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30415B1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30415B1 KR102730415B1 KR1020220090543A KR20220090543A KR102730415B1 KR 102730415 B1 KR102730415 B1 KR 102730415B1 KR 1020220090543 A KR1020220090543 A KR 1020220090543A KR 20220090543 A KR20220090543 A KR 20220090543A KR 102730415 B1 KR102730415 B1 KR 1027304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internal space
- shell
- seal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234 capsi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이다. 본 발명의 제1커넥터(10)의 터미널유니트(20)를 구성하는 쉘하우징(24)에는 연결관(30)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30)에는 시일(35)이 안착되는 시일안착부(34)가 있고, 상기 시일안착부(34)에 인접하여 일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져서 상대 커넥터(60)의 제2내부공간(63) 내면에 일부 구간이 오버랩되어 압입되는 오버랩부(36)가 있다. 상기 연결관(30)에는 상기 시일안착부(34)를 주변과 구획하도록 단척(34')이 있는데, 상기 연결관(30)의 선단에 있는 단턱(34')의 외경은 상대 커넥터(60)의 제2내부공간(63)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쉘하우징(24)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쉘내부공간(32)의 일측을 캡(38)이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캡(38)과 쉘하우징(24)의 사이에는 캡시일(39)이 압축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A connecting tube (30) is formed in a shell housing (24) constituting a terminal unit (20) of a first connec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tube (30) has a seal mounting portion (34) on which a seal (35) is mounted, and an overlapping portion (36) that has an outer diameter that increases toward one side adjacent to the seal mounting portion (34) and overlaps and is press-fit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a second internal space (63) of a mating connector (60) in a partial section. The connecting tube (30) has a step (34') to partition the seal mounting portion (34) from the surroundings,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tep (34') at the tip of the connecting tube (30)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of the mating connector (60). A cap (38) can shield one side of the shell internal space (32) formed by penetrating the above shell housing (24). A cap seal (39) can be installed in a compressed state between the cap (38) and the shell housing (24).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데, 다양한 형태로 신호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는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로서, 내부의 터미널 들이 서로 결합하여 신호 연결을 수행한다.Connectors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s by combining with mating connectors, and perform signal connections in various forms. Such connectors and mating connectors are male connectors and female connectors, and the terminals inside combine with each other to perform signal connections.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방수가 필요하여 서로 결합되는 커넥터 사이에 시일을 설치하여 물의 침입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커넥터 사이에 위치되는 시일은 서로 결합되는 커넥터 사이가 일직선이 되지 않고 일측 커넥터가 타측 커넥터에 대해서 기울어지게 되면, 시일이 압착되는 부분과 압착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여 방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일측 커넥터가 타측 커넥터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은 커넥터에서 연장되는 케이블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connectors, waterproofing is required, so a seal is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ors to be mated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In this way, when the seal is positioned between two connectors, if the connectors to be mated are not in a straight line and one connector is tilted relative to the other connector, there will be parts where the seal is pressed and parts where it is not pressed, and waterproofing will not be performed properly. This tilting of one connector relative to the other connector can occu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a cable extending from the connector.
이와 같이 일측 커넥터와 타측 커넥터가 일직선 상에 있도록 결합되지 않게 되면 각각의 터미널 사이의 결합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진동이나 소음 발생이 심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If the connectors on one side and the connectors on the other side are not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the connection between each terminal will not be made properly, and there is also the problem of severe vibration and noise generation.
그리고, 커넥터 사이에서 방수작용을 하는 시일이 커넥터의 결합과정에서 밀림이 발생하여 커넥터 사이에 시일이 정확하게 설치되지 않게 되어 방수기능이 상실 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terproofing function is lost because the seal that acts as a waterproofing element between the connectors is pushed during the mating process of the connectors, preventing the seal from being installed accurately between the connectors.
따라서, 서로 결합되어 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결합이 이루어지는 커넥터 들 사이는 커넥터의 결합과 분리방향으로 정확하게 일직선이 되도록 결합되고, 이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connectors that are coupled with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upled between the terminals are coupled so that the connectors are aligned exactly in a straight line in the direction of coupling and disengagement, and that this coupled state is maintained.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 사이에서 시일이 방수작용을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a seal accurately performs a waterproofing function between connectors.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 사이에 시일이 사용되는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ure joint between connectors in which a seal is used between the connectors.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에서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vibration from occurring when terminals are coupled by coupling of connectors.
본 발명의 목적은 그라운드컨텍트의 접촉레버 일부를 쉘내부공간의 내면이 둘러싸서 접촉레버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tact lever by surrounding a part of the contact lever of the ground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hell internal space.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일이 커넥터의 결합 시에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seal from being pushed when mating a connector.
본 발명의 목적은 그라운드컨텍트에 스페이서돌기를 두어서 상대 커넥터의 그라운드컨텍트와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acer projection on a ground contact so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ground contact of a mating connector is made firmly.
본 발명의 목적은 쉘하우징의 쉘내부공간 후단에 캡이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a cap is firmly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shell internal space of a shell hous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로 관통되는 관통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관통공간에 장착되고 상대 커넥터 및 케이블과의 접지 연결을 위한 쉘하우징과 상기 쉘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대 커넥터와 신호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터미널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쉘하우징에는 상대 커넥터와의 사이에서 방수작용을 하는 시일이 안착되는 시일안착부와, 상기 시일안착부에 인접하고 상대 커넥터의 내부공간 입구 측에 적어도 일부 구간이 압입되도록 일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크게 형성되는 오버랩부를 포함하는 연결관이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rminal unit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through-space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a shell housing mounted in the through-space and for grounding connection with a counterpart connector and a cable, and a terminal positioned inside the shell housing for signal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connector, and the shell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tube including a seal mounting portion in which a seal performing a waterproofing function between the opposite connector is mounted, and an overlap portion adjacent to the seal mounting portion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that becomes larger as it goes toward one side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tion is press-fitted into the entrance sid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opposite connector.
상기 연결관을 둘러서는 상기 시일안착부 양측에 단턱이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관의 자유단부 쪽에 있는 단턱의 외경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내부공간의 내경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A step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ling portion surrounding the above connecting pip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tep on the free end side of the above connecting pipe may have a smaller value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mating connector.
상기 연결관의 자유단부 쪽에 있는 단턱은 상대 커넥터의 내부공간의 길이방향 중간지점보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step at the free end of the above connecting pipe may be positioned further inward than the longitudinal midpoin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mating connector.
상기 시일안착부에 안착된 시일은 상대 커넥터의 내부공간의 길이방향 중간지점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The seal mounted on the above seal mounting portion can be positioned near the longitudinal midpoin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mating connector.
상기 쉘하우징의 연결관 내부에는 접지를 위한 그라운드 컨텍트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그라운드 컨텍트의 접촉레버는 상기 연결관의 내면에 의해 탄성변형 정도가 규제될 수 있다.A ground contact for grounding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necting tube of the above shell housing, and the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ntact lever of the above ground contact may be regula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tube.
상기 그라운드 컨텍트의 내면에는 그라운드 컨텍터의 내부로 돌출되게 스페이서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above ground contact may further have a spacer projection protruding into the interior of the ground contact.
