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3134B1 - Method and apparatus for vertical frequency sharing in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vertical frequency sharing in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3134B1
KR102733134B1 KR1020220040312A KR20220040312A KR102733134B1 KR 102733134 B1 KR102733134 B1 KR 102733134B1 KR 1020220040312 A KR1020220040312 A KR 1020220040312A KR 20220040312 A KR20220040312 A KR 20220040312A KR 102733134 B1 KR102733134 B1 KR 102733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tection area
geographical
communication node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3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41146A (en
Inventor
김봉수
김혁제
권혜연
박승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40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3134B1/en
Publication of KR20230141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1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3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313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에서 수직적 주파수 공유 가능성 분석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존 무선국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5G 특화망의 간섭량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간섭량을 기반으로 상기 기존 무선국과 상기 5G 특화망의 주파수 공유 가능성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기존 무선국과 상기 5G 특화망의 구축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고도 데이터가 포함된 전국 GI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무선국과 상기 5G 특화망의 지속적인 관리를 특징으로 통신 노드의 수직적 주파수 공유 가능성 분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vertical frequency sharing possibilities in a communication system are disclosed. As an operating method of a communication node,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generating interference amounts between at least one existing wireless station and at least one 5G specialized network; analyzing frequency sharing possibilities between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and the 5G specialized network based on the generated interference amounts; and integrating and providing construction information of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and the 5G specialized network, and characterized by continuous management of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and the 5G specialized network based on nationwide GIS information including altitude data. A method for analyzing vertical frequency sharing possibilities of a communication node can be provided.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수직적 주파수 공유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VERTICAL FREQUENCY SHARING IN COMMUNICATION SYSTEM}METHOD AND APPARATUS FOR VERTICAL FREQUENCY SHARING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무선국(Wireless Station)과 5G 특화망(5G Private Network)이 수직적으로 주파수를 공유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quency sharing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technology for vertically sharing frequencies between an existing wireless station and a 5G private network.

전국망 구축이 주 목적인 이동통신 주파수는 일반 국민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사회적 가치를 가지기 때문에 통신 사업자들은 천문학적 가격을 지불하고 해당 주파수 대역의 이용권을 보장받는다. 이와 달리 5G 특화망은 수십미터에서 수백미터 반경의 범위내에서 독자적이고 지역적인 사용을 보장받기 위한 주파수가 필요하다. 이러한 지역적 사용 특징으로 인해 기존 무선국이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이라도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영역내에서는 어느 정도 자유로운 사용을 보장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which is mainly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ng a nationwide network, has a very large social value that affects the general public, so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pay astronomical prices to secure the right to use the frequency band. In contrast, 5G specialized networks require frequencies that guarantee independent and regional use within a radius of tens to hundreds of meters. Due to this regional use characteristic, even frequency bands used by existing wireless stations can be guaranteed to be used to a certain extent within areas that meet preset criteria.

5G 특화망이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은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번째는 5G 특화망의 송신신호가 기존 무선국의 수신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영역으로 5G 특화망이 간섭원(interferer), 기존 무선국이 희생원(victim)인 시나리오이다. 두번째는 기존 무선국의 송신신호가 5G 특화망의 수신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영역을 산출하는 것으로 기존 무선국이 간섭원, 5G 특화망이 희생원인 시나리오이다. 이 두가지 시나리오에서 산출된 영역 중 어느 영역에도 포함되지 않는 영역에서 5G 특화망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분석하고자 하는 해상도를 기준으로 전국단위의 지형정보를 이용해 해당 픽셀에서의 간섭량을 산출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한 방법을 다룬다.The areas that the 5G specialized network can us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rst is an area where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does not affect the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in which the 5G specialized network is an interferer and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is a victim. The second is an area where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does not affect the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in which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is an interferer and the 5G specialized network is a victim. It is possible to use the 5G specialized network in an area that is not included in any of the areas calculated in these two scenarios. To do this,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interference in a corresponding pixel using nationwide topographic information based on the resolution to be analyzed is necess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deals with a method for this.

한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echnology that serves as the background for the invention was written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for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content that is not a prior art already known to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belongs.

본 발명은 기존 무선국과 5G 특화망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기존 무선국과 5G 특화망 간 수직적 주파수 공유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device for vertical frequency sharing between an existing wireless station and a 5G specialized network in an environment where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and the 5G specialized network coexi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노드의 수직적 주파수 가능성 분석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존 무선국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5G 특화망의 간섭량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간섭량을 기반으로 상기 기존 무선국과 상기 5G 특화망의 주파수 공유 가능성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기존 무선국과 상기 5G 특화망의 구축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고도 데이터가 포함된 전국 GI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무선국과 상기 5G 특화망의 지속적인 관리를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purpose, a method for analyzing vertical frequency possibilities of a communication node in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interference between at least one existing wireless station and at least one 5G specialized network, analyzing frequency sharing possibilities between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and the 5G specialized network based on the generated interference, and providing integrated construction information of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and the 5G specialized network, and is characterized by continuous management of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and the 5G specialized network based on nationwide GIS information including altitude data.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무선국과 5G 특화망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5G 특화망은 기존 무선국이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을 공유할 수 있고 기존 무선국과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국가적 자원인 주파수의 이용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nvironment where existing wireless stations and 5G specialized networks coexist, the 5G specialized network can share the frequency bands used by existing wireless stations and can be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with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s. Accordingly, the efficiency of using frequencies, which are national resources, can be improved.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수직적 주파수 공유분석 장치(30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공유 가능성 분석 모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공공 주파수 무선국의 보호영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기존 무선국의 간섭으로부터 5G 특화망 보호영역의 산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보호영역의 산출을 위한 분석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분석결과의 엑셀 CSV 파일 포맷의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동일 주파수에서 단위 대역폭을 적용하는 방식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간섭량 계산에서 중첩된 대역의 범위만을 고려하는 co-frequency overlap 방식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5G 특화망의 보호영역 산출을 위한 안테나 패턴 적용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5G 특화망 보호를 위한 정밀분석 시나리오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5G 특화망으로부터 기존 무선국의 수신기 보호를 위한 정밀분석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간섭량 총합에 따른 영향 분석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a는 분석영역의 통합 관리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b는 분석영역의 통합 관리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파라메터 변경에 따른 분석 결과 수정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7은 5G 특화망에서 사용영역의 관리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8은 등고선 데이터를 이용한 지형고도 데이터의 제작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9는 송신국과 수신국 사이의 패스 프로파일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ode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Figur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vertical frequency sharing analysis device (300).
Figur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shareability analysis module.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protection area of a public frequency radio station.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alculation of a 5G specialized network protection area from interference from existing wireless stations.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analysis process for calculating a protection area.
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Excel CSV file format of the analysis results.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of applying unit bandwidth at the same frequency.
Figure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frequency overlap method that considers only the range of overlapping bands in interference calculation.
Figure 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applying antenna patterns to derive a protection area of a 5G specialized network.
Figure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analysis scenario for 5G specialized network protection.
Figure 1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analysis for protecting the receiver of an existing wireless station from a 5G specialized network.
Figure 1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impact analysis according to the total amount of interference.
Figure 15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an analysis area.
Figure 15b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an analysis area.
Figure 1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odifying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parameter changes.
Figure 1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management of usage areas in a 5G specialized network.
Figure 1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ducing topographic elevation data using contour line data.
Figure 1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pass profile between a transmitting station and a receiving sta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an overall understand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통신 노드를(110, 120, 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은 통신 시스템은 코어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이 5G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UPF(user plane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시스템에서 NSA(Non-StandAlone)가 지원되는 경우, S-GW(serving-gateway), P-GW(PDN(Packet Data Network)-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등으로 구성되는 코어 네트워크는 4G 통신 기술뿐만 아니라 4G 통신 기술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이 네트워크 슬라이싱(slicing) 기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복수의 논리적 네트워크 슬라이스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ommunication system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110, 120, 131, 132).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core network. If th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s 5G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core network may include a user plane function (UPF), a 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an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etc. Or, if th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s NSA (Non-StandAlone), the core network, which is composed of an S-GW (serving-gateway), a P-GW (PDN (Packet Data Network)-gateway), an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etc., may support not only 4G communication technology but also 4G communication technology. If th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s network slicing technology, the core network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ogical network slices.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 (예를 들어, 기지국, 릴레이, UE, AMF, UPF, SMF 등)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WCDMA(wideband CDMA) 기술,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술, Filtered OFDM 기술,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SC(single carrier)-FDMA 기술,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술,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술,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기술,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기술, 및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Communication nodes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system (e.g., base stations, relays, UEs, AMFs, UPFs, SMFs, etc.) can perform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technology from among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echnology, WCDMA (wideband CDMA) technology,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echnology,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echnology,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technology, Filtered OFDM technology,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echnology, SC (single carrier)-FDMA technology,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technology, GFDM (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technology, FBMC (filter bank multi-carrier) technology, UFMC (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technology, and SDMA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technology.

통신 노드 중에서 기지국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5g 노드B (g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 송수신 포인트(Tx/Rx Point)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 노드 중에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 (mobile station), 노드(node), 디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 노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Among the communication nodes, a base station may be referred to as a NodeB, an evolved NodeB, a 5g NodeB (gNodeB),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a radio base station, a radio transceiver, an access point, an access node, a Tx/Rx Point, etc. Among the communication nodes, a terminal may be referred to as a UE (user equipment), an access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station, a subscriber station,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a mobile station, a node, a device, etc. A communication node may have the following structure.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ode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communication node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210), a memory (220), and a transceiver device (230) that is connected to a network and performs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nterface device (240), an output interface device (250), a storage device (260), etc.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be connected by a bus (270) and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However,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be connected through an individual interface or individual bus centered around the processor (210), rather than a common bus (270). For example, the processor (21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memory (220), the transceiver (230), the input interface device (240), the output interface device (250), and the storage device (260) through a dedicated interface.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can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220) and the storage device (260). The processor (2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in which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Each of the memory (220) and the storage device (260) may be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220) may be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of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도 3은 수직적 주파수 공유분석 장치(30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vertical frequency sharing analysis device (300).

도 3을 참조하면, 수직적 주파수 공유분석 장치(300)는 무선국 정보 관리 모듈(310), 공유 가능성 분석 모듈(320), 무선국 공유 관리 모듈(3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국 정보 관리 모듈(310)은 기존 무선국의 송수신 정보 관리, 공공 주파수 무선국 정보의 관리, 5G 특화망의 분석 파라메터(parameter) 정의, 5G 특화망 무선국 정보의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고유 가능성 분석 모듈(320)은 지형 정보를 기반으로 전파 신호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기존 무선국의 간섭과 잡음 레벨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기존 무선국의 송수신 파라메터와 링크(link)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5G 특화망의 송수신 파라메터는 추가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기존 무선국에서 보호해야 하는 수신국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고, 5G 특화망의 위치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이동 무선국의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5G 특화망을 위한 수직적 공유 가능성의 분석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vertical frequency sharing analysis device (300) may include a radio st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310), a sharing possibility analysis module (320), and a radio station sharing management module (330). The radio st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310) may perform functions such as manag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formation of existing radio stations, managing public frequency radio station information, defining analysis parameters of a 5G specialized network, and managing 5G specialized network radio station information. The unique possibility analysis module (320) may calculate interference and noise levels of existing radio stations by applying a radio signal analysis method based on topographic information. Her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rameters and link information of existing radio stations may be us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rameters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may be additionally required. The location of a receiving station to be protected by an existing radio station may be fixed, and the location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may be set in the form of a mobile radio station distributed nationwide. The analysis of vertical sharing possibilities for 5G specialized networks can be structured as follows.

