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1888B1 -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having two electromechanical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s - Google Patents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having two electromechanical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1888B1
KR102721888B1 KR1020190021923A KR20190021923A KR102721888B1 KR 102721888 B1 KR102721888 B1 KR 102721888B1 KR 1020190021923 A KR1020190021923 A KR 1020190021923A KR 20190021923 A KR20190021923 A KR 20190021923A KR 102721888 B1 KR102721888 B1 KR 102721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ng device
pressure generating
brake
braking pressure
bra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9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3037A (en
Inventor
디르크 드로틀레프
슈테판 슈트렌게르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03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0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1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188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nnecting the brake actuator to an alternative or additional source of fluid pressure, e.g.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4809Traction control, stability control, using both the wheel brakes and other automatic braking systems
    • B60T8/4827Traction control, stability control, using both the wheel brakes and other automatic braking systems in hydraulic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 내에서 유압 제동압을 생성하기 위한 2개의 전기기계식 제동압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1 전기 액추에이터를 포함한 유압 시스템으로서 형성되고,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 내에서 의도된 휠 개별적인 압력 변조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 다이내믹 제어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는, 유압 압력 챔버를 한정하며 제 2 전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유압 압력 챔버의 체적을 변동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을 포함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로서 형성되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와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는 서로 직렬로 배치되고,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는 각각 하나의 직접 유압 연결부에 의해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와 연결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comprising two electromechanical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s for generating hydraulic braking pressure in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wherein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is formed as a hydraulic system including a first electric actuator for operating at least one pump and is configured to enable driving dynamics control of the motor vehicle by means of an intended wheel-specific pressure modulation in the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and the second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is formed as a piston-cylinder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piston defining a hydraulic pressure chamber and which can be adjusted to vary the volume of the hydraulic pressure chamber by operation of the second electric actuator, wherein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and the second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are arranged in series with one another, and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is connected to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in each case by one direct hydraulic connection.

Figure R1020190021923
Figure R1020190021923

Description

2개의 전기기계식 제동압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HAVING TWO ELECTROMECHANICAL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S}{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HAVING TWO ELECTROMECHANICAL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S}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 내에서 유압 제동압을 생성하기 위한 2개의 전기기계식 제동압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1 전기 액추에이터를 포함한 유압 시스템으로서 형성되고,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 내에서 의도된 휠 개별적인 압력 변조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 다이내믹 제어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는, 유압 압력 챔버를 한정하고 제 2 전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유압 압력 챔버의 체적을 변동시키는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을 포함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로서 형성되고,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와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는 서로 직렬로 배치되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는 각각 하나의 직접 유압 연결부에 의해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와 연결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comprising two electromechanical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s for generating hydraulic braking pressure in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being formed as a hydraulic system including a first electric actuator for actuating at least one pump and being configured to enable driving dynamics control of the motor vehicle by means of an intended wheel-specific pressure modulation in the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the second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being formed as a piston-cylinder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piston which delimits a hydraulic pressure chamber and which can be adjusted in such a way as to vary the volume of the hydraulic pressure chamber by actuation of the second electric actuator,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and the second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being arranged in series with one another,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being connected to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in each case by means of one direct hydraulic connection.

오늘날의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들은 휠에서의 제동력 생성에 대한 지속적인 유압 작용을 이용한 차량 운전자에 의한 제어에 부합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 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키는 것을 통해 충분한 제동력을 차량의 휠들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Modern automotive braking systems are designed to provide driver control over the continuous hydraulic action of braking force generation at the wheels. As a result, in the event of a brake system failure, it is ensured that sufficient braking force is provided to the wheels of the vehicle by the driver operating the brake pedal.

오늘날, 예컨대 iBooster 및 ESP와 같은 소위 연결형 브레이크 시스템들(coupled brake system) 또는 보조력 브레이크 시스템들(auxiliary power brake system)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Robert Bosch GmbH의 IPB와 같은 분리형 브레이크 시스템들(decoupled brake system) 또는 파워 브레이크 시스템들(power brake system)이 공지되어 있다. 분리형 브레이크 시스템들은 전기능(full function) 모드에서 바이와이어(by-wire)로 작동되며, 다시 말하면 운전자는 직접 작용을 실행하지 않는다(운전자는 페달감 시뮬레이터에 관여한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들도 백업(backup) 모드에서 여전히 유압 작용이 제공되도록 실현된다. 예컨대 IPB와 같은 현재의 파워 브레이크 시스템들은 전기적으로 중복적이지 않다. 그러므로 고자율 주행 차량(high-autonomic vehicle) 및 완전 자율 주행 차량(full-autonomic vehicle)에 상기 파워 브레이크 시스템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RBU(Redundant Brake Unit; 이중 브레이크 유닛)와 같은 추가의 유압 유닛이 내장되어야 한다. 높은 자동화도(degree of automation)를 갖는 차량(다시 말해 고자동화 및 자율 주행 차량)의 경우, 운전자는 적어도 폴백 상태(fallback state)로서의 소정의 반응 시간 동안 관여될 수 없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조향 시스템 등과 같은) 모든 안전 관련 시스템은 중복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Today, so-called coupled brake systems or auxiliary power brake systems, such as for example the iBooster and ESP, are known. Furthermore, decoupled brake systems or power brake systems, such as the IPB from Robert Bosch GmbH, are known. Decoupled brake systems are operated by-wire in full function mode, i.e. the driver does not directly exert any action (the driver is involved in a pedal feel simulator). However, these systems are also implemented so that a hydraulic action is still provided in backup mode. Current power brake systems, such as the IPB, are not electrically redundant.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se power brake systems in highly and fully autonomous vehicles, an additional hydraulic unit, such as a Redundant Brake Unit (RBU), must be integrated. In vehicles with a high degree of automation (i.e. highly automated and autonomous vehicles), the driver cannot be involved for at least a certain reaction time as a fallback state. Therefore, all safety-related systems (such as brakes, steering systems, etc.) must be redundant.

본 발명의 과제는, 전체 차량 플랫폼을 위한 적은 브레이크 시스템 비용 및 고수준의 안전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모듈형 브레이크 시스템 아키텍처를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ke system that enables a modular brake system architecture suitable for providing low brake system cost and a high level of safety for the entire vehicle platform.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은, 부분 자동화 및 고자동화 차량뿐만 아니라 전기 차량 쪽으로의 이행 시 전체 차량 플랫폼을 위한 적은 브레이크 시스템 비용을 가능하게 하기에 그리고 예컨대 이중 차량 전기 시스템(redundant vehicle electrical system)과 같은 브레이크 시스템의 주변 조치들을 방지하도록 고수준의 안전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모듈형 브레이크 시스템 아키텍처를 가능하게 한다.Unlike prior art, the br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modular brake system architecture that is suitable for providing a high level of safety, preventing peripheral measures of the brake system, such as a redundant vehicle electrical system, while allowing for lower brake system costs for the entire vehicle platform, not only for partially automated and highly automated vehicles but also for the transition towards electric vehicles.

