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2268B1 - 이동형 수장고 - Google Patents

이동형 수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2268B1
KR102722268B1 KR1020240038024A KR20240038024A KR102722268B1 KR 102722268 B1 KR102722268 B1 KR 102722268B1 KR 1020240038024 A KR1020240038024 A KR 1020240038024A KR 20240038024 A KR20240038024 A KR 20240038024A KR 102722268 B1 KR102722268 B1 KR 102722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vement
support assembly
internal space
mobile stor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드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드래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드래곤
Priority to KR102024003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2268B1/ko
Priority to KR1020240098113A priority patent/KR20250141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2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22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djustable, foldable or easily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4Glass or transparent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7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4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pictures, e.g. in combination with books or seed-bags ; for cards, magazines, newspapers, books or booklike articles, e.g. audio/video cass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이동형 수장고가 개시된다. 개시된 이동형 수장고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정면이 개방된 제1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정면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커버부와, 상기 내부 공간에서 객체를 거치하는 객체 거치부와, 상기 내부 공간의 온습도를 조절하는 온습도 조절부와, 상기 케이스부를 이동시키 위한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수장고{PORTABLE ART STORAGE FACILIT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형 수장고에 관한 것이다.
그림, 서예 등의 예술작품과 악기 등의 객체를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종래의 경우, 사용자는 일반적인 박스형 장비를 사용하여 예술작품을 보관하여 이동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박스형 장비를 사용하여 예술작품, 악기 등을 보관 및 이동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먼저, 예술작품, 악기 등을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하고, 예술작품, 악기 등이 보관된 박스형 장비의 내부 공간의 온습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박스형 장비는 원목 등의 재료로 제작된다. 이 경우, 박스형 장비의 무게가 많이 나가므로 사용자가 박스형 장비를 옮기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원목 등의 재료로 박스형 장비를 제작한다 하더라도 예술작품, 악기 등이 보관된 박스형 장비의 내부 공간의 온습도를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시키기 어려운 문제점 또한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게가 가볍고, 내부 공간의 온습도를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시키는 이동형 수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정면이 개방된 제1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정면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커버부와, 상기 내부 공간에서 객체를 거치하는 객체 거치부와, 상기 내부 공간의 온습도를 조절하는 온습도 조절부와, 상기 케이스부를 이동시키 위한 이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는 내부 공간의 온습도를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시키면서 예술작품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는 무게가 기존의 박스형 장비보다 가벼워서 용이하기 이동이 가능하여 물류 시스템에서의 경쟁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는 예술작품의 전시 기능을 더불어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의 일측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의 타측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의 하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에서 커버부가 제외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에 포함된 케이스부의 구성요소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에 포함된 중간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에 포함된 알루미늄 허니콤 패널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에 포함된 온습도 조절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에 포함된 객체 거치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는 도 10의 객체 거치부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객체 거치부에 포함된 모서리 지지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모서리 지지 조립체에 포함된 모서리 지지 모듈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모서리 지지 조립체에 포함된 연결 모듈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2의 모서리 지지 조립체에 포함된 완충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1)의 일측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1)의 타측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1)의 하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1)에서 커버부(20)가 제외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1)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1)에 포함된 케이스부(10)의 구성요소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1)에 포함된 중간 케이스(15)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1)에 포함된 알루미늄 허니콤 패널(16)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1)는 그림, 서예 등의 예술작품과 악기를 포함하는 객체의 보관 공간(내부 공간)의 항상성(항온성 및 항습성)을 유지하면서 객체를 보관 및 이동하는 장치로서, 케이스부(10), 커버부(20), 이동부(30) 및 객체 거치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부(10) 및 커버부(20)는 이동형 수장고(1)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부(10)는 내부 공간(10a)을 가지며 정면이 개방된 제1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커버부(20)는 케이스부(100의 정면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내부 공간(10a)을 개폐할 수 있다.
