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7879B1 - Automatic spoon and chopsticks dispenser - Google Patents

Automatic spoon and chopsticks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7879B1
KR102747879B1 KR1020240144529A KR20240144529A KR102747879B1 KR 102747879 B1 KR102747879 B1 KR 102747879B1 KR 1020240144529 A KR1020240144529 A KR 1020240144529A KR 20240144529 A KR20240144529 A KR 20240144529A KR 102747879 B1 KR102747879 B1 KR 102747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
spoon
cartridge
extraction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144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경환
Original Assignee
흥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흥부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흥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144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78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7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787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내식당이나 푸드코트 등에 비치되어 이용자에게 자동으로 수저를 인출시켜 주는 자동 수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으로부터 취출부, 카트리지 탑재부, 어셈블리 설치부로 구획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적층된 다수의 숟가락을 수용하며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숟가락 카트리지와; 다수의 젓가락을 수용하되 한 줄로 정렬시키는 구배면을 가지며 상기 숟가락 카트리지와 나란히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젓가락 카트리지와; 상기 어셈블리 설치부에 설치되며, 전후 이송되면서 상기 숟가락 카트리지의 하단부에 삽탈됨으로써 최하단의 숟가락을 상기 취출부로 밀어내주는 숟가락 취출브래킷을 구비하는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와; 상기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와 나란히 상기 어셈블리 설치부에 설치되며, 전후 이송되면서 상기 젓가락 카트리지의 하단부에 삽탈됨으로써 최하단의 젓가락을 상기 취출부로 밀어내주는 젓가락 취출브래킷을 구비하는 젓가락 취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utlery dispenser installed in a cafeteria or food court to automatically dispense cutlery to a user, and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base plate divided from the front into a take-out portion, a cartridge loading portion, and an assembly installation portion; a spoon cartridge that accommodates a plurality of stacked spoons and is detachably coupled on the cartridge loading portion; a chopstick cartridge that has a sloped surface that accommodates a plurality of chopsticks but arranges them in a single line and is detachably coupled on the cartridge loading portion parallel to the spoon cartridge; a spoon take-out assembly that is installed on the assembly installation portion and has a spoon take-out bracket that is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cartridge while being moved back and forth to push the lowermost spoon to the take-out portion; and a chopstick take-out assembly that is installed on the assembly installation portion parallel to the spoon take-out assembly and has a chopstick take-out bracket that is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hopstick cartridge while being moved back and forth to push the lowermost chopstick to the take-out portion.

Description

자동 수저 디스펜서{AUTOMATIC SPOON AND CHOPSTICKS DISPENSER}AUTOMATIC SPOON AND CHOPSTICKS DISPENSER

본 발명은 구내식당이나 푸드코트 등에 비치되어 이용자에게 자동으로 수저를 인출시켜 주는 자동 수저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utlery dispenser installed in a restaurant, food court, etc., which automatically dispenses cutlery to a user.

일반적으로 구내식당이나 푸드코트와 같은 공중이용시설에 비치되는 수저통은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관계로 위생적으로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었다.In general, cutlery containers placed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cafeterias or food courts have limitations in maintaining hygiene because they are us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숟가락과 젓가락을 외부환경으로부터 차단시켜 보관하고 이용자의 요청 시 한 세트씩 인출시켜 주는 자동 수저 디스펜서가 제안된 바 있다.To solve this problem, an automatic cutlery dispenser has been proposed that stores spoons and chopsticks insula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retrieves them one set at a time upon user request.

