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5826B1 -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5826B1
KR102745826B1 KR1020220149751A KR20220149751A KR102745826B1 KR 102745826 B1 KR102745826 B1 KR 102745826B1 KR 1020220149751 A KR1020220149751 A KR 1020220149751A KR 20220149751 A KR20220149751 A KR 20220149751A KR 102745826 B1 KR102745826 B1 KR 102745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oral
laser diode
irradiation device
base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7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68934A (en
Inventor
최요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테크
Priority to KR1020220149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5826B1/en
Priority to US18/453,468 priority patent/US20240066314A1/en
Publication of KR20240068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89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5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582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6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3/00Use of polymers hav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에서 구강 점막염에 취약한 부위에 대한 레이저 치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새로운 마우스피스 구조를 갖는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은, (a) 하부 공간으로 혀를 삽입하도록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혀 고정 프레임과 인체의 치아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치아 안착부를 구비하도록 베이스 프레임을 성형하는 단계; (b)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여 장착되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연성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는 LED 스트립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조립하는 단계; (c)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하부 형상에 각각 대응하는 상부 투광커버와 하부 투광커버의 내부에 액상 광투과 수지재를 주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상부 투광커버 및 상기 하부 투광커버를 각각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로 압착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having a novel mouthpiece structure for facilitating laser treatment of a region vulnerable to oral mucositis in the oral cavi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ere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a step of forming a base frame so as to have a tongue fixing frame formed convexly upward for inserting a tongue into a lower space and a tooth receiving portion formed concavely for receiving teeth of a human body; (b) a step of assembling an LED strip, in which a plurality of laser diodes, which are mount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se frame, are installed on a flexible circuit board, to the base frame; (c) a step of injecting a liquid light-transmitting resin material into the interior of an upper light-transmitting cover and a lower light-transmitting cover, each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hapes of the base frame; and (d) a step of vertically pressing the upper light-transmitting cover and the lower light-transmitting cover relative to the base frame, respectively.

Description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및 그 제조 방법{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구강 내에서 구강 점막염에 취약한 부위에 대한 레이저 치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새로운 마우스피스 구조를 갖는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having a novel mouthpiece structure for facilitating laser treatment of an area vulnerable to oral mucositis in the oral cavi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저출력 레이저 치료(LLLT : Low Level Laser Therapy)는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생체 활성을 조절하는 광생체 조절 기작에 의해 생체 손상 부위에 대한 자발적 치료효과를 촉진하는 치료 방법이다. LLLT 기술은 피부 및 미용, 안과, 치과, 통증 완화, 창상 치료, 뇌신경학, 종양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치과에서는 치아 미백, 구강 통증 완화, 구강 점막염 등의 치료에 레이저 조사장치가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low-level laser therapy (LLLT) is a treatment method that promotes spontaneous healing effects on damaged areas of the body by photobiomodulation mechanisms that control bioactivity using laser light. LLLT technology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kin and beauty, ophthalmology, dentistry, pain relief, wound treatment, neurology, and oncology. In dentistry in particular, laser irradiation devices are used for teeth whitening, oral pain relief, and oral mucositis.

한편, 항암 방사선 치료 또는 항암 화학 치료 후에 중등증 이상의 구강 점막염 환자가 발생되는 사례가 빈번하다. 최근 많은 논문들에서 구강 점막염을 유발한 동물 모델에 대하여 저출력 레이저 치료를 실험한 후에 상처 치유, 콜라겐 합성과 더불어 호중구 감소 등의 항염증 효과를 보이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Meanwhile, there are frequent cases of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oral mucositis after anticancer radiation therapy or anticancer chemotherapy. Recently, many papers have reported results of low-power laser treatment on animal models that induced oral mucositis, showing anti-inflammatory effects such as wound healing, collagen synthesis, and neutrophil reduc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7692호 " 구강 치료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갖는 구강 치료장치" 및 등록특허 제10-1554721호 "구강용 광조사 장치"는 마우스피스를 환자가 문 상태에서 구강 내측으로 레이저 빔을 균일하게 조사하는 치료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위 선행문헌들은 빔 확장부를 이용하여 레이저 빔을 확산시켜 구강 내로 전달하거나 반사유닛을 이용하여 광 반사 방식으로 레이저 광을 구강 내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레이저 광의 세기가 약하고 염증 부위에 레이저가 도달하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약화되어 생체 손상을 일으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57692, "Oral treatment mouthpiece and oral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and Registration Patent No. 10-1554721, "Oral light irradiation device," propose a treatment device that uniformly irradiates a laser beam toward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while the patient is biting the mouthpiece. However, the above prior documents are configured to transmit the laser light into the oral cavity by spreading the laser beam using a beam expander or by transmitting the laser light into the oral cavity by light reflection using a reflection unit, so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tensity of the laser light was weak and the energy was weakened in the process of the laser reaching the area of inflammation, making it difficult to cause damage to a living body.

통상적으로 항암 치료 후에 구강 점막염이 자주 발생하는 부위는 구강전정, 치주, 혀밑샘, 편도선 등과 같이 구강 내 취약한 부위들로서, 이러한 취약 부위들은 구강 내 깊숙한 곳에 위치하는 것에 반해, 위 선행기술에서는 구강 내 앞부분에 광량이 집중되고 취약 부위까지 광이 높은 세기로 도달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로 구강 점막염을 치료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위 선행기술은 단일 파장으로 광을 조사하는데, 광이 생체로 침투되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소멸되면서 원하는 부위까지 깊숙이 침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Typically, oral mucositis frequently occurs after anticancer treatment in vulnerable areas of the oral cavity, such as the oral vestibule, periodontium, sublingual glands, and tonsils. While these vulnerable areas are located deep in the oral cavity, the above prior art had a structural problem in which the amount of light was concentrated in the front part of the oral cavity and it was difficult for the light to reach the vulnerable areas with high intensity, which limited the treatment of oral mucositis. In addition, the above prior art irradiated light with a single wavelength, an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light did not penetrate deeply to the desired area as its energy was lost during the process of penetrating the living body.

또한,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레이저 광이 환자의 구강 점막염 부위에 직사광으로 조사되어야 하며 광 경로에서 손실이 적어야 한다.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point in the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is that the laser light should be irradiated directly to the patient's oral mucositis area and that there should be little loss in the light path.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7692호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Patent No. 10-2013-005769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4721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54721

