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3635B1 - Sliding and swing door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 Google Patents

Sliding and swing door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3635B1
KR102733635B1 KR1020230087993A KR20230087993A KR102733635B1 KR 102733635 B1 KR102733635 B1 KR 102733635B1 KR 1020230087993 A KR1020230087993 A KR 1020230087993A KR 20230087993 A KR20230087993 A KR 20230087993A KR 102733635 B1 KR102733635 B1 KR 102733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il
door
sliding door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녹하
이은혁
Original Assignee
이녹하
이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녹하, 이은혁 filed Critical 이녹하
Priority to KR1020230087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36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363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8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s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sliding bars, rod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05B11/32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with inputs from more than one sensing element; with outputs to more than one correct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상단에 배치된 수평프레임 및 양 측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 하부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단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이 배치되고 각 레일은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일측 선단부를 이루며 레일프레임에서 분리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회전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각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닫이 도어편, 상기 회전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편, 상기 수평프레임 내에 구비되고 상기 미닫이 도어편을 장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상기 미닫이 도어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부와 미닫이 도어편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자동 개폐 연동도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ing door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including a main frame including a horizontal frame arranged at the top and vertical frames on both sides, a rail frame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frame and having at least one rail arranged along a short-axis direction on the inside, each rail extending along a long-axis direction, a rotary frame forming one end of the rail frame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fram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frame, at least one sliding door piece that is slidably installed along each rail of the rail frame and moved to the rotary frame, a swing door piece that is fixedly installed to the swing frame, a driving unit that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frame and moves the sliding door piece in the long-axis direction, and a fixing member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sliding door piece and selectively connects the driving unit and the sliding door pie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frame.

Description

미닫이 여닫이 겸용 자동 개폐 연동도어 및 연동도어 자동 개폐 방법{SLIDING AND SWING DOOR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THE DOOR}Sliding and swinging door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SLIDING AND SWING DOOR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본 개시내용은 자동으로 개폐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자동 개폐 연동도어 및 연동도어 자동 개폐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utomatic opening/closing sliding door that opens/closes automatically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opening/closing the sliding door.

일반적으로, 공간의 출입구나 창 등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설치된다. 도어는 통상 여닫이 방식 또는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Typically, doors that can be opened are installed in entrances and windows of a space. Doors are usually designed to open and close in a swinging or sliding manner.

여닫이 방식 도어의 경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도어의 회전 반경에 대응되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도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이 없거나 공간적 제약이 있는 곳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미닫이 방식 도어의 경우, 도어가 이동되는 경로 상의 벽면에 도어가 위치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출입구나 창의 크기를 넓히기 힘들다.In the case of a swing door, sufficient space must be secured to correspond to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door around the rotation axis. It is difficult to use in places where there is no space to rotate the door or where there are spatial restrictions. In the case of a sliding door, sufficient area must be secured on the wall surface along the path that the door moves, so it is difficult to expand the size of the doorway or window.

이에, 종래 도어의 개폐 구조를 개선하여 여닫이 방식과 미닫이 방식이 결합된, 복합 방식의 도어가 개발되고 있다. 복합 도어는 공간 활용도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ly, a composite door is being developed that combines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conventional doors and the sliding method. Composite doors can achieve excellent results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이에, 본 출원인은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 도어를 개발한 바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제10-1946873호와 한국 등록특허 제10-2062223호는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특허 등록을 받은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를 개시하고 있다.Accordingly, the applicant has developed a sliding door and a hinged door combination interlocking door. 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1946873 and Korean Patent No. 10-2062223 disclose sliding door and hinged door combination composite doors developed and patented by the applicant.

상기한 종래의 장치들은, 도어편이 슬라이딩되도록 레일을 구비한 레일프레임과 레일프레임에서 분리되어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회전프레임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도어편이 레일프레임과 회전프레임 사이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devices have a structure in which a rail frame having a rail for sliding a door piece and a rotary frame separated from the rail frame and rotatably coupled to a main frame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door pieces are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slide between the rail frame and the rotary frame.

따라서, 레일프레임을 따라 도어편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고 닫음과 더불어 도어편을 회전프레임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회전프레임을 회전시켜 도어편을 여닫이 방식으로 열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door piece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along the rail frame, and the door piece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swinging manner by moving the door piece to the swing frame and rotating the swing frame.

최근 들어, 생활의 편의성을 보다 높이고자 하는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어, 상기한 종래의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더 많은 장점을 줄 수 있다.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greater convenience in life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so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sliding/opening/closing composite door can provide more benefits to users.

본 과제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자동 개폐 연동도어 및 연동도어 자동 개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opening/closing sliding door and an automatic opening/closing method for the sliding door.

본 과제는 도어와 구동부 사이의 분리와 결합을 보다 용이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미닫이 여닫이 겸용 자동 개폐 연동도어 및 연동도어 자동 개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ing door and a sliding door automatic opening/closing interlocking door and an automatic opening/closing method for the interlocking door, which enable separation and connection between the door and the driving unit to be made easier and more reliable.

본 구현예의 연동도어는, 상단에 배치된 수평프레임 및 양 측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 하부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단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이 배치되고 각 레일은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일측 선단부를 이루며 레일프레임에서 분리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회전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각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닫이 도어편, 상기 회전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편, 상기 수평프레임 내에 구비되고 상기 미닫이 도어편을 장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상기 미닫이 도어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부와 미닫이 도어편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locking door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ain frame including a horizontal frame arranged at the top and vertical frames on both sides, a rail frame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frame and having at least one rail arranged along a short-axis direction on the inside, each rail extending along a long-axis direction, a rotary frame forming one end of the rail frame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fram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frame, at least one sliding door piece installed so as to be slidable along each rail of the rail frame and moved to the rotary frame, a swing door piece fixedly installed to the rotary frame,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horizontal frame and for moving the sliding door piece in the long-axis direction, a fix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sliding door piece and selectively connecting the driving unit and the sliding door pie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frame.

상기 구동부는 수평프레임의 장축방향 양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풀리, 상기 풀리에 연결되어 풀리를 정역 회전시키기 위한 서보모터, 상기 한 쌍의 풀리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벨트, 상기 미닫이 도어편을 이동 및 정지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서보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driving unit may include a pair of pulleys rotatab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rizontal frame, a servo motor connected to the pulleys to rotate the pulleys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a driving belt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pulleys,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servo motor by outputting a driving signal for moving and stopping the sliding door piece.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동도어의 수평프레임에 설치되어 연동도어 앞 출입인을 검출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인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horizontal frame of the above interlocking door to detect a person entering or exiting in front of the interlocking door and apply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상기 고정구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벨트에 설치되어 구동벨트의 움직임에 따라 수평프레임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미닫이 도어편 사이 틈새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미닫이 도어편 상부로 연장되는 끼움판, 상기 미닫이 도어편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끼움판이 삽입 고정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fixture may include a moving member installed on a driving belt of the driving unit and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belt, a fitting plat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oving member and inserted through a gap between the rail frame and the sliding door piece and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piece, and a catching member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piece and into which the fitting plate is inserted and fixed.

상기 수평프레임에 장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이동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레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horizontal fram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ail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ail member formed on the above movable member and installed to be movable by being fitted into the guide rail.

상기 걸림부재는 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끼움판의 양 측단이 걸리도록 된 한 쌍의 스토퍼, 상기 스토퍼 사이에 마련되어 끼움판이 삽입되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engaging member may include a pair of stoppers that protrude upward at a gap so that both sides of the engaging plate are engaged, and a groove provided between the stoppers into which the engaging plate is inserted.

상기 고정구는 상기 끼움판 선단에서 내측으로 절단 형성되는 슬릿홀, 상기 걸림부재의 홈부에 상기 슬릿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슬릿홀로 삽입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fixture may further include a slit hole formed by cutting inwardly at the tip of the insertion plate, and a projection formed by protruding upwardly in a groove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engaging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it hole and inserted into the slit hole.

상기 끼움판은 선단 모서리 또는 슬릿홀의 선단 모서리거 원호형태로 만곡되거나 모따기되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insert plat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eading edge or leading edge of the slit hole is curved or chamfered into an arc shape.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각 스토퍼 전단에 형성되고 마주하는 측면 선단이 원호형태로 만곡되거나 모따기 되어 있어 상기 끼움판을 홈부로 안내하는 유도편을 구비한 구조일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catch member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above-mentioned stopper front ends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acing side ends are curved or chamfered in an arc shape to provide a guide member that guides the insertion plate to the groove.

상기 연동도어는,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의 각 레일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회전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여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높이를 같게 유지하는 연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linkage door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rail frame and the rotation frame to selectively connect each rail of the rail frame and the rotation frame, and prevent sagging of the rotation frame to maintain the height of the rail frame and the rotation frame the same.

상기 연결구는 상기 레일프레임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프레임의 레일과 연결되는 제1 연결구, 상기 회전프레임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구에 접하며 상기 회전프레임의 레일과 연결되는 제2 연결구,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의 마주하는 전면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구에 형성되는 단턱, 상기 단턱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2 연결구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턱에 걸쳐지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편이 상기 단턱에 걸쳐져 상기 레일프레임에 대한 회전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member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rail frame and connected to the rail of the rail frame, a second connecting member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rotary frame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connected to the rail of the rotary frame, a step formed a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between facing front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a support member protruding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 and hanging over the step, such that the support member hangs over the step to prevent sagging of the rotary frame with respect to the rail frame.

상기 제1 연결구는 전면에 상기 단턱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레일프레임 선단에 끼워지도록 레일프레임 선단의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삽입부를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프레임에 볼트로 조립되는 결속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레일프레임의 레일과 연결되는 연결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body having the step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an insertion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nd of the rail frame so as to be fitted into the end of the rail frame on the rear side, a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body and assembled to the rail frame with a bolt, and a connecting rail formed on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rail of the rail frame.

상기 제2 연결구는 전면에 상기 지지편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회전프레임 선단에 끼워지도록 회전프레임 선단의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삽입부를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에 볼트로 조립되는 결속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회전프레임의 레일과 연결되는 연결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body having the support member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an insertion membe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nd of the rotating frame so as to be fitted to the end of the rotating frame on the rear side, a fastening member formed on the body and assembled to the rotating frame with a bolt, and a connecting rail formed on the body and connected to a rail of the rotating frame.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 사이의 마주하는 전면은 상기 수평패널의 단축방향에 대해 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원호형태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The facing front surface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short axis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anel, or may be formed to be curved in an arc shape.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 사이의 마주하는 전면은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 중심을 축으로 하는 회전 반경에 대응하여 원호형태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The facing front surface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can be formed into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a radius of rotation abou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otating frame.

상기 단턱은 상기 지지편이 진입하는 입구쪽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진입로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 선단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The above step is formed with an entrance road that is inclined downwards on the entrance side where the support piece enters, thereby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tip of the support piece.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부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는 탄성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onnect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fixing member that maintains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n a closed state.

상기 탄성고정부는 서로 접하는 상기 단턱과 상기 지지편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elastic fixing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projection formed on one of the step and the support piece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one groove formed on the other one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into which the projection is secured.

상기 탄성고정부는 상기 단턱 또는 상기 지지편에 탄성적으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선단에 상기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와 홈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elastic fix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ar that is formed elastically and movably on the step or the support piece and has a protrusion or groove formed at the tip to apply elastic force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된 미닫이 도어편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member for selectively fixing the sliding door piece moved by the above rotating frame.