이는, 본 발명에 따라서, 독립 청구항들에 제시된 특징들에 의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대상이다.This is made possib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by the features set out in the independent claims. Fur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the subject of the dependent claims.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 내에서 유압 제동압을 생성하기 위한 운전자의 힘과 무관한 2개의 제동압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으로서,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1 전기 액추에이터를 포함한 유압 시스템으로서 형성되고,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 내에서 의도된 휠 개별적인 압력 변조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 다이내믹 제어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는, 유압 압력 챔버를 한정하고 제 2 전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유압 압력 챔버의 체적을 변동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을 포함하는 피스톤-실린더 장치로서 형성되고,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와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는 서로 직렬로 배치되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는 각각 하나의 직접 유압 연결부에 의해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와 연결되는, 상기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이다.A br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comprising two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s independent of the driver's force for generating hydraulic braking pressure in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wherein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is formed as a hydraulic system including a first electric actuator for actuating at least one pump and is configured to enable driving dynamics control of the motor vehicle by means of an intended wheel-specific pressure modulation in the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and the second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is formed as a piston-cylinder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piston which defines a hydraulic pressure chamber and which can be adjusted to vary the volume of the hydraulic pressure chamber by actuation of the second electric actuator, and wherein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and the second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are arranged in series with one another, and wherein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is connected to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in each case by means of one direct hydraulic connection.

이는, 브레이크 시스템이 운전자와 무관하게 유압 유체를 변위시킬 수 있거나 압력을 형성할 수 있는 2개의 압력 생성기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유체 변위 또는 압력 형성은 자동화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는 예컨대 전기 기계 장치, 예컨대 전기 액추에이터, 예컨대 전기 모터에 의해 수행된다.This means that the brake system comprises two pressure generators which can displace hydraulic fluid or build up pressure independently of the driver. In this case, the fluid displacement or pressure build-up is carried out in an automated manner. This is done, for example, by an electromechanical device, for example an electric actuator, for example an electric motor.

운전자의 힘과 무관한 압력 생성은, 특히 운전자와의 기계적 또는 유압적 연결(hydraulic coupling)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예컨대 상기 압력 생성기 내에서의 연결형 압력 생성은 전기 모터 및 브레이크 페달을 통해 수행되지 않는다. 실제적인 구현에서, 예컨대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는, 피스톤에 대한 운전자의 기계적 작용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운전자 제동 요구는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 트래블 센서에 의해 검출되어 전기 액추에이터의 전자 제어에 의해 구현되며, 이 전기 액추에이터는 다시 피스톤을 조정하고 그에 따라 유체를 변위시키거나 압력을 형성한다. 이런 의미에서, 압력 생성은 운전자 제동 요구에 따라서 수행되지만, 실제로 운전자에 의해 생성된 압력과 무관하게, 또는 운전자의 힘과 무관하게 수행된다. 더 나아가, 예컨대 자동화(부분 자동화) 주행 모드에서 제동의 필요성이 확인된다면, 압력 생성은 자동화 방식으로도, 그리고 운전자 제동 요구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Pressure generation independent of the driver's force means, in particular, that there is no mechanical or hydraulic coupling with the driver. In other words, for example, the connected pressure generation in the pressure generator is not carried out via the electric motor and the brake pedal. In a practical implementation, for example, the second brake pressure generation device is designed so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a mechanical action by the driver on the piston. In this case, the driver's braking demand is detected, for example, by a brake pedal travel sensor, and implemented by an electronic control of an electric actuator, which in turn adjusts the piston and displaces the fluid or builds up the pressure accordingly. In this sense, the pressure generation is carried out in response to the driver's braking demand, but is actually carried out independently of the pressure generated by the driver or independently of the driver's force. Furthermore, if the need for braking is identified, for example in an automated (partially automated) driving mode, the pressure generation can also be carried out in an automated manner and independently of the driver's braking demand.

예컨대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의 경우에서도, 운전자를 위한 기계적 연결 또는 기계적 작용 가능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생성된 제동압을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로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동압은 필요에 따라 변조될 수 있다. 압력 변조로서 해석되는 경우는 제동압의 형성, 소멸 또는 유지이다. 이런 압력 변조에 의해 특히 주행 다이내믹이 영향을 받으며, 특히 주행 안정성 제어(ESP)가 실행된다. 이로써, 차량 이동의 제어가 가능해지고 차량의 오버스티어(oversteer) 및/또는 언더스티어(understeer)는 방지된다. 그 결과, 브레이크 슬립 제어(ABS)도 달성될 수 있다.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의 유압 회로는, 브레이크 회로들의 X형 분할 및 II형 분할이 존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압력 형성 유닛, 제동압 생성 장치, 제동압 생성기 및 압력 생성기라는 표현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어야 한다.For example, even in the case of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or, there is no mechanical connection or mechanical action possibility for the driver. However,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or is formed so that the braking pressure generated by the driver is transmitted to the wheel brake cylinders. In this case, the braking pressure can be modulated as required. When interpreted as pressure modulation, this is the formation, dissipation or maintenance of the braking pressure. By this pressure modulation, the driving dynamics are influenced in particular, and in particular the driving stability control (ESP) is implemented.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trol the vehicle movement and prevent oversteer and/or understeer of the vehicle. As a result, brake slip control (ABS) can also be achieved. The hydraulic circuit of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or can be formed so that there is an X-shaped division and a II-shaped division of the brake circuits. The expressions pressure formation unit, braking pressure generator, braking pressure generator and pressure generator are to be used interchangeably.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는 주 브레이크 시스템(main brake system)으로서 형성되고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는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secondary brake system)으로서 형성된다. 주 및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은 서로 직렬로(일렬로) 배치되거나 그와 같이 서로 유압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는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과 연결되며, 다시 말하면 유압적으로 접속된다. 전술한 직접 연결은, 추가 압력 생성 장치들이 그 사이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 1 압력 생성 장치와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 사이에 밸브들은 놓여 있지 않다.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에 의한 압력 생성 또는 압력 변조는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의 유압 회로를 통해 자동차의 모든 휠에 작용한다. 이 경우, 자동차는 특히 휠마다 하나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를 포함한다.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와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는 서로 적어도 하나의 유압 연결 가능성을 갖는다. 연결부는 예컨대 분리 밸브에 의해 유압적으로 연결되고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는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is formed as a main brake system and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is formed as a secondary brake system. The main and auxiliary brake systems are arranged in series with one another or are thus hydraulically connected to one another. In this case,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wheel brake cylinders, i.e. hydraulically connected. The above-mentioned direct connection means that no additional pressure generating devices are connected in between. Furthermore, no valves are located between the first pressure generating device and the wheel brake cylinders. The pressure generation or pressure modulation by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acts on all wheels of the vehicle via the hydraulic circuit of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In this case, the vehicle comprises in particular one wheel brake cylinder per wheel.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and the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have at least one hydraulic connection possibility with one another. The connection can be hydraulically connected and disconnected, for example, by means of a separating valve. Thus, for example, the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can be disconnected from the wheel brake cylinders.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주 브레이크 시스템)는 소위 플런저 시스템(피스톤-실린더 장치)으로서 구현된다. 이 경우, 플런저는 바람직하게는 단일 회로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일반적인 이중 회로가 주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 시 운전자의 이중 회로식 기계적 작용(이중 회로형 탠덤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및 이중 회로형 ESP에 의해 제공되기 때문이다. 이는, 이중 회로형 플런저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 비해, 부동 피스톤(floating piston)의 생략 및 액추에이터의 간단한 접속에 의해 분명한 비용 장점들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으로서, 안전에 대한 높은 요건들을 보장하기 위해 이중 회로형 플런저 시스템들도 가능하다. 여기서 언급해야 할 사항은, 이중 회로형 플런저로서 구현되는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도 운전자와 무관한 제동압 생성기라는 것이며, 다시 말하면 브레이크 페달과의 기계적 연결부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The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or (main brake system) is implemented as a so-called plunger system (piston-cylinder device). In this case, the plunger can preferably be formed as a single circuit, since the usual dual circuit is provided by the driver's dual-circuit mechanical action (dual-circuit tandem brake master cylinder) and the dual-circuit ESP in the event of a failure of the main brake system. This enables clear cost advantages compared to embodiments with a dual-circuit plunger due to the omission of a floating piston and the simple connection of the actuator. Alternatively, dual-circuit plunger systems are also possible to ensure high safety requirements.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the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or implemented as a dual-circuit plunger is also a braking pressure generator independent of the driver, i.e. does not have a mechanical connection to the brake pedal.