도 4는 공유 가능성 분석 모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Figur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shareability analysis module.

도 4를 참조하면, 공유 가능성 분석 모듈(320)은 공공 주파수 보호영역 산 출 단계(S410), 5G 특화망 보호영역 산출 단계(S420), 기존 무선국 공유 분석 단계(S4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haring possibility analysis module (320) may include a public frequency protection area calculation step (S410), a 5G specialized network protection area calculation step (S420), and an existing wireless station sharing analysis step (S430).

공공 주파수 보호영역 산출 단계(S410)는 기존 공공 주파수 무선국의 수신이 5G 특화망 기지국의 송신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보호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5G 특화망 보호영역 산출 단계(S420)는 기존 M/W 중계기 또는 기존 무선국의 송신으로부터 5G 특화망 기지국의 수신이 영향을 받지 않는 보호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공유 가능성 분석 모듈(320)은 공공 주파수 보호영역 산출 단계(S410)와 5G 특화망 보호영역 산출 단계(S420)에서 보호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기존 무선국 공유 분석 단계(S430)는 5G 특화망 기지국의 고정된 송신 위치로부터 기존 M/W 중계기 또는 무선국의 수신이 영향을 받는 간섭량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공유 가능성 분석 모듈(320)은 5G 특화망 보호영역 산출 단계(S420)와 기존 무선국 공유 분석 단계(S430)에서 간섭원 또는 희생원이 특정 위치에서 상호 영향을 주는 각각의 간섭량을 도출할 수 있다. The public frequency protection area calculation step (S410) can calculate a protection area in which the reception of an existing public frequency radio station is not affected by the transmission of a 5G specialized network base station. The 5G specialized network protection area calculation step (S420) can calculate a protection area in which the reception of a 5G specialized network base station is not affected by the transmission of an existing M/W repeater or an existing radio station. The sharing possibility analysis module (320) can calculate the protection area in the public frequency protection area calculation step (S410) and the 5G specialized network protection area calculation step (S420). The existing radio station sharing analysis step (S430) can precisely analyze the amount of interference affected by the reception of an existing M/W repeater or radio station from a fixed transmission location of a 5G specialized network base station. The sharing possibility analysis module (320) can derive the amount of interference that each interference source or victim has at a specific location in the 5G specialized network protection area calculation step (S420) and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sharing analysis step (S430).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수직적 주파수 공유분석 장치(300)의 무선국 공유 관리 모듈(330)는 전국 통합 보호영역의 관리 기능, 기술 기준에 따른 보호영역의 재설정 기능, 5G 통합망 현황의 관리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통해서, 무선국 공유 관리 모듈(330)은 기존 무선국과 5G 특화망의 보호 기준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계속적으로 늘어나는 5G 특화망 신청에 따른 정보들의 연속적인 관리가 지원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3, the radio station sharing management module (330) of the vertical frequency sharing analysis device (300) may include functions such as management of a nationwide integrated protection area, resetting of a protection area according to technical standards, and management of the status of a 5G integrated network. Through these functions, the radio station sharing management module (330) may appropriately adjust the protection standards of existing radio stations and 5G specialized networks, and support continuous management of information according to continuously increasing applications for 5G specialized networks.

무선국 상호간 공유 가능성의 분석 방법은 권고안 ITU-R P.452 기반의 전파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전파모델은 패스 프로파일로부터 클러터 손실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성이 높은 디지털 지도 데이터는 지형 고도 데이터로부터 패스 프로파일의 생성과 클러터 손실의 적용을 필요할 수 있다.The method of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sharing between radio stations can apply a propagation model based on the recommendation ITU-R P.452. The propagation model can provide clutter loss from the path profile. Therefore, high-accuracy digital map data may require the generation of a path profile from terrain elevation data and the application of clutter loss.

디지털 지도 데이터는 지형의 변화에 의해 지형 고도 데이터가 변화될 수 있고, 인위적인 개발 등에 의해 시골이 도시가 되거나 산림이 도로가 되는 등과 같은 환경분류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지도 데이변화는 적용되는 전파모델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짧은 주기의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다.Digital map data may change due to changes in terrain, such as terrain elevation data, and environmental classification changes such as rural areas becoming cities or forests becoming roads due to artificial development. Such changes in digital map data may also affect the applied propagation model, so updates may be required at the shortest possible interval.

기존 무선국은 송신과 수신이 모두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는 M/W 고정 무선국 유형, 송신이 고정이고 수신이 이동하는 이동방송 무선국 유형, 수신이 고정이고 송신이 이동하는 UAV(Unmanned Aerial Vehicle) 관제소 무선국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존 무선국의 보호영역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항목들은 아래 표 1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고정 송신과 고정 수신 분석에 필요한 모든 항목을 기준으로 고정 송신과 이동 수신은 수신에 대한 항목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동 송신과 고정 수신은 이동 송신에 대한 항목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Existing radio stations can be classified into M/W fixed radio station types where b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exist in fixed locations, mobile broadcast radio station types where transmission is fixed and reception is mobile, and UAV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station types where reception is fixed and transmission is mobile. The items required to calculate the protection area of existing radio stations can be classified as shown in Table 1 below. Based on all items required for analysis of fixed transmission and fixed reception, fixed transmission and mobile reception may not require items for reception. In addition, mobile transmission and fixed reception may not require items for mobile transmission.

필요 항목 분류Classification of required items 내용detail 링크 관련 항목Link Related Items 서로 통신하는 송신국과 수신국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Contains data related to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tion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주파수 관련 항목Frequency related items 송신기 또는 수신기의 중심 주파수, 무선국 등록 시 허가 받은 대역폭, 점유 대역폭 포함The center frequency of the transmitter or receiver, the bandwidth licensed when registering the radio station, and the occupied bandwidth. 송신국 관련 항목Items related to the transmitter 송신국 안테나의 위치, 송신 전력, 송신 안테나 패턴 등의 데이터를 포함Contains data such as the location of the transmitting antenna, transmission power, and transmission antenna pattern. 수신국 관련 항목Recipient related items 송신국 안테나의 위치, 송신 전력, 송신 안테나 패턴 등의 데이터를 포함Contains data such as the location of the transmitting antenna, transmission power, and transmission antenna pattern. 지수 관련 항목Index related items 시스템 온도, 잡음 지수, I/N 기준 값 등의 데이터를 포함Contains data such as system temperature, noise figure, and I/N reference values.

기존 무선국의 보호영역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항목에서 링크 관련 항목은 아래 표 2와 같을 수 있다. 여기서, 링크는 서로 통신하는 송신국과 수신국의 쌍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link-related items in the items required to calculate the protection area of an existing wireless station can be as shown in Table 2 below. Here, a link can be defined as a pair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tions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링크 관련 항목Link Related Items 필요 항목Required Items 내용detail 링크분류번호Link classification number 서로 통신하는 송신국과 수신국의 쌍으로 동일한 위치를 가지는 무선국명을 기준으로 함Based on the name of a radio station that has the same location as a pair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tions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링크분류명 Link Category Name 송신 무선국명과 수신 무선국명으로 구성되는 명칭으로 "송신 무선국명-수신 무선국명"형식으로 작성함.
예시) 추자중계소-세오름 중계소
A name consisting of the transmitting radio station name and the receiving radio station name, written in the format “transmitting radio station name-receiving radio station name.”
Example) Chuja relay station - Seoreum relay station
링크번호Link number 분석하고자 하는 기본 단위를 구성하는 서로 통신하는 송신국과 수신국의 쌍을 의미함It refers to a pair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tions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constitute the basic unit to be analyzed. 링크명Link name 송신 무선국명과 수신 무선국명으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추가적인 세부정보로 구성되는 명칭으로 "링크분류명-중심주파수-대역폭-편파" 형식으로 작성함.예시) 추자중계소-세오름 중계소-4730-40-VIt is composed of the transmitting radio station name and the receiving radio station name, and is written in the format of "link classification name-center frequency-bandwidth-polarization" with additional detailed information. Example) Chuja relay station-Seoreum relay station-4730-40-V 시설자명Facility name 무선국 시설자명Name of wireless station facility operator

표 2의 링크 관련 항목은 고정 송신과 고정 수신의 분석, 고정 송신과 이동 수신의 분석 그리고 이동 송신과 고정 수신의 분석에 적용될 수 있다.기존 무선국의 보호영역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항목에서 주파수 및 대역폭에 관련된 필요항목들은 아래 표 3과 같을 수 있다.The link-related items in Table 2 can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fixed transmission and fixed reception, fixed transmission and mobile reception, and mobile transmission and fixed reception. The necessary items related to frequency and bandwidth in the items required to calculate the protection area of an existing radio station can be as shown in Table 3 below.

주파수 관련 항목Frequency related items 필요 항목Required Items 내용detail 단위unit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 해당 송신기 또는 수신기의 중심 주파수The center frequency of the transmitter or receiver. GHzGHz 허가 대역폭Permitted Bandwidth 무선국 등록 시 허가 받은 대역폭Bandwidth licensed when registering a radio station MHzMHz 점유 대역폭Occupied Bandwidth 해당 무선국의 동작에 필요한 점유된 대역폭The occupied bandwidth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radio station. MHzMHz

표 3의 주파수 관련 항목은 고정 송신과 고정 수신의 분석, 고정 송신과 이동 수신의 분석 그리고 이동 송신과 고정 수신의 분석에 적용될 수 있다.기존 무선국의 보호영역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항목에서 무선국이 송신으로 동작할 때 송신국과 관련된 항목은 아래 표 4와 같을 수 있다.The frequency-related items in Table 3 can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fixed transmission and fixed reception, fixed transmission and mobile reception, and mobile transmission and fixed reception. In the items required to calculate the protection area of an existing radio station, the items related to the transmitting station when the radio station operates as a transmitter can be as shown in Table 4 below.

송신국 관련 항목Items related to the transmitter 필요 항목Required Items 내용detail 단위unit 송신국명Transmitter name 무선국이 송신으로 동작할 경우 무선국의 명칭The name of the radio station when the radio station is operating as a transmitter. 송신 안테나
경도
radiator
hardness
송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송신 안테나의 경도 위치Longitude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antenna used by the transmitting radio station do
송신 안테나
위도
radiator
latitude
송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송신 안테나의 위도 위치The latitudinal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antenna used by the transmitting radio station. do
송신 안테나
지상 높이
radiator
Ground height
송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송신 안테나의 지상 높이The height above ground of the transmitting antenna used by the transmitting radio station. mm
송신 전력Transmit power 송신 무선국이 출력하는 송신기의 출력 전력Transmitter output power output by a transmitting radio station dBWdBW 송신 안테나
최대 이득
radiator
Maximum gain
송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송신 안테나의 최대 이득The maximum gain of the transmitting antenna used by the transmitting radio station. dBidBi
송신 안테나
패턴
radiator
pattern
송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송신 안테나의 핌 패턴으로 미리 정의된 패턴에 일치하는 패턴 명칭.예시) ITU-R F.699-7Pattern name that matches a predefined pattern of the transmitting antenna used by the transmitting radio station. Example: ITU-R F.699-7
송신 안테나
빔폭
radiator
Beam width
송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송신 안테나의 3dB 빔폭3dB beamwidth of the transmitting antenna used by the transmitting radio station. do
송신 피터
손실
Transmitter Peter
loss
송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송신기와 송신 안테나 사이의 연결에서 발생하는 피더 손실의 값The value of the feeder loss that occurs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transmitting antenna used by the transmitting radio station. dBdB

표 4의 송신국 관련 필요항목은 고정 송신과 고정 수신의 분석, 고정 송신과 이동 수신의 분석에 적용될 수 있고 이동 송신과 고정 수신의 분석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기존 무선국의 보호영역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항목에서 무선국이 수신으로 동작할 때 수신국과 관련된 항목은 아래 표 5와 같을 수 있다.The required items related to the transmitting station in Table 4 can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fixed transmitting and fixed receiving, fixed transmitting and mobile receiving, and may not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mobile transmitting and fixed receiving. In the items required to calculate the protection area of an existing radio station, the items related to the receiving station when the radio station operates as a receiver can be as shown in Table 5 below.