상기 잠금부는 상기 연결구에 설치되어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 접합시 상기 미닫이 도어편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 분리시 상기 미닫이 도어편을 고정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above locking member may be installed in the connecting member and may have a structure that releases the fixing of the sliding door piece wh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re joined, and fixes the sliding door piece wh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re separated.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 연결구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구의 연결레일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미닫이 도어편의 이동을 차단하는 걸림바, 상기 걸림바와 상기 제2 연결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바를 연결레일쪽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걸림바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구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레버, 상기 제1 연결구 전면에 상기 레버가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구와 접속시 레버를 밀어 제2 연결구의 연결레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레버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locking member may include a catch bar that is movably installed on the second connecting port and selectively protrudes inwardly from the connecting rail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 to block movement of the sliding door piece, an elastic member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catch bar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 to apply elastic force to cause the catch bar to protrude toward the connecting rail, a lever formed on a side of the catch bar and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 and a lever seat that is formed so that the lever is caught on the front of the first connecting port and moves the lever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rail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 when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 by pushing it.

상기 여닫이 도어편 및 복수의 미닫이 도어편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하는 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linkage installed between the above-mentioned swing door piece and a plurality of sliding door pieces to allow them to mov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상기 연동부는, 일측 미닫이 도어편의 하단 양측에 설치되는 풀리, 상기 풀리 사이에 체결되어 회전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풀리가 설치된 미닫이 도어편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 여닫이 도어편과 미닫이 도어편은 각각 연결구를 매개로 상기 벨트에 고정되어, 벨트 회전에 따라 같이 연동되는 구조일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linkage may include pulley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a sliding door piece, and a belt that is fastened and rotated between the pulleys, and the swing door pieces and sliding door pieces that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door piece on which the pulleys are installed may be each fixed to the belt via a connecting member, and may be structured to be linked toge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elt.

상기 수평프레임 전면에 설치되어 내부를 폐쇄하는 전면마감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horizontal frame may further include a front finishing panel installed on the front to close the interior.

상기 전면마감패널의 하단은 상기 미닫이 도어편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미닫이 도어편 사이를 가리는 구조일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above front finishing panel may be structured to extend to the sliding door piece and cover the space between the rail frame and the sliding door piece.

본 구현예의 연동도어 자동 개폐 방법은, 도어 개방 신호 발생시 구동부가 작동되어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 도어의 개방량이 기준값 이상인지를 검출하는 단계, 도어의 개방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구동을 정지하고 대기하는 단계, 추가 개방 신호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추가 개방 신호 발생시 구동부가 구동되어 도어를 추가 개방하고 구동부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 도어 폐쇄 신호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도어 폐쇄 신호 발생시 구동부가 작동되어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 도어의 폐쇄량이 기준값 이상인지를 검출하여 기준값 이상인 경우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opening/closing method for a linked door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tep of operating a driving unit to open the door when a door opening signal is generated, a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door opening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and waiting if the door opening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a step of detecting whether an additional opening signal is generated, a step of operating the driving unit to additionally open the door when the additional opening signal is generated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 step of detecting whether a door closing signal is generated, a step of operating the driving unit to close the door when the door closing signal is generated, and a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door closing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nd terminating the operation if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본 구현예의 방법은, 도어 폐쇄시 인체 감지 여부 및 도어 개방 신호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인체 감지 또는 도어 개방 신호 발생시 구동부를 작동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detecting whether a human body is detected and whether a door opening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door is closed, and a step of operating a driving unit to open the door when a human body is detected or a door opening signal is generated.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여닫이와 미닫이 겸용 연동도어를 자동으로 개폐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mplementation example, a sliding and swing door can be implemented to open and close automatically, making it more convenient to use.

연동도어 회전 개폐시에는 구동부의 작동을 중지시켜 고정구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고정구의 끼움판과 걸림부재 사이의 체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어져 작동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When the interlocking door rotates to open or close,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is stopp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fixture, thereby ensuring accurate fastening between the fixture's insertion plate and the engaging member, thereby increasing operational reliability.

도어의 끼움판 위치가 조금 어긋나더라도 걸림부재에 제대로 끼워져 결속이 이루어짐 으로써, 작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Even if the door's insertion plate is slightly misaligned, it can prevent malfunction by properly inserting it into the catch member and forming a fastening.

고정구의 이동부재가 수평프레임의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안내됨으로써, 이동부재의 유동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도어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게 된다.Since the movable member of the fixture is guided by being joined to the guide rail of the horizontal frame, th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is minimized and the door can be slide stably.

구조가 단순하고, 수평프레임 내에 간단히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It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within a horizontal frame, making it easy to maintain.

도어의 전체적인 외관을 보다 깔끔하고 세련되게 형성하여, 제품의 고급스러움을 높일 수 있게 된다.By mak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door neater and more sophisticated, the product's luxurious appearance can be enhanc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여닫이 겸용 자동 개폐 연동도어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 도어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 도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라 연동도어 자동 개폐를 위한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동도어 자동 개폐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동도어 자동 개폐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drawing illustrating a sliding/opening/closing automatic opening/closing interlock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sliding/opening/closing combination interlock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liding/opening/closing interlock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s 4 and 5 are schematic drawings showing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6 is a schematic drawing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7 is a drawing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riving unit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a linkage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8 is a schematic drawing illustrating a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9 is a schematic draw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10 is a schematic drawing for explaining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interlock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11 is a schematic flowchart showing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interlock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se are presented as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possible, identical or similar parts are indica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below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used herein include th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word "comprising,"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specifies particular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bu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particular feature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or group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이하 설명에서, 도어편은 도어를 개폐하는 개별 단위의 문짝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미닫이 도어편은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도어편을 지칭하고, 여닫이 도어편은 회전되어 개폐되는 도어편을 지칭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oor piece may refer to an individual door leaf that opens and closes the door. In addition, a sliding door piece refers to a door piece that opens and closes by sliding, and a swing door piece refers to a door piece that opens and closes by rotating.

본 실시예는 하나의 여닫이 도어편에 두 개의 미닫이 도어편이 구비된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 또는 3개 이상의 미닫이 도어편이 구비된 구조 역시 적용 가능하다.This embodiment describes a structure in which two sliding door pieces are provided on one swing door piece as an example.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tructure in which one or three or more sliding door pieces are provided is also applicable.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여닫이 겸용 연동도어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Figures 1 to 3 illustrate the configuration of a sliding/opening/closing interlock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y축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하고, y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상 또는 상부라 하고 아래쪽을 하 또는 하부라 한다. 또한, 단축방향이라 함은 직교좌표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쪽으로 도 1에서 z축 방향을 의미하며, 장축방향이라 함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쪽으로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below, the y-axis direction in Fig. 1 is referred to as the up-down direction, the upper part along the y-axis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upper part or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s referred to as the lower part or the lower part. In addition, the short-axis direction refers to the z-axis direction in Fig. 1, which is a relatively short side in rectangular coordinates, and the major-axis direction refers to the x-axis direction, which is a relatively long side.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 도어(100)는 메인프레임(10), 레일프레임(15), 회전프레임(17), 미닫이 도어편(20), 여닫이 도어편(23), 연동 도어 자동 개폐를 위해 미닫이 도어편(20)을 장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30), 구동부(30)와 미닫이 도어편(20)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고정구(40)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interlocking door (100) may include a main frame (10), a rail frame (15), a rotating frame (17), a sliding door piece (20), a swing door piece (23), a driving unit (30) for moving the sliding door piece (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terlocking door, and a fixing member (40)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driving unit (30) and the sliding door piece (20).

또한, 레일프레임(15)과 회전프레임(17)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nnecting member (60) installed between the rail frame (15) and the rotating frame (17) may be further included.

메인프레임(10)은 외측 뼈대를 이루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 구조물로, 상단을 이루는 수평프레임(11) 및 양 측단을 이루는 수직프레임(13)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의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메인프레임(10)은 하단을 이루는 바닥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하여 격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The main frame (10) is a square frame structure forming an outer skeleton, and may include a horizontal frame (11) forming the top and a vertical frame (13) forming both side ends. The size of the main frame (10) may be varied. The main frame (10) may further include a floor frame (not shown) forming the bottom to form a lattice shape.

상단의 수평프레임(11)은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수평프레임(10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도어 자동 개폐를 위한 구동부(30)가 설치될 수 있다.The horizontal frame (11) at the top has an open front and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inside. A driving unit (30) for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can be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horizontal frame (100).

본 실시예의 연동도어는, 외관이 보다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11) 전면에는 수평프레임(11) 내부 공간을 가려주는 전면마감패널(14)이 구비될 수 있다.The interlocking door of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front finishing panel (14) on the front of the horizontal frame (11) to cover the internal space of the horizontal frame (11) so that the exterior can look neater.

전면마감패널(14)을 수평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필요시 전면마감패널(14)을 개방하여 수평프레임(11)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30) 또는 고정구(40)를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다.The front finishing panel (14) is installe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horizontal frame. Accordingly, when necessary, the front finishing panel (14) can be opened to easily repair the driving unit (30) or fixture (40) installed inside the horizontal frame (11).

전면마감패널(14)은 하단이 미닫이 도어편(20)까지 연장되어 레일프레임(15)과 미닫이 도어편(20) 사이의 틈새를 가리는 구조일 수 있다.The front finishing panel (14)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part extends to the sliding door piece (20) to cover the gap between the rail frame (15) and the sliding door piece (20).

이에, 전면마감패널(14)에 의해 개방된 수평프레임(11) 전면이 폐쇄됨과 더불어 레일프레임(15)과 미닫이 도어편(20) 사이 틈새가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30)는 물론 구동부(30)와 미닫이 도어편(20)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구(40)가 전면마감패널(14)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도어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하여 미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front of the horizontal frame (11) opened by the front finishing panel (14) is closed, and the gap between the rail frame (15) and the sliding door piece (20) is covered. Accordingly, the driving unit (30) as well as the fixing member (40) connecting the driving unit (30) and the sliding door piece (20) are covered by the front finishing panel (14), so that the exterior of the door is kept neat and the aesthetic appeal is enhanced.

수평프레임(11)의 하부에 레일프레임(15)이 설치될 수 있다. 레일프레임(15)은 복수개의 미닫이 도어편(20)을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한다.A rail frame (15) can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frame (11). The rail frame (15) supports a plurality of sliding door pieces (20) so as to be able to slide.

레일프레임(15)은 단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16)이 배열 형성되고, 각 레일(16)은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미닫이 도어편(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두 개의 레일(16)이 단축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The rail frame (15) is formed by arranging at least one rail (16) along the short axis direction, and each rail (16) has a structure extending along the long axis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wo rails (16) are arranged along the short axis direction so that two sliding door pieces (20) can be installed.

미닫이 도어편(20) 상단에는 레일프레임(15)의 레일(16)에 놓여져 레일(16)을 따라 구르는 휠(24)이 설치된다. 이에, 미닫이 도어편(20)은 휠(24)을 매개로 레일(16)에 걸쳐져 지지된 상태로 레일(16)을 따라 휠(24)이 구르면서 장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 wheel (24)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liding door piece (20) and is placed on the rail (16) of the rail frame (15) and rolls along the rail (16). Accordingly, the sliding door piece (20)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rolling along the rail (16) while being supported by being hung on the rail (16) via the wheel (24).

레일프레임(15)은 일측 선단부가 절단되어 레일프레임(15)과 분리된 회전프레임(17)을 이룬다. 회전프레임(17)은 레일프레임(15)의 일측 선단부를 이루며 메인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이를 위해, 수직프레임(13) 또는 수평프레임(11)에는 회전축(19)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프레임(17)은 회전축(32)에 축결합되어 회전축(19)를 매개로 회전된다.The rail frame (15) is formed by cutting off one end portion of the rail frame (15) to form a rotating frame (17) separated from the rail frame (15). The rotating frame (17) forms one end portion of the rail frame (15) and is rotatably axially coupled to the main frame (10). For this purpose, a rotating shaft (19) may be installed in the vertical frame (13) or the horizontal frame (11). The rotating frame (17) is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32) and rotates via the rotating shaft (19).

