upward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horizontal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gradually decreases in steps as it goes downward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surface.
상기 합성철근은 상기 결합요홈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반단면복부의 폭 내에서 상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반단면콘크리트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다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중앙부쪽으로 연장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반단면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제1 합성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bove synthetic reinforcing bar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rst synthetic reinforcing bar that extends transversely from the joining groove, bends upward within the width of the half-section web,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half-section concrete, is bent again horizontally, extends toward the center, and is then bent again downward to be embedded in the half-section concrete.
상기 역T형강재의 전후 양 단부 또는 일 단부에는 상기 결합요홈들과 결합돌부들 없이 상기 복부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ends or one end of the above-mentioned T-shaped steel member may include an upper flange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to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without the above-mentioned joining grooves and joining projections.
상기 역T형강재는 횡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히 설치된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T-shaped steel memb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of them are install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 제작 방법은, 하부플랜지와 상기 하부플랜지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복부를 포함하는 역T형강재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역T형강재의 복부 상부에 일체로 결합된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반단면데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반단면데크는, 상기 역T형강재의 복부 상부에서 좌우방향인 횡방향 양측으로 연장된 반단면플랜지와 상기 반단면플랜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부에 결합된 반단면복부를 포함하는 반단면콘크리트와, 상기 반단면콘크리트에 일부 매설됨과 동시에 나머지 일부는 상측으로 노출되어 추후 타설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바닥판과 결합되는 합성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역T형강재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복부의 상측에는 하측으로 함몰되데 전후 방향인 종 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된 결합요홈들과, 상기 결합요홈들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결합돌부들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for rapid bridge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anufacturing an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including a lower flange and a web vertically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flange; A step of forming a half-section deck of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of the above-mentioned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wherein the half-section deck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cludes: a half-section flange extending in both transverse directions from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of the above-mentioned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and a half-section we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alf-section flange and connected to the abdomen; and a synthetic reinforcing bar partially embedded in the half-section concrete while the remaining portion is exposed upward and connected to a cast-in-place concrete floor slab to be poured later; and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above-mentioned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ocess of forming coupling grooves formed longitudin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recessed downward on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and coupling protrusion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grooves.
상기 결합요홈은 상측인 입구의 하측에 폭이 넓은 형상으로서, 중앙의 하부수평면과 상기 하부수평면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하부호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호면은 상기 하부수평면 양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곡율반경이 단계적으로 점차 감소하고, 상기 결합돌부는 상측인 머리 하측에 폭이 좁은 형상으로서, 중앙의 상부수평면과 상기 상부수평면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상부호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호면은 상기 상부수평면 양단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곡율반경이 단계적으로 점차 감소하고, 상기 하부호면과 상기 상부호면은 상기 하부호면과 상기 상부호면을 상하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부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joining groove has a wide shape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entrance, including a lower horizontal plane in the center and a lower arc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lower horizontal plane, and the lower arc has a curvature radius that gradually decreases in steps as it goes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lower horizontal plane, and the joining projection has a narrow shape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head, including an upper horizontal plane in the center and an upper arc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plane, and the upper arc has a curvature radius that gradually decreases in steps as it goes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plane, and the lower arc and the upper ar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nd surface that cuts the lower arc and the upper arc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역T형강재 복부의 결합요홈, 결합돌부 및 단부면의 제작은 상기 역T형강재의 전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상기 하부수평면 상기 하부호면 상기 상부호면 상기 상부수평면 상기 상부호면 상기 하부호면 상기 하부수평면 순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수평면 상기 상부호면 상기 하부호면 상기 하부수평면 상기 하부호면 상기 상부호면 상기 상부수평면 순으로 수행하고, 상기 단부면은 상기 수행을 모두 진행한 후 하거나 또는 도중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of the joining groove, joining projection and end face of the above-mentioned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s we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lower horizontal plane, lower arc surface, upper arc surface, upper horizontal plane, upper arc surface, lower arc surface, and lower horizontal plane from one front side to the other front side of the above-mentioned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or in the order of the upper horizontal plane, upper arc surface, lower arc surface, lower horizontal plane, lower arc surface, upper arc surface, and upper horizontal plane, and the end face is performed after all of the above-mentioned performances are performed or is performed during the process.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가 특수 커팅된 역T형강재 상부에 반단면데크를 미리 합성함으로써, 활용도가 낮은 상부 플랜지를 제거하여 강재를 절약함과 동시에 상부는 콘크리트를 하부는 강재를 배치하여 부재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시공 중 휨에 의한 강재의 국부좌굴이나 횡비틀림좌굴이 방지되며, 별도의 전단연결재 없이도 역T형강재와 반단면데크 사이에 충분한 수평 전단강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강재가 절약되고, 교량 상부구조의 시공 중 바닥판 거푸집 설치단계 등이 불필요함으로써, 현장 시공 단계가 축소되어 간편하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ynthesizing a half-section deck on top of a specially cut inverted T-shaped steel, the upper flange with low utilization is eliminated, thereby saving steel, and at the same time, by arranging concrete on the upper part and steel on the lower part, efficiency of the member is promoted, local buckling or lateral torsional buckling of the steel due to bending during construction is prevented, and sufficient horizontal shear strength is secured between the inverted T-shaped steel and the half-section deck without a separate shear connector, while saving steel, and since the stage of installing floor slab formwork during construction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is unnecessary, the on-site construction stage is reduced, enabling simple and rapid construction.
또한, 하부에 역T형강재의 강재 단면만이 존재하므로, 균열의 제한 같은 사용한계상태의 제한조건이 단면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고, 극한한계상태에서 단면이 결정되므로 하부 역T형강재 단면만을 완전하게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only the steel cross-section of the lower inverted T-shaped steel exists, the constraints of the usable limit state, such as crack limitation, do not affect the determination of the cross-section, and since the cross-section is determined in the ultimate limit state, only the lower inverted T-shaped steel cross-section can be fully utilized.
또한, 인장측은 강재 단면으로만 저항하기 때문에 강연선 등이 필요 없고 콘크리트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대비 크리프 및 건조수축의 영향이 작다.In addition, since the tensile side resists only with the steel cross-section, there is no need for steel wires, and the amount of concrete is relatively small, so the effects of creep and shrinkage are small compared to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도 1은 일반적인 정모멘트부 단면
도 2a는 본 발명의 역T형강재의 복부 상부에 결합요홈들과 결합돌부들을 형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횡단면도, 측면도, 확대도
도 2b는 본 발명의 역T형강재의 복부 상부에 형성된 결합요홈들과 결합돌부들의 상세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역T형강재가 하나인 단일타입과 2개인 더블타입의 횡단면도 및 측면도
도 3b은 본 발명의 역T형강재가 하나인 단일타입의 사시도
도 4a, 4b, 4c는 본 발명의 역T형강재의 단일타입과 더블타입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과 합성철근을 배근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및 사시도
도 5a, 5b는 본 발명의 교대 상측에 거치되는 지점부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설치 및 철근 배근 모습을 보여주는 단일타입과 더블타입의 단면도
6은 본 발명의 거푸집의 일례의 분해 단면도
도 7a, 7b는 본 발명의 단일타입과 더블타입의 역T형강재 상부에 반단면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a, 8b는 본 발명의 교대 상측에 거치되는 지점부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단일타입의 역T형강재 상부에 반단면콘크리트 및 합성철근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단일타입의 역T형강재 상부에 반단면콘크리트 및 합성철근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c는 본 발명의 더블타입의 역T형강재 상부에 반단면콘크리트 및 합성철근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a, 10b는 본 발명의 교대 상측에 거치되는 지점부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a, 11b는 본 발명의 역T형강재 상부에 반단면콘크리트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와 교대 상측에 거치되는 지점부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의 하부플랜지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a, 12b, 12c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시공한 교량의 횡단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Figure 1 is a cross-section of a typical positive moment section.