본 발명은 치아와 혀를 고려한 구강 구조 맞춤형 마우스피스를 이용하여 구강 내의 깊숙한 부위까지 레이저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며, 베이스 프레임과 LED 스트립을 이용하여 구강전정, 치주, 혀밑샘, 편도선 등과 같이 구강 내 취약한 부위에 근접하여 레이저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높은 광 투과율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는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which can irradiate laser light deep into the oral cavity using a mouthpiece customized for the oral structure taking into consideration teeth and the tongue, and can perform laser treatment in close proximity to vulnerable areas in the oral cavity such as the oral vestibule, periodontium, sublingual glands, and tonsils using a base frame and an LED strip, and can be manufactured to have high light transmitt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은, (a) 하부 공간으로 혀를 삽입하도록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혀 고정 프레임과 인체의 치아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치아 안착부를 구비하도록 베이스 프레임을 성형하는 단계; (b)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여 장착되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연성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는 LED 스트립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조립하는 단계; (c)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하부 형상에 각각 대응하는 상부 투광커버와 하부 투광커버의 내부에 액상 광투과 수지재를 주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상부 투광커버 및 상기 하부 투광커버를 각각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로 압착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a step of forming a base frame so as to have a tongue fixing frame formed convexly upward for inserting a tongue into a lower space and a tooth receiving portion formed concavely for receiving teeth of a human body; (b) a step of assembling an LED strip, in which a plurality of laser diodes are mount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se frame and are installed on a flexible circuit board, to the base frame; (c) a step of injecting a liquid light-transmitting resin material into an upper light-transmitting cover and a lower light-transmitting cover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hapes of the base frame, respectively; and (d) a step of vertically pressing the upper light-transmitting cover and the lower light-transmitting cover relative to the base frame,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은, 상기 단계(a)는, 상기 혀 고정 프레임 상에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복수개가 각각 상부를 지향하여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입천장 조사용 안착홈과,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복수개가 하부를 지향하여 설치되도록 절개되는 혀 조사용 절개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성형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comprises: forming the base frame so that a plurality of palate irradiation mounting grooves are formed concavely so that a plurality of laser diodes are respectively mounted facing upward on the tongue fixing frame; and a tongue irradiation incision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laser diodes are installed facing downwar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은, 상기 단계(a)는, 상기 혀 고정 프레임의 단부에서 둔각으로 절곡되어 원호 형상의 편도선 조사용 절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성형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comprises: in the step (a), forming the base frame so as to form an arc-shaped tonsil irradiation folding surface by bending at an obtuse angle at an end of the tongue fixing fram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은, 상기 단계(a)는, 상기 치아 안착부의 둘레로 입설되는 벽부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인체의 어금니 측에 위치한 구강전정을 향하여 제1 각도로 절곡된 설치면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을 형성시킨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comprises: forming a firs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mounting groove, which is concavely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 wall portion installed around the tooth mounting portion, so as to have an installation surface bent at a first angle toward the oral vestibule located on the molar side of the human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은, 상기 단계(a)는, 상기 벽부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인체의 송곳니 측에 위치한 구강전정을 향하여 상기 제1 각도에 비해 더 작은 제2 각도로 절곡된 설치면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을 형성시킨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comprises: forming a second oral vestibular irradiation mounting groov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all portion, each of which is concavely formed to have an installation surface bent at a second angle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toward the oral vestibular region located on the canine side of the human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은, 상기 단계(a)는, 상기 벽부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인체의 앞니 측에 위치한 구강전정을 향하여 상기 제2 각도에 비해 더 작은 제3 각도로 절곡된 설치면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을 형성시킨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comprises: in the step (a), a third oral vestibular irradiation mounting groove is formed so as to have an installation surface bent at a third angle smaller than the second angle toward the oral vestibule located on the front teeth side of the human body,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all portion, respectivel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각각은 650nm 내지 690nm의 파장을 가지는 제1 레이저 다이오드와, 810nm 내재 850nm의 파장을 가지는 제2 레이저 다이오드와, 890nm 내지 930nm의 파장을 가지는 제3 레이저 다이오드가 단일 칩 형태로 구성되는 3파장 레이저 다이오드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is provided, wherein each of the laser diodes is a three-wavelength laser diode configured in a single chip form, including a first laser diode having a wavelength of 650 nm to 690 nm, a second laser diode having a wavelength of 810 nm and an intrinsic wavelength of 850 nm, and a third laser diode having a wavelength of 890 nm to 930 nm.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은, 상기 상부 투광커버 및 상기 하부 투광커버에는 상기 액상 광투과 수지재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단계(d) 이후에, (e) 상기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오버플로우되는 액상 광투과 수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comprises: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med in the upper light-transmitting cover and the lower light-transmitting cover to discharge the liquid light-transmitting resin material to the outside; and, after step (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e) removing the liquid light-transmitting resin material overflow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은, 상기 배출공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축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is provided, wherein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off the optical axis of the laser dio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은, 상기 단계(e) 이후에, (f) 상기 상부 투광커버 및 상기 하부 투광커버 내에 채워진 액상 광투과 수지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fter step (e), a step (f) of curing a liquid light-transmitting resin material filled in the upper light-transmitting cover and the lower light-transmitting cov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는, 전술한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An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는, 하부 공간으로 혀를 삽입하도록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혀 고정 프레임과 인체의 치아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치아 안착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여 장착되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연성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는 LED 스트립;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하부 형상에 각각 대응하며, 내부로 주입되는 액상 광투과 수지재가 압착 가공 공정 중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배출공을 구비하는 상부 투광커버 및 하부 투광커버; 상기 LED 스트립의 일단에 접속되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 및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comprises: a base frame having a tongue fixing frame formed convexly upward for inserting a tongue into a lower space and a tooth fixing portion formed concavely for settling a human tooth; an LED strip having a plurality of laser diodes mount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se frame and installed on a flexible circuit board; an upper light-transmitting cover and a lower light-transmitting cover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hapes of the base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 allowing a liquid light-transmitting resin material injected into the interio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during a compression processing process; a cabl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ED strip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laser diode; and a main body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dio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는, 상기 배출공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축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off the optical axis of the laser dio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각각은 650nm 내지 690nm의 파장을 가지는 제1 레이저 다이오드와, 810nm 내재 850nm의 파장을 가지는 제2 레이저 다이오드와, 890nm 내지 930nm의 파장을 가지는 제3 레이저 다이오드가 단일 칩 형태로 구성되는 3파장 레이저 다이오드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is a three-wavelength laser diode in which each of the laser diodes comprises a first laser diode having a wavelength of 650 nm to 690 nm, a second laser diode having a wavelength of 810 nm and an intrinsic wavelength of 850 nm, and a third laser diode having a wavelength of 890 nm to 930 nm in a single chip form.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제2 레이저 다이오드, 및 상기 제3 레이저 다이오드를 펄스 형태로 교차 출력하는 펄스 출력모드와, 상기 제1 레이저 다이오드를 연속파 형태로 출력하는 제1 연속파 출력모드와, 상기 제2 레이저 다이오드를 연속파 형태로 출력하는 제2 연속파 출력모드와, 상기 제3 레이저 다이오드를 연속파 형태로 출력하는 제3 연속파 출력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is provided, wherein the control unit operates in one of a pulse output mode in which the first laser diode, the second laser diode, and the third laser diode are alternately output in a pulse form, a first continuous wave output mode in which the first laser diode is output in a continuous wave form, a second continuous wave output mode in which the second laser diode is output in a continuous wave form, and a third continuous wave output mode in which the third laser diode is output in a continuous wave form.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펄스 출력모드에서 상기 제2 레이저 다이오드의 펄스 폭을 다른 레이저 다이오드의 펄스 폭에 비해 3배 이상 긴 시간으로 설정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comprises: the control unit sets the pulse width of the second laser diode in the pulse output mode to a time that is three times longer or longer than the pulse width of another laser diode.

본 발명의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인체의 치아와 혀를 고려한 구강 구조 맞춤형 마우스피스를 이용하여 구강 내의 깊숙한 부위까지 레이저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며, 베이스 프레임과 LED 스트립을 이용하여 구강전정, 치주, 혀밑샘, 편도선 등과 같이 구강 내 취약한 부위에 근접하여 레이저 치료를 가능하게 하며, 투광커버와 광학수단 사이에 액상 광투과 수지재를 주입하여 광 경로에서 광 손실을 최소화하고 높은 광 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이저 광이 구강 내 생체 조직에 적절한 생체 손상을 일으켜 광생체 조절 기작이 충분히 발현될 수 있도록 하며 구강 점막염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nable laser light to be irradiated deep into the oral cavity by using a mouthpiece customized for the oral structur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teeth and tongue of the human body, enable laser treatment by approaching vulnerable areas in the oral cavity such as the oral vestibule, periodontium, sublingual gland, and tonsils by using a base frame and an LED strip, and inject a liquid light-transmitting resin material between the light-transmitting cover and the optical means to minimize light loss in the light path and secure high light transmittance, thereby allowing the laser light to cause appropriate biological damage to oral biological tissues so that the photobiomodulation mechanism can be sufficiently expressed, an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very effective in treating oral mucosit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를 예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의 레이저 치료를 위한 마우스피스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LED 스트립을 펼친 상태를 보인 정면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LED 스트립을 펼친 상태를 보인 배면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를 예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에 의해 동시에 레이저 치료가 가능한 구강 점막염 취약 부위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및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라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과정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thpiece for laser treatment of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LED strip in an unfolded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ar development view showing the LED strip in an unfolded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oral mucositis vulnerable area that can be simultaneously treated with laser by the mouthpie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8 to 10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Parts having simila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given the same drawing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ir shapes and relative scales may be exaggerated or omitted.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n detail, redundant descriptions or descriptions of techniques that are obvious in the art have been omitted. In addition, when a par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said to "include" an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dditional components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the described components.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part", "device",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this can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they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they are connected with another configuration in betwee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를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의 레이저 치료를 위한 마우스피스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LED 스트립을 펼친 상태를 보인 정면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LED 스트립을 펼친 상태를 보인 배면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의 장치 구성을 먼저 설명하고, 그 후에 본 발명의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G. 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thpiece for laser treatment of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exploded view illustrating an LED strip in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ack exploded view illustrating an LED strip in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to 5, the device configuration of the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first be described, and th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는 본체(100)와, 케이블(500)과, 마우스피스(20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5, the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ain body (100), a cable (500), and a mouthpiece (200).