또한, 주 브레이크 시스템으로서 플런저 시스템의 사용에 의해, 전체 시스템(full system)에서 최적의 NVH 성능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는,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모니터링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하며, 위치뿐만 아니라 체적 및 압력 형성 정보도 (예컨대 펌프와 같은) 다른 개념들과 비교하여 더 간단하면서도 더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2개의 상이한 제동압 생성 장치의 조합 및 특정한 배치에 의해, 소위 이중화 시스템(hot redundancy)도 가능해질 수 있다. ESP 시스템은 특정한 기능들에서, 예컨대 HBB(유압 브레이크 부스트) 또는 HBC(유압 부스터 고장 보상)에서 플런저 시스템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주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 시, 길이 방향 및 횡방향 안정화를 포함하는 완전한 ESP 기능이 이용될 수 있다.Furthermore, by using the plunger system as the primary brake system, optimum NVH performance of the full system can be achieved. Furthermore, this enables simple and precise monitoring and control, since not only position but also volume and pressure build-up information can be detected more simply and more precisely compared to other concepts (such as pumps). By combining and specific arrangement of two differen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s, so-called hot redundancy can also be achieved. The ESP system can assist the plunger system in certain functions, for example in HBB (hydraulic brake boost) or HBC (hydraulic booster failure compensation). Furthermore, in the event of a failure of the primary brake system, the full ESP functionality including longitudinal and lateral stabilization can be utilized.

이로써, 바람직하게는, 모듈형 플랫폼들을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 비용의 감소가 가능해질 수 있다. 각각의 차량 버전에 대한 각각의 요건 특성에 따라서, 가장 유리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자율 주행 또는 부분 자율 주행 차량의 경우, 상기 유형의 시스템은 광범위한 장점들을 제공한다. 예컨대 능동적 페달 분리는 운전자의 오작동이 작용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능동적 제동이 그것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계속하여 실행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브레이크 부스터는 제공되는 페달 분리 및 별도의 압력 형성 유닛(제 2 제동압 생성 장치)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ESP는 변함없이 계속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흙받이 상의 특히 패키지 임계의 컴포넌트들과 관련하여, 오늘날의 이중 브레이크 시스템들에 비해 더 작은 중량 및 체적을 갖는다. 또한, 회복(recuperation) 동안 체적 배합도 요구되지 않으며, 완전한 페달 연결형 시스템에 비해, 순수 회복 제동 동안 압력은 능동적으로 영(0)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 결과, 회복 효율을 감소시키는 잔류 압력들은 방지된다.This can advantageously lead to a reduction in the brake system costs for modular platforms. Depending on the respective requirement characteristics for the respective vehicle version, the most advantageous brake system can be used. In particular for autonomous or partially autonomous vehicles, this type of system offers a wide range of advantages. For example, the active pedal disconnection can prevent driver errors from occurring and allows active braking to continue to be carried out without being affected by it. Furthermore, the brake booster can be replaced by the provided pedal disconnection and a separate pressure build-up unit (second brake pressure generator), while the ESP can continue to be used unchanged. Furthermore, the invention has a lower weight and volume compared to modern dual brake systems,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particularly package-critical components on the mudguard. Furthermore, no volume mixing is required during recuperation and, compared to fully pedal-connected systems, the pressure can be actively adjusted to zero during pure recuperation braking. As a result, residual pressures that reduce the recuperation efficiency are prevented.

본원의 브레이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는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를 통해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와 연결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rak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is connected to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via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이는, 2개의 압력 생성기의 구성 및 배치가, 제 1 압력 생성기가 제 2 압력 생성기로부터 휠 브레이크들로의 압력 전달을 가능하게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 1 압력 생성기는 (적어도 조금씩) 제 2 압력 생성기와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 사이의 유압 연결부를 형성한다. 플런저 시스템은 ESP 시스템에 의한 것과 유사하게 브레이크액(brake fluid)을 가압한다. 물론, ESP 시스템은 상기 유체 흐름을 변조할 수 있다.This means that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the two pressure generators is such that the first pressure generator enables a pressure transmission from the second pressure generator to the wheel brakes. In this case, the first pressure generator forms (at least slightly) a hydraulic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ressure generator and the wheel brake cylinders. The plunger system pressurizes the brake fluid similarly to the ESP system. Of course, the ESP system can modulate the fluid flow.