일례로서, 케이스부(10)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부(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는 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부(30)는 이동형 수장고(1)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부(30)는 바퀴와 대응될 수 있다. 이동형 수장고(1)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 바퀴는 케이스부(1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고, 이동형 수장고(1)가 이동하는 경우 바퀴가 케이스부(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케이스부(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부(10)의 내부 공간(10a)에는 객체를 거치하기 위한 객체 거치부(40)가 설치 또는 배치될 수 있다. 객체 거치부(40)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스부(10)에는 제1 및 제2 공기홀(11, 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기홀(11)은 케이스부(10)의 좌측면(제1 측면)의 상측에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동형 수장고(1)의 외부의 공기를 내부 공간(10a)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제2 공기홀(12)은 케이스부(10)의 우측면(제2 측면)의 하측에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고, 내부 공간(10a)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즉, 공기는 제1 공기홀(11)을 통해 내부 공간(10a)으로 유입된 후 제2 공기홀(12)을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공간(10a)의 항상성이 유지될 수 있다.
더불어, 내부 공간(10a)의 항상성을 더욱 유지시키기 위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케이스부(10)는 내부 케이스(13), 외부 케이스(14), 중간 케이스(15) 및 알루미늄 허니콤 패널(16)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내부 케이스(13), 외부 케이스(14) 및 중간 케이스(15) 각각은 케이스부(10)와 같이 제1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부 케이스(13)에는 객체 거치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4)는 내부 케이스(13)를 수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및 외부 케이스(13, 14)는 카본(carbon) 재질일 수 있다. 카본 재질은 비교적 가벼운 중량으로 상당한 고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형 수장고(1)의 중량이 감소할 수 있고, 객체를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중간 케이스(15)는 내부 케이스(13)와 외부 케이스(14)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특히, 도 7을 참조하면, 중간 케이스(15)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2 이상의 탄소 섬유 패널(15)이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탄소 섬유 패널(15)은 한지 탄소 섬유 패널(15)로서, 전력의 공급 시 발열될 수 있다. 탄소 섬유 패널(15)의 발열에 따라, 내부 공간(10a)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내부 공간(10a)의 항상성이 더욱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 도 8을 참조하면, 알루미늄 허니콤 패널(16)은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는 벌집 모양의 구조체로서, 알루미늄 허니콤 코어(161) 및 알루미늄 허니콤 코어(161)의 상면 및 하면과 접합되는 표면판(162, 163)을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 허니콤 패널(16)은 내부 케이스(13)의 정면을 둘러싸는 틀 형상일 수 있으며, 외부 케이스(14)에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알루미늄 허니콤 패널(16)의 정면은 커버부(20)와 접촉될 수 있고, 알루미늄 허니콤 패널(16)의 후면은 중간 케이스(15)의 폭 방향으로 접촉할 수 있고, 알루미늄 허니콤 패널(16)의 상면, 하면 및 측면은 외부 케이스(15)와 접촉할 수 있다.
알루미늄 허니콤 패널(16)은 불연성인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에 안전할 수 있고, 화학적 부식에도 탁월한 저항력을 갖는 내구성을 가진다. 또한, 알루미늄 허니콤 코어(161)에 의해 닫혀진 공기층이 형성되어 방열 및 방습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알루미늄 허니콤 패널(16)과 적층된 2 이상의 탄소 섬유 패널(15)(중간 케이스(15))이 함께 내부 케이스(13)와 외부 케이스(14)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공간(10a)의 온습도가 거치부(40)에 거치된 객체의 보관에 적합한 온습도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내부 공간(10a)의 온습도를 조절하는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1)에 포함된 온습도 조절부(5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습도 조절부(50)의 일부 구성은 케이스부(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온습도 조절부(50)는 내부 공간(10a)의 온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온습도 센서 모듈(51), 가스 센서 모듈(52), 제1 송풍팬(53), 제2 송풍팬(54), 제어 모듈(55) 및 배터리 모듈(56)을 포함할 수 있다.