도 1 및 5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내부에 전원부(180)와 제어부(800)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전원부(180)는 배터리일 수 있다. 배터리는 본체(100) 내에 수납 가능한 건전지이거나,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부(180)는 상용 AC 전원을 인가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100)의 배면에는 건전지 수납부, 2차 전지 충전을 위해 충전기를 연결하기 위한 충전 포트, 또는 상용 AC 전원에 접속된 어댑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잭이 설치된다. 제어부(800)는 LED 드라이버(810)에 동작 신호를 출력하며, LED 드라이버(810)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들이 펄스 모드 또는 연속파 모드로 동작하여 구강 내 염증 부위에 조사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5, the main body (100) has a power supply unit (180) and a control unit (800) therein.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be a battery. The battery may be a dry cell that can be stored in the main body (100) or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s anothe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include a converter that receives commercial AC power and converts it into DC power. Although not shown, a battery storage unit, a charging port for connecting a charger for 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or a connection jack for connecting to an adapter connected to a commercial AC power source are install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control unit (800) outpu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LED driver (810), and causes the laser diodes to operate in pulse mode or continuous wave mode by the LED driver (810) to irradiate an inflammatory area in the oral cavity.

이하에서 설명되는 레이저 다이오드는 모두 650nm 내지 690nm의 파장을 가지는 제1 레이저 다이오드(822)와, 810nm 내재 850nm의 파장을 가지는 제2 레이저 다이오드(824)와, 890nm 내지 930nm의 파장을 가지는 제3 레이저 다이오드(826)가 단일 칩 형태로 구성되는 3파장 레이저 다이오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레이저 다이오드(822)는 670nm의 파장을 가지며, 제2 레이저 다이오드(824)는 830nm의 파장을 가지며, 제3 레이저 다이오드(826)는 910nm의 파장을 가질 수 있다.The laser diodes described below may be three-wavelength laser diodes configured in a single chip form including a first laser diode (822) having a wavelength of 650 nm to 690 nm, a second laser diode (824) having an intrinsic wavelength of 850 nm, and a third laser diode (826) having a wavelength of 890 nm to 930 nm. Preferably, the first laser diode (822) may have a wavelength of 670 nm, the second laser diode (824) may have a wavelength of 830 nm, and the third laser diode (826) may have a wavelength of 910 nm.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전면에는 동작 버튼(110)과, 모드 선택 버튼(120)과, 시간 선택 버튼(130)과, 세기 선택 버튼(140)과, 전원 버튼(150)과, 디스플레이수단(160)과, 비상정지 버튼(170)이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1,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110), a mode selection button (120), a time selection button (130), an intensity selection button (140), a power button (150), a display means (160), and an emergency stop button (170).

동작 버튼(110)은 레이저 광의 조사를 온/오프하는 버튼이다. 모드 선택 버튼(120)은 레이저 광 조사 모드를 선택하는 버튼이다. 레이저 광 조사 모드는 펄스 출력모드, 제1 연속파 모드, 제2 연속파 모드, 제3 연속파 모드의 4개 모드를 가지며, 모드 선택 버튼(120)을 한번 입력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모드가 변경된다.The operation button (110) is a button for turning laser light irradiation on/off. The mode selection button (120) is a button for selecting the laser light irradiation mode. The laser light irradiation mode has four modes: pulse output mode, first continuous wave mode, second continuous wave mode, and third continuous wave mode. Each time the mode selection button (120) is pressed, the mode is changed sequentially.

시간 선택 버튼(130)은 레이저 광 조사 시간을 선택하는 버튼이다. 예컨대, 버튼을 한번 입력할 때마다 10분씩 동작 시간이 올라가며, 60분 동작을 선택한 이후 다시 시간 선택 버튼(130)이 입력되면 10분 동작으로 변경된다. 세기 선택 버튼(140)은 선택한 동작 모드의 레이저 출력 세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버튼이다.The time selection button (130) is a button for selecting the laser light irradiation time. For example, each time the button is pressed, the operation time increases by 10 minutes, and if the time selection button (130) is pressed again after selecting 60 minutes of operation, it changes to 10 minutes of operation. The intensity selection button (140) is a button for gradually adjusting the laser output intensity of the selected operation mode.

전원 버튼(150)은 장치 전체의 전원 투입 및 차단을 선택하는 버튼이다. 디스플레이수단(160)은 사용자에게 현재 선택된 레이저 동작 모드, 동작 시간, 출력 세기를 표시하는 수단이다. 비상정지 버튼(170)은 응급 상황 시 기기의 작동을 즉각적으로 정시시키고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버튼이다.The power button (150) is a button for selecting power on and off of the entire device. The display means (160) is a means for displaying the currently selected laser operation mode, operation time, and output intensity to the user. The emergency stop button (170) is a button for immediate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cutting off the power in an emergency situ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전면 일측 영역은 후방으로 함몰되어 여러개의 마우스피스(20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 공간을 형성하며, 마우스피스(200)가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걸이홈(190)이 구비된다. 케이블(500)은 본체(100)와 마우스피스(200)를 연결하여 본체(100)의 동작전원을 마우스피스(200)에 설치되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 각각에 공급한다.Referring to FIG. 1, a front side area of the main body (100) is sunken backward to form a mounting space capable of mounting multiple mouthpieces (200), and a hanging groove (190) is provided so that the mouthpieces (200) can be hung and fixed. A cable (500) connects the main body (100) and the mouthpiece (200) to supply operating power of the main body (100) to each of the multiple laser diodes installed in the mouthpiece (200).

도 2를 참조하면, 마우스피스(200)는 베이스 프레임(300)과, LED 스트립(400)과, 투광커버(210, 230)가 조립되어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mouthpiece (200) is composed of a base frame (300), an LED strip (400), and a light-emitting cover (210, 230).

베이스 프레임(300)은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안착되는 안착홈(334, 336, 362, 364, 366, 372, 374, 376) 및 절개부(332)와,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그 하부 공간으로 혀를 삽입하도록 형성되는 혀 고정 프레임(330)과, 상하의 치아가 안착되는 치아 안착부(350)를 구비한다.The base frame (300) has a mounting groove (334, 336, 362, 364, 366, 372, 374, 376) and a cut portion (332) in which a plurality of laser diodes are mounted, a tongue fixing frame (330) formed to be convex upward so that the tongue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below it, and a tooth mounting portion (350) on which upper and lower teeth are mounted.

LED 스트립(400)은 안착홈(334, 336, 362, 364, 366, 372, 374, 376) 및 절개부(332)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연성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는 스트립 형태를 갖는다.The LED strip (400) has a strip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laser diodes are instal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s (334, 336, 362, 364, 366, 372, 374, 376) and the cutout (332) and are installed on a flexible circuit board.

베이스 프레임(3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구(310)는 케이블(500)의 단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케이블(500)의 전선들은 연결구(310) 내에서 LED 스트립(400)에 접속된다. LED 스트립(400)은 양면 연성회로기판으로 구성되며, 이 연성회로기판의 스트립들과 연성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는 레이저 다이오드들이 베이스 프레임(300)에 형성된 홈들과 구멍에 끼움 결합되어 LED 스트립(40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The connection hole (310) formed at the end of the base frame (300) is a portion into which the end of the cable (500) is inserted, and the wires of the cable (500) are connected to the LED strip (400) within the connection hole (310). The LED strip (400) is composed of a double-sided flexible circuit board, and the strips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and the laser diodes installed on the flexible circuit board are fitted into grooves and holes formed in the base frame (300) to fix the position of the LED strip (400).

도 3 및 4를 참조하면, LED 스트립(400)은 중앙부의 두꺼운 필름부에서 다수의 분기 스트립이 분기 및 연장되고, 각각의 분기 스트립 상에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LED 스트립(400)이 양면 연성회로기판으로 형성되고, 도 3 및 4와 같이 정면과 배면에 각각 복수개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설치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300)의 혀 고정 프레임(330)을 단일의 프레임으로 구성하면서도 입천장과 혓바닥에 각각 레이저 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LED strip (4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ranch strips branch and extend from a thick film portion in the central portion, and a plurality of laser diodes are installed on each of the branch strips. Since the LED strip (400) is formed as a double-sided flexible circuit board, and a plurality of laser diodes are installed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3 and 4, it is possible to irradiate laser light to the palate and the tongue, respectively, while configuring the tongue fixing frame (330) of the base frame (300) as a single frame.