수신국 관련 항목Recipient related items 필요 항목Required Items 내용detail 단위unit 수신국명Recipient Name 무선국이 수신으로 동작할 경우 무선국의 명칭The name of the radio station when the radio station is operating as a receiver. 수신 안테나
경도
receiving antenna
hardness
수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수신 안테나의 경도 위치Longitude position of the receiving antenna used by the receiving radio station do
수신 안테나
위도
receiving antenna
latitude
송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수신 안테나의 위도 위치The latitudinal position of the receiving antenna used by the transmitting radio station. do
수신 안테나
지상 높이
receiving antenna
Ground height
수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수신 안테나의 지상 높이The height above ground of the receiving antenna used by the receiving radio station. mm
수신 안테나
최대 이득
Receiving antenna
Maximum gain
수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수신 안테나의 최대 이득The maximum gain of the receiving antenna used by the receiving station. dBidBi
수신 안테나
패턴
Receiving antenna
pattern
수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수신 안테나의 빔 패턴으로 미리 정의된 패턴에 일치하는 패턴 명칭.예시) ITU-R F.699-7A pattern name that matches a predefined pattern of beam patterns of the receiving antenna used by the receiving radio station. Example: ITU-R F.699-7
수신 안테나
빔폭
Receiving antenna
Beam width
수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수신 안테나의 3dB 빔폭3dB beamwidth of the receiving antenna used by the receiving radio station. do
수신 피터
손실
Peter the Receiver
loss
수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수신기와 수신 안테나 사이의 연결에서 발생하는 피더 손실의 값The value of the feeder loss that occurs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ceiver and the receiving antenna used by the receiving radio station. dBdB

표 5의 수신국 관련 항목은 고정 송신과 고정 수신의 분석, 이동 송신과 고정 수신의 분석에 적용될 수 있고 고정 송신과 이동 수신의 분석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The items related to the receiving station in Table 5 may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fixed transmission and fixed reception, mobile transmission and fixed reception, and may not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fixed transmission and mobile reception.

기존 무선국의 보호영역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항목에서 편파 종류, 시스템 온도, 잡음 지수 등의 지수와 관련된 항목은 아래 표 6과 같을 수 있다.Items related to indices such as polarization type, system temperature, and noise figure among the items required to calculate the protection area of an existing radio station can be as shown in Table 6 below.

지수 관련 항목Index related items 필요 항목Required Items 내용detail 단위unit 편파 종류Type of polarization 송신 무선국 또는 수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편파의 종류로 V 또는 H 중에서 선택Select the type of polarization used by the transmitting or receiving station, either V or H. 시스템 온도System Temperature 수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수신기의 시스템 온도System temperature of the receiver used by the receiving radio station KK 잡음 지수Noise Index 수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수신기의 잡음 지수Noise figure of the receiver used by the receiving station dBdB I/N 기준값I/N reference value 수신 무선국이 사용하는 수신기를 보호하기 의해 기준이 되는 간섭 레벨 대 잡음 레벨 비The interference level to noise level ratio used as a reference to protect the receiver used by the receiving radio station. dBdB

표 6의 지수 관련 항목 중 편파 종류와 I/N 기준 값은 고정 송신과 고정 수신의 분석, 고정 송신과 이동 수신의 분석 그리고 이동 송신과 고정 수신의 분석에 적용될 수 있다. 지수 관련 항목 중 시스템 온도와 잡음 지수는 고정 송신과 고정 수신의 분석, 이동 송신과 고정 수신의 분석에 적용될 수 있고 고정 송신과 이동 수신의 분석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5G 특화망은 기지국과 기지국 범위 내에 기지국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5G 특화망의 가용 주파수와 대역폭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의 송신 및 수신과 관련된 파라메터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라메터들은 전체 분석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의 경우, 실외 상용과 실내 사용 간에 적용되는 파라메터들이 다를 수 있으므로 분리하여 관리될 수 있다.Among the index-related items in Table 6, the polarization type and the I/N reference value can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fixed transmission and fixed reception, fixed transmission and mobile reception, and mobile transmission and fixed reception. Among the index-related items, the system temperature and the noise index can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fixed transmission and fixed reception, mobile transmission and fixed reception, and may not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fixed transmission and mobile reception. A 5G specialized network may be composed of a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within the range of the base station. In order to calculate the available frequency and bandwidth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parameters related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may be applied. In addition, the parameters may be applied equally to the entire analysi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ase station, since the parameters applied between outdoor commercial use and indoor use may be different, they may be managed separately.

5G 특화망과 관련된 파라메터들은 아래 표 7과 같을 수 있다. 여기서, 각 항목에 대한 내용은 기존 무선국에 대해서 기술한 표 3, 표 4, 표 5 및 표 6의 내용과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Parameters related to the 5G specialized network can be as shown in Table 7 below. Here, the contents of each item can be applied similarly to the contents of Tables 3, 4, 5, and 6 described for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5G 특화망 관련 파라메터Parameters related to 5G specialized network 필요 항목Required Items 내용detail 단위unit 무선국
위/경도
Radio station
Latitude/longitude
무선국이 위치를 표시하는 위도 및 경도Latitude and longitude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radio station do
중심
주파수
center
Frequency
무선국의 송신기 또는 수신기의 중심 주파수The center frequency of a radio station's transmitter or receiver. GHzGHz
점유대역폭Occupied bandwidth 무선국의 동작에 필요한 점유된 대역폭Occupied bandwidth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a radio station MHzMHz 안테나지상 높이Antenna ground height 무선국이 사용하는 안테나의 지상 높이Height above ground of antenna used by radio station mm 안테나 최대 이득antenna maximum gain 무선국이 사용하는 안테나의 최대 이득Maximum gain of the antenna used by the radio station dBidBi 안테나 패턴antenna pattern 무선국이 사용하는 안테나의 빔 패턴의 명칭Name of the beam pattern of an antenna used by a radio station 안테나 빔폭Antenna beam width 무선국이 사용하는 안테나의 3dB 빔폭3dB beamwidth of the antenna used by the radio station do 피터 손실Peter's loss 무선국이 사용하는 수신기와 수신 안테나 사이의 연결에서 발생하는 피더 손실의 값The value of the feeder loss that occurs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ceiver and the receiving antenna used by the radio station. dBdB 편파 종류Type of polarization 무선국이 사용하는 편파의 종류로 V 또는 H 중에서 선택Select the type of polarization used by the radio station, either V or H. 잡음 지수Noise Index 무선국이 사용하는 수신기의 잡음지수Noise figure of the receiver used by the radio station dBdB 인접 채널 누설비Adjacent channel leakage equipment dBdB 인접 채널 선택비Adjacent channel selection ratio dBdB I/N 기준값I/N reference value 무선국이 사용하는 수신기를 보호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간섭레벨 대 잡음레벨비The interference level to noise level ratio that serves as a standard for protecting receivers used by radio stations. dBdB

수직적 주파수 공유 가능성 분석 방법은 5G 특화망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과 지역을 산출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기존 무선국 상호 간에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는 영역 또는 미리 정의된 I/N 기준 값을 넘지 않는 영역을 우선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수직적 주파수 공유 가능성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첫째는 공공 주파수 무선국 보호영역 지정, 두번째는 M/W 링크에 의한 5G 특화망 수신 보호영역 산출, 세번째는 M/W 링크에 의한 5G 특화망 보호를 위한 정밀분석을 적용할 수 있다. 수직적 주파수 공유 가능성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이 공공 주파수 무선국 보호영역 지정의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공공 주파수 무선국은 UAV와 UAV 관제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frequency sharing possibility analysis method can basically give priority to calculating an area that is not affected by interference between existing radio stations or an area that does not exceed a predefined I/N reference value in order to calculate the frequency band and area that can be used in the 5G specialized network. The vertical frequency sharing possibility analysis method can include the following scenarios. First, designation of a public frequency radio station protection area, second, calculation of a 5G specialized network reception protection area by a M/W link, and third, application of a precise analysis for protecting the 5G specialized network by the M/W link can be performed. The vertical frequency sharing possibility analysis method can perform designation of a public frequency radio station protection area as follows. Here, the public frequency radio station can include UAVs and UAV control centers, etc.

도 5는 공공 주파수 무선국의 보호영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protection area of a public frequency radio station.

도 5를 참조하면, UAV(510)는 UAV 관제소(520)를 중심으로 360도 모든 방향으로 운영될 수 있다. 그리고, UAV 중계소(530)는 LOS 유지를 위해서 산 정상과 같은 높은 지대에 추가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UAV (510) can be operated in all directions of 360 degrees centered on the UAV control station (520). In addition, the UAV relay station (530) can be additionally operated at a high altitude such as a mountain top to maintain LOS.

UAV(510)와 UAV 관제소(520), UAV 중계소(530) 등을 포함한 공공 주파수 무선국의 송신은 5G 특화망의 제1 기지국(540)과 제2 기지국(541)의 수신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5G 특화망의 제1 기지국(540)의 송신신호(550)는 공공 주파수 UAV 관제소(520)의 송신신호에 영향을 주는 간섭(interference)로 동작할 수 있다. 5G 특화망의 제2 기지국(541)의 송신신호(551)는 공공 주파수 UAV 중계소(530)의 송신신호에 영향을 주는 간섭(interference)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적 주파수 공유분석 장치(300)는 UAV(510), UAV 관제소(520), UAV 중계소(530) 등을 포함한 공공 주파수 무선국에 대해 5G 특화망의 송신에 영향을 받지 않는 보호영역을 산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ransmission of public frequency radio stations including UAV (510), UAV control station (520), UAV relay station (530), etc. may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first base station (54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541)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signal (550) of the first base station (540)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may act as interference affecting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public frequency UAV control station (520). The transmission signal (551) of the second base station (541)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may act as interference affecting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public frequency UAV relay station (530). Accordingly, the vertical frequency sharing analysis device (300) may include a function of calculating a protection area that is not affected by transmission of a 5G specialized network for public frequency radio stations including UAVs (510), UAV control stations (520), UAV relay stations (530), etc.

UAV 관제소(520)와 UAV 중계소(530)의 위치는 모두 보안 사항이므로 일반적인 시뮬레이션을 통한 보호영역의 산출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호영역(560)은 사전에 정의된 특정 영역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570)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영역의 설정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지점에 대한 설정 파라메터들은 표 8과 같을 수 있다.Since the locations of the UAV control station (520) and the UAV relay station (530) are both security matters, it may be impossible to calculate the protection area through general simulation. Therefore, the protection area (560) may include at least one point (570) as a specific area defined in advance. For setting the protection area, the setting parameters for one or more points may be as shown in Table 8.