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ide view, and enlarged view showing the formation of joining grooves and joining projections on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drawing showing the details of the joining grooves and joining projection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side view of a single type and a double type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ngle type of reverse T-shaped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4b, and 4c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formwork and synthetic reinforcing bars arranged for manufacturing single and double types of reverse T-shaped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and 5b are single-type and double-typ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formwork installation and reinforcement arrangement for manufacturing a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of a branch section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alterna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pouring of half-section concrete on top of single-type and double-type reverse T-shaped steel mem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 and 8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pouring of concrete to form a composite structure of a steel half-section deck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alterna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alf-section concrete and synthetic steel bars installed on top of a single type of reverse T-shaped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lf-section concrete and synthetic steel bars installed on top of a single type of reverse T-shaped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alf-section concrete and synthetic steel bars installed on top of a double-type reverse T-shaped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0a and 10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mposite structure of a half-section steel deck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alterna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1a and 11b are sid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half-section concret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verse T-shaped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d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concrete pour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flange of the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of the steel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butment.
Figures 12a, 12b, and 12c are cross-sectional views, side views, and plan views of a bridge constructe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Also, i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for rapid construction of a bridg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a는 본 발명의 역T형강재의 복부 상부에 결합요홈들과 결합돌부들을 형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횡단면도, 측면도, 확대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역T형강재의 복부 상부에 형성된 결합요홈들과 결합돌부들의 상세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역T형강재가 하나인 단일타입과 2개인 더블타입의 횡단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b은 본 발명의 역T형강재가 하나인 단일타입의 사시도이고, 도 4a, 4b, 4c는 본 발명의 역T형강재의 단일타입과 더블타입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과 합성철근을 배근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5a, 5b는 본 발명의 교대 상측에 거치되는 지점부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설치 및 철근 배근 모습을 보여주는 단일타입과 더블타입의 단면도이고, 6은 본 발명의 거푸집의 일례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7a, 7b는 본 발명의 단일타입과 더블타입의 역T형강재 상부에 반단면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a, 8b는 본 발명의 교대 상측에 거치되는 지점부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의 단일타입의 역T형강재 상부에 반단면콘크리트 및 합성철근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단일타입의 역T형강재 상부에 반단면콘크리트 및 합성철근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c는 본 발명의 더블타입의 역T형강재 상부에 반단면콘크리트 및 합성철근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0a, 10b는 본 발명의 교대 상측에 거치되는 지점부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1a, 11b는 본 발명의 역T형강재 상부에 반단면콘크리트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와 교대 상측에 거치되는 지점부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의 하부플랜지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12a, 12b, 12c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시공한 교량의 횡단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a side view, and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forming joining grooves and joining projections on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drawing showing the detailed appearance of the joining grooves and joining projection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side view of a single type of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ouble type of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ngle type of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4b, and 4c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a formwork and composite reinforcing bars for manufacturing the single type and the double type of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single type and a double type showing the appearance of formwork installation and reinforcing bars for manufacturing a support section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n abu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view of an example of a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pouring of half-section concrete on top of single-type and double-typ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a and 8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pouring of concrete to form a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of a support section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an abu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alf-section concrete and synthetic reinforcing bars installed on top of a single-typ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lf-section concrete and synthetic reinforcing bars installed on top of a single-typ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alf-section concrete and synthetic reinforcing bars installed on top of a double-typ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a and 10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of a support section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an abu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a and 11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ross-section of a steel deck composite structure of a support section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an abu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half-section concret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an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and a sid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concrete pour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flange of a half-section steel deck composite structu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an abutment, and FIGS. 12a, 12b, and 12c are a cross-sectional view,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a bridge constructe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는, 하부플랜지(12)와 상기 하부플랜지(12)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복부(14)를 포함하는 역T형강재(10); 상기 역T형강재(10)의 복부(14) 상부에 일체로 결합된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반단면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반단면데크는, 상기 역T형강재(10)의 복부(14) 상부에서 좌우방향인 횡방향 양측으로 연장된 반단면플랜지와 상기 반단면플랜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부(14)에 결합된 반단면복부를 포함하는 반단면콘크리트(22)와, 상기 반단면콘크리트(22)에 일부 매설됨과 동시에 나머지 일부는 상측으로 노출되어 추후 타설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바닥판과 결합되는 합성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반단면데크가 결합되는 상기 복부(14)의 상측에는 하측으로 함몰되데 전후 방향인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결합요홈(142)들과, 상기 결합요홈(142)들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결합돌부(144)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for rapid construction of a bridg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including a lower flange (12) and a web (14) vert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lange (12); The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d concrete half-section deck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bdomen (14)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wherein the half-section deck comprises: a half-section flange extending in both transverse direction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bdomen (14)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half-section web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alf-section flange and connected to the abdomen (14); and a composite reinforcing bar partially embedded in the half-section concrete (22) while the remaining portion is exposed upward and connected to a cast-in-place concrete floor slab to be poured lat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abdomen (14) to which the half-section deck is connected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grooves (142) that are sunken downwar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connecting protrusions (144)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grooves (142).
상기 역T형강재(10)는 종방향으로 길이가 긴 평판 형상의 하부플랜지(12)와, 상기 하부플랜지(12) 중앙 상측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용접 등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종방향으로 길이가 긴 평판 형상의 복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reverse T-shaped steel member (10) may include a longitudinally long flat plate-shaped lower flange (12) and a longitudinally long flat plate-shaped abdomen (14) that is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upper center of the lower flange (12) and joined by welding or the like.
상기 반단면데크는 역T형강재(10)의 복부(14) 상부에 일체로 결합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로서, 복부(14) 상부에서 좌우방향인 횡방향 양측으로 연장된 반단면플랜지와 반단면플랜지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부(14)에 결합된 반단면복부를 포함하는 반단면콘크리트(22)와, 반단면콘크리트(22)에 일부 매설됨과 동시에 나머지 일부는 상측으로 노출되어 추후 타설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바닥판 등과 결합되는 합성철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단면복부는 교대 상측의 지점부에서는 하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half-section deck is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web (14)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and may include a half-section flange extending in both transverse directions from the upper part of the web (1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half-section flang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half-section flange and a half-section web portion connected to the web (14), and a synthetic reinforcing bar partially embedded in the half-section concrete (22) while the remaining portion is exposed upward and connected to a cast-in-place concrete floor slab to be poured later. The half-section web portion may be further extended downward at a support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abutment.
