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2601B1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2601B1
KR102722601B1 KR1020160162285A KR20160162285A KR102722601B1 KR 102722601 B1 KR102722601 B1 KR 102722601B1 KR 1020160162285 A KR1020160162285 A KR 1020160162285A KR 20160162285 A KR20160162285 A KR 20160162285A KR 102722601 B1 KR102722601 B1 KR 102722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tack
layer
emitting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2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2232A (en
Inventor
이재만
최홍석
김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2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2601B1/en
Publication of KR2018006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2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2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260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10K50/13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with spacer layers between the electroluminescent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9Tandem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8Reflective anodes, e.g. ITO combined with thick metallic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6Multilayers, e.g. opaque mult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2Stacked devices having two or more layers, each emitting at different wavelength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구비된 제1 스택, 제2 스택, 및 제3 스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스택은 서로 상이한 층에 적층된 황녹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적색 발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omprising a first stack, a second stack, and a third stack provided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wherein the second stack includes a yellow-green light-emitting layer, a green light-emitting layer, and a red light-emitting layer laminated in different layers.

Description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that emits white light.

유기 발광 소자는 전자(electron)를 주입하는 음극(cathode)과 정공(hole)을 주입하는 양극(anode) 사이에 발광층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음극에서 발생된 전자 및 양극에서 발생된 정공이 발광층 내로 주입되면 주입된 전자 및 정공이 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이 생성되고, 생성된 엑시톤이 여기상태(excited state)에서 기저상태(ground state)로 떨어지면서 발광을 하는 원리를 이용한 소자이다.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have a structure in which a light-emitting layer is formed between a cathode that injects electrons and an anode that injects holes. When electrons generated from the cathode and holes generated from the anode are injected into the light-emitting layer, the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combine to generate excitons, and the generated excitons fall from an excited state to a ground state, emitting light. This is a device that utilizes the principle.

이와 같은 유기 발광 소자는 조명뿐만 아니라 액정표시장치의 박형 광원 또는 표시 장치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특히 백색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소자는 컬러 필터와 조합하여 풀 컬러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Such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s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not only to lighting but also to thin light sources or display devices of liquid crystal displays. In particular,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s that emit white light can be applied to full-color display devices in combination with color filters.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A conventional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도 1a는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Figure 1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Figure 1b is a graph showing the emission spectrum of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도 1a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는 양극(Anode), 제1 스택(1st Stack), 전하 생성층(Charge Generating Layer; CGL), 제2 스택(2nd Stack), 및 음극(Cathode)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 1a, a conventional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s composed of an anode, a 1st stack, a charge generating layer (CGL), a 2nd stack, and a cathode.

상기 제1 스택(1st Stack)은 상기 양극(Anode) 상에 형성되며 청색(Blue; B) 발광층(Emitting Layer; EM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above first stack (1st Stack) is formed on the anode and includes a blue (B) emitting layer (EML).

상기 전하 생성층(CGL)은 상기 제1 스택(1st Stack)과 상기 제2 스택(2nd Stack)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택(1st Stack)과 상기 제2 스택(2nd Stack) 사이에서 전하를 균형되게 조절한다. The charge generation layer (CGL)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tack (1st Stack) and the second stack (2nd Stack) to balance charges between the first stack (1st Stack) and the second stack (2nd Stack).

상기 제2 스택(2nd Stack)은 상기 전하 생성층(CGL)과 상기 음극(Cathode) 사이에 형성되며 황녹색(Yellow Green; YG) 발광층(Emitting Layer; EM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econd stack (2nd Stack) is formed between the charge generation layer (CGL) and the cathode and includes a yellow green (YG) emitting layer (EML).

이와 같은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의 경우, 상기 제1 스택(1st Stack)의 청색(B) 발광층(EML)에서 발광된 청색의 광과 상기 제2 스택(2nd Stack)의 황녹색(YG) 발광층(EML)에서 발광된 황녹색 광이 혼합되어 백색(White)의 광을 방출한다. In the case of such conventional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blue light emitted from the blue (B) light-emitting layer (EML) of the first stack (1st Stack) and yellow-green light emitted from the yellow-green (YG) light-emitting layer (EML) of the second stack (2nd Stack) are mixed to emit white light.

그러나,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는 2 개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발광 스펙트럼을 보임으로써 화상을 표시할 때 색재현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However, conventional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color reproducibility is low when displaying images because they exhibit an emission spectrum with two peak wavelengths.

즉, 도 1b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경우, 상기 제1 스택(1st Stack)에서 방출되는 청색(B) 광에 의해서 단파장 대역에서 하나의 피크 파장이 나타나고 상기 제2 스택(2nd Stack)에서 방출되는 황녹색(YG) 광에 의해서 장파장 대역에서 하나의 피크 파장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장파장 대역에서 하나의 피크 파장만이 나타남으로써 구현할 수 있는 색상 범위가 한정되고 따라서 색재현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That is, as can be seen in Fig. 1b, in the conventional case, one peak wavelength appears in the short wavelength band by the blue (B)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stack (1st Stack), and one peak wavelength appears in the long wavelength band by the yellow-green (YG)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stack (2nd Stack). Since only one peak wavelength appears in the long wavelength band, the range of colors that can be implemented is limited, and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color reproducibility is reduce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색재현율이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ign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color reproducibility and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양극과 음극 사이에 구비된 제1 스택, 제2 스택, 및 제3 스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스택은 서로 상이한 층에 적층된 황녹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적색 발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stack, a second stack, and a third stack provided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wherein the second stack comprises a yellow-green light-emitting layer, a green light-emitting layer, and a red light-emitting layer laminated in different layers.

본 발명은 또한 양극과 음극 사이에 구비된 복수의 스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스택 중에서 적어도 하나 스택은 단파장 대역에서 하나의 피크 파장을 나타내도록 하는 하나의 발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스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스택은 장파장 대역에서 두 개의 피크 파장을 나타내도록 하는 세 개의 발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stacks provided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wherein at least one stack among the plurality of stacks comprises one light-emitting layer configured to exhibit one peak wavelength in a short wavelength band, and wherein any one stack among the plurality of stacks comprises three light-emitting layers configured to exhibit two peak wavelengths in a long wavelength band.

본 발명은 또한 기판 상에 구비된 박막 트랜지스터층,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구비된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전술한 유기 발광 소자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thin film transistor layer provided on a substrate, and a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provid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wherein th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is made of the above-described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택과 제2 스택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스택이 개별적으로 적층된 황녹색(YG) 발광층(EML), 녹색(G) 발광층(EML), 및 적색(R) 발광층(EML)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장파장 대역에서 두 개의 피크 파장이 나타나게 되어 표현할 수 있는 색상 범위가 증가되고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stack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ack and the second stack includes a yellow-green (YG) emitting layer (EML), a green (G) emitting layer (EML), and a red (R) emitting layer (EML) that are individually laminated, two peak wavelengths appear in a long wavelength band, so that the range of colors that can be expressed increases and color reproducibility can be improved.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스택에 구비된 황녹색(YG) 발광층(EML), 녹색(G) 발광층(EML), 및 적색(R) 발광층(EML)의 적층 순서를 최적화함으로써 색재현율, 색시야각,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or reproducibility, color viewing angle, and luminous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optimizing the stacking order of the yellow-green (YG) emitting layer (EML), the green (G) emitting layer (EML), and the red (R) emitting layer (EML) provided in the second stack.

도 1a는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상부 발광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하부 발광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Figure 1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Figure 1b is a graph showing the emission spectrum of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FIG. 2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graph showing an emission spectrum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a top-emitti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a bottom-emitti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illustrated.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the terms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it includes a case where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there is a specifically explicit description.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When describ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 'upper ~', 'lower ~', 'next to ~', etc.,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right' or 'directly' is used.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describing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describing a temporal relationship using phrases such as 'after', 'following', 'next to', or 'before', it can also include cases where there is no continuity, as long as 'right away' or 'directly' is not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a first component referred to below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The individual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may be technically linked and driven in various ways,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FIG. 2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graph showing an emission spectrum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양극(Anode), 제1 스택(1st Stack), 제1 전하 생성층(1st Charge Generating Layer; 1st CGL), 제2 스택(2nd Stack), 제2 전하 생성층(2nd Charge Generating Layer; 2nd CGL), 제3 스택(3rd Stack), 및 음극(Cathode)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 2a,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ode, a first stack, a first charge generating layer (1st CGL), a second stack, a second charge generating layer (2nd CGL), a third stack, and a cathode.