온습도 센서 모듈(51)은 내부 공간(10a)의 온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가스 센서 모듈(52)은 내부 공간(10a)에서 발생된 스파크(spark)에 의한 가스(gas)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스파크는 객체 거치부(40)와 객체 사이의 접촉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송풍팬(53, 54)은 내부 케이스(13)에 배치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제1 송풍팬(53)은 제1 공기홀(11)을 통해 이동형 수장고(1)의 외부의 공기를 내부 공간(10a)으로 공급할 수 있고, 제2 송풍팬(54)은 제2 공기홀(12)을 통해 내부 공간(10a)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어 모듈(55)은, 프로세서 기반의 장치로서, 제1 및 제2 송풍팬(53, 54)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고, 2 이상의 탄소 섬유 패널(151)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56)은 온습도 및 가스 센서 모듈(51, 52)과 제1 및 제2 송풍팬(53, 54)의 구동 전력을 저장할 수 있고, 2 이상의 탄소 섬유 패널(151)로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56)은 전력의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55)은 온습도 센서 모듈(51)로부터 측정된 내부 공간(10a)의 온습도를 전달받아 제1 및 제2 송풍팬(53, 54)의 구동을 제어하고 2 이상의 탄소 섬유 패널(151)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모듈(55)은 내부 공간(10a)의 측정 온습도 및 기준 온습도 범위에 기초하여, 2 이상의 탄소 섬유 패널(151)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송풍팬(53, 54)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온습도 범위는 내부 공간(10a)에 거치된 객체의 재질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객체가 그림, 서예 등의 미술 작품인 경우, 기준 온습도 범위 중 기준 온도 범위는 20°C ~ 25°C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측정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보다 낮은 경우, 제어 모듈(55)은 2 이상의 탄소 섬유 패널(151)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모듈(55)은 제1 및 제2 송풍팬(53, 54)을 턴 온시키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측정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보다 높은 경우, 제어 모듈(55)은 제1 및 제2 송풍팬(53, 54)을 턴 온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 모듈(55)은 2 이상의 탄소 섬유 패널(151)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 모듈(55)은 기준 온도 범위에 내부 공간(10a)의 온도가 포함되도록 내부 공간(10a)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55)은 가스 센서 모듈(52)로부터 측정된 내부 공간(10a)의 가스 농도를 전달받아 제1 및 제2 송풍팬(53, 54)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모듈(55)은 측정된 가스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농도 이상인 경우, 제1 및 제2 송풍팬(53, 54)의 회전속도를 최대 회전속도로 구동하도록(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객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가 방지되며, 객체에 가스가 침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부 케이스(13)에는 전력을 생성하는 자가 발전 섬유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제어 모듈(55)은 자가 발전 섬유에서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56)를 충전할 수 있다. 일례로, 자가 발전 섬유는 압전 고분자를 섬유 형태로 제작한 압전 섬유일 수 있다.
이하, 액자(60)에 보관된 그림, 서예 등의 미술 작품을 거치하는 객체 거치부(4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1)에 포함된 객체 거치부(4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는 도 10의 객체 거치부(40)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객체 거치부(40)는 다양한 가로, 세로 및 두께를 가지는 액자를 거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모서리 지지 조립체(41), 제1 내지 제4 이동 가이드부(42, 43, 44, 45), 제1 내지 제4 고정 가이드부(46, 47, 48, 49)를 포함할 수 있다.
모서리 지지 조립체(41)는 액자(60)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a, 41b) 및 하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c, 4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a, 41b)는 액자(60)의 상측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다. 상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a, 41b)는 액자(60)의 좌상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제1 모서리 지지 조립체(41a) 및 액자(60)의 우상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제2 모서리 지지 조립체(41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c, 41d)는 액자(60)의 하측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다. 하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c, 41d)는 액자(60)의 좌하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제3 모서리 지지 조립체(41c) 및 액자(60)의 우하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제4 모서리 지지 조립체(4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동 가이드부(42, 43)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이동 가이드부(43)는 제1 이동 가이드부(42)의 하측 방향에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동 가이드부(42)는 상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a, 41b)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a, 41b)는 제1 이동 가이드부(42)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 이동 가이드부(42)에는 슬롯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a, 41b)는 슬롯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이동 가이드부(42) 및 상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a, 41b)는 슬롯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a, 41b)가 수평 이동할 수 있고, 제1 이동 가이드부(42)는 