보호영역명Protected Area Name 보호주파수범위
(MHz)
Protection frequency range
(MHz)
보호영역 지점 위치(위/경도)Location of protected area point (latitude/longitude)
11 22 NN A 지역 영상용
UAV 1
For Region A video
UAV 1
4720~48204720~4820 37.8
127.5
37.8
127.5
37.9
127.7
37.9
127.7
37.6
127.5
37.6
127.5

표 8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지점에 대한 설정 파라메터들은 보호영역명, 보호주파수 범위, 보호영역 지점의 위치(위도, 경도)를 포함한다.기존 무선국의 송신 파라메터들(위치, 최대 출력, 주파수, 대역폭 등)은 무선국 신청 시 결정될 수 있고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반면, 5G 특화망의 정보는 변경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보호영역 산출에서 5G 특화망의 수신 파라메터들은 대표 값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점을 고려하여, 1MHz의 단위 대역폭을 이용한 보호영역의 산출방법은 가장 보수적인 방법으로 적절할 수 있다. 기존 무선국의 간섭으로부터 5G 특화망의 보호영역은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8, the configuration parameters for one or more points include the protection area name, the protection frequency range, and the location (latitude, longitude) of the protection area point. The transmission parameters (location, maximum power, frequency, bandwidth, etc.) of the existing radio station can be determined at the time of application for the radio station and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can be frequently changed. Considering that the reception parameters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often use representative values in calculating the protection area,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protection area using a unit bandwidth of 1 MHz may be appropriate as the most conservative method. The protection area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from interference of the existing radio station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도 6은 기존 무선국의 간섭으로부터 5G 특화망 보호영역의 산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alculation of a 5G specialized network protection area from interference from existing wireless stations.

도 6을 참조하면, 보호영역(610)에 위치한 제1 기존 무선국(620)은 제2 기존 무선국(63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존 무선국(630)은 보호영역(610) 밖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기존 무선국(620)의 송신신호는 이웃한 제 1 5G 특화망(640)과 제2 5G 특화망(650)에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1 기존 무선국(620)의 보호영역(610) 밖에 위치한 제1 5G 특화망(640)은 제1 기존 무선국(620)의 송신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5G 특화망(640)의 보호영역은 제1 5G 특화망(640)의 커버리지(coverage)로 산출할 수 있다. 반면, 제2 5G 특화망(650)은 제1 기존 무선국(620)의 보호영역(610)과 제2 5G 특화망(650)의 커버리지가 겹칠 수 있다. 제2 5G 특화망의 기지국(651)은 제1 기존 무선국(620)의 송신신호의 간섭으로 인해 제2 5G 특화망(650)에 연결된 단말(652)의 송신신호를 복호(decoding)하지 못할 수 있다. 보호영역은 다음과 같은 분석과정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first existing wireless station (620) located in a protection area (610) can transmit to a second existing wireless station (630). Here, the second existing wireless station (630) can be located outside the protection area (610).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first existing wireless station (620) can cause interference to the neighboring first 5G specialized network (640) and the second 5G specialized network (650). The first 5G specialized network (640) located outside the protection area (610) of the first existing wireless station (620) may not be affected by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first existing wireless station (620). Therefore, the protection area of the first 5G specialized network (640) can be calculated as the coverage of the first 5G specialized network (640). On the other hand, the coverage of the second 5G specialized network (650) may overlap the protection area (610) of the first existing wireless station (620) and the coverage of the second 5G specialized network (650). The base station (651) of the second 5G specialized network may not be able to decode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terminal (652) connected to the second 5G specialized network (650) due to interference of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first existing wireless station (620). The protection area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analysis process.

도 7은 보호영역의 산출을 위한 분석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analysis process for calculating a protection area.

도 7을 참조하면, 다수의 분석영역은 분석범위(710)와 최대 해상도(720)를 기반으로 2차원 배열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분석영역의 시작점(730)과 분석영역의 종료점(740)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범위(710)는 기존 무선국(750)을 중심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호영역을 산출하기 위한 분석과정은 2차원 배열 형태로 표시된 분석영역에 대해서 행 우선 순서(row major order)로 분석영역의 시작점(730)에서 분석영역의 종료점(740)까지 분석의 진행방향(740)으로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plurality of analysis areas can be displayed in a two-dimensional array form based on an analysis range (710) and a maximum resolution (720), and a start point (730) and an end point (740) of the analysis area can be defined. Here, the analysis range (710) can be set centered on an existing wireless station (750). The analysis process for calculating a protection area can be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analysis progress (740) from the start point (730) of the analysis area to the end point (740) of the analysis area in row major order for the analysis area displayed in a two-dimensional array form.

보호영역의 산출을 위한 분석범위는 기존 무선국을 중심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보호영역의 산출에 있어서, 초기의 분석범위는 넓을수록 좋을 수 있다. 그러나, 분석에 걸리는 시간과 분석결과의 저장용량은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범위는 기존 무선국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10km, 아래쪽으로 10km, 왼쪽으로 10km, 오른쪽으로 40km로 설정하고 분석 픽셀의 최대 해상도는 100m로 설정되었다면 전체 분석영역(또는 분석지점)은 (100 + 100) ⅹ (100 + 400) = 100,000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분석범위는 미리 해상도를 낮춘 상태에서 전체 보호영역을 예상하고 설정할 수 있다. 분석결과는 텍스트 파일 또는 엑셀 파일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엑셀 파일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The analysis range for calculating the protection area can be set based on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In calculating the protection area through simulation, the wider the initial analysis range, the better. However, problems may arise where the time required for analysis and the storage capacity of the analysis results increase rapidly. For example, if the analysis range is set to 10 km upward, 10 km downward, 10 km to the left, and 40 km to the right based on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and the maximum resolution of the analysis pixel is set to 100 m, the entire analysis area (or analysis point) can include (100 + 100) × (100 + 400) = 100,000 points.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analysis range can be set by predicting the entire protection area in advance with the resolution lowered.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aved in the form of a text file or an Excel file. The Excel file can be structured as follows.

도 8은 분석결과의 엑셀 CSV 파일 포맷의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Excel CSV file format of the analysis results.

도 8을 참조하면, 분석결과는 분석영역의 시작점 좌표(810), 분석영역의 종료점 위도 좌표(820), 분석영역의 종료점 경도 좌표(830), 다수의 분석결과 값(8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결과의 첫번째 가로열은 분석영역의 시작점 좌표(810)의 경도를 기준으로 최대 해상도 간격에 따른 경도 좌표, 분석결과의 첫번째 세로열은 분석영역의 시작점 좌표(810)의 위도를 기준으로 최대 해상도 간격에 따른 위도 좌표가 분석영역 분석 종료점까지 나열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분석결과의 값은 간섭량(I)만을 나타낼 수도 있고 잡음을 고려하여 간섭 대 잡음비(interference-to-noise ratio; I/N)를 나타낼 수도 있다. 보호기준은 간섭 대 잡음비(I/N) 값으로 활용하므로 간섭량(I)로 계산된 값은 최대 허용 간섭량이 얼마인지를 미리 계산해야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analysis result may include a starting point coordinate (810) of the analysis area, a latitude coordinate (820) of the ending point of the analysis area, a longitude coordinate (830) of the ending point of the analysis area, a plurality of analysis result values (840), etc. The first horizontal row of the analysis result may be a longitude coordinate according to the maximum resolution interval based on the longitude of the starting point coordinate (810) of the analysis area, and the first vertical row of the analysis result may be a latitude coordinate according to the maximum resolution interval based on the latitude of the starting point coordinate (810) of the analysis area, listed up to the analysis end point of the analysis area. The value of the analysis result may represent only the interference amount (I) or may represent the interference-to-noise ratio (I/N) considering noise. Since the protection criterion is utilized as the interference-to-noise ratio (I/N) value, the value calculated as the interference amount (I) may need to be calculated in advance to determine the maximum allowable interference amount.

상기 보호영역 산출에 적용된 다양한 파라메터들은 향후 보호영역의 분석과정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또는 기술기준의 변경 및 검토 단계에서 원하는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라메터들은 dB 스케일에서 선형적 계산식을 이용해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값들로 최초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GIS 데이터를 이용해 전체 분석범위에 대해서 분석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은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분석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은 최초의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송수신 파라메터들의 변경을 반영하여 재산출하는 방법으로 단축될 수 있다. 최초의 분석결과는 단위 대역폭(1MHz)을 갖는 간섭원과 희생원이 동일한 중심 주파수에 적용된다는 가정으로 다음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The various parameters applied to the above protection area calculation can be changed to desired values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during the analysis process of the protection area in the future or at the stage of changing and reviewing the technical standards. In addition, the above parameters are values that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using a linear calculation formula on the dB scale and can be easily changed based on the initial analysis results. However, the process of deriving analysis results for the entire analysis range using GIS data can take a lot of time.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ss of deriving analysis results can be shortened by recalculating by reflecting the changes in the transmission/reception parameters based on the initial analysis results. The initial analysis results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assuming that the interference source and the victim with a unit bandwidth (1 MHz) are applied to the same center frequency.

도 9는 동일 주파수에서 단위 대역폭을 적용하는 방식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of applying unit bandwidth at the same frequency.

도 9을 참조하면, 기존 무선국(M/W 무선국)은 4GHz 중심 주파수, 40MHz 대역폭과 30dBm 출력 전력을 적용하여 송신할 수 있고, 5G 특화망은 4GHz 중심 주파수로부터 40MHz 대역폭으로 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5G 특화망은 I = 30dBm - A(dB,나머지 성분), N = -174dBm + 10log(40MHz)(dB) + B(dB, 나머지 성분), I/N = 30 - A + 174 - 73 - 10log(MHz) - B 인 간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위 대역폭 방식은 5G 특화망의 간섭 신호(I = 30dBm - 10log(40) - A, N = -174dBm + 10log(1MHz) + B, I/N = 30 - 13 - A + 174 - 60 - B)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 주파수에서 단위 대역폭 방식은 5G 특화망의 간섭량을 보상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M/W wireless station) can transmit by applying 4 GHz center frequency, 40 MHz bandwidth, and 30 dBm output power, and the 5G specialized network can receive with 40 MHz bandwidth from 4 GHz center frequency. Therefore, the 5G specialized network can receive an interference signal with I = 30 dBm - A (dB, remaining component), N = -174 dBm + 10 log (40 MHz) (dB) + B (dB, remaining component), I/N = 30 - A + 174 - 73 - 10 log (MHz) - B. The unit bandwidth method can produce the interference signal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I = 30dBm - 10log(40) - A, N = -174dBm + 10log(1MHz) + B, I/N = 30 - 13 - A + 174 - 60 - B). Therefore, the unit bandwidth method at the same frequency can compensate for the interference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간섭원보다 희생원의 대역폭이 큰 경우, 단위 대역폭 방식은 입력되는 I 값은 일정하고 N 값이 증가하는 영향으로 I/N 값은 감소할 수 있다. 반대로 간섭원이 희생원보다 대역폭이 크면 단위 대역폭 방식은 희생원으로 입력되는 I 값이 줄고 동일한 수준으로 N값이 줄어들어 동일한 I/N 값이 될 수 있다.When the bandwidth of the victim is larger than that of the interferer, the unit bandwidth method can decrease the I/N value due to the effect of the constant input I value and the increase in the N value. On the other hand, when the bandwidth of the interferer is larger than that of the victim, the unit bandwidth method can decrease the I value input to the victim and decrease the N value to the same level, resulting in the same I/N value.

동일 주파수와 1MHz 단위 대역폭 방식으로 도출된 5G 특화망의 I/N는 가장 보수적인 값으로 가장 높은 값일 수 있다. The I/N of the 5G-specific network derived with the same frequency and 1MHz bandwidth may be the highest value due to its most conservative value.

5G 특화망의 수신기와 기존 무선국의 송신기 간의 상이한 중심 주파수와 대역폭으로 인해 5G 특화망의 수신 대역폭과 기존 무선국의 송신 대역폭은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5G 특화망의 간섭량은 동일 주파수와 1MHz 단위 대역폭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Due to the different center frequencies and bandwidths between the receiver of the 5G-specific network and the transmitter of the existing radio station, the reception bandwidth of the 5G-specific network and the transmission bandwidth of the existing radio station may overlap. Therefore, the interference of the 5G-specific network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in a different way from the same frequency and 1MHz unit bandwidth method.