상기 제1 스택(1st Stack)은 상기 양극(Anode) 상에 형성되며 청색(Blue; B) 발광층(Emitting Layer; EM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above first stack (1st Stack) is formed on the anode and includes a blue (B) emitting layer (EML).

상기 제1 전하 생성층(1st CGL)은 상기 제1 스택(1st Stack)과 상기 제2 스택(2nd Stack)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택(1st Stack)과 상기 제2 스택(2nd Stack) 사이에서 전하를 균형되게 조절한다.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st CGL)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tack (1st Stack) and the second stack (2nd Stack) to balance charges between the first stack (1st Stack) and the second stack (2nd Stack).

상기 제2 스택(2nd Stack)은 상기 제1 전하 생성층(1st CGL)과 상기 제2 전하 생성층(2nd CGL) 사이에 형성되며 황녹색(Yellow Green; YG) 발광층(Emitting Layer; EML), 녹색(Green; G) 발광층(Emitting Layer; EML), 및 적색(Red; R) 발광층(Emitting Layer; EM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econd stack (2nd Stack)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st CGL) and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2nd CGL) and includes a yellow green (YG) emitting layer (EML), a green (G) emitting layer (EML), and a red (R) emitting layer (EML).

상기 황녹색(YG) 발광층(EML), 상기 녹색(G) 발광층(EML), 및 상기 적색(R) 발광층(EML)은 서로 인접하면서 서로 상이한 층에 개별적으로 적층된다. The above yellow-green (YG) emitting layer (EML), the green (G) emitting layer (EML), and the red (R) emitting layer (EML) are individually laminated in different layers while being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제2 전하 생성층(2nd CGL)은 상기 제2 스택(2nd Stack)과 상기 제3 스택(3rd Stack)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택(2nd Stack)과 상기 제3 스택(3rd Stack) 사이에서 전하를 균형되게 조절한다.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2nd CGL)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tack (2nd Stack) and the third stack (3rd Stack) to balance charges between the second stack (2nd Stack) and the third stack (3rd Stack).

상기 제3 스택(3rd Stack)은 상기 제2 전하 생성층(2nd CGL)과 상기 음극(Cathode) 사이에 형성되며 청색(Blue; B) 발광층(Emitting Layer; EM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third stack (3rd Stack)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2nd CGL) and the cathode and includes a blue (B) emitting layer (EM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택(1st Stack)과 상기 제3 스택(3rd Stack)이 각각 청색(B) 발광층(EML)을 포함하기 때문에 청색(B)의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stack (1st Stack) and the third stack (3rd Stack) each include a blue (B) light-emitting layer (EML), the light-emitting efficiency of blue (B) can be improved.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스택(2nd Stack)이 개별적으로 적층된 상기 황녹색(YG) 발광층(EML), 상기 녹색(G) 발광층(EML), 및 상기 적색(R) 발광층(EML)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장파장 대역에서 두 개의 피크 파장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방출되는 백색(White) 광이 단파장 대역에서 나타나는 한 개의 피크 파장과 장파장 대역에서 나타나는 두 개의 피크 파장을 포함하기 때문에, 표현할 수 있는 색상 범위가 증가되고 따라서 색재현율이 향상될 수 있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stack includes the individually stacked yellow-green (YG) emitting layer (EML), the green (G) emitting layer (EML), and the red (R) emitting layer (EML), two peak wavelengths appear in a long wavelength band. According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whit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es one peak wavelength appearing in a short wavelength band and two peak wavelengths appearing in a long wavelength band, the range of colors that can be expressed increases, and thus color reproducibility can be improved.

즉,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택(1st Stack) 및 상기 제3 스택(3rd Stack)에서 방출되는 청색(B) 광에 의해서 단파장 대역에서 하나의 피크 파장이 나타나고 상기 제2 스택(2nd Stack)에서 방출되는 황녹색(YG) 광, 녹색(G) 광, 및 적색(R) 광에 의해서 장파장 대역에서 두 개의 피크 파장이 나타난다. 따라서, 총 3개의 피크 파장이 나타남으로써 색재현율이 향상된다. That is, as can be seen in FIG. 2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peak wavelength appears in the short wavelength band by the blue (B)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stack (1st Stack) and the third stack (3rd Stack), and two peak wavelengths appear in the long wavelength band by the yellow-green (YG) light, green (G) light, and red (R)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stack (2nd Stack). Therefore, color reproducibility is improved by appearing a total of three peak wavelengths.

한편, 상기 제2 스택(2nd Stack)에 구비된 상기 황녹색(YG) 발광층(EML), 상기 녹색(G) 발광층(EML), 및 상기 적색(R) 발광층(EML)의 적층 순서를 최적화할 경우 색재현율, 색시야각, 및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적층 순서의 최적화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when the stacking order of the yellow-green (YG) emitting layer (EML), the green (G) emitting layer (EML), and the red (R) emitting layer (EML) provided in the second stack (2nd Stack) is optimized, the color reproducibility, color viewing angle, and luminous efficiency can be improved. Such optimization of the stacking ord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상부 발광(Top Emission)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a top emissio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양극(Anode), 제1 스택(1st Stack), 제1 전하 생성층(1st CGL), 제2 스택(2nd Stack), 제2 전하 생성층(2nd CGL), 제3 스택(3rd Stack), 및 음극(Cathode)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 3,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node, a first stack, a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st CGL), a second stack, a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2nd CGL), a third stack, and a cathode.

상기 양극(Anode)은 반사 전극으로 기능함으로써 상기 제1 스택(1st Stack), 제2 스택(2nd Stack), 및 제3 스택(3rd Stack)에서 발광한 광을 상기 음극(Cathode)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이를 위해서 상기 양극(Anode)은 은(Ag)과 같은 반사율이 우수한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 위에 형성되며 일함수(work function)가 높은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SnO2 또는 Zn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 anode functions as a reflective electrode to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stack, the second stack, and the third stack toward the cathode. To this end, the anode may include a metal layer having excellent reflectivity, such as silver (Ag),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metal layer and having a high work functi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of,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SnO 2 or ZnO.

상기 제1 스택(1st Stack)은 상기 양극(Anode) 상에 형성되어 청색(B) 광을 발광한다. 이와 같은 제1 스택(1st Stack)은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HIL), 제1 정공 수송층(1st Hole Transporting Layer; 1st HTL), 제1 발광층(1st Emitting Layer; 1st EML), 및 제1 전자 수송층(1st Electron Transporting Layer; 1st ET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above first stack (1st Stack) is formed on the anode and emits blue (B) light. The first stack (1st Stack)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first hole transporting layer (1st HTL), a first emitting layer (1st EML), and a first electron transporting layer (1st ETL).

상기 정공 주입층(HIL)은 상기 양극(Anode) 상에 형성되며, MTDATA(4,4',4"-tris(3-methylphenylphenylamino)triphenylamine), CuPc(copper phthalocyanine) 또는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phene, polystyrene sulfon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공 주입층(HIL)은 상기 제1 정공 수송층(1st HTL)을 구성하는 물질에 P타입의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above hole injection layer (HIL) is formed on the anode and may be formed of,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MTDATA (4,4',4"-tris(3-methylphenylphenylamino)triphenylamine), CuPc (copper phthalocyanine), or PEDOT/PSS (poly(3,4-ethylenedioxythiphene, polystyrene sulfonate). The hole injection layer (HIL) may also be formed by doping a P-type dopant into a material forming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st HTL).

상기 제1 정공 수송층(1st HTL)은 상기 정공 주입층(HIL) 상에 형성되며, TPD(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NPD(N, N-dinaphthyl-N, N’-diphenyl benzidine), 또는 NPB(N,N'-di(naphthalen-1-yl)-N,N'-diphenyl-benzidi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정공 수송층(1st HTL)은 P타입의 도펀트가 포함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정공 주입층(HIL)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동일한 공정 장비에서 연속 증착 공정으로 상기 정공 주입층(HIL)과 제1 정공 수송층(1st HTL)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st HTL) is formed on the hole injection layer (HIL) and may be formed of,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TPD), N,N-dinaphthyl-N, N'-diphenyl benzidine (NPPD), or N,N'-di(naphthalen-1-yl)-N,N'-diphenyl-benzidine (NPB).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st HTL)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hole injection layer (HIL) except that a P-type dopant is not included, and in this case, the hole injection layer (HIL) and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st HTL) may be formed by a continuous deposition process in the same process equipment.

상기 제1 발광층(1st EML)은 상기 제1 정공 수송층(1st HTL)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발광층(1st EML)은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층으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light-emitting layer (1st EML) is formed on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st HTL). The first light-emitting layer (1st EML) is formed of a blue light-emitting layer that emits blue (B) light.

