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1715B1 - 시스템 비상정지용 에어실린더가 구비된 절연 고소 작업차 - Google Patents

시스템 비상정지용 에어실린더가 구비된 절연 고소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1715B1
KR102741715B1 KR1020220056710A KR20220056710A KR102741715B1 KR 102741715 B1 KR102741715 B1 KR 102741715B1 KR 1020220056710 A KR1020220056710 A KR 1020220056710A KR 20220056710 A KR20220056710 A KR 20220056710A KR 102741715 B1 KR102741715 B1 KR 102741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hydraulic
emergency stop
boom assembly
command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7120A (ko
Inventor
박진수
이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해기계항공
Priority to KR1020220056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1715B1/ko
Publication of KR20230157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1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17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면적이 후방에 마련되는 차량과, 상기 적재면적 상부에 가변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단으로 인출 또는 인입 되는 복수 개의 붐을 포함하는 붐 어셈블리와, 상기 붐 어셈블리의 말단에 설치되며 탑승공간이 마련되는 버켓과, 상기 리모컨에서 조작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붐 어셈블리를 제어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적재면적 상부에 설치되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붐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유압 모듈과, 상기 버켓 또는 제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 모듈과 상기 차량의 전기 기기들을 긴급 정지시키는 비상정지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정지 스위치는 에어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붐 어셈블리의 하부에는 상기 비상정지 스위치의 신호를 받아 상기 유압 모듈에 비상정지 신호를 전달하는 공압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버켓으로부터 시작되는 비상정지 명령이 전기 신호 없이 전달됨으로써 절연과 경량화가 모두 달성될 수 있는 동력 전달 구조를 가지는 절연 고소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시스템 비상정지용 에어실린더가 구비된 절연 고소 작업차{Insulated aerial work vehicle equipped with air cylinder for system emergency stop}
본 발명은 높은 고도에서 이루어지는 활선 작업에 사용되는 절연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력원인 엔진을 정지시키는 에어 실린더가 버켓에 설치된 절연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절연 고소 작업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 적재면적이 마련되는 차량과, 적재면적에 설치되는 다단 붐 어셈블리와, 다단 붐의 말단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탑승가능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버켓으로 이루어져서, 고고도의 전주나 송전탑 기타 각종 시설물의 활선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자가 안전하게 절연된 버켓에 탑승한 상태에서 활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절연 고소 작업차는 통상적으로는 고고도의 작업을 위해 버켓을 높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붐 어셈블리의 중량이 크므로 적재 톤수가 큰 대형 차량이 채택된다.
하지만 활선 작업은 통상의 가로수 높이의 전신주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대형 붐 장비는 높이가 낮은 가로등 또는 가로수나 주변 시설물과 간섭이 발생 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고도에서 이루어지는 활선 작업을 위해서는 붐 어셈블리와 차량이 모두 소형화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붐 어셈블리가 소형화된다면 붐 어셈블리 또는 버켓에 설치되던 유압 시스템의 비상정지 스위치와 같이 유압 모터와 배터리 또는 각종 전기 장비로 구동되던 장치들은 무게 때문에 버켓에 설치되기 힘든 문제가 있다. 즉 붐 어셈블 리가 소형화되면 버켓도 경량화되어야 한다.
또한 붐 어셈블리가 소형화되면 버켓의 비상정지 스위치 등의 조작 버튼과 지상의 유압 모듈에 연결되는 유압 호스 기타 케이블 및 호스의 권취를 위한 호스 릴 드럼이 붐 어셈블리에 내장되지 못하므로 외부에 노출되면서 절연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버켓이 경량화 되는 소형 고소 차량의 경우에도 긴급 상황에서 버켓의 탑승자가 지상의 운전원에게 신호를 주는 과정 없이 곧바로 시스템을 급히 정지시켜야 할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버켓에 비상정지 스위치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첫째로는 큰 중량을 차지하는 유압 모터나 배터리 없이도 동력원을 비상정지 시킬 수 있는 수단이 버켓에 설치되어야 하고, 둘째로는 비상정지 스위치의 신호를 지상의 차량 상부에 설치된 유압 모듈로 전송하는 수단을 타고 습기나 빗물 또는 결빙으로 인해 절연에 문제가 발생되는 현상이 방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이러한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만족시켜줄 수 있는 소형 절연 고소 차량을 위한 비상정지 계통에 대한 기술은 미비한 실정이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01185호(공개일자: 1996. 01. 17)
이에 본 발명은 첫째로는 큰 중량을 차지하는 유압 모터나 배터리 또는 전기 릴이나 콘센트 등이 버켓에 설치되지 않더라도 비상정지 스위치가 작동할 수 있도록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동력 전달 구조가 구비되어 소형 붐 어셈블리에 맞도록 버켓이 경량화 될 수 있고, 둘째로는 비상정지 스위치의 신호를 지상의 차량 상부에 설치된 유압 모듈로 전송하는 수단을 타고 습기나 빗물 또는 결빙으로 인해 절연에 문제가 발생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두 가지 과제가 모두 충족 가능한 절연 고소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고소 작업차는 적재면적이 후방에 마련되는 차량과, 상기 적재면적 상부에 가변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단으로 인출 또는 인입 되는 복수 개의 붐을 포함하는 붐 어셈블리와, 상기 붐 어셈블리의 말단에 설치되며 탑승공간이 마련되는 버켓과, 상기 리모컨에서 조작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붐 어셈블리를 제어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적재면적 상부에 설치되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붐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유압 모듈과, 상기 버켓 또는 제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 모듈과 상기 차량의 전기 기기들을 긴급 정지시키는 비상정지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정지 스위치는 에어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붐 어셈블리의 하부에는 상기 비상정지 스위치의 신호를 받아 상기 유압 모듈에 비상정지 신호를 전달하는 공압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버켓으로부터 시작되는 비상정지 명령이 전기 신호 없이 전달됨과 동시에 비상정지 명령 전달 수단이 경량화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유압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압 