도 10은 간섭량 계산에서 중첩된 대역의 범위만을 고려하는 co-frequency overlap 방식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frequency overlap method that considers only the range of overlapping bands in interference calculation.

도 10을 참조하면, 간섭원의 출력전력은 일부만이 희생원에서 수신되므로 중첩된 부분을 뺀 간섭량 Bandwidth Adjustment Factor(ABW)는 아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0, since only a portion of the output power of the interference source is received by the victim source, the interference amount Bandwidth Adjustment Factor (A BW ) excluding the overlapping portion can be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mathematical expression 1.

여기서, Bv는 희생원의 대역폭이고, Bi는 간섭원의 대역폭이고, fv는 희생원의 중심 주파수이고, fi는 간섭원의 중심 주파수이다.Here, B v is the bandwidth of the victim, B i is the bandwidth of the interferer, f v is the center frequency of the victim, and f i is the center frequency of the interferer.

주파수에 따른 감쇄(Frequency Dependent Rejection; FDR)방식은 송신마스크와 수신마스크를 바탕으로 가장 정확한 주파수 중첩량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ITU-R SM.337에 정의되어 있으며 OTR(on-tune rejection)과 OFR(off-frequency rejection)으로부터 FDR는 아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The Frequency Dependent Rejection (FDR) method is defined in ITU-R SM.337 as a method of calculating the most accurate frequency overlap amount based on the transmit mask and receive mask. FDR can be calculated from the on-tune rejection (OTR) and off-frequency rejection (OFR) using the following mathematical expression 2.

여기서, mtx(f)는 신 최대 전력밀도 대비 주파수 f에서 상대 전력밀도 마스크, mrx(f)는 수신 최대 전력밀도 대비 주파수 f에서 상대 전력밀도 마스크, Df 는 송신기와 수신기의 주파수 차이이다.Here, m tx (f) is the relative power density mask at frequency f relative to the maximum power density of the transmitter, m rx (f) is the relative power density mask at frequency f relative to the maximum power density of the receiver, and Df is the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5G 특화망의 보호영역 산출을 위한 IFWS_agg/N5G 계산식은 수학식 3과 수학식 4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단, 보호영역은 single entry interference를 기준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aggregation interference가 아닌 단일 기존 무선국에 대해 각각 독립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The I FWS_agg /N 5G calculation formula for calculating the protection area of a 5G specialized network can be expressed using mathematical expressions 3 and 4. However, since the protection area is calculated based on single entry interference, it can be calculated independently for each single existing radio station, not for aggregation interference.

기존 무선국에 의한 간셉레벨(IFWS_agg)은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The intercept level (I FWS_agg ) by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can be calculated using mathematical expression 3.

여기서, PFWS(i)은 i번째 기존 무선국의 송신 전력, 은 i번째 기존 고정 무선국 송신기 안테나 이득, G5G는 5G 특화망 수신안테나 이득, Lpath(i)는 i번째 기존 무선국과 5G 특화망의 경로 손실, Lfeeder는 5G 특화망 수신기의 피더손실, Loverlap(i)는 5G 특화망 송신신호와 i번째 기존 무선국의 수신신호 사이의 FDR 계산값, Lindoor 는 실내 투과 손실이다.Here, P FWS (i) i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i-th existing radio station, is the transmitter antenna gain of the ith existing fixed wireless station, G 5G is the 5G specialized network receiving antenna gain, L path (i) is the path loss between the ith existing wireless station and the 5G specialized network, L feeder is the feeder loss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receiver, L overlap (i) is the FDR calculated between the 5G specialized network transmitting signal and the ith existing wireless station receiving signal, and L indoor is the indoor transmission loss.

5G 특화망의 수신잡음레벨(N5G는)은 수학식 4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The reception noise level (N 5G )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can be calculated using mathematical expression 4.

여기서, BW5G는 5G 특화망 점유대역폭, NF5G는 5G 특화망 무선국 수신기 잡음지수이다.Here, BW 5G is the occupied bandwidth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and NF 5G is the noise figure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radio station receiver.

간섭원인 기존 무선국의 안테나는 실제 안테나 패턴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안테나 패턴이 주어지지 않는 경우는 ITU-R F.669에 최대 이득과 빔폭을 적용할 수 있다. 기존 무선국의 안테나 방향은 링크 정보를 바탕으로 안테나의 위치 및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송신과 수신 안테나를 지향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희생원인 5G 특화망은 미리 설정된 분석 범위내에서 픽셀 단위로 이동하기 때문에 특정 방향으로 안테나를 지향할 경우에 간섭이 가능한 경우에도 안테나 이득이 낮게 되어 간섭 영향을 잘못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안테나 패턴을 고려할 있다.The antenna of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which is the interference source,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using the actual antenna pattern. If the antenna pattern is not given, the maximum gain and beam width can be applied to ITU-R F.669. The antenna direction of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can automatically direc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s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antenna based on the link information. Based on this, the 5G specialized network, which is the victim, moves in pixel units within the preset analysis range. Therefore, if the antenna is direct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antenna gain may be low even if interference is possible, and the interference impact may be incorrectly judged. To solve this problem, the following antenna patterns can be considered.

도 11은 5G 특화망의 보호영역 산출을 위한 안테나 패턴 적용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applying antenna patterns to derive a protection area of a 5G specialized network.

도 11을 참조하면, 5G 특화망는 전 방향 안테나의 사용으로 최대 이득을 지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1, a 5G specialized network can support maximum gain by using omnidirectional antennas.

동일 주파수와 1MHz 단위 대역폭 방식, co-frequency overlap 방식과 FDR 방식을 적용하여 산출된 결과는 보호영역 밖에서 5G 특화망이 간섭의 영향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보호영역 내에서 5G 특화망의 사용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더욱 더 정밀한 분석이 요구될 수 있고, 모든 기존 무선국에 대해서 링크들의 간섭량을 판단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The results obtained by applying the same frequency and 1MHz unit bandwidth method, co-frequency overlap method, and FDR method can be used without interference by 5G-specific networks outside the protection area. However,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5G-specific networks can be used within the protection area, more precise analysis may be required, and it may be necessary to determine the amount of interference of links for all existing radio stations. The following methods can be applied.

수직적 주파수 공유분석 장치(300)에서 관리하는 모든 기존 무선국들의 파라메터들이 적용되어 모든 링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각 링크에서 사용되는 서로 다른 채널이 존재할 경우, 각 채널을 분리하여 독립적인 링크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직적 주파수 공유분석 장치(300)에서 관리하는 5G 특화망의 파라메터들이 적용되어 모든 링크가 구성될 수 있고, 5G 특화망에 포함된 다수의 기지국들로부터 최대의 수신 I/N이 계산될 수 있다. 최대 값인 기지국 수신 I/N는 5G 특화망에 대한 공유 가능성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All the parameters of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s managed by the vertical frequency sharing analysis device (300) can be applied to configure all the links. At this time, if there are different channels used in each link, each channel can be separated to form an independent link. All the links can be configured by applying the parameters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managed by the vertical frequency sharing analysis device (300), and the maximum reception I/N can be calculated from a number of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5G specialized network. The base station reception I/N, which is the maximum value,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possibility of sharing for the 5G specialized network.

도 12는 5G 특화망 보호를 위한 정밀분석 시나리오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analysis scenario for 5G specialized network protection.

도 12를 참조하면, 5G 특화망(1210)은 제1 기지국(1210-1)과 제2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송신신호(1220)는 제1 기존 무선국(1220-1)에서 제 2 무선국(1220-2)로 전송될 수 있고 제1 기지국(1210-1)의 제1 간섭 신호(1221), 제2 기지국(1210-2)의 제2 간섭 신호(1222)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제2 송신신호(1230)는 제 3 기존 무선국(1230-1)에서 제4 기존 무선국(1230-2)로 전송될 수 있고 제1 기지국(1210-1)의 제3 간섭 신호(1231), 제2 기지국(1210-2)의 제4 간섭 신호(1232)로 수신될 수 있다. 제1 간섭 신호(1221), 제2 간섭 신호(1222), 제3 간섭 신호(1231), 제3 간섭신호(1232)로부터 계산된 I/N에서 최대 I/N을 결정할 수 있다. 5G 특화망(1210)의 공유 가능성은 상기 최대 I/N를 적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5G specialized network (1210) may include a first base station (1210-1) and a second base station. A first transmission signal (1220) may be transmitted from a first existing wireless station (1220-1) to a second wireless station (1220-2) and may be received as a first interference signal (1221) of the first base station (1210-1) and a second interference signal (1222) of the second base station (1210-2). In addition, a second transmission signal (1230) may be transmitted from a third existing wireless station (1230-1) to a fourth existing wireless station (1230-2) and may be received as a third interference signal (1231) of the first base station (1210-1) and a fourth interference signal (1232) of the second base station (1210-2). The maximum I/N can be determined from the I/N calculated from the first interference signal (1221), the second interference signal (1222), the third interference signal (1231), and the third interference signal (1232). The sharing possibility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1210) can be determined by applying the maximum I/N.

기존 무선국의 수신 파라메터들은 무선국 신청 시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반면, 5G 특화망의 송신 정보(위치, 출력전력, 중심주파수, 대역폭 등)는 무선국 신청 시, 신청인이 결정하는 정보일 수 있다. 5G 특화망의 송신 정보(위치, 출력전력, 중심주파수, 대역폭 등)를 미리 예측하고 보호영역을 산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일 수 있다. 5G 특화망 신청시에 입력되는 송신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고정점에 대해 기존 무선국의 수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The reception parameters of existing wireless stations are determined at the time of application for the wireless station and can generally be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location, output power, center frequency, bandwidth, etc.)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may b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applicant at the time of application for the wireless station. It may be a very difficult task to predict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location, output power, center frequency, bandwidth, etc.)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in advance and to distribute the protection area. It may be necessary to analyze the impact on the reception of existing wireless stations for specific fixed points based on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input at the time of application for the 5G specialized network.

미리 구축되어 있는 다수의 기존 무선국의 수신기는 간섭원을 설정할 수 있고, 향후 5G 특화망 신청 시 제공되는 위치와 출력전력, 주파수, 대역폭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전국의 모든 기존 무선국 희생원으로의 간섭량은 계산될 수 있다. 기존 무선국의 수신기를 보호하기 위한 정밀 분석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The receivers of many existing wireless stations that have been built in advance can set up interference sources, and the interference amount to all existing wireless station victims nationwid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output power, frequency, and bandwidth provided when applying for a 5G specialized network in the future. Precise analysis to protect the receivers of existing wireless stations can be performed as follows.

도 13은 5G 특화망으로부터 기존 무선국의 수신기 보호를 위한 정밀분석을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1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analysis for protecting the receiver of an existing wireless station from a 5G specialized network.

도 13을 참조하면, 5G 특화망(1310)은 사전에 구축된 다수의 기존 무선국(1320, 1330, 1340, 1350)의 간섭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전에 구축된 다수의 기존 무선국(1320, 1330, 1340, 1350)은 희생원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a 5G specialized network (1310) may become a source of interference for a number of existing pre-built wireless stations (1320, 1330, 1340, 1350). In addition, a number of existing pre-built wireless stations (1320, 1330, 1340, 1350) may become victims.

사전에 구축된 다수의 기존 무선국 (1120, 1130, 1140, 1150)은 5G 특화망(1110)의 사전 정보(위치와 출력전력, 주파수, 대역폭 등)를 기반으로 간섭량을 계산할 수 있다.A number of existing pre-built radio stations (1120, 1130, 1140, 1150) can calculate interference based on prior information (location, output power, frequency, bandwidth, etc.)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1110).