상기 반단면플랜지와 반단면복부 사이 모서리 부위에 구비되어 연결 부위를 보강하는 헌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헌치부는 반단면복부 양측이면서 반단면플랜지 하측에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pur part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above-mentioned half-section flange and the half-section abdomen to reinforce the connection portion. The spur part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on both sides of the half-section abdomen and on the lower side of the half-section flange.
도 2a, 2b를 참조하면, 상기 반단면데크가 결합되는 복부(14)의 상측에는 하측으로 함몰되데 전후 방향인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결합요홈(142)들과, 상기 결합요홈(142)들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결합돌부(144)들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upper side of the abdomen (14) to which the semi-sectional deck is coupled may include coupling grooves (142)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are sunken downward, and coupling protrusions (144) formed between the coupling grooves (142).
상기 결합요홈(142)은 상측인 입구의 하측에 폭이 넓은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144)는 상측인 머리의 하측에 폭이 좁은 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결합요홈(142)과 결합돌부(144)는 역T형강재(10)와 반단면콘크리트(22) 및 합성철근과의 결합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즉, 하측이 넓은 결합요홈(142) 내에 합성철근과 반단면콘크리트(22)가 위치하여 결합 및 부착됨으로써 전단강도가 크게 증대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joining groove (142) may have a wide extens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entrance, and the joining projection (144) may have a narrow neck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head. The joining groove (142) and the joining projection (144) of such shapes may greatly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the half-section concrete (22), and the synthetic reinforcing bar. In other words, the synthetic reinforcing bar and the half-section concrete (22) are positioned and bonded within the joining groove (142) with the lower side being wide, so that the shear strength may greatly increase.
상기 결합요홈(142)은 중앙의 하부수평면(1422)과 상기 하부수평면(1422)의 전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하부호면(1424)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부(144)는 중앙의 상부수평면(1442)과 상기 상부수평면(1442)의 전후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상부호면(1444)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호면(1424)과 상부호면(1444)은 하부호면(1424)과 상부호면(1444)을 상하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부면(1446)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joining groove (142) includes a lower horizontal plane (1422) at the center and a lower arc surface (1424)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horizontal plane (1422), and the above-mentioned joining projection (144) includes an upper horizontal plane (1442) at the center and an upper arc surface (144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plane (1442), and the lower arc surface (1424) and the upper arc surface (1444)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nd surface (1446) cutting the lower arc surface (1424) and the upper arc surface (1444)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결합요홈(142)과 결합돌부(144)는 강판을 레이져 커팅 등으로 절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도면 2a에서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등의 순서로 레이져 커팅으로 절단 작업을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팅은 상기 작업으로 완성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이어진 부분이 있는 경우 중간 중간에 또는 마지막에 추가로 커팅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강판의 커팅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커팅 작업은 커팅기에 프로그램을 입력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joining groove (142) and joining projection (144) can be formed by cutting the steel plate with laser cutting, etc. That is, the cutting work can be formed by performing the cutting work with laser cutting in the order of ①, ②, ③, ④, ⑤, ⑥, ⑦, etc. in Drawing 2a. In addition, the cutting can be completed with the above-mentioned work, or, if there is a partially connected part, additional cutting can be performed in the middle or at the end. This work can greatly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teel plate cutting work. In addition, the cutting work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inputting a program into the cutting machine.
상기 하부호면(1424)은 하부수평면(1422) 전후단부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곡율반경이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점차 감소하고, 상기 상부호면(1444)은 상기 상부수평면(1442) 전후단부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곡율반경이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점차 감소할 수 있다.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wer surface (1424) may gradually decrease in steps or continuously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horizontal surface (1422)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upper surface (1444) may gradually decrease in steps or continuously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surface (1442) toward the lower side.
상측으로 갈수록 곡율반경이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하부호면(1424)은 내부에 설치되는 합성철근이 역T형강재(10)에 구조적으로 결합되게 하고, 또한 내부에 위치하는 반단면콘크리트(22)가 견고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구조적 결합되게 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1424) whose radius of curvature gradually decreases stepwise or continuously as it goes upward allows the synthetic reinforcing bars installed inside to be structurally connected to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and also allows the half-section concrete (22) located inside to be firmly attached and structurally connected at the same time.
상기 하측으로 갈수록 곡율반경이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상부호면(1444)은 자중과 사하중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반단면콘크리트(22)와의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응력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1444) whose radius of curvature gradually or continuously decreases as it goes downward can alleviate stress concentration that may occur between it and the half-section concrete (22) due to self-weight, dead load, etc.
또한, 상기 하부호면(1424)과 상부호면(1444)은 하부호면(1424)과 상부호면(1444)을 상하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부면(1446)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단부면(1446)은 하부호면(1424)과 상부호면(1444)이 뽀쪽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 중의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뽀쪽부의 파손, 응력집중 등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1424) and the upper surface (1444)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nd surface (1446) that cuts the lower surface (1424) and the upper surface (1444)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end surface (1446) prevents the lower surface (1424) and the upper surface (1444) from being formed sharply,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of workers during construction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sharp part, stress concentration, etc.
도 3 등을 참조하면, 상기 역T형강재(10)는 횡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히 설치된 2 이상일 수 있다. 즉,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 이상의 역T형강재(10) 상측에 하나의 반단면데크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T형강재(10)를 2 이상으로 함으로써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의 하부플랜지(12)와 복부(14)를 용이하게 보강하거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2 이상의 역T형강재(10) 사이에는 연결판을 설치하여 용접, 볼트 등으로 상호 결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etc., the number of the reverse T-shaped steel members (10) may be two or more, spaced apa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nstalled side by side. That is, one half-section deck may be joined to the upper side of two or more reverse T-shaped steel members (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making the number of the reverse T-shaped steel members (10) two or more, the lower flange (12) and the web (14) of the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may be easily reinforced or the rigidity may be increased. A connecting plate may be installed between two or more reverse T-shaped steel members (10) so that they may be mutually joined by welding, bolts, etc.
도 4 등을 참조하면, 상기 합성철근은 상기 결합요홈(142)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반단면복부의 폭 내에서 상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반단면콘크리트(22)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다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중앙부쪽으로 연장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반단면콘크리트(22)에 매설되는 제1 합성철근(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합성철근(242)은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의 중앙부에서의 역T형강재(10)와 반단면콘크리트(22) 및 추후 타설되는 바닥판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etc., the composite reinforcing bar may include a first composite reinforcing bar (242) that extends laterally from the joining groove (142), then bends and extends upward within the width of the half-section web,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half-section concrete (22), is bent agai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xtends toward the center, and then is bent and extended downward again to be embedded in the half-section concrete (22). The first composite reinforcing bar (242) may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inverted T-shaped steel (10) and the half-section concrete (22) at the center of the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and the floor slab concrete to be poured later.