종래의 자동 수저 디스펜서로서 특허 제10-1871185호에 개시된 발명은 적층된 수저의 하단에 위치한 수저를 회전하는 캠이 밀어내는 방식을 취하는바 한번에 2~3개씩 밀려나오거나 걸려서 튕겨나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20-0403261호 및 특허 제10-2316611호에 개시된 발명들은 하단의 수저가 회전하는 드럼의 표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전방으로 배출되는 방식을 취하는바 수저의 사이즈마다 홈 모양이 다른 드럼이 준비되어야 하므로 범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The invention disclosed in Patent No. 10-1871185 as a conventional automatic cutlery dispenser uses a method in which a rotating cam pushes out the cutlery located at the bottom of stacked cutlery,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2 to 3 cutlery are pushed out at a time or they get caught and bounce out. In addition, the inventions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3261 and Patent No. 10-2316611 use a method in which the cutlery at the bottom is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on the surface of a rotating drum and discharged forward, but since a drum with a different groove shape must be prepared for each size of cutlery, there is a problem in that versatility is low.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저를 한 번에 하나씩 정확히 배출할 수 있으며 다양한 수저의 규격에 따른 대응성이 우수한 자동 수저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cutlery dispenser that can accurately dispense cutlery one at a time and has excellent responsivenes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various cutler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 수저 디스펜서에 있어서, 전방으로부터 취출부, 카트리지 탑재부, 어셈블리 설치부로 구획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적층된 다수의 숟가락을 수용하며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숟가락 카트리지와; 다수의 젓가락을 수용하되 한 줄로 정렬시키는 구배면을 가지며 상기 숟가락 카트리지와 나란히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젓가락 카트리지와; 상기 어셈블리 설치부에 설치되며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제1 스크류와, 상기 제1스크류에 나사결합하여 전후 슬라이드되는 제1 이송블록과, 상기 제1 이송블록과 일체로 결합하여 전후 이송되면서 상기 숟가락 카트리지의 하단부에 삽탈됨으로써 최하단의 숟가락을 상기 취출부로 밀어내주는 숟가락 취출브래킷을 구비하는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와; 상기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와 나란히 상기 어셈블리 설치부에 설치되며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제2 스크류와, 상기 제2 스크류에 나사결합하여 전후 슬라이드되는 제2 이송블록과, 상기 제2 이송블록과 일체로 결합하여 전후 이송되면서 상기 젓가락 카트리지의 하단부에 삽탈됨으로써 최하단의 젓가락을 상기 취출부로 밀어내주는 젓가락 취출브래킷을 구비하는 젓가락 취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저 디스펜서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utlery dispenser, comprising: a base plate divided into a take-out portion, a cartridge loading portion, and an assembly mounting portion from the front; a spoon cartridge that accommodates a plurality of stacked spoons and is detachably coupled on the cartridge mounting portion; a chopstick cartridge that has a sloped surface that accommodates a plurality of chopsticks but aligns them in a single line and is detachably coupled on the cartridge mounting portion in parallel with the spoon cartridge; a spoon ejection assembly that is installed on the assembly mounting portion and includes a first motor, a first screw that is rotationally driven by the first motor, a first transfer block that is screw-coupled to the first screw and slides back and forth, and a spoon ejection bracket that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first transfer block and is inserted and remov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cartridge while being moved back and forth to push the lowest spoon into the ejection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cutlery dispenser,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hopstick extraction assembly, which is installed in the assembly installation portion parallel to the spoon extraction assembly and includes a second motor, a second screw rotationally driven by the second motor, a second transport block that is screw-coupled to the second screw and slides back and forth, and a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that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second transport block and is inserted and remov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hopstick cartridge while being moved back and forth, thereby pushing the lowermost chopstick to the extraction portion.

여기서, 상기 젓가락 취출 어셈블리는 상기 젓가락 취출브래킷의 전단부에 결합하는 U자 단면의 힌지바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젓가락 취출브래킷의 후방 이동 시 상기 최하단의 젓가락과 그에 적층된 젓가락이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바에 전후로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젓가락 취출브래킷의 전방 이동 시 상기 힌지바가 선회함으로써 상기 수용된 젓가락들을 상기 취출부로 낙하시키며, 상기 젓가락 취출브래킷의 전단부에는 돌기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전방 이동 시 상기 젓가락 카트리지 내 최하단에 위치하게 되는 젓가락의 전방 이동을 차단시킬 수도 있다.Here, the chopstick extraction assembly further includes a hinge bar having a U-shaped cross-section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so that when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moves backward, the lowermost chopstick and the chopsticks stacked thereon are received back and forth by the hinge bar due to their own weight, and when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moves forward, the hinge bar pivots to drop the received chopsticks into the extraction portion, and a protrusion is formed protruding on the front end of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so that when moving forward,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hopstick that is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in the chopstick cartridge can be blocked.

그리고, 상기 숟가락 카트리지는 최하단의 숟가락이 전방으로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숟가락 스토퍼 레버가 설치되며, 상기 젓가락 카트리지는 최하단의 젓가락이 하단으로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젓가락 스토퍼 레버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숟가락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 상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숟가락 스토퍼 레버를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최하단의 숟가락에 대한 차단을 해제시켜주는 푸쉬블록과, 상기 젓가락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 상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젓가락 스토퍼 레버를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최하단의 젓가락에 대한 차단을 해제시켜주는 푸쉬브래킷이 설치될 수도 있다.And, the spoon cartridge may be installed with a spoon stopper lever that blocks the lowest spoon from flowing out forward, the chopstick cartridge may be installed with one or more chopstick stopper levers that blocks the lowest chopstick from flowing out downward, and the base plate may be installed with a push block that releases the blocking of the lowest spoon by turning the spoon stopper lever when the spoon cartridge is coupled to the cartridge mounting portion, and a push bracket that releases the blocking of the lowest chopstick by turning the chopstick stopper lever when the chopstick cartridge is coupled to the cartridge mounting portion.

또한, 상기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는 상기 숟가락 취출브래킷의 후방 이동 시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1 리미트 센서와, 상기 숟가락 취출브리킷의 전방 이동 시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1 근접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젓가락 취출 어셈블리는 상기 젓가락 취출브래킷의 후방 이동 시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2 리미트 센서와, 상기 젓가락 취출브리킷의 전방 이동 시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2 근접센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poon extraction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imit sensor for cutting off the driving power of the first motor when the spoon extraction bracket moves backward, and a first proximity sensor for cutting off the driving power of the first motor when the spoon extraction bracket moves forward, and the chopstick extraction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imit sensor for cutting off the driving power of the second motor when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moves backward, and a second proximity sensor for cutting off the driving power of the second motor when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moves forward.