회전프레임(17)은 레일프레임(15)에서 분리된 일부분으로, 레일프레임(15)과 동일하게 레일(18)이 형성된다. 레일프레임(15)과 회전프레임(17) 사이에 설치된 연결구(60)는 레일프레임(15)과 회전프레임(17)의 각 레일(16,18)을 연결한다. 이에, 회전프레임(17)이 레일프레임(15)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면 레일프레임(15)의 레일(16)과 회전프레임(17)의 레일(18) 역시 어긋나지 않고 서로 일직선상으로 배열된다. The rotating frame (17) is a part separated from the rail frame (15), and the rail (18)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ail frame (15). The connecting member (60) installed between the rail frame (15) and the rotating frame (17) connects each rail (16, 18) of the rail frame (15) and the rotating frame (17). Accordingly, when the rotating frame (17) and the rail frame (15)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the rail (16) of the rail frame (15) and the rail (18) of the rotating frame (17) are also arranged in a straight line without misalignment.

연결구(60)는 회전프레임(17)과 레일프레임(15) 사이에서 각 레일(16,18)을 연결한다. 따라서, 미닫이 도어편(20)이 이동되면, 미닫이 도어편(20)의 휠(24)이 연결구(60)를 매개로 연결된 레일(21,31)을 따라 레일프레임(15)에서 회전프레임(17)으로 원활하게 구르게 된다. 이에, 미닫이 도어편(20)을 레일프레임(15)과 회전프레임(17)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ng member (60) connects each rail (16, 18) between the rotating frame (17) and the rail frame (15). Therefore, when the sliding door piece (20) is moved, the wheel (24) of the sliding door piece (20) rolls smoothly from the rail frame (15) to the rotating frame (17) along the rail (21, 31) connected via the connecting member (60). Accordingly, the sliding door piece (20) can be moved between the rail frame (15) and the rotating frame (17).

여닫이 도어편(23)은 도 1에서 단축방향인 z축 방향을 따라 가장 외측에 배치된다. 여닫이 도어편(23)은 회전프레임(17)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회전프레임(17) 회전시 같이 회전되어 개폐된다. 여닫이 도어편(23)은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된 회전축(19)에 축 결합된다.The swing door piece (23) is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along the z-axis direction, which is the short-axis direction in Fig. 1. The swing door piece (23)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rotating frame (17). Accordingly, it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ng frame (17) to open and close. The swing door piece (23) is axial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9)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0).

미닫이 도어편(20)은 도 1에서 장축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미닫이 도어편(20)이 구비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닫이 도어편(23)에 이웃한 미닫이 도어편(20)을 중간 도어편(21)이라 하고, 그 외측에 배치된 미닫이 도어편(20)을 외측 도어편(22)이라 한다. 미닫이 도어편(20)이라 함은 중간 도어편(21)과 외측 도어편(22) 두 개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The sliding door piece (20) is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along the x-axis direction, which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Fig. 1. In this embodiment, two sliding door pieces (20) are provid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liding door piece (20) adjacent to the opening/closing door piece (23) is referred to as the middle door piece (21), and the sliding door piece (20) arranged on the outside thereof is referred to as the outer door piece (22). The sliding door piece (20) may refer to both the middle door piece (21) and the outer door piece (22).

본 실시예에서, 각 도어편 하단에는 두 개의 미닫이 도어편(20)과 여닫이 도어편(23)을 연동시켜 움직이도록 하는 연동부가 설치될 수 있다. 연동이라 함은 한쪽 미닫이 도어편을 움직이면 전체 미닫이 도어편이 완전히 펼쳐지거나 서로 겹쳐지도록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연동부는 이미 알려진 구조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a linkage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each door piece to link and move the two sliding door pieces (20) and the swing door piece (23). Linkage may mean that when one sliding door piece is moved, the entire sliding door piece moves in the same direction so as to be fully opened or overlapped. The linkage is a structure that is already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본 실시예의 연동 도어(100)는 레일프레임(15)에 대해 미닫이 도어편(20)을 슬라이딩시켜 도어를 개방하거나, 미닫이 도어편(20)을 모두 회전프레임(17)으로 이동시키고 회전축(19)을 중심으로 회전프레임(17)을 회전시켜 도어 전체를 개방할 수 있다.The interlocking door (100) of this embodiment can be opened by sliding the sliding door piece (20) against the rail frame (15), or by moving the entire sliding door piece (20) to the rotary frame (17) and rotating the rotary frame (17) around the rotary axis (19) to open the entire door.

레일프레임(15)과 회전프레임(17) 사이의 마주하는 선단에 연결구(60)가 설치된다. 연결구(60)는 레일프레임(15)과 회전프레임(17) 사이에 설치되어 레일프레임(15)과 회전프레임(17)의 각 레일(16,18)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회전프레임(17)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A connecting member (60) is installed at the facing end between the rail frame (15) and the rotating frame (17). The connecting member (60) is installed between the rail frame (15) and the rotating frame (17) to selectively connect each rail (16, 18) of the rail frame (15) and the rotating frame (17), and prevents the rotating frame (17) from sagging.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연결구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본 실시예의 연결구(60)는 레일프레임(15)의 선단에 설치되며 레일프레임(15)의 레일(16)과 연결되는 제1 연결구(61), 회전프레임(17) 선단에 설치되어 제1 연결구(61)에 접하며 회전프레임(17)의 레일(18)과 연결되는 제2 연결구(62),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의 마주하는 전면 사이에서 제1 연결구(61)에 형성되는 단턱(63), 단턱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2 연결구(62)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단턱에 걸쳐지는 지지편(64)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6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member (61)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rail frame (15) and connected to the rail (16) of the rail frame (15), a second connecting member (62)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rotary frame (17)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connected to the rail (18) of the rotary frame (17), a step (63) formed a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between the facing front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and a support member (64) formed protruding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 and spanning the step.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는 각각 분리된 별개의 구성부를 이룬다.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의 크기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62) each form separate, distinct components. The size and shap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62)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제 1 연결구(60)는 레일프레임(15) 선단에 고정 설치되어, 레일프레임(15)의 선단부를 이룬다. 제2 연결구(62)는 회전프레임(17) 선단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프레임(17)의 선단부를 이루며 회전프레임(17)과 같이 움직인다. 회전프레임(17)의 회전에 따라 레일프레임(15)에 고정된 제1 연결구(61)에 제2 연결구(62)가 이동되어 서로 맞물리거나 이격되어 분리된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60) is fixedly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rail frame (15) and forms the front end of the rail frame (15).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is fixedly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rotary frame (17) and forms the front end of the rotary frame (17) and moves together with the rotary frame (17). As the rotary frame (17) rotates,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moves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fixed to the rail frame (15) and engages with each other or separates and is separated.

제1 연결구(61)는 전면에 단턱(63)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레일프레임(15) 선단에 끼워지도록 레일프레임(15) 선단의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삽입부(67)를 구비한 몸체(65)와, 몸체(65)에 형성되어 레일프레임(15)에 볼트로 조립되는 결속부(69), 몸체(65)에 형성되어 레일프레임(15)의 레일과 연결되는 연결레일(7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may include a body (65) having a step (63) formed on the front and an insertion portion (67) formed on the rear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nd of the rail frame (15)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rail frame (15), a fastening portion (69) formed on the body (65) and assembled to the rail frame (15) with a bolt, and a connecting rail (71) formed on the body (65) and connected to the rail of the rail frame (15).

삽입부(67)는 레일프레임(15)의 선단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구(61)는 몸체(65)에 형성된 삽입부(67)에 레일프레임(15)의 선단이 끼워짐으로써 레일프레임(15)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미닫이 도어편(20)의 휠(24)이 연결레일(71)을 지나는 과정에서 미닫이 도어편(20)의 하중을 연결레일이 충분히 지탱할 수 있게 된다. 결속부(69)는 예를 들어,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레일프레임(15)과 너트 사이를 볼트로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몸체(65)에 형성되는 연결레일(71)은 레일프레임(15)에 형성되는 레일(16)과 같은 개수 및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레일프레임(15)의 레일(16)과 일직선상으로 연결된다. 이에, 미닫이 프레임의 휠(24)이 레일프레임(15)의 레일(16)과 제1 연결구(61)의 연결레일(71)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67)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ront end of the rail frame (15). The first connecting port (61) may be firmly connected to the rail frame (15) by having the front end of the rail frame (15) fit into the insertion portion (67) formed in the body (65). Accordingly, the wheel (24) of the sliding door piece (20) may pass over the connecting rail (71) so that the connecting rail can sufficiently support the load of the sliding door piece (20). The fastening portion (69) may be, 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a nut to which a bolt is fastened is integrally formed, and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nut is fastened by passing through the rail frame (15) and fixed with a bolt. The connecting rails (71) formed in the body (65) are formed in the same number and at the same positions as the rails (16) formed in the rail frame (15) and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rails (16) of the rail frame (15). Accordingly, the wheel (24) of the sliding frame can move smoothly along the rail (16) of the rail frame (15) and the connecting rail (71)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제2 연결구(62)는 전면에 지지편(64)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회전프레임(17) 선단에 끼워지도록 회전프레임(17) 선단의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삽입부(68)를 구비한 몸체(66)와, 몸체(66)에 형성되어 회전프레임(17)에 볼트로 조립되는 결속부(70), 몸체(66)에 형성되어 회전프레임(17)의 레일(18)과 연결되는 연결레일(7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may include a body (66) having a support member (64)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an insertion member (68)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nd of the rotating frame (17) so as to be fitted to the end of the rotating frame (17) on the rear side, a fastening member (70) formed on the body (66) and assembled to the rotating frame (17) with a bolt, and a connecting rail (72) formed on the body (66) and connected to the rail (18) of the rotating frame (17).

제2 연결구(62) 또한, 삽입부(68)는 회전프레임(17)의 선단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구(62)는 몸체(66)에 형성된 삽입부(68)에 회전프레임(17)의 선단이 끼워짐으로써 회전프레임(17)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미닫이 도어편(20)의 휠(24)이 연결레일(72)을 지나는 과정에서 미닫이 도어편(20)의 하중을 연결레일이 충분히 지탱할 수 있게 된다. 결속부(70)는 예를 들어,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회전프레임(17)과 너트 사이를 볼트로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몸체(66)에 형성되는 연결레일(72)은 회전프레임(17)에 형성되는 레일(18)과 같은 개수 및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회전프레임(17)의 레일(18)과 일직선상으로 연결된다. 이에, 미닫이 프레임의 휠(24)이 회전프레임(17)의 레일(18)과 제2 연결구(62)의 연결레일(72)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and the insertion member (68) may also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ip end of the rotating frame (17).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may be firmly connected to the rotating frame (17) by having the tip end of the rotating frame (17) fit into the insertion member (68) formed in the body (66). Accordingly, the load of the sliding door member (20)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by the connecting rail (72) in the process in which the wheel (24) of the sliding door member (20) passes over the connecting rail. The fastening member (7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for example, a nut to which a bolt is fastened is inserted and fixed by a bolt between the rotating frame (17) and the nut. The connecting rails (72) formed in the body (66) are formed in the same number and at the same positions as the rails (18) formed in the rotating frame (17) and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rails (18) of the rotating frame (17). Accordingly, the wheel (24) of the sliding frame can move smoothly along the rail (18) of the rotating frame (17) and the connecting rail (72)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본 실시예에서, 회전프레임(17)의 회전에 따라 제2 연결구(62)는 제1 연결구(61)에 접하거나, 제1 연결구(61)에서 이격된다. 이에,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 사이의 마주하는 전면은 회전프레임(17)의 회전에 따라 서로 접하거나 분리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o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frame (17). Accordingly, the facing front surfaces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come into contact with o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frame (17).