상기 스페이서돌기는 상기 접촉레버에 형성되는 탄성접촉돌기보다 더 상대 커넥터 쪽에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spacer projection may be formed further toward the mating connector than the elastic contact projection formed on the contact lever.
상기 스페이서돌기는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spacer protrusions can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본 발명은 전후로 관통되는 관통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관통공간에 장착되고 상대 커넥터 및 케이블과의 접지 연결을 위한 쉘하우징과 상기 쉘하우징의 쉘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상대 커넥터와 신호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터미널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쉘내부공간은 상기 쉘하우징을 전후로 관통하는데, 상기 쉘하우징의 후방으로 개방되는 쉘내부공간에 캡이 압입되어 쉘내부공간을 차폐하는데, 상기 캡과 상기 쉘내부공간의 사이에는 캡시일이 압축되어 설치될 수 있고,상기 쉘하우징에는 상대 커넥터와의 사이에서 방수작용을 하는 시일이 안착되는 시일안착부와, 상기 시일안착부에 인접하고 상대 커넥터의 내부공간 입구 측에 적어도 일부 구간이 압입되도록 일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크게 형성되는 오버랩부를 포함하는 연결관이 구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rminal unit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through-space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a shell housing mounted in the through-space and for grounding connection with an opposing connector and a cable, and a terminal positioned in the shell internal space of the shell housing for signal connection with the opposing connector, wherein the shell internal space extends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the shell housing, a cap is press-fitted into the shell internal space that is opened toward the rear of the shell housing to shield the shell internal space, and a cap seal may be installed in a compressed manner between the cap and the shell internal space, and the shell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tube including a seal mounting portion in which a seal that performs a waterproofing function between the opposing connector is mounted, and an overlap portion that is formed such that an outer diameter increases toward one side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tion is press-fitted to an inlet sid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opposing connector adjacent to the seal mounting portion.
상기 캡의 외주면을 둘러서는 다수개의 돌기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can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상기 캡시일은 판형상으로 되는 캡시일몸체와, 상기 캡시일몸체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고 돌출리브를 구비하는 압축부와, 상기 캡시일몸체와 압축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캡시일몸체 및 압축부 보다 두께가 얇게 되어 오목채널을 형성하는 연결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apsule may include a capsule body in the shape of a plate, a compression portion formed around an edge of the capsule body and having a protruding rib, and a connecting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capsule body and the compression portion and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capsule body and the compression portion to form a concave channel.
상기 돌출리브는 상기 압축부에 2개가 동심이 되도록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돌출리브의 사이에는 평면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protruding ribs are formed in two concentric rows in the compression section, and a flat area can be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ribs.
상기 돌출리브는 상기 압축부의 양측 표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양측 표면의 돌출리브 사이의 두께(E)와 상기 캡시일몸체의 두께(F) 사이에는, F값이 E값의 30% ~ 40% 정도가 될 수 있다.The above protruding ribs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two surfaces of the compression member, and the F value between the thickness (E) of the protruding ribs on the two surfaces and the thickness (F) of the cap body may be approximately 30% to 40% of the E value.
상기 오목채널은 상기 돌출리브의 눌림량의 25%~30% 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체적을 가질 수 있다.The above concave channel may have a volume capable of accommodating about 25% to 30% of the pressing amount of the above protruding rib.
삭제delete
상기 연결관을 둘러서는 상기 시일안착부 양측에 단턱이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관의 자유단부 쪽에 있는 단턱의 외경은 상대 커넥터의 내부공간의 내경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A step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ling portion surrounding the above connecting pip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tep on the free end side of the above connecting pipe may have a smaller value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mating connector.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는 제1커넥터의 오버랩부가 2커넥터의 제2내부공간 내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오버랩부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일부가 서로 압입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에서 진동발생이 억제될 수 있고, 시일이 보다 정확하게 위치되어 방수작용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connector. That is, the overlapping portion allows parts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to be in a press-fit state with each other, thereby suppressing vibration genera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d allowing the seal to be positioned more accurately,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more accurately performing the waterproofing function.
제1커넥터의 쉘하우징에 있는 연결관 선단이 제2커넥터의 제2내부공간의 길이방향 절반보다 더 깊게 들어간 위치에 있으면서, 제2내부공간의 내면 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있다. 따라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용이하게 되면서도 진동발생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The connecting pipe end in the shell housing of the first connector is positioned deeper than half the length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connector, and there is a predetermined gap between i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Accordingly,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becomes easier, while the generation of vibration is reduced.
본 발명에서 제1커넥터의 연결관이 쉘하우징의 쉘내부공간 내면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의 결합 시에 삽입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tube of the first connector is designed to have a predetermined gap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hell internal space of the shell housing. Accordingly, there is also an effect of relatively reducing the insertion force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본 발명에서는 제1커넥터의 그라운드 컨텍트와 제2커넥터의 그라운드 컨텍트 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상대 이동에 따른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제1커넥터의 그라운드 컨텍트에 있는 접촉레버의 탄성접촉돌기보다 상대적으로 그라운드 컨텍트의 앞쪽에 가까운 위치에 보강비드를 두었다. 따라서, 보강비드에 의해 그라운트 컨텍트 끼리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되어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round contact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ground contact of the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with each other, vibration due to relative movement is prevented. To this end, a reinforcing bead is placed at a position relatively closer to the front of the ground contact than the elastic contact projection of the contact lever of the ground contact of the first connector. Accordingly,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ground contacts is made solid by the reinforcing bead, so that vibration is prevented.
본 발명에서는 쉘하우징의 뒤쪽에서 쉘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캡을 두고 있다. 상기 캡과 쉘하우징의 사이에 캡시일을 두고 있는데, 상기 캡시일은 방수와 절연 역할을 담당하면서, 캡이 쉘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을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캡시일은 커넥터의 사용중에 발생하는 온도 변화 등 다양한 환경변화를 흡수하여 캡의 장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ap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hell housing to shield the internal space of the shell. A capsule is provided between the cap and the shell housing. The capsule serves as a waterproofing and insulating agent, and enables the cap to be firmly fixed to the shell housing. In particular, the capsule absorbs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emperature changes that occur during use of the connector, so that the mounting state of the cap is firmly maintain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 에 도시된 커넥터에서 하우징으로부터 터미널유니트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터미널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4의 C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터미널유니트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터미널유니트를 보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쉘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그라운드 컨텍트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캡과 캡시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캡과 캡시일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캡시일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rminal unit separated from the housing in the connector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mb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art A of Figure 4.
Figure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art B of Figure 4.