모듈에 명령 전달 호스로 연결되고, 상기 명령 전달 호스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상기 유압 모듈로 전달하는 유압 호스와 상기 비상정지 스위치의 신호를 상기 공압 감지 센서로 전달하는 에어 호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 호스와 상기 유압 호스는 붐 어셈블리의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붐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상기 에어 호스는 상기 비상정지 스위치를 구성하는 에어 실린더의 용적에 따라 에어 호스의 길이 전체에 걸쳐 내부 총 용적이 일정하여, 에어 호스의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됨에 따라 에어 호스의 내경은 감소 또는 증가되며, 상기 에어 호스에는 바람직하게는 외경은 상기 유압 호스와 동일하면서 내경은 에어 호스의 외경과 동일한 절연 호스가 에어 호스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명령 전달 호스에는 명령 전달 호스의 표면에 맺히는 습기를 제거하는 습기 제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붐 어셈블리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붐이 차례로 인출될 때 습기 제거 부재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이 붐 어셈블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붐 어셈블리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붐이 차례로 인출 또는 인입 됨에 따라 상기 명령 전달 호스를 권출 또는 권취시키는 호스 릴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붐에는 붐의 입구마다 상기 명령 전달 호스를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붐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인출 또는 인입 될 때 상기 습기 제거 부재는 명령 전달 호스와 함께 이동하다가 인접하는 상기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막혀서 정지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는 상기 명령 전달 호스가 권출 또는 권취 되면서 이동할 때 상기 습기 제거 부재를 정지시키는 상기 정지 수단이다.
한편 상기 습기 제거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압 호스를 둘러싸는 형태이면서 상기 유압 호스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양 단이 개방된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 단을 막는 판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유압 호스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유연한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와이퍼 플레이트와, 상기 와이퍼 플레이트를 상기 몸체의 개방된 양 단 각각의 테두리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는 동일한 형상의 두 개의 부재가 상기 유압 호스를 사이에 두고 서로 양 단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양 단에 각각 결합되는 와이퍼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탄성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퍼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 홀은 상기 두 개의 탄성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일 측면으로부터 중심까지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구홈과 상기 두 개의 탄성 플레이트 중 나머지 하나의 타 측면으로부터 중심까지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구홈의 교집합 영역으로 형성되는 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퍼 플레이트의 모서리 인접 부위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와 와이퍼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의 관통을 위한 체결 홀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 홀은 상기 유압 호스의 각도가 가변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가 형성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기 제거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와 와이퍼 플레이트로 둘러싸이는 공간 내부에 채워지는 흡습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에는 바람직하게는 유압 호스가 통과되도록 호스 통과 홀이 형성되고, 상기 호스 통과 홀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이 상기 유압 호스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는 패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롤이 상기 유압 호스의 통과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더라도 유압 호스와 가이드와의 마찰이 최소화되는 작용이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습기 제거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유압 호스를 둘러싸는 관 형태의 부재인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에 상기 유압 호스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유압 호스 표면에 맺히는 결빙이 상기 케이스를 유압 호스와 함께 관통하는 것을 일정한 힘으로 밀어내는 탄성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판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바람직하게는 수분 제거 섬유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판은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마다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복수 개의 상기 탄성판과 인접하는 탄성판의 사이 구간에 수분 또는 결빙의 배출을 위한 복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고소 작업 차는 버켓에 큰 중량을 차지하는 유압 모터나 배터리가 설치되지 않더라도 비상정지 스위치가 버켓에 탑재되어 작동할 수 있으면서 또한 비상정지 스위치의 신호를 지상의 차량 상부에 설치된 유압 모듈로 전송하는 수단을 타고 습기나 빗물 또는 결빙으로 인해 절연에 문제가 발생되는 현상이 방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고소 작업차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비상정지 계통을 추출하여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4a의 (a)와 (b)는 도 1에서 붐 어셈블리에 습기 제거 부재가 적용된 측면도와 평면도,
도 4b와 도 4c는 붐 어셈블리에 설치된 습기 제거 수단의 작용 상태도,
도 5의 (a)와 (b)는 도 4a에서 습기 제거 부재 대신에 결빙 제거 수단이 적용된 측면도와 평면도,
도 6a는 도 4a에서 습기 제거 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서 가이드의 확대 사시도,
도 6c와 도 6d는 도 6a의 분해사시도,
도 6e는 탄성 플레이트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 투시도,
도 7a는 도 4a에서 습기 제거 부재의 또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서 탄성판의 확대 사시도,
도 7c와 도 7d는 도 7a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유압 호스나 유압 펌프로 서술된 구성들은 공압 호스 또는 공압 펌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유압 기구로 한정되지 않고 공압 기구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고소 작업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과, 붐 어셈블리(2)와, 버켓(3)과, 제어부(30)와, 유압 모듈(4)과, 비상정지 스위치(5)를 포함한다.