한편, 상기 자동 수저 디스펜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에 결합되는 숟가락 카트리지와 젓가락 카트리지, 상기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 및 상기 젓가락 취출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상부공간과, 상기 숟가락 카트리지 또는 상기 젓가락 카트리지를 하나 이상 보관하기 위한 서랍이 수납되는 하부공간을 갖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automatic cutlery dispenser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having an upper space in which the base plate, the spoon cartridge and the chopstick cartridge coupled to the cartridge loading portion, the spoon extraction assembly and the chopstick extraction assembly are accommodated, and a lower space in which a drawer for storing one or more of the spoon cartridges or the chopstick cartridges is accommoda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저 디스펜서에 의하면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와 젓가락 취출 어셈블리의 전후 슬라이드 구동에 의해 숟가락과 젓가락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 캠이나 드럼에 의한 회전 구동 방식에 비해 한 번에 하나씩 수저를 취출할 수 있는 정확도를 높임은 물론 수저의 사이즈별로 캠이나 드럼 등의 구동 파트를 별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교적 다양한 규격의 수저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cutlery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oon and chopsticks are taken out by pushing them out through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ing operation of the spoon take-out assembly and the chopstick take-out assembly,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taking out one spoon at a tim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otational drive method using a cam or drum, and since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ovide driving parts such as cams or drums for each size of the spoon, it can be universally used for spoons of relatively various specific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저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취출부 어셈블리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취출부 어셈블리의 전진 구동 시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숟가락 카트리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2의 숟가락 카트리지와 취출부 어셈블리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도 2의 젓가락 카트리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젓가락 스토퍼 레버와 관련한 결합도,
도 11은 도 2의 젓가락 카트리지와 취출부 어셈블리의 결합 단면도,
도 12a,b는 도 11에서 젓가락의 취출 과정을 설명하는 단계별 확대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cutlery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main part of Figure 1 separate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extraction part assembly of Figure 2 separate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xtraction part assembly of Figure 3 when driven forwar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spoon cartridge of Figure 2 separated.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5.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joint of the spoon cartridge and the extraction part assembly of Figure 2.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chopstick cartridge of Fig. 2 separated.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8.
Fig. 10 is a combination diagram related to the chopstick stopper lever of Fig. 9.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joint of the chopstick cartridge and the extraction part assembly of Fig. 2.
Figures 12a and 12b are enlarged step-by-step drawings explaining the chopstick extraction process in Figure 1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저 디스펜서(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최상단부에 마련되는 상부공간(11)에 수저를 자동으로 취출하기 위한 구성들(도 2 참조)이 수용되고, 하부공간들(12, 13)에는 숟가락 카트리지(도 2의 참조)와 젓가락 카트리지(도 2의 참조)를 보관하기 위한 서랍(14, 15)이 수납된다. 즉, 상부공간(11)에 수용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 카트리지가 비워지는 경우 작업자는 즉시 서랍(14, 15)에 보관된 다른 카트리지로 교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ic cutlery dispenser (1) has components (see FIG. 2) for automatically taking out cutlery, which are accommodated in an upper space (11) provided at the top of a housing (10) as illustrated in FIG. 1, and drawers (14, 15) for storing a spoon cartridge (see FIG. 2) and a chopstick cartridge (see FIG. 2) are accommodated in lower spaces (12, 13). That is, when a spoon or chopstick cartridge accommodated in the upper space (11) is emptied, a worker can immediately replace it with another cartridge stored in the drawer (14, 15).

상부공간(11)에 수용되는 구성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그 위에 탑재되는 숟가락 카트리지(30)와 젓가락 카트리지(40),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 상에 설치되는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50, 도 3 참조)와 젓가락 취출 어셈블리(60, 도 3 참조)를 포함한다.The components accommodated in the upper space (11) include a base plate (20) forming a bottom surface, a spoon cartridge (30) and a chopstick cartridge (40) mounted thereon, as shown in FIG. 2, and a spoon extraction assembly (50, see FIG. 3) and a chopstick extraction assembly (60, see FIG. 3) installed on the base plate (20).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전방으로부터, 수저가 취출되는 취출부(21), 숟가락 카트리지(30)와 젓가락 카트리지(40)가 탑재되는 카트리지 탑재부(22), 그리고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50)와 젓가락 취출 어셈블리(60)가 설치되는 어셈블리 설치부(23)로 구획된다.The base plate (20) is divided into an extraction section (21) from the front where the spoon is extracted, a cartridge loading section (22) where a spoon cartridge (30) and a chopstick cartridge (40) are installed, and an assembly installation section (23) where a spoon extraction assembly (50) and a chopstick extraction assembly (60) are installed.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터(51)와 이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제1 스크류(52), 상기 제1 스크류(52)에 나사결합하여 회전에 따라 전후 슬라이드되는 제1 이송블록(53), 이 제1 이송블록(53)과 일체로 결합하여 전후 이송되는 숟가락 취출브래킷(54)을 구비한다. 이때, 전방으로 이송되는 숟가락 취출브래킷(54)은 그 전방에 탑재되는 숟가락 카트리지(도 2의 30)의 하단부에 삽탈됨으로써 그 내부공간의 최하단에 적층된 숟가락을 전방의 취출부(21)로 밀어낸다(도 7 참조).The spoon extraction assembly (50) comprises, as shown in FIGS. 3 and 4, a first motor (51), a first screw (52) rotationally driven by the first motor (51), a first transfer block (53) that is screw-coupled to the first screw (52) and slides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rotation, and a spoon extraction bracket (54) that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first transfer block (53) and moves back and forth. At this time, the spoon extraction bracket (54) that is moved forward is inserted and remov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spoon cartridge (30 in FIG. 2) mounted in front thereof, thereby pushing the spoon stacked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internal space thereof to the forward extraction portion (21) (see FIG. 7).