회전프레임(17)에 설치되는 제2 연결구(62)와 레일프레임(15)에 설치되는 제1 연결구(61)은 단축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있어, 회전프레임(17)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서로 접하고 있는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 간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결구(60)는 제1 연결구(61)와 제2 연결구(62) 전면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1 연결구(61)와 제2 연결구(62) 사이의 마주하는 전면은 원호형태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구(61)와 제2 연결구(62)의 마주하는 전면은 회전프레임(17)의 회전축(19)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반경(R)에 대응되는 곡률 반경으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installed in the rotating frame (17)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installed in the rail frame (15)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short-axis direction, so that inter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ring the process of rotating the rotating frame (17). The connecting member (6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tructured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To this end, the facing front surfaces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may be formed to have a curved shape. For example, the facing front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radius corresponding to the radius of rotation (R) centered on the rotation axis (19) of the rotating frame (17).

상기한 구조 외에, 제1 연결구과 제2 연결구 사이의 마주하는 전면은 수평프레임의 단축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structure, the facing front surface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can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hort axis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이에, 여닫이 도어편(23) 개방으로 회전프레임(17)이 회전축(19)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프레임(17)에 설치된 제2 연결구(62)의 전면이 레일프레임(15)에 설치된 제1 연결구(61)의 전면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여닫이 도어편(23)을 닫는 경우에도 역시, 제2 연결구(62)가 제1 연결구(61)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구(61)와 제2 연결구(62)의 전면이 서로 가깝게 배치되더라도 서로 간섭없이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rotary frame (17) is rotated around the rotary axis (19) by opening the door panel (23), the front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 (62) installed on the rotary frame (17) can rotate smoothly without being caught by the front of the first connecting port (61) installed on the rail frame (15). Even when the door panel (23) is closed, the second connecting port (62) can rotate smoothly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irst connecting port (61). Accordingly, even if the fronts of the first connecting port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 (62) are arranged close to each other, they can be separated or combined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또한,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의 전면을 최대한 근접하여 밀착시킬 수 있어, 연결레일(71,72)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고, 미닫이 도어편(20)을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62)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as closely as possible, thereby minimizing the gap between the connecting rails (71, 72), and enabling the sliding door piece (20) to move more smoothly and smoothly.

본 실시예의 연결구(60)는 제1 연결구(61)와 제2 연결구(62) 사이가 단턱(63)과 지지편(64)으로 결합되어 회전프레임(17)이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턱(63)은 제1 연결구(61) 전면에 단축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지지편(64)은 단턱(63)에 걸쳐질 수 있도록 제2 연결구(62) 전면에 돌출 형성된다.The connecting member (60) of this embodiment can prevent the rotating frame (17) from sagging due to its own weight by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with a step (63) and a support member (64). The step (63) can be continuously formed by recessing along the short axis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The support member (64)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so that it can be hung over the step (63).

이에, 회전프레임(17)의 회전에 따라 제2 연결구(62)가 제1 연결구(61)에 접하게 되면 제2 연결구(62)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편(64)이 제1 연결구(61)의 단턱(63) 상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지지편(64)은 단턱(63) 상에 걸쳐지면서 제2 연결구(62)가 제1 연결구(61)에 받쳐져 지지된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s the rotating frame (17) rotates, the supporting member (64)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moves onto the step (63)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ccordingly, the supporting member (64) hangs over the step (63)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is supported b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제2 연결구(62)가 설치된 회전프레임(17)은 회전축(19)에 의해서만 지지된 상태로, 자유단인 제2 연결구(62)가 설치된 선단쪽은 자중에 의해 처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단턱(63)에 지지편(64)을 매개로 회전프레임(17)의 자유단이 제1 연결구(61)에 받쳐 지지됨으로써, 회전프레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rotary frame (17) on which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is installed is supported only by the rotary shaft (19), and the free end, the tip end wher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is installed, can sag due to its own weight.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free end of the rotary frame (17) is supported b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via the support piece (64) on the step (63), thereby preventing the sagging of the rotary frame.

즉, 여닫이 도어편(23)이 닫혀지면 회전프레임(17)에 설치된 제2 연결구(62)의 지지편(64)이 제2 연결구(62)의 단턱(63)으로 이동된다. 지지편(64)은 단턱(63)에 받쳐져 지지된다. 이에, 제2 연결구(62)가 설치된 회전프레임(17)이 아래로 쳐지지 않고 레일프레임(15)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하게 된다. 레일프레임(15)의 레일(16)과 회전프레임(17)의 레일(18)이 동일한 높이로 연결되어 단차가 발생되지 않는다. That is, when the swing door piece (23) is closed, the support piece (64)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installed in the rotating frame (17) moves to the step (63)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The support piece (64) is supported by being supported by the step (63). Accordingly, the rotating frame (17) on which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is installed does not sag down and is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ail frame (15). The rail (16) of the rail frame (15) and the rail (18) of the rotating frame (17) are connected at the same height, so that no step occurs.

이와 같이, 제1 연결구(61)의 단턱(63)에 제2 연결구(62)의 지지편(64)이 걸쳐져 지지됨으로써, 제1 연결구(61)이 설치된 레일프레임(15)에 대해 제2 연결구(62)가 설치된 회전프레임(17)이 밑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제2 연결구(62)가 밑으로 처지지 않아 제1 연결구(61)의 연결레일(71)과 제2 연결구(62)의 안내레일(72)의 높이는 서로 일치되고,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by supporting the support piece (64)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62) by hanging over the step (63)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1), the rotary frame (17) on which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62) is installed can be prevented from sagging downwards with respect to the rail frame (15) on which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1) is installed. Accordingly, since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62) does not sag downwards, the heights of the connection rail (71)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61) and the guide rail (72)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62) are matched with each other, and that state can be maintained.

따라서, 분리되어 있는 레일프레임(15)의 레일(16)과 회전프레임(17)의 레일(18) 사이 및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의 연결레일(71,72)사이에서 미닫이 도어편(20)의 휠(24)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미닫이 도어편(20)이 어느 한 곳에 걸리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딩하여 개폐 구동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wheel (24) of the sliding door piece (20) can move smoothly and smoothly between the rail (16) of the separated rail frame (15) and the rail (18) of the rotating frame (17) and between the connecting rails (71, 72)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Accordingly, the sliding door piece (20) can be opened and closed more easily by sliding without being caught in any one place.

또한, 단턱(63)은 지지편(64)이 진입하는 입구쪽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진입로(73)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63)에 지지되는 지지편(64) 역시 단턱(63)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편(64)은 단턱(63)의 진입로(73)에 대응되는 부분은 진입로의 형태와 같이 두께가 점차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단턱(63)에 진입로(73)가 형성되더라도 지지편(64)은 단턱(63) 상에 긴밀하게 밀착 지지된다. In addition, the step (63) may be formed with an entrance (73) that is formed to slope downwards on the entrance side where the support piece (64) enters. The support piece (64) supported on the step (63) may also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tep (63). That is, the support piece (64)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that gradually increases in the same manner as the shape of the entrance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73) of the step (63). Accordingly, even if the entrance (73) is formed on the step (63), the support piece (64) is closely supported on the step (63).

이와 같이, 단턱(63)으로 이동되는 지지편(64) 선단의 상하 두께보다 단턱(63)의 진입로(73) 높이가 충분히 커, 회전프레임(17)의 자중에 의해 지지편(64)이 밑으로 처진 경우에도 지지편(64) 선단이 단턱(63)과 간섭되지 않고 단턱(63) 위로 이동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height of the entryway (73) of the step (63) is sufficiently greater than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 of the tip of the support piece (64) moving to the step (63), so that even if the support piece (64) droops down due to the weight of the rotating frame (17), the tip of the support piece (64) can move over the step (63)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step (63).

따라서, 회전프레임(17) 회전에 따라 제2 연결구(62)가 제1 연결구(61)로 이동되어 접하는 과정에서 지지편(64) 선단이 단턱(63)에 걸리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단턱(63) 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as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moves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frame (17), the end of the support piece (64) can move more smoothly over the step (63) without being caught on the step (63) during the process of coming into contact with it.

본 실시예의 연결구(60)는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는 탄성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고정부는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를 탄성적으로 고정하여 서로 간에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connecting member (6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fixing member that keeps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in a closed state. The elastic fixing member elastically fixes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to prevent them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탄성고정부는 서로 접하는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의 전면 일측에 쌍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구(60)는 제2 연결구(62)의 지지편(64)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74), 제1 연결구(61)의 단턱(63) 상에 탄력적으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선단에는 상기 돌기(74)가 안착되는 홈(76)이 형성된 탄성바(75)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74)와 홈(76)의 형성 위치 및 그 형성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돌기(74)는 지지편(64)의 하단에 단턱(63)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홈(76)은,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돌기(7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바(76)는 단턱(63) 부분의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바(75)의 선단에 상부를 향해 홈(76)이 형성된다.The elastic fixing member may be formed as a pair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member (60) may include a protrusion (74) that is formed protrudingly on the supporting member (64)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and an elastic bar (75) that is formed so as to be elastically and movably on the step (63)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has a groove (76) formed at the tip in which the protrusion (74) is secured. The formation positions and numbers of the protrusions (74) and the grooves (76) may be variously modified. The protrusion (74) may be formed protrudingly toward the step (63)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64). The groove (76)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74) wh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the elastic bar (76) can be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at the protrusion (63). A groove (76) is formed toward the top at the tip of the elastic bar (75).

이에, 회전프레임(17)이 완전히 닫혀 지면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가 결합되면서 지지편(64)에 형성된 돌기(74)가 단턱(63)의 탄성바(75)에 형성된 홈(76)에 안착된다. 홈(76)이 형성된 탄성바(75)는 돌기(74)가 홈(76)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탄력적으로 휘면서 홈(76)에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홈(76)이 돌기(74)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제1 연결구(61)에 제2 연결구(62)가 고정된다.Accordingly, when the rotating frame (17) is completely close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are combined, and the protrusion (74) formed on the supporting member (64) is seated in the groove (76) formed on the elastic bar (75) of the step (63). The elastic bar (75) in which the groove (76) is formed is elastically bent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 protrusion (74) is seated in the groove (76), thereby applying elastic force to the groove (76). Accordingly,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s the groove (76) is elastically pressed against the protrusion (74).

이와 같이, 홈(76)이 탄력적으로 돌기(74)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적당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연결구(61)에 제2 연결구(62)가 고정되어 여닫이 도어가 쉽게 회전되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home (76) elastically fixes the protrusion (74),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can remain fixed even when an appropriat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Accordingly,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thereby preventing the swing door from being easily rotated and opened.

반대로, 회전프레임(17)이 닫혀진 상태에서 여닫이 도어에 외력을 가해주게 되면 회전프레임(17)이 회전되면서 여닫이 도어가 개방된다. 탄성바의 탄성복귀력 이상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돌기는 홈에서 이탈된다. 탄성바는 돌기가 홈에서 이탈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었다 복귀된다. 이와 같이, 여닫이 도어를 이루는 회전프레임(17)을 간단하게 닫힌 상태로 고정할 수 있고, 외력을 가해주게 되면 회전프레임(17)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간편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wing door while the rotating frame (17) is closed, the swing door opens as the rotating frame (17) rotates. When an external force exceeding the elastic return force of the elastic bar is applied, the protrusion is released from the groove. The elastic bar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n returned in the process of the protrusion being released from the groove. In this way, the rotating frame (17) forming the swing door can be easily fixed in a closed state,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fixed state of the rotating frame (17) is released so that the door can be easily opened.

본 실시예의 연결구(60)는 회전프레임(17)으로 이동된 미닫이 도어편(20)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잠금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6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member (80) that selectively secures the sliding door piece (20) moved to the rotating frame (17).

잠금부(80)는 회전프레임(17)이 회전 개방된 상태에서는 미닫이 도어편(20)을 고정하여 이동되지 않도록 하고, 회전프레임(17)이 완전히 닫혀지게 되면 미닫이 도어편(2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다.The locking member (80) fixes the sliding door piece (20) so that it does not move when the rotating frame (17) is in the rotationally open state, and releases the fixed state of the sliding door piece (20) when the rotating frame (17) is completely closed.