차량(1)은 후술하게 될 붐 어셈블리(2)와 유압 모듈(4) 및 제어부(30)가 적재 및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운전석의 후방에 마련된 차량으로서,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고소 작업차에 채택되는 차량(1)은 소형 차량도 포함될 수 있다.
붐 어셈블리(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후방에 형성되는 적재면적 상부에 가변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단으로 신장 또는 수축 되는 복수 개의 붐(21a,21b,21c,21d)과, 기타 신축 실린더와 홀딩 밸브와 와이어로프 등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고장력 강재로 제작되는 내측 붐과 절연체인 FRP로 제작되는 최 외곽 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고소 작업차에서의 붐 어셈블리(2)는 낮은 고도에서의 활선 작업에 이용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되는 붐 어셈블리(2)를 포함한다.
그리고 붐 어셈블리(2)는 자세하게 도시되진 않았지만 차량 상부의 적재 면적에 설치되는 선회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단 붐들은 선회대 상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버켓(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 어셈블리(2)의 말단에 설치되어 작업자를 높은 고도로 이동시킬 수 있게 제작된 통 형상의 기구이다. 버켓(3)은 유리섬유 또는 절연체인 FRP로 제작된 외피와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된 내피로 제작되어 탑승자를 외부로부터 절연시켜 버켓(3)에 혹시라도 통전 상태의 기구나 전선이 접촉되더라도 작업자가 보호될 수 있게 제작된다.
제어부(3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켓(3)과 붐 어셈블리(2)의 말단이 만나는 지점에 설치된다. 제어부(30)에는 붐 어셈블리(2)의 제어와 버켓(3)의 수평 회전 및 평형 유지를 위한 기구가 마련되며 붐이 어떤 형태로 작동되더라도 하부 평형실린더에서 토출되는 유압유가 상부 평형실린더로 유입되는 형태로 버켓(3)의 평형을 유지시켜 주기도 한다.(도시되지 않음)
유압 모듈(4)은 제어부(30)가 리모컨(4)으로부터 수신받는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엔진의 구동축의 운동에너지 중 일부를 추출하여 구동되는 유압펌프와 작동유 탱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유압펌프는 붐 어셈블리(2)의 출입과 회전 및 붐 관절을 직접적으로 구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비상정지 스위치(5)는 버켓(3) 또는 제어부(30)에 설치되어 유압 모듈(4)과 차량(1)의 전기 기기들을 긴급하게 정지하는 작용을 한다. 붐 어셈블리(2)와 버켓(3)의 제어는 버켓(3)에 탑승한 작업자 또는 지상에 있는 운전원이 버켓(3)에 탑승한 작업자로부터 요청을 전달 받아 지상에서 직접 유압 모듈(4)을 조작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만약 비상정지 스위치(5)가 전기적 장치로 구동된다면 비상정지 스위치(5)를 가동시킬 전선과 전기릴 및 콘센트 기타 기구나 전기모터 등이 버켓 측에 설치되어야 하며, 이 경우 전기신호를 보내기 위한 케이블과 주변기기로 인해 절연이 이루어지기 힘들고 장비의 중량으로 인해 버켓(3)의 중량이 증가하여 붐 어셈블 리(2)가 소형화되기 힘든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고소 작업차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정지 스위치(5)가 에어 실린더로 구성되고, 붐 어셈블리(2)의 하부에는 비상정지 스위치(5)의 신호를 받아 유압 모듈(4)에 비상정지 신호를 전달하는 공압 감지 센서(5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공압 감지 센서는 공압을 전달 받아 작동되는 압력 센서와 리미트 스위치 또는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리미트 스위치가 아니더라도 공압을 전달 받아 작동되는 종류의 공지된 센서라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비상정지 스위치(5)가 에어 실린더로 구성됨으로써, 전기적인 신호 전달 없이도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공압 감지 센서(51)로 모든 기기의 비상정지가 가능하게 되어 절연이 가능해지고 신호 전달 기구도 간소화되어 버켓의 중량이 증가될 필요가 없게 된다.
비상정지 스위치(5)와 공압 감지 센서(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호스(27b)로 연결되어, 비상정지 스위치(5)를 눌러 작동시키면 비상정지 스위치(5)를 구성하는 에어 실린더의 압축 작용으로 압력이 에어 호스(27b)를 따라 공압 감지 센서(51)로 전달되며, 압력을 전달받는 공압 감지 센서(51)가 엔진을 포함한 모든 기기가 일시 정지되도록 차단 신호를 보내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켓(3)에 설치된 제어부(30)에서 유압 모듈(4)까지 연결되는 유압 호스(27a)와 비상정지 스위치(5)로부터 공압 감지 센서(51)로 연결되는 에어 호스(27b)가 같은 경로를 따라 설치되며, 도 4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호스(27a)와 에어 호스(27b)는 측면에서 볼 때 하나의 가닥처럼 보일 수도 있다. 따라서 후술하게 될 습기 제거 부재(23)는 유압 호스(27a)와 에어 호스(27b)를 모두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이런 점에서 유압 호스(27a)와 에어 호스(27b)는 하나의 가닥처럼 호스 릴(22)에 권취되고 습기 제거 부재(23)로 절연되므로 유압 호스(27a)와 에어 호스(27b)를 합쳐서 ‘명령 전달 호스(27)’라 칭하기로 한다.