베이스 프레임(300)의 연결구(310)에 인접하여 스트립 중앙 안착홈(320)이 형성된다. 그리고 LED 스트립(400) 중앙의 스트립 중앙 지지부(420)가 접혀져서 스트립 중앙 안착홈(320)에 끼움 결합된다.A strip center mounting groove (320) is formed adjacent to the connection hole (310) of the base frame (300). Then, the strip center support (420) at the center of the LED strip (400) is folded and fitted into the strip center mounting groove (320).

도 3을 참조하면, LED 스트립(400)은 스트립 중앙 지지부(420)를 기준으로 일단부에는 원호 형상의 편도선 분기 스트립(445)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말굽 형상의 혀밑샘 분기 스트립(480)이 형성된다. 편도선 분기 스트립(445)에는 인체의 편도선 부위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기 위해 소정 간격으로 편도선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40)가 설치된다. 혀밑샘 분기 스트립(480)에는 인체의 혀밑샘 부위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기 위해 소정 간격으로 혀밑샘 조사 레이저 다이오드(482)가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3, an LED strip (400) has an arc-shaped tonsil branch strip (445) formed at one end with respect to a central support member (420) of the strip, and a horseshoe-shaped sublingual gland branch strip (480) formed at the other end. In the tonsil branch strip (445), a tonsil irradiation laser diode (44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irradiate a tonsil area of a human body with laser light. In the sublingual gland branch strip (480), a sublingual gland irradiation laser diode (482)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irradiate a sublingual gland area of a human body with laser light.

스트립 중앙 지지부(420)와 편도선 분기 스트립(445)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제1 횡 스트립(430)과 제2 횡 스트립(431)이 형성된다. 제1 횡 스트립(430)에는 인체의 입천장 측방을 향해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입천장 측방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36)가 설치된다. 제1 횡 스트립(430)과 스트립 중앙 지지부(420) 사이에는 인체의 입천장 전방을 향해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입천장 전방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34)가 설치된다.A first transverse strip (430) and a second transverse strip (431) are formed transversely between the strip center support (420) and the tonsil branch strip (445). A laser diode (436) for irradiating the lateral palate of a human body, which irradiates laser light toward the side of the palate of the human body, is installed in the first transverse strip (430). A laser diode (434) for irradiating the front palate of the human body, which irradiates laser light toward the front of the palate of the human body,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transverse strip (430) and the strip center support (420).

스트립 중앙 지지부(420)와 혀밑샘 분기 스트립(480) 사이에는 양 끝단이 만나는 2열의 치주 분기 스트립(450)이 형성된다. 이 치주 분기 스트립(450) 상에는 인체의 치주 부위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기 위한 복수의 치주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52)가 설치된다.Between the central support strip (420) and the sublingual gland branch strip (480), two rows of periodontal branch strips (450) are formed with both ends meeting. A plurality of periodontal irradiation laser diodes (452) are installed on the periodontal branch strips (450) to irradiate laser light to the periodontal region of the human body.

도 4를 참조하면, 치주 분기 스트립(45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트립에는 각각 인체의 구강전정을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들(462, 464, 466, 472, 474, 476)이 설치된다. 또한, 제1 횡 스트립(430), 제2 횡 스트립(431), 및 스트립 중앙 지지부(420) 인접부에는 인체의 혓바닥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기 위한 6개의 혀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32)가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4, laser diodes (462, 464, 466, 472, 474, 476) for irradiating the oral vestibule of a human body are installed in the strip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eriodontal branch strip (450). In addition, six tongue irradiation laser diodes (432) for irradiating laser light to the tongue of a human body ar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transverse strip (430), the second transverse strip (431), and the central support portion (420) of the strip.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레이저 다이오드들이 베이스 프레임(300)에 대하여 조립되어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the laser diod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o the base frame (300) is described as follows.

베이스 프레임(300)의 혀 고정 프레임(330) 상에는 입천장 전방 조사용 안착홈(334)과 입천장 측방 조사용 안착홈(336)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혀 조사용 절개부(332)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입천장 전방 조사용 안착홈(334)에는 LED 스트립(400)의 입천장 전방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34)가 상부를 지향하여 끼움 결합되어 설치된다. 입천장 측방 조사용 안착홈(336)에는 LED 스트립(400)의 입천장 측방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36)가 상부를 지향하여 끼움 결합되어 설치된다. 혀 조사용 절개부(332)에는 LED 스트립(400)의 혀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32)가 하부를 지향하여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 구조에서는 혀 고정 프레임(330)을 단일의 프레임으로 구성하면서도 양면 연성회로기판을 이용하여 상부의 입천장과 하부의 혓바닥을 동시에 레이저 광으로 근접 조사하여 치료할 수 있다.On the tongue fixing frame (330) of the base frame (300), a mounting groove (334) for anterior palate irradiation and a mounting groove (336) for lateral palate irradiation are concavely formed, and a tongue irradiation cutout (332) is cut and formed. In the mounting groove (334) for anterior palate irradiation, a laser diode (434) for anterior palate irradiation of an LED strip (400) is installed facing upward and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334) for lateral palate irradiation. In the mounting groove (336) for lateral palate irradiation, a laser diode (436) for lateral palate irradiation of an LED strip (400) is installed facing upward and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336) for lateral palate irradiation. In the tongue irradiation cutout (332), a tongue irradiation laser diode (432) of an LED strip (400) is installed facing downward. That is, in the mouthpie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gue fixation frame (330) is configured as a single frame, and the upper palate and the lower tongue can be treated simultaneously by irradiating them with laser light using a double-sided flexible circuit board.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300)의 혀 고정 프레임(330)의 단부에서 구강 내의 편도선을 향해 둔각으로 절곡되어 편도선 조사용 절곡면(340)이 형성된다. 그리고 LED 스트립(400)의 편도선 분기 스트립(445)이 편도선 조사용 절곡면(340)에 안착되어 조립된다. 따라서 편도선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40)가 인체의 편도선에 레이저 광을 근접 조사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tongue fixing frame (330) of the base frame (300) is bent at an obtuse angle toward the tonsils in the oral cavity to form a folding surface (340) for tonsil irradiation. Then, the tonsil branch strip (445) of the LED strip (400) is assembled by being secured to the folding surface (340) for tonsil irradiation. Accordingly, the laser diode (440) for tonsil irradiation can irradiate laser light in close proximity to the tonsils of the human body.

도 2에서는 묘사되지 않았지만, 베이스 프레임(300)의 하부에는 혀밑샘 분기 스트립(480)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다. 여기에 혀밑샘 분기 스트립(480)이 안착되어 조립됨으로써, 혀밑샘 조사 레이저 다이오드(482)가 인체의 혀밑샘에 레이저 광을 근접 조사할 수 있게 된다.Although not depicted in FIG. 2, a mounting portion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se frame (300) on which a sublingual gland branch strip (480) is mounted. By mounting and assembling the sublingual gland branch strip (480) here, the sublingual gland irradiation laser diode (482) can irradiate laser light in close proximity to the sublingual gland of a human body.

또한, 도 2에서는 묘사되지 않았지만, 베이스 프레임(300)의 외주연(즉, 치아 안착부(35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 상에는 복수의 치주 조사용 안착홈이 2열(각각 윗니 치주열과 아랫니 치주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LED 스트립(400)의 치주 분기 스트립(450)이 치주 조사용 안착홈에 조립된다. 따라서 치주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52)가 인체의 치주에 근접하여 레이저 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depicted in Fig. 2, a plurality of periodontal examination mounting grooves are formed in two rows (respectively, upper teeth periodontal row and lower teeth periodontal row)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se frame (300) (i.e.,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facing the tooth mounting portion (350). In addition, the periodontal branch strip (450) of the LED strip (400) described above is assembled into the periodontal examination mounting groove. Accordingly, the periodontal examination laser diode (452) can irradiate laser light in close proximity to the periodontium of a human body.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300)의 치아 안착부(350) 둘레로 입설되는 벽부의 상단면과 하단면에는 인체의 상하 어금니 측에 위치한 구강전정을 향하여 각각 제1 각도로 절곡된 설치면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62, 372)이 형성된다. 제1 각도는 예컨대 수직벽을 기준으로 90도이다. 제1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62)과 제1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72)이 마우스피스(20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62)에는 LED 스트립(400)의 제1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62)가 설치되며, 제1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72)에는 제1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72)가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2,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all portions installed around the tooth mounting portion (350) of the base frame (300) are formed with firs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mounting grooves (362, 372) that are concavely formed to have installation surfaces bent at a first angle toward the oral vestibule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molars of the human body. The first angle is, for example,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wall. The first lef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mounting groove (362) and the first righ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mounting groove (372)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mouthpiece (200). And, a first lef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laser diode (462) of an LED strip (400) is installed in the first lef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mounting groove (362), and a first righ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laser diode (472) is installed in the first righ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mounting groove (372).