또한, 합성철근은 반단면복부내에서 지그재그 형상의 요철부를 형성하면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후, 측면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이후 반단면콘크리트(22) 상측으로 노출되고, 다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측면 외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반단면콘크리트(22)에 매설되는 제2 합성철근(2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합성철근(244)은 반단면복부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반단면복부의 양측 반단면플랜지를 반단면복부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함과 동시에 반단면플랜지와 추후 타설되는 바닥판 콘크리트가 견고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nthetic reinforcing bar may include a second synthetic reinforcing bar (244) that extends laterally while forming a zigzag-shaped uneven portion within the half-section web, then extends obliquely upward along the side surface, is then exposed above the half-section concrete (22), is bent again horizontally, extends outward along the side surface, and is then bent downward again to be embedded in the half-section concrete (22). The second synthetic reinforcing bar (244) may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half-section web, firmly connect the half-section flanges on both sides of the half-section web to the half-section web, and firmly connect the half-section flanges to the floor slab concrete that is poured later.
또한, 합성철근은 반단면콘크리트(22)의 상측에 좌우로 길게 연장된 후, 양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제3 합성철근(2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합성철근(246)은 반단면데크에 설치되는 종방향 철근을 지지 고정하고, 동시에 반단면콘크리트(22)의 횡방향 휨에 대응함과 동시에 반단면플랜지와 추후 타설되는 바닥판 콘크리트가 견고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nthetic reinforcing bar may include a third synthetic reinforcing bar (246) that is installed so that it is long and extends left and 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half-section concrete (22) and is exposed upward at both ends. The third synthetic reinforcing bar (246) supports and fixes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bar installed on the half-section deck, and at the same time, responds to the transverse bending of the half-section concrete (22), and firmly bonds the half-section flange and the floor slab concrete that is poured later.
도 4, 5, 6 등을 참조하면, 상기 반단면데크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은 상기 역T형강재(10)의 좌측과 우측에 접하여 설치되면서 상기 반단면데크의 중앙부 하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내측거푸집(32), 상기 한 쌍의 내측거푸집(32)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반단면데크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외측거푸집(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거푸집(34)은 상기 내측거푸집(32)의 상측을 감싸는 상부판과 상기 내측거푸집(32)의 하측을 감싸는 하부판을 포함하여 슬라이딩하면서 거푸집의 폭을 증감시킬 수 있다. 즉, 내측거푸집(32)의 양측 단부는 외측거푸집(34)의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신축하면서 거푸집의 폭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거푸집으로 다양한 폭의 반단면데크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내측거푸집(32)은 중앙이 분리된 것으로 역T형강재(10)의 좌측과 우측에 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내측거푸집(32)과 한 쌍의 외측거푸집(34) 하측에는 거푸집을 지지하는 기둥을 삽입하는 기둥 구속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기둥 구속 돌기에 기둥을 삽입하여 손쉽게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다.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거푸집 지지 기둥을 제거하고, 한 쌍의 외측거푸집(34)을 좌우로 인출한 후 한 쌍의 내측거푸집(32)을 하측으로 분리함으로써 거푸집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외측거푸집(34)의 하부판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고정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구는 외측거푸집(34)을 내측거푸집(32)에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내측거푸집(32)과 역T형강재(10)의 하부플랜지(12) 사이에 설치되는 거푸집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푸집 브라켓은 내측거푸집(32)에 설치되는 상부힌지, 하부플랜지(12)에 설치되는 하부힌지, 상기 상부힌지와 하부힌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힌지와 하부힌지 및 길이조절봉을 하부플랜지(12)에 대한 내측거푸집(32)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역T형강재(10)의 높이, 반단면데크의 설치 높이 등을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5, and 6, the formwork for forming the half-section deck may include a pair of inner formworks (32) that ar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half-section deck, and a pair of outer formworks (34) that are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ir of inner formworks (32)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half-section deck. The outer formwork (34) includes an upper plate that wraps around the upper side of the inner formwork (32) and a lower plate that wraps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inner formwork (32), and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width of the formwork by sliding. That is, both ends of the inner formwork (32) are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of the outer formwork (34) to easily adjust the width of the formwork by sliding and expand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rm a half-section deck of various widths with a single formwork. A pair of inner formwork (32) is separated in the center and can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In addition, a column restraining projection for inserting a column supporting the formwork can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a pair of inner formwork (32) and a pair of outer formwork (34). The formwork can be easily installed by inserting a column into the column restraining projection. After the concrete has hardened, the formwork support columns are removed, the pair of outer formworks (34) are pulled out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n the pair of inner formworks (32) are separated downward, thereby easily removing the formwork. Fixtures that are screw-connected by penetrating the lower plate of the outer formwork (34) may be further included. The fixings can be installed to fix the outer formwork (34) to the inner formwork (32) so that it does not move. In addition, a formwork bracket installed between the inner formwork (32) and the lower flange (12)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formwork bracket may include an upper hinge installed on the inner formwork (32), a lower hinge installed on the lower flange (12), and a length-adjusting rod installed between the upper hinge and the lower hinge, the length of which can be adjusted. The upper hinge, the lower hinge, and the length-adjusting rod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inner formwork (32) with respect to the lower flange (12).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half-section deck, etc. can be adjusted very easily.
도 11, 12 등을 참조하면, 상기 역T형강재(10)의 전후 단부 또는 일 단부에는 상기 결합요홈(142)들과 결합돌부(144)들 없이 상기 복부(14)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요홈(142)들과 결합돌부(144)들 없는 단부 형상은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역T형강재(10) 상호간의 결합에 사용될 수 있다. 역T형강재(10) 상호간의 결합은, 종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역T형강재(10)의 복부(14)와 플랜지에 연결덧판 등을 설치한 후 볼트, 용접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 and 12, etc., the front and rear ends or one end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may include an upper flange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14) without the joining grooves (142) and joining protrusions (144). In this way, the end shape without the joining grooves (142) and joining protrusions (144) may be used for joining vertically adjacent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s (10). The joining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s (10) may be accomplished by installing a connecting plate, etc., on the abdomens (14) and flanges of the longitudinally adjacent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s (10) and then joining them by means of bolts, welding, etc.
도 3, 12 등을 참조하면, 역T형강재(10)의 복부(14)에는 횡방향으로 연결부재를 용접 등으로 결합해 둘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역T형강재(10) 상호간을 결합하는 가로보를 결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12, a connecting member can be joined transversely to the abdomen (14)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by welding, etc. A crossbeam that connects adjacent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s (10) transversely can be joined to the connecting member.