상기 제1 발광층(1st EML)은 청색(B) 광, 예를 들어 피크(peak) 파장 범위가 440nm 내지 480nm 범위의 청색 광을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안트라센(anthracene) 유도체, 파이렌(pyrene) 유도체 및 페릴렌(perylene)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물질에 청색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 first light-emitting layer (1st EML) may include an organic material capable of emitting blue (B) light, for example, blue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range of 440 nm to 480 nm, and specifically, may be formed by doping a blue dopant into at least one host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thracene derivatives, pyrene derivatives, and perylene derivative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제1 전자 수송층(1st ETL)은 상기 제1 발광층(1st EML) 상에 형성되며, 카바졸(carbazole), 옥사디아졸(oxadiazole), 트리아졸(triazole), 페난트롤린(phenanthroline), 벤족사졸(benzoxazole) 또는 벤즈티아졸(benzthiazol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st ETL) is formed on the first light-emitting layer (1st EML) and may be made of,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carbazole, oxadiazole, triazole, phenanthroline, benzoxazole, or benzthiazole.

상기 제1 전하 생성층(1st CGL)은 상기 제1 스택(1st Stack)과 상기 제2 스택(2nd Stack)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택(1st Stack)과 상기 제2 스택(2nd Stack) 사이에서 전하를 균형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st CGL)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tack (1st Stack) and the second stack (2nd Stack) and serves to balance charges between the first stack (1st Stack) and the second stack (2nd Stack).

상기 제1 전하 생성층(1st CGL)은 상기 제1 스택(1st Stack)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택(1st Stack)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N형 전하 생성층 및 상기 N형 전하 생성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스택(2nd Stack)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P형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bov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st CGL) may include an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formed on the first stack (1st Stack) and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stack (1st Stack), and a P-type charge generation layer formed on the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and positioned adjacent to the second stack (2nd Stack).

상기 N형 전하 생성층은 상기 제1 스택(1st Stack)으로 전자(electron)를 주입해주고, 상기 P형 전하 생성층은 상기 제2 스택(2nd Stack)으로 정공(hole)을 주입해준다. 상기 N형 전하 생성층은 Li, Na, K, 또는 Cs와 같은 알칼리 금속, 또는 Mg, Sr, Ba, 또는 Ra와 같은 알칼리 토금속으로 도핑된 유기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형 전하 생성층은 정공수송능력이 있는 유기물질에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injects electrons into the first stack, and the P-type charge generation layer injects holes into the second stack. The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may be formed of an organic layer doped with an alkali metal such as Li, Na, K, or Cs, or an alkaline earth metal such as Mg, Sr, Ba, or Ra. The P-type charge generation layer may be formed by doping a dopant into an organic material having hole transport capability.

상기 제2 스택(2nd Stack)은 상기 제1 전하 생성층(1st CGL) 상에 형성되어 황녹색(Yellow Green; YG) 광, 녹색(Green; G) 광, 및 적색(Red; R) 광을 발광할 수 있다. The second stack (2nd Stack) is formed on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st CGL) and can emit yellow green (YG) light, green (G) light, and red (R) light.

이와 같은 제2 스택(2nd Stack)은 제2 정공 수송층(2nd HTL), 제2 발광층(2nd EML), 제3 발광층(3rd EML), 제4 발광층(4th EML), 및 제2 전자 수송층(2nd ET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econd stack (2nd Stack) is composed of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2nd HTL), a second emitting layer (2nd EML), a third emitting layer (3rd EML), a fourth emitting layer (4th EML), and a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2nd ETL).

상기 제2 정공 수송층(2nd HTL)은 상기 제1 전하 생성층(1st CGL) 상에 형성되며, TPD(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NPD(N, N-dinaphthyl-N, N’-diphenyl benzidine), 또는 NPB(N,N'-di(naphthalen-1-yl)-N,N'-diphenyl-benzidi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정공 수송층(2nd HTL)은 상기 제1 정공 수송층(1st HTL)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2nd HTL) is formed on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st CGL) and may be formed of,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TPD), N,N-dinaphthyl-N, N'-diphenyl benzidine (NPD), or N,N'-di(naphthalen-1-yl)-N,N'-diphenyl-benzidine (NPB).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2nd HTL)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st HTL), but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depending on the case.

상기 제2 발광층(2nd EML)은 상기 제2 정공 수송층(2nd HTL)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2 발광층(2nd EML)은 황녹색(YG) 광, 예를 들어 피크(peak) 파장 범위가 540nm 내지 580nm 범위의 광을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카바졸계 화합물 또는 금속 착물로 이루어진 호스트 물질에 황녹색의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바졸계 화합물은 CBP(4,4-N,N'-dicarbazole-biphenyl), CBP 유도체, mCP(N,N'-dicarbazolyl-3,5-benzene) 또는 mCP 유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금속 착물은 ZnPBO(phenyloxazole) 금속 착물 또는 ZnPBT(phenylthiazole) 금속 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nd EML) is formed on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2nd HTL).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nd EML) may include an organic material capable of emitting yellow-green (YG) light, for example,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range of 540 nm to 580 nm, and specifically, may be formed by doping a yellow-green dopant into a host material composed of a carbazole-based compound or a metal complex. The carbazole-based compound may include CBP (4,4-N,N'-dicarbazole-biphenyl), a CBP derivative, mCP (N,N'-dicarbazolyl-3,5-benzene) or an mCP derivative, and the metal complex may include a ZnPBO (phenyloxazole) metal complex or a ZnPBT (phenylthiazole) metal complex.

상기 제3 발광층(3rd EML)은 상기 제2 발광층(2nd EML)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3 발광층(3rd EML)은 녹색(G) 광, 예를 들어 피크 파장 범위가 510nm 내지 540nm 범위의 광을 발광하는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카바졸계 화합물 또는 금속 착물로 이루어진 호스트 물질에 녹색의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hird light-emitting layer (3rd EML) is formed on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nd EML). The third light-emitting layer (3rd EML) may include an organic material that emits green (G) light, for example,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range of 510 nm to 540 nm, and may be specifically formed by doping a green dopant into a host material formed of a carbazole-based compound or a metal complex.

상기 제4 발광층(4th EML)은 상기 제3 발광층(3rd EML)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4 발광층(4th EML)은 적색(R) 광, 예를 들어 피크 파장 범위가 600nm 내지 630nm 범위의 광을 발광하는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카바졸계 화합물 또는 금속 착물로 이루어진 호스트 물질에 적색의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ourth light-emitting layer (4th EML) is formed on the third light-emitting layer (3rd EML). The fourth light-emitting layer (4th EML) may include an organic material that emits red (R) light, for example,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range of 600 nm to 630 nm, and specifically, may be formed by doping a red dopant into a host material formed of a carbazole-based compound or a metal complex.

상기 제2 발광층(2nd EML)의 호스트 물질, 상기 제3 발광층(3rd EML)의 호스트 물질, 및 상기 제4 발광층(4th EML)의 호스트 물질은 서로 동일한 인광 호스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소자의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다. The host material of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nd EML), the host material of the third light-emitting layer (3rd EML), and the host material of the fourth light-emitting layer (4th EML) may be formed of the same phosphorescent host material, in which case the driving voltage of the device can be lowered.

도 3에 따른 구조는 상부 발광 구조이므로, 상기 제2 스택(2nd Stack) 내에 구비된 제2 발광층(2nd EML), 제3 발광층(3rd EML), 및 제4 발광층(4th EML)에서 발광된 각각의 광은 상기 음극(Cathode) 방향으로 위쪽으로 방출된다. Since the structure according to FIG. 3 is a top-emitting structure, each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emitting layer (2nd EML), the third emitting layer (3rd EML), and the fourth emitting layer (4th EML) provided in the second stack (2nd Stack) is emitted upward toward the cathode.

여기서, 마이크로 캐버티(Micro cavity)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세 개의 발광층(2nd, 3rd, 4th EML) 중에서 가장 장파장의 광인 적색(R) 광을 방출하는 제4 발광층(4th EML)이 상기 제2 발광층(2nd EML) 및 제3 발광층(3rd EML)보다 광이 방출되는 면에 해당하는 상기 음극(Cathode)에 가깝게 배치되고, 가장 단파장의 광인 녹색(G) 광을 방출하는 제3 발광층(3rd EML)이 상기 제2 발광층(2nd EML)보다 광이 방출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해당하는 상기 양극(Anode)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Here, in order to maximize the micro cavity effect, among the three emitting layers (2nd, 3rd, 4th EML), the fourth emitting layer (4th EML) that emits red (R) light, which is the light with the longest wavelength, may be arranged closer to the cathode corresponding to the light-emitting surface than the second emitting layer (2nd EML) and the third emitting layer (3rd EML), and the third emitting layer (3rd EML) that emits green (G) light, which is the light with the shortest wavelength, may be arranged closer to the anod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light-emitting surface than the second emitting layer (2nd EML).

