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3569B1 - Substrate for display - Google Patents

Substrate for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3569B1
KR102733569B1 KR1020190003813A KR20190003813A KR102733569B1 KR 102733569 B1 KR102733569 B1 KR 102733569B1 KR 1020190003813 A KR1020190003813 A KR 1020190003813A KR 20190003813 A KR20190003813 A KR 20190003813A KR 102733569 B1 KR102733569 B1 KR 102733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hole
holes
substrate
curv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8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7481A (en
Inventor
백지흠
장우영
박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90003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3569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00458 priority patent/WO2020145718A1/en
Priority to CN202080008082.8A priority patent/CN113272880A/en
Priority to TW109100963A priority patent/TWI869365B/en
Priority to US17/282,511 priority patent/US12011907B2/en
Priority to CN202310339479.0A priority patent/CN116312250A/en
Publication of KR20200087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481A/en
Priority to US18/657,277 priority patent/US20240293993A1/en
Priority to KR1020240165299A priority patent/KR202401688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3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356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일면이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홀은 상기 제 1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은 각각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관통홀 및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한다.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rises: a substrate includ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includ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nd a hole penetrating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wherein the first region is defined as a folding region in which the one side is folded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second region is defined as an unfolding region, and the hol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holes formed in the first region,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including a first through-hole formed in the one side and a second through-hole formed in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region includes a region in which a center-to-center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first through-hol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is different.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기판{SUBSTRATE FOR DISPLAY}SUBSTRATE FOR DISPLAY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substrate for a display.

최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시 보다 큰 화면으로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flexible display devices that are easy to carry for various applications and can display images on a larger screen when carried.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휴대나 보관시에는 접거나 일부를 벤딩한 형태로 있다가, 영상의 표시할 때는 디스플레이를 펼친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영상 표시 영역을 늘리는 동시에 사용자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se flexible displays can be folded or partially bent when carried or stored, and can be implemented in an unfolded state when displaying images. This increases the image display area while making it easier for users to carry around.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거나 구부린 후, 이를 다시 펼치는 원복 공정 등이 반복될 수 있다.These flexible display devices can be folded or bent, and then unfolded and restored, etc., repeatedly.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재는 강도 및 탄성이 요구되며, 이러한 폴딩 및 원복시 기재에 크랙 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Accordingly, the substrate of the display device is required to have strength and elasticity, and cracks or deformations should not occur in the substrate during folding and restoration.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재가 폴딩될 때, 폴딩되는 영역마다 서로 다른 곡률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폴딩되는 영역에는 각 영역마다 발생하는 서로 다른 곡률 크기에 따라 각각의 영역에서는 서로 다른 압축응력이 작용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substrate of the display device is folded, each folded area may have a different curvature size. Accordingly, each folded area is subjected to a different compressive stress according to the different curvature sizes that occur in each area.

특히, 폴딩되는 방향에 따라 폴딩 외측면은 인장 응력이 발생하여, 잔류 압축 응력과 상쇄될 수 있지만 내측면의 경우, 압축 응력이 발생하여, 잔류 압축 응력과 압축 응력이 함께 작용하여 폴딩 내측면이 압축 응력에 의해 손상되거나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In particular, depending on the folding direction, the outer side of the fold may experience tensile stress, which may be offset by the residual compressive stress, but in the case of the inner side, compressive stress may be experienced, and the residual compressive stress and the compressive stress may act together, causing the inner side of the fold to be damaged or cracked by the compressive stress.

따라서, 압축 응력이 큰 영역에서는 폴딩시 기재에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으며, 기판을 구부릴 때 곡률 크기에 제약이 발생하여, 기재의 폴딩 정도 즉, 디자인 자유도가 감소할 수 있다.Therefore, in areas where compressive stress is high, cracks may occur in the substrate during folding, and when bending the substrate, restrictions may be placed on the size of the curvature, which may reduce the degree of folding of the substrate, i.e.,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따라서,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요구된다.Therefore, a new display substrat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display substrate applied to such flexible display devices and enhance the design freedom is required.

실시예는 향상된 신뢰성 및 디자인 자유도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display substrate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nd design freedom.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일면이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홀은 상기 제 1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은 각각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관통홀 및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한다.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rises: a substrate includ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includ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nd a hole penetrating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wherein the first region is defined as a folding region in which the one side is folded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second region is defined as an unfolding region, and the hol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holes formed in the first region,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including a first through-hole formed in the one side and a second through-hole formed in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region includes a region in which a center-to-center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first through-hol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is different.

또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일면이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언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제 1 영역의 폴딩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은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관통홀 및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한다.In addition,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rises: a substrate includ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includ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nd a hole penetrating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wherein the first region includes a folding region and an unfolding region in which the one side is folded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second region includes an unfolding region, and the hol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holes formed in the folding region of the first region,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include a first through-hole formed in the one side and a second through-hole formed in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region includes a region in which a center-to-center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first through-hol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is different.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기재가 폴딩되는 영역에서 폴딩 정도 즉, 곡률의 크기에 따라,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홀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The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have a different size of the hole per unit area form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folding, i.e., the size of the curvature, in the area where the substrate is folded.

이에 따라, 폴딩 내측면에서 곡률 반경의 크기에 따라 영역별로 달라지는 압축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compressive stress, which varies from region to regio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n the inner side of the folding, can be effectively distributed.

즉, 단위 면적당 홀의 크기를 발생하는 압축 응력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함으로써, 압축 응력이 크게 작용하는 부분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폴딩시 압축 응력에 따른 기재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by varying the size of the hole per unit area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ompressive stress that occurs, the compressive stress can be effectively distributed in the area where it acts largely, thereby preventing cracks in the substrate due to the compressive stress during folding.

또한, 곡률반경의 크기에 따라 단위 면적당 홀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곡률반경의 크기에 따른 제약이 줄어들기 때문에, 구현하고자 하는 곡률반경만큼 폴딩이 가능하므로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hole per unit area is mad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adius of curvature, the constraints on the size of the radius of curvature are reduced, so folding is possible as much as the desired radius of curvature, thereby improving the design freedom of the display substrate.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타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의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타면의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B-B' 영역을 절단한 다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및 타면의 또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타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C-C'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의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타면의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의 D-D' 영역을 절단한 다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및 타면의 또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4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ide view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 drawing showing a top view of one side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 drawing showing a top view of the other side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 drawing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rea AA' of Figure 3.
FIG. 6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top view of one side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7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top view of the other surface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BB' area of Figure 6.
FIGS. 9 to 12 are drawings illustrating further top view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3 is a side view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4 is a drawing showing a top view of one side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5 is a drawing showing a top view of the other side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6 is a drawing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C' region of Figure 14.
FIG. 17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top view of one side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8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top view of the other surface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9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DD' area of Figure 17.
FIGS. 20 to 23 are drawings illustrating further top view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among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or substituted for u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that can b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explicitly and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and terms that are common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evant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개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may also include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when it is described as “A and (or) at least one (or more) of B, C,”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combinations that can be combined with A, B, C.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not only cases where the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cases where the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y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Additionally,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arranged "above or below" each component, above or below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th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cases wher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arrang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Also, when expressed as “upper or lower,” it can include the meaning of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기재(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8,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100).

상기 기재(100)는 길이 방향으로 장방향을 가지고, 폭 방향으로 단방향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기재(100)는 길이 방향이 폭 방향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substrate (100) may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unidirectional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the above-mentioned substrate (100) may be formed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width direction.

상기 기재(100)는 금속, 금속 합금, 플라스틱, 복합 재료(예컨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자성 또는 전도성 재료, 유리 섬유 강화 재료 등), 세라믹, 사파이어,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aterial (100) may include metal, metal alloy, plastic, composite material (e.g.,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magnetic or conductive material, glass fiber reinforced material, etc.), ceramic, sapphire, glass, etc.

이러한, 강성을 가지는 상기 기재(100)의 경우, 일 방향으로 구부릴 때, 구부림에 따라 발생하는 인장 응력 또는 압축 응력에 의해 기재가 폴딩 또는 벤딩되면서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having such rigidity, when bent in one direction,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substrate is damaged while folding or bending due to tensile stress or compressive stress generated by the bending.

또한, 상기 기재(100)를 일 방향으로 구부릴 때 발생하는 인장 응력 또는 압축 응력에 의해 폴딩 영역의 곡률반경에 제한이 있어 상기 기재의 디자인 자유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bove-mentioned substrate (100) is bent in one directio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olding area is limited due to tensile stress or compressive stress, which may cause a problem in that the design freedom of the above-mentioned substrate is reduced.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이러한 폴딩 또는 벤딩 등에 의해 기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곡률에 따른 제한을 완화하여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prevent damage to the substrate due to folding or bending, etc., and can improve design freedom by alleviating restrictions according to curvatur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5, the substrate (100) can be bent in one direction.

자세하게, 상기 기재(100)는 일면(1S) 및 상기 일면(1S)과 반대되는 타면(2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100)는 상기 일면(1S) 또는 타면(2S)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In detail, the substrate (100) may include one side (1S) and a second side (2S) opposite to the first side (1S). The substrate (100) may be bent so that the first side (1S) or the second side (2S) face each other.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과 같이 상기 기재(100)가 상기 일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fact that the substrate (100) is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ne side (1S) faces each other, as shown in Fig. 1.