명령 전달 호스(27)는 이처럼 유압 호스(27a)와 에어 호스(27b)로 구성된다.
이때 비상정지 스위치(5)로부터 공압 감지 센서(51)로 연결되는 에어 호스(27b)는 공압 전달 호스인 점에서 전기 신호와는 무관하며, 또한 에어 호스(27b) 표면의 습기를 따라 통전이 될 수도 있으므로 절연 성능 강화를 위해 에어 호스(27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호스(271)에 내장될 수 있다.
에어 호스(27b)의 길이 전체에 걸친 내부 용적은 에어 실린더로 구성되는 비상정지 스위치(5)의 용량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호스(27b)의 내부 총 용적은 일정하므로 에어 호스(27b)가 길어질수록 에어 호스(27b)의 내경은 감소되고, 에어 호스(27b)가 짧아질수록 에어 호스(27b)의 내경은 증가된다.
그런데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호스(27b)와 유압 호스(27a)로 이루어지는 명령 전달 호스(27)는 서로 밀집되어 하나의 호스처럼 취급되며, 에어 호스(27b)와 유압 호스(27a)는 외경이 서로 균일하여야 후술하게 될 습기 제거 부재(23)로 표면의 습기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고소 작업차에서는 외경은 유압 호스(27a)와 동일하면서 내경은 에어 호스(27b)의 외경과 동일한 절연 호스(271)가 에어 호스(27b)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 참고로, 습기 제거 부재(23)를 설명하는 과정에서는 도 6a 내지 도 6e에서 에어 호스(27b)의 외경과 유압 호스(27a)의 외경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편의상 도시된 것일 뿐이며 실제로는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에어 호스(27b)는 절연 호스(271)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도면에 나타난 에어 호스(27b)는 에어 호스(27b)를 내장한 절연 호스(271)인 것이다.
또한 도 3은 에어 호스(27b)가 절연 호스(271) 내부에 내장된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서 절연 호스(271)의 길이가 짧게 도시되어 있지만 절연 호스(271)는 에어 호스(27b)의 표면 절연이 필요한 전 구간에 걸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압 호스(27a)와 에어 호스(27b)로 이루어지는 명령 전달 호스(27)는 붐 어셈블리(2)의 규격이 큰 경우에는 붐 어셈블리(2) 내부에 설치되어 절연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나, 저고도 작업을 위해 주변 시설물과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소형으로 작게 제작되는 붐 어셈블리(2)가 운용되는 경우에는 명령 전달 호스(27)의 권출 및 권취를 위하여 마련되는 호스 릴(22)이 붐 어셈블리(2)에 내장되기 힘들므로 호스 릴(22)과 명령 전달 호스(27)는 붐 어셈블리(2)의 외부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고소 작업차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 전달 호스(27)에는 명령 전달 호스(27) 표면에 맺히는 습기를 제거하는 습기 제거 부재(23)가 설치되고, 붐 어셈블리(2)에는 복수 개의 붐(21a,21b,21c,21d)이 차례로 인출될 때 습기 제거 부재(23)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이 붐 어셈블리(2)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붐 어셈블리(2)에는 복수 개의 붐(21a,21b,21c,21d)이 차례로 인출 또는 인입 됨에 따라 명령 전달 호스(27)를 권출 또는 권취시키는 호스 릴(22)이 설치되고, 복수 개의 붐(21a,21b,21c,21d)에는 각각의 붐의 입구마다 명령 전달 호스(27)를 안내하는 가이드(24)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4b 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붐(21a,21b,21c,21d)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인출 또는 인입 될 때 습기 제거 부재(23)는 명령 전달 호스(27)와 함께 이동하다가 인접하는 가이드(24) 중 어느 하나에 막혀서 정지됨으로써, 가이드(24)는 명령 전달 호스(27)가 권출 또는 권취되면서 이동할 때 습기 제거 부재(23)를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으로 작용한다.
붐 어셈블리(2)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형성된다. 도 4a에서는 4단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단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 어셈블리(2)를 이루는 1단 붐부터 4단 붐(21a,21b,21c,21d)까지는 각 단의 말단에 붐 입구 슬리브(26)가 설치되어, 1단 붐부터 4단 붐(21a,21b,21c,21d)까지의 각 단들이 서로 축소될 때 어느 하나의 단의 붐 입구 슬리브(26)가 그보다 구경이 큰 인접하는 단의 붐 입구 슬리브(26)와 만나면서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붐 입구 슬리브(26)는 이처럼 붐 어셈블리(2)의 각 단들이 서로 인입될 때 인입의 한계점이 되면서 각 단들을 서로 정렬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 경우 붐 입구 슬리브(26) 마다 명령 전달 호스(27)를 안내하는 가이드(24)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습기 제거 부재(23)는 각각의 가이드(24) 사이에 배치된다.