본 실시예에서 잠금부는 연결구(60)에 설치되어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 접합시 미닫이 도어편(20)의 고정을 자동으로 해제하고 제1 연결구(61)과 제2 연결구(62) 분리시 미닫이 도어편(20)을 자동으로 고정하는 구조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locking member may be installed in the connecting member (60) to automatically release the fixing of the sliding door member (20) wh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are joined, and to automatically fix the sliding door member (20) wh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are separated.

이와 같이, 잠금부(80)가 연결구(60) 내부에 구성됨으로써, 연결구(60) 외관이나 레일프레임(15)과 회전프레임(17) 외관을 보다 깔끔하고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프레임(17)의 닫힘과 열림에 따라 미닫이 도어편(20)의 고정과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 실수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since the locking part (80) is formed inside the connecting part (60), the exterior of the connecting part (60) or the exterior of the rail frame (15) and the rotating frame (17) can be formed more neatly and beautifully. In addition, since the sliding door part (20) is automatically fixed and released according to the closing and opening of the rotating frame (17), i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and accidents due to user error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를 위해, 잠금부(80)는 제2 연결구(6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연결구(62)의 연결레일(72)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미닫이 도어편(20)의 이동을 차단하는 걸림바(81), 걸림바(81)와 제2 연결구(62) 사이에 설치되어 걸림바(81)를 연결레일쪽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82), 걸림바(81) 측면에 형성되고 제2 연결구(62)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레버(83), 제1 연결구(61) 전면에 레버(83)가 걸리도록 형성되어 제2 연결구(62)와 접속시 레버(83)를 밀어 제2 연결구(62)의 연결레일 밖으로 이동시키는 레버시트(84)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locking member (80) may include a catch bar (81) that is movably installed in the second connecting port (62) and selectively protrudes inwardly from the connecting rail (72)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 (62) to block movement of the sliding door piece (20), an elastic member (82)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catch bar (8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 (62) to apply elastic force to cause the catch bar (81) to protrude toward the connecting rail, a lever (83) tha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atch bar (81) and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 (62), and a lever seat (84) that is formed so that the lever (83) is caught on the front of the first connecting port (61) and pushes the lever (83) to move it out of the connecting rail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 (62) when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 (62).

걸림바(81)의 외측에는 걸림바(81)를 포함한 잠금부(80)의 구성부를 감싸며 제1 연결구(61)에 결합되는 커버(86)가 더 설치될 수 있다.On the outside of the catch bar (81), a cover (86) that surrounds the components of the locking part (80) including the catch bar (81)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 (61) may be further installed.

이에, 제1 연결구(61)에 대해 제2 연결구(62)가 이동되면서 제1 연결구(61)의 레버시트(84)에 레버(83)가 밀리거나, 탄성부재(82)에 의한 탄성복귀력에 의해 걸림바(81)가 이동된다. 따라서, 걸림바(81)는 연결레일쪽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미닫이 도어편(2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connection (62) is moved relative to the first connection (61), the lever (83) is pushed against the lever seat (84) of the first connection (61), or the catch bar (81) is moved by the elastic return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2). Accordingly, the catch bar (81) is selectively moved toward the connection rail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sliding door piece (20).

본 실시예의 잠금부(80)는 걸림바(81)가 미닫이 도어편(20) 중 중간 도어편(21)이 이동하는 안내레일(72) 쪽으로 돌출되어 중간 도어편(21)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조일 수 있다. The locking part (8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catch bar (81) protrudes toward a guide rail (72) along which the middle door part (21) of the sliding door parts (20) moves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iddle door part (21).

미닫이 도어편(20)은 서로 연동되어 움직이므로, 중간 도어편(21)만을 고정하더라도 이에 연동된 외측 도어편(22) 역시 움직일 수 없어, 미닫이 도어편(20) 전체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sliding door pieces (20) mov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even if only the middle door piece (21) is fixed, the outer door piece (22) linked to it cannot move either, so the entire sliding door piece (20) can be fixed.

잠금부(80)는 단축방향을 따라 여닫이 도어편(23)이 위치한 쪽에 구비될 수 있다. 여닫이 도어편(23)에 이웃하여 중간 도어편(21)이 위치하므로, 걸림바(81)는 단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중간 도어편(21)이 지나는 연결레일(72)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연결레일(72)의 측면에는 걸림바(81)가 나오는 구멍(87)이 관통 형성된다. 걸림바(81)는 구멍(87)을 통해 연결레일(72) 내측으로 돌출되어 중간 도어편(21)의 휠(24)을 차단하는 스토퍼로 작용한다.The locking part (8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where the swing door piece (23) is located along the short axis direction. Since the middle door piece (21) is located adjacent to the swing door piece (23), the catch bar (81)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arranged in the short axis direction and protrude in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rail (72) through which the middle door piece (21) passes. A hole (87) through which the catch bar (81) comes out is formed through the side of the connecting rail (72). The catch bar (81) protrudes in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rail (72) through the hole (87) and acts as a stopper that blocks the wheel (24) of the middle door piece (21).

걸림바(81)의 정확한 이동을 위해 가이드바(8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바(85)는 제2 연결구(62)에 설치되어 단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걸림바(81)는 가이드바(85)에 끼워져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된다. 걸림바(81) 내측과 가이드바(85)의 선단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82)가 설치된다. A guide bar (85)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precise movement of the catch bar (81). The guide bar (85) is installed in the second connecting port (62) and extends in the short-axis direction. The catch bar (81) is inserted into the guide bar (85) and moves along the guide bar. An elastic member (82) such as a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inside of the catch bar (81) and the tip of the guide bar (85).

레버(83)는 걸림바(81)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2 연결구(62) 전면에 형성된 장공(88)을 통해 돌출된다. 장공은 걸림바(81)가 이동될 수 있도록 단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다. The lever (83)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of the catch bar (81) and protrudes through a long hole (88) formed in the front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 (62). The long hole is formed to be long along the short axis so that the catch bar (81) can be moved.

제1 연결구(61)의 전면에는 레버(83)와 대응되는 위치에 레버(83)가 걸리도록 된 레버시트(84)가 형성된다. 레버시트(84)는 레버(83)가 걸리도록 된 단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구(61)의 단축방향 측단에 형성된 홈의 끝단일 수 있다. 제1 연결구(61)에 대해 제2 연결구(62)가 이동되어 결합함에 따라 제1 연결구(61)의 레버시트(84)에 레버(83)가 걸려 밀리면서 걸림바(81)가 이동된다.A lever seat (84)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so that the lever (83) is caugh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ver (83). The lever seat (84) is an end portion where the lever (83) is caught, and may be the end of a groove formed on the short-axis sid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as shown in Fig. 4. As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moves and engages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the lever (83) is caught and pushed by the lever seat (84)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thereby moving the catch bar (81).

레버시트(84)는, 여닫이 도어편(23)이 완전히 닫혀 제1 연결구(61)에 제2 연결구(62)가 결합되었을 때, 걸림바(81) 선단이 안내레일(72)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레버(83)를 충분히 밀어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lever seat (84) can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lever (83) can be sufficiently pushed to move the end of the catch bar (81) so that it moves outside the guide rail (72)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piece (23) is completely closed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 (62)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61).

여닫이 도어편(23)이 닫힌 상태에서는 걸림바(81)가 안내레일(72)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되어 중간 도어편(21)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즉, 걸림바(81)에 형성된 레버(83)가 제1 연결구(61)의 레버시트(84)에 의해 밀려나면서 걸림바(81)가 연결레일(72) 밖으로 이동된다. 이에, 제2 연결구(62)의 안내레일(72) 상에서 걸림바(81)가 제거되면서 미닫이 도어편(20)은 안내레일(72)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레일프레임(15)과 회전프레임(17)의 레일(18)을 따라 미닫이 도어편(20)을 밀어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다.When the sliding door piece (23) is closed, the catch bar (81) mov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guide rail (72) so that the catch state of the middle door piece (21) is released. That is, the lever (83) formed on the catch bar (81) is pushed by the lever seat (84)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1), so that the catch bar (81) moves out of the connecting rail (72). Accordingly, the catch bar (81) is removed from the guide rail (72)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62), so that the sliding door piece (20) can move freely along the guide rail (72). Accordingly,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by pushing the sliding door piece (20) along the rail frame (15) and the rail (18) of the rotating frame (17) arranged in a straight line.

미닫이 도어편(20)이 모두 회전프레임(17) 쪽으로 이동되면 레일프레임(15)에 대해 회전프레임(17)을 회전시켜 여닫이 도어편(23)을 회전 개방할 수 있다.When the sliding door piece (20) is moved all the way toward the rotation frame (17), the rotation frame (17)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ail frame (15) to open and rotate the swing door piece (23).

회전프레임(17)이 회전 개방되어 제1 연결구(61)에 대해 제2 연결구(62)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는 레버(83)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에, 레버(83)가 형성된 걸림바(81)는 탄성부재(82)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레일(72) 쪽으로 이동되어 안내레일(72) 내측으로 돌출된다. When the rotating frame (17) is rotated ope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 (62)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necting port (61),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ever (83). Accordingly, the catch bar (81) on which the lever (83) is formed is moved toward the guide rail (7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2) and protrudes into the inside of the guide rail (72).

즉, 제1 연결구(61)에 대해 제2 연결구(62)가 이격되면서 제1 연결구(61)의 레버시트(84)에 의한 레버(83)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된다. 이에, 걸림바(81)는 탄성부재(82)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이동되어 제2 연결구(62)의 안내레일(72) 내측으로 돌출된다. 회전프레임(17)으로 이동된 미닫이 도어편(20)의 중간 도어편(21)은 안내레일(72)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바(81)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That is, when the second connection (6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ion (61),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lever (83) by the lever seat (84) of the first connection (61) is removed. Accordingly, the catch bar (81) is mov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2) and protrudes into the guide rail (72) of the second connection (62). The middle door piece (21) of the sliding door piece (20) moved to the rotating frame (17) is caught by the catch bar (81) protruding into the guide rail (72) and its movement is restricted.

따라서, 중간 도어편(21)은 걸림바(81)에 걸려 안내레일을 지나가지 못하고 회전프레임(17)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여닫이 도어편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회전프레임(17)에 대해 중간 도어편(21)이 고정됨으로써, 미닫이 도어편(20)이 회전프레임(17)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middle door piece (21) is caught on the catch bar (81) and cannot pass over the guide rail, and is fixed to the rotating frame (17). In this way, when the swing door piece is open, the middle door piece (21) is fixed to the rotating frame (17), thereby preventing the sliding door piece (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otating frame (17).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라 연동도어 자동 개폐를 위한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rawing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riving unit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a linkage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구동부(30)는 수평프레임(11) 내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이용하여 미닫이 도어편(20)을 장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한다.The driving unit (30)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frame (11) and uses driving force to move the sliding door piece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동부(30)는 수평프레임(11)의 장축방향 양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풀리(31), 풀리(31)에 연결되어 풀리(31)를 정역 회전시키기 위한 서보모터(32), 한 쌍의 풀리(31)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벨트(33), 미닫이 도어편(20)을 이동 및 정지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서보모터(32)를 제어하는 컨트롤러(34)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driving unit (3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air of pulleys (31) rotatably provided at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11), a servo motor (32) connected to the pulleys (31) to rotate the pulleys (31) forward and backward, a driving belt (33)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pulleys (31), and a controller (34) that controls the servo motor (32) by outputting a driving signal to move and stop the sliding door piece (20).

컨트롤러(34)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서보모터(32)가 정역회전되어 풀리(31)를 회전시킴으로써, 풀리(31)에 고정구(40)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미닫이 도어편(20)이 움직이게 된다. 이에, 미닫이 도어편(20)은 서보모터(32)의 구동력에 의해 장축방향을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34), the servo motor (32)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to rotate the pulley (31), thereby causing the sliding door piece (20) connected to the pulley (31) via the fixing member (40) to move. Accordingly, the sliding door piece (20) can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while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ervo motor (32).