상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a, 41b)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이동 가이드부(43)는 하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c, 41d)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하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c, 41d)는 제2 이동 가이드부(43)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 이동 가이드부(43)에는 슬롯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하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c, 41d)는 슬롯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이동 가이드부(43) 및 하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c, 41d)는 슬롯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c, 41d)가 수평 이동할 수 있고, 제2 이동 가이드부(43)는 하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c, 41d)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동 가이드부(42, 43)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동 가이드부(42, 43)의 수직 이동과 상측 및 하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41a, 41b, 41c, 41d)의 수평 이동에 따라 다양한 가로 및 세로 길이를 가지는 액자(60)가 내부 공간(10a)에서 고정하여 거치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이동 가이드부(44, 45)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4 이동 가이드부(45)는 제3 이동 가이드부(44)의 우측 방향에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이동 가이드부(44, 45)는 제1 및 제2 이동 가이드부(42, 43)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3 및 제4 이동 가이드부(44, 45)는 제1 및 제2 이동 가이드부(42, 43)와 슬롯 결합되어 제1 및 제2 이동 가이드부(42, 43)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3 이동 가이드부(44)는 제1 이동 가이드부(42)를 통한 제1 모서리 지지 조립체(41a)의 수평 이동 및 제2 이동 가이드부(43)를 통한 제3 모서리 지지 조립체(41c)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이동 가이드부(45)는 제1 이동 가이드부(42)를 통한 제2 모서리 지지 조립체(41b)의 수평 이동 및 제2 이동 가이드부(43)를 통한 제4 모서리 지지 조립체(41d)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 때, 제3 및 제4 이동 가이드부(44, 45)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제2, 제3 제4 모서리 지지 조립체(41a, 41b, 41c, 41d)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 가이드부(46, 47)는 내부 케이스(13)에서 서로 나란하게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 가이드부(46)는 내부 케이스(13)의 좌측에서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2 고정 가이드부(47)는 내부 케이스(13)의 우측에서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 가이드부(46, 47)는 제3 및 제4 이동 가이드부(44, 45)와 함께 제1 및 제2 이동 가이드부(42, 43)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 및 제2 고정 가이드부(46, 47)는 제1 및 제2 이동 가이드부(42, 43)와 슬롯 결합되어 제1 및 제2 이동 가이드부(42, 43)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3 및 제4 고정 가이드부(48, 49)는 내부 케이스(13)에서 서로 나란하게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고정 가이드부(48)는 내부 케이스(13)의 상측에서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4 고정 가이드부(49)는 내부 케이스(13)의 하측에서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 및 제4 고정 가이드부(48, 49)는 제3 및 제4 이동 가이드부(44, 45)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3 및 제4 고정 가이드부(48, 49)는 제3 및 제4 이동 가이드부(44, 45)와 슬롯 결합되어 제3 및 제4 이동 가이드부(44, 45)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 모서리 지지 조립체(41)의 세부적인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도 10의 객체 거치부(40)에 포함된 모서리 지지 조립체(41)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모서리 지지 조립체(41)에 포함된 모서리 지지 모듈(411)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2의 모서리 지지 조립체(41)에 포함된 연결 모듈(412)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 및 도 16은 도 12의 모서리 지지 조립체(41)에 포함된 완충 모듈(41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모서리 지지 조립체(41)는 모서리 지지 모듈(411), 연결 모듈(412) 및 복수의 완충 모듈(413)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모서리 지지 모듈(411)은 액자(60)의 모서리를 실제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모서리 지지 모듈(411)은 제1 모서리 지지 부재(4111), 제2 모서리 지지 부재(4112), 둘레 부재(4113) 및 고정 부재(4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서리 지지 부재(4111)는 수직 부재(41111) 및 수직 부재(411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재(4111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모서리 지지 부재(4111)는 "L"자 형상 또는 "L"자 형상이 90°, 180° 또는 270°로 회전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모서리 지지 부재(4112)의 제1 면은 액자(60)와 마주보는 수직 부재(41111)의 제1 면과 접촉할 수 있고, 제2 모서리 지지 부재(4112)의 제2 면은 액자(60)와 마주보는 수평 부재(41112)의 제1 면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액자(60)의 모서리는 수직 부재(41111)의 제1 면, 수평 부재(41112)의 제1 면 및 제2 모서리 지지 부재(4112)의 제3 면을 경계면으로 하는 제1 공간에 배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제2 모서리 지지 부재(4112)의 제3 면은 제2 모서리 지지 부재(4112)의 제1 및 제2 면과 수직한 면이다.
특히, 도 13을 참조하면, 제2 모서리 지지 부재(4112)는 수직 및 수평 부재(41111, 41112)의 폭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고, 고정 부재(4114)에 의해 제2 모서리 지지 부재(4112)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모서리 지지 부재(4112)가 이동 및 고정됨으로써, 다양한 폭을 가지는 액자(60)의 거치가 가능하다.