그러나,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발광층(2nd, 3rd, 4th EML) 중에서 가장 장파장의 광인 적색(R) 광을 방출하는 제4 발광층(4th EML)은 상기 제2 발광층(2nd EML) 및 제3 발광층(3rd EML)보다 광이 방출되는 면에 해당하는 상기 음극(Cathode)에 가깝게 배치되지만, 중간 파장의 광인 황녹색(YG) 광을 방출하는 제2 발광층(2nd EML)이 상기 제3 발광층(3rd EML)보다 광이 방출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해당하는 상기 양극(Anode)에 가깝게 배치되고, 가장 단파장의 광인 녹색(G) 광을 방출하는 제3 발광층(3rd EML)은 상기 제2 발광층(2nd EML)과 상기 제4 발광층(4th EML) 사이에 배치된다. However, as can be seen in FIG. 3,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three light-emitting layers (2nd, 3rd, and 4th EML), the fourth light-emitting layer (4th EML) that emits red (R) light, which is the light with the longest wavelength, is disposed closer to the cathode corresponding to the light-emitting side than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nd EML) and the third light-emitting layer (3rd EML), but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nd EML) that emits yellow-green (YG) light, which is light with an intermediate wavelength, is disposed closer to the anode corresponding to the side opposite to the light-emitting side than the third light-emitting layer (3rd EML), and the third light-emitting layer (3rd EML) that emits green (G) light, which is light with the shortest wavelength,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nd EML) and the fourth light-emitting layer (4th EML).

이와 같이, 상부 발광 방식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정공 수송층(2nd HTL)과 상기 제2 전자 수송층(2nd ETL) 사이에 황녹색(YG) 광을 방출하는 제2 발광층(2nd EML), 녹색(G) 광을 방출하는 제3 발광층(3rd EML), 및 적색(R) 광을 방출하는 제4 발광층(4th EML)을 차례로 적층함으로써, 광효율, 색재현율, 및 색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자의 구동전압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구체적인 실험예를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w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top emission method, a second light-emitting layer (2nd EML) emitting yellow-green (YG) light, a third light-emitting layer (3rd EML) emitting green (G) light, and a fourth light-emitting layer (4th EML) emitting red (R) light are sequentially laminated between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2nd HTL) and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2nd ETL), thereby improving light efficiency, color reproducibility, and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and lowering the driving voltage of the device. This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referring to specific experimental examples described below.

상기 제2 전자 수송층(2nd ETL)은 상기 제4 발광층(4th EML) 상에 형성되며, 카바졸(carbazole), 옥사디아졸(oxadiazole), 트리아졸(triazole), 페난트롤린(phenanthroline), 벤족사졸(benzoxazole) 또는 벤즈티아졸(benzthiazol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2nd ETL) is formed on the fourth light-emitting layer (4th EML) and may be formed of,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carbazole, oxadiazole, triazole, phenanthroline, benzoxazole, or benzthiazole.

상기 제2 전자 수송층(2nd ETL)은 상기 제1 전자 수송층(1st ETL)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2nd ETL)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st ET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제2 전하 생성층(2nd CGL)은 상기 제2 스택(2nd Stack)과 상기 제3 스택(3rd Stack)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택(2nd Stack)과 상기 제3 스택(3rd Stack) 사이에서 전하를 균형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2nd CGL)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tack (2nd Stack) and the third stack (3rd Stack) and serves to balance charges between the second stack (2nd Stack) and the third stack (3rd Stack).

상기 제2 전하 생성층(2nd CGL)은 상기 제2 스택(2nd Stack)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스택(2nd Stack)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N형 전하 생성층 및 상기 N형 전하 생성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스택(3rd Stack)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P형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2nd CGL) may include an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formed on the second stack (2nd Stack) and positioned adjacent to the second stack (2nd Stack), and a P-type charge generation layer formed on the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and positioned adjacent to the third stack (3rd Stack).

상기 N형 전하 생성층은 상기 제2 스택(2nd Stack)으로 전자(electron)를 주입해주고, 상기 P형 전하 생성층은 상기 제3 스택(3rd Stack)으로 정공(hole)을 주입해준다. 상기 N형 전하 생성층은 Li, Na, K, 또는 Cs와 같은 알칼리 금속, 또는 Mg, Sr, Ba, 또는 Ra와 같은 알칼리 토금속으로 도핑된 유기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형 전하 생성층은 정공수송능력이 있는 유기물질에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injects electrons into the 2nd stack, and the P-type charge generation layer injects holes into the 3rd stack. The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may be formed of an organic layer doped with an alkali metal such as Li, Na, K, or Cs, or an alkaline earth metal such as Mg, Sr, Ba, or Ra. The P-type charge generation layer may be formed by doping a dopant into an organic material having hole transport capability.

상기 제2 전하 생성층(2nd CGL)은 상기 제1 전하 생성층(1st CGL)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2nd CGL)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st CG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제3 스택(3rd Stack)은 상기 제2 전하 생성층(2nd CGL)과 상기 음극(Cathode) 사이에 형성되어 청색(Blue) 광을 발광할 수 있다. The third stack (3rd Stack)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2nd CGL) and the cathode and can emit blue light.

이와 같은 제3 스택(3rd Stack)은 제3 정공 수송층(3rd HTL), 제5 발광층(5th EML), 제3 전자 수송층(3rd ETL), 및 전자 주입층(EI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third stack (3rd Stack) is composed of a third hole transport layer (3rd HTL), a fifth emitting layer (5th EML), a third electron transport layer (3rd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상기 제3 정공 수송층(3rd HTL)은 상기 제2 전하 생성층(2nd CGL) 상에 형성되며, TPD(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NPD(N, N-dinaphthyl-N, N’-diphenyl benzidine), 또는 NPB(N,N'-di(naphthalen-1-yl)-N,N'-diphenyl-benzidi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3 정공 수송층(3rd HTL)은 상기 제1 정공 수송층(1st HTL) 또는 상기 제2 정공 수송층(2nd HTL)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third hole transport layer (3rd HTL) is formed on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2nd CGL) and may be formed of,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TPD), N,N-dinaphthyl-N, N'-diphenyl benzidine (NPD), or N,N'-di(naphthalen-1-yl)-N,N'-diphenyl-benzidine (NPB). The third hole transport layer (3rd HTL)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hole transport layer (1st HTL) or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2nd HTL), but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depending on the case.

상기 제5 발광층(5th EML)은 상기 제3 정공 수송층(3rd HTL)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5 발광층(5th EML)은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층으로 이루어진다. The fifth light-emitting layer (5th EML) is formed on the third hole transport layer (3rd HTL). The fifth light-emitting layer (5th EML) is formed of a blue light-emitting layer that emits blue (B) light.

상기 제5 발광층(5th EML)은 청색(B) 광, 예를 들어 피크(peak) 파장 범위가 440nm 내지 480nm 범위의 청색 광을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안트라센(anthracene) 유도체, 파이렌(pyrene) 유도체 및 페릴렌(perylene)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물질에 청색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 fifth light-emitting layer (5th EML) may include an organic material capable of emitting blue (B) light, for example, blue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range of 440 nm to 480 nm, and specifically, may be formed by doping a blue dopant into at least one host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thracene derivatives, pyrene derivatives, and perylene derivative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제3 전자 수송층(3rd ETL)은 상기 제5 발광층(5th EML) 상에 형성되며, 카바졸(carbazole), 옥사디아졸(oxadiazole), 트리아졸(triazole), 페난트롤린(phenanthroline), 벤족사졸(benzoxazole) 또는 벤즈티아졸(benzthiazol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third electron transport layer (3rd ETL) is formed on the fifth light-emitting layer (5th EML) and may be formed of,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carbazole, oxadiazole, triazole, phenanthroline, benzoxazole, or benzthiazole.

상기 제3 전자 수송층(3rd ETL)은 상기 제1 전자 수송층(1st ETL) 또는 상기 제2 전자 수송층(2nd ETL)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third electron transport layer (3rd ETL)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1st ETL) or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2nd ETL), but may b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depending on the case.