상기 기재(1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기재(100)를 상기 일면(1S)들이 폴딩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때 정의되는 영역일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may be defined as a first region (1A) and a second region (2A). The first region (1A) and the second region (2A) may be regions defined when the substrate (100) is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ne side (1S) faces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olding axis.

상기 폴딩축은 상기 기재(100)가 폴딩이 되는 기준이 되는 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딩축은 상기 단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장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The above folding axis may be defined as an axis that serves as a reference for folding the above-described material (100). For example, the folding axis may be parallel to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자세하게,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기재(100)는 폴딩이 되는 영역(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과 폴딩되지 않는 영역(언폴딩 영역)인 제 2 영역(2A)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 2, the substrate (100) is bent in one direction, and the substrate (100) can be divided into a first region (1A), which is a region that is folded (folding region), and a second region (2A), which is a region that is not folded (unfolding region).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제 1 영역(1A)에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기재(100)의 장방향의 길이 기준으로 상기 기재(100)의 최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region (2A) may extend from the first region (1A), and the second region (2A) may be located at the outermost edge of the substrate (100) based o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substrate (100).

자세하게,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는 상기 기재(100)가 구부러지는 영역인 제 1 영역(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100)는 구부러지지 않고, 상기 제 1 영역(1A)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referring to FIGS. 3 to 5, the substrate (100) may include a first region (1A) in which the substrate (100) is bent. In addition, the substrate (100) may include a second region (2A) that is not bent and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1A).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기재(100)가 구부러지는 방향 즉, 폴딩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역(1A)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region (2A)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region (1A),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strate (100) is bent, that is, the folding axis.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기재(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하나의 기재(100) 상에서 분리되지 않고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egion (1A) and the second region (2A) can be formed on the same substrate (100). That is, the first region (1A) and the second region (2A)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without being separated on the same substrate (100).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상기 제 1 영역(1A)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The sizes of the first region (1A) and the second region (2A)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detail, the size of the second region (2A)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region (1A).

도면에서는 상기 제 1 영역(1A)이 기재(1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기재(100)의 일단 및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가 비대칭이 되도록 상기 기재(100)의 일단 및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영역(1A)의 좌측에 있는 제 2 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 1 영역(1A)의 우측에 있는 제 2 영역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In the drawing, the first region (1A) is illustrated as being locat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ubstrate (100),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first region (1A) may be located at one end and one end region of the substrate (100). That is, the first region (1A) may be located at one end and one end region of the substrate (100) so that the size of the second region (2A) is asymmetrical. That is, the size of the second region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region (1A)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region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region (1A).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힌지부의 형성 유무로 구분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에는 복수의 힌지부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2A)에는 힌지부들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잇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3 to 5, the first region (1A) and the second region (2A) can be distinguish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inge portion. In detail, a plurality of hinge portions can be formed in the first region (1A), and no hinge portions can be formed in the second region (2A).

상기 제 1 영역(1A)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에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홀(H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기재(1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기재(100)의 일면(1S) 및 타면(2S)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A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region (1A). In detail, a plurality of first holes (H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formed in the first region (1A). The first hole (H1)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substrate (100). In detail, the first hole (H1)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one side (1S) and the other side (2S) of the substrate (100).

즉, 상기 제 1 홀(H1)은 폴딩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일면(1S)과 폴딩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타면(2S)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hole (H1) can be formed by penetrating one surface (1S) located on the inner side in the folding direction and the other surface (2S)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folding direction.

상기 제 1 홀(H1)들은 상기 제 1 영역(1A)에서 규칙적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홀(H1)들은 상기 제 1 영역(1A)에서 불규칙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les (H1) may be formed in a regular pattern in the first region (1A), or the first holes (H1) may be formed in an irregular pattern in the first region (1A).

상기 제 1 홀(H1)은 곡면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홀(H1)은 타원 형상, 반구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의 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hole (H1) can be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In detail, the first hole (H1) can be formed with a curved shape such as an elliptical shape, a hemispherical shape, or a circular shape.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1 홀(H1)은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및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hole (H1) can of course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or a square, or an oval shape.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side view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는 일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자세하게, 폴딩축을 따라 상기 일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can be folded in one direction. In detail, the one side (1S) can be fold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long the folding axis.

상기 기재(1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상기 기재(100)에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100)에는 상기 기재(1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언폴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As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is folded in one direction, a first region (1A) and a second region (2A) can be formed in the substrate (100). That is, as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is folded in one direction, a folding region formed and an unfolding region located at both ends of the folding region can be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상기 폴딩 영역은 기재가 휘어짐에 따라 발생되는 곡률(R)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지 않거나 곡률이 0에 가까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above folding region can be defined as a region where a curvature (R) is formed as the substrate is bent, and the above unfolding region can be defined as a region where no curvature (R) is formed or where the curvature is close to 0.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는 일방향으로 폴딩되어, 언폴딩 영역, 폴딩 영역, 언폴딩 영역의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can be folded in one direction to form an unfolding region, a folding region, and an unfolding region in that order.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에 형성되는 홀의 분율 즉, 단위면적당 홀의 크기를 가변화하여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신뢰성 및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and design freedom of the display substrate by varying the fraction of holes formed in the folding area, that is, the size of holes per unit area.

도 3 및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및 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3은 상기 기재(100)가 폴딩될 때, 폴딩 내측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기재(100)가 폴딩될 때, 폴딩 외측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and FIG. 4 are drawings show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at is, FIG. 3 is a drawing showing a top view of an inner side of a folding substrate when the substrate (100) is folded, and FIG. 4 is a drawing showing a top view of an outer side of a folding substrate when the substrate (100) is fold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에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100)에는 상기 기재(1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언폴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폴딩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2A)은 언폴딩 영역이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first region (1A) and a second region (2A) may be formed in the substrate (100). That is, a folding region formed as the substrate (100) is folded in one direction and an unfolding region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folding region may be formed in the substrate (100). That is, the first region (1A) may be a folding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2A) may be an unfolding region.

상기 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곡률이 형성되지 않거나 곡률이 0에 가까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above folding region can be defined as a region where curvature (R) is formed, and the above unfolding region can be defined as a region where no curvature is formed or where the curvature is close to 0.

또한,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힌지부의 형성 유무로 구분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에는 복수의 힌지부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2A)에는 힌지부들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잇다.In addition, the first region (1A) and the second region (2A) can be distinguish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inge portion. In detail, a plurality of hinge portions can be formed in the first region (1A), and no hinge portions can be formed in the second region (2A).

즉, 상기 폴딩 영역은 제 1 힌지부(HN1) 및 제 2 힌지부(HN2)가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at is, the folding region can be defined as a region where the first hinge portion (HN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HN2) are formed.

자세하게, 상기 힌지부들은 상기 기재(100)에서 폴딩이 시작되는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100)는 상기 제 1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힌지부(HN2)에서 폴딩이 시작되어, 상기 기재(100)의 일면(1S)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In detail, the hinge portions can be defined as points where folding begins in the substrate (100). That is, the substrate (100) can be folded in a direction where one side (1S) of the substrate (100) faces each other by starting folding at the first hinge portion (HN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HN2).

이러한 힌지부는 상기 기재(100)의 폴딩 형상에 따라 복수의 힌지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들은 상기 기재(100)의 폭 방향의 단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홀(H1)이 형성되는 열 방향과 중첩되는 기재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se hinge parts may include a plurality of hinge parts according to the folding shape of the substrate (100). These hinge parts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substrate that overlaps with the thermal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hole (H1) is formed based on the unidirectional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0).

자세하게, 상기 제 1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힌지부(HN2)는 상기 기재(100)의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힌지부(HN2)는 상기 기재(100)의 끝단 영역 중 단방향 영역의 양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hinge portion (HN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HN2) may be located at the end region of the substrate (100). In detail, the first hinge portion (HN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HN2) may be located at both ends of a unidirectional region among the end regions of the substrate (100).

또한, 상기 제 1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힌지부(HN2)는 상기 기재(100)의 끝단 영역 중 단방향 영역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힌지부(HN2)는 상기 기재(100)의 끝단 영역 중 상기 단방향의 양 끝단 영역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홀로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inge portion (HN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HN2)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a unidirectional region among the end regions of the substrate (100). That is, the first hinge portion (HN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HN2) may be defined as holes formed by penetrating both unidirectional end regions among the end regions of the substrate (100).

상기 힌지부의 홀의 형상은 상기 제 1 홀(H1)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은 곡면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홀은 타원 형상, 반구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의 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hole of the above hinge portion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first hole (H1). For example, the hole may be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In detail, the hole may be formed with a curved shape such as an oval shape, a hemispherical shape, or a circular shape.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홀은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hole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or a square, or in an oval shap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제 1 힌지부(H1) 및 상기 제 2 힌지부(H2)가 형성되는 제 1 영역(1A) 즉, 폴딩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hole (H1) can be formed in the first area (1A) where the first hinge portion (H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H2) are formed, i.e., the folding area.

상기 제 1 홀(H1)은 단위 면적당 제 1 홀의 크기가 상기 폴딩 영역에서 각각의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hole (H1) may be formed so that the size of the first hole per unit area is different for each region in the folding region.

즉, 상기 기재(100)가 폴딩되어 형성되는 상기 기재의 내측면 즉, 상기 기재의 일면(1S)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상기 폴딩 영역에서 각각의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formed by folding, i.e., one side (1S) of the substrate, can be formed differently for each area in the folding area.