벽부의 상단면과 하단면에서 인체의 상하 송곳니 측에 위치한 구강전정을 향하여 제1 각도에 비해 더 작은 각도로 절곡된 설치면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64, 374)이 형성된다. 제2 각도는 예컨대 수직벽을 기준으로 60도이다. 제2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64)과 제2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74)이 마우스피스(20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64)에 제2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64)가 설치되며, 제2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74)에 제2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74)가 설치된다.A second oral vestibular irradiation mounting groove (364, 374)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all so as to have an installation surface bent at a smaller angle than the first angle toward the oral vestibule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canine sides of the human body. The second angle is, for example,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wall. The second lef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mounting groove (364) and the second righ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mounting groove (374)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mouthpiece (200). In addition, a second lef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laser diode (464) is installed in the second lef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mounting groove (364), and a second righ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laser diode (474) is installed in the second righ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mounting groove (374).

벽부의 상단면과 하단면에서 인체의 상하 앞니 측에 위치한 구강전정을 향하여 제2 각도에 비해 더 작은 각도로 절곡된 설치면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66, 376)이 형성된다. 제3 각도는 예컨대 수직벽을 기준으로 30도이다. 제3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66)과 제3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76)이 마우스피스(20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3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66)에 제3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66)가 설치되며, 제3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76)에 제3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76)가 설치된다.A third oral vestibular irradiation mounting groove (366, 376)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all so as to have an installation surface bent at a smaller angle than the second angle toward the oral vestibule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front teeth of the human body. The third angle is, for example,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wall. The third lef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mounting groove (366) and the third righ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mounting groove (376)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on the left and right based o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mouthpiece (200). In addition, a third lef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laser diode (466) is installed in the third lef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mounting groove (366), and a third righ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laser diode (476) is installed in the third righ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mounting groove (376).

이와 같이, 어금니 측의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62, 372), 송곳니 측의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64, 374), 앞니 측의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66, 376)이 각각 다른 각도의 설치면을 가짐에 따라 구강 구조에 맞추어 구강전정에서 발생한 구강 점막염에 대해 매우 근접된 직사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since the oral vestibular examination mounting grooves (362, 372) on the molar side, the oral vestibular examination mounting grooves (364, 374) on the canine side, and the oral vestibular examination mounting grooves (366, 376) on the incisor side each have installation surfaces at different angles, it is possible to irradiate oral mucositis occurring in the oral vestibular region with very close direct light according to the oral structure.

도 2를 참조하면, 투광커버(210, 230)는 LED 스트립(400)의 외부에 결합되어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사되는 레이저 광을 투과시킨다. 투광커버(210, 230)는 LED 스트립(400)의 상부로 결합되는 상부 투광커버(210)와 하부로 결합되는 하부 투광커버(230)가 상호 맞닿아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2, the light-transmitting cover (210, 23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LED strip (400) and transmits the laser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diode. The light-transmitting cover (210, 23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light-transmitting cover (21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ED strip (400) and the lower light-transmitting cover (230) coupled to the lower side are assembled in mutual contact.

상부 투광커버(210)와 하부 투광커버(23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7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겠지만 상부 투광커버(210)와 하부 투광커버(230)의 내부에는 액상 광투과 수지재가 주입된 후 경화된다. 액상 광투과 수지재는 경화 후에 투광커버(210, 230)와 거의 동일한 광 투과도를 갖는 액상 실리콘이다. 이와 같이 상부 투광커버(210)와 하부 투광커버(230) 사이에 액상 실리콘을 주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LED 스트립(400)이 베이스 프레임(300)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높은 광 투과율로 환부에 레이저 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투광커버(210)와 하부 투광커버(230)에 복수의 배출공을 형성함으로써, 투광커버(210, 230)를 베이스 프레임(300)에 대하여 압착 가공하는 공정 중에 배출공을 통해 액상 실리콘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투광커버(210, 230) 내부에 기포 등이 생성되어 광 투과도를 저하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upper light-transmitting cover (210) and the lower light-transmitting cover (230) are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and below, a liquid light-transmitting resin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upper light-transmitting cover (210) and the lower light-transmitting cover (230) and then cured. The liquid light-transmitting resin material is liquid silicone that has almost the same light transmittance as the light-transmitting covers (210, 230) after curing. By injecting and curing the liquid silicone between the upper light-transmitting cover (210) and the lower light-transmitting cover (230) in this way, the LED strip (400) can be firmly fixed to the base frame (300), and laser light can be irradiated to the affected area with high light transmittance. Preferably, by forming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in the upper transparent cover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cover (230), the liquid silicon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holes during the process of pressing the transparent cover (210, 230) against the base frame (300),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air bubbles being generated inside the transparent cover (210, 230) and thus reducing the light transmittance.

상부 투광커버(210)는 사용자가 마우스피스(200)를 치아로 문 상태에서 입술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구(214)의 단부에 케이블(500)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구(212)를 구비한다. 연결구(214)는 환자가 마우스피스(200)를 문 상태에서 입술 밖으로 충분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혀 고정 볼록부(216)는 베이스 프레임(300)의 혀 고정 프레임(330)의 상부면에 대응하여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부 투광커버(21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U자형의 상부 구강전정 삽입부(218)는 윗니와 윗입술 사이의 상부 구강전정 공간으로 삽입된다. 상부 구강전정 삽입부(218)를 따라 그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 치아 안착부(220)는 윗니의 치아 단부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부 구강전정 삽입부(218)와 상부 치아 안착부(220)에 의해 환자의 구강 내 윗부분에 마우스피스(2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The upper transparent cover (210) has a cable insertion port (212) into which a cable (500) is inserted at an end of a connection port (214) that protrudes outside the lips when the user bites the mouthpiece (200) with his or her teeth. The connection port (214) has a length that can extend a sufficient length outside the lips when the patient bites the mouthpiece (200). The tongue fixing convex portion (216) is formed to be convex upwardly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ongue fixing frame (330) of the base frame (300). The U-shaped upper oral vestibular insertion portion (218) that protrudes upwardly of the upper transparent cover (210) is inserted into the upper oral vestibular space between the upper teeth and the upper lip. The upper tooth mounting portion (220) that is formed to be recessed inwardly along the upper oral vestibular insertion portion (218) is a portion where the ends of the teeth of the upper teeth are mounted. The mouthpiece (200) is stably supported in the upper part of the patient's oral cavity by the upper oral vestibular insertion part (218) and the upper tooth anchorage part (220).

하부 투광커버(210)는 일단의 연결구(234)의 단부에 케이블(500)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구(232)를 구비한다. 혀 고정 볼록부(236)는 베이스 프레임(300)의 혀 고정 프레임(330)의 하부면에 대응하여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혀 고정 볼록부(236)의 하면에 인체의 혀 상부가 지지되어 치료 중에 혀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하부 투광커버(23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U자형의 하부 구강전정 삽입부(238)는 아랫니와 아랫입술 사이의 하부 구강전정 공간으로 삽입된다. 하부 구강전정 삽입부(238)를 따라 그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치아 안착부(240)는 아랫니의 치아 단부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하부 구강전정 삽입부(238)와 하부 치아 안착부(240)에 의해 환자의 구강 내 아랫부분에 마우스피스(2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The lower light-transmitting cover (210) has a cable insertion port (232) into which a cable (500) is inserted at an end of a connecting port (234). The tongue fixing convex portion (236) is formed to be convex upwardly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ongue fixing frame (330) of the base frame (300), and the upper part of the human tongue is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ngue fixing convex portion (236) to fix the position of the tongue during treatment. The U-shaped lower oral vestibular insertion portion (238)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light-transmitting cover (230) is inserted into the lower oral vestibular space between the lower teeth and the lower lip. The lower tooth fixation portion (240) formed to be recessed inwardly along the lower oral vestibular insertion portion (238) is a portion where the ends of the teeth of the lower teeth are fixed. The mouthpiece (200) is stably supported in the lower part of the patient's oral cavity by the lower oral vestibular insertion portion (238) and the lower tooth anchorage portion (240).