상기 전자 주입층(EIL)은 상기 제3 전자 수송층(3rd ETL) 상에 형성되며, LiF(lithium fluoride) 또는 LiQ(lithium quinol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is formed on the third electron transport layer (3rd ETL) and may be made of,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lithium fluoride (LiF) or lithium quinolate (LiQ).

상기 음극(Cathode)은 상기 제3 스택(3rd Stack) 상에 형성된다. 상기 음극(Cathode)은 광이 방출하는 발광면에 해당하므로 투명 도전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극(Cathode)을 구성하는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SnO2 또는 Zn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 cathode is formed on the 3rd stack. Since the cathode corresponds to a light-emitting surface where light is emitted, it is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constituting the cathode may be formed of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SnO 2 or ZnO,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하부 발광(Bottom Emission)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a bottom emissio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양극(Anode), 제1 스택(1st Stack), 제1 전하 생성층(1st CGL), 제2 스택(2nd Stack), 제2 전하 생성층(2nd CGL), 제3 스택(3rd Stack), 및 음극(Cathode)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 4,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node, a first stack, a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st CGL), a second stack, a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2nd CGL), a third stack, and a cathode.

상기 양극(Anode)은 일함수(work function)가 높은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SnO2 또는 Zn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 anode may be formed by including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having a high work functi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of,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SnO 2 or ZnO.

상기 제1 스택(1st Stack)은 상기 양극(Anode) 상에 형성되어 청색(B) 광을 발광한다. 이와 같은 제1 스택(1st Stack)은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HIL), 제1 정공 수송층(1st Hole Transporting Layer; 1st HTL), 제1 발광층(1st Emitting Layer; 1st EML), 및 제1 전자 수송층(1st Electron Transporting Layer; 1st ET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above first stack (1st Stack) is formed on the anode and emits blue (B) light. The first stack (1st Stack)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first hole transporting layer (1st HTL), a first emitting layer (1st EML), and a first electron transporting layer (1st ETL).

상기 제1 스택(1st Stack)의 구성은 전술한 도 3에 따른 제1 스택(1st Stack)의 구성과 동일하며, 따라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first stack (1st Stack)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tack (1st Stack)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g. 3, and therefore, a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제1 전하 생성층(1st CGL)은 상기 제1 스택(1st Stack)과 상기 제2 스택(2nd Stack) 사이에 형성된다.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st CGL)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tack (1st Stack) and the second stack (2nd Stack).

상기 제1 전하 생성층(1st CGL)의 구성은 전술한 도 3의 제1 전하 생성층(1st CGL)의 구성과 동일하며, 따라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st CGL)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st CGL) of FIG. 3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a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제2 스택(2nd Stack)은 상기 제1 전하 생성층(1st CGL) 상에 형성되어 적색(Red; R) 광, 녹색(Green; G) 광, 및 황녹색(Yellow Green; YG) 광을 발광할 수 있다. The second stack (2nd Stack) is formed on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st CGL) and can emit red (R) light, green (G) light, and yellow green (YG) light.

이와 같은 제2 스택(2nd Stack)은 제2 정공 수송층(2nd HTL), 제2 발광층(2nd EML), 제3 발광층(3rd EML), 제4 발광층(4th EML), 및 제2 전자 수송층(2nd ET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econd stack (2nd Stack) is composed of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2nd HTL), a second emitting layer (2nd EML), a third emitting layer (3rd EML), a fourth emitting layer (4th EML), and a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2nd ETL).

상기 제2 정공 수송층(2nd HTL)은 상기 제1 전하 생성층(1st CGL) 상에 형성되며, 전술한 도 3에 따른 제2 정공 수송층(2nd HTL)의 구성과 동일하며, 따라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2nd HTL) is formed on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st CGL) and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2nd HTL)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FIG. 3, and therefore, a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제2 발광층(2nd EML)은 상기 제2 정공 수송층(2nd HTL) 상에 형성된다.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nd EML) is formed on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2nd HTL).

상기 제2 발광층(2nd EML)은 적색(R) 광, 예를 들어 피크 파장 범위가 600nm 내지 630nm 범위의 광을 발광하는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카바졸계 화합물 또는 금속 착물로 이루어진 호스트 물질에 적색의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nd EML) may include an organic material that emits red (R) light, for example,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range of 600 nm to 630 nm, and may be specifically formed by doping a red dopant into a host material composed of a carbazole-based compound or a metal complex.

상기 제3 발광층(3rd EML)은 상기 제2 발광층(2nd EML)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3 발광층(3rd EML)은 녹색(G) 광, 예를 들어 피크 파장 범위가 510nm 내지 540nm 범위의 광을 발광하는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카바졸계 화합물 또는 금속 착물로 이루어진 호스트 물질에 녹색의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hird light-emitting layer (3rd EML) is formed on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nd EML). The third light-emitting layer (3rd EML) may include an organic material that emits green (G) light, for example,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range of 510 nm to 540 nm, and may be specifically formed by doping a green dopant into a host material formed of a carbazole-based compound or a metal complex.

상기 제4 발광층(4th EML)은 상기 제3 발광층(3rd EML)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4 발광층(4th EML)은 황녹색(YG) 광, 예를 들어 피크(peak) 파장 범위가 540nm 내지 580nm 범위의 광을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카바졸계 화합물 또는 금속 착물로 이루어진 호스트 물질에 황녹색의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ourth light-emitting layer (4th EML) is formed on the third light-emitting layer (3rd EML). The fourth light-emitting layer (4th EML) may include an organic material capable of emitting yellow-green (YG) light, for example, light having a peak wavelength range of 540 nm to 580 nm, and specifically, may be formed by doping a yellow-green dopant into a host material composed of a carbazole-based compound or a metal complex.

상기 제2 발광층(2nd EML)의 호스트 물질, 상기 제3 발광층(3rd EML)의 호스트 물질, 및 상기 제4 발광층(4th EML)의 호스트 물질은 서로 동일한 인광 호스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소자의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다. The host material of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nd EML), the host material of the third light-emitting layer (3rd EML), and the host material of the fourth light-emitting layer (4th EML) may be formed of the same phosphorescent host material, in which case the driving voltage of the device can be lowered.

도 4에 따른 구조는 하부 발광 구조이므로, 상기 제2 스택(2nd Stack) 내에 구비된 제2 발광층(2nd EML), 제3 발광층(3rd EML), 및 제4 발광층(4th EML)에서 발광된 각각의 광은 상기 양극(Anode)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방출된다. Since the structure according to FIG. 4 is a lower light-emitting structure, each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nd EML), the third light-emitting layer (3rd EML), and the fourth light-emitting layer (4th EML) provided in the second stack (2nd Stack) is emitted downward toward the anode.

여기서, 마이크로 캐버티(Micro cavity)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세 개의 발광층(2nd, 3rd, 4th EML) 중에서 가장 장파장의 광인 적색(R) 광을 방출하는 제2 발광층(2nd EML)이 상기 제3 발광층(3rd EML) 및 제4 발광층(4th EML)보다 광이 방출되는 면에 해당하는 상기 양극(Anode)에 가깝게 배치되고, 가장 단파장의 광인 녹색(G) 광을 방출하는 제3 발광층(3rd EML)이 상기 제4 발광층(4th EML)보다 광이 방출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해당하는 상기 음극(Cathode)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Here, in order to maximize the micro cavity effect, among the three emitting layers (2nd, 3rd, 4th EML), the second emitting layer (2nd EML) that emits red (R) light, which is the light with the longest wavelength, may be arranged closer to the anode corresponding to the light-emitting surface than the third emitting layer (3rd EML) and the fourth emitting layer (4th EML), and the third emitting layer (3rd EML) that emits green (G) light, which is the light with the shortest wavelength, may be arranged closer to the cathod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light-emitting surface than the fourth emitting layer (4th EML).

그러나,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발광층(2nd, 3rd, 4th EML) 중에서 가장 장파장의 광인 적색(R) 광을 방출하는 제2 발광층(2nd EML)은 상기 제3 발광층(3rd EML) 및 제4 발광층(4th EML)보다 광이 방출되는 면에 해당하는 상기 양극(Anode)에 가깝게 배치되지만, 중간 파장의 광인 황녹색(YG) 광을 방출하는 제4 발광층(4th EML)이 상기 제3 발광층(3rd EML)보다 광이 방출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해당하는 상기 음극(Cathode)에 가깝게 배치되고, 가장 단파장의 광인 녹색(G) 광을 방출하는 제3 발광층(3rd EML)은 상기 제2 발광층(2nd EML)과 상기 제4 발광층(4th EML) 사이에 배치된다. However, as can be seen in FIG. 4,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three light-emitting layers (2nd, 3rd, 4th EML),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nd EML) that emits red (R) light, which is the light with the longest wavelength, is disposed closer to the anode corresponding to the light-emitting side than the third light-emitting layer (3rd EML) and the fourth light-emitting layer (4th EML), but the fourth light-emitting layer (4th EML) that emits yellow-green (YG) light, which is light with an intermediate wavelength, is disposed closer to the cathode corresponding to the side opposite to the light-emitting side than the third light-emitting layer (3rd EML), and the third light-emitting layer (3rd EML) that emits green (G) light, which is light with the shortest wavelength,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ight-emitting layer (2nd EML) and the fourth light-emitting layer (4th EML).