컨트롤러(34)는 서보모터(32)의 회전량에 따라 구동벨트(33)에 설치된 고정구(40)의 위치를 검출하여, 고정구(40)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미닫이 도어편(20)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연산할 수 있다. 이에, 컨트롤러(34)는 미닫이 도어편(20)의 위치에 따라 도어 개폐를 위한 구동 신호를 서보모터(32)에 인가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도어를 제대로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개폐 방법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troller (34) detects the position of the fixture (40) installed on the drive belt (33) according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 servo motor (32), and can accurately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liding door piece (20) connected via the fixture (40). Accordingly, the controller (34) applies a driving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o the servo motor (32)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liding door piece (20), thereby proper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is door opening and closing method will be described again later.

또한, 구동부(3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동도어의 수평프레임(11)에 설치되어 연동도어 앞 출입인을 검출하여 컨트롤러(34)에 인가하는 감지센서(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 detection sensor (35) installed in the horizontal frame (11) of the interlock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detect a person entering or exiting in front of the interlocking door and apply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34).

감지센서(35)는 예를 들어, 적외선 등을 검출하여 감지 대상의 유무 또는 동작 등을 감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 감지센서(35)의 검출 신호에 따라 컨트롤러(34)는 구동부(30)를 제어하여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작동시키게 된다. 이에, 사용자가 별도로 도어를 조작하지 않고도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The detection sensor (35) may be a structure that detects, for example, infrared rays, etc.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tection target or movement, etc.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35), the controller (34) controls the driving unit (30) to open or close the door. Accordingly, the door can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without the user having to separately operate the door,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도 8과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40)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Figures 8 and 9 show the structure of a fixtur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고정구(40)는 구동부(30)와 미닫이 도어편(20) 사이에 설치되어 미닫이 도어편(20)에 동력을 전달하며, 회전프레임(17)의 회전에 따라 구동부(30)와 미닫이 도어편(20)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fixture (40) is installed between the driving unit (30) and the sliding door piece (20) to transmit power to the sliding door piece (20), and is structured to selectively connect the driving unit (30) and the sliding door piece (2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frame (17).

본 실시예의 고정구(40)는, 구동부(30)의 구동벨트(33)에 설치되어 구동벨트(33)의 움직임에 따라 수평프레임(11)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51), 이동부재(51) 하단에 형성되고 레일프레임(15)과 미닫이 도어편(20) 사이 틈새를 통해 삽입되어 미닫이 도어편(20) 상부로 연장되는 끼움판(42), 미닫이 도어편(20)의 상부에 설치되고 끼움판(42)이 삽입 고정되는 걸림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ture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oving member (51) that is installed on a driving belt (33) of a driving unit (30) and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horizontal frame (11)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belt (33), a fitting plate (4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oving member (51) and inserted through a gap between a rail frame (15) and a sliding door piece (20) and exten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piece (20), and a catch member (43) that is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piece (20) and into which the fitting plate (42) is inserted and fixed.

이동부재(51)는 구동벨트(33)에 고정 설치되고 끼움판(42)은 이동부재(51)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구동벨트(33)가 회전됨에 따라 끼움판(42)이 장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The movable member (51) is fixedly installed to the drive belt (33), and the insertion plate (42) is fixedly installed to the movable member (51), so that as the drive belt (33) rotates, the insertion plate (42)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40)는 수평프레임(11)에 장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레일(50), 이동부재(51)에 형성되어 가이드레일(50)에 끼워져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레일부재(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fixture (4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ail (50)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1), and a rail member (51) formed on a movable member (51) and installed to be movable by being fitted into the guide rail (50).

가이드레일(50)은 수평프레임(11) 형성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50)은 예를 들어 상단이 마주보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단면 형태를 이루며 장축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레일부재(51)는 이동부재(51)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가이드레일(50)에 대응되는 단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레일부재(51)는 가이드레일(50)에 끼워져 이탈되지 않으며,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원활하게 장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guide rail (50) may be formed integrally when the horizontal frame (11) is formed. For example, the guide rail (50)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that is bent inward so that the upper ends face each other and may have a structure tha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ail member (51) may be formed integrally at the bottom of the moving member (51) and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50). Accordingly, the rail member (51) is fitted into the guide rail (50) and does not come off, and may smoothly slide along the guide rail (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와 같이, 이동부재(51)는 수평프레임(11)에 형성된 가이드레일(50)에 레일부재(51)를 매개로 결합됨으로써, 단축방향이나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moving member (51) is connected to the guide rail (50) formed on the horizontal frame (11) via the rail member (51), thereby preventing movement in the short-axis direction or the up-down direction.

따라서, 이동부재(51)에 설치된 끼움판(42)이 미닫이 도어편(20)과 레일프레임(15) 사이 틈새에서 상하로 유동되거나 단축방향으로 밀려나지 않고 걸림부재(43)에 확실히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fitting plate (42) installed on the movable member (51) is securely connected to the engaging member (43) and can stably maintain the connected state without moving up and down or being pushed in the short-axis direction in the gap between the sliding door piece (20) and the rail frame (15).

끼움판(42)은 평면의 플레이트 구조로, 상단은 이동부재(51)에 볼트 등을 매개로 고정 설치되며, 하단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레일프레임(15)과 미닫이 도어편(20) 상단 사이의 틈새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 설치된다.The insertion plate (42) has a flat plate structure, and the upper part is fixed to the movable member (51) using a bolt or the like, and the lower part is bent at a right angle and inserted inwar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rail frame (15) and the upper part of the sliding door piece (20).

끼움판(42)은 미닫이 도어편(20)의 상단에 설치된 걸림부재(43)에 걸려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걸림부재(43)는, 미닫이 도어편 중 외측 도어편(22)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tting plate (42) can be connected by being caught on a catch member (43)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liding door piece (20). The catch member (43)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installed on the outer door piece (22) among the sliding door pieces.

걸림부재(43)는 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끼움판(42)의 양 측단이 걸리도록 된 한 쌍의 스토퍼(44), 스토퍼(44) 사이에 마련되어 끼움판(42)이 삽입되는 홈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끼움판(42)은 홈부(45) 사이로 출입하여 두 스토퍼(44) 사이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The catch member (43) may include a pair of stoppers (44) that protrude upward at a gap so that both sides of the catch plate (42) catch, and a groove (45) provided between the stoppers (44) into which the catch plate (42) is inserted. Accordingly, the catch plate (42) may be inserted and removed between the grooves (45) to be combined or separated between the two stoppers (44).

걸림부재(43)에 형성되는 두 개의 스토퍼(44) 사이가 끼움판(42)이 삽입되는 홈부(45)를 이룬다. 두 개의 스토퍼(44) 사이는 대략 끼움판(42)의 크기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끼움판(42)이 걸림부재(43)의 홈부(45)로 삽입된 상태에서 두 스토퍼(44) 사이에서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pace between the two stoppers (44) formed on the catch member (43) forms a groove (45) into which the insertion plate (42) is inserted. The space between the two stoppers (44) can be formed to a length that roughly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insertion plate (42). Accordingly, when the insertion plate (42) is inserted into the groove (45) of the catch member (43), the flow between the two stoppers (44) can be minimized.

이에, 끼움판(42)은 두 개의 스토퍼(44) 사이에 마련되는 홈부(45)에 삽입되어 걸림부재(43)에 결합된다. 장축방향을 따라 끼움판(42)의 양 측단은 각각 스토퍼(44)에 걸려 고정된다.Accordingly, the insertion plate (42) is inserted into the groove (45) provided between two stoppers (44) and is joined to the catch member (43). The two side ends of the insertion plate (4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each caught and fixed by the stoppers (44).

따라서, 끼움판(42)이 장축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스토퍼(44)가 끼움판(42)에 의해 가압되면서 걸림부재(43)가 설치된 미닫이 도어편(20)이 끼움판(42)에 끌려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insertion plate (42)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opper (44) is pressed by the insertion plate (42), and the sliding door piece (20) on which the catch member (43) is installed is moved by being pulled by the insertion plate (42).

언급한 바와 같이, 미닫이 도어편(20)은 회전프레임(17) 내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회전프레임(17)이 회전축(19)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같이 회전된다. 미닫이 도어편(20)이 회전프레임(17)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걸림부재(43)는 끼움판(42)에서 분리 또는 결합된다.As mentioned, the sliding door piece (20) is rotated along with the rotating frame (17) as it is slid into the rotating frame (17) and rotates around the rotating axis (19). As the sliding door piece (20) rotates by the rotating frame (17), the engaging member (43) is separated from or joined to the fitting plate (42).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40)는 끼움판(42) 선단에서 내측으로 절단 형성되는 슬릿홀(46), 걸림부재(43)의 홈부(45)에 슬릿홀(46)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슬릿홀(46)로 삽입되는 돌기부(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끼움판(42)은 양측단이 스토퍼(44)에 걸림과 더불어 슬릿홀(46)이 돌기부(47)에 걸려 걸림부재(43)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9, the fixture (40) may further include a slit hole (46) formed by cutting inwardly at the tip of the fitting plate (42), and a protrusion (47) formed by protruding upward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it hole (46) in the groove (45) of the engaging member (43) and inserted into the slit hole (46). Accordingly, the fitting plate (42) can be more firmly connected to the engaging member (43) by having both ends caught by the stopper (44) and the slit hole (46) caught by the protrusion (47).

끼움판(42)과 걸림부재(43)는 서로 원활하게 분리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The fitting plate (42) and the catch member (43)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can be smoothly separated and joined to each other.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판(42)은 선단 모서리 또는 슬릿홀(46)의 선단 모서리가 원호형태로 만곡되거나 모따기되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걸림부재(43)는 각 스토퍼(44) 전단에 끼움판(42)을 홈부(45)로 안내하는 유도편(48)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두 개의 유도편(48)은 마주하는 측면의 선단이 원호형태로 만곡되거나 모따기 되어 있어 끼움판(42)을 홈부(45)로 안내하는 구조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insertion plate (4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eading edge or leading edge of the slit hole (46) is formed in an arc shape or chamfered. The engaging member (43) has a structure in which a guide piece (48)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each stopper (44) to guide the insertion plate (42) to the groove (45). The two guide pieces (48)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eading edges of the facing sides are curved in an arc shape or chamfered to guide the insertion plate (42) to the groove (45).

따라서, 회전프레임(17)이 회전 개방되어 끼움판(42)과 걸림부재(43)가 분리된 상태에서 회전프레임(17)이 다시 원상태로 회전되면, 걸림부재(43)가 끼움판(42)으로 이동하면서 끼움판(42)이 걸림부재(43)의 홈부(45)로 삽입된다.Accordingly, when the rotating frame (17) is rotated back to its original state while the engaging member (42) and the engaging member (43) are separated by being rotated open, the engaging member (43) moves to the engaging member (42) and the engaging member (42) is inserted into the groove (45) of the engaging member (43).

끼움판(42)의 선단은 원호형태로 만곡되어 있고, 걸림부재(43)에는 끼움판(42)의 선단을 홈부(45)로 안내하는 유도편이 형성되어 있어서, 끼움판(42)은 유도편을 따라 스토퍼(44) 사이 홈부(45)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The tip of the insertion plate (42) is curved in an arc shape, and a guide piece is formed on the catch member (43) to guide the tip of the insertion plate (42) into a groove (45), so that the insertion plate (42)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groove (45) between the stoppers (44) along the guide piece.

이에, 끼움판(42)의 위치에 대해 걸림부재(43)의 위치가 약간 어긋난 상태에서도 회전프레임 회전 시에 걸림부재(43)의 홈부(45)에 끼움판(42)이 원활하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engaging member (43) is slightly misaligned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engaging plate (42), the engaging plate (42) can be smoothly engaged and connected to the groove (45) of the engaging member (43) when the rotating frame rotates.