도 5 등을 참조하면, 연속교의 교대 상측인 연속 지점부의 경우 상기 결합요홈(142)들과 결합돌부(144)들 없는 I형강재(H형강재 포함)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부모멘트를 받는 지점부의 경우, 결합요홈(142)들과 결합돌부(144)들 없이 상부플랜지가 형성되고, 하부플랜지 상측에 하부플랜지콘크리트가 미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I형강재도 횡방향으로 이격된 2 이상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etc., in the case of the continuous support portion, which is the upper side of the alternating bridge, I-shaped steel (including H-shaped steel) without the above-mentioned joining grooves (142) and joining projections (144) can be us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support portion receiving the parent moment, the upper flange can be formed without the joining grooves (142) and joining projections (144), and the lower flange concrete can be formed in advance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lange. The above-mentioned I-shaped steel can also be installed in parallel with two or more horizontally spaced apart.
이하,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생략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가 참조될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for rapid bridge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is embodiment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omitted. The omitted description may refe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 제작 방법은, 하부플랜지(12)와 상기 하부플랜지(12)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복부(14)를 포함하는 역T형강재(10)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역T형강재(10)의 복부(14) 상부에 일체로 결합된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반단면데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반단면데크는, 상기 역T형강재(10)의 복부(14) 상부에서 좌우방향인 횡방향 양측으로 연장된 반단면플랜지와 상기 반단면플랜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부(14)에 결합된 반단면복부를 포함하는 반단면콘크리트(22)와, 상기 반단면콘크리트(22)에 일부 매설됨과 동시에 나머지 일부는 상측으로 노출되어 추후 타설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바닥판과 결합되는 합성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역T형강재(10)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복부(14)의 상측에는 하측으로 함몰되데 전후 방향인 종 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된 결합요홈(142)들과, 상기 결합요홈(142)들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결합돌부(144)들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for rapid bridge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anufacturing an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including a lower flange (12) and a web (14) vertically join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lange (12); A step of forming a half-section deck of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14) of the above-mentioned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wherein the half-section deck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comprises: a half-section flange extending in both transverse directions from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14) of the above-mentioned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half-section we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alf-section flange and connected to the abdomen (14); and a synthetic reinforcing bar partially embedded in the half-section concrete (22) while the remaining portion is exposed upward and connected to a cast-in-place concrete floor slab to be poured later; and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above-mentioned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comprises: a plurality of connecting grooves (142) formed longitudin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and recessed downward on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14);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grooves (142)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grooves (142). It can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ocess of forming joining protrusions (144).
상기 결합요홈(142)은 상측인 입구의 하측에 폭이 넓은 형상으로서, 중앙의 하부수평면(1422)과 상기 하부수평면(1422)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하부호면(1424)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호면(1424)은 상기 하부수평면(1422) 양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곡율반경이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점차 감소하고, 상기 결합돌부(144)는 상측인 머리 하측에 폭이 좁은 형상으로서, 중앙의 상부수평면(1442)과 상기 상부수평면(1442)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상부호면(1444)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호면(1444)은 상기 상부수평면(1442) 양단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곡율반경이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점차 감소하고, 상기 하부호면(1424)과 상기 상부호면(1444)은 상기 하부호면(1424)과 상기 상부호면(1444)을 상하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부면(1446)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joining groove (142) has a wide shape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entrance, and includes a lower horizontal plane (1422) in the center and a lower arc (1424)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lower horizontal plane (1422), and the lower arc (1424) has a curvature radius that gradually decreases in steps or continuously as it goes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lower horizontal plane (1422), and the joining projection (144) has a narrow shape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head, and includes an upper horizontal plane (1442) in the center and an upper arc (1444)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plane (1442), and the upper arc (1444) has a curvature radius that gradually decreases in steps or continuously as it goes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plane (1442), and the lower arc (1424) and the The upper surface (1444)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1424) by an end surface (1446) that cuts the upper surface (1444)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역T형강재(10) 복부(14)의 결합요홈(142), 결합돌부(144) 및 단부면(1446)의 제작은 상기 역T형강재(10)의 전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상기 하부수평면(1422) 하부호면(1424) 상부호면(1444) 상부수평면(1442) 상부호면(1444) 하부호면(1424) 하부수평면(1422) 순으로 커팅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2a의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등의 순서로 레이져 커팅으로 절단 작업을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팅은 상기 작업으로 완성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이어진 부분이 있는 경우 중간 중간에 또는 마지막에 추가로 커팅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강판의 커팅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커팅 작업은 커팅기에 프로그램을 입력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상부수평면(1442) 상부호면(1444) 하부호면(1424) 하부수평면(1422) 하부호면(1424) 상부호면(1444) 상부수평면(1442) 순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단부면(1446)은 상기 수행을 모두 진행한 후 하거나 또는 도중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역T형강재(10)의 일측 단부에서 상부수평면(1442)과 동일한 높이의 단부수평면을 길게 형성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요홈(142), 결합돌부(144) 및 단부면(1446)을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역T형강재(10)의 타측 단부에서 상부수평면(1442)과 동일한 높이의 단부수평면을 길게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manufacturing of the joining groove (142), the joining projection (144), and the end face (1446) of the abdomen (14)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can be performed by cutting in the order of the lower horizontal plane (1422), the lower arc surface (1424), the upper arc surface (1444), the upper horizontal plane (1442), the upper arc surface (1444), the lower arc surface (1424), and the lower horizontal plane (1422)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That is, the cut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order of ①, ②, ③, ④, ⑤, ⑥, ⑦, etc. of FIG. 2a using laser cutting to form the cutt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cutting can be completed by the above operation, or, if there is a partially connected portion, additional cutting can be performed in the middle or at the end. Such an operation can greatly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utting operation of the steel plate. In addition, the cut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inputting a program into the cutting machine. As another example, the cut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upper horizontal plane (1442), upper arc surface (1444), lower arc surface (1424), lower horizontal plane (1422), lower arc surface (1424), upper arc surface (1444), upper horizontal plane (1442). The end surface (1446) can be performed after all of the above operations are performed or during the process. In addition, after forming a long end horizontal plane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horizontal plane (1442) at one end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the joining groove (142), the joining projection (144), and the end surface (1446) as described above are formed, and finally, the end horizontal plane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horizontal plane (1442) can be formed long at the other end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도 4, 5, 6 등을 참조하면, 반단면데크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반단면데크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은 역T형강재(10)의 좌측과 우측에 접하여 설치되면서 반단면데크의 중앙부 하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내측거푸집(32), 상기 한 쌍의 내측거푸집(32)의 외측에 설치되어 반단면데크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외측거푸집(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거푸집(34)은 상기 내측거푸집(32)의 상측을 감싸는 상부판과 상기 내측거푸집(32)의 하측을 감싸는 하부판을 포함하여 슬라이딩하면서 거푸집의 폭을 증감시킬 수 있다. 즉, 내측거푸집(32)의 양측 단부는 외측거푸집(34)의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신축하면서 거푸집의 폭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거푸집으로 다양한 폭의 반단면데크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내측거푸집(32)은 중앙이 분리된 것으로 역T형강재(10)의 좌측과 우측에 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내측거푸집(32)과 한 쌍의 외측거푸집(34) 하측에는 거푸집을 지지하는 기둥을 삽입하는 기둥 구속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기둥 구속 돌기에 기둥을 삽입하여 손쉽게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다.