이와 같이, 하부 발광 방식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정공 수송층(2nd HTL)과 상기 제2 전자 수송층(2nd ETL) 사이에 적색(R) 광을 방출하는 제2 발광층(2nd EML), 녹색(G) 광을 방출하는 제3 발광층(3rd EML), 및 황녹색(YG) 광을 방출하는 제4 발광층(4th EML)을 차례로 적층함으로써, 광효율, 색재현율, 및 색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자의 구동전압을 낮출 수 있다. In this w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bottom emission method, a second light-emitting layer (2nd EML) emitting red (R) light, a third light-emitting layer (3rd EML) emitting green (G) light, and a fourth light-emitting layer (4th EML) emitting yellow-green (YG) light are sequentially laminated between the second hole transport layer (2nd HTL) and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2nd ETL), thereby improving light efficiency, color reproducibility, and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and lowering the driving voltage of the device.

상기 제2 전자 수송층(2nd ETL)은 상기 제4 발광층(4th EML) 상에 형성되며, 전술한 도 3의 제2 전자 수송층(2nd ETL)의 구성과 동일하며, 따라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abov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2nd ETL) is formed on the fourth light-emitting layer (4th EML) and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2nd ETL) of FIG. 3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a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제2 전하 생성층(2nd CGL)은 상기 제2 스택(2nd Stack)과 상기 제3 스택(3rd Stack) 사이에 형성된다.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2nd CGL)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tack (2nd Stack) and the third stack (3rd Stack).

상기 제2 전하 생성층(2nd CGL)의 구성은 전술한 도 3의 제2 전하 생성층(2nd CGL)의 구성과 동일하며, 따라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2nd CGL)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2nd CGL) of FIG. 3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a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제3 스택(3rd Stack)은 상기 제2 전하 생성층(2nd CGL)과 상기 음극(Cathode) 사이에 형성되어 청색(Blue) 광을 발광할 수 있다. The third stack (3rd Stack)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2nd CGL) and the cathode and can emit blue light.

이와 같은 제3 스택(3rd Stack)은 제3 정공 수송층(3rd HTL), 제5 발광층(5th EML), 제3 전자 수송층(3rd ETL), 및 전자 주입층(EI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third stack (3rd Stack) is composed of a third hole transport layer (3rd HTL), a fifth emitting layer (5th EML), a third electron transport layer (3rd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상기 제3 스택(3rd Stack)의 구성은 전술한 도 3에 따른 제3 스택(3rd Stack)의 구성과 동일하며, 따라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3rd stack is identical to the configuration of the 3rd stack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FIG. 3, and therefore, a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음극(Cathode)은 상기 제3 스택(3rd Stack) 상에 형성된다. The above cathode is formed on the 3rd stack.

상기 음극(Cathode)은 반사 전극으로 기능함으로써 상기 제1 스택(1st Stack), 제2 스택(2nd Stack), 및 제3 스택(3rd Stack)에서 발광한 광을 상기 양극(Anode)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음극(Cathode)은 반사율이 우수하고 일함수가 낮은 금속, 예로서,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리튬(Li) 또는 칼슘(Ca)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 cathode functions as a reflective electrode to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stack, the second stack, and the third stack toward the anode. To this end, the cathode may be made of a metal having excellent reflectivity and low work function, such as aluminum (Al), silver (Ag), magnesium (Mg), lithium (Li), or calcium (Ca),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적용한 것이다.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s applied.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 박막 트랜지스터층(20), 평탄화층(30), 제1 전극(40), 뱅크층(50), 유기층(60), 및 제2 전극(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 5,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bstrate (10), a thin film transistor layer (20), a planarization layer (30), a first electrode (40), a bank layer (50), an organic layer (60), and a second electrode (70).

상기 기판(10)은 유리 또는 구부리거나 휠 수 있는 투명한 플라스틱, 예로서, 폴리이미드가 이용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 substrate (10) may be made of glass or a transparent plastic that can be bent or rolled, such as polyimid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은 상기 기판(10) 상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층(20)은 게이트 전극(21), 게이트 절연막(22), 반도체층(23), 소스 전극(24a), 드레인 전극(24b), 및 보호막(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above thin film transistor layer (20) is formed on the substrate (10).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20) includes a gate electrode (21), a gate insulating film (22), a semiconductor layer (23), a source electrode (24a), a drain electrode (24b), and a protective film (25).

상기 게이트 전극(21)은 상기 기판(10) 상에 패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22)은 상기 게이트 전극(21)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도체층(23)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22) 상에 패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스 전극(24a)과 상기 드레인 전극(24b)은 상기 반도체층(23) 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패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호막(25)은 상기 소스 전극(24a)과 상기 드레인 전극(24b) 상에 형성되어 있다.The gate electrode (21) is pattern-formed on the substrate (10), the gate insulating film (22) is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21), the semiconductor layer (23) is pattern-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22), the source electrode (24a) and the drain electrode (24b) are pattern-formed to face each other on the semiconductor layer (23), and the protective film (25) is formed on the source electrode (24a) and the drain electrode (24b).

도면에는 게이트 전극(21)이 반도체층(23) 아래에 형성되는 바텀 게이트(bottom gate) 구조를 도시하였지만, 게이트 전극(21)이 반도체층(23) 위에 형성되는 탑 게이트(top gate)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lthough the drawing illustrates a bottom gate structure in which the gate electrode (21) is formed below the semiconductor layer (23), it may also be formed as a top gate structure in which the gate electrode (21) is formed above the semiconductor layer (23).

상기 평탄화층(3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 상에 형성되어 기판 표면을 평탄화시킨다. 이와 같은 평탄화층(30)은 포토 아크릴과 같은 유기 절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mentioned planarization layer (30) is formed on the above-mentioned thin film transistor layer (20) to planarize the substrate surface. Such a planarization layer (30) may be formed of an organic insulating film such as photoacrylic,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제1 전극(40)은 상기 평탄화층(3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전극(40)은 상기 보호막(25) 및 상기 평탄화층(30)에 구비된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의 드레인 전극(24b) 또는 소스 전극(24a)과 연결되어 있다. The first electrode (40) is form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30). The first electrode (40) is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24b) or source electrode (24a) of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20) through a contact hole provided in the protective film (25) and the planarization layer (30).

상기 제1 전극(40)은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의 양극(Anod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bove first electrode (40) may be formed of an anod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상기 뱅크층(50)은 상기 제1 전극(40) 및 상기 평탄화층(30) 상에 형성되어 화소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뱅크층(50)은 복수의 화소들 사이의 경계 영역에 매트릭스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뱅크층(50)에 의해서 화소 영역이 정의된다.The above bank layer (50)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40) and the planarization layer (30) to define a pixel area. The bank layer (50) is formed in a matrix structure in a boundary area between a plurality of pixels, so that the pixel area is defined by the bank layer (50).

상기 유기층(60)은 상기 제1 전극(4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기층(60)은 상기 뱅크층(50)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기층(60)은 화소 별로 분리되지 않고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organic layer (60)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40). The organic layer (60) may also be formed on the bank layer (50). That is, the organic layer (60) may not be separated by pixel but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adjacent pixels.

상기 유기층(60)은 전술한 도 2a, 도 3 또는 도 4의 제1 스택(1st Stack), 제1 전하 생성층(1st CGL), 제2 스택(2nd Stack), 제2 전하 생성층(2nd CGL), 및 제3 스택(3rd Stack)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유기층(60)에서는 백색(White) 광이 방출될 수 있다. The above organic layer (60) may be formed of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first stack (1st Stack), the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1st CGL), the second stack (2nd Stack), the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2nd CGL), and the third stack (3rd Stack) of the above-described FIG. 2a, FIG. 3, or FIG. 4. Accordingly, white light may be emitted from the organic layer (60).