여기서, 단위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단위면적당 상기 제 1 홀이 형성되는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단위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가 커진다는 것은 상기 제 1홀의 크기가 커지거나 상기 제 1 홀의 수가 많아지는 것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can be defined as the area in which the first hole is formed per unit area, and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can also be defined as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first hole or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first holes.

상기 기재(100)는 적어도 2개의 폴딩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100)는 상기 기재(100)가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기재(100)의 곡률에 따라 적어도 2개의 폴딩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may have at least two folding regions defined.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may have at least two folding regions defin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substrate (100) formed as the substrate (100) is fold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의 제 1 영역(1A)은 제 1 곡률 영역(RA1) 및 제 2 곡률 영역(RA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 및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region (1A) of the substrate (100) may include a first curvature region (RA1) and a second curvature region (RA2). That is, the first region (1A) may include the first curvature region (RA1) and the second curvature region (RA2) having different sizes.

도 3에서는 2개의 곡률 영역을 정의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곡률 크기에 따라 다양한 수의 곡률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In Fig. 3, two curvature regions are defined,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variety of curvature regions may be defined depending on the curvature size.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은 서로 다른 곡률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and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may have different curvature sizes.

여기서, 상기 곡률 크기는 기재의 휘어질 때 발생되는 곡률 반경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기재의 곡률 반경이 작은 경우, 곡률의 크기가 커서 기재가 크게 휘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기재의 곡률 반경이 큰 경우, 곡률의 크기가 작아서 기재가 상대적으로 작게 휘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above curvature size may mean the size of the curvature radius that occurs when the substrate is bent. That is, when the curvature radius of the substrate is small, the size of the curvature is large, which may mean that the substrate is bent significantly, and when the curvature radius of the substrate is large, the size of the curvature is small, which may mean that the substrate is bent relatively small.

자세하게, 상기 폴딩축에 가까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보다 상기 폴딩축에서 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In detail,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closer to the folding axis may be small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further from the folding axis tha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The sizes of the first holes (H1) per unit area formed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and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detail,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formed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formed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즉, 상기 제 1 영역(1A)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은 곡률반경이 더 작은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제 1홀의 크기가 더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hole (H1) formed in the first region (1A) can be formed so that the size of the first hole per unit area becomes larger in an area with a smaller radius of curvature.

다시 말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간의 거리(d1)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간의 거리(d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은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보다 더 촘촘하게 즉, 고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d2) between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That is,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may be formed more densely, that is, at a higher density, than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도 5는 도 3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상기 일면(1S)과 상기 타면(2S)을 관통하는 제 1 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A' section of Fig. 3, and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shape of the first hole penetrating the one surface (1S) and the other surface (2S).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일면(1S)을 관통하는 제 1 관통홀(h1) 및 상기 타면(2S)을 관통하는 제 2 관통홀(h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hole (H1) may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h1) penetrating the one surface (1S) and a second through hole (h2) penetrating the other surface (2S).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내경(IR) 및 외경(OR)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 크기는 내경 크기보다 클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may have sizes of an inner diameter (IR) and an outer diameter (OR). That is, the outer diameter sizes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may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sizes.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 크기는 약 0.01㎜ 내지 10㎜일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size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may be about 0.01 mm to 10 mm.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각각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들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외경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들이 정의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can each have central axes defined that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that is, central axes can be defined that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h2).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이 하나의 제 1 홀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또한,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이 하나의 제 1 홀에서 서로 동일할 수 있다.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central axi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h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ne first hole. In addition,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central axi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h2) may be the same in one first hole.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은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는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보다 상기 폴딩축과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은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보다 상기 폴딩축에 가깝게 시프트 되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may be positioned closer to the folding axis than the second central axi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h2)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That is,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may be formed to be shifted closer to the folding axis than the second central axi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h2).

다시 말해,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들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region may include a region in which the center-to-center distances of two adjacent first through hol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are different.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인접하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들의 거리가 상기 제 2 곡률 영역(RA1)에서의 인접하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들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That is,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entral axes (C1) of the adjacent first through holes (h1)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entral axes (C1) of the adjacent first through holes (h1)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1).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폴딩축에 가까워질수록 단위면적당 제 1 관통홀(h1)의 면적이 커지도록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That is,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posi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can be changed so that the area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per unit area increases as it gets closer to the folding axis.

즉, 상기 제 1 관통홀의 제 1 중심축(C1)은 상기 제 2 관통홀의 제 2 중심축(C2)에 대해 상기 폴딩축 방향으로 시프트 되어 위치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can be positioned shifted in the folding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entral axi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즉, 상기 제 1 관통홀은 점선으로 도시된 가상 관통홀에 대해 일정 거리만큼 폴딩축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through hole can be formed by shifting a certain distance in the folding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irtual through hole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또한, 상기 제 1 관통홀의 제 1 중심축(C1)은 상기 폴딩축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더 시프트 되어 위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can be positioned so as to be increasingly shifted toward the folding axis direction.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들의 거리는 상기 폴딩축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entral axes (C1) of the adjacent first through holes (h1)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can gradually decrease in the direction of the folding axis.

이때, 상기 제 1 관통홀(h1)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3)는 하기 수식 1을 만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ift distance (d3) of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can satisfy the following mathematical expression 1.

[수식 1][Formula 1]

0.1t ≤ 1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3) ≤ 10t0.1t ≤ 1 Shift distance (d3) of the center axis of the through hole ≤ 10t

(여기서, t는 기재의 두께)(where t is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이에 따라, 상기 폴딩 내측면 즉, 상기 기재의 일면(1S)에 형성되는 제 1 홀들은 곡률 반경이 다른 영역들에서 서로 다른 단위 면적당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률반경이 작은 영역에서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들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곡률반경이 큰 영역에서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hole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olding, i.e., one side (1S) of the substrate, may have different sizes per unit area in regions with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Accordingly, in regions with small radii of curvature, the sizes of the first holes per unit area may be formed large, and in regions with large radii of curvature, the sizes of the first holes per unit area may be formed relatively small.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기재가 폴딩 상태일 때 곡률 크기에 따라 변화되는 압축 응력의 분포를 최소화하여, 폴딩 신뢰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the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implement a display substrate with improved folding reliability by minimizing the distribution of compressive stress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curvature size when the substrate is in a folded state.

즉, 곡률반경이 작은 영역에서는 압축 응력을 분산시켜줄 수 있는 홀의 분율을 곡률반경이 큰 영역이 비해 크게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폴딩 내측면에서 발생하는 압축 응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줄 수 있다.That is, by forming a larger fraction of holes capable of dispersing compressive stress in an area with a small radius of curvature compared to an area with a large radius of curvature, the compressive stress occurring on the inner side of the folding surface of the substrate can be more effectively dispersed.

도 4는 상기 기재(100)의 타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폴딩되는 방향의 내측이 아닌 외측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drawing showing a top view of the other side of the above-mentioned description (100). That is, it is a drawing showing a top view of the outer side, not the inner side in the folding direc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폴딩의 외측면인 타면(2S)에서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 상기 제 1 홀(H1)들이 서로 동일한 단위면적당 제 1 홀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ing, that is, the other surface (2S), the first holes (H1) can be formed with the same size of the first hole per unit area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and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즉, 상기 타면(2S)에서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의 제 1 중심축(C1)과 제 2 곡률 영역(RA2)에서의 제 2 중심축(C2)이 서로 일치할 수 있다.That is, in the above surface (2S), the first central axis (C1)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and the second central axis (C2)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can coincide with each other.

즉, 상기 타면에서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의 제 2 관통홀도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의 제 2 관통홀과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That is, in the above surface,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can also be positioned at the same interval as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즉, 상기 타면은 상기 기재의 폴딩 외측면으로서 내측면과 다르게 압축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의 크기는 곡률의 크기에 따라 변화되지 않고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above-mentioned surface is the outer folding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substrate and, unlike the inner folding surface, does not generate compressive stress. Accordingly, the size of the first hole formed on the above-mentioned surface does not chang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urvature and can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한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기재의 타면도 앞서 설명한 상기 일면과 같이 곡률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2 관통홀의 위치가 폴딩축 방향으로 시프트 되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ther side of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may also be formed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through hole is shifted in the direction of the folding axi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urvature, as in the first side described above.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제 1 힌지부(H1) 및 상기 제 2 힌지부(H2)가 형성되는 제 1 영역(1A) 즉, 폴딩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to 8, the first hole (H1) can be formed in the first area (1A) where the first hinge portion (H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H2) are formed, i.e., the folding area.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각각의 영역마다 서로 다른 단위 면적당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폴딩 영역은 서로 다른 단위 면적당 크기를 가지는 제 1 홀들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hole (H1) may be formed with different sizes per unit area in each region of the folding region. In detail, the folding region may include a region in which first holes having different sizes per unit area are formed.

즉, 상기 기재(100)가 폴딩되어 형성되는 상기 기재의 내측면 즉, 상기 기재의 일면(1S)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상기 폴딩 영역에서 각각의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formed by folding, i.e., one side (1S) of the substrate, can be formed differently for each area in the folding area.

여기서, 단위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단위면적당 제 1 홀(H1)이 형성되는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단위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가 커진다는 것은 상기 제 1홀의 크기가 커지거나 상기 제 1 홀의 수가 많아지는 것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can be defined as the area in which the first hole (H1) is formed per unit area, and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can also be defined as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first hole or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first holes.