숟가락 취출브래킷(54)의 전방 이송은 이와 일체로 움직이는 블록(55)의 전면(前面)에 설치되는 근접센서(56)가 전방의 리미트 바(24)에 근접함으로써 감지되며 이에 따라 제1 모터(51)의 전방 구동전원이 차단된다. 한편, 숟가락 취출브래킷(54)의 후방 이송은 상기 블록(55)이 닿는 리미트 센서(57)에 의해 감지되며 이에 따라 제1 모터(51)의 후방 구동전원이 차단된다.The forward movement of the spoon extraction bracket (54) is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56)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lock (55) that moves integrally with it approaching the front limit bar (24), and accordingly, the forward driving power of the first motor (51) is cut off. Meanwhile,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spoon extraction bracket (54) is detected by the limit sensor (57) that the block (55) touches, and accordingly, the backward driving power of the first motor (51) is cut off.

젓가락 취출 어셈블리(60)는 상기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와 나란히 설치되며, 제2 모터(61)와 이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제2 스크류(62), 상기 제2 스크류(62)에 나사결합하여 전후 슬라이드되는 제2 이송블록(63), 이 제2 이송블록(63)과 일체로 결합하여 전후 이송되는 젓가락 취출브래킷(64)을 구비한다. 이때, 전방으로 이송되는 젓가락 취출브래킷(64)은 그 전방에 탑재되는 젓가락 카트리지(도 2의 40)의 하단부에 삽탈됨으로써 그 내부공간의 최하단에 적층된 젓가락을 전방의 취출부(21)로 밀어낸다(도 11 및 도 12a,b 참조).The chopstick extraction assembly (60)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spoon extraction assembly, and includes a second motor (61), a second screw (62) that is rotationally driven by the second motor (61), a second transport block (63) that is screw-coupled to the second screw (62) and slides back and forth, and a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64) that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second transport block (63) and moves back and forth. At this time,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64) that is moved forward is inserted and remov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chopstick cartridge (40 in FIG. 2) mounted in front thereof, thereby pushing the chopsticks stacked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internal space thereof to the forward extraction portion (21) (see FIGS. 11 and 12a,b).

젓가락 취출브래킷(64)의 전방 이송 역시 이와 일체로 움직이는 블록(65)의 전면(前面)에 설치되는 근접센서(66)가 전방의 리미트 바(24)에 근접함으로써 감지되며 이에 따라 제2 모터(61)의 전방 구동전원이 차단된다. 젓가락 취출브래킷(64)의 후방 이송은 상기 블록(65)이 닿는 리미트 센서(67)에 의해 감지되며 이에 따라 제2 모터(61)의 후방 구동전원이 차단된다.The forward movement of the chopsticks extraction bracket (64) is also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66)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lock (65) that moves integrally with it approaching the front limit bar (24), and accordingly, the forward driving power of the second motor (61) is cut off.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chopsticks extraction bracket (64) is detected by the limit sensor (67) that the block (65) touches, and accordingly, the rear driving power of the second motor (61) is cut off.

숟가락 카트리지(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고정된 우측 커버(31)에 대해 좌측 커버(32)가 개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단부의 덮개(33)와 하단부의 숟가락 지지대(34)를 구비한다. 좌,우측 커버(31, 32)의 전방 하단부는 개구라인(31a, 32a)을 형성하여 최하단의 숟가락을 후방에서 밀었을때 전방으로 취출될 수 있도록 하고, 숟가락 지지대(34)의 상면 중앙부에는 숟가락 취출브래킷(도 3, 4의 54)의 저면을 받쳐주고 전후 슬라이드를 안내해주는 가이드홈(34a)이 형성된다. 물론 우측 커버(31)의 후방 하단부에는 상기 숟가락 취출브래킷(54)이 관통할 수 있도록 슬릿(도 7의 31b)이 형성된다.The spoon cartridge (3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eft cover (32)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rotated relative to the relatively fixed right cover (31) as shown in FIGS. 5 and 6, and has a cover (33) at the upper end and a spoon support (34) at the lower end. The front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covers (31, 32) form an opening line (31a, 32a) so that the lowest spoon can be pulled out forward when pushed from the rear, and a guide groove (34a) is form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spoon support (34)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spoon pull-out bracket (54 of FIGS. 3 and 4) and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e. Of course, a slit (31b of FIG. 7) is formed at the rear lower end of the right cover (31) so that the spoon pull-out bracket (54) can pass through.