상기 제2 전극(70)은 상기 유기층(6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전극(70)은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의 음극(Cathod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70) is formed on the organic layer (60). The second electrode (70) may be formed of a cathod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상기 제1 전극(30), 유기층(60), 및 제2 전극(70)의 적층 구조는 전술한 도 2a, 도 3 또는 도 4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first electrode (30), the organic layer (60), and the second electrode (70) can be formed into a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G. 2a, FIG. 3, or FIG. 4.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개별 화소에는 상기 유기층(60)에서 방출되는 백색(White) 광을 파장 별로 필터링하기 위한 컬러 필터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는 광의 이동경로 상에 형성된다. 즉, 상기 유기층(60)에서 방출된 광이 하부의 기판(10) 방향으로 진행하는 소위 바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의 경우에는 상기 컬러 필터가 상기 유기층(60)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유기층(60)에서 방출된 광이 상부의 제2 전극(70) 방향으로 진행하는 소위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의 경우에는 상기 컬러 필터가 상기 유기층(60)의 위에 형성된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each pixel may additionally be provided with a color filter for filtering whit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ayer (60) by wavelength. The color filter is formed on the path of light travel. That is, in the case of the so-called bottom emission method in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ayer (60) travels toward the lower substrate (10), the color filter is formed below the organic layer (60), and in the case of the so-called top emission method in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ayer (60) travels toward the upper second electrode (70), the color filter is formed above the organic layer (60).

본 출원인은 아래 표 1과 같은 비교예 및 실시예 1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여, 아래 표 2와 같은 비교예 및 실시예 1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 색좌표, 구동전압 및 색시야각의 값을 얻었다. The applicant conducted an experiment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 1 as shown in Table 1 below, and obtained values of efficiency, color coordinates, driving voltage, and color viewing angle of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 1 as shown in Table 2 below.

적층구조Laminated structur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실시예 1Example 1 음극cathode 투명 전극transparent electrode 투명 전극transparent electrode 제3스택3rd stack 청색 발광층Blue light emitting layer 청색 발광층Blue light emitting layer 제2스택Second stack 2개의 발광층
1. 상층: 적색 발광층
2. 하층: 녹색 발광층
2 light emitting layers
1. Upper layer: Red light-emitting layer
2. Lower layer: Green light-emitting layer
3개의 발광층
1. 상층: 적색 발광층
2. 중앙층: 녹색 발광층
3. 하층: 황녹색 발광층
3 light-emitting layers
1. Upper layer: Red light-emitting layer
2. Central layer: Green light-emitting layer
3. Lower layer: yellow-green luminescent layer
제1스택1st stack 청색 발광층Blue light emitting layer 청색 발광층Blue light emitting layer 양극anode 반사 전극reflector electrode 반사 전극reflector electrode

위의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는 양극이 반사전극이고 음극이 투명전극인 상부 발광 유기 발광 소자로서, 제1 스택과 제3 스택은 청색 발광층을 포함하고 있고 중간의 제2 스택은 녹색 발광층과 적색 발광층이 차례로 적층된 2개의 발광층을 포함하고 있다. As can be seen in Table 1 above, the comparative example is a top-emitti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 which the anode is a reflective electrode and the cathode is a transparent electrode, the first stack and the third stack include blue light-emitting layers, and the second stack in the middle includes two light-emitting layers in which a green light-emitting layer and a red light-emitting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실시예 1은 양극이 반사전극이고 음극이 투명전극인 상부 발광 유기 발광 소자로서, 제1 스택과 제3 스택은 청색 발광층을 포함하고 있고 중간의 제2 스택은 황녹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적색 발광층이 차례로 적층된 3개의 발광층을 포함하고 있다. 즉, 실시예 1의 제2 스택의 경우, 3개의 발광층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장파장인 적색 발광층이 발광면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고 3개의 발광층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단파장인 녹색 발광층이 황녹색 발광층과 적색 발광층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결국, 실시예 1은 전술한 도 3에 따른 구조의 유기 발광 소자이다. Example 1 is a top-emitti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 which the anode is a reflective electrode and the cathode is a transparent electrode, wherein the first stack and the third stack include blue light-emitting layers, and the second stack in the middle includes three light-emitting layers in which a yellow-green light-emitting layer, a green light-emitting layer, and a red light-emitting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second stack of Example 1, the red light-emitting layer having a relatively longest wavelength among the three light-emitting layers is disposed closest to the light-emitting surface, and the green light-emitting layer having a relatively shortest wavelength among the three light-emitting layers is disposed between the yellow-green light-emitting layer and the red light-emitting layer. As a result, Example 1 is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FIG. 3.

특성characteristic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실시예 1Example 1
효율(%)


Efficiency (%)

RR 6.36.3 6.36.3
GG 25.825.8 27.027.0 BB 3.43.4 3.53.5 WW 73.873.8 76.676.6

색좌표




Color coordinates


RxRx 0.6800.680 0.6820.682
RyRy 0.3210.321 0.3180.318 GxGx 0.2640.264 0.2510.251 GyGy 0.6760.676 0.690.69 BxBx 0.1440.144 0.1440.144 ByBy 0.0500.050 0.0510.051 구동 전압(V)
Driving voltage (V)
10mA/cm2 10mA/cm 2 12.512.5 11.811.8
50mA/cm2 50mA/cm 2 15.815.8 15.215.2 색시야각(△u'v'@60°)Color field of view (△u'v'@60°) 0.0160.016 0.0120.012

위의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의 경우가 비교예보다 효율이 향상되고, 구동전압은 줄어들고, 색시야각 특성도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색시야각(△u'v'@60°)특성은 60°의 시야각에서 색상변화정도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실시예 1의 경우가 비교예보다 색상변화가 적어 색시야각 특성이 향상된다. As can be seen in Table 2 above, in the case of Example 1, the efficiency is improved, the driving voltage is reduced, and the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are also improved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In this specification, the color viewing angle (△u'v'@60°) characteristic shows the degree of color change at a viewing angle of 60°, and in the case of Example 1, the color change is less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so the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본 출원인은 아래 표 3과 같은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여, 아래 표 4와 같은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 색좌표, 색재현율, 및 색시야각의 값을 얻었다. The present applicant conducted an experiment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according to Examples 2 and 3 as shown in Table 3 below, and obtained values of efficiency, color coordinates, color reproducibility, and color viewing angle of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according to Examples 2 and 3 as shown in Table 4 below.

적층구조Laminated structure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음극cathode 반사전극Reflector electrode 투명전극transparent electrode 제3스택3rd stack 청색 발광층Blue light emitting layer 청색 발광층Blue light emitting layer 제2스택Second stack 3개의 발광층
1. 상층:녹색 발광층
2. 중앙층:황녹색 발광층
3. 하층:적색 발광층
3 light-emitting layers
1. Upper layer: Green light-emitting layer
2. Central layer: Yellow-green luminescent layer
3. Lower layer: Red emitting layer
3개의 발광층
1. 상부: 적색 발광층
2. 중앙층: 녹색 발광층
3. 하층: 황녹색 발광층
3 light-emitting layers
1. Top: Red light-emitting layer
2. Central layer: Green light-emitting layer
3. Lower layer: yellow-green luminescent layer
제1스택1st stack 청색 발광층Blue light emitting layer 청색 발광층Blue light emitting layer 양극anode 투명전극transparent electrode 반사전극Reflector electrode

위의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2는 양극이 투명전극이고 음극이 반사전극인 하부 발광 유기 발광 소자로서, 제1 스택과 제3 스택은 청색 발광층을 포함하고 있고 중간의 제2 스택은 적색 발광층, 황녹색 발광층 및 녹색 발광층이 차례로 적층된 3개의 발광층을 포함하고 있다. 즉, 실시예 2의 제2 스택의 경우, 3개의 발광층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장파장인 적색 발광층이 발광면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고 3개의 발광층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단파장인 녹색 발광층이 발광면의 반대면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As can be seen in Table 3 above, Example 2 is a bottom-emitti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 which the anode is a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cathode is a reflective electrode, wherein the first stack and the third stack include blue light-emitting layers, and the second stack in the middle includes three light-emitting layers in which a red light-emitting layer, a yellow-green light-emitting layer, and a green light-emitting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second stack of Example 2, the red light-emitting layer having a relatively longest wavelength among the three light-emitting layers is arranged closest to the light-emitting surface, and the green light-emitting layer having a relatively shortest wavelength among the three light-emitting layers is arranged closest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light-emitting surface.