Figure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art C of Figure 4.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view showing a terminal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ell housing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ground contac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p and a capsule are install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p and capsule illustrated in Fig. 12.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psule illustrated in Fig. 12.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structure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가진 커넥터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connec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에는 제1커넥터(10)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1커넥터(10)의 외관을 제1하우징(11)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유니트(20)가 결합되어 제1커넥터(10)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하우징(11)은 상대 커넥터인 제2커넥터(60)와의 결합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의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유니트(20)는 그대로 사용하고, 상기 제1하우징(11)을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고려해서 키코드 등의 구성을 달리한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In Fig. 1, a first connector (10) is disclosed. The first housing (11) can form the appearance of the first connector (10). A terminal unit (20)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11) to form the first connector (10). Here, the first housing (11) can be replaced with one having various shapes in consideration of coupling with the second connector (60), which is a counterpart connector. Accordingly, the terminal unit (20) can be used as is, and the first housing (11) can be replaced with one having a different configuration, such as a key code, in consideration of coupling with the counterpart connector.
상기 제1하우징(11)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 다. 상기 제1하우징(11)은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은 사출성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을 전후로 관통해서 관통공간(12)이 있다. 상기 관통공간(12)에는 상기 터미널유니트(20)와 제2커넥터(60)의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간(12)은 상기 제1하우징(11)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제1하우징(11)의 뒷쪽에서 상기 터미널유니트(20)가 상기 관통공간(12)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관통공간(12)의 내면에는 걸림턱(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4)은 상기 관통공간(12)의 내면을 둘러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4)의 위치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채널(26)과 대응된다.The first housing (11) above can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first housing (11) can be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first housing (11) can be made by injection molding. There is a through space (12) penetrating the first housing (11)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terminal unit (20) and a part of the second connector (60) can be inserted and positioned in the through space (12). The through space (12) is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housing (11)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terminal unit (20)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12) from the rear of the first housing (11). As can be seen in FIG. 2, a catch (14) can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space (12). The above-mentioned catch (14) may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through space (12). The position of the above-mentioned catch (14) corresponds to the catch channel (26) described below.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 일측에는 체결레버(1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레버(16)는 제2커넥터(60)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 타측에는 고정구(18)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18)에는 상기 관통공간(12)의 내부로 돌출되게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있고, 상기 돌기는 상기 걸림턱(14)과 같은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구(18)는 상기 터미널유니트(20)가 관통공간(12)에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제1하우징(11)에 대해 일부가 떨어진 위치에 있다가, 터미널유니트(20)가 관통공간(12)에 장착되면 전체가 제1하우징(10)의 외면에 밀착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돌기가 상기 관통공간(12)의 내부로 돌출되어 터미널유니트(30)의 걸이채널(26)에 안착되어 걸어질 수 있다.The first housing (11) may have a fastening lever (16)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The fastening lever (16) is for fastening with the second connector (60). A fixing member (18)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 The fixing member (18) has a protrusion (not shown) that protrudes into the interior of the through-space (12), and the protrusion plays the same role as the catch (14). Before the terminal unit (20) is mounted in the through-space (12), the fixing member (18) is located at a position that is partly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11), and when the terminal unit (20) is mounted in the through-space (12), the entire member can be moved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 In this way, the protrusion can protrude into the interior of the through space (12) and be placed and hung on the hanging channel (26) of the terminal unit (30).
상기 터미널유니트(2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터미널유니트(20)는 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22)의 선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유니트(20)는 상기 제1하우징(11)에 설치되어 제2커넥터(60)와의 신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22)의 접지망(도시되지 않음)과 협력하여 접지역할을 할 수도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unit (20) is described. The terminal unit (20)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at the tip of a coaxial cable (22). The terminal unit (2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housing (11) to perform signal connection with the second connector (60). In addition, it may cooperate with the grounding net (not shown) of the cable (22) to perform grounding function.
상기 터미널유니트(20)의 외관을 쉘하우징(24)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쉘하우징(24)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쉘하우징(24)은 제2커넥터 (60)측과 상기 케이블(22) 사이의 접지를 위한 통전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쉘하우징(24)의 골격을 쉘몸체(25)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쉘몸체(25)는 쉘하우징(24)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쉘몸체(25)는 금속재료를 기계가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The outer appearance of the terminal unit (20) may be formed by a shell housing (24). The shell housing (24)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The shell housing (24) may also serve as a conductor for grounding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60) side and the cable (22). The skeleton of the shell housing (24) may be formed by a shell body (25). The shell body (25) may form the skeleton of the shell housing (24). The shell body (25) may be made by machining a metal material.
상기 쉘몸체(25)의 일측 외면에는 걸이채널(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채널(26)에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걸림턱(14)이나 상기 고정구(18)의 돌기가 걸어질 수 있다. 상기 걸이채널(26)은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채널(26)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관(3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A hanging channel (26) may be formed on one outer surface of the shell body (25). The hanging protrusion (14) of the first housing (11) or the protrusion of the fixing member (18) may be hung on the hanging channel (26). The hanging channel (26)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hanging channel (26)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3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쉘몸체(25)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블관통관(2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케이블관통관(28)의 내부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될 쉘내부공간(32)으로 상기 케이블(22)이 통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above shell body (25) may have a cable penetration tube (28)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e cable (22) may be position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cable penetration tube (28) into the shell internal space (32)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쉘몸체(25)의 일측에는 도 3이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3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관(30)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관통공간(1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30)은 상기 터미널유니트(20)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장착되고 분리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30)의 연장방향과 상기 케이블관통관(28)의 연장방향은 서로 직교하게 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shell body (25), there may be a connecting pipe (30), as shown in FIG. 3 or FIG. 9. The connecting pipe (30) may be positioned within the penetration space (12) of the first housing (11). The connecting pipe (3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unit (20) is mounted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11).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ipe (30) and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able penetration pipe (28)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상기 연결관(30)과 쉘몸체(25)를 관통하도록 상기 쉘하우징(24)에는 쉘내부공간(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쉘내부공간(3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내부하우징(4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쉘몸체(25)에서 상기 연결관(30)이 있는 반대쪽으로 상기 쉘내부공간(32)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관통관(28)을 관통하여서도 상기 쉘내부공간(3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쉘몸체(25)의 내부에는 측단면으로 볼 때, 'T'자 또는 거의 'ㄱ"자 형상으로 쉘내부공간(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쉘내부공간(3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그라운드 컨텍트(40), 내부하우징(46), 제1터미널(50), 터미널연결구(58), 케이블(22) 등이 위치될 수 있다.A shell internal space (32) may be formed in the shell housing (24) so as to penetrate the connecting pipe (30) and the shell body (25). An inner housing (46)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installed in the shell internal space (32). The shell internal space (32) may be ope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hell body (25) where the connecting pipe (30) is located. The shell internal space (32) may also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cable penetration pipe (28). Accordingly, when viewed in cross-sectional view, the shell internal space (32) may be formed in a 'T' or almost 'ㄱ' shape inside the shell body (25). A first ground contact (40), an inner housing (46), a first terminal (50), a terminal connection port (58), a cable (22), etc.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positioned in the shell internal space (32).