또한, 숟가락 카트리지(30) 내 적층보관된 숟가락 중 최하단의 숟가락이 상기 개구라인(31a, 32a)을 통해 전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숟가락 지지대(34)에는 숟가락 스토퍼 레버(35)가 설치된다. 숟가락 스토퍼 레버(35)는 스프링(도면 미도시)에 의해 숟가락 지지대(34)의 상면에 형성된 슬릿(34b)을 통해 상부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최하단의 숟가락을 차단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lowest spoon among the spoons stored in the spoon cartridge (30) from coming out forward through the opening line (31a, 32a), a spoon stopper lever (35) is installed on the spoon support (34). The spoon stopper lever (35) protrudes upward through a slit (34b)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oon support (34) by a spring (not shown in the drawing) to block the lowest spoon.

이러한 상태에서, 숟가락 카트리지(30)가 카트리지 탑재부(도 3의 22)에 탑재되는 경우에는 상기 숟가락 스토퍼 레버(35)가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22)에 설치되는 푸쉬블록(25)에 접촉되어 선회하게 됨으로써 상기 슬릿(34b)을 통해 돌출되었던 부분이 아래로, 즉 슬릿(34b) 속으로 숨어들게 되어 상기 최하단의 숟가락에 대한 차단을 해제한다.In this state, when the spoon cartridge (30) is mounted on the cartridge mounting portion (22 of FIG. 3), the spoon stopper lever (3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ush block (25) installed on the cartridge mounting portion (22) and rotates, so that the portion that had been protruding through the slit (34b) is hidden downward, i.e., into the slit (34b), thereby releasing the blocking of the spoon at the lowest position.

젓가락 카트리지(4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커버(41)와 후방 커버(42)가 서로 결합하고 상단부의 덮개(43)가 구비된다. 내부공간에 적재되는 젓가락은 상기 후방 커버(4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구배면(42a)을 따라 한 줄로 정렬된 상태로 공급된다. 전방 커버(41)의 하단부에는 개구부(41a)가 형성되어 젓가락이 인출될 틈새를 형성한다. 전방 커버(41)와 일체를 이루는 젓가락 카트리지(40)의 하단부(44)의 상면 중앙부에는 젓가락 취출브래킷(도 3, 4의 64)의 저면을 받쳐주고 전후 슬라이드를 안내해주는 가이드홈(44a)이 형성된다. 물론 후방 커버(42)의 하단부에는 상기 젓가락 취출브래킷(64)이 관통할 수 있도록 개방홈(42b)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chopstick cartridge (40) is provided with a front cover (41) and a rear cover (42) coupled to each other and a cover (43) at the upper end. Chopsticks loaded into the internal space are supplied in a state of being aligned in a single line along a sloped surface (42a)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cover (42). An opening (41a)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41) to form a gap through which the chopsticks are taken out. A guide groove (44a) is form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lower end (44) of the chopstick cartridge (40) integral with the front cover (41)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64 of FIGS. 3 and 4) and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e. Of course, an open groove (42b)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cover (42) so that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64) can pass through.

또한, 젓가락 카트리지(40) 내 적층보관된 젓가락 중 최하단의 젓가락이 상기 개구부(41a)를 통해 전방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후방 커버(42)의 하단부에는 좌우 한 쌍의 젓가락 스토퍼 레버(45)가 설치된다. 젓가락 스토퍼 레버(45)는 스프링(도면 미도시)에 의해 후방 커버(42)의 하단부에 형성된 슬릿(42c)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최하단의 젓가락을 차단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block the lowest chopstick among the chopsticks stored in the chopstick cartridge (40) from flowing out forward through the opening (41a), a pair of left and right chopstick stopper levers (45) ar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cover (42). The chopstick stopper lever (45) protrudes forward through a slit (42c)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cover (42) by a spring (not shown in the drawing) to block the lowest chopstick.

이러한 상태에서, 젓가락 카트리지(40)가 카트리지 탑재부(도 3의 22)에 탑재되는 경우에는(도 11 참조) 상기 젓가락 스토퍼 레버(45)가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22)에 설치되는 푸쉬브래킷(도 3의 26)에 접촉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하게 됨으로써 상기 슬릿(42c)을 통해 돌출되었던 부분이 후방으로, 즉 슬릿(42c)의 뒤로 숨어들게 되어 상기 최하단의 젓가락에 대한 차단을 해제한다.In this state, when the chopstick cartridge (40) is mounted on the cartridge mounting portion (22 of FIG. 3) (see FIG. 11), the chopstick stopper lever (4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ush bracket (26 of FIG. 3) installed on the cartridge mounting portion (22) and rotates as shown in FIG. 10, so that the portion that had been protruding through the slit (42c) is hidden backwards, i.e., behind the slit (42c), thereby releasing the blocking of the chopstick at the lowest position.