습기 제거 부재(23)가 명령 전달 호스(27)에 맺힌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습기 제거 부재(23)와 명령 전달 호스(27) 간에 상대 운동이 있어야 한다. 즉 습기 제거 부재(23)가 파이프 형태의 와이퍼 블레이드처럼 명령 전달 호스(27)의 표면을 닦으며 지나가야 한다. 습기 제거 부재(23) 자체의 길이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히 짧게 형성되어 명령 전달 호스(27)의 국소 부분만 점유하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습기 제거 부재(23)가 자체적으로 이동하면서 명령 전달 호스(27) 표면에 맺힌 습기를 제거하려면 습기 제거 부재(23) 내부에 자체 이동이 가능한 수단이 내장되어야 하나, 이처럼 작은 공간에 자체 이동수단이 내장되려면 소형화된 구동계와 배터리 등이 필요하고 명령 전달 호스(27)와의 마찰력을 이겨내면서 이동될 수 있을 정도의 힘이 필요하므로 습기 제거 부재(23)의 제작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고소 작업차에서는 이러한 소형화된 자체 이동수단이 내장되지 않고서도 명령 전달 호스(27)와 습기 제거 부재(23) 사이의 상대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붐 입구 슬리브(26)에 명령 전달 호스(27)의 안내를 위한 가이드(24)가 설치된다.
가이드(24)가 설치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 어셈블리(2)가 펼쳐질 때는 명령 전달 호스(27)와 함께 이동하던 습기 제거 부재(23)가 가이드(24)에 막혀 정지되는 동안 명령 전달 호스(27)는 습기 제거 부재(23)를 관통하여 지나가므로, 습기 제거 부재(23)를 통과하는 명령 전달 호스(27)의 표면에는 습기가 말끔하게 제거될 수 있다.
동일한 원리로 붐 어셈블리(2)가 수축될 때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번에는 습기 제거 부재(23)는 인접한 두 가이드(24) 중에서 도 4b에서 접촉한 측의 반대측 가이드(24)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와중에 명령 전달 호스(27)는 습기 제거 부재(23)를 통과하여 호스 릴(22)에 권취된다.
그러므로 명령 전달 호스(27)는 활선 작업 도중에 맺히는 습기 또는 우천으로 인한 물기가 말끔하게 제거된 상태로 호스 릴(22)에 권취될 수 있다.
습기 제거 부재(23)는 또한 명령 전달 호스(27) 표면에 맺히는 결빙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작용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습기 제거 부재(23)가 결빙을 제거하는 수단으로서의 역할에 초점이 맞추어져서 습기 제거 부재(23) 대신에 결빙 제거 부재(25)가 도시된 관계로 도 4a 내지 도 4c의 습기 제거 부재(23)와 그 형상이 차이가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도 4a 내지 도 4c의 습기 제거 부재(23)는 결빙 제거 작용을 할 수도 있으므로 도 3의 결빙 제거 부재(25)와 사실상 동일한 구성일 수도 있고, 또는 습기 제거 부재(23)와 결빙 제거 부재(25)는 각각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그 작용이 습기 제거인지 결빙 제거인지 여부에 따라 명칭이 구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 부재(23)는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습기 제거 부재(23)는 명령 전달 호스(27)를 둘러싸는 형태이면서 명령 전달 호스(27)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양 단이 개방된 형태의 몸체(231,232)와, 몸체(231,232)의 양 단을 막는 판 형태의 부재로서 명령 전달 호스(27)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유연한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와이퍼 플레이트(233,234)와, 와이퍼 플레이트(233,234)를 몸체(231,232)의 개방된 양 단 각각의 테두리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지되, 몸체(231,232)는 동일한 형상의 두 개의 부재인 제1몸체(231) 및 제2몸체(232)가 명령 전달 호스(27)를 사이에 두고 서로 양 단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몸체(231)와 크기와 형상이 완전히 동일한 제2몸체(232)가 서로 도 6c와 같이 결합되어 완성된 형태의 몸체(231,232)가 형성된다. 이때 도 6d를 참조하면 제1몸체(231)와 제2몸체(232)는 둘 중 어느 하나의 자세가 전도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둘 다 형상과 크기가 서로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습기 제거 부재(2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소모품인 흡습부재(도시되지 않음)가 필요할 때 마다 교체될 수 있어야 하므로 개방이 가능해야 하며, 특히 이미 기존에 설치된 절연 고소 차량의 경우에도 가이드(24)와 습기 제거 부재(23)가 설치 가능하려면 기존에 설치된 명령 전달 호스(27)가 이미 설치된 상태에서 명령 전달 호스(27)의 설치상태를 건드리지 않고도 설치가 가능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만일 습기 제거 부재(23)가 명령 전달 호스(27)가 관통할 수는 있으나 습기 제거 부재(23)를 설치 또는 해체하려면 명령 전달 호스(27)를 일단 먼저 해체한 다음 습기 제거 부재(23)를 명령 전달 호스(27)의 시작점에 꽂아서 쭉 이동시켜야 하므로 설치 과정의 난이도와 시간 및 비용이 상당하게 소요될 수 있기 때문이며, 소모품인 흡습부재를 내부에 수시로 교체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습기 제거 부재(23)가 이처럼 완전히 동일한 제1몸체(231) 및 제2몸체(232)가 서로 결합되는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된다고 하더라도 분리되는 어느 하나의 부재가 수급되지 않아 나머지 부분이 있어도 조립되지 못하는 문제가 완전히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231,232)의 양 단에 각각 결합되는 와이퍼 플레이트(233,234)는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탄성 플레이트인 제1탄성 플레이트(233)와 제2탄성 플레이트(234)가 접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와이퍼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 홀은 제1탄성 플레이트(233)와 제2탄성 플레이트(234) 중 어느 하나의 일 측면으로부터 중심까지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구홈과 제1탄성 플레이트(233)와 제2탄성 플레이트(234) 중 나머지 하나의 타 측면으로부터 중심까지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구홈의 교집합 영역으로 형성되는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탄성 플레이트(233)와 제2탄성 플레이트(234)는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형상과 크기가 완전히 동일한 부재이고 다만 그 배치만 어느 하나가 나머지 하나에 대해 전도된 형태로 배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개구홈이 서로 반대로 교차되어 결국 제1탄성 플레이트(233)와 제2탄성 플레이트(234)가 겹쳐기면서 개구홈의 남는 부위로 명령 전달 호스(27)가 관통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1탄성 플레이트(233)와 제2탄성 플레이트(234)로 나누어진 두 부재가 서로 접합되어 하나의 부재인 것처럼 결합 될 때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두 개구홈이 합쳐지면서 폐곡선 형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을 통하여 명령 전달 호스(27)가 통과할 수 있다.