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거푸집 지지 기둥을 제거하고, 한 쌍의 외측거푸집(34)을 좌우로 인출한 후 한 쌍의 내측거푸집(32)을 하측으로 분리함으로써 거푸집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외측거푸집(34)의 하부판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고정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구는 외측거푸집(34)을 내측거푸집(32)에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내측거푸집(32)과 역T형강재(10)의 하부플랜지(12) 사이에 설치되는 거푸집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푸집 브라켓은 내측거푸집(32)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힌지, 하부플랜지(12)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힌지, 상기 상부힌지와 하부힌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힌지와 하부힌지 및 길이조절봉은 하부플랜지(12)에 대한 내측거푸집(32)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역T형강재(10)의 높이에 관계 없이, 반단면데크의 설치 높이 등을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5, and 6, in the step of forming the half-section deck, the formwork for forming the half-section deck may include a pair of inner formworks (32) that ar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half-section deck, and a pair of outer formworks (34) that are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ir of inner formworks (32)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half-section deck. The outer formwork (34) includes an upper plate that wraps around the upper side of the inner formwork (32) and a lower plate that wraps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inner formwork (32), and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width of the formwork by sliding. That is, both ends of the inner formwork (32) are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of the outer formwork (34) so that the width of the formwork can be easily adjusted by sliding and expand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rm a half-section deck of various widths with a single formwork. A pair of inner formwork (32) is separated in the center and can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In addition, a column restraining projection for inserting a column supporting the formwork can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a pair of inner formwork (32) and a pair of outer formwork (34). The formwork can be easily installed by inserting a column into the column restraining projection. After the concrete has hardened, the formwork support columns are removed, the pair of outer formworks (34) are pulled out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n the pair of inner formworks (32) are separated downward, thereby easily removing the formwork. Fixtures that are screw-connected by penetrating the lower plate of the outer formwork (34) may be further included. The fixings can be installed to fix the outer formwork (34) to the inner formwork (32) so that it does not move. In addition, a formwork bracket installed between the inner formwork (32) and the lower flange (12)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formwork bracket may include an upper hinge fixedly installed to the inner formwork (32), a lower hinge fixedly installed to the lower flange (12), and a length-adjusting rod installed between the upper hinge and the lower hinge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The upper hinge, the lower hinge, and the length-adjusting rod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inner formwork (32) with respect to the lower flange (12). Therefore,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10),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half-section deck, etc. can be adjusted very easily.
상기 역T형강재(10)를 제작하는 단계와 반단면데크를 형성하는 단계는 공장에서 수행하고, 이후 반단면콘크리트(22)가 경화한 후 현장으로 운반할 수 있다.The steps of manufacturing the above-mentioned T-shaped steel member (10) and forming the half-section deck are performed at the factory, and after the half-section concrete (22) has hardened, it can be transported to the sit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configured or operated in one or more. In addition, the terms "include," "compose," or "have" described above,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and therefore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evant technology,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역T형강재
12: 하부플랜지
14: 복부
142: 결합요홈
1422: 하부수평면
1424: 하부호면
144: 결합돌부
1442: 상부수평면
1444: 상부호면
1446: 단부면
22: 반단면콘크리트
242: 제1 합성철근
244: 제2 합성철근
246: 제3 합성철근
32: 내측거푸집
34: 외측거푸집10: Inverted T-shaped steel
12: Lower flange
14: Abdomen
142: Combination groove
1422: Lower horizontal plane
1424: Lower surface
144: Combination stone
1442: Upper horizontal plane
1444: Upper surface
1446: Single-sided
22: Half-section concrete
242: 1st composite reinforcing bar
244: Second composite reinforcing bar
246: Third composite reinforcing bar
32: Inner formwork
34: Outer formwork
Claims (10)
상기 역T형강재의 복부 상부에 일체로 결합된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반단면데크;를 포함하고,
상기 반단면데크는, 상기 역T형강재의 복부 상부에서 좌우방향인 횡방향 양측으로 연장된 반단면플랜지와 상기 반단면플랜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부에 결합된 반단면복부를 포함하는 반단면콘크리트와, 상기 반단면콘크리트에 일부 매설됨과 동시에 나머지 일부는 상측으로 노출되어 추후 타설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바닥판과 결합되는 합성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반단면데크가 결합되는 상기 복부의 상측에는 하측으로 함몰되데 전후 방향인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결합요홈들과, 상기 결합요홈들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결합돌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요홈은 상측인 입구의 하측에 폭이 넓은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는 상측인 머리의 하측에 폭이 좁은 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요홈은 중앙의 하부수평면과 상기 하부수평면의 전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하부호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부는 중앙의 상부수평면과 상기 상부수평면의 전후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상부호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호면과 상기 상부호면은 상기 하부호면과 상기 상부호면을 상하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부면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호면은 상기 하부수평면 전후단부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곡율반경이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점차 감소하고, 상기 상부호면은 상기 상부수평면 전후단부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곡율반경이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점차 감소하고,
상기 합성철근은 상기 결합요홈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반단면복부의 폭 내에서 상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반단면콘크리트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다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중앙부쪽으로 연장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반단면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제1 합성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합성철근은 상기 반단면복부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후, 측면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이후 상기 반단면콘크리트 상측으로 노출되고, 다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측면 외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반단면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제2 합성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역T형강재의 전후 양 단부 또는 일 단부에는 상기 결합요홈들과 결합돌부들 없이 상기 복부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플랜지를 포함하는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An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including a lower flange and a web vertically join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lange;
It includes a half-section deck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of the above-mentioned reverse T-shaped steel member;
The above half-section deck includes a half-section flange extending in both transverse directions from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of the above-mentioned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a half-section flang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alf-section flange and connected to the abdomen, and a synthetic reinforcing bar partially embedded in the half-section concrete and partially exposed upward to be connected to a cast-in-place concrete floor slab to be poured later.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to which the above-mentioned half-section deck is joined includes connecting grooves that are sunken downward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connecting projections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grooves.
The above-mentioned joining groove has a wide extens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entrance, and the above-mentioned joining projection has a narrow neck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head.
The above-mentioned joining groove includes a lower horizontal plane in the center and a lower arc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horizontal plane,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n upper horizontal plane in the center and an upper arc surfac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plane,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nd surface that cuts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wer surface gradually decreases in steps or continuously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horizontal surface toward the upper surfac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upper surface gradually decreases in steps or continuously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surface toward the lower surface.
The above synthetic reinforcing bar includes a first synthetic reinforcing bar that extends transversely from the above joining groove, bends upward within the width of the half-section web,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half-section concrete, is bent again horizontally, extends toward the center, and is bent again downward to be embedded in the half-section concrete.