한편,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젓가락 취출브래킷(64)의 전단부에는 U자 단면의 힌지바(68)가 설치됨으로써, 한 줄로 내려오는 최하단의 젓가락(C1)이 힌지바(68)의 후반부에 접촉 및 수용됨과 동시에 그 위에 적층된 젓가락들에 의해 전반부로 밀려나고, 바로 뒤이어 최하단으로 내려오는 젓가락(C2)이 상기 힌지바(68)의 후반부에 접촉 및 수용됨으로써 힌지바(68)에는 한 쌍의 젓가락(C1, C2)이 수용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2a, a U-shaped hinge bar (68)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64), so that the lowest chopstick (C1) coming down in a single row comes into contact with and is received at the latter half of the hinge bar (68) and is simultaneously pushed to the front half by the chopsticks stacked thereon, and immediately thereafter, the lowest chopstick (C2) coming down comes into contact with and is received at the latter half of the hinge bar (68), so that a pair of chopsticks (C1, C2) are received at the hinge bar (68).

이 상태에서, 젓가락 취출브래킷(64)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힌지바(68)가 이를 받쳐주고 있는 가이드홈(44a)을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하는 즉시 자중에 의해 선회하게 됨으로써 한 쌍의 젓가락(C1, C2)을 취출부(21)로 낙하시킨다. 이때, 한 줄로 적층되어 있는 다른 젓가락들(C3 등)이 젓가락 취출브래킷(64)을 타고 전방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젓가락 취출브래킷(64)의 전단부의 상면으로 돌기(64a)가 형성됨으로써 최하단에 적층된 젓가락(C3)의 전방 이동을 차단시키도록 한다.In this state, when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64) moves forward, the hinge bar (68) pivots by its own weight as soon as it passes through the guide groove (44a) supporting it as shown in Fig. 12b, thereby dropping a pair of chopsticks (C1, C2) to the extraction section (21). At this time, in order to block other chopsticks (C3, etc.) stacked in a single row from flowing forward along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64), a protrusion (64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64) to block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hopstick (C3) stacked at the lowest level.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자동 수저 디스펜서(1)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바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그 기재된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Meanwhile, the automatic cutlery dispenser (1)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limited to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but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described scope of rights and technical scope.

1: 자동 수저 디스펜서 10: 하우징
11: 상부공간 12, 13: 하부공간
14, 15: 서랍 20: 베이스 플레이트
21: 취출부 22: 카트리지 탑재부
23: 어셈블리 설치부 25: 푸쉬블록
26: 푸쉬브래킷 30: 숟가락 카트리지
35: 숟가락 스토퍼 레버 40: 젓가락 카트리지
42a: 구배면 45: 젓가락 스토퍼 레버
50: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 51: 제1 모터
52: 제1 스크류 53: 제1 이송블록
54: 숟가락 취출브래킷 56: 제1 근접센서
57: 제1 리미트 센서 60: 젓가락 취출 어셈블리
61: 제2 모터 62: 제2 스크류
63: 제2 이송블록 64: 젓가락 취출브래킷
64a: 돌기 66: 제2 근접센서
67: 제2 리미트 센서 68: 힌지바
1: Automatic cutlery dispenser 10: Housing
11: Upper space 12, 13: Lower space
14, 15: Drawer 20: Base plate
21: Extraction section 22: Cartridge loading section
23: Assembly installation part 25: Push block
26: Push bracket 30: Spoon cartridge
35: Spoon stopper lever 40: Chopstick cartridge
42a: Slope 45: Chopstick stopper lever
50: Spoon extraction assembly 51: First motor
52: 1st screw 53: 1st transfer block
54: Spoon extraction bracket 56: First proximity sensor
57: First limit sensor 60: Chopstick extraction assembly
61: 2nd motor 62: 2nd screw
63: Second transfer block 64: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64a: protrusion 66: second proximity sensor
67: Second limit sensor 68: Hinge bar

Claims (5)