가능한 실시 예에서,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는 다수의 밸브, 특히 12개의 전자기 밸브,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챔버, 특히 2개의 저장 챔버를 포함하는 ESP 장치로서 형성된다.In a possible embodiment,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is formed as an ESP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valves, in particular twelve electromagnetic valves, and at least one storage chamber, in particular two storage chambers.

이는, 제 1 제동압 생성기가 완전한 ESP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승용차의 경우, ESP는 예컨대 회로마다 각각 하나의 저압 어큐뮬레이터, 하나의 재송출 펌프, 2개의 유입 및 유출 밸브, 하나의 압력 유지 밸브 및 압력 조절 밸브(USV) 및 하나의 고압 스위칭 밸브(HSV)를 포함하는 이중 회로형 시스템으로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제동압 생성기로서 정규 ESP 모듈이 사용된다. 정규 ESP 모듈의 1:1 인수(takeover)는 기존 치수 효과(scale effect)를 통해 매우 낮은 총 시스템 비용을 가능하게 하고, 모든 차량 버전에 걸쳐 2중 또는 신규 애플리케이션 비용을 방지한다.This means that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or enables the full ESP functionality. For passenger cars, the ESP is configured as a dual-circuit system, for example, with one low-pressure accumulator, one re-sending pump, two inlet and outlet valves, one pressure maintenance valve and a pressure regulating valve (USV) and one high-pressure switching valve (HSV) per circuit. Preferably, a standard ESP module is used as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or. The 1:1 takeover of the standard ESP module enables very low total system costs through the existing scale effect and avoids double or new application costs across all vehicle versions.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본원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를 포함하며, 특히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분리 밸브에 의해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와 연결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rak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river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in particular the driver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by at least one first separating valve.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로서 해석되는 경우는 예컨대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또는 탠덤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이거나, 또는 진공 부스터(공압 보조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이거나, 또는 iBooster(전기기계식 보조/구동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이다. 이 경우, 브레이크액에 대한 운전자의 직접 작용이 존재한다. 예컨대 풋 브레이크 페달은, 자신의 이동을 통해 브레이크액이 이동되고 제동압이 형성되게 하는 피스톤과의 직접적인 기계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는 제 1 제동압 생성기에 유압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는 제 1 제동압 생성기를 통해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와 연결된다.When interpreted as a driver brake pressure generator, this is for example a master brake cylinder or a tandem brake master cylinder, or a vacuum booster (pneumatic auxiliary brake master cylinder), or an iBooster (electromechanically auxiliary/drive brake master cylinder). In this case, a direct driver action on the brake fluid exists. For example, a foot brake pedal enables a direct mechanical connection with a piston, which, by its movement, causes the brake fluid to be moved and the braking pressure to be generated. The driver brake pressure generator is hydraul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or. Furthermore, the driver brake pressure generator is connected via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or to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플런저 시스템은,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와 별도로, 유압 유체 압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 유압 유체 압력은, 각각 하나의 스위칭 밸브가 배치되어 있는 유체 라인들을 통해 액(liquid)과 관련하여 제 1 압력 생성 장치의 브레이크 회로와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는, 플런저 시스템과 별도로, 유압 유체 압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 유압 유체 압력은, 각각 하나의 스위칭 밸브가 배치되어 있는 유체 라인들을 통해 액과 관련하여 제 1 압력 생성기의 브레이크 회로와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2개의 압력 생성기는 서로 병렬로 배치된다.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에 대한 운전자의 작용 가능성으로 인해, 예컨대 액추에이터들의 제어를 위한 이중 차량 전기 시스템은 생략될 수 있다.The plunger system can generate a hydraulic fluid pressure independently of the brake master cylinder, which hydraulic fluid pressure is connected, in relation to the liquid, to the brake circuit of the first pressure generator via fluid lines, each of which has a switching valve arranged therein. Likewise, the brake master cylinder can generate a hydraulic fluid pressure independently of the plunger system, which hydraulic fluid pressure is connected, in relation to the liquid, to the brake circuit of the first pressure generator via fluid lines, each of which has a switching valve arranged therein. The two pressure generators are therefore arranged in parallel with one another. Due to the possibility of driver intervention on the wheel brake cylinders, a dual vehicle electrical system for controlling the actuators, for example, can be omitted.

분리 밸브에 의해,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에 대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유압적 접속이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이를 위해, 상시 개방 분리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압력 회로는 이중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유체 라인을 위해 하나씩) 2개의 분리 밸브가 제공된다.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의 분리 밸브들은, 제 2 압력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압력(또는 변위된 유체)이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의 유압 압력 챔버 내로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며, 그에 따라 상기 압력 또는 유체가 실제로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로 안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By means of the separating valve, the hydraulic connection of the brake master cylinder to the wheel brake cylinders can be connected or disconnected.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a normally open separating valve can be used. The pressure circuit can be configured as a double circuit. Therefore, two separating valves are provided (one for each fluid line). The separating valves of the driver's braking pressure generation device prevent the pressure (or the displaced fluid) generated by the second pressure generator from reaching the hydraulic pressure chamber of the brake master cylind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for said pressure or fluid to actually be conducted to the wheel brake cylinders.

대안적 개선 예에서, 제 1 상태에서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와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 간의 유압 연결부가 형성되며, 제 2 상태에서는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와 제동감 시뮬레이터 간의 유압 연결부가 형성된다.In an alternative improved example, in a first state a hydraulic connection is formed between the driver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and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and in a second state a hydraulic connection is formed between the driver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and the braking feel simulator.

이는, 시스템이 제동 과정에 유압적으로 운전자를 관여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관여하는 (제 1) 상태에서,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에 대한 기계적-유압적 운전자 작용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분리된 (제 2) 상태에서는, 운전자는 작용을 실행하지 않으며, 단지 제동감 시뮬레이터에만 관여한다. 이 경우, 운전자는 밸브들을 통해 능동적으로 브레이크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고, 필요한 페달감은 시뮬레이터를 통해 생성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을 능동적 페달 분리형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This means that the system can hydraulically involve or disconnect the driver from the braking process. In the involved (first) state, there is a possibility of mechanical-hydraulic driver action on the wheel brake cylinders. In the disconnected (second) state, the driver does not perform any action, but only participates in the braking feel simulator. In this case, the driver is actively disconnected from the braking system via the valves, and the required pedal feel is generated via the simulator. Therefore, the system can be referred to as an active pedal disconnect system.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분리 밸브에 의해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와 연결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by at least one second separating valve.