둘레 부재(4113)는 제1 모서리 지지 부재(41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특히 참조하면, 둘레 부재(4113)는, 제1 및 제2 이동 가이드부(42, 43) 중 대응되는 이동 가이드부(42 또는 43)와 마주보는 제1 둘레 부재(41131)와, 수직 부재(41111)의 제1 면의 맞은 편의 면인 수직 부재(41111)의 제2 면을 둘러싸고 제1 둘레 부재(41131)와 수직한 제2 둘레 부재(41132)와, 수평 부재(41112)의 제1 면의 맞은 편의 면인 수평 부재(41112)의 제2 면을 둘러싸고 제1 및 제2 둘레 부재(41131, 41132)와 수직한 제3 둘레 부재(4113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4114)는 제3 둘레 부재(41133) 및 제2 모서리 지지 부재(4112)의 제4 면과 연결되어 제2 모서리 지지 부재(411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제2 모서리 지지 부재(4112)의 제4 면은 제2 모서리 지지 부재(4112)의 제1 면과 대향하고 제2 모서리 지지 부재(4112)의 제3 면과 수직한 면이다.
다음으로, 연결 모듈(412)은 제1 및 제2 이동 가이드부(42, 43) 중 대응되는 이동 가이드부(42 또는 43)에 모서리 지지 모듈(411)을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특히,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연결 모듈(412)은, 복수의 완충 모듈(413)을 통해 모서리 지지 모듈(411)과 연결되는 제1 연결 부재(4121)와, 제1 연결 부재(4121)를 상기 대응되는 이동 가이드부(42 또는 43)에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4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부재(4122)에는 상술한 슬롯 돌기가 형성되고, 슬롯 돌기는 대응되는 이동 가이드부(42 또는 43)의 슬롯 홈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 부재(4121)는, 상기 대응되는 이동 가이드부(42 또는 43)와 마주보는 제1-1 연결 부재(41211)와, 제1-1 연결 부재(41211)에서 수직 및 수평 부재(41111, 4111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 연결 부재(4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연결 부재(41211)는 제2 연결 부재(4122)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연결 부재(412)는 제3 연결 부재(4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 부재(4123)는 상기 대응되는 이동 가이드부(42 또는 43)의 관통홀(421)을 통해 제2 연결 부재(412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대응되는 이동 가이드부(42 또는 43)을 기준으로 제2 연결 부재(4122)와 제3 연결 부재(4123)는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제3 연결 부재(4123)에는 슬롯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슬롯 돌기는 대응되는 제3 또는 제4 이동 가이드부(4 또는 43)의 슬롯 홈에 결합될 수 있다.
계속하여, 복수의 완충 모듈(413)은 연결 모듈(412)과 모서리 지지 모듈(4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모듈(413)은 모서리 지지 모듈(411)과 연결 모듈(412) 사이의 충격 또는 충돌 등을 줄어들거나 누그러지게 할 수 있다. 이 때, 충격 또는 충돌은 이동형 수장고(1)의 이동 시 액자(60)가 흔들리면서 발생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복수의 완충 모듈(413) 각각은, 모서리 지지 모듈(411)에 부착되는 제1 부착 부재(4131)와, 연결 모듈(412)에 부착되는 제2 부착 부재(4132)와, 제1 및 제2 부착 부재(4131, 4132)를 서로 연결하는 2 이상의 금속 와이어(4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은 철, 스테인리스 스틸 등일 수 있다.
이 때, 금속 와이어(4133)의 일측은 제1 부착 부재(4131)의 상면 또는 하면과 결합될 수 있고, 금속 와이어(4133)의 타측은 제2 부착 부재(4132)의 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금속 와이어(4133)의 연결 형태를 "제1 형태"로 호칭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와이어(4133)의 일측은 제1 부착 부재(4131)의 측면과 결합될 수 있고, 금속 와이어(4133)의 타측은 제2 부착 부재(4132)의 상면 또는 하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금속 와이어(4133)의 연결 형태를 "제2 형태"로 호칭한다.