삭제delete 자동 수저 디스펜서에 있어서,
전방으로부터 취출부, 카트리지 탑재부, 어셈블리 설치부로 구획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적층된 다수의 숟가락을 수용하며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숟가락 카트리지와; 다수의 젓가락을 수용하되 한 줄로 정렬시키는 구배면을 가지며 상기 숟가락 카트리지와 나란히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젓가락 카트리지와; 상기 어셈블리 설치부에 설치되며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제1 스크류와, 상기 제1스크류에 나사결합하여 전후 슬라이드되는 제1 이송블록과, 상기 제1 이송블록과 일체로 결합하여 전후 이송되면서 상기 숟가락 카트리지의 하단부에 삽탈됨으로써 최하단의 숟가락을 상기 취출부로 밀어내주는 숟가락 취출브래킷을 구비하는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와; 상기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와 나란히 상기 어셈블리 설치부에 설치되며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제2 스크류와, 상기 제2 스크류에 나사결합하여 전후 슬라이드되는 제2 이송블록과, 상기 제2 이송블록과 일체로 결합하여 전후 이송되면서 상기 젓가락 카트리지의 하단부에 삽탈됨으로써 최하단의 젓가락을 상기 취출부로 밀어내주는 젓가락 취출브래킷을 구비하는 젓가락 취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젓가락 취출 어셈블리는
상기 젓가락 취출브래킷의 전단부에 결합하는 U자 단면의 힌지바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젓가락 취출브래킷의 후방 이동 시 상기 최하단의 젓가락과 그에 적층된 젓가락이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바에 전후로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젓가락 취출브래킷의 전방 이동 시 상기 힌지바가 선회함으로써 상기 수용된 젓가락들을 상기 취출부로 낙하시키며,
상기 젓가락 취출브래킷의 전단부에는 돌기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전방 이동 시 상기 젓가락 카트리지 내 최하단에 위치하게 되는 젓가락의 전방 이동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저 디스펜서.
In automatic cutlery dispensers,
A base plate divided into an extraction portion, a cartridge loading portion, and an assembly installation portion from the front; a spoon cartridge that accommodates a plurality of stacked spoons and is detachably coupled on the cartridge loading portion; a chopstick cartridge that has a sloped surface that accommodates a plurality of chopsticks but aligns them in a single line and is detachably coupled on the cartridge loading portion in parallel with the spoon cartridge; a spoon extraction assembly that is installed on the assembly installation portion and includes a first motor, a first screw that is rotationally driven by the first motor, a first transfer block that is screw-connected to the first screw and slides back and forth, and a spoon extraction bracket that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first transfer block and is inserted and remov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cartridge while being moved back and forth to push the lowest spoon into the extraction portion; A chopstick extraction assembly is provided in the assembly installation portion in parallel with the spoon extraction assembly, and includes a second motor, a second screw that is rotationally driven by the second motor, a second transfer block that is screw-coupled to the second screw and slides back and forth, and a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that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second transfer block and is inserted and remov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hopstick cartridge while being moved back and forth, thereby pushing the lowermost chopstick to the extraction portion.
The above chopstick extraction assembly
By further providing a U-shaped hinge bar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when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moves backward, the lowermost chopstick and the chopsticks stacked thereon are received back and forth by the hinge bar due to their own weight, and when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moves forward, the hinge bar rotates to drop the received chopsticks into the extraction section.
An automatic cutlery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to block the forward movement of chopsticks that are located at the lowest position in the chopstick cartridge when moving forward.
자동 수저 디스펜서에 있어서,
전방으로부터 취출부, 카트리지 탑재부, 어셈블리 설치부로 구획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적층된 다수의 숟가락을 수용하며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숟가락 카트리지와; 다수의 젓가락을 수용하되 한 줄로 정렬시키는 구배면을 가지며 상기 숟가락 카트리지와 나란히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젓가락 카트리지와; 상기 어셈블리 설치부에 설치되며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제1 스크류와, 상기 제1스크류에 나사결합하여 전후 슬라이드되는 제1 이송블록과, 상기 제1 이송블록과 일체로 결합하여 전후 이송되면서 상기 숟가락 카트리지의 하단부에 삽탈됨으로써 최하단의 숟가락을 상기 취출부로 밀어내주는 숟가락 취출브래킷을 구비하는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와; 상기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와 나란히 상기 어셈블리 설치부에 설치되며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제2 스크류와, 상기 제2 스크류에 나사결합하여 전후 슬라이드되는 제2 이송블록과, 상기 제2 이송블록과 일체로 결합하여 전후 이송되면서 상기 젓가락 카트리지의 하단부에 삽탈됨으로써 최하단의 젓가락을 상기 취출부로 밀어내주는 젓가락 취출브래킷을 구비하는 젓가락 취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숟가락 카트리지는 최하단의 숟가락이 전방으로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숟가락 스토퍼 레버가 설치되며,
상기 젓가락 카트리지는 최하단의 젓가락이 하단으로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젓가락 스토퍼 레버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숟가락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 상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숟가락 스토퍼 레버를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최하단의 숟가락에 대한 차단을 해제시켜주는 푸쉬블록과, 상기 젓가락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 상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젓가락 스토퍼 레버를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최하단의 젓가락에 대한 차단을 해제시켜주는 푸쉬브래킷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저 디스펜서.
In automatic cutlery dispensers,
A base plate divided into an extraction portion, a cartridge loading portion, and an assembly installation portion from the front; a spoon cartridge that accommodates a plurality of stacked spoons and is detachably coupled on the cartridge loading portion; a chopstick cartridge that has a sloped surface that accommodates a plurality of chopsticks but aligns them in a single line and is detachably coupled on the cartridge loading portion in parallel with the spoon cartridge; a spoon extraction assembly that is installed on the assembly installation portion and includes a first motor, a first screw that is rotationally driven by the first motor, a first transfer block that is screw-connected to the first screw and slides back and forth, and a spoon extraction bracket that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first transfer block and is inserted and remov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poon cartridge while being moved back and forth to push the lowest spoon into the extraction portion; A chopstick extraction assembly is provided in the assembly installation portion in parallel with the spoon extraction assembly, and includes a second motor, a second screw that is rotationally driven by the second motor, a second transfer block that is screw-coupled to the second screw and slides back and forth, and a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that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second transfer block and is inserted and remov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hopstick cartridge while being moved back and forth, thereby pushing the lowermost chopstick to the extraction portion.
The above spoon cartridge is equipped with a spoon stopper lever that prevents the lowest spoon from flowing forward.
The above chopstick cartridge is installed with one or more chopstick stopper levers to prevent the lowest chopstick from leaking out.
The above base plate
An automatic cutlery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a push block is installed that releases the blocking of the lowermost spoon by turning the spoon stopper lever when the spoon cartridge is coupled to the cartridge mounting portion, and a push bracket is installed that releases the blocking of the lowermost chopstick by turning the chopstick stopper lever when the chopstick cartridge is coupled to the cartridge mounting portion.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는
상기 숟가락 취출브래킷의 후방 이동 시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1 리미트 센서와, 상기 숟가락 취출브리킷의 전방 이동 시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1 근접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젓가락 취출 어셈블리는
상기 젓가락 취출브래킷의 후방 이동 시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2 리미트 센서와, 상기 젓가락 취출브리킷의 전방 이동 시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2 근접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저 디스펜서.
In the second or third paragraph,
The above spoon extraction assembly
A first limit sensor for cutting off the driving power of the first motor when the spoon extraction bracket moves backward, and a first proximity sensor for cutting off the driving power of the first motor when the spoon extraction bracket moves forward are further provided.
The above chopstick extraction assembly
An automatic cutlery dispenser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limit sensor for cutting off the driving power of the second motor when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moves backward, and a second proximity sensor for cutting off the driving power of the second motor when the chopstick extraction bracket moves forward.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카트리지 탑재부에 결합되는 숟가락 카트리지와 젓가락 카트리지, 상기 숟가락 취출 어셈블리 및 상기 젓가락 취출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상부공간과, 상기 숟가락 카트리지 또는 상기 젓가락 카트리지를 하나 이상 보관하기 위한 서랍이 수납되는 하부공간을 갖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저 디스펜서.
In the second or third paragraph,
An automatic cutlery dispenser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upper space in which the base plate, the spoon cartridge and the chopstick cartridge coupled to the cartridge mounting portion, the spoon extraction assembly and the chopstick extraction assembly are accommodated, and a lower space in which a drawer for storing one or more of the spoon cartridges or the chopstick cartridges is accommodated.
KR1020240144529A 2024-10-22 2024-10-22 Automatic spoon and chopsticks dispenser Active KR1027478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44529A KR102747879B1 (en) 2024-10-22 2024-10-22 Automatic spoon and chopsticks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44529A KR102747879B1 (en) 2024-10-22 2024-10-22 Automatic spoon and chopsticks dispen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47879B1 true KR102747879B1 (en) 2024-12-31