반면, 5G 특화망의 송신 정보(위치, 출력전력, 중심주파수, 대역폭 등)는 무선국 신청 시 신청인이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5G 특화망의 송신 정보를 미리 예측하여 보호영역을 산출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5G 특화망 신청 시, 제공되는 송신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고정점에 대해 기존 무선국의 수신 영향 전체를 분석할 수 있다. 즉, 미리 구축되어 있는 다수의 기존 무선국의 수신기들에 대한 간섭원을 설정하고 향후 5G 특화망 신청 시 제공되는 위치와 출력전력, 주파수, 대역폭 등의 정보를 적용하면 전국의 모든 기존 무선국의 희생원으로의 간섭량이 계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location, output power, center frequency, bandwidth, etc.)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can be determined by the applicant when applying for a radio station. Therefore, it may be difficult to predict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in advance and calculate the protection area. To solve this, when applying for a 5G specialized network, the entire reception influence of existing radio stations can be analyzed for a specific fixed point based on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provided. In other words, by setting interference sources for the receivers of a large number of existing radio stations that have been built in advance and applying the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output power, frequency, and bandwidth that are provided when applying for a 5G specialized network in the future, the amount of interference as a victim of all existing radio stations nationwide can be calculated.

도 14는 간섭량 총합에 따른 영향 분석을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1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impact analysis according to the total amount of interference.

도 14를 참조하면, 5G 특화망(1410)은 제1 기지국(1411)과 제2 기지국(14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기존 무선국(1420)과 제2 기존 무선국(1430)의 간섭원이 될 수 있다. 제1 기존 무선국(1420)은 5G 특화망의 제1 기지국(1411)의 송신신호(1441)와 5G 특화망의 제2 기지국(1412)의 송신신호(1442)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존 무선국(1420)의 간섭량 총합은 5G 특화망의 제1 기지국(1411)의 송신신호(1441)와 5G 특화망의 제2 기지국(1412)의 송신신호(14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존 무선국(1430)은 5G 특화망의 제1 기지국(1411)의 송신신호(1451)와 5G 특화망의 제2 기지국(1412)의 송신신호(1452)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기존 무선국(1430)의 간섭량 총합은 5G 특화망의 제1 기지국(1411)의 송신신호(1451)와 5G 특화망의 제2 기지국(1412)의 송신신호(145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a 5G specialized network (1410) may include a first base station (1411) and a second base station (1412), and may be an interference source for a first existing wireless station (1420) and a second existing wireless station (1430). The first existing wireless station (1420) may receive a transmission signal (1441) of the first base station (1411)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and a transmission signal (1442) of the second base station (1412)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The total interference amount of the first existing wireless station (1420) may include a transmission signal (1441) of the first base station (1411)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and a transmission signal (1442) of the second base station (1412)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The second existing wireless station (1430) can receive the transmission signal (1451) of the first base station (1411)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and the transmission signal (1452) of the second base station (1412)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The total interference amount of the second existing wireless station (1430) can include the transmission signal (1451) of the first base station (1411)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and the transmission signal (1452) of the second base station (1412)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주파수 사용을 신청한 5G 특화망은 모든 기존 무선국에 대해 주파수 사용을 신청한 5G 특화망의 수신 영향을 계산한 결과 I/N 값이 -10dB를 넘는 기존 무선국이 하나라도 있다면 5G 특화망의 승인은 거절될 수 있다. 5G 특화망의 출력전력을 하향 조정하여 주파수 사용을 신청한 경우, 주파수 사용을 신청한 5G 특화망은 간섭 기준에 따라 승인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사용을 신청한 5G 특화망이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하면 모든 기지국을 적용한 간섭량 총합(aggregation interference)을 기준으로 한 I/N 값을 적용할 수 있다If there is even one existing radio station whose I/N value exceeds -10dB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reception impact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that has applied for frequency use, the approval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may be rejected. If the output power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is adjusted downward to apply for frequency use, the 5G specialized network that has applied for frequency use may be approved according to the interference criteria. Here, if the 5G specialized network that has applied for frequency use includes multiple base stations, the I/N value based on the aggregate interference applied to all base stations may be applied.

기존 무선국의 보호영역 산출을 위한 I5G_agg/NFWS 는 아래 수학식 5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I 5G_agg /N FWS for calculating the protection area of an existing wireless station can be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mathematical expression 5.

NFWS = -174 + 10log10(BWFWS) + NFFWS N FWS = -174 + 10log 10 (BW FWS ) + NF FWS

여기서, P5G(i)은 i번째 5G 특화망의 송신전력, G5G(i)는 i번째 5G 특화망의 송수신 안테나 이득, Lpath(i)은 Lpath(i)는 i번째 기존 무선국과 5G 특화망 사이의 경로 손실, 은 기존 고정 무선국 수신기 안테나 이득, Lfeeder는 기존 무선국 수신기 피더손실, Loverlap(i)는 i번째 5G 특화망 송신신호와 기존 무선국의 수신신호 사이의 FDR 계산값, Lindoer는 실내 투과 손실, BWFWS는 기존 무선국 점유대역폭, NFFWS는 무선국 수신기 잡음지수이다.Here, P 5G (i) i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ith 5G specialized network, G 5G (i) is the transmit/receive antenna gain of the ith 5G specialized network, L path (i) is the path loss between the ith existing radio station and the 5G specialized network, is the antenna gain of the existing fixed radio station receiver, L feeder is the feeder loss of the existing radio station receiver, L overlap (i) is the FDR calculated value between the ith 5G specialized network transmission signal and the received signal of the existing radio station, L indoer is the indoor transmission loss, BW FWS is the occupied bandwidth of the existing radio station, and NF FWS is the noise figure of the radio station receiver.

간섭원인 5G 특화망의 기지국 안테나의 경우, 빔포밍(beamforming)을 하지 않는 섹터 안테나의 경우 실제 안테나 패턴을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안테나의 빔방향을 하나로 고정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빔포밍을 할 경우 안테나의 빔은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더욱이 빔방향을 정의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기존 무선국의 정밀분석을 위해서도 5G 특화망에서 안테나의 최대이득을 가지는 전방향 안테나를 가정하여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base station antenna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which is the source of interference, it is possible to use the actual antenna pattern in the case of the sector antenna that does not perform beamforming, but it is generally difficult to fix the beam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to one. In addition, when beamforming is performed, the antenna beam moves in various directions, making it even more difficult to define the beam direction. Therefore, in order to precisely analyze the existing wireless station, a conservative approach may be necessary by assuming an omnidirectional antenna with the maximum gain of the antenna in the 5G specialized network.

수직적 주파수 공유 분석장치(300)는 기존 무선국과 5G 특화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분석영역을 관리할 수 있다.The vertical frequency sharing analysis device (300) can provide a function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existing wireless stations and 5G specialized networks. The analysis area can be managed as follows.

도 15a는 분석영역의 통합 관리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5b는 분석영역의 통합 관리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15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n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for an analysis area, and Figure 15b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for an analysis area.

도 15a를 참조하면, 다수의 분석영역(1510, 1520)은 서로 겹치지 않게 정의될 수 있다. 통합된 분석영역(1530)은 다수의 분석영역(1510, 1520)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사각형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a, multiple analysis areas (1510, 1520) may be defin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The integrated analysis area (1530) may be the smallest rectangle that includes multiple analysis areas (1510, 1520).

도 15b를 참조하면, 다수의 분석영역(1540, 1550)은 서로 겹치게 정의할 수도 있다. 통합된 분석영역(1560)은 다수의 분석영역(1540, 1550)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사각형일 수 있다. 다수의 분석영역(1540, 1550)이 중첩된(overlap) 영역(1570)은 가장 높은 I/N 값을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중첩된(overlap) 영역(1570)은 다수의 분석영역(1540, 1550)의 간섭량을 각각 합산하여 총 I/N 값을 저장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5b, multiple analysis areas (1540, 1550) may be defined to overlap each other. The integrated analysis area (1560) may be the smallest rectangle that includes multiple analysis areas (1540, 1550). The area (1570) where multiple analysis areas (1540, 1550) overlap may select and store the highest I/N value. In addition, the overlap area (1570) may store the total I/N value by adding up the interference amounts of each of the multiple analysis areas (1540, 1550).

도 15를 참조하면, 5G 특화망에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과 지역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송신과 수신의 링크쌍을 기본으로 분석이 이루어지지만 보호영역 계산 시간을 계산 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이기 위해 동일 링크에서 보호영역이 가능한 지역을 분리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분리된 분석영역은 서로 겹치지 않게 설정할 수도 있으며 서로 겹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동일 링크에 복수개의 분석영역이 존재하게 되며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보호영역으로 통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때 통합 영역은 해당 영역들을 모두 포함하는 가장 작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영역이 중복된 경우 가장 높은 I/N 값을 선택하여 저장하도록 설정한다. 추가적으로 중복된 모든 셀에서의 간섭량을 고려하는 총 I/N 값을 계산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5, in order to derive the frequency band and region available for the 5G specialized network, the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the link pair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but in order to efficiently reduce the calculation time of the protection area,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analysis result by separating the region where the protection area is possible in the same link. In addition, the separated analysis areas can be set not to overlap each other or can be set to overlap each other. In this case, multiple analysis areas exist in the same link, and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them,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hem into one protection area. At this time, the integrated area is formed as the smallest rectangle that includes all of the areas. In addition, if the areas overlap, the highest I/N value is selected and stored. Additionally,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and store the total I/N value that considers the amount of interference in all overlapping cells.

또한 통합 영역은 다수개의 링크를 묶어 하나의 영역으로 표현하는 것도 가능해야 하며 최종적으로는 전국을 하나의 영역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area should be able to express multiple links as a single area, and ultimately, it should be possible to express the entire country as a single area.

초기의 보호영역 산출 시 적용된 파라메터가 향후 변경이 발생할 경우 링크별 보호영역 산출을 다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은 기존에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선형 계산이 가능한 파라메터들에 대해서는 변경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초기 특화망의 출력전력은 33dBm으로 설정될 수 있고, 향후 기술기준의 변경 등의 사유로 45dBm으로 변경될 수 있다. 5G 특화망의 출력전력의 변경은 미리 계산된 분석영역의 계산 값에서 간섭량을 12dB 더하여 새로운 분석 값을 도출할 수 있다.If the parameters applied for calculating the initial protection area change in the futur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protection area calculation for each link must be performed again.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by changing the parameters that can be linearly calculated based on the previously analyzed results. The output power of the initial specialized network can be set to 33 dBm, and can be changed to 45 dBm in the future due to changes in technical standards, etc. The change in the output power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can be derived by adding 12 dB of interference to the calculated value of the pre-calculated analysis area to derive a new analysis value.

도 16은 파라메터 변경에 따른 분석 결과 수정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1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odifying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parameter changes.

도 16을 참조하면, 분석영역(1610)은 초기의 설정된 파라메터를 적용한 결과를 기반으로 초기의 보호영역(1620)을 산출할 수 있다. 초기의 보호영역(1620)을 산출 시 적용된 파라메터(예, 출력 전력의 변경)가 변경된 경우, 분석영역(1610)은 수정된 보호영역(16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analysis area (1610) can calculate an initial protection area (1620) based on the result of applying the initially set parameters. If the applied parameter (e.g., change in output power) when calculating the initial protection area (1620) is changed, the analysis area (1610) can include a modified protection area (1630).