상기 기재(100)는 적어도 2개의 폴딩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100)는 상기 기재(100)가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기재(100)의 곡률에 따라 적어도 2개의 폴딩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may have at least two folding regions defined.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may have at least two folding regions defin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substrate (100) formed as the substrate (100) is folded.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의 제 1 영역(1A)은 제 1 곡률 영역(RA1) 및 제 2 곡률 영역(RA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 및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8, the first region (1A) of the substrate (100) may include a first curvature region (RA1) and a second curvature region (RA2). That is, the first region (1A) may include the first curvature region (RA1) and the second curvature region (RA2) having different sizes.

도 6에서는 2개의 곡률 영역을 정의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곡률 크기에 따라 다양한 수의 곡률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In Fig. 6, two curvature regions are defined,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variety of curvature regions may be defined depending on the curvature size.

도 6 및 도 8에서 설명하는 상기 일면(1S)에서의 제 1 홀, 제 1 관통홀 및 제 2 관통홀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도 3 및 도 5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shapes of the first hole,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n the above-described one side (1S) described in FIG. 6 and FIG. 8 are identical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FIG. 3 and FIG. 5 above, so the description below is omitted.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의 타면의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은 서로 다른 크기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폴딩축에 가까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보다 상기 폴딩출에서 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and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of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may have different curvature radii. In detail, the curvature radius of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closer to the folding axis may be smaller than the curvature radius of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farther from the folding axis tha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The sizes of the first holes (H1) per unit area formed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and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detail,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formed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formed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

다시 말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간의 거리(d1)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간의 거리(d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d2) between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은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보다 더 촘촘하게 즉, 고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can be formed more densely, that is, at a higher density, than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도 8는 도 6의 B-B'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상기 일면(1S)과 상기 타면(2S)을 관통하는 제 1 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B-B' section of Fig. 6, and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shape of the first hole penetrating the one surface (1S) and the other surface (2S).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일면(1S)을 관통하는 제 1 관통홀(h1) 및 상기 타면(2S)을 관통하는 제 2 관통홀(h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first hole (H1) may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h1) penetrating the one surface (1S) and a second through hole (h2) penetrating the other surface (2S).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내경(IR) 및 외경(OR)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 크기는 내경 크기보다 클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may have sizes of an inner diameter (IR) and an outer diameter (OR). That is, the outer diameter sizes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may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sizes.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 크기는 약 0.01㎜ 내지 10㎜일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size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may be about 0.01 mm to 10 mm.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각각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들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각각 관통홀 외경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 1 및 제 2 중심축들이 정의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can each have central axes defined that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that is,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can each have first and second central axes defined that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상기 제 2 중심축(C2)은 상기 폴딩축과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상기 제 2 중심축(C2)들의 거리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의 1, 2 중심축들의 거리보다 더 가깝도록 위치될 수 있다.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central axi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h2) can be positioned close to the folding axis. That is,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central axe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h2) can be positioned clos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entral axes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다시 말해,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들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들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region may include a region in which the center-to-center distances of two adjacent first through hol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are different, and may include a region in which the center-to-center distances of two adjacent first through hol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are different.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폴딩축에 가까워질수록 단위 면적당 상기 제 1 관통홀(h1)의 크기가 커지도록 상기 제 1 관통홀(h1) 및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That is,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positions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can be changed so that the size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per unit area increases as it gets closer to the folding axis.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상기 제 2 중심축(C2)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의 1, 2 중심축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가깝도록 시프트될 수 있다.That is,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central axe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h2) can be shifted to be clos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entral axes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즉,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은 점선으로 도시된 가상 관통홀에 대해 일정 거리만큼 폴딩축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can be formed by shifting a certain distance in the folding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irtual through hole shown by the dotted line.

또한, 상기 제 1 관통홀의 제 1 중심축(C1) 및/또는 상기 제 2 관통홀의 제 2 중심축(C2)은 상기 폴딩축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더 시프트 되어 위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or the second central axi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may be positioned so as to be increasingly shifted toward the folding axis direction.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들의 거리 및/또는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들의 거리 는 상기 폴딩축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entral axes (C1) of the adjacent first through holes (h1) and/or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entral axe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s (h2)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may gradually decrease in the direction of the folding axis.

이때, 상기 제 1 관통홀(h1)들의 시프트 거리(d3) 및 상기 제 2 관통홈(h2)들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4)는 하기 수식 2를 만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ift distance (d3) of the first through holes (h1) and the shift distance (d4) of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through grooves (h2) can satisfy the following mathematical expression 2.

[수식 2][Formula 2]

0.1t ≤ 1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3), 제 2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4) ≤ 10t0.1t ≤ 1 shift distance of the center axis of the through hole (d3), 2nd shift distance of the center axis of the through hole (d4) ≤ 10t

(여기서, t는 기재의 두께)(where t is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상기 제 1 관통홀(h1)들의 시프트 거리(d3) 및 상기 제 2 관통홈(h2)들의 시프트 거리(d4)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 상기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2 관통홀은 서로 동일한 거리로 시프트되어 1, 2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 상기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2 관통홀은 서로 다른 거리로 시프트되어 1, 2 중심축이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hift distance (d3) of the first through holes (h1) and the shift distance (d4) of the second through grooves (h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That is,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may be shifted by the same distance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entral axes coincide. Alternatively,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may be shifted by different distance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entral axes differ.

이에 따라, 상기 폴딩 내측면 즉, 상기 기재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되는 제 1 홀들은 곡률 크기가 다른 영역들에서 서로 다른 단위 면적당 제 1 홀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률반경이 작은 영역에서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들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곡률반경이 큰 영역에서는 제 1 홀들의 단위 면적당 제 1 홀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hole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olding, i.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may have different sizes of the first holes per unit area in regions with different curvature sizes. Accordingly, in regions with a small radius of curvature, the sizes of the first holes per unit area may be formed large, and in regions with a large radius of curvature, the sizes of the first holes per unit area may be formed relatively small.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기재가 폴딩 상태일 때 곡률 크기에 따라 변화되는 압축 응력의 분포를 최소화하여, 폴딩 신뢰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the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implement a display substrate with improved folding reliability by minimizing the distribution of compressive stress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curvature size when the substrate is in a folded state.

또한, 일면 및 타면 영역에서의 단위면적당 홀의 크기를 유사하게 하여 폴딩시 곡률 영역마다 효과적으로 응력을 분산할 수 있다.In addition, by making the hole size per unit area in the one-sided and other-sided areas similar, the stress can be effectively distributed to each curvature area during folding.

즉, 곡률반경이 작은 영역에서는 압축 응력을 분산시켜줄 수 있는 홀의 분율을 곡률반경이 큰 영역이 비해 크게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폴딩 내측면에서 발생하는 압축 응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줄 수 있다.That is, by forming a larger fraction of holes capable of dispersing compressive stress in an area with a small radius of curvature compared to an area with a large radius of curvature, the compressive stress occurring on the inner side of the folding surface of the substrate can be more effectively dispersed.

한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언폴딩 영역에도 홀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ave a hole formed even in the unfolding region.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기재(100)의 제 2 영역에도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to 12, the display substrate may also have holes formed in the second region of the substrate (100).

자세하게, 상기 기재(1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1A)에는 제 1 홀(H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2A)에는 제 2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above description (100) includes a first region (1A) and a second region (2A), and a first hole (H1) may be formed in the first region (1A) and a second hole (H2) may be formed in the second region (2A).

상기 제 1 영역(1A)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앞서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제 1 홀은 이하의 도 9 내지 도 12와 같이 다른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first region (1A)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at is, the first hole of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S. 3 to 6 can be combined with other embodiments as shown in FIGS. 9 to 12 below.

상기 제 2 영역(2A)에는 서로 이격하는 복수 개의 제 2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econd region (2A) above, a plurality of second holes (H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an be formed.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기재(100)의 제 2 영역(2A)의 일면 및 타면에서 서로 중첩되어 상기 기재(100)를 관통하며 형성되거나, 하나의 면만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second hole (H2)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egion (2A) of the above substrate (100) and penetrating the above substrate (100), or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only one side.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제 1 홀(H1)의 크기와 상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홀(H2)은 외경 및 내경의 크기는 상기 제 1 홀(H1)과 상이할 수 있다.The second hole (H2) may have a different size from the first hole (H1). Alternatively, the second hole (H2) may have different sizes of the outer diameter and inner diameter from the first hole (H1).

자세하게,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홀(H2)의 크기는 상기 제 1 홀(H1)의 크기와 작을 수 있다.In detail, referring to FIGS. 9 to 12, the size of the second hole (H2)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이에 따라, 상기 제 2 영역의 홀들이 상기 제 1 영역의 홀들보다 크기 및 분율을 작게하여, 상기 기재를 폴딩할 때, 상기 제 2 영역이 함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oles in the second region can be made smaller in size and fraction than the holes in the first region, thereby preventing the second region from being bent together when the substrate is folded.

또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단위 면적당 상기 제 2 홀(H2)의 크기는 상기 제 1 영역의 제 1 곡률 영역 및 제 2 곡률 영역의 단위 면적당 제 1 홀의 크기보다 작게할 수 있다.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S. 9 to 12, the size of the second hole (H2) per unit area may be made smaller than the sizes of the first holes per unit area of the first curvature region and the second curvature region of the first region.