즉, 2 이상의 금속 와이어(4133)는 제1 및 제2 부착 부재(4131, 4132)를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요컨대, 스프링을 대신하여 2 이상의 금속 와이어(4133)가 복수의 완충 모듈(413)에 사용될 수 있다. 금속 와이어(4133)가 사용됨으로써, 모서리 지지 모듈(411)과 연결 모듈(412)이 보다 강하고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동시에 부가적으로 완충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더불어, 금속 와이어(4133)가 상술한 제1 및 제2 형태로 연결됨으로써, 완충 부재(413)는 보다 높은 압축 응력을 버틸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공간(10a)에서 액자(60)가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으며, 더불어 완충 기능의 구현에 따라 액자(6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2,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복수의 완충 모듈(413)은, 제1-1 연결 부재(41211)와 제1 둘레 부재(41131)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완충 모듈(413)과, 제1-2 연결 부재(41212)와 제2 둘레 부재(4113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완충 모듈(4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완충 모듈(413)의 개수(2개)는 제2 완충 모듈(413)의 개수(4개)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완충 모듈(413)는, 제1 또는 제2 이동 가이드부(42 또는 43)에 의해 지지되고, 더불어 제3 또는 제4 이동 가이드부(44 또는 45)에 의해 지지된다. 하지만, 제2 완충 모듈(413)는 제1 내지 제4 이동 가이드부(42, 43, 44, 45)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불필요한 완충 모듈(413)의 개수를 줄임과 함께 액자(60)를 수평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제1 완충 모듈(413)의 개수를 제2 완충 모듈(413)의 개수보다 작도록 모서리 지지 조립체(41)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부(2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공간(10a)에 거치된 객체가 이동형 수장고(1)의 외부에서 관찰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형 수장고(1)가 전시형 수장고로써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부(2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공간(10a)에 거치된 객체의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다. 일례로, 객체의 세부 정보는 객체의 명칭, 재질, 히스토리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2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10a)에 거치된 객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내부 카메라 및 객체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객체의 세부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서 기반의 획득 모듈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획득 모듈은 네트워크와 통신 연결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통신 모듈에 기초하여 객체의 세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획득 모듈은 상술한 제어 모듈(55)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1)는 2 이상의 탄소 섬유 패널(15), 알루미늄 허니콤 패널(16), 온습도 조절부(50)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공간(10a)의 온습도를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시키면서 예술작품, 악기 등의 객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1)는 카본 재질의 내부 및 외부 케이스(13, 14)를 사용하므로, 무게가 기존의 박스형 장비보다 가벼워서 용이하기 이동이 가능하여 물류 시스템에서의 경쟁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수장고(1)는 커버부(20)가 투명한 재질 또는 디스플레이부로 형성됨으로써 예술작품, 악기 등의 전시 기능을 더불어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정면이 개방된 제1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정면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커버부;
    상기 내부 공간에서 객체를 거치하는 객체 거치부; 및
    상기 케이스부를 이동시키 위한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객체 거치부가 설치된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중간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케이스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2 이상의 탄소 섬유 패널이 적층되어 배치되는,
    이동형 수장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 및 상기 2 이상의 탄소 섬유 패널은 상기 제1 형상을 가지고,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는 카본 재질인,
    이동형 수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정면을 둘러싸는 틀 형상으로 상기 외부 케이스에 수용되는 알루미늄 허니콤 패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알루미늄 허니콤 패널의 정면은 상기 커버부와 접촉되고,
    상기 알루미늄 허니콤 패널의 후면은 상기 중간 케이스와 접촉하고,
    상기 알루미늄 허니콤 패널의 상면, 하면 및 측면은 상기 외부 케이스와 접촉하는,
    이동형 수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제1 측면의 상측에는 상기 이동형 수장고의 외부의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제1 공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제2 측면의 하측에는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상기 외부로 유출시키는 제2 공기홀이 형성되는,
    이동형 수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의 온습도를 조절하는 온습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온습도 조절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송풍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송풍팬은 상기 제1 공기홀을 통해 상기 외부의 공기를 상기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 송풍팬은 상기 제2 공기홀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상기 외부로 배출하는,
    이동형 수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 조절부는,
    상기 내부 공간의 온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 모듈;
    상기 측정된 온습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거치된 상기 객체의 재질과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기준 온습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탄소 섬유 패널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기반의 제어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팬의 구동 전력과 상기 2 이상의 탄소 섬유 패널로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2 이상의 탄소 섬유 패널은 상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되는,
    이동형 수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 조절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스파크에 의한 가스(gas)를 측정하는 가스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측정된 가스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최대 회전속도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이동형 수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거치된 상기 객체가 상기 이동형 수장고의 외부에서 관찰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상기 내부 공간에 거치된 상기 객체의 세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인,