상기 쉘하우징(24)의 연결관(30) 외면을 둘러서는 연결관(30)의 길이방향으로 시일안착부(34), 오버랩부(36) 그리고 상기 걸이채널(26)이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일안착부(34)에는 시일(35)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시일안착부(34)는 링형상의 공간으로 양측이 단턱(34')에 의해 주변과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단턱(34')중 하나는 상기 연결관(30)의 선단을 둘러 형성되고, 나머지는 상기 시일안착부(34)의 반대쪽 끝부분에서 상기 연결관(30)을 둘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34')들 사이에 상기 시일안착부(34)가 형성된다. 상기 단턱(34') 중에서 상기 오버랩부(36)측에 있는 것은 그 상면이 상기 오버랩부(36)와 연속인 면을 형성하게 된다.A seal mounting portion (34), an overlap portion (36), and a hanging channel (26) may be sequentially formed along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tube (30)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tube (30) of the shell housing (24). A seal (35) may be mounted on the seal mounting portion (34). The seal mounting portion (34) may be a ring-shaped space, and both sides thereof may be partitioned from the surroundings by a step (34'). One of the step portions (34') may be formed around the tip of the connecting tube (30), and the rest may be formed around the connecting tube (30) at the opposite end of the seal mounting portion (34). The seal mounting portion (34) is formed between the step portions (34'). Among the above-mentioned step (34'), the one on the overlapping portion (36) side forms a surface whose upper surface is continuous with the overlapping portion (36).
상기 단턱(34') 중에서 상기 연결관(30)의 자유단부 쪽에 있는 것은 전체적으로 소정의 외경을 가지는데, 제2커넥터(60)와 결합되었을 때, 제2커넥터(60)의 제2내부공간(63)의 내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턱(34')의 외경이 상기 제2내부공간(63)의 대응되는 위치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턱(34')과 제2내부공간(63)의 내면 사이에 틈새가 0.09mm 또는 그 이하의 값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틈새가 존재하게 되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60)의 결합시에 결합력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Among the above-described step (34'), the one at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pipe (30) has a predetermined outer diameter as a whole, and when combined with the second connector (60), a predetermined gap can be formed between i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of the second connector (60).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step (34') become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gap between the step (3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have a value of 0.09 mm or less. If the gap exists in this way, the bonding force can be relatively reduced whe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60) are combined.
상기 단턱(34')중에서 상기 연결관(30)의 자유단부 쪽에 있는 것은 제2내부공간(63)의 전후방향 길이(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60) 사이의 결합/분리방향으로의 길이)의 중간지점(M) 보다 더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연결관(30)이 제2내부공간(63)의 내부로 상대적으로 더 깊게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2내부공간(63)의 길이방향에서 중간지점(M)보다 더 내측에 상기 단턱(34')이 위치된 상태는 도 4에서 볼 수 있다.Among the above-mentioned step (34'),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located on the free end side of the connecting pipe (30) be positioned further inside than the midpoint (M) of th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the length in the coupling/separation dir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60)). This means that the connecting pipe (30) goes relatively deeper into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The state in which the step (34') is positioned further inside than the midpoint (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can be seen in FIG. 4.
상기 시일안착부(34)에 안착되는 시일(35)은 예를 들면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시일(35)은 원통형상으로 되는데, 상기 시일(35)의 내경이 상기 연결관(30)의 시일안착부(34)에서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일(35)의 내면은 상기 시일안착부(34) 외면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seal (35) that is seated on the seal mounting portion (34)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for example. The seal (35)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eal (35) may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al mounting portion (34) of the connecting pipe (30). Accordingly,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 (35) may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 mounting portion (34).
상기 오버랩부(36)는 제2커넥터(60)의 제2내부공간(63)의 내면과 오버랩되어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관(30)에서 외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만들어진 부분이다. 즉, 상기 오버랩부(36)에서는 상기 연결관(30)의 선단에서 상기 쉘몸체(25)를 향해 점차 외경이 커지도록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버랩부(36)는 상기 쉘몸체(25)를 향해 경사를 가지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버랩부(36)의 각각의 위치에서의 외경은 값이 달리 되는데, 상기 오버랩부(36)에서 일부 구간의 외경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60)의 제2내부공간(63)의 내경보다 작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제2내부공간(63)의 내경보다 크다. 따라서, 제2내부공간(63)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오버랩부(36)의 구간은 제2내부공간(63)의 내면에 압입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overlap portion (36) is a portion that overlaps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of the second connector (60). It is a portion form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tube (30) gradually increases. That is, in the above-mentioned overlap portion (36), the outer diameter may gradually increase from the tip of the connecting tube (30) toward the shell body (25). Accordingly, the above-mentioned overlap portion (36) may have a slope toward the shell body (25). The outer diameters at each position of the above-mentioned overlap portion (36) have different values, and the outer diameter of some sections of the above-mentioned overlap portion (36)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of the second connector (60) to be described below, and in the remaining sections, it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Accordingly, a section of the overlap portion (36)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inner space (63) can be press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ner space (63).
상기 오버랩부(36)와 걸이채널(26) 사이에는 구획턱(37)이 링형상으로 있을 수 있다. 상기 구획턱(37)에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걸림턱(14)이 걸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턱(14)은 상기 걸이채널(26)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구획턱(37)에 걸어질 수 있다.A ring-shaped partition (37)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bove-mentioned overlapping portion (36) and the hanging channel (26). The hanging projection (14) of the first housing (11) may be hung on the partition (37). The hanging projection (14) may be hung on the partition (37) while being positioned within the hanging channel (26).
상기 쉘몸체(25)에 형성된 상기 쉘내부공간(32)의 뒤쪽 입구에는 캡(3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캡(38)은 쉘내부공간(32)을 외부와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캡(38)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캡(38)은 원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캡(38)의 형상은 상기 쉘내부공간(32)이 쉘몸체(25)의 뒤쪽으로 개방된 형상에 맞게 될 수 있다. 상기 캡(38)의 외경은 상기 쉘내부공간(32)의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내경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상기 캡(38)은 상기 쉘내부공간(32)에 압입될 수 있다.A cap (38)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entrance of the shell internal space (32) formed in the shell body (25). The cap (38) may serve to shield the shell internal space (32) from the outside. The cap (38)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cap (38) may have a disc shape. Of course, the shape of the cap (38) may be adapted to the shape of the shell internal space (32) being open to the rear of the shell body (25). The outer diameter of the cap (38) is slight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hell internal space (32). Therefore, the cap (38) may be press-fitted into the shell internal space (32).
상기 캡(38)의 외주면을 둘러서는 다수개의 돌기(38')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돌기(38')는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서, 돌기(38')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도 13에는 상기 돌기(38')가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돌기(38')는 상기 캡(38)이 상기 쉘내부공간(32)에 압입될 때, 약간 뭉그러질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38')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38).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8')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38'). The protrusions (38') are clearly illustrated in Fig. 13. The protrusions (38') may be slightly crushed when the cap (38) is pressed into the shell internal space (32).
상기 캡(38)과 상기 쉘몸체(25)의 사이에는 캡시일(39)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캡시일(39)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캡시일(39)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캡시일(39)은 방수 및 절연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금속재질인 상기 캡(38)과 제1터미널(50) 그리고 케이블(22)의 심선(22') 등과의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역할을 캡시일(39)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캡시일(39)은 또한 쉘내부공간(32)으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 capsill (39)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cap (38) and the shell body (25). The capsill (39)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capsill (39)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capsill (39) serves as a waterproofing and insulating material. That is, the capsill (39) may secure an insulating distance between the cap (38)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first terminal (50), and the core wire (22') of the cable (22). The capsill (39) may also serve to block water from entering the shell internal space (32).