이에 따라, 단위 면적당 상기 제 2 홀(H2)의 크기를 상기 제 1 영역의 단위 면적당 제 1 홀의 크기보다 작게 함으로서 폴딩 영역과 언폴딩 영역이 구분 될 수 있고, 제 2 영역에는 힌지부를 형성하지 않음으로 인해 제 2 영역보다 제 1 영역이 작은 힘으로도 휘도록 할 수 있다.즉, 도 9 내지 도 12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구부러지는 영역 이외에 구부러지지 않는 영역에도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by making the size of the second hole (H2) per unit area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ole per unit area of the first region, the folding region and the unfolding region can be distinguished, and by not forming a hinge portion in the second region, the first region can be bent with a smaller force than the second region. That is, in the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FIGS. 9 to 12, holes can be formed in a non-bending region in addition to a bending region.

즉, 기재의 전 영역에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holes can be formed throughout the entire area of the substrate.

이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의 열에 의한 변형과 상기 제 2 영역의 열에 의한 변형의 차이를 완화하여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휘거나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formation due to heat in the first region and the deformation due to heat in the second region can be alleviated, thereby preventing the display substrate from being warped or twisted.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에서 열에 따른 변형의 차이가 너무 크게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휘거나 뒤틀림이 생길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영역과 2 영역의 경계 영역에서 기재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In detail, if the difference in thermal deformation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ecomes too large, the display substrate may warp or twist, and thus cracks may occur in the substrat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제 2 영역에도 홀을 형성하여 열 변형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prevent damage to the display substrate due to thermal deformation by forming a hole in the second region as well.

이하, 도 13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설명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Hereinafter,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23. In the description of another embodiment, descriptions that are identical or similar to those of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drawing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o the same configurations.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는 일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일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can be folded in one direction. In detail, the one side (1S) can be fold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상기 기재(1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상기 기재(100)에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100)에는 상기 기재(1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As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is folded in one direction, a first region (1A) and a second region (2A) can be formed in the substrate (100). That is, as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is folded in one direction, a first region formed and a second region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first region can be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상기 제 1 영역은 폴딩 영역(FA) 및 언폴딩 영역(UFA)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UFA)일 수 있다.The first region may be a folding region (FA) and an unfolding region (UFA). Additionally, the second region may be an unfolding region (UFA).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2개의 폴딩축 즉, 1 폴딩축 및 2 폴딩축이 형성되며, 1 영역에는 폴딩 영역(FA) 및 언폴딩 영역(UFA)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at is,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formed with two folding axes, that is, 1 folding axis and 2 folding axes, and region 1 can include both a folding region (FA) and an unfolding region (UFA).

상기 폴딩 영역은 기재가 휘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곡률(R)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지 않거나 곡률이 0에 가까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above folding region can be defined as a region where a curvature (R) is formed as the substrate is bent, and the above unfolding region can be defined as a region where no curvature (R) is formed or where the curvature is close to 0.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폴딩 영역의 크기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폴딩 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That is, the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have a folding area smaller in size than the folding area of the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즉,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는 일방향으로 폴딩되어, 언폴딩 영역, 폴딩 영역, 언폴딩 영역, 폴딩 영역, 언폴딩 영역의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13,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can be folded in one direction to form an unfolding region, a folding region, an unfolding region, a folding region, and an unfolding region in that order.

즉,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1 홀의 분율 즉, 단위면적당 홀의 크기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디자인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다.That is, the design of the display substrate can be freely modified by controlling the fraction of the first hole, i.e., the size of the hole per unit area, as described below.

도 14 및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및 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14는 상기 기재(100)가 폴딩될 때, 폴딩 내측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상기 기재(100)가 폴딩될 때, 폴딩 외측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4 and FIG. 15 are drawings illustra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at is, FIG. 14 is a drawing illustrating a top view of an inner side of a folding substrate (100) when the substrate (100) is folded, and FIG. 15 is a drawing illustrating a top view of an outer side of a folding substrate (100) when the substrate (100) is folded.

또한,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홀 형상 및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Additionally,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hole shape and position of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the above-described device (100) can be formed with a first region (1A) and a second region (2A).

상기 제 1 영역(1A)은 폴딩 영역(FA) 및 언폴딩 영역(UF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FA)은 곡률(R)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언폴딩 영역(UFA)은 곡률이 형성되지 않거나 곡률이 0에 가까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first region (1A) may include a folding region (FA) and an unfolding region (UFA). The folding region (FA) may be defined as a region where a curvature (R) is formed, and the unfolding region (UFA) may be defined as a region where no curvature is formed or where the curvature is close to 0.

상기 제 1 영역(1A)의 상기 폴딩 영역은 제 1 힌지부(HN1) 및 제 2 힌지부(HN2) 가 형성되는 영역과 제 3 힌지부(HN3) 및 제 4 힌지부(HN4)가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1A)의 상기 언폴딩 영역은 상기 제 2 힌지부(HN1) 및 제 3 힌지부(HN3)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folding region of the first region (1A) may be defined as a region where the first hinge portion (HN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HN2) are formed and a region where the third hinge portion (HN3) and the fourth hinge portion (HN4) are formed. In addition, the unfolding region of the first region (1A) may be defined as a region between the second hinge portion (HN1) and the third hinge portion (HN3).

..

자세하게, 상기 힌지부들은 상기 기재(100)에서 폴딩이 시작되는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100)는 상기 제 1 힌지부(HN1), 상기 제 2 힌지부(HN2), 제 3 힌지부(HN3) 및 제 4 힌지부(HN4)에서 폴딩이 시작되어, 상기 기재(100)의 일면(1S)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In detail, the hinge portions can be defined as points where folding starts in the substrate (100). That is, the substrate (100) can be folded in a direction where one side (1S) of the substrate (100) faces each other by starting folding at the first hinge portion (HN1), the second hinge portion (HN2), the third hinge portion (HN3), and the fourth hinge portion (HN4).

이러한 힌지부는 상기 기재(100)의 폴딩 형상에 따라 복수의 힌지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들은 상기 기재(100)의 폭 방향의 단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홀(H1)이 형성되는 열 방향과 중첩되는 기재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se hinge parts may include a plurality of hinge parts according to the folding shape of the substrate (100). These hinge parts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substrate that overlaps with the thermal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hole (H1) is formed based on the unidirectional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0).

상기 제 1 힌지부(HN1), 상기 제 2 힌지부(HN2), 제 3 힌지부(HN3) 및 제 4 힌지부(HN4)는 상기 기재(100)의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힌지부(HN1), 상기 제 2 힌지부(HN2), 제 3 힌지부(HN3) 및 제 4 힌지부(HN4)는 상기 기재(100)의 끝단 영역 중 단방향의 양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hinge portion (HN1), the second hinge portion (HN2), the third hinge portion (HN3), and the fourth hinge portion (HN4) may be located at an end region of the substrate (100). In detail, the first hinge portion (HN1), the second hinge portion (HN2), the third hinge portion (HN3), and the fourth hinge portion (HN4) may be located at opposite end regions in one direction among the end regions of the substrate (100).

또한, 상기 제 1 힌지부(HN1), 상기 제 2 힌지부(HN2), 제 3 힌지부(HN3) 및 제 4 힌지부(HN4)는 상기 기재(100)의 끝단 영역 중 단방향의 양 끝단 영역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힌지부(HN1), 상기 제 2 힌지부(HN2), 제 3 힌지부(HN3) 및 제 4 힌지부(HN4)는 상기 기재(100)의 끝단 영역 중 단방향의 양 끝단 영역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홀로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inge portion (HN1), the second hinge portion (HN2), the third hinge portion (HN3), and the fourth hinge portion (HN4)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both unidirectional end regions of the end region of the substrate (100). That is, the first hinge portion (HN1), the second hinge portion (HN2), the third hinge portion (HN3), and the fourth hinge portion (HN4) may be defined as holes formed by penetrating both unidirectional end regions of the end region of the substrate (100).

상기 홀의 형상은 상기 제 1 홀(H1)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은 곡면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홀(h)은 타원 형상, 반구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의 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hole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first hole (H1). For example, the hole may be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In detail, the hole (h) may be formed with a curved shape such as an oval shape, a hemispherical shape, or a circular shape.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홀(h)은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hole (h)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or a square, or an oval shape.

도 14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제 1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힌지부(HN2)가 형성되는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3 힌지부(HN3) 및 상기 제 4 힌지부(HN4)가 형성되는 제 1 영역(1A) 즉, 폴딩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and FIG. 16, the first hole (H1) can be formed in the first region (1A) where the first hinge portion (HN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HN2) are formed and the first region (1A) where the third hinge portion (HN3) and the fourth hinge portion (HN4) are formed, i.e., the folding region.

상기 제 1 홀(H1)은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가 상기 폴딩 영역에서 각각의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le (H1) may be formed so that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is different for each region in the folding region.

즉, 상기 기재(100)가 폴딩되어 형성되는 상기 기재의 내측면 즉, 상기 기재의 일면(1S)에 형성되는 의 단위 면적당 제 1 홀(H1)크기는 상기 폴딩 영역에서 각각의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formed by folding, that is, on one side (1S) of the substrate, can be formed differently for each area in the folding area.