와이퍼 플레이트(233,234)가 제1탄성 플레이트(233)와 제2탄성 플레이트(234)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아래의 두 가지 각별한 효과가 있다.
첫째는 앞서 몸체(231,232)와 같이 유압 호스(27a)와 에어 튜브(27b)를 완전 해체하지 않더라도 설치된 상태에서 곧바로 와이퍼 플레이트(233,234)의 설치가 가능하다.
이러한 효과는 와이퍼 플레이트(233,234)를 이루는 제1탄성 플레이트(233)와 제2탄성 플레이트(234)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서 명령 전달 호스(27)가 지나갈 때 명령 전달 호스(27)의 표면에 맺힌 수분이나 결빙을 마치 차량의 와이퍼 블레이드처럼 닦아서 제거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할 수 있고, 주기적인 교체 과정이 극히 단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의 각별한 절감이 가능한 효과이다.
둘째는 와이퍼 플레이트(233,234)의 모서리 인접 부위에 몸체와 와이퍼 플레이트(233,234)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의 관통을 위한 체결 홀(2331)이 형성되되, 체결 홀(2331)은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 전달 호스(27)의 각도가 가변 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가 형성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1탄성 플레이트(233)와 제2탄성 플레이트(234)가 서로 독립된 부재라는 점으로 인해,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 전달 호스(27)의 각도가 가변되더라도 명령 전달 호스(27)의 표면이 한쪽으로 쏠리면서 발생 될 수 있는 상처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이다.
즉 도 6e를 기준으로 볼 때 명령 전달 호스(27)가 위로 쏠릴 때는 체결 홀(2331)에 형성된 길이 만큼의 여유 내에서 제2탄성 플레이트(234)가 상부로 가변되면서 명령 전달 호스(27)의 표면이 제2탄성 플레이트(234)와 과도하게 밀착되어 발생 될 수 있는 손상이 방지되고, 반대로 명령 전달 호스(27)가 아래로 쏠릴 때는 제1탄성 플레이트(233)가 하부로 가변되어 명령 전달 호스(27)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탄성 플레이트(233,234)를 탈거한 상태에서는 몸체(231,232) 내부에 충전된 흡습부재(도시되지 않음)를 교체하는 작업도 극히 단시간에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 부재(123)는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추가 실시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의 습기 제거 부재(123)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며 명령 전달 호스(27)를 둘러싸는 관 형태의 부재인 케이스(1231)와, 케이스(1231)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에 명령 전달 호스(27)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명령 전달 호스(27) 표면에 맺히는 결빙(I)이 케이스(1231)를 명령 전달 호스(27)와 함께 관통하는 것을 일정한 힘으로 밀어내는 탄성판(12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판(1233)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판(1233)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수분 제거 섬유(1234)가 설치되어, 도 4b 또는 도 4c에서처럼 명령 전달 호스(27)가 관통 홀을 따라 지나갈 때 수분 제거 섬유(1234)가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탄성판(1233)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마련되어 케이스(1231) 내부에 일정한 간격마다 설치됨으로써 명령 전달 호스(27)는 최초로 통과하는 탄성판(1233)에서 습기가 남더라도 복수 개의 탄성판(1233)을 모두 통과하면서 습기는 대부분 제거될 수 있으며, 특히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기 제거 부재(123)는 붐 어셈블리(2)의 단수가 많을수록, 습기 제거 부재(123)는 많은 수량이 복수 개로 설치되므로 복수 개의 습기 제거 부재(123)를 거치면서 습기는 철저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습기 제거 부재(123)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 전달 호스(27)의 표면에 맺힌 결빙(I)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작용될 수도 있다. 명령 전달 호스(27)의 표면에 맺힌 결빙(I)은 명령 전달 호스(27)가 유연한 재질인 점에서 대부분은 약간의 굴곡에서도 부스러지면서 쉽게 제거될 수 있으나, 간혹 결빙(I) 중에서 명령 전달 호스(27)의 표면에 단단하게 맺힌 결빙(I)이 있을 수 있다.