상기 캡시일(39)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캡시일(39)은 전체적으로 원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캡시일(39)의 골격을 캡시일몸체(39-1)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캡시일몸체(39-1)는 원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캡시일몸체(39-1)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되는 연결목(39-3)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목(39-3)은 상기 캡시일몸체(39-1)와 아래에서 설명될 압축부(39-5)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목(39-3)은 상기 캡시일몸체(39-1) 및 압축부(39-5)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만들어진다. 따라서, 상기 캡시일몸체(39-1)와 압축부(39-5)의 사이에는 오목채널(39-4)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채널(39-4)은 상기 캡시일(39)의 양측 표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오목채널(39-4)이 상기 캡시일(39)의 일측 표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오목채널(39-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압축부(39-5)의 돌출리브(39-7)가 변형될 때, 돌출리브(39-7)의 부분이 변형된 부분이 밀려와서 위치될 수 있다.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above capsule (39) is illustrated in FIGS. 13 and 14. The capsule (39) may have an overall disc shape. The capsule body (39-1) may form the skeleton of the capsule (39). The capsule body (39-1) may have a disc shape. A relatively thin connecting member (39-3) may be present surrounding the edge of the capsule body (39-1). The connecting member (39-3) is a portion that connects the capsule body (39-1) and the compression member (39-5) to be described below. The connecting member (39-3) is made to be relatively thinner than the capsule body (39-1) and the compression member (39-5). Therefore, a concave channel (39-4)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between the capsule body (39-1) and the compression portion (39-5). The concave channel (39-4)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capsule (39). Of course, the concave channel (39-4) may be formed on only one surface of the capsule (39). When the protruding rib (39-7) of the compression portion (39-5) described below is deformed, the deformed portion of the protruding rib (39-7) may be pushed and positioned in the concave channel (39-4).
상기 캡시일(39)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압축부(39-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39-5)는 상기 캡시일(39)이 양측 표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39-5)에는 상대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리브(39-7)가 있다. 상기 돌출리브(39-7)는 전체적으로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돌출리브(39-7)는 상기 캡시일(39)의 일측 표면에 한 쌍이 형성되고, 타측 표면에 또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돌출리브(39-7)의 쌍이 상기 캡시일(39)의 일측 표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A compression portion (39-5) may be formed surrounding the edge of the capsule (39). The compression portion (39-5) may be formed so that the capsule (39) protrudes to both surfaces. The compression portion (39-5) has a protruding rib (39-7) that is formed to protrude relatively. The protruding rib (39-7) may have an overall ring shape. One pair of the protruding ribs (39-7)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psule (39), and another pair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Alternatively, the pair of the protruding ribs (39-7) may be formed on only one surface of the capsule (39).
상기 돌출리브(39-7)의 쌍 사이에는 소정 폭의 평면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리브(39-7)의 사이에 위치되는 평면영역은 그 부분에서의 두께가 상기 캡시일본체(39-1)에서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될 수 있다. 상기 돌출리브(39-7) 쌍 사이의 영역에는 상기 돌출리브(39-7)가 압착되면서 밀려갈 수 있다. A plane area of a predetermined width can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9-7). The plane area located between the protruding ribs (39-7) can have a thickness thicker at that portion than the thickness of the cap body (39-1). The protruding ribs (39-7) can be pushed while being pressed in the area between the pair of protruding ribs (39-7).
상기 캡시일(39)에서 상기 캡시일몸체(39-1)의 두께(F)와 상기 압축부(39-5)에서 상기 돌출리브(39-7) 사이의 두께(E)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즉, E구간 대비 F구간의 두께는 30% ~ 40% 정도가 되도록 치수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채널(39-4)은 일종의 도피공간이 되는데, 상기 돌출리브(39-7)의 눌림량의 25%~30% 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체적으로 되어야 한다. There is the follow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F) of the capsid body (39-1) in the capsid (39) and the thickness (E) between the protruding rib (39-7) in the compression section (39-5).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F section can be set to be approximately 30% to 40% of the thickness of the E section. In addition, the concave channel (39-4) serves as a kind of escape space and should have a volume that can accommodate approximately 25% to 30% of the pressing amount of the protruding rib (39-7).
그리고, 상기 돌출리브(39-7)가 압축되는 량에 대해서 상기 압축부(39-5)에서 상기 돌출리브(39-7) 사이의 영역이 압축되는 정도는 45% ~ 55% 사이 값으로 되는 것이 좋다. 즉, 주로 상기 돌출리브(39-7)가 압축부(39-5)에서 압축되고, 압축부(39-5)에서 상기 돌출리브(39-7) 사이의 영역은 돌출리브(39-7)가 압축되는 것의 45% ~ 55% 정도가 압축되는 것이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egree of compression of the area between the protruding ribs (39-7) in the compression section (39-5) be between 45% and 55% of the amount of compression of the protruding ribs (39-7). That is, the protruding ribs (39-7) are mainly compressed in the compression section (39-5), and the area between the protruding ribs (39-7) in the compression section (39-5) is compressed by about 45% to 55% of the amount of compression of the protruding ribs (39-7).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캡시일(39)은 캡(38)이 상기 쉘하우징(24)에 밀착되어 장착될 때, 도 12의 확대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압축부(39-5)가 쉘하우징(24) 및 캡(38)과 오버랩되어, 즉 압축되면서 압축부(39-5)의 살들이 밀려서 상기 캡(38) 및 쉘내부공간(32)의 내면 등에 밀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압축부(39-5)에서 밀린 살의 일부는 상기 캡(38)의 돌기(38') 사이 틈새로 들어가게 되어 상기 캡(38)과 쉘하우징(24)의 내면 사이에 캡시일(39)의 일부가 채워진다.As can be see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12, when the capsule (39)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moun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hell housing (24), the compression portion (39-5) overlaps with the shell housing (24) and the cap (38), that is, when compressed, the ribs of the compression portion (39-5) are pushed out so that they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p (38)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hell internal space (32). In this process, some of the ribs pushed out by the compression portion (39-5) enter the gap between the protrusions (38') of the cap (38), so that some of the capsule (39) is filled between the cap (38)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hell housing (24).
다음으로, 상기 쉘하우징(24)의 쉘내부공간(32) 내에는 제1그라운드 컨텍트(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라운드 컨택트(40)는 상기 쉘하우징(24)과 제2커넥터(60)의 접지를 위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라운드 컨택트(40)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그라운드 컨택트(40)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Next, a first ground contact (40) may be installed within the shell internal space (32) of the shell housing (24). The first ground contact (40) may per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for grounding the shell housing (24) and the second connector (60). The first ground contact (40)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The first ground contact (40) may be made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제1그라운드 컨택트(40)에는 다수개의 접촉레버(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레버(42)는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접촉레버(42)의 연장방향은 상기 제1그라운드 컨택트(40)의 길이방향이다. 다시 말하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60)의 결합과 분리방향으로 상기 접촉레버(42)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접촉레버(42)의 선단에는 탄성접촉돌기(42')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tact levers (42) may be formed on the first ground contact (40). The contact levers (42) are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and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 a predetermined degree.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ntact levers (42)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ground contact (40). In other words, the contact levers (42) may be extended in the direction of coupling and coupling/sepa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60). An elastic contact protrusion (42') may be formed at the tip of the contact lever (42).