    이동형 수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가 다양한 가로, 세로 및 두께를 가지는 액자에 보관된 미술 작품인 경우, 상기 객체 거치부는,
    수평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액자의 상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상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
    수평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액자의 하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하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
    수직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상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와 연결되어 상기 상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이동 가이드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수직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하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와 연결되어 상기 하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이동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이동 가이드부의 수직 이동과 상기 상측 및 하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의 수평 이동에 따라 상기 액자가 상기 내부 공간에서 고정하여 거치되는,
    이동형 수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는, 상기 액자의 좌상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제1 모서리 지지 조립체와, 상기 액자의 우상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제2 모서리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는, 상기 액자의 좌하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제3 모서리 지지 조립체와, 상기 액자의 우하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제4 모서리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거치부는,
    상기 제1 및 제2 이동 가이드부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고, 수평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제1 이동 가이드부를 통한 상기 제1 모서리 지지 조립체의 수평 이동 및 상기 제2 이동 가이드부를 통한 상기 제3 모서리 지지 조립체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3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제3 이동 가이드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3 이동 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제1 및 제2 이동 가이드부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고, 수평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제1 이동 가이드부를 통한 상기 제2 모서리 지지 조립체의 수평 이동 및 상기 제2 이동 가이드부를 통한 상기 제4 모서리 지지 조립체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4 이동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수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거치부는,
    서로 나란하게 고정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이동 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제1 및 제2 이동 가이드부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고정 가이드부; 및
    서로 나란하게 고정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이동 가이드부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3 및 제4 고정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수장고.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 각각은,
    상기 액자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모서리 지지 모듈; 및
    상기 모서리 지지 모듈을 상기 제1 및 제2 이동 가이드부 중 대응되는 이동 가이드부에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 지지 모듈은 제1 및 제2 모서리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모서리 지지 부재는, 수직 부재 및 상기 수직 부재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모서리 지지 부재의 제1 면은 상기 수직 부재의 제1 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2 모서리 지지 부재의 제2 면은 상기 수평 부재의 제1 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2 모서리 지지 부재는 상기 수직 및 수평 부재의 폭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액자의 모서리는 상기 수직 부재의 제1 면, 상기 수평 부재의 제1 면 및 상기 제2 모서리 지지 부재의 제3 면을 경계면으로 하는 제1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제2 모서리 지지 부재의 제3 면은 상기 제2 모서리 지지 부재의 제1 및 제2 면과 수직한 면인,
    이동형 수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모서리 지지 조립체 각각은,
    상기 연결 모듈과 상기 모서리 지지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완충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 모듈은, 상기 모서리 지지 모듈에 부착되는 제1 부착 부재와, 상기 연결 모듈에 부착되는 제2 부착 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부착 부재를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로 연결하는 2 이상의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형태는, 상기 금속 와이어의 일측이 상기 제1 부착 부재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결합되고, 상기 금속 와이어의 타측이 상기 제2 부착 부재의 측면과 결합되는 형태이고,
    상기 제2 형태는, 상기 금속 와이어의 일측이 상기 제1 부착 부재의 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금속 와이어의 타측이 상기 제2 부착 부재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결합되는 형태인,
    이동형 수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복수의 완충 모듈을 통해 상기 모서리 지지 모듈과 연결되는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제1 연결 부재를 상기 대응되는 이동 가이드부에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대응되는 이동 가이드부와 마주보는 제1-1 연결 부재와, 상기 제1-1 연결 부재에서 상기 수직 및 수평 부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 지지 모듈은 상기 제1 모서리 지지 부재를 둘러싸는 둘레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둘레 부재는, 상기 제1-1 연결 부재와 마주보는 제1 둘레 부재와, 상기 제1-2 연결 부재와 마주보는 제2 둘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완충 모듈은, 상기 제1-1 연결 부재와 상기 제1 둘레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완충 모듈과, 상기 제1-2 연결 부재와 상기 제2 둘레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완충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완충 모듈의 개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완충 모듈의 개수보다 작은,
    이동형 수장고.