이는, 제 2 압력 생성기가 분리 밸브에 의해 제 1 압력 생성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중 회로형 시스템의 경우, 2개의 분리 밸브가 제공된다. 분리 밸브들은 제 2 압력 생성기에 할당된다. 즉, 상기 분리 밸브들은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에서와 동일한 분리 밸브들이 아니다. 그러나 제 2 압력 생성기의 분리 밸브들은 유사한 방식으로 운전자에 의해 생성된 압력(또는 변위된 유체)이 제 2 압력 생성기의 유압 압력 챔버 내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며, 그에 따라 상기 압력 또는 유체가 실제로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로 안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is means that the second pressure generator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pressure generator by means of a separating valve. Therefore, in the case of a dual-circuit system, two separating valves are provided. The separating valves are assigned to the second pressure generator. That is to say, the separating valves are not the same separating valves as in the driver brake pressure generator. However, the separating valves of the second pressure generator prevent the pressure (or the displaced fluid) generated by the driver in a similar manner from reaching the hydraulic pressure chamber of the second pressure generator, thereby making it possible for the pressure or fluid to actually be conducted to the wheel brake cylinders.

가능한 실시예에서, 본원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폐쇄형 브레이크 시스템으로서 형성된다.In a possible embodiment, the brak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a closed brake system.

이는, 전체 브레이크 시스템이 폐쇄형 시스템으로서 구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브레이크액은 ABS의 경우 유출 밸브들을 경유하여 저압 어큐뮬레이터 또는 저장 챔버 내로 배출되며, 보조 시스템의 재송출 펌프를 통해 다시 유입 밸브들 상부에서 브레이크 회로 내로 재순환된다.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폐쇄형 시스템에서는 주 브레이크 시스템(플런저 시스템)의 보충(replenishment)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보충의 경우 압력 유지 단계의 생략으로 인해, 기능 감소 및 성능 이득이 달성될 수 있다.This means that the entire brake system is implemented as a closed system. In other words, the brake fluid is discharged via the outlet valves in the case of the ABS into a low-pressure accumulator or storage chamber and is recirculated into the brake circuit above the inlet valves via the replenishment pump of the auxiliary system. Accordingly, replenishment of the main brake system (plunger system) is preferably not necessary in a closed system. Thus, due to the omission of the pressure holding phase in the case of replenishment, a functional reduction and a performance gain can be achieved.

바람직한 개선 예에서, 제 1 및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는 각각 별도의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In a preferred improved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s are each controlled by separate control devices.

이는, 각각의 압력 생성기의 전기 액추에이터들이 각각 하나의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2개의 제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차량 전기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다.This means that the electric actuators of each pressure generator are each controlled by one control unit, the two control units being preferably connected to the vehicle electrical system.

대안적 실시형태에서, 제어 장치들은 상이한 차량 전기 시스템들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시스템 안전의 증대가 달성된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s are connected to different vehicle electrical systems. This results in increased system safety.

대안적 실시 예에서, 본원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다수의 구조 유닛을 포함하고, 제 1 구조 유닛은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를 포함하며, 제 2 구조 유닛은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 적어도 제 2 분리 밸브,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 적어도 제 1 분리 밸브 및 제동감 시뮬레이터를 포함한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brak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tructural units, a first structural unit comprising a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a second structural unit comprising a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at least a second separating valve, a driver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at least the first separating valve and a braking feel simulator.

바람직하게 소위 2-박스 디자인(Box Design)은 전체 차량 내로 기하학적 통합 시 높은 모듈성 및 유연성을 가능하게 한다.Preferably, the so-called 2-box design allows for high modularity and flexibility in geometric integration into the overall vehicle.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원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다수의 구조 유닛을 포함하고, 제 1 구조 유닛은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를 포함하며, 제 2 구조 유닛은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 및 적어도 제 2 분리 밸브를 포함하고, 제 3 구조 유닛은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 적어도 제 1 분리 밸브 및 제동감 시뮬레이터를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rak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tructural units, a first structural unit comprises a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a second structural unit comprises a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and at least a second separating valve, and a third structural unit comprises a driver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at least the first separating valve, and a braking feel simulator.

소위 3-박스 디자인은 전체 차량 내로 기하학적 통합 시 모듈성 및 유연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그 결과, 특히 (상대적으로 더 작은 박스가 흙받이 상에 포지셔닝되고 제 2 압력 생성기의 박스는 임의로 포지셔닝될 수 있기 때문에) 패키징 장점들뿐만 아니라, [자신의 모터를 포함한 제 2 압력 생성기의 박스가 더 이상 흙받이 상에 포지셔닝되지 않고 그에 따라 최적화된(더 적합한/감쇄되는/더 긴) 음 전달 경로가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NVH 장점들도 달성된다.The so-called 3-box design further increases modularity and flexibility when it comes to geometric integration into the overall vehicle. As a result, not only packaging advantages are achieved (since the relatively smaller box is positioned on the mudguard and the box of the second pressure generator can be positioned arbitrarily), but also NVH advantages (since the box of the second pressure generator with its motor is no longer positioned on the mudguard and thus an optimized (more suitable/attenuated/longer) sound transmission path can be achieved).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차량의 전술한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며, 브레이크 시스템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하기 모드들 중 하나로 작동된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operating the aforementioned brake system of a vehicle is proposed, wherein the brake system is operated at least temporarily in one of the following modes:

- 제 1 모드에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는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로부터 유압적으로 분리되며,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 내의 제동압은 적어도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는 휠 개별적인 제동압 변조를 실행한다;- In the first mode, the brake master cylinder is hydraulically separated from the wheel brake cylinders, the braking pressure within the wheel brake cylinders is generated by at least a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performing wheel-individual braking pressure modulation;

- 제 2 모드에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는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로부터 유압적으로 분리되며,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 내의 제동압은 적어도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에 의해 생성되고,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는 휠 개별적인 제동압 변조를 실행한다;- In the second mode, the brake master cylinder is hydraulically separated from the wheel brake cylinders, the braking pressure within the wheel brake cylinders is generated by at least a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performing wheel-specific braking pressure modulation;

- 제 3 모드에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는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에 유압적으로 연결되며,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 내의 제동압은 적어도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의해 생성되고,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는 휠 개별적인 제동압 변조 및/또는 제동력 증강(HBC)을 실행한다.- In the third mode, the brake master cylinder is hydraulically connected to the wheel brake cylinders, the braking pressure in the wheel brake cylinders is generated at least by the brake master cylinder, and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performs wheel-specific braking pressure modulation and/or braking force enhancement (HBC).