도 10에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동도어 자동 개폐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Fig. 10 shows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interlock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43)와 끼움판(42)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미닫이 도어편(20)은 구동부(30)와 연결된다. 연동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도어 개방을 위해 서보모터(32)가 구동되면 풀리(31)가 회전되고, 풀리(31)에 연결된 구동벨트(33)가 움직이게 된다.As shown in Fig. 10, the sliding door piece (2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30) by the engaging member (43) and the insertion plate (42)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servo motor (32) is driven to open the door while the interlocking door is closed, the pulley (31) rotates and the driving belt (33) connected to the pulley (31) moves.

이에, 구동벨트(33)에 설치되어 있는 끼움판(42)이 구동벨트(33)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끼움판(42)은 걸림부재(43)에 걸려 고정된 상태로, 끼움판(42)이 장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걸림부재(43)가 밀려 이동된다. 따라서 걸림부재(43)가 설치된 미닫이 도어편(20)이 끼움판(42)에 밀려 이동되면서 도어가 개방된다.Accordingly, the insertion plate (42) installed on the drive belt (33) moves together with the drive belt (33). The insertion plate (42) is fixed by being caught on the catch member (43), and as the insertion plate (42)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atch member (43) is pushed and moved. Accordingly, the sliding door piece (20) on which the catch member (43) is installed is pushed and moved by the catch member (42), thereby opening the door.

미닫이 도어편(20)이 최대 개방되어 회전프레임(17)으로 이동되면 서보모터(32)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를 완전히 개방하기 위해 회전프레임(17)을 회전시켜 개방하게 되면, 미닫이 도어편(20)에 설치된 걸림부재(43)가 끼움판(42)에서 분리되면서 회전프레임(17)은 아무런 간섭없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When the sliding door piece (20) is fully opened and moves to the rotating frame (17), the operation of the servo motor (32) stops. In this state, when the rotating frame (17) is rotated to open the door completely, the engaging member (43) installed on the sliding door piece (20) is separated from the fitting plate (42), and the rotating frame (17) can rotate smoothly without any interference.

끼움판(42)은 걸림부재(43)의 두 스토퍼(44) 사이의 홈부(45)에 단순히 삽입되어 끼워져 있는 상태로, 회전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걸림부재(43)가 이동되어 끼움판(42)에서 빠지면서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다. The fitting plate (42) is simply inserted into the groove (45) between the two stoppers (44) of the engaging member (43) and fitted, so that the engaging member (43)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frame and can be easily separated by being removed from the fitting plate (42).

서보모터(32)는 구동이 정지되어 있으므로, 끼움판(42)의 위치는 멈춰있는 위치 그대로 유지된다. 이에, 도어를 닫기 위해 회전 개방되어 있는 회전프레임(17)을 원상태로 회전시켰을 때, 걸림부재(43)가 끼움판(42) 쪽으로 이동되면서 끼움판(42)과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다.Since the servo motor (32) is stopped,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plate (42) is maintained in the stopped position. Accordingly, when the rotation frame (17) that has been rotated open to close the door is rotated back to its original state, the engaging member (43) moves toward the insertion plate (42) and can be smoothly combined with the insertion plate (42).

이와 같이, 걸림부재(43)와 끼움판(42)이 다시 서로 결합됨으로써, 서보모터(32)의 구동력을 미닫이 도어편(20)으로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서보모터(32)의 회전 구동에 따라 끼움판(42)이 장축방향으로 이동되고, 끼움판(42)에 걸림부재(43)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는 미닫이 도어편(20)이 장축방향으로 이동되어 도어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by reconnecting the engaging member (43) and the engaging plate (42) to each other, the driving force of the servo motor (32) can be applied to the sliding door piece (20). Accordingly, the engaging plate (42)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rive of the servo motor (32), and the sliding door piece (20) connected to the engaging plate (42) via the engaging member (43)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allowing the door to be closed.

한편,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34)는 미닫이 도어편의 이동에 따라 구동부(30)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34)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3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ing door piece.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동도어 자동 개폐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순서도로,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동도어의 자동 개폐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Fig. 11 is a schematic flowchart showing an automatic opening/closing process of a linkag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ereinafter,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process of a linkag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열기 위한 개방 신호가 인가되면 컨트롤러는 도어 개방 구동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여 서보모터를 제어하게 된다.As illustrated, when an open signal for opening the door is applied, the controller outputs a signal for driving the door opening to control the servo motor.

개방 신호는 예를 들어 도어 앞에 들어오려는 사람이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한 감지센서로부터 인가되는 검출 신호일 수 있다. 또는 도어 개방을 위해 도어를 밀어줌에 따라 구동벨트와 풀리를 통해 전달되어 회전되는 서보모터의 회전값일 수 있다.The open signal may be a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a sensor that detects, for example, a person attempting to enter the door. Or, it may be a rotation value of a servo motor that is transmitted and rotated through a drive belt and pulley as the door is pushed to open the door.

컨트롤러는 이와 같은 개방 신호 발생시 도어 개방임을 연산하여 서보모터를 개방 구동하게 된다.When an open signal like this occurs, the controller calculates that the door is open and drives the servo motor to open it.

서보모터가 개방 구동됨에 따라 풀리가 회전되고 구동벨트가 움직이면서 미닫이 도어편이 이동된다.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미닫이 도어편은 계속 이동되어 개방되고, 이동하는 미닫이 도어편의 개방량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 되면 컨트롤러는 서보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대기한다.As the servo motor is driven to open, the pulley rotates and the drive belt moves, moving the sliding door piece. The sliding door piece continues to move and open by the driving of the servo motor, and when the opening amount of the moving sliding door piece exceeds the 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stops the driving of the servo motor and waits.

여기서 미닫이 도어편의 개방량은 서보모터의 회전량에 따른 끼움편의 위치를 연산하여 구할 수 있다. 서보모터는 회전량에 따라 풀리와 구동벨트를 통한 대상물의 위치를 정확히 연산할 수 있으므로, 컨트롤러는 서보모터의 회전량으로부터 대상물인 끼움편의 위치를 정확히 연산할 수 있다. 이에 끼움편에 걸림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는 미닫이 도어편의 위치 즉, 개방량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opening amount of the sliding door piece can b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fitting piece according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 servo motor. Since the servo motor can accurately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object through the pulley and the drive belt according to the rotation amount, the controller can accurately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fitting piece, which is the object, from the rotation amount of the servo motor.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sliding door piece connected to the fitting piece through the engaging member, i.e., the opening amount, can be accurately detected.

기준값은 미닫이 도어편의 이동량 즉, 개방정도에 대한 값으로 컨트롤러에 저장될 수 있다. The reference value can be stored in the controller as a value for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sliding door, i.e. the degree of opening.

따라서, 서보모터의 회전에 따라 미닫이 도어편이 이동하여 도어가 개방되고, 미닫이 도어편의 이동된 위치가 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게 되면,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서보모터는 구동을 정지하고 대기하게 된다.Accordingly, the sliding door piece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rvo motor, and the door opens. When the moved position of the sliding door piece reaches the set reference value, the servo motor stops driving and wait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이와 같이, 서보모터의 구동에 따라 미닫이 도어편이 슬라이딩되면서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liding door piece can be slid by driving the servo motor, automatically opening the door.

대기 상태에서 회전프레임을 회전시켜 도어를 완전히 개방하기 위해 추가 개방 신호가 인가되면 컨트롤러는 도어 개방 구동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여 서보모터를 제어하게 된다.When an additional opening signal is applied to rotate the rotation frame in the standby state to fully open the door, the controller outputs a signal for door opening drive to control the servo motor.

추가 개방 신호는 에를 들어, 미닫이 도어편을 완전히 회전 프레임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미닫이 도어편을 더 밀어줌에 따라 구동벨트와 풀리를 통해 전달되어 회전되는 서보모터의 회전값일 수 있다.The additional opening signal could be, for example, the rotational value of a servo motor that is transmitted through a drive belt and pulley to further push the sliding door piece to move it fully toward the rotary frame.

컨트롤러는 이와 같은 추가 개방 신호 발생시 도어의 완전 개방임을 연산하여, 서보모터를 개방 구동하게 된다. 서보모터 개방 구동에 따라 풀 리가 회전되고 구동벨트가 움직이면서 미닫이 도어편이 완전히 회전프레임쪽으로 이동된다. 미닫이 도어편이 완전히 회전프레임쪽으로 이동되어 더 이상 이동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서보모터로의 전원이 차단되면서 서보모터의 구동은 중지된다. When such an additional opening signal occurs, the controller calculates that the door is completely open and drives the servo motor to open. As the servo motor opens, the pulley rotates and the drive belt moves, causing the sliding door piece to move completely toward the rotating frame. When the sliding door piece moves completely toward the rotating frame and can no longer move, power to the servo motor is cut off and the servo motor stops operating.

미닫이 도어편은 완전히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회전프레임을 회전시켜 도어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sliding door part is completely moved to the rotating frame, the user can rotate the rotating frame to completely open the door.

서보모터의 구동이 중지됨에 따라 구동벨트에 결합되어 있는 끼움편의 위치를 변동없이 현재 위치에 그대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As the servo motor stops operating, the position of the insert connected to the drive belt can be stably fixed in its current position without changing.

이에, 서보모터가 오작동되어 끼움편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를 닫기 위해 회전프레임을 다시 원상태로 회전시켰을 때, 미닫이 도어편의 걸림부재가 끼움판에 정확히 맞물려 다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rvo motor from malfunctioning and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piece. Accordingly, when the rotating frame is rotated back to its original state to close the door, the engaging member of the sliding door piece can be accurately engaged with the insertion plate and reattached.

끼움판이 걸림부재에 끼워져 결합되고, 도어를 닫기 위한 폐쇄 신호가 인가되면 컨트롤러는 도어 폐쇄 구동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여 서보모터를 제어하게 된다.When the insertion plate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member and a closing signal for closing the door is applied, the controller outputs a signal for driving the door closing to control the servo motor.

폐쇄 신호는 예를 들어, 도어 폐쇄를 위해 도어를 밀어줌에 따라 구동벨트와 풀리(31)를 통해 전달되어 회전되는 서보모터의 회전값일 수 있다.The closing signal may be, for example, the rotation value of a servo motor that is rotated by being transmitted through a drive belt and pulley (31) as the door is pushed to close the door.

컨트롤러는 이와 같은 폐쇄 신호 발생시 도어 폐쇄임을 연산하여 서보모터를 폐쇄 구동하게 된다.When a closing signal like this occurs, the controller calculates that the door is closed and drives the servo motor to close it.

서보모터가 폐쇄 구동됨에 따라 풀 리가 회전되고 구동벨트가 움직이면서 미닫이 도어편이 이동된다.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미닫이 도어편은 계속 이동되어 폐쇄되고, 이동하는 미닫이 도어편의 폐쇄량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 되면 컨트롤러는 서보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As the servo motor is driven to close, the pulley rotates and the drive belt moves, moving the sliding door piece. The sliding door piece continues to move and close by driving the servo motor, and when the closing amount of the moving sliding door piece exceeds the 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can stop the driving of the servo motor and end the operation.

미닫이 도어편의 폐쇄량은 언급한 바와 같이 서보모터의 회전량으로부터 끼움편의 위치를 연산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끼움편에 걸림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는 미닫이 도어편의 위치 즉, 폐쇄량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또는 폐쇄되는 미닫이 도어편이 완전히 이동하여 더 이상 이동 불가한 상태가 되면 컨트롤러는 서보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As mentioned, the closing amount of the sliding door piece can be confirmed b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fitting piece from the rotation amount of the servo motor.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sliding door piece connected to the fitting piece via the engaging member, i.e. the closing amount, can be accurately detected. Alternatively, when the sliding door piece to be closed has moved completely and can no longer move, the controller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servo motor.