여기서, 단위면적당 제 1 홀(H1)크기는 단위면적당 제 1 홀(H1) 형성되는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단위면적당 제 1 홀의 크기가 커진다는 것은 상기 제 1 홀의 크기가 커지거나 상기 제 1 홀의 수가 많아지는 것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can be defined as the area where the first hole (H1) is formed per unit area, and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first hole per unit area can also be defined as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first hole or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first holes.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의 제 1 영역(1A)은 제 1 곡률 영역(RA1) 및 제 2 곡률 영역(RA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 및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first region (1A) of the substrate (100) may include a first curvature region (RA1) and a second curvature region (RA2). That is, the first region (1A) may include the first curvature region (RA1) and the second curvature region (RA2) having different sizes.

여기서, 상기 곡률 크기는 곡률 반경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곡률 반경이 작은 경우, 곡률의 크기가 커서 기재가 크게 휘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곡률 반경이 큰 경우, 곡률의 크기가 작아서 기재가 상대적으로 작게 휘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above curvature size may mean the size of the radius of curvature. That is,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is small, it may mean that the size of the curvature is large and the substrate is bent significantly, and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is large, it may mean that the size of the curvature is small and the substrate is bent relatively small.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폴딩축에 가까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보다 상기 폴딩축에서 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The first curvature area (RA1) and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may have different curvature radii. In detail, the curvature radius of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closer to the folding axis may be smaller than the curvature radius of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further from the folding axis tha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The sizes of the first holes (H1) per unit area formed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and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detail,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formed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formed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즉, 상기 제 1 영역(1A)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은 곡률반경이 더 작은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홀의 크기가 더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hole (H1) formed in the first region (1A) can be formed so that the hole size per unit area becomes larger in a region with a smaller radius of curvature.

다시 말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간의 거리(d1)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간의 거리(d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d2) between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은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보다 더 촘촘하게 즉, 고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can be formed more densely, that is, at a higher density, than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도 16은 도 14의 C-C'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상기 일면(1S)과 상기 타면(2S)을 관통하는 제 1 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C' section of Fig. 14, and is a drawing showing the shape of the first hole penetrating the one surface (1S) and the other surface (2S).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일면(1S)을 관통하는 제 1 관통홀(h1) 및 상기 타면(2S)을 관통하는 제 2 관통홀(h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first hole (H1) may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h1) penetrating the one surface (1S) and a second through hole (h2) penetrating the other surface (2S).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내경(IR) 및 외경(OR)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 크기는 내경 크기보다 클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may have sizes of an inner diameter (IR) and an outer diameter (OR). That is, the outer diameter sizes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may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sizes.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 크기는 약 0.01㎜ 내지 10㎜일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size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may be about 0.01 mm to 10 mm.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각각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들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외경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들이 정의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can each have central axes defined that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that is, central axes can be defined that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h2).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이 하나의 제 1 홀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In the first curvature region (RA1),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central axi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h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ne first hole.

또한,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이 하나의 제 1 홀에서 서로 동일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central axi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h2) may be identical to each other in one first hole.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은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는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보다 상기 폴딩축과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은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보다 상기 폴딩축에 가깝게 시프트 되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may be positioned closer to the folding axis than the second central axi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h2)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That is,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may be formed to be shifted closer to the folding axis than the second central axi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h2).

다시 말해,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들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region may include a region in which the center-to-center distances of two adjacent first through hol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are different.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들의 거리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1)에서의 인접하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들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entral axes (C1) of the adjacent first through holes (h1)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entral axes (C1) of the adjacent first through holes (h1)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1).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폴딩축에 가까워질수록 단위면적당 제 1 관통홀(h1)의 면적이 커지도록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That is,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posi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can be changed so that the area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per unit area increases as it gets closer to the folding axis.

즉, 상기 제 1 관통홀의 제 1 중심축(C1)은 상기 제 2 관통홀의 제 2 중심축(C2)에 대해 상기 폴딩축 방향으로 시프트 되어 위치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can be positioned shifted in the folding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entral axi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또한, 상기 제 1 관통홀의 제 1 중심축(C1)은 상기 폴딩축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더 시프트 되어 위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can be positioned so as to be increasingly shifted toward the folding axis direction.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들의 거리는 상기 폴딩축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entral axes (C1) of the adjacent first through holes (h1)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can gradually decrease in the direction of the folding axis.

이때, 상기 제 1 관통홀(h1)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3)는 하기 수식 1을 만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ift distance (d3) of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can satisfy the following mathematical expression 1.

[수식 1][Formula 1]

0.1t ≤ 1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3) ≤ 10t0.1t ≤ 1 Shift distance (d3) of the center axis of the through hole ≤ 10t

(여기서, t는 기재의 두께)(where t is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이에 따라, 상기 폴딩 내측면 즉, 상기 기재의 일면(1S)에 형성되는 제 1 홀들은 곡률 반경이 다른 영역들에서 서로 다른 단위 면적당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률반경이 작은 영역에서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들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곡률반경이 큰 영역에서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hole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olding, i.e., one side (1S) of the substrate, may have different sizes per unit area in regions with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Accordingly, in regions with small radii of curvature, the sizes of the first holes per unit area may be formed large, and in regions with large radii of curvature, the sizes of the first holes per unit area may be formed relatively small.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기재가 폴딩 상태일 때 곡률 크기에 따라 변화되는 압축 응력의 분포를 최소화하여, 폴딩 신뢰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the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implement a display substrate with improved folding reliability by minimizing the distribution of compressive stress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curvature size when the substrate is in a folded state.

즉, 곡률반경이 작은 영역에서는 압축 응력을 분산시켜줄 수 있는 홀의 분율을 곡률반경이 큰 영역이 비해 크게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폴딩 내측면에서 발생하는 압축 응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줄 수 있다.That is, by forming a larger fraction of holes capable of dispersing compressive stress in an area with a small radius of curvature compared to an area with a large radius of curvature, the compressive stress occurring on the inner side of the folding surface of the substrate can be more effectively dispersed.

도 15는 상기 기재(100)의 타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폴딩되는 방향의 내측이 아닌 외측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5 is a drawing showing a top view of the other side of the above-mentioned description (100). That is, it is a drawing showing a top view of the outer side, not the inner side in the folding direction.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폴딩의 외측면인 타면(2S)에서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 상기 제 1 홀(H1)들이 서로 동일한 단위면적당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4 and 15,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ing, that is, the other surface (2S), the first holes (H1) can be formed with the same unit area size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and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즉, 상기 타면(2S)에서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의 제 1 중심축(C1)과 제 2 곡률 영역(RA2)에서의 제 2 중심축(C2)이 서로 일치할 수 있다.That is, in the above surface (2S), the first central axis (C1)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and the second central axis (C2)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can coincide with each other.

즉, 상기 타면에서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의 제 2 관통홀도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의 제 2 관통홀과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That is, in the above surface,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can also be positioned at the same interval as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즉, 상기 타면은 상기 기재의 폴딩 외측면으로서 내측면과 다르게 압축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의 크기는 곡률의 크기에 따라 변화되지 않고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above-mentioned surface is the outer folding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substrate and, unlike the inner folding surface, does not generate compressive stress. Accordingly, the size of the first hole formed on the above-mentioned surface does not chang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urvature and can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한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기재의 타면도 앞서 설명한 상기 일면과 같이 곡률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2 관통홀의 위치가 폴딩축 방향으로 시프트 되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ther side of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may also be formed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through hole is shifted in the direction of the folding axi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urvature, as in the first side described above.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제 1 힌지부(H1) 및 상기 제 2 힌지부(H2)가 형성되는 제 1 영역(1A) 즉, 폴딩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7 to 19, the first hole (H1) can be formed in the first area (1A) where the first hinge portion (H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H2) are formed, i.e., the folding area.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각각의 영역마다 서로 다른 단위 면적당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폴딩 영역은 서로 다른 단위 면적당 크기를 가지는 제 1 홀들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hole (H1) may be formed with different sizes per unit area in each region of the folding region. In detail, the folding region may include a region in which first holes having different sizes per unit area are formed.

즉, 상기 기재(100)가 폴딩되어 형성되는 상기 기재의 내측면 즉, 상기 기재의 일면(1S)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상기 폴딩 영역에서 각각의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formed by folding, i.e., one side (1S) of the substrate, can be formed differently for each area in the folding area.

여기서, 단위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단위면적당 제 1 홀(H1)이 형성되는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단위면적당 제 1 홀의 크기가 커진다는 것은 상기 제 1홀의 크기가 커지거나 상기 제 1 홀의 수가 많아지는 것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can be defined as the area where the first hole (H1) is formed per unit area, and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first hole per unit area can also be defined as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first hole or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first holes.

상기 기재(100)는 적어도 2개의 폴딩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100)는 상기 기재(100)가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기재(100)의 곡률에 따라 적어도 2개의 폴딩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may have at least two folding regions defined.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100) may have at least two folding regions defin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substrate (100) formed as the substrate (100) is folded.

도 17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의 제 1 영역(1A)은 제 1 곡률 영역(RA1) 및 제 2 곡률 영역(RA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 및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and FIG. 19, the first region (1A) of the substrate (100) may include a first curvature region (RA1) and a second curvature region (RA2). That is, the first region (1A) may include the first curvature region (RA1) and the second curvature region (RA2) having different sizes.