여기서 주지할 사항은, 본원 명세서에 개별적으로 설명되는 특징들이 기술적으로 의미 있는 임의의 방식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유효성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로 하는 실시예 설명에 제시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features described individually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any technically meaningful manner and represent fur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features and effective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in the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가능한 제 1 구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가능한 대안적 구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의 가능한 또 다른 대안적 구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가능한 방법 단계들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drawing showing a first possible implementation of a br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rawing illustrating a possible alternative implementation of the br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illustrating another possible alternative implementation of the br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possible method steps.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19)의 가능한 제 1 구현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압력 생성 장치(1)는 유압 ESP 시스템으로서 형성된다. ESP 시스템은 하나의 구조 유닛(18a)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유닛은 전기 액추에이터(5)와 더불어, 펌프들(6) 및 밸브들(11)(고압 스위칭 밸브들 및 전환 밸브들, 유입 밸브들, 유출 밸브들) 그리고 저장 챔버들(12)을 포함한다. 이는, 작동 원리가 공지되어 있는 종래 ESP 시스템이다. ESP 시스템은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13) 또는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2)의 방향으로 향하는 2개의 유압 연결부뿐만 아니라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4a, 4b, 4c, 4d)의 방향으로 향하는 4개의 유압 연결부도 포함한다.In Fig. 1, a schematic diagram of a first possible implementation of a brake system (19)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hown. In this case, the first pressure generating device (1) is formed as a hydraulic ESP system. The ESP system is formed as a structural unit (18a). In addition to the electric actuator (5), the unit comprises pumps (6) and valves (11) (high-pressure switching valves and switching valves, inlet valves, outlet valves) and storage chambers (12). This is a conventional ESP system whose operating principle is known. The ESP system has two hydraulic connections in the direction of the brake master cylinder (13) or the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2) as well as four hydraulic connections in the direction of the wheel brake cylinders (4a, 4b, 4c, 4d).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2)는 플런저 시스템(7)으로서 형성된다. 이 경우, 전기 액추에이터(10)는, 유압 압력 챔버(9)를 한정하는 피스톤(8)을 조정한다. 이런 조정을 통해, 유압 유체는 압력 챔버에서 외부로 밀려나가거나 흡입된다. 분리 밸브들(16)은 제 1 압력 생성기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의 연결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The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or (2) is formed as a plunger system (7). In this case, the electric actuator (10) adjusts the piston (8) which delimits the hydraulic pressure chamber (9). By means of this adjustment, the hydraulic fluid is pushed out or sucked out of the pressure chamber. The separating valves (16) enable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or to the brake system of the first pressure generator.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2)는, 하나의 구조 유닛(18b) 내에,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3)와 함께 형성된다. 상기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는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13) 및 제동감 시뮬레이터(15)를 포함한다. 분리 밸브들(14)은 제 1 압력 생성기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의 연결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는 분리 밸브를 통해 제동감 시뮬레이터(15)와 연결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할 때, 상부에 도시된 주 브레이크 시스템(메인 시스템) 내의 전기 제어에 의해 운전자 경로 내의 두 분리 밸브(14)는 폐쇄되고 시뮬레이터 및 플런저 경로 내의 분리 밸브들(16)은 개방된다. 그 결과, 운전자는 브레이크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고, 제동액 체적을 단지 페달감 시뮬레이터(15) 내로만 변위시키며, 그럼으로써 운전자는 자신이 알고 있는 트래블 및 힘의 반동을 경험하게 된다. 메인 시스템은 플런저 시스템(7)을 통해 검출되는 운전자 제동 요구에 상응하게 차량의 감속을 위해 요구되는 유압 압력을 설정한다. 공지된 차량 안정화 기능들(ESP, TCS, ABS 등) 및 경우에 따라 추가 기능들은 공지된 것처럼 제 1 압력 생성기(1)의 ESP 시스템에 의해 휠 개별적으로 구현된다. 액추에이터들(5 및 10)의 제어를 위해 2개의 제어 장치(17a 및 17b)가 제공된다.The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ion device (2) is formed together with the driver braking pressure generation device (3) in one structural unit (18b). The driver braking pressure generation device comprises a brake master cylinder (13) and a braking feel simulator (15). Separating valves (14) enabl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driver braking pressure generation device to the brake system of the first pressure generator. Likewise, the brake master cylinder is connected to the braking feel simulator (15) via the separating valve. When the driver acts on the brake pedal, the two separating valves (14) in the driver path are closed by an electrical control in the main brake system (main system) shown above, and the separating valves (16) in the simulator and plunger path are opened. As a result, the driver is disconnected from the brake system and displaces the braking fluid volume only into the pedal feel simulator (15), whereby the driver experiences the travel and the force recoil that he knows. The main system sets the hydraulic pressure required for decelerating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driver braking request detected via the plunger system (7). The known vehicle stabilizing functions (ESP, TCS, ABS, etc.) and, if applicable, additional functions are implemented wheel-by-wheel by the ESP system of the first pressure generator (1), as is known. Two control devices (17a and 17b) are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actuators (5 and 10).

차량이 자율 제동을 실행하고 상위의 조정 시스템(coordination system)은 운전자 제동 요구의 구현을 금지한다면(예컨대 아이들이 자율 주행 차량에서 놀면서 경우에 따라 의도하지 않게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킨다면), "운전자"의 페달 작동은 차량 감속의 증가를 야기하지 않으며, 브레이크 시스템은 능동적 페달 분리를 기반으로 계속해서 독립적으로 차량 감속을 위해 상위의 조정 시스템의 요구되는 제동압을 설정할 수 있다. 페달 분리 시스템의 고장 시, 운전자는 밸브들(14)의 무전류 위치를 통해 파운데이션부(foundation)에 기계적/유압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페달감 시뮬레이터(15) 및 플런저 시스템(7)은 분리되며, 다시 말하면, 운전자는 기존 유압 변환비를 가진 페달 답력의 제공을 통해 차량의 휠들에서 제동력을 직접 형성할 수 있다.If the vehicle executes autonomous braking and the higher-level coordination system prohibits the implementation of driver braking requests (e.g. if children play in the autonomous vehicle and in some cases inadvertently actuate the brake pedal), pedal actuation by the “driver” does not lead to an increase in vehicle deceleration, and the brake system can continue to independently set the required braking pressure of the higher-level coordination system for vehicle deceleration based on active pedal disconnection. In the event of a failure of the pedal disconnection system, the driver is mechanically/hydraulically directly connected to the foundation via the de-energized position of the valves (14), the pedal feel simulator (15) and the plunger system (7) are disconnected, i.e. the driver can directly generate the braking force at the wheels of the vehicle by providing a pedal pressure with the existing hydraulic conversion ratio.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19)의 대안적 구현이 도시되어 있다. 처음에 설명한 구현과 달리, 여기서 플런저 시스템은 이중 회로형 플런저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2개의 유압 압력 챔버(9)가 형성된다. 또한, 액추에이터(10)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2개의 피스톤(8)이 존재한다.In Fig. 2, an alternative implementation of the brake system (19)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hown. In contrast to the implementation described at the beginning, the plunger system here comprises a double-circuit plunger. In other words, two hydraulic pressure chambers (9) are formed. In addition, there are two pistons (8) which can be adjusted by an actuator (10).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19)의 또 다른 대안적 구현이 도시되어 있다. 처음에 설명한 도 1에서의 구현과 달리, 이제는 3개의 구조 유닛이 존재한다. 제 1 구조 유닛(18a)은 변함없이 ESP 시스템을 구비한 제 1 제동압 생성기(1)를 포함한다. 제 2 구조 유닛(18b)은 (플런저 시스템의 단일 회로형 구현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중 회로형 구현도 가능한) 제 2 제동압 생성기(2)를 포함한다. 한편, 구조 유닛(18c)은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13), 제동감 시뮬레이터 및 관련 분리 밸브들을 구비한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3)를 포함한다.In Fig. 3, a further alternative implementation of the brake system (19)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illustrated. In contrast to the implementation in Fig. 1 initially described, there are now three structural units. The first structural unit (18a) comprises a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or (1) with an ESP system. The second structural unit (18b) comprises a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or (2) (illustrated as a single-circuit implementation of a plunger system, but a dual-circuit implementation is also possible). The structural unit (18c), on the other hand, comprises a driver braking pressure generator (3) with a brake master cylinder (13), a braking feel simulator and associated separating valves.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방법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단계(S1)에서 본원의 방법이 시작된다. 제 2 단계(S2)에서, 선택된 모드로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이 수행된다. 최종 단계(S3)에서 본원의 방법이 종료된다.In Fig. 4, the method step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In this cas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in the first step (S1). In the second step (S2), the operation of the brake system in the selected mode is performed. In the final step (S3),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nds.