이처럼 결빙(I)이 단단하게 맺힌 경우에는 수분 제거 섬유(1234)만으로는 완전하게 제거되기 힘들 수 있으며, 일정한 힘으로 결빙(I)을 긁어내는 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만약 탄성판(1233)이 탄성 재질이 아니라 단단한 재질인 경우에는 자칫 결빙(I)으로 인해 명령 전달 호스(27)가 큰 장력을 받는 관계로 호스 릴(22) 등에 과도한 힘이 걸려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고소 작업차에서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재질인 탄성판(1233)이 설치되어, 일정한 힘으로 결빙(I)의 진행을 막다가 결빙(I)이 명령 전달 호스(27) 표면에 부착된 부착력이 일정한 힘을 넘어서는 경우 탄성판(1233)을 밀어낸 후에 탄성판은 튕기면서 원상 복귀되고 다음 탄성판(1233)에 결빙(I)이 밀착됨으로써, 복수 개의 탄성판(1233)을 거치는 동안 계속 결빙(I)이 힘을 받으면서 최종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명령 전달 호스(27)의 진행이 크게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참고로 도 7a 내지 도 7d의 습기 제거 부재는 도 5에 도시된 결빙제거 부재(25)와 동일한 것이며,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에서는 결빙제거 작용을 특화 시켜 형상을 달리하여 도시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D : 수분 I : 결빙
1 : 차량 2 : 붐 어셈블리
3 : 버켓 4 : 유압 모듈
5 : 비상정지 스위치 21a : 1단 붐
21b : 2단 붐 21c : 3단 붐
21d : 4단 붐 22 : 호스 릴
23 : 습기 제거 부재 24 : 가이드
25 : 결빙 제거 부재 26 : 붐 입구 슬리브
27 : 명령 전달 호스 27a : 유압 호스
27b : 에어 호스 30 : 제어부
51 : 공압 감지 센서 231 : 제1몸체
232 : 제2몸체 233 : 제1탄성 플레이트
234 : 제2탄성 플레이트 235 : 흡습부재
241 : 가이드 몸체 242 : 호스 통과 홀
243 : 제1 가이드 롤 244 : 제2 가이드 롤
271 : 절연 호스 1231 : 케이스
1232 : 배출구 1233 : 탄성판
1234 : 수분 제거 섬유 2331 : 체결 홀

Claims (11)

  1. 적재면적이 후방에 마련되는 차량과;
    상기 적재면적 상부에 가변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단으로 인출 또는 인입 되는 복수 개의 붐을 포함하는 붐 어셈블리와;
    상기 붐 어셈블리의 말단에 설치되며 탑승공간이 마련되는 버켓과;
    리모컨에서 조작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붐 어셈블리를 제어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적재면적 상부에 설치되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붐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유압 모듈과;
    상기 버켓 또는 제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 모듈과 상기 차량의 전기 기기들을 긴급 정지시키는 비상정지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정지 스위치는 에어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붐 어셈블리의 하부에는 상기 비상정지 스위치의 신호를 받아 상기 유압 모듈에 비상정지 신호를 전달하는 공압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버켓으로부터 시작되는 비상정지 명령이 전기 신호 없이 전달됨과 동시에 비상정지 명령 전달 수단이 경량화 되는 절연 고소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유압 모듈은 상기 유압 모듈에 명령 전달 호스로 연결되고,
    상기 명령 전달 호스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상기 유압 모듈로 전달하는 유압 호스와 상기 비상정지 스위치의 신호를 상기 공압 감지 센서로 전달하는 에어 호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 호스와 상기 유압 호스는 붐 어셈블리의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붐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상기 에어 호스는 상기 비상정지 스위치를 구성하는 에어 실린더의 용적에 따라 에어 호스의 길이 전체에 걸쳐 내부 총 용적이 일정하여, 에어 호스의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됨에 따라 에어 호스의 내경은 감소 또는 증가되며,
    상기 에어 호스에는 외경은 상기 유압 호스와 동일하면서 내경은 에어 호스의 외경과 동일한 절연 호스가 에어 호스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고소 작업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전달 호스에는 명령 전달 호스의 표면에 맺히는 습기를 제거하는 습기 제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붐 어셈블리에는 상기 복수 개의 붐이 차례로 인출될 때 습기 제거 부재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이 붐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절연 고소 작업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붐 어셈블리에는 상기 복수 개의 붐이 차례로 인출 또는 인입 됨에 따라 상기 명령 전달 호스를 권출 또는 권취시키는 호스 릴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붐에는 붐의 입구마다 상기 명령 전달 호스를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붐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인출 또는 인입 될 때 상기 습기 제거 부재는 명령 전달 호스와 함께 이동하다가 인접하는 상기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막혀서 정지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는 상기 명령 전달 호스가 권출 또는 권취 되면서 이동할 때 상기 습기 제거 부재를 정지시키는 상기 정지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고소 작업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제거 부재는 상기 유압 호스를 둘러싸는 형태이면서 상기 유압 호스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양 단이 개방된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 단을 막는 판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유압 호스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유연한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와이퍼 플레이트와,
    상기 와이퍼 플레이트를 상기 몸체의 개방된 양 단 각각의 테두리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는 동일한 형상의 두 개의 부재가 상기 유압 호스를 사이에 두고 서로 양 단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고소 작업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 단에 각각 결합되는 와이퍼 플레이트는 두 개의 탄성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퍼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 홀은 상기 두 개의 탄성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일 측면으로부터 중심까지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구홈과 상기 두 개의 탄성 플레이트 중 나머지 하나의 타 측면으로부터 중심까지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구홈의 교집합 영역으로 형성되는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고소 작업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플레이트의 모서리 인접 부위에는 상기 몸체와 와이퍼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의 관통을 위한 체결 홀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 홀은 상기 유압 호스의 각도가 가변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가 형성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고소 작업차.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제거 부재는 상기 몸체와 와이퍼 플레이트로 둘러싸이는 공간 내부에 채워지는 흡습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고소 작업차.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유압 호스가 통과되도록 호스 통과 홀이 형성되고,
    상기 호스 통과 홀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이 상기 유압 호스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는 패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롤이 상기 유압 호스의 통과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더라도 유압 호스와 가이드와의 마찰이 최소화되는 작용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고소 작업차.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제거 부재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유압 호스를 둘러싸는 관 형태의 부재인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에 상기 유압 호스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유압 호스 표면에 맺히는 결빙이 상기 케이스를 유압 호스와 함께 관통하는 것을 일정한 힘으로 밀어내는 탄성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고소 작업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수분 제거 섬유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판은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마다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복수 개의 상기 탄성판과 인접하는 탄성판의 사이 구간에 수분 또는 결빙의 배출을 위한 복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고소 작업차.