도 6은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에 의해 동시에 레이저 치료가 가능한 구강 점막염 취약 부위를 예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rawing exemplifying an oral mucositis vulnerable area that can be simultaneously treated with laser using the mouthpie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구강 단면도에서와 같이, 구강 점막염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부위는 상부 구강전정(702), 상부 앞니 치주(704), 상부 송곳니 치주(706), 상부 어금니 치주(708), 편도선(710), 하부 구강전정(712), 하부 앞니 치주(714), 하부 송곳니 치주(716), 하부 어금니 치주(718), 혀밑샘(720)이다. 또한, 이들 부위는 종래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에 의해 치료가 잘 이루어지 않는 취약 부위에 해당한다.As shown in the oral cross-section of Fig. 6, the areas where oral mucositis frequently occurs are the upper oral vestibule (702), the upper incisor periodontium (704), the upper canine periodontium (706), the upper molar periodontium (708), the tonsils (710), the lower oral vestibule (712), the lower incisor periodontium (714), the lower canine periodontium (716), the lower molar periodontium (718), and the sublingual gland (720). In addition, these areas correspond to vulnerable areas that are not well treated by conventional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s.

본 발명의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는 전술한 마우스피스(200) 구조를 가지므로, 위와 같은 구강 점막염 취약 부위를 모두 커버하면서, 구강 내 깊숙한 부위까지 레이저 다이오드를 최대한 근접시켜 레이저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Since the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mouthpiece (200) structure, it can perform laser treatment by bringing the laser diod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deep part of the oral cavity while covering all the areas vulnerable to oral mucositis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제어부(8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의 기억장치에 프로그램된 명령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들의 동작을 통일하여 제어한다.Here, the control unit (800)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aser diodes in a unified manner according to commands programmed in the memory of the microprocessor unit.

제어부(800)는 모드 선택 버튼(120)의 입력에 따라 670nm의 제1 레이저 다이오드(822), 830nm의 제2 레이저 다이오드(824), 및 910nm의 제3 레이저 다이오드(826)를 각각 펄스 형태로 교차 출력하는 펄스 출력모드와, 제1 레이저 다이오드(822)를 연속파 형태로 출력하는 제1 연속파 출력모드와, 제2 레이저 다이오드(824)를 연속파 형태로 출력하는 제2 연속파 출력모드와, 제3 레이저 다이오드(826)를 연속파 형태로 출력하는 제3 연속파 출력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한다.The control unit (800) operates in one of the following modes: a pulse output mode in which the first laser diode (822) of 670 nm, the second laser diode (824) of 830 nm, and the third laser diode (826) of 910 nm are alternately output in a pulse form, a first continuous wave output mode in which the first laser diode (822) is output in a continuous wave form, a second continuous wave output mode in which the second laser diode (824) is output in a continuous wave form, and a third continuous wave output mode in which the third laser diode (826) is output in a continuous wave form, depending on the input of the mode selection button (120).

제어부(800)는 펄스 출력모드에서 제2 레이저 다이오드(824)의 펄스 폭을 다른 레이저 다이오드의 펄스 폭에 비해 3배 이상 긴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800)는 670nm 파장의 제1 레이저 다이오드(822)의 펄스 폭을 "250us±5%"로, off time을 "1,350us±5%"로, 반복율을 625Hz±5%로 설정한다. 그리고 830nm 파장의 제2 레이저 다이오드(824)의 펄스 폭을 "950us±5%"로, off time을 "650us±5%"로, 반복율을 625Hz±5%로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910nm 파장의 제3 레이저 다이오드(826)를 제1 레이저 다이오드(822)와 동일하게 의 펄스 폭 "250us±5%"로, off time "1,350us±5%"로, 반복율 625Hz±5%로 설정한다. 각 파장 간에는 50us의 휴지기를 두어 반복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800) can set the pulse width of the second laser diode (824) to a time that is three times longer than the pulse widths of other laser diodes in the pulse output mod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800) sets the pulse width of the first laser diode (822) having a wavelength of 670 nm to "250us±5%", the off time to "1,350us±5%", and the repetition rate to 625Hz±5%.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800) sets the pulse width of the second laser diode (824) having a wavelength of 830 nm to "950us±5%", the off time to "650us±5%", and the repetition rate to 625Hz±5%. Finally, the third laser diode (826) with a wavelength of 910 nm is set to the same pulse width as the first laser diode (822) at "250us±5%", off time at "1,350us±5%", and repetition rate at 625Hz±5%. It is repeatedly output with a pause of 50us between each wavelength.

제1 레이저 다이오드(822)가 펄스 모드로 동작할 때 670nm의 레이저 광이 표피층과 진피층에 미세한 생체 손상을 일으킨다. 제2 레이저 다이오드(824)는 다른 레이저 다이오드에 비해 좀 더 장시간 펄스 모드로 동작하며, 830nm 파장의 레이저는 진피층을 지나 피하조직까지 깊숙이 침투하여 염증을 치료한다. 마지막으로 제3 레이저 다이오드(826)는 진피층까지 침투하지만 염증 부위가 충분한 자발적 회복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3파장 레이저를 펄스 출력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구강 점막염 부위에서 광생체 조절 기작이 충분히 발현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first laser diode (822) operates in pulse mode, the 670 nm laser light causes microscopic bio-damage to the epidermis and dermis. The second laser diode (824) operates in pulse mode for a longer period of time compared to other laser diodes, and the 830 nm wavelength laser penetrates deep into the subcutaneous tissue through the dermis layer to treat inflammation. Finally, the third laser diode (826) penetrates into the dermis layer but allows the inflamed area to have a sufficient spontaneous recovery period. By operating the three-wavelength laser in pulse output mode in this way, the photobiomodulation mechanism can be sufficiently expressed in the oral mucositis area.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고,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라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과정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to 10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7 to 10,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혀 고정 프레임(330)과 치아 안착부(350)를 구비하도록 베이스 프레임(300)을 성형한다(ST110). 베이스 프레임(300)의 상세한 구조는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도 8의 단면도는 베이스 프레임(300)의 횡방향으로 자른 단면도로서, 가장자리의 제1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62)과 제1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72)은 잘려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하로 제2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64), 제3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66), 제2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74), 제3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76)이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rst, as described above, a base frame (300) is formed to have a tongue fixing frame (330) and a tooth anchoring portion (350) (ST110).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ase frame (300) i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transversely of the base frame (300). Although the first lef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anchoring groove (362) and the first righ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anchoring groove (372) at the edge are not shown because they are cut off,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econd lef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anchoring groove (364), the third lef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anchoring groove (366), the second righ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anchoring groove (374), and the third righ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anchoring groove (376) are located vertically.

다음으로,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LED 스트립(400)을 베이스 프레임(300)에 대하여 조립한다(ST120). 도 9의 단면도는 LED 스트립(400)이 베이스 프레임(300)에 대하여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중앙의 혀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32)가 하부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고, 입천장 전방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34)가 상부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64)에 설치된 제2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64)가 제3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366)에 설치된 제3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466)에 비해 완만한 경사로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인체의 송곳니 부근의 구강전정이 앞니 부근의 구강전정에 비해 완만한 경사를 가짐에 따라, 구강전정에 발생한 점막염에 보다 근접하여 광범위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Next, the LED strip (400) as shown in FIGS. 4 and 5 is assembled to the base frame (300) (ST120).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D strip (400) is assembled to the base frame (300).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entral tongue irradiation laser diode (432) is installed facing downward, and the palate front irradiation laser diode (434) is installed facing upward.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econd lef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laser diode (464) installed in the second lef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mounting groove (364) is installed at a gentler incline compared to the third lef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laser diode (466) installed in the third lef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mounting groove (366). This will enable laser light to be irradiated over a wide area more closely to the mucositis occurring in the oral vestibule, as the oral vestibule near the canines of the human body has a gentler slope than the oral vestibule near the incisors.