Claims (12)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4a, 4b) 내에서 유압 제동압을 생성하기 위한 운전자의 힘과 무관한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1), 및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 (2)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19)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6)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1 전기 액추에이터(5)를 포함한 유압 시스템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4a, 4b) 내에서 의도된 휠 개별적인 압력 변조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 다이내믹 제어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2)는, 2개의 유압 압력 챔버(9)를 한정하고 제 2 전기 액추에이터(10)의 작동에 의해 상응하는 유압 압력 챔버(9)의 체적을 변동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는 2개의 피스톤(8)을 포함하는 이중 회로형 피스톤-실린더 장치(7)로서 형성되며, 각각의 유압 압력 챔버(9)는 제 2 분리 밸브(16)에 의해 상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1)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1)와 상기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2)는 서로 직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1)는 각각 하나의 직접 유압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4a, 4b)와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19)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분리 밸브(14)에 의해 상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1)와 연결되는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3)를 포함하고,
제 1 상태에서 상기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3)와 상기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4a, 4b) 간의 유압 연결부가 형성되고, 제 2 상태에서는 상기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3)와 제동감 시뮬레이터(15) 간의 유압 연결부가 형성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
In a brake system (19) for an automobile, comprising a first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1) independent of a driver's power for generating hydraulic braking pressure within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4a, 4b), and a second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 (2),
The abov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1) is formed as a hydraulic system including a first electric actuator (5) for operating at least one pump (6) and is configured to enable driving dynamics control of the vehicle by means of an intended wheel-specific pressure modulation within the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4a, 4b).
The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2) is formed as a dual-circuit piston-cylinder device (7) comprising two pistons (8) which define two hydraulic pressure chambers (9) and can be adjusted to vary the volume of the corresponding hydraulic pressure chambers (9) by the operation of a second electric actuator (10), each hydraulic pressure chamber (9)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1) by a second separating valve (16),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1) and the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2) are arrang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1) is connected to the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4a, 4b) by one direct hydraulic connection,
The above brake system (19) comprises a driver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3) connected to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1) by at least one first separating valve (14),
In the first state, a hydraulic connection is formed between the driver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3) and the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4a, 4b), and in the second state, a hydraulic connection is formed between the driver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3) and the braking feel simulator (15).
Brake system for automobi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2)는 상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1)를 통해 상기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4a, 4b)와 연결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
In paragraph 1,
A brake system for an automobile, wherein the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2) is connected to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4a, 4b) via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1)는, 다수의 밸브(11),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챔버(12)를 포함하는 ESP 장치로서 형성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
In claim 1 or 2,
A brake system for an automobile, wherein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1) is formed as an ESP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valves (11) and at least one storage chamber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19)은 폐쇄형 브레이크 시스템으로서 형성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
In claim 1 or 2,
The above brake system (19) is a brake system for an automobile, formed as a closed brake syste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1) 및 상기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2)는 각각 별도의 제어 장치(17a, 17b)에 의해 제어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
In claim 1 or 2,
A brake system for an automobile, wherein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1) and the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2) are each controlled by separate control devices (17a, 17b).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들(17a, 17b)은 서로 상이한 차량 전기 시스템들에 연결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
In Article 8,
A brake system for an automobile, wherein the above control devices (17a, 17b) are connected to different vehicle electrical syste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19)은 다수의 구조 유닛(18a, 18b)을 포함하며, 제 1 구조 유닛(18a)은 상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1)를 포함하고, 제 2 구조 유닛(18b)은 상기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2), 제 2 분리 밸브(16),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3), 제 1 분리 밸브(14) 및 제동감 시뮬레이터(15)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
In paragraph 1,
A brake system for an automobile, wherein the brake system (19) comprises a plurality of structural units (18a, 18b), the first structural unit (18a) comprises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1), and the second structural unit (18b) comprises the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2), a second separating valve (16), a driver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3), a first separating valve (14), and a braking feel simulator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19)은 다수의 구조 유닛(18a, 18b, 18c)을 포함하며, 제 1 구조 유닛(18a)은 상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1)를 포함하고, 제 2 구조 유닛(18b)은 상기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2) 및 제 2 분리 밸브(16)를 포함하며, 제 3 구조 유닛(18c)은 운전자 제동압 생성 장치(3), 제 1 분리 밸브(14) 및 제동감 시뮬레이터(15)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
In paragraph 1,
A brake system for an automobile, wherein the brake system (19) comprises a plurality of structural units (18a, 18b, 18c), the first structural unit (18a) comprises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1), the second structural unit (18b) comprises the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2) and the second separating valve (16), and the third structural unit (18c) comprises the driver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3), the first separating valve (14), and the braking feel simulator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19)을 작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19)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하기 모드들 중 하나로 작동되며,
- 제 1 모드에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13)는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4a, 4b)로부터 유압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4a, 4b) 내의 제동압은 적어도 제 2 제동압 생성 장치(2)에 의해 생성되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1)는 휠 개별적인 제동압 변조를 실행하고;
- 제 2 모드에서, 상기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13)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4a, 4b)로부터 유압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4a, 4b) 내의 제동압은 적어도 상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1)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1)는 휠 개별적인 제동압 변조를 실행하며;
- 제 3 모드에서, 상기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13)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4a, 4b)에 유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휠 브레이크 실린더들(4a, 4b) 내의 제동압은 적어도 상기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13)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제 1 제동압 생성 장치(1)는 휠 개별적인 제동압 변조 및/또는 제동력 증강을 실행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작동 방법.
In a brake system operating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system (19)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bove brake system (19) operates at least temporarily in one of the following modes:
- In the first mode, the brake master cylinder (13) is hydraulically separated from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4a, 4b), the braking pressure in said wheel brake cylinders (4a, 4b) is generated by at least a second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2), and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1) performs wheel-individual braking pressure modulation;
- In the second mode, the brake master cylinder (13) is hydraulically separated from the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4a, 4b), the braking pressure within the wheel brake cylinders (4a, 4b) is generated at least by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1),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1) performs wheel-individual braking pressure modulation;
- A method of operating a brake system, wherein in a third mode, the brake master cylinder (13) is hydraulically connected to at least two wheel brake cylinders (4a, 4b), the braking pressure within the wheel brake cylinders (4a, 4b) is generated at least by the brake master cylinder (13), and the first braking pressure generating device (1) performs wheel-individual braking pressure modulation and/or braking force enhancement.
KR1020190021923A 2018-02-26 2019-02-25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having two electromechanical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s Active KR10272188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2884.2 2018-02-26
DE102018202884.2A DE102018202884A1 (en) 2018-02-26 2018-02-26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with two electromechanical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037A KR20190103037A (en) 2019-09-04
KR102721888B1 true KR102721888B1 (en) 2024-10-25