도 17 및 도 19에서 설명하는 상기 일면(1S)에서의 제 1 홀, 제 1 관통홀 및 제 2 관통홀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도 14 및 도 16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shapes of the first hole,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n the above-described one side (1S) described in FIG. 17 and FIG. 19 are identical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FIG. 14 and FIG. 16 above, so the description below is omitted.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은 서로 다른 크기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폴딩축에 가까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보다 상기 폴딩축에서 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8 and 19,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and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may have different curvature radii. In detail, the curvature radius of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closer to the folding axis may be smaller than the curvature radius of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farther from the folding axis tha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상기 제 1 홀(H1)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상기 제 1 홀(H1)의 크기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상기 제 1 홀(H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The sizes of the first holes (H1) per unit area formed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and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detail,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formed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per unit area formed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다시 말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간의 거리(d1)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간의 거리(d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d2) between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은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보다 더 촘촘하게 즉, 고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can be formed more densely, that is, at a higher density, than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도 19는 도 17의 D-D'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상기 일면(1S)과 상기 타면(2S)을 관통하는 제 1 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D-D' region of Fig. 17, and is a drawing showing the shape of the first hole penetrating the one surface (1S) and the other surface (2S).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일면(1S)을 관통하는 제 1 관통홀(h1) 및 상기 타면(2S)을 관통하는 제 2 관통홀(h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the first hole (H1) may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h1) penetrating the one surface (1S) and a second through hole (h2) penetrating the other surface (2S).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내경(IR) 및 외경(OR)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 크기는 내경 크기보다 클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may have sizes of an inner diameter (IR) and an outer diameter (OR). That is, the outer diameter sizes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may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sizes.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 크기는 약 0.01㎜ 내지 10㎜일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size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may be about 0.01 mm to 10 mm.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각각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들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각각 관통홀 외경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 1 및 제 2 중심축들이 정의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can each have central axes defined that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that is,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can each have first and second central axes defined that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상기 제 2 중심축(C2)은 상기 폴딩축과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상기 제 2 중심축(C2)들의 거리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의 1, 2 중심축들의 거리보다 더 가깝도록 위치될 수 있다.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central axi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h2) can be positioned close to the folding axis. That is,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central axe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h2) can be positioned clos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entral axes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다시말해,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제 1 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region may include a region in which the center-to-center distances of two adjacent first through hol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are different and a region in which the center-to-center distances of two adjacent second through hol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are different.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폴딩축에 가까워질수록 단위 면적당 상기 제 1 관통홀(h1)의 크기가 커지도록 상기 제 1 관통홀(h1) 및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That is,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positions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h2) can be changed so that the size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per unit area increases as it gets closer to the folding axis.

즉, 상기 제 1 관통홀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의 제 2 중심축(C2)은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상기 제 2 중심축(C2)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의 1, 2 중심축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가깝도록 시프트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central axi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can be shift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entral axis (C1)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econd central axis (C2) of the second through hole (h2)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is clos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entral axes in the second curvature area (RA2).

이때, 상기 제 1 관통홀(h1)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3) 및 상기 제 2 관통홈(h2)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4)는 하기 수식 2를 만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ift distance (d3) of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through hole (h1) and the shift distance (d4) of the center axis of the second through groove (h2) can satisfy the following mathematical expression 2.

[수식 2][Formula 2]

0.1t ≤ 1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3), 제 2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4) ≤ 10t0.1t ≤ 1 shift distance of the center axis of the through hole (d3), 2nd shift distance of the center axis of the through hole (d4) ≤ 10t

(여기서, t는 기재의 두께)(where t is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상기 제 1 관통홀(h1)들의 시프트 거리(d3) 및 상기 제 2 관통홈(h2)들의 시프트 거리(d4)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 상기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2 관통홀은 서로 동일한 거리로 시프트되어 1, 2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 상기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2 관통홀은 서로 다른 거리로 시프트되어 1, 2 중심축이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hift distance (d3) of the first through holes (h1) and the shift distance (d4) of the second through grooves (h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That is,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may be shifted by the same distance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entral axes coincide. Alternatively, in the first curvature area (RA1),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may be shifted by different distance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entral axes differ.

이에 따라, 상기 폴딩 내측면 즉, 상기 기재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되는 제 1 홀들은 곡률 크기가 다른 영역들에서 서로 다른 단위 면적당 제 1 홀의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률반경이 작은 영역에서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들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곡률반경이 큰 영역에서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hole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olding, i.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may have different sizes of the first holes per unit area in regions with different curvature sizes. Accordingly, in regions with a small radius of curvature, the sizes of the first holes per unit area may be formed large, and in regions with a large radius of curvature, the sizes of the first holes per unit area may be formed relatively small.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기재가 폴딩 상태일 때 곡률 크기에 따라 변화되는 압축 응력의 분포를 최소화하여, 폴딩 신뢰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the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implement a display substrate with improved folding reliability by minimizing the distribution of compressive stress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curvature size when the substrate is in a folded state.

또한, 일면 및 타면 영역에서의 단위면적당 홀의 크기를 유사하게 하여 폴딩시 곡률 영역마다 효과적으로 응력을 분산할 수 있다.In addition, by making the hole size per unit area in the one-sided and other-sided areas similar, the stress can be effectively distributed to each curvature area during folding.

즉, 곡률반경이 작은 영역에서는 압축 응력을 분산시켜줄 수 있는 홀의 분율을 곡률반경이 큰 영역이 비해 크게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폴딩 내측면에서 발생하는 압축 응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줄 수 있다.That is, by forming a larger fraction of holes capable of dispersing compressive stress in an area with a small radius of curvature compared to an area with a large radius of curvature, the compressive stress occurring on the inner side of the folding surface of the substrate can be more effectively dispersed.

한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언폴딩 영역에도 홀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ave a hole formed even in the unfolding region.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기재(100)의 제 2 영역에도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0 to 23, the display substrate may also have holes formed in the second region of the substrate (100).

자세하게, 상기 기재(1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1A)에는 제 1 홀(H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2A)에는 제 2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above description (100) includes a first region (1A) and a second region (2A), and a first hole (H1) may be formed in the first region (1A) and a second hole (H2) may be formed in the second region (2A).

상기 제 1 영역(1A)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앞서 도 14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제 1 홀은 이하의 도 20 내지 도 23과 같이 다른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holes (H1) formed in the first region (1A) are the same as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hat is, the first hole of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S. 14 to 19 above can be combined with other embodiments as shown in FIGS. 20 to 23 below.

상기 제 2 영역(2A)에는 서로 이격하는 복수 개의 제 2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econd region (2A) above, a plurality of second holes (H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an be formed.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기재(100)의 제 2 영역(2A)의 일면 및 타면에서 서로 중첩되어 상기 기재(100)를 관통하며 형성되거나, 하나의 면만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second hole (H2)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egion (2A) of the above substrate (100) and penetrating the above substrate (100), or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only one side.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제 1 홀(H1)의 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홀(H2)은 외경 및 내경의 크기는 상기 제 1 홀(H1))과 상이할 수 있다.The second hole (H2)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Alternatively,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and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hole (H2)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hole (H1).

자세하게,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홀(H2)의 크기는 상기 제 1 홀(H1)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In detail, referring to FIGS. 20 to 23, the size of the second hole (H2)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ole (H1).

이에 따라, 상기 제 2 영역의 홀들이 상기 제 1 영역의 홀들보다 크기 및 분율을 작게하여, 상기 기재를 폴딩할 때, 상기 제 2 영역이 함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oles in the second region can be made smaller in size and fraction than the holes in the first region, thereby preventing the second region from being bent together when the substrate is folded.

또는,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의 단위 면적당 상기 제 2 홀(H2)크기는 상기 제 1 영역의 제 1 곡률 영역 및 제 2 곡률 영역의 단위 면적당 제 1 홀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S. 20 to 23, the size of the second hole (H2) per unit area may be smaller than the sizes of the first holes per unit area of the first curvature region and the second curvature region of the first region.

이에 따라, 단위 면적당 상기 제 2 홀(H2)의 크기를 상기 제 1 영역의 단위 면적당 제 1 홀의 크기보다 작게 함으로서 폴딩 영역과 언폴딩 영역이 구분 될 수 있고, 제 2 영역에는 힌지부를 형성하지 않음으로 인해 2영역보다 1영역이 작은 힘으로도 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olding region and the unfolding region can be distinguished by making the size of the second hole (H2) per unit area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hole per unit area of the first region, and since no hinge portion is formed in the second region, the first region can be bent with a smaller force than the second region.

즉, 도 20 내지 도 23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구부러지는 영역 이외에 구부러지지 않는 영역에도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FIGS. 20 to 23 can have holes formed in a non-bending area in addition to a bending area.

즉, 기재의 전 영역에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holes can be formed throughout the entire area of the substrate.

이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의 열에 의한 변형과 상기 제 2 영역의 열에 의한 변형의 차이를 완화하여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휘거나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formation due to heat in the first region and the deformation due to heat in the second region can be alleviated, thereby preventing the display substrate from being warped or twisted.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에서 열에 따른 변형의 차이가 너무 크게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휘거나 뒤틀림이 생길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영역과 2 영역의 경계 영역에서 기재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In detail, if the difference in thermal deformation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ecomes too large, the display substrate may warp or twist, and thus cracks may occur in the substrat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제 2 영역에도 홀을 형성하여 열 변형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prevent damage to the display substrate due to thermal deformation by forming a hole in the second region as well.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기재가 폴딩되는 영역에서 폴딩 정도 즉, 곡률반경의 크기에 따라,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홀의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display substrate can have a different size of a hole per unit area form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folding, i.e., the size of the radius of curvature, in an area where the substrate is folded.