다음으로, 도 10의 단면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투광커버(210)와 하부 투광커버(230)의 내부에 액상 광투과 수지재(예컨대, 액상 실리콘)를 주입한다(ST130). 상부 투광커버(210) 및 하부 투광커버(23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도록 실리콘 재질의 재료를 사출하여 성형되는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투광커버(210) 및 하부 투광커버(230)에는 도 10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액상 실리콘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배출공(25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공(250)은 압착 가공에 의한 압력으로 액상 실리콘이 오버플로우 될 수 있을 정도로 미세한 구멍이며, 도 10에서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축을 벗어낫 위치에 형성된다.Next, as illustrated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0, a liquid light-transmitting resin material (e.g., liquid silicone) is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upper transparent cover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cover (230) (ST130). The upper transparent cover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cover (230) can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 silicone material to have a shap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t this time,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50) are formed in the upper transparent cover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cover (230) so that the liquid silicon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illustrated in an enlarged manner in Fig. 10. Preferably, the discharge holes (250) are microscopic holes that allow the liquid silicone to overflow due to pressure from the pressing process, and are formed at a position off the optical axis of the laser diode as illustrated in Fig. 10.

그리고 상부 투광커버(210)와 하부 투광커버(230)를 베이스 프레임(300)에 대하여 상하로 압착 가공하여 접합시킨다(ST140). 다음으로, 압착 가공 공정에서 상부 투광커버(210) 및 하부 투광커버(230)의 배출공(25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는 액상 실리콘 오버플로우를 제거하고(ST150), 투광커버 내부의 액상 실리콘을 경화시킨다(ST160). 액상 실리콘의 경화는 경화제를 이용한 자연 경화, 열 경화, UV 경화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And the upper transparent cover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cover (230) are joined by pressing them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300) (ST140). Next, in the pressing process, the liquid silicone overflow that escap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250) of the upper transparent cover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cover (230) is removed (ST150), and the liquid silicone inside the transparent cover is cured (ST160). The curing of the liquid silicone can be performed by any one of natural curing using a curing agent, thermal curing, and UV curing.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The invention disclosed above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amaging the basic idea. In other words, the above embodiments should all be interpreted as illustrative, not restrictive.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ttached claims, no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f the elements defined in the attached claims are replaced with equivalents, they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체 110 : 동작 버튼
120 : 모드 선택 버튼 130 : 시간 선택 버튼
140 : 세기 선택 버튼 150 : 전원 버튼
160 : 디스플레이수단 170 : 비상정지 버튼
180 : 전원부 190 : 걸이홈
200 : 마우스피스 210 : 상부 투광커버
212 : 케이블 삽입구 214 : 연결구
216 : 혀 고정 볼록부 218 : 상부 구강전정 삽입부
220 : 상부 치아 안착부 230 : 하부 투광커버
232 : 케이블 삽입구 234 : 연결구
236 : 혀 고정 볼록부 238 : 하부 구강전정 삽입부
240 : 하부 치아 안착부 250 : 배출공
300 : 베이스 프레임 310 : 연결구
320 : 스트립 중앙 안착홈 330 : 혀 고정 프레임
332 : 혀 조사용 절개부 334 : 입천장 전방 조사용 안착홈
336 : 입천장 측방 조사용 안착홈 340 : 편도선 조사용 절곡면
350 : 치아 안착부
362 : 제1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
364 : 제2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
366 : 제3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
372 : 제1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
374 : 제2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
376 : 제3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
400 : LED 스트립 420 : 스트립 중앙 지지부
430 : 제1 횡 스트립 431 : 제2 횡 스트립
432 : 혀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434 : 입천장 전방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436 : 입천장 측방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440 : 편도선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445 : 편도선 분기 스트립 450 : 치주 분기 스트립
452 : 치주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462 : 제1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464 : 제2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466 : 제3 좌측 구강전정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472 : 제1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474 : 제2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476 : 제3 우측 구강전정 조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480 : 혀밑샘 분기 스트립 482 : 혀밑샘 조사 레이저 다이오드
500 : 케이블 702 : 상부 구강전정
704 : 상부 앞니 치주 706 : 상부 송곳니 치주
708 : 상부 어금니 치주 710 : 편도선
712 : 하부 구강전정 714 : 하부 앞니 치주
716 : 하부 송곳니 치주 718 : 하부 어금니 치주
720 : 혀밑샘 800 : 제어부
810 : LED 드라이버 822 : 제1 레이저 다이오드
824 : 제2 레이저 다이오드 826 : 제3 레이저 다이오드
100 : Body 110 : Operation Button
120: Mode selection button 130: Time selection button
140 : Century selection button 150 : Power button
160: Display means 170: Emergency stop button
180 : Power supply 190 : Hanging home
200 : Mouthpiece 210 : Upper light cover
212 : Cable insertion port 214 : Connection port
216: Tongue fixation convex part 218: Upper oral vestibular insertion part
220: Upper tooth anchorage 230: Lower light-transmitting cover
232: Cable insertion port 234: Connection port
236: Tongue fixation convex part 238: Lower oral vestibular insertion part
240: Lower tooth anchorage 250: Discharge hole
300 : Base Frame 310 : Connection Port
320: Strip center anchoring groove 330: Tongue fixing frame
332: Incision for tongue examination 334: Fixation groove for anterior palate examination
336: Fixing groove for palatine lateral examination 340: Folding surface for tonsil examination
350 : Tooth anchorage
362: 1st left oral vestibular investigation anchorage groove
364: Second left oral vestibular investigation anchorage groove
366: Third left oral vestibular investigation anchorage groove
372: First right oral vestibular investigation anchorage groove
374: Second right oral vestibular investigation anchorage groove
376: Third right oral vestibular investigation anchorage groove
400 : LED strip 420 : Strip center support
430: First transverse strip 431: Second transverse strip
432: Laser diode for tongue examination
434: Laser diode for anterior palatal irradiation
436: Laser diode for lateral palatal examination
440: Laser diode for tonsil examination
445: Tonsil branch strip 450: Periodontal branch strip
452: Laser diode for periodontal examination
462: Laser diode for lef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464: Laser diode for second lef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466: Laser diode for third lef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472: Laser diode for first righ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474: Laser diode for second righ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476: Laser diode for third right oral vestibular examination
480: Sublingual gland branch strip 482: Sublingual gland irradiation laser diode
500 : Cable 702 : Upper oral vestibule
704: Upper incisor periodontal 706: Upper canine periodontal
708: Upper molar periodontal 710: Tonsil
712: Lower oral vestibule 714: Lower front teeth periodontal
716: Lower canine periodontal 718: Lower molar periodontal
720 : Sublingual gland 800 : Control unit
810: LED driver 822: 1st laser diode
824: Second laser diode 826: Third laser diode

Claims (16)