5G 특화망은 사용을 위해 주파수의 사용이 승인되고 승인, 등록되면 5G승인된 특화망의 자기 토지 범위와 사용 영역을 표시하고 관리할 수 있다. 5G 특화망의 사용영역은 다음과 같이 관리할 수 있다.5G specialized networks can display and manage their own land area and usage area once the frequency use is approved, approved, and registered for use. The usage area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can be managed as follows:

도 17은 5G 특화망에서 사용영역의 관리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1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management of usage areas in a 5G specialized network.

도 17을 참조하면, 5G 특화망의 사용영역은 기지국(1710), 업무영역(1720), 자기토지영역(1730), 커러리지영역(1740), 조정대상영역(17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5G 특화망의 기지국(1710)은 자기 토지영역(1730)안에 위치할 수 있고 커버리지영역(1740)과 조정대상영역(1750)은 기지국(1710)을 중심으로 생성될 수 있다. 5G 특화망의 사용영역의 정보(예를 들어 기지국의 위치, 자기토지영역, 커버리지영역, 조정대상영역 등)는 인근 지역에서 5G 특화망의 사용을 위한 신청이 들어올 경우 조정을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usage area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may include a base station (1710), a business area (1720), a self-land area (1730), a coverage area (1740), a regulated area (1750), etc. The base station (1710)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may be located within the self-land area (1730), and the coverage area (1740) and the regulated area (1750) may be created centered around the base station (1710). Information on the usage area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e.g.,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self-land area, coverage area, regulated area, etc.) may become a criterion for adjustment when an application for use of the 5G specialized network is received from a nearby area.

국내 지형고도 데이터의 제1 실시예는 국토지리정보원의 DEM(Digital Elevation Model) 자료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제작된 국내 지형고도 데이터의 제1 실시예는 기준 타원체로 GRS80(geodetic Reference System 1980: 측지 기준계 1980), 투영법으로 TM(Transverse Meractor), 배포 포맷으로 ASCII, IMG, PDF, 해상도 - 90m (3arc) 등을 지원할 수 있고 QGIS에서 실행할 수 있다. The first example of domestic topographic elevation data can be produced using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s DEM (Digital Elevation Model) data. The first example of domestic topographic elevation data produced can support GRS80 (geodetic Reference System 1980) as a reference ellipsoid, TM (Transverse Meractor) as a projection, ASCII, IMG, PDF as a distribution format, and 90m (3arc) as a resolution, and can be run in QGIS.

상기 제작된 국내 지형고도 데이터의 제1 실시예는 위도/경도 좌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파모델에 적용하기 위한 디지털 지도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해상도가 90m 급으로 1arc와 같이 더 세밀한 분석이 필요한 곳에서는 디지털 지도를 제적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The first example of the domestic topographic elevation data produced above includes latitude/longitude coordinates, so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a digital map for application to a propagation model. However, since the resolution is 90m, it may be difficult to produce a digital map in places where more detailed analysis, such as 1arc, is required.

국내의 지형고도 데이터의 제2 실시예는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제공하는 등고선지도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연속수치지형도에 포함된 정보를 적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국내의 지형고도 데이터의 제2 실시예는 좌표체계로 신GRS80 중부를 적용할 수 있고, SHP를 확장자로 할 수 있다. 국내의 지형고도 데이터의 제2 실시예는 지형의 동일한 높이의 좌표를 선으로 연결할 수 있고, 위도/경도의 그리드 형태에 따른 고도를 재계산하는 과정이 요구될 수 있다. 국내의 지형고도 데이터의 제2 실시예는 해상도를 30m 급 이하까지 지원하는 디지털 지도를 제작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domestic topographic elevation data can be produced by applying information included in a continuous digital topographic map using a contour map provided by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rtal. The second embodiment of domestic topographic elevation data can apply the new GRS80 central part as a coordinate system and can use SHP as an extension. The second embodiment of domestic topographic elevation data can connect coordinates of the same height of the terrain with lines, and a process of recalculating the altitude according to the grid form of latitude/longitude can be required. The second embodiment of domestic topographic elevation data can produce a digital map supporting a resolution of up to 30 m.

등고선 데이터는 높이가 동일한 지점을 연결하여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전파모델을 적용하여 패스 프로파일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위도와 경도에 따른 높이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등고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형고도 데이터를 제작할 수 있다.Contour data can be expressed by connecting points with the same height. However, in order to obtain a path profile by applying a propagation model, height information according to latitude and longitude may be required. Topographic elevation data can be produced using contour data as follows.

도 18은 등고선 데이터를 이용한 지형고도 데이터의 제작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1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ducing topographic elevation data using contour line data.

도 18을 참조하면, 위도와 경도는 등고선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각에 해당하는 해상도(위도 픽셀 해상도, 경도 픽셀 해상도)를 이용해 격자를 생성하고 원하는 좌표에서의 고도 데이터를 등고선에서 가장 가까운 곳의 값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위도와 경도는 등고선들의 고도 값을 이용해 선형적인 방법 또는 보간법(interpolation)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전파모델을 적용하기 위한 패스 프로파일은 다음과 같은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8, latitude and longitude can generate grids using their respective resolutions (latitude pixel resolution, longitude pixel resolution) based on contour data, and can obtain the value closest to the contour line for altitude data at the desired coordinates. In addition, latitude and longitude can be generated using the altitude values of contour lines in a linear manner or by interpolation. The path profile for applying the propagation model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도 19는 송신국과 수신국 사이의 패스 프로파일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1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pass profile between a transmitting station and a receiving station.

도 19를 참조하면, 송신국은 좌측 끝에 위치할 수 있고 수신국은 오른쪽 끝에 위치할 수 있다. x 축은 송신국과 수신국 간의 거리를 표시할 수 있고, y 축은 송신국과 수신국의 높이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9, the transmitter may be located at the left end and the receiver may be located at the right end. The x-axis may represent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nd the y-axis may represent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국내의 클러터맵 데이터는 국토지리정원과 국가공간정보포털의 토지이용현황도(land use map), 토지피복도(land cover map), 토지특성도(land characteristics map)와 수치지형도(digital topographic map)를 활용하여 제작될 있다. 토지피복도는 인공위성이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물리적인 지표면의 상태를 보여주는 지도로 전파모델에 적용하기 위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토지이용현황도는 국토의 개발, 보존 등 인간의 경제적 활동을 중심으로 토지의 이용 상황을 나타낸 지도로 사용될 수 있다. 토지특성도는 공간을 나타내는 도형지도로서 필지(지적) 경계선을 표시하고 어떤 필지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속성정보 즉 지번, 행정구역 코드, 지목, 면적, 실제이용 상황 등을 입력하여 필지별로 토지의 이용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지도로 주소를 이용해 해당 정보를 검색하거나 표시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수치지형도는 특정 지역의 등고선, 수계(강, 호수 등), 교통망(도로, 철도 등), 시설물(주택, 건물 등), 산림, 경지(논, 밭 등), 행정구역 경계 등을 각종 축적에 따라 공간적 분포를 나타낸 지도로 고도데이터 작성 및 시설물 경계 표시에 사용될 수 있다.Domestic clutter map data can be produced using land use maps, land cover maps, land characteristics maps, and digital topographic maps from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nd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rtal. Land cover maps are maps that show the physical state of the land surface using images taken by satellites and can be used primarily for application to radio models. Land use maps can be used as maps that show land use situations centered on human economic activities such as land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Land characteristics maps are graphic maps that represent space, and they display parcel (cadastral) boundaries and input attribute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parcels, such as land numbers, administrative district codes, land classifications, areas, and actual use situations, to identify land use situations by parcel. They can be used when searching or displaying relevant information using addresses. A digital topographic map is a map that show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ntour lines, water systems (rivers, lakes, etc.), transportation networks (roads, railroads, etc.), facilities (houses, buildings, etc.), forests, farmland (rice fields, fields, etc.), and administrative district boundaries of a specific area at various scales, and can be used to create elevation data and mark facility boundaries.

클러터맵 제작에 있어서, 토지이용현황도와 토지피복도가 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토지이용현황도와 토지피복도는 다른 분류체계를 갖을 수 있다. 토지이용현황도는 주거지 및 상업지를 일반 주택지, 고층 주택지, 상업/업무지, 나대지 및 인공 녹지로 아래 표 8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In creating a clutter map, land use status map and land cover map can be mainly used. However, land use status map and land cover map can have different classification systems. Land use status map can classify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into general residential areas, high-rise residential areas, commercial/business areas, bare land, and artificial green areas as shown in Table 8 below.

대분류Major categories 중분류Medium category 소분류Subcategories 코드cord 도시 및 주거지Cities and residential areas 주거지 및 상업지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일반주택지General residential area 31103110 고층주택지High-rise residential area 31203120 상업,업무지Commercial, business area 31303130 나대지 및 인공녹지Naedaeji and artificial green space 31403140

토지피복도는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에 대해서 아래 표 10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Land cover can be classified into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as shown in Table 10 below.

대분류Major categories 분류코드Classification code 중분류Medium category 분류코드Classification code 세분류Subcategories 분류코드Classification code 시가화 건조지역City-wide dry area 100100 주거지역Residential area 110110 단독주거시설Single-family residential facility 111111 공동주거시설Shared housing facility 112112 공업지역Industrial area 120120 공업시설Industrial facilities 121121 상업지역commercial area 130130 상업*업무시설Commercial/Business Facilities 131131 혼합지역Mixed area 132132

ITU-R P.452 기반 전파모델에서 고층 도시(high rise urban)는 토지피복도를 적용해 정의하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토지이용현황도를 적용하면 고층 도시는 토지이용도의 고층 주택지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토지이용현황도와 토지피복도의 특성을 이용한 기본 정보에 수치지형도에 존재하는 건물의 높이 정보를 추가적으로 조합하여 서로 다른 클러터맵 지정할 수 있다. 토지피복도와 수치지형도의 조합을 활용한 클러터맵의 분류는 아래 표 11과 같을 수 있다.In the ITU-R P.452-based propagation model, it may not be easy to define a high rise urban by applying a land cover map. On the other hand, if a land use map is applied, a high rise urban can be set as a high-rise residential area in the land use map. In addition, by additionally combining the height information of buildings existing in the digital topographic map with the basic informat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 use map and the land cover map, different clutter maps can be designated. The classification of clutter maps utilizing the combination of the land cover map and the digital topographic map can be as shown in Table 11 below.

토지피복지도Land cover map 수치지형도Digital topographic map 클러터맵 분류Clutter map classification 주거지역Residential area 단독주거시설Single-family residential facility 높이 10m 이하Height less than 10m RuralRural 높이 10m 이상Height over 10m Sub-urbanSub-urban 공동주거시설Shared housing facility 높이 20m 이하Height less than 20m Sub-urbanSub-urban 높이 20m~40mHeight 20m~40m UrbanUrban 높이 40m 이상Height over 40m Dense-urbanDense-urban 상업지역commercial area 상업/업무시설Commercial/Business Facilities 높이 20m 이하Height less than 20m Sub-urbanSub-urban 높이 20m~40mHeight 20m~40m UrbanUrban 높이 40m 이상Height over 40m Dense-urbanDense-urban 혼합지역Mixed area -- UrbanUrban

클러스터맵은 토지이용현황도, 토지피복도, 토지특성도와 수치지형도를 조합하여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코드화될 수 있고, 채널모델과 매핑되어 클러터 계산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적 주파수 공유분석 장치(300)는 기존 무선국이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을 5G 특화망이 공유하기 위한 전국단위의 간섭량 계산 방법, 토지이용현황도, 토지피복도, 토지특성도와 수치지형도를 조합한 클러터맵의 제작 방법 그리고 산출된 보호영역의 통합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수직적 주파수 공유분석 장치는 고도 데이터가 포함된 전국 GIS를 적용하여 기존 무선국과 5G 특화망 간의 간섭량을 생성 있고, 상기 간섭량에 기초하여 주파수 공유 가능성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luster map can be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coded by combining a land use status map, a land cover map, a land characteristic map, and a digital topographic map, and can be mapped with a channel model and applied to clutter calculation. Therefore, the vertical frequency sharing analysis device (300) can provide a nationwide interference calculation method for sharing a frequency band being used by an existing wireless station with a 5G specialized network, a method for producing a clutter map combining a land use status map, a land cover map, a land characteristic map, and a digital topographic map, and a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generated protection area.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frequency sharing analysis device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n interference amount between an existing wireless station and a 5G specialized network by applying a nationwide GIS including altitude data, and deriving the possibility of frequency sharing based on the interference amount.