상기 접촉레버(42)는 상기 쉘하우징(24)의 연결관(30) 내면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이는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접촉레버(42)가 제2그라운드 컨텍트(66)의 외면에 접촉되어 탄성변형이 될 때, 탄성변형 정도가 상기 연결관(30)의 내면에 의해 규제되는 것이다.The above contact lever (42) can be regula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tube (30) of the shell housing (24). This is well illustrated in Fig. 7. When the contact lever (4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ground contact (66) and is elastically deformed, the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is regula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tube (30).
상기 제1그라운드 컨택트(40)에는 다수개의 스페이서돌기(4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돌기(44)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그라운드 컨텍트(66)와의 사이에서 틈새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돌기(44)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돌기(44)는 상기 제1그라운드 컨택트(40)의 내면에서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돌기(44)는 상기 탄성접촉돌기(42')의 위치보다는 상기 제1그라운드 컨텍트(40)의 일측 단부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커넥터(60)쪽으로 상기 탄성접촉돌기(42')보다 이동된 위치에 상기 스페이서돌기(44)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돌기(44)는 제2그라운드 컨텍트(66)와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유동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The first ground contact (40) may have a plurality of spacer protrusions (44). The spacer protrusions (44) are formed so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the first ground contact (66)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second ground contact. The spacer protrusions (44)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The spacer protrusions (44)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ground contact (40). The spacer protrusions (44) may be positioned closer to one end of the first ground contact (40) than the elastic contact protrusions (42'). In other words, the spacer protrusions (44)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that is moved further toward the second connector (60) than the elastic contact protrusions (42'). The spacer protrusions (44) prevent a gap from being formed between the first ground contact (66) and the second ground contact (66), thereby preventing vibration due to flow from occurring.
상기 제1그라운드 컨택트(40)는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그라운드 컨텍트(40) 대신에, 예를 들면, 상기 쉘하우징(24)의 연결관(30)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30)에 상기 접촉레버(42)가 구비되어 접지연결을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The above first ground contact (40) is not necessarily used. Instead of the above first ground contact (40), for example, the connecting pipe (30) of the shell housing (24) may be used. The connecting pipe (30) may be provided with the contact lever (42) to directly perform ground connection.
상기 쉘하우징(24)의 쉘내부공간(32)에는 내부하우징(4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하우징(46)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하우징(46)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터미널(50)과 쉘하우징(24) 사이의 절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내부하우징(46)의 형상과 크기는 상기 쉘하우징(24)의 쉴내부공간(32)에 들어갈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내부하우징(46)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공간(4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48)도 'T'자 또는 거의 'ㄱ"자 형상으로 될 수 있다.An inner housing (46) may be installed in the shell inner space (32) of the above shell housing (24). The inner housing (46)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inner housing (46) may perform insul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50)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shell housing (24). The shape and size of the inner housing (46) may be designed so that it may enter the inner space (32) of the shell housing (24). A terminal mounting space (48)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inner housing (46)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terminal mounting space (48) may also be in the shape of a 'T' or an almost 'ㄱ'.
제1터미널(5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터미널(50)의 골격을 터미널몸체(5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몸체(52)의 선단에는 제2커넥터(60)의 제2터미널(64)과 결합되어 신호연결을 수행하는 제1결합부(5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54)는 제2터미널(64)과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상기 터미널몸체(52)의 후단에는 제2결합부(5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56)는 아래에서 설명될 케이블연결구(58)가 압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결합부(56)도 케이블(22)의 심선(22')과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하여도 상관없다.The first terminal (50)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The skeleton of the first terminal (50) may be formed by a terminal body (52). At the front end of the terminal body (52), there may be a first coupling portion (54) that is coupled with the second terminal (64) of the second connector (60) to perform signal connec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54)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be coupled with the second terminal (64). At the rear end of the terminal body (52), there may be a second coupling portion (56).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6) may have a shape into which a cable connection port (58)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press-fitted. Howeve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6) may also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be coupled with the core wire (22') of the cable (22).
상기 제1터미널(50)의 제2결합부(56)와 결합되도록 케이블연결구(58)가 있다. 상기 케이블연결구(58)는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연결구(58)에는 케이블(22)의 심선(22')이 압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연결구(58)에 케이블(22)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결합부(56)에 결합되어 신호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연결구(58)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re is a cable connection port (58)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56) of the first terminal (50). The cable connection port (58) may be cylindrical in this embodiment. The core wire (22') of the cable (22) may be compressed and connected to the cable connection port (58). When the cable (22) is connected to the cable connection port (58), i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56) to perform signal connection. The cable connection port (58)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한편, 상기 제1커넥터(10)와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커넥터조립체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60)의 구성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편의상 도 4에서 제2커넥터(6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Meanwhile,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nnector (60) that performs an electrical connection by combining with the first connector (10) and constitutes a connector assembly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For convenience,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nnector (60)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4.
제2커넥터(60)의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62)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62)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62)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62)은 그 일부가 상기 제1하우징(11)의 관통공간(12)으로 들어갈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62) can form the exterior and skeleton of the second connector (60). The second housing (62) can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second housing (62) can be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A part of the second housing (62) can enter the through space (12) of the first housing (11).
상기 제2하우징(62)의 내부에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내부공간(6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부공간(63)에 삽입되는 제1커넥터(10)의 부분은 상기 터미널유니트(20)의 일부이다. 상기 제2내부공간(63)은 상기 제1커넥터(10)가 삽입되는 쪽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내부공간(63) 내에는 제2터미널(6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터미널(64)은 상기 제1터미널(50)과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한다.A second internal space (63)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housing (62) into which a part of the first connector (10) is inserted. The part of the first connector (10) inserted into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is a part of the terminal unit (20).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may be opened toward the side into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is inserted. A second terminal (64)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The second terminal (64)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being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50).