Family

ID=6755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923A Active KR102721888B1 (en) 2018-02-26 2019-02-25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having two electromechanical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9189206A (en)
KR (1) KR102721888B1 (en)
CN (1) CN110194138A (en)
DE (1) DE10201820288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21949B2 (en) 2018-11-07 2020-11-03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Electronic brake boost on secondary brake system
KR102845330B1 (en) * 2020-02-28 2025-08-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Electric hydraulic brake device and braking method for the same
DE102021200697A1 (en) * 2021-01-27 2022-07-28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Proces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ally slip-controllable power brake system with redundant brake pressure generation
DE102021104249A1 (en) * 2021-02-23 2022-08-25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Braking system and method for braking a vehicle
DE102021207039A1 (en) * 2021-07-05 2023-01-05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Procedure for fault detection in vehicle dynamics control
DE102021207845A1 (en) * 2021-07-22 2023-01-26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Method for checking the intended pressure medium-conducting contact of associated circuit branches of separate brake circuits of an electronically slip-controllable power brake system with two pressure-medium-conducting actuator units for generating and controlling brake pressur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CN117751062A (en) * 2021-08-03 2024-03-22 华为技术有限公司 Braking system, hydraulic device and vehicle
DE102021211891A1 (en) * 2021-10-21 2023-04-27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lectrohydraulic dual-circuit external power brake system
DE102021130183A1 (en) 2021-11-18 2023-05-25 Zf Active Safety Gmbh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system of a motor vehicle, computer program product, control unit and brake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3175A2 (en) * 2011-04-19 2012-10-2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ake system for motor vehicles and method for testing a brake system
WO2014181397A1 (en) * 2013-05-08 2014-1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brake device
JP2015160607A (en) * 2014-02-28 2015-09-07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Vehicle braking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09703A1 (en) * 2005-03-03 2006-09-14 Robert Bosch Gmbh Parking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for parking assistance
JP2008049957A (en) * 2006-08-28 2008-03-06 Hitachi Ltd Brake device
JP5364076B2 (en) * 2010-11-17 2013-12-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Input device for vehicle brake system
DE102011116906A1 (en) * 2011-10-25 2013-04-25 Wabco Gmbh Brake method and braking device for a vehicle, hydraulic brake system and vehicle with it
EP2832602B1 (en) * 2012-03-30 2017-08-02 Honda Motor Co., Ltd. Cylinder device
EP2857267A1 (en) * 2012-05-25 2015-04-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raking device for vehicle
JP6257028B2 (en) * 2013-09-30 2018-01-10 オートリブ日信ブレーキシステムジャパン株式会社 Brake fluid pressure control system for vehicles
DE102015206572A1 (en) * 2014-05-15 2015-11-1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ake system for motor vehicles
DE102016203111A1 (en) * 2015-03-05 2016-09-0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ake system for motor vehic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3175A2 (en) * 2011-04-19 2012-10-2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ake system for motor vehicles and method for testing a brake system
WO2014181397A1 (en) * 2013-05-08 2014-1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brake device
JP2015160607A (en) * 2014-02-28 2015-09-07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Vehicle braking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89206A (en) 2019-10-31
DE102018202884A1 (en) 2019-08-29
CN110194138A (en) 2019-09-03
KR20190103037A (en)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21888B1 (en)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having two electromechanical brake pressure generating devices
CN111971214B (en) Motor vehicle hydraulic brak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352645B1 (en) Brake system for automobile and method of operation of the braking system
CN109070862B (en) Brak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braking system
US11305743B2 (en) Hydraulic motor vehicle brake systems and a control device system therefor, methods for operating hydraulic motor vehicle brake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methods
CN111954614B (en) Hydraulic motor vehicle brak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0137877B2 (en) Brake system for motor vehicles
US11312346B2 (en) Hydraulic motor vehicle braking system and control unit system for same
CN112188976A (en) Brake system with two pressure source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90308596A1 (en) Brak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9988031B2 (en) Hydraulic braking system and method
KR20190077543A (en) A brake system having two pressure sources, and two methods for operating the brake system
CN113966290B (en) Brake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brake system
US20240067150A1 (en) A brak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braking system
CN108778866B (en)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brake system
CN115427270A (en) Driving Powertrains and Centrally Controlled Electric Vehicles
CN102371985B (en) Auto brake system is unified for the method making brake system of car run
US11414062B2 (en) Brak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brake system
KR20210003858A (en) Electromechanical or electromagnetic wheel brake cylinder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vehicle brake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 vehicle braking
US12280759B2 (en) Vehicle brake system
US10449942B2 (en)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system
US20240198993A1 (en) Brake system and method for braking a vehicle having at least two axles
US20230192056A1 (en) Hydraulic motor vehicle brake system
KR20240167899A (en) Brake system for automobiles with pressure supply device
KR20230093458A (en) Brake system and method for braking vehicles of at least two ax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2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