이에 따라, 폴딩 내측면에서 곡률반경의 크기에 따라 영역별로 달라지는 압축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compressive stress, which varies from region to regio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n the inner side of the folding, can be effectively distributed.

즉, 단위 면적당 홀의 크기를 발생하는 압축 응력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함으로써, 압축 응력이 크게 작용하는 부분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압축 응력에 따른 기재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by varying the size of the hole per unit area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ompressive stress that occurs, the compressive stress can be effectively distributed in the area where it acts largely, thereby preventing cracks in the substrate due to the compressive stress.

도 24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embodiments is applied.

도 2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4, a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 display.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휴대폰, 태블릿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subst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display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tablets.

이러한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These display substrates can be applied to display devices such as flexible, bendable or foldable mobile phones and tablets.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어, 반복적으로 폴딩 또는 원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응력에 의한 기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above display substrate can be applied to a flexible, bent or foldable display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tablet, and can prevent damage to the substrate due to stress in a display device that is repeatedly folded or restored.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exemplifi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and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th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exemplified above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addition, the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10)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고,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 가능한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는, 상기 폴딩축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축에 인접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영역보다 상기 폴딩축으로부터 멀리 위치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1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폴딩축에 대응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홀부와,
상기 제2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2 홀을 포함하는 제2 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부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제2 홀부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제1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상기 복수의 제1 홀부의 제1 홀들에 의한 개구율은 상기 제2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상기 복수의 제2 홀부의 제2 홀들에 의한 개구율보다 크고,
상기 복수의 상기 제1 홀부에 포함된 복수의 제1 홀들 각각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복수의 제2 홀부에 포함된 복수의 제2 홀들 각각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과 동일한, 디스플레이용 기판.
A substrate includ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foldable with respect to a folding axis;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bove description,
The above description includes a first region including the folding axis and adjacent to the folding axis, and a second region located around the first region and further from the folding axis than the first region,
The above plurality of holes are,
A first hol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holes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firs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axis;
A second hole portion is provided in the second reg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 above first hole portion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spaced apart along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n the first region,
The second hole is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in the second region,
The opening ratio of the first holes of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per unit area in the first region is greater than the opening ratio of the second hol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per unit area in the second region.
A display substrate, wherein the widt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first hole sections in the second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widt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second hole sections in the second direc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홀들 각각은 상기 일면에 형성된 제1 관통 홀 및 상기 타면에 형성된 제2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관통홀은 상기 기재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 1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 1 중심축이 정의되고,
상기 제 2 관통홀은 상기 기재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 2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 2 중심축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홀은 상기 제 1 중심축과 상기 제 2 중심축이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In paragraph 1,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formed on one surface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 first through hole is defined by a first centr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The second through hole is defined with a second centr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A display substrate, wherein at least one first hol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has the first central axis and the second central axis misaligned with each other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폴딩축을 중심으로 상기 일면이 마주보도록 폴딩되고,
상기 제 1 중심축이 상기 제 2 중심축보다 상기 기재의 폴딩축에 가깝도록 시프트되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description is folded so that the one side faces the folding axis,
A display substrate, wherein the first central axis is shifted and positioned closer to the folding axis of the substrate than the second central axi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는 하기 수식 1을 만족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수식 1]
0.1t ≤ 제1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 ≤ 10t
(여기서, t는 상기 기재의 두께)
In paragraph 4,
A display substrate in which the shift distance of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through hole satisfies the following mathematical formula 1.
[Formula 1]
0.1t ≤ Shift distance of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through hole ≤ 10t
(where t is the thickness of the above description)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고,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 가능한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는, 상기 폴딩축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축에 인접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영역보다 상기 폴딩축으로부터 멀리 위치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1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폴딩축에 대응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1 홀을 포함하는 제1 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은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관통홀 및 상기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 홀과 연통하는 제 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홀 각각의 제2 관통 홀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 중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1 홀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 및 상기 두 개의 제1 홀의 제 2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홀의 각각의 제1 관통홀은 상기 기재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 1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 1 중심축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홀의 각각의 제2 관통홀은 상기 기재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 2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 2 중심축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홀은 상기 제 1 중심축과 상기 제 2 중심축이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A substrate includ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foldable with respect to a folding axis;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bove description,
The above description includes a first region including the folding axis and adjacent to the folding axis, and a second region located around the first region and further from the folding axis than the first region,
The above plurality of holes includes a first hol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holes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firs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axis,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formed on one surface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hrough hole,
The second through holes of each of the above plurality of first hole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 above first region includes a region in which the center-to-center distance of the first through holes of two adjacent first holes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and the center-to-center distance of the second through holes of the two first holes are different,
Each of the first through holes of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has a first central axis defined tha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Each of the second through holes of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has a second central axis defined tha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A display substrat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has the first central axis and the second central axis misaligned with each other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삭제delet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제2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2 홀을 포함하는 제2 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부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제2 홀부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제1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상기 복수의 제1 홀부의 제1 홀들에 의한 개구율은 상기 제2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상기 복수의 제2 홀부의 제2 홀들에 의한 개구율보다 크고,
상기 복수의 상기 제1 홀부에 포함된 복수의 제1 홀들 각각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복수의 제2 홀부에 포함된 복수의 제2 홀들 각각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과 동일한, 디스플레이용 기판.
In paragraph 6,
The above plurality of holes further include a second hol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holes provided in the second reg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 above first hole portion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spaced apart along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n the first region,
The second hole is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in the second region,
The opening ratio of the first holes of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per unit area in the first region is greater than the opening ratio of the second hol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per unit area in the second region.
A display substrate, wherein the widt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first hole sections in the second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widt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hole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second hole sections in the second direc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폴딩축을 중심으로 상기 일면이 마주보도록 폴딩되고,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1 중심축이 상기 제 2 중심축보다 상기 기재의 폴딩축에 가깝도록 시프트되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In Article 8,
The above description is folded so that the one side faces the folding axis,
A display substrate, wherein the first central axis in the first region is shifted and positioned closer to the folding axis of the substrate than the second central axi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는 하기 수식 1을 만족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수식 1]
0.1t ≤ 제1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 ≤ 10t
(여기서, t는 상기 기재의 두께)
In Article 9,
A display substrate in which the shift distance of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through hole satisfies the following mathematical formula 1.
[Formula 1]
0.1t ≤ Shift distance of the center axis of the first through hole ≤ 10t
(where t is the thickness of the above description)
KR1020190003813A 2019-01-11 2019-01-11 Substrate for display Active KR1027335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813A KR102733569B1 (en) 2019-01-11 2019-01-11 Substrate for display
CN202080008082.8A CN113272880A (en) 2019-01-11 2020-01-10 Substrate for display
TW109100963A TWI869365B (en) 2019-01-11 2020-01-10 Substrate for display
US17/282,511 US12011907B2 (en) 2019-01-11 2020-01-10 Substrate for display
PCT/KR2020/000458 WO2020145718A1 (en) 2019-01-11 2020-01-10 Display substrate
CN202310339479.0A CN116312250A (en) 2019-01-11 2020-01-10 display substrate
US18/657,277 US20240293993A1 (en) 2019-01-11 2024-05-07 Substrate for display
KR1020240165299A KR20240168893A (en) 2019-01-11 2024-11-19 Substrate for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813A KR102733569B1 (en) 2019-01-11 2019-01-11 Substrate for displa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65299A Division KR20240168893A (en) 2019-01-11 2024-11-19 Substrate for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481A KR20200087481A (en) 2020-07-21
KR102733569B1 true KR102733569B1 (en) 2024-11-25

Family

ID=718328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813A Active KR102733569B1 (en) 2019-01-11 2019-01-11 Substrate for display
KR1020240165299A Pending KR20240168893A (en) 2019-01-11 2024-11-19 Substrate for display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65299A Pending KR20240168893A (en) 2019-01-11 2024-11-19 Substrate for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7335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411700A4 (en) 2022-04-14 2025-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MODU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32956A1 (en) 2013-02-15 2014-08-21 Lg Display Co., Ltd.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ca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631B1 (en) * 2015-06-08 2023-03-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559837B1 (en) * 2016-06-02 2023-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102578589B1 (en) * 2016-09-30 2023-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KR102612041B1 (en) * 2016-12-30 2023-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672832B1 (en) * 2016-12-30 2024-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343794B1 (en) * 2017-05-24 2021-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32956A1 (en) 2013-02-15 2014-08-21 Lg Display Co., Ltd.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ca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68893A (en) 2024-12-02
KR20200087481A (en)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69365B (en) Substrate for display
KR102723445B1 (en) Substrate for display
US20250103102A1 (en) Elastic member
CN112037662B (en) Folding display support piece and display device
US20210165454A1 (en) Support 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devic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12228972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20240163039A (en) Substrate for display
KR20240168893A (en) Substrate for display
US12093082B2 (en) Substrate for display
US20250151604A1 (en) Substrate for display
US11895860B2 (en) Moveable display supports, computing devices using same, and methods of use
WO2023184607A1 (en) Support member and foldable display apparatus
JP7502421B2 (en) Support plate, flexible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KR102825873B1 (en) Substrate for display and display application having the same
US20230195169A1 (en) Elastic member
WO2024245079A1 (en) Support member of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20230182433A1 (en) Elastic member
KR102868105B1 (en) Support plate, foldable display modul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KR20230158126A (en) Support plate, foldable display modul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TWI624201B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CN115019640A (en) Support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erminal equipment
KR20210132579A (en) Elasticity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1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