상기 제2하우징(62)의 제2내부공간(63) 내에는 제2그라운드 컨텍트(6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그라운드 컨텍트(66)는 상기 제1그라운드 컨텍트(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접지를 위한 연결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그라운드 컨텍트(66)가 상기 제2하우징(62) 내에서 접지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은 편의상 생략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8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체결레버(16)가 걸어지는 체결턱이다.A second ground contact (66)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of the second housing (62). The second ground contact (66)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ground contact (40) to form a connection for grounding. The configuration for the second ground contact (66)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grounding point within the second housing (62) is omitted for convenienc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상기 제1하우징(11)에 상기 터미널유니트(20)를 장착하여 제1커넥터(10)를 구성하고, 이 제1커넥터(10)가 상기 제2커넥터와 결합하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하우징(11)을 다른 키코드를 가지는 것으로 바꾸고, 상기 터미널유니트(20)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다른 다양한 제2커넥터(60)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first connector (10) by mounting the terminal unit (20) on the first housing (11), and the first connector (10) can be combined with the second connector to transmit a signal. Here, the first housing (11) can be changed to one having a different key code, and the terminal unit (20) can be combined with other various second connectors (60) using the same one.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60)가 결합될 때, 도 9에 도시된 상태의 터미널유니트(20)에서 상기 시일(35)이 안착된 연결관(30)은 상기 제2커넥터(60)의 제2내부공간(63)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제2커넥터(60)의 제2내부공간(63) 내부로 연결관(30)이 들어가는 과정에서 선단의 단턱(34')은 그 외경이 제2내부공간(63)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연결관(30)의 선단 쪽은 상대적으로 쉽게 제2내부공간(63)으로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60) are coupled, the connecting tube (30) in which the seal (35)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unit (20) as shown in Fig. 9 enters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of the second connector (60). In the process of the connecting tube (30) entering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of the second connector (60),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rusion (34') at the tip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so the tip of the connecting tube (30) can be relatively easily inserted into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이때, 상기 단턱(34')에 인접하여 있는 시일(35)도 상대적으로 쉽게 제2내부공간(63)으로 들어갈 수 있다. 도면 들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시일(35)은 상기 단턱(34')보다는 그 외경이 크므로, 상기 제2내부공간(63)의 내면에 밀착되기는 하지만, 상기 시일안착부(34) 내에 시일(35)이 안착되어 있어서, 시일(35)이 뒤로 밀리는 경우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일(35)은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60)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접혀지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At this time, the seal (35) adjacent to the step (34') can also enter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relatively easily. As can be seen in the drawings,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seal (35) is larger than that of the step (34'),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but since the seal (35) is seated within the seal seating portion (34), the seal (35) does not move backward. Accordingly, whe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60) are connected, the seal (35) does not experience defects such as folding.
한편, 상기 연결관(30)이 상기 제2내부공간(63) 내부로 다 들어가게 되면, 상기 오버랩부(36)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내부공간(63)의 입구 내측에서 제2내부공간(63)의 내면에 오버랩되면서 밀착된다. 이 때, 상기 연결관(30)의 선단 쪽에 있는 단턱(34')은 상기 제2내부공간(63)의 길이방향 중간 지점(M) 보다 더 내측으로 들어가게 된다.Meanwhile, when the connecting pipe (30) enters completely into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the overlapping portion (36) overlaps and adher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on the inner side of the entrance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as can be seen in Fig. 4. At this time, the step (34') at the tip of the connecting pipe (30) enters further inward than the longitudinal middle point (M)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이와 같이 상기 오버랩부(36)가 제2내부공간(63)의 내면에 압입되어 밀착되고, 상기 시일(35)도 제2내부공간(63)의 길이방향 중간지점(M)에서 제2내부공간(63)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어서, 상기 제2내부공간(63)에 상기 터미널유니트(20)의 연결관(30)을 포함하는 부분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터미널유니트(2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2커넥터(60)에 대해서 상대 이동하지 않게 되도록 견고하게 제1커넥터(10), 특히 터미널유니트(20)가 고정되어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overlapping portion (36) is pressed into and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and the seal (35) is also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at the longitudinal midpoint (M) of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so that the portion including the connecting tube (30) of the terminal unit (20) can be firmly fixed to the second internal space (63). In other words,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erminal unit (20), the first connector (10), particularly the terminal unit (20), is firmly fixed so that it does not move relative to the second connector (60).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돌기(44)는 상기 제1그라운드 컨텍트(40)와 제2그라운드 컨텍트(66)와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그라운드 컨텍트(40)와 제2그라운드 컨텍트(66) 사이에서 상대 이동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spacer protrusion (44) prevents a gap from occurring between the first ground contact (40) and the second ground contact (66). Accordingly, vibration due to relative movement does not occur between the first ground contact (40) and the second ground contact (66).
한편, 상기 캡(38)은 상기 쉘하우징(24)의 내부에 형성된 쉘내부공간(32)을 쉘하우징(24)의 뒤부분에서 막게 된다. 상기 캡(38)은 상기 쉘내부공간(32)에 압입되어 있는데, 상기 캡시일(39)이 쉘하우징(24)과 캡(38) 사이에 위치되어 캡(38)이 장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Meanwhile, the cap (38) blocks the shell internal space (32) formed inside the shell housing (24) at the rear part of the shell housing (24). The cap (38) is press-fitted into the shell internal space (32), and the cap seal (39) is positioned between the shell housing (24) and the cap (38) to firmly maintain the cap (38) mounted state.
여기서 상기 캡(38)의 압축부(39-5)의 두께(E)가 캡시일몸체(39-1)의 두께(F)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서, 캡(38)에 의해 상기 압축부(39-5)가 압축되어 있지만, 쉘내부공간(32) 내부의 환경이 변하더라도 상기 압축부(39-5)의 두께가 변경될 수 있는 여유가 많이 있어서 캡(38)의 장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목(39-3)에 있는 오목채널(39-4)은 상기 압축부(39-5)의 압축량 변화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Here, the thickness (E) of the compression portion (39-5) of the cap (38) is formed relatively thicker than the thickness (F) of the cap seal body (39-1), so that although the compression portion (39-5) is compressed by the cap (38), there is a lot of room for the thickness of the compression portion (39-5) to change even if the environment inside the shell internal space (32) changes, so that the mounting state of the cap (38) can be firmly maintained. In particular, the concave channel (39-4) in the connecting member (39-3) can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change in the compression amount of the compression portion (39-5).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as one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in one or more. In addition, the terms "include," "compose," or "have" described above,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and therefore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evant technology,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제1커넥터 11: 제1하우징
12: 관통공간 14: 걸림턱
16: 체결레버 18: 고정구
20: 터미널유니트 22: 케이블
24: 쉘하우징 26: 걸이채널
28: 케이블관통관 30: 연결관
32: 쉘내부공간 34: 시일안착부
34': 단턱 36: 오버랩부
38: 캡 39: 캡시일
40: 제1그라운드 컨텍트 42: 접촉레버
42': 탄성접촉돌기 44: 스페이서돌기
46: 내부하우징 48: 터미널안착공간
50: 제1터미널 52: 터미널몸체
54: 제1결합부 56: 제2결합부
58: 터미널연결구 60: 제2커넥터
62: 제2하우징 63: 제2내부공간
64: 제2터미널 66: 제2그라운드 컨텍트
68: 체결턱10: 1st connector 11: 1st housing
12: Penetration space 14: Catch
16: Fastening lever 18: Fixing bracket
20: Terminal unit 22: Cable
24: Shell housing 26: Hanging channel
28: Cable penetration 30: Connector
32: Shell internal space 34: Seal fixing part
34': Single chin 36: Overlap
38: Cap 39: Capsil
40: 1st ground contact 42: Contact lever
42': Elastic contact projection 44: Spacer projection
46: Inner housing 48: Terminal mounting space
50: Terminal 1 52: Terminal body
54: First joint 56: Second joint
58: Terminal connector 60: Second connector
62: Second housing 63: Second internal space
64: Terminal 2 66: Ground 2 Contact
68: Tie-up jaw
Claims (16)
상기 관통공간에 장착되고 상대 커넥터 및 케이블과의 접지 연결을 위한 쉘하우징과 상기 쉘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대 커넥터와 신호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터미널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쉘하우징에는 상대 커넥터와의 사이에서 방수작용을 하는 시일이 안착되는 시일안착부와, 상기 시일안착부에 인접하고 상대 커넥터의 내부공간 입구 측에 적어도 일부 구간이 압입되도록 일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크게 형성되는 오버랩부를 포함하는 연결관이 구비되는 커넥터.