KR1020240038024A 2024-03-19 2024-03-19 이동형 수장고 Active KR102722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8024A KR102722268B1 (ko) 2024-03-19 2024-03-19 이동형 수장고
KR1020240098113A KR20250141000A (ko) 2024-03-19 2024-07-24 다양한 크기의 객체가 거치 가능한 이동형 수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8024A KR102722268B1 (ko) 2024-03-19 2024-03-19 이동형 수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98113A Division KR20250141000A (ko) 2024-03-19 2024-07-24 다양한 크기의 객체가 거치 가능한 이동형 수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22268B1 true KR102722268B1 (ko) 2024-10-25

Family

ID=932884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8024A Active KR102722268B1 (ko) 2024-03-19 2024-03-19 이동형 수장고
KR1020240098113A Pending KR20250141000A (ko) 2024-03-19 2024-07-24 다양한 크기의 객체가 거치 가능한 이동형 수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98113A Pending KR20250141000A (ko) 2024-03-19 2024-07-24 다양한 크기의 객체가 거치 가능한 이동형 수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72226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6802B2 (ja) * 1989-04-27 1998-04-02 昭和飛行機工業株式会社 箱状構造体
US6129428A (en) * 1996-08-05 2000-10-10 Kendro Laboratory Products Gmbh Storage device for objects, storage station and air-conditioned cabinet
JP2001269249A (ja) * 2000-03-24 2001-10-02 Nippon Eng Kk 温蔵ケース
KR20010105926A (ko) * 2000-05-19 2001-11-29 박기석 미술품 보호용 운반액자틀체
US20040150306A1 (en) * 2000-05-17 2004-08-05 Steedly John W. Portable display, storage and transport case
US20060157372A1 (en) * 2005-01-14 2006-07-20 Versacrate Corporation Shipping device
KR20190134195A (ko) * 2018-05-25 2019-12-04 양승철 미술품 운반용 보호장치
KR102470008B1 (ko) * 2021-12-13 2022-11-25 (주)이담 이동식 전시물 쇼케이스
CN115892747A (zh) * 2022-12-22 2023-04-04 梁永海 一种美术作品保存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6802B2 (ja) * 1989-04-27 1998-04-02 昭和飛行機工業株式会社 箱状構造体
US6129428A (en) * 1996-08-05 2000-10-10 Kendro Laboratory Products Gmbh Storage device for objects, storage station and air-conditioned cabinet
JP2001269249A (ja) * 2000-03-24 2001-10-02 Nippon Eng Kk 温蔵ケース
US20040150306A1 (en) * 2000-05-17 2004-08-05 Steedly John W. Portable display, storage and transport case
KR20010105926A (ko) * 2000-05-19 2001-11-29 박기석 미술품 보호용 운반액자틀체
US20060157372A1 (en) * 2005-01-14 2006-07-20 Versacrate Corporation Shipping device
KR20190134195A (ko) * 2018-05-25 2019-12-04 양승철 미술품 운반용 보호장치
KR102470008B1 (ko) * 2021-12-13 2022-11-25 (주)이담 이동식 전시물 쇼케이스
CN115892747A (zh) * 2022-12-22 2023-04-04 梁永海 一种美术作品保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141000A (ko) 2025-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3480B2 (ja) 蓄電池用ラックおよび蓄電装置
JP5173382B2 (ja) プリズムユニット
WO2017154478A1 (ja) 蓄電装置
KR102722268B1 (ko) 이동형 수장고
KR20070072391A (ko)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084087A (ja) 組立て式箱状体と板材連結構造
CA2904158C (en) Support device and support method
CN115839955A (zh) 一种桌面型外观拍摄装置及其工作方法、存储设备
JP2011249473A (ja) 電子機器収納箱
JP6664908B2 (ja) 建築用板材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CN213927203U (zh) 一种装配式墙面的组合式墙板
JP5516476B2 (ja) 空気調和機の包装装置
CN117202588A (zh) 一种电子设备放置装置及应用其的录音屏蔽装置
US8602380B2 (en) Mounting device for fan
US20150022954A1 (en) Measuring machine
JP5109512B2 (ja) 板状体用の収納装置
CN206084154U (zh) 一种便携式激光雕刻机
JPWO2017159563A1 (ja) 梱包用部材、梱包体および梱包体の製造方法
CN210428292U (zh) 扩展式机箱
JP6708533B2 (ja) 天板付什器
CN105101686A (zh) 壳体及采用该壳体之移动终端
US10048162B2 (en) Testing device and testing method for optical film
CN207436561U (zh) 房屋箱
CN110562605A (zh) 包装结构和空调器包装套装组
CN220543290U (zh) 一种库房温湿度数据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3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7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