Family

ID=9407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44529A Active KR102747879B1 (en) 2024-10-22 2024-10-22 Automatic spoon and chopsticks disp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787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63394A1 (en) * 2013-03-15 2014-09-18 James G. Horian Electronic article dispenser
KR102316611B1 (en) * 2020-09-11 2021-10-25 김종석 Non-contact automatic cutlery dispenser
KR20220151355A (en) * 2021-05-06 2022-11-1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Dispenser for spoons and chopstic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63394A1 (en) * 2013-03-15 2014-09-18 James G. Horian Electronic article dispenser
KR102316611B1 (en) * 2020-09-11 2021-10-25 김종석 Non-contact automatic cutlery dispenser
KR20220151355A (en) * 2021-05-06 2022-11-1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Dispenser for spoons and chopstic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2694B2 (en) Dispenser for cutlery utensils
AU2018273780B2 (en) Utensil dispenser system
US6874653B2 (en) Metering napkin dispenser
US8096444B2 (en) Product discharge and delivery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CA2862821C (en) Utensil dispenser
EP1879478B1 (en) Beverage lid dispenser
US4779760A (en) Article release mechanism
US8887951B2 (en) Unitary extractor system for products in dispensing machines
US11529003B2 (en) Cutlery dispensing system
KR102747879B1 (en) Automatic spoon and chopsticks dispenser
US5443179A (en) Gumball banks
US20030127554A1 (en) Multiple roll holder unit
US7066351B2 (en) Sanitized dispensing mechanism
CN210776933U (en) Storage and delivery unit for vending machine
CN210776934U (en) Goods distribution unit of vending machine
HK40063215A (en) Cutlery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CA2313508C (en) Golf ball vendor
EP1006496A1 (en) Article container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10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