A housing having a penetrating space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It includes a terminal unit including a shell housing mounted in the above penetration space and for ground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connector and cable, and a terminal located inside the shell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counterpart connector for signal connection.
A connector having a connecting tube including a seal mounting portion in which a seal that performs a waterproofing function between the above shell housing and the mating connector is mounted, and an overlapping portion adjacent to the seal mounting portion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that becomes larger as it goes toward one side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tion is press-fitted into the entrance sid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mating connector.
In the first paragraph, a connector in which a step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ling portion surrounding the connecting pip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tep on the free end side of the connecting pipe has a smaller value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mating connector.
In the second paragraph, a connector in which the step on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tube is located inside the longitudinal midpoin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opposing connector.
In the third paragraph, a connector in which the seal seated in the seal seating portion is located near the longitudinal midpoin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mating connector.
A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 ground contact for grounding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ng tube of the shell housing, and the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ntact lever of the ground contact is regula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tube.
In the fifth paragraph, a connector i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ground contact further has a spacer projection protruding into the interior of the ground contact.
In the sixth paragraph, the spacer projection is a connector formed further toward the opposing connector than the elastic contact projection formed on the contact lever.
In the 7th paragraph, a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spacer protrusion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관통공간에 장착되고 상대 커넥터 및 케이블과의 접지 연결을 위한 쉘하우징과 상기 쉘하우징의 쉘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상대 커넥터와 신호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터미널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쉘내부공간은 상기 쉘하우징을 전후로 관통하는데, 상기 쉘하우징의 후방으로 개방되는 쉘내부공간에 캡이 압입되어 쉘내부공간을 차폐하는데, 상기 캡과 상기 쉘내부공간의 사이에는 캡시일이 압축되어 설치되고,
상기 쉘하우징에는 상대 커넥터와의 사이에서 방수작용을 하는 시일이 안착되는 시일안착부와, 상기 시일안착부에 인접하고 상대 커넥터의 내부공간 입구 측에 적어도 일부 구간이 압입되도록 일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크게 형성되는 오버랩부를 포함하는 연결관이 구비되는 커넥터.
A housing having a penetrating space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It includes a terminal unit including a shell housing mounted in the above penetration space and for grounding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connector and cable, and a terminal positioned in the shell internal space of the shell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counterpart connector through a signal.
The above shell internal space penetrates the shell housing from front to back, and a cap is pressed into the shell internal space that opens to the rear of the shell housing to shield the shell internal space, and a cap seal is compressed and installed between the cap and the shell internal space.
A connector having a connecting tube including a seal mounting portion in which a seal that performs a waterproofing function between the above shell housing and the mating connector is mounted, and an overlapping portion adjacent to the seal mounting portion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that becomes larger as it goes toward one side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tion is press-fitted into the entrance sid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mating connector.
A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in accordance with claim 9.
In the 10th paragraph, the capsule is a connector including a capsule body having a plate shape, a compression part formed around an edge of the capsule body and having a protruding rib, and a connecting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capsule body and the compression part and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capsule body and the compression part to form a concave channel.
In the 11th paragraph, a connector in which two protruding ribs are formed concentrically and side by side in the compression section, and a flat area is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ribs.
In the 12th paragraph, the protruding ribs can be provided on each of the two surfaces of the compression member, and the connector has a thickness (E) between the protruding ribs on the two surfaces and a thickness (F) of the cap seal body, where the F value is approximately 30% to 40% of the E value.
In the 13th paragraph, the concave channel is a connector having a volume that can accommodate about 25% to 30% of the pressing amount of the protruding rib.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90543A KR102730415B1 (en) | 2022-07-21 | 2022-07-21 |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90543A KR102730415B1 (en) | 2022-07-21 | 2022-07-21 | Connecto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12952A KR20240012952A (en) | 2024-01-30 |
| KR102730415B1 true KR102730415B1 (en) | 2024-11-15 |
Family
ID=8971529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90543A Active KR102730415B1 (en) | 2022-07-21 | 2022-07-21 | Connect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30415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4107122A (en) * | 2012-11-28 | 2014-06-09 | Jst Mfg Co Ltd | Connector of waterproof specification |
| KR101685680B1 (en) * | 2015-07-27 | 2016-12-12 | 주식회사 경신 | Waterproof joint connector for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960550B2 (en) | 2016-07-25 | 2018-05-01 | Delphi Technologies, Inc. | Coaxial connector assembly |
| KR102627870B1 (en) | 2018-12-10 | 2024-01-2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 KR102779004B1 (en) | 2019-03-29 | 2025-03-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oating for protection of window |
| KR102796358B1 (en) * | 2020-09-09 | 2025-04-2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
-
2022
- 2022-07-21 KR KR1020220090543A patent/KR10273041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4107122A (en) * | 2012-11-28 | 2014-06-09 | Jst Mfg Co Ltd | Connector of waterproof specification |
| KR101685680B1 (en) * | 2015-07-27 | 2016-12-12 | 주식회사 경신 | Waterproof joint connector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12952A (en) | 2024-01-3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10011085B (en) | Terminal fitting | |
| EP2369690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 JP5227599B2 (en) | connector | |
| JP6092237B2 (en) | Shielded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hielded plug connector | |
| CN110611189B (en) | terminal | |
| WO2018142883A1 (en) | Shield connector and male-side shield terminal | |
| US11848514B2 (en) | Elastomer seal spring | |
| US10644447B2 (en) | Connector with front retainer | |
| JP2013073743A (en) | Connector | |
| JP6271604B2 (en) | Connector waterproof structure | |
| EP3346557B1 (en) | Waterproof structure for connector | |
| JP2012014981A (en) | Seal structure of water-proof connector | |
| KR102730415B1 (en) | Connector | |
| JP2019079621A (en) | Connector for coaxial cable | |
| EP0926776A1 (en) |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 |
| CN116941143A (en) | Rod type connector | |
| CN112054339B (en) | Electrical connector | |
| JP6224041B2 (en) | Connector waterproof structure | |
| EP3644452B1 (en) | Fitting connector | |
| JP2005174813A (en) | connector | |
| JP2006196427A (en) | Electric connector | |
| EP3993175A1 (en) | Sealed connector housing for an angled electrical connector | |
| KR101790602B1 (en) | Cable assembly | |
| KR102768644B1 (en) | connector | |
| KR20220033112A (en) | Connec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