실시예 3은 양극이 반사전극이고 음극이 투명전극인 상부 발광 유기 발광 소자로서, 제1 스택과 제3 스택은 청색 발광층을 포함하고 있고 중간의 제2 스택은 황녹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적색 발광층이 차례로 적층된 3개의 발광층을 포함하고 있다. 즉, 실시예 3의 제2 스택의 경우, 3개의 발광층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장파장인 적색 발광층이 발광면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고 3개의 발광층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단파장인 녹색 발광층이 황녹색 발광층과 적색 발광층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결국, 실시예 3은 전술한 도 3에 따른 구조의 유기 발광 소자이다. Example 3 is a top-emitti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 which the anode is a reflective electrode and the cathode is a transparent electrode, wherein the first stack and the third stack include blue light-emitting layers, and the second stack in the middle includes three light-emitting layers in which a yellow-green light-emitting layer, a green light-emitting layer, and a red light-emitting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second stack of Example 3, the red light-emitting layer having a relatively longest wavelength among the three light-emitting layers is disposed closest to the light-emitting surface, and the green light-emitting layer having a relatively shortest wavelength among the three light-emitting layers is disposed between the yellow-green light-emitting layer and the red light-emitting layer. As a result, Example 3 is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FIG. 3.

특성characteristic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효율(%)


Efficiency (%)

RR 5.15.1 5.85.8
GG 20.120.1 24.024.0 BB 2.92.9 3.03.0 WW 72.872.8 73.573.5

색좌표




Color coordinates


RxRx 0.6780.678 0.6820.682
RyRy 0.3210.321 0.3180.318 GxGx 0.2640.264 0.2510.251 GyGy 0.6760.676 0.690.69 BxBx 0.1440.144 0.1440.144 ByBy 0.0500.050 0.0510.051 색재현율(%)
Color reproducibility (%)
BT2020BT2020 75.975.9 77.977.9
DCIDCI 99.499.4 99.499.4 색시야각(△u'v'@60°)Color field of view (△u'v'@60°) 0.0160.016 0.0120.012

위의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3의 경우가 실시예 2보다 효율이 향상되고, 색재현율이 향상되고, 색시야각 특성도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색시야각(△u'v'@60°)특성은 60°의 시야각에서 색상변화정도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실시예 1의 경우가 비교예보다 색상변화가 적어 색시야각 특성이 향상된다. As can be seen in Table 4 above, the efficiency, color reproducibility, and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of Example 3 are improved compared to Example 2. The color viewing angle (△u'v'@60°) characteristic shows the degree of color change at a viewing angle of 60°, and the color change of Example 1 is less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so the color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기판 20: 박막 트랜지스터층
30: 평탄화층 40: 제1 전극
50: 뱅크층 60: 유기층
70: 제2 전극
10: Substrate 20: Thin film transistor layer
30: Flattening layer 40: First electrode
50: Bank layer 60: Organic layer
70: Second electrode

Claims (12)

양극과 음극;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구비된 제1 스택, 제2 스택, 및 제3 스택;
상기 제1 스택과 상기 제2 스택 사이에 구비된 제1 전하 생성층 및 상기 제2 스택과 상기 제3 스택 사이에 구비된 제2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스택은 서로 상이한 층에 적층된 황녹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적색 발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양극과 음극 중에서 어느 하나는 반사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는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색 발광층은 상기 황녹색 발광층 및 상기 녹색 발광층보다 상기 투명 전극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황녹색 발광층은 상기 녹색 발광층 및 상기 적색 발광층보다 상기 반사 전극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녹색 발광층은 상기 적색 발광층과 상기 황녹색 발광층 사이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 소자.
positive and negative poles;
A first stack, a second stack, and a third stack provid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It comprises a first charge generation lay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ack and the second stack, and a second charge generation lay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tack and the third stack,
The second stack comprises a yellow-green emitting layer, a green emitting layer, and a red emitting layer laminated in different layers,
One of the above anode and cathode is formed as a reflective electrode and the other is form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The red light-emitting layer is positioned closer to the transparent electrode than the yellow-green light-emitting layer and the green light-emitting layer,
The above yellow-green light-emitting layer is positioned closer to the reflective electrode than the green light-emitting layer and the red light-emitting layer,
A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in which the green light-emitting layer is positioned between the red light-emitting layer and the yellow-green light-emitting lay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택은 상기 양극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3 스택은 상기 음극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택과 상기 제3 스택은 각각 청색 발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
In the first paragraph,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herein the first stack is arranged closest to the anode, the third stack is arranged closest to the cathode, and the first stack and the third stack each include a blue light-emitt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녹색 발광층의 호스트 물질, 상기 녹색 발광층의 호스트 물질 및 상기 적색 발광층의 호스트 물질은 서로 동일한 인광 호스트 물질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
In the first paragraph,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 which the host material of the above-mentioned yellow-green emitting layer, the host material of the above-mentioned green emitting layer, and the host material of the above-mentioned red emitting layer are composed of identical phosphorescent host materials.
양극과 음극;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구비된 복수의 스택;
상기 복수의 스택 사이에 구비된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스택 중에서 적어도 하나 스택은 단파장 대역에서 하나의 피크 파장을 나타내도록 하는 하나의 발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스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스택은 장파장 대역에서 두 개의 피크 파장을 나타내도록 하는 세 개의 발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세 개의 발광층은 서로 상이한 파장의 광을 방출하고,
상기 세 개의 발광층 중에서 가장 장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층은 나머지 두 개의 발광층보다 광을 방출되는 발광면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세 개의 발광층 중에서 중간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층은 나머지 두 개의 발광층보다 광을 방출되는 발광면에서 멀게 배치되고,
상기 세 개의 발광층 중에서 가장 단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층은 나머지 두 개의 발광층 사이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 소자.
positive and negative poles;
A plurality of stacks provid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It comprises a charge generation layer provided between the above plurality of stacks,
At least one stack among the above plurality of stacks comprises one light-emitting layer that exhibits one peak wavelength in a short wavelength band,
Among the plurality of stacks, one stack comprises three light-emitting layers that exhibit two peak wavelengths in a long-wavelength band, wherein the three light-emitting layers emit light of different wavelengths,
Among the three light-emitting layers, the light-emitting layer that emits the longest wavelength light is positioned closer to the light-emitting surface than the other two light-emitting layers.
Among the three light-emitting layers above, the light-emitting layer emitting light of an intermediate wavelength is positioned further from the light-emitting surface than the other two light-emitting layers.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 which the light-emitting layer emitting the shortest wavelength light among the three light-emitting layers is placed between the other two light-emitting layers.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 개의 발광층 중에서 가장 장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층은 적색 발광층이고, 상기 세 개의 발광층 중에서 가장 단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층은 녹색 발광층이고, 상기 세 개의 발광층 중에서 중간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층은 황녹색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
In Article 7,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an emission layer emitting light with the longest wavelength among the three emission layers; an emission layer emitting light with the shortest wavelength among the three emission layers; a green emission layer; and an emission layer emitting light with an intermediate wavelength among the three emission layer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 개의 발광층 각각의 호스트 물질은 서로 동일한 인광 호스트 물질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
In Article 7,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 which each of the three light-emitting layers is made of an identical phosphorescent host materi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파장 대역에서 하나의 피크 파장을 나타내도록 하는 하나의 발광층은 상기 양극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스택 및 상기 음극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스택에 각각 구비된 청색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
In Article 7,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a blue light-emitting layer provided in each of the stacks arranged closest to the anode and the stack arranged closest to the cathode, each light-emitting layer exhibiting one peak wavelength in the above short-wavelength band.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박막 트랜지스터층;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구비된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전술한 제1항, 제5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표시 장치.
substrate;
A thin film transistor layer provided on the above substrate; and
It comprises a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provid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to 7, and 9 to 11.
KR1020160162285A 2016-11-30 2016-11-30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Active KR1027226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285A KR102722601B1 (en) 2016-11-30 2016-11-30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285A KR102722601B1 (en) 2016-11-30 2016-11-30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232A KR20180062232A (en) 2018-06-08
KR102722601B1 true KR102722601B1 (en) 2024-10-25

Family

ID=62600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285A Active KR102722601B1 (en) 2016-11-30 2016-11-30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260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6428B (en) * 2020-09-23 2025-0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648B1 (en) * 2012-12-18 2020-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145759B1 (en) * 2014-03-27 2020-08-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232A (en)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75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136582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CN103681734B (en) Oled devi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166678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83123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31191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75099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160104854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2004146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KR20180078641A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86311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00073417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KR10274348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24016107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76280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10228350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142977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18169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72260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72171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76090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27595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26399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250143293A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56323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0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1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