본 출원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mmand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either singly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and flash memory.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s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with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laims (10)

5G 특화망(5G private network)의 분석 방법에 있어서,
무선국(wireless station) 정보 관리 모듈로부터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자 하는 제1 통신 노드와 관련된 지리적 위치, 출력 전력 및 간섭 대 잡음비(interference-to-noise ratio; I/N) 기준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제2 통신 노드들 각각에 관련된 지리적 위치, 출력 전력, 및 I/N 기준값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노드와 관련된 상기 지리적 위치 및 출력 전력과 상기 제2 통신 노드들 각각과 관련된 상기 지리적 위치 및 출력 전력에 대한 정보는 상기 5G 특화망의 신청시에 결정된 정보임;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대한 지리적 보호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상기 지리적 보호영역에 대해 상기 제2 통신 노드들로부터의 제1 I/N 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노드를 각각의 지리적 보호영역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노드로부터의 제2 I/N 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노드들 각각의 지리적 보호영역은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의되고; 및
상기 제1 I/N 값과 상기 제2 I/N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노드와 상기 제2 통신 노드들 간의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공유 가능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각각의 지리적 위치는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고, 상기 지리적 위치에 기초한 전파 신호 분석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고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정보를 이용하는,
5G 특화망의 분석 방법.
In the analysis method of 5G private network,
A step of receiving first information and second information from a wireless st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wherein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a geographical location, output power, and an interference-to-noise ratio (I/N) reference value related to a first communication node that intends to use a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a geographical location, output power, and an I/N reference value related to each of second communication nodes that use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wherein information about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output power rela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and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output power related to eac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s are information determined at the time of application for the 5G specialized network;
A step of determining a geographic protection area for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based on the first information;
A step of calculating a first I/N value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s for the geographical protection area of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a step of calculating a second I/N value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for eac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s' geographical protection areas, wherein the geographical protection areas of eac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s are predefined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and
A step of determining a possibility of sharing the first frequency ban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s based on the first I/N value and the second I/N value,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each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latitude and longitude, and use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nformation including altitude data to apply a radio signal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geographical location.
Analysis method for 5G specialized network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대한 지리적 보호영역이 상기 제2 통신 노드들 각각의 지리적 보호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대한 지리적 보호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이 공유 가능하다고 결정하는,
5G 특화망의 분석 방법.
In claim 1,
If the geographical protection area for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does not overlap with the geographical protection area of eac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s,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frequency band is shareable for the geographical protection area for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Analysis method for 5G specialized network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대한 지리적 보호 영역이 상기 제2 통신 노드들 각각의 지리적 보호영역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공유 가능성을 결정시, 상기 제2 I/N 값들 중 최대값을 갖는 제2 I/N 값을 이용하는,
5G 특화망의 분석 방법.
In claim 1,
When the geographical protection area for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overlaps with the geographical protection area of eac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s, when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sharing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second I/N value having the maximum value among the second I/N values is used.
Analysis method for 5G specialized network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공유 가능성을 결정 시, 상기 제1 I/N 값이 상기 제1 정보의 I/N 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제2 I/N 값들이 모두 상기 제2 정보의 I/N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대한 지리적 보호영역에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이 공유 가능하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1 I/N 값이 상기 제1 정보의 I/N 기준값 이상 또는 상기 제2 I/N 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I/N 값이 상기 제2 정보의 I/N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대한 지리적 보호영역에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이 공유 불가능하다고 결정하는,
5G 특화망의 분석 방법.
In claim 1,
When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sharing of the first frequency band, if the first I/N value is less than the I/N reference valu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 values are all less than the I/N reference value of the second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frequency band is shareable in the geographical protection area for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If the first I/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 reference value of the first information or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 valu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 reference value of the second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frequency band is not shareable in the geographical protection area for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Analysis method for 5G specialized networks.
5G 특화망(5G private network)의 분석 장치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5G 특화망의 분석 장치가:
무선국(wireless station) 정보 관리 모듈로부터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자 하는 제1 통신 노드와 관련된 지리적 위치, 출력 전력 및 간섭 대 잡음비(interference-to-noise ratio; I/N) 기준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제2 통신 노드들 각각에 관련된 지리적 위치, 출력 전력, 및 I/N 기준값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 노드와 관련된 상기 지리적 위치 및 출력 전력과 상기 제2 통신 노드들 각각과 관련된 상기 지리적 위치 및 출력 전력에 대한 정보는 상기 5G 특화망의 신청시에 결정된 정보임;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대한 지리적 보호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상기 지리적 보호영역에 대해 상기 제2 통신 노드들로부터의 제1 I/N 값을 계산하고;
상기 제2 통신 노드들 각각의 지리적 보호영역에 대해 상기 제1 통신 노드로부터의 제2 I/N 값을 계산하고, 상기 제2 통신 노드들 각각의 지리적 보호영역은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의되고; 및
상기 제1 I/N 값과 상기 제2 I/N 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노드와 상기 제2 통신 노드들 간의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공유 가능성을 결정하도록 야기하고,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각각의 지리적 위치는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고, 상기 지리적 위치에 기초한 전파 신호 분석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고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정보를 이용하는,
5G 특화망의 분석 장치.
As an analysis device for the 5G private network,
Contains a processor,
The above processor is an analysis device for a 5G specialized network:
Receiving first information and second information from a wireless st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wherein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a geographical location, output power, and an interference-to-noise ratio (I/N) reference value related to a first communication node that intends to use a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a geographical location, output power, and an I/N reference value related to each of second communication nodes that use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wherein information about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output power rela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and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output power related to eac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s are information determined at the time of application for the 5G specialized network;
Determine a geographic protection area for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based on the first information;
Compute a first I/N value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s for the geographic protection area of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Calculating a second I/N value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for eac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s' geographical protection areas, wherein the geographical protection areas of eac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s are predefined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first I/N value and the second I/N value, cause a possibility of sharing the first frequency ban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s to be determined,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each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latitude and longitude, and use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nformation including altitude data to apply a radio signal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geographical location.
Analysis device for 5G specialized networks.
삭제delet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대한 지리적 보호영역이 상기 제2 통신 노드들 각각의 지리적 보호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대한 지리적 보호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이 공유 가능하다고 결정하는,
5G 특화망의 분석 장치.
In claim 6,
The above processor,
If the geographical protection area for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does not overlap with the geographical protection area of eac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s,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frequency band is shareable for the geographical protection area for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Analysis device for 5G specialized network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대한 지리적 보호 영역이 상기 제2 통신 노드들 각각의 지리적 보호영역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공유 가능성을 결정시, 상기 제2 I/N 값들 중 최대값을 갖는 제2 I/N 값을 이용하는,
5G 특화망의 분석 장치.
In claim 6,
The above processor,
When the geographical protection area for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overlaps with the geographical protection area of eac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odes, when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sharing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second I/N value having the maximum value among the second I/N values is used.
Analysis device for 5G specialized network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공유 가능성을 결정 시, 상기 제1 I/N 값이 상기 제1 정보의 I/N 기준값 미만이고 상기 제2 I/N 값들이 모두 상기 제2 정보의 I/N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대한 지리적 보호영역에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이 공유 가능하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1 I/N 값이 상기 제1 정보의 I/N 기준값 이상 또는 상기 제2 I/N 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I/N 값이 상기 제2 정보의 I/N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노드에 대한 지리적 보호영역에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이 공유 불가능하다고 결정하는,
5G 특화망의 분석 장치.
In claim 6,
The above processor,
When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sharing of the first frequency band, if the first I/N value is less than the I/N reference valu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 values are all less than the I/N reference value of the second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frequency band is shareable in the geographical protection area for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If the first I/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 reference value of the first information or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 valu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 reference value of the second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frequency band is not shareable in the geographical protection area for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Analysis device for 5G specialized networks.
KR1020220040312A 2022-03-31 2022-03-31 Method and apparatus for vertical frequency sharing in communication system Active KR1027331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312A KR102733134B1 (en) 2022-03-31 2022-03-31 Method and apparatus for vertical frequency sharing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312A KR102733134B1 (en) 2022-03-31 2022-03-31 Method and apparatus for vertical frequency sharing in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146A KR20230141146A (en) 2023-10-10
KR102733134B1 true KR102733134B1 (en) 2024-11-25

Family

ID=8829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312A Active KR102733134B1 (en) 2022-03-31 2022-03-31 Method and apparatus for vertical frequency sharing in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313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843B1 (en) 2008-01-09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multiple tdd system coexistence
WO2020049992A1 (en) 2018-09-05 2020-03-12 ソニー株式会社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095A (en) * 2014-02-24 2015-09-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guaranteeing available frequency and method thereof
KR102410158B1 (en) * 2017-01-26 2022-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ommunication node for scheduling and control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102458366B1 (en) * 2020-03-02 2022-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hared Information for Joint Use of Frequencies between Base St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843B1 (en) 2008-01-09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multiple tdd system coexistence
WO2020049992A1 (en) 2018-09-05 2020-03-12 ソニー株式会社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iaowen Wen et al., 'Private 5G Networks: Concepts, Architectures, and Research Landscape',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Signal Processing, DOI:10.1109/JSTSP.2021.3137669 (2021.12.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146A (en)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6044B2 (en) Radio access network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ith multiple format
US9277410B2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network activity in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US20140357281A1 (en) Method of optimizing locations of cellular base stations
JP74007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device
US11889407B2 (en) Unified coverage system
JPWO2020008800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140357283A1 (en) Method of optimizing location and frequency assignment of cellular base stations
Yin et al. On-demand UAV base station deployment for wireless service of crowded tourism areas
US78733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adio coverage planning with multiple resolution profile approach
CN113852966A (en) 3D spectrum sharing method and device for cognitive unmanned aerial vehicle network
US20140357284A1 (en) Method of optimizing location and configuration of cellular base stations
CN114125866B (en) Neighbor planning method, neighbor planning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Zhang et al. Large-scale cellular coverage simulation and analyses for follow-me UAV data relay
KR1027331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tical frequency sharing in communication system
EP1714513B1 (en) Method and system for radio coverage planning with local double grid approach
US20220022047A1 (en) Frequency spectrum management apparatus, frequency spectrum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ingh et al. An efficient algorithm for optimizing base station site selection to cover a convex square region in cell planning
CN116133037B (en) Wireless network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US12238534B2 (en) Network expansion optimization
US20140357282A1 (en) Method of optimizing location, configuration and frequency assignment of cellular base stations
Gomes et al. Optimum positioning of base station for cellular service devices using discrete knowledge model
Shen et al. A novel algorithm of UAV-mounted base station placement and frequency allocation
Can et al. Gateway Placement in LoRaWAN Enabled Sensor Networks.
Zhang et al. Time-spectrum-space three dimensions radio environment map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in TV white space
Pérez-Fontán et al. Educational cellular radio network planning software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203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