The above synthetic reinforcing bar includes a second synthetic reinforcing bar that extends laterally within the half-section web, then extends obliquely upwardly on the side, is then ex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lf-section concrete, is bent again horizontally, extends outwardly on the side, and is then bent downwardly again and embedded in the half-section concrete.
The front and rear ends or one end of the above-mentioned T-shaped steel member includes an upper flange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without the above-mentioned joining grooves and joining projections.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for rapid bridge construction.
상기 합성철근은 상기 반단면콘크리트의 상측에 좌우로 길게 연장된 후, 양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제3 합성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합성철근은 상기 반단면데크에 설치되는 종방향 철근을 지지 고정하고, 동시에 상기 반단면콘크리트의 횡방향 휨에 대응함과 동시에 상기 반단면플랜지와 추후 타설되는 상기 현장타설 콘크리트 바닥판과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는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In claim 1,
The above synthetic reinforcing bar includes a third synthetic reinforcing bar that is installed to be long and extended left and 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half-section concrete and exposed upward at both ends, and the third synthetic reinforcing bar supports and fixes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bar installed on the half-section deck, and at the same time responds to the transverse bending of the half-section concrete, and at the same time firmly connects the half-section flange with the on-site cast concrete floor slab that is poured later.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for rapid bridge construction.
상기 역T형강재는 횡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히 설치된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In any one of claims 1 to 2,
The above-mentioned reverse T-shaped steel members are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are install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for rapid bridge construction.
상기 역T형강재의 복부 상부에 일체로 결합된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반단면데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반단면데크는, 상기 역T형강재의 복부 상부에서 좌우방향인 횡방향 양측으로 연장된 반단면플랜지와 상기 반단면플랜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부에 결합된 반단면복부를 포함하는 반단면콘크리트와, 상기 반단면콘크리트에 일부 매설됨과 동시에 나머지 일부는 상측으로 노출되어 추후 타설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바닥판과 결합되는 합성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역T형강재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복부의 상측에는 하측으로 함몰되데 전후 방향인 종 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된 결합요홈들과, 상기 결합요홈들의 사이사이에 형성된 결합돌부들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요홈은 상측인 입구의 하측에 폭이 넓은 형상으로서, 중앙의 하부수평면과 상기 하부수평면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하부호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호면은 상기 하부수평면 양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곡율반경이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점차 감소하고,
상기 결합돌부는 상측인 머리 하측에 폭이 좁은 형상으로서, 중앙의 상부수평면과 상기 상부수평면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상부호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호면은 상기 상부수평면 양단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곡율반경이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점차 감소하고,
상기 하부호면과 상기 상부호면은 상기 하부호면과 상기 상부호면을 상하 방향으로 절단하는 단부면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합성철근은 상기 결합요홈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반단면복부의 폭 내에서 상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반단면콘크리트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다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중앙부쪽으로 연장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반단면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제1 합성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합성철근은 상기 반단면복부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후, 측면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이후 상기 반단면콘크리트 상측으로 노출되고, 다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측면 외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반단면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제2 합성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반단면데크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은 상기 역T형강재의 좌측과 우측에 접하여 설치되면서 상기 반단면데크의 중앙부 하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내측거푸집과 상기 한 쌍의 내측거푸집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반단면데크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외측거푸집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거푸집은 상기 내측거푸집의 상측을 감싸는 상부판과 상기 내측거푸집의 하측을 감싸는 하부판을 포함하여 슬라이딩하면서 폭을 증감시켜 다양한 폭의 상기 반단면데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 제작 방법.A step for manufacturing an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including a lower flange and a web vert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lange;
A step of forming a half-section deck of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of the above-mentioned reverse T-shaped steel member;
The above-mentioned half-section deck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comprises a half-section concrete including a half-section flange extending in both transverse directions from the upper part of the web of the above-mentioned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to the left and right, and a half-section we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alf-section flange and joined to the web, and a synthetic reinforcing bar partially embedded in the half-section concrete and partially exposed upward to be joined to a cast-in-place concrete floor slab to be poured later.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above-mentioned reverse T-shaped steel includes a process of forming connecting grooves formed longitudinal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abdomen and connecting protrusions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grooves.
The above-mentioned joining groove has a wide shape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entrance, and includes a lower horizontal plane in the center and a lower arc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lower horizontal plan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wer arc gradually decreases stepwise or continuously as it goes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lower horizontal plane.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protrusion has a narrow shape at the lower side of the head, and includes an upper horizontal plane in the center and an upper arc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plan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upper arc gradually decreases stepwise or continuously as it goes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horizontal plane.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nd surface that cuts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bove synthetic reinforcing bar includes a first synthetic reinforcing bar that extends transversely from the above joining groove, bends upward within the width of the half-section web,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half-section concrete, is bent again horizontally, extends toward the center, and is bent again downward to be embedded in the half-section concrete.
The above synthetic reinforcing bar includes a second synthetic reinforcing bar that extends laterally within the half-section web, then extends obliquely upwardly on the side, is then ex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lf-section concrete, is bent again horizontally, extends outwardly on the side, and is then bent downwardly again and embedded in the half-section concrete.
The formwork for forming the above-mentioned half-section deck includes a pair of inner formworks that ar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half-section deck, and a pair of outer formworks that are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above-mentioned pair of inner formworks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above-mentioned half-section deck, and the above-mentioned outer formwork includes an upper plate that wraps around the upper side of the above-mentioned inner formwork and a lower plate that wraps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above-mentioned inner formwork,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half-section deck can be formed with various widths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width while sliding.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for rapid bridge construction.
상기 합성철근은 상기 반단면콘크리트의 상측에 좌우로 길게 연장된 후, 양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제3 합성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합성철근은 상기 반단면데크에 설치되는 종방향 철근을 지지 고정하고, 동시에 상기 반단면콘크리트의 횡방향 휨에 대응함과 동시에 상기 반단면플랜지와 추후 타설되는 상기 현장타설 콘크리트 바닥판과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는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 제작 방법.In claim 8,
The above synthetic reinforcing bar includes a third synthetic reinforcing bar that is installed to be long and extended left and r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half-section concrete and exposed upward at both ends, and the third synthetic reinforcing bar supports and fixes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bar installed on the half-section deck, and at the same time responds to the transverse bending of the half-section concrete, and at the same time firmly connects the half-section flange with the on-site cast concrete floor slab that is poured later.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for rapid bridge construction.