KR1020220056710A 2022-05-09 2022-05-09 시스템 비상정지용 에어실린더가 구비된 절연 고소 작업차 Active KR102741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710A KR102741715B1 (ko) 2022-05-09 2022-05-09 시스템 비상정지용 에어실린더가 구비된 절연 고소 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710A KR102741715B1 (ko) 2022-05-09 2022-05-09 시스템 비상정지용 에어실린더가 구비된 절연 고소 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120A KR20230157120A (ko) 2023-11-16
KR102741715B1 true KR102741715B1 (ko) 2024-12-12

Family

ID=8896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710A Active KR102741715B1 (ko) 2022-05-09 2022-05-09 시스템 비상정지용 에어실린더가 구비된 절연 고소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17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656Y1 (ko) 2004-03-17 2004-06-30 주식회사 고려호이스트 공압 호이스트용 4점식 컨트롤 스위치
US20150326315A1 (en) 2012-02-10 2015-11-12 Joseph Georgiano Bucket Truck Operational Improvement Apparatus
US20160117902A1 (en) 2011-02-09 2016-04-28 Viki Walbridge Warning and message delivery and logging system utilizable in the monitoring of fall arresting and prevention devices and method of same
KR102123867B1 (ko) 2018-12-14 2020-06-17 주식회사 호룡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안전 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9551A (ja) * 1985-12-24 1987-07-03 Hikoma Seisakusho Kk 旋回できる搭載体を有する車両の操縦機構
KR970002906Y1 (ko) 1994-06-16 1997-04-08 김용규 크레인을 겸한 절연 고소작업차
JP4005639B2 (ja) * 1996-10-18 2007-11-07 株式会社安川電機 活線作業用ロボット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656Y1 (ko) 2004-03-17 2004-06-30 주식회사 고려호이스트 공압 호이스트용 4점식 컨트롤 스위치
US20160117902A1 (en) 2011-02-09 2016-04-28 Viki Walbridge Warning and message delivery and logging system utilizable in the monitoring of fall arresting and prevention devices and method of same
US20150326315A1 (en) 2012-02-10 2015-11-12 Joseph Georgiano Bucket Truck Operational Improvement Apparatus
KR102123867B1 (ko) 2018-12-14 2020-06-17 주식회사 호룡 고소작업차의 탑승함 안전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120A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3602B2 (en) Cable offset detection with contact
KR101261457B1 (ko)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
GB2456635A (en) Lifting Systems for High-Rise Buildings
KR101545263B1 (ko) 케이블 가닥들을 도관으로 당기는 방법 및 관련된 시스템
CN112176871B (zh) 一种两侧隧道式锚碇的悬索桥主缆架设方法
KR102741715B1 (ko) 시스템 비상정지용 에어실린더가 구비된 절연 고소 작업차
CN112176872B (zh) 一种两岸隧道锚悬索桥主缆架设方法
RU2717111C1 (ru) Мобильная шахтная лебедка
JP2012502603A (ja) ケーブル要素を引出す引出方法および引出装置
AU655725B2 (en) Device for suspending a working cage
KR102700727B1 (ko) 케이블 습기 제거 수단이 구비된 절연 고소 작업차
KR101443255B1 (ko)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CN115282522A (zh) 一种消防救援系统
EP3071506B1 (en) Lift assembly with tapered drums
CN217808068U (zh) 一种地铁机电施工用电缆收放装置
CN109398674B (zh) 串联式系留浮空器及其发放方法
KR102611064B1 (ko) 무접점 방식을 활용한 신호선 케이블 릴장치
CN112209254B (zh) 一种缆索起重机主索的架设方法
RU2258662C2 (ru) Способ замены каната в подъемном устройстве
CN212178049U (zh) 一种缆管铺设装置和链带
JP2001009052A (ja) トンネル用消火栓装置
CN215405580U (zh) 桥梁拉索检修装置
KR100966495B1 (ko) 더블브레이디드 로프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장치
JP2002058121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敷設工法およびその敷設工法に使用される架線車
CN220684351U (zh) 大口径软管和光缆盘卷收放方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