이와 같이,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미닫이 도어편이 슬라이딩되면서 도어를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sliding door piece slides by driving the servo motor, allowing the door to close automatically.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도어 폐쇄 과정에서 필요시 도어를 개방 구동할 수 있도록, 인체 감지 여부 및 도어 개방 신호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인체 감지 또는 도어 개방 신호 발생시 구동부를 작동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detecting whether a human body is detected and whether a door opening signal is generated, and a step of operating a driving unit to open the door when a human body is detected or a door opening signal is generated, so that the door can be driven to open when necessary during the door closing process.

이에, 미닫이 도어편이 이동하여 닫히는 상태에서 다시 도어를 열고자 하는 경우 또는 인체를 감지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도어가 개방 작동되면서 신속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고, 자칫 인명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liding door piece is moved to close and the door is to be opened again or when a human body is detected, the door automatically opens, allowing the door to be opened quickly and preventing any potential casualties.

인체 감지는 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감지센서에 인체가 감지되면 컨트롤러는 감지센서의 출력 신호에 따라 도어를 개방 작동하게 된다. Human body detection can be detected through a detection sensor. When a human body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the controller operates to open the doo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도어 개방 신호는 언급한 바와 같이, 도어 개방을 위해 닫히는 미닫이 도어편을 멈추거나 반대방향으로 밀어줌에 따라 구동벨트와 풀리를 통해 전달되어 회전되는 서보모터의 회전값일 수 있다.The door open signal may be, as mentioned, the rotation value of a servo motor that is transmitted through a drive belt and pulley to stop or push the closing sliding door piece in the opposite direction for door opening.

컨트롤러는 이와 같이 감지센서에 의한 인체 감지 또는 도어 개방 신호 발생시 도어 개방임을 연산하여 서보모터를 개방 구동하게 된다. 이에, 도어 폐쇄 과정에서도 도어를 다시 자동으로 재개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controller calculates that the door is open when a human body is detected by the sensor or a door open signal is generated, and drives the servo motor to open the door. Accordingly, the door can be automatically reopened even during the door closing proces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Whil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made thereto. It is intended that all such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be considered and encompass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do not depart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메인프레임 11 : 수평프레임
13 : 수직프레임 14 : 전면마감패널
15 : 레일프레임 16,18 : 레일
17 : 회전프레임 19 : 회전축
20 : 미닫이 도어편 21 : 중간 도어편
22 : 외측 도어편 23 : 여닫이 도어편
24 : 휠 30 : 구동부
31 : 풀리 32 : 서보모터
33 : 구동벨트 34 : 컨트롤러
35 : 감지센서 40 : 고정구
41 : 이동부재 42 : 끼움판
43 : 걸림부재 44 : 스토퍼
45 : 홈부 46 : 슬릿홀
47 : 돌기부 48 : 유도편
50 : 가이드레일 51 : 레일부재
60 : 연결구
61 : 제1 연결구 62 : 제2 연결구
63 : 단턱 64 : 지지편
65,66 : 몸체 67,68 : 삽입부
69,70 : 결속부 71,72 : 안내레일
73 : 진입로 74 : 돌기
75 : 탄성바 76 : 홈
80 : 잠금부 81 : 걸림바
82 : 탄성부재 83 : 레버
84 : 레버시트 85 : 가이드바
10: Main Frame 11: Horizontal Frame
13: Vertical frame 14: Front finishing panel
15: Rail frame 16,18: Rail
17: Rotating frame 19: Rotating axis
20: Sliding door section 21: Middle door section
22: Outer door section 23: Opening door section
24: Wheel 30: Drive Unit
31: Pulley 32: Servo Motor
33 : Drive belt 34 : Controller
35: Detection sensor 40: Fixture
41: Moving member 42: Fitting plate
43: hook member 44: stopper
45: Home 46: Slit hole
47: Protrusion 48: Guide piece
50: Guide rail 51: Rail member
60 : connector
61: 1st connector 62: 2nd connector
63: Single chin 64: Support piece
65,66 : Body 67,68 : Insert
69,70: Joint 71,72: Guide rail
73 : Driveway 74 : Turn
75 : Elastic bar 76 : Home
80 : Lock 81 : Latch
82: Elastic member 83: Lever
84 : Lever seat 85 : Guide bar

Claims (7)

사각 형태의 프레임 구조물로 양 측단을 이루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배치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 하부에 설치되고 내측에는 단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이 배치되고 각 레일은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일측 선단부를 이루며 레일프레임에서 분리되어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회전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각 레일에 걸쳐 지지되고 레일을 따라 구르는 휠을 구비하여 레일프레임의 각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닫이 도어편, 상기 회전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편, 상기 수평프레임 내에 구비되고 상기 미닫이 도어편을 장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상기 미닫이 도어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부와 미닫이 도어편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자동 개폐 연동도어.A sliding and opening/closing combined automatic linkage door comprising a main frame including a vertical frame forming both side ends with a square frame structure and a horizontal frame arranged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 rail frame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frame and having at least one rail arranged along the short-axis direction on the inner side, each rail extending along the long-axis direction, a rotary frame forming one end of the rail frame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fram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or the horizontal frame, at least one sliding door piece supported across each rail of the rail frame and having a wheel that rolls along the rail so as to slide along each rail of the rail frame and move to the rotary frame, a swing door piece fixedly installed to the swing frame,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horizontal frame and for moving the sliding door piece in the long-axis direction, and a fix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sliding door piece to selectively connect the driving unit and the sliding door pie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수평프레임의 장축방향 양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풀리, 상기 풀리에 연결되어 풀리를 정역 회전시키기 위한 서보모터, 상기 한 쌍의 풀리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벨트, 상기 미닫이 도어편을 이동 및 정지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서보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자동 개폐 연동도어.
In paragraph 1,
A sliding door with an automatic opening/closing linkage, wherein the driving unit comprises a pair of pulleys rotatab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axis of a horizontal frame, a servo motor connected to the pulleys to rotate the pulleys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a driving belt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pulleys,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servo motor by outputting a driving signal to move and stop the sliding door pie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벨트에 설치되어 구동벨트의 움직임에 따라 수평프레임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미닫이 도어편 사이 틈새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미닫이 도어편 상부로 연장되는 끼움판, 상기 미닫이 도어편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끼움판이 삽입 고정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자동 개폐 연동도어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fixing member is a sliding door that includes a moving member that is installed on the driving belt of the driving unit and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belt, a fitting plat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oving member and inserted through a gap between the rail frame and the sliding door piece and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piece, and a catch member that is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piece and into which the fitting plate is inserted and fix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끼움판의 양 측단이 걸리도록 된 한 쌍의 스토퍼, 상기 스토퍼 사이에 마련되어 끼움판이 삽입되는 홈부를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자동 개폐 연동도어.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mentioned engaging member is a sliding-type automatic opening/closing interlocking door including a pair of stoppers that protrude upward at intervals so that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late are caught, and a groove provided between the stoppers into which the insertion plate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의 각 레일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회전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여 상기 레일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높이를 같게 유지하는 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레일프레임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프레임의 레일과 연결되는 제1 연결구, 상기 회전프레임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구에 접하며 상기 회전프레임의 레일과 연결되는 제2 연결구,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의 마주하는 전면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구에 형성되는 단턱, 및 상기 단턱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2 연결구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턱에 걸쳐지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편이 상기 단턱에 걸쳐져 상기 레일프레임에 대한 회전프레임의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의 미닫이 여닫이 겸용 자동 개폐 연동도어.
In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rail frame and the rotation frame to selectively connect each rail of the rail frame and the rotation frame, and prevent the rotation frame from sagging, thereby maintaining the height of the rail frame and the rotation frame at the same level.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member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rail frame and is connected to the rail of the rail fram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rotary frame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rail of the rotary frame, the step formed a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between the facing front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a support member protruding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 member and hanging over the step member, the sliding-opening-and-closing combined automatic opening-and-closing interlocking do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hangs over the step member to prevent sagging of the rotary frame with respect to the rail fram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부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는 탄성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고정부는 서로 접하는 상기 단턱과 상기 지지편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자동 개폐 연동도어.
In paragraph 5,
The above connecting member further includes an elastic fixing member that maintains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n a closed state,
A sliding-type automatic opening/closing interlocking door, wherein the elastic fixing member comprises at least one projection formed on one of the step and the support piece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one groove formed on the other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into which the projection is secured.
제 1 항의 미닫이 여닫이 겸용 자동 개폐 연동도어의 자동 개폐 방법으로,
도어 개방 신호 발생시 구동부가 작동되어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 도어의 개방량이 기준값 이상인지를 검출하는 단계, 도어의 개방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하고 대기하는 단계, 추가 개방 신호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추가 개방 신호 발생시 구동부가 구동되어 도어를 추가 개방하고 구동부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 도어 폐쇄 신호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도어 폐쇄 신호 발생시 구동부가 작동되어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 도어의 폐쇄량이 기준값 이상인지를 검출하여 기준값 이상인 경우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닫이 여닫이 겸용 자동 개폐 연동도어의 자동 개폐 방법.
As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a sliding door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interlocking function of Article 1,
An automatic opening/closing method for a sliding/opening combined automatic open/close door, comprising: a step of operating a driving unit to open a door when a door opening signal is generated; a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opening amount of the do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waiting if the opening amount of the do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a step of detecting whether an additional opening signal is generated; a step of operating the driving unit to additionally open the door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if the additional opening signal is generated; a step of detecting whether a door closing signal is generated; a step of operating the driving unit to close the door when the door closing signal is generated; and a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closing amount of the do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nd terminating the operation if the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KR1020230087993A 2023-07-06 2023-07-06 Sliding and swing door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ctive KR1027336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993A KR102733635B1 (en) 2023-07-06 2023-07-06 Sliding and swing door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993A KR102733635B1 (en) 2023-07-06 2023-07-06 Sliding and swing door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33635B1 true KR102733635B1 (en) 2024-11-25

Family

ID=9367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993A Active KR102733635B1 (en) 2023-07-06 2023-07-06 Sliding and swing door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363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223B1 (en) * 2019-01-30 2020-02-11 이녹하 Sliding and hinged door and connector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223B1 (en) * 2019-01-30 2020-02-11 이녹하 Sliding and hinged door and connector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1633B2 (en) Foldable sliding wall and carriage
US8960257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lateral displacement of a movable partition
EP0916794B1 (en) A sliding window or door arrangement
KR101169607B1 (en) The safety door
KR101761003B1 (en) Sliding door assembly
KR102494937B1 (en) A horizontal movement module for horizontal moving type window assembly
KR102733635B1 (en) Sliding and swing door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KR102062223B1 (en) Sliding and hinged door and connector for the same
KR101735455B1 (en) Multiple sliding type door
US11242224B2 (en) Elevator door device
US5425409A (en) Door mounting system
EP1854957A2 (en) Device for the motorisation of sliding shutters
KR102156544B1 (en) Automatic door device for bus stop booth with emergency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KR102497045B1 (en) A horizontal movement module for horizontal moving type window assembly
CA2611327A1 (en) Adjustable motor housing for a barrier locking operator
US12196038B2 (en) Shutter assemblies and systems for windows and doors
EP1741861B1 (en) Derailment- and uncoupling-prevention safety system comprising corresponding guides for sliding doors and similar
KR20240146659A (en) Moving device for forced movement of window or door wings, especially sliding wings
CA2458913C (en) Screen frame with integral roll screen compartment and improvements thereof
CA2502922A1 (en) Sliding wall
KR102831056B1 (en) Apparatus for aligning height of rail in sliding and hinged door
KR20210106717A (en) Two-way automatic balance door
KR102735872B1 (en) Connector for sliding and hinged door
JP3714288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220082255A (en) Sliding door structure equipped with closing mean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7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