상기 역T형강재 복부의 결합요홈, 결합돌부 및 단부면의 제작은 상기 역T형강재의 전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상기 하부수평면 상기 하부호면 상기 상부호면 상기 상부수평면 상기 상부호면 상기 하부호면 상기 하부수평면 순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수평면 상기 상부호면 상기 하부호면 상기 하부수평면 상기 하부호면 상기 상부호면 상기 상부수평면 순으로 수행하고, 상기 단부면은 상기 수행을 모두 진행한 후 하거나 또는 도중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한 강재 반단면 데크 합성구조 제작 방법.In claim 8,
The manufacturing of the joining groove, joining projection and end face of the above-mentioned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s abdomen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lower horizontal plane, lower arc surface, upper arc surface, upper horizontal plane, upper arc surface, lower arc surface, and lower horizontal plane from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above-mentioned inverted T-shaped steel member to the other side, or in the order of the upper horizontal plane, upper arc surface, lower arc surface, lower horizontal plane, lower arc surface, upper arc surface, and upper horizontal plane, and the end 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after all of the above-mentioned performances are performed or performed during the process.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half-section deck composite structure for rapid bridge constru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90958A KR102720602B1 (en) | 2023-12-26 | 2023-12-26 | Composite structure of steel semi-section deck for rapid construction of bridg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90958A KR102720602B1 (en) | 2023-12-26 | 2023-12-26 | Composite structure of steel semi-section deck for rapid construction of bridg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720602B1 true KR102720602B1 (en) | 2024-10-21 |
Family
ID=9328811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190958A Active KR102720602B1 (en) | 2023-12-26 | 2023-12-26 | Composite structure of steel semi-section deck for rapid construction of bridg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20602B1 (en) |
Citations (1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45448Y2 (en) * | 1988-10-06 | 1994-11-24 |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 Bridge structure |
| JP2002213047A (en) * | 2001-01-16 | 2002-07-31 | Nippon Steel Corp | Strip-shaped steel dowel, shaped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 using it |
| KR200348999Y1 (en) * | 2004-02-04 | 2004-04-29 | 이희현 | Dubel for composite structure |
| KR20050000295A (en) * | 2003-06-23 | 2005-01-03 | 도피겐세츠고교 가부시기가이샤 | A structure of connection portion between pre-cast concrete beam and concrete bottom plate in composite bridge |
| KR20090001754U (en) * | 2007-08-21 | 2009-02-25 | 비비엠코리아(주) | Grooved Shear Connector |
| KR20100065697A (en) * | 2008-12-08 | 2010-06-17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Shear connector of wave shape |
| KR101084736B1 (en) * | 2011-07-05 | 2011-11-22 | 이기홍 | Shear connector with position fixing means, girders with same an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m |
| KR20130090709A (en) * | 2012-02-06 | 2013-08-14 | 권희재 | Construction method for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
| KR101339827B1 (en) | 2012-12-03 | 2013-12-1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Shear connecting structure for concrete-steel gird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340507B1 (en) * | 2013-05-09 | 2014-01-02 | 심태무 | Pretension type composite girder and 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KR20180033743A (en) * | 2016-09-26 | 2018-04-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Steel and concretre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half-deck |
| KR101941705B1 (en) * | 2018-02-27 | 2019-01-23 | 김석희 | Light weight girder, bridge include this sam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bridge |
| KR20230057678A (en) * | 2021-10-22 | 2023-05-02 | 김상효 | Shear connector and shear resistance structure using the same |
-
2023
- 2023-12-26 KR KR1020230190958A patent/KR1027206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45448Y2 (en) * | 1988-10-06 | 1994-11-24 |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 Bridge structure |
| JP2002213047A (en) * | 2001-01-16 | 2002-07-31 | Nippon Steel Corp | Strip-shaped steel dowel, shaped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 using it |
| KR20050000295A (en) * | 2003-06-23 | 2005-01-03 | 도피겐세츠고교 가부시기가이샤 | A structure of connection portion between pre-cast concrete beam and concrete bottom plate in composite bridge |
| KR200348999Y1 (en) * | 2004-02-04 | 2004-04-29 | 이희현 | Dubel for composite structure |
| KR20090001754U (en) * | 2007-08-21 | 2009-02-25 | 비비엠코리아(주) | Grooved Shear Connector |
| KR20100065697A (en) * | 2008-12-08 | 2010-06-17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Shear connector of wave shape |
| KR101084736B1 (en) * | 2011-07-05 | 2011-11-22 | 이기홍 | Shear connector with position fixing means, girders with same an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m |
| KR20130090709A (en) * | 2012-02-06 | 2013-08-14 | 권희재 | Construction method for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
| KR101339827B1 (en) | 2012-12-03 | 2013-12-1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Shear connecting structure for concrete-steel gird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340507B1 (en) * | 2013-05-09 | 2014-01-02 | 심태무 | Pretension type composite girder and 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KR20180033743A (en) * | 2016-09-26 | 2018-04-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Steel and concretre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half-deck |
| KR101915960B1 (en) | 2016-09-26 | 2018-11-0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Steel and concretre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half-deck |
| KR101941705B1 (en) * | 2018-02-27 | 2019-01-23 | 김석희 | Light weight girder, bridge include this sam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bridge |
| KR20230057678A (en) * | 2021-10-22 | 2023-05-02 | 김상효 | Shear connector and shear resistance structure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915615B2 (en) | 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 KR100427405B1 (en) | Pssc complex girder | |
| US20070094960A1 (en) | Composite structural member with longitudinal structural haunch | |
| KR100882341B1 (en) | Fabrication method of composite beam using steel beam reinforced with sectional stiffness and Ra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mposite beam using steel beam reinforced with sectional stiffness | |
| CN207633207U (en) | A kind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seam construction for assembly hollow slab bridges beam | |
| KR100447013B1 (en) | Beam system composed of asymmetric steel section with web hole and concrete | |
| KR101816142B1 (en) | Girder-plate type bridge using arch-shape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KR101868677B1 (en) | Connection unit for coupling main steel girder and ancillary steel girder and, connection methods using the same | |
| KR100911451B1 (en) | Structure for synthetic temporary bridges in which main girder and large-sized reinforcing plate are integrated and construction method of synthetic temporary bridges using the same | |
| KR20040006564A (en) | Composite Deck having Frame and Concrete | |
| JP2006009449A (en) | Truss panel girders and precast truss panels | |
| CN110392758B (en) | Inverted T-section hybrid prestressed concrete beam and pane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 CN215758473U (en) | Steel-concrete combined simply-supported T-beam bridge | |
| KR100522298B1 (en) | Improved prestressed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beam | |
| KR20190044763A (en) | Unidirectional structure of wide double composite girder in which steel members is placed in the lower section thereof | |
| KR102720602B1 (en) | Composite structure of steel semi-section deck for rapid construction of bridg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JPH04228710A (en) | Road slab for bridge | |
| CN219863582U (en) | Assembled self-supporting prestress stacking bearing plate | |
| KR20040091350A (en) | Prestressed steel girder | |
| KR20180073201A (en) |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KR102720603B1 (en) | Rapid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using segmented steel half-sided deck composite structure | |
| KR102325276B1 (en) | Half Precast Concrete continuous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 KR101044469B1 (en) |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with extruded beams | |
| KR101825580B1 (en) | Steel and precast concrete hybrid beam | |
| JP3950747B2 (en) | Bridge gird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2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1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