(a) 하부 공간으로 혀를 삽입하도록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혀 고정 프레임과 인체의 치아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치아 안착부를 구비하도록 베이스 프레임을 성형하는 단계;
(b)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여 장착되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연성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는 LED 스트립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조립하는 단계;
(c)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하부 형상에 각각 대응하는 상부 투광커버와 하부 투광커버의 내부에 액상 광투과 수지재를 주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상부 투광커버 및 상기 하부 투광커버를 각각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로 압착 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각각은 650nm 내지 690nm의 파장을 가지는 제1 레이저 다이오드와, 810nm 내재 850nm의 파장을 가지는 제2 레이저 다이오드와, 890nm 내지 930nm의 파장을 가지는 제3 레이저 다이오드가 단일 칩 형태로 구성되는 3파장 레이저 다이오드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
(a) a step of forming a base frame so as to have a tongue fixing frame formed convexly upward for inserting the tongue into the lower space and a tooth fixing portion formed concavely for fixing human teeth;
(b) a step of assembling an LED strip, in which a plurality of laser diodes are mount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se frame and are installed on a flexible circuit board, to the base frame;
(c) a step of injecting a liquid light-transmitting resin material into the interior of the upper and lower light-transmitting covers, each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hapes of the base frame; and
(d) A step of pressing the upper light-emitting cover and the lower light-emitting cover upward and downward relative to the base frame, respectively.
Includ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wherein each of the laser diodes is a three-wavelength laser diode configured in a single chip form: a first laser diode having a wavelength of 650 nm to 690 nm, a second laser diode having an intrinsic wavelength of 850 nm and a third laser diode having a wavelength of 890 nm to 930 n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상기 혀 고정 프레임 상에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복수개가 각각 상부를 지향하여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입천장 조사용 안착홈과,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복수개가 하부를 지향하여 설치되도록 절개되는 혀 조사용 절개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성형하는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The step (a)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wherein the base frame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palate irradiation mounting grooves are formed concavely so that the plurality of laser diodes are respectively mounted facing upward on the tongue fixing frame, and a tongue irradiation incision is formed so that the plurality of laser diodes are installed facing down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상기 혀 고정 프레임의 단부에서 둔각으로 절곡되어 원호 형상의 편도선 조사용 절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성형하는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tep (a)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which forms the base frame so as to form an arc-shaped tonsil irradiation folding surface by bending at an obtuse angle at an end of the tongue fixing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상기 치아 안착부의 둘레로 입설되는 벽부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인체의 어금니 측에 위치한 구강전정을 향하여 제1 각도로 절곡된 설치면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을 형성시키는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tep (a)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which forms a first oral vestibular irradiation irradiation concave mounting groov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all portion installed around the tooth mounting portion, each having an installation surface bent at a first angle toward the oral vestibular region located on the molar side of the human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상기 벽부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인체의 송곳니 측에 위치한 구강전정을 향하여 상기 제1 각도에 비해 더 작은 제2 각도로 절곡된 설치면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을 형성시키는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
In paragraph 4,
The above step (a)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which forms a second oral vestibular irradiation fixing groove that is concavely formed to have an installation surface bent at a second angle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toward the oral vestibular region located on the canine side of the human body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all portion, respective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상기 벽부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인체의 앞니 측에 위치한 구강전정을 향하여 상기 제2 각도에 비해 더 작은 제3 각도로 절곡된 설치면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 구강전정 조사용 안착홈을 형성시키는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
In paragraph 5,
The above step (a)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which forms a third oral vestibular irradiation fixing groove, which is formed concavely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all portion, so as to have an installation surface bent at a third angle smaller than the second angle toward the oral vestibular region located on the front teeth side of the human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투광커버 및 상기 하부 투광커버에는 상기 액상 광투과 수지재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단계(d) 이후에,
(e) 상기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오버플로우되는 액상 광투과 수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transparent cover and the lower transparent cover to discharge the liquid light-transmitting resin material to the outside.
After the above step (d),
(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removing a liquid light-transmitting resin material overflow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축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는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
In Article 8,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wherein the above-mentioned discharge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off the optical axis of the laser dio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 이후에,
(f) 상기 상부 투광커버 및 상기 하부 투광커버 내에 채워진 액상 광투과 수지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
In Article 8,
After the above step (e),
(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uring a liquid light-transmitting resin material filled in the upper light-transmitting cover and the lower light-transmitting cover.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An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manufactur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claims 8 to 10.
하부 공간으로 혀를 삽입하도록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혀 고정 프레임과 인체의 치아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치아 안착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여 장착되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연성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는 LED 스트립;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하부 형상에 각각 대응하며, 내부로 주입되는 액상 광투과 수지재가 압착 가공 공정 중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배출공을 구비하는 상부 투광커버 및 하부 투광커버;
상기 LED 스트립의 일단에 접속되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 및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
를 포함하는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A base frame having a tongue fixing frame formed convexly upward to allow the tongue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space and a tooth fixing portion formed concavely to allow the teeth of a human body to be fixed therein;
An LED strip having a plurality of laser diodes mount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se frame and installed on a flexible circuit board;
An upper light-transmitting cover and a lower light-transmitting cover, each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hapes of the above-mentioned base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so that the liquid light-transmitting resin material injected into the interio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during the pressing process;
A cabl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ED strip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laser diode; and
A main body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the above operating power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aser diode
A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including a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축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는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In Article 12,
An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in which the above discharge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off the optical axis of the laser diod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각각은 650nm 내지 690nm의 파장을 가지는 제1 레이저 다이오드와, 810nm 내재 850nm의 파장을 가지는 제2 레이저 다이오드와, 890nm 내지 930nm의 파장을 가지는 제3 레이저 다이오드가 단일 칩 형태로 구성되는 3파장 레이저 다이오드인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In Article 12,
An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wherein each of the above laser diodes is a three-wavelength laser diode configured in a single chip form: a first laser diode having a wavelength of 650 nm to 690 nm, a second laser diode having an intrinsic wavelength of 850 nm, and a third laser diode having a wavelength of 890 nm to 930 nm.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제2 레이저 다이오드, 및 상기 제3 레이저 다이오드를 펄스 형태로 교차 출력하는 펄스 출력모드와, 상기 제1 레이저 다이오드를 연속파 형태로 출력하는 제1 연속파 출력모드와, 상기 제2 레이저 다이오드를 연속파 형태로 출력하는 제2 연속파 출력모드와, 상기 제3 레이저 다이오드를 연속파 형태로 출력하는 제3 연속파 출력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In Article 14,
An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operates in one of a pulse output mode in which the first laser diode, the second laser diode, and the third laser diode are alternately output in a pulse form, a first continuous wave output mode in which the first laser diode is output in a continuous wave form, a second continuous wave output mode in which the second laser diode is output in a continuous wave form, and a third continuous wave output mode in which the third laser diode is output in a continuous wave form.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펄스 출력모드에서 상기 제2 레이저 다이오드의 펄스 폭을 다른 레이저 다이오드의 펄스 폭에 비해 3배 이상 긴 시간으로 설정하는 구강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In Article 15,
An oral treatment laser irradiation device in which the above control unit sets the pulse width of the second laser diode in the pulse output mode to a time at least three times longer than the pulse width of the other laser diode.
KR1020220149751A 2022-08-25 2022-11-10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tive KR1027458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751A KR102745826B1 (en) 2022-11-10 2022-11-10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8/453,468 US20240066314A1 (en) 2022-08-25 2023-08-22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751A KR102745826B1 (en) 2022-11-10 2022-11-10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8934A KR20240068934A (en) 2024-05-20
KR102745826B1 true KR102745826B1 (en) 2024-12-24

Family

ID=9128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9751A Active KR102745826B1 (en) 2022-08-25 2022-11-10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582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1181A (en) * 2008-12-04 2010-06-17 Tokuyama Dental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mouth guard
JP2020505205A (en) * 2017-01-25 2020-02-20 デンツプライ シロナ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ight curing dental system
KR102116453B1 (en) 2019-10-22 2020-05-28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Oral treatmen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7692A (en) 2011-11-24 2013-06-03 주식회사 루트로닉 Mouthpiece for treating oral cavity and apparatus for treating oral cavity having the same
KR101554721B1 (en) 2015-03-26 2015-09-21 주식회사 덴트화이트 Light irradiating device for mouth
KR102456141B1 (en) * 2020-12-04 2022-10-18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Mouthpiece Structure For Treatment Using The Ligh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1181A (en) * 2008-12-04 2010-06-17 Tokuyama Dental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mouth guard
JP2020505205A (en) * 2017-01-25 2020-02-20 デンツプライ シロナ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ight curing dental system
KR102116453B1 (en) 2019-10-22 2020-05-28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Oral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8934A (en) 202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10228B1 (en) Intra-oral appliance for delivering red, near-infrared and blue light for oral tissue healing
US7329274B2 (en) Conforming oral phototherapy applicator
US9974630B2 (en) Laser orthodontic devices
KR102116453B1 (en) Oral treatment apparatus
KR101858657B1 (en) Oral treatment apparatus
KR100851621B1 (en) Laser hair loss treatment machine
US9180308B1 (en) Laser device for intracranial illumination via oral or nasal foramina access
US10350429B2 (en) Laser device for intracranial illumination via oral or nasal foramina access
CA3204029A1 (en) Intraoral phototherapy device
JP2000070292A (en) Dental photoirradiation device
KR102314963B1 (en) Multifunctional LED oral treatment device
KR102745826B1 (en)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760766B1 (en)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KR20220118652A (en) Oral treatment device consisting of upper and lower false teeth (tooth cover) equipped with flexible RED OLED
US20240066314A1 (en)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026927A (en) Oral care device
KR20230125364A (en) Apparatus for oral beam therapy using low level laser
KR102818949B1 (en) Laser irradiation device for oral treatment using 4-wavelength laser light
KR20210074750A (en) Oral cavity curing apparatus with light emitting unit
JP7744713B1 (en) Intraoral light irradiation device
KR100985302B1 (en) Driver scalp optical treatment apparatus for vehicle
KR20240121495A (en) Oral beam set for dental treatment using low power laser
KR20240121496A (en) Apparatus